KR20220162036A -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036A
KR20220162036A KR1020220037361A KR20220037361A KR20220162036A KR 20220162036 A KR20220162036 A KR 20220162036A KR 1020220037361 A KR1020220037361 A KR 1020220037361A KR 20220037361 A KR20220037361 A KR 20220037361A KR 20220162036 A KR20220162036 A KR 2022016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road
server
measur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종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스테크놀로지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스테크놀로지,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03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2036A/ko
Publication of KR2022016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01C19/235Rolling apparatus designed to roll following a path other than essentially linear, e.g. epicycloid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1/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involving an extracting tool, e.g. core b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06Details, e.g. sample holders, mounting sample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 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88Investigating volume, surface area, size or distribution of pores; Porosi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2Road-mak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24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observing the transmission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내부의 공극률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의 정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도로의 내부를 측정하는 측정서버와 측정서버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와 저장서버에 형성되며,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산정서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Measuring System of Road Inner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 내부의 공극률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의 정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도로포장의 현장에서 아스팔트의 다짐밀도를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다짐밀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의 다짐 후, 상기 아스팔트의 공극 축소로 인한 밀도변화와 유전율 변화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아스팔트의 다짐밀도를 측정하는 다짐밀도 측정부와; 상기 다짐밀도 측정부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외력에 의한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아스팔트의 다짐밀도 측정시 보조 데이타로 사용하게 하는 압력센서부와; 상기 압력센서부 하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아스팔트의 유전율을 측정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 하부면에 위치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아스팔트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보조재;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감마선 발생부, 감마선 발생부로부터 방사된 감마선을 특정 위치에서만 검출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방사된 감마선을 차폐시키기 위한 방사선 차폐부, 방사선 차폐부에 의하여 차폐되지 않고 방사된 감마선을 소정의 각도로 집속시키기 위한 감마선집속부. 방사선 집속부에 의하여 집속된 감마선에 대하여 특정 에너지 영역의 방사선 세기를 검출하기 위한 감마선 검출부, 및 감마선 집속부와 감마선 검출부의 입사각에 의한 감마선의 산란 매질의 깊이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감마선 검출부에 의한 감마선의 세기에 의하여 상기 산란 매질의 다짐 밀도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a)오토레벨과 수직눈금자를 이용하여 도로포장 전에 바탕면의 표면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b)바탕면에 도로포장재를 포설하는 단계; (c)바탕면에 포설된 도로포장재의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시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d)바탕면에 포설된 도로포장재를 다짐하고 도로포장재의 다짐 표면 위치를 오토레벨과 정밀 눈금 스태프로 측정하는 단계; 및, (e)바탕면의 표면 위치와 도로포장재의 다짐 표면 위치로부터 다짐된 도로포장재의 다짐두께를 추출하여 이로부터 시료의 다짐부피를 계산하고, 시료의 다짐부피와 시료의 무게로부터 다짐밀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침입 시험장비는 만능시험기나 압축시험기에 본 발명의 침입봉들과 시편몰드를 장착하고 온도조절을 위해 환경챔버로 시험부분을 둘러싼 형태이며, 침입봉이 몰드 내의 시편에 침투할 때, 로드셀로부터 침입강도를, 위치센서로부터 침입깊이를 측정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수학식을 이용하여 공시체 물성을 계산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0-0107589 A (2010년10월06일) KR 10-2012-0076735 A (2012년07월10일) KR 10-2012-0072399 A (2012년07월04일) KR 10-2005-0114571 A (2005년12월06일)
본 발명은 도로 내부의 공극률을 측정하는 측정장치의 정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하는 측정서버(100); 상기 측정서버(100)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200); 상기 저장서버(200)에 형성되며,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산정서버(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측정서버(100); 저장서버(200); 산정서버(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측정서버(100)에 형성되며, 도로(10)를 주행하는 측정장치(1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측정서버(100); 저장서버(200); 산정서버(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측정서버(1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위치의 도로(10)를 천공하여 시료를 수집하는 시료수집장치(1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측정서버(100); 저장서버(200); 산정서버(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저장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1저장부(210); 상기 시료수집장치(120)에서 수집한 시료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저장부(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측정서버(100); 저장서버(200); 산정서버(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산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부(31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측정서버(100); 저장서버(200); 산정서버(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산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산정서버(300)에서 산정한 오차 범위에 따라 상기 측정서버(100)를 보정하는 보정서버(4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측정서버(100)에서 도로(10) 내부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100); 상기 측정단계(S1100) 후, 도로(10)를 천공하여 시료를 수집하는 시료수집단계(S1200); 상기 시료수집단계(S1200) 후,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저장서버(2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300); 상기 저장단계(S1300) 후,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400); 상기 비교단계(S1400) 후,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산정단계(S1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측정단계(S1100); 시료수집단계(S1200); 저장단계(S1300); 비교단계(S1400); 산정단계(S1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산정단계(S1500) 후, 상기 측정서버(100)를 보정하는 보정단계(S1510); 상기 보정단계(S1510) 후, 상기 측정서버(100)가 도로(10)를 주행하며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하는 내부측정단계(S1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주파수(전자기파)를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송출하여 도로의 공극을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에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전 또는 시공 후 공극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장치와 시료를 함께 측정하여 측정장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와 비교데이터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데이터를 오차 범위에 의하여 보정함에 따라 도로의 측정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활용하여 도로 내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료수집장치를 활용하여 도로 내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부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하는 측정서버(100); 상기 측정서버(100)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200); 상기 저장서버(200)에 형성되며,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산정서버(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도로(10)는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포장도로(10), 철도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측정서버(100)는 도로(10)의 내부 공극률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서버(200)는 복수의 상기 측정서버(100)와 통신하여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도로(10)를 시공하기 전 또는 시공 후 내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로(10)의 내부 공극률을 측정함에 따라 도로(10)의 파손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로(10)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포장도로(10)이거나 철도와 같이 자갈로 형성되는 선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로(10)의 상부를 측정서버(100)에서 주행하거나 도로(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활용하여 내부의 공극률을 측정하는 것이다. 측정서버(100)에서 측정한 도로(10)의 공극률 등의 측정데이터는 저장서버(200)로 전달되며, 저장서버(200)는 복수의 측정서버(100)와 통신함에 따라 복수의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서버(200)는 측정서버(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관제센터에서 복수의 측정서버(100)를 통해 전달되는 측정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서버(200)에 저장된 측정데이터는 산정서버(300)에서 오차 범위를 산정하여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도로(10)를 주행하며 전자기파를 활용하여 도로(10)의 내부 공극률을 측정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서버(100)에 형성되며, 도로(10)를 주행하는 측정장치(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110)는 주파수에 의하여 도로(10)의 파손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110)는 도로(10)의 보조기층, 기층, 표층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110)에 형성되며,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수단(111); 도로(10)의 내부로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송출하는 송출장치(112);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송출장치(112)는 내부의 깊이에 따라 주파수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송출장치(112)의 주파수에 따라 도로(10)의 연약지반, 골재 종류, 사이즈 중 선택된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정서버(1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측정서버(100)는 도로(10)에 설치 및 주행함에 따라 도로(10)의 내부 공극률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서버(100)는 도 1을 참조하면, 도로(10)를 주행하는 측정장치(110)가 형성되며, 측정장치(110)는 전자기 펄스를 송출하여 도로(10) 내부의 파손을 측정하는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로 형성된다. 이때, 측정장치(110)는 도로(10)를 주행하기 위하여 이동수단(111)이 형성되며, 이동수단(111)은 차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정장치(110)에는 도로(10)를 향하여 전자기파를 송출하는 송출장치(112)가 형성되며, 송출장치(112)는 주파수(전자기파)를 송출하는 것으로 송출부에서 전자기파를 송출한 후 도로(10)의 내부에서 반사되어 수신부로 수신되는 것이다. 이때, 송출부와 수신부는 복수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송출부와 수신부로 형성되나 서로 이격되는 위치의 송출부와 수신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 1송출부와 제 2송출부와 제 3송출부에는 각각 제 1수신부와 제 2수신부와 제 3수신부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 1송출부에서 송출된 주파수는 제 1수신부에서 수신되거나 제 2수신부 또는 제 3수신부에서 수신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송출부와 제 3송출부 또한 제 1수신부, 제 2수신부, 제 3수신부 중 선택된 하나로 주파수가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복수의 결과값을 취합하여 정확한 도로(10)의 내부 공극률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공극률은 도로(10) 상의 수분, 공극, 이물질 등에 의하여 반사된 주파수를 수신부에서 수신받음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송출장치(112)는 도로(10)의 보조기층, 기층, 표층을 각각 판단하기 위하여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주파수의 강도에 따라 주파수의 도로(10) 침투 길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도로(10)의 연약지반, 매설물, 골재 종류, 사이즈 등을 각각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측정서버(1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위치의 도로(10)를 천공하여 시료를 수집하는 시료수집장치(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집장치(120)에 형성되며, 도로(10)를 천공하는 천공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시료수집장치(120)에 형성되며, 시료의 공극률을 측정하는 공극률을 측정하는 시료측정장치(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료수집장치(1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시료수집장치(120)는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위치의 도로(10)를 천공하여 시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료수집장치(120)는 도 2를 참조하면, 도로(10)의 보조기층까지 원형으로 천공하여 체취하는 것이며, 도로(10)를 천공하는 천공장치는 내부가 개방되어 형성됨에 따라 회전하며 도로(10)의 하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천공장치가 일정 깊이 이상 도로(10)에 삽입된 후 천공장치를 외부로 돌출시켜 천공장치의 내부에 삽입된 시료가 수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집된 시료는 시료측정장치(110)를 통해 공극률, 온도, 수분함량, 골재의 밀도 등 다양한 시료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시료측정장치(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임에 따라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저장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1저장부(210); 상기 시료수집장치(120)에서 수집한 시료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저장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장서버(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저장서버(200)는 측정서버(100)에서 전달되는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서버(200)는 복수의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1저장부(210)와 시료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저장부(220)가 형성된다. 이는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 저장하는 것으로 각각의 데이터가 모여 추후에 평균 데이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서버(200)는 측정데이터 및 시료데이터가 저장되는 날의 날씨 등의 환경 요인과 도로(10)의 완공 및 시공 기한이 저장되어 보다 정확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저장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가 축적되어 다양한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할 때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산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부(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산정서버(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산정서버(300)는 저장서버(200)에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교부(310)는 도 5를 참조하면,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여 도로(10)를 주행하는 측정장치(110)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때, 비교부(310)는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그래프 및 수치화하여 비교하는 것으로 복수의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함에 따라 오차범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측정장치(110)가 도로(10)를 일정 시간 주행하며 복수로 측정한 측정데이터와 측정장치(110)가 측정한 위치의 시료를 시료수집장치(120)에서 수집한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는 측정장치(110)의 측정 값이 오차 범위에 해당할 경우 시료를 수집하지 않고 간단히 측정장치(110)만으로 도로(10) 내부의 공극률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산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산정서버(300)에서 산정한 오차 범위에 따라 상기 측정서버(100)를 보정하는 보정서버(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산정서버(300)는 비교부(310)에서 비교한 오차 범위에 따라 측정데이터를 보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정서버(400)는 측정서버(100)의 측정장치(110)에 형성되며, 측정장치(110)는 비교부(310)에서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의 비교에 따라 산정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측정장치(110)는 간단하게 도로(10)를 주행하며 도로(10)의 공극률을 판단하는 것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실시예 1-1의 측정서버(100)에서 도로(10) 내부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100); 상기 측정단계(S1100) 후, 도로(10)를 천공하여 시료를 수집하는 시료수집단계(S1200); 상기 시료수집단계(S1200) 후,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저장서버(2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300); 상기 저장단계(S1300) 후,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400); 상기 비교단계(S1400) 후,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산정단계(S1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산정단계(S1500) 후, 상기 측정서버(100)를 보정하는 보정단계(S1510); 상기 보정단계(S1510) 후, 상기 측정서버(100)가 도로(10)를 주행하며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하는 내부측정단계(S1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도로(10) 내부의 공극률을 판단하기 위하여 도로(10)를 주행하는 측정장치(110)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은 도 6을 참조하면, 도로(10) 내부의 공극률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측정하여 싱클홀, 균열 등의 도로(10)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로(10)를 포장하기 전 보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도로(10), 콘크리트도로(10), 철도 등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시료를 채취하여 진행한다. 이러한 시료 채취를 통한 내부 측정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동시에 시료를 채취한 위치의 보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GPR 장치를 활용하여 진행하나 GPR 장치는 간단히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할 수 있으나 정확도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은 측정단계(S1100)에서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로 형성되는 측정장치(110)가 도로(10)를 주행함에 따라 도로(10)의 공극률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장치(110)는 주파수의 강도를 조절하여 도로(10)의 깊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도로(10)의 위치를 시료수집단계(S1200)에서 시료를 수집한다. 시료수집단계(S1200)에서 시료를 수집하는 것은 측정장치(110)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시료는 도로(10)의 전체 구간이 아닌 임의의 구간 중 측정장치(110)에서 도로(10) 내부의 공극률을 측정한 위치만 수집하는 것이다. 이때, 시료는 도로(10)를 천공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도로(10)의 공극률, 수분함량, 비중 등 다양한 시료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와 같이 측정단계(S1100)와 시료수집단계(S1200)에서 수집된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는 저장단계(S1300)에서 저장서버(200)에 저장되며, 저장된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는 비교단계(S1400)에서 비교되어 산정단계(S1500)에서 오차 범위를 산정다. 이와 같이 산정단계(S1500)에서 산정된 오차 범위는 보정단계(S1510)에서 측정장치(110)를 보정하는 것이며, 측정장치(110)는 정확한 값으로 보정됨에 따라 내부측정단계(S1520)에서 도로(10)의 전 구간을 상시 측정하는 것이다.
10: 도로 100: 측정서버
110: 측정장치 111: 이동수단
112: 송출장치 120: 시료수집장치
200: 저장서버 210: 제 1저장부
220: 제 2저장부 300: 산정서버
310: 비교부 400: 보정서버
S1100: 측정단계 S1200: 시료수집단계
S1300: 저장단계 S1400: 비교단계
S1500: 산정단계 S1510: 보정단계
S1520: 내부측정단계

Claims (8)

  1.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하는 측정서버(100);
    상기 측정서버(100)에서 측정된 측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서버(200);
    상기 저장서버(200)에 형성되며,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산정서버(30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서버(100)에 형성되며, 도로(10)를 주행하는 측정장치(11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정서버(1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위치의 도로(10)를 천공하여 시료를 수집하는 시료수집장치(12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장서버(2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110)에서 측정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1저장부(210);
    상기 시료수집장치(120)에서 수집한 시료데이터가 저장되는 제 2저장부(22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산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부(31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산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산정서버(300)에서 산정한 오차 범위에 따라 상기 측정서버(100)를 보정하는 보정서버(40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7.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1의 측정서버(100)에서 도로(10) 내부를 측정하는 측정단계(S1100);
    상기 측정단계(S1100) 후, 도로(10)를 천공하여 시료를 수집하는 시료수집단계(S1200);
    상기 시료수집단계(S1200) 후,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저장서버(200)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300);
    상기 저장단계(S1300) 후, 측정데이터와 시료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1400);
    상기 비교단계(S1400) 후, 측정데이터의 정확도를 산정하는 산정단계(S150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산정단계(S1500) 후, 상기 측정서버(100)를 보정하는 보정단계(S1510);
    상기 보정단계(S1510) 후, 상기 측정서버(100)가 도로(10)를 주행하며 도로(10)의 내부를 측정하는 내부측정단계(S1520);를 포함하는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을 활용한 측정 방법.
KR1020220037361A 2021-05-31 2022-03-25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 KR20220162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61A KR20220162036A (ko) 2021-05-31 2022-03-25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847 2021-05-31
KR1020220037361A KR20220162036A (ko) 2021-05-31 2022-03-25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847 Division 2021-05-31 2021-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036A true KR20220162036A (ko) 2022-12-07

Family

ID=8444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61A KR20220162036A (ko) 2021-05-31 2022-03-25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203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571A (ko) 2004-06-01 2005-12-06 허정도 도로포장 재료 용 침입시험 장비와 물성 측정방법 및 시편제조방법
KR20100107589A (ko)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다짐밀도 측정장치
KR20120072399A (ko) 2010-12-24 2012-07-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토레벨을 이용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현장 다짐밀도 측정방법 및 측정시스템, 그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KR20120076735A (ko) 2010-12-30 2012-07-10 한국도로공사 방사선과 집속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층별 밀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571A (ko) 2004-06-01 2005-12-06 허정도 도로포장 재료 용 침입시험 장비와 물성 측정방법 및 시편제조방법
KR20100107589A (ko) 2009-03-26 2010-10-06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다짐밀도 측정장치
KR20120072399A (ko) 2010-12-24 2012-07-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토레벨을 이용하는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현장 다짐밀도 측정방법 및 측정시스템, 그 측정시스템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방법
KR20120076735A (ko) 2010-12-30 2012-07-10 한국도로공사 방사선과 집속장치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층별 밀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mzin et al. Utilization of air-launched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for pavement condition assessment
Wang et al. Continuous real-time monitoring of flexible pavement layer density and thickness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US5952561A (en) Real time asphalt pavement quality sensor using a differential approach
US7073374B2 (en) Soil compaction measurement on moving platform
Shangguan et al. Innovative approach for asphalt pavement compaction monitoring with ground-penetrating radar
Commuri et al. Neural network–based intelligent compaction analyzer for estimating compaction quality of hot asphalt mixes
CN108717082A (zh) 一种基于集成声波检测技术的土石料压实质量连续评估方法
Leng et al. Field application of ground-penetrating radar for measurement of asphalt mixture density: case study of Illinois route 72 overlay
CN106940370A (zh) 沥青路面压实度检测方法、装置及系统
Wang et al. Asphalt pavement density measurement using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Current practices, challenges, and future vision
Uddin An overview of GPR applications for evaluation of pavement thickness and cracking
CN108333096A (zh) 一种基于探地雷达的沥青混凝土路面孔隙率检测方法
KR20220162036A (ko) 도로 내부 측정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측정 방법
Liu et al. Automatic pavement layer identification with multichannel ground penetrating radar at traffic speed
Diamanti et al. A GPR-based sensor to measure asphalt pavement density
Simonin et al. Detection of debonding and vertical cracks with non destructive techniques during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Walia et al. Reviewing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Dielectric Constant required to Calibrate GPR Study for Asphalt Layers
Frid et al. Features of a large-scale survey of highways with georadar
JP3108754B2 (ja) 盛土材料の施工管理方法
Silva et al. Use of GPR to identify metal bars and layer thickness in a rigid pavement
Frid et al. Irregular changes in antenna height during high speed scanning as a source of essential errors in measuring the thickness of asphalt
Wright et al. Calibration of five-segment time domain reflectometry probes for water content measurement in high density materials
Morcous et al. Use of ground penetrating radar for construction quality assurance of concrete pavement.
US20210172128A1 (en) System for compaction measurements
CN1315652A (zh) 无损路面厚度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