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930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930A
KR20220161930A KR1020210070270A KR20210070270A KR20220161930A KR 20220161930 A KR20220161930 A KR 20220161930A KR 1020210070270 A KR1020210070270 A KR 1020210070270A KR 20210070270 A KR20210070270 A KR 20210070270A KR 20220161930 A KR20220161930 A KR 2022016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plate
partition plate
cha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경준
안기용
권호진
장준영
이석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930A/en
Publication of KR2022016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9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05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dish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which includes a silencer, wherein the silencer includes a silencer housing arranged on the basis of a central axis and having a chamber therein, an open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ilencer housing and communicating the chamber with the external space, and a partit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silencer housing and divid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chambers, so that it is possible to absorb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in the exhausted air.

Description

청소기 {cleaner}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기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silencer.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up small garbage or dust by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fills a dust bin in the product,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household cleaners,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convenience in use by integrally providing a dust bin and a cleaner body, have been widely used.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The Han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is light in weight, but has a short length, so the cleaning area may be limited while sitting. Thus,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선행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31509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핸디 청소기에 관한 발명이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공기는 공기 유입구로 유입되고, 싸이클론을 통해 먼지가 분리되고, 프리필터를 통과하며 먼지가 여과되고, 모터를 통과한 후 헤파필터에 유입되고, 헤파필터를 통과하며 먼지가 여과되고, 여과된 공기가 청소기 외부로 배출된다.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1509 is presented. The prior art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handheld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dust is separated through the cyclone, dust is filtered through the pre-filter, flows into the HEPA filter after passing through the motor, and dust is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PA filter. Filtered,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선행문헌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핸디형 청소기에는 작동에 따라 소음이 발생한다. 청소기의 소음은 흡입에 의한 유동소음 및 흡입모터 회전에 의한 광대역 성분의 소음분포를 갖는다.Including prior literature, general handheld vacuum cleaners generate noise according to operation. The noise of the vacuum cleaner has a noise distribution of a broadband component due to flow noise caused by suction and rotation of the suction motor.

종래의 청소기에서 소음을 저감하는 방법은, 흡음재를 부착하여 소음을 흡수하거나, 모터의 출력을 감소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As a method of reducing noise in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a method of absorbing noise by attach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or reducing the output of a motor has been mainly used.

하지만, 흡음재를 사용하는 경우, 낮은 주파수의 소음은 흡수하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가 흡음재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유동에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청소기의 운전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sound absorbing material is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absorbing low-frequency noise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air flow resistance occurs as air passes throug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is deteriorated.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3150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315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청소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되,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소음기를 구비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equipped with a silencer that absorbs noise generated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cleaner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특정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소음기를 구비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equipped with a silencer that selectively absorbs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 배출부에 배치되고 배출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기를 포함한다. 소음기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챔버를 구비하는 소음기하우징, 소음기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되고 챔버를 외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개방포트, 소음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ousing having a discharge unit, and a silencer disposed in the discharge unit and absorbing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from discharged air. The silencer is disposed on the basis of the central axis and has a silencer housing having a chamber therein, an open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ilencer housing and communicating the chamber with the external space, disposed inside the silencer housing and divid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Includes partition plate.

특정주파수는 챔버의 부피, 개방포트의 단면적, 또는 개방포트에서 챔버의 입구단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specific frequency may be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volume of the chamb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or the distance from the open port to the inlet end of the chamber.

본 발명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르면, 소음기는 챔버의 중앙에 배치되고, 소음기의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구획판은 프레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개방포트는 측판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적어도 2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개방포트는 측판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encer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hamber, includes a fram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and the partition plate may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t least two open ports may be formed on the side plate and connected to one cha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pen ports are formed on the side plate, and one can be connected to one chamber.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따르면, 구획판은 소음기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원주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개방포트는 측판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적어도 2 이상 연결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개방포트는 측판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plate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and may include a convex curved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t least two open ports may be formed on the side plate and connected to one chamb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pen ports may be formed on the side plate, and one of the open ports may be connected to one chamber.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구획판은 소음기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구획판, 제1구획판에서 돌출되고 일 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구획판, 제1구획판에서 제2구획판이 연장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타 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구획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plate includes a first partition plat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a second partition pl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It may include a third partition plate that protrudes from the partition plat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second partition plate extends and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소음기는 상판의 외측단에서 하판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판, 하판의 외측단에서 상판을 향해 연장되고, 외측판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encer may include an outer plate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toward the lower plate, and an inner plate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lower plate toward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inside the outer plate. .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르면, 개방포트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 port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르면, 개방포트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원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port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ircle in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르면, 청소기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 배출부에 배치되고 배출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기를 포함하고, 소음기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부에 챔버를 구비하는 소음기하우징, 소음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 소음기하우징은 외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메시구조가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includes a body housing having a discharge unit, a silencer disposed in the discharge unit and absorbing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 generated from discharged air, and the silencer is based on a central axis. It includes a silencer housing having a chamber therein, and a partit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silencer housing and partition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chambers. The silencer housing includes a side plat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mesh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는, 내부에 챔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형성되고 챔버를 외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개방포트, 하우징의 측벽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 소음기는 하우징의 외둘레면을 유동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한다.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chamber therein, an open port formed in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the chamber with an external space, and a partition plate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a sidewall of the housing and divid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parts. includes The silencer absorbs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from air flow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첫째, 헬름홀츠 공명기 원리를 적용한 소음기를 구비하는 바, 소음기를 청소기 본체에 장착하더라도 토출되는 공기는 소음기의 외둘레면을 유동할 뿐 흡음재나 소음기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공기유동이 방해되지 않아 청소기의 운전성능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First, a silencer using the Helmholtz resonator principle is provided. Even when the silencer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the discharged air only flow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lencer and does not pass through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or silencer, so the air flow is not hindered and the vacuum cleaner operates. 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performance.

둘째, 소음기 내부의 챔버의 부피, 개방포트의 단면적 및 넥의 길이를 상호 비교하여 조정함으로써, 특정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소음기를 손쉽게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Second, by comparing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hamber inside the silenc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and the length of the neck, it is possible to easily design a silencer that selectively absorbs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셋째, 종래기술에 따르면 흡음재는 저주파수의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데 반하여, 소음기 내부의 챔버의 부피, 개방포트의 단면적 및 넥의 길이를 적절히 설계하여 저주파수의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has the disadvantage of not efficiently absorbing low-frequency noise, whereas it can efficiently absorb low-frequency noise by appropriately designing the volume of the chamber inside the silenc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and the length of the neck. There are also advantages to being ther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커버를 제거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본체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가 결합된 소음기 어셈블리가 장작된 때의 주파수별 소음흡수 정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가 결합된 소음기 어셈블리가 장작된 때 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종래기술과 비교한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다양한 높이별로 나타낸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낸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낸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낸 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낸 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from Figure 1;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ea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coupled;
5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coupled;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ilenc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a silenc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silenc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silenc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silenc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noise absorption for each frequency when the silencer assembly in which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coupled is mounted;
11 is a view comparing noise generated from a vacuum cleaner with the prior art when a silencer assembly in which a silence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silenc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coupled is mounted;
12 is a view showing the silenc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various heights;
13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silencer according to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ilenc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ilenc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ilenc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silenc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silenc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본체(2)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소음기(80)를 둘러싸는 커버를 제거한 후의 청소기 본체(2)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소음기(80)를 둘러싸는 커버를 제거한 후의 청소기 본체(2)의 우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body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body 2 after removing the cover surrounding the silencer 80 in FIG. 1, and FIG. 3 is a silencer ( 80)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leaner body 2 after removing the cover surrounding it.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한다. 본체(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2 . The main body 2 includes a suction part 10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을 기준으로 흡입부(10)가 위치한 일측의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본체(2)를 기준으로, 위쪽을 상방으로 정의하고, 아래쪽을 하방으로 정의한다.A direction on one side where the suction part 10 is located based on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part 10 is defined as a forward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2 shown in FIG. 1, the upper part is defined a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defined as the lower part.

본체(2)는 하우징(3)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The main body 2 is externally formed by the housing 3 .

본체하우징(3)의 전방에는 흡입부(10)가 결합된다. The suction part 1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housing 3.

본체하우징(3)의 일 측에는 배출부(20)가 배치된다. 배출부(20)는 흡입부(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청소기본체(2)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요소이다. 배출부(20)는 본체하우징(3)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배출부(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discharge unit 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housing 3 . The discharge unit 20 is a component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2 . The discharge part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housing 3. The discharge unit 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round an imaginary 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체하우징(3)의 전방에는 먼지통(60)이 결합된다. 본체하우징(3)과 먼지통(60)의 결합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본체하우징(3)과 먼지통(60)은 서로 연통된다.A dust container 6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housing 3. An opening is formed at a joint between the body housing 3 and the dust container 60, and the body housing 3 and the dust container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체하우징(3)의 하부에는 배터리(50)가 결합된다. 배터리(50)는 본체에 전원을 공급한다.A battery 5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housing 3. The battery 50 supplies power to the body.

손잡이(40)의 상단에는 조작부(70)가 배치된다. 조작부(7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조작부(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으로 구성된다.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40, the control unit 70 is disposed. The control unit 7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The control unit 7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buttons.

본체(2)는 흡입모터(미도시), 싸이클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motor (not shown) and a cyclone unit (not shown).

손잡이(4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손잡이(40)는 먼지통(50)을 기준으로 흡입부(10)의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손잡이(40)는 대략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축(A2)을 갖는다. 또한, 손잡이(40)는 상부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handle 40 is a component that enables the user to move the cleaner 1 by gripping it. The handle 4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art 10 based on the dust container 50 . The handle 4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has a longitudinal axis A2. In addition, the handle 40 may be disposed in a form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배터리(50)는 본체(2) 내부에 배치된 흡입모터(미도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배터리(50)는 상측으로는 손잡이(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전방으로는 후술할 먼지통(60)의 외주면의 하부 일부분이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attery 5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power to a suction motor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2 . The battery 50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handle 40 on the upper side, and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bin 6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front.

본체(2)는 유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통(60)을 더 포함한다. 먼지통(60)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2 further includes a dust container 60 for storing dust separated from the introduced air. The dust bin 6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entered on a central axis.

소음기(80)는 청소기 본체(2)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ilencer 80 is a component that absorbs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in air discharged from the cleaner body 2 .

소음기(80)는 청소기 본체(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청소기의 배출부(20)에는 캡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캡은 소음기(80)가 장착되지 않을 경우 배출부(20)에 직접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캡은 소음기(80)가 장착될 경우 소음기(8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소음기(80)는 청소기 본체(2)와 별개로 제작된 후 종래의 청소기 본체(2)에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The silencer 8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cleaner body 2 . Referring to FIGS. 1 and 3 , a cap may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unit 20 of the cleaner. Referring to FIG. 1 , the cap is directly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20 when the silencer 80 is not mounted. Referring to FIG. 3 , the cap may be coupled to the silencer 80 when the silencer 80 is mounted. By having this arrangement, the silencer 80 can be additionally mounted to the conventional cleaner body 2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leaner body 2 .

소음기하우징은 소음기(8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The silencer housing forms the exterior of the silencer 80 and forms a space inside.

소음기하우징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배치된다. 중심축은 배출부(2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중심축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silencer housing is arranged relative to the central axis. The central axis is dispos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20 . That is, referring to FIG. 5 , the central axis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소음기하우징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소음기하우징의 단면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된다. 소음기하우징은 중심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The silencer housing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cross section of the silencer housing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round a central axis. The silencer housing is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이하,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은 소음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의된다.Hereinafter,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muffler.

소음기하우징은 내부에 챔버를 구비한다. 챔버는 구획판(86)에 의하여 적어도 2 이상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챔버는 구획판(86)에 의하여 구획되면서, 부피(X)가 변경된다.The silencer housing has a chamber inside. At least two or more chambers are formed by the partition plate 86. While the chamber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86, the volume X is changed.

소음기하우징은 상판(81), 하판(82), 및 측판(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81)은 소음기하우징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판(82)은 소음기하우징의 하부면에 배치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판(81)과 하판(82)은 서로 마주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측판(83)은 상판(81) 및 하판(82)의 외둘레면에 배치되고, 상하 및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The silencer housing may be composed of an upper plate 81, a lower plate 82, and a side plate 83. The top plate 8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lencer housing and is formed in a disk shape. The lower plate 8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lencer housing and is formed in a disk shape. The upper plate 81 and the lower plate 82 face each other and are disposed in parallel. The side plate 83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plate 81 and the lower plate 82 and extends in the vertic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개방포트(85)는 음파가 통과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개방포트(85)는 소음기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되고, 챔버를 외부공간과 연통시킨다.The open port 85 constitutes a passage through which sound waves pass. An open port 8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ilencer housing and communicates the chamber with the external space.

개방포트(85)는 소음기하우징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개방포트(85)는 측판(83)에 형성된다.An open port 85 is formed in the silencer housing.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port 85 is formed on the side plate 83.

개방포트(85)는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측판(83)의 내측에 위치하는 챔버와 외부공간을 연통시킨다.The open port 85 penetrates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ommunicates a chamber located inside the side plate 83 with an external space.

개방포트(85)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된다. 달리 말해, 도 5를 참조하면 개방포트(85)는 상판(81)보다 하판(82)에 가깝게 배치된다.The open port 85 is disposed upstream relative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 5 , the opening port 85 is disposed closer to the lower plate 82 than to the upper plate 81 .

개방포트(85)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개방포트(85)의 개수는 실시예별로 상이할 수 있다.A plurality of open ports 85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number of open ports 85 may be different for each embodiment.

개방포트(85)의 단면의 형상은 각 실시예별로 상이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opening port 85 may be different for each embodiment.

구획판(86)은 소음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음기하우징의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한다.The partition plate 86 is disposed inside the silencer housing and partitions the silencer housing into at least two chambers.

구획판(86)은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달리 말하면, 구획판(86)은 측판(83)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The partition plate 86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In other words, the partition plate 86 extends radially inward from the side plate 83 .

구획판(86)의 내측단은 프레임(84)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소음기(80)가 프레임(84)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한 구획판(86)의 내측단은 다른 구획판(86)의 내측단에 연결된다.An inn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86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84 . If the silencer 80 does not have the frame 84, the inner end of one partition plate 86 i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other partition plate 86.

구획판(86)의 형상은 각 실시예별로 상이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partition plate 86 may be different for each embodiment.

이하,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 원리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the Helmholtz resonator will be described.

소음기(80)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특정주파수는 헬름홀츠 공명기에서 공진주파수를 의미하며, 이는 챔버의 부피, 개방포트(85)의 단면적, 또는 개방포트(85)에서 챔버의 입구단까지의 거리(넥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The silencer 80 absorbs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in the air, and the specific frequency means a resonant frequency in the Helmholtz resonator, which is the volume of the chamb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85, or the open port ( 85)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distances (neck length) to the inlet end of the chamber.

특정주파수를 결정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The formula for determining the specific frequency is as follow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식의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The variables of the above formula are as follows.

Rf - 특정주파수(Resonant frequency)Rf - Resonant frequency

C - 음파의 속도(Velocity)C - Velocity of a sound wave

D - 개방포트의 단면의 직경(Diameter)D - Diameter of cross section of open port

L - 넥길이(Neck Length)L - Neck Length

V - 챔버의 부피(Volume)V - Volume of the chamber

상술한 변수 중, 개방포트(85) 단면의 직경은 개방포트의 단면적과 관련된다. Among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open port 85 is related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넥길이(Neck Length)는 개방포트(85)에서 챔버의 입구단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The neck length is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open port 85 to the inlet end of the chamber.

챔버의 부피는 구획판(86)에 의하여 구획된 각각의 챔버의 부피이다.The volume of the chamber is the volume of each chamber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86.

즉, 특정주파수는 챔버의 부피가 작아질수록 증가하고, 개방포트(85)의 단면적이 커질수록 증가하고, 넥길이가 감소할수록 증가한다.That is, the specific frequency increases as the volume of the chamber decreases, increases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85 increases, and increases as the neck length decreases.

예를 들어, 챔버의 부피를 크게 하거나, 개방포트(85)의 단면적을 작게 하거나, 넥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낮은 특정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기(80)를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기(80)는 낮은 주파수의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소음기(80)보다 진보된 성능을 나타낸다.For example, the silencer 80 absorbing noise in a specific low frequency region can be designed 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chamber,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85, or lengthening the neck length. Since this silencer 80 efficiently absorbs low-frequency noise, it exhibits more advanced performance than the silencer 80 according to the prior art.

공기중에 포함된 소음 중에서, 특정주파수 영역의 음파는 헬름홀츠 공명기 내부에서 위상이 변경된다. 상기 위상이 변경된 음파는 공기중에 포함된 음파와 상쇄되는 바, 특정주파수 영역의 소음은 제거된다.Among the noise contained in the air, the phase of sound waves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is changed inside the Helmholtz resonator. The phase-changed sound wave cancels out the sound wave included in the air, so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is remov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가 결합된 소음기 어셈블리가 장작된 때의 주파수별 소음흡수 정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와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가 결합된 소음기 어셈블리가 장작된 때 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종래기술과 비교한 도이다.10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the degree of noise absorption for each frequency when a silencer assembly in which a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mounted are mounted, 11 is a diagram comparing noise generated from a vacuum cleaner with the prior art when a silencer assembly in which a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mounted is mounted.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중에 존재하는 소음 중에서, 1kHz~1.4kHz 사이의 주파수를 갖는 음파는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에 의해서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2kHz~2.8kHz 사이의 주파수를 갖는 음파는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에 의해서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it can be seen that among the noise present in the air, sound waves having a frequency between 1 kHz and 1.4 kHz are removed by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sound waves having a frequency between 2.2 kHz and 2.8 kHz are removed by the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80)가 장착시에, 청소기 본체(2)에서 발생하는 소음 중 1kHz~1.4kHz 및 2.2kHz~2.8kHz 영역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종래기술보다 적어진다는 효과가 나타난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silenc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mo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cleaner body 2, the noise generated in the 1kHz to 1.4kHz and 2.2kHz to 2.8kHz band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The effect of losing appears.

일반적으로 핸디 청소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 중 인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는 주로 1kHz~1.4kHz 및 2.2kHz~2.8kHz 영역대에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80)가 장착된 청소기를 작동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의 정도가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general, among the frequencies of noise generated by handheld vacuum cleaners, the frequencie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human body are mainly formed in the 1kHz to 1.4kHz and 2.2kHz to 2.8kHz bands. Th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ilenc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reducing the degree of discomfort felt by the user during operation.

이하, 각 실시예별로 소음기(80)의 형상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hape of the silencer 80 for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를 설명한다.A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에서는, 구획판(86a)이 반경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In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86a extends straight in the radial direction.

프레임(86a)은 챔버의 중앙에 배치되고, 소음기(80a)의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The frame 86a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hamber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80a.

프레임(84a)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84a)은 중심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프레임(84a)의 상단은 상판(81a)에 연결되고, 프레임(84a)의 하단은 하판(82a)에 연결된다. 프레임(84a)의 외둘레면은 챔버의 내둘레면을 형성한다.The frame 84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frame 84a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The upper end of the frame 84a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81a, and the lower end of the frame 84a is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82a.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84a form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mber.

소음기(80a)는 하판(82a)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하판(82a)의 중앙은 외측단부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In the silencer 80a,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82a protrudes upward.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82a is disposed above the outer end.

측판(83a)은 하판(82a)의 외측단보다 외측방에 배치된다. 중심축에서 개방포트(85a)의 상단까지의 최단거리는, 중심축에서 개방포트(85a)의 하단까지의 최단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late 83a is disposed outside the outer end of the lower plate 82a.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to the upper end of the open port 85a may be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to the lower end of the open port 85a.

개방포트(85a)는 측판(83a)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적어도 2 이상 연결된다.At least two open ports 85a are formed on the side plate 83a and are connected to one chamber.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포트(85a)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포트의 단면적(Ya)은 너비(Wa)에 높이(Ha)를 곱한 것과 같다. 하지만 제1실시예에 따른 개방포트(85a)의 단면의 형상은 전술한 바에 한하지 않으며, 개방포트의 단면적(Ya)을 구하는 방법도 상이해질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open port 85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Ya) of the open port is equal to the width (Wa) multiplied by the height (Ha). Howev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pen port 85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method of obtaining the cross-sectional area Ya of the open port may also be different.

개방포트(85a)는 좌우 너비(Wa)가 넓고 상하 높이(Ha)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open port 85a may have a wide left and right width Wa and a short top and bottom height Ha.

넥길이(Za)는 개방포트의 폭(Da)과 동일할 수 있다.The neck length (Za)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Da) of the open port.

개방포트(85a)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개방포트(85a)는 하나의 챔버에 둘 이상 연결되어, 2 이상의 개방포트(85a)에서 음파가 유입되어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A plurality of open ports 85a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wo or more open ports 85a are connected to one chamber, and sound waves are introduced from the two or more open ports 85a to caus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개방포트(85a)가 하나의 챔버에 둘 이상 연결될 때, 적어도 하나의 챔버는 구획판(86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wo or more open ports 85a are connected to one chamber, at least one chambe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artition plate 86a.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판(86a)은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86a)은 반경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The partition plate 86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flat plate. The partition plate 86a extends in a straight line in the radial direc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획판(86a)은 3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챔버가 3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구획판(86a)의 설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ree partition plates 86a may be installed, and accordingly, three chambers may be configur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talled number of partition plates 86a may vary.

도 4 내지 도 6, 도 9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를 설명한다.The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nd FIG. 9 . The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에서는, 구획판(86b)이 반경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소음기(80b)의 내부공간은 제1실시예보다 더 많은 챔버로 구획된다.In the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86b extends straight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inner space of the silencer 80b is partitioned into more chambers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제2실시예에 따른 개방포트(85b)는 측판(83b)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하나의 개방포트(85b)가 연결된다.An open port 85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formed on the side plate 83b, and one open port 85b is connected to one chamber.

개방포트(85b)의 일 단은 한 구획판(86b)의 외측단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방포트(85b)의 타 단은 다른 구획판(86b)의 외측단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One end of the open port 85b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an outer end of one partition plate 86b. The other end of the open port 85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end of the other partition plate 86b.

제2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가 흡수하는 주파수 영역은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b)가 흡수하는 주파수 영역보다 높은 영역일 수 있다.The frequency domain absorbed by the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higher than the frequency domain absorbed by the silencer 80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소음기(80)의 높이는 변경될 수 있다. 도 12a에서의 소음기(80)의 높이는 가장 높고, 도 12c에서의 소음기(80)의 높이는 가장 낮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챔버의 부피(X)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수하는 주파수 영역이 상이해진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한 소음기(80)가 흡수하는 특정주파수는 도 12c에 도시한 소음기(80)가 흡수하는 특정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영역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height of the silencer 80 may be changed. The height of the silencer 80 in FIG. 12A is the highest, and the height of the silencer 80 in FIG. 12C is the lowest. By having such an arrangement, the volume (X) of the chamber can be designed differently, and accordingly, the frequency range for absorption is different. For example, the specific frequency absorbed by the silencer 80 shown in FIG. 12A may be in a lower frequency region than the specific frequency absorbed by the silencer 80 shown in FIG. 12C.

도 13a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c)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c)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c)를 설명한다.A silencer 80c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A. The silencer 8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silencer 8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c)에서는, 구획판(86c)이 곡면을 갖도록 연장된다. 구획판(86c)은 소음기(80c)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원주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한다.In the silencer 8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86c extends to have a curved surface. The partition plate 86c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80c and includes a convex curved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3a를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c)는 4개의 구획판(86c)을 포함하고, 4개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A , the silencer 80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four partition plates 86c and four chambers.

개방포트(85b)는 구획판(86c)의 외측단에 점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개방포트(85b)는 구획판(86c)의 오목면의 외측단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에 유입된 음파는 구획판(86c)의 오목면을 따라 확산될 수 있다.The open port 85b may be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86c. More specifically, the open port 85b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end of the concave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86c. Thus, sound wave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can be diffused along the concave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86c.

구획판(86c)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도 13a을 예로 들면, 구획판(86c)은 반시계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각 챔버의 부피(Xc)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86c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m a convex curved surface along either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aking Fig. 13A as an example, the partition plate 86c forms a convex curved surfac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having this arrangement, the volumes Xc of each chamber can all be the same.

도 13b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는 전술한 제1실시(80a)예에 따른 소음기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c)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다른 소음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를 설명한다.A silencer 80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B.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c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80a to the third embodiment. Hereinafter,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mentioned other silencers.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에서는, 구획판(86d)이 곡면을 갖도록 연장되고, 소음기(80d)의 내부공간은 제3실시예보다 더 많은 챔버로 구획된다.In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86d is extended to have a curved surf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silencer 80d is partitioned into more chambers than in the third embodiment.

개방포트(85d)는 측판(83d)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하나의 개방포트(85d)가 연결될 수 있다.The open port 85d is formed on the side plate 83d, and one open port 85d may be connected to one chamber.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가 흡수하는 주파수 영역은 제3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가 흡수하는 주파수 영역보다 높은 주파수 영역일 수 있다.The frequency domain absorbed by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a higher frequency domain than the frequency domain absorbed by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4을 참조하여 제5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e)를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e)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5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e)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4, a silencer 80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ilencer 80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silencer 80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5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e)에서는, 원주방향으로 구획판이 돌출되어, 챔버의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챔버는 미로 구조(labyrinthine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silencer 80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protru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chamber can be deformed. More specifically, the chamber may be formed in a labyrinthine structure.

제5실시예에 따르면, 구획판은 제1구획판(86e) 내지 제3구획판(88e)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partition plate includes a first partition plate 86e to a third partition plate 88e.

제1구획판(86e)은 소음기(80e)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The first partition plate 86e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80e.

제1구획판(86e)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반경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딜리 제1구획판(86e)은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도 있다.The first partition plate 86e may extend flatly in the radial direction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Alternatively, the first partition plate 86e may be extended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제2구획판(87e)은 제1구획판(86e)에서 돌출되고, 일 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4를 예로 들면, 제2구획판(87e)은 시계방향(CW)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protrudes from the first partition plate 86e and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Taking FIG. 14 as an example, 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may extend in a clockwise direction (CW).

제3구획판(88e)은 제1구획판(86e)에서 제2구획판(87e)이 연장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타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4를 예로 들면, 제3구획판(88e)은 반시계방향(CCW)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partition plate 88e protrudes from the first partition plate 86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ension of 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and extends in the other circumferential direction. Taking FIG. 14 as an example, the third partition plate 88e may exten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CCW).

제2구획판(87e)과 제3구획판(88e)은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and the third partition plate 88e may overlap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제2구획판(87e)은 제3구획판(88e)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may be disposed radially inward from the third partition plate 88e.

개방포트(85e)는 제1구획판(86e)의 외측단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개방포트(85e)는 제2구획판(87e)과 중첩되되, 제3구획판(88e)과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개방포트(85e)는 제3구획판(88e)과 중첩되되, 제2구획판(87e)과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The open port 85e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an outer end of the first partition plate 86e. In this case, the opening port 85e may overlap 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but may not overlap the third partition plate 88e in the radial direction. Conversely, the open port 85e may overlap with the third partition plate 88e, but may not overlap with 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제5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e)는 제2구획판(87e) 및 제3구획판(88e)으로 인하여 챔버의 구조가 달라지고,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의 챔버와 상이한 특정주파수 영역대를 가질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chamber of the silencer 80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different due to the second partition plate 87e and the third partition plate 88e, and is different from the chamber of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t can have a frequency domain.

도 15을 참조하여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를 설명한다.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d)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5, a silencer 80f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에서는, 측판이 내측판(84f)과 외측판(83f)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넥길이(Zf)가 변경될 수 있다.In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side plate may be composed of an inner plate 84f and an outer plate 83f. Accordingly, the neck length Zf may be changed.

외측판(83f)은 상판(81f)의 외측단에서 하판(82f)을 향해 연장된다. 내측판(84f)은 하판(82f)의 외측단에서 상판(81f)을 향해 연장되고, 외측판(83f)의 내측에 배치된다.The outer plate 83f extends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81f toward the lower plate 82f. The inner plate 84f extends from the outer end of the lower plate 82f toward the upper plate 81f and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plate 83f.

외측판(83f)은 하판(82f)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와 달리, 내측판(84f)은 상판(81f)을 향해 연장되되, 내측방으로 삽입되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판(84f)의 상단은 내측판(84f)의 하단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또한, 내측판(84f)의 상단과 외측판(83f) 사이의 수평거리는, 내측판(84f)과 외측판(83f)의 하단 사이의 수평거리보다 길다.The outer plate 83f extends vertically toward the lower plate 82f. Alternatively, the inner plate 84f extends toward the top plate 81f and may be inserted and extended toward the inner side.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84f is disposed inward than the lower end of the inner plate 84f. Further,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84f and the outer plate 83f is long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inner plate 84f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83f.

내측판(84f)은 상판(81f)을 향해 연장되되,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다.The inner plate 84f extends toward the top plate 81f and may extend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외측판(83f)은 하판(82f)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내측판(84f)은 상판(81f)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음파는 외측판(83f)의 하단과 하판(82f)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고, 상방으로 이동한다. 음파는 내측판(84f)의 상단과 상판(81f) 사이의 틈을 통하여 챔버로 유입된다.The outer plate 83f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82f, and the inner plate 84f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81f. Sound waves flow into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83f and the lower plate 82f, and travel upward. Sound waves ar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84f and the upper plate 81f.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는 프레임(84f)을 포함한다. 프레임(84f)은 중심축상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판(81f)에 연결되고, 하판(82f)이 하단에 연결된다.A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frame 84f. The frame 84f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81f, and the lower plate 82f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소음기(80f)는 구획판(87f)을 적어도 2 이상 포함하고, 개방포트(85f)는 하나의 구획판(87f)에서부터 다른 하나의 구획판(87f)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개방포트(85f)의 단면적(Yf)은 하나의 구획판(87f) - 하판(82f)의 외측단 - 다른 하나의 구획판(87f) - 외측판(83f)의 하단 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일 수 있다.The silencer 80f includes at least two partition plates 87f, and an open port 85f extends from one partition plate 87f to the other partition plate 87f. 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area Yf of the open port 85f is the area formed by one partition plate 87f - the outer end of the lower plate 82f - the other partition plate 87f - the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83f can be

제6실시예에 따른 구획판(87f)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반경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딜리 구획판(87f)은 제3실시예와 유사하게 곡면을 형성하며 연장될 수도 있다.The partition plate 87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can extend flatly in the radial direction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Alternatively, this and the dilly partition plate 87f may be extended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의 넥길이(Zf)는 외측판(83f)의 하단에서 내측판(84f)의 상단까지의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의 넥길이(Zf)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넥길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의 다른 소음기보다 낮은 특정주파수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The neck length Zf of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can be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83f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84f. Accordingly, the neck length Zf of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may be set longer than the neck length of the silenc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bsorb noise of a lower specific frequency than other silencers under the same conditions.

도 16을 참조하여 제7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g)를 설명한다. 제7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g)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7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g)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6, a silencer 80g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ilencer 80g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silencer 80g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제7실시예에 따른 개방포트(85g)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개방포트(85g)는 원주방향 너비(Wg)가 소음기(80g)의 중심축방향의 높이(Hg)보다 좁게 형성된다.The open port 85g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open port 85g has a width W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narrower than a height Hg in the central axial direction of the silencer 80g.

개방포트(85g)의 상단은 상판(81g)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개방포트(85g)의 하단은 하판(82g)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An upper end of the open port 85g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plate 81g, and a lower end of the open port 85g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plate 82g.

도 17을 참조하여 제8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h)를 설명한다. 제8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h)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8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h)를 설명한다.A silencer 80h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 The silencer 80h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silencer 80h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개방포트(85h)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원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방포트(85h)는 상판(81h)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판(82g)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방포트(85h)와 상판(81h) 사이의 거리는 개방포트(85h)와 하판(82g)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port 85h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ircle in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open port 85h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81h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82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 port 85h and the upper plate 81h may be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 port 85h and the lower plate 82g.

도 18을 참조하여 제9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i)를 설명한다. 제9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i)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와 저촉되지 않는 한 원용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a)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f)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9실시예에 따른 소음기(80i)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8, a silencer 80i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ilencer 80i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ereinafter, the silencer 80i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silencer 8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o the silencer 80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제9실시예에 따르면, 소음기(80i)는 별도의 개방포트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소음기(80i)의 일 측 벽을 메시구조로 형성하여, 음파를 통과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the silencer 80i may not have a separate open port. Instead, one side wall of the silencer 80i may be formed in a mesh structure to allow sound waves to pass through.

측판(84i)은 외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메시구조가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측판(84i)에는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late 84i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mesh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s formed on at least one part. A plurality of fine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plate 84i.

도 18a를 참조하면, 메시구조는 측판(84i)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시구조는 하판(82i)에 인접하되, 상판(81i)과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A , a mesh structure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side plate 84i. In this case, the mesh structure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lower plate 82i but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81i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도 18a에 도시한 소음기(80i)와 달리, 도 18b를 참조하면, 메시구조는 측판(84i)의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Unlike the silencer 80i shown in FIG. 18A, referring to FIG. 18B, the mesh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ide plate 84i.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80)는 내부에 챔버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소음기(80)는 하우징에 형성되고, 챔버를 외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개방포트(85)를 포함한다. 또한, 소음기(80)는 하우징의 측벽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87)을 포함한다. The silenc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chamber therein. In addition, the silencer 80 is formed on the housing and includes an open port 85 communicating the chamber with an external space. In addition, the silencer 80 extends radially inward from the sidewall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 partition plate 87 divid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chambers.

소음기(80)는 하우징의 외둘레면을 유동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한다. 소음기(80)가 흡수하는 소음의 주파수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 원리에 따른다. 보다 상세하게, 소음기(80)에서 흡수하는 소음의 주파수 영역은 챔버의 부피(X), 개방포트의 단면적(Y) 또는 개방포트에서 챔버의 입구단까지의 거리(Z,넥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The silencer 80 absorbs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from air flow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he frequency of noise absorbed by the silencer 80 follows the Helmholtz resonator principle. More specifically, the frequency range of the noise absorbed by the silencer 80 is determined by the volume of the chamber (X),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Y), or the distance from the open port to the inlet end of the chamber (Z, neck length) do.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소음기(80)가 청소기에 설치됨으로써, 흡음재에 의한 유로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청소기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흡음재가 흡수하기 힘든 낮은 주파수의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silencer 80 is installed in the vacuum cleaner, flow resistance due to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does not occur and the performance of the cleaner does not deteriorate, and low frequency noise that is difficult to be absorb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can be removed. ha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청소기 2: 청소기 본체
3: 본체하우징
10: 흡입부 20: 배출부
30: 손잡이 40: 배터리
50: 먼지통 60: 필터
70: 조작부 80: 소음기
80a: 소음기 81a: 상판
82a: 하판 83a: 측판
84a: 프레임 85a: 개방포트
86a: 구획판
80b: 소음기 81b: 상판
82b: 하판 83b: 측판
84b: 프레임 85b: 개방포트
86b: 구획판
80c: 소음기 81c: 상판
82c: 하판 83c: 측판
85c: 개방포트 86c: 구획판
80d: 소음기 81d: 상판
82d: 하판 83d: 측판
85d: 개방포트 86d: 구획판
80e: 소음기 81e: 상판
82e: 하판 83e: 측판
84e: 프레임 85e: 개방포트
86e: 제1구획판 87e: 제2구획판
88e: 제3구획판
80f: 소음기 81f: 상판
82f: 하판 83f: 외측판
84f: 내측판 85f: 프레임
86f: 개방포트 87f: 구획판
80g: 소음기 81g: 상판
82g: 하판 83g: 측판
84g: 프레임 85g: 개방포트
86g: 구획판
80h: 소음기 81h: 상판
82h: 하판 83h: 측판
84h: 프레임 85h: 개방포트
86h: 구획판
80i: 소음기 81i: 상판
82i: 하판 83i: 측판
84i: 프레임 85i: 개방포트
86i: 구획판
A1: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 A2: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
A3: 소음기의 중심축
X: 챔버의 부피 Y: 개방포트의 단면적 Z: 넥(neck) 길이
W: 너비(width) D: 폭(depth) H: 높이(height)
1: cleaner 2: cleaner body
3: body housing
10: suction part 20: discharge part
30: handle 40: battery
50: dust bin 60: filter
70: control panel 80: silencer
80a: Silencer 81a: Top plate
82a: lower plate 83a: side plate
84a: frame 85a: open port
86a: partition plate
80b: silencer 81b: top plate
82b: lower plate 83b: side plate
84b: frame 85b: open port
86b: partition plate
80c: Silencer 81c: Top plate
82c: lower plate 83c: side plate
85c: open port 86c: partition plate
80d: silencer 81d: top plate
82d: lower plate 83d: side plate
85d: open port 86d: partition plate
80e: Silencer 81e: Top plate
82e: lower plate 83e: side plate
84e: frame 85e: open port
86e: first partition plate 87e: second partition plate
88e: third partition plate
80f: Silencer 81f: Top plate
82f: lower plate 83f: outer plate
84f: inner plate 85f: frame
86f: open port 87f: partition plate
80g: silencer 81g: top plate
82g: lower plate 83g: side plate
84g: frame 85g: open port
86g: partition plate
80h: silencer 81h: top plate
82h: lower plate 83h: side plate
84h: frame 85h: open port
86h: partition plate
80i: silencer 81i: top plate
82i: lower plate 83i: side plate
84i: frame 85i: open port
86i: partition plate
A1: Longitudinal axis of suction part A2: Longitudinal axis of handle
A3: central axis of silencer
X: volume of chamber Y: cross-sectional area of open port Z: length of neck
W: width D: depth H: height

Claims (19)

배출부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배출부에 배치되고, 배출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챔버를 구비하는 소음기하우징;
상기 소음기하우징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를 외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개방포트;
상기 소음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Body housing having a discharge unit;
A silencer disposed in the discharge unit and absorbing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in the discharged air;
the silencer,
A silencer housing arranged on the basis of a central axis and having a chamber therein;
an open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silencer housing and communicating the chamber with an external space;
A cleaner comprising: a partit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silencer housing and partition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cham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는,
상기 챔버의 부피, 상기 개방포트의 단면적, 또는 상기 개방포트에서 상기 챔버의 입구단까지의 거리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결정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frequency,
The vacuum cleaner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the volume of the chamb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 port, and the distance from the open port to the inlet end of th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챔버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소음기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판은 상기 프레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lencer,
A fram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hamber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includes,
The partition plate extends radially outward from the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하판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3,
the silencer,
A vacuum clean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rotrudes upw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포트는,
측판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적어도 2 이상 연결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4,
The open port,
A vacuum cleaner formed on a side plate and connected to at least two chamb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포트는,
측판에 형성되고, 하나의 챔버에 하나가 연결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4,
The open port,
A vacuum cleaner formed on a side plate and connected to one cha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소음기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되,
원주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plate,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onvex curved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7,
The partition plate,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vacuum cleaner that forms a convex curved surface along either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소음기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구획판;
상기 제1구획판에서 돌출되고, 일 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구획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artition plate,
a first partition plate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ilencer;
A cleaner comprising: a second partition plate protruding from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제1구획판에서 상기 제2구획판이 연장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고, 타 측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구획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9,
The partition plate,
and a third partition plate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partition plate in an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second partition plate extends and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판의 외측단에서 하판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판;
상기 하판의 외측단에서 상기 상판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외측판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lencer,
an outer plate extending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plate toward the lower plate;
A cleaner comprising: an inner plate extending from an outer end of the lower plate toward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inside the outer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은 상기 하판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내측판은 상기 상판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outer plate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The inner plate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pl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구획판을 적어도 2 이상 포함하고,
상기 개방포트는 상기 하나의 구획판에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구획판까지 연장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silencer includes at least two partition plates,
The opening port extends from the one partition plate to the other partit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포트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port,
A vacuum cleaner with a polygonal cross section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포트는,
원주방향의 너비가 상기 소음기의 중심축 방향의 높이보다 좁은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4,
The open port,
A vacuum cleaner having a width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narrower than a height in a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muff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포트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바라볼 때 단면이 원에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pen port,
A vacuum cleaner whos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circl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는,
상기 소음 중 제1주파수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제1소음기; 및 상기 소음 중 제2주파수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제2소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소음기와 상기 제2소음기는 중심축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lencer,
a first silencer for absorbing noise in a first frequency range among the noise; And a second silencer for absorbing noise in a second frequency region among the noise;
The first silencer and the second silencer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entral axis direction.
배출부를 구비하는 본체하우징;
상기 배출부에 배치되고, 배출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챔버를 구비하는 소음기하우징; 및
상기 소음기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은,
외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메시구조가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Body housing having a discharge unit;
A silencer disposed in the discharge unit and absorbing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in the discharged air;
the silencer,
A silencer housing arranged on the basis of a central axis and having a chamber therein; and
A partit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silencer housing and partition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parts,
The silencer housing,
A cleaner comprising: a side plat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mesh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thereof.
내부에 챔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를 외부공간과 연통시키는 개방포트;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챔버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둘레면을 유동하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소음 중 특정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기.
a housing having a chamber therein;
an open port formed in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the chamber with an external space;
A partition plate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sidewall of the housing and partitioning the chamber into at least two parts;
A silencer for absorbing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noises generated from air flowing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KR1020210070270A 2021-05-31 2021-05-31 cleaner KR202201619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70A KR20220161930A (en) 2021-05-31 2021-05-31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70A KR20220161930A (en) 2021-05-31 2021-05-31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30A true KR20220161930A (en) 2022-12-07

Family

ID=8444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70A KR20220161930A (en) 2021-05-31 2021-05-31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93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509A (en) 2018-09-14 202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509A (en) 2018-09-14 2020-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07268B2 (en) A silencer for a suction cleaner
US20170265701A1 (en) Robot cleaner
US7690077B2 (en) Central vacuum units with an acoustic damping pathway
CN111835130B (en) Motor element and cleaning equipment
JP2011160828A (en) Cyclone separator device and electric cleaner
US20160113459A1 (en) Dust-container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0809738B1 (en) Vacuum cleaner
JP535073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6131879A (en) Electrically operated vacuum cleaner
US11006800B2 (en) Robot cleaner
KR20220161930A (en) cleaner
KR20150129562A (en) Vacuum cleaner
KR102309309B1 (en) Cleaning Appliance
JP2009504235A (en) Vacuum cleaner filter mounting structure
EP1952742A2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JPH10211128A (en) Vacuum cleaner
KR20050026166A (en) Vacuum cleaner
KR20030065615A (en) Filter supporting structure of an upright-type vacuum cleaner
KR20150002179A (en) Air flow path structure to improve noise reduction and suction through generate liminar and Cleaner comprising the same
WO2016148597A1 (en) Vacuum cleaner with a closed-loop cleaning cycle
CN218185667U (en) High-speed electric hair drier with noise reduction function
JP6401971B2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KR100437370B1 (en) A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JP4072494B2 (en) Air cleaner
JP6709830B2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