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818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818A
KR20220161818A KR1020210070033A KR20210070033A KR20220161818A KR 20220161818 A KR20220161818 A KR 20220161818A KR 1020210070033 A KR1020210070033 A KR 1020210070033A KR 20210070033 A KR20210070033 A KR 20210070033A KR 20220161818 A KR20220161818 A KR 2022016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unit
volt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우
이의현
윤연순
Original Assignee
㈜비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씨전자 filed Critical ㈜비씨전자
Priority to KR102021007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818A/en
Publication of KR2022016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comprises: a rechargeable battery unit; a battery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a preset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it. The control unit checks a voltage of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unit, compares a preset charging voltage with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charges the battery unit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charging voltage.

Description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기술과 관련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uxiliary battery charge control technology.

배터리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 내지 무선 전자 장치가 시장에 등장하였다. 나아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이에, 수많은 보조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battery technology,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wireless electronic devices have appeared in the market. Furthermore, the auxiliary battery market for charging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is also growing. Accordingly, numerous auxiliary batteries are being used.

이러한 보조 배터리는 전용 아답터를 이용하여 충전해야 하며, 이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의 충전 전류 과다로 아답터가 소손되거나 충전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보조 배터리는 충전되는 전류가 정해져 있어 입력 케이블의 허용 전류가 미달하게 되면 입력 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Such an auxiliary battery must be charged using a dedicated adapter, and if this is not used, the adapter may be damaged or unable to be charged due to excessive charging current of the auxiliary battery.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battery has a predetermined charging current, a fire may occur in the input cable when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input cable is insufficient.

따라서, 어떠한 전원에도 보조 배터리가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을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charging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charged with any power sour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08345호 (2017.02.14.)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08345 (2017.02.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의 특성을 확인하여 보조 배터리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조정하고, 조정된 충전 전류로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a power source, adjust a charging current output to an auxiliary battery, and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with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가능한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기 설정된 충전 전압에 따라 배터리부를 충전하도록 상기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의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과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hargeable battery unit, a battery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s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unit, compares the preset charging voltage and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charging voltage,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is provid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면서 상기 조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도록 상기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easures a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while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and sets a maximum current that can be charged in the battery unit to the charging current based on the measured voltage drop, The battery charg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charge the battery unit by outputting the set charging curr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 period in which the measured voltage drop nonlinearly increases, and set a maximum current in a period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ly increasing period as the charging curr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되,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이 이전의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과 다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재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with the set charging current, calculates a period in which the measured voltage drop nonlinearly increases at each predetermined time, and calculates a period in which the calculated nonlinear increase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curr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nlinearly increasing section, the maximum current in the section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ly increasing section may be reset to the charging curr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설정된 충전 전류와 이전 충전 전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reset charging current with the previous charging current and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re is a differe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tandard.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가능한 배터리부로부터 기 설정된 충전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의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과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ing a predetermined charging voltage from a rechargeable battery unit, checking a voltage of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unit, and measur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redetermined charging voltage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comparing voltages and charging the battery unit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charging voltage.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면서 상기 조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를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arging the battery unit includes measuring a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while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and calculating a maximum current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unit based on the measured voltage drop as the charging current. and charging the battery unit with the set charging current.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etting the charging current as the charging current includes calculating a section in which the measured voltage drop nonlinearly increases and setting the maximum current in a section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ly increasing section as the charging current. can include mo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원의 특성을 확인하여 보조 배터리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조정하고, 조정된 충전 전류로 보조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어떠한 전원에서도 안정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입력 케이블 또는 아답터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hec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ource,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utput to the auxiliary battery, and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with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it can be stably charged in any power source, and the input cable or It can prevent the adapter from fi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충전 전류에 따라 측정된 충전 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충전 전압의 비선형 구간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harging voltage measur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ur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raph showing a non-linear section of the charging vol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s that follow are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n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singular forms of expression include plural forms.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any characteristic,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ortion or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ny other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부(110), 배터리 충전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부(110)를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보조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unit 110, a battery charging unit 120, an input unit 130, an output unit 140, and a control unit ( 150) may be included. The auxiliary battery charge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type of auxiliary battery including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0 .

배터리부(110)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소정의 배터리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부(110)는 입력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부(110)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의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외장형 배터리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는 제조시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충전 가능한 용량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충전 용량, 기 설정된 충전 용량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충전 전압 또는 기 설정된 충전 전류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가 가지는 정보(배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battery unit 110 may have a predetermined battery capacity capable of charging power. The battery unit 110 may charge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130 . The battery unit 110 may include both a built-in battery that may be included inside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00 and an external battery that may be connected from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00 . Meanwhile, the battery may have a preset charge capacity indicating a chargeable capacity already set during manufacture, a preset charge voltage or a preset charg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preset charge capacity,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00 may acquire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of the battery.

배터리 충전부(120)는 배터리부(11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충전 전류를 배터리부(110)로 출력하여 배터리부(110)가 전원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The battery charger 120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unit 110 . The battery charging unit 120 may output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battery unit 110 charges the power.

입력부(130)는 배터리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외부 전원)을 배터리부(110)로 공급하는 입력 케이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AC/DC 전환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may supply power to the battery unit 110 .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n input cable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external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battery unit 110 . In addition,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n AC/DC converter (not shown) capable of converting commercial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C power.

출력부(140)는 입력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제거되고, 충전된 배터리부(110)를 사용할 경우 지속적으로 전압과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연결된 전자 장치(예를 들어, 노트북, 휴대폰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can continuously supply voltage and current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unit 130 is removed and the charged battery unit 110 is used. The output unit 140 may supply power to a connected electronic device (eg, a laptop computer, a mobile phone, etc.).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의 기 설정된 충전 전압에 따라 배터리부(110)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외부 전원)의 전압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충전 전압과 외부 전원의 전압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비교 결과, 확인된 외부 전원의 전압이 기 설정된 충전 전압 이하인 경우, 배터리부(110)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확인된 외부 전원의 전압이 기 설정된 충전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부(110)가 충전되지 않도록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battery charger 120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according to a preset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it 110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may check the voltage of power (external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compare the preset charging voltage with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battery charging unit 120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when the checked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charging volta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battery charging unit 120 so that the battery unit 110 is not charged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that is checked exceeds a preset charging voltage.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고, 배터리 충전부(120)가 조정된 충전 전류를 갖는 전원을 출력하여 배터리부(110)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의 비선형 구간(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선형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배터리부(110)에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정된 최대 전류로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고, 조정된 충전 전류를 갖도록 전원을 출력하여 배터리부(110)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adjusts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and the battery charging unit 120 outputs power having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120) can be controlle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calculates a non-linear section (a section where the non-linear increase occurs) of the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and calculates the maximum current in the section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 section of the battery. The maximum current that can be charged in the unit 110 can be set.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battery charging unit 120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by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to the set maximum current and outputting power to have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도 2는 본 발명에서 충전 전류에 따라 측정된 충전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harging voltage measured according to a charging cur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를 0A ~ 8A로 조정하면서 충전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 때,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산출할 수 있으며, 하기 수식을 이용하여 충전 전류에 따른 입력부(130)의 입력 케이블의 선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In FIG. 2 , the charging voltage was measured while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to 0A to 8A. At this time, the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urrent may be calculated, and the line resistance of the input cable of the input unit 130 according to the charging current may be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수식] [Equation]

선 저항 = (전원 전압 - 충전 전압) / 충전 전류Line Resistance = (Supply Voltage - Charge Voltage) / Charge Current

즉,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는 경우, 1A ~ 5A 까지는 입력 케이블의 선 저항이 0.1Ω으로 일정하나 6A부터 입력 케이블의 선 저항이 증가(비선형 구간)하게 된다. 이 때, 입력 케이블의 선 저항이 증가하는 것은 입력 케이블에 허용 전류(충전 전류)가 초과된 경우 또는 외부 전원(또는 아답터)의 허용전력을 초과한 경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충전 전압의 비선형 구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선 저항이 증가하는 구간(A)에서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입력 케이블의 선(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주울(Joule)의 법칙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과전류에 의하여 발열(發熱)과 방열(放熱)의 평형도가 넘어가면 주울(Joule) 열에 의해 선의 저항 값은 커지기 시작하며 이 선의 저항 값이 커지면 주울 열은 더욱더 상승하여 열폭주 현상으로 인해 충전 전압의 비선형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That is, when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the line resistance of the input cable is constant at 0.1Ω from 1A to 5A, but the line resistance of the input cable increases (nonlinear section) from 6A. At this time, the increase in line resistance of the input cable may be when the allowable current (charging current) of the input cable is exceeded or the allowable power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or adapter) is exceeded. 3 is a graph showing a non-linear section of a charging vol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drop increases nonlinearly in the section A where the line resistance increases. That is,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input cable line, heat is generated according to Joule's law. The resistance value of the line starts to increase, and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is line increases, the Joule heat rises further and a non-linear section of the charging voltage occurs due to the thermal runaway phenomen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의 비선형 구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선형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5A)를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로 조정함으로써, 어떠한 전원에서도 안정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입력 케이블 또는 아답터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non-linear section of the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and calculates the maximum value in the section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 section. By adjusting the current 5A to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it can be stably charged in any power source, and fire of the input cable or adapter can be prevent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를 설정하여 배터리부(110)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마다 비선형 구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산출된 비선형 구간이 이전의 비선형 구간과 다른 것으로 확인되면, 산출된 비선형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배터리부(110)에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충전 전류)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재설정된 최대 전류와 이전 최대 전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알림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즉, 입력 케이블의 선 또는 콘넥터의 노후화 또는 접촉불량 등의 이유로 입력 케이블의 허용 전류가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충전 전류로 인하여 주울 열에 의한 열폭주 현상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 전압의 비선형 구간을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케이블의 허용 전류가 감소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림으로써,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controller 150 may calculate a non-linear section for each preset time while controlling the battery charger 120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by setting a maximum chargeable curre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lculated nonlinear sec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nlinear section, the controller 150 may reset the maximum current in the section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 section to the maximum current (charging current) that can be charged in the battery unit 110. hav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50 may compare the reset maximum current with the previous maximum current and notify the user through a notification unit (not shown) when there is a difference of more than a preset standard. That is, even when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input cable is reduced due to deterioration or poor contact of the input cable line or connector, the charging voltage Non-linear intervals can be checked periodically. In addition, when the allowable current of the input cable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from occurring in advance by notifying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n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flowchart, the metho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but at least some of the steps are performed in reverse order, combined with other steps, performed together, omitted, divided into detailed steps, or not shown. One or more steps may be added and performed.

단계 401에서, 제어부(15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부(110)로부터 기 설정된 충전 전압을 확인한다.In step 401, the controller 150 checks a preset charging voltage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unit 110.

단계 402에서,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확인한다.In step 402 , the controller 150 checks the voltage of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

단계 403에서,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충전 전압과 전원의 전압을 비교한다.In step 403, the controller 150 compares the preset charging voltage with th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단계 404에서, 제어부(150)는 비교 결과, 전원의 전압이 기 설정된 충전 전압 이하인 경우,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하여 배터리부(110)를 충전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의 비선형 구간(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선형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배터리부(110)에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정된 최대 전류로 배터리부(110)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고, 조정된 충전 전류를 갖도록 전원을 출력하여 배터리부(110)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In step 404,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battery charging unit 120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when the voltage of the power sour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charging volta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0 calculates a non-linear section (a section where the nonlinear increase occurs) of the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and calculates the maximum current in the section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 section of the battery. The maximum current that can be charged in the unit 110 can be set.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battery charging unit 120 to charge the battery unit 110 by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110 to the set maximum current and outputting power to have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100)는 전원의 특성을 확인하여 보조 배터리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조정하고, 조정된 충전 전류로 보조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어떠한 전원에서도 안정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입력 케이블 또는 아답터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ource, adjusts the charging current output to the auxiliary battery, and charges the auxiliary battery with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so that any power can be used. It can be recharged stably, and fire of the input cable or adapter can be prevented.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10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ther than those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제어부(150)일 수 있다.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10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2 . In one embodiment, computing device 12 may be controller 150 .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Computing device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4 ,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and a communication bus 18 . Processor 14 may cause computing device 12 to operat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 embodiments. For example, processor 14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 The one or more programs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processor 14 are configured to cause computing device 12 to perform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an illustrative embodiment. It can be.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is configured to st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or other suitable form of information. Program 20 stored 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processor 14 . In one embodi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optical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ther forms of storag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computing device 12 and store desired information, or any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Communications bus 18 interconnects various other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12, including processor 14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6.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Computing device 12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output interfaces 22 and one or mor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26 that provide interfaces for one or more input/output devices 24 . An input/output interface 22 and a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26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18 . Input/output device 24 may be coupled to other components of computing device 12 via input/output interface 22 . Exemplary input/output devices 24 include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or trackpad), a keyboard, a touch input device (such as a touchpad or touchscreen), a voice or sound input device, various types of sensor devices, and/or a photographing device. input devices, and/or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printers, speakers, and/or network cards. The exemplary input/output device 24 may be included inside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uting device 12, or may be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computing device 12. may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0 :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110 : 배터리부
120 : 배터리 충전부
130 : 입력부
140 : 출력부
150 : 제어부
100: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110: battery unit
120: battery charging unit
130: input unit
140: output unit
150: control unit

Claims (8)

충전가능한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부의 기 설정된 충전 전압에 따라 배터리부를 충전하도록 상기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의 전압을 확인하고,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과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도록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a rechargeable battery unit;
a battery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unit,
The control unit,
Checking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charge the battery unit, comparing the preset charging voltage and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charging voltage,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 second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면서 상기 조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도록 상기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ile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a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is measured, a maximum current capable of being charged in the battery unit is set as the charging current based on the measured voltage drop, and the set charging current is set.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by outputting curr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a period in which the measured voltage drop nonlinearly increases, and setting a maximum current in a period excluding the calculated nonlinearly increasing period as the charging curren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되,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이 이전의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과 다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재설정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battery charging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with the set charging current,
A period in which the measured voltage drop nonlinearly increases is calculated for each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lculated nonlinearly increasing period is different from a previous nonlinearly increasing period, the calculated nonlinearly increasing period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for resetting the maximum current in a section other than a section increasing to the charging curren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설정된 충전 전류와 이전 충전 전류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An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that compares the reset charging current with the previous charging current and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re is a difference of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충전가능한 배터리부로부터 기 설정된 충전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의 전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과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상기 기 설정된 충전 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Checking a preset charging voltage from a rechargeable battery unit;
Checking a voltage of an external power supply to charge the battery unit;
comparing the preset charging voltage with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and charging the battery unit when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charging voltag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전류를 조정하면서 상기 조정된 충전 전류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 가능한 최대 전류를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harging the battery unit,
measuring a voltage drop generated according to the adjusted charging current while adjusting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unit;
setting a maximum current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unit as a charging current based on the measured voltage drop; and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charging the battery unit with the set charging curren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전압 강하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서의 최대 전류를 상기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setting the charging current,
calculating a period in which the measured voltage drop nonlinearly increases; and
The auxiliary battery charg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setting a maximum current in a section other than the calculated nonlinearly increasing section as the charging current.
KR1020210070033A 2021-05-31 2021-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 KR202201618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33A KR20220161818A (en) 2021-05-31 2021-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33A KR20220161818A (en) 2021-05-31 2021-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18A true KR20220161818A (en) 2022-12-07

Family

ID=8444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033A KR20220161818A (en) 2021-05-31 2021-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ciliary battery char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8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45B1 (en) 2010-07-23 2017-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45B1 (en) 2010-07-23 2017-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3443B1 (en) Charge limit selection for variable power supply configuration
US9887571B1 (en) Combining power from an internal battery and an external power storage adapter
US10978896B2 (en) High efficiency power storage adapter
US8125190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TWI445277B (en) A charging system, a charging method,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0642333B2 (en) Power storage adapter for efficient supply of power of multiple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US10181731B1 (en) Combining power from a battery and an AC-DC converter of a power storage adapter
US9698618B2 (en) Energy storage charging from an adjustable power source
US9136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harge battery of mobile device
US20150077058A1 (en) Charging method of battery and battery charging system
EP1225674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50130417A1 (en) Method of charging battery and battery charging system
US20180321730A1 (en) Methods for adaptive battery charg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601238B2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control circuit thereof and charging control method
EP3518380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JP20165313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urrent limit value
US10928880B2 (en) Power storage adapter for communicating battery data with a porta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S20150002082A1 (en) Energy storage charging from an adjustable power source
US10122193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current thereof
US20140225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n energy sour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5552761A (en) Adaptive power systems and techniques
US9929582B2 (en) Adaptive charge current for a battery
KR101192010B1 (en) System for controlling charging of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20170063105A1 (en) Charging method, charging controller and charging system
KR20200094926A (en) Method to control charging of multiple batteries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