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622A -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622A
KR20220161622A KR1020210069050A KR20210069050A KR20220161622A KR 20220161622 A KR20220161622 A KR 20220161622A KR 1020210069050 A KR1020210069050 A KR 1020210069050A KR 20210069050 A KR20210069050 A KR 20210069050A KR 20220161622 A KR20220161622 A KR 2022016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ood
pellet composition
synthetic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998B1 (ko
Inventor
이승태
이원재
이성민
오유성
Original Assignee
(주)도일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일에코텍 filed Critical (주)도일에코텍
Priority to KR102021006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9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3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e or more carboxylic moiety in the chain, e.g. acetoacetoxyethyl(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 C08F25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aromatic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2/00 on to polymers of styrene or alkyl-substituted 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carbonates or 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58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silicon, germanium, tin, lead, antimony, bismuth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경화성 수지액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목분은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는 2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과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을 포함하며, 상기 데크 제조용 원료 펠릿 조성물은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WOOD PLASTIC COMPOSITE PELLET COMPOSITION, DECK PANEL MANUFACTURED FROM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 WPC)는 데크 자재뿐만 아니라, 현재 PVC, Aluminum 및 steel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창호 및 건자재 시장에 제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용도의 적용 가능성과 양호한 가공성 그리고 친환경성을 무기로 빠른 속도로 그 시장을 확대할 전망이다. 지금까지 외부용의 자재로 잘 알려진 WPC의 데크(deck) 자재 외에도 창호, 실내 가구재, 바닥재, 방음벽 등의 거의 모든 인테리어 분야의 용도에도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건축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e, WPC)는 천연목재와 방부목재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는 것과 동시에, 실내외의 마감재로서 우수한 물성을 가진다는 점에 있어서 오늘날 그 수요가 늘고 있다.
이와 같은 합성목재는 목분(wood flour)과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는데, 그 중 목분은 합성목재에서 무늬 및 질감과 같은 천연목재가 가진 고유의 특성이 나타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목분은 주로 목재의 가공 작업에서 발생되는 톳밥, 대팻밥과 같은 부산물이 된다. 허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얻어지는 목분의 경우, 각기 다른 비중과 섬유길이를 갖는 다양한 수종으로부터 수집되는 것에 의하여 동일한 물성을 갖는 합성목재의 생산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여전히 이와 같은 목분을 원료로 만들어지는 합성목재에서 제품 가공성, 휨 강도 및 충격 강도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물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친환경 합성목재 컴파운드의 물성을 개선한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제품 및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790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목분과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친환경 합성목재 컴파운드 및 건설자재 제조기술에 있어서, 천연목재와 동일 이상의 질감과 물성을 확보하고자 전자선 경화 기술을 통해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와의 계면 결합력 향상 및 목분 탄화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경화성 수지액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목분은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는 2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활석 및 운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용화제는 PETA(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AIC(Triallyl isocyanurate), PBQ(1,4-Benzoquinone),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TPGDA(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및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는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액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압출기 내에서 상기 각 원료들을 용융 및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원료들을 압출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에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료들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목분은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는 2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활석 및 운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용화제는 PETA(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AIC(Triallyl isocyanurate), PBQ(1,4-Benzoquinone),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TPGDA(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및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에 전자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가 가교되어 멜팅 인덱스(MI)가 감소하고 분자량 증가 및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가 증가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을 압출하여 성형한 펠릿에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펠릿으로 제작된 데크 패널 및 건설자재의 경우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경화성 수지액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목분은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는 2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이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경화성 수지액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목분은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는 2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분은 유기필러의 하나로, 목분(wood flour), 목펠렛(wood pellet), 목섬유(wood fiber) 또는 지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분은 칩, 셰이빙 및 톱밥과 같은 재활용 물질을 미세한 가루의 형태로 파쇄시켜 만들어질 수 있다. 목분은 20 내지 120 메시(mesh)일 수 있으며, 길이 대 직경의 비는 3:1 내지 5:1일 수 있다. 목분의 입자 크기 또는 길이 대 직경의 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동일 중량의 배합이라도 목분 입자의 개수에 차이가 있어 혼련이 어렵거나, 합성목재로 제조시에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기필러의 원료는 침엽수 또는 활엽수에서 얻을 수 있으며, 활엽수는 펜토산(pentosan)의 함유량이 침엽수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어 화학적 경합을 방해하므로 침엽수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활석 및 운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활석 또는 운모일 수 있다.
상기 필러는 수분에 강하여 표면 활성효과를 높여서 수축 변화방지 효율이 우수하며 합성수지 제조시 성형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어, 합성목재 조성물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탈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상용화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용화제로서 상용화 특성이 우수한 PETA(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AIC(Triallyl isocyanurate), PBQ(1,4-Benzoquinone),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TPGDA(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및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상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용화제로서, TAIC(Triallyl isocyanurate)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성 수지액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에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전자선에 대한 반응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경화성 수지액은 전자선에 대한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과 함께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이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자선을 상기 합성목재 펠릿에 대하여 조사할 경우,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목분과 수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에 전자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가 가교되어 멜팅 인덱스(MI)가 감소하고 분자량 증가 및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에 전자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상기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을 압출하여 성형한 펠릿에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펠릿으로 제작된 데크 패널 및 건설자재의 경우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는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액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압출기 내에서 상기 각 원료들을 용융 및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원료들을 압출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에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은 우선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액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는 각 원료들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혼합함으로써, 각 원료끼리 골고루 잘 섞에게 프리-믹싱(pre-mixing)하는 공정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기 내에서 상기 각 원료들을 용융 및 분산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압출기 내에서 각 원료들이 충분히 용융되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컴파운딩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원료들을 압출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압출기 내에서 각 원료들을 용융 및 분산시킨 후 압출함으로써 펠릿으로 제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펠릿을 설계된 양으로 팩킹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컨베이어의 일측에 마련된 전자선 조사 장치에서 전자선을 상기 포장된 펠릿에 대하여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공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원료들을 압출하여 제작된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 조사 장치에 의해 전자선을 조사하여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에 전자선을 조사하기 때문에,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목분과 열가소성 수지가 가교되어 멜팅 인덱스(MI)가 감소하고 분자량 증가 및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가 증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합성목재(WPC)의 물성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을 마련하였다.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 30wt%, 목분 55 wt%, 필러 10 w%, 상용화제 3 wt% 및 경화성 수지액 2 wt%를 각각 혼합하여 마련하고, 상기 각 원료를 용융 및 분산하여 압출함으로써, 합성목재(WPC) 펠릿을 마련하였다.
상기 합성목재(WPC)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 조사선량에 따른 합성목재(WPC)의 물성 변화값을 조사하였으며, 하기 [표 1]과 같이 그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2 비교예3
물성값 0 Kgray 5 Kgray 10 Kgray 15 Kgray 20 Kgray 25 Kgray
MI 3.2 2.8 1.2 0.06 측정불가 측정불가
충격강도 3.8
kgfcm/cm
4.6
kgfcm/cm
5.3
kgfcm/cm
5.8
kgfcm/cm
압출불가 압출불가
인장강도 63 MPa 74 MPa 81 MPa 84 MPa 압출불가 압출불가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합성목재(WPC)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을 조사하지 않은 비교예 1(0 Kgray)의 경우에 비하여 합성목재(WPC)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 조사선량이 각각 5 Kgray, 10 Kgray 및 15 Kgray인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목분과 HDPE가 가교되어 멜팅 인덱스(MI)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합성목재(WPC)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 조사선량이 각각 5 Kgray, 10 Kgray 및 15 Kgray인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전자선을 조사하지 않은 비교예 1(0 Kgray)에 비하여 충격 강도와 인장 강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경우에는 합성목재(WPC)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 조사선량이 각각 20 Kgray 및 25 Kgray인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이 압출 불가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없었다. 또한, 합성목재(WPC) 펠릿에 대한 전자선 조사선량이 30 Kgray 이상에서는 목재와 HDPE가 완전 가교되어 MI 측정이 불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합성목재(WPC) 펠릿에 대한 전자선 조사선량은 20 Kgray 미만으로서, 바람직하게는 5 Kgray 내지 15 Kgray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0)

  1.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경화성 수지액을 포함하는 데크 제조용 원료 펠릿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목분은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는 2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제조용 원료 펠릿 조성물은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활석 및 운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PETA(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AIC(Triallyl isocyanurate), PBQ(1,4-Benzoquinone),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TPGDA(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및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6. 베이스 수지, 목분, 필러, 상용화제 및 3-(acryloyloxy)-2-hydroxypropyl methacrylate(AHM)로 표면 처리한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TMPET)와 촉매로서 benzylquinoxalinium hexafluoroantimonate(BQH)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액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압출기 내에서 상기 각 원료들을 용융 및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원료들을 압출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펠릿에 대하여 전자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펠릿에 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목분과 수지가 가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들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목분은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러는 25 내지 50 중량부, 상용화제는 5 내지 15 중량부, 상기 경화성 수지액은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활석 및 운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PETA(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TMPTA(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AIC(Triallyl isocyanurate), PBQ(1,4-Benzoquinone), DPHA(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TPGDA(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및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 펠릿의 제조방법.
KR1020210069050A 2021-05-28 2021-05-28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50A KR102485998B1 (ko) 2021-05-28 2021-05-28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050A KR102485998B1 (ko) 2021-05-28 2021-05-28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622A true KR20220161622A (ko) 2022-12-07
KR102485998B1 KR102485998B1 (ko) 2023-01-09

Family

ID=8444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050A KR102485998B1 (ko) 2021-05-28 2021-05-28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438B1 (ko) 2023-01-10 2023-04-03 (주)에코로 재활용 수지를 이용한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947B1 (ko) 2023-07-24 2023-11-21 (주)에코로 표면온도 저감 특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쿨 데크용 펠릿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쿨 데크 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904B1 (ko) 2016-10-26 2017-07-13 (주)제영산업 잣피를 이용한 데크 제조용 펠릿 조성물
KR20200027340A (ko) * 2018-09-04 2020-03-12 (주)엘지하우시스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되는 합성목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904B1 (ko) 2016-10-26 2017-07-13 (주)제영산업 잣피를 이용한 데크 제조용 펠릿 조성물
KR20200027340A (ko) * 2018-09-04 2020-03-12 (주)엘지하우시스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되는 합성목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438B1 (ko) 2023-01-10 2023-04-03 (주)에코로 재활용 수지를 이용한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998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998B1 (ko)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2598B1 (ko) 천연 분말을 이용한 사출형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천연 분말을 이용한 사출형 복합재료
Gardner et al. Wood–plastic composite technology
KR102176842B1 (ko) 경량성이 향상된 바닥용 압출 발포 데크
Yadav et al.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wood-plastic composites made of polypropylene, wood flour and nanoclay
KR102517438B1 (ko) 재활용 수지를 이용한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9530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0991506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58803B1 (ko) Bio-PE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펠릿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데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12234A (ko)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60258B1 (ko) 항균 및 영구대전방지가 가능한 합성목재
KR101016386B1 (ko) 인조 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hanjanzadeh et al. Long term hygroscopic characteristics of polypropylene based hybrid composites with and without organo-modified clay
KR100681333B1 (ko) Wpc 환경친화적 폴리올레핀/목분 복합체
Sozen et al. The effects of lignocellulosic fillers on mechanical, morph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wood polymer composites
KR101361314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Mengeloglu et al. Selected properties of furniture plant waste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es.
KR102076232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바이오 인조목재 및 그 제조 방법
Li et al. Effects of ethylene vinyl acetate content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plastic composites
Lee et al. Effect of nano-CaCO 3 and Talc on property and weathering performance of PP composites
KR102246897B1 (ko) 연성이 우수한 목재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1036B1 (ko) 목재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목재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0119B1 (ko) 복합재 조성물과 복합재 제조방법 및 복합재
KR101808286B1 (ko) 죽분을 이용한 합성 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08107B1 (ko) 바이오매스 펠렛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