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395A - 중간엽 줄기 세포-유래된 암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 연관된 질환을 표적화하는 이뮤노테라노스틱 작용제 - Google Patents

중간엽 줄기 세포-유래된 암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 연관된 질환을 표적화하는 이뮤노테라노스틱 작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395A
KR20220161395A KR1020227037264A KR20227037264A KR20220161395A KR 20220161395 A KR20220161395 A KR 20220161395A KR 1020227037264 A KR1020227037264 A KR 1020227037264A KR 20227037264 A KR20227037264 A KR 20227037264A KR 20220161395 A KR20220161395 A KR 20220161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oiety
tumor
disease
lrrc15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데이빗 얼머트
노버트 피카우스
리췬 마오
로벝 디. 다므와조
로?? 디. 다므와조
클레어 스토리
Original Assignee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filed Critical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ublication of KR2022016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8Peptides, e.g. proteins, carriers being peptides, polyamino acids, proteins
    • A61K51/10Antibodies or immunoglobulins; Fragments thereof, the carrier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 camelised human single domain antibody or the Fc fragment of an antibody
    • A61K51/1027Antibodies or immunoglobulins; Fragments thereof, the carrier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 camelised human single domain antibody or the Fc fragment of an antibody against receptors, cell-surface antigens or cell-surface deter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8Peptides, e.g. proteins, carriers being peptides, polyamino acids, proteins
    • A61K51/10Antibodies or immunoglobulins; Fragments thereof, the carrier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 camelised human single domain antibody or the Fc fragment of an antibody
    • A61K51/1093Antibodies or immunoglobulins; Fragments thereof, the carrier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 camelised human single domain antibody or the Fc fragment of an antibody conjugates with carriers be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세포 상에 발현되는 LRRC15를 표적화하는 방사선치료제를 제공한다. LRRC15 표적화 작용제는 광범위한 질환 및 악성종양의 진단 및 치료를 유의하게 개선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LRRC15 표적화 작용제는 LRRC15에 대한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갖고 LRRC15를 발현하는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DUNP19)이다.

Description

중간엽 줄기 세포-유래된 암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 연관된 질환을 표적화하는 이뮤노테라노스틱 작용제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2020년 4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일련번호 63/003,598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질환 영상화 및 치료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된 세포 상에서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방사선테라노스틱을 제공한다.
면역생명공학의 최근 돌파구는 이중특이성 T-세포 인게이저(BiTE) 및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와 같은 단일-사슬 가변 단편의 형태에서 항체를 사용하는 흥미로운 치료 기술 및 플랫폼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들 중 대부분은 제한된 수의 고형 종양을 치료하는 것에만 적용할 수 있다. 치료적 비효율과 내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은 활성화된 이펙터 세포가 종양 베드로의 침투를 감소시키는 종양 기질 구획의 능력이다. 부가하여, 기질 세포는 면역 세포 조절, 대사 재프로그래밍, 및 저산소증과 같은 수많은 다른 과정을 통해 내성을 능동적으로 조정한다. 종양 기질은 종양 성장 및 진행을 조절하기 위해 함께 조정되는 다수의 상피, 섬유아세포, 내피 및 염증 세포 모집단으로 구성된다. 이들 중 암-연관된 섬유아세포(CAF)는 암 세포와 그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기질 내의 독특한 세포의 하위집합이다. CAF는 상주하는 섬유아세포, 내피 세포, 상피에서 중간엽으로 전이(EMT)를 겪는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를 포함한 수많은 세포 유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높은 수준의 세포 유연성을 가진 이종 세포 모집단이다. 이것은 종양 생물학의 빠르게 발전하는 영역이고 종양 유형에 걸쳐 CAF 모집단의 기원, 유병률 및 생물학적 기능에 관해 많은 미해결 질문이 여전히 남아 있다. 종양 특이적 면역억제를 억제하는 약제의 개발은 암 기질과 특이적으로 연관된 표적을 식별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가장 열망되는 것은 CAF에 특이적 원형질막 단백질이다. 이들 노력의 절대 다수는 CAF에 의해 과발현되는 막 결합 세린 프로테아제인 섬유아세포 활성화된 단백질 α(FAP)를 표적화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FAP는 심근경색 후 근섬유아세포의 활성화와 같이 상처 치유 동안 정상 조직과 건강한 활성화된 섬유아세포에 의해서도 발현된다. FAP-표적화된 치료적 접근법(항체-약물 접합체, CAR-T 세포 및 효소-억제제 포함)은 낮은 종양 특이성으로 인해 부작용이나 효능 부족을 초래한 실패였다.
종양 기질의 면역억제 효과를 약리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대안적인 접근법은 특정 사이토카인 또는 조절 경로 수용체를 표적화하는 것이었다. 주요 노력 중 하나는 TGF-β 경로를 약화시키는 것인데, 이는 면역 감시로부터 암세포의 회피를 지원하고 악성 성장 및 침습성의 촉진자에 대해 외인성 종양 억제인자로서 작용하는 면역계의 전복에 기여한다. 신생물 세포 및 종양 기질에 대한 수많은 효과와 함께, 면역 세포에 대한 TGF-β의 다각적 효과는 암 미세환경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TGF-β 활성은 T-세포 운명 결정, NK 세포 기능 및 γδ Treg의 여러 측면을 좌우한다. 부가하여, 규범적 TGF-β 시그널링(SMAD)와 MAPK, PI3K, WNT, HH 및 NOTCH를 포함한 여러 비-규범적 경로 간의 누화가 설명되었다. TGF-β 억제제는 주로 종양 미세환경에서 섬유아세포 및 내피 세포 성장뿐만 아니라 T-세포 활성화에 영향을 주어 그의 항종양 활성을 발휘한다. TGF-β 경로 표적화 약물 중, 갈루니세르팁(LY2157299)과 같은 소분자 TGF-β 수용체 억제제가 가장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 불행히도, 이들 억제제는 좁은 치료 윈도우와 독성 효과로 인해 방해를 받았다. 따라서, 현재 TGF-β 수용체 억제제를 충분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환자 선택 및 용량 적정을 위한 비-침습적 바이오마커가 요구된다.
LRRC15는 N-말단 막횡단 도메인, 15개 류신-풍부 반복부(LRR), 및 짧은 C-말단 세포질 꼬리를 갖는 581개 아미노산 유형 I 막 단백질이다. 일반적으로 LRR을 함유하는 단백질은 선천 면역, 염증 및 신경계 발달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고도로 보존된 분자인 LRRC15의 특정한 생리학적 기능은 크게 알려져 있지 않고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지만 세포-기질 접착 및 세포 이동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LRRC15는 조직 치유 및 면역 조절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TGF-β에 의해 관리된다. LRRC15를 발현하는 정상 조직은 모낭, 편도선, 상처 치유 부위와 같이, TGF-β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중간엽 줄기 세포(MSC)가 잔존하는 것으로 알려진 부위이다. 골수 및 지방 유래된 MSC, 및 어느 정도 탯줄 유래된 MSC는 TGF-β 자극 하에 LRRC15를 발현한다. TGF-β 지배의 이 기능은 FAP와 같은 다른 중간엽 연관된 마커와 비교하여 LRRC15에 고유하다. 연구는 LRRC15가 MSC 분화를 통해 골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류마티스 관절염의 국소 침식에서 고도로 상향조절되는 유전자임을 보여주었다. 흥미롭게도 LRRC15 발현은 또한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을 방해하여, 중요한 면역 조절자로서 단백질의 역할에 대한 증거를 뒷받침한다.
LRRC15는 광범위한 악성 종양의 종양 기질 내의 CAF 상에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중간엽 종양의 하위집합(예를 들어, 육종, 다형성 교모세포종)로부터의 암 세포 상에서 고도로 발현된다. LRRC15+ CAF는 TGF-β 활성의 결과로 LRRC15+ 섬유아세포 모집단으로부터 나타난다. FAP와 비교하여, LRRC15는 암과 인접한 정상 조직 사이에서 기준선 발현이 유의하게 더 낮고 차등 RNA 발현이 더 높다. 췌장 선암종(PDAC)에서, LRRC15+ CAF는 종양 섬을 특이적으로 둘러싸지만 정상 췌장 조직에는 없다. 전이 진행과 연관된 유전자를 평가하는 전임상 및 임상 연구는 LRRC15가 전이에서 발현되는 상위 유전자 중 하나임을 확인했다. LRRC15는 유방암 및 난소암 환자에서 각각 뼈와 장으로의 전이적 확산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siRNA에 의한 녹다운은 전임상 모델에서 진행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과발현은 또한 안드로겐 비의존적 전이성 전립선암의 전이성 병변에서 공격적인 거동과 연관되었다. 중요하게도, 임상 시험에서 획득된 조직의 분석은 LRRC15+ CAF의 높은 결합력이 면역 관문 차단에 대한 내성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면역요법 내성 기전과 연관된 분자 이벤트 및 세포 표현형을 식별하고 치료하기 위한 비-침습적 도구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요구가 있다. 종양 기질의 특정한 근절 및 TGF-β 경로의 약리학적 조작은 둘 모두 단일요법으로 이용되거나 내성을 약리학적으로 완화하기 위한 면역요법과 함께 이용되었다. 그러나, 기질을 제거하도록 설계된 이전 화합물은 표적-외 발현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한 반면, TGF-β 활성을 감소시키는 화합물은 좁은 치료적 윈도우로 인해 거의 적용가능하지 않았다. 종양 연관된 기질의 분자적으로 정밀한 근절 및 다운스트림 TGF-β 활성의 비-침습적 영상화를 위한 방사선테라노스틱 화합물은 내성 기전을 억제하고 현대 면역치료 화합물의 치료적 잠재력을 개선하는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수십 년 동안, 암 치료의 절대 다수는 종양 미세환경(TME) 및 종양 유지 및 진행에서 그 독특한 역할을 고려하지 않고 악성 세포를 표적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췌장 선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GBM) 및 골육종과 같은 공격적인 악성종양은 종양 성장 및 유지를 위해 TME에 의존하며, 이는 치료적 이점을 위해 이 중요한 상호작용을 표적화하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TME의 필수 구성요소는 종양 진행에 필수적인 섬유아세포, 중간엽 및 상피 세포의 집합인 종양 기질이다. 본 개시내용은 암-연관된 섬유아세포(CAF)에 그리고 중간엽 기원의 광범위한 악성종양에 걸쳐 고도로 상향조절된 단백질로서 종양-특이적 막 단백질 류신-풍부 반복 함유 15(LRRC15)를 식별하였다. LRRC15는 세포 이동, 세포 부착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면역학적 반응 및 면역요법에 대한 내성과 고도로 연관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은 높은 특이성 및 피코몰 친화도(3.29e-10M)로 LRRC15에 결합함에 의해 표적 세포 내로 빠르게 내재화되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mAb)인 항-LRRC15 항체 DUNP19를 제시한다. DUNP19 mAb 또는 그의 유도체는 분자 영상화 도구 및/또는 방사선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DUNP19를 통해 LRRC15를 발현하는 종양 및 기질 세포를 표적화하는 것은 현재로 치료할 수 없는 악성종양에 대한 새로운 방사선-테라노스틱 전략을 생성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그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갖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서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결합 모이어티는 세포독성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질환-연관된 조직에서의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며, 이에 의해 세포독성제를 질환-연관된 조직에 전달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그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영상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서 발현되는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며, 이에 의해 질환-연관된 조직에 영상화제를 전달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TGF-β 수용체 시그널링을 억제하는 분자를 사용한 요법을 위한 환자를 선택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환자는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되는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하는 질환을 갖거나 갖는 것으로 의심된다. 방법은 a) 질환-연관된 조직에서의 세포 상에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단계; b)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환자가 대조군 대상체에서의 대조군 수준과 비교하여 더 높은 수준의 결합 또는 결합 모이어티의 내재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지면, 환자는 요법을 위해 선택되고 치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조군 대상체는 건강한 대상체 또는 해당 질환이 없는 대상체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환자에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용량을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질환은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그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한다. 방법은 a) 환자에게 치료제의 제1 용량 또는 이전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 b) 환자에게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투여하는 단계로서,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질환-연관된 조직의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단계; c)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d) 환자에게 치료제의 후속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후속 용량은 제1 또는 이전 용량보다 높은 단계, 및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 e) 후속 용량 후에 수득된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가 이전 용량 후에 수득된 것보다 낮을 때 단계 d)를 반복하는 단계; 및 f)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최적 용량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최적 용량은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의 최적 감소를 야기하는 용량인,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단계 e)에서 후속 용량 후에 수득된 상기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가 이전 용량 후에 수득된 것보다 더 높은 경우, 이어지는 용량은 감소된 용량이 결합 또는 내재화의 상기 수준 또는 속도의 최적 감소를 야기하는 용량이 되도록 감소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감소된 용량은 이전 용량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LRRC15에 결합하는 표적화 분자가 제공되며, 표적화 분자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 LRRC15 표적화 분자를 포함하는 접합체가 제공된다.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는 이어지는 도면의 설명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는,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이제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여, 도시된 세부사항은 예로서 그리고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예시적인 논의를 위한 것임을 강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과 함께 취해진 설명은 발명의 실시형태가 실시될 수 있는 방법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한다.
도 1은 항-LRRC15 mAb DUNP19의 세포의 결합 특이성을 나타낸다. DUNP19의 결합 특이성은 다양한 LRRC15 발현 수준을 갖는 상이한 종양 유형으로부터 유래된 광범위한 세포주를 사용하여 유세포분석에 의해 연구되었다(왼쪽 패널).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DUNP19의 세포의 결합을 추가로 연구했다(오른쪽 패널). 제1 열은 DUNP19를 사용한 염색을 나타내고, 제2 열은 액틴으로 공동-염색된 세포를 나타내고, 제3 열은 팔로이딘 및 DAPI 염색을 사용한 DNA와 공동-염색을 보여주는 병합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a-2c는 37℃에서 LRRC15 mAb DUNP19의 세포 내재화를 나타낸다. 패널은 4℃에서 DUNP19로 표지된 Alexa-488과 함께 인큐베이션되거나(도 AI), 또는 37℃에서 DUNP19로 표지된 Alexa-488과 함께 30(도 AII), 60(도 AIII), 120(도 AIV) 또는 240분(도 CI) 인큐베이션된 SAOS2 세포의 공초점 이미지이다. 도 CII는 4℃에서 염색을 나타낸다. 도 2b는 세포질 신호(DAPI 및 LAMP1에 의해 정의됨)에 비해 원형질막 국소화(4℃에서 DUNP19 인큐베이션)를 정량화함에 의해 검색된 시간 경과에 따른 세포의 DUNP19 내재화 퍼센트를 나타낸다.
도 3a-3b는 [177Lu]DUNP19의 생체내 생체분포를 나타낸다. i.v. 투여된 [177Lu]DUNP19의 표적화 및 축적은 LRRC15-발현 U118 s.c. 이종이식에서 평가되었다. 도 3a는 U118 종양이 모든 연구된 시점(각 장기 및 종양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24, 48, 72시간)에서 다른 기관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LRRC15-방사선추적자 축적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도 3b는 DUNP19의 표적화 특이성을 나타내며, 여기서 제1 열은 LRRC15 발현 이종이식편(U118)에서 루테튬-177 표지된 비-특이적 huIgG1의 종양 흡수를 나타내고, 제2 열은 비-LRRC15 발현 종양 모델(LNCaP)에서 [177Lu]DUNP19 흡수를 나타내고, 제3 열은 LRRC15-발현 U118 세포에서 [177Lu]DUNP19 흡수를 나타낸다.
도 4a-4d는 [177Lu]DUNP19의 생체내 평가를 나타낸다. 도 4a4c는 i.v. 주입 후 다중 시점(그룹당 n=4)에서 LRRC15+(SAOS2 및 U118) 및 LRRC15-(LNCaP) s.c. 이종이식편에서 평가된 [177Lu]DUNP19를 나타낸다. [177Lu]DUNP19는 건강한 장기에서 낮은 축적과 빠른 제거로 높은 종양 흡수를 나타냈다. 표적 발현과 상관관계가 있는 [177Lu]DUNP19 종양 흡수; SAOS2 s.c. 종양에서 흡수는 모든 연구된 시점에서 U118에서보다 높았다(각 기관 및 SAOS2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6, 24, 48, 72, 168 및 336시간; U118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24, 48 및 72시간). 도 4b는 LRRC15의 표적화가 특이적이었고; 주사-후 48시간에 LRRC15+ U118 및 SAOS2 종양에서 [177Lu]DUNP19의 축적된 수준은 i) LRRC15- 병변(LNCaP) 및 ii) U118 종양에서의 EPR 효과, 즉 방사성표지된 비-특이적 방사성면역-접합체([177Lu]IgG1)의 흡수에서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01)는 것을 나타낸다. 도 4d는 LRRC15-표적화된 RIT의 항-종양 효과; 단일 용량(10MBq) i.v. 주사된 [177Lu]DUNP19가 비-처리(n=10/그룹)와 비교하여 유의하게(P<0.001) 종양(SAOS2) 부피를 감소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5a-5c는 s.c. OS 모델에서 [64Cu]DUNP19의 LRRC15-표적화된 영상화를 나타낸다. 도 5a는 LRRC15+ SAOS2 s.c. 이종이식에서 i.v. 투여된 [64Cu]DUNP19의 축적을 나타낸다. [18F]NaF PET 뼈 스캔과 [64Cu]DUNP19 LRRC15 PET의 직접적 비교가 도시되어 있다. 도 5b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력한 종양 특이적 축적을 나타내는 일련의 PET 이미지이다. 도 5c는 [64Cu]DUNP19의 i.v. 주입 후 SAOS2 s.c. 종양 모델에서 정량화된 종양 및 혈액 특이적 활성을 나타낸다.
도 6은 DUNP19-LRRC15의 세포내 축적을 나타낸다. 전체 s.c. SAOS2 종양을 [AF594]DUNP19의 i.v. 주입 72시간 후에 수거하였다. 50um 동결 종양 절편을 공초점 현미경(Leica TCS-SP5)에 의해 영상화했다. DUNP19(녹색)의 아세포 국소화를 시각화하기 위해, 절편을 DNA(파란색) 및/또는 액틴(빨간색)(패널 AI-AII) 또는 DNA(파란색) 및 LAMP1(노란색)(패널 BI-BII)에 대해 공동-염색했다. 이들 이미지는 DUNP19가 세포의 세포질에 있고 리소좀 구획에서 공동-국소화되어 있음을 분명히 나타낸다(패널 BII, 흰색 화살표 참조).
도 7은 상이한 세포주에서 LRRC15의 TGF-β 유도된 발현을 나타낸다.
종양 기질은 종양 개시, 진행 및 치료 화합물에 대한 내성 뿐만 아니라 고유한 면역학적 방어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류신-풍부 반복-함유 단백질 15(LRRC15)는 암-연관된 섬유아세포(CAF) 및 중간엽 기원의 암 세포의 하위집합에 의해 발현되는 TGF-베타 제어된 단백질이다. 중요하게도, 발현은 여러 종양 유형에서 관문 차단에 대한 불량한 반응에 커플링된다. 본 개시내용은 LRRC15를 발현하는 세포에 의해 특이적으로 내재화되는 최근에 개발된 단일클론 항-LRRC15 항체(mAb DUNP19)를 기반으로 하는 방사선테라노스틱 응용을 제시한다. LRRC15-표적화된 방사선테라노스틱(예컨대 DUNP19 항체)은 진단을 유의하게 개선하고 광범위한 악성종양의 치료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개시내용은 중간엽 줄기 세포-유래된 암 세포 및 종양 기질에서 특이적으로 과발현되는 TGF-β 제어된 바이오마커인 LRRC15를 표적화하는 독특한 전략을 이용함에 의해 몇몇 말기 및 파종성 암의 임상적 관리에서 근본적인 충족되지 않은 요구를 해결한다. 시험관내 및 설치류 모델에서 얻은 전임상 결과는 이 LRRC15-지향된 플랫폼의 세포내 전달을 입증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89Zr]DUNP19, [225Ac]DUNP19 및 [177Lu]DUNP19의 진단 및 치료적 유용성을 정의하기 위한 주요 실험을 제시한다. α- 및 β-입자 방출 구조체의 크기와 분포를 제어하는 요인을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TGF-β 활성 및 TGF-β 수용체를 억제하는 화합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표적화 LRRC15의 효능 또한 시험할 수 있다. 이들 연구는 여러 후기 악성 질환의 지속적인 치료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임상 적용을 위한 방사선-테라노스틱 접근방식을 유의하게 진보시킬 것이다.
TGF-β에 의해 구동되는 면역조절 암 세포를 함유하는 치료 내성 종양의 분자 특이적 영상화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원발성, 말기 및 파종성 악성종양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고도로 혁신적이고 독특한 비-침습성 면역-테라노스틱 플랫폼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기술의 중심 구성요소는 LRRC15를 표적화하는 고도로 특이적인 mAb(DUNP19)이며, 이는 많은 암 징후의 종양 기질 내 TGF-β 구동 CAF를 표적화할 뿐만 아니라 중간엽 종양(예를 들어, 육종, 다형성 교모세포종)의 암세포를 직접 표적화하는데 적용가능하다. 기질 표적화의 가능성은 널리 인식되고 있지만, 주로 종양 특이성이 높은 최적 표적이 부족하기 때문에 혁신적인 접근방식을 구현하기가 어려웠다. 다른 CAF 단백질과 달리, LRRC15 발현은 비-암성 조직에서 매우 낮고 림프절 기질 및 정상 췌장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TGF-β에 의한 면역요법 내성과 유도성에 대한 상관관계인, 암 특이적 발현 프로파일은 LRRC15를 다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간엽 마커와 구별한다.
DUNP19는 다른 항-LRRC15 항체를 능가하는 몇 가지 이점을 갖는다. DUNP19는 유의하게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 것에 부가하여, 발달적으로 유리하고 계통발생적으로 보존된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이 기능은 야생형(wt) 동물 모델에서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인간 LRRC15 발현을 숙주 게놈 안으로 유전적으로 조작할 필요성을 회피한다. 중요하게도, DUNP19는 표적 세포에 의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내재화되며, 이는 단거리 입자(예를 들어, 고-LET 알파 또는 오제 방출기)를 방출하는 표적화된 방사성 의약품에 중요하다. 내재화는 또한 자연적으로 세포막을 통과하지 않는 분자로 세포내 단백질을 표적화하기 위해 DUNP19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LRRC15는 특히 LRRC15-발현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항체와 같은 결합 모이어티에 의해 비-침습적 영상화 및 요법 둘 모두에 레버리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최적의 표적화가능한 바이오마커이다. 본 개시내용은 LRRC15-발현 세포에 의한 특이적 표적화 및 효과적인 내재화를 입증하는 mAb, DUNP19를 개발 및 최적화하였다. LRRC15-발현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다른 LRRC15-표적화된 항체가 또한 본 명세서에 포괄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DUNP19는 다음의 임상적 적용에 적용될 수 있다:
I. 하나 이상의 치료적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됨: 예를 들어, LRRC15를 발현하는 종양 세포의 제거, 및/또는 종양 또는 종양 기질에 비가역적 손상을 입힘에 의하여 항-종양 반응을 유도하여, 종양 미세환경, 곁분비 지원, 약물 내성 및 면역계의 억제를 촉진 및 유지하도록 종양 기질의 능력을 파괴함. 종양 이외의 LRRC15-발현, 질환-연관된 조직을 표적화하는 것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에 유용한 또 다른 적용이다.
Ⅱ. 양전자 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됨: 예를 들어, TGF-β 제어된 LRRC15+ CAF의 비-침습적 검출 및 정량화에 의한 매우 공격적인 병리학적 특징 및 면역요법-내성 질환의 비-침습적 진단 영상화, 및/또는 TGF-β 시그널링을 직접적으로 또는 말단으로 조절하는 약물의 용량 조절과 반응을 모니터링하는 것과 같은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일 실시형태에서, 종양-연관된 기질을 제거하거나 면역-억제 경로를 방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약리학적 전략은 단일요법으로서 또는 선천적 면역계를 지시하는 화합물과 조합하여 효과적인 항-종양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LRRC15의 비-침습적 영상화 및 흡수의 정량화는 공격적인 종양의 국소화 뿐만 아니라 면역요법 내성과 관련된 분자 특징의 검출 및 정량화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LRRC15-PET는 현재 좁은 용량-범위와 특정 종양 세포 기원에 배타적인 효과에 의해 방해를 받는 TGF-베타 수용체 차단제의 다운-스트림 활성을 모니터링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는 가설이 추가로 가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LRRC15 방사선면역요법(RIT)의 항-신생물 효과는 적용된 선형 에너지 전달(LET) 및 표적 발현의 세포 국소화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간단히 말해서, LRRC15-발현 CAF에서 짧은-범위 고-LET의 세포내 용량 침착은 종양 기문의 특정 근절을 초래하여, 급성 미세환경 변화, 곁분비 지지체의 고갈, 개선된 약물 침투 및 면역요법과 고유 면역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증가된 감수성을 통한 항-신생물 효과를 야기할 것으로 여겨진다. 저-LET LRRC15-방사선면역요법(RIT)의 이용이 표적화된 CAF의 덜 효과적인 제거를 초래할 수 있지만, 긴 트랙 경로-길이로 인한 교차공격 효과는 인근 종양 세포의 손상으로 해석될 것이다.
사용 방법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사용하여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그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갖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는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그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갖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방법 또는 용도는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결합 모이어티는 세포독성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어, 세포독성제를 질환-연관된 조직에 전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질환-연관된 조직은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를 포함한다. 종양의 대표적인 예는 췌장 종양, 난소 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골육종, 유방 종양, 두경부 종양, 폐 종양, 방광 종양, 결장직장 종양, 간세포 종양, 고환 종양, 자궁내막 종양, 위 종양, 신장 종양, 전립선 종양, 육종 또는 흑색종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립선암은 안드로겐 수용체 음성이거나 안드로겐 독립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종양은 전이성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종양 기질 세포는 섬유아세포, 중간엽 세포, 상피 세포,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단일-사슬 가변 단편(scFv), Fv 단편, 항원 결합 단편(Fab), F(ab')2 단편, 이중특이성 T 세포 인게이저, 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LRRC15에 대한 피코몰 친화도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항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LRRC15 상의 계통발생학적으로 보존된 에피토프(예를 들어, 포유동물 LRRC15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 예를 들어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어푸코실화된 항체 또는 그의 저-푸코스 변이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와 연관된 세포독성제는 치료적 방사성핵종이다. 치료적 방사성핵종은 알파 입자 방출기, 베타 입자 방출기, 오제 전자 방출기, 감마선 방출기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알파 입자 방출기의 예는 우라늄, 라듐, 토륨 및 악티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타 입자 방출기의 예는 우라늄, 토륨, 악티늄, 비스무트, 탈륨, 스트론튬, 세슘, 루테튬 및 지르코늄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제 전자 방출기의 예에 테크네튬, 인듐 및 요오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마선 방출기의 예는 우라늄, 토륨, 악티늄, 코발트, 세슘 및 테크네튬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는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 메르탄신, 메이탄사노이드, 탁산, 스트렙토니그린, 겔다나마이신, 캄프토테신, 칼리케아미신, 듀오카르마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세포독성제로 방사성 표지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는 킬레이트제에 의해 항체에 접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합은 직접적이며, 즉 세포독성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직접적으로 접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합은 간접적이며, 즉, 결합 모이어티 및 세포독성제는 사전표적화 방법으로도 공지된, 생체내 접합된다. 이러한 접합 방법은, 예를 들어 항체 약물 접합체(ADC)의 제조에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접합되는 특정 작용제에 대해 용이하게 제조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이미지화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는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영상화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방법 또는 용도는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어, 질환-연관된 조직에 영상화제를 전달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질환-연관된 조직은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를 포함한다. 종양 및 종양 기질 세포의 예는 상기에 나열되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영상화 방법에 사용된 결합 모이어티는 단일-사슬 가변 단편(scFv), Fv 단편, 항원 결합 단편(Fab), 또는 F(ab')2 단편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LRRC15에 대한 피코몰 친화도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항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LRRC15 상의 계통발생학적으로 보존된 에피토프(예를 들어, 포유동물 LRRC15 상의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 예를 들어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어푸코실화된 항체 또는 이의 저-푸코스 변이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는 양전자 방출기이다. 양전자 방출기의 예는 18F, 15O, 11C, 13N, 82Rb, 68Ga, 64Cu, 76Br, 86Y, 89Zr, 및 124I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로 방사성표지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는 킬레이트제에 의해 항체에 접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합은 직접적이며, 즉, 영상화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직접적으로 접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합은 간접적이며, 즉, 결합 모이어티 및 영상화제는 사전표적화 방법으로도 공지된, 생체내 접합된다. 이러한 접합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접합되는 특정 작용제에 대해 쉽게 제조될 것이다.
DUNP19와 같은 발명의 결합 모이어티의 흡수(uptake)의 정확한 해부학적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획득한 PET 이미지는 CT 또는 MRI를 사용하여 획득된 해부학적 이미지와 조합되고 공동-등록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환자/대상체의 PET/CT 영상화는 Siemens Biograph64 mCT PET/CT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으로 수행될 것이다. PET 영상은 양전자 방출 방사성핵종(예컨대 지르코늄-89 또는 이트륨-86)으로 표지된 DUNP19와 같은 영상화제에 접합된 결합 모이어티의 정맥내 투여 후 여러 시점에서 획득될 것이다. 항체 상의 방사성동위원소는 양전자 방출 붕괴를 겪으면서 반대 전하를 가진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를 방출한다. 방출된 양전자는 짧은 거리(전형적으로 1mm 미만이지만 동위원소에 따라 다름) 동안 조직에서 이동하며, 이 시간 동안 전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점으로 감속될 때까지 운동 에너지를 잃는다. 조우는 전자와 양전자 둘 모두를 소멸시켜, 대략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소멸(감마) 광자의 쌍을 생성한다. 이들은 PET 스캐닝 장치의 신틸레이터에 도달할 때 감지되어, 광전자증배관 또는 실리콘 애벌랜치 광다이오드에 의해 감지되는 폭발적인 광을 생성한다. 환자/대상체의 PET 검사는 전신 또는 관심있는 구역/영역을 커버하는 여러 침대 위치에서 얻은 일련의 이미지 획득의 조합으로 구성될 것이다. 침대 위치당 예상된 스캔 시간은 대략적으로 15분이지만, 특정 영역의 관심, 주입된 활동량 또는 주입 후 시간에 의존하여 (붕괴의 결과로) 달라질 수 있다. 총 영상화 시간(스캔 사이의 간격 포함)은 약 1시간으로 추정될 수 있다. 데이터는 가공되지 않은 포맷으로 내보내지고 PET와 CT 데이터 사이의 강체(3 자유도) 공동-등록은 Amira 5.3.3(FEI) 또는 유사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수행될 것이다. Siemens Syngo MultiModality Workplace 소프트웨어(버전 VE40A) 또는 이와 유사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PET 이미지에 대한 흡수를 분석하고 정량화할 것이다. PET 스캐닝 및 이미지 분석을 위한 다른 방법이 본 명세서에 완전히 포괄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 또는 세포독성제와 연관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는 Covid-19 및 기타 감염성 작용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급성 및 만성 폐 질환에서 영상화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급성 폐 질환 뿐만 아니라 만성 질환,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 않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LD), 만성 폐쇄성 기도 질환(COAD), 만성 기관지염, 허파공기증 및 폐기종에서, TGF-β 활성이 증가하여 중간엽 줄기 세포가 상피줄기 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활성화시킨 후 다양한 상피세포를 재수립하여 섬유화를 유발한다. 급성 또는 만성 폐 손상 동안, 부적절한 면역 반응 및/또는 비정상적인 복구 과정은 폐 조직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일으키고 종종 폐 기능에서의 감소를 수반하는 섬유증의 발병을 초래한다. 더욱이, 일부 바이러스 감염은 또한 IL-2 시그널링 경로의 강력한 억제제이고 활성화된 T 세포의 MSC-매개된 G1 세포 주기 정지에 관여하는 TGF-β를 직접적으로 증가시켜 적절하고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모집하는 숙주의 능력을 감소시켜, 적절하고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모집하는 숙주의 능력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TGF-베타 활성을 억제하는 것은 이러한 과정을 중단시킬 수 있고, TGF-β 활성의 판독으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LRRC15 영상화를 적용하는 것은 TGF-베타 억제제의 투여를 이해하고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지침에 따라 환자에서의 폐 조직 및 폐 손상을 영상화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질환의 경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지침에 따라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은 치료를 위해 폐 손상이 있는 환자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폐 손상의 치료를 위한 TGF-β 억제제 또는 기타 치료제의 용량을 적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TGF-β 억제제 요법의 치료학적 용도는 복잡하고, 치료 효과를 최적화하고 염증 또는 표적-외 독성을 악화시키는 원치 않는 효과를 유도하지 않는데 중요한 최적의 용량의 적정 및 용량 선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량 결정 및 조정을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은 급성 및 만성 폐 질환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염증 반응을 포함한 폐 질환 치료의 선택, 모니터링 및 적정에 유용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함에 의해 환자에서 폐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결합 모이어티는 세포독성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폐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된다.
임의의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LRRC15 결합 모이어티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DUNP19이다. 임의의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LRRC15 결합 모이어티는 상기 언급된 서열, 또는 그의 표적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LRRC15에 대한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임의의 실시형태에서, LRRC15 결합 모이어티는 LRRC1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특이성을 갖도록 조작된 이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일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중- 또는 삼중특이성 항체는 LRRC1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특이성, 및 또 다른 리간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특이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른 리간드는 TFG-β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LRRC15 및 TFG-β에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는 TGF-β 수준을 감소시키거나 LRRC15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조직의 부위에서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TGF-β 수용체 활성이 LRRC15 발현을 지배하기 때문에, 이중-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의 사용은 TGF-β의 효과를 감소시킬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TGF-β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은 LRRC15의 발현을 감소시킬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양식은 TGF-β에 대해 특이적인 2개 또는 1개의 결합 부위와 조합된, 1 또는 2개의 이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의 결합 부위/부위들로서 DUNP19의 LRRC15 특이적-결합 부위를 합체함에 의해 생성된다. 항-TGF-β 항체의 예는 프레솔리무맙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프레솔리무맙은 서열번호: 3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4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TGF-β 수용체 시그널링을 억제하는 분자를 사용한 요법을 위한 환자를 선택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환자는 중간엽 줄기 세포에서 유래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하는 질환을 갖거나 갖는 것으로 의심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는 TGF-β 수용체 시그널링을 억제하는 분자를 사용한 요법을 위한 환자를 선택하는 용도를 위해 제공되며, 여기서 환자는 중간엽 줄기 세포에서 유래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하는 질환을 갖거나 갖는 것으로 의심된다. 방법 또는 용도는 a) 질환-연관된 조직에서의 세포 상에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단계; b)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환자가 대조군 대상체에서의 대조군 수준과 비교하여 더 높은 수준의 결합 또는 결합 모이어티의 내재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지면, 환자는 요법을 위해 선택되고 치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대조군 대상체는 건강한 대상체 또는 해당 질환이 없는 대상체이다. 질환,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의 예는 상기에 나열되었다. 영상화제 및 결합 모이어티의 예는 상기에서 논의되었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환자에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질환은 중간엽 줄기 세포에서 유래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는 환자에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용량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며, 여기서 질환은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한다. 방법 또는 용도는 a) 환자에게 치료제의 제1 용량 또는 이전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 b)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 발현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질환-연관된 조직의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는, 단계; c)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d) 치료제의 후속 용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후속 용량은 제1 또는 이전 용량보다 높은 단계, 및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 e) 후속 용량 후에 수득된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가 이전 용량 후에 수득된 것보다 낮을 때 단계 d)를 반복하는 단계; 및 f)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최적 용량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최적 용량은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의 최적 감소를 야기하는 용량인,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방법 또는 용도에서 후속 용량 후에 수득된 상기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가 이전 용량 후에 수득된 것보다 더 높은 경우, 이어지는 용량은 감소된 용량이 결합 또는 내재화의 상기 수준 또는 속도의 최적 감소를 야기하는 용량이 되도록 감소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감소된 용량은 이전 용량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방법 또는 용도에서 치료제는 TGF-β 수용체 시그널링을 억제하는 분자, 예컨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갈루니세르팁과 같은 TGF-β 수용체 I의 소분자 억제제이다. 질환,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의 예는 상기에 나열되었다. 영상화제 및 결합 모이어티의 예는 상기에서 논의되었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한다.
상기 투여량 결정의 방법의 원리는 환자가 증분 투여 일정에 놓이고, 유효 용량 수준은 여러 용량 후에 발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효 또는 최적 용량을 초과하는 용량은 부작용, 예를 들어 LRRC15 발현 및/또는 종양 성장 및/또는 독성에서 증가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용량이 투여된 후, LRRC15 수준은 감소된 LRRC15 발현(이는 효능의 표시임)을 평가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영상화에 의해 결정된다. 투여 및 영상화 주기는 투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된다. 용량 수준이 부작용, 예를 들어 LRRC15 발현 또는 독성의 증가로 이어지면, 이러한 부작용 이전의 투여량과 같은 더 낮은 용량이 유효 또는 최적 용량으로 식별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LRRC15에 결합하는 표적화 분자가 제공되며, 표적화 분자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표적화 분자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표적화 분자는 항체, Fv 단편, 항원 결합 단편(Fab), F(ab')2 단편, 단일 사슬 가변 단편(scFv), 이중특이성 T 세포 인게이저, 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어푸코실화된 항체 또는 이의 저-푸코스 변이체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LRRC15에 결합하는 표적화 분자는 LRRC1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특이성을 갖도록 조작된 이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일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중- 또는 삼중특이성 항체는 LRRC1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특이성, 및 또 다른 리간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특이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른 리간드는 TFG-β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LRRC15 및 TFG-β에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는 TGF-β 수준을 감소시키거나 LRRC15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조직의 부위에서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TGF-β 수용체 활성이 LRRC15 발현을 지배하기 때문에, 이중-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의 사용은 TGF-β의 효과를 감소시킬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TGF-β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은 LRRC15의 발현을 감소시킬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양식은 TGF-β에 대해 특이적인 2개 또는 1개의 결합 부위와 조합된, 1 또는 2개의 이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의 결합 부위/부위들로서 DUNP19의 LRRC15 특이적-결합 부위를 합체함에 의해 생성된다. 항-TGF-β 항체의 예는 프레솔리무맙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프레솔리무맙은 서열번호: 3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4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한다. 이중특이성 및 삼중특이성 항체의 제조에 대한 방법은 예를 들어, Labrijn et al., Bispecific antibodies: a mechanistic review of the pipeline, Nature Review Drug Discovery 18:585-608 (2019); Brinkmann et al., The making of bispecific antibodies, MAbs. Feb/Mar 2017;9(2):182-212; Sedykh et al., Bispecific antibodies: design, therapy, perspectives. Drug Des Devel Ther. 2018 Jan 22;12:195-208; Wu et al., Building blocks for bispecific and trispecific antibodies. Methods. 2019 Feb 1;154:3-9; 및 Runcie et al., Bi-specific and tri-specific antibodies- the next big thing in solid tumor therapeutics, Mol Med, 2018; 24:50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 표적화 분자를 포함하는 접합체가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접합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LRRC15 표적화 분자 및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를 포함한다.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는 치료적 방사성핵종 또는 양전자 방출기일 수 있다. 치료용 방사성핵종 및 양전자 방출기의 예는 상기에 나타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비-공유적으로 결합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결합 모이어티는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로 방사성표지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는 킬레이트제에 의해 항체에 접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합은 직접적이며, 즉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는 결합 모이어티에 직접적으로 접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합은 간접적이며, 즉 결합 모이어티 및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는 사전표적화 방법으로도 공지된, 생체내 접합된다.
세포독성제는 발명의 항체 또는 LRRC15 결합 모이어티와 공유적으로 또는 온-공유적으로 회합된 임의의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성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세포독성제에 부가하여, 이러한 다른 작용제는 항체, 항체 단편, 항원-결합 모이어티,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케모카인, 효소, 치료 단백질, 형광단 및 스테로이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는 TGF-β 억제제 또는 TGF-β 수용체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는 암 세포와 같은 세포에 독성인 작용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세포독성제는 중간엽 줄기 세포 또는 중간엽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세포에 독성인 작용제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포함하다",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괄한다", "포괄하는", "갖는" 및 이들의 접합체는 "비제한적으로 포괄하는"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참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어 "효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효소"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수의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범위 형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범위 형식의 설명은 단지 편의와 간결함을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에 대한 융통성 없는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범위의 설명은 가능한 모든 하위 범위와 해당 범위 내의 개별 수치를 구체적으로 공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에서 6과 같은 범위의 설명은 1에서 3, 1에서 4, 1에서 5, 2에서 4, 2에서 6, 3에서 6 등과 같은 하위 범위, 뿐만 아니라 해당 범위 내의 개별 수, 예를 들어 1, 2, 3, 4, 5 및 6을 구체적으로 공개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는 범위의 폭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수치 범위가 본 명세서에 표시될 때마다, 표시된 범위 내에서 임의의 인용된 숫자(분수 또는 정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구 제1 표시 번호 및 제2 표시 번호 "사이의 범주/범위" 및 제1 표시 번호 "내지" 제2 표시 번호의 "범주/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제1 및 제2 표시된 번호와 그 사이의 모든 분수 및 정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또는 과학적 용어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등가인 방법 및 재료가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방법 및/또는 재료가 아래에 기재되어 있다. 충돌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한 특허 명세서가 우선한다. 부가하여, 재료, 방법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반드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각 문헌 참조 또는 기타 인용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설명에서, 발명의 각 단계 및 그의 변형이 기술된다. 이 설명은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구성요소, 단계의 순서에서 변화 및 기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확성을 위해 별도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된 발명의 특정한 특징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반대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또는 발명의 임의의 다른 기술된 실시형태에서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기술된 특정한 특징은 실시형태가 이들 요소 없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들 실시형태의 필수 특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상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하기 청구범위 섹션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 및 양태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실험적 뒷받침을 발견한다. 발명의 특정한 특징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이제 많은 변형, 대체, 변경 및 균등물이 당업계에서의 통상인에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항-LRRC15 항체, DUNP19
DUNP19는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LRRC15-발현 3T3 세포로 마우스를 면역화하여 생성된 하이브리도마 mAb의 인간화에 의해 개발되었다. 유세포 분석으로 얻은 결과는 DUNP19가 야생형(wt) 및 형질감염된 LRRC15 발현을 갖는 세포의 범위에 대해 높은 시험관내 결합 특이성을 갖는 반면, 음성 세포에 대한 결합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한다(도 1). LRRC15-발현 세포주와 함께 인큐베이션된 DUNP19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법(LC-MS) 분석은 분자 결합 특이성을 확인했다. DUNP19가 계통발생학적으로 보존된 에피토프에 결합한다는 것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DUNP19는 설치류 또는 비-인간 영장류 LRRC15로 형질감염된 293T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LigandTracer(Ridgeview Instruments)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와 루테튬-177 표지된 DUNP19([177Lu]DUNP19) 간의 결합 상호작용을 평가했다. 이들 분석은 [177Lu]DUNP19가 피코몰 친화도(3.29E-10m)로 표적 세포를 결합함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공초점 영상화는 DUNP19가 LRRC15-발현 세포에 의해 빠르게 내재화되는 것을 밝혔다(도 2a-c). 내재화 속도는 pH-반응성 염료-표지된 DUNP19와 함께 인큐베이션된 SAOS2 세포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방출된 형광을 정량화함에 의해 연구되었다. 시간 경과에 따른 SAOS2 세포에서 세포내 마커(DAPI 및 LAMP1)로 Alexa-488 표지된 DUNP19의 공동국지화의 식별을 적용하여 내재화의 시간을 추가로 확인했다. 이들 연구는 DUNP19의 >50% 및 100%가 각각 30분 및 3시간에 내재화되었음을 입증했다.
생체내 표적화 특이성은 피하(s.c.) 종양 모델에서 전신으로(i.v.) 주사된 [177Lu]DUNP19의 조직 생체분포를 연구함에 의해 평가되었다. 그램당 주사된 활성 퍼센트(%IA/g)로 표시되는 방사선-접합체 흡수는 주사 후 24, 48 및 72시간에 12개의 다른 조직 및 혈액에서 평가되었다. U118 종양은 모든 시점에서 [177Lu]DUNP19의 %IA/g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도 3a). 더욱이, [177Lu]DUNP19 및 비-특이적 루테튬-177 표지된 mAb의 흡수는 각각 LRRC15 음성(LNCaP) 및 U118 종양에서 무시할 수 있었다(도 3b).
일 실시형태에서, DUNP19의 가변 중쇄는 다음의 서열을 포함한다:
QVQLVQSGAEVKKPGASVKVSCKASGYTFTDYYIHWVRQAPGQGLEWMGWINPNSDGTNYAQNFLGRVTMTRDTSISTAYMELSRLRSDDSAVYHCVREGRYSTSPFDYWGQGTLVTVSS(서열번호 1).
일 실시형태에서, DUNP19의 가변 경쇄는 다음의 서열을 포함한다:
DIVMTQSPDSLAVSLGERATINCKSSQSVLYSSNNRNYLAWYQQKPGQPPKLFIYWSSTRESGVPDRFSGSGSGTDFTLTISSLQAEDVAVYYCQQYYSTPFTFGQGTKLEIKR(서열번호 2).
실시예 2
DUNP19의 생체내 결합 특이성 및 생체분포 프로파일
본 실시예의 일 목적은 상이한 LRRC15 발현 프로파일을 갖는 면역-적격 및 면역-억제된 종양 모델의 범위에서 LRRC15-표적화된 방사선면역치료제를 추가로 평가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다음 DUNP19 항체의 종양 흡수 및 조직 동역학이 조사될 것이다: i) 면역-PET 영상화에 대해 최적의 반감기(3.3일)를 갖는 양전자 방출 방사성금속인 지르코늄-89로 표지된 DUNP19(89Zr-DFO-DUNP19, [89Zr]DUNP); ii) 베타-방출기 루테튬-177로 표지된 DUNP19(177Lu-DOTA-DUNP19, [177Lu]DUNP)(6.7일의 반감기) 및 iii) 악티늄-225로 표지된 DUNP19(225Ac-DOTA-DUNP19, [225Ac]DUNP), 알파-입자 방출 방사성금속(반감기 10일).
조직 생체분포 연구는 각각 종양 세포 회합된 LRRC15의 높은 수준, 무효 수준 및 낮은 수준을 발현하는 피하(s.c.) SAOS2, SAOS2LRRC15-null(CRISPR 편집된 LRRC15) 및 U20S 골육종 종양 이종이식편을 담지하는 SCID 마우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흡수는 종양에서 LRRC15의 열정적 기질 특이적 발현을 갖는 동계 췌장 선암종(PDAC) 모델에서 평가될 수 있다. 이 PDAC 모델은 흑색 6(BL/6) 마우스에서 KPP14388 세포(KrasG12D;p16/p19fl/fl;Pdx1-Cre PDAC GEM에서 유래)의 s.c. 접종에 의해 생성된다. 종양 모델(시점당 n=5)은 관심있는 방사성핵종 표지된 DUNP19 화합물의 주사(i.v.) 후 4, 24, 72, 120 및 240시간에 안락사될 것이다. 그램당 활성 퍼센트(%IA/g)는 수확된 장기 및 조직(구체적으로는; 종양, 혈액, 근육, 장, 간, 비장, 골수, 뼈, 신장, 방광, 폐, 심장, 뇌 및 침샘)에서 계산될 것이다.
[89Zr]DUNP19, [177Lu]DUNP 및 [225Ac]DUNP는 유사한 생체분포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종양 흡수는 LRRC15 발현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거시- 및 소-규모 선량측정. 생체분포로부터의 결과는 약동학/약력학(PK/PD)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장기와 비교하여 최대 종양의 흡수를 달성하기 위한 [89Zr]DUNP19, [225Ac]DUNP19 및 [177Lu]DUNP19의 최적 활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평균 흡수된 용량은 마우스-특이적 S-인자와 함께 MIRD-계획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MOBY 팬텀의 버전은 활용된 동물 모델과 관련된 장기/종양 S-인자의 계산에 적용될 수 있다. 실제 장기 크기는 몬테 카를로 패키지 MCNP6을 사용하여 S-값 계산을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시간-적분된 활동 계수는 생체역학 데이터를 이중-지수 곡선에 최소-제곱-피팅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인간에서 방사성의약품을 표적화하는 각각의 LRRC15에 대한 정상-장기 방사선 흡수된 용량과 유효한 용량은 마우스에서 측정된 시간-활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정될 수 있다.
PET 이미지(nanoScan PET/CT, Mediso)는 반복 재구성 알고리즘인 정렬된 부분집합 기대 최대값(OSEM)과 함께 Tera-Tomo™ 3-차원(3D) PET 이미지 재구성을 사용하여 0.3㎣ 복셀 크기를 갖는 이미지 부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수동으로 그린 3-차원 ROI는 다양한 조직에서 최대 및 평균 %IA/g(주사의 시간으로 보정된 부패)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는 VivoQuant 영상화 소프트웨어(InviCRO, USA)를 사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SUV 데이터는 쌍을 이루지 않은 양측 스튜던트스 t-테스트를 사용하여 분석될 수 있으며, 95% 신뢰 수준(P<0.05)에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통계 계산은 STATA 및/또는 프리즘(GraphPad)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종이식편 냉동절편의 디지털 자가방사선촬영은 Biomolex 700 Imager(Biomolex AS, 노르웨이 오슬로 소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렌더링된 이미지는 IDL 8.5(Exelis VIS, Harris Corporation) 및 ImageJ를 사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흡수된-용량 속도 분포는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에 의해 수득된 용량 점 커널(DPK)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특정 흡수 또는 흡수된 용량 속도와 세포 노화 및/또는 DNA-복구 사이의 상관관계는 인접 sa-β-gal 및/또는 H2AX 염색된 슬라이드 상의 상관 영역에서 동일한 ROI와 함께 자가방사선 이미지에서 3 내지 6 ROI(각 1.3 ± 1.1㎟)를 비교함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이들 이미지에서 핵 영역당 염색 강도는 ImageJ(Immunoratio plugin)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비-모수 Spearman 상관관계(IBM SPSS Statistics v.23)는 흡수된 용량과 바이오마커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방사선화학. 면역-치료제는 이전에 발표된 "원-스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방사성핵종 225Ac 또는 177Lu로 표지하기 이전에 킬레이터 DOTA와 DUNP19를 접합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전에 평가된 방법을 이용하여, [89Zr]DUNP19는 방사성핵종으로 표지하기 이전에 킬레이터 DFO B로 기능화될 수 있다. 방사선-치료학적 제형의 면역반응성 분획은 안정적으로 LRRC15 형질감염된 293T 세포에서 특정 세포 결합을 측정하는 시험관내 검정에 의해 생체내 실험 이전에 평가될 수 있다.
실시예 3
TGF-β 수용체 경로의 약리학적 조절에 대한 반응의 비-침습적 영상화
종양 연관된 TGF-β 활성을 평가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비-침습적 분자 바이오마커는 현재로 없다. 결과적으로, 약리학적 TGF-β 억제를 모니터링하는 것과 최적의 종양-특이적 용량의 식별은 어렵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운스트림 TGF-β 활성에 대한 마커로서 종양 연관된 LRRC15의 비-침습적 검출 및 정량화를 위한 [89Zr]DUNP의 활용이 조사된다.
[89Zr]DUNP가 LRRC15 발현의 TGF-β 연관된 증가를 신뢰성있게 검출할 수 있는지 여부가 조사될 것이다. 각각 U20S 골육종 및 KPP14388(PDAC) s.c. 종양을 담지하는 SCID 및 BL/6 마우스는 이전에 공개된 프로토콜에 따라 TSP-1-유래된 TGF-β1-활성화 펩티드의 종양내(i.t) 주사에 의해 TGF-β1 활성화를 받을 것이다. [89Zr]DUNP는 조작-후 10일에 투여될 수 있고 PET/CT 연구는 정맥내 투여 후 24, 72 및 120시간에 수행될 수 있다. TGF-β 자극된 종양(n= 5)에서 흡수는 비활성 '스크램블' 펩티드로 처리된 U20S 종양(n= 5)과 비교될 수 있다. 조직 및 종양은 수확되고 %IA/g가 평가되고 마지막 시점에서 PET에 의해 수득된 값과 상관되어 질 것이다.
다음으로, 갈루니세르팁(LY2157299)에 의한 TGF-β 수용체의 억제가 생체내 [89Zr]DUNP LRRC15-PET/CT 영상화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지 여부가 조사될 것이다. U20S 및 KPP14388 s.c. 이종이식편은 50% 및 100% 억제에 해당하는 경구 위관영양법 또는 비히클에 의해 1일 2회 투여되는 37.5 또는 75 mg/kg의 갈루니세르팁을 투여받는 그룹으로 무작위화될 것이다. [89Zr]DUNP는 갈루니세르팁 또는 비히클 치료 24시간 후에 i.v 투여될 수 있다. LRRC15-PET/CT 영상화 및 조직 생체분포 연구는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89Zr]DUNP 국소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TGF-β 활성화에 노출된 이종이식편에서 상당히 높을 것인 반면, 갈루니세르팁 처리된 마우스에서는 흡수가 상당히 더 낮고 용량 의존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요약하면, 이들 실험은 [89Zr]DUNP가 종양내 TGF-β 시그널링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4
저- 대 고-LET LRRC15 RIT의 효능
이 실시예는 악성 세포에서 표적 발현을 갖는 동물 모델에서 저- 대 고-LET LRRC15 방사선면역요법(RIT)의 효능을 평가한다. 상이한 선형 에너지 전달(LET)을 갖는 LRRC15-표적화된 RIT의 치료 효능 및 방사선-생물학적 효과가 평가될 것이다. 부가하여, 기질 세포 구획과 비교하여 악성 세포에서 종양-내 용량 침착의 용량-반응 및 치료적 영향이 조사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225Ac]DUNP19 및 [177Lu]DUNP19는 각각 고-LET 및 저-LET LRRC15 RIT를 나타낸다. 치료 용량-반응 효과는 이전의 생체분포 연구에서 이용된 s.c. 종양 모델에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SAOS2, SAOS2LRRC15-null, U20S 또는 KPP14388을 갖는 마우스는 [225Ac]huDUNP19(100μCi 또는 300μCi) 또는 [177Lu]huDUNP19(120μCi 또는 480μCi)의 단일 주입을 받을 것이다. 이 종양 세트(처리당 n=10, 4개 모델, 2개 화합물, 2개 용량; 10 x 4 x 2 x 2 = 160)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특정 표적화에 의해 생성된 변경 및 고양된 투과성과 유지력(EPR)과 같은 수동적 방관자 효과와 관련된 변경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련의 종양 부피는 캘리퍼스로 주당 3회 수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접하는 기질 세포에 [225Ac]DUNP19 또는 [177Lu]DUNP19의 침착으로부터 크로스-파이어 조사에 의해 야기된 종양 세포에서 그럴듯한 방사선생물학적 효과가 조사될 것이다. 상기 실험으로부터의 결과와 함께, 이 연구의 결과는 인접하는 종양 세포에 대한 저-LET 방사성핵종의 긴 범위 효과와 종양 기질의 짧은 범위 고-LET 방사성핵종 제거가 단독으로 유사한 항-종양 효과를 생성하는지 여부를 입증할 것이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KPP14388 s.c. 종양은 [225Ac]huDUNP19(100μCi 및 300μCi) 또는 [177Lu]huDUNP19(120μCi 및 480μCi)의 주사 후 120, 240시간 및 대략적으로 30일(치료 효과에 따라 다름)에 수확될 수 있다(처리당 n=3, 1개 모델, 2개 용량, 2개 화합물, 3개 시점; 3 x 1 x 2 x 2 x 3 = 36). KPP14388 종양의 섹션은 자가방사선사진에 의해 평가될 수 있는 반면 인접한 섹션은 노화-연관된 β-갈락토시다제(sa-β-gal) 및 DNA 복구 단백질 H2AX에 대해 공동-염색될 수 있다.
저 및 고-LET LRRC15-RIT 둘 모두는 종양 기공의 특이적이고 효과적인 근절을 초래하여 급성 미세환경 변화, 곁분비 지지의 고갈 및 고유 면역계에 대한 증가된 감수성을 통해 항-신생물 효과를 생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LET LRRC15-RIT를 이용하면 기질이 덜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지만, 긴 범위로부터의 크로스-파이어 효과는 인근 종양 세포의 가치있는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실시예 5
생체내 DUNP19 방사성접합체
이 실시예는 정맥내로(i.v.) 투여된 루테튬-177 표지된 DUNP19([177Lu]DUNP19)가 피하(s.c.) OS(SAOS2) 모델에서 특이적이고 효과적인 흡수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정상 조직에서의 축적은 매우 낮았고 표적-대-정상 조직 비율은 관찰된 2주 동안 빠르게 증가했다(도 4a, 4c 참조). SAOS2 모델과 비교하여 s.c. U118 GBM 모델에서 [177Lu]DUNP19의 흡수는 LRRC15 발현 수준과 호환가능한 더 낮은 종양 특이적 축적을 초래했다. 두 모델 모두에서 종양은 24-72시간 후에 [177Lu]DUNP19의 가장 높은 흡수를 나타내면서 다른 모든 기관에서 빠르게 제거되었다(도 4b-4c). [177Lu]DUNP19의 단일 주사는 강력한 치료적 항-종양 효과를 초래했다(도 4d).
LRRC15-표적화된 PET에 대해 DUNP19를 사용할 가능성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이 잠재적인 적용을 탐색하기 위해, DUNP19는 양전자 방출 방사성핵종 구리-64([64Cu]DUNP19)로 표시되었다. [64Cu]DUNP19의 생체내 동역학 및 표적화 성능은 골육종 s.c. 종양(SAOS2)을 발현하는 LRRC15에서 평가되었다. 결과는 우수한 종양 대 배경 비율로 고도로 특정한 흡수를 입증했다(도 5a-5c). 다른 유도체(예를 들어, [177Lu]DUNP19, [AF594]DUNP19 및 DUNP19-LF)에 기반한 데이터와 함께, DUNP19는 치료 및 진단 약리학적 작용제로서 인상적인 다용성을 분명하게 입증한다.
전신 투여 후 생체내 DUNP19의 표적 세포 내로의 내재화는 공초점 현미경 영상화(Leica TCS-SP5)에 의해 확인되었다. 특히, 형광단 AlexaFluor-594 표지된 DUNP19([AF594]DUNP19)의 i.v. 투여 72시간 후 동물로부터 수확된 SAOS2 s.c. 종양의 50μm 냉동절편이 영상화되었다. 세포하 구획과 관련하여 [AF594]DUNP19의 해부학적 위치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냅-동결된 OCT-고정된 블록의 50μm 섹션이 DNA(dapi, 파란색)와 액틴([AF647]phalloidin, 적색) 또는 리소좀 구획([AF488]LAMP1, 노란색)에 대해 공동-염색되었다(도 6). 공초점 이미지는 [AF594]DUNP19의 대부분이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 있음을 분명하게 입증했으며, 이는 시험관내 결과와 완전히 일치한다.
실시예 6
TGF-β 시그널링용 바이오마커
중간엽 줄기 세포(MSC)에서의 연구는 초생리학적 수준의 TGF-β로의 자극이 LRRC15 발현의 유도를 초래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놀랍게도, 다중 LRRC15 발현 암 세포에서의 평가는 TGF-β에 대한 전사 반응이 세포주 의존적이고 이분법적이며; 유도는 MSC보다 빠르고 훨씬 낮은 수준에서 발생하거나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유도된 발현이 대부분의 세포주에서 관찰되었지만, 높은 TGF-β 수준에서도 기준선 LRRC15 수준에서의 유도 없이 완전한 내성이 또한 관찰되었다(도 7). 흥미롭게도, 시험된 모든 세포주에서 TGF-β 수용체의 억제는 LRRC15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덜 공격적인 질환에서 유래된 세포에서 유도의 부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LRRC15 조절은 원발성 암을 억제하면서 공격적인 종양 성장을 촉진하는 TGF-β의 대조적인 역할에 연결될 수 있다. LRRC15 발현이 주로 공격적인 암 형태에서 발견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이전에 보고된 데이터와 함께 고려할 때, LRRC15-지향된 PET가 임상의에게 중요한 진단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시예 7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에 대한 DUNP19의 활용
세포 표면 결합된 DUNP19-LF를 인식하도록 이펙터 세포를 지향시킴에 의해 LRRC15-발현 종양을 치료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DUNP19의 낮은 푸코스 변이체(DUNP19-LF)가 구축되었다. 특히, LRRC15-지향된 ADCC는 혈액 악성종양(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라인 Kasumi-2 및 MHH-Call-3) 및 고형 종양(골육종, SAOS2)에서 유래된 세포주에서 연구되었다. 표적 세포는 1uM CFDA-SE로 표지되었고 96-웰 플레이트에서 웰당 0.01 x 106 세포로 도말되었다. 0-100ng/mL의 DUNP19-LF 또는 비-특이적 저 푸코스 이소타입 대조군(IgG1-LF)의 일련의 희석액이 표적 세포에 첨가되고 이펙터 세포의 첨가 전 37도에서 40분 동안 인큐베이션되었다. NK92 형질감염된 CD16 이펙터 세포는 5:1 또는 10:1 이펙터:표적 세포 비율로 표적 세포에 첨가하기 전 24시간 동안 100U/mL IL-2로 활성화되었다. 그런 다음 검정 플레이트는 37도에서 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되었고 죽은 세포는 고정가능한 생존성 염료(FVD) 660으로 염색되었다. 항체 의존성 세포-매개된 세포독성에 의해 사멸된 죽은 표적 세포를 식별하기 위해 모든 CFDA-SE+/FVD660+ 세포를 결정하기 위해 유세포분석이 사용되었다.
DUNP19-LF를 사용하는 LRRC15-표적화된 ADCC는 LRRC15-발현 종양 세포주 Kasumi-2 및 MHH-Call-3 및 고형 종양 세포주 Saos-2에서 입증되었다. B 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라인 Kasumi-2 및 MHH-Call-3에서, 2ng/mL 내지 8ug/mL의 항-LRRC15 DUNP19의 추가는 NK92-CD16 매개된 세포독성을 25%에서 60-80%로 증가시켜, DUNP19가 특히 NK92-CD16 세포를 LRRC15 양성 종양주에서 ADCC를 개시하도록 지향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소타입 대조군 항체 IgG1-LF 또는 이펙터 세포 단독의 추가로 표적 세포 사멸은 30% 미만으로 유지되었고 종양 세포에 대한 NK92-CD16 세포의 비특이적 세포독성에 기인할 수 있다. 골육종 세포주 SAOS2에서, ADCC는 0.4ng/mL 내지 100ng/mL DUNP19의 첨가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SAOS2 세포의 35-50% 사이를 사멸시켰다. 대조군과 실험군 둘 모두에서 전반적인 표적 세포 사멸은 이전 ADCC 검정보다 낮았고 이펙터 NK92-CD16 세포주에서 관찰된 다양한 정도의 세포 생존력 및 활성화에 기인할 수 있다. 요약하면, 이들 결과는 비표지된 DUNP19가 LRRC15 표적화된 면역치료 화합물로서 인상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한다.
SEQUENCE LISTING <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120> Immunotheranostic Agent Targeting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 <130> P-594449-PC <140> PCT/US21/25054 <141> 2021-03-31 <150> USSN 63/003,598 <151> 2020-04-01 <160> 4 <210> 1 <211> 120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heavy chain variable sequence that binds LRRC15 <400> 1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Asp Tyr 20 25 30 Tyr Il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Trp Ile Asn Pro Asn Ser Asp Gly Thr Asn Tyr Ala Gln Asn Phe 50 55 60 Leu Gly Arg Val Thr Met Thr Arg Asp Thr Ser Ile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Arg Leu Arg Ser Asp Asp Ser Ala Val Tyr His Cys 85 90 95 Val Arg Glu Gly Arg Tyr Ser Thr Ser Pro Phe Asp Tyr Trp Gly Gln 100 105 110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2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light chain variable seqeunce that binds LRRC15 <400> 2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Val Leu Tyr Ser 20 25 30 Ser Asn Asn Arg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Phe Ile Tyr Trp Ser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Gln 85 90 95 Tyr Tyr Ser Thr Pro Phe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100 105 110 Lys Arg <210> 3 <211> 120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 heavy chain variable seqeunce that binds TGFb <400> 3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Ser Ser Asn 20 25 30 Val Ile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Gly Val Ile Pro Ile Val Asp Ile Ala Asn Tyr Ala Gln Arg Phe 50 55 60 Lys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Glu Ser Thr Ser Thr Thr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Ser Thr Leu Gly Leu Val Leu Asp Ala Met Asp Tyr Trp Gly Gln 100 105 110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4 <211> 10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 light chain variable seqeunce that binds TGFb <400> 4 Glu Thr Val Leu Thr Gln Ser Pro Gly Thr Leu Ser Leu Ser Pro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Leu Ser Cys Arg Ala Ser Gln Ser Leu Gly Ser Ser 20 25 30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Ala Pro Arg Leu Leu 35 40 45 Ile Tyr Gly Ala Ser Ser Arg Ala Pro Gly Ile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Arg Leu Glu 65 70 75 80 Pro Glu Asp Phe Ala Val Tyr Tyr Cys Gln Gln Tyr Ala Asp Ser Pro 85 90 95 Ile Thr Phe Gly Gln Gly Thr Arg Leu Glu Ile Lys 100 105

Claims (70)

  1. 환자에서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로서, 상기 질환은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LRRC15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서 발현되고, 상기 결합 모이어티는 세포독성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어(internalized), 상기 세포독성제를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 전달하는, 결합 모이어티.
  2. 제1항에 있어서,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인, 결합 모이어티.
  3. 제1항에 있어서,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인, 결합 모이어티.
  4. 제1항에 있어서, 질환은 급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기도 질환, 만성 기관지염, 허파공기증 또는 폐기종인, 결합 모이어티.
  5. 제1항에 있어서, 질환-연관된 조직은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6. 제5항에 있어서, 종양은 췌장 종양, 난소 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골육종, 유방 종양, 두경부 종양, 폐 종양, 방광 종양, 결장직장 종양, 간세포 종양, 고환 종양, 자궁내막 종양, 위 종양, 신장 종양, 전립선 종양, 육종 또는 흑색종인, 결합 모이어티.
  7. 제6항에 있어서, 전립선암은 안드로겐 수용체 음성 또는 안드로겐 비의존성인, 결합 모이어티.
  8. 제5항에 있어서, 종양이 전이성인, 결합 모이어티.
  9. 제5항에 있어서, 종양 기질 세포는 섬유아세포, 중간엽 세포, 상피 세포,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10. 제1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단일-사슬 가변 단편(scFv), Fv 단편, 항원 결합 단편(Fab), F(ab')2 단편, 이중특이성 T 세포 인게이저(engager), 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인, 결합 모이어티.
  11. 제1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LRRC15에 대한 피코몰 친화도(picomolar affinity)를 갖는, 결합 모이어티.
  12. 제1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항체인, 결합 모이어티.
  13. 제12항에 있어서, 항체는 LRRC15 상의 계통발생적으로 보존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결합 모이어티.
  14. 제13항에 있어서, 항체는 포유동물 LRRC15에 결합하는, 결합 모이어티.
  15. 제12항에 있어서, 항체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인, 결합 모이어티.
  16. 제15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17. 제15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어푸코실화된 항체 또는 이의 저-푸코스 변이체인, 결합 모이어티.
  18. 제1항에 있어서, 세포독성제는 치료적 방사성핵종인, 결합 모이어티.
  19. 제18항에 있어서, 방사성핵종은 알파 입자 방출기, 베타 입자 방출기, 오제(Auger) 전자 방출기, 감마선 방출기 또는 이의 조합인, 결합 모이어티.
  20. 제19항에 있어서, 알파 입자 방출기는 우라늄, 라듐, 토륨 및 악티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 모이어티.
  21. 제19항에 있어서, 베타 입자 방출기는 우라늄, 토륨, 악티늄, 비스무트, 탈륨, 스트론튬, 세슘, 루테튬 및 지르코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 모이어티.
  22. 제19항에 있어서, 오제 전자 방출기는 테크네튬, 인듐 및 요오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 모이어티.
  23. 제19항에 있어서, 감마선 방출기는 우라늄, 토륨, 악티늄, 코발트, 세슘 및 테크네튬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 모이어티.
  24. 제1항에 있어서, 세포독성제는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 메르탄신, 메이탄사노이드, 탁산, 스트렙토니그린, 겔다나마이신, 캄프토테신, 칼리케아미신, 듀오카르마이신,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인, 결합 모이어티.
  25. 환자에서 질환-연관된 조직을 영상화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로서,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은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되고, 상기 LRRC15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서 발현되며, 상기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어, 상기 영상화제를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 전달하는, 결합 모이어티.
  26. 제25항에 있어서,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인, 결합 모이어티.
  27. 제25항에 있어서,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인, 결합 모이어티.
  28. 제25항에 있어서, 질환은 급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기도 질환, 만성 기관지염, 허파공기증 또는 폐기종인, 결합 모이어티.
  29. 제25항에 있어서, 질환-연관된 조직은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30. 제29항에 있어서, 종양은 췌장 종양, 난소 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골육종, 유방 종양, 두경부 종양, 폐 종양, 방광 종양, 결장직장 종양, 간세포 종양, 고환 종양, 자궁내막 종양, 위 종양, 신장 종양, 전립선 종양, 육종 또는 흑색종인, 결합 모이어티.
  31. 제30항에 있어서, 전립선암은 안드로겐 수용체 음성 또는 안드로겐 비의존성인, 결합 모이어티.
  32. 제29항에 있어서, 종양은 전이성인, 결합 모이어티.
  33. 제29항에 있어서, 종양 기질 세포는 섬유아세포, 중간엽 세포, 상피 세포,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34. 제25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단일-사슬 가변 단편(scFv), Fv 단편, 항원 결합 단편(Fab), 또는 F(ab')2 단편인, 결합 모이어티.
  35. 제25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LRRC15에 대한 피코몰 친화도를 갖는, 결합 모이어티.
  36. 제25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항체인, 결합 모이어티.
  37. 제36항에 있어서, 항체는 LRRC15 상의 계통발생적으로 보존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 결합 모이어티.
  38. 제37항에 있어서, 항체는 포유동물 LRRC15에 결합하는, 결합 모이어티.
  39. 제38항에 있어서, 항체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인, 결합 모이어티.
  40. 제39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41. 제39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어푸코실화된 항체 또는 이의 저-푸코스 변이체인, 결합 모이어티.
  42. 제25항에 있어서, 영상화제는 양전자 방출기인, 결합 모이어티.
  43. 제42항에 있어서, 양전자 방출기는 18F, 15O, 11C, 13N, 82Rb, 68Ga, 64Cu, 76Br, 86Y, 89Zr, 및 124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결합 모이어티.
  44. TGF-β 수용체 시그널링을 억제하는 분자에 의한 치료를 위한 환자를 선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로서, 상기 환자는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하는 질환을 갖거나 가질 것으로 의심되고, 상기 LRRC15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 발현되고, 상기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며, 여기서 대조군 대상체에서 대조군 수준과 비교하여 상기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더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환자는 TGF-β 수용체 시그널링을 억제하는 상기 분자에 의해 치료되도록 선택되는, 결합 모이어티.
  45. 제44항에 있어서,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인, 결합 모이어티.
  46. 제44항에 있어서, 질환-연관된 조직은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47. 제44항에 있어서, 질환은 급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기도 질환, 만성 기관지염, 허파공기증 또는 폐기종인, 결합 모이어티.
  48. 제46항에 있어서, 종양은 췌장 종양, 난소 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골육종, 유방 종양, 두경부 종양, 폐 종양, 방광 종양, 결장직장 종양, 간세포 종양, 고환 종양, 자궁내막 종양, 위 종양, 신장 종양, 전립선 종양, 육종 또는 흑색종인, 결합 모이어티.
  49. 제46항에 있어서, 종양은 전이성인, 결합 모이어티.
  50. 제46항에 있어서, 종양 기질 세포는 섬유아세포, 중간엽 세포, 상피 세포,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51. 제44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52. 환자에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의 용량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LRRC15를 표적화하는 결합 모이어티로서, 상기 질환은 중간엽 줄기 세포로부터 유래되거나 이와 연관된 질환-연관된 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LRRC15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 상에 발현되고, 상기 결합 모이어티는 영상화제와 회합되고 결합 모이어티는 상기 질환-연관된 조직에서 세포에 의해 내재화되며, 여기서 상기 치료제의 용량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결합 모이어티:
    a) 환자에게 상기 치료제의 제1 용량 또는 이전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
    b) 환자에게 LRRC15를 표적화하는 상기 결합 모이어티를 투여하는 단계;
    c) 상기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
    d) 환자에게 상기 치료제의 후속 용량을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후속 용량은 제1 또는 이전 용량보다 더 높은 단계, 및 단계 b) 및 c)를 반복하는 단계;
    e) 후속 용량 이후에 수득된 상기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가 이전 용량 이후에 수득된 것보다 더 낮을 때 단계 d)를 반복하는 단계; 및
    f) 상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상기 치료제의 최적 용량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최적 용량은 결합 또는 내재화의 상기 수준 또는 속도의 최적 감소를 야기하는 용량인, 단계.
  53. 제52항에 있어서, 후속 용량 후에 수득된 상기 결합 모이어티의 결합 또는 내재화의 수준 또는 속도가 이전 용량 후에 수득된 것보다 더 높은 경우, 상기 감소된 용량이 결합 또는 내재화의 상기 수준 또는 속도의 최적 감소를 야기하는 용량이 되도록 이어지는 용량을 감소시키는, 결합 모이어티.
  54. 제53항에 있어서, 감소된 용량은 이전 용량인, 결합 모이어티.
  55. 제52항에 있어서, 치료제는 TGF-β 수용체 시그널링을 억제하는 분자인, 결합 모이어티.
  56. 제52항에 있어서,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인, 결합 모이어티.
  57. 제52항에 있어서, 질환-연관된 조직은 종양 또는 종양 기질 세포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58. 제52항에 있어서, 질환은 급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만성 폐쇄성 기도 질환, 만성 기관지염, 허파공기증 또는 폐기종인, 결합 모이어티.
  59. 제57항에 있어서, 종양은 췌장 종양, 난소 암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골육종, 유방 종양, 두경부 종양, 폐 종양, 방광 종양, 결장직장 종양, 간세포 종양, 고환 종양, 자궁내막 종양, 위 종양, 신장 종양, 전립선 종양, 육종 또는 흑색종인, 결합 모이어티.
  60. 제52항에 있어서, 종양은 전이성인, 결합 모이어티.
  61. 제57항에 있어서, 종양 기질 세포는 섬유아세포, 중간엽 세포, 상피 세포,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62. 제52항에 있어서, 결합 모이어티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을 갖는 가변 중쇄 및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갖는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결합 모이어티.
  63. LRRC15에 결합하는 표적화 분자로서, 상기 표적화 분자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표적화 분자.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분자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표적화 분자.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화 분자는 항체, Fv 단편, 항원 결합 단편(Fab), F(ab')2 단편, 단일 사슬 가변 단편(scFv), 이중특이성 T 세포 인게이저, 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인, 표적화 분자.
  66. 제65항에 있어서, 항체는 인간화된 모노클로날 항체인, 표적화 분자.
  67. 제66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는 어푸코실화된 항체 또는 이의 저-푸코스 변이체인, 표적화 분자.
  68. 제64항의 표적화 분자 및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를 포함하는 접합체.
  69. 제68항에 있어서, 세포독성제 또는 영상화제는 치료적 방사성핵종 또는 양전자 방출기인, 접합체.
  70. 제68항에 있어서, 세포독성제는 모노메틸 아우리스타틴 E, 메르탄신, 메이탄사노이드, 탁산, 스트렙토니그린, 겔다나마이신, 캄프토테신, 칼리케아미신, 듀오카르마이신,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인, 접합체.
KR1020227037264A 2020-04-01 2021-03-31 중간엽 줄기 세포-유래된 암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 연관된 질환을 표적화하는 이뮤노테라노스틱 작용제 KR20220161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03598P 2020-04-01 2020-04-01
US63/003,598 2020-04-01
PCT/US2021/025054 WO2021202642A2 (en) 2020-04-01 2021-03-31 Immunotheranostic agent targeting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cancer cells and mesenchymal stem cell associated dise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395A true KR20220161395A (ko) 2022-12-06

Family

ID=7792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264A KR20220161395A (ko) 2020-04-01 2021-03-31 중간엽 줄기 세포-유래된 암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 연관된 질환을 표적화하는 이뮤노테라노스틱 작용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33775A1 (ko)
EP (1) EP4125991A2 (ko)
JP (1) JP2023520392A (ko)
KR (1) KR20220161395A (ko)
CN (1) CN115379848A (ko)
AU (1) AU2021246485A1 (ko)
BR (1) BR112022019758A2 (ko)
CA (1) CA3174263A1 (ko)
WO (1) WO20212026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75036B (zh) * 2022-08-18 2023-06-09 北京诺赛国际医学研究院 包含干细胞的药物组合物及其治疗癌症的用途
WO2024081729A2 (en) * 2022-10-12 2024-04-18 Mythic Therapeutics, Inc. Lrrc-15-binding protein construct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2770B2 (en) * 2005-10-19 2018-01-09 Ibc Pharmaceuticals, Inc. Multivalent antibody complexes targeting IGF-1R show potent toxicity against solid tumors
AR090549A1 (es) * 2012-03-30 2014-11-19 Genentech Inc Anticuerpos anti-lgr5 e inmunoconjugados
WO2017095805A1 (en) * 2015-11-30 2017-06-08 Abbvie Inc. ANTI-huLRRC15 ANTIBODY DRUG CONJUGATES AND METHODS FOR THEIR USE
WO2018083087A2 (en) * 2016-11-02 2018-05-11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Binding proteins
WO2018227018A1 (en) * 2017-06-07 2018-12-13 Silverback Therapeutics, Inc. Antibody conjugates of immune-modulatory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11692042B2 (en) * 2018-03-09 2023-07-04 Agenus Inc. Anti-CD73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46485A1 (en) 2022-11-17
EP4125991A2 (en) 2023-02-08
CA3174263A1 (en) 2021-10-07
US20230133775A1 (en) 2023-05-04
WO2021202642A3 (en) 2021-11-11
WO2021202642A2 (en) 2021-10-07
CN115379848A (zh) 2022-11-22
JP2023520392A (ja) 2023-05-17
BR112022019758A2 (pt)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25961A1 (en) Therapeutic agents and uses thereof
Kramer-Marek et al. The role of nuclear medicine in modern therapy of cancer
US10646599B2 (en) Method for upregulating antigen expression
Liu et al. 177Lu-labeled antibodies for EGFR-targeted SPECT/CT imaging and radioimmunotherapy in a preclinical head and neck carcinoma model
KR20220161395A (ko) 중간엽 줄기 세포-유래된 암 세포 및 중간엽 줄기 세포 연관된 질환을 표적화하는 이뮤노테라노스틱 작용제
WO2019177970A1 (en) Bispecific binding agents and uses thereof
US11427648B2 (en) Anti-CD146 antibodies and uses thereof
Ehlerding et al. Targeting angiogenesis for radioimmunotherapy with a 177Lu-labeled antibody
Grudzinski et al. CLR 125 Auger electrons for the targeted radiotherapy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Ren et al. Improved immuno-PET imaging of HER2-positive tumors in mice: urokinase injection-triggered clearance enhancement of 64Cu-trastuzumab
WO2022235676A1 (en) Radioimmunoconjugates directed to nkg2d ligand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A2723323A1 (en) Use of a radioactively labelled molecule specifically binding to ed-b fibronectin in a method of treatment of hodgkin lymphoma
RYAN Bevacizumab radioimmunotherapy (RIT) with accelerated blood clearance using the avidin chase
Jadvar Sequential and Combination Therapies of 223 RaCl2 and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Radioligand Therapy
Abozeid Imaging and Radio-immunotherapy of pancreatic cancer
RIT Session 4: Cancer–III
최익준 Anti-tumor effect of radioimmunotherapy using 177Lu-labeled anti-EGFR monoclonal antibody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xenograft model
MOROZ PRECLINICAL TESTING OF NEW MODALITIES FOR PET VISUALIZATION AND TREATMENT OF RAS-DRIVEN CAN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