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103A -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103A
KR20220161103A KR1020210075728A KR20210075728A KR20220161103A KR 20220161103 A KR20220161103 A KR 20220161103A KR 1020210075728 A KR1020210075728 A KR 1020210075728A KR 20210075728 A KR20210075728 A KR 20210075728A KR 20220161103 A KR20220161103 A KR 20220161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heart sound
subject
respiratory rat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248B1 (ko
Inventor
장현호
Original Assignee
젠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젠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6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by whole-body plethys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61B5/113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by monitoring thoracic expa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와,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와,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실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상기 청진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및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 회로(counting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RESPIRATORY RATE USING HEART SOUND, AND HEART SOUND MEASURRING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심음을 이용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진 센서에서 획득된 심음의 파형에서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되어 다이아프램에 의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여 심음의 변화에서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자 장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센서들은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외부,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운동 상태 또는 이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생체 신호 중 호흡수는 신체의 가장 기본적인 활력 정도를 파악하는 바이탈 사인 중 하나로서, 호흡률, 즉 분당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피검체의 호흡률 또는 호흡수를 측정하는 방식에는 폐활량측정법(spirometry),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의 방식이 존재한다.
폐활량측정법(spirometry)은 폐활량측정기를 이용하여 폐에 들어오고 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측정하는 방식이고, 호기말이산화탄소분압측정술(capnometry)은 호흡에 따른 CO2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정확도는 비교적 높으나,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청진센서를 이용하여 심음 및 호흡수를 측정할 때에는 호흡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별도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청진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초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청진 센서에서 획득된 심음의 파형에서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되어 다이아프램에 의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여 심음의 변화에서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는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와,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와,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실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상기 청진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및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 회로(counting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 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운팅 회로는, 상기 청진 센서가 획득한 심음 파형에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은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실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상기 청진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상기 청진 센서가 측정한 심음 신호를 카운팅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회로 (communication circuit)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sensing device) 및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심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심음 신호에서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 장치(count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운팅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호흡수 카운팅을 위한 심음 측정 장치는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와,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와,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실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상기 청진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청진 센서가 측정한 심음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회로 (communication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음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다이아프램이 실장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청진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된 측정 장치가 측정한 심음 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운팅 모듈(counting module)이 상기 측정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호흡수를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장치의 하우징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진 센서에서 획득된 심음의 파형에서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되어 다이아프램에 의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여 심음의 변화에서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호흡음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지 않아도 심음만으로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측정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측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아프램 형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에 구비된 청진 센서로 측정된 심음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소리 전이 홀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2 실시예의 측정 장치와 점착 패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측정 장치와 점착 패치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측정 장치와 점착 패치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10)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 (101)에 의해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되고 실장된 청진 센서(102)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 장치(10)는 피검체의 호흡중 흉곽 둘레가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팅한다.
특히, 측정 장치(10)는 청진 센서(102)에서 획득된 심음의 파형에서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되어 다이아프램(124)에 의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여 심음의 변화에서 호흡수를 카운트한다.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는 청진 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심음의 변화(파형)에서 다이아프램(124)의 변형에 의한 파형의 피크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호흡음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지 않아도 심음의 변화에서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예컨대, 피검체의 호흡은 흡기와 호기로 구분된다.
흡기(Ins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Intercostal muscle)이 수축하여 늑골(Rib)이 들리고, 횡격막(Diaphragm) 역시 수축함에 따라 내려가 흉강(Thoracic cage)의 부피가 늘어난다. 반대로, 호기(Expiration) 과정에서는 늑간근이 이완하여 늑골이 내려가고, 횡격막도 이완하여 올라가 흉강의 부피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서 호흡은 흡기와 호기를 검출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좁은 의미로 흉곽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 좁은 의미로 폐의 팽창과 수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호흡이라는 정의는 흡기와 호기를 포괄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흉곽 또는 폐의 팽창과 수축을 아우르는 의미로 해석된다.
본 실시예에서 피검체는 인간 및 동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10)에 연결되는 웨어러블 밴드(101)는 피검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밴드(101)의 양 끝단에는 버클(미도시), 스냅 단추(미도시) 또는 벨크로(미도시)와 같은 부재가 구비되어 웨어러블 밴드(101)착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웨어러블 밴드(101)은 신축성을 가지거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피검체의 체형에 따라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측정 장치(1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측정 장치(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는 측정 장치(1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housing)(100)과, 하우징(100)의 내부에 실장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102), 카운팅 회로(counting circuit)(103) 및 측정 장치(10)의 외부에 구비된 다이아프램(diaphragm)(124)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고 구획벽(121)에 의해 상, 하부가 구획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102), 카운팅 회로(counting circuit)(103) 등 다양한 모듈, 센서, 및 회로가 실장된다.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커버(111)가 결합되어 상부 공간이 밀폐된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피검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124) 및 소리 전이 공간(125)이 형성된다. 다이아프램(124)은 하우징(100)의 겉면에 형성되고,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125)은 하우징(100)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벽(121)과 다이아프램(124) 사이에서 다이아프램(124)을 일 면으로 갖게 형성된다.
구획벽(121)의 중심에는 소리 전이 홀(122)이 형성된다. 소리 전이 홀(122)은 소리 전이 공간(125)에서 다이아프램(124)의 변형에 의해 발생된 소리가 상부 즉, 청진 센서(102)로 통과되는 홀이다. 구획벽(121)은 소리 전이 홀(122)이 형성된 중심이 하우징(100)의 상부 즉, 다이아프램(124)과 대향하는 면을 향하도록 상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구획벽(121)의 중심이 상향 경사지기 때문에 소리 전이 공간(125)에서 발생된 소리가 소리 전이 홀(122)로 집중될 수 있다.
청진 센서(102)는 측정 위치에 따라 피검체의 다양한 생체음을 감지한다. 생체음에는 심음과 폐음이 포함되며, 그 외에 다른 장기의 소리나 주변의 잡음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청진 센서(102)는 피검체의 심장 부위에 부착되어 심음을 측정한다.
청진 센서(102)는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는 마이크로폰(미도시)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서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증폭기(미도시)와, 신호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청진 센서(102)의 기판에는 구획벽(121)의 중심에 형성된 소리 전이 홀(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집음 홀(123)이 형성된다. 집음 홀(123)은 소리 전이 홀(12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청진 센서(102)의 마이크로폰은 집음 홀(123) 또는 소리 전이 홀(122)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설명할 심음 파형에서 피크치(peak value)의 변화를 용이하게 포착하기 위해서 집음 홀(123)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피검체의 호흡 중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된 순간의 다이아프램(124)의 변형에 의한 소리 즉,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의한 소리는 청진 센서(102)에서 포착되고, 그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의한 소리는 청진 센서(102)에서 획득한 심음의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대응하는 파형의 변형(피크치(peak value))을 발생시킨다.
이때,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소리 전이 홀(122)과 집음 홀(123)은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의한 소리를 증폭시켜 청진 센서(102)에서 파형의 변화(피크치(peak value))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집음 홀(123)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집음 홀(123)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소리 전이 홀(122)에 구비되거나 또는 청진 센서(102)가 소리 전이 홀(12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diaphragm)(124)은 피검체의 신체에 접촉되는 하우징(100)의 겉면 즉, 소리 전이 공간(125)의 저면에 구비된다. 다이아프램(124)은 탄성이 있는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된다.
다이아프램(124)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볼록렌즈 형상(도 4 참조) 또는 판상(板狀) 형상(도 5 참조)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다이아프램(124)이 볼록렌즈 형상으로 형성되면, 소리 전이 공간(125)은 저면 중 일부가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측정 장치(10)가 피검체의 흉곽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 다이아프램(124)이 소리 전이 공간(125)을 향하도록 외형 변형이 이루어져 소리 전이 공간(125)를 변형시킨다(도 4 및 도 5 참조). 본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10)의 다이아프램(124)은 외형 변형이 용이한 볼록한 형태를 채택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 양단에는 웨어러블 밴드(101)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 구조(110)가 형성된다. 체결 구조(110)는 웨어러블 밴드(101)가 통과되어 묶일 수 있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거나, 웨어러블 밴드(101)가 걸어질 수 있는 고리(미도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 구조(110)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카운팅 회로(103)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10)에 구비된 청진 센서(102)로 측정된 심음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카운팅 회로(counting circuit)(103)는 하우징(100)에 실장된다. 카운팅 회로(103)는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소리 전이 공간(125)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한다.
예컨대, 측정 장치(10)가 피검체의 흉곽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검체가 호흡을 하면 흉곽이 팽창하는데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 다이아프램(124)이 소리 전이 공간(125)을 향하도록 외형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이아프램(124)에 의해 소리 전이 공간(125) 내부도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변형에 의한 소리가 발생된다. 여기서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는 호흡이 변화되는 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흡이 변화되는 순간은 들숨에서 날숨으로 변화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다이아프램(124)의 변형 즉,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의한 소리는 청진 센서(102)에서 획득한 심음의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대응하는 파형의 변형(피크치(peak value))을 발생시킨다.
카운팅 회로(103)는 청진 센서(102)가 획득한 심음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A)으로 간주하고 그 구간의 주기를 이용해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트한다. 여기서 호흡 구간(A)은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된 순간 즉, 들숨에서 날숨으로 변화되는 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A)을 제외한 구간은 일반적인 심음의 구간(B)으로 간주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는 청진음에 의해 측정된 심음의 변화(파형)에서 다이아프램(124)의 변형에 의한 파형의 피크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호흡음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되지 않아도 심음의 변화에서 호흡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소리 전이 홀(122)의 변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리 전이 홀(122)의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해 돌출된 와류부재(126)가 형성된다. 와류부재(126)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류부재(126)는 피검체의 호흡 중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된 순간의 다이아프램(124)의 변형 즉, 소리 전이 공간(125)의 변형에 의한 소리가 소리 전이 홀(122)을 통과할 때 와류 작용에 의해 소리를 증폭시켜 청진 센서(102)에서 파형의 변형(피크치(peak value))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측정 장치(20)에서 피검체의 신체에 부착되는 방식이 변형된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측정 장치(20)는 제1 실시예의 측정 장치(10)에서 홀더(101)가 제외되고 외주 편(201) 및 점착 패치(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의 측정 장치(20)는 제1 실시예의 홀더(101)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측정 장치(20)와 점착 패치(21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측정 장치(20)와 점착 패치(210)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측정 장치(20)와 점착 패치(210)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점착 패치(210)(sticky patch)는하우징(2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20)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한다.
예컨대, 하우징(200)에는 피검체의 접촉면 부위의 둘레에 편 형태로 돌출된 외주 편(201)이 형성된다.
점착 패치(210)는 하우징(200)이 노출되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고, 하우징(200)에 형성된 외주 편(201)의 외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점착 패치(210)는 하우징(200) 외주 편(201) 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점착 패치(210)의 일부는 점착 패치(210)의 일면을 덮도록 부착되고, 나머지 부위는 피검체의 신체에 부착된다. 점착 패치(210)는 피검체의 진단 부위 피부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피검체의 의류 표면에 부착되어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점착 패치(210)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점착 패치(210)는 하우징(200)의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호흡수 카운팅을 위한 심음 측정 장치(30)로부터 심음 신호를 제공받고, 심음 신호에서 심음의 변화에 대한 파형을 분석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측정 장치(3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측정 장치(10, 20)에서 카운팅 회로(103)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실시예의 카운팅 회로(103)를 제외한 제3 실시예의 측정 장치(3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측정 장치(sensing device)(30)는 통신 회로(communication circuit)(340)를 더 포함한다.
통신 회로(340)는 청진 센서(310)가 측정한 심음의 신호를 카운팅 장치(4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회로(340)는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과 같은 장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회로(340)는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통신 회로(340)는 이동식 저장 매체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측정 장치(30)는 청진 센서(310)로부터 측정된 심음 신호를 카운팅 장치(40)로 전송한다.
카운팅 장치(40)는 측정 장치(30)로부터 심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심음 신호에서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소리 전이 공간(도 3의 125)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운팅 장치(40)는 의료용 프로그램 또는 진단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PC, 노트북, 태블릿PC 및 의료전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 장치(30)가 피검체의 흉곽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검체가 호흡을 하면 흉곽이 팽창하는데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 다이아프램(320)이 소리 전이 공간(도 3의 125)을 향하도록 외형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이아프램(320)에 의해 소리 전이 공간(도 3의 125) 내부도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소리가 발생된다. 여기서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는 호흡이 변화되는 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흡이 변화되는 순간은 들숨에서 날숨으로 변화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다이아프램(320)의 변형 즉, 소리 전이 공간(도 3의 125)의 변형에 의한 소리는 청진 센서(310)에서 획득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도 3의 125)의 변형에 대응하는 파형의 변형(피크치(peak value))을 발생시킨다.
카운팅 장치(40)는 측정 장치(30)로부터 제공받은 청진 센서(310)가 획득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도 3의 125)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그 구간의 주기로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트한다.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을 제외한 구간은 일반적인 심음의 구간으로 간주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 장치(30)는 청진 센서(310)로부터 획득된 심음 신호를 카운팅 장치(40)뿐만 아니라 의료 진단용 서버(미도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카운팅 장치(40)에서 카운팅된 피검체의 호흡수는 의료 진단용 장치 또는 서버로 제공되어 피검체의 질환 및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상태는 폐의 이상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폐의 이상 상태라함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사전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상 상태는 폐에 체액이 차서 발생하는 폐부종을 포함한다.
예컨대, 폐부종은 호흡주기(호흡수)가 정상상태의 20%를 초과하는 것으로 계산되면 이상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측정 장치(30)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음 신호에서 피검체의 호흡수 카운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4 실시예의 측정 장치는 제3 실시예의 측정 장치(3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피검체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 및 어류를 아우르는 동물일 수 있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피검체의 호흡수 카운팅 방법은 심음 신호를 제공 받는 단계(S100) 및 호흡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심음 신호를 제공 받는 단계(S100)는 카운팅 모듈(counting module)이 측정 장치로부터 피검체의 심음 신호를 전송받는다.
심음 신호를 제공 받는 단계(S100)에서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에 의해 피검체의 신체에 착용되고 실장된 청진 센서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 장치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음 신호를 카운팅 모듈로 전송한다.
통신 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과 같은 장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회로는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통신 회로는 이동식 저장 매체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측정 장치는 청진 센서로부터 측정된 심음 신호를 카운팅 모듈로 전송한다.
호흡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200)는 카운팅 모듈(counting module)이 측정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호흡수를 카운트한다.
여기서 카운팅 모듈은 의료용 PC,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및 의료전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호흡수를 카운트하는 단계(S200)에서 카운팅 모듈은 측정 장치로부터 심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심음 신호에서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한다.
예컨대, 측정 장치가 피검체의 흉곽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검체가 호흡을 하면 흉곽이 팽창하는데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 다이아프램이 소리 전이 공간을 향하도록 외형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이아프램에 의해 소리 전이 공간 내부도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소리가 발생된다. 여기서 흉곽이 최대치로 팽창했을 때는 호흡이 변화되는 순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흡이 변화되는 순간은 들숨에서 날숨으로 변화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다이아프램의 변형 즉,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은 청진 센서에서 획득한 심음의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대응하는 파형의 변형(피크치(peak value))을 발생시킨다.
카운팅 모듈은 측정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청진 센서가 획득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그 구간의 주기를 통해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트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측정 장치
100: 하우징
101: 웨어러블 밴드
102: 청진 센서
103: 카운팅 회로
121: 구획벽
122: 소리 전이 홀
123: 집음 홀
124: 다이아프램
125: 소리 전이 공간

Claims (22)

  1.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실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상기 청진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및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 회로(counting circuit)
    를 포함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 가 더 형성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회로는, 상기 청진 센서가 획득한 심음 파형에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호흡수를 카운트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
    을 더 포함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7.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실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상기 청진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상기 청진 센서가 측정한 심음 신호를 카운팅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회로 (communication circuit)를 포함하는 측정 장치(sensing device); 및
    상기 측정 장치로부터 심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심음 신호에서 피검체의 호흡에 의해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이 변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심음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계산하는 카운팅 장치(counting device)
    를 포함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가 더 형성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호흡수를 카운트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
    을 더 포함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
  13. 피검체의 심음을 측정하는 청진 센서(auscultating sensor);
    피검체의 호흡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실장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상기 청진 센서를 실장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청진 센서가 측정한 심음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회로 (communication circuit)
    를 포함하는 호흡수 카운팅을 위한 심음 측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음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가 더 형성되는 호흡수 카운팅을 위한 심음 측정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호흡수 카운팅을 위한 심음 측정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호흡수 카운팅을 위한 심음 측정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
    을 더 포함하는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시스템.
  18. 피검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다이아프램이 실장되고, 상기 다이아프램과 이격된 대향 위치에 청진 센서가 실장되며, 상기 청진 센서와 상기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다이아프램을 일 면으로 하는 소리 전이 공간(sound transition room)이 형성된 측정 장치가 측정한 심음 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호흡수를 카운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운팅 모듈(counting module)이 상기 측정된 심음 신호의 파형에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의 변형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피크치(peak value)를 보이는 파형 구간을 호흡 구간으로 간주하고 호흡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피검체의 호흡수 카운팅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장치는 웨어러블 밴드(wearable ban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정 장치의 하우징 양단에 상기 웨어러블 밴드의 체결 구조가 더 형성되는 인간을 제외한 피검체의 호흡수 카운팅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전이 공간은, 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된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간을 제외한 피검체의 호흡수 카운팅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피검체와 접촉 방향으로 판상(板狀) 또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인간을 제외한 피검체의 호흡수 카운팅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상기 측정 장치를 피검체의 진단 부위에 밀착시키는 점착 패치(sticky patch) 또는 웨어러블 패브릭(wearable fabric)
    을 더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피검체의 호흡수 카운팅 방법.
KR1020210075728A 2021-05-28 2021-06-10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 KR1026422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73 2021-05-28
KR20210068773 2021-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103A true KR20220161103A (ko) 2022-12-06
KR102642248B1 KR102642248B1 (ko) 2024-02-29

Family

ID=8440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728A KR102642248B1 (ko) 2021-05-28 2021-06-10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2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867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측정 장치
JP2018126511A (ja) * 2017-02-07 2018-08-16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心拍数及び呼吸数計測装置
KR20190139127A (ko) 2018-06-07 2019-12-17 메디타코리아 주식회사 의료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867A (ko) * 2016-08-3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측정 장치
JP2018126511A (ja) * 2017-02-07 2018-08-16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心拍数及び呼吸数計測装置
KR20190139127A (ko) 2018-06-07 2019-12-17 메디타코리아 주식회사 의료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248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5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spiration rate
US11534130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cardiac and/or respiratory disease of a subject
US11116448B1 (en) Multi-sensor wearable patch
Pandian et al. Smart Vest: Wearable multi-parameter remote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CN105286823B (zh) 穿戴式自供电多生理参数监测装置及监测方法
US11207025B1 (en) Multi-sided PCB for contact sensing
Ali et al. Contact and remote breathing rate monitoring techniques: A review
US7828742B2 (en) Method and system of monitoring respiratory signal by radio
US20080306348A1 (en) Miniature wireless apparatus for recording physiological signals of humans and use thereof
Qiu et al. A wearable bioimpedance chest patch for real-time ambulatory respiratory monitoring
Sharma et al. A wearable RF sensor for monitoring respiratory patterns
Javadpour et al. A wearable medical sensor for provisional healthcare
US11141129B1 (en) Multi-sensor auscultation device
KR102333364B1 (ko) 웨어러블 생체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7237833B2 (ja) 呼吸ステータスの検出を容易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ストレージ媒体
KR102642248B1 (ko) 심음을 이용한 호흡수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심음 측정 장치
KR102597396B1 (ko) 다이아프램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
US20220369965A1 (en) Noninvasive device for monitor, detection, and diagnosis of diseases and human performance
KR102550296B1 (ko) 포고 핀을 이용한 호흡 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호흡 측정 장치
Nesar et al. Improving touchless respiratory monitoring via lidar orientation and thermal imaging
CN209518869U (zh) 一种呼吸努力识别设备及其应用的睡眠呼吸暂停监测装置
KR102597398B1 (ko) 심폐 기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597397B1 (ko) 심폐 기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CN109222987A (zh) 一种呼吸努力识别设备及其应用装置
CN220109756U (zh) 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