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758A -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 Google Patents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758A
KR20220160758A KR1020210068794A KR20210068794A KR20220160758A KR 20220160758 A KR20220160758 A KR 20220160758A KR 1020210068794 A KR1020210068794 A KR 1020210068794A KR 20210068794 A KR20210068794 A KR 20210068794A KR 20220160758 A KR20220160758 A KR 20220160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enter drill
positioner
locking groove
hol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2857B1 (en
Inventor
문제원
모용섭
Original Assignee
(주)주원에이치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원에이치티엘 filed Critical (주)주원에이치티엘
Priority to KR102021006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857B1/en
Publication of KR2022016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7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s which comprises: a center drill rotating around a central axis; a positioner having a cylindrical hollow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center drill so as to insert the center drill, and guiding the center drill to slide and move along a central axis direction; and an indicator module position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drill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respectively, and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enter drill is located at a target point while allowing the center drill to be temporarily fixed at the target point when the center drill moves to the target point along the hollow hol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 drilling work is possible and an operator or a person to be treated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drilling work of the alveolar bone has been started or completed.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Drill assembly for implant operation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시술에 사용되는 드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 assembly used for implant surgery.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의 시술은 먼저 드릴을 이용해 치조골에 구멍을 내고, 이 구멍에 픽스쳐를 식립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치조골에 구멍을 내는 과정은 먼저 포인트 드릴(point drill) 또는 이니셜 드릴(initial drill) 등을 사용해 치조골에 식립할 위치를 마킹하고, 이후 임플란트 드릴(implant drill) 또는 파이널 드릴(final drill) 등을 사용해 치조골을 천공하는 순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n implant procedure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making a hole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drill and then placing a fixture in the hole. Here, in the process of making a hole in the alveolar bone, first, a point drill or an initial drill is used to mark the position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n an implant drill or final drill, etc. It is performed in order to perforate the alveolar bone using

이와 같이 치조골에 천공할 위치를 정하고 이를 천공하는 시술은 최근 3D 장비를 활용한 정밀 시술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3D장비를 이용하여 시술을 진행하기 어려운 경우 대체로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자에 의한 수기의 시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시술자의 경험 및 판단에 근거하여 드릴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치조골에 정확한 천공 위치를 정하고 적절한 각도의 구멍을 내기 위해서는 시술자에게 상당한 정도의 숙련도가 요구된다.In this way, the procedure of determining the position to be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and drilling it is recently performed with precision using 3D equipment, but if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procedure using 3D equipment, it is generally performed manually by a conventional implant operator. will lose At this time, an operation such as a drill is performed based on the operator's experience and judgment. Accordingly, a considerable degree of skill is required from an operator in order to determine an accurate puncture position in the alveolar bone and to make a hole at an appropriate angle.

한편, 치조골의 천공 작업은 적절한 깊이의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일차적으로 완료된다. 다만, 시술자가 천공된 구멍의 깊이를 확인하기 쉽지 않으므로 치조골에 원하는 깊이만큼의 정밀한 천공작업을 수행하기 쉽지 않고, 천공작업의 시작과 완료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시술을 받는 경우에도 천공작업의 시작과 종료시점을 알 수 없어 시술에 따른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Meanwhile, the alveolar bone drilling operation is primarily completed by forming a hole having an appropriate depth. However, since it is not easy for the operator to check the depth of the drilled hole, it is not easy to perform a drilling operation as precise as the desired depth in the alveolar bone, and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grasp the start and completion of the drilling operation. Even in the case of undergoing a procedure,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start and end point of the drilling operation, so you may feel anxiety due to the procedure.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밀한 천공 작업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시술자 또는 피시술자가 치조골의 천공 작업이 개시되거나 또는 완료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which not only enables precise drilling work, but also allows the operator or the subject to easily recognize that the drilling work of the alveolar bone has been initiated or completed.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는,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센터드릴; 상기 센터드릴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센터드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중공홀을 구비하여서,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중심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포지셔너; 및 상기 센터드릴의 외주면 및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에 각각 위치하여서,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중공홀을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여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정해진 길이만큼 노출되면 상기 센터드릴을 상기 목표 지점에 가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목표 지점에 위치하였음을 알리는 시그널을 생성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 drill assembly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enter drill that rotates about a central axis as an axis; a positioner having a cylindrical hollow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center drill to insert the center drill, and guiding the center drill to slide and move alo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drill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center drill moves along the hollow hole to a target point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center drill is temporarily fixed to the target point. It may include an indicator module tha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enter drill is located at the target point while doing so.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제1 길이만큼 노출된 채로 상기 포지셔너에 가고정되도록 하는 제1 걸림홈; 및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 중 상기 제1 걸림홈과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만큼 노출된 채로 상기 포지셔너에 가고정되도록 하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dicator module may include a first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so that the center drill is temporarily fixed to the positioner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by a first length; And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center drill is temporarily fixed to the positioner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by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2 may include a locking groove.

여기서, 상기 센터드릴은 단부에 위치하는 드릴과 상기 드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에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목표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안착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탄성적으로 튕겨나가 상기 걸림홈과 충격하면서 상기 시그널을 생성하고 상기 걸림홈에 가고정되는 탄성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enter drill includes a drill positioned at an end a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from the drill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hole, and the indicator modul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eating groove; a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ating groove when the center drill is located at the target point; And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when the center drill reaches the target point, it is elastically bounced from the seating groove toward the locking groove, generates the signal while impacting with the locking groove, and is temporarily fixed to the locking groove An elastic ring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탄성링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 단면의 지름은 상기 걸림홈의 단면의 너비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걸림홈과 가고정되는 방식으로 걸쳐질 수 있다.Here, the elastic ring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section of the locking groove so that it can span the locking groove in a temporarily fixed manner.

여기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 측이 벌어진 형태의 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탄성링은 "C"자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삼각형 단면보다 큰 단면적의 원형 단면을 가져서 상기 걸림홈에 가고정될 때 상기 걸림홈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atching groove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llow hole is widened, and the elastic ring has a "C" shape and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with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triangular cross section when temporarily fixed to the catching groove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locking groove and the locking groove.

여기서, 상기 센터드릴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과 상기 드릴의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치조골에 천공 위치를 마킹하기 위해 상기 드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드릴팁을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제1 걸림홈에 가고정된 경우 상기 제1 길이가 3mm 내지 4mm가 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center drill includes a drill for drilling the alveolar bone and a drill tip located at an end of the drill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rill for marking a drilling position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position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 drill is 1 may have a length such that the first length is 3mm to 4mm when temporarily fixed to the locking groove.

여기서, 상기 센터드릴은, 단부에 위치하는 드릴; 상기 드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제2 걸림홈에 가고정될 때 상기 포지셔너와 맞닿아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드릴의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enter drill, a drill located at the e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from the drill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hole; and a stopper located on the body and contacting the positioner when the body is temporarily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to limit the length of the dril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에 의하면, 정밀한 천공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술자 또는 피시술자로 하여금 치조골의 천공 작업이 개시되거나 완료되었음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a precise drilling operation is possible, but also an operator or a person to be operated on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drilling operation of the alveolar bone has been started or comple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드릴 및 가이드 세트(2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센터드릴(1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센터드릴(11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탄성링(15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탄성링(153)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센터드릴(110)과 도 4의 탄성링(153)의 결합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영역(A1)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포지셔너(13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포지셔너(13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포지셔너(130)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제1 걸림홈(157)에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제2 걸림홈(159)에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제2 영역(A2)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를 A3-A3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의 드릴 및 가이드 세트(200)의 가이드 포스트(210)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가이드 포스트(210)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가이드 포스트(210)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ll and guide set 200 including a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er drill 110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procedure of FIG.
FIG. 3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center drill 110 of FIG. 2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ring 153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 .
FIG.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elastic ring 153 of FIG. 4 .
6 is a front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center drill 110 of FIG. 2 and the elastic ring 153 of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area A 1 of FIG. 6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er 130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 .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sitioner 130 of FIG. 8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et of positioners 130 of FIG. 8 .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in a state temporarily fix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157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procedure of FIG. 1 .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1 .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in a state temporarily fixed to the second catching groove 159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procedure of FIG. 1 .
14 is a view showing a use example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treatment of FIG. 13 .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area A 2 of FIG. 13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3 cut along the line A 3 -A 3 .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ost 210 of the drill and guide set 200 of FIG. 1 .
18 is a front view of the guide post 210 of FIG. 17 .
FIG. 19 shows the set of guide posts 210 of FIG. 17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드릴 및 가이드 세트(200)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ll and guide set 200 including a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을 참조하면, 드릴 및 가이드 세트(200)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와 함께 가이드 포스트(210)를 포함한다. 드릴 및 가이드 세트(200)는 하나의 센터드릴(110)과 함께 복수의 규격을 갖는 포지셔너(130) 및 가이드 포스트(210)를 한 벌로 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하나의 케이스(220)에 정렬하여 담겨 진다. 포지셔너(130) 및 가이드 포스트(210)는 시술자의 명확한 식별을 위해 각각의 규격마다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drill and guide set 200 includes a guide post 210 together with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The drill and guide set 200 is composed of a positioner 130 and a guide post 210 having a plurality of standards together with one center drill 110. These elements are placed in alignment in one case 220. The positioner 130 and the guide post 210 may have different colors for each standard for clear identification of the operator.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센터드릴(1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센터드릴(11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er drill 110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 , and FIG. 3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center drill 110 of FIG. 2 .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센터드릴(110)은 드릴팁(111), 드릴(113), 몸체(115), 스토퍼(117) 및 핸드피스 결합부(119)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enter drill 110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treatment includes a drill tip 111, a drill 113, a body 115, a stopper 117, and a handpiece coupling part 119. include

드릴팁(111)은 드릴(113)의 끝단에 위치하고, 첨두가 뾰족하게 이루어진다.The drill tip 111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drill 113 and has a sharp tip.

드릴(113)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복수의 절삭날을 구비한다. 드릴(113) 및 드릴팁(111)은 합산하여 8mm 내지 9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drill 113 is configured to drill alveolar bone and has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The drill 113 and the drill tip 111 may have a combined length of 8 mm to 9 mm.

몸체(115)는 드릴(113)로부터 연장되고,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몸체(115)는 7mm 내지 8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body 115 extends from the drill 113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body 115 may have a length of 7 mm to 8 mm.

스토퍼(117)는 몸체(115)의 단부에 위치하고, 몸체(115)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The stopper 117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body 115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115 .

핸드피스 결합부(119)는 핸드피스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센터드릴(110)의 나머지 구성들과 같이 하나의 중심축(X)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The handpiece coupling part 119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the handpiece, and is formed extending along one central axis (X) like the rest of the components of the center drill 110.

상술한 센터드릴(110)의 구성요소 이외에, 본 도면에는 인디케이터 모듈(150)의 일 구성요소인 안착홈(151)도 도시된다.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center drill 110, a seating groove 151,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indicator module 150, is also shown in this drawing.

안착홈(151)은 몸체(115)의 외주면에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안착홈(151)은 0.5mm 내지 0.6mm의 너비 및 깊이를 가질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15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5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ating groove 151 may have a width and a depth of 0.5 mm to 0.6 mm.

아래에서는, 인디케이터 모듈(15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탄성링(153)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elastic ring 153, which is another component of the indicator module 15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탄성링(153)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탄성링(153)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ring 153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 , and FIG. 5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elastic ring 153 of FIG. 4 .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탄성링(153)은 "C"자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링(153)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구성되고, 전 영역 중 1/5 내지 1/3에 해당하는 영역이 비어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elastic ring 153 may have a "C" shape. Specifically, the elastic ring 15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1/5 to 1/3 of the entire area may be empty.

탄성링(153)은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탄성링(153)은 안착홈(15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51)의 너비보다 작은 0.45mm 내지 0.5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탄성링(153)은 상당히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특수강 또는 티타늄 계열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ring 153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elastic ring 153 may have a thickness of 0.45 mm to 0.55 mm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ating groove 151 so that it can b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51 . The elastic ring 153 may be made of special steel or titanium-based alloy having a very high modulus of elasticity.

도 6은 도 2의 센터드릴(110)과 도 4의 탄성링(153)의 결합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영역(A1)의 확대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center drill 110 of FIG. 2 and the elastic ring 153 of FIG. 4 ,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area A 1 of FIG. 6 .

탄성링(153)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착홈(151)에 끼워져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링(153)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착홈(151)에 약간 헐거운 상태로 안착된다.As shown in FIG. 6, the elastic ring 153 is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51. Specifically, the elastic ring 153 is seated in a slightly loose state in the seating groove 151 as shown in FIG. 7 .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링(153)은 안착홈(151)의 상단면 및 하단면과 각각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진다. 아울러, 탄성링(153)은 안착홈(151)의 안쪽면과도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탄성링(153)과 안착홈(151)의 내면들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elastic ring 153 has a thickness that can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ating groove 15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lastic ring 153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51. As a result, a sligh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ring 153 and the seating groove 151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탄성링(153)이 외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센터드릴(110) 만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탄성링(153)과 안착홈(151)의 내면들 사이에는 지속적인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센터드릴(110)의 드릴링시 탄성링(153)의 마모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마찰로 인한 발열량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only the center drill 110 rotates while the elastic ring 153 is fixed to the outside, continuous friction is not made between the elastic ring 153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seating groove 151. . Accordingly, during drilling of the center drill 110, the amount of wear of the elastic ring 153 can be reduced, as well as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ue to fric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도 8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포지셔너(13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포지셔너(13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포지셔너(130)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er 130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procedure of FIG. 1,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sitioner 130 of FIG. 8, and FIG. 10 is a set of the positioner 130 of FIG. It is an illustrated drawing.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포지셔너(130)는 실린더(131) 및 중공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ositioner 130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may include a cylinder 131 and a hollow hole 133.

실린더(131)는 전체적으로 치아와 유사한 형태인 원통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31)는 7mm 내지 8mm의 길이를 가지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 6mm, 7mm, 8mm, 9mm 및 10mm의 지름을 가질 수 있고, 또한 11mm 이상의 지름을 가질 수도 있다. The cylinder 131 may have a cylindrical outer shape similar to a tooth as a whole. Specifically, the cylinder 131 has a length of 7 mm to 8 mm, may have a diameter of 6 mm, 7 mm, 8 mm, 9 mm, and 10 mm,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0, and may also have a diameter of 11 mm or more.

실린더(131)는 외주면의 상단 및 하단에 곡면형의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 모서리는 0.5mm 내지 1.5mm의 곡률반경을, 하단 모서리는 2mm 내지 4mm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시술시 포지셔너(130)와 인접한 자연치에 미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실린더(131)는 높은 피로강도와 비강도, 우수한 내식성 및 골유착 특성(bioadhesion)을 갖는 Ti-6Al-4V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ylinder 131 may have curved corner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ecifically, the upper edge may be formed of a curved surfac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of 0.5 mm to 1.5 mm, and the lower edge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2 mm to 4 mm. This configuration serves to prevent damage to natural teeth adjacent to the positioner 130 during the procedure. The cylinder 13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Ti-6Al-4V having high fatigue strength and specific streng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bioadhesion.

중공홀(133)은 실린더(131)의 중심축(X) 방향을 따라 원통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중공홀(133)은 몸체(115)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중공홀(133)은 내주면의 상단 및 하단에 모따기된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탄성링(153)의 억지끼움시 그를 보다 손쉽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hollow hole 133 extends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central axis (X) direction of the cylinder 131 . The hollow hole 133 may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115 . The hollow hole 133 may have chamfered corners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is is a configuration for making it more easily drawn in when the elastic ring 153 is forcibly fitted.

상술한 포지셔너(130)의 구성요소 이외에, 본 도면에는 인디케이터 모듈(150)의 일 구성요소인 걸림홈(155)도 도시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f the positioner 130, a locking groove 155,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indicator module 150, is also shown in this drawing.

걸림홈(155)은 중공홀(133)의 내주면에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걸림홈(155)은 제1 걸림홈(157) 및 제2 걸림홈(15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홈(157)은 중공홀(133)의 내주면 중 제2 걸림홈(159)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1 걸림홈(157)은 제2 걸림홈(159)과 4mm 내지 6mm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The locking groove 155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133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ocking groove 155 may include a first locking groove 157 and a second locking groove 159 . The first locking groove 157 is located above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133 . The first locking groove 157 may be positioned apart from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by a distance of 4 mm to 6 mm.

아래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 proced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제1 걸림홈(157)에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in a state temporarily fix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157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 and FIG. 12 is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of FIG. 11 ( 100)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use.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센터드릴(110)은 안착홈(151)에 탄성링(153)이 결합된 상태에서 포지셔너(130)의 중공홀(133)을 통해 삽입된다. 이후, 센터드릴(110)이 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탄성링(153)은 제1 걸림홈(157)에 소리를 내며 가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포지셔너(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드릴(113)의 제1 길이는 3mm 내지 4mm로 제한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1 , the center drill 110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hole 133 of the positioner 130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ring 153 is coupled to the seating groove 151 . Then, when the center drill 110 reaches the target point as shown in this drawing, the elastic ring 153 is temporarily fix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157 with a sound. In this state, the first length of the drill 11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130 is limited to 3 mm to 4 mm.

이 상태에서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접치를 감안하여 치조골에 천공 위치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in this state may be used for positioning a drilling position in the alveolar bone in consideration of the adjacent teeth as shown in FIG. 12 .

구체적으로, 이 상태에서 드릴(113)은 짧은 길이만 노출되므로 포지셔너(130)는 자연치(T)의 위치와 유사하게 최대한 잇몸 가까이까지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술자는 이웃한 자연치(T) 또는 가이드 포스트(210)와 어울리는 적절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시술자는 이와 같이 포지셔너(130)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곧바로 핸드피스를 가동함으로써 드릴(113) 끝단의 드릴팁(111)을 통해 천공 위치를 간단히 마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포지셔너(130)를 통한 적절한 위치 파악 과정과 드릴팁(111)을 통한 천공 위치의 마킹 작업이 하나의 연속된 과정으로 간단히 이루어진다.Specifically, in this state, since only a short length of the drill 113 is exposed, the positioner 130 can be positioned as close to the gum as possible similar to the position of the natural tooth T, an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You can easily figure out the proper position that matches the guide post 210.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simply mark the drilling position through the drill tip 111 at the end of the drill 113 by directly operating the handpiece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er 130 is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er positioning process through the positioner 130 and the marking of the drilling position through the drill tip 111 are performed as one continuous process. The process is made simple.

도 13은 도 1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제2 걸림홈(159)에 가고정된 상태에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의 사용예를 보인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in a state temporarily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 and FIG. 14 is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of FIG. 13 ( 100)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use.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센터드릴(110)은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 중심축(X) 방향을 따라 힘이 가해지면 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너(130)의 중공홀(133)은 센터드릴(110)의 몸체(115)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므로, 센터드릴(110)은 중공홀(133)에 의해 가이드되어 중심축(X)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센터드릴(110)이 본 도면에서와 같은 또 다른 목표 지점까지 도달하여 스토퍼(117)가 포지셔너(130)의 상단과 맞닿을 때 종료된다. 이와 동시에, 인디케이터 모듈(150)의 탄성링(153)은 제2 걸림홈(159)에 소리를 내며 가고정된다. 이러한 또 다른 목표 지점에서 포지셔너(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드릴(113)의 제2 길이는 8mm 내지 9mm에 이를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13 , the center drill 110 is positioned in the same state as shown in this figure when force is applied along the central axis (X)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11 . Specifically, since the hollow hole 133 of the positioner 130 has almost the same diameter as the body 115 of the center drill 110, the center drill 110 is guided by the hollow hole 133 to the central axis ( It moves while sliding along the X) direction. This movement ends when the center drill 110 reaches another target point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topper 11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ositioner 130.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ring 153 of the indicator module 150 is temporarily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with a sound. The second length of the drill 11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130 at another target point may reach 8 mm to 9 mm.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시술자는 센터드릴(110)을 이용한 천공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drilling operation using the center drill 110 has been completed.

구체적으로, 시술자는 도 11 및 도 12의 상태에서 그대로 센터드릴(110)을 눌러 천공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드릴링 작업은 센터드릴(110)이 포지셔너(130)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드릴링 작업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요한 깊이만큼 이루어지면, 탄성링(153)이 제2 걸림홈(159)에 가고정되면서 시그널을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시그널은 클릭음과 같은 소리를 포함하는데, 시술자 및 피시술자는 이러한 소리를 통해 드릴링 작업의 완료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시그널은 진동도 포함하는데, 시술자는 드릴링시 포지셔너(130)를 잡고 있는 손을 통해 이러한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드릴링 작업의 완료를 인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드릴링 작업의 완료를 신속히 인지할 수 있게 되어, 부품들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마찰로 인한 발열량도 함께 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or may start the drilling operation by pressing the center drill 110 as it is in the state of FIGS. 11 and 12 . This dr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center drill 110 is guided by the positioner 130. When this dr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the required depth as shown in FIG. 14, the elastic ring 153 is temporarily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to generate a signal. Here, the signal includes a sound such as a click sound, and the operator and the subject can recognize the completion of the drilling operation through this sound. In addition, the signal also includes vibration, and the operator may recognize the completion of the drilling operation by sensing this vibration through the hand holding the positioner 130 during drilling.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quickly recognize the completion of the drilling operation, preventing unnecessary wear of parts and reduc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ue to fri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천공 위치 파악 과정 및 천공 위치 마킹 작업은 물론 치조골 천공 과정이 별도의 도구 교체 없이 하나의 연속된 과정으로 단번에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way, according to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locating the puncture position and the marking of the puncture posi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It is done at once as one continuous process without replacement.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차 드릴링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는 피시술자의 치조골 상태 및 시술 위치에 따라 후속하는 추가 드릴링 시술을 위한 천공 위치의 마킹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in a state in which primary drilling is completed is used for marking the perforation position for subsequent additional drilling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alveolar bon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may be utilized.

또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센터드릴(110)이 드릴링시에 포지셔너(13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드릴링하는 동안 회전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당히 정밀한 드릴링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since the center drill 110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guided by the positioner 130 during drilling, the axis of rotation is kept constant during drilling to produce fairly precise drilling results. You can get it.

나아가, 스토퍼(117)의 구성을 통해 포지셔너(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드릴(113)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어, 상악동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more, the length of the drill 11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130 can be limi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topper 117, so that damage to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인디케이터 모듈(15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method of the indicator module 1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

도 15는 도 13의 제2 영역의 확대도(A2)이고, 도 16은 도 13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를 A3-A3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5 is an enlarged view (A 2 ) of the second region of FIG. 13,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of FIG. 13 cut along the line A 3 -A 3 .

도 15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모듈(150)은 안착홈(151), 탄성링(153) 및 걸림홈(15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indicator module 150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151 , an elastic ring 153 and a locking groove 155 .

걸림홈(155)은 중공홀(133)의 내주면 측이 벌어진 형태의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걸림홈(155)은 0.2mm 내지 0.4mm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걸림홈(155)은 경사면(161) 및 엣지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61)은 상측 경사면과 하측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이들 경사면(161)은 서로 50° 내지 7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엣지부(163)는 경사면(161)이 중공홀(133)의 내주면과 교차하는 모서리 영역이다.The locking groove 155 may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in which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llow hole 133 is widened. In addition, the locking groove 155 may have a depth of 0.2 mm to 0.4 mm. The locking groove 155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61 and an edge portion 163 . The inclined surface 161 is composed of an upper inclined surface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and these inclined surfaces 161 may form an angle of 50° to 70° with each other. The edge portion 163 is a corner region where the inclined surface 161 interse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133 .

이상의 인디케이터 모듈(150)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above indicator module 150 is as follows.

먼저, 탄성링(153)은 제1 걸림홈(157)으로부터 제2 걸림홈(159)으로 이동할 때 중공홀(133)의 내주면과 맞닿아 제1 포지션(P1)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2 걸림홈(159)에 도달하면, 탄성링(153)은 안착홈(151)으로부터 제2 걸림홈(159)을 향해 탄성적으로 복원됨으로써 제2 포지션(P2)에 위치하게 된다.First, when the elastic ring 153 moves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157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133 and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P 1 . Then, when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is reached, the elastic ring 153 is elastically restored from the seating groove 151 toward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so that it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P 2 ). .

이때, 탄성링(153)은 제2 걸림홈(159)의 너비보다 큰 두께를 가지므로, 탄성링(153)은 제2 걸림홈(159)에 완전히 고정되지는 않고 제2 걸림홈(159)에 가고정되는 방식으로 걸쳐지게 된다. 아울러, 탄성링(153)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므로 센터드릴(110)에 중심축(X) 방향을 따라 적절한 외력이 가해지면 제2 걸림홈(159)으로부터 어렵지 않게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고정이란 탄성링(153)이 걸림홈(155)에 걸려 중심축(X)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없다면 센터드릴(110)이 포지셔너(13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중심축(X) 방향으로 적절한 외력이 가해지면 센터드릴(110)이 포지셔너(130)에 대해 어렵지 않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ring 153 has a thicknes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the elastic ring 153 is not completely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It is straddled in such a way that it is temporarily fixed on .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ring 153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when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enter drill 110 along the central axis (X) direction. In this way, temporary fixation means that the center drill 110 can remain fixed to the positioner 130 if the elastic ring 153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155 and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X). , When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X), it means a state in which the center drill 110 can mov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er 130 without difficulty.

한편, 탄성링(153)이 안착홈(151)으로부터 제2 걸림홈(159)을 향해 탄성적으로 튕겨나가는 경우, 탄성링(153)은 엣지부(163)와 충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지셔너(130)에는 진동이 전달되고, 또한 소리도 발생하게 된다. 탄성링(153)과 엣지부(163)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한 소리는 탄성링(153)의 외면과 경사면들(161) 사이의 공간인 전달 공간(165)을 통해 전달된다.Meanwhile, when the elastic ring 153 elastically bounces from the seating groove 151 toward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the elastic ring 153 impacts the edge portion 163. Accordingly,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sitioner 130, and sound is also generated. The sound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elastic ring 153 and the edge portion 163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space 165,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ring 153 and the inclined surfaces 161.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이러한 소리(S)는 전달 공간(165)을 통해 제2 걸림홈(159)이 형성된 둘레 방향을 따라 탄성링(153)의 "C"자 영역 중 비어있는 영역(167)까지 전달된다. 여기서, 탄성링(153)의 "C"자 영역 중 비어있는 영역(167)은 탄성링(153)이 없는 영역으로서, 제2 걸림홈(159)과 안착홈(151)이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이루게 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역은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가져서 울림통과 같은 소리(S)의 증폭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증폭 공간(167)은 전달 공간(165)으로부터 전달받은 소리(S)를 더욱 높은 데시벨을 가진 소리로 증폭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드릴링 작업의 완료를 보다 확실히 인지하게 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6, the sound (S)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space 16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is formed, and the empty area among the “C”-shaped areas of the elastic ring 153 (167). Here, the empty area 167 of the “C”-shaped area of the elastic ring 153 is an area without the elastic ring 153, so that the second locking groove 159 and the seating groove 151 are positioned facing each other. It means an area that becomes relatively large space. This area has a relatively wide space to amplify sound (S) like a resonator. Accordingly, the amplification space 167 amplifies the sound 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space 165 into a sound having a higher decibel, so that the operator can more clearly recognize the completion of the drilling operation.

도 17은 도 1의 드릴 및 가이드 세트(200)의 가이드 포스트(210)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가이드 포스트(210)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가이드 포스트(210)의 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ost 210 of the drill and guide set 200 of FIG. 1, FIG. 18 is a front view of the guide post 210 of FIG. 17, and FIG. 19 is a view of the guide post 210 of FIG.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et.

가이드 포스트(210)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를 이용한 드릴링 작업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다. 시술자는 치조골의 천공 자리에 가이드 포스트(210)를 꽂아 드릴링 각도를 확인하거나 이웃한 자연치(T) 또는 또 다른 가이드 포스트(210)와 어울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포스트(210)는 복수의 임플란트 식립유도 시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이드 포스트의 인접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guide post 210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a drilling operation using 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has been performed well. The operator can check the drilling angle by inserting the guide post 210 into the perforation site of the alveolar bone, or check whether it matches the neighboring natural tooth (T) or another guide post 210. In addition, the guide post 210 may serve as an adjacent tooth of a guide post positioned adjacent to a plurality of implant placement guides.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가이드 포스트(210)는 몸통(211), 관통공(213) 및 포스트핀(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스트핀(215)은 끝단을 향할수록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 형태의 포스트핀(215)은 가이드 포스트(210)가 상악골 등의 천공 자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guide post 210 may include a body 211, a through hole 213, and a post pin 215. Here, the post pin 215 may be configured in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thinner toward the end. The tapered post pin 215 may prevent the guide post 210 from easily being separated from the perforation site such as the maxilla.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drill assembly 100 for implanta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100: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110: 센터드릴
111: 드릴팁
113: 드릴
115: 몸체
117: 스토퍼
119: 핸드피스 결합부
130: 포지셔너
131: 실린더
133: 중공홀
150: 인디케이터 모듈
151: 안착홈
153: 탄성링
155: 걸림홈
157: 제1 걸림홈
159: 제2 걸림홈
161: 경사면
163: 엣지부
165: 전달 공간
167: 증폭 공간
200: 드릴 및 가이드 세트
210: 가이드 포스트
211: 몸통
213: 관통공
215: 포스트핀
220: 케이스
100: drill assembly for implant treatment
110: center drill
111: drill tip
113: drill
115: body
117: stopper
119: handpiece coupling part
130: positioner
131: cylinder
133: hollow hole
150: indicator module
151: seating groove
153: elastic ring
155: catch groove
157: first locking groove
159: second locking groove
161: slope
163: edge portion
165 forwarding space
167: amplification space
200: drill and guide set
210: guide post
211: torso
213: through hole
215: post pin
220: case

Claims (7)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센터드릴;
상기 센터드릴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센터드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형의 중공홀을 구비하여서,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중심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포지셔너; 및
상기 센터드릴의 외주면 및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에 각각 위치하여서,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중공홀을 따라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여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정해진 길이만큼 노출되면 상기 센터드릴을 상기 목표 지점에 가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목표 지점에 위치하였음을 알리는 시그널을 생성하는 인디케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A center drill that rotates around a central axis;
a positioner having a cylindrical hollow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center drill to insert the center drill, and guiding the center drill to slide and move alo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and
It is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drill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respectively, so that the center drill is temporarily fixed to the target point when the center drill moves to the target point along the hollow hol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by a predetermined length.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including an indicator module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center drill is located at the target point while doing s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제1 길이만큼 노출된 채로 상기 포지셔너에 가고정되도록 하는 제1 걸림홈; 및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 중 상기 제1 걸림홈과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만큼 노출된 채로 상기 포지셔너에 가고정되도록 하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cator module,
A first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so that the center drill is temporarily fixed to the positioner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by a first length; and
A second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center drill is temporarily fixed to the positioner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by a second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including a lock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드릴은 단부에 위치하는 드릴과 상기 드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에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목표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안착홈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고,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걸림홈을 향해 탄성적으로 튕겨나가 상기 걸림홈과 충격하면서 상기 시그널을 생성하고 상기 걸림홈에 가고정되는 탄성링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drill includes a drill positioned at an end a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from the drill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hole,
The indicator module,
a seating groov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hole along its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ating groove when the center drill is located at the target point; and
It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and when the center drill reaches the target point, it is elastically bounced from the seating groove toward the locking groove, generates the signal while impacting with the locking groove, and is temporarily fixed to the locking groove Elasticity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including a 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원형 단면의 지름은 상기 걸림홈의 단면의 너비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걸림홈과 가고정되는 방식으로 걸쳐지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3,
The elastic ring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is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ross-section of the catching groove, and the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is spanned in a manner that is temporarily fixed with the catch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 측이 벌어진 형태의 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탄성링은 "C"자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삼각형 단면보다 큰 단면적의 원형 단면을 가져서 상기 걸림홈에 가고정될 때 상기 걸림홈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3,
The locking groove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llow hole is widened,
The elastic ring has a "C" shape and has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triangular cross-section, so that when temporarily fixed to the catching groov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atching groove and the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드릴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과 상기 드릴의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치조골에 천공 위치를 마킹하기 위해 상기 드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드릴팁을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너는 상기 센터드릴이 상기 제1 걸림홈에 가고정된 경우 상기 제1 길이가 3mm 내지 4mm가 되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center drill includes a drill for drilling the alveolar bone and a drill tip located at an end of the drill an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rill for marking a drilling position in the alveolar bone,
The positioner is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having a length such that the first length is 3mm to 4mm when the center drill is temporarily fix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드릴은,
단부에 위치하는 드릴;
상기 드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제2 걸림홈에 가고정될 때 상기 포지셔너와 맞닿아 상기 포지셔너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드릴의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center drill,
drill located at the end;
a cylindrical body extending from the drill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hole; and
A drill assembly for implantation including a stopper located on the body and limiting the length of the dril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sitioner in contact with the positioner when the body is temporarily fix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KR1020210068794A 2021-05-28 2021-05-28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KR102502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94A KR102502857B1 (en) 2021-05-28 2021-05-28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94A KR102502857B1 (en) 2021-05-28 2021-05-28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58A true KR20220160758A (en) 2022-12-06
KR102502857B1 KR102502857B1 (en) 2023-02-23

Family

ID=8440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794A KR102502857B1 (en) 2021-05-28 2021-05-28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857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002A (en) * 2005-09-05 2007-03-22 Straumann Holding Ag Dental drill device furnished with stopper element
US7547210B1 (en) * 2003-09-24 2009-06-16 Impladent, Ltd Universal, multifunctional, single unit, rotary osteotome
KR20100011761A (en) 2008-07-25 2010-02-03 이도상 Surgical operation system for sinus elevation
KR20110027461A (en) 2009-09-10 2011-03-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Stopper unit for implant drill and drill for operating implant having the same
KR20120064143A (en) * 2010-12-09 2012-06-19 이요섭 Dental stopper device for drilling
KR101610341B1 (en) * 2016-01-13 2016-04-07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Drill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KR20180017045A (en) * 2015-05-21 2018-02-20 후아이스 아이피 홀딩 엘엘씨 Axial stop gauges and jig guides for surgical drill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7210B1 (en) * 2003-09-24 2009-06-16 Impladent, Ltd Universal, multifunctional, single unit, rotary osteotome
JP2007069002A (en) * 2005-09-05 2007-03-22 Straumann Holding Ag Dental drill device furnished with stopper element
KR20100011761A (en) 2008-07-25 2010-02-03 이도상 Surgical operation system for sinus elevation
KR20110027461A (en) 2009-09-10 2011-03-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Stopper unit for implant drill and drill for operating implant having the same
KR20120064143A (en) * 2010-12-09 2012-06-19 이요섭 Dental stopper device for drilling
KR20180017045A (en) * 2015-05-21 2018-02-20 후아이스 아이피 홀딩 엘엘씨 Axial stop gauges and jig guides for surgical drills
KR101610341B1 (en) * 2016-01-13 2016-04-07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Drill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857B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1817B2 (en) Dental tools for guided surgery
JP4495147B2 (en) Pilot drill, step drill and drill set for dental transplantation technology
US8523566B2 (en) Drill sleeve for a dental drill
US8708699B2 (en) Drill guide
CA2645857C (en) An implant drill
TWI603719B (en) Guide the rule
US10820964B2 (en) Drill guide having a limit stop
US8821159B2 (en) Dental implant guiding device
US8770974B2 (en) Set of dental drills
KR20100066506A (en) Implant erecting drill tool, hand-piece, adapter for the hand-piece, and surgical guide
US20210015496A1 (en) Drill bit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102502857B1 (en) Drill assembly for operating dental implant
JP5028621B2 (en) Surgical guide
US9072574B2 (en) Periosteal elevator and implant spacing instrument
KR101265819B1 (en) Point Drill Guider for Operating Implant
KR102226073B1 (en) Guide for revising drilling-path on alveolar bone
TWM612955U (en) Handpiece limiting sleeve structure and tool set thereof
KR102638863B1 (en) Drill device for dental implant
JP6357014B2 (en) Measurement jig
KR102308497B1 (en) A drill for dental implant
KR102291283B1 (en) Ball joint type power transmission mechanic for guided dental implant surgery
KR102354009B1 (en) Implantation guide device of drill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CN211023205U (en) Tooth implantation guiding tool set and tooth implantation guiding sleeve thereof
KR101047188B1 (en) Point Drill Aids for Implants
JP3216661U (en) Surgical guide and sleeve-like member use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