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751A -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 Google Patents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751A
KR20220160751A KR1020210068782A KR20210068782A KR20220160751A KR 20220160751 A KR20220160751 A KR 20220160751A KR 1020210068782 A KR1020210068782 A KR 1020210068782A KR 20210068782 A KR20210068782 A KR 20210068782A KR 20220160751 A KR20220160751 A KR 2022016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unting surface
opening
docking station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5383B1 (en
Inventor
박현준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06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383B1/en
Publication of KR2022016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ulti-docking station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console of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docking station includes: an open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a console of a vehicle; a selectively replaceable modul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opening part,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having a function necessary for a user; a lower mount surface formed on a lower side in the opening part to com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a wall mount surface formed on a circumference in the opening part to come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odule; and a lock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mount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modu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module, wherein the lower mount surface includes a power terminal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mount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module to transmit a power supply and control signal to the modu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abling even a passenger on a rear seat to use various functions.

Description

차량의 콘솔에 탈부착 가능한 멀티 도킹스테이션{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Multi-docking station detachable from vehicle console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본 발명은 차량의 콘솔에 탈부착 가능한 멀티 도킹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ocking station detachable from a vehicle console.

차량의 콘솔은 차량의 양쪽 의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수납 공간, 컵 홀더, 팔걸이 및 재떨이 등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고 있다. 차량의 콘솔은 차량을 출고할 때, 차량 제작사가 미리 적용한 사양 중에서 소비자가 선택하여 구매한다. 즉, 차량을 처음 구매할 때 선택한 콘솔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소비자가 차량을 구매한 후 차량의 소비자가 변경되거나, 소비자의 취향 및 선호도가 변경되는 경우, 소비자가 직접 차량의 콘솔 구성을 변경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A console of a vehicle is disposed between the seats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is installed for user convenience, such as a storage space, a cup holder, an armrest, and an ashtray. When a vehicle is shipped from the factory, a consumer selects and purchases a console of a vehicle from specifications pre-applied by a vehicle manufacturer. This means that you will have no choice but to continue using the console you chose when you first purchased the vehicle. Therefore, when the consumer of the vehicle changes after the consumer purchases the vehicle, or the consumer's tastes and preferences change, it is difficult for the consumer to directly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ole of the vehicle.

또한, 소비자의 취향 및 선호도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소비자의 취향 및 선호도를 완벽하게 만족하는 콘솔을 차량마다 설치하는 것은 번거로우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8293호(2020년 8월 20일자 등록)가 있다. 본 선행 기술은 차량의 센터콘솔을 개폐하여 스피커를 장착할 수 있는 콘솔 암레스트를 개시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consumers' tastes and preferences are very diverse, it may be cumbersome and difficult to install a console that perfectly satisfies each consumer's tastes and preferences for each vehicle. As a prior art for improving such problems, there is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148293 (registered on August 20, 2020)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prior art discloses a console armrest capable of mounting a speaker by opening and closing a center console of a vehicle.

그러나, 본 선행기술의 콘솔 암레스트는 차량의 콘솔에 스피커를 장착하는 것에 한정하고 있어, 스피커가 아닌 다른 구성을 콘솔에 장착하기는 어렵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949호(2017년 10월 12일자 등록)가 있다. 본 선행 기술은 상부함이 뒷좌석 측으로 이동 가능하고, 뚜껑의 양 폭 방향으로 트레이가 인출되어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는 자동차용 다기능 콘솔박스를 개시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onsole armrest of the present prior art is limited to mounting a speaker on a console of a vehicle, it is difficult to mount components other than a speaker on the console. Another prior art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7949 (registered on October 12, 2017). The prior art discloses a multifunctional console box for automobiles in which an upper box is movable toward the rear seat and a tray is drawn out in both width directions of the lid and used as a table.

그러나, 본 선행기술은 상부 함과 하부 함이 분리되고, 트레이가 인출되어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별도의 전자기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 및 선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용 콘솔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this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x and the lower box are separated, and the tray is pulled out and used as a tabl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power sourc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separate electronic device is not provided.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vehicle console capable of satisfying the tastes and preferences of various consumers.

등록특허 제10-2148293호 (2020. 08. 20.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2148293 (2020. 08. 20. Registration) 등록특허 제10-1787949호 (2017. 10. 12.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787949 (registered on October 12, 2017)

본 발명은 차량의 콘솔에 선택적으로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 도킹스테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ocking station including various functional modules that can be selectively detached and attached to a vehicle conso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콘솔의 일측 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탈부착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모듈;과 상기 개구부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듈의 하측 면이 접촉되는 하측 장착면;과 상기 개구부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모듈의 가장자리와 접촉되는 벽측 장착면; 및 상기 벽측 장착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락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장착면은, 상기 하측 장착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듈에 전원 공급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멀티 도킹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of a console of a vehicle; and a modul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opening, has various functions, and is selectively replaceable with a function required by a user. and a lower mounting surface form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opening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and a wall side mounting surface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contacting the edge of the module; And a locking device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side mounting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modul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module; wherein the lower mounting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 A pow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odule and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supply and control signals to the module; including, a multi-docking st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도킹스테이션은 때와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의 모듈을 탈부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차량의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멀티 도킹스테이션은 뒷좌석과 가까운 콘솔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장착할 수 있어, 뒷좌석의 탑승자도 차량에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multi-docking st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attaching and detaching functional modules requ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ime and place. In addition, by selectively mounting modules having various functions,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vehicle can be diversified. The multi-docking station of this embodiment has an advantage in that a module having various functions can be mounted on a console close to the rear seat, so that passengers in the rear seat can also use various functions in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도킹스테이션이 배치된 차량 내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도킹스테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도킹스테이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듈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도킹스테이션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side of a vehicle in which a multi-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ulti-docking sta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ulti-docking sta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odule shown in Figure 1;
FIG. 5 is a variant of the module shown in FIG. 1 .
Figure 6 shows a mounting process of the multi-docking station shown in Figure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given for known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m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도킹스테이션이 배치된 차량 내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도킹스테이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도킹스테이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side of a vehicle in which a multi-dock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ulti-docking statio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multi-docking station shown in Figure 1;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멀티 도킹스테이션(100)은 차량의 콘솔(10)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이 구비된 모듈(160)이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차량에 내장된 한정된 기능의 편의장치 외에 부가적으로 선택적인 기능을 갖는 모듈(160)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모듈(160)을 사용할수 있다. 또한, 차량의 뒷좌석에 앉은 사용자도 용이하게 사용자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to 3, the multi-docking station 100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in the console 10 of the vehicle, the module 160 equipped with a function required by the user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hat is, a module 160 having an additional optional function is installed in addition to convenience devices with limited functions built into the vehicl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module 160 having a desired function. In addition, a user sitting in a rear seat of a vehicle can easily use user convenience facilities.

구체적으로, 멀티 도킹스테이션(100)은 모듈(160)이 삽입 및 연결되는 개구부(110), 모듈(16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하측 장착면(120), 락킹장치(140)가 배치되어 모듈(16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벽측 장착면(130), 주행 중 모듈(16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락킹장치(140), 개구부(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데코라이트(150) 및 사용자가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ulti-docking station 100 has an opening 110 into which the module 160 is inserted and connected, a lower mounting surface 120 capable of supplying power and control signals to the module 160, and a locking device 140. A wall-side mounting surface 130 for fixing the module 160, a locking device 140 for fixing the module 160 so that the module 160 does not escape while driving, and a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110 It may include a decorative light 150 and a module 160 having various functions that a user can use in a vehicle.

개구부(110)는 콘솔(10)의 일측 면에 형성되어 모듈(160)이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부(110)는 모듈(16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듈(160)이 개구부(110)에 인입될 때 개구부(110)와 모듈(160)이 접촉 배치될 수 있다. The opening 1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sole 10 so that the module 160 can be mounted and detached. For example, the opening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dule 160, and when the module 16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 the opening 110 and the module 160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하측 장착면(120)은 개구부(11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어, 모듈(160)이 개구부(110)를 통해 삽입되었을 때, 모듈(160)의 하측 면이 하측 장착면(120)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하측 장착면(120)은 모듈(160)로 전원 공급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 장착면(120)은 모듈(1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단자(121), 모듈(160)의 장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opening 110 so that when the module 16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10,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16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can In addition,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may include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supply and control signals to the module 160 . Specifically,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includes a power terminal 121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module 160, a first magnetic force unit 122 and a second magnetic force unit capable of guiding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module 160. (123) may be included.

전원단자(121)는 하측 장착면(120)의 일측 면에 형성되어, 모듈(16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단자(121)는 모듈(160)에 전원 공급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단자(121)는 차량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운전석에서 연결된 모듈(160)의 작동 상태를 확인 가능하고, 모듈(1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ower terminal 12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connected to the module 160 . The power terminal 121 may transmit power supply and control signals to the module 160 . For example, the power terminal 121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vehicle, so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nected module 160 can be checked and the operation of the module 160 can be controlled from the driver's seat.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하측 장착면(120)의 일측 부분에 배치되어, 후술할 모듈(160)의 N극 자력부(162) 및 S극 자력부(163)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전자석으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의 극성이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듈(160)이 개구부(110)에 인입될 때,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각각 S극 및 N극으로 형성되어, 모듈(160)과 하측 장착면(120)이 각각 반대 극성의 인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23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the S-pole magnetic part 163 of the module 160 will be described later. ) and can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ic force uni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unit 123 are formed of electromagnets, and polarities of the first magnetic force uni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unit 123 can be changed as needed. Preferably, when the module 16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123 are formed as S poles and N poles, respectively, so that the module 160 and the lower side are mounted. Faces 120 may be held together by attractive forces of opposite polarities, respectively.

또한,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후술할 락킹장치(140)와 연동되어, 락킹장치(140)의 작동에 따라 극성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체결돌기(141)가 벽측 장착면(130)의 외측으로 인출 시,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모듈(160)의 N극 자력부(162) 및 S극 자력부(163)와 각각 반대의 극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측 장착면(120)의 제1자력부(122), 제2자력부(123) 및 모듈(160)의 N극 자력부(162), S극 자력부(163)는 반대 극성끼리의 인력에 의해, 모듈(160)이 정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ic force uni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unit 123 are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device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larity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140. That is,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pulled out of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123 are connected to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S of the module 160. It may be disposed with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pole magnetic force unit 163 . The first magnetic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S-pole magnetic part 163 of the module 160 are attracted to each other with opposite polarities. Accordingly, the mounting direction can be guided so that the module 160 can be mounted in the forward direction.

반대로, 장착되었던 모듈(160)을 개구부(110)에서 분리 시,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모듈(160)의 N극 자력부(162) 및 S극 자력부(163)와 각각 동일한 극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락킹장치(140)와 연동되어, 체결돌기(141)가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제1자력부(122), 제2자력부(123)가 모듈(160) 장착 시와 반대로 극성이 변경될 수 있다. 하측 장착면(120)의 제1자력부(122), 제2자력부(123) 및 모듈(160)의 N극 자력부(162), S극 자력부(163)는 동일한 극성끼리의 척력에 의해, 모듈(160)이 하측 장착면(120)으로부터 부상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mounted module 160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110, the first magnetic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23 are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the S-pole magnetic part of the module 160. (163) may be arranged with the same polarity,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magnetic force uni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unit 123 are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device 140, and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rawn into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the first magnetic force unit 122 ), the polarity of the second magnetic force unit 123 may be changed opposite to when the module 160 is mounted. The first magnetic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the S-pole magnetic part 163 of the module 160 have a repulsive force between the same polarities. As a result, the module 160 is lifted from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it.

즉, 하측 장착면(120)의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락킹장치(140)와 연동된 전자석으로 형성되어, 모듈(160)이 개구부(110)에 장착 시 모듈(160)의 자력부(162, 163)와 반대 극성으로 형성되어 모듈(160)과 하측 장착면(120)이 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반대로, 모듈(160)을 개구부(110)에서 분리할 시에는, 장착 시와 반대로 모듈(160)의 자력부(162, 163)와 동일한 극성으로 형성되어 모듈(160)과 하측 장착면(120)이 척력에 의해 모듈(160)이 소정 정도 부상되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re formed of electromagnets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device 140, and when the module 160 is mounted in the opening 110 The module 160 and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can be easily attached by manpower because it is formed with opposite polarities to the magnetic force parts 162 and 163 of the module 160 . Conversely, when the module 160 is separated from the opening 110, it is formed with the same polarity as the magnetic parts 162 and 163 of the module 160, contrary to the mounting, so that the module 160 and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The module 160 is floated to a certain extent by this repulsive force and can be easily separated.

한편, 벽측 장착면(130)은 개구부(110)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어, 모듈(160)의 가장자리와 접촉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벽측 장착면(130)에는 후술할 락킹장치(140)가 배치되어, 인입된 모듈(160)이 차량의 주행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is formed around the inside of the opening 110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module 160 . In more detail, a locking device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to fix the retracted module 160 so that it does not escape while driving the vehicle.

락킹장치(140)는 벽측 장착면(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은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에 돌출 배치된 락킹장치(140)는 모듈(160)의 내측에 삽입되어, 모듈(160)을 지지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락킹장치(140)는 차량이 주행 시에 모듈(160)이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락킹장치(140)는 한 쌍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모듈(160)의 양 측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140 is disposed inside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and one side may be protruded from the inside of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The locking device 140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module 160 to support the module 160 . More specifically, the locking device 140 may be disposed to prevent the module 160 from being separated by vibration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Preferably, a pair of locking devices 140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and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module 160.

구체적으로, 락킹장치(140)는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에 돌출 배치되는 체결돌기(141), 체결돌기(141)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는 탄성부(142), 탄성부(142)를 지지하는 지지부(143) 및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돌출손잡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device 140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141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an elastic part 142 dispos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to apply elastic force, It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143 for supporting the elastic portion 142 and a protruding handle portion 144 protruding outwardly.

체결돌기(141)는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에 배치되어, 벽측 장착면(130)에 형성된 체결돌기 개구부(141a)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체결돌기(141)는 모듈(160)이 개구부(110)에 인입시, 후술할 모듈(160)의 체결홀(161)에 삽입되어 모듈(160)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돌기(141)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isposed inside the wall-side mounting surface 130 and can b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fastening protrusion opening 141a formed in the wall-side mounting surface 130 . When the module 16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61 of the module 160 to be described later to fix the module 160 so that it does not separate.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탄성부(142)는 체결돌기(141)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체결돌기(141)를 개구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142)의 타측 단부는 지지부(1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142)는 모듈(160)이 인입될 때, 체결돌기(141)가 눌려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압축될 수 있다. 모듈(160)이 완전히 인입되어 체결홀(16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돌기(141)가 배치될 때, 탄성부(142)가 탄성적으로 이완되어 체결홀(161)의 내측에 체결돌기(141)가 인입 고정될 수 있다. The elastic part 142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to press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toward the inside of the opening 110 .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art 142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143 . The elastic part 142 may be compressed when the module 160 is pulled in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pressed and drawn into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 When the module 160 is completely retracte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61, the elastic part 142 is elastically relaxed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 141) can be retracted and fixed.

돌출손잡이부(144)는 체결돌기(14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체결돌기(141)의 일측에 형성되고, 콘솔(10)의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손잡이부 개구부(144a)가 콘솔(10)의 상측 또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돌출손잡이부(144)는 콘솔(10)에 형성된 돌출손잡이부 개구부(144a)를 통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손잡이부 개구부(144a)는 체결돌기(141)가 내측에 배치된 콘솔(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돌출손잡이부 개구부(144a)를 통해 돌출손잡이부(144)가 콘솔(1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돌출손잡이부(144)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돌출손잡이부 개구부(144a)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The protruding handle 14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and may protrude out of the console 10. Specifically, the opening 144a of the protruding handle may be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r side of the console 10 . The protruding handle 144 may protrude through an opening 144a formed in the console 10 . Specifically, the protruding handle opening 144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sole 10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isposed inside, and the protruding handle 144 is connected to the console 10 through the protruding handle opening 144a. ) may be disposed protruding outward. The protruding handle 144 can be moved along the opening 144a of the protruding handle by being gripped by the user.

더욱 자세하게는, 돌출손잡이부(144)는 사용자가 모듈(160)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 개구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착되었던 모듈(160)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돌출손잡이부(144)를 파지하여 개구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돌출손잡이부(144)와 연결된 체결돌기(141)가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모듈(160)을 제거 가능하다. 돌출손잡이부(144)를 놓으면 탄성부(142)에 의해 체결돌기(141)는 다시 인출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wants to replace the module 160 with another, the protruding handle 144 can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ening 110 to remove the mounted module 160 . That is, when the user grips the protruding handle 144 and moves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ening 110,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connected to the protruding handle 144 is drawn into the opening 110 and the module 160 ) can be removed. When the protruding handle 144 is released,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can be withdrawn again by the elastic part 142 .

한편, 데코라이트(150)는 개구부(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특유의 패턴 및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데코라이트(150)는 차량의 미려한 외관을 위해 배치되어, 차량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데코라이트(150)는 모듈(160)과 연동되어, 모듈(160)의 작동 상태에 따라 특유의 패턴 및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corite 150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110 and emit light in a unique pattern and color. Preferably, the decor light 150 is disposed for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vehicle, and can improve the emotional quality of the vehicle. If necessary, the decor light 15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odule 160 and emit light in a unique pattern and color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ule 160.

예컨대, 모듈(16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데코라이트(150)가 붉은 색으로 깜빡이게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모듈(160)의 장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모듈(160)이 정상적으로 장착된 경우, 데코라이트(150)가 녹색으로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모듈(160)이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기능의 모듈(160)의 경우,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음악의 장르에 맞게 데코라이트(150)가 다양한 색상 및 패턴으로 발광되어, 차량 내부를 미려하게 하고, 차량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dule 160 is not mounted, the decor light 150 blinks in red to indicate the mounting state of the module 160 to the user. When the module 160 is normally mounted, the decor light 150 emits green light, and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module 160 is normally moun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peaker function module 160, while music is being played, the decor light 150 emits light in various colors and patterns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music, mak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eautiful and improving the emotional quality of the vehicle. ca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듈의 개략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odule shown in Figure 1;

도 4를 참조하면, 모듈(160)은 차량의 콘솔(10)에 배치된 개구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모듈(160)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하측 장착면(120)의 전원단자(121)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듈(160)은 개구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때와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의 모듈(160)로 교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모듈(160)은 락킹장치(140)의 체결돌기(141)가 인입되는 체결홀(161), 하측 장착면(120)의 제1,2자력부(122, 123)와 접촉되는 N극 자력부(162), S극 자력부(162) 및 하측 장착면(120)의 전원단자(121)와 접촉 연결되는 전원단자(16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module 160 may be mounted in an opening 110 disposed in a console 10 of a vehicle. The module 160 may have various functions required by the us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to receive power. The module 160 is detachable from the opening 110 and can be replaced with a module 160 having a function desired by a user depending on time and place. Specifically, the module 160 is N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hole 161 into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of the locking device 140 enters, and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parts 122 and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 power terminal 164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magnetic pole 162, the S pole magnetic force 162, and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may be included.

체결홀(161)은 모듈(160)의 일측 면에 형성되되, 락킹장치(140)의 체결돌기(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61)은 모듈(160)이 개구부(110)로 삽입 시, 체결돌기(141)가 인입될 수 있다. 즉, 모듈(160)이 개구부(110)로 인입되면, 체결돌기(141)가 체결홀(161)에 인입되어, 모듈(160)이 차량의 진동에 의해 개구부(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16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dule 160,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of the locking device 140. In the fastening hole 161 , when the module 16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 ,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may be inserted therein. That is, when the module 160 is drawn into the opening 110,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rawn into the fastening hole 161 to fix the module 160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opening 110 due to vibration of the vehicle. can play a role

N극 자력부(162)는 모듈(160)의 하측 면에 형성되되, 하측 장착면(120)의 제1자력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S극 자력부(163)는 모듈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되, 하측 장착면(120)의 제2자력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 시 하측 장착면(120)의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와 각각 반대되는 극성으로 대응되게 모듈(160)의 하측에는 N극 자력부(162) 및 S극 자력부(163)가 배치되어, 모듈(160)이 장착되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N-pole magnetic part 16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160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part 122 on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 The S pole magnetic part 16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odule,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 That is,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160 corresponds to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with polarities opposite to each other when mounted,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S The polar magnetic force unit 163 may be disposed to guide a direction in which the module 160 is mounted.

전원단자(164)는 모듈(160)의 하측 면에 형성되되, 하측 장착면(120)의 전원단자(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모듈(160)의 전원단자(164)는 하측 장착면(120)의 전원단자(121)와 접촉 연결되어, 하측 장착면(120)의 전원단자(121)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The power terminal 16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160,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The power terminal 164 of the module 160 is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can receive power and control signals from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듈의 변형예이다.FIG. 5 is a variant of the module shown in FIG. 1 .

도 5를 참조하여, 모듈(160)의 다양한 사용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모듈(160)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그 중에서 네 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의 (a)는 공기청정기로 사용되는 모듈(160)을 도시한 것이다. 모듈(160)의 일측 면에 필터링 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부(16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b)는 스피커로 사용되는 모듈(160)을 도시한 것이다. 모듈(160)의 일측 면에는 소리발생부(166)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듈(160)은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various usage examples of the module 160 will be described. The module 160 may have various functions desired by the user, and in FIG. 5 , four modified examples will be described. Figure 5 (a) shows a module 160 used as an air cleaner. An air discharge unit 165 through which filtered air can be discharge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dule 160 . Figure 5 (b) shows the module 160 used as a speaker. A sound generator 166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dule 160. For example, the module 160 may include a Bluetooth function and interoperate with a user's smartphone.

도 5의 (c)는 무선충전기로 사용되는 모듈(160)을 도시한 것이다. 모듈(160)의 일측 면에는 무선충전부(167)가 배치되어,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및 이어폰 등 무선충전이 가능한 기기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충전부(167)는 무선충전 가능한 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d)는 USB허브로 사용되는 모듈(160)을 도시한 것이다. 모듈(160)의 일측 면에는 다수 개의 USB포트(168)가 배치되어, 다수 개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5(c) shows a module 160 used as a wireless charger. A wireless charging unit 167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dule 160 to wirelessly charge devices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such as smart phones, smart watches, and earphones.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unit 167 may be formed in a cradle shape to hold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5(d) shows the module 160 used as a USB hub. A plurality of USB ports 168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odule 160 to charg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이상과 같이 도 5에 도시된 모듈(160)의 변형예는 모듈(160)의 네 가지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며, 모듈(160)은 이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모듈(160)은 도시한 변형예 외에도 고전압 인버터, 게임기, 모니터 및 모바일 장치 거치대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dified example of the module 160 shown in FIG. 5 shows four usage examples of the module 160, and the module 160 may have various other functions. For example, the module 160 may include one or more functions of a high voltage inverter, a game machine, a monitor, and a mobile device cradle,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modification.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멀티 도킹스테이션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 mounting process of the multi-docking station shown in Figure 1.

도 6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멀티 도킹스테이션(100)의 장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는 모듈(160)이 장착되기 멀티 도킹스테이션(1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모듈(160)이 개구부(110)로 인입되는 과정의 멀티 도킹스테이션(1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c)는 모듈(160)이 장착된 멀티 도킹스테이션(100)을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6, looking at the mounting process of the multi-docking station 100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a) of FIG. 6 shows the multi-docking station 100 to which the module 160 is mounted, and (b) of FIG. 100), and FIG. 6(c) shows the multi-docking station 100 to which the module 160 is mounted.

도 6의 (a)를 참조하면, 모듈(160)이 장착되기 전의 체결돌기(141)는 탄성부(142)에 의해 개구부(11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는 모듈(160)의 N극 자력부(162) 및 S극 자력부(163)와 반대 극성을 띤다.Referring to (a) of FIG. 6 ,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before the module 160 is mounted may be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opening 110 by the elastic part 142 .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ic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23 have opposite polarities to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the S-pole magnetic part 163 of the module 160 .

도 6의 (b)를 참조하면, 모듈(160)이 개구부(110)를 통해 인입되면, 모듈(160)의 측면에 의해 체결돌기(141)가 눌리면서 콘솔(10)의 내측에 소정 정도 인입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42)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6 , when the module 160 is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110,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pressed by the side of the module 160 and is drawn into the console 10 to a certain extent. can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142 may be disposed in a compressed state.

도 6의 (c)를 참조하면, 모듈(160)이 개구부(110)의 내측에 완전히 인입되면, 체결돌기(141)의 위치에 체결홀(161)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압축되었던 탄성부(142)가 이완되며, 체결돌기(141)가 체결홀(161)의 내부로 인입되어, 모듈(160)이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6 , when the module 16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 , the fastening hole 161 may be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 At this time, the compressed elastic part 142 is relaxe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rawn into the fastening hole 161 to fix the module 160 so that it does not separate.

또한, 하측 장착면(120)의 제1자력부(122), 제2자력부(123)와 모듈(160)의 N극 자력부(162), S극 자력부(163)가 각각 서로 대응되게 모듈(160)이 인입되면 자력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반대 방향으로 모듈(160)이 인입되면 같은 극끼리 맞닿게 되어, 반발력에 의해 모듈(160)이 인입되지 않고 인출될 수 있다. 즉, 하측 장착면(120)과 모듈(160)의 자력부(122, 123, 162, 163) 및 체결돌기(141)에 의해 모듈(160)이 차량의 콘솔(10)에 이중으로 고정되어, 차량의 주행에 의해 모듈(160)이 콘솔(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agnetic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the N-pole magnetic part 162 and S-pole magnetic part 163 of the module 160 correspond to each other, respectively. When the module 160 is pulled in, it can be double fixed by magnetic force. However, when the module 160 is 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above, the same pol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dule 160 can be drawn out without being drawn in by the repulsive force. That is, the module 160 is doubly fixed to the console 10 of the vehicle by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the magnetic parts 122, 123, 162, 16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of the module 160, The module 16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sole 10 due to driving of the vehicle.

필요에 따라, 장착되었던 모듈(16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돌출손잡이부(144)를 개구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돌기(141)를 체결홀(161)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락킹장치(140)와 연동된 하측 장착면(120)의 제1,2자력부(122, 123)가 도 6에 도시된 개구부(110)에 모듈(160) 장착 시와 반대 극성으로 변경되어, 반발력에 의해 모듈(160)이 부상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If necessary, when removing the mounted module 160, the user moves the protruding handle 144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ing 110 to withdraw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from the fastening hole 161. can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parts 122 and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device 140 are changed to the opposite polarity to that when the module 160 is mounted in the opening 110 shown in FIG. Thus, the module 160 is lifted by the repulsive for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it.

이후, 모듈(160)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탈거할 수 있다. 모듈(160)이 제거된 후, 돌출손잡이부(144)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탄성부(142)가 이완되면서, 체결돌기(141)가 다시 개구부(110)의 내측으로 인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락킹장치(140)와 연동된 제1,2자력부(122, 123)가 다시 반대 극성으로 변경되어, 도 6에 도시된 상태의 극성으로 돌아올 수 있다. 이후, 다른 모듈(160)을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위와 같은 과정으로 모듈(160)이 장착될 수 있다. Then, the module 160 can be removed by lifting it upward. After the module 160 is removed, when the protruding handle 144 is released, the compressed elastic part 142 is relaxed,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 again.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units 122 and 123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device 140 are changed to the opposite polarity again, and can return to the polarity of the state shown in FIG. 6 . Thereafter, when another module 160 is to be mounted, the module 160 may be mount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도킹스테이션은 때와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의 모듈을 탈부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예컨대, 여행, 차박, 캠핑 및 출퇴근 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ulti-docking st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attaching and detaching functional modules requ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ime and place.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modules can be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 to travel, parking, camping, or commuting, and various types of modules can be attached or detached according to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또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차량의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화될 수 있다. 종래 차량의 콘솔에 구비된 기능은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만 용이하게 이용이 가능하였고, 뒷좌석까지는 콘솔의 편의기능을 용이하게 이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실시예의 멀티 도킹스테이션은 뒷좌석과 가까운 콘솔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장착할 수 있어, 뒷좌석의 탑승자도 차량에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selectively mounting modules having various functions, functions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vehicle can be diversified. Functions provided in the console of a conventional vehicle could be easily used only in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and it was difficult to easily use the convenient functions of the console up to the back seat. The multi-docking station of this embodiment has an advantage in that a module having various functions can be mounted on a console close to the rear seat, so that passengers in the rear seat can also use various functions in the vehicl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콘솔 100: 멀티 도킹스테이션
110: 개구부 120: 하측 장착면
121: 전원단자 122: 제1자력부
123: 제2자력부 130: 벽측 장착면
140: 락킹장치 141: 체결돌기
142: 탄성부 143: 지지부
144: 돌출손잡이부 150: 데코라이트
160: 모듈 161: 체결홀
162: N극 자력부 163: S극 자력부
164: 전원단자 165: 공기배출부
166: 소리발생부 167: 무선충전부
168: USB포트
10: console 100: multi docking station
110: opening 120: lower mounting surface
121: power terminal 122: first magnetic part
123: second magnetic force unit 130: wall side mounting surface
140: locking device 141: fastening protrusion
142: elastic part 143: support part
144: protruding handle 150: decor light
160: module 161: fastening hole
162: N pole magnetic part 163: S pole magnetic part
164: power terminal 165: air outlet
166: sound generating unit 167: wireless charging unit
168: USB port

Claims (7)

차량의 콘솔(10)의 일측 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개구부(110);
상기 개구부(110)에 탈부착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모듈(160);
상기 개구부(11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듈(160)의 하측 면이 접촉되는 하측 장착면(120);
상기 개구부(110)의 내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모듈(160)의 가장자리와 접촉되는 벽측 장착면(130); 및
상기 벽측 장착면(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16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1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락킹장치(140);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장착면(120)은,
상기 하측 장착면(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160)과 연결되어, 상기 모듈(160)에 전원 공급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원단자(121);를 포함하는, 멀티 도킹스테이션.
An opening 110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of the console 10 of the vehicle;
A module 160 that is detachable from the opening 110, has various functions, and can be selectively replaced with one having functions required by a user;
a lower mounting surface 120 form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opening 110 and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160;
a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formed arou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10 and contacting an edge of the module 160; and
A locking device 140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side mounting surface 130 and inserted into the module 160 to prevent the module 160 from leaving,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 power terminal 121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connected to the module 160 to transmit power supply and control signals to the module 160; including a multi-docking station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160)은,
상기 모듈(160)의 하측 면에 형성되되, 상기 하측 장착면(120)의 상기 전원단자(121)와 접촉 연결되어, 상기 하측 장착면(120)의 상기 전원단자(121)로부터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전원단자(164); 및
상기 모듈(16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하측 장착면(120)의 제1자력부(122) 및 제2자력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모듈(160)의 장착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N극 자력부(162) 및 S극 자력부(163);를 포함하는, 멀티 도킹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160,
I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160, and is contact-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power and control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power terminal 121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 power terminal 164 that can receive the; and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odule 16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and the module 160 is mounted. A multi-docking station including; an N-pole magnetic unit 162 and an S-pole magnetic unit 163 capable of guiding the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160)은,
공기청정기, 스피커, 핸드폰 충전기, USB포트, 고전압 인버터, 게임기, 모니터 및 모바일 장치 거치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콘솔(10)에 탈부착될 수 있는 멀티 도킹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160,
A multi-docking station that can be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nsole 10, including one or more of an air purifier, a speaker, a mobile phone charger, a USB port, a high voltage inverter, a game machine, a monitor, and a mobile device crad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0)는,
상기 개구부(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차량의 내부를 미려하게 하거나, 상기 모듈(160)과 연동되어, 상기 모듈(160)의 작동 상태에 따라 특유의 패턴 및 색상으로 발광하여, 상기 모듈(16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데코라이트(150);를 포함하는, 멀티 도킹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110,
It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110 to mak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eautiful, or interlocks with the module 160 to emit light in a unique pattern and color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ule 160, so that the module 160 ), a multi-docking station including; decorite 150 that can indicate the state 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140)는,
상기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에 돌출 배치되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체결돌기(141);
상기 체결돌기(141)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돌기(141)를 상기 개구부(110)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142); 및
상기 체결돌기(14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콘솔(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체결돌기(141)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돌출손잡이부(144);를 포함하는, 멀티 도킹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device 140,
a fastening protrusion 141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wall-side mounting surface 130 and capable of being drawn in and out;
an elastic part 142 dispos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and pressing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toward the inside of the opening 110; and
A protruding handle 144 formed integrally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and protruding out of the console 10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by gripping it. Including, multi-docking st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140)는,
상기 벽측 장착면(130)의 일측 면에 개방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41)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체결돌기 개구부(141a); 및
상기 개구부(11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상기 돌출손잡이부(144)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돌출손잡이부 개구부(144a);를 포함하는, 멀티 도킹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5,
The locking device 140,
a fastening protrusion opening 141a formed open on one side of the wall-side mounting surface 130 and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can be drawn in and out; and
A multi-docking station including a; protruding handle opening 144a formed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110 and capable of moving the protruding handle 14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측 장착면(120)의 상기 제1자력부(122) 및 상기 제2자력부(123)는,
전자석으로 형성되되, 락킹장치(140)와 연동되어, 체결돌기(141)가 상기 벽측 장착면(130)의 외측으로 인출 시에는 상기 모듈(160)의 상기 N극 자력부(162) 및 상기 S극 자력부(163)와 반대 극성을 띠고, 상기 체결돌기(141)가 상기 벽측 장착면(130)의 내측으로 인입 시에는 상기 모듈(160)의 상기 N극 자력부(162) 및 상기 S극 자력부(163)와 동일한 극성으로 변경되어, 상기 모듈(160)의 장착 시에는 반대 극성끼리의 인력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모듈(160)을 장착시킬 수 있고, 상기 모듈(160)의 분리 시에는 같은 극성끼리의 반발력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모듈(160)을 분리할 수 있는, 멀티 도킹스테이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122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123 of the lower mounting surface 120,
It is formed of an electromagnet, interlocked with the locking device 140, and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rawn out of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the N-pole magnetic part 162 of the module 160 and the S It has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pole magnetic part 163, and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41 is drawn into the wall side mounting surface 130, the N pole magnetic part 162 and the S pole of the module 160 It is changed to the same polarity as the magnetic force unit 163, so that when the module 160 is mounted,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module 160 by the attraction between opposite polarities, and the module 160 is separated. In case of a multi-docking station,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module 160 by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same polarities.
KR1020210068782A 2021-05-28 2021-05-28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KR102525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82A KR102525383B1 (en) 2021-05-28 2021-05-28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82A KR102525383B1 (en) 2021-05-28 2021-05-28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51A true KR20220160751A (en) 2022-12-06
KR102525383B1 KR102525383B1 (en) 2023-04-25

Family

ID=8440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782A KR102525383B1 (en) 2021-05-28 2021-05-28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3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49645A1 (en) * 2022-02-08 2023-08-10 Tarkan Bastiyali Smart safe console system
KR102655680B1 (en) * 2023-11-06 2024-04-11 주식회사 서연이화 Coupling device and console modul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20B1 (en) * 2005-05-23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puter comprising detachable display
KR20170014954A (en) * 2015-07-31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peaker system
KR101787949B1 (en) 2017-06-12 2017-11-15 곽성희 Multifunction console box for automobiles
KR101866739B1 (en) * 2016-12-09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KR102067358B1 (en) * 2019-05-17 2020-01-16 변정태 Drone attachable mission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102148293B1 (en) 2018-11-28 2020-08-26 주식회사 서연이화 console arm res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20B1 (en) * 2005-05-23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puter comprising detachable display
KR20170014954A (en) * 2015-07-31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peaker system
KR101866739B1 (en) * 2016-12-09 2018-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KR101787949B1 (en) 2017-06-12 2017-11-15 곽성희 Multifunction console box for automobiles
KR102148293B1 (en) 2018-11-28 2020-08-26 주식회사 서연이화 console arm rest
KR102067358B1 (en) * 2019-05-17 2020-01-16 변정태 Drone attachable mission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49645A1 (en) * 2022-02-08 2023-08-10 Tarkan Bastiyali Smart safe console system
KR102655680B1 (en) * 2023-11-06 2024-04-11 주식회사 서연이화 Coupling device and console modul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383B1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5383B1 (en) Multi-docking station removable to vehicle console
CN103085729A (en) Insert for a dashboard
EP3568344A1 (en) Bicycle frame, in particular for electric bicycles, electric bicycle and mobile lighting device and adapter parts for bicycle accessories
CN103840516A (en)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er
CN109109756A (en) Box assembly and automobile are controlled in one kind
CN208143286U (en) Press sense answers automatic open and close type handset bracket
CN111532213B (en) Speaker device for motor vehicle seat
KR20130097462A (en) Wireless charger with function of outputting sound
JP7188935B2 (en) audio output device
JP2021095037A (en) Vehicular seat and vehicular headrest
KR101866739B1 (en) Portable multi-port adapter for vehicles
KR20180039354A (en) Wireless charger for vehicle
EP1119160A2 (en) Universal hands-free kit for cellular phone
US11027670B1 (en) Seat-mounted wireless rechargeable tool holder
CN209930430U (en) Sound box
CN205589127U (en) Embedded vehicle mobile phone fixes subassembly
KR101479465B1 (en) Replacement door mirror assembly
CN212796535U (en) Key module, auxiliary instrument board assembly and vehicle
KR200190767Y1 (en) A stand of cellular phone with jack for charge
CN201989725U (en) Mounting structure for pick-up head and rearview mirror
CN212980425U (en) Tricycle with music playing function
CN216684307U (en) Automobile display screen connecting structure
CN208707694U (en) Highly reliabl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handset bracket
CN201509194U (en) Rack for placing and charging mobile phones and Bluetooth headsets
CN211106872U (en) Vehicle-mounted aromatherapy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