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243A -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243A
KR20220160243A KR1020210068184A KR20210068184A KR20220160243A KR 20220160243 A KR20220160243 A KR 20220160243A KR 1020210068184 A KR1020210068184 A KR 1020210068184A KR 20210068184 A KR20210068184 A KR 20210068184A KR 20220160243 A KR20220160243 A KR 2022016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ary
task
payment
information
resear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770B1 (ko
Inventor
박성민
최주형
박유민
최지수
Original Assignee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8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7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7Benefits or employee welfare, e.g. insurance, holiday or retirement pack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구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 각각이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 지급 내역을 정의하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입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에 연관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입력부;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별로 배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의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급여 산출부; 및 연구과제별 보험료가 반영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등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별 정산 시스템을 이용하면,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 등을 각 과제별 및 각 연구원별로 자동적으로 배분하여 등록함으로써, 과제 담당자가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보고 보험료를 개인부담금과 개인부담금으로 나누어 등록하거나 고지할 필요가 없고, 여러 연구원들이 수행하는 여러 연구과제에 관련된 급여를 각 과제별 및 연구자별로 나누어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과제 담당자의 업무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ON OF SALARY BY RESEARCH PROJECT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여러 연구과제 비용으로부터 연구원들에게 지급되는 급여와 관련하여 4대 보험과 같은 보험금을 각 과제별로 자동 배분하여 급여 정산을 자동화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민간 연구업체 또는 대학 등의 연구 수행기관은 정부, 공공기관, 기업체 등의 의뢰를 받아 연구과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연구과제를 의뢰한 의뢰기관에서는 연구과제 수행에 필요한 경비를 수행기관에 지원한다. 연구과제 수행에 참여하는 연구기관의 연구원이나 대학교의 교수 또는 대학원생 등의 급여 또한 의뢰기관이 지원하는 연구과제 예산으로부터 지급된다.
각 연구원은 연구과제별로 지급받는 연구비를 처리하고 비용 처리 결과를 수행기관에 보고하며, 수행기관은 각 연구원으로부터 보고 받은 비용 처리 결과를 의뢰기관에 보고하거나 관리한다. 그런데, 규모가 크고 다양한 분야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수행기관은 동시에 여러 의뢰기관으로부터 연구과제를 의뢰받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수행기관의 소속 연구원들도 여러 분야에 걸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원의 급여와 관련하여 개인지급액,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기관부담금 및 퇴직충당금 등이 연구과제 비용으로부터 지출되는데, 동일한 연구원이 여러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경우 각 과제별로 참여 기간이나 지급 금액이 상이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가 각 연구원 급여와 관련된 4대 보험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을 수기로 각 과제별 및 각 연구원 별로 나누어 입력하였다. 그러나,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수기 입력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47763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연구원들의 급여를 산정함에 있어서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과 같은 보험금 정보를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기준으로 각 과제별 및 각 연구원별로 자동 배분하여 등록하고 이를 토대로 급여를 정산함으로써, 종래의 수기 배분과 입력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연구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 각각이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 지급 내역을 정의하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입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에 연관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입력부;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별로 배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의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급여 산출부; 및 연구과제별 보험료가 반영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등록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연구과제 각각의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여 산출부는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여 산출부는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 중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을 각각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과제의 협약 전 상태 또는 협약 후 상태를 정의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급여 산출부는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부는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의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상기 급여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자의 급여 내역 중 협약 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급여를 지급하도록 구성된 지급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의 지급구분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상기 연구자가 소속된 수행기관의 용도별 계좌 정보가 저장된 계좌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급 처리부는, 상기 지급구분 정보 및 상기 용도별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자의 급여 또는 보험료를 복수 개의 계좌에 분할하여 이체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연구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 각각이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 지급 내역을 정의하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에 연관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별로 배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의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연구과제별 보험료가 반영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연구과제 각각의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 중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과제의 협약 전 상태 또는 협약 후 상태를 정의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은,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의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급여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협약 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상기 연구자의 급여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의 지급구분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은,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연구자가 소속된 수행기관의 용도별 계좌 정보를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여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지급구분 정보 및 상기 용도별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자의 급여 또는 보험료를 복수 개의 계좌에 분할하여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각 연구과제별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 및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 등을 각 과제별 및 각 연구원별로 자동적으로 배분하여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는 시스템에 등록된 내역을 확인하고 비용의 집행, 누락 정보의 확인, 보험료 납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가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보고 보험료를 개인부담금과 개인부담금으로 나누어 등록하거나 이를 고지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으며, 수행기관의 여러 연구원들이 수행하는 여러 연구과제에 관련된 급여를 각 과제별 및 연구자별로 나누어 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과제 담당자의 업무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수행기관의 과제협약 및 이에 따른 연구과제 비용이 수행기관이 입금되기 전에도 이를 보험료의 배분에 미리 반영함으로써 연구원의 과제협약 전 근로소득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 및 수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에 의한 급여 산출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 협약 전 근로소득을 등록하기 위한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의하여 과제별로 배분된 보험료가 반영된 급여 내역을 조회하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수행기관의 연구과제에 관련된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수신하며, 또는 수행기관이 근로소득 등 급여를 지급하여야 할 하나 이상의 연구자에 관련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연구자들의 보험료를 각 연구과제별로 배분하여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급여 내역 정보를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 및 연구자에 의한 열람 및 처리가 가능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구과제란 국가, 공공기관 또는 기업 등 의뢰기관이 연구개발 주제나 분야를 특정하여 그 연구개발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연하거나 공공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연구개발사업의 각 단위 과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수행기관이란 의뢰기관의 연구개발비 지원을 받아 해당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소 또는 대학의 산학협력단 등을 지칭하며, 본 명세서에서 연구자란 수행기관으로부터 근로소득 등으로 급여를 지급받고 연구를 수행하는 인력을 지칭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수행기관의 연구자 또는 과제 담당자 등으로부터 연구과제에 관련된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수행기관의 보험 담당자로부터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4, 5)와 통신함으로써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 또는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수행기관의 각 담당자나 연구자에게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의해 과제별로 보험료가 분배되어 산출된 급여 내역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1, 2, 6) 및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4, 5)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치(1)는 연구 책임자나 과제 담당자 등 수행기관의 담당자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하며, 사용자 장치(2)는 수행기관의 보험 담당자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보험료 고지내역을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치(6)는 수행기관의 연구자가 급여 내역을 조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용자 장치(1, 2, 6)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과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실행하거나 특정 웹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이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제1 입력부(31), 제2 입력부(32), 급여 산출부(33) 및 등록부(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계좌관리부(3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지급 처리부(35)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 부(unit)(30-35)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모듈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모듈이 다른 모듈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의 각 부분은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제1 입력부(31)는 수행기관의 하나 이상의 연구자 및 각 연구자가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 지급 내역을 정의하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입력부(31)는 수행기관의 연구 책임자나 과제 담당자 등이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할 수 있다.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를 기초로 한 연구자 급여 정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부(31)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등록된 연구과제의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입력부(32)는 수행기관의 하나 이상의 연구자에 연관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란 수행기관의 각 연구자에 연관된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고지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입력부(32)는 수행기관의 보험 담당자의 사용자 장치(2)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사회보험통합징수 포털 등에서 제공하는 4대 보험 고지내역 엑셀 파일 등의 형태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행기관의 연구 책임자, 과제 담당자 및 보험 담당자 등은 수행기관에 연관된 각 사용자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과 연관하여 행하는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를 구분하여 지칭하는 것일 뿐, 반드시 각 사용자가 서로 상이한 개인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수행기관의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하는 사용자와 보험료 고지내역을 등록하는 사용자는 동일인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장치(1, 2)는 하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입력부(31)는 과제정보 제공 서버(4)와 통신함으로써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제정보 제공 서버(4)는 수행기관이 수행하는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연구과제의 목록, 각 연구과제에 할당된 연구개발비 및/또는 각 연구과제의 수행인력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의뢰기관이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입력부(32)는 보험정보 제공 서버(5)와 통신함으로써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험정보 제공 서버(5)는 사회보험통합징수 포털 서버, 근로복지공단 서버,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 등과 같이 행정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보험 관련 서비스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이 수신하는 보험료 고지내역은 민간보험에 대한 고지내역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보험정보 제공 서버(5)는 해당 보험사의 서버일 수도 있다.
과제정보 제공 서버(4) 및/또는 보험정보 제공 서버(5)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각 외부 서버(4, 5)에 대해 수행기관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공인인증서, ID, 비밀번호 등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1 입력부(31) 및/또는 제2 입력부(32)는 수행기관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외부 서버(4, 5)에 대한 수행기관 명의의 인증 또는 로그인 등의 과정을 수행하고 자동으로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 및/또는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정보의 수신에는 외부 서버(4, 5)가 제공하는 서비스 웹 페이지 등에서 필요한 정보가 나타나도록 한 후 화면 상에 나타난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하는 스크래핑(scrap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여 산출부(33)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토대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각 연구자의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등록부(3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급여 산출부(33)는,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에서 수행기관의 각 연구자들의 보험료를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별로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하나의 연구자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각 연구과제별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급여 산출부(33)는, 해당 연구자에게 고지된 보험료를 각 연구과제별 지급기간과 금액에 비례하여 복수의 연구과제에 걸쳐 분배하여 각 연구과제에서 연구자에게 지급되어야 할 급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급여 산출부(33)는 연구자의 보험료에서 각 연구과제별로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을 각각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수행기관이 현재 수행 중인 것으로서 수행기관에 이미 연구개발비가 지급된 연구과제뿐만 아니라, 수행기관에 아직 연구개발비가 지급되지 않은 협약 전 과제를 토대로 한 급여 정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연구과제의 협약 전 상태 또는 협약 후 상태를 정의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급여 산출부(33)는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을 반영하여 각 연구과제별 보험료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의 지급 처리부(35)는 연구과제별 보험료 정산 내역이 반영된 급여 내역을 토대로 연구과제에 대한 급여 지급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지급 처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구과제에 대한 급여 지급이란, 참여인력지급계획을 통해 정의되는 근로소득 중 소득세 및 보험료 개인부담금 등을 제외한 실 지급액을 연구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지급 처리부(35)는 은행 등 금융기관 서버(미도시)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이 협약 전 과제에 대해서도 급여 정산을 수행하는 경우, 지급 처리부(35)는 등록부(30)에 등록된 급여 내역 정보 중 협약 후 과제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지급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협약 전 과제에 해당하는 급여 내역에 대해서는, 과제 담당자가 해당 과제의 상태 정보를 협약 후 상태로 변경한 후 지급 처리부(35)를 통한 급여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급여 지급이란, 수행기관의 각 연구자에 대한 소득세를 수행기관의 소득세 계좌로 이체하는 것이나, 수행기관의 각 연구자에 대한 보험료 중 기관부담금을 수행기관의 보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수행기관의 용도별 계좌 정보가 저장된 계좌 관리부(34)를 더 포함하며, 지급 처리부(35)는 계좌 관리부(34)에 저장된 용도별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연구자의 급여 또는 보험료를 복수 개의 계좌에 분할하여 이체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연구자에게 지급되어야 할 근로소득 중 기관부담금의 지급 구분을 연구비나 간접비 등으로 정의하는 지급구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급 처리부(35)는 지급구분 정보를 토대로 수행기관의 복수 개의 계좌 중 관련 계좌를 특정하여 급여 지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급구분이 연구비인 금액은 연구과제의 의뢰기관으로부터 지급되는 연구개발비를 재원으로 지급하되, 지급구분이 간접비인 금액에 대해서는 수행기관(예컨대, 연구기관 또는 산학협력단 등)의 재원을 이용하여 지급하도록 해당 금액의 지급구분 정보에 따라 지급 계좌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는 지급구분이 연구비로 설정된 금액을 일괄 조회하여 그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간접비로 변경하거나, 또는 간접비로 설정된 금액을 일괄 조회하여 그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연구비로 변경하는 등 지급구분 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행기관의 사용자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1). 이때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는 수행기관의 연구자들이 수행하는 연구과제와 각 연구자의 연구과제에 대한 참여기간과 근로소득 지급 금액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100)가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하는 사용자는 연구 책임자 등 다른 담당자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사용자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 사이의 정보 송수신은 사용자 장치(1, 2, 6; 도 1)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 및 수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의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하거나 기 등록된 참여인력지급계획을 수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연구과제를 선택한 후, 해당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연구자의 성명, 역할, 직급 및 학위과정 등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여 해당 연구자를 특정하고, 해당 연구자의 연구과제에 대한 참여기간 정보와 지급내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참여기간 정보는 해당 연구자가 해당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시작일과 종료일 등의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참여기간 정보는 해당 기간 동안 연구개발비로부터 연구자에게 지급 가능한 총 급여를 지정하는 지급한도액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급내역 정보는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연구자에게 지급될 급여와 관련하여 지급기간, 지급방법, 재원, 지급비목, 소득구분, 소득상세, 지급금액, 참여율, 퇴직금 적립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급내역 정보는 연구자에게 지급되어야 할 근로소득 중 기관부담금의 지급 구분을 연구비나 간접비 등으로 정의하는 지급구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지급내역 정보는 앞서 기재한 정보들을 토대로 산출되는 공제합계 금액과 실지급액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행기관의 보험 담당자(200) 등 사용자는 수행기관의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등록할 수 있다(S2).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에는 수행기관에 소속된 연구자들과 관련하여 수행기관이 지급하여야 하는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보험료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 담당자(200)는 사회보험통합징수 포털, 근로복지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또는 보험회사 등으로부터 수신된 보험료 고지내역 파일을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는 수행기관의 소속 연구원들의 인사정보(연구자의 개인정보, 직번, 사번 등을 포함)가 저장되어 있으며, 업로드된 보험료 고지내역 파일을 인사정보와 매핑(mapping)함으로써 각 연구자와 관련하여 납부하여야 할 보험료를 특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에는 수행기관이 납부하여야 할 보험료 고지금액 뿐만 아니라 보험료 중 연구자 개인부담금 및/또는 수행기관의 기관부담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100)는, 수행기관의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소속 연구자들에게 근로소득을 지급하고자 하는 경우 근로소득의 일괄청구를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요청할 수 있다(S3). 근로소득 일괄청구가 요청되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서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토대로 각 연구자에게 지급될 급여를 산출하되, 이때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토대로 각 연구자의 보험료를 해당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과제별로 배분하여 연구자 급여의 실지급액을 산출할 수 있다(S4).
연구자가 복수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경우 연구자의 급여는 복수의 연구과제의 연구개발비를 재원으로 하여 지급되는 것인 반면, 보험료 고지내역을 통해 고지되는 연구자의 보험료는 해당 연구자의 총 소득을 기반으로 하므로 연구과제별로 구분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참여인력지급계획에서 연구자가 참여하는 각 연구과제들의 지급금액의 비율을 기반으로 연구자의 보험료를 각 연구과제별로 분배함으로써, 연구자의 보험료 중 각 연구과제의 연구개발비에서 부담되어야 할 비율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이를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등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에 의한 급여 산출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행기관의 각 연구자(예컨대, 연구자 1, 연구자 2, 연구자 3)는 복수 개의 연구과제(예컨대, A과제, B과제, C과제)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고 자신이 수행한 각 연구과제로부터 근로소득을 지급받을 수 있다. 각각의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연구자들과, 각 연구과제로부터 연구자들에게 지급되는 근로소득은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통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등록된다.
예컨대, 도 4의 예에서 연구자 1은 A과제에서 100만원, B과제에서 30만원, C과제에서 40만원의 급여를 지급받도록 참여인력지급계획이 등록될 수 있다. 이때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의 지급금액은 보험료에 대한 기관부담금을 제외하고 연구자에게 지급되어야 할 근로소득을 의미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으며, 또는 근로소득과 보험료에 대한 기관부담금을 합산한 금액을 의미하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이용하는 참여인력지급계획에서 하나 이상의 과제는 협약 전 상태, 즉, 연구개발비가 의뢰기관으로부터 수행기관에 지급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4대 보험의 고지내역 파일과 같은 형태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수신되는 보험료 고지내역에서 각 연구자의 보험료는 연구과제별로 분배되어 있지 않다. 다만, 보험료 고지내역의 각 보험료는 근로소득자의 개인부담금과 근로소득자가 소속된 기관(기업)에서 납부해야 할 기관부담금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각 연구자의 급여를 산정함에 있어서, 해당 연구자가 참여하는 각 연구과제의 지급금액에 비례하여 해당 연구자의 보험료를 연구과제별로 배분하고, 각 연구과제의 지급금액으로부터 해당 연구과제에 배분된 보험료 일부를 제함으로써 급여 중 실지급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급여로부터 차감되는 보험료는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보험료 중 개인부담금을 지칭할 수 있고,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는 각 연구자별로 해당 연구자의 보험료 중 기관부담금을 각 연구과제별로 별도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미리 저장된 소득세 산정 규칙 또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업로드된 소득세 고지내역 정보를 토대로, 보험료 개인부담금에 더하여 소득세를 더 제외한 금액을 실지급액으로 산정할 수도 있다. 이때,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연구자의 소득세도 해당 연구자에게 소득을 지급하는 연구과제별로 배분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연구자 1의 급여(41)를 산정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연구자 1의 급여(41)는 실지급액(411), 소득세(412) 및 보험료 중 개인부담금(413)으로 구성되며 실제 연구자 1의 계좌로 지급되는 것은 이 중 실지금액(411)이다.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참여인력지급계획에서 연구자 1의 소득이 A과제의 지급금액 100만원, B과제의 지급금액 30만원 및 C과제의 지급금액 40만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토대로, 보험료 고지내역에서 연구자 1의 보험료 중 개인부담금 155,120원을 연구자 1에게 소득을 지급하는 각 연구과제의 지급금액 비율에 따라 10:3:4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각 과제의 지급금액에서 보험료 배분금액을 제한 금액을 토대로 연구자 1의 해당 소득에 상응하는 소득세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참여인력지급계획을 통해 등록된 각 과제별 지급금액에서 과제별로 배분된 보험료 개인부담금(413) 및 소득세(412)를 차감하여, 각 과제별 실지급액을 포함하는 연구자 1의 급여 실지급액(411)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 중 연구자 1의 보험료 기관부담금(42)도 연구자 1의 과제별 지급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여 산출할 수 있다.
실지급액과 과제별 보험료 배분금액을 포함하는 급여 산정이 완료되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연구자 1에게 지급되어야 할 실지급액을 각 과제별로 합산하여 해당 연구자의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때, 연구자 1이 참여하는 연구과제 중 협약 전 과제가 있을 경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전술한 보험료 및 소득세의 배분 과정은 협역 전 과제의 지급금액을 포함하여 수행하되, 실제 급여의 지급은 협약 후 과제의 실지급액만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한편, 연구자 1의 급여(41) 중 과제별 소득세를 합산한 소득세(412)는 수행기관이 연구자 1을 대신하여 납부하므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소득세(412)는 수행기관의 소득세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 1의 급여(41) 중 보험료 개인부담금(413)과, 연구자 1에 상응하는 보험료 기관부담금(42)은 수행기관이 각 보험 공단 또는 보험사에 납부하므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보험료 개인부담금(413)과 기관부담금(42)을 수행기관의 보험료 납입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의 지급 처리부(35)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행기관의 보험 담당자 등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등록된 보험료 고지내역과 실제 수행기관에 청구된 보험료 청구내역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양 금액에 차이가 없을 경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을 통하여 고지된 보험료에 대한 납부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수행기관의 보험 담당자가 보험료 청구내역을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등록하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의 지급 처리부(35)가 각 계좌로 금액을 이체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고지내역과 청구내역의 비교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수행기관의 과제 담당자(100)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을 통하여 보험료 및/또는 소득세를 과제별로 배분함으로써 산정된 급여 내역 정보(예컨대, 과제별 실지급액, 소득세, 보험료 정보를 포함)를 조회하고(S5), 조회 결과 문제가 없을 경우 급여 내역을 확정할 것을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요청할 수 있다(S6).
또한, 과제 담당자(100)는 확정된 급여의 지급을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요청할 수 있다(S7). 이때 급여의 지급이란, 급여 중 실지급액을 각 연구자의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급여의 지급이란 급여 중 소득세를 수행기관의 소득세 계좌로 이체하는 것이나 급여 중 보험료 개인부담금에 보험료 기관부담금을 더한 금액을 수행기관의 보험료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체를 위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스크래핑(scraping) 또는 펌 뱅킹(firm banking) 등의 방식으로 금융기관 서버(5)와 통신함으로써 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S8). 이체 실행을 위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금융기관 서버(5)에 대해 수행기관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급여의 지급은 과제 담당자(100)에 의한 별도의 요청이 없더라도 미리 설정된 지급 주기마다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의 지급 처리부(35; 도 1)는 미리 설정된 지급 주기가 도래하였을 때 해당 주기의 급여 내역이 확정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급여 내역이 확정되지 않았다면 급여 내역의 확정을 요청하는 알림을 과제 담당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급여 내역이 확정되었다면 급여 지급을 자동으로 실시하거나 또는/또한 급여 지급을 실시하기 위한 승인을 요청하는 알림을 과제 담당자(1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과제 담당자(100) 등에 의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등록되는 참여인력지급계획과 관련된 연구과제 중에는 협약 전 상태의 과제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과제 담당자(100)는 참여인력지급계획을 등록함에 있어서 해당 연구과제의 상태 정보를 협약 전 상태 또는 협약 후 상태로 구분함으로써, 협약 전 상태의 과제에 대해서도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전송할 수 있다(S11).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 협약 전 근로소득을 등록하기 위한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과제 담당자는 과제가 협약된 후 급여를 지급할 예정인 지급내역에 대해서도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제 담당자는 협약 전 근로소득에 관련된 기준일시, 연구자의 개인정보(성명, 직번, 주민등록번호 등), 협약 전 과제명 및 미지급 금액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과제 담당자는 해당 과제에 대한 협약이 완료된 후에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등록된 해당 과제의 상태를 협약 후 상태(예컨대, 과제등록완료 상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수행기관의 각 연구자에 대한 보험료 고지내역을 각 과제별 지급비율로 배분하여 급여 내역을 산출할 수 있다(S12). 즉,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서는 협약 전 과제의 지급금액을 미리 포함하여 연구자의 보험료 고지내역에 대한 과제별 배분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이 금융기관 서버(5)와의 통신을 통하여 연구자의 계좌로 급여 실지급액을 지급하는 경우 지급되는 금액은 협약 후 상태의 연구과제의 연구개발비를 재원으로 한 금액에 대해서만 산정될 수 있다(S13).
한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금융기관 서버(5)와의 통신을 통하여 수행기관의 계좌로부터 공단 또는 보험사에 대한 보험료 납부를 수행할 수도 있다(S14). 예를 들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스크래핑 또는 펌 뱅킹 등의 방식으로 금융기관 서버(5)와 통신함으로써 급여의 지급 및/또는 보험료 납부를 수행할 수 있다. 급여의 지급 및/또는 보험료 납부를 위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은 금융기관 서버(5)에 대해 수행기관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협약 전 과제를 미리 반영한 보험료 고지내역의 배분과 급여 지급이 이루어진 후, 과제 담당자(100)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 등록된 협약 전 과제에 대한 과제정보를 등록 또는 수정하여 해당 과제를 협약 후 상태(예컨대, 과제등록완료 상태)로 변경하면(S15),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서는 협약이 완료된 과제의 연구개발비를 재원으로 한 급여의 추가 지급을 금융기관 서버(5)에 요청할 수 있다(S17). 이때, 협약 전 상태의 참여인력지급계획과 비교하여 해당 과제의 지급금액에 변경이 발생하였다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3)에서는 새로 등록된 과제 정보를 기반으로 보험료 고지내역에 대한 배분을 다시 수행하고(S16), 다시 배분된 보험료 고지내역을 기반으로 한 급여 산정 내역에 따라 금융기관 서버(5)에 추가 이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예에서는, 연구자 1에 대한 A과제, B과제 및 C과제의 지급금액에 비례하여 보험료 고지내역 및 소득세를 배분하되, 연구자 1 계좌로의 실지급은 협약이 완료된 A과제와 B과제의 지급금액을 토대로 한 급여 실지급액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이후 과제 담당자에 의하여 협약 전 상태였던 C과제애 대한 과제 및 참여인력지급계획이 확정 등록되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는 C과제의 참여인력지급계획을 토대로 보험료 고지내역의 배분을 수행하고 앞서 지급된 금액과의 비교를 통한 추가 지급 등 정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의하여 과제별로 배분된 보험료가 반영된 급여 내역을 조회하는 예시적인 UI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의하여 산출된 특정 연구자의 급여 내역은 해당 연구자가 참여하는 A과제, B과제 및 C과제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지급금액, 소득세, 보험료 및 실지급액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지급금액은 과세소득과 비과세금액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소득세는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로 구분될 수 있다. 나아가, 보험료는 보험의 종류(예컨대, 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별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연구과제별 과세소득 및 비과세금액의 합계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보험료 개인부담금 및 기타 공제액을 제함으로써 과제별 실지급액이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구자가 참여하는 과제들은 협약 전후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으며, 도 7의 예에서는 C과제가 협약 전 과제인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는 협약 전 과제를 포함하여 소득세 및 보험료 등의 배분을 수행하되, 협약 전후 여부를 확정 구분 항목으로 표시하여 협약이 완료된 과제에 기반한 급여에 대해서만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급여 내역은 과제별로 배분된 퇴직충당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연구자에 대한 실지급액은 급여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보험료 개인부담금 및 공제액에 더하여 퇴직충당금을 더 차감한 금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급여 내역의 다른 항목과 마찬가지로, 퇴직충당금 역시 각 과제별 지급금액 비율에 따라 배분되어 산출될 수 있다. 수행기관에서는 연구자에 대한 급여에서 퇴직충당금을 제할 것인지 여부 및 퇴직충당금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으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서는 연구자에 대한 급여에서 설정된 퇴직충당금 비율에 따라 퇴직충당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퇴직충당금의 적립 여부 및/또는 퇴직충당금의 비율은 연구과제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A과제의 경우 과제 등록시점에 연구자가 1년 이상 근무하지 않아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퇴직충당금을 설정하지 않으나, B과제의 경우에는 급여에서 일정 비율의 퇴직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가 설정되었다. 또한, 협약 전 과제인 C과제의 경우에는 확약 전이므로 퇴직충당금 적립 여부를 설정하지 않아 퇴직충당금이 적립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과제별로 퇴직충당금을 적립할지 여부와 적립되는 퇴직충당금의 비율을 설정하는 방식은 수행기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급여 내역 정보가 퇴직충당금을 포함하는 경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의 지급 처리부(35; 도 1)는 급여 지급 시 급여 내역 정보 중 각 연구과제별 퇴직충당금을 합산한 금액에 대해서는 수행기관의 퇴직금 관련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은 계좌 관리부(34; 도 1)에 저장된 수행기관의 지급 용도별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급 처리부는 수행기관에 소속된 연구자들의 퇴직연금이 매달 출금되도록 자동 이체가 설정된 수행기관 계좌로 퇴직충당금을 이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등록되거나 또는 수행기관의 다른 시스템을 통하여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연계된 연구자의 인사정보를 토대로 해당 연구자의 퇴직충당금 적립 여부를 자동 결정함으로써 급여 내역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은 연구자의 근속기간을 토대로 연구자가 1년 미만으로 근무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연구과제 관련 급여에 대해서는 퇴직충당금을 제하지 않고, 연구자가 1년 이상 근무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연구과제 관련 급여로부터 퇴직충당금을 적립하도록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연구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 각각이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 지급 내역을 정의하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입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에 연관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입력부;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별로 배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의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급여 산출부; 및
    연구과제별 보험료가 반영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등록부를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연구과제 각각의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급여 산출부는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로 분할함으로써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 산출부는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 중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을 각각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과제의 협약 전 상태 또는 협약 후 상태를 정의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급여 산출부는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의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급여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자의 급여 내역 중 협약 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급여를 지급하도록 구성된 지급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의 지급구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연구자가 소속된 수행기관의 용도별 계좌 정보가 저장된 계좌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급 처리부는, 상기 지급구분 정보 및 상기 용도별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자의 급여 또는 보험료를 복수 개의 계좌에 분할하여 이체하도록 더 구성된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7.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연구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 각각이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 지급 내역을 정의하는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에 연관된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험료 고지내역 정보의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하나 이상의 연구과제별로 배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연구자의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연구과제별 보험료가 반영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연구과제 각각의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를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에 비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연구자의 보험료 중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개인부담금 및 기관부담금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자가 수행하는 연구과제의 협약 전 상태 또는 협약 후 상태를 정의하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급여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지급기간 및 지급금액을 반영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구과제별 보험료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협약 전 상태의 연구과제의 상태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급여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협약 후 상태의 연구과제에 대한 상기 연구자의 급여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인력지급계획 정보는 상기 연구과제에 관련된 근로소득의 지급구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연구자가 소속된 수행기관의 용도별 계좌 정보를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여를 지급하는 단계는, 상기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이, 상기 지급구분 정보 및 상기 용도별 계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구자의 급여 또는 보험료를 복수 개의 계좌에 분할하여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과제별 급여 정산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68184A 2021-05-27 2021-05-27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0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84A KR102606770B1 (ko) 2021-05-27 2021-05-27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84A KR102606770B1 (ko) 2021-05-27 2021-05-27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43A true KR20220160243A (ko) 2022-12-06
KR102606770B1 KR102606770B1 (ko) 2023-11-29

Family

ID=8440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184A KR102606770B1 (ko) 2021-05-27 2021-05-27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7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763B1 (ko) 2009-06-05 2010-04-20 주식회사 우리은행 연구비 통합 관리 방법
KR20180070795A (ko) * 2016-12-17 2018-06-2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연구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3165B1 (ko) * 2018-10-19 2020-04-22 웹케시 주식회사 연구비 회계 처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05700B1 (ko) * 2019-05-23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Erp 및 그룹웨어와 통합 연계 기반 연구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763B1 (ko) 2009-06-05 2010-04-20 주식회사 우리은행 연구비 통합 관리 방법
KR20180070795A (ko) * 2016-12-17 2018-06-2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연구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3165B1 (ko) * 2018-10-19 2020-04-22 웹케시 주식회사 연구비 회계 처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05700B1 (ko) * 2019-05-23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Erp 및 그룹웨어와 통합 연계 기반 연구과제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770B1 (ko) 202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079B1 (en) System for web-based payroll and benefits administration
US7945489B2 (en) Flexible cost and revenue allocation for service orders
US8452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ayroll-related employee and insurance data
US8744933B2 (en) Payroll processing, certification, reporting and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178208A9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llections of Debts for Businesses
US200801475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unding
US200800716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business services
US20100042518A1 (en) Payroll rules engine for populating payroll costing accounts
US20140279610A1 (en)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nd assuring service contract act compliance with health & welfare fringe benefits
US201902791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irm, inter-office, inter-company billing and financial processing and transfer posting
US20150066716A1 (en) Public works contractor payroll processing, certification, reporting &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3119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se budgeting and expense reduction
KR102606770B1 (ko) 과제별 급여 정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10616373B2 (en) System to dynamically adjust request values at a back-end application server
WO2021153737A1 (ja) 給与前払管理装置、給与後払管理装置、給与支払管理装置、給与支払管理方法、及び給与支払管理プログラム
KR102374191B1 (ko) 연구비 관리 시스템
WO2021141083A1 (ja) 給与前払管理装置、給与前払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198048A1 (en) Professional employment organization data management system
US20230267517A1 (en) Integ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act Process Management
KR20220163305A (ko) 일감 연결 시스템
KR20220149337A (ko) 선지급 된 인건비를 결제하는 근로자 인건비지급방법
WO2023044540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ercial activities between members of a network of users
KR20230000474A (ko) 세무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20190112517A (ko) 페이풀 시스템 및 그 방법
Department of Defense Inspector General Alexandria United States Evaluation of Defense Hotline Allegations at the Defense Contract Audit Agency Santa Barbara Suboff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