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240A -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240A
KR20220160240A KR1020210068171A KR20210068171A KR20220160240A KR 20220160240 A KR20220160240 A KR 20220160240A KR 1020210068171 A KR1020210068171 A KR 1020210068171A KR 20210068171 A KR20210068171 A KR 20210068171A KR 20220160240 A KR20220160240 A KR 20220160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imaging optical
lens group
len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윤
정희윤
서정파
이환선
이기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8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240A/ko
Priority to PCT/KR2022/006549 priority patent/WO2022250330A1/ko
Publication of KR20220160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240A/ko
Priority to US18/484,825 priority patent/US202400488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촬상 광학계 및 제2 이미지 센서 및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렌즈 군, 제2 렌즈 군, 및 제3 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 및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식 1]
Figure pat00017
>2(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그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IMAGING OPTICAL SYSTEM}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하나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이미지 촬영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 및 전자 지갑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광학 장치, 예를 들어, 이미지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타입의 이미지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타입의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사용되고 있다. 고체 이미지 센서(CCD 또는 CMOS)를 채용한 광학 장치는, 필름 방식의 광학 장치에 비해, 소형화에 적합하고, 이미지의 저장과 복제, 이동이 용이하여 점차 필름 방식의 광학 장치를 대체하고 있다.
높은 품질의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복수의 렌즈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낮은 F 수, 적은 수차를 가짐으로써, 더 높은 품질(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낮은 F 수, 적은 수차를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렌즈들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장치는 대체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이 촬영에 특화된 장치로 구성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도 탑재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으며, 고성능을 위하여 점점 작은 공간에 집적화된 부품들이 배치되고 있다. 다만, 촬상 광학계 등의 광학 장치를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 탑재하기 위해서, 촬상 광학계의 전장(예: 광축 방향의 전체 길이 및/또는 높이)을 작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촬상 광학계의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화각 범위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촬상 광학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촬상 광학계들의 각각은 상이한 화각 범위를 가지고, 디지털 줌을 이용하여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줌을 이용하여 화각을 조정할 경우, 획득된 이미지의 화질이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상이한 화각을 가지는 복수의 촬상 광학계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촬상 광학계의 렌즈를 이동시켜, 광학적으로 화각을 조절하여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 배치 가능하면서 높은 품질의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촬상 광학계 및 제2 이미지 센서 및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렌즈 군, 제2 렌즈 군, 및 제3 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 및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식 1]
Figure pat00001
>2(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제1 화각 범위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상 광학계, 제2 이미지 센서 및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각 범위 보다 작은 제2 화각 범위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상 광학계 및 상기 제1 화각 범위에서, 크롭(crop)을 이용하여 외부의 물체가 촬영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렌즈 군, 제2 렌즈 군, 및 제3 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 및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2 화각 범위에서 상기 제1 렌즈 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식 1]
Figure pat00002
>2(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복수의 렌즈 군들 중 일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광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화각이 광학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의 화질 열화가 감소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각 범위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이미지 센서의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1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2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2 촬상 광학계의 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1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2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의 개략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줌 배율과 사용 화소 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전면(210A), 후면(210B), 및 전면(210A) 및 후면(2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210C)을 포함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상기 하우징(210)은, 도 2의 전면(210A), 도 3의 후면(210B) 및 측면(2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210A)의 적어도 일부분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2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후면(210B)은 후면 플레이트(2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211)는, 예를 들어,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210C)은, 전면 플레이트(202) 및 후면 플레이트(2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2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211) 및 측면 베젤 구조(2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유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210A) 및/또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202)는 디스플레이(220)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20), 오디오 모듈(203, 207, 214)(예: 도 1의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205, 206)(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키 입력 장치(217)(예: 도 1의 입력 모듈(150)), 및 커넥터 홀(208, 209)(예: 도 1의 연결 단자(17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커넥터 홀(209))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20)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2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의 표면(또는 전면 플레이트(202))은 디스플레이(220)가 시각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형성되는 화면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화면 표시 영역은 전면(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0)은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5 및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 및 제2 촬상 광학계(예: 도 5, 도 8a, 도 8b, 도 10a 및 도 10b의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20)의 화면 표시 영역(예: 전면(210A)의 일부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개구부(opening)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또는 개구부와 정렬된 오디오 모듈(214), 센서 모듈(미도시), 발광 소자(미도시), 및 카메라 모듈(2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220)의 화면 표시 영역의 배면에, 오디오 모듈(미도시), 센서 모듈(미도시), 카메라 모듈(205), 지문 센서(미도시), 및 발광 소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키 입력 장치(2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면 베젤 구조(218)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203, 207, 214)은, 예를 들면, 마이크 홀(203) 및 스피커 홀(207, 2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2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207, 214)은, 외부 스피커 홀(2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2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207, 214)과 마이크 홀(2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207, 2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미도시)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미도시)은,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전면(210A)에 배치된 제1 센서 모듈(미도시)(예: 근접 센서) 및/또는 제2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미도시)은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210B)에 배치된 제3 센서 모듈(미도시)(예: HRM 센서) 및/또는 제4 센서 모듈(미도시)(예: 지문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미도시), 상기 지문 센서는 하우징(210)의 전면(210A)(예: 디스플레이(220))뿐만 아니라 후면(2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5, 206)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의 전면(210A)에 배치된 전면 카메라 모듈(205) 및/또는 후면(210B)에 배치된 후면 카메라 모듈(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05, 206)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적외선 카메라, 광각 및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전자 장치(2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플래시(2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래시(204)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장치(217)는, 하우징(210)의 측면(2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21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217)는 디스플레이(220) 상에 소프트 키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하우징(210)의 전면(210A)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모듈(2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소자(미도시)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또는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홀(208, 209)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이어폰 잭)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커넥터 홀(208), 및/또는 저장 장치(예: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커넥터 홀(20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넥터 홀(208) 및/또는 제2 커넥터 홀(209)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예: 도 2 내지 도 3의 전자 장치(200))는, 전면 플레이트(222)(예: 도 2의 전면 플레이트(202)), 디스플레이(220)(예: 도 2의 디스플레이(220)), 제1 지지 부재(232)(예: 브라켓), 인쇄회로기판(240), 배터리(250), 제2 지지 부재(260)(예: 리어 케이스), 안테나(270) 및 후면 플레이트(280)(예: 도 3의 후면 플레이트(2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지지 부재(232), 또는 제2 지지 부재(26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 또는 도 3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 부재(232)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배치되어 측면 베젤 구조(231)와 연결될 수 있거나, 측면 베젤 구조(2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32)는,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 (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32)는, 일면에 디스플레이(220)가 결합되고 타면에 인쇄회로기판(2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4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및/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50)는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206)의 제1 이미지 센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5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240)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50)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 부재(260)(예: 리어 케이스)는, 인쇄회로기판(240)과 안테나(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지지 부재(260)는, 인쇄회로기판(240) 또는 배터리(250)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 일면, 및 안테나(270)가 결합된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270)는, 후면 플레이트(280)와 배터리(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7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및/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70)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70)는 무선 충전을 위한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측면 베젤 구조(231) 및/또는 상기 제1 지지 부재(232)의 일부 또는 그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내에 배치된 카메라 모듈(206)(예: 도 3의 후면 카메라 모듈(2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6)은 제1 지지 부재(232) 상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200)의 후방(예: +Z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6)(예: 도 5의 제1 촬상 광학계(300) 및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적어도 일부는 후면 플레이트(280)에 형성된 개구(282)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시각적으로 적어도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개시되는 전자 장치(200)는 바형(bar type) 또는 평판형(plate type)의 외관을 가지고 있지만, 본 문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전자 장치는 롤러블 전자 장치나 폴더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롤러블 전자 장치(rollable electronic device)"라 함은,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20))의 굽힘 변형이 가능해, 적어도 일부분이 말아지거나(wound or rolled)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롤러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펼침으로써 또는 디스플레이의 더 넓은 면적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화면 표시 영역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foldable 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의 서로 다른 두 영역을 마주보게 또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opposite to) 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상태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는 서로 다른 두 영역이 마주보는 상태로 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접히고, 실제 사용 상태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펼쳐 서로 다른 두 영역이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나 카메라와 같은 다른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206)의 상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6)은 제1 촬상 광학계(300) 및 제2 촬상 광학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카메라 모듈(206)의 구성은 도 3의 카메라 모듈(206)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는 복수의 렌즈들(예: 도 6의 복수의 렌즈들(310, 320, 330, 340, 350, 360, 370)) 및 이미지 센서(예: 도 6의 제1 이미지 센서(390))을 포함하는 제1 렌즈 어셈블리(302),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302)를 수용하는 제1 카메라 하우징(306),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390)를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커넥터(3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는 광각(wide angle) 카메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복수의 렌즈들(예: 도 9a 및 도 9b의 복수의 렌즈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이미지 센서(예: 도 9a의 제2 이미지 센서(490)), 및 상기 복수의 렌즈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카메라 하우징(406), 및 제2 이미지 센서(490)를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커넥터(4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프리즘 폴디드 줌(prism folded zoom)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프리즘 폴디드 줌 구조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부터 빛을 굴절시켜 획득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광학계(400)의 복수의 렌즈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는 상기 제1 방향(+Z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제2 이미지 센서(490)는 반사 부재(예: 도 8a 및 도 8b의 반사 부재(401))를 이용하여 반사된 빛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제2 카메라 하우징(406)은 상기 전자 장치(200)의 후방(예: 제1 방향(+Z 방향))을 향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카메라 윈도우(4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 센서(490)는 카메라 윈도우(402) 및 복수의 렌즈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을 통과한 빛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망원(telephoto)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의 크기는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화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줌 배율 또는 화각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촬상 광학계(300, 400)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화각 범위(예: 도 11a의 제1 줌 배율 범위(z1))에서 제1 촬상 광학계(300)를 이용하여 피사체(예: 상기 전자 장치(200)의 외부의 물체)의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화각 범위보다 작은 제2 화각 범위(예: 제2 줌 배율 범위(z2))에서 제2 촬상 광학계(400)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복수의 렌즈 군(예: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의 제1 렌즈 군(403), 제2 렌즈 군(405), 및 제3 렌즈 군(407))들을 포함하고,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400)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확대(예: 줌(zoom))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와 제2 촬상 광학계(400)는 일체형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이미지 센서(예: 도 6의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크기와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이미지 센서(예: 도 8a의 제2 이미지 센서(490))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206)은 제1 촬상 광학계(300) 및/또는 제2 촬상 광학계(40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상기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및/또는 인쇄회로기판(예: 도 4의 인쇄회로기판(240))에 위치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이용하여, 제1 촬상 광학계(300) 및/또는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각 범위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촬상 광학계(300)는 복수의 렌즈들(예: 제1-1 렌즈(310), 제1-2 렌즈(320), 제1-3 렌즈(330), 제1-4 렌즈(340), 제1-5 렌즈(350), 제1-6 렌즈(360) 및/또는 제1-7 렌즈(370)), 및 제1 이미지 센서(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의 구성은 도 5의 제1 촬상 광학계(30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는 제1-1 렌즈(310), 제1-2 렌즈(320), 제1-3 렌즈(330), 제1-4 렌즈(340), 제1-5 렌즈(350), 및 제1-6 렌즈(360), 제1-7 렌즈(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렌즈(310), 제1-2 렌즈(320), 제1-3 렌즈(330), 제1-4 렌즈(340), 제1-5 렌즈(350), 제1-6 렌즈(360) 및 제1-7 렌즈(370)는 제1 광 축(O1)을 따라서 피사체로부터 제1 이미지 센서(39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1 렌즈(310), 제1-2 렌즈(320), 제1-3 렌즈(330), 제1-4 렌즈(340), 제1-5 렌즈(350), 제1-6 렌즈(360) 및/또는 제1-7 렌즈(370)는 플라스틱 렌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이미지 센서(390)는 복수의 렌즈들(310, 320, 330, 340, 350, 360, 370)을 통과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380)는 복수의 렌즈들(310, 320, 330, 340, 350, 360, 370)을 통해 획득한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로서, 전하결합장치(charge coupled device, CCD) 또는 상보형 금속산화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와 같은 고체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은 제1 광학 필터(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필터(380)는 복수의 렌즈들(310, 320, 330, 340, 350, 360, 370)와 제1 이미지 센서(3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필터(380)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적외선 차단 필터(IR-cut filter), 또는 커버 글라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 대역의 파장을 통과시키고, 적외선 대역의 파장은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제1 광학 필터(380)가 적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이미지 센서(390)에 전달되는 적외선 대역의 파장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학 필터(380)는 제1 촬상 광학계(300)에서 제외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제1-1 렌즈(310), 제1-2 렌즈(320), 제1-3 렌즈(330), 제1-4 렌즈(340), 제1-5 렌즈(350), 제1-6 렌즈(360), 제1-7 렌즈(370), 제1 광학 필터(380), 및 제1 이미지 센서(390)의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공기간격, 유효경, 유효 초점 거리, 굴절률 또는 아베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재한 표이다.
제1 실시예(예: 도 6)의 제1-1 렌즈(310), 제1-2 렌즈(320), 제1-3 렌즈(330), 제1-4 렌즈(340), 제1-5 렌즈(350), 제1-6 렌즈(360), 제1-7 렌즈(370), 제1 광학 필터(380), 및 제1 이미지 센서(390)의 구성은 [표 1]의 조건을 각각 만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의 F-수(F-number), 합성 유효 초점 거리, 광각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6)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의 F-수는 1.90이고,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합성 유효 초점 거리(effective focal length, EFL)는 6.65mm이고, 제1 촬상 광학계(300)의 광각은 81.4도일 수 있다.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공기간격 유효경 유효 초점 거리 굴절률 아베수
310a 2.44 1.025 1.75 6.0373 1.5441 56.11
310b 8.087 0.1 1.71      
320a 8.002 0.19 1.55 -16.9918 1.67975 18.41
320b 4.681 0.367 1.45      
330a 20.137 0.313 1.45 633.9869 1.56717 37.4
330b 21.212 0.325 1.44      
340a 19.185 0.304 1.7 -67.4358 1.67073 19.23
340b 13.386 0.644 1.56      
350a 10.943 0.488 2.21 -15.4694 1.56717 37.4
350b 4.791 0.281 2.77      
360a 1.912 0.402 3.9 5.7168 1.5346 56.27
360b 4.732 1.653 3.72      
370a -10.47 0.632 4.91 -6.3507 1.5441 56.11
370b 5.267 0.11615 4.7     56.11
380a infinity 0.11 5.56 1.5168 64.2  
380b infinity  
390 infinity  
[표 1]에서, '310a'및 '310b'는 각각 제1-1 렌즈(310)의 전면 및 후면, '320a'및 '320b'는 각각 제1-2 렌즈(320)의 전면 및 후면, '330a'및 '330b'는 각각 제1-3 렌즈(330)의 전면 및 후면, '340a'및 '340b'는 각각 제1-4 렌즈(340)의 전면 및 후면, '350a'및 '350b'는 각각 제1-5 렌즈(350)의 전면 및 후면, '360a'및 '360b'는 각각 제1-6 렌즈(360)의 전면 및 후면, '370a'및 '370b'는 각각 제1-7 렌즈(370)의 전면 및 후면, '380a'및 '380b'는 각각 제1 광학 필터(380)의 전면과 후면을 의미하고, '390'은 제1 이미지 센서(390)의 이미지 면을 의미한다. [표 1]의 곡률 반경, 두께, 공기간격 및 유효경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상기 전면은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외부를 향하는 제1 방향(예: +Z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배면은 제1 방향의 반대인 제4 방향(예: -Z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렌즈(310), 제1-2 렌즈(320), 제1-3 렌즈(330), 제1-4 렌즈(340), 제1-5 렌즈(350), 제2-6 렌즈(360) 또는 제2-7 렌즈(37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구면 렌즈의 형상은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의 거리를 의미하고, 'Y'는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하고,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의미하고, 'K'는 코닉(conic) 상수를 의미하고, 'A', 'B', 'C', 'D', 'E', 및'F' 는 각각 비구면 계수를 의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제1-1 렌즈 내지 제1-7 렌즈(310, 320, 330, 340, 350, 360, 370)의 비구면 계수를 각각 기재한 표이다. 제1 실시예(예: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제1-1 내지 제1-7 렌즈(310, 320, 330, 340, 350, 360, 370)는 아래의 [표 2]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K A B C D E F G H J
310a -8.2771.E-01 4.3519.E-03 9.6902.E-03 -1.5646.E-02 1.6485.E-02 -1.0292.E-02 3.8736.E-03 -8.6208.E-04 1.0436.E-04 -5.3403.E-06
310b 1.4920.E+01 -3.6194.E-02 1.4147.E-02 3.0707.E-02 -4.9501.E-02 3.3900.E-02 -1.3146.E-02 3.0108.E-03 -3.8807.E-04 2.2377.E-05
320a 1.9167.E+01 -7.9052.E-02 1.5514.E-01 -2.3604.E-01 2.7147.E-01 -2.0976.E-01 1.0317.E-01 -3.0824.E-02 5.0909.E-03 -3.5652.E-04
320b 4.2998.E+00 -2.7061.E-02 3.5298.E-02 -7.9435.E-02 2.1280.E-01 -3.1229.E-01 2.5495.E-01 -1.1763.E-01 2.8827.E-02 -2.9203.E-03
330a 8.5021.E+01 1.9614.E-02 -2.1770.E-01 5.8533.E-01 -8.8886.E-01 8.4210.E-01 -5.0435.E-01 1.8574.E-01 -3.8376.E-02 3.4063.E-03
330b 6.8359.E+01 -3.7957.E-02 2.2984.E-02 -9.7364.E-03 -5.9655.E-04 4.2953.E-03 -2.0720.E-03 2.9703.E-04 1.3631.E-17 5.0094.E-19
340a -1.8422.E+02 -9.2554.E-02 1.0704.E-01 -1.3879.E-01 9.3205.E-02 -3.1623.E-02 4.1145.E-03 -1.5575.E-16 -6.5532.E-18 7.9544.E-20
340b -9.4110.E-02 -8.4240.E-02 9.1554.E-02 -1.0415.E-01 6.3156.E-02 -2.0392.E-02 3.0686.E-03 -1.3478.E-04 1.1677.E-19 4.8325.E-21
350a 1.6021.E+01 -7.4707.E-02 5.5057.E-02 -2.8166.E-02 6.5690.E-03 4.1544.E-04 -5.8288.E-04 1.2552.E-04 -1.1368.E-05 3.7984.E-07
350b -8.8584.E+01 -1.0726.E-01 6.2331.E-02 -2.5543.E-02 6.7549.E-03 -1.0416.E-03 8.3931.E-05 -2.7129.E-06 1.1282.E-12 -9.6173.E-12
360a -7.5668.E+00 -7.7823.E-03 5.8076.E-03 -5.4674.E-03 1.5471.E-03 -2.1975.E-04 1.8009.E-05 -8.7074.E-07 2.3260.E-08 -2.6678.E-10
360b -1.0740.E+01 2.2100.E-02 -1.3293.E-02 3.5986.E-03 -6.5205.E-04 7.8411.E-05 -5.9975.E-06 2.7659.E-07 -6.9609.E-09 7.3153.E-11
370a -1.2720.E+01 -7.3775.E-02 2.3044.E-02 -3.3021.E-03 2.5000.E-04 -8.6695.E-06 -4.6559.E-08 1.4437.E-08 -4.4805.E-10 4.6278.E-12
370b -3.1139.E+01 -2.5762.E-02 1.6355.E-03 6.5116.E-04 -1.6492.E-04 1.7335.E-05 -9.9539.E-07 3.2500.E-08 -5.6697.E-10 4.1078.E-12
[표 2]에서, '310a'및 '310b'는 각각 제1-1 렌즈(310)의 전면 및 후면, '320a'및 '320b'는 각각 제1-2 렌즈(320)의 전면 및 후면, '330a'및 '330b'는 각각 제1-3 렌즈(330)의 전면 및 후면, '340a'및 '340b'는 각각 제1-4 렌즈(340)의 전면 및 후면, '350a'및 '350b'는 각각 제1-5 렌즈(350)의 전면 및 후면, '360a'및 '360b'는 각각 제1-6 렌즈(360)의 전면 및 후면, '370a'및 '370b'는 각각 제1-7 렌즈(370)의 전면 및 후면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는 조리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개의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제1 이미지 센서(390)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개는 제1-2 렌즈(320)와 제1-3 렌즈(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1-2 렌즈(320)의 후면(32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1 줌 배율 범위(예: 1 배 내지 3배)에서, 제1 촬상 광학계(30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외부의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줌 또는 크롭(crop)을 이용하여 제1 촬상 광학계(300)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1 이미지 센서(390)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일부를 자른 후, 확대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픽셀들을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확대된 이미지의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센서(390)는 제1 줌 배율(예: 1배)에서,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픽셀들(예: 제1 픽셀(P1), 제2 픽셀(P2), 제3 픽셀(P3) 및 제4 픽셀(P4))을 각각 이용하여 빛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줌 배율보다 높은 제2 줌 배율(예: 3배)에서, 제1 픽셀(P1), 제2 픽셀(P2), 제3 픽셀(P3) 및 제4 픽셀(P4)이 병합된 제1 합성 픽셀(IP1)을 이용하여 빛을 획득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하나의 합성 픽셀(예: 제1 합성 픽셀(IP1)이 네 개의 픽셀(예: 제1 픽셀(P1), 제2 픽셀(P2), 제3 픽셀(P3) 및 제4 픽셀(P4))으로 분리되는 내용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제1 합성 픽셀(IP1)은 9 개의 픽셀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픽셀들을 병합하거나 분리하는 동작은 비닝(예: 테트라 비닝(tetra-binning), 노나 비닝(nona-binning)) 또는 리모자익(re-mosaic)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닝은 복수의 픽셀들을 하나의 픽셀로 묶어서 사용하는 처리를 의미할 수 있고, 베이어(bayer) 패턴을 테트라 패턴 또는 노나 패턴으로 재배치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자익은 테트라 패턴 또는 노나 패턴을 베이어 패턴으로 재배치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비닝 동작을 이용하여, 픽셀들을 병합하여 제1 이미지 센서(390)에서 획득하는 빛의 세기를 증대시키고, 저조도 환경에서도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리모자익 동작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외부가 밝은 상황에서, 컬러 픽셀(예: 제1 픽셀(P1), 제2 픽셀(P2), 제3 픽셀(P3) 및/또는 제4 픽셀(P4))을 재정렬해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크기(SSW)(예: 대각선 길이)는 약 12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픽셀의 크기(PS1)는 약 0.0008mm일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1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2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2 촬상 광학계의 개략도이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반사 부재(401), 복수의 렌즈들(예: 제2-1 렌즈(410), 제2-2 렌즈(420), 제2-3 렌즈(430), 제2-4 렌즈(440), 제2-5 렌즈(450), 제2-6 렌즈(460) 및/또는 제2-7 렌즈(470)), 제2 이미지 센서(490), 및 반사 부재(401), 복수의 렌즈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 및/또는 제2 이미지 센서(490)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카메라 하우징(4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의 제2 촬상 광학계(400)의 구성은 도 5의 제2 촬상 광학계(40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반사 부재(401)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부재(401)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외부에서 제4 방향(-Z 방향)으로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카메라 윈도우(402)에 전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제2 이미지 센서(490)를 향하는 제3 방향(예: -X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부재(401)는 제1 방향(+Z 방향)을 향하는 제1 반사 부재 면(401a), 제1 렌즈 군(403) 및/또는 제2 이미지 센서(490)을 향하는 제2 반사 부재 면(401b), 및 상기 제1 반사 부재 면(401a)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 면(401b)까지 연장된 제3 반사 부재 면(40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부재 면(401a)에 입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반사 부재 면(401c)에서 반사되어 제2 반사 부재 면(401b)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부재(401)는 프리즘 구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렌즈 군(403)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군(403)은 제2-1 렌즈(410) 및 제2-2 렌즈(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1 렌즈(410) 및 제2-2 렌즈(420)는 제2 광축(O2)을 따라서, 반사 부재(401)로부터 제2 이미지 센서(490) 및/또는 제2 렌즈 군(405)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 군(403)은 제2 카메라 하우징(406)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렌즈 군(405)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군(405)은 제2-3 렌즈(430), 제2-4 렌즈(440), 및 제2-5 렌즈(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3 렌즈(430), 제2-4 렌즈(440), 및 제2-5 렌즈(450)는 제2 광축(O2)을 따라서, 제1 렌즈 군(403)으로부터 제2 이미지 센서(490) 및/또는 제3 렌즈 군(407)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렌즈 군(405)은 정(+)의 합성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3 렌즈(430), 제2-4 렌즈(440), 및 제2-5 렌즈(450)의 굴절력의 합은 정(+)이고, 제2 렌즈 군(405)은 제2 렌즈 군(405)에 입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집중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 렌즈 군(407)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 군(407)은 제2-6 렌즈(460), 및 제2-7 렌즈(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6 렌즈(460), 및 제2-7 렌즈(470)는 제2 광축(O2)을 따라서, 제2 렌즈 군(405)으로부터 제2 이미지 센서(49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 렌즈 군(407)은 부(-)의 합성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6 렌즈(460), 및 제2-7 렌즈(470)의 굴절력의 합은 부(-)이고, 제3 렌즈 군(407)은 제3 렌즈 군(407)에 입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산개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3 렌즈 군(407)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auto focusing, AF)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렌즈 군(407)은 피사체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4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초점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제3 렌즈 군(407)과 연결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3 렌즈 군(407)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2 렌즈 군(405) 및/또는 제3 렌즈 군(407)을 이용하여 손떨림 보정을 위한 광학 이미지 안정화(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제2 렌즈 군(405) 및/ 또는 제3 렌즈 군(407)과 연결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자이로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에서 획득된 정보(예: 전자 장치(20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제2 렌즈 군(405) 및/또는 제3 렌즈 군(407)을 이동시킴으로써, 전자 장치(200)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제2 광학 필터(4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필터(480)는 복수의 렌즈들(410, 420, 430, 440, 450, 460, 470)와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필터(380)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적외선 차단 필터(IR-cut filter), 또는 커버 글라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 대역의 파장을 통과시키고, 적외선 대역의 파장은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제2 광학 필터(480)가 적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2 이미지 센서(490)에 전달되는 적외선 대역의 파장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필터(480)는 제2 촬상 광학계(400)에서 제외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이미지 센서(490)는 제1 렌즈 군(403), 제2 렌즈 군(405), 및 제3 렌즈 군(407)를 통과한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미지 센서(490)는 제1 렌즈 군(403), 제2 렌즈 군(405), 및 제3 렌즈 군(407)을 통해 획득한 빛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로서, 전하결합장치(charge coupled device, CCD) 또는 상보형 금속산화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와 같은 고체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제2 이미지 센서(490)의 크기(SST)는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제1 이미지 센서(예: 도 7a의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Figure pat00004
(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일 실시예(예: 도 8a 또는 도8b)에 따르는 제2 이미지 센서(490)의 크기(SST)(예: 대각선 길이)는 약 5.1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6 및 도 8a)에 따르는 전자 장치(200)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490)의 크기(SST)에 대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390)의 크기(SSW)는 약 2.3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Figure pat00005
≤2 인 경우,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 중 일부가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화각보다 작아 전자 장치(200)가 사용하는 촬상 광학계(300, 400)이 제1 촬상 광학계(300)에서 제2 촬상 광학계(400)로 변경될 때, 이미지의 화질이 감소될 수 있다.
아래의 [표 3]은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제2-1 렌즈(410), 제2-2 렌즈(420), 제2-3 렌즈(430), 제2-4 렌즈(440), 제2-5 렌즈(450), 제2-6 렌즈(460), 제2-7 렌즈(470), 제2 광학 필터(48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의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공기간격, 유효 초점 거리, 굴절률 또는 아베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재한 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2-1 렌즈(410), 제2-2 렌즈(420), 제2-3 렌즈(430), 제2-4 렌즈(440), 제2-5 렌즈(450), 제2-6 렌즈(460), 제2-7 렌즈(470), 제2 광학 필터(48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의 구성은 [표 3]의 조건을 각각 만족할 수 있다.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공기간격 유효 초점 거리 굴절률 아베수
410a -34.833 0.70 -13.2 1.544 56.09
410b 9.116 0.13
420a 9.958 0.96 37.1 1.650 21.52
420b 16.313 10.33
430a 5.175 1.57 10.4 1.497 81.56
430b -1246.455 0.91
440a 36.709 1.40 9.7 1.544 56.09
440b -6.102 0.10
450a -5.626 0.92 -12.9 1.614 25.94
450b -20.449 4.35
460a -13.722 2.12 28.9 1.671 19.23
460b -8.532 0.75
470a -6.397 0.77 -9.8 1.535 55.71
470b 29.641 2.28
480a infinity 0.11 1.517 64.2
480b infinity 0.61
490 infinity -
[표 3]에서, '410a'및 '410b'는 각각 제2-1 렌즈(410)의 전면 및 후면, '420a'및 '420b'는 각각 제2-2 렌즈(420)의 전면 및 후면, '430a'및 '430b'는 각각 제2-3 렌즈(430)의 전면 및 후면, '440a'및 '440b'는 각각 제2-4 렌즈(440)의 전면 및 후면, '450a'및 '450b'는 각각 제2-5 렌즈(450)의 전면 및 후면, '460a'및 '460b'는 각각 제2-6 렌즈(460)의 전면 및 후면, '470a'및 '470b'는 각각 제2-7 렌즈(470)의 전면 및 후면, '480a'및 '480b'는 각각 제2 광학 필터(480)의 전면과 후면을 의미하고, '490'은 제2 이미지 센서(490)의 이미지 면을 의미한다. [표 3]의 곡률 반경, 두께, 및 공기간격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상기 전면은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외부를 향하는 제2 방향(예: +X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배면은 제2 방향의 반대인 제3 방향(예: -X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렌즈(410), 제2-2 렌즈(420), 제2-3 렌즈(430), 제2-4 렌즈(440), 제2-5 렌즈(450), 제2-6 렌즈(460) 또는 제2-7 렌즈(47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제2-1 렌즈 내지 제2-7 렌즈(410, 420, 430, 440, 450, 460, 470)의 비구면 계수를 각각 기재한 표이다. 제2 실시예(예: 도 8a 또는 도 8b)의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제2-1 내지 제2-7 렌즈(410, 420, 430, 440, 450, 460, 470)는 아래의 [표 4]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K A B C D E F G H J
410a 19.2517 -4.6149E-05 -2.9809E-05 -2.7225E-06 3.3386E-07 -5.9377E-09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10b -0.0804 2.0424E-04 -5.8526E-05 -2.2875E-06 -1.0685E-07 2.4044E-08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20a 0.0000 -7.9623E-04 -3.3258E-05 1.1677E-07 2.9500E-07 -2.2217E-08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20b -1.6252 -1.0326E-03 -2.4906E-05 2.9433E-06 3.3147E-07 -3.3229E-08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30a -0.1074 -5.7781E-04 -1.8912E-05 -2.4642E-06 -6.2311E-08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30b -50.0000 -6.7839E-04 6.1743E-06 2.8280E-06 1.1801E-07 -1.3083E-09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40a -28.6820 -8.2458E-04 -3.6518E-05 1.0984E-06 2.3700E-06 -1.1037E-07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40b -5.3699 6.8595E-05 -1.0957E-04 5.9769E-07 1.9875E-06 -1.0934E-07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50a -6.8161 1.6021E-03 6.5499E-05 -3.4961E-06 -2.4901E-07 4.2012E-08 0.0000E+00 0.0000E+00 0.0000E+00 0.0000E+00
450b -91.3129 2.8437E-03 1.0628E-04 1.8141E-05 -4.5325E-06 5.5797E-07 -1.5395E-08 0.0000E+00 0.0000E+00 0.0000E+00
460a -29.5639 2.3288E-03 -2.7689E-03 3.5959E-03 -2.6047E-03 1.1574E-03 -3.2283E-04 5.5152E-05 -5.2800E-06 2.1701E-07
460b -19.9912 3.0801E-03 -9.5188E-03 1.2349E-02 -9.0254E-03 4.0915E-03 -1.1748E-03 2.0794E-04 -2.0667E-05 8.7961E-07
470a -79.5637 -3.4350E-02 6.4698E-03 9.4773E-03 -1.1397E-02 6.0857E-03 -1.8680E-03 3.3853E-04 -3.3588E-05 1.3978E-06
470b 60.3999 -3.5124E-03 -1.0250E-02 1.4759E-02 -1.1045E-02 4.9641E-03 -1.3754E-03 2.3012E-04 -2.1293E-05 8.3466E-07
[표 4]에서, '410a'및 '410b'는 각각 제2-1 렌즈(410)의 전면 및 후면, '420a'및 '420b'는 각각 제2-2 렌즈(420)의 전면 및 후면, '430a'및 '430b'는 각각 제2-3 렌즈(430)의 전면 및 후면, '440a'및 '440b'는 각각 제2-4 렌즈(440)의 전면 및 후면, '450a'및 '450b'는 각각 제2-5 렌즈(450)의 전면 및 후면, '460a'및 '460b'는 각각 제2-6 렌즈(460)의 전면 및 후면, '470a'및 '470b'는 각각 제2-7 렌즈(470)의 전면 및 후면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렌즈 군(403, 405, 407) 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군(405) 및 제3 렌즈 군(407)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군(405) 또는 제3 렌즈 군(407)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렌즈 군(403) 또는 제2 이미지 센서(49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군(403)과 제2 렌즈 군(405) 사이의 제1 거리(d1), 제2 렌즈 군(405)과 제3 렌즈 군(407) 사이의 제2 거리(d2) 또는 제3 렌즈 군(407)과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의 제3 거리(d3) 중 적어도 하나는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a 및 도 9a)에 따르면, 제1 거리(d1)는 제2 광축(O2)에서, 제2-2 렌즈(420)의 후면(420b)과 제2-3 렌즈(430)의 전면(430a) 사이의 거리이고, 제2 거리(d2)는 제2 광축(O2)에서, 제2-5 렌즈(450)의 후면(450b)과 제2-6 렌즈(460)의 전면(460a) 사이의 거리이고, 제3 거리(d3)는 제2 광축(O2)에서, 제2-7 렌즈(470)의 후면(470b)와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의 거리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의 [표 5]는 제2 광학 촬상계(400)의 화각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제1 렌즈 군(403)과 제2 렌즈 군(405) 사이의 제1 거리(d1), 제2 렌즈 군(405)과 제3 렌즈 군(407) 사이의 제2 거리(d2), 및 제3 렌즈 군(407)과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의 제3 거리(d3)를 기재한 표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렌즈 군(405)와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의 거리 및/또는 제3 렌즈 군(407)과 제2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가 변경됨에 따라,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군(405) 및/또는 제3 렌즈 군(407)이 제1 렌즈 군(405)과 인접한 상태(예: 도 8b 또는 도 9b)의 화각은 제2 렌즈 군(405) 및/또는 제3 렌즈 군(407)이 제1 이미지 센서(490)와 인접한 상태(예: 도 8a 또는 도 9a)의 화각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군(405)은 줌 인(zoom in)시, 제1 렌즈 군(403)을 향하는 제2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줌 아웃(zoom out)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490)를 향하는 제3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X 방향)은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제1 이미지 센서(예: 도 7a 및 도 7b의 제1 이미지 센서(390))가 향하는 제1 방향(+Z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촬상계(400)가 제1 줌 배율(예: 3 배)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상태(예: 도 8a 및 도 9a)에서, 제1 거리(d1)는 약 10.34mm이고, 제2 거리(d2)는 약 4.35mm이고, 제3 거리(d3)는 약 2.28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촬상계(400)가 상기 제1 줌 배율보다 큰 제2 줌 배율(예: 10 배)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상태(예: 도 8b 및 도 9b)에서, 제1 거리(d2)는 약 0.75mm이고, 제2 거리(d2)는 약 2.46mm이고, 제3 거리(d3)는 약 13.76mm일 수 있다.
거리 제1 상태 제2 상태
제1 거리(d1) 10.34 0.75
제2 거리(d2) 4.35 2.46
제3 거리(d3) 2.28 13.76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의 F-수(F-number), 합성 유효 초점 거리, 광각은 제2 렌즈 군(405) 및/또는 제3 렌즈 군(407)의 이동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도 8a 또는 도 8b)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의 F-수는 2.7 내지 5.37이고,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합성 유효 초점 거리는 9.7mm 내지 27.6mm이고, 제2 촬상 광학계(400)의 광각은 10.57도 내지 30.28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400)는 조리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개의 크기가 조절됨으로써, 제2 이미지 센서(490)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개는 제2-2 렌즈(420)와 제2-3 렌즈(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2-3 렌즈(430)의 전면(43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자석, 모터, 기어 구조, 또는 유압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자석, 모터, 기어 구조, 또는 유압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렌즈 군(405) 또는 제3 렌즈 군(407)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2 렌즈 군(405) 또는 제3 렌즈 군(407)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프로세서(120)는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AF)을 위하여, 제3 렌즈 군(407)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다음의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Figure pat00006
> 8000000
(상기 FOV1은 상기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FOV2W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400)의 광각단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PS1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390)의 센서 픽셀 크기(PS1)를 의미함)
일 실시예(예: 도 6 및 도 8a)에 따르는 전자 장치(200)에서, 상기
Figure pat00007
는 약 1488518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Figure pat00008
≤8000000 인 경우,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 중 일부가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화각보다 작아 전자 장치(200)가 사용하는 촬상 광학계(300, 400)이 제1 촬상 광학계(300)에서 제2 촬상 광학계(400)로 변경될 때, 이미지의 화질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3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500)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 상태의 제2 촬상 광학계(500)의 개략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2 촬상 광학계(500)는, 제1 렌즈 군(501), 제2 렌즈 군(503), 제3 렌즈 군(505), 제4 렌즈 군(507), 제2 광학 필터(48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의 제2 촬상 광학계(500)의 구성은, 도 5, 도 8a 및/또는 도 8b의 제2 촬상 광학계(40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의 제2 광학 필터(48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의 구성은 도 8a 및/또는 도 8b의 제2 광학 필터(48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렌즈 군(501)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군(501)은 제3-1 렌즈(510) 및 제3-2 렌즈(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1 렌즈(510) 및 제3-2 렌즈(520)는 제2 광축(O2)을 따라서, 반사 부재(예: 도 8a 및 도 8b의 반사 부재(401))로부터 제2 이미지 센서(490) 및/또는 제2 렌즈 군(503)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렌즈 군(501)은 제2 카메라 하우징(예: 도 8a의 제2 카메라 하우징(406))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렌즈 군(503)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군(503)은 제3-3 렌즈(530), 및 제3-4 렌즈(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3 렌즈(530), 및 제3-4 렌즈(540)는 제2 광축(O2)을 따라서, 제1 렌즈 군(501)으로부터 제2 이미지 센서(490) 및/또는 제3 렌즈 군(505)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3 렌즈 군(505)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 군(505)은 제3-5 렌즈(550), 및 제3-6 렌즈(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5 렌즈(550), 및 제3-6 렌즈(560)는 제2 광축(O2)을 따라서, 제2 렌즈 군(503)으로부터 제2 이미지 센서(49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렌즈 군(505)은 제2 카메라 하우징(예: 도 8a의 제2 카메라 하우징(406))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4 렌즈 군(507)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렌즈 군(507)은 제3-7 렌즈(570), 및 제3-8 렌즈(5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7 렌즈(570), 및 제3-8 렌즈(580)는 제2 광축(O2)을 따라서, 제3 렌즈 군(505)으로부터 제2 이미지 센서(49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2 렌즈 군(503) 또는 제4 렌즈 군(50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초점 조절(auto focusing, AF)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군(503) 또는 제4 렌즈 군(507)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5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초점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촬상 광학계(500)는 제2 렌즈 군(503) 및/또는 제4 렌즈 군(507)과 연결된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2 렌즈 군(503) 및/또는 제4 렌즈 군(507)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아래의 [표 6]은 제2 촬상 광학계(500)의 제3-1 렌즈(510), 제3-2 렌즈(520), 제3-3 렌즈(530), 제3-4 렌즈(540), 제3-5 렌즈(550), 제3-6 렌즈(560), 제3-7 렌즈(570), 제3-8 렌즈(580), 제2 광학 필터(480), 및 제2 이미지 센서(490)의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공기간격, 유효 초점 거리, 굴절률 또는 아베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재한 표이다.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공기간격 유효 초점 거리 굴절률 아베수
510a 13.569 0.423 -21.8485 1.84666 23.78
510b 7.747 0.005 1.514 42.84
520a 7.747 1.136 9.9618 1.7725 49.62
520b -3902.82 d4
530a 19.336 0.807 -4.9162 1.5348 55.71
530b 2.289 0.215
540a 2.867 0.834 13.9653 1.651 21.49
540b 3.687 d5
550a 4.027 1.491 6.5618 1.497 81.61
550b -15.269 1.234
560a 12.049 0.7 -11.9067 1.6355 23.89
560b 4.569 d6
570a -11.405 0.6 48.0401 1.5441 56.07
570b -8.099 0.2
580a 8.756 0.6 36.2283 1.615 25.95
580b 13.964 d7
480a infinity 0.21 1.5168 64.2
480b infinity d8
490 infinity 0.423
[표 6]에서, '510a'및 '510b'는 각각 제3-1 렌즈(510)의 전면 및 후면, '520a'및 '520b'는 각각 제3-2 렌즈(520)의 전면 및 후면, '530a'및 '530b'는 각각 제3-3 렌즈(530)의 전면 및 후면, '540a'및 '540b'는 각각 제3-4 렌즈(540)의 전면 및 후면, '550a'및 '550b'는 각각 제3-5 렌즈(550)의 전면 및 후면, '560a'및 '560b'는 각각 제3-6 렌즈(560)의 전면 및 후면, '570a'및 '570b'는 각각 제3-7 렌즈(570)의 전면 및 후면, '580a'및 '580b'는 각각 제3-8 렌즈(580)의 전면 및 후면, '480a'및 '480b'는 각각 제2 광학 필터(480)의 전면과 후면을 의미하고, '490'은 제2 이미지 센서(490)의 이미지 면을 의미한다. [표 6]의 곡률 반경, 두께, 및 공기간격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상기 전면은 제2 촬상 광학계(500)의 외부를 향하는 제2 방향(예: +X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상기 배면은 제2 방향의 반대인 제3 방향(예: -X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500)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1 렌즈(510), 제3-2 렌즈(520), 제3-3 렌즈(530), 제3-4 렌즈(540), 제3-5 렌즈(550), 제3-6 렌즈(560), 제3-7 렌즈(570) 또는 제3-8 렌즈(58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의 [표 7]은 제3-1 렌즈(510), 제3-2 렌즈(520), 제3-3 렌즈(530), 제3-4 렌즈(540), 제3-5 렌즈(550), 제3-6 렌즈(560), 제3-7 렌즈(570) 또는 제3-8 렌즈(580) 중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계수를 각각 기재한 표이다. 제3 실시예(예: 도 10a 또는 도 10b)의 제2 촬상 광학계(500)는 아래의 [표 7]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K A B C D E F
510a -1 -7.854495E-03 3.155123E-04 3.754922E-05 -4.054231E-06 0.000000E+00 0.000000E+00
530b -0.31586 -7.310148E-03 -9.888613E-04 -7.895940E-05 1.560959E-05 0.000000E+00 0.000000E+00
540a 0 -4.910731E-03 -4.036709E-04 -1.241560E-04 -3.529569E-06 2.066953E-06 0.000000E+00
540b -0.79683 -8.628077E-03 8.342314E-04 -1.512981E-04 8.235916E-06 -6.690186E-07 0.000000E+00
560a -32.3504 -1.036512E-02 7.416744E-05 8.217023E-05 -2.608164E-05 3.424870E-06 0.000000E+00
560b -2.22501 -8.799698E-03 1.006279E-03 -9.004374E-05 1.196932E-05 2.878954E-07 0.000000E+00
570a -1 7.434513E-04 1.552425E-03 -1.114871E-04 -8.225694E-06 3.503666E-07 0.000000E+00
570b -1 -1.916082E-03 2.237372E-03 -4.507167E-05 -3.206681E-05 1.795448E-06 0.000000E+00
580a 0 -5.752774E-03 -2.756593E-04 2.630241E-04 -4.911759E-05 2.654402E-06 0.000000E+00
580b 0 -3.864574E-03 -1.298802E-03 3.660586E-04 -4.855676E-05 2.347768E-06 0.000000E+00
[표 7]에서, '510a'는 제3-1 렌즈(510)의 전면, '530b'는 제3-3 렌즈(530)의 후면, '540a'및 '540b'는 각각 제3-4 렌즈(540)의 전면 및 후면, '560a'및 '560b'는 각각 제3-6 렌즈(560)의 전면 및 후면, '570a'및 '570b'는 각각 제3-7 렌즈(570)의 전면 및 후면, '580a'및 '580b'는 각각 제3-8 렌즈(580)의 전면 및 후면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렌즈 군(501, 503, 505, 507) 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렌즈 군(503) 또는 제4 렌즈 군(507)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렌즈 군(501), 제3 렌즈 군(505) 또는 제2 이미지 센서(49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군(501)과 제2 렌즈 군(503) 사이의 제4 거리(d4), 제2 렌즈 군(503)과 제3 렌즈 군(505) 사이의 제5 거리(d5), 제3 렌즈 군(505)과 제4 렌즈 군(507) 사이의 제6 거리(d6), 또는 제4 렌즈 군(507)과 제2 광학 필터(480) 사이의 제7 거리(d7) 또는 제2 광학 필터(480)와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의 제8 거리(d8) 중 적어도 하나는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거리(d4)는 제2 광축(O2)에서, 제3-2 렌즈(520)의 후면(520b)과 제3-3 렌즈(530)의 전면(530a) 사이의 거리이고, 제5 거리(d5)는 제2 광축(O2)에서, 제3-4 렌즈(540)의 후면(540b)과 제3-5 렌즈(550)의 전면(550a) 사이의 거리이고, 제6 거리(d6)는 제2 광축(O2)에서, 제6 렌즈(560)의 후면(560b)과 제7 렌즈(570)의 전면(570a) 사이의 거리이고, 제7 거리(d7)는 제2 광축(O2)에서, 제3-8 렌즈(580)의 후면(580b)와 제2 광학 필터(480) 사이의 거리로 해석되고, 제8 거리(d8)는 제2 광축(O2)에서, 제2 광학 필터(480)의 후면(480b)와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의 거리로 해석될 수 있다.
아래의 [표 8]은 제2 광학 촬상계(500)의 화각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제1 렌즈 군(501)과 제2 렌즈 군(503) 사이의 제4 거리(d4), 제2 렌즈 군(503)과 제3 렌즈 군(505) 사이의 제5 거리(d5), 제3 렌즈 군(505)과 제4 렌즈 군(507) 사이의 제6 거리(d6), 제4 렌즈 군(503)과 제2 광학 필터(480) 사이의 제7 거리(d7), 및 제2 광학 필터(480)와 제2 이미지 센서(490) 사이의 제8 거리(d8)를 기재한 표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4 거리(d5), 상기 제5 거리(d5), 상기 제6 거리(d6), 상기 제7 거리(d7), 또는 상기 제8 거리(d8)가 변경됨에 따라, 제2 촬상 광학계(500)의 화각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상태(예: 도 10b)에서, 제2 촬상 광학계(500)의 화각은, 제3 상태(예: 도 10a)의 화각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줌 인(zoom in)시, 제2 렌즈 군(503) 및 제4 렌즈 군(507)은 제2 이미지 센서(490)을 향하는 제3 방향(예: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광학 필터(480)는 제1 렌즈 군(501)을 향하는 제2 방향(예: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줌 아웃(zoom out)시, 제2 렌즈 군(503) 및 제4 렌즈 군(507)은 제1 렌즈 군(501)을 향하는 제2 방향(예: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광학 필터(480)는 제2 이미지 센서(490)을 향하는 제3 방향(예: -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예: +X 방향)은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의 제1 이미지 센서(예: 도 7a 및 도 7b의 제1 이미지 센서(390))가 향하는 제1 방향(예: +Z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거리 제3 상태 제4 상태
제4 거리(d4) 0.99 6.89
제5 거리(d5) 6.47 0.57
제6 거리(d6) 3.55 7.15
제7 거리(d7) 7.75 2.85
제8 거리(d8) 0.55 1.8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촬상계(500)가 제1 줌 배율(예: 3 배)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3 상태(예: 도 10a)에서, 제4 거리(d4)는 약 0.99mm이고, 제5 거리(d5)는 약 6.47mm이고, 제6 거리(d6)는 약 3.55mm이고, 제7 거리(d7)는 약 7.75mm이고, 제8 거리(d8)는 약 0.55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촬상계(500)가 상기 제1 줌 배율보다 큰 제2 줌 배율(예: 10 배)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제4 상태(예: 도 10b)에서, 제4 거리(d4)는 약 6.89mm이고, 제5 거리(d5)는 약 0.57mm이고, 제6 거리(d6)는 약 7.15mm이고, 제7 거리(d7)는 약 2.85mm이고, 제8 거리(d8)는 약 1.84m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촬상 광학계(500)의 F-수(F-number), 합성 유효 초점 거리, 광각은 제2 렌즈 군(503) 및/또는 제4 렌즈 군(507)의 이동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실시예(예: 도 10a 또는 도 10b)에 대응하는 제2 촬상 광학계(500)의 F-수는 3.7 내지 4.5이고, 제2 촬상 광학계(500)의 합성 유효 초점 거리는 11.45mm 내지 28mm이고, 제2 촬상 광학계(500)의 광각은 11도 내지 28.2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실시예(예: 도 10a 또는 도 10b)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센서(490)의 크기(SST)(예: 대각선 길이)는 약 5.5mm일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줌 배율과 사용 화소 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디지털 줌을 사용할 경우, 전자 장치(200)의 사용 화소수는 줌 배율이 증대될수록 감소되고, 광학식 줌을 사용할 경우, 전자 장치(200)의 사용 화소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 및 도 11b의 가로 축은 전자 장치(200)의 줌 배율을 의미하고, 세로 축은 전자 장치(200)에서 사용되는 사용 화소수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줌 배율 범위(또는 화각 범위)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촬상 광학계(예: 도 5의 제1 촬상 광학계(300) 또는 제2 촬상 광학계(400))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제1 줌 배율 범위(z1)(예: 제1 화각 범위)에서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5의 제1 촬상 광학계(300))를 사용하여 외부의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1 줌 배율 범위(z1)보다 큰 제2 줌 배율 범위(z2)(예: 제2 화각 범위)에서, 제2 촬상 광학계(예: 도 5의 제2 촬상 광학계(400))를 사용하여 외부의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줌 배율 범위(z1)(예: 1배 내지 3배)에서, 전자 장치(200)는 디지털 줌 또는 크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 광학계(300)에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디지털 줌 또는 크롭을 이용하여 줌 배율(또는 화각)을 조정할 경우, 줌 배율이 증대될수록 상기 이미지에 사용되는 화소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줌 배율 범위(z1)보다 큰 제2 줌 배율 범위(z2)(예: 3배 내지 10배)에서, 전자 장치(200)는 광학식 줌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촬상 광학계(400)의 제2 렌즈 군(예: 도 8a의 제2 렌즈 군(405)) 및/또는 제3 렌즈 군(예: 도 8a의 제3 렌즈 군(407))이 이동함으로써, 제2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식 줌을 이용하여 줌 배율 또는 화각을 조정할 경우, 상기 이미지에 사용되는 화소의 수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이미지의 화질의 열화는 감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1b와 같이, 제2 줌 배율 범위(z2)보다 큰 제3 줌 배율 범위(z3)(예: 10배 내지 100배)에서, 전자 장치(200)는 디지털 줌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촬상 광학계(400)에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광학식 줌을 이용하여 화각이 조정된 이미지에 추가적으로 디지털 줌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디지털 줌을 이용하여 줌 배율(또는 화각)을 조정할 경우, 줌 배율이 증대될수록 상기 이미지에 사용되는 화소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구동 동작(10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를 구동하는 동작(1100),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화각을 변경하는 동작(1200), 제2 촬상 광학계(예: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의 제2 촬상 광학계(400, 500))를 구동하는 동작(1300), 및/또는 제2 촬상 광학계(400, 500)의 화각을 변경하는 동작(1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제1 촬상 광학계(300) 및 제2 촬상 광학계(400, 500)의 구성은 도 5의 제1 촬상 광학계(300) 및 제2 촬상 광학계(400)의 구성과 전부 또는 일부가 동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촬상 광학계(300) 또는 제2 촬상 광학계(400, 500)는 사용자가 지정한 화각 범위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화각 범위보다 감소된 화각을 촬영할 때, 프로세서(120)는 제2 촬상 광학계(400, 500)를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이용하여 제1 촬상 광학계(300)의 화각을 변경하는 동작(120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디지털 줌 또는 크롭을 이용하여, 제1 촬상 광학계(300)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광학식 줌을 이용하여, 제2 촬상 광학계(400, 500)의 화각을 변경하는 동작(140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2 촬상 광학계(400, 500)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광학적으로, 제2 촬상 광학계(400, 500)의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자치(200))은, 제1 이미지 센서(예: 도 6의 제1 이미지 센서(390))를 포함하는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6의 제1 촬상 광학계(300)), 및 제2 이미지 센서(예: 도 8a의 제2 이미지 센서(390)) 및 반사 부재(예: 도 8a의 반사 부재(401))를 포함하는 제2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렌즈 군(예: 도 8a의 제1 렌즈 군(403)), 제2 렌즈 군(예: 도 8a의 제2 렌즈 군(405)), 및 제3 렌즈 군(예: 도 8a의 제3 렌즈 군(40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 및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식 1]
Figure pat00009
>2(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다음의 조건식 2를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식 2]
Figure pat00010
> 8000000 (상기 FOV1은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FOV2W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광각단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PS1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센서 픽셀 크기를 의미함)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렌즈 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화각 범위에서 상기 제1 촬상 광학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의 물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1 화각 범위보다 작은 제2 화각 범위에서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의 물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줌 배율 범위에서, 디지털 줌 또는 크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에서 획득된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줌 배율 범위보다 큰 제3 줌 배율 범위에서, 디지털 줌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렌즈 군은 줌 인(zoom in)시, 상기 제1 렌즈 군을 향하는 제2 방향(예: 도 8a의 제2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줌 아웃(zoom out)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를 향하는 제3 방향(예: 도 8a의 제3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3 렌즈 군은 피사체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초점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렌즈 군은, 상기 반사 부재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1 렌즈(예: 도 9a의 제2-1 렌즈(410)), 및 제2-2 렌즈(예: 도 9a의 제2-2 렌즈(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3 렌즈(예: 도 9a의 제2-3 렌즈(430)), 제2-4 렌즈(예: 도 9a의 제2-4 렌즈(440)), 및 제2-5 렌즈(예: 도 9a의 제2-5 렌즈(45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2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6 렌즈(예: 도 9a의 제2-6 렌즈(460)) 및 제2-7 렌즈(예: 도 9a의 제2-7 렌즈(4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는 제1 방향(예: 도 8a의 제1 방향(+Z 방향))을 향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반사 부재 면(예: 도 8a의 제1 반사 부재 면(401a)),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3 방향(예: 도 8a의 제3 방향(-X 방향))을 향하는 제2 반사 부재 면(예: 도 8a의 제2 반사 부재 면(401b)), 및 상기 제1 반사 부재 면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 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반사 부재 면에 입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반사 부재 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3 반사 부재 면(예: 도 8a의 제3 반사 부재 면(401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촬상 광학계 또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촬상 광학계 및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전면 플레이트(예: 도 2의 전면 플레이트(202)), 및 후면 플레이트(예: 도 4의 후면 플레이트(2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 및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예: 도 4의 개구(282))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F-수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F-수 보다 작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합성 유효 초점 거리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합성 유효 초점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저역 통과 필터, 적외선 필터, 또는 커버 글라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예: 도 6의 제1 광학 필터(380) 및/또는 도 9a의 제2 광학 필터(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센서(예: 도 6의 제1 이미지 센서(390))를 포함하고, 제1 화각 범위(예: 도 11a의 제1 줌 배율 범위(Z1))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상 광학계(예: 도 5의 제1 촬상 광학계(300)), 제2 이미지 센서(예: 도 8a의 제2 이미지 센서(490)) 및 반사 부재(예: 도 8a의 반사 부재(40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각 범위 보다 작은 제2 화각 범위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상 광학계(예: 도 5의 제2 촬상 광학계(400)) 및 상기 제1 화각 범위에서, 크롭(crop)을 이용하여 외부의 물체가 촬영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렌즈 군(예: 도 8a의 제1 렌즈 군(403)), 제2 렌즈 군(예: 도 8a의 제2 렌즈 군(405)), 및 제3 렌즈 군(예: 도 8a의 제3 렌즈 군(40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 및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2 화각 범위에서 상기 제1 렌즈 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식 1]
Figure pat00011
>2(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다음의 조건식 2를 만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조건식 2]
Figure pat00012
> 8000000 (상기 FOV1은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FOV2W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광각단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PS1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센서 픽셀 크기를 의미함)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렌즈 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렌즈 군은, 상기 반사 부재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1 렌즈(예: 도 9a의 제2-1 렌즈(410)), 및 제2-2 렌즈(예: 도 9a의 제2-2 렌즈(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3 렌즈(예: 도 9a의 제2-3 렌즈(430)), 제2-4 렌즈(예: 도 9a의 제2-4 렌즈(440)), 및 제2-5 렌즈(예: 도 9a의 제2-5 렌즈(45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2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6 렌즈(예: 도 9a의 제2-6 렌즈(460)) 및 제2-7 렌즈(예: 도 9a의 제2-7 렌즈(4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렌즈 군은, 줌 인(zoom in)시 상기 제1 렌즈 군을 향하는 제2 방향(예: 도 8a의 제2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고, 줌 아웃(zoom out)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를 향하는 제3 방향(예: 도 8a의 제3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문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1, 200: 전자 장치
300: 제1 촬상 광학계
390: 제1 이미지 센서
400, 500: 제2 촬상 광학계
401: 반사 부재
403: 제1 렌즈 군
405: 제2 렌즈 군
407: 제3 렌즈 군
410: 제2-1 렌즈
420: 제2-2 렌즈
430: 제2-3 렌즈
440: 제2-4 렌즈
450: 제2-5 렌즈
460: 제2-6 렌즈
470: 제2-7 렌즈
490: 제2 이미지 센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촬상 광학계; 및
    제2 이미지 센서 및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제2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렌즈 군, 제2 렌즈 군, 및 제3 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 및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조건식 1]
    Figure pat00013
    >2(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다음의 조건식 2를 만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조건식 2]
    Figure pat00014
    > 8000000
    (상기 FOV1은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FOV2W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광각단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PS1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센서 픽셀 크기를 의미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제1 줌 배율 범위에서 상기 제1 촬상 광학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의 물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1 줌 배율 범위보다 큰 제2 줌 배율 범위에서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의 물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줌 배율 범위에서, 디지털 줌 또는 크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줌 배율 범위보다 큰 제3 줌 배율 범위에서, 디지털 줌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에서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군은, 줌 인(zoom in)시 상기 제1 렌즈 군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줌 아웃(zoom out)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를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 군은 피사체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초점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군은, 상기 반사 부재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1 렌즈, 및 제2-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3 렌즈, 제2-4 렌즈, 및 제2-5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2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6 렌즈 및 제2-7 렌즈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는 제1 방향을 향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반사 부재 면,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3 방향을 향하는 제2 반사 부재 면, 및 상기 제1 반사 부재 면에서 상기 제2 반사 부재 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반사 부재 면에 입사된 빛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반사 부재 면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3 반사 부재 면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광학계 또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된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광학계 및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 및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로 시각적으로 노출된 전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F-수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F-수 보다 작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합성 유효 초점 거리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합성 유효 초점 거리보다 짧은 전자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저역 통과 필터, 적외선 필터, 또는 커버 글라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제1 화각 범위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상 광학계;
    제2 이미지 센서 및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각 범위 보다 작은 제2 화각 범위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촬상 광학계; 및
    상기 제1 화각 범위에서, 크롭(crop)을 이용하여 외부의 물체가 촬영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렌즈 군, 제2 렌즈 군, 및 제3 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 및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2 화각 범위에서 상기 제1 렌즈 군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와 상기 제2 촬상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식 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조건식 1]
    Figure pat00015
    >2(상기 SSW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하고, 상기 SST는 상기 제2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의미함)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다음의 조건식 2를 만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조건식 2]
    Figure pat00016
    > 8000000
    (상기 FOV1은 상기 제1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FOV2W는 상기 제2 촬상 광학계의 광각단의 화각을 의미하고, 상기 PS1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의 센서 픽셀 크기를 의미함)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자 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군은, 상기 반사 부재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1 렌즈, 및 제2-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군은, 상기 제1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3 렌즈, 제2-4 렌즈, 및 제2-5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렌즈 군은, 상기 제2 렌즈 군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제2-6 렌즈 및 제2-7 렌즈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군은, 줌 인(zoom in)시 상기 제1 렌즈 군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줌 아웃(zoom out)시 상기 제2 이미지 센서를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KR1020210068171A 2021-05-27 2021-05-27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60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71A KR20220160240A (ko) 2021-05-27 2021-05-27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2/006549 WO2022250330A1 (ko) 2021-05-27 2022-05-09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8/484,825 US20240048825A1 (en) 2021-05-27 2023-10-11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maging optic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171A KR20220160240A (ko) 2021-05-27 2021-05-27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240A true KR20220160240A (ko) 2022-12-06

Family

ID=8423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171A KR20220160240A (ko) 2021-05-27 2021-05-27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48825A1 (ko)
KR (1) KR20220160240A (ko)
WO (1) WO20222503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920A (ja) * 2002-03-29 2003-10-1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948417B2 (ja) * 2004-11-02 2012-06-06 カスケード マイクロ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的に強化されたディジタル撮像システム
KR20110056864A (ko) * 2009-11-23 201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렌즈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 모듈
JP2013123215A (ja) * 2011-11-07 2013-06-20 Panasonic Corp 撮像装置、コントローラ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49876B1 (ko) * 2017-09-20 2022-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330A1 (ko) 2022-12-01
US20240048825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9048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30176336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75833A (ko) 렌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986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60240A (ko)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64959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1598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40126054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EP4319127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amera module
EP4318070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230121915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214526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4209839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22017419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ens assembly
KR20240047267A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20230152558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4063603A1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2950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131146A1 (en) Lens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21283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44272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56320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41770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09524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71353A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