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188A -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188A
KR20220160188A KR1020210068013A KR20210068013A KR20220160188A KR 20220160188 A KR20220160188 A KR 20220160188A KR 1020210068013 A KR1020210068013 A KR 1020210068013A KR 20210068013 A KR20210068013 A KR 20210068013A KR 20220160188 A KR20220160188 A KR 2022016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indoor
information
indoor ai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4056B1 (en
Inventor
신성균
윤성진
이기용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6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056B1/en
Publication of KR2022016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1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which offers a customized solution for providing clean air along with action guidelines for health protection to a building of interest, surroundings of the building, and residents inside and outside the pla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e system includes: a LiDAR device installed outside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to measure outdoor air quality; a sens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arget building to sens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a purification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arget building to maintain the indoor air quality in a clean state; and a management server which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and indoor environment cond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With th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clean air to resident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Description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심대상 건물 및 주변 환경과 그 장소의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위한 행동지침과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particularly indoor air that provides a customized solution for providing clean air and action guidelines for health protection to building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interest and to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of the place. It is about a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최근 황사,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등의 대기 오염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관측소별로 제공되는 미세 먼지의 농도를 참고하여, 외출을 자제하거나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미세 먼지를 대비하고 있다.Recently, air pollution problems such as yellow dus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have emerged as social issues, and most people refer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provided by each observation station to refrain from going out or wear a mask when going out. We are preparing for fine dust by the method of

그러나 관측소별로 제공되는 데이터는 측정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 간격, 측정소와 사용자가 있는 지역과의 거리 차 등의 이유로 관측소 주변에서의 대기 상태를 반영함에 그칠 뿐 실제 사용자 주변 환경에서의 미세 먼지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data provided for each station only reflects the atmospheric conditions around the station for reasons such as the update time interval of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measurement station and the user's area, and provides information on fine dust in the actual environment around the user. can't do it

그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의 위해성으로 인해 점점 외출을 삼가고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으나, 사용자는 정작 자신이 현재 머무르고 있는 실내 공간에서의 미세 먼지의 정보는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dangers of fine dust, the time to stay indoors is increasing and refraining from going out, but the user is not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where he or she is currently staying.

또 아파트와 같은 주거용 건물이나 사무용 고층건물 등에는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공조시스템(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공조시스템은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건물 내에 설치한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 질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건물 내의 공기 질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is installed and used for indoor ventila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high-rise office buildings. Ventilation is done so that the polluted air in the room is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o this end, an air conditioning system periodically measures indoor air quality using a measurement sensor installed in a building to keep indoor air comfortable, and controls the air quality in the building to maintain an optimal state.

한편, 미세 먼지 등을 육안에 의해 관능으로 판별하는 방법은 감시자의 유무에 따라 비산먼지의 발생이 검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감시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비산먼지의 발생 여부에 대한 결정이 정량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sensory discrimination of fine dust with the naked eye, the occurrence of scattering dust is often not detect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nitor,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scattering dust is generated is quantitatively and accurately determined by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monitor.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evices are also used to solve problems that cannot be achieved.

라이다는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과 정보의 요구수준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최근 개발된 레이저 레이다 방식의 광범위 측정장치로서, 특별한 주파수와 위상을 갖는 단색광 레이저를 발사하여 레이저가 대기중에 존재하는 에어로졸이나 먼지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시그널을 측정함으로써 해당 물질의 대기중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특히 일반적인 대기질 측정은 샘플러 장비를 고정 지점에 설치하여 한 지점의 상태를 측정하지만 라이다는 레이저가 방사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간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LIDAR is a laser radar-type wide-range measuring device that was recently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rapid rise in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level of information requirements. It is a device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the substance in the atmosphere by measuring the signal scattered by the particles. In particular, in general air quality measurement, sampler equipment is installed at a fixed point to measure the state of one point, but lidar measures the radiation angle of the las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space by adjusting it.

이러한 장비를 이용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ique using such equipment is disclosed in Documents 1 to 3 and the like.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지하철 역내로 지하철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지하철의 진입 또는 진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지하철 역내의 공기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공기측정장치, 상기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포집 처리하는 공기정화장치 및 상기 공기측정장치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의 농도와 상기 공기정화장치로부터 상기 미세먼지의 포집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농도 및 포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측정장치 및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서버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etermines whether a subway enters or exits a subway station, and measu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from the air within the subway station based on whether the subway enters or exits. recei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from the device, the air purifying device for collecting and treating fine dust and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in the subway station, and the air measuring device and the collection result of the fine dust from the air purifying device; Disclosed is a fine dus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erver equipp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measuring device and the air purifying device based on concentration and collection results.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환기 상황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메모리, 외부 인공 지능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실내 대기질 정보 및 실외 대기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실내 대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가 필요한 상황 인지를 판단하고, 환기가 필요한 상황인 경우, 상기 실내 대기질 정보 및 상기 실외 대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시간을 획득하고, 획득된 환기 시간 동안 상기 외부 인공 지능 장치의 동작을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 명령을 상기 외부 인공 지능 장치에 전송하는 인공 지능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below, a memory,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re obtained so that the ventilation situation can be automatically grasped, and the obtained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this, it is determined whether a situation requiring ventilation is required, and if the situation requires ventilation, a ventilation time is obtained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during the acquired ventilation time. Disclosed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at transmits an off command for turning off an oper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the external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비산먼지가 발생될 수 있는 다수의 작업장에 설치되어, 일정 공간 내의 비산먼지 분포를 상시 스캔하고, 상기 스캔된 스캔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망에 의한 온라인 전송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에 의한 무선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라이다 측정장치와 상기 라이다 측정장치로부터 상기 스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시킨 뒤, 해당 스캔 영역에 대한 면적 적분을 수행하여 비산먼지 발생 총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산먼지 발생 총량을 스캔 면적으로 나누어 해당 스캔 면적에서의 비산먼지 평균농도를 산출하여, 상기 비산먼지 평균농도가 소정 기준치 이상일 때 소정의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환경 관리자측 서버로 구성된 비산먼지 발생 작업장 감시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3 below, it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workplaces where scattering dust can occur, constantly scans the distribution of scattering dust in a certain space, and transmits the scanned scan data online through a wired network or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fter receiving and storing the scan data from a plurality of lidar measuring devices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by the lidar measuring device and storing the scan data, the total amount of scattering dust is calculated by performing area integration for the corresponding scan area, and the calculation is performed. A scattering dust generating workplace composed of an environment manager server that divides the total amount of scattering dust generated by the scan area to calculate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cattering dust in the scan area,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alarm signal whe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cattering dus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monitoring system is discl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6470호(2020.11.09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0-0126470 (published on November 9, 202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04487호(2021.01.1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1-0004487 (published on January 13, 20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23204호(2006.03.14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023204 (published on March 14, 2006)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지하철 역내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에 대해 공기정화장치를 제어하는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실외의 공기 질 상태에 따라 실내의 환경 상태를 제어하는 기술 및 그에 따라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관리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Although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discloses a fine dust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an air purifier for fine dust contained in air in a subway station,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door air quality. The technology for controlling and thus the structure for managing health protection for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is not disclosed.

또 상기 특허문헌 2에는 환기 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환기 시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실외 공기 질을 감지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technology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ventilation situation and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power of an external device that performs an unnecessary operation during ventilation, but discloses a technology for detecting outdoor air quality. There wasn't.

한편, 특허문헌 3에는 비산먼지의 배출현황을 정량적인 발생농도와 더불어 발생현황의 공간분포 화면으로 모니터링할 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도 실외의 공기 질 상태에 따라 실내의 환경 상태를 제어하는 기술 및 그에 따라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관리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technology capable of monitoring the emission status of fugitive dust with a quantitative generation concentration and a spatial distribution screen of the generation status, but even 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depending on th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 A technique for controlling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 structure for managing health protection for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accordingly has not been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내외의 공기 질을 감지하여 실내외 거주자에게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upplying clean air to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by sensing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심대상 건물 및 주변 환경과 그 장소의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위한 행동지침을 안내할 수 있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capable of guiding behavioral guidelines for health protection to building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interest and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of the pl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기 중에 미세먼지화되어 부유하는 물질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실내거주자에게 정확한 행동지침을 안내할 수 있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guide accurate action guidelines to indoor residents 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type of matter floating in fine dust in the atmosphe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은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되어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 질을 청정 상태로 유지시키는 청정 장치,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측정된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dar device install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to measur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s, and a lidar device mounted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to measur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a clean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arget building to maintain indoor air quality in a clean stat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and indoor environment st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대상 건물의 환경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anager terminal for managing the environmental state of the target building,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al state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실외의 공기 질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실내의 공기 질 정보를 관리하는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실외 공기 질 정보와 상기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실내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청정 장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n outdoor air quality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outdoor air quality state information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LIDAR device, and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device. An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a cleaning device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an operating state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haracterized by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대상 건물 내부 거주자의 행동지침,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설치된 청정 장치의 운전방법 관리, 상기 대상 건물 외부 위치자의 행동지침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includes a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about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ncludes action guidelines for residents inside the target building, the targ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clean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the action guidelines of the person located outside the target building ar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실외의 입자상 오염물질을 크기별 분류, 종류별 분류, 설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별 농도/종류 분류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ar device classifies outdoor particulate pollutants by size and type, and classifies concentration/type of air within a radius of 5 km around the installation point by point in units of 7.5 m. It is characterized by simultaneous measurement.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구형 입자(SP : Spherical Particle), 상기 SP보다 작고 구형이며 광 흡수성이 높은 입자(SSA : Small Strong Absorption), 상기 SP보다 큰 비구형 입자(LNP : Large Non-Spherical Particle)로 구분하여 실외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ar device includes spherical particles (SP: Spherical Particle), particles smaller than the SP, spherical, and having high light absorption (SSA: Small Strong Absorption), a ratio greater than the SP It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outdoor pollutants by classifying them into spherical particles (LNP: Large Non-Spherical Particle).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빔 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에서 출력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반사 및 확대하는 하나의 반사형 빔확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ar device is a laser beam generator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laser beam and a reflection type that reflects and expands a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output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am expander.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반사형 빔확대기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에서 발생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반사하여 확대시키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사부에서 확대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수신하여 대기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beam expander includes a main body,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generated by the laser beam generator are reflected and magnifi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reflector and a second reflec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receiving a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expanded by the first reflector and transmitting them in an atmospheric direc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제2 반사부는 각각 알루미늄이 코팅된 구면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each include a spherical mirror coated with aluminum and are respectively fitted into the main body.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반사부는 오목 거울의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부는 볼록 거울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flector has a function of a concave mirror, and the second reflector has a function of a convex mirror.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감지 장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광학식 입자계수기(OPC; optical particle counter)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ny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청정 장치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정화하여 출력하는 공기 청청기 또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device includes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and outputs pollutants contained in indoor air or a ventilation device that discharges indoor air to the outdoors. do.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대상 건물에 대한 정보, 실외의 공기 질 상태 정보, 실내의 공기 질 상태 정보, 라이다 장치, 감지 장치 및 청정 장치에 대한 정보,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the target building, outdoor air quality status information, indoor air quality status information, lidar device, detection device, and cleaning device information, manager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운영 방법은 관심대상 건물 및 주변 환경과 그 장소의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위한 행동지침과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 방법으로서, (a)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라이다 장치로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된 감지 장치로 실내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측정된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상기 단계 (b)에서 감지된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에 따라 관리 서버에서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된 청정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고,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door air quality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on method for providing health protection and clean air to building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interest and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of the place, (a ) measuring th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 with a lidar device installed outdoors of the target building of interest, (b) detecting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with a sensing device installed indoors in the target building, (c) According to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in step (a) and the indoor environment state information detected in step (b),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installed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and and guid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또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에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구형 입자(SP : Spherical Particle), 상기 SP보다 작고 구형이며 광 흡수성이 높은 입자(SSA : Small Strong Absorption), 상기 SP보다 큰 비구형 입자(LNP : Large Non-Spherical Particle)로 구분하여 실외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 the lidar device includes spherical particles (SP: Spherical Particle), particles smaller than the SP, spherical, and having high light absorption (SSA: Small Strong Absorption), the SP It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outdoor pollutants by dividing them into larger non-spherical particles (LNPs).

또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에서, 상기 단계 (b)에서 감지 장치로는 습도 센서 및 광학식 입자계수기(OPC; optical particle counter)를 적용하는 실내의 습도 및 실내의 입자 농도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b), the humidity sensor and the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are applied as the sensing device to measure the indoor humidity and the indoor particle concentration. .

또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SP가 관측되고, OPC의 계측 농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상태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의 창문 및 출입문의 닫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P is observed in the lidar device and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OPC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management server execut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and the indoor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notifying the closing of the window and the door of the.

또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SSA가 관측되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의 환기 횟수를 감소시키고, 알러지 환자에게 주의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SA is observed in the lidar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reduces the number of ventilations in the roo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and notifies the allergic patient of cau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LNP가 관측되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의 환기 횟수를 감소시키고, 외출 자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NP is observed in the LIDAR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execut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reduces the number of times of ventilation in the roo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and guides refraining from going out.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또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별 농도/종류 분류로 관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측정된 미세 입자의 농도 분포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외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ar device observes the atmosphere within a radius of 5 km centered on a location mount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in concentration / type classification by point in units of 7.5 m, and the management ser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the fine particles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and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되어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와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를 마련하고, 청정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여 실내외 거주자에게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dar device install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to measure th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 and mounted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An effect of supplying clean air to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by providing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n indoor environmental state and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is obtained.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관리 서버가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를 관리자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위한 행동지침을 안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to a manager terminal to guide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with action guidelines for health protection.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is obtained.

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별 농도/종류 분류로 관측하여 미세 입자의 농도 분포에 따라 실내외 거주자에게 정확한 행동지침을 안내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e particles are observed by concentration/type classification by point in units of 7.5 m in the atmosphere within a radius of 5 km centered on a location mount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 the effect of being able to guide accurate action guidelines to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is also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이다 장치에 적용되는 반사형 빔확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라이다 산출 정보를 이용한 대기오염 입자의 유형 판독 기준과 도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lective beam expander applied to the LIDAR device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ure 1;
4 is a flow chart showing a standard for reading the type of air pollutant particles using LIDAR calculation information and a derivation algorithm;
5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process of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ng process of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의 적용 기술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n overview of the application technology of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학교 혹은 다중이용시설 외부에 설치된 스캐닝 라이다 장치로부터 획득된 실외 대기질과 관련된 실시간 상세 관측정보들과 내부에 설치된 대기질 측정 센서들을 이용하여 획득된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실내 공기 질 개선을 위한 환기설비, 방진창, 공기청정기 등의 장치들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real-time detailed observation information related to outdoor air quality obtained from a scanning lidar device installed outside a school or multi-use facility and information obtained using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s installed inside, indoor air quality Prepare a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devices such as ventilation equipment, dustproof windows, and air purifiers are operating for improvement.

현재, 건강 취약계층 이용시설(학교,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다중이용시설 등에 실내공기 질 관리를 위해 소형 환경센서, 공기정화장치, 환기장치 등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환경센서는 실내, 실외, 혹은 실내외 모두 설치하여 해당 장소의 공기 질 정보를 제공하며, 그 정확도의 문제로 주로 PM2.5 혹은 PM10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한 공기정화장치, 환기장치 등은 수동으로 동작하거나 기기 자체에 포함된 환경센서의 값에 따라 자동으로 운전하거나 또는 별도의 환경센서에서 얻어진 값을 입력받아 운전한다.Currently, small environmental sensors, air purifiers, and ventilation devices are being used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in facilities used by the health vulnerable (schools, daycare centers,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and multi-use facilities. For example, an environmental sensor is installed indoors, outdoors, or both indoors and outdoors to provide air quality information in a corresponding place, and mainly provides PM2.5 or PM10 information due to its accuracy. The above-described air purifying device, ventilation device, etc. are manually operated,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value of an environmental sensor included in the device itself, or operated by receiving a value obtained from a separate environmental sensor.

환경센서는 소형으로서 광학식 입자계수기(OPC : optical particle counter)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값이 싸고, 취급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기는 PM2.5, PM10의 값의 오차가 큰 편이며, 대체적으로 0.5~1㎛ 크기 이상의 입자농도를 측정하며, 대기(공기) 중 습도가 높은 날은 습기를 먼지입자로 오측정하고, OPC의 주요 부품인 광학렌즈에 입자가 쉽게 달라붙어 주기적으로 관리해주어야 하며, 황사가 심한 날은 그 관리 주기가 매우 짧아지고, 해당 센서가 설치한 스폿(spot)의 미세먼지 농도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센서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면 그 지점의 농도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OPC가 실외에 설치될 경우 실내에 비해 물리 화학적 충격(예 : 기온, 높은 미세먼지 농도 등)에 의해 OPC 측정값 오차가 많거나 쉽게 망가질 수 있다.As the environmental sensor, an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is mainly used as a small size because it is cheap and convenient to handle. However, such a device has a large error in the values of PM2.5 and PM10, and generally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larger than 0.5 to 1㎛ in size, and mismeasures moisture as dust particles on days with high humidity in the air. In addition, since particles easily stick to the optical lens, which is a major part of OPC, it needs to be managed periodical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centration at that point cannot be known when the distance is far from the sensor. In particular, when the OPC is installed outdoors,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OPC may be greater or it may be easily damaged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shocks (eg, temperature,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etc.) compared to indoors.

이러한, 문제로 해당 센서에서 잘못된 미세먼지 농도값을 공기정화장치, 혹은 환기장치에 제공할 경우 실내공기 질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없으며, 대기 중에 미세 먼지화 되어 부유하는 물질의 종류가 무엇인지 알 수 없어 실내거주자에게 정확한 행동지침을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Due to this problem, if the sensor provides an incorrect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to the air purifier or ventilation device, it cannot help manage indoor air quality, and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kind of material is suspended in fine dust in the ai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possible to give accurate action guidelines to indoor residents.

본 발명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외 대기질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스캐닝 라이다 장치를 적용하며, 라이다 장치는 초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혹은 미세먼지 배출정보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입자 종류와 같은 정성적인 정보(작은 구형의 입자(인위적 기원의 오염물질 : 황산염, 블랙카본 등, 인체에 유해성이 좀 더 큼), 큰 비구형 입자(황사, 비산먼지, 꽃가루 등), 크기가 큰 구형 입자(water droplet 등))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스캐닝 라이다가 설치된 지점의 360도 반경 5km에서 7.5m 분해능을 갖는 대기질 정보의 실시간 획득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canning lidar device is applied to calculat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lidar device is not only ultrafine dust, ultrafine dust or fine dust emission information, but also fine dust particles Qualitative information such as type (small spherical particles (pollutants of artificial origin: sulfate, black carbon, etc., more harmful to the human body), large non-spherical particles (yellow dust, scattering dust, pollen, etc.), large It can provide spherical particles (water droplet, etc.), and real-time acquisition of air quality information with a resolution of 7.5 m in a 360-degree radius of 5 km from the location where the scanning lidar is install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되어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100),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200),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 질을 청정 상태로 유지시키는 청정 장치(300), 상기 라이다 장치(100)에서 측정된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상기 감지 장치(200)에서 감지된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300)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400), 상기 대상 건물의 환경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용 단말기(500), 상기 대상 건물에 대한 정보, 실외의 공기 질 상태 정보, 실내의 공기 질 상태 정보, 라이다 장치, 감지 장치 및 청정 장치에 대한 정보,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6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dar device 100 that is mount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and measures th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 and is mounted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A sensing device 200 for detecting an indoor environmental state, a cleaning device 300 installed inside the target building to maintain indoor air quality in a clean state, and outdoor air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100 A management server 400 that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300 according to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al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device 200, and a manager terminal 500 that manages the environmental state of the target building ), the database 600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build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lidar device, detection device, and cleaning device information, and manager information include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대상 건물은 예를 들어, 학교 건물, 어린이집 건물, 노인 요양 시설 건물과 같은 건강 취약계층 이용시설 건물, 다중이용시설 건물 일 수 있다.The target buildin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a school building, a daycare center building, a facility building for the health vulnerable class such as a nursing home building for the elderly, or a multi-use facility building.

상기 라이다 장치(100)는 예를 들어 상기 대상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고, 상기 관리 서버(40)와 유무선으로 측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다 장치(100)는 실외의 입자상 오염물질을 크기별 분류, 종류별 분류, 설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별 농도/종류 분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다 장치(100)는 대기 중 수분과 같은 대략 완전 형태의 구형 입자(SP : Spherical Particle), 상기 SP보다 비교적 작고 구형이며 광 흡수성이 높은 블랙 카본과 같은 입자(SSA : Small Strong Absorption), 상기 SP보다 비교적 큰 황사, 비산먼지, 꽃가루와 같은 비구형 입자(LNP : Large Non-Spherical Particle)로 구분하여 실외의 오염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The lidar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target building, for example, and can transmit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40 wired or wireless. The LiDAR device 100 can simultaneously measure outdoor particulate pollutants by size, type, and concentration/type classification by point in the air within a radius of 5 km around the installation point in units of 7.5 m. That is, the lidar device 100 is a spherical particle (SP: Spherical Particle), such as moisture in the atmosphere, a particle such as black carbon tha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P, spherical, and has high light absorption (SSA: Small Strong Absorption ), it is possible to measure outdoor pollutants by classifying them into large non-spherical particles (LNP), such as yellow dust, scattering dust, and pollen, which are relatively larger than the SP.

상기 라이다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이다 장치에 적용되는 반사형 빔확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lidar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lective beam expander applied to the LIDAR device shown in FIG. 1;

본 발명에 적용되는 라이다 장치(100)는 레이저 빔을 확대하여 대기 방향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대기 중으로 송신된 레이저 빔이 타깃인 공기분자나 에어로졸에 의해 산란되는 빔을 수신하여 검출하는 수신망원경 및 수신광학계를 구비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신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빔 발생부(110) 및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110)에서 출력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반사 및 확대하는 하나의 반사형 빔확대기(1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lidar apparatus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tter that expands a laser beam and transmits it in the direction of the air, and receives and detects a beam scattered by air molecules or aerosols as a target of the laser beam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nto the air. 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having a receiving telescope and a receiving optical system, and the transmitting unit, as shown in FIG. A single reflective beam expander 120 that reflects and expands a plurality of output laser wavelengths may be provided.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110)는 광원으로 마이크로칩 레이저(Microchip Laser)를 사용하고, 250㎚ ~ 2㎛ 파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110)는 1064㎚, 532㎚ 또는 3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대기로 송신하도록 출력할 수도 있다.The laser beam generator 110 may use a microchip laser as a light source and output a wavelength of 250 nm to 2 μm. For example,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110 may output a laser having at least one wavelength of 1064 nm, 532 nm, or 355 nm to be transmitted to the atmosphere.

상기 반사형 빔확대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1)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21)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반사하여 확대시키는 제1 반사부(122)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사부(122)에서 확대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수신하여 대기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2 반사부(123)를 포함한다. 즉, 본체(121)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대략 "〔 "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반사부(122) 및 제2 반사부(123)는 각각 알루미늄이 코팅된 구면 거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본체(121)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사부(122) 및 제2 반사부(123)도 알루미늄이 코팅된 구면 거울 대신에 일반적인 라이다 장치에 사용되는 오목 거울 및 볼록 거울 재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reflective beam expander 120 includes a body 121, the body 12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laser beam generator 110 generates A first reflector 122 that reflects and expands a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and a second reflector 12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magnified by the first reflector 122 to the air direction. A reflector 123 is included. That is, the main body 121 is made of aluminum and has a substantially “[” shape, and the first reflector 122 and the second reflector 123 are each formed in the shape of a spherical mirror coated with aluminum. Also,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ain body 121 has been described as being made of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other metal or plastic materials. In addition, the first reflector 122 and the second reflector 123 may also use concave and convex mirror materials used in general LiDAR devices instead of aluminum-coated spherical mirrors.

상기 제1 반사부(122) 및 제2 반사부(123)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발생부(110)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서 약 45도 경사지게 본체(121)에 장착되고, 제1 반사부(122) 및 제2 반사부(123)는 본체(121)에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reflector 122 and the second reflector 123 ar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beam generator 110. ), and the first reflector 122 and the second reflector 123 may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fitted to the main body 121 .

상기 제1 반사부(122)는 레이저 빔 발생부(110)와 동일 축 상에 마련되고, 레이저 빔 발생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파장과 제2 파장(레이저 빔)을 각각 확대 반사하도록 오목 거울의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부(123)는 제1 반사부(122)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레이저 빔 발생부(110)와 다른 축 상에 제1 반사부(122)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제1 반사부(122)에서 확대된 제1 파장 및 제2 파장을 대기중으로 송신하도록 볼록 거울의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빔 발생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 파장 및 제2 파장은 레이저 빔 발생부(110)의 장착 위치 방향으로 확대되어 대기중으로 송신된다.The first reflector 122 is provided on the same axis as the laser beam generator 110 and magnifies and reflects the first and second wavelengths (laser beams) output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110, respectively. It has a function of a concave mirror, and the second reflector 123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lector 12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eflector 122 on an ax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aser beam generator 110. It is provided to face and has a function of a convex mirror to transmit the first wavelength and the second wavelength magnified by the first reflector 122 into the air. Accordingly,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 3 , the first and second wavelengths output from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110 are expanded in the direction o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aser beam generating unit 110 and transmitted into the air.

또한, 상기 반사형 빔확대기(120)에서는 레이저 빔이 확대되어 송신되도록, 상기 제1 반사부(122)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반사부(123)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Also, in the reflective beam expander 120,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reflector 122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reflector 123 so that the laser beam is magnified and transmitted.

한편, 제2 반사부(123)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 레이저 빔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 블랙 카본, 황사, 꽃가루,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입자상 대기오염물질과 만나게 되면 산란을 일으키고, 그 중 후방 산란한 빛은 수신부의 수신망원경을 통해 수집되고, 수집된 신호는 광검출기를 구비한 수신광학계를 통해 검출되며, 측정된 실외의 공기 질 정보는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라이다 장치(100)는 관리 서버(400)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측정값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신기는 통상의 정보 전송용 송신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충족하며, 특정 기능을 구비한 송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n the other hand, the laser beam emitt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second reflector 123 causes scattering when it encounters particulate air pollutants such as moisture, black carbon, yellow dust, pollen, and ultrafine dust present in the air, among which the rear The scattered light is collected through a receiving telescope of the receiving unit, the collected signal is detected through a receiving optical system equipped with a photodetector, and the measure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To this end, the lidar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by wire or wireless, and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values. Such a transmitter is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 transmiss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normal information, and is not limited to a transmitter having a specific function.

상술한 라이다 장치(100)는 예를 들어, 355, 532 및 1064㎚ 파장에서 탄성 산란(Elsastic scattering) 되어 돌아오는 빛을 관측하고, 387㎚와 607㎚에서 질소 분자에 의해 라만 산란(Raman scattering)되어 들어오는 빛을 관측하며, 407㎚에서는 수증기(water vapor), 361㎚와 546㎚에서는 석영물질에 의해 라만 산란되어 돌아오는 빛을 측정하며 편광소멸도(depolarization ratio)의 측정을 위해 355㎚와 532㎚ 파장에서 각각 수평 및 수직 편광된 성분들을 관측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lidar device 100 observes light that is elastically scattered at wavelengths of 355, 532, and 1064 nm, and returns, and Raman scattering by nitrogen molecules at 387 nm and 607 nm. ) and observes incoming light, measures water vapor at 407nm, and light scattered by Raman by quartz at 361nm and 546nm and returns. At a wavelength of 532 nm, horizontally and vertically polarized components, respectively, can be observed.

상기 감지 장치(200)는 예를 들어 교실, 복도 등을 구비한 학교 건물, 어린이집 건물, 노인 요양 시설 건물과 같은 건강 취약계층 이용시설 건물, 다중이용시설 건물의 실내의 측벽 또는 천장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교실 또는 복도 등에 장착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광학식 입자계수기(OPC; optical particle counter)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200)도 관리 서버(400)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감지 값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신기도 통상의 정보 전송용 송신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충족하며, 특정 기능을 구비한 송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nsing device 200 may be mounted on, for example, a side wall or ceiling of an interior of a school building with classrooms, corridors, etc., a building used by health vulnerable groups such as a daycare building, a nursing facility building for the elderly, or a multi-use facility building. , and may include any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mounted in each classroom or hallway. The sensing device 20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by wire or wireless, and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nsing value. Such a transmitter is also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 transmission function for normal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is not limited to a transmitter having a specific function.

상기 청정 장치(300)는 각각의 교실 또는 복도 등에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정화하여 출력하는 공기 청청기 또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창문 등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 장치 또는 공기 조화기, 에어컨디셔너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청정 장치(200)도 관리 서버(400)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감지 값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송신기도 통상의 정보 전송용 송신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충족하며, 특정 기능을 구비한 송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leaning device 300 may include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and outputs pollutants contained in indoor air in each classroom or hallway, or a ventilation device that discharges indoor air to the outdoor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ning/clos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n air conditioner, or an air conditioner. In addition, the cleaning device 20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400 by wire or wireless, and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etected value, and if such a transmitter also has a transmiss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normal information, it is sufficient. and is not limited to transmitters with specific functions.

상기 관리 서버(4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The management server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ure 1;

상기 관리 서버(400)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서버로서, 라이다 장치(100), 감지 장치(200) 및 청정 장치(3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관리자용 단말기(500)와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400)는 일종의 웹서버, 웹서비스 서버, 모바일 웹서버 또는 어플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관리자용 단말기(500)에 공기 질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40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The management server 400 is a normal server composed of a memory, a microprocessor, etc., and is connected to the lidar device 100, the sensing device 200, and the cleaning device 300 by wire or wireless, and is not connected to the manager terminal 500. Connected to the network, it can transmit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This management server 400 is preferably built to serve as a kind of web server, web service server, mobile web server or application server. In addition, a web page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like to the manager terminal 50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400 may be realized by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or the like.

상기 관리 서버(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다 장치(100) 및 감지 장치(200)로부터 측정 정보 및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청정 장치(300)와 관리자용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600)와 유무선으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410), 상기 라이다 장치(100)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실외의 공기 질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 상기 감지 장치(200)에서 감지된 실내의 공기 질 정보를 관리하는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 관리되는 실외 공기 질 정보와 상기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에서 관리되는 실내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청정 장치 관리부(440),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 관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anagement server 400 receives measurement information and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lidar device 100 and the detection device 200, and the cleaning device 300 and the manager terminal 500 and A transceiver 410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database 600 wired or wirelessly, an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managing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 information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lidar device 100,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that manages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device 200,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and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It may include a cleaning device management unit 440 that control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eaning device 300 according to managed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a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that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manager terminal 500. have.

상기 송수신부(410)는 통상의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지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리자용 단말기(500) 및 데이터베이스(300)와 유무선으로 공기 질 정보의 송수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특정의 통신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transmitting/receiving unit 410 is composed of a normal transmitting/receiving module, and is provided to transmit/receive air quality information with the manager terminal 500 and the database 300 wired/wireless using a network, and is provided in a specific communication module. It is not limited.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는 라이다 장치(100)에서 측정된 실외 공기에 대한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광학적 특징들을 관리할 수 있다. 즉, 355㎚, 532㎚, 1064㎚에서의 입자 후방산란 계수 (Particle volume backscatter coefficient), 355㎚, 532㎚ 파장에서의 입자 소산계수(Particle volume extinction coeffcient), 361㎚와 546㎚에서의 라만 석영 후방산란 계수(Raman quartz backscatter coefficient), 355㎚와 532㎚ 파장에서의 선형 입자 편광소멸도(Linear Particle polarization ratio), 355㎚와 532㎚에서의 라이다 비(Particle lidar ratio), 355/532㎚ 파장에서 소산계수로부터 구해진 옴스트롱 지수(Extinction-related Ångstrom exponent), 355/532㎚와 532/1064㎚ 파장에서의 후방산란 계수로부터 구해진 옴스트롱 지수(Backscatter-realted Ångstrom), 361/546㎚ 파장(Raman-quartz backscatter-related Ångstrom)에서의 라만 석영 후방산란으로부터 얻어진 옴스트롱 지수 등을 관리 할 수 있다.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r 420 may manage optical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in outdoor air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100 . That is, particle volume backscatter coefficients at 355 nm, 532 nm, and 1064 nm, particle volume extinction coefficients at 355 nm and 532 nm wavelengths, and Raman quartz at 361 nm and 546 nm. Raman quartz backscatter coefficient, Linear Particle polarization ratio at 355 nm and 532 nm wavelength, Particle lidar ratio at 355 nm and 532 nm, 355/532 nm Extinction-related Ångstrom exponent from the dissipation coefficient at the wavelength, Backscatter-realted Ångstrom from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at the 355/532 nm and 532/1064 nm wavelengths, 361/546 nm wavelength ( You can manage the Angstrom index obtained from Raman quartz backscattering in Raman-quartz backscatter-related Ångstrom).

특히,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는 세 파장에서 입자 후방산란계수와 두 파장에서의 입자 소산계수의 정보를 인버젼 알고리즘(inversion algorithm)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입자의 굴절률에서의 실수 및 복소수의 값, 입자의 체적 및 표면적, 수 농도(number, volume and suface-area concentration), 입자의 체적 크기 분포, 입자의 유효반지름과 같은 에어로졸 입자들의 미세물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 최종적으로 규명된 입자의 미세물리적 특성을 통해 단일 산란 알베도(Single Scattering Albedo)에 대한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라이다 장치(100)에서의 측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값으로 입자상 대기 오염물질의 상세 유형 구분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는 대표적으로 편광소멸도와 단산란알베도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황산염, 블랙카본, 황사, 비산먼지, 꽃가루, 수분 등을 분리하여 구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uses the information of particl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at three wavelengths and particle dissipation coefficients at two wavelengths as input data of an inversion algorithm, so that real numbers and complex numbers in the refractive index of particles are used. The microphys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 particles such as the value of , volume and surface area of particles, number, volume and surface-area concentration, volume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s, and effective radius of particles can be identified.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single scattering albedo through the micr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les finally identified by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classify detailed types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as values obtained from measurements in the lidar device 100 typically include polarization extinction and single scattering albedo, and accordingly, sulfate, black carbon, yellow dust, and scattering. Dust, pollen, moisture, etc. can be separated and distinguished.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는 실외 공기의 입자상 대기 오염물질의 상세 유형 구분을 위해 라이다 장치(100)에서 측정된 실외 공기의 입자에 대해 편광소멸도와 단산란알베도 정보를 적용하고, 단산란알베도를 산출하기 위해 두 파장에서의 입자 소산계수와 세 파장에서의 후방산란 계수 값을 적용한다.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applies polarization extinction and single scattering albedo information to the outdoor air particles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100 to classify detailed types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in outdoor air, and single scattering To calculate the albedo, the values of the particle dissipation coefficient at two wavelengths and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at three wavelengths are applied.

입자 소산계수와 후방산란 계수는 라이다 장치(100)에서 측정된 신호 중, 탄성산란 신호를 해석하여 산출도 가능하지만 산출과정에 있어 특정값(라이다 비)을 가정해야 한다. 하지만, 라만 신호를 이용하여 입자 소산계수와 후방산란 계수를 산출할 시, 이러한 가정이 불필요하여 정확도 높은 산출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라이다의 신호의 해석이 기본이 되는 라이다 식은 하기 식 (1)과 같다.The particle dissipation coefficient and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can be calculated by analyzing the elastic scattering signal among the signals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100, but a specific value (lidar ratio) must be assumed in the calculation process. However, when calculating the particle dissipation coefficient and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using the Raman signa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uch an assumption is not necessary and thus a highly accurate calculation result can be obtained. The lidar equation, which is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idar signal, i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1)
Figure pat00001
… (One)

여기서 P는 파장 λL의 레이저 빔이 대기중으로 (수평 혹은 수직) 발사되었을 때 z 거리에서 공기 분자에 의해 파장 λR으로 라만 산란된 빛 중 수신된 후방산란된 빛의 세기이다. O(z)는 레이저 빔의 발산각과 망원경의 시야각(field of view)에 의해 결정되는 중첩함수로 0에서 1사이 값을 갖는다. α는 파장 λL과 λL에서의 관측지점에서 특정 지점 z까지의 입자상 대기 오염입자의 산란계수이다. B는 기기의 보정상수이다. 후방산란 계수인 β는 공기분자의 수 농도(number density) N에 비례하는 라만 후방산란단면적

Figure pat00002
로 계산되며, 하기 식 (2)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Here, P is the intensity of received backscattered light among the Raman scattered light with wavelength λ R by air molecules at distance z when a laser beam of wavelength λ L is emitt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to the atmosphere. O(z) is an overlapping function determined by the divergence angle of the laser beam and the field of view of the telescope, and has a value between 0 and 1. α is the scattering coefficient of the particulate air pollutant from the observation point to the specified point z at wavelengths λ L and λ L. B is the calibration constant of the instrument.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β is the Raman backscattering area proportional to the number density N of air molecules.
Figure pat00002
It is calculated as, and can be arranged as in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3
…(2)
Figure pat00003
… (2)

공기분자 농도는 표준대기 자료 혹은 존데 관측 자료로 구할 수 있다. 식 (1)은 식 (2)을 이용하여 하기 식 (3)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Air molecule concentrations can be obtained from standard atmospheric data or from sonde observations. Equation (1) can be arranged as Equation (3) below using Equation (2).

Figure pat00004
…(3)
Figure pat00004
… (3)

식 (3)에서 레이저 파장과 라만 파장의 산란계수는 하기 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Equation (3), the scattering coefficients of the laser wavelength and the Raman wavelength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4) below.

Figure pat00005
…(4)
Figure pat00005
… (4)

여기서 αaer와 αmol은 각각 입자상 대기오염물질과 공기분자에 의한 소산계수이다. 이 관계로부터 식 (3)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where α aer and α mol are the dissipation coefficients for particulate air pollutants and air molecules, respectively. From this relationship, equation (3)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gure pat00006
…(5)
Figure pat00006
… (5)

입자상 대기 오염물질의 소산 값은 파장에 의존하며 의존성은 하기 식 (6)과 같다.The dissipation value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depends on the wavelength, and the dependence is shown in Equation (6) below.

Figure pat00007
…(6)
Figure pat00007
… (6)

입자상 대기 오염물질의 소산계수가 파장에 따라 옴스트롱 지수(Å)에 비례하며, 식 (5)와 식 (6)으로부터 하기 식 (7)과 같이 입자상 대기 오염물질의 소산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dissipation coefficient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is proportional to the Angstrom exponent (Å) according to the wavelength, and the dissipation coefficient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can be calculated from Equations (5) and (6)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

Figure pat00008
…(7)
Figure pat00008
… (7)

입자상 대기오염물질 후방산란계수 βaerL,z)는 입자상 대기오염물질과 공기분자에 의한 탄성산란신호와 공기분자에 의한 라만 산란 신호 그리고 대기오염물질이 없는 지점에서의 거리 (zo)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탄성 산란 신호와 라만 산란 신호는 식 (1)과 하기 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particulate air pollutant backscattering coefficient β aerL,z ) is the elastic scattering signal from the particulate air pollutant and air molecules, the Raman scattering signal from the air molecule, and the distance (z o ) from the point where there are no air pollutants. calculated using The elastic scattering signal and the Raman scattering signal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and Equation (8) below.

Figure pat00009
…(8)
Figure pat00009
… (8)

식 (1)과 식 (8)에 각각 z와 zo를 대입하고, 하기 식 (9)와 같은 형태의 비로 나누어 주면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후방산란계수 βaerL,z)를 구할 수 있으면 식 (10)과 같다.Substituting z and z o into Equations (1) and (8), respectively, and dividing by the ratio in the form of Equation (9) below,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β aerL,z )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can be obtained. If so, it is the same as Equation (10).

Figure pat00010
…(9)
Figure pat00010
… (9)

Figure pat00011
…(10)
Figure pat00011
… (10)

또한,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는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미세물리적 특성 값은 오염입자의 분포와 파장에 따른 소산계수와 후방산란계수와 같은 광학적 값들을 이용하여 역행렬 알고리즘으로 계산할 수 있다. 대기 오염입자의 광학적 값들은 하기 식 (11)에서와 같이 첫 번째 Fredholm 적분식의 물리적 양과 관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may calculate microphys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using an inverse matrix algorithm using optical values such as dissipation coefficients and backscattering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pollutant particles and wavelengths. The optical values of air pollutant particles are related to the physical quantity of the first Fredholm integral equation as in Equation (11) below.

Figure pat00012
…(11)
Figure pat00012
… (11)

여기서 gik)는 파장 λk에서 광학적 데이터를 나타낸다. 아래첨자 i는 입력자료인 소산계수와 후방산란계수의 종류를 나타내며, 데이터는

Figure pat00013
의 오차를 지닌다. 대기오염 입자의 미세물리적 특성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최고 2개의 파장에서의 소산계수와 3개 파장에서의 후방산란계수가 필요하다. v(r)은 dr 간격의 입자반경 최소 입자 크기는 rmin으로 정의된다. 입자의 농도가 낮아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대 입자크기는 rmax로 표시된다. Ki(r,m,λk,S)부분은 후방산란계수와 소산계수의 커넬 효율성(kernel efficiency)을 나타내며, 이는 입자 크기 r, complex refractive index m, 파장 λk, 형태함수 s에 의존한다. 커넬 함수 Ki(r,m,λk)는 각각의 입자의 기하단면적 πr2이 가중된 소산효율과 후방산란효율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where g ik ) represents the optical data at wavelength λ k . Subscript i indicates the type of input data dissipation coefficient and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the data is
Figure pat00013
has an error of In order to calculate the microphys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air pollutant particles, dissipation coefficients at up to two wavelengths and backscattering coefficients at three wavelengths are required. v(r) is the particle radius of the interval dr. The minimum particle size is defined as r min . The maximum particle size at which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is low and does not affect the signal is represented by r max . The K i (r,m,λ k,S ) part represents the kernel efficiency of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dissipation coefficient, which depends on the particle size r, the complex refractive index m, the wavelength λ k , and the shape function s . The kernel function K i (r,m,λ k ) can be calculated from the dissipation efficiency and backscattering efficiency weighted by the geometric cross-section πr 2 of each particle.

Figure pat00014
…(12)
Figure pat00014
… (12)

식 (11)은 분석적인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수치해석과정은 ill-posed inverse problem으로 귀결시킨다. 식 (11)의 해석에서 크기분포 v(r)은 기수함수

Figure pat00015
와 가중인자 wj의 선형조합으로 구성된다.Equation (11) cannot be solved analytically, and the numerical analysis process results in an ill-posed inverse problem. In the interpretation of Equation (11), the size distribution v(r) is a cardinal function
Figure pat00015
It is composed of a linear combination of and a weighting factor w j .

Figure pat00016
…(13)
Figure pat00016
… (13)

식 (13)의 오른쪽 부분은 기수함수를 이용한 크기분포의 추정에서 발생되는 수리적 오차인

Figure pat00017
을 포함한다. 식 (12)와 식 (13)을 정리하여 벡터행렬식으로 (14)로 표현할 수 있다.The right part of Equation (13) is the mathematical error that occurs in estimating the size distribution using the cardinal function.
Figure pat00017
includes Equations (12) and (13) can be summarized and expressed as a vector matrix equation (14).

g = Aw + ε …(14) g = Aw + ε... (14)

광학 데이터는 g=[gp]로 표현되며 여기서 p=(i,λk)는 광학 데이터의 종류와 개수를 나타낸다. 가중인자는 w=[wj], 오차 ε은 [εp]로 표시되며

Figure pat00018
로서 실험오차와 수리오차의 합이다. 가중행렬 A=[Apj]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Optical data is expressed as g=[g p ], where p=(i,λ k ) represents the type and number of optical data. The weighting factor is w = [w j ], the error ε is denoted by [ε p ],
Figure pat00018
is the sum of the experimental error and the mathematical error. The weighting matrix A=[A pj ] is expressed as follows.

Figure pat00019
…(15)
Figure pat00019
… (15)

가중인자에 대한 식 (14)의 해는 The solution of equation (14) for the weighting factor is

W = A-1g + ε' …(16)W = A -1 g + ε'... (16)

이러한 역행렬의 해를 찾기 위해 최소한도법 개념이나 최소거리 방법으로 불리는 규칙화(regularization)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페널티 함수(penalty function)로 불리는 e2가 도입된다. 이를 Euclidian norm을 통해 정리하면 하기 식 (17)로 정리될 수 있다. In order to find the solution of such an inverse matrix, a regularization process called the minimum method concept or the minimum distance method is required, and for this, e 2 called a penalty function is introduced. If this is summarized through the Euclidian norm, it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equation (17).

Figure pat00020
…(17)
Figure pat00020
… (17)

식 (17)은 weight vector w를 나타내는 closed 형태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식 (18)과 같다.Equation (17) can be converted into a closed form representing the weight vector w, which is shown in Equation (18) below.

Figure pat00021
…(18)
Figure pat00021
… (18)

AT는 행렬 A의 전치행렬을 나타낸다. H는 smoothing 행렬이고 γ는 Lagrange multiplier이다. A T represents the transposed matrix of matrix A. H is the smoothing matrix and γ is the Lagrange multiplier.

이러한 역행렬 방법을 통해, 입력된 후방산란계수와 소산계수를 통해 입자의 굴절률을 산출할 수 있다. 특정 굴절률을 갖는 대기 오염 입자는 파장 별로 특정 후방산란계수와 소산계수들의 값을 보인다. 따라서 라이다 장치(100)로 측정된 355㎚, 532㎚, 1064㎚에서의 입자 후방산란 계수와 355㎚, 532㎚ 파장에서의 입자 소산계수를 통해 입자의 굴절률을 역추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자의 크기 분포와 입자의 부피 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크기분포와 부피농도의 상관관계들을 통해 대기 오염입자의 단산란 알베도까지 산출할 수 있다. Through this inverse matrix metho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input backscattering coefficient and dissipation coefficient. Air pollution particles having a specific refractive index show values of specific backscattering coefficients and dissipation coefficients for each wavelength. Therefo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articles can be inversely estimated through the particl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at 355 nm, 532 nm, and 1064 nm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100 and the particle dissipation coefficients at 355 nm and 532 nm wavelengths, through which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particle volume concentration can be derived. In addition, even the short scattering albedo of air pollutant particles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distribution and the volume concentration.

한편, 라이다 편광소멸도는 라이다 관측 신호 중 편광기로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으로 분리하여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편광소멸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체적 편광소멸도(Volume depolarization ratio, δ)를 계산하여야 하며, 다음의 식 (19)로 표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DAR polarization extinction degree can be calculated using a signal measured by separating a horizontal component and a vertical component with a polarizer among LIDAR observation signals. In order to obtain the polarization depolarization, first, the volume depolarization ratio (δ) must be calculated, which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9).

Figure pat00022
…(19)
Figure pat00022
… (19)

식 (19)에서 P와 P는 각각 레이저 빔에서 방사되고 입자상 대기오염물질로부터 후방산란 되어 돌아오는 빛의 수평성분과 수직성분을 나타낸다. 체적편광소멸도는 대기 중 황사, 빙정 구름과 같은 비구형 입자를 구분하는데 유용하지만, 이 값은 공기 체적 내의 공기 분자들의 양과 비례하여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하면, 그 값 역시 감소하는 등 대기오염물과 공기 분자에 의한 편광소멸도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값이다. 입자 편광소멸도(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δp)는 공기분자에 의한 편광을 제외하여 고려된 값으로 비구형성 대기 오염물질의 정확한 분류할 수 있다. 입자 편광소멸도는 라이다 신호 중 라만 산란신호와 탄성산란 신호의 비로부터 산출할 수 있는 후방산란비(Backscattering ratio, R)와 체적 편광소멸도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음의 식 (2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Equation (19), P and P represen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beam and back-scattered from particulate air pollutants, respectively. Volume polarization extinction is useful for distinguishing non-spherical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and ice crystal clouds in the air, but this value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air molecules in the air volume and decreases as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decreases. It is a value that includes the degree of polarization extinction caused by air pollutants and air molecules.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δ p ) is a value considered excluding polarization by air molecules, and can accurately classify non-spherical air pollutants. Particle polarization extinction can be calculated using the backscattering ratio (R) and the volume polarization extinction, which can be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the Raman scattering signal and the elastic scattering signal among the lidar signals, which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 20)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23
…(20)
Figure pat00023
… (20)

식 (20)에서 δm는 공기 분자의 편광소멸도나 실험 또는 모델로 산출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R(z)는 거리 z에 따른 후방산란비로써

Figure pat00024
의 식으로 표현되며, βaer와 βmol는 각각 대기 오염입자에 의한 후방산란계수와 공기분자에 의한 후방산란 계수를 나타낸다.In Equation (20), δ m can use the degree of polarization extinction of air molecules or a value calculated by experiments or models. R(z) is the backscatter ratio according to the distance z
Figure pat00024
, where β aer and β mol represent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of air pollutant particles and air molecules,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라이다 장치(100)에서의 측정 결과로부터 획득된 대기오염입자의 단산란 알베도, 편광소멸도와 같은 정보는 관측된 대기오염입자의 유형을 판독하는데 사용된다. 도 4의 라이다 관측 정보를 통한 입자상 대기 오염물질의 판독 알고리즘을 통해 총 8가지 1) 대기중 수분(water droplet), 2) 혼합 대기오염물질(인위적 오염물질 혼합비 우세), 3) 혼합 대기오염물질(황사와 같은 비구형 입자 혼합비 우세), 4) 크기가 큰 비구형 입자(황사, 꽃가루 등), 5) 광흡수성이 거의 없는 인위적 기원 오염물질, 6) 광흡수성이 조금 있는 인위적 기원 오염물질, 7) 광흡수성이 비교적 있는 인위적 기원 오염물질, 8) 광흡수성이 매우 강한 인위적 기원 오염물질 (Black carbon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Information such as single scattering albedo and polarization extinction of air pollutant particles obtained from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lida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is used to read the type of observed air pollutant particles. Through the reading algorithm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through the lidar observation information in FIG. Substances (predominant mixing ratio of non-spherical particles such as yellow dust), 4) large non-spherical particles (yellow dust, pollen, etc.), 5) anthropogenic pollutants with little light absorption, 6) anthropogenic pollutants with little light absorption , 7) pollutants of artificial origin with relatively light absorption, and 8) pollutants of artificial origin with very strong light absorption (black carbon, etc.).

도 4는 라이다 산출 정보를 이용한 대기오염 입자의 유형 판독 기준과 도출 알고리즘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tandard for reading the type of air pollutant particles using LIDAR calculation information and a derivation algorithm.

도 4를 참조로 하면, 라이다로 획득된 편광소멸도를 통해 대기오염입자들의 크기 및 비구형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쪽 방향으로 편광되어 있는 라이다 레이저 빔의 편광상태는 황사 혹은 꽃가루 등과 같은 크기가 크고 비구형입자를 만나게 되면, 원래의 편광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즉, 편광소멸도가 클수록 크기가 크고, 비구형 입자에 가까우며 작을수록 구형입자에 가깝다. 먼저, 편광소멸도가 0.28을 초과하는 대기오염입자는 입자의 크기가 큰 비구형 입자(황사, 꽃가루 등)로 판단한다. 또한, 편광소멸도가 0.16 이상 0.28 이하인 대기오염입자는 비구형입자와 인위적기원의 구형에 가까운 대기오염입자가 혼합상태인 상태이나 혼합상태에서 비구형 입자가 좀 더 우세하게 섞여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0.06 이상 0.16 이하인 대기오염입자는 비구형입자와 인위적 기원의 구형에 가까운 대기오염입자가 혼재하는 유형으로 구형 입자가 좀 더 우세하는 섞여있는 유형으로 판단한다. 0에 가까운 입자는 물방울과 같은 입자로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size and asphericity of air pollutant particles can be confirmed through polarization extinction obtained by LIDAR.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LIDAR laser beam, which is polarized in one direction, changes to the original polarization form when it encounters large aspherical particles such as yellow sand or pollen. That is, as the degree of polarization extinction increases, the size is larger and closer to non-spherical particles, and when the degree of polarization extinction is smaller, the size is closer to spherical particles. First, air pollution particles whose polarization extinction degree exceeds 0.28 are determined to be non-spherical particles (yellow dust, pollen, etc.)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In addition, air pollution particles with a polarization extinction degree of 0.16 or more and 0.28 or less are in a mixed state of non-spherical particles and air pollution particles of artificial origin close to spherical origin, but it is determined that non-spherical particles are more predominantly mixed in the mixed state. Air pollution particles with a ratio of 0.06 or more and 0.16 or less are a mixture of non-spherical particles and air pollution particles close to spherical origin of artificial origin, and are judged to be a mixed type in which spherical particles are more dominant. Particles close to 0 are judged to be particles such as water droplets.

편광소멸도를 통해 인위적 기원의 오염입자(편광소멸도 : 0 ~ 0.06)로 구분된 유형을 라이다로 산출된 단산란 알베도 정보를 이용하여 좀 더 세부화하여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단산란 알베도는 입자의 광흡수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 그 값이 클수록 산란을 많이 일으키고 그 값이 작을수록 빛을 더욱더 흡수한다. 따라서 광흡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블랙카본 같은 입자의 유형을 구분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블랙카본은 WHO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로 인체의 유해성이 인위적 기원 물질 중에서도 높은 편이다. 단산란 알베도가 0.85 이하인 입자들은 블랙카본과 같은 광흡수성이 높은 물질로 구분될 수 있으며, 0.95 이상의 높은 단산란 알베도를 갖는 입자들은 광흡성이 거의 없는 인위적 기원 오염물질, 0.90 초과 0.05 이하의 입자들은 광흡수성이 조금 있는 인위적 기원 오염물질, 0.85 이상 0.90 이하의 입자들은 광흡성이 비교적 높은 인위적 기원 오염물질 유형으로 구분된다.The types classified as artificially originated pollutants (polarization extinction: 0 to 0.06) through the polarization extinction degree can be classified into more detailed types using the short scattering albedo information calculated by lidar. Single scattering albedo is an index that can indicate the light absorption of particles. The higher the value, the more scattering occurs, and the smaller the value, the more light is absorbed. Therefore, it is useful to distinguish the type of particles such as black carbon known to have high light absorption. In particular, black carbon is a first-class carcinogen designated by WHO, and its harmfulness to the human body is high among substances of artificial origin. Particles with a single scattering albedo of 0.85 or less can be classified as materials with high light absorption such as black carbon, particles with a high single scattering albedo of 0.95 or more are anthropogenic contaminants with little light absorption, and particles with a single scattering albedo of more than 0.90 and less than 0.05 Pollutants of anthropogenic origin with little light absorption, and particles of 0.85 or more and less than 0.90 are classified as types of pollutants of anthropogenic origin with relatively high light absorption.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다 장치(100)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이용한 대기오염입자 유형 판독과정을 통해 실외 발생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의 유형 정보를 획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대기오염입자 유형 판독을 순차적으로 설명을 하였지만, 이러한 과정은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can acquire and utilize the type information of particulate air pollutants generated outdoors through the air pollutant type reading process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100. .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ir pollutant particle type reading has been sequentially described, but this process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상기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는 예를 들어 교실, 복도 등의 실내의 측벽 또는 천장 등에 장착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광학식 입자계수기에서 감지된 실내 공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실내 공기질 기준과 수신된 실내 공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고, 수신된 실내 공기 질 상태가 설정된 실내 공기질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청정 장치 관리부(440)를 통해 청정 장치(300)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한다. 또, 수신된 실내 공기 질 상태가 설정된 실내 공기질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관리자 정보 관리부(450)를 통해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통지하게 할 수 있다.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receives, in real tim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indoor air detected by a temperature sensor, humidity sensor, or optical particle counter mounted on a sidewall or ceiling of a room, such as a classroom or corridor, in real time, and The indoor air quality standard is compared with the received indoor air condi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received indoor air quality does not meet the set indoor air quality standard, the cleaning device management unit 440 initiat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300. . 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indoor air quality does not meet the set indoor air quality standard, the manager terminal 500 may be notified through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

상기 청정 장치 관리부(440)는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에서 관리되는 실내 공기의 상태에 따라 실내에 장착된 공기 청청기 또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leaning device management unit 440 may control an air purifier installed in the room or a ventilation device that discharges indoor air to the outdoors to start operat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indoor air managed by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have.

또 상기 설명에서는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 및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와 청정 장치 관리부(440)를 각각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그램에 의해 연동적으로 실행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and the purifier management unit 440 have been described as separate configurations, but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rlocked with a program. may be provided.

상기 관리자 정보 관리부(450)는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 및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에서의 실내외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건물 내부 거주자의 행동지침,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설치된 청정 장치의 운전방법 관리, 상기 대상 건물 외부 위치자의 행동지침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실내외 공기 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determines the behavioral guidelines of residents inside the target building and cleaning devices installed inside the target building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and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Information on driving method management and action guidelines of the person located outside the target building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500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recognize indoor/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in real time.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는 대상 건물의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5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manager of a target building, and is, for example,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 etc. can be applied.

또,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와 관리 서버(40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6G 통신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anager terminal 5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is,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6G communication, etc. can be appli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상기 데이터베이스(600)에는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 관리되는 실외 공기 상태에 대한 정보,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에서 관리되는 실내 공기 상태에 대한 정보, 청정 장치 관리부(440)에서 관리되는 청정 장치에 관한 정보, 관리자용 단말기(500)에 관한 정보 및 대상 건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60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database 600 includes information on outdoor air conditions managed by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information on indoor air conditions managed by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and cleanliness managed by the cleaning device management unit 440.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manager's terminal 500, and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building are stored.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600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in developing a specific device, it may be configured in a differ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database construction theor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and efficiency of access and search.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에 의한 운영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operation by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5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operating process of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관심대상 건물 및 주변 환경과 그 장소의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위한 행동지침과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 방법에서는 관리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라이다 장치(100)를 통해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함과 동시에 감지 장치(200)를 통해 실내의 공기 질 상태를 감지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외의 공기 질은 라이다 장치(100)를 통해 관측하고, 실내의 공기 질은 감지 장치(200)로서 OPC 및 습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태로 설명한다.First, in the operating method for providing health protection and clean air to the building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interest and the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of the place of inte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ar device 100 mounted outdoors of the building to be managed Th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200 and the indoor air quality condition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device 200 .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utdoor air quality is observed through the LIDAR device 100, and indoor air quality is described in a state measured by the OPC and humidity sensor as the sensing device 200.

즉, 본 발명에 따라 실내외 거주자에게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 방법에서는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라이다 장치로 실외의 공기에 대해 구형 입자(SP : Spherical Particle), 상기 SP보다 작고 구형이며 광 흡수성이 높은 입자(SSA : Small Strong Absorption), 상기 SP보다 큰 비구형 입자(LNP : Large Non-Spherical Particle)로 구분하여 실외의 오염물질을 측정하고,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된 감지 장치로 실내의 습도 및 실내의 입자 농도를 계측한다(S10).That is, in the operating method for providing clean air to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dar device mount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uses spherical particles (SP: Spherical Particle) for outdoor air, smaller than the SP and spherical and measures outdoor pollutants by classifying them into small strong absorption (SSA) and large non-spherical particles (LNP) larger than the SP, and detects the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The device measures indoor humidity and indoor particle concentration (S10).

상기 단계 S10에서의 감지 결과는 관리 서버(400)의 송수신부(4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 및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로 전송되고, 상기 단계 S10에서 측정된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에 따라 청정 장치 관리부(440)에서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된 청정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고, 관리자 정보 관리부(450)에서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를 안내한다. The detection result in the step S10 is transmitted to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and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in real time through the transceiver 410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d in the step S10 is transmitted. The cleaning device management unit 440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installed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formation and the indoor environmental state information, and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uses the manager terminal 500 to manage the outdoor environment. It guides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상기 관리 서버(400)는 상기 단계 S10에서의 감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된 기준 환경 정보와 비교하여 청정 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고,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실내외 공기 질의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즉,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 및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430)는 상기 단계 S10에서의 감지 결과 SP가 관측되고, OPC가 높음, 습도가 높음으로 측정되면(S20), 상기 관리 서버(400)는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실내 창문, 출입문을 닫아 외부 입자오염물의 침투가 없도록 안내하고, 청정 장치(300)를 고속으로 운전하게 제어한다(S30). 한편, 일정시간이 지나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저하가 없다면, 습도에 의한 OPC 오측정을 의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관리자는 실내를 건조하게 하거나 OPC의 렌즈를 닦아 측정성능을 회복하게 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4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300 by comparing the detection result in step S10 with the reference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600, and transmits indoor/outdoor air quality state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500. send That is, when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and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30 detect SP as a detection result in step S10 and measure that OPC is high and humidity is high (S20), the management server 400 ) closes indoor windows and doors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0 to guide the infiltration of external particle contaminants, and controls the cleaning device 300 to operate at high speed (S30).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decrease in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PC erroneous measurement due to humidity may be suspected. In this case, the manager can dry the room or wipe the lens of the OPC to restore the measurement performance.

한편, 상기 단계 S10에서의 감지 결과 SSA가 관측되고, OPC 높음, 습도 낮음으로 측정되면(S40),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실내 창문, 출입문을 닫아 외부 입자오염물의 침투가 없도록 안내하고, 청정 장치(300)를 고속으로 운전하게 제어한다(S30). 일정시간이 지나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저하가 없다면, 관리자는 외부에서 미세먼지 침투가 없는지 다시 확인하거나 내부 미세먼지 발생원인을 찾아 제거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 관리 서버(400)는 인체의 유해성이 높은 외부입자가 많은 이벤트로,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외부공기 실내유입 방지와 실내 공기청정기 가동 시간을 늘리도록 안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SA is observ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n step S10 and measured as high OPC and low humidity (S40), indoor windows and doors are clos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0 to guide to prevent penetration of external particle contaminants, , The cleaning device 300 is controlled to operate at high speed (S30). If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does not decrease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anager can check again whether there is no fine dust infiltration from the outside or guide the internal cause of fine dust generation to be removed.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400 may guide to prevent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room and to increase the operation time of the indoor air purifier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0 in the event of a large number of external particle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또, 상기 단계 S10에서의 감지 결과 LNP가 관측되고, OPC 높음으로 측정되면(S50), 관리 서버(400)는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실내의 환기 횟수를 감소시키고, 실내 거주자 중 황사, 꽃가루, 미세먼지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가 있는지 안내할 수 있다(S60).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n step S10, when the LNP is observed and the OPC is measured as high (S50), the management server 400 reduces the number of ventilations in the roo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0, and yellow dust among indoor residents , it can guide whether there are patients allergic to pollen or fine dust (S60).

그리고 상기 단계 S10에서의 감지 결과 LNP가 관측되고, OPC 낮음으로 측정되면(S70), 관리 서버(400)는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실내의 환기 횟수를 감소시키고, 실내 거주자 중 황사, 꽃가루, 미세먼지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가 있는지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외부에서 황사, 꽃가루, 미세먼지 등의 유입이 없고 실내 오염물 발생이 없음을 인지할 수 있다. An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n step S10, when the LNP is observed and the OPC is measured as low (S70), the management server 400 reduces the number of ventilations in the roo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0, yellow dust among indoor residents, It can guide patients who are allergic to pollen and fine dust. Accordingly, the manager can recognize that there is no inflow of yellow dust, pollen, fine dust, etc. from the outside, and no indoor pollutants are generated.

한편, 상기 단계 S10에서의 감지 결과 SSA가 관측되고, SP 및 LNP가 낮고, OPC 낮음으로 측정되면(S80), OPC에서 관측할 수 없는 초미세입자가 대기 중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서버(400)는 청정 장치(300)의 운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환기횟수를 줄이고 실내 거주하는 건강취약자의 외출을 최대한 자제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S90). 또 관리 서버(400)는 관리자용 단말기(500)를 통해 인체의 유해성이 높은 외부입자가 많은 이벤트로, 외부공기 실내유입 방지와 실내 공기청정기 가동 시간을 늘리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SSA is observ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n step S10, SP and LNP are low, and OPC is measured to be low (S80), since ultrafine particles that cannot be observed by OPC may exist in the air, the management server 4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300, reduce the number of ventilations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0, and guide the health-vulnerable living indoors to refrain from going out as much as possible (S90).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400 may guide,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500,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room and to increase the operation time of the indoor air purifier in case of an event with many external particles that are highly harmful to the human body.

다음에 라이다 장치(100)에서 설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별 농도/종류 분류를 동시에 감지하여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위한 행동지침을 운영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LiDAR device 100 simultaneously detects concentration/type classification by point in 7.5 m units of the atmosphere within a radius of 5 km around the installation point, and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provides action guidelines for health protection to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A process of operating th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의 운영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이다.6 is a process 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도 관리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라이다 장치(100)를 통해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함과 동시에 감지 장치(200)를 통해 실내의 공기 질 상태를 감지한다(S11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 th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 is measured through the lidar device 100 installed outdoors of the building to be managed and the indoor air quality condition is sensed through the sensing device 200 ( S110).

또, 상기 라이다 장치(100)는 설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별 농도/종류 분류를 동시에 감지하고(S120),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 라이다 장치(100)의 설치장소 근처의 입자농도가 낮은데 먼 거리에서부터 계속적으로 미세입자 농도가 높은 지점이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되면(S130), 관리 서버(400)의 관리자 정보 관리부(450)를 통해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창문과 출입문을 닫을 준비를 하고, 청정 장치(300)의 환기장치 가동 중단과 공기 청정기를 가동할 준비를 안내할 수 있다(S140).In addition, the lidar device 100 simultaneously detects concentration/type classification by point in units of 7.5 m in the air within a radius of 5 km around the installation point (S120), and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detects the lidar device ( 100) is low, bu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int where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 is continuously high from a distance is close (S130), the manager terminal 500 through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 it is possible to prepare to close windows and doors, to stop operation of the ventilator of the cleaning device 300 and to prepare to operate the air purifier (S140).

상기 단계 S110에서의 감지 결과,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420)에서 특정방향에서의 미세입자 농도가 높음으로 판단되었 때(S150), 관리 서버(400)의 관리자 정보 관리부(450)를 통해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실내 거주자가 외출 등을 진행할 경우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행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S160).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n step S110, when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20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s in a specific direction is high (S150),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In step 500, when an indoor resident goes out, an action direction may be guided to prevent movemen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S160).

또, 상기 단계 S110에서의 감지 결과, 특정인이 5km 내에서 현재 위치까지 이동하여 올 때, 관리 서버(400)의 관리자 정보 관리부(450)를 통해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미세입자가 적은 이동 루트를 제공하여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도 있다(S170).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n step S110, when the specific person moves to the current location within 5 km, the route with few fine particles is transferred to the manager terminal 500 through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450 of the management server 400.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so that health problems do not occur (S170).

한편, 상기 단계 S110에서의 감지 결과, 관심 있는 대상 건물에 포함된 부속 사이트가 위치한 곳에서 급격한 고농도 SSA, LNP가 발생할 경우(S180), 그 위치의 오염물 발생을 찾아서 문제점을 제거하도록 관리 서버(400)가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안내할 수도 있다. 특히, 이 경우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주변에 화재 등에 의한 오염물 발생이 예상될 수 있으므로, 관리 서버(400)가 관리자용 단말기(500)로 사람이 직접 그 장소로 갈 경우 휴대용 화재진압장비 등을 지참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S190).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n step S110, if a sudden high concentration of SSA or LNP occurs in the place where the attached site included in the target building of interest is located (S180), the management server 400 finds the occurrence of contaminants at that location and removes the problem. ) may guide the manager terminal 500. In particular, in this case, since pollutants caused by fire or the like can be expected around the target building of interest, when the management server 400 is the manager terminal 500 and a person directly goes to the place, bring portable fire suppression equipment, etc. It may guide you to do it (S19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내외 거주자에게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Clean air can be supplied to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by using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 라이다 장치
200 : 감지 장치
300 : 청정 장치
400 : 관리 서버
500 : 관리자용 단말기
100: lidar device
200: detection device
300: cleaning device
400: management server
500: terminal for administrator

Claims (20)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되어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하는 라이다 장치,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의 공기 질을 청정 상태로 유지시키는 청정 장치,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측정된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A lidar device install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to measure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s;
A sens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arget building to sense the indoor environment state;
A cleaning devic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target building to maintain the indoor air quality in a clean stat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ing an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and indoor environmental stat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제1항에서,
상기 대상 건물의 환경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자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manager terminal for managing the environmental state of the target building,
The management serve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 state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제2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측정되어 전송된 실외의 공기 질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실내의 공기 질 정보를 관리하는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
상기 실외 공기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실외 공기 질 정보와 상기 실내 공기 정보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실내 공기 질 정보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청정 장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2,
The management server
An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outdoor air quality state information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lidar device;
an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ing device;
and a cleaning device management unit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out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indoor ai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system.
제3항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정보 관리부는 상기 대상 건물 내부 거주자의 행동지침,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설치된 청정 장치의 운전방법 관리, 상기 대상 건물 외부 위치자의 행동지침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3,
The management server
Further comprising a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about the manager terminal,
The manag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behavioral guidelines of residents inside the target building, management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lean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arget building, and behavioral guidelines of the person located outside the target building to the manager terminal.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실외의 입자상 오염물질을 크기별 분류, 종류별 분류, 설치 포인트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별 농도/종류 분류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3,
The lidar device classifies outdoor particulate pollutants by size, type, and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imultaneously measuring concentration / type classification by point in the air within a radius of 5 km around the installation point in units of 7.5 m .
제5항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구형 입자(SP : Spherical Particle), 상기 SP보다 작고 구형이며 광 흡수성이 높은 입자(SSA : Small Strong Absorption), 상기 SP보다 큰 비구형 입자(LNP : Large Non-Spherical Particle)로 구분하여 실외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lidar device is composed of spherical particles (SP: Spherical Particle), particles smaller than the SP and spherical and having high light absorption (SSA: Small Strong Absorption), and larger non-spherical particles than the SP (LNP: Large Non-Spherical Particle). A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measures outdoor pollutants by classifying them.
제1항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레이저 빔 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에서 출력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반사 및 확대하는 하나의 반사형 빔확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lidar device includes a laser beam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laser beam and a reflective beam expander for reflecting and expanding a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output from the laser beam generator. management system.
제7항에서,
상기 반사형 빔확대기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에서 발생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반사하여 확대시키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사부에서 확대된 복수개의 레이저 파장을 수신하여 대기 방향으로 송신하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7,
The reflective beam expander includes a body,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reflector for reflecting and expanding a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generated by the laser beam generator, and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second reflec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laser wavelengths expanded by the first reflector and transmitting them in an atmospheric direction.
제7항에서,
상기 제1 반사부 및 제2 반사부는 각각 알루미늄이 코팅된 구면 거울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7,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flector and the second reflector each include a spherical mirror coated with aluminum and are respectively fitted into the main body.
제9항에서,
상기 제1 반사부는 오목 거울의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부는 볼록 거울의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9,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flector has a function of a concave mirror, and the second reflector has a function of a convex mirror.
제1항에서,
상기 감지 장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광학식 입자계수기(OPC; optical particle counter)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ensing device includes any one of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d an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제1항에서,
상기 청정 장치는 실내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정화하여 출력하는 공기 청청기 또는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1,
The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cleaning device includes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and outputs pollutants contained in indoor air or a ventilation device that discharges indoor air to the outdoors.
제2항에서,
상기 대상 건물에 대한 정보, 실외의 공기 질 상태 정보, 실내의 공기 질 상태 정보, 라이다 장치, 감지 장치 및 청정 장치에 대한 정보,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질 관리 시스템.
In paragraph 2,
Further comprising a data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build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lidar device, sens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information, and manager informatio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관심대상 건물 및 주변 환경과 그 장소의 실내외 거주자에게 건강보호를 위한 행동지침과 청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 방법으로서,
(a)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라이다 장치로 실외의 공기 질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된 감지 장치로 실내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측정된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상기 단계 (b)에서 감지된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에 따라 관리 서버에서 상기 대상 건물의 실내에 장착된 청정 장치의 동작을 관리하고,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외의 공기 질 정보 및 실내의 환경 상태 정보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As an operating method for providing health protection and clean air to the building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interest and to the indoor and outdoor residents of the place,
(a) measuring outdoor air quality conditions with a lidar device mounted outdoors of a target building of interest;
(b) detecting an indoor environment state with a sensing device installed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c) According to the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in step (a) and the indoor environmental state information detected in step (b),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installed indoors of the target building, and guiding outdoor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a manager terminal.
제14항에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구형 입자(SP : Spherical Particle), 상기 SP보다 작고 구형이며 광 흡수성이 높은 입자(SSA : Small Strong Absorption), 상기 SP보다 큰 비구형 입자(LNP : Large Non-Spherical Particle)로 구분하여 실외의 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In paragraph 14,
In the step (a), the lidar device includes spherical particles (SP: Spherical Particle), spherical particles smaller than the SP and having high light absorption (SSA: Small Strong Absorption), and non-spherical particles larger than the SP (LNP: Large An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by measuring outdoor pollutants by dividing into Non-Spherical Particles.
제15항에서,
상기 단계 (b)에서 감지 장치로는 습도 센서 및 광학식 입자계수기(OPC; optical particle counter)를 적용하는 실내의 습도 및 실내의 입자 농도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In paragraph 15,
In the step (b), as the sensing device, a humidity sensor and an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are applied to measure the indoor humidity and the indoor particle concentration.
제16항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상기 SP가 관측되고, 상기 OPC의 계측 농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상태이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의 창문 및 출입문의 닫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In clause 16,
When the SP is observed in the lidar device and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OPC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management server execut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and closes indoor windows and doors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An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by notifying.
제16항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상기 SSA가 관측되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의 환기 횟수를 감소시키고, 알레르기 환자에게 주의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In clause 16,
When the SSA is observed in the lidar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reduces the number of ventilations in the roo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and notifies the allergy patient of attention.
제16항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상기 LNP가 관측되면,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실행시키고,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의 환기 횟수를 감소시키고, 외출 자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In clause 16,
When the LNP is observed in the lidar device, the management server execute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reduces the number of times of ventilation in the roo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and guides refraining from going out.
제16항에서,
상기 라이다 장치는 관심 있는 대상 건물의 실외에 장착된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5km 내의 대기를 7.5m 단위로 포인트 별 농도/종류 분류로 관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라이다 장치에서 측정된 미세 입자의 농도 분포에 따라 상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를 통해 실내외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 방법.
In clause 16,
The lidar device observes the atmosphere within a radius of 5 km centered on the location mounted outdoors of the target building of interest in concentration / type classification by point in units of 7.5 m,
The opera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serv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the fine particles measured by the lidar device, and provides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KR1020210068013A 2021-05-27 2021-05-27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340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13A KR102534056B1 (en) 2021-05-27 2021-05-27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13A KR102534056B1 (en) 2021-05-27 2021-05-27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88A true KR20220160188A (en) 2022-12-06
KR102534056B1 KR102534056B1 (en) 2023-05-17

Family

ID=8440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013A KR102534056B1 (en) 2021-05-27 2021-05-27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05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04A (en)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포스코 Observation system for working field emitting fugitive dust using lidar
KR101518968B1 (en) * 2014-03-28 2015-05-11 (주)켄텍 Real time Measurement Device in the Exhaust gas of the Motor Vehicle on the Move
KR20160131507A (en) * 2015-05-07 2016-11-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ersonalized healthcare system based on indoor-outdoor environment
KR102077692B1 (en) * 2019-07-15 2020-02-14 주식회사 오디텍 Light scattering based dust sensor
KR20200126470A (en) 2019-04-29 2020-11-09 주식회사 디에이피 Fine dust management system
KR20210004487A (en) 2019-07-04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capable of checking automatically ventaliation situ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28542A (en) * 2019-09-04 2021-03-12 케이웨더(주) Intelligent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04A (en)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포스코 Observation system for working field emitting fugitive dust using lidar
KR101518968B1 (en) * 2014-03-28 2015-05-11 (주)켄텍 Real time Measurement Device in the Exhaust gas of the Motor Vehicle on the Move
KR20160131507A (en) * 2015-05-07 2016-11-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ersonalized healthcare system based on indoor-outdoor environment
KR20200126470A (en) 2019-04-29 2020-11-09 주식회사 디에이피 Fine dust management system
KR20210004487A (en) 2019-07-04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capable of checking automatically ventaliation situ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77692B1 (en) * 2019-07-15 2020-02-14 주식회사 오디텍 Light scattering based dust sensor
KR20210028542A (en) * 2019-09-04 2021-03-12 케이웨더(주) Intelligent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056B1 (en)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ur et al. Fire sensing technologies: A review
Ahmad et al. Occupancy detection in non-residential buildings–A survey and novel privacy preserved occupancy monitoring solution
Contini et al. Analysis of particles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and fluxes in an urban area: Correlation with traffic rate and local micrometeorology
US9997046B2 (en) Visitor flow management
US20110063116A1 (en) Sensing network and method
US20230152652A1 (en) Identifying, reducing health risks, and tracking occupancy in a facility
Stachniss et al. Learning gas distribution models using sparse Gaussian process mixtures
JP5406006B2 (en) Number estimation device and number estimation method
Achour Simulating atmospheric free-space optical propagation: II. Haze, fog, and low clouds attenuations
JP2019534488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RU2415474C2 (en) Aircraft smoke signalling system
EP4128130A1 (en) Identifying, reducing health risks, and tracking occupancy in a facility
Azimi et al. Fit-for-purpose: Measuring occupancy to support commercial building operations: A review
US20210208002A1 (en) Scanning Motion Average Radiant Temperature Sensor Applications
Agarwal et al. Modelling of particulate matters distribution inside the multilevel urban classrooms in tropical climate for exposure assessment
KR102534056B1 (e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astogi et al. An IoT-based discrete time Markov chain model for analysis and prediction of indoor air quality index
Zeiger et al. Demonstration abstract: participatory sensing enabled environmental monitoring in smart cities
CN106790787A (en) A kind of method of digital product and Detection of Air Quality
KR101890190B1 (en) Care system for fine dust
KR20200064957A (en) Ventilation system for predicting indoor radon
Winkler et al. High-quality meets low-cost: Approaches for hybrid-mobility sensor networks
KR101793594B1 (en) Integrated safety system using air quality measurement
Fan et al. Enhancing situational awareness with adaptive firefighting drones: leveraging diverse media types and classifiers
WO2022221234A1 (en) Temperature and thermal comfort mapping of an enclosed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