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882A -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처리장치 및 영상데이터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처리장치 및 영상데이터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882A
KR20220159882A KR1020220037394A KR20220037394A KR20220159882A KR 20220159882 A KR20220159882 A KR 20220159882A KR 1020220037394 A KR1020220037394 A KR 1020220037394A KR 20220037394 A KR20220037394 A KR 20220037394A KR 20220159882 A KR20220159882 A KR 20220159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overdriving
driving
value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원
육지홍
윤사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CN202210574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410528A/zh
Priority to US17/824,573 priority patent/US20220383805A1/en
Priority to TW111119386A priority patent/TW202247133A/zh
Publication of KR2022015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되,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DBV(Display Brightness Value)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하는 영상데이터보상회로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처리장치 및 영상데이터처리방법{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의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구동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에는 다수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화소는 복수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화소는 예를 들어, R(Red)화소, G(Green)화소, B(Blue)화소일 수 있다.
각 서브화소의 휘도는 각 서브화소로 공급되는 구동전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전력의 크기는 각 서브화소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영상데이터구동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구동장치는 각 서브화소의 계조값에 따라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고 데이터전압을 각 서브화소로 공급하여 각 서브화소의 구동전력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로부터 각 서브화소의 계조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영상데이터에는 각 서브화소의 계조값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호스트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에 적합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영상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감마변환하고 디지털감마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영상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구동장치는 소스드라이버로 호칭되기도 한다. 그리고,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타이밍컨트롤러로 호칭되기도 한다.
한편,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최초의 영상데이터에는 각 서브화소의 목표 휘도에 대응되는 목표 계조값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 계조값으로 각 서브화소를 구동할 때, 각 서브화소의 실제 휘도는 목표 휘도와 달라질 수 있다. 각 서브화소에 대한 실제 휘도와 목표 휘도가 달라질 때, 디스플레이패널의 사용자들은 화질 저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패널에서 모션 블러(motion blur) 현상을 인식할 수 있고, 이미지 스티킹(image sticking) 현상을 인식할 수 있고, 프레임 드랍(frame drop) 현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되,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DBV(Display Brightness Value)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하는 영상데이터보상회로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되, 각 서브화소에 대한 구동변수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하는 영상데이터보상회로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변수의 값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변수의 값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에 적용시켜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드라이빙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데이터의 처리를 통해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화소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데이터전압과 구동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전압의 일 예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오버드라이빙에 따른 데이터전압과 구동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전압의 일 예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감마커브의 일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DBV에 따른 룩업테이블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DBV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가 조정되도록 저장된 룩업테이블의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룩업테이블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서브화소들과 데이터라인 및 구동전압라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110), 전력관리장치(120),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 게이트구동장치(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패널(110)에는 다수의 서브화소(SP)가 배치될 수 있고, 각 서브화소(SP)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110)에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화소(SP)는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고, 하나의 화소는 복수의 서브화소(SP)를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서브화소(SP)는 예를 들어, (Red)화소, G(Green)화소, B(Blue)화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10)은 자체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패널(110)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패널일 수 있고, 마이크로LED(Micro Light Emitting Diode)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110)의 각 서브화소(SP)에는 자체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체발광소자의 발광량에 따라 각 서브화소(SP)의 휘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체발광소자가 OLED인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가 이러한 예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영상데이터(IMG)를 처리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IMG)에는 각 서브화소(SP)의 계조값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이러한 계조값들을 디스플레이패널(110)에 적합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영상데이터(IMG)에 대해 디지털감마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사람은 저계조에 민감하고 고계조에 둔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영상데이터(IMG)에 대한 디지털감마변환을 통해 저계조의 계조해상도를 높이고 고계조의 계조해상도를 낮출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EMI(Electro-Magnetic Inteference)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영상데이터의 비트를 랜덤하게 섞는 인코딩처리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디스플레이패널(110)에서의 실제 휘도와 목표 휘도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영상데이터(IMG)를 보정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의 계조값을 더 높게 수정하거나 더 낮게 수정하여 실제 휘도가 목표 휘도와 같아지거나 유사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오버드라이빙 기법을 적용시켜 영상데이터(IMG)를 보정할 수 있다. 오버드라이빙 기법은 목표한 계조값보다 더 높은 계조값이나 더 낮은 계조값으로 구동하는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드라이빙 기법에 의하면, 일 서브화소(SP)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의 계조값보다 현재 프레임 계조값이 높은 경우, 현재 프레임 계조값보다 더 높은 계조값으로 일 서브화소(SP)를 구동할 수 있고, 이전 프레임의 계조값보다 현재 프레임 계조값이 낮은 경우, 현재 프레임 계조값보다 더 낮은 계조값으로 일 서브화소(SP)를 구동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전술한 예시와 같이 영상데이터(IMG)를 보정한 후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로 송신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는 영상데이터(IMG)를 수신하고 영상데이터(IMG)에 포함된 각 서브화소(SP)의 계조값에 따라 데이터전압(Vdt)을 생성하고 데이터전압(Vdt)을 각 서브화소(SP)로 공급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는 각 서브화소(SP)와 연결된 데이터라인(DL)을 통해 데이터전압(Vdt)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라인(DL)에는 다수의 서브화소들이 연결될 수 있는데,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에서 공급된 데이터전압(Vdt)은 스캔신호(SCN)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서브화소(SP)로만 공급될 수 있다. 스캔신호(SCN)는 게이트라인(GL)을 통해 게이트구동장치(150)에서 공급될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라인(DL)에 다수의 서브화소(SP)가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된 위치에 따라 각 서브화소(SP)의 구동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로부터 가까운 서브화소(SP)는 멀리 떨어진 서브화소(SP)보다 데이터라인(DL)에 형성되는 라인임피던스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각 서브화소(SP)는 데이터라인(DL)에 형성되는 라인임피던스에 따라 RC지연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로부터 가까운 서브화소(SP)는 상대적으로 RC지연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각 서브화소(SP)의 위치에 따른 구동특성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영상데이터(IMG)를 보정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각 서브화소(SP)가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로부터 멀어질 수록 오버드라이빙 값을 높게 조정하고 가까울 수록 오버드라이빙 값을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멀고 가까움은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로부터 각 서브화소(SP)로 연결되는 데이터라인(DL)의 배선 길이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각 서브화소(SP)에는 자체발광소자-예를 들어, OLED-가 배치될 수 있는데, 자체발광소자에 대한 구동전력은 전력관리장치(12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서브화소(SP)는 전력관리장치(12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구동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관리장치(120)로부터 가까운 서브화소(SP)는 멀리 떨어진 서브화소(SP)보다 구동전압라인(DVL)에 형성되는 라인임피던스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전력관리장치(120)는 구동전압라인(DVL)을 통해 각 서브화로(SP)로 구동전력을 공급하는데, 전력관리장치(120)로부터 각 서브화소(SP)까지의 구동전압라인(DVL)의 길이가 길수록 라인임피던스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다.
전력관리장치(120)는 구동전압라인(DVL)을 통해 구동전압(EVDD)을 공급할 수 있다. 각 서브화소(SP)에는 구동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는데, 구동전압(EVDD)은 구동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는 데이터전압(Vdt)을 구동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으로 공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전압(Vdt)에 따라 구동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전압이 결정되고, 게이트-소스전압 및 구동전압(EVDD)에 따라 구동트랜지스터로 흐르는 구동전류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라인(DL)에 형성되는 라인임피던스는 게이트-소스전압에 영향을 미치고, 구동전압라인(DVL)에 형성되는 라인임피던스는 드레인전극으로 공급되는 구동전압(EVDD)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각 서브화소(SP)의 위치에 따른 구동특성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영상데이터(IMG)를 보정하여 송신할 수 있다.
자체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서브화소의 구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서브화소의 회로 구성도를 좀더 살펴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화소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브화소(S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구동트랜지스터(DRT) 및 스위칭트랜지스터(SWT) 및 스토리지캐패시터(Cst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 유기층 및 캐소드전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어에 따라 애노드전극 측은 구동전압(EVDD)과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은 기저전압(EVSS)과 연결되면서 발광하게 된다.
구동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소스 노드 혹은 드레인 노드일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는 스위칭트랜지스터(SWT)의 소스 노드 혹은 드레인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게이트 노드일 수 있다.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는 구동전압(E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라인(DV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드레인 노드 혹은 소스 노드일 수 있다.
스위칭트랜지스터(SWT)는 데이터라인(DL)과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라인(GL)을 통해 스캔신호를 공급받아 턴온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트랜지스터(SWT)가 턴온되면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영상데이터구동장치(14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t)이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2노드(N2)로 전달되게 된다.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 존재하는 기생캐패시터일 수도 있고,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외부에 의도적으로 설계한 외부 캐패시터일 수 있다.
제2노드(N2)로 데이터전압(Vdt)이 공급되면, 제2노드(N2)와 제1노드(N1) 사이에 게이트-소스전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게이트-소스전압에 의해 구동트랜지스터(DRT)를 통과하는 구동전류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2노드(N2)와 제1노드(N1) 사이에는 스토리지캐패시터(Cstg)가 형성되기 때문에, 스캔신호의 공급이 중단되고, 스위칭트랜지스터(SWT)가 턴오프되더라도 게이트-소스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게이트-소스전압에 따라 구동전압라인(DVL)으로부터 OLED로 흐르는 구동전류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데이터라인(DL) 및 구동전압라인(DVL)에는 라인임피던스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라인(DL) 및 구동전압라인(DVL)에는 라인저항이 형성되고 라인캐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인저항 및 라인캐패시턴스는 데이터전압(Vdt) 및 구동전압(EVDD)의 RC지연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구동트랜지스터(DRT)의 제1노드(N1)와 제2노드(N2) 사이에는 스토리지캐패시터(Cstg)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구동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소스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또한, 데이터전압(Vdt)의 변동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캐패시터(Cstg)는 데이터라인(DL)의 라인임피던스와 함께 RC지연을 크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다.
RC지연을 일으키는 이러한 구동트랜지스터(DRT)의 특성을 히스테리시스 특성 혹은 응답 특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데이터라인(DL) 및 구동전압라인(DVL)의 라인임피던스, 그리고, 구동트랜지스터(DRT)의 히스테리시스 특성 혹은 응답 특성은 서브화소(SP)의 휘도가 목표 휘도와 달라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도 3은 데이터전압과 구동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전압의 일 예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전압(Vdt)이 공급되고 게이트-소스전압(Vgs)이 데이터전압(Vdt)을 따라올 때까지 일정한 시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지연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데이터라인 및 구동전압라인의 라인임피던스 때문일 수도 있고, 구동트랜지스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 혹은 응답 특성 때문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시지연이 발생하면, 프레임 시간 중 일부에서는 서브화소의 휘도가 목표 휘도(RGBt)에 미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 휘도와 목표 휘도(RGBt) 사이에서 일정한 차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구동장치는 각 서브화소를 오버드라이빙할 수 있다.
도 4는 오버드라이빙에 따른 데이터전압과 구동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전압의 일 예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데이터구동장치는 목표 휘도(RGBt)보다 높은 휘도에 대응되는 데이터전압(Vdt)을 서브화소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데이터전압(Vdt)에 시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시지연에 의한 휘도의 감소는 데이터전압(Vdt)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상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화소의 실제 휘도-예를 들어, 한 프레임 시간 동안의 평균 휘도-는 목표 휘도와 같아지거나 목표 휘도로부터 오차범위 이내로 근접할 수 있다.
한편, 실제 휘도와 목표 휘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오버드라이빙은 영상데이터구동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영상데이터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영상데이터구동장치는 각 서브화소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비교하고 두 계조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데이터전압(Vdt)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오버드라이빙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하는 영상데이터에 오버드라이빙을 적용시켜 계조값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오버드라이빙을 구현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비교하고 두 계조값의 차이에 대응하여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수정하고 수정된 계조값들을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영상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오버드라이빙이 과도해지면 오히려 화질이 더 나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오버드라이빙에 의해 서브화소의 휘도가 목표 휘도보다 더 높아지거나 더 낮아지는 과보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오버드라이빙의 과보상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변수의 값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변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DBV(Display Brightness Value)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에 오버드라이빙을 적용할 때, DBV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다.
DBV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감마 커브의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감마커브의 일 예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마커브(510)는 저계조 영역에서 계조해상도가 높게 형성되고 고계조 영역에서 계조해상도가 낮게 형성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마커브(510)의 저계조 영역에서는 1 계조값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휘도의 양이 적고, 고계조 영역에서는 1 계조값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휘도의 양이 클 수 있다.
사람은 저계조에 민감하고 고계조에 둔감할 수 있는데, 감마커브는 이러한 사람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DBV가 높은 경우 오버드라이빙을 덜 적용하고 DBV가 낮은 경우 오버드라이빙을 더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DBV가 높아 사람의 민감도가 낮아지는 경우에 오버드라이빙을 덜 적용함으로써 과보상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변수는 다른 예로서,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에 오버드라이빙을 적용할 때,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다.
도 6은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의 값에 따라 각 프레임(1F~)은 1/60초에 한번씩 리프레시될 수 있고, 1/120초에 한번씩 리프레시될 수 있고, 1/240초에 한번씩 리프레시될 수 있다.
사람의 눈은 잔상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전 프레임에서 화질 저하가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현재 프레임에서 화질 저하의 문제가 해소되었다면 그 문제를 심각하게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은 경우 오버드라이빙을 덜 적용하고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낮은 경우 오버드라이빙을 더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은 경우 오버드라이빙을 덜 적용함으로써 과보상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메모리(710),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 및 데이터송신회로(7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호스트-로부터 매프레임마다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수신된 영상데이터는 메모리(7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과정을 통해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외부 장치로부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메모리(710)로부터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메모리(710)에는 각 서브화소에 대한 구동변수의 값이 저장될 수 있다. 구동변수는 예를 들어, DBV일 수 있고,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호스트로부터 DBV를 수신할 수 있다. 호스트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혹은 동작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인식하여 혹은 주변 조도를 인식하여 DBV를 결정하고 DBV를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DBV는 0~100%의 값을 가질 수 있는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높이고 싶을 때, DBV를 높이고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낮추고 싶을 때, DBV를 낮출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이러한 DBV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한 후 메모리(710)에 저장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호스트로부터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의 값을 수신할 수 있다. 호스트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여 혹은 동작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인식하여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의 값을 결정하고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의 값을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의 값이 클수록 프레임 시간의 길이는 짧을 수 있고, 영상이 리프레시되는 주기는 짧을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DBV를 전력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관리장치는 DBV에 따라 각 서브화소에 대한 구동전압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관리장치는 DBV가 증가할 수록 구동전압의 전압 레벨을 높이고 DBV가 감소할 수록 구동전압의 전압 레벨을 낮출 수 있다.
구동전압의 전압 레벨이 증가하면 동일한 계조값-동일한 데이터전압-에 대해 각 서브화소의 휘도가 증가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전체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가 증가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에 따라 영상데이터의 송신속도-통신속도-를 높이고, 버티컬싱크신호 및/혹은 호리즌털싱크신호의 주기를 조절하여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710)에는 오버드라이빙을 위한 룩업테이블들이 저장될 수 있다. 구동변수에 따라 룩업테이블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고, 보간법 적용을 위해 복수의 룩업테이블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BV가 90%인 경우, 해당 값에 대응되는 룩업테이블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DBV가 95%인 경우, 90%에 대응되는 룩업테이블과 100%에 대응되는 룩업테이블이 선택된 후 보간법에 따라 두 룩업테이블의 중간값들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710)에는 글로벌변수로서의 조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710)에 저장되는 이러한 값들의 활용은 이하에서 좀더 설명한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별로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비교하여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일 서브화소의 이전 프레임 계조값이 100이고 현재 프레임 계조값이 200일 때,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220을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일 서브화소의 이전 프레임 계조값이 100이고 현재 프레임 계조값이 80일 때,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76을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오버드라이빙의 정도는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현재 프레임 계조값이 200인 예시에서,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은 1.2이고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은 20일 수 있고, 오버드라이빙 정도는 이러한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에 대한 구동변수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DBV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DBV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낮추거나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을 낮출 수 있다.
디스플레이패널의 각 서브화소에는 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고, 구동전압원-예, 전력관리장치-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DBV에 따라 구동전압원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압의 레벨이 조절될 수 있는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각 서브화소에 대하여 구동전압의 레벨이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낮추거나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을 낮출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의 위치에 따라 각 서브화소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와 영상데이터구동장치의 거리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와 영상데이터구동장치의 거리가 멀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높일 수 있고, 거리가 가까울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와 구동전압원의 거리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와 구동전압원의 거리가 멀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높일 수 있고, 거리가 가까울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의 위치에 따라 추가적으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에 대한 구동변수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이렇게 생성된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에 대해 각 서브화소의 위치에 따라 추가적으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서,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구동변수에 따라 이전 프레임 계조값 100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 200을 비교하여 오버드라이빙 계조값 22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각 서브화소의 위치에 따라 추가적으로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조절하거나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을 조절하여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수정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는 거리에 따른 보정에서 글로벌변수로서의 조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글로벌변수는 구동변수에 무관하게 거리에 따라서만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조정값은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에 곱해지는 값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720)에 의해 보상처리된 영상데이터는 데이터송신회로(730)에 의해 영상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와 영상데이터구동장치가 메모리(710)를 공유하는 경우, 영상데이터처리장치(130)는 데이터송신회로(730)를 미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DBV에 따른 룩업테이블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모리에는 DBV별로 룩업테이블(810, 820, 830)이 저장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DBV에 따라 룩업테이블(810, 820, 830) 중 하나의 룩업테이블을 선택하고, 선택된 룩업테이블(810, 820, 830)에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대입하여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V가 100%인 경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메모리에 저장된 룩업테이블들(810, 820, 830) 중 제1룩업테이블(81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각 서브화소별로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제1룩업테이블(810)에 대입하여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전 프레임 계조값이 100이고, 현재 프레임 계조값이 200인 경우,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은 220이 될 수 있다.
룩업테이블들에 저장되는 값들은 구동변수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값들일 수 있다.
도 9는 DBV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가 조정되도록 저장된 룩업테이블의 예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룩업테이블(810)은 DBV가 100%인 경우의 룩업테이블이고, 제2룩업테이블(820)은 DBV가 90%인 경우의 룩업테이블이고, 제3룩업테이블(820)은 DBV가 80%인 경우의 룩업테이블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DBV에 따라 룩업테이블을 선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DBV가 100%인 경우, 제1룩업테이블(810)을 선택하고, DBV가 90%인 경우, 제2룩업테이블(820)을 선택하고, DBV가 80%인 경우, 제3룩업테이블(830)을 선택할 수 있다.
각 룩업테이블들의 값을 확인하면, DBV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이 낮아지고, DBV가 낮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이러한 룩업테이블들을 이용하여 DBV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구동변수가 DBV인 예시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구동변수가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인 경우에도 같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별로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추고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낮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미리 결정된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에 따라 룩업테이블들 중 선택된 하나의 룩업테이블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보간법을 이용하여 룩업테이블들 중 선택된 두 개의 룩업테이블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룩업테이블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룩업테이블들(1010, 1020, 1030)에는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이 아닌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이 저장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구동변수에 따라 룩업테이블들(1010, 1020, 1030) 중 하나의 룩업테이블을 선택하고, 선택된 룩업테이블들(1010, 1020, 1030)에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대입하여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현재 프레임 계조값(예, 200)과 이전 프레임 계조값(예, 100)의 차이값(예, 100)에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곱해서 생성된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예, 120)을 현재 프레임 계조값(예, 200)에 더해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룩업테이블들에는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이 저장될 수도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구동변수에 따라 룩업테이블들 중 하나의 룩업테이블을 선택하고, 선택된 룩업테이블들에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대입하여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현재 프레임 계조값에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을 더해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각 서브화소별로 생성된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모두 포함시켜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각 서브화소의 위치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추가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글로벌변수로서 조정값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서브화소들과 데이터라인 및 구동전압라인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데이터라인(DL)에 다수의 서브화소들(SP)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구동전압라인(DVL)에 다수의 서브화소들(SP)이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라인(DL)과 구동전압라인(DVL)의 라인임피던스로 인해 각 서브화소들(SP)이 처하는 구동환경이 다를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이러한 구동환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추가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영상데이터구동장치와 서브화소(SP)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서브화소(SP)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고, 거리가 멀 수록 서브화소(SP)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거리가 가까운 경우 구동변수에 따라 계산된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낮출 수 있고, 거리가 먼 경우 구동변수에 따라 계산된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높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전력관리장치와 서브화소(SP)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서브화소(SP)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출 수 있고, 거리가 멀 수록 서브화소(SP)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거리가 가까운 경우 구동변수에 따라 계산된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낮출 수 있고, 거리가 먼 경우 구동변수에 따라 계산된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높일 수 있다.
영상데이터구동장치와 전력관리장치가 비슷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둘 중 하나와 서브화소(SP)의 거리 관계만 고려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각 거리별로 조정값을 메모리에 글로벌변수로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구동변수와 무관하게 각 서브화소(SP)의 거리만 고려하여 조정값을 선택하고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옵셋값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00).
그리고,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1202).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현재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고, 이전 프레임에서 메모리에 저장한 영상데이터를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변수의 값을 확인하고 구동변수의 값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할 수 있다(S1204).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각 서브화소의 종류별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들 중에서 사용할 하나의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거나 보간법에 따라 둘 이상의 룩업테이블을 조합하여 하나의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할 수 있다.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이 결정될 때, 동일한 계조값에 대하여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값이 낮은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이 결정될 수 있다.
혹은,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이 결정될 때, 동일한 계조값에 대하여 구동전압의 레벨이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값이 낮은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에 적용시켜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값을 결정할 수 있다(S1206). 오버드라이빙 값은 예를 들어,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일 수 있고,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일 수 있다.
오버드라이빙 값이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인 경우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각 서브화소에 대하여 현재 프레임 계조값과 이전 프레임 계조값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그 차이값에 오버드라이빙 게인값을 곱한 후 현재 프레임 계조값에 더해 오버드라이빙 계조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각 서브화소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계조값들을 모두 포함하는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10).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각 서브화소의 위치별로 결정되는 조정값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값을 조정(S1208)한 후에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10).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각 서브화소의 위치별 조정값을 오버드라이빙 값에 곱해 보정된 오버드라이빙 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처리장치는 보정된 오버드라이빙 값으로 서브화소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계조값들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데이터의 처리를 통해 화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되,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DBV(Display Brightness Value)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하는 영상데이터보상회로
    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각 서브화소에는 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구동전압원으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DBV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원에서 출력되는 구동전압의 레벨이 조절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상기 구동전압의 레벨이 높을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추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각 서브화소에 대하여 이전 프레임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 계조값을 비교하여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을 계산하여 상기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구동전압의 레벨이 높을수록 상기 오버드라이빙 게인값 혹은 상기 오버드라이빙 옵셋값을 낮추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5.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되, 각 서브화소에 대한 구동변수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조정하는 영상데이터보상회로
    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자체발광소자들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는 영상데이터구동장치로 상기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회로를 더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각 서브화소에는 상기 자체발광소자로 공급되는 구동전력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트랜지스터가 배치되고, 상기 영상데이터구동장치에서 상기 구동트랜지스터로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상기 구동전력의 양이 조절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구동전압원으로부터 상기 구동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DBV(Display Brightness Value)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의 레벨이 조절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상기 구동전압의 레벨이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추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구동전압원으로부터 상기 구동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상기 구동전압원과 서브화소의 거리에 따라 해당 서브화소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추가적으로 조정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상기 구동전압원과 서브화소의 거리가 가까울 수록 해당 서브화소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추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오버드라이빙 정도를 낮추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별로 룩업테이블들을 저장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보상회로는 미리 결정된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에 따라 상기 룩업테이블들 중 선택된 하나의 룩업테이블에 따라 상기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보간법을 이용하여 상기 룩업테이블들 중 선택된 두 개의 룩업테이블에 따라 상기 오버드라이빙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데이터처리장치.
  13.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변수의 값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변수의 값에 따라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 영상데이터와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에 적용시켜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빙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드라이빙 값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은 각 서브화소의 종류별로 결정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보상하는 단계 이전에,
    각 서브화소의 위치별로 결정되는 조정값에 따라 상기 오버드라이빙 값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각 서브화소에 자체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는 영상데이터구동장치로 상기 오버드라이빙 값이 적용된 영상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각 서브화소에는 상기 자체발광소자로 공급되는 구동전력의 양을 조절하는 구동트랜지스터가 배치되고, 상기 영상데이터구동장치에서 상기 구동트랜지스터로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에 따라 상기 구동전력의 양이 조절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구동전압원으로부터 상기 구동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밝기를 조절하는 DBV(Display Brightness Value)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의 레벨이 조절되며,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계조값에 대하여 상기 구동전압의 레벨이 높을 수록 상기 오버드라이빙 값이 낮은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이 결정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계조값에 대하여 프레임리프레시레이트가 높을 수록 상기 오버드라이빙 값이 낮은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이 결정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룩업테이블들 중에서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거나 보간법에 따라 둘 이상의 룩업테이블들을 조합하여 상기 오버드라이빙 룩업테이블을 결정하는 영상데이터처리방법.
KR1020220037394A 2021-05-26 2022-03-25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처리장치 및 영상데이터처리방법 KR20220159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574987.2A CN115410528A (zh) 2021-05-26 2022-05-24 图像数据处理设备和图像数据处理方法
US17/824,573 US20220383805A1 (en) 2021-05-26 2022-05-25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TW111119386A TW202247133A (zh) 2021-05-26 2022-05-25 圖像資料處理設備和圖像資料處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07 2021-05-26
KR20210067707 2021-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82A true KR20220159882A (ko) 2022-12-05

Family

ID=8439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94A KR20220159882A (ko) 2021-05-26 2022-03-25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처리장치 및 영상데이터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8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178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850994B1 (ko) 표시 장치의 휘도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439333B1 (ko)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용 휘도 보정 시스템
KR20170051630A (ko) 휘도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332592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KR2014005828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50067904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60125555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40116690A (ko) 표시장치, 표시장치를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7775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83297B1 (ko) 표시장치와 그 휘도 제어 방법
KR2011006932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70072994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250315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139933A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07154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20200115766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418571B1 (ko) 감마 보정 회로 및 그 구동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210085232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147419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감마 설정 방법
KR20150043695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20010650A (ko) 영상 데이터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159882A (ko)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처리장치 및 영상데이터처리방법
KR20200085394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220383805A1 (en)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