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385A - NTN에서의 NBIoT NPDCCH 모니터링 최적화 - Google Patents

NTN에서의 NBIoT NPDCCH 모니터링 최적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385A
KR20220159385A KR1020227033641A KR20227033641A KR20220159385A KR 20220159385 A KR20220159385 A KR 20220159385A KR 1020227033641 A KR1020227033641 A KR 1020227033641A KR 20227033641 A KR20227033641 A KR 20227033641A KR 20220159385 A KR20220159385 A KR 2022015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lot
subframe
control signal
offset
npdc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 옌
훙메이 류
위안타오 장
잉잉 리
하이밍 왕
Original Assignee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노보(베이징)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3Transmission in a satellite or space-based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NBIoT에서 N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시작 시간 슬롯으로부터 종료 시간 슬롯까지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시작 시간 슬롯은,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뒤의 갭 기간이고, 종료 시간 슬롯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보다 앞선 시간 기간이다.

Description

NTN에서의 NBIoT NPDCCH 모니터링 최적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청구 대상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비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NTN)에서의 NBIoT NPDCCH 모니터링 최적화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약어들이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고, 이들 중 적어도 일부가 다음의 설명 내에서 언급된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뉴 라디오(New Radio)(NR), 유럽 전기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ETSI),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DMA),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뉴 라디오(New Radio)(NR), 초고밀도 집적 회로(Very Large Scale Integration)(VLSI),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CD-ROM),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WAN),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업링크(Uplink)(UL),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 B)(eNB), 차세대 노드 B(Next Generation Node B)(gNB), 다운링크(Downlink)(DL),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GPU),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동적 RAM(Dynamic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ynchronous Dynamic RAM)(SDRAM), 정적 RAM(Static RAM)(SRAM),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유기 LED(Organic LED)(OLED),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라디오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Division Duplex)(TDD), 시간 분할 멀티플렉스(Time Division Multiplex)(TDM), 사용자 엔티티/장비(User Entity/Equipment)(모바일 단말기)(UE), 업링크(Uplink)(UL), 범용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PUS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 단일 DCI(single DCI)(S-DCI),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TRP), 다중 TRP(multiple TRP)(multi-TRP 또는 M-TRP), 주파수 범위 2(frequency range 2)(FR2), 준 공동 위치(Quasi Co-Location)(QC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CSI-RS), CSI-RS 리소스 표시자(CSI-RS Resource Indicator)(CRI),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ode Division Multiplexing)(CDM), 송신 구성 표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TCI),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SRS), 제어 리소스 세트(Control Resource Set)(CORESET), 동기화 신호(Synchronization Signal)(SS),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RS), 비지상 네트워크들(non-terrestrial networks)(NTN), 지상 네트워크(terrestrial network)(TN), 전송 블록(Transport Block)(TB), 사물 인터넷(Internet-of-Things)(IoT),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of-Things)(NB-IoT 또는 NBIoT), NBIoT PUSCH(NPUSCH), NBIoT PDCSH(NPDSCH), NBIoT PDCCH(NPDCCH), 머신-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MTC), MTC PDCCH(MPDCCH), 수신기-송신기 거리(receiver and transmitter distance)(RTD),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정지 위성 궤도(Geostationary Earth Orbit)(GEO), 저궤도(Low Earth orbit)(LEO).
NBIoT의 경우, DCI 포맷 N0(이하 DCI N0이라고 지칭됨)이 NPUSCH 포맷 1 업링크 송신을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NBIoT UE가 시간 슬롯 n(이하, 시간 슬롯이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칭된다)에서 NPDCCH 상에서 DCI N0을 수신할 때, 그것은 서브프레임 n + k에서 NPUSCH 포맷 1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최대 HARQ 프로세스 수(maximum HARQ process number)가 2와 동일할 때, NBIoT UE는 제1 DCI N0을 수신한 후에 제2 DCI N0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IoT UE가 서브프레임 n에서 종료되는 DCI N0(예를 들어, 제1 DCI N0)을 갖는 NPDCCH를 검출하는 경우, 그리고 대응 NPUSCH 포맷 1 송신이 n+k로부터 시작되는 경우, UE는 제2 DCI N0에 대해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n+k-3까지의 서브프레임들에서 (제2 DCI N0에 대한) N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되고, 서브프레임 n+k-2로부터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n+k-1까지의 서브프레임들에서 N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최대 HARQ 프로세스 수가 2이므로, UE는 다음 DCI N0(즉, 제2 DCI N0)에 대해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k-3까지 NPDCCH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NPUSCH 송신 이전에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n+k-2 및 서브프레임 n+k-1)이 있어야 하므로, UE는 이들 2개의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n+k-2 및 서브프레임 n+k-1)에서 N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것이다.
NTN에서의 긴 수신기-송신기 거리(RTD)는 NR(New Radio)의 타이밍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오프셋 K offset 이 도입되어 관련 타이밍 관계들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스케줄링된 PUSCH(PUSCH 상의 CSI를 포함함)의 송신 타이밍의 경우, PUSCH에 대해 할당된 슬롯이
Figure pct00001
이 되도록 수정될 수 있다. RAR 그랜트 스케줄링된 PUSCH의 송신 타이밍의 경우, UE는 슬롯 n에서의 대응 DCI에 대한 슬롯
Figure pct00002
에서 PUSCH를 송신한다. K 2 는, DCI에 표시된 스케줄링 딜레이이고, μ PUSCH μ PDCCH 는, PUSCH 및 PDCCH와 관련된 서브캐리어 공간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들이다. 예를 들어, PUSCH의 서브캐리어 공간이 15KHz인 경우, μ PUSCH 는 1과 동일한 한편, PDCCH의 서브캐리어 공간이 30KHz인 경우, μ PDCCH 는 2와 동일하다.
NTN에서의 NBIoT의 경우, 타이밍 오프셋 K offset 을 도입하고 그것을 적용하여 타이밍 관계들을 수정하는 것은 간단하다(NR NTN과 유사함).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IoT 레거시에서 DCI 스케줄링된 NPUSCH의 송신 타이밍의 경우, UE는 서브프레임 n + k 0 (즉, k = k 0 )으로부터 NPUSCH를 송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I(즉, DCI N0)와 대응 NPUSCH(즉, NPUSCH 포맷 1) 사이의 스케줄링 딜레이(k 0 )가 DCI N0에 의해 표시된다. 특히, 스케줄링 딜레이(k 0 )는,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신호의 미리 구성된 최대 송신 반복들(R max ), 즉, DCI N0을 반송하는 NPDCCH의 최대 반복 횟수와 스케줄링 딜레이 인덱스(IDelay)에 좌우된다. 스케줄링 딜레이 인덱스(IDelay)는 DCI N0에 포함된다. 제어 신호의 최대 송신 반복들(R max )은 상위 계층에 의해 미리 구성된다.
Figure pct00003
다른 한편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N에서의 NBIoT에서 DCI 스케줄링된 NPUSCH의 송신 타이밍의 경우, UE는 서브프레임 n + k 0 + K offset (즉, k = k 0 + K offset )으로부터 NPUSCH를 송신할 수도 있다. k 0 은, DCI N0에 의해 결정(또는 표시)된다. K offset 은 UE와 eNB로부터의 왕복 거리(round trip distance)와 관련된다. K offset 은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서 구성될 수 있다. UE가 그의 위치 정보 및 지구 궤도 및 궤도력(ephemeris) 정보를 갖는 경우, UE는 스스로 eNB와 UE로부터의 왕복 딜레이를 계산할 수 있다. 지구 궤도 및 궤도력 정보는, 위성이 있는 포지션을 표시한다. 다시 말해, K offset 은 UE 자체에 의해 대안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K offset 의 값은 위성들의 타입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NB가 LEO 상에 있는 경우, K offset 은 수십 밀리초일 수 있는 한편, eNB가 GEO 상에 있는 경우, K offset 은 수백 밀리초일 수 있다.
NBIoT에서 업링크 송신(NPUSCH 포맷 1 송신)을 위한 최대 HARQ 프로세스 수가 2로 구성되는 조건에서, DCI와 대응 NPUSCH 사이의 스케줄링 딜레이가 k 0 + K offset 으로 연장될 때, UE는 뒤이은 UE 특정 검색 공간, 즉,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NPUSCH 송신 이전의 마지막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딜레이 기간에서 다음 DCI에 대해 NPDCCH를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다. 그러나, NTN에서의 긴 RTD로 인해, 딜레이 k 0 + K offset 이 상당히 길 것이다. 그에 따라, UE 특정 검색 공간에서 다음 DCI를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NTN에서 NBIoT 상의 UE 특정 검색 공간에 대한 전력 절감을 목표로 한다.
NBIoT에서 N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방법은,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시작 시간 슬롯으로부터 종료 시간 슬롯까지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시작 시간 슬롯은,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뒤의 갭 기간이고, 종료 시간 슬롯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보다 앞선 시간 기간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갭 기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의해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갭 기간은 UE 위치 정보, 및 대응 위성 궤도 및 궤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갭 기간 동안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스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갭 기간의 제1 시간 슬롯은,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다음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종료 시간 슬롯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 사이의 시간 기간은 2개의 시간 슬롯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은,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및 시작 시간 슬롯으로부터 종료 시간 슬롯까지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여기서 시작 시간 슬롯은,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뒤의 갭 기간이고, 종료 시간 슬롯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보다 앞선 시간 기간이다.
상기에 간략히 설명된 실시예들의 더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들 도면들은 단지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그에 따라 범주의 제한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하여,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의 사용을 통해 부가적인 구체화 및 상세화로 설명 및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레거시 NPDCCH 검색 공간(legacy NPDCCH search space)을 예시한다.
도 2는 레거시 NPDCCH 검색 공간을 예시한다.
도 3은 업데이트된 레거시 NPDCCH 검색 공간을 예시한다.
도 4는 업데이트된 레거시 NPDCCH 검색 공간에서의 NPDCCH의 모니터링을 예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NPDCCH의 모니터링을 예시한다.
도 6은 NPDCCH 모니터링 윈도우가 갭 기간의 종료부에 포지셔닝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도 7은 NPDCCH 모니터링 윈도우가 갭 기간의 시작부에 포지셔닝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도 8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특정 양태들이 시스템, 장치, 방법, 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전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 또는 본 명세서에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이라고 모두가 일반적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태들을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실시예들은 머신 판독가능 코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 - 이하 "코드"라고 지칭됨 - 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로 구체화되는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유형(tangible), 비일시적, 그리고/또는 비송신일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신호들을 구체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들은 코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들만을 단지 채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 기능 유닛들은 이들의 독립적인 구현을 더 구체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모듈들"로서 레이블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커스텀 초고밀도 집적 회로(VLSI) 회로들 또는 게이트 어레이들, 기성품 반도체들 예컨대 로직 칩들,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른 이산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듈은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프로그래밍가능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디바이스들로 또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듈들은 또한 다양한 타입들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해 코드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코드의 식별된 모듈은, 예를 들어, 객체, 프로시저, 또는 함수로서 조직화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실행가능 코드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된 모듈의 실행가능물(executable)들이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될 필요는 없지만, 논리적으로 함께 결합될 때, 모듈을 포함하고 모듈에 대해 명시된 목적을 달성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저장된 이종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로, 코드의 모듈은 단일 명령어, 또는 많은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간에, 그리고 수 개의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가로질러 심지어 배포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동작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모듈들 내에 식별 및 예시될 수도 있고,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구체화되고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데이터 구조체 내에서 조직화될 수도 있다. 이 동작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될 수도 있거나, 또는 상이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를 포함하여 상이한 위치들에 걸쳐 배포될 수도 있다. 모듈 또는 모듈의 부분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부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홀로그래픽(holographic), 마이크로기계(micromechanical),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저장 디바이스의 더 구체적인 예들의 비포괄적인 리스트는, 다음의 것: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 커넥션,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본 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이들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임의의 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고, 파이썬(Python), 루비(Ruby), 자바(Java), 스몰토크(Smalltalk), C++,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 "C"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종래의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들, 및/또는 어셈블리 언어들과 같은 기계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도 있다. 코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그리고 원격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서 전체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맨 마지막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될 수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하나의 실시예(one embodiment)", "일 실시예(an embodiment)", 또는 유사한 언어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피처(feature), 구조체,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어구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서", 및 유사한 언어의 출현들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명확히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이지만 모두는 아닌 실시예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용어들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having)", 및 이들의 변형들은, 달리 명확히 특정되지 않는 한,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아이템들의 열거된 리스팅은, 달리 명백히 특정되지 않는 한, 아이템들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전부가 상호 배타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용어들 "a", "an", 및 "the"는 달리 명확히 특정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또한 지칭한다.
게다가,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된 피처들, 구조체들, 또는 특성들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모듈들, 사용자 선택들, 네트워크 트랜잭션들, 데이터베이스 쿼리들, 데이터베이스 구조체들, 하드웨어 모듈들, 하드웨어 회로들, 하드웨어 칩들 등의 예들과 같은 수많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제공되어,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특정 세부사항 없이, 또는 다른 방법들, 컴포넌트들, 재료들 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져 있는 구조체들, 재료들, 또는 동작들은 일 실시예의 양태들의 임의의 모호한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 또는 설명되지 않는다.
상이한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 장치들, 시스템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들의 각각의 블록, 및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들에서의 블록들의 조합들이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코드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블록 또는 블록들에 대한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들에 특정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도록 하는 머신을 생성할 수도 있다.
코드는,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저장 디바이스에 또한 저장될 수도 있어서,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들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 특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을 생성하도록 한다.
코드는 또한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되게 하여,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장치 상에서 실행된 코드가 흐름도 및/또는 블록 다이어그램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 특정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제공하도록 하는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면들에서의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가능한 구현들의 아키텍처, 기능성, 및 동작을 예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들에서의 각각의 블록은, 특정된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코드의 모듈,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블록에서 언급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에 또한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거나, 또는 블록들은 때때로, 관련된 기능성에 따라,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예시된 도면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블록 또는 그의 부분들에 대한 기능, 로직, 또는 효과가 동등한 다른 단계들 및 방법들이 고려될 수도 있다.
다양한 화살표 타입들 및 라인 타입들이 흐름도 및/또는 블록 다이어그램들에 채용될 수도 있지만, 이들은 대응 실시예들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제로, 일부 화살표들 또는 다른 커넥터들은 도시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만을 단지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살표는 도시된 실시예의 열거된 단계들 사이의 특정되지 않은 지속기간의 대기 또는 모니터링 기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흐름도 다이어그램들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 다이어그램들 및/또는 흐름도 다이어그램들에서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특정된 기능들 또는 작용들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들,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와 코드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주목할 것이다.
각각의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설명은 진행되는 도면들의 요소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동일한 숫자들은, 동일한 요소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포함하여, 모든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배경기술 부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 특정 검색 공간에서 다음 DCI를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4는 딜레이 기간이 k 0 + K offset 으로 연장될 때의 NPDCCH의 모니터링을 예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시간 슬롯 n(이하, 시간 슬롯은 서브프레임이라고 지칭된다)에서 종료되는 제1 DCI N0을 수신한 후에, 서브프레임 n + k 0 + K offset (즉, k = k 0 + K offset )으로부터 시작하는 대응 NPUSCH 포맷 1 송신을 시작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UE는 다음 DCI N0(제2 DCI N0)에 대해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 + k 0 + K offset -3까지 NPDCCH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UE는 서브프레임 n + k 0 + K offset -2 및 서브프레임 n + k 0 + K offset -1에서 N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데, 이는 이들 2개의 프레임이 NPUSCH 송신으로 스위칭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k 0 은 DCI N0에 의해 결정된다. K offset 은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의해, 예를 들어, SIB 또는 RRC 시그널링에서 구성된다. K offset 은, UE가 그의 포지션 정보, 및 지구 궤도 및 궤도력 정보를 가질 때 UE에 의해 대안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지구 궤도 및 궤도력 정보는, 위성이 있는 포지션을 표시한다.
NTN에서의 긴 RTD로 인해, 오프셋 K offset 이 상당히 길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 + k 0 + K offset -3까지의 전체 기간 동안 제2 DCI N0에 대해 N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전력 낭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NPDCCH의 모니터링을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서브프레임 n에서 종료되는 제1 DCI N0을 수신한다. 그 후에, UE는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의 NPDCCH 모니터링을 스킵한다. UE는 서브프레임 n+K offset +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3까지 제2 DCI N0에 대해 NPDCCH를 모니터링한다. UE는 NPUSCH 송신으로의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마지막 2개의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2 및 서브프레임 n + K offset + k 0 -1에 대해 N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UE는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으로부터 제1 DCI N0에 의해 표시된 NPUSCH 포맷 1 송신을 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B-IoT UE가 서브프레임 n에서 종료되는 DCI 포맷 N0을 갖는 NPDCCH를 검출하는 경우, 그리고 대응 NPUSCH 포맷 1 송신이 n+k(즉, n + K offset + k 0 )로부터 시작되는 경우, UE는 갭 기간 동안에도, 즉,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의 서브프레임들에서도 또는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 기간 동안에도, 즉,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2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1까지도 N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갭 기간의 제1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1은, DCI 포맷 N0을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 바로 뒤(즉, 다음)에 있다.
다른 관점에서, NB-IoT UE가 서브프레임 n에서 종료되는 DCI 포맷 N0을 갖는 NPDCCH를 검출하는 경우, 그리고 대응 NPUSCH 포맷 1 송신이 서브프레임 n+k(즉, n + K offset + k 0 )로부터 시작되는 경우, UE는 시작 서브프레임 n+K offset +1로부터 종료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3까지 N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한다.
시작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K offset +1은, 갭 기간(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만큼, DCI 포맷 N0을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 뒤에 있다. 다시 말해, 갭 기간(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은, DCI 포맷 N0을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과 시작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K offset +1 사이에 있다.
종료 서브프레임, 즉,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3은, NPUSCH 포맷 1 송신을 위한 제1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보다 2개의 서브프레임 앞서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2 및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1)은, 종료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3)과 NPUSCH 포맷 1 송신을 위한 제1 서브프레임(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 사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의 최대 HARQ 프로세스 수를 갖는 NTN에서의 NBIoT의 경우, 제1 DCI N0의 수신 이후에, UE는 갭 기간 이후에, 예를 들어, K offset 개의 서브프레임 이후에 제2 DCI N0에 대해 NPDCCH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할 것이다.
갭 기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의해, 예를 들어, SIB 또는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갭 기간은 수십 밀리초 내지 수백 밀리초의 범위에 있다. 예를 들어, eNB가 LEO 상에 있는 경우, 갭 기간은 수십 밀리초일 수도 있는 한편, eNB가 GEO 상에 있는 경우, 갭 기간은 수백 밀리초일 수도 있다. 갭 기간은 UE가 그의 위치 정보, 및 지구 궤도 및 궤도력 정보를 갖는 경우 UE에 의해 대안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NPDCCH 검색 공간은 주기적이다. NPDCCH 검색 공간(즉, NPDCCH 기간)의 길이는 T=G·R max 로서 표시될 수도 있고, 여기서 G는 상위 계층에 의해 결정되고, R max 는 NPDCCH 반복의 최대 횟수이다. 갭 기간은 NPDCCH 기간의 단위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갭 기간은 10개의 NPDCCH 기간(즉, 10T = 10G·R max )일 수도 있다.
도 4와 도 5 사이의 비교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5)에 따르면 UE가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 다음 DCI N0에 대해 NPDCCH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한편, 도 4에 도시된 선행 기술에 따르면 UE가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 NPDCCH를 모니터링해야 함을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 모니터링을 위한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n+K offset +1로부터 서브프레임 n+K offset +k 0 -3까지의, NPDCCH 모니터링 윈도우는, 갭 기간의 시작부 또는 중간에 있기보다는 오히려, DCI N0을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서브프레임과 대응 NPUSCH 송신(특히, NPUSCH 송신보다 2개의 서브프레임(스위칭을 위해 사용됨) 앞서 있음) 사이의 갭 기간의 종료부에 포지셔닝된다. NPDCCH 모니터링 윈도우의 포지션은, 특히 최대 HARQ 프로세스 수가 2와 동일할 때, 스케줄링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선정된다.
도 6은 NPDCCH 모니터링 윈도우가 갭 기간의 종료부에 포지셔닝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도 7은 NPDCCH 모니터링 윈도우가 갭 기간의 시작부에(예를 들어, DCI에 뒤이어) 포지셔닝되는 다른 상황을 예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DCI는 제1 DCI와 대응 제1 NPUSCH 사이의 갭 기간의 종료부에서 모니터링되고; 제3 DCI는 제2 DCI와 대응 제2 NPUSCH 사이의 갭 기간의 종료부에서 모니터링된다. 스케줄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은 제한된(2개의) HARQ 프로세스 수에 의해 차단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NB-IoT UE가 서브프레임 n에서 종료되는 DCI 포맷 N0을 갖는 NPDCCH를 검출하는 경우, 그리고 대응 NPUSCH 포맷 1 송신이 서브프레임 n+k에서 시작되는 경우, UE는 서브프레임 n+1로부터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n+K offset 까지의 그리고 서브프레임 n+k-2로부터 시작하여 서브프레임 n+k-1(k=K offset + k 0 으로 가정함)까지의 서브프레임들에서 NPDCCH 후보를 모니터링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방법(8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흐름도 다이어그램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800)은 원격 유닛과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800)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프로세싱 유닛, FPGA,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방법(800)은,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810); 및 시작 시간 슬롯으로부터 종료 시간 슬롯까지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820)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시작 시간 슬롯은,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뒤의 갭 기간이고, 종료 시간 슬롯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보다 앞선 시간 기간이다.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UE(즉, 원격 유닛)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도 8에서 제안된 기능, 프로세스,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eNB(즉, 베이스 유닛)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라디오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이 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들은 프로세서들과 연결되어, 프로세서들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피스(piece)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트랜시버들은 프로세서들과 연결되어 라디오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말할 것도 없이, 트랜시버는,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들은 프로세서들의 내측 또는 외측에 포지셔닝되고, 다양한 잘 알려진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 실시예들의 컴포넌트들 및 피처들은 미리 결정된 형태로 조합된다. 각각의 컴포넌트 또는 피처는 달리 명확히 명시되지 않는 한 옵션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각각의 컴포넌트 또는 피처는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피처들과 연관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실시예는 일부 컴포넌트들 및/또는 피처들을 연관시킴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임의의 실시예의 일부 컴포넌트들 또는 피처들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 대응하는 컴포넌트 및 피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청구항들에서 명확히 인용되지 않은 청구항들이 조합되어 일 실시예를 형성하거나 또는 새로운 청구항에 포함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따른,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DSPD),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PLD),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다른 특정 형태들로 실시될 수도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범주는 전술한 설명보다는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된다. 청구범위의 등가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이 이들의 범주 내에 포괄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방법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시작 시간 슬롯으로부터 종료 시간 슬롯까지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작 시간 슬롯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뒤의 갭 기간이고, 상기 종료 시간 슬롯은,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보다 앞선 시간 기간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 기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 기간은 UE 위치 정보, 및 대응 위성 궤도 및 궤도력(ephemeri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 기간 동안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스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갭 기간의 제1 시간 슬롯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다음에 있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간 슬롯과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 사이의 시간 기간은 2개의 시간 슬롯인, 방법.
  6. 원격 유닛으로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시작 시간 슬롯으로부터 종료 시간 슬롯까지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시작 시간 슬롯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뒤의 갭 기간이고, 상기 종료 시간 슬롯은,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보다 앞선 시간 기간인, 원격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갭 기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원격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갭 기간은 UE 위치 정보, 및 대응 위성 궤도 및 궤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원격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갭 기간 동안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스킵하고, 상기 갭 기간의 제1 시간 슬롯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지막 시간 슬롯 다음에 있는, 원격 유닛.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간 슬롯과 상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1 시간 슬롯 사이의 시간 기간은 2개의 시간 슬롯인, 원격 유닛.
KR1020227033641A 2020-03-27 2020-03-27 NTN에서의 NBIoT NPDCCH 모니터링 최적화 KR202201593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81670 WO2021189422A1 (en) 2020-03-27 2020-03-27 Nbiot npdcch monitoring optimization in nt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385A true KR20220159385A (ko) 2022-12-02

Family

ID=7788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641A KR20220159385A (ko) 2020-03-27 2020-03-27 NTN에서의 NBIoT NPDCCH 모니터링 최적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39038A1 (ko)
EP (1) EP4128896A4 (ko)
KR (1) KR20220159385A (ko)
CN (1) CN115191132A (ko)
BR (1) BR112022019462A2 (ko)
WO (2) WO2021189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44502A4 (en) * 2021-12-22 2024-05-29 Zte Corp MULTI-CELL TRANSMISSION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805A1 (en) * 2017-03-24 2018-09-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ing indica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for mtc devices
US10993216B2 (en) * 2018-04-06 2021-04-27 Intel Corporation Flexible slot format indication (SFI) monitoring for new radio unlicensed communications
CN110831027B (zh) * 2018-08-10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监听物理下行控制信道的方法和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8896A1 (en) 2023-02-08
WO2021189422A1 (en) 2021-09-30
EP4128896A4 (en) 2023-12-20
US20230239038A1 (en) 2023-07-27
WO2021189924A1 (en) 2021-09-30
CN115191132A (zh) 2022-10-14
BR112022019462A2 (pt)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9833B (zh) 用于基于非码本的pusch传输的srs配置
US1051709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WO2021203414A1 (en) Default beam determination
US20230188268A1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determination
US20220286235A1 (en) Dynamic Retransmission Configuration
US20230261719A1 (en) Default beam determination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CN114424610B (zh) 确定用于ul信号的默认空间关系
WO2021159436A1 (en) Nbiot harq related enhancement in ntn
KR20220159385A (ko) NTN에서의 NBIoT NPDCCH 모니터링 최적화
US20230198684A1 (en) Pucch repetition number indication
WO2021217598A1 (en) Emtc scheduling and mpdcch monitoring
WO201809536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receiving scheduling commands
WO2024082571A1 (en) Multi-trp operation with unified tci framework before indicating tci states by dci
WO2022236801A1 (en) Transmission switching on multiple carriers in iot ntn
US20230254856A1 (en) Default beam determination for reception of pdsch transmissions with repetition
WO2024098229A1 (en) Beam information triggering for cell activation
US20230164780A1 (en) Default beam determination in cross-carrier scheduling
US20230254873A1 (en)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23010377A1 (en) Beam determination for multiple pdsch transmissions or pusch transmissions scheduled by one dci
AU2016417122A1 (en) Determination of feedback timing
EP4381869A1 (en) Beam determination for multiple pdsch transmissions or pusch transmissions scheduled by one d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