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342A -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342A
KR20220159342A KR1020227016177A KR20227016177A KR20220159342A KR 20220159342 A KR20220159342 A KR 20220159342A KR 1020227016177 A KR1020227016177 A KR 1020227016177A KR 20227016177 A KR20227016177 A KR 20227016177A KR 20220159342 A KR20220159342 A KR 20220159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film
weight
stretc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에이코 수에후사
아키노리 이자키
토모히로 야마시타
타쿠마 쿠로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34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편광막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막은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하고, 또한 일반식(X): 2.0≤a/b(일반식(X) 중, a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의 길이(mm)를 나타내고, 또한 200 초과의 값이고, b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직교의 길이(mm)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길이의 비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은 고 어스펙트비를 갖고,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의 횡단 크랙 발생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A polarizing film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wherein the polarizing film contain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the general formula (X): 2.0≤a/b (in the general formula (X), a is represents the length (mm)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is a value greater than 200, and b represents the length (mm)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The polarizing film has a high aspect ratio and is excellent in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ransverse crack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Description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a laminated polarizing film, an image display pan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종래,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편광막으로서는 고투과율과 고편광도를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염색 처리된(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함유함)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배스 중에서, 예를 들면 팽윤, 염색, 가교, 연신 등의 각 처리를 실시한 후에, 세정 처리를 실시한 후 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상기 편광막은 통상 그 편면 또는 양면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보호 필름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된 편광 필름(편광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polarizing films used in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s have high transmittance and high degree of polarization, so they are dyed (containing dichroic substances such as iodine and dichroic dyes).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used. The polarizing film is manufactured by subject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o each treatment such as swelling, dyeing, crosslinking, and stretching in a bath, followed by washing treatment and then drying. In addition, the polarizing film is usually used as a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rotective film such as triacetyl cellulose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using an adhesive.

상기 편광 필름은 필요에 따라 다른 광학층을 적층해서 적층 편광 필름(광학 적층체)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광학 적층체)은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셀과, 시인측에 있어서의 전면 투명판(윈도우층)이나 터치 패널 등의 전면 투명 부재 사이에 점착제층이나 접착제층을 통해서 접합되어, 상기 각종 화상 표시 장치로서 사용된다(특허문헌 1).The polarizing film is used as a laminated polarizing film (optical laminate) by laminating other optical layers as necessary, and the polarizing film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optical laminate) is used as an image display cell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element , It is bonded between a front transparent member such as a front transparent plate (window layer) or a touch panel on the viewing side via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and is used as the above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Patent Document 1).

최근, 이러한 각종 화상 표시 장치는 휴대전화나 태블릿 단말 등의 모바일 기기에 추가해서, 카 네비게이션 장치나 백 모니터 등의 차재용 화상 표시 장치로서도 사용되는 등, 그 용도는 확대되고 있다. 이것에 따라,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에는 종래 요구되어 온 것보다 더 가혹한 환경하(예를 들면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고, 그러한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편광 필름이나 화상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3).In recent years, these various image display devices are being used as in-vehicle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car navigation devices and back monitors in addition to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 terminals, and their applications are expanding. Accordingly, the polarizing film and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are required to have high durability under a harsher environment (for example,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an has been conventionally required, and to ensure such durability Polarizing films and image display devices have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s 2-3).

일본 특허공개 2014-102353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102353 일본 특허공표 2012-516468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2-516468 일본 특허공개 2018-101117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8-101117

상기와 같은 편광 필름 또는 적층 편광 필름(광학 적층체)은 이들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열수축 및/또는 열팽창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편광 필름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광막의 폴리엔화의 발생 및 성장에 따라, 폴리비닐알콜의 분자 간의 상호 작용이 저하하여 가요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Since the degree of thermal contraction and/or thermal expansion of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or laminated polarizing film (optical laminate) as described above is differ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larizing film cracks when exposed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exibility of the polarizing film deteriorates due to a decrease in the interaction between molecules of polyvinyl alcohol as polyene formation and growth occur.

한편, 시장에서는 차내 공간에 있어서의 디자인성의 관점으로부터,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직교의 길이에 대해 흡수축에 대한 평행의 길이의 비가 일정 이상인 편광 필름(고 어스펙트비를 갖는 편광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막의 연신 방향(MD)의 수축력은 연신 방향과 직교 방향(TD)에 비해서 크다. 게다가, 이러한 길이의 비를 갖는 편광 필름은 통상 편광막의 TD 방향보다 편광막의 MD 방향의 일정한 폭에 대한 수축력이 보다 커진다. 따라서,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었을 경우에, 가요성이 저하된 편광막에 있어서는 MD 방향(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의 수축력을 견딜 수 없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으로의 횡단 크랙(직교 방향의 크랙)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market demands a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having a high aspect ratio) having a ratio of a length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to a length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t is becoming. In general, the contraction force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stretching direction (MD) is greater than that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orthogonal direction (TD). In addition, a polarizing film having such a ratio of lengths usually has a larger shrinking force for a given width in the MD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than in the TD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Therefore, when exposed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e polarizing film with reduced flexibility cannot withstand the shrinkage force in the MD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so that the polarizing film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ransverse cracks (cracks in the orthogonal direction) tend to occur.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의 횡단 크랙 발생의 억제 효과가 우수한, 고 어스펙트비를 갖는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having a high aspect ratio, excellent in suppressing effect of transverse crack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 필름을 사용한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d polarizing film, an image display pan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above polarizing film.

즉, 본 발명은 편광막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막은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하고, 또한 일반식(X): 2.0≤a/b(일반식(X) 중, a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의 길이(mm)를 나타내고, 또한 200 초과의 값이고, b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직교의 길이(mm)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길이의 비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wherein the polarizing film contain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the general formula (X): 2.0≤a / b (general formula (X ), a represents the length (mm)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is a value greater than 200, and b represents the length (mm)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t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of rati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 필름이 광학층에 접합되어 있는 적층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bonded to an optical layer.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셀에 상기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화상 표시 패널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panel in which the polarizing film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is bonded to an image display cel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편광 필름 또는 적층 편광 필름측에 전면 투명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front transparent member on the polarizing film or laminated polarizing film side of the imag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편광 필름에 있어서의 효과의 작용 메커니즘의 상세한 것은 불분명한 부분이 있지만, 이하와 같이 추정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 작용 메커니즘에 한정해서 해석되지 않아도 좋다.Although the detail of the effect mechanism of the effect in the polarizing film of this invention has an unclear part, it estimates as follow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is mechanism of action.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편광막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고, 상기 편광막은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하고, 또한 일반식(X): 2.0≤a/b(일반식(X) 중, a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의 길이(mm)를 나타내고, 또한 200 초과의 값이고, b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직교의 길이(mm)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길이의 비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편광막의 폴리엔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막의 기계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직교의 길이에 대해 흡수축에 대한 평행의 길이의 비가 일정 이상인 편광 필름(고 어스펙트비를 갖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의 횡단 크랙 발생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the polarizing film contain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the general formula (X): 2.0≤a/b (in the general formula (X) , a represents the length (mm)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is a value greater than 200, and b represents the length (mm)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Satisfy the condition. Since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can suppress the polyenization of the polarizing film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maintain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olarizing film,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larizing film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to the length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is constant. In the above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having a high aspect ratio), the effect of suppressing generation of transverse crack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편광막의 폴리엔화의 진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라디칼을 포착할 수 있으므로,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단체 투과율 저하의 억제 효과도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t can trap radicals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progress of polyenization of the polarizing film. great.

<편광 필름><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편광막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다.I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편광막><Polarizing film>

상기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이 흡착 배향되어 형성된다. 편광막의 초기의 편광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이색성 물질로서는 요오드가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film is formed by adsorbing and orienting a dichroic material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o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odine is preferable as the dichroic material from the viewpoint of initial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상기 폴리비닐알콜(PVA)계 필름은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투광성을 갖고,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분산 흡착하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원반(原反)으로서 사용하는 PVA계 필름은 두께가 1∼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폭이 100∼500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vinyl alcohol (PVA)-based film has light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nd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for dispersing and adsorbing a dichroic material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Further, the PVA-based film usually used as a raw film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about 1 to 100 μm, more preferably about 1 to 50 μm, and preferably about 100 to 5000 mm in width.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 아세탈;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등에 의해 변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평균 중합도가 100∼10,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10,0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4,50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비누화도가 80∼100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95몰%∼99.95몰%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중합도 및 상기 비누화도는 JIS K 6726에 준해서 구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for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clude polyvinyl alcohol or derivatives thereof. Examples of the polyvinyl alcohol derivative include polyvinyl formal and polyvinyl acetal;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and crotonic acid; and those modified with alkyl esters and acrylamides thereof. The polyvinyl alcohol preferably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100 to 10,000, more preferably about 1,000 to 10,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1,500 to 4,500. Further, the polyvinyl alcohol preferably has a saponification degree of about 80 to 100 mol%, more preferably about 95 mol% to 99.95 mol%. In addition, the said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and the said saponification degree can be calculated|required according to JISK6726.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는 가소제나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올 및 그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중 20중량% 이하 정도가 적합하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plasticizers and surfactants. As said plasticizer, polyols, such as glycerol, diglycerol, triglycerol,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polyethylene glycol, its condensat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amount of the additiv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about 20% by weight or l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suitable.

상기 편광막은 상기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요오드의 함유량이 1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막은 상기 요오드의 함유량이 내구성 시험시의 색 누락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1.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리고 폴리엔화를 방지하는 관점으로부터 1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polarizing film includes iodine as the dichroic material, the content of iodine is preferably 1% by weight or more and 20% by weight or less. In the polarizing film, the iodine content is preferably 1.5%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2% by weight or more, and preferably 12%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color loss during durability test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 by weight or less.

상기 편광막은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는 편광막의 제조시에 물과 함께 효율적으로 편광막에 배어들 수 있는 관점, 편광막에 고농도로 함침할 수 있는 관점, 두께가 두꺼운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단시간에 함침할 수 있어서, 편광막의 생산성을 높게 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2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이상 용해할 수 있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해 2중량부 이상 용해할 수 있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이상 용해할 수 있는 화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polarizing film include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The abov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can efficiently permeate into the polarizing film together with water during manufacture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impregnated into the polarizing film at a high concentration, and can be impregnated in a short time even when a thick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used. It can be impregnated, and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polarizing fil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compound that can dissolve 1 part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25 ° C., and 2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25 ° C.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compound that can dissolve more than,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compound that can dissolve 5 parts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25°C.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편광막의 폴리엔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 페놀계, 힌더드 아민계, 인계, 황계,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히드록실아민계,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트리아진계의 화합물 등의 라디칼 포착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로서는 편광막에서 발생하는 라디칼종의 관점으로부터, 예를 들면 니트록시 라디칼 또는 니트록시드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estimated that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can suppress polyenization of the polarizing film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nclude hindered phenol-based, hindered amine-based, phosphorus-based, sulfur-based, benzotriazole-based, benzophenone-based, hydroxylamine-based, salicylic acid ester-based, and triazine-based compounds having a radical scavenging function A compound having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s preferably a compound having a nitroxy radical or a nitroxide group, from the viewpoint of radical species generated in the polarizing film, for example.

상기 니트록시 라디칼 또는 니트록시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실온, 공기 중에서 비교적으로 안정한 라디칼을 갖는 관점으로부터 N-옥실 화합물(관능기로서 C-N(-C)-O·를 갖는 화합물(O·은 옥시 라디칼을 나타냄))을 들 수 있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N-옥실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조의 유기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s the compound having a nitroxy radical or nitroxide group,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a radical that is relatively stable at room temperature and in the air, an N-oxyl compound (a compound having C-N(-C)-O as a functional group (O represents an oxy radical) )), known ones can be used. As an N-oxyl compound, the compound etc. which have the organic group of the following structures are mentioned, for example.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일반식(1) 중, R1은 옥시 라디칼을 나타내고, R2∼R5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낸다.) 또한, 일반식(1) 중의 점선부의 좌측은 임의의 유기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1), R 1 represents an oxy radical, R 2 to R 5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d n represents 0 or 1.) The left side of the dotted line in Formula (1) represents an arbitrary organic group.

상기 유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일반식(2)∼(5)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s a compound which has the said organic group, the compound etc.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2) - (5) are mentioned, for example.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일반식(2) 중, R1∼R5 및 n은 상기와 동의이고, R6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을 나타낸다.)(In general formula (2), R 1 to R 5 and n have the same definitions as above, R 6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 acyl group, or an aryl group, and n is 0 or 1 indicates.)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일반식(3) 중, R1∼R5 및 n은 상기와 동의이고,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3), R 1 to R 5 and n have the same definitions as above, and R 7 and R 8 independently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 acyl group, or an aryl group. )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일반식(4) 중, R1∼R5 및 n은 상기와 동의이고, R9∼R11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 아실기, 아미노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In the general formula (4), R 1 to R 5 and n have the same definitions as above, and R 9 to R 11 are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 acyl group, an amino group, an alkoxy group, It represents a hydroxyl group or an aryl group.)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일반식(5) 중, R1∼R5 및 n은 상기와 동의이고, R1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 아미노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5), R 1 to R 5 and n have the same definitions as above, and R 1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 amino group, an alkoxy group, a hydroxy group, or an aryl group.)

상기 일반식(1)∼(5) 중, R2∼R5는 입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탄소원자수가 1∼6개인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원자수가 1∼3개인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2) 중, 입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R6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3) 중, 입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4) 중, 입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R9∼R1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반식(5) 중, 입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R12는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또는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1)∼(5) 중, n은 입수 용이성의 관점으로부터 1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general formulas (1) to (5),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R 2 to R 5 are preferably alkyl groups having 1 to 6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lkyl groups having 1 to 3 carbon atoms. Further, in the above general formula (2),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R 6 is preferably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 hydrogen atom. Further, in the general formula (3),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R 7 and R 8 are independently preferably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 hydrogen atom. Further, in the general formula (4),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R 9 to R 11 are preferably hydrogen atoms or alkyl groups having 1 to 10 carbon atoms. Moreover, in the said General formula (5), it is preferable that R< 12 > is a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or an alkoxy group from a viewpoint of availability. In the general formulas (1) to (5), n is preferably 1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또한, 상기 N-옥실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6402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11-22246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284737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6/047655호 등에 기재된 N-옥실 화합물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N-oxyl compound, for example, N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6402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2246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284737,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6/047655, etc. -An oxyl compound is mentioned.

또한, 상기 니트록시 라디칼 또는 니트록시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a compound which has the said nitroxy radical or nitroxide group, the following compounds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일반식(6) 중, R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가 1∼10개인 알킬기, 아실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In formula (6), R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an acyl group, or an aryl group.)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또한,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편광막의 폴리엔화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분자량이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urther,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preferably has a molecular weight of 1000 or less, more preferably 500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30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polyenization of the polarizing film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상기 편광막은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이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막은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이 고온 환경하에서의 편광막의 폴리엔화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0.00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그리고 1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n the polarizing film is 20% by weight or less. In the polarizing film,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s preferably 0.005%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01% by weight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02% by weight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polyenization of the polarizing film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t is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weight%, more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12%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10% by weight.

상기 편광막은 일반식(X): 2.0≤a/b(일반식(X) 중, a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의 길이(mm)를 나타내고, 또한 200 초과의 값이고, b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직교의 길이(mm)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길이의 비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상기 「평행」이란,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평행」이란, 0°± 5.0°인 경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0°±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 1.0°이다. 또한, 상기 「직교」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직교」란, 90°± 5.0°인 경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90°±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1.0°이다. 또한, 통상 상기 편광 필름의 길이의 비는 편광막의 상기 길이의 비와 동일하다.The polarizing film has the general formula (X): 2.0≤a/b (in the general formula (X), a represents the length (mm)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is a value greater than 200, and b is the polarizing film represents the length (mm)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satisfies the condition of the ratio of lengths expressed as The above "parallel" also includes the case of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Here, “substantially parallel” includes the case of 0°±5.0°, preferably 0°±3.0°, more preferably 0°±1.0°. In addition, the said "orthogonal"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it orthogonally crosses substantially. Here, "substantially orthogonal" includes the case of 90°±5.0°, preferably 90°±3.0°, more preferably 90°±1.0°.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polarizing films is usually the same as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polarizing films.

상기 a/b가 2.0 미만인 경우, 일정한 폭에 대한 MD 방향의 수축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편광막의 횡단 크랙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a는 차내 공간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 사이즈의 관점으로부터 200(mm)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50(mm) 이상이어도 좋고, 그리고 수축력의 관점으로부터 2000(mm)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500(mm) 이하이어도 좋다. 상기 a/b는 차내 공간에 있어서의 디자인성의 관점으로부터 2.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횡단 크랙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When the a/b is less than 2.0, since the shrinkage force in the M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rtain width decreases, transverse cracks of the polarizing film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are less likely to occur. Further, the above a may be 200 (m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image display size of the display in the vehicle interior space, preferably 250 (mm) or more, and may be 2000 (m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contraction force, Preferably it may be 1500 (mm) or less. The above a/b is preferably 2.8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in the vehicle interior space, and preferably 15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ransverse cracks, and more preferably 10 or less.

<편광막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임의의 팽윤 공정 및 세정 공정과, 적어도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을 실시해서 얻어지고, 상기 팽윤 공정, 상기 세정 공정, 상기 염색 공정, 상기 가교 공정 및 상기 연신 공정 중 어느 1개 이상의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처리 배스가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막은 초기의 편광 성능의 관점으로부터 요오드계 편광막이 바람직하고, 상기 편광막 중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 및 상기 요오드의 함유량은 팽윤 공정, 염색 공정, 가교 공정, 연신 공정 및 세정 공정에 있어서의 각 처리 배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농도, 및 요오드 등의 농도, 상기 각 처리 배스에 의한 처리 온도 및 처리 시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을 실시한 후에 세정 공정을 실시할 경우, 세정 공정은 염색 공정, 가교 공정 및 연신 공정 등에서의 처리 조건을 고려한 다음,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나 요오드 등의 성분을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으로부터 용출시키거나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흡착시킬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 및 상기 요오드의 함유량을 소망의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subjec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o an arbitrary swelling step and a washing step, and at least a dyeing step, a crosslinking step, and an stretching step, and the swelling step, the washing step, and the dyeing step , The treatment bath in any one or more treatment steps of the crosslinking step and the stretching step contain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an iodine-based polarizing film from the viewpoint of initial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the content of iodine in the polarizing film are determined by a swelling process, a dyeing process, a crosslinking process, a stretching process, and a washing process can be controll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contained in any one of the treatment baths, the concentration of iodine, etc., and the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of each treatment bath. In particular, when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dyeing process, the crosslinking process, and the stretching process, the washing process considers treatment conditions in the dyeing process, crosslinking process, and stretching process, and then, components such a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or iodine are added to polyvinyl chloride. It is easy to adjust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the content of the iodine to a desired rang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eluted from the alcohol-based film or adsorbed 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또한, 상기 팽윤 공정, 상기 염색 공정, 상기 가교 공정, 상기 연신 공정 및 상기 세정 공정에 있어서의 각 처리 배스에는 아연염, pH 조정제, pH 완충제, 기타 염류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아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아연, 요오드화아연 등의 할로겐화아연; 황산아연, 아세트산아연 등의 무기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등의 강산이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강염기를 들 수 있다. 상기 pH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옥살산, 시트르산 등의 카르복실산 및 그 염이나, 인산, 탄산과 같은 무기 약산 및 그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바륨 등의 염화물, 질산나트륨, 질산칼륨과 같은 질산염, 황산나트륨, 황산칼륨과 같은 황산염, 및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염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each treatment bath in the swelling step, the dyeing step, the crosslinking step, the stretching step, and the washing step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zinc salt, pH adjuster, pH buffering agent, and other salts. Examples of the zinc salt include zinc halides such as zinc chloride and zinc iodide; Inorganic zinc salts, such as zinc sulfate and zinc acetate, etc. are mentioned. As said pH adjuster, strong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and strong bases, such as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are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the pH buffering agent include carboxylic acids such as acetic acid, oxalic acid and citric acid and salts thereof, and weak inorganic acids such as phosphoric acid and carbonic acid and salts thereof. Examples of the other salts include chlorides such as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nitrates such as sodium nitrate and potassium nitrate, sulfates such as sodium sulfate and potassium sulfate, and salts of alkali metals and alkaline earth metals.

상기 각 처리 배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갖는 화합물의 농도는 각 처리의 처리 횟수, 처리 시간, 처리 온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편광막 중의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통상 0.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 having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ncluded in any one of the treatment baths cannot be determined uniformly because it is affected by the number of treatments, treatment time, treatment temperature, etc., water-soluble radicals are captured in the polarizing film.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l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agent, it is usually preferably 0.01%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05% by weight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1% by weight or more, and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and 25% by weigh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20% by weight or less.

상기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 배스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표면의 오염이나 블록킹제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팽윤 배스는 통상 물, 증류수, 순수 등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체가 사용된다. 상기 팽윤 배스는 상법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알콜 등이 적당하게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The swelling step is a treatment step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immersed in a swelling bath, and stains and blocking agents o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removed, and dyeing unevenness can be reduced by swell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suppressed The swelling bath usually uses a medium containing water as a main component, such as water, distilled water, or pure water. The swelling bath may be suitably added with a surfactant, an alcohol, or the lik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상기 팽윤 배스의 온도는 10∼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3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윤 배스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팽윤 정도가 팽윤 배스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5∼3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100초간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팽윤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is preferably about 10 to 60°C, more preferably about 15 to 45°C,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18 to 3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swelling bath cannot be determined uniformly because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but is preferably about 5 to 300 seconds, about 10 to 200 seconds It is more preferable,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20 to 100 seconds. The said swe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and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상기 염색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염색 배스(요오드 용액)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배향시킬 수 있다. 상기 요오드 용액은 요오드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오드 및 용해 조제로서 요오드화물을 함유한다. 또한, 상기 요오드화물로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동,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편광막 중의 칼륨의 함유량을 제어하는 관점으로부터 요오드화칼륨이 적합하다.The dyeing process is a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immersed in a dyeing bath (iodine solution), and iodine can be adsorbed and oriented 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he iodine solution is preferably an aqueous solution of iodine, and contains iodine and iodide as a solubilizing agent. Examples of the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copper iodide, barium iodide, calcium iodide, tin iodide and titanium iodide. Among these, potassium iodide is suitabl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content of potassium in the polarizing film.

상기 염색 배스 중 요오드의 농도는 0.01∼1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0.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색 배스 중 상기 요오드화물의 농도는 0.01∼20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중량%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iodine in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about 0.01 to 1%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0.02 to 0.5% by weight. The concentration of iodide in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about 0.01 to 20%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0.05 to 10%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0.1 to 5% by weight.

상기 염색 배스의 온도는 1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3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색 배스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염색의 정도가 염색 배스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10∼3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4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색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about 10 to 50°C, more preferably about 15 to 45°C,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18 to 3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dyeing bath cannot be determined uniformly because the degree of dye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but it is preferably about 10 to 300 seconds, and about 20 to 240 seconds. is more preferable. The said dye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and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상기 가교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처리 배스(가교 배스)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고, 붕소 화합물에 의해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이 가교되어, 요오드 분자 또는 염료 분자가 상기 가교 구조에 흡착될 수 있다. 상기 붕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붕산염, 붕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 배스는 수용액이 일반적이지만, 예를 들면 물과의 혼화성이 있는 유기 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가교 배스는 상기 편광막 중의 칼륨의 함유량을 제어하는 관점으로부터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The cross-linking step is a treatment step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immersed in a treatment bath (cross-linking bath) containing a boron compound,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cross-linked by the boron compound to form iodine molecules or dye molecules into the cross-linked structure. can be adsorbed on As said boron compound, boric acid, a borate, borax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crosslinking bath is generally an aqueous solution, but may be, for example, a mixed solution of a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and water. Further, the crosslinking bath may contain potassium iodid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olarizing film.

상기 가교 배스 중 상기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 배스에 요오드화칼륨을 사용할 경우, 상기 가교 배스 중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the boron compound in the crosslinking bath is preferably about 1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1.5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2 to 5% by weight. In addition, when potassium iodide is used in the crosslinking bath,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n the crosslinking bath is preferably about 1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1.5 to 10% by weight, and about 2 to 5% by weight. is more preferable.

상기 가교 배스의 온도는 20∼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6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 배스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가교의 정도가 가교 배스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5∼3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is preferably about 20 to 70°C, and more preferably about 30 to 60°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crosslinking bath cannot be determined uniformly because the degree of crosslink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but it is preferably about 5 to 300 seconds, and about 10 to 200 seconds. is more preferable. The said crosslink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and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상기 연신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하는 처리 공정이다.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반송 방향(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한다. 상기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습윤 연신법과 건식 연신법을 모두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연신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좋다. 상기 연신 공정은 편광막의 제조에 있어서 어느 단계에서 행해져도 좋다.The stretching step is a treatment step of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Generally,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both a wet stretching method and a dry stretching method may be employed. The said str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and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The str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at any stage 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상기 습윤 연신법에 있어서의 처리 배스(연신 배스)는 통상 물 또는 물과의 혼화성이 있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신 배스는 상기 편광막 중의 상기 칼륨의 함유량을 제어하는 관점으로부터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연신 배스에 요오드화칼륨을 사용할 경우, 상기 연신 배스 중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6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처리 배스(연신 배스)에는 연신 중의 필름 파단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붕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연신 배스 중 상기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1∼15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reatment bath (stretching bath) in the above wet stretching method may use a solvent such as water or an organic solvent miscible with water and a mixed solution of water. The stretching bath may contain potassium iodid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olarizing film. When potassium iodide is used in the stretching bath,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n the stretching bath is preferably about 1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2 to 10% by weight, and preferably about 3 to 6% by weight. more preferable In addition, the treatment bath (stretching bath) may contain the boron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film breakage during stretching, and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of the boron compound in the stretching bath is preferably about 1 to 15% by weight , It is more preferably about 1.5 to 1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about 2 to 5% by weight.

상기 연신 배스의 온도는 25∼8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7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7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신 배스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연신의 정도가 연신 배스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10∼8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윤 연신법에 있어서의 연신 처리는 상기 팽윤 공정, 상기 염색 공정, 상기 가교 공정 및 상기 세정 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과 함께 실시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stretching bath is preferably about 25 to 80°C, more preferably about 40 to 75°C,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50 to 70°C. The immersion time in the stretching bath cannot be determined uniformly because the degree of stretch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stretching bath, but it is preferably about 10 to 800 seconds, and about 30 to 500 seconds. is more preferable. In addition, the stretching treatment in the wet stretching method may be performed together with any one or more treatment steps of the swelling step, the dyeing step, the crosslinking step, and the washing step.

상기 건식 연신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롤간 연신 방법, 가열 롤 연신 방법, 압축 연신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식 연신법은 상기 건조 공정과 함께 실시해도 좋다.Examples of the dry stretching method include an inter-roll stretching method, a heated roll stretching method, and a compression stretching method. In addition, you may carry out the said dry stretching method together with the said drying process.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실시되는 총 연신 배율(누적 연신 배율)은 목적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2∼7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6.8배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6.5배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otal draw ratio (cumulative draw ratio) given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purpose, but it is preferably about 2 to 7 times, more preferably about 3 to 6.8 times, and 3.5 to 3.5 time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6.5 times.

상기 세정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세정 배스 중에 침지하는 처리 공정이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표면 등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배스는 통상 물, 증류수, 순수 등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매체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편광막 중의 칼륨의 함유량을 제어하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세정 배스에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 상기 세정 배스 중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1∼10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3.8중량%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leaning process is a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immersed in a cleaning bath, and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the like can be removed. The washing bath usually uses a medium containing water as a main component, such as water, distilled water, or pure water.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polarizing film, the washing bath may contain potassium iodide.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n the washing bath is preferably about 1 to 10% by weight, and 1.5 to 1.5 to 10% by weight. It is more preferably about 4%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about 1.8 to 3.8% by weight.

상기 세정 배스의 온도는 5∼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35℃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정 배스에의 침지 시간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세정의 정도가 세정 배스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1∼1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20초간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팽윤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좋다.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bath is preferably about 5 to 50°C, more preferably about 10 to 40°C,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15 to 35°C. In addi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cleaning bath cannot be determined uniformly because the degree of clean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the cleaning bath, but it is preferably about 1 to 100 seconds, and about 2 to 50 second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nd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3 to 20 seconds. The said swel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and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은 건조 공정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 건조 공정은 상기 세정 공정에서 세정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건조해서 편광막을 얻는 공정이고, 건조에 의해 소망의 수분율을 갖는 편광막이 얻어진다. 상기 건조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행해지고, 예를 들면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를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ying step. The drying step is a step of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ashed in the washing step to obtain a polarizing film,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a desired moisture content is obtained by drying. The drying is performed by any appropriate metho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natural drying, air drying, and heat drying.

상기 건조의 온도는 20∼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1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의 시간은 편광막의 건조의 정도가 건조의 온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10∼600초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300초간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공정은 1회만 실시되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회 실시되어도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aid drying is about 20-150 degreeC,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25-100 degreeC. The drying time cannot be determined uniformly because the degree of drying of the polarizing film is affected by the drying temperature, but is preferably about 10 to 600 seconds, and more preferably about 30 to 300 seconds. The said dry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and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s needed.

상기 편광막은 두께가 파단 강도 및 고온 환경하에서의 수축력의 관점으로부터 1∼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2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두께가 8㎛ 이하인 편광막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 기재 상에 제막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사용하는 이하의 박형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about 1 to 50 μm, more preferably about 1 to 25 μm, and still more preferably about 4 to 20 μm, from the viewpoint of breaking strength and shrinkage force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 particular, in order to obtain a polariz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8 μm or less, manufacture of the following thin polarizing film using a laminate compri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formed on a resin substrate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ethod can be applied.

<편광막(박형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thin polarizing film)>

편광막(박형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은 장척상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편측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층을 형성해서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얻어진 적층체를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적층체에 임의의 불용화 처리 공정, 가교 처리 공정 및 세정 처리 공정과, 적어도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 염색 처리 공정 및 수중 연신 처리 공정을 실시해서 얻어지고, 상기 불용화 처리 공정, 상기 가교 처리 공정, 상기 세정 처리 공정, 상기 염색 처리 공정 및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 중 어느 1개 이상의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처리 배스는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막 중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 및 상기 요오드의 함유량은 상기 불용화 처리 공정, 상기 가교 처리 공정, 상기 세정 처리 공정, 상기 염색 처리 공정 및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각 처리 배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농도, 및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 등의 농도, 상기 각 처리 배스에 의한 처리 온도 및 처리 시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세정 처리 공정을 실시할 경우, 세정 처리 공정은 염색 처리 공정 및 수중 연신 처리 공정 등에서의 처리 조건을 고려한 후에,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나 요오드 등의 성분을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으로부터 용출시키거나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흡착시킬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 및 상기 요오드의 함유량을 소망의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thin polarizing film)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laminate by form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one side of a long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Obtained by subjecting the layered product to any insolubilization treatment step, a crosslinking treatment step, a washing treatment step, and at least an air 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step, a dyeing treatment step, and an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while being convey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above-mentioned laminate, and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The treatment bath in any one or more treatment steps among the step, the crosslinking treatment step, the washing treatment step, the dyeing treatment step, and the above-mentioned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contain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the content of iodine in the polarizing film are determined in each treatment in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step, the crosslinking treatment step, the washing treatment step, the dyeing treatment step, and the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I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contained in any one of the baths, the concentrations of iodine and potassium iodide, etc., and the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of each treatment bath. In particular, when the washing treatment step is performed, in the washing treatment step, components such a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or iodine are eluted from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or poly It is easy to adjust the content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the content of the iodine to a desired range from the viewpoint of adsorption to the vinyl alcohol-based film.

상기 각 처리 배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농도는 각 처리의 처리 횟수, 처리 시간, 처리 온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편광막 중의 히니트록시 라디칼 또는 니트록시드기를 갖는 화합물의 함유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통상 0.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ncluded in any one of the treatment baths cannot be uniformly determined because it is affected by the number of treatments, treatment time, treatment temperature, etc. of each treatment.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l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compound having an oxide group, it is usually preferably 0.01%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05% by weight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1% by weight or more, and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y 25% by weight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by weight or less.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Process of preparing a laminated body>

상기 적층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되고,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표면에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하는 것에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두께는 20∼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2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PVA계 수지층의 두께는 3∼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2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ny suitable method is adopted as a method of producing the laminate, for example, a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VA-based resin) to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and drying it. can be he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is about 20-300 micrometer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50-200 micromet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aid PVA system resin layer is about 3-40 micrometer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3-20 micrometers.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물을 흡수해서 연신 응력을 대폭 저하시켜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흡수율이 0.2%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정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치수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얻어지는 편광막의 외관이 악화되는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흡수율이 3%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정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수율은,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구성 재료에 변성기를 도입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흡수율은 JIS K 7209에 준해서 구해지는 값이다.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has a water absorption of preferably about 0.2% or more, more preferably about 0.3%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absorb water, greatly reduce stretching stress, and be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preferably has an absorption rate of about 3% or less, and preferably about 1%,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prevent defects such as significantly lowering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and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below. In addition, the said water absorption rate can be adjusted by introduce|transducing a modifier into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aid thermoplastic resin base material, for example. The water absorption is a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JIS K 7209.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PVA계 수지층의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적층체의 연신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유리전이온도(Tg)가 120℃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가소화와, 수중 연신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유리전이온도(Tg)가 100℃ 정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정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유리전이온도는, 도포액을 도포·건조할 때에 열가소성 수지 기재가 변형되는 등의 불량을 방지하여 양호한 적층체를 제작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60℃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구성 재료에 변성기를 도입하고, 결정화 재료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Tg)는 JIS K 7121에 준해서 구해지는 값이다.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preferably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bout 120° C.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fficiently securing the stretchability of the laminate while suppressing crystallization of the PVA-based resin layer. Further, considering plasticiza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base material with water and good stretching in wat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more preferably about 100°C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about 90°C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is preferably about 60 ° 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defects such as deforma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during application and drying of the coating liquid and producing a good laminat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y introducing a modifier into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thermoplastic resin base material and heating it using a crystallization material.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a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JIS K 7121.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열가소성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수지, 비정질(비정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연신성이 매우 우수함과 아울러, 연신 시의 결정화가 억제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비정질(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비정질(비정성)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로서는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이소프탈산 및/또는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나, 글리콜로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디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Any appropriate thermoplastic resin may be employed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cycloolefin resins such as norbornene resins, 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amide resins, polycarbonate resins, and the like. Copolymer resin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norbornene-based resins and amorphous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s are preferable, and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s have very excellent stretchability and from the viewpoint that crystallization during stretching can be suppressed, amorphous ( Amorphou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 is preferably used. As the amorphous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 a copolymer containing isophthalic acid and/or 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as dicarboxylic acid, or a copolymer containing cyclohexanedimethanol or diethylene glycol as glycol can be heard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표면 처리(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등)를 실시해도 좋고, 열가소성 수지 기재 상에 이접착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연신되어 있어도 좋다.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for example, corona treatment) before forming the PVA-based resin layer, or an easily bond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By performing such a process, the adhesiveness of a thermoplastic resin base material and a PVA system resin laye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may be stretched before forming the PVA-based resin layer.

상기 도포액은 PVA계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다. 상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각종 글리콜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류,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고, 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포액의 PVA계 수지 농도는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밀착된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용매 100중량부에 대해 3∼20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ating liquid is 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a PVA-based resin in a solvent.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water, dimethylsulfoxide, 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amide, N-methylpyrrolidone, various glycols, polyhydric alcohols such as trimethylolpropane, and amines such as ethylenediamine and diethylenetriamine. , and water is preferr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The concentration of the PVA-based resin in the coating liquid is preferably about 3 to 2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olvent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form a uniform coating film adhered to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상기 도포액에는 연신에 의한 폴리비닐알콜 분자의 배향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할로겐화물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할로겐화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할로겐화물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요오드화물 및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요오드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리튬 등을 들 수 있고, 요오드화칼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액 중의 상기 할로겐화물의 농도는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20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5중량부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alide is blended in the coating liqui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orientation of polyvinyl alcohol molecules by stretching. Arbitrary appropriate halides can be employed as the halid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odide and sodium chloride. As said iodide, potassium iodide, sodium iodide, lithium iodid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e. The concentration of the halide in the coating liquid is preferably about 5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10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VA-based resin.

또한, 상기 도포액에는 첨가제를 배합해도 좋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등의 가소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you may mix|blend additives with the said coating liquid.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plasticizers such as ethylene glycol and glycerin; Surfactants, such as a nonionic surfactant, etc. are mentioned.

상기 도포액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와이어바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 코트법, 커튼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콤마 코트법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액의 건조 온도는 50℃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ny suitable method can be employed as the coating method for the coating solution, and examples include roll coating, spin coating, wire bar coating, dip coating, die coating, curtain coating, spray coating, and knife coating. A coat method (comma coat method etc.)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said coating liquid is about 50 degreeC or more.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Air Assisted Stretching Process>

상기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은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연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체를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상기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의 연신 방법은 고정단 연신(예를 들면,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좋고, 자유단 연신(예를 들면, 주속이 다른 롤 사이에 적층체를 통과시켜서 1축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좋지만, 높은 광학 특성을 얻는 관점으로부터 자유단 연신이 바람직하다.In the air 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step, since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can be stretched while suppressing crystallization, the laminate can be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The stretching method in the air 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step may be fixed end stretching (for example, stretching using a tenter stretching machine), or free end stretching (for example, by passing the laminate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A method of axial stretching) may be used, but free end stretching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high optical properties.

상기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2∼3.5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 보조 연신 처리는 1단계로 행해도 좋고, 다단계로 행해도 좋다. 다단계로 행할 경우, 연신 배율은 각 단계의 연신 배율의 곱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 ratio in the above air 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step is about 2 to 3.5 times. The air 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in one step or may be performed in multiple steps. When performing in multiple steps, the draw ratio is the product of the draw ratios of each step.

상기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형성 재료, 연신 방식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리전이온도(Tg)+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유리전이온도(Tg)+1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연신 온도의 상한은 PVA계 수지의 결정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고, 결정화에 의한 불량(예를 들면 연신에 의한 PVA계 수지층의 배향을 방해함)을 억제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17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etching temperature in the air-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step can be set to any suitable value depending on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the stretching method, etc., for exampl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Preferab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 10 ℃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 15 ℃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170° C.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rapid crystallization of the PVA-based resin and suppressing defects due to crystallization (for example, obstruction of orientation of the PVA-based resin layer by stretching).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C.

<불용화 처리 공정><Insolubilization treatment process>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공중 보조 연신 처리 공정 후, 염색 처리 공정이나 수중 연신 처리 공정 전에, 불용화 처리 공정을 실시해도 좋다. 상기 불용화 처리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한다. 불용화 처리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하여, 물에 침지했을 때의 PVA의 배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붕산 수용액의 농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용화 처리 배스의 액온은 2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If necessary, you may perform an insolubilization treatment process after the above-mentioned air assisted stretching treatment process and before a dyeing treatment process or an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process. The said insolubilization treatment process is typically performed by immersing a PVA system resin layer in boric acid aqueous solution. By performing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process, water resistance can be imparted to the PVA-based resin layer, and orientation degradation of PVA when immersed in water can be prevented. The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preferably about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bath is preferably about 20 to 50°C.

<염색 처리 공정><Dyeing process>

상기 염색 처리 공정은 PVA계 수지층을 요오드로 염색함으로써 행한다. 상기 흡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요오드를 포함하는 염색액에 PVA계 수지층(적층체)을 침지시키는 방법, PVA계 수지층에 상기 염색액을 도포하는 방법, 상기 염색액을 PVA계 수지층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요오드를 포함하는 염색액에 PVA계 수지층(적층체)을 침지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The dyeing treatment step is performed by dyeing the PVA-based resin layer with iodine. As the adsorption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immersing a PVA-based resin layer (laminate) in a dye containing iodine, a method of applying the dye solution to a PVA-based resin layer, and a method of applying the dye solution to a PVA-based resin layer. The method of spraying etc. is mentioned, The method of immersing a PVA system resin layer (laminate) in the staining solution containing iodine is preferable.

상기 염색 배스에 있어서의 요오드의 배합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0.05∼0.5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오드 수용액에 상기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0.1∼10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5중량부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염색 배스의 액온은 PVA계 수지의 용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2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지 시간은 PVA계 수지층의 투과율을 확보하는 관점으로부터 5초∼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초∼90초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호한 광학 특성을 갖는 편광막을 얻는 관점으로부터, 요오드 수용액에 있어서의 요오드 및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의 비가 1:5∼1:2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1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blending amount of iodine in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about 0.05 to 0.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iodine in water, it is preferable to blend the iodide in an aqueous solution of iodine. The blending amount of the iodide is preferably about 0.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0.3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is preferably about 20 to 50°C in order to suppress dissolution of the PVA-based resin.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5 second - 5 minutes, and, as for immersion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30 second - 90 second from a viewpoint of ensuring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of a PVA system resin lay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polarizing film having good optical properties, the ratio of iodine and iodide in the iodine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about 1:5 to 1:20, and more preferably about 1:5 to 1:10.

<가교 처리 공정><Crosslinking process>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염색 처리 공정 후 수중 연신 처리 공정 전에, 가교 처리 공정을 실시해도 좋다. 상기 가교 처리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붕산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한다. 가교 처리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내수성을 부여하고, 나중의 수중 연신에서 고온의 물 중에 침지했을 때의 PVA의 배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붕산 수용액의 붕산 농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 처리 공정을 행하는 경우, 가교 배스에는 상기 요오드화물을 추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오드화물을 배합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흡착시킨 요오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1∼5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배스(붕산 수용액)의 액온은 20∼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f necessary, a crosslinking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dyeing treatment step and before the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The crosslinking treatment step is typically performed by immersing the PVA-based resin layer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By carrying out the crosslinking treatment step, water resistance can be imparted to the PVA-based resin layer, and orientation deterioration of the PVA when immersed in high-temperature water can be prevented in later underwater stretching.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preferably about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crosslinking treatment step, it is preferable to further mix the iodide in the crosslinking bath. By blending the iodide, elution of iodine adsorbed to the PVA-based resin layer can be suppressed. The blending amount of the iodide is preferably about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The solution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boric acid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about 20 to 50°C.

<수중 연신 처리 공정><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process>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은 적층체를 연신 배스에 침지시켜서 행한다. 수중 연신 처리 공정에 의하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나 PVA계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대표적으로는 80℃ 정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연신할 수 있어서, PVA계 수지층을 그 결정화를 억제하면서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의 연신 방법은 고정단 연신(예를 들면,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좋고, 자유단 연신(예를 들면, 주속이 다른 롤 사이에 적층체를 통과시켜서 1축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좋지만, 높은 광학 특성을 얻는 관점으로부터 자유단 연신이 바람직하다.The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is performed by immersing the laminate in a stretching bath. According to the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stretching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ypically about 80° C.) of the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or the PVA-based resin layer, and the PVA-based resin layer is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while suppressing its crystallization. can do. The stretching method in the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may be fixed end stretching (for example, stretching using a tenter stretching machine), or free end stretching (for example, uniaxially by passing the laminate between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Stretching method) may be used, but free end stretching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high optical properties.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은 붕산 수용액 중에 적층체를 침지시켜서 행하는 것(붕산 수중 연신)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스로서 붕산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PVA계 수지층에 연신시에 가해지는 장력에 견디는 강성과, 물에 용해되지 않는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붕산 수용액의 붕산 농도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5∼6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신 배스(붕산 수용액)에는 요오드화물을 배합해도 좋다. 연신 배스의 액온은 40∼8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60℃∼75℃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연신 배스에의 침지 시간은 15초∼5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aid underwater extending|stretching process by immersing a layered product in boric acid aqueous solution (boric acid underwater extending|stretching). By using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as a stretching bath, rigidity that can withstand the tension applied during stretching and water resistance that does not dissolve in water can be imparted to the PVA-based resin layer.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5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n addition, iodide may be blended into the stretching bath (boric acid aqueous solution). 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stretching bath is preferably about 40 to 85°C, and more preferably about 60 to 75°C. It is preferable that the immersion time of the laminated body in the stretching bath is about 15 seconds to 5 minutes.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1.5배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배 정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1.5 times or more, and, as for the draw ratio in the said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proc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bout 3 times or more.

또한, 적층체의 총 연신 배율은 적층체의 본래 길이에 대해 5배 정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5배 정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tal draw ratio of the laminate is preferably about 5 tim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about 5.5 tim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length of the laminate.

<세정 처리 공정><Cleaning treatment process>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 후, 세정 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 처리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 시킴으로써 행한다.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washing treatment process after the above-mentioned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process. The washing treatment step is typically performed by immersing the PVA-based resin layer in an aqueous solution of potassium iodide.

또한, 상기 염색 처리 공정, 상기 수중 연신 처리 공정, 상기 불용화 처리 공정, 상기 가교 처리 공정 및 상기 세정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각 처리 배스에는 아연염, pH 조정제, pH 완충제, 기타 염류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아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아연, 요오드화아연 등의 할로겐화아연; 황산아연, 아세트산아연 등의 무기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등의 강산이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강염기를 들 수 있다. 상기 pH 완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옥살산, 시트르산 등의 카르복실산 및 그 염이나, 인산, 탄산과 같은 무기 약산 및 그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바륨 등의 염화물, 질산나트륨, 질산칼륨과 같은 질산염, 황산나트륨, 황산칼륨과 같은 황산염, 및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염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dditives such as zinc salt, pH adjuster, pH buffer, and other salts are added to each treatment bath in the dyeing treatment step, the underwater stretching treatment step,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step, the crosslinking treatment step, and the washing treatment step. It may contain. Examples of the zinc salt include zinc halides such as zinc chloride and zinc iodide; Inorganic zinc salts, such as zinc sulfate and zinc acetate, etc. are mentioned. As said pH adjuster, strong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and nitric acid, and strong bases, such as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are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the pH buffering agent include carboxylic acids such as acetic acid, oxalic acid and citric acid and salts thereof, and weak inorganic acids such as phosphoric acid and carbonic acid and salts thereof. Examples of the other salts include chlorides such as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and barium chloride, nitrates such as sodium nitrate and potassium nitrate, sulfates such as sodium sulfate and potassium sulfate, and salts of alkali metals and alkaline earth metals.

<투명 보호 필름><Transparent protective film>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편광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투명 보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형성되는 경화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적합하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used for polarizing films can be used. A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water barrier properties, isotropy, etc. is used.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cellulose ester-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ersulfone-based resins, polysulfone-based resins, polycarbonate-based resins, nylon, and the like. Polyamide-based resins such as aromatic polyamides, polyimide-based resins,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meth)acrylic-based resins, and cyclo- or cyclic polyolefin-based resins having a norbornene structure. (norbornene-based resins), polyarylate-based resins, polystyrene-based resin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nd mixtures thereof.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y use a cured layer formed of a thermosetting resin or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such as (meth)acrylic, urethane, acrylurethane, epoxy, or silicone. Among these, cellulose ester-type resin, polycarbonate-type resin, (meth)acrylic-type resin, cyclic polyolefin-type resin, and polyester-type resin are suitable.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1∼5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0㎛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ut generally, it is preferably about 1 to 500 μm, more preferably about 1 to 300 μm,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and handling, and thin layer properties. and more preferably about 5 to 100 μm.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상기 편광막의 양면에 접합하는 경우, 그 양면의 투명 보호 필름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Whe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s on both surfac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정면 위상차가 40nm 이상 및/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가 80nm 이상인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정면 위상차는 통상 40∼200nm의 범위로, 두께 방향 위상차는 통상 80∼300nm의 범위로 제어된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위상차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위상차판이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y use a retardation plate having a front retardation of 40 nm or more and/or a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of 80 nm or more. The frontal retardation is usually controlled in the range of 40 to 200 nm,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is usually controlled in the range of 80 to 300 nm. In the case of using a retardation plate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since the retardation plate also functions as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inning can be achieved.

상기 위상차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분자 소재를 1축 또는 2축 연신 처리해서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150㎛ 정도가 일반적이다. 또한, 위상차를 갖지 않는 투명 보호 필름에 상기 위상판을 접합해서 사용해도 좋다.Examples of the retardation plate include a birefringent film obtained by uniaxially or biaxially stretching a polymeric material, an orientation film of liquid crystal polymer, and one in which an orientation layer of liquid crystal polymer is supported by a film.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about 20 to 150 μm. Alternatively, the phase plate may be bonded to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having no retardation before use.

상기 투명 보호 필름에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의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특히, 상기 투명 보호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시킬 경우, 편광 필름의 내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y contain any appropriate additives such as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lubricants, plasticizers, mold release agents, anti-coloring agents, flame retardants, antistatic agents, pigments and colorants. In particular, when an ultraviolet absorber is included in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he light resistance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improved.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막을 접합하지 않은 면에는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 또는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은 보호 필름 그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로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A functional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sticking layer, a diffusion layer, or an antiglar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to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not bonded. In addition, functional layers such as the hard coat layer, antireflection layer, antisticking layer, diffusion layer, and antiglare layer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itself or separately from the protective film.

상기 편광막과 상기 투명 보호 필름, 또는 상기 편광막과 상기 기능층은 통상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통해서 접합된다.The polarizing film and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the polarizing film and the functional layer are usually bonded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편광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점착제를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콜계 점착제, 폴리비닐폴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가 적합하다.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various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ed in polarizing films can be applied. For example,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ilico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vinylalkyl eth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vinyl alcohol-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vinyl A polylidone-type adhesive, a polyacrylamide-type adhesive, a cellulose-type adhesive,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an acrylic adhesive is suitable.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를 박리처리한 세퍼레이터 등에 도포하고 건조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편광막 등에 전사하는 방법, 또는 상기 점착제를 편광막 등에 도포하고 건조해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1∼100㎛ 정도이고, 2∼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example, a method of applying 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 separator or the like subjected to peeling treatment and drying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llowed by transfer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 polarizing film or the like, or applying the above-mentio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 polarizing film or the like and drying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method of 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for example, about 1 to 100 μm, preferably about 2 to 50 μm.

상기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편광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통상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접착제(수계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0.5∼60중량%의 고형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various adhesives used in polarizing films can be appli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socyanate-based adhesives,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s, gelatin-based adhesives, vinyl-based latex-based adhesives, and water-based polyesters. have. These adhesives are usually used as adhesives made of an aqueous solution (water-based adhesives) and contain 0.5 to 60% by weight of solid content. Among these,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s are preferable, and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s containing an acetacetyl group are more preferable.

상기 수계 접착제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통상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 등의 성분과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1분자 중에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 사용되고, 예를 들면 알킬렌디아민류; 이소시아네이트류; 에폭시류; 알데히드류; 메틸올 요소, 메틸올 멜라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중의 가교제의 배합량은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머 등의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 통상 10∼60중량부 정도이다.The water-based adhesive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As the crosslinking agent, a compound having at least two functional groups in one molecule having reactivity with components such as polymers constituting the adhesive is usually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lkylenediamines; isocyanates; epoxies; aldehydes; and amino-formaldehyde such as methylol urea and methylol melamine.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is usually about 1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components such as polymer constituting the adhesive.

상기 접착제로서는 상기 외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에 있어서의 경화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가 1∼20개의 쇄상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지환식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다환식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는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질소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는 가교 성분으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환상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디글리세린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양이온 중합 경화형 접착제로서 에폭시기나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 경화성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s of the adhesive includ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s such as ultraviolet curable adhesives and electron beam curable adhesives.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include (meth)acrylate adhesives. Examples of the curable component in the (meth)acrylate-based adhesive include a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and a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nclude alkyl (meth)acrylates such as chain alkyl (meth)acrylates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licyclic alkyl (meth)acrylates, and polycyclic alkyl (meth)acrylates. ) acrylat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Epoxy group-containing (meth)acrylates, such as glycid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Meth) acrylate-based adhesives include hydroxyethyl (meth) acrylamide, N-methylol (meth) acrylamide, N-methoxymethyl (meth) acrylamide, N-ethoxymethyl (meth) acrylamide, ( A nitrogen-containing monomer such as meth)acrylamide and (meth)acryloylmorpholine may be included. (Meth)acrylate-based adhesives include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1,9-nonanediol diacrylate,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cyclic trimethylolpropane formal acrylate, and dioxane glycol diacrylate as crosslinking components. You may contain polyfunctional monomers, such as an acrylate and EO modified|denatured diglycerol tetraacrylate. Moreover, a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or an oxetanyl group can also be used as a cationic polymerization curable adhesive. The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t least two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and various commonly known curable epoxy compounds can be used.

상기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에틸렌옥시드 등의 접착 촉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염료, 가공 조제, 이온 트랩제, 산화방지제, 점착부여제, 충전제, 가소제, 레벨링제, 발포 억제제, 대전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The adhesive may contain suitable additives as needed. Examples of the additives include coupling agents such as silane coupling agents and titanium coupling agents, adhesion promoters such as ethylene oxide, ultraviolet absorbers, deterioration inhibitors, dyes, processing aids, ion trapping agents, antioxidants, tackifiers, and fillers. , plasticizers, leveling agents, foam inhibitors, antistatic agents, heat-resistant stabilizers, hydrolysis-resistant stabilizers and the like.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상기 투명 보호 필름측(또는 상기 기능층측), 상기 편광막측 중 어느 것에 행해도 좋고, 양자에 행해도 좋다. 접합 후에는 건조 공정을 실시하고, 도포 건조층으로 이루어진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건조 공정 후에는 필요에 따라 자외선이나 전자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30∼5000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00nm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0.1∼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adhesive may be applied to either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side (or the functional layer side) or the polarizing film side, or both. After bonding,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and an adhesive layer composed of a coating and drying layer is formed. After the drying proces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may be irradiated as need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when a water-based adhesive or the like is used, it is preferably about 30 to 5000 nm, more preferably about 100 to 1000 nm, and when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an electron beam curable adhesive, or the like is used, it is 0.1 nm. It is preferably about 100 μm, and more preferably about 0.5 to 10 μm.

상기 투명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막, 또는 상기 편광막과 상기 기능층은 표면 개질 처리층, 이접착제층, 블록층, 굴절률 조정층 등의 개재층을 통해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or the polarizing film and the functional layer may be laminated via an intervening layer such as a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layer, an adhesive layer, a block layer, or a refractive index adjusting layer.

상기 표면 개질층을 형성하는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for forming the surface modification layer include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primer treatment, and saponification treatment.

상기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이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골격, 폴리에테르 골격, 폴리카보네이트 골격, 폴리우레탄 골격, 실리콘계, 폴리아미드 골격, 폴리이미드 골격, 폴리비닐알콜 골격 등을 갖는 각종 수지를 포함하는 형성재를 들 수 있다. 상기 이접착층은 통상 보호 필름에 미리 형성해 두고, 상기 보호 필름의 이접착층측과 편광막을 상기 점착제층 또는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적층한다.Examples of the easily adhesive forming the easily adhesive layer include various resins having a polyester skeleton, a polyether skeleton, a polycarbonate skeleton, a polyurethane skeleton, a silicone base, a polyamide skeleton, a polyimide skeleton, a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the like. A forming material to be used may be mentioned. The easily adhesive layer is usually formed on a protective film in advance, and the easily adhesive layer side of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are laminat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상기 블록층은 투명 보호 필름 등으로부터 용출되는 올리고머나 이온 등의 불순물이 편광막 중에 이행(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층이다. 상기 블록층은 투명성을 갖고, 또한 투명 보호 필름 등으로부터 용출되는 불순물을 방지할 수 있는 층이면 좋고, 블록층을 형성하는 재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프리폴리머계 형성재,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형성재, 에폭시계 형성재 등을 들 수 있다.The block layer is a layer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impurities such as oligomers and ions eluted from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the like from migrating (invading) into the polarizing film. The block layer may be a layer that has transparency and can prevent impurities eluted from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the like. As a material forming the block layer, for example, a urethane prepolymer-based forming material or a cyanoacrylate-based forming material , epoxy-based forming materials, and the like.

상기 굴절률 조정층은 상기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막 등 굴절률이 다른 층 사이에서의 반사에 따른 투과율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층이다. 상기 굴절률 조정층을 형성하는 굴절률 조정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계, 아크릴계, 아크릴-스티렌계, 멜라민계 등을 갖는 각종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형성제를 들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adjusting layer is a layer formed to suppress a decrease in transmittance due to reflection between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such as the transparent protective film and a polarizing film. Examples of the refractive index adjusting material forming the refractive index adjusting layer include various resins having a silica type, an acrylic type, an acrylic-styrene type, a melamine type, and the like, and a forming agent containing additives.

<적층 편광 필름><Laminate 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적층 편광 필름(광학 적층체)은 상기 편광 필름이 광학층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광학층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1/2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함), 시야각 보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 편광 필름으로서는 특히 상기 편광 필름에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 필름 또는 반투과형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에 위상차판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 필름 또는 원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에 시각 보상 필름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 시야각 편광 필름, 또는 상기 편광 필름에 휘도 향상 필름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을 들 수 있다.In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optical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film is bonded to the optical layer. The optical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ed for forming,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ch as a reflector, a transflective plate, a retardation plate (including a 1/2 or 1/4 wave plate), and a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One layer or two or more optical layers may be used. As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in particular,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or a semi-transmissiv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further laminating a reflector or a transflective reflector on the polarizing film, an elliptically polarizing film or a circular polarizing film obtained by further laminating a retardation plate on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A wide viewing angle polarizing film formed by further laminating a visual compensation film on the film, or a polarizing film formed by further laminating a brightness enhancing film on the polarizing film.

상기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의 일방의 면 또는 양방의 면에는 액정 셀이나 유기 EL 소자 등의 화상 표시 셀과, 시인측에 있어서의 전면 투명판이나 터치 패널 등의 전면 투명 부재 등의 다른 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층이 부설되어도 좋다. 상기 접착제층으로서는 점착제층이 적합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흡습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an image display cell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or an organic EL element, and other members such as a front transparent member such as a front transparent plate or a touch panel on the viewing side.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may be provided. As the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is suitab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 acrylic polymer, a silicone-based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polyamide, polyether, fluorine-based or rubber-based polymers are appropriately selected as base polymers, and can be used In particular, those having excellent optical transparency, exhibiting moderate hygroscopicity,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and having excellent weatherability,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such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의 점착제층의 부설은 적당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부설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유연 방식이나 도포 방식 등의 적당한 전개 방식으로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상에 직접 부설하는 방식, 또는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것을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 상에 이착하는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당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500㎛이고, 5∼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편광 필름이나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또는 점착제층 구비 적층 편광 필름이라고 한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ppli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by an appropriate method. As the applic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is prepared and applied directly on the polarizing film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by an appropriate spreading method such as a casting method or a coating method, or a method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a separator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it onto the polarizing film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r adhesive strength, and is generally 1 to 500 μm, preferably 5 to 200 μm, and more preferably 10 to 100 μm. In this way, a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 laminated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referred to as a polarizing film with an adhesive layer or a laminated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제층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제공되기까지의 사이에 그 오염방지 등을 목적으로 세퍼레이터를 임시부착하여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통례의 취급 상태에서 점착제층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그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를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나 장쇄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당한 박리제로 코트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된다.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exposed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temporarily attaching a separato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r the like until it is put into practical use. Thereby, contamination of the adhesive layer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in the usual handling condition. As the separator, for example, a plastic film, rubber sheet, paper, cloth, nonwoven fabric, net, foam sheet, metal foil, or a laminate thereof, etc., may be selected as necessary. What was coated with a suitable release agent, etc. are used.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화상 표시 패널은 화상 표시 셀에 상기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적층 편광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의 편광 필름 또는 적층 편광 필름측(시인측)에 전면 투명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In the image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film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is bonded to an image display cell. Furthermore,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transparent member on the polarizing film or laminated polarizing film side (visible side) of the image display panel.

상기 화상 표시 셀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셀이나 유기 EL 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액정 셀로서는, 예를 들면 외광을 이용하는 반사형 액정 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하는 투과형 액정 셀, 외부로부터의 광과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양자를 이용하는 반투과 반반사형 액정 셀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액정 셀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하는 것일 경우, 화상 표시 장치(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셀(액정 셀)의 시인측과 반대측에도 편광 필름이 배치되고, 또한 광원이 배치된다. 상기 광원측의 편광 필름과 액정 셀은 적당한 접착제층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셀의 구동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VA 모드, IPS 모드, TN 모드, STN 모드나 벤드 배향(π형)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said image display cell, a liquid crystal cell,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cell,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s the liquid crystal cell, for example, a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cell using external light,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cell 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such as a backlight, or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cell using both external light and light from a light source. You may use it. When the liquid crystal cell uses light from a light source, the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polarizing film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viewing side of the image display cell (liquid crystal cell), and a light source is further dispo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ell on the side of the light source are bonded through an appropriate adhesive layer. As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y type such as VA mode, IPS mode, TN mode, STN mode, or bend alignment (π type) can be used, for example.

상기 유기 EL 셀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 기판 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순서대로 적층해서 발광체(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발광체)를 형성한 것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각종의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고, 예를 들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 유기 고체로 이루어진 발광층의 적층체나, 이들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또는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각종의 층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As the organic EL cell,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body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emitting body)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transparen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metal electrode on a transparent substrate is preferably used.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s a laminate of various organic thin films, for example, a laminate of a hole injection layer made of a triphenylamine derivative and the like and a light-emitting layer made of a fluorescent organic solid such as anthracene, or an electronic light-emitting layer made of these light-emitting layers and a perylene derivative. Various layer configurations can be employed, such as a laminate of an injection layer or a laminate of a hole injection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상기 화상 표시 셀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전면 투명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전면 투명판(윈도우층)이나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면 투명판으로서는 적당한 기계 강도 및 두께를 갖는 투명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투명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 같은 투명 수지판, 또는 유리판 등이 사용된다. 상기 터치 패널로서는,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의 각종 터치 패널이나, 터치 센서 기능을 구비하는 유리판이나 투명 수지판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전면 투명 부재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터치 패널보다 더욱 시인측에, 유리나 투명 수지판으로 이루어진 전면 투명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front transparent member arranged on the viewer side of the said image display cell, a front transparent board (window layer), a touch panel,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s the front transparent plate, a transparent plate having appropriate mechanical strength and thickness is used. As such a transparent plate, a transparent resin plate such as an acrylic resin or a polycarbonate resin, a glass plate, or the like is used, for example. As said touch panel, various touch panel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ance method, an optical method, and an ultrasonic method, a glass plate, a transparent resin board, etc.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function are used, for example. When a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is used as the front transparen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a front transparent plate made of glass or a transparent resin plate is formed further on the viewing side than the touch panel.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giving examples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편광막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평균 중합도가 2,400, 비누화도가 99.9몰%, 두께가 45㎛인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준비했다.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주속비가 다른 롤 사이에서 20℃의 팽윤 배스(수욕) 중에 30초간 침지해서 팽윤하면서 반송 방향으로 2.2배로 연신하고(팽윤 공정), 계속해서 30℃의 염색 배스(물 100중량부에 대해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을 1:7의 중량비로 배합해서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막의 요오드 농도가 3.0중량%가 되도록 농도를 조정하면서 30초간 침지해서 염색하면서 원래의 폴리비닐알콜 필름(반송 방향으로 전혀 연신되어 있지 않은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반송 방향으로 3.3배로 연신했다(염색 공정). 이어서, 염색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40℃의 가교 배스(붕산 농도가 3.5중량%, 요오드화칼륨 농도가 3.0중량%, 황산아연 농도가 3.6중량%인 수용액) 중에서 28초간 침지해서 원래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반송 방향으로 3.6배까지 연신했다(가교 공정). 또한, 얻어진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64℃의 연신 배스(붕산 농도가 4.5중량%, 요오드화칼륨 농도가 5.0중량%, 황산아연 농도 5.0중량%인 수용액) 중에서 60초간 침지해서 원래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반송 방향으로 6.0배까지 연신한(연신 공정) 후, 27℃의 세정 배스(요오드화칼륨 농도가 2.3중량%,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로서 하기 일반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가 1.0중량%인 수용액) 중에서 10초간 침지했다(세정 공정). 세정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40℃에서 30초간 건조해서 편광막을 제작했다. 편광막의 요오드 농도는 이하의 측정 방법으로 구했다. 편광막 중의 하기 일반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0.3중량%이고, 편광막의 두께가 18㎛이었다. 또한, 하기 일반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25℃의 물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이상 용해되는 화합물이다.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400,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and a thickness of 45 µm was prepared.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immersed for 30 seconds in a swelling bath (water bath) at 20 ° C. between rolls with different peripheral speed ratios, and stretched 2.2 times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ile swelling (swelling step), followed by a dyeing ba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30 ° C. Iodine solution obtained by blending iodine and potassium iodide at a weight ratio of 1:7) in the original polyvinyl alcohol film ( It was stretched 3.3 times in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basis of a polyvinyl alcohol film not stretch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at all) (dyeing step). Next, the dyed polyvinyl alcohol film was immersed for 28 seconds in a crosslinking bath (boric acid concentration of 3.5% by weight,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of 3.0% by weight, and zinc sulfate concentration of 3.6% by weight) at 40 ° C. to recover the original polyvinyl alcohol. Based on the film, it was stretched up to 3.6 tim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crosslinking step). Further, the obtained polyvinyl alcohol film was immersed for 60 seconds in a stretching bath (boric acid concentration of 4.5% by weight,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of 5.0% by weight, and zinc sulfate concentration of 5.0% by weight) at 64 ° C. for 60 seconds to prepare the original polyvinyl alcohol film. After stretching up to 6.0 tim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as a guide (stretching step), a washing bath at 27 ° C.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is 2.3% by weight,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9) a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s 1.0 % by weight aqueous solution) for 10 seconds (washing step). The washed polyvinyl alcohol film was dried at 40°C for 30 seconds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polarizing film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The conte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9) in the polarizing film was 0.3% by weight, an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was 18 µm. In addition,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9) is a compound that dissolves 1 part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25°C.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09

[편광막 중의 요오드 농도(중량%)의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iodine concentration (% by weight) in polarizing film]

편광막에 대해서 형광 X선 분석장치(Rigaku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ZSX Primus IV」, 측정 지름: φ20mm)을 이용하여, 하기 식을 이용하여 요오드 농도(중량%)를 구했다. For the polarizing film, the iodine concentration (% by weight) was determined using a fluorescence X-ray analyzer (manufactured by Rigaku Corporation, trade name "ZSX Primus IV", measuring diameter: φ20 mm) using the following formula.

요오드 농도(중량%)=14.474×(형광 X선 강도)/(필름 두께)(kcps/㎛) Iodine concentration (% by weight) = 14.474 × (fluorescence X-ray intensity) / (film thickness) (kcps / μm)

또한, 농도를 산출할 때의 계수는 측정 장치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계수는 적절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efficient for calculating the concent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measuring device, but the coefficient can be obtained using an appropriate calibration curve.

[편광막 중의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함유량(중량%)의 측정 방법][Measurement method of content (wt%) of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n polarizing film]

편광막 약 20mg을 채취, 정량하고, 물 1mL 중에서 가열 용해시킨 후, 메탄올 4.5mL로 희석하고, 얻어진 추출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여액을 HPLC(Waters Corporation 제품, ACQUITY UPLC H-class Bio)을 이용하여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의 농도를 측정했다.About 20 mg of the polarizing film was collected, quantified, dissolved by heating in 1 mL of water, diluted with 4.5 mL of methanol, and the resulting extract was filtered through a membrane filter, and the filtrate was HPLC (manufactured by Waters Corporation, ACQUITY UPLC H-class Bio). The concentration of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was measured using

<편광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접착제로서 아세트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콜 수지(평균 중합도가 1,200, 비누화도가 98.5몰%, 아세트아세틸화도가 5몰%)와 메틸올멜라민을 중량비 3:1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했다. 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막의 일방의 면(화상 표시 장치 셀측)에 (메타)아크릴계 수지(락톤환 구조를 갖는 변성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진 두께 30㎛의 투명 보호 필름(NIPPON SHOKUBAI CO., LTD. 제품, 투습도는 125g/(㎡·24h))을, 또한 타방의 면(시인측)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FUJIFILM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TJ40UL」)에 HC를 형성한 두께 49㎛의 투명 보호 필름(투습도는 300g/(㎡·24h))을 롤 접합기로 접합한 후, 계속해서 오븐 내에서 가열 건조(온도가 90℃, 시간이 10분간)시켜서, 편광막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된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As an adhesiv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 resin containing an acetacetyl group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1,200, degree of saponification: 98.5% by mole, degree of acetoacetylation: 5% by mole) and methylolmelamine at a weight ratio of 3:1 was used. Using this adhesive,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NIPPON SHOKUBAI CO., LTD., LTD. product, with a water vapor permeability of 125 g/(m² 24 h)), and a triacetyl cellulose film (manufactured by FUJIFILM Corporation, trade name "TJ40UL") on the other side (visible side) with HC formed thereon, and a transparent protection with a thickness of 49 μm. After bonding the film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300g/(m2 24h)) with a roll bonding machine, it is then heated and dried in an oven (temperature: 90°C, time: 10 minutes) to form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bond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아크릴계 점착제의 조제><Preparation of acrylic adhesive>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9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부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했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고형분) 100부에 대해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부를 아세트산 에틸 100부와 함께 투입하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해서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55℃ 부근으로 유지하고 8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Mw) 18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조제했다. 그 후,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Tosoh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TAKENET D110N」,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0.02부, 실란 커플링제(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상품명 「X-41-1056」) 0.2부를 배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을 조제했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용액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Mitsubishi Chemical Polyester Film Corporation 제품, 상품명 「MRF38」, 세퍼레이터 필름)의 편면에,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를 행하여, 세퍼레이터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상기에서 제작한 편광 필름의 일방의 면에 세퍼레이터 필름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점착제층을 가진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A monomer mixture containing 99 parts of butyl acrylate and 1 part of 4-hydroxybutyl acrylate was charged into a four-necked flask equipped with a stirring blade, a thermometer, a nitrogen gas inlet tube, and a condenser. In addition, 0.1 part of 2,2'-azobisisobutyronitril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the monomer mixture (solid content) was added together with 100 parts of ethyl acetate, and nitrogen gas was introduced while stirring slowly to replace nitrogen, The liquid temperature in the flask was maintained at around 55°C,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for 8 hours, and a solution of an acrylic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800,000 was prepared. Thereafter, 0.02 part of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trade name "TAKENET D110N", trimethylolpropane/xylylene diisocyanate adduct), a silane coupling agent (Shin-Etsu Chemical Co., Ltd. product, brand name "X-41-1056") 0.2 part was mix|blended, and the solution of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Next, the solution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btained above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Polyester Film Corporation, trade name "MRF38", separator film) treated with a silicone-based release agent, and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drying was 20 μm. It was applied as much as possible, and dried at 90°C for 1 minute to form an adhesiv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film. Next,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separator film was transferr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ed above,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an adhesive layer was produced.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단체 투과율 변화의 평가][Evaluation of single transmittance change in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상기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편광막의 흡수축이 장변이 되도록 300×10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점착제층을 통해서 유리판(유사 화상 표시 셀)을 접합하고, 50℃, 0.5MPa에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적층체의 샘플을 제작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온도 105℃의 열풍 오븐 내에 1000시간 정치하고, 투입(가열) 전후의 단체 투과율(ΔTs)을 측정했다. 단체 투과율은 분광광도계(JASCO Corporation 제품, 제품명 「V7100」)를 사용해서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에서 평가했다. 또한, 측정 파장은 380∼700nm(5nm마다)이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polarizing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btained above was cut into a size of 300 × 100 mm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was the long side, and a glass plate (simulated image display cell) was bonded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llowed by an auto temperature of 50°C and 0.5 MPa for 15 minutes. The clave process was carried out to produce a sample of the laminated body. The obtained layered product was left still in a hot air oven at a temperature of 105°C for 1000 hours, and the single transmittance (ΔTs) before and after injection (heating) was measured. The single transmittance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manufactured by JASCO Corporation, product name "V7100"),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In addition, the measurement wavelength is 380 to 700 nm (every 5 n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ΔTs(%) = Ts1000-Ts0 ΔTs(%) = Ts 1000 -Ts 0

여기에서, Ts0은 가열 전의 적층체의 단체 투과율이고, Ts1000은 1000시간 가열 후의 적층체의 단체 투과율이다.Here, Ts 0 is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laminate before heating, and Ts 1000 is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laminate after heating for 1000 hours.

상기 ΔTs(%)는 5≥ΔTs(%)≥0인 것이 바람직하고, 3≥ΔTs(%)≥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ΔTs(%) is preferably 5≥ΔTs(%)≥0, and more preferably 3≥ΔTs(%)≥0.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의 횡단 크랙 발생의 평가][Evaluation of generation of transverse crack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상기 적층체의 샘플을 온도 105℃의 열풍 오븐 내에 1000시간 정치한 후, 온도 23℃, 상대습도 55%로 설정한 클린룸에서 꺼내고, 꺼낸 후 10분 경과 후의 외관을 하기 기준으로 목시로 평가했다.After the sample of the laminate was left still in a hot air oven at a temperature of 105 ° C. for 1000 hours, it was taken out of a clean room set at a temperature of 23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

○: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의 횡단 크랙 발생이 없음.○: There is no generation of transverse crack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 방향의 횡단 크랙 발생이 있음.×: Transverse cracks occurr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실시예 2><Example 2>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편광막의 흡수축이 장변이 되도록 850×30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점착제층을 통해서 유리판(유사 화상 표시 셀)을 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film with an adhesive layer was cut into a size of 850 x 300 mm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was the long side, and a glass plate (simulated image display cell) was bond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did.

<실시예 3><Example 3>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편광막의 흡수축이 장변이 되도록 440×115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점착제층을 통해서 유리판(유사 화상 표시 셀)을 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film with an adhesive layer was cut into a size of 440 × 115 mm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was the long side, and a glass plate (simulated image display cell) was bond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did.

<실시예 4><Example 4>

편광막의 제작에 있어서, 두께가 30㎛인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준비하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막의 요오드 농도가 4.2중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편광막 중의 상기 일반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0.3중량%이고, 편광막의 두께가 12㎛이었다.In preparation of the polarizing film, 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was prepared, and 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finally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4.2%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9) in the polarizing film was 0.3% by weight, an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was 12 µm.

<실시예 5><Example 5>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편광막의 흡수축이 장변이 되도록 680×8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점착제층을 통해서 유리판(유사 화상 표시 셀)을 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arizing film with an adhesive layer was cut into a size of 680 x 80 mm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was the long side, and a glass plate (simulated image display cell) was bond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did.

<실시예 6><Example 6>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을 편광막의 흡수축이 장변이 되도록 1260×300mm의 사이즈로 절단하고, 점착제층을 통해서 유리판(유사 화상 표시 셀)을 접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the polarizing film with an adhesive layer was cut into a size of 1260 × 300 mm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was the long side, and a glass plate (simulated image display cell) was bond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did.

<실시예 7><Example 7>

편광막의 제작에 있어서, 두께가 20㎛인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준비하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막의 요오드 농도를 5.4중량%로 한 것, 또한 세정 공정에서 18℃의 세정 배스(요오드화칼륨 농도가 3.6중량%,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로서 하기 일반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가 1.0중량%인 수용액) 중에서 10초간 침지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 편광막 중의 상기 일반식(9)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0.3중량%이고, 편광막의 두께가 7㎛이었다.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was prepared, and the iodine concentration of the finally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5.4% by weight, and in the cleaning step, a washing bath at 18 ° C.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of 3.6% by weight) %,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 by weight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9) a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The conten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9) in the polarizing film was 0.3% by weight, an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was 7 µ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편광막의 제작에 있어서, 세정 배스에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로서 상기 일반식(9)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In preparation of the polarizing film, 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bove formula (9) was not added a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to the cleaning bath.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편광막의 제작에 있어서, 세정 배스에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로서 상기 일반식(9)을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작으로 적층체를 제작했다.In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bove formula (9) was not added a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to the cleaning bath.

상기에서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적층체를 사용하여 상기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Said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laminated body of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obtained abov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0

Claims (6)

편광막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막은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를 포함하고, 또한
일반식(X): 2.0≤a/b
[일반식(X) 중, a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평행의 길이(mm)를 나타내고, 또한 200 초과의 값이고, b는 편광막의 흡수축에 대한 직교의 길이(mm)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길이의 비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The polarizing film includes a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and
Formula (X): 2.0≤a/b
[In formula (X), a represents the length (mm)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nd is a value greater than 200, and b represents the length (mm)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the condition of the ratio of lengths represented by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막은 두께가 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4 ~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라디칼 포착제는 니트록시 라디칼 또는 니트록시드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soluble radical scavenger is a compound having a nitroxy radical or a nitroxide group.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 필름이 광학층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편광 필름.A laminated polariz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s bonded to an optical layer. 화상 표시 셀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 필름,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적층 편광 필름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패널.An image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r the laminated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claim 4 is bonded to an image display cell. 제 5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패널의 편광 필름 또는 적층 편광 필름측에 전면 투명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ront transparent member on the side of the polarizing film or laminated polarizing film of the image display panel according to claim 5.
KR1020227016177A 2020-03-30 2021-03-23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15934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9602 2020-03-30
JP2020059602 2020-03-30
PCT/JP2021/011932 WO2021200390A1 (en) 2020-03-30 2021-03-23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342A true KR20220159342A (en) 2022-12-02

Family

ID=7792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177A KR20220159342A (en) 2020-03-30 2021-03-23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162858A (en)
KR (1) KR20220159342A (en)
CN (1) CN115176181A (en)
TW (1) TW202200686A (en)
WO (1) WO2021200390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6468A (en) 2009-01-30 2012-07-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JP2014102353A (en)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ose
JP2018101117A (en) 2016-12-21 2018-06-28 日東電工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680B2 (en) * 1997-03-12 2008-04-09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Cellulose deriva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1172224A (en) * 1999-12-21 2001-06-26 Idemitsu Petrochem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polymerization of vinyl compound
JP6444763B2 (en) * 2015-02-20 2018-12-26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6586276B2 (en) * 2015-02-20 2019-10-02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un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JP6718657B2 (en) * 2015-02-27 2020-07-08 住友化学株式会社 Composition
KR20160116900A (en) * 2015-03-31 2016-10-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Complex polaritzaion plate
KR20210089631A (en) * 2018-11-12 2021-07-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049491A (en) * 2019-08-28 2022-04-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6468A (en) 2009-01-30 2012-07-1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POLARIZ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JP2014102353A (en) 2012-11-19 2014-06-05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ose
JP2018101117A (en) 2016-12-21 2018-06-28 日東電工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0390A1 (en) 2021-10-07
JP2021162858A (en) 2021-10-11
CN115176181A (en) 2022-10-11
TW202200686A (en) 2022-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482B1 (en) image display device
JP6964800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JP6964799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JP6964798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JPWO2020100887A1 (en)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film, a laminated polarizing film, an image display panel,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film.
JP7401400B2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KR20220159342A (en)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1215385A1 (en)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21215384A1 (en) Polarizing film, layer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30002273A (en)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KR20230007311A (en)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164466A (en) polarizing film
KR20220164467A (en)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KR20220049492A (en)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