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240A - 3방향 분배기/결합기 - Google Patents

3방향 분배기/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240A
KR20220159240A KR1020210138232A KR20210138232A KR20220159240A KR 20220159240 A KR20220159240 A KR 20220159240A KR 1020210138232 A KR1020210138232 A KR 1020210138232A KR 20210138232 A KR20210138232 A KR 20210138232A KR 20220159240 A KR20220159240 A KR 2022015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line
branch line
combine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은혁
고동옥
금재민
김진용
한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1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with combining or separating polaris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5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strip line filters

Landscapes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는, 제1 포트, 상기 제1 포트로부터 분기되어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양쪽으로 연장된 제1 단 수평선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제2, 제3 및 제4 가지선, 상기 제1 가지선의 단부에 위치한 제2 포트, 상기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이 병합되어 연장된 단부에 위치한 제3 포트, 및 상기 제4 가지선의 단부에 위치한 제4 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방향 분배기/결합기{3-WAY DIVIDER/COMBINER}
본 개시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에 관한 것이다.
RF 부품의 공통적인 개발 추세로 제품의 소형화와 안정적인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분배기/결합기는 RF 부품의 하나로 목표한 전력과 위상을 분배 또는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3방향 분배기는 2방향 분배기와 달리 인가된 전력이 3방향으로 분배되는 모든 경로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어렵다. 따라서, 동일 전력과 위상을 분배하기 위한 3방향 분배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제품이 고밀도로 소형화 추세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서는 3방향 분배기도 크기가 작으면서 제작 공차에 둔감한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실시예의 일 측면은 작은 크기를 가지며 손실이 적은 소형화 설계 기법에 적합하고 제작 공차에 대해 설계한 목표치 대비 특성 변화가 둔감한 특성을 갖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들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는, 제1 포트, 상기 제1 포트로부터 분기되어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양쪽으로 연장된 제1 단 수평선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제2, 제3 및 제4 가지선, 상기 제1 가지선의 단부에 위치한 제2 포트, 상기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이 병합되어 연장된 단부에 위치한 제3 포트, 및 상기 제4 가지선의 단부에 위치한 제4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은 상기 제1 단 수평선로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지선과 제3 가지선은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단 수평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 수평선로의 선폭이 상기 제2 단 수평선로의 선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지나는 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상기 제2 가지선은 상기 제3 포트보다 상기 제2 포트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3 가지선은 상기 제3 포트보다 상기 제4 포트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 각각의 선폭은 상기 제2 가지선과 제3 가지선 각각의 선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의 선폭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가지선과 제3 가지선의 선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트는 입력 포트이며,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는 출력 포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는 입력 포트이며, 상기 제1 포트는 출력 포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는, 제1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로부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양쪽으로 연장된 제1 단 수평선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의 양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각각 제2 포트와 제4 포트를 형성하는 제1 가지선 및 제4 가지선, 상기 제1 가지선 및 제4 가지선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 및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제2 단 수평선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 포트는 상기 제2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포트와 제3 포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와 반대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에 의하면, 크기가 작으면서도 손실이 적고 목표한 전력과 위상을 정확하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제작 공차에 대해 설계한 목표치 대비 특성 변화가 둔감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에서 각 포트 입·출력 신호 간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에서 각 포트 입·출력 신호 간의 위상 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외측(outer) 형태로 적용한 3-in-1 필터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내측(inner) 형태로 적용한 3-in-1 필터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손실 스펙트럼(Insertion Loss Spectrum)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와 변형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포트(11), 제2 포트(12), 제3 포트(13) 및 제4 포트(14)를 포함하고, 제1 포트(11)는 제2, 제3, 제4 포트(14)와 반대 쪽에 위치한다. 제1 포트(11)가 입력 포트가 되면, 제2, 제3, 제4 포트(14)는 출력 포트가 되고, 제1 포트(11)가 출력 포트가 되면, 제2, 제3, 제4 포트(14)는 입력 포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3방향 분배기/결합기는 제1 포트(11)가 입력 포트가 될 때 분배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1 포트(11)가 출력 포트가 될 때 결합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포트(11)로부터 분기되는 제1 단 수평선로(20)를 포함한다. 제1 단 수평선로(20)는 제1 방향(도면의 x축 방향)과 나란하게 제1 포트(11)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단 수평선로(20)로부터 제1, 제2, 제3 및 제4 가지선(31, 32, 33, 34)이 분기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가지선(31, 32, 33, 34)은 제2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 방향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례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가지선(31)과 제4 가지선(34)은 제1 단 수평선로(20)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고, 제2 가지선(32)과 제3 가지선(33)은 제1 가지선(31)과 제4 가지선(3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선(31)의 단부에는 제2 포트(12)가 위치하고, 제4 가지선(34)의 단부에는 제4 포트(14)가 위치할 수 있다. 제3 포트(13)는 제2 포트(12)와 제4 포트(14)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 가지선(32) 및 제3 가지선(33)이 병합되어 연장된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지선(32)과 제3 가지선(33)은 서로 연결되어 제2 단 수평선로(4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단 수평선로(40)는 제1 단 수평선로(20)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1 단 수평선로(20)의 선폭은 제2 단 수평선로(40)의 선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들 수평선로(20, 40)의 선폭은 제2 방향과 나란하게 측정될 수 있다.
제1 포트(11)와 제3 포트(13)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포트(11)와 제3 포트(13)를 지나는 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제2 가지선(32)은 제3 포트(13)보다 제2 포트(1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가지선(33)은 제3 포트(13)보다 제4 포트(14)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지선(31)과 제4 가지선(34) 각각의 선폭은 제2 가지선(32)과 제3 가지선(33) 각각의 선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선(31)과 제4 가지선(34)의 선폭은 서로 동일하고, 제2 가지선(32)과 제3 가지선(33)의 선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가지선들(31, 32, 33, 34)의 선폭은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측정될 수 있다.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포트(11), 제2 포트(12), 제3 포트(13), 및 제4 포트(14)는 다른 전자 부품의 단자부와 접속될 수 있다.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에서 제1 포트(11), 제2 포트(12), 제3 포트(13), 및 제4 포트(14)를 제외한 영역은 분배기 영역(30)이 되고, 분배기 영역(30)은 입력 신호를 분배하거나 결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50)는 기판(53) 상의 일면에 도전성 물질로 된 전송선로 패턴(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53)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판(53)의 반대 쪽 일면에는 접지 패턴(51)이 배치될 수 있다.
3방향 분배기/결합기(50)의 전송선로 패턴(1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포트와 그 반대 쪽에 위치하는 제2, 제3, 및 제4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선로 패턴(10)은 기판(53)의 일면에 위치하므로 제1 내지 제4 포트는 상기 일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제1 내지 제4 포트를 통해 전자 부품의 단자들이 접속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60)는 차례대로 적층되는 제1 기판(63), 제2 기판(65) 및 제3 기판(67)을 포함하고, 제1 기판(63)의 일면에 도전성 물질로 된 전송선로 패턴(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63)의 위에는 제2 기판(65)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기판(63)과 제2 기판(6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63), 제2 기판(65) 및 제3 기판(67)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기판(63)의 바닥면과 제3 기판(67)의 상면에는 접지 패턴(61, 69)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전송선로 패턴(10)과 접지 패턴(61, 69)은 일례로 구리(Cu)로 이루어질 수 있다.
3방향 분배기/결합기(60)의 전송선로 패턴(1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포트와 그 반대 쪽에 위치하는 제2, 제3, 및 제4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선로 패턴(10)은 제1 기판(63)과 제2 기판(65)의 사이에 위치하므로 외부 접속을 위해 제1 내지 제4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아(미도시)가 제2 기판(65) 및 제3 기판(67)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아가 제3 기판(67)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경우 접지 패턴(69) 내에 개구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제1 내지 제4 포트를 통해 전자 부품의 단자들이 접속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3방향 분배기/결합기(60)의 제1 내지 제4 포트에 연결되는 비아와 이에 대응하는 접지 패턴(69)의 개구 형상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채택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에서 각 포트 입·출력 신호 간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에서 각 포트 입·출력 신호 간의 위상 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는 도 1에 도시한 전송선로 패턴(10) 구조를 갖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에서 각 포트 입·출력 신호 간의 S 파라미터(S-parameter) 결과이다. S21은 제1 포트와 제2 포트 간의 삽입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S31은 제1 포트와 제3 포트 간의 삽입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S41은 제1 포트와 제4 포트 간의 삽입 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역 내 중심 주파수(3.55GHz)에서 각 포트 간의 삽입 손실을 측정한 결과 S21은 4.82dB, S31은 4.83dB, S41은 4.81dB로 나타난 바, 각 포트의 전력 크기는 0.02dB 이내의 작은 오차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역 내 중심 주파수(3.55GHz)에서 각 포트 입·출력 신호 간의 위상 차를 측정한 결과 deg(S(2,1))은 -53.68deg, deg(S(3,1))과 deg(S(4,1))은 -53.83deg로 나타난 바, 각 포트 입·출력 신호 간의 위상 차는 0.3 deg. 이내로 작은 오차를 보였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외측(outer) 형태로 적용한 3-in-1 필터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를 내측(inner) 형태로 적용한 3-in-1 필터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 한 쌍을 외측(outer) 형태로 기판(73) 상에 배치하여 3-in-1 필터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즉,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포트를 구성하는 제1 포트(11)가 기판(73)의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내지 제4 포트(12, 13, 14)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75)은 서로 마주보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제2 내지 제4 포트(12, 13, 14)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73)에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을 이용하여 3방향 분배기/결합기가 제작될 수 있어 전기적 손실과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 한 쌍을 내측(inner) 형태로 기판(83) 상에 배치하여 3-in-1 필터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즉,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포트를 구성하는 제1 포트(11)가 기판(83)의 안쪽 방향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내지 제4 포트(12, 13, 14)는 기판(83)의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85)은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제2 내지 제4 포트(12, 13, 14)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83)에 스트립라인(stripline) 구조로 구성될 수 있어 모듈의 크기를 필터만의 크기만큼 줄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8은 비교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손실 스펙트럼(Insertion Loss Spectrum)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는 사선 라인을 갖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91)이고(비교예 1), (b)는 (a)의 구조에 비해 35% 감소된 크기를 갖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92)이며(비교예 2), (c)는 (b)의 크기를 50% 감소한 구조의 3방향 분배기/결합기(93)이다(비교예 3). 예를 들어, (a) 구조에서 가로 전체 폭(wh)은 11.5mm, 분배기 영역의 세로 폭(wva)은 2.92mm가 될 수 있고, (b) 구조에서 분배기 영역의 세로 폭(wvb)은 2.0mm가 될 수 있으며, (c) 구조에서 분배기 영역의 세로 폭(wvc)은 1.0mm가 될 수 있다. 이 때 (c) 구조에서 제3 포트가 연결되는 제2 단 수평 선로의 폭(wlc)은 0.12m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에 부합하도록 분배기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에 따라 수평 선로의 폭이 좁아져 제작 오차에 민감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전송선로 패턴(10)은 분배기 영역(30)에서 도 8의 (c) 구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지만, 제3 포트(13)가 연결되는 제2 단 수평 선로(40)의 폭(wl)은 0.3mm가 될 수 있다. 즉, (c) 구조와 비교하여 제2 단 수평 선로의 폭이 250% 증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a)~(c)에 도시한 비교예 1 내지 3과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손실 스펙트럼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입력 손실(Insertion Loss)은 제2, 제3, 제4 포트에서 출력된 신호의 합에 제1 포트에 인가된 신호의 비로 나타냈다. 대역 내 중심 주파수(3.55GHz)에서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의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손실은 각각 0.11dB, 0.06dB, 0.06dB이고,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손실은 0.05dB로 계산되었다. 즉, 실시예에 따른 3방향 분배기/결합기의 입력 손실이 가장 작은 손실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3방향 분배기/결합기) 전송선로 패턴
11, 12, 13, 14: 제1, 제2, 제3, 제4 포트
20: 제1 단 수평선로
30: 분배기 영역
31, 32, 33, 34: 제1, 제2, 제3, 제4 가지선
40: 제2 단 수평선로
50, 60: 3방향 분배기/결합기
51, 61, 69: 접지 패턴
53, 63, 65, 67, 73, 83: 기판
75, 85: 필터 모듈

Claims (20)

  1. 제1 포트;
    상기 제1 포트로부터 분기되어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양쪽으로 연장된 제1 단 수평선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제2, 제3 및 제4 가지선;
    상기 제1 가지선의 단부에 위치한 제2 포트;
    상기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이 병합되어 연장된 단부에 위치한 제3 포트; 및
    상기 제4 가지선의 단부에 위치한 제4 포트
    를 포함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은 상기 제1 단 수평선로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지선과 제3 가지선은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의 사이에 배치된, 3방향 분배기/결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을 서로 연결하는 제2 단 수평선로를 더 포함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의 선폭이 상기 제2 단 수평선로의 선폭보다 더 넓은, 3방향 분배기/결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를 지나는 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3방향 분배기/결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지선은 상기 제3 포트보다 상기 제2 포트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3 가지선은 상기 제3 포트보다 상기 제4 포트에 더 가깝게 배치된, 3방향 분배기/결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 각각의 선폭은 상기 제2 가지선과 제3 가지선 각각의 선폭보다 더 넓은, 3방향 분배기/결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의 선폭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 가지선과 제3 가지선의 선폭은 서로 동일한, 3방향 분배기/결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포트는 입력 포트이며,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는 출력 포트인, 3방향 분배기/결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와 반대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는 입력 포트이며,
    상기 제1 포트는 출력 포트인, 3방향 분배기/결합기.
  13. 제1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로부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양쪽으로 연장된 제1 단 수평선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의 양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각각 제2 포트와 제4 포트를 형성하는 제1 가지선 및 제4 가지선;
    상기 제1 가지선 및 제4 가지선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 및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가지선 및 제3 가지선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포트를 포함하는 제2 단 수평선로
    를 포함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1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 포트는 상기 제2 단 수평선로로부터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포트와 제3 포트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3방향 분배기/결합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3 포트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지선은 상기 제3 포트보다 상기 제2 포트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3 가지선은 상기 제3 포트보다 상기 제4 포트에 더 가깝게 배치된, 3방향 분배기/결합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 수평선로의 선폭이 상기 제2 단 수평선로의 선폭보다 더 넓은, 3방향 분배기/결합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지선과 제4 가지선 각각의 선폭은 상기 제2 가지선과 제3 가지선 각각의 선폭보다 더 넓은, 3방향 분배기/결합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포트와 반대 쪽으로 돌출되는, 3방향 분배기/결합기.
KR1020210138232A 2021-05-25 2021-10-18 3방향 분배기/결합기 KR202201592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05 2021-05-25
KR20210066605 2021-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240A true KR20220159240A (ko) 2022-12-02

Family

ID=8441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232A KR20220159240A (ko) 2021-05-25 2021-10-18 3방향 분배기/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2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370B2 (en) 180 degrees hybrid coupler
US4967171A (en)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US8063715B2 (en) Directional coupler
US8648669B1 (en) Planar transmission-line interconnection and transition structures
KR20140124155A (ko)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평면형 rf 크로스오버 구조
CN114156622B (zh) 一种宽带、低损耗一分六功分器及其设计方法
KR20220159240A (ko) 3방향 분배기/결합기
KR20040018411A (ko) 일체형 마이크로스트립 연결 포트를 구비한 동평면 도파관커플러
EP1346432B1 (en) Four port hybrid microstrip circuit of lange type
JP5775757B2 (ja) 多段結合型のカプラ
KR101590907B1 (ko) 새로운 강 결합 방법을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
CN109585994B (zh) 小型化双层半模基片集成波导六端口器件
US5789997A (en) Bypassable wilkinson divider
US20220263212A1 (en) High frequency power divider/combiner circuit
US20230034066A1 (en) BROADBAND AND LOW COST PRINTED CIRCUIT BOARD BASED 180º HYBRID COUPLERS ON A SINGLE LAYER BOARD
US20090284326A1 (en) Balanced hybrid coupler
US4093928A (en) Microstrip hybrid ring coupler
JP2565127B2 (ja) 3dB90゜ハイブリッド方向性結合器
KR102271661B1 (ko) 기판 집적 도파관을 이용한 밸런
JP5152307B2 (ja) 交差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180度ハイブリッド回路
CN105514563B (zh) 分支线型定向耦合分配器
CN113422207B (zh) 巴特勒矩阵电路及电子设备
TWI783489B (zh) 整合式循環器系統、其製造方法和使用其之隔離器電路
KR100386728B1 (ko) 다단 결합선로를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
CN204271233U (zh) 紧凑型波导功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