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800A -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800A
KR20220158800A KR1020227037242A KR20227037242A KR20220158800A KR 20220158800 A KR20220158800 A KR 20220158800A KR 1020227037242 A KR1020227037242 A KR 1020227037242A KR 20227037242 A KR20227037242 A KR 20227037242A KR 20220158800 A KR20220158800 A KR 20220158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lectronic device
target
identifi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메이 리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5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적용되는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제1 전자 장비에 적용되며;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201); 및 제1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인 단계(S20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0년 3월 30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출원 202010237842.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전체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통신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휴대전화,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 장비의 지능화 정도가 날따라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간편성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현재, 하나의 전자 장비가 복수의 전자 장비와 컨텐츠를 공유해야 하는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전자 장비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시각에 다른 하나의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예: 스크린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 사진 및 비디오 등의 미디어 파일)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비(1)는 전자 장비(2)와 연결을 구축해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자 장비(1)가 전자 장비(2)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해 전자 장비(2)의 컨텐츠를 볼 수 있고, 나아가 이 두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비(1)가 기타 전자 장비(예: 전자 장비(3))와 스크린을 공유해 컨텐츠를 공유해야 한다면, 전자 장비(1)는 먼저 전자 장비(2)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전자 장비(3)와 연결을 구축해 전자 장비(3)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공유해야 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가 번거로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자 장비에 적용되고;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전자 장비로서,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상기 제1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상기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상기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상기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인 전자 장비를 더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전자 장비를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즉, 공유 그룹의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비는 공유 그룹의 각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의 엔트리를 동일한 타이밍에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임의의 엔트리를 통해 상응하는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를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 장비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2개 이상의 다른 전자 장비와 각각 연결을 구축해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컨텐츠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를 간편화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공유되는 컨텐츠를 신속, 편리 및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모식도 1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모식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모식도 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모식도 4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디스플레이 컨텐츠의 모식도 5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전자 장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해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문에서 "/"는 "또는"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낸다. 본문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단지 관련 대상의 관계를 서술하는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만 존재하는 경우 이렇게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낸다. "복수"는 2개 또는 2개보다 많음을 나타낸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용어는 예를 들거나 예증하거나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로 기술되는 어떤 실시예 또는 설계방안도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방안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우위에 있다고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관련 개념을 구체적인 방식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1" 및 "제2" 등은 서로 다른 대상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대상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및 제2 입력 등은 입력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함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입력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즉, 공유 그룹의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비는 공유 그룹의 각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의 엔트리를 동일한 타이밍에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임의의 엔트리를 통해 상응하는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를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 장비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2개 이상의 다른 전자 장비와 각각 연결을 구축해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컨텐츠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를 간편화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공유되는 컨텐츠를 신속, 편리 및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는 모바일 전자 장비일 수도 있고 비모바일 전자 장비일 수도 있다. 모바일 전자 장비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장비,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UMPC), 넷북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다. 비모바일 전자 장비는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의 실행 주체는 전자 장비 또는 상기 전자 장비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상기 전자 장비에서 컨텐츠 공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일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비로 컨텐츠 공유 방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비는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전자 장비일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체제일 수도 있으며,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에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소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처 모식도이다. 도 1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레임 계층, 시스템 작동 라이브러리 계층 및 커널 계층(구체적으로는 Linux 커널 계층)의 4개 계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각 애플리케이션(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제3자 애플리케이션을 포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으로,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 개발 원칙을 준수하면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 계층을 기반으로 일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설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채팅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제3자 설정 애플리케이션, 제3자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및 제3자 채팅 애플리케이션 등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시스템 작동 라이브러리 계층은 라이브러리(시스템 라이브러리라고도 한다) 및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작동 환경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는 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필요한 각종 리소스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작동 환경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한다.
커널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계층으로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계층의 최하층에 속한다. 커널 계층은 Linux 커널을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코어 시스템 서비스 및 하드웨어 관련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예로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발자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시스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공유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기반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또는 전자 장비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작동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공유 방법의 순서도를 조합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방법 순서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의 논리적인 순서를 도시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되거나 설명된 단계를 이와 다른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공유 방법은 S201 및 S202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제1 전자 장비가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이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전자 장비에 대해 공유 그룹(예: 하기 목표 공유 그룹)을 구축해 상기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공유 그룹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공유 그룹에 기반한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예: 하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전자 장비 중 각각의 전자 장비 중의 공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입력은 제1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의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예: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트리거한다.
S202: 제1 전자 장비가 제1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는 모두 문자, 아이콘 등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의 집합은 목표 공유 그룹 중의 N개의 전자 장비의 공공 센터일 수 있으며, 이하 상기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의 집합을 "공공 센터"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 1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전자 장비(예: 장비 A)의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이고, 제1 입력은 제1 전자 장비 중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이다. 이 때, 제1 인터페이스는 가상 화면(즉, 목표 공유 그룹 중의 모든 전자 장비 간에 공유되는 가상 화면)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 2에서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전자 장비의 플로팅 인터페이스이고, 제1 입력은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위젯에 대한 입력이다. 이 때, 제1 인터페이스는 플로팅 화면(즉, 목표 공유 그룹 중의 모든 전자 장비 간에 공유되는 플로팅 화면)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 위젯은 플로팅 화면의 엔트리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로팅 화면은 임의의 크기로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위젯의 표시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은 편이며(예: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표시 크기보다 작다), 플로팅 위젯의 표시 형상은 원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임의의 구현 가능한 형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점은, <1>플로팅 화면 및 가상 화면 안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같다는 점이다. <2>플로팅 화면과 가상 화면의 디스플레이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플로팅 화면은 전자 장비(예: 제1 전자 장비)의 임의의 인터페이스에서 팝업되어 표시되는 반면, 가상 화면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비(예: 제1 전자 장비)의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가상 화면은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서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고, 플로팅 화면은 모든 시나리오(예: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내, 데스크탑 등 시나리오)에서 빠르게 팝업 조작을 할 수 있다. <3>하기 가상 화면 및 플로팅 화면의 사용 설명에서 혼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모두 공유 그룹(예: 목표 공유 그룹) 중의 공유 컨텐츠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형식을 의미한다.
복수의 전자 장비가 일련의 프로토콜을 통해 공유 그룹을 만들면 각각의 전자 장비에는 각자 공유 그룹에 공유하는 공유 컨텐츠가 생긴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각각의 전자 장비에는 한 페이지의 가상 화면 또는 플로팅 화면이 추가되고, 이 가상 화면(또는 플로팅 화면)에는 이 복수의 전자 장비 중 모든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의 집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목표 공유 그룹에 장비 A, B…N과 같은 전자 장비가 포함되는 경우, 가상 화면(또는 플로팅 화면)에 표시되는 제1 인터페이스에는 장비 A, B…N과 같은 전자 장비 중의 공유 컨텐츠가 포함된다. 여기서, "공공 센터" (즉,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의 집합)는 모든 장비 A, B…N의 전량 공유 데이터 집합이다.
예시적으로, 도 3은 전자 장비가 컨텐츠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가상 화면 또는 플로팅 화면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즉,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식별자 "장비 A"~식별자 "장비 N"은 상기 N개의 제2 식별자이며, 식별자 "공공 센터"는 상기 제1 식별자이다.
예시적으로, 도 4는 전자 장비가 컨텐츠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용 시나리오 1을 기반으로, 도 4는 전자 장비가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 추가한 가상 화면의 장비 A 로컬 스크린에서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의 위치가 마지막 스크린 인터페이스임을 보여준다. 여기서, 장비 A(즉, 제1 전자 장비)에 2개의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즉, 장비 A의 제1 화면 및 장비 A의 제2 화면)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장비 A의 데스크탑에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가 있는 가상 화면(즉, 장비 A의 제3 화면)을 추가하면 장비 A는 3개 화면의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로 변한다. 즉, 가상화면을 추가한 새로운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는 기존 데스크탑과 가상 화면으로 구성되며, 가상 화면은 장비 A의 로컬 데스크탑 인터페이스 바로 뒤에 표시된다. 물론, 가상 화면은 장비 A의 중앙 데스크탑의 기타 데스크탑 인터페이스가 있는 위치, 예를 들어 첫 번째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이하 단계(1)~(5)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공유 그룹을 만들고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 복수의 장비가 공유 그룹(즉, 목표 공유 그룹과 같은 공유 그룹)을 만든다.
복수의 장비가 공유 그룹을 만드는 경로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또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iton, NFC), 또는 5세대 이동 정보 시스템(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4G) 등을 통해 가능하다. 복수의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을 만들 때 공유 그룹을 만드는 프로토콜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예: 서버를 통해 프로토콜 구축), 이 프로토콜은 중앙 집중화 또는 탈중앙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그룹을 만드는 방식은, 프로토콜을 통해 한 그룹의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복수의 전자 장비가 각각 상기 고유 코드를 입력해 연결을 구축하는 방식일 수 있다.
(2) 각 전자 장비가 공유할 컨텐츠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유 그룹 구축 기간에 각 전자 장비(예: 제1 전자 장비)는 공유할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알린다. 예를 들어 장비 A(즉, 제1 전자 장비)는 스크린 인터페이스 수량, 파일 유형, 또는 일부 특정 파일이나 시스템 설정 파일 정보 선택과 같이 공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3) 공유 그룹을 만드는 데 성공한다.
공유 그룹의 모든 전자 장비를 구축하고 고유 코드와 공유 정보를 채우면 프로토콜 결정을 통해 공유 그룹을 만드는 데 성공한다. 이 공유 그룹의 통신 프로토콜은 중앙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전자 장비에서 가상 화면에 대한 작업 정보는 프로토콜을 통해 결정 센터에 전달되고, 다시 결정 센터의 중재에 의해 작업 행위가 대응하는 기타 전자 장비에 전달된다. 프로토콜은 점대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비 A에서 작동하는 가상 화면은 장비 B(예: N개의 전자 장비 중 제1 전자 장비를 제외한 하나의 전자 장비)의 화면일 수 있으며, 이 때 장비 A와 장비 B가 직접 통신 및 상호연계하기만 하면 된다.
(4) 각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가상 화면 또는 플로팅 화면을 구축한다.
상기 공유 그룹이 성공적으로 생성되면, 각 전자 장비에 해당 공유 그룹을 표시하기 위한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예: 상기 제1 인터페이스)의 가상 화면 또는 플로팅 화면이 구축된다.
(5) 각 전자 장비가 가상 화면(플로팅 화면)을 통해 상호연계된다.
구축된 공유 그룹의 경우, 이 공유 그룹의 각 전자 장비 간에는 각각의 가상 화면(또는 플로팅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 공유, 컨텐츠 획득, 컨텐츠 검색 등의 상호연계가 가능하다(이 과정은 구체적으로 하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서술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모든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의 전량 데이터이다.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상응하는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제2 컨텐츠는 상응하는 하나의 전자 장비의 전량 데이터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컨텐츠는 적어도 1급 서브 컨텐츠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컨텐츠는 적어도 1급 서브 컨텐츠를 포함한다. 여기서, 앞의 1급 컨텐츠는 뒤의 1급 컨텐츠의 엔트리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컨텐츠의 등급은 컨텐츠의 공유 등급이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 낮은 공유 등급은 높은 공유 등급을 세분화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유 컨텐츠의 포함 계층 관계에 따라 공유 등급 S, 공유 등급 T, 공유 등급 U로 분류하고, 순차적으로 세분화하거나 기타 등급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등급 S는 플로팅 화면(또는 가상 화면)이 팝업될 때의 디폴트 최고 등급인 컨텐츠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의 공유 등급 예시는 공유 컨텐츠의 포함 계층 관계에 따라 공유 등급 S, 공유 등급 T, 공유 등급 U로 분류하고, 순차적으로 세분화하거나 기타 등급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공유 등급 S는 공유 플로팅 창이 팝업될 때의 디폴트 최고 등급 뷰로서, 표시하는 컨텐츠가 가상 화면 컨텐츠와 동일하다. 공유 등급 S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모든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의 상단 뷰, 및 전량 데이터의 공유 뷰인 하나의 "공공 센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장비 B" 뷰를 클릭하면 하위 공유 등급 T의 뷰를 보여주는데, 이 뷰에는 공유되는 스크린, APP(즉, 애플리케이션), 오디오/비디오, 사진, 기타 파일 등의 정보 뷰와 같이 장비 B가 공유하는 모든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공유 등급 T의 뷰에서 "사진"을 클릭하면 하위 공유 등급 U의 뷰를 보여주는데, 이 뷰에는 장비 B가 공유하는 모든 사진(예: jpg1, jpg2, png1 및 png2 등 식별자로 표시되는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컨텐츠 중의 서로 다른 서브 컨텐츠는 컨텐츠 유형에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제2 컨텐츠 중의 서로 다른 서브 컨텐츠는 컨텐츠 유형에 따라 배열된다. 여기서, 제1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은 작업 가능한 스크린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시스템 설정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은 작업 가능한 스크린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시스템 설정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장비 B가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 유형은 조작 가능한 스크린 인터페이스(즉, 공유 등급 T 중의 "스크린"), 애플리케이션 파일(즉, 공유 등급 T 중의 "APP"), 시스템 설정 파일, 미디어 파일(예: 공유 등급 T 중의 "비디오" 및 "사진")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은 S203 및 S204를 포함할 수도 있다.
S203: 제1 전자 장비가 제2 입력을 수신한다.
S204: 제1 전자 장비가 제2 입력에 응답해 목표 작업을 실행한다.
여기서, 목표 작업은 하기 제1 작업, 제2 작업 및 제3 작업 중 어느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 1에서 목표 작업은 제1 작업이다. 제1 작업은, 제2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3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1 전자 장비 중의 제1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제2 전자 장비에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제1 목표 컨텐츠를 제2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에서 공유한 컨텐츠에 추가하는 작업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예시 1에서, 즉 목표 작업이 제1 작업인 경우 제2 입력은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204는 S204a 및 S204b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S204a: 제1 전자 장비는 제1 인터페이스에서 제3 식별자에 대한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목표 컨텐츠의 제5 식별자를 표시한다.
S204b: 제1 전자 장비는 제5 식별자의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해 제2 전자 장비에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제1 목표 컨텐츠를 제3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에 추가하고, 제2 전자 장비가 제1 목표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제1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도록 트리거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 2에서 목표 작업은 제2 작업이다. 제2 작업은, 제3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4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3 전자 장비 중 제2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는 작업이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한 규칙은 이하 규칙 1 내지 규칙 3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규칙 1은, 제1 전자 장비가 제2 목표 컨텐츠를 제1 전자 장비의 목표 저장 위치에 보관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목표 저장 위치는 제1 전자 장비 중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저장 위치 또는 제2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과 관련된 저장 위치이다.
규칙 2는, 제2 목표 컨텐츠가 제1 버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인 경우, 제1 전자 장비에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제1 전자 장비는 제1 전자 장비에서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지시하고, 제1 전자 장비에 제2 버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버전과 제1 버전이 서로 다르면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제1 전자 장비에서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제1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제1 전자 장비에 설치되어 있는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와 서로 다르면 제1 전자 장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규칙 3은, 제2 목표 컨텐츠가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인 경우, 제1 전자 장비가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해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을 제1 전자 장비의 시스템 설정 파일에 덮어쓰기 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 3에서 목표 작업은 제1 작업이다. 제1 작업은,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키워드에 따라 제1 컨텐츠 및/또는 N개의 제2 컨텐츠에서 목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3 목표 컨텐츠를 검색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상기 제3 식별자 및 제4 식별자는 각각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의 하나의 식별자이고, 제2 전자 장비 및 제3 전자 장비는 모두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전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예시 2에서, 즉 목표 작업이 제2 작업인 경우 제2 입력은 제3 입력 및 제4 입력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204는 S204c 및 S204d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S204c: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4 식별자를 표시할 경우, 제1 전자 장비는 제4 식별자의 제3 서브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2 목표 컨텐츠를 지시하는 제6 식별자를 표시한다.
S204d: 제6 식별자에 대한 제4 서브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는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은 상기 S202 이후 S205를 포함할 수도 있다.
S205: 제1 전자 장비는 제1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위치에 제8 식별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7 식별자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고, 제8 식별자는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제4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를 업데이트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4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에서 업데이트한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제5 전자 장비가 제4 전자 장비에 송신한 컨텐츠, 또는 제4 전자 장비 중의 컨텐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장비 A의 임의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비디오 파일 식별자 "video 1"(예: 상기 제5 식별자)을 포함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해당 파일 아이콘을 일정 거리까지 드래그하면 플로팅 화면 상단 뷰(즉, 공유 등급이 S인 뷰)가 팝업된다. 사용자가 손을 놓지 않고 비디오 파일 식별자 "video1"을 아래 서로 다른 아이콘까지 드래그 한 다음 손을 놓으면, 서로 다른 의미를 표시한다.
(1) 식별자 "video 1"을 식별자 "장치 B"로 드래그하면, 장비 A의 로컬 파일 "video 1"을 "장치 B"로 송신한다고 표시한다. 즉, 장치 B의 플로팅 화면은 장비 A가 파일을 송신했다고 팝업창으로 알려, 수신 또는 디폴트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장비 B에서는 수신된 파일이 사용자 습관 및 파일 형식 등의 정보에 따라 장비 B의 고정 위치 경로로 자동으로 배치되어 위치 수신 정보를 알리거나 기록한다.
(2) 식별자 "video 1"을 식별자 "장비 A"로 드래그하면, 장비 A가 하나의 식별자 "video 1"이 지시하는 파일을 목표 공유 그룹에 새로 업로드한다고 표시한다. 즉, 다른 장비 B, 장비 C에 시스템 알림 정보가 나타나거나, 목표 공유 그룹에 새로운 공유 컨텐츠(즉, 식별자 "video 1"이 지시하는 파일)가 있음을 장비 B, 장비 C에 알리는 알림 빨간 점 아이콘이 플로팅 화면에 나타난다.
(3) 식별자 "video 1"을 식별자 "공공 센터"로 드래그하면 그룹별 식별자 "video 1"이 지시하는 파일을 목표 공유 그룹의 모든 전자 장비에 대량 송신하고, "공공 센터" 내부(즉, 제1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의 집합 안)로 업데이트한다.
또한, 장비 A의 플로팅 화면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장비 A"의 플로팅 화면 또는 가상 화면에서 관심 있는 공유 컨텐츠를 찾아, 이러한 공유 컨텐츠 또는 공유 컨텐츠의 엔트리 식별자를 명시적으로 다른 장비의 식별자로 드래그해 다른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로컬 장비가 A라고 가정하고 목표 공유 그룹 중의 장비B로부터 하나의 식별자 "png2"가 지시하는 파일을 얻고자 할 경우,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식별자 "장비 B"(즉, 상기 제6 식별자)를 클릭하고, 공유 등급이 S인 뷰에서 공유 등급이 T인 뷰까지, 다시 공유 등급이 U인 뷰까지 파일 "png2"를 찾은 후 일정 거리만큼 드래그하면 장비 B는 "png2"가 지시하는 파일이 로컬 장비 A로 자동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습관 및 파일 유형에 따라 장비 A의 대응 경로 아래에 보관하거나, 어떤 경로 아래에 배치하고 싶은 지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2) 플로팅 화면에 "검색" 버튼(도 7에는 세분화되어 있지 않으나, 실제 플로팅 화면에는 하나의 "검색"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을 하나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로팅 창에서 "검색" 버튼을 누르면, 장비 A가 일부 키워드(예: 상기 목표 키워드)에 따라 공유 그룹의 공유 등급이 S인 뷰에서 검색 목표 데이터가 공유 그룹의 어느 장비 안에 있는지 검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은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즉, 공유 그룹의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비는 공유 그룹 중의 각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의 엔트리를 동일한 타이밍에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임의의 엔트리를 통해 상응하는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를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 장비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2개 이상의 다른 전자 장비와 각각 연결을 구축해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컨텐츠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를 간편화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공유되는 컨텐츠를 신속, 편리 및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장비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비(80)는,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81); 및 수신 모듈(81)이 수신한 제1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전자 장비의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이고, 제1 입력은 제1 전자 장비 중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이거나,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전자 장비의 플로팅 인터페이스이고, 제1 입력은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위젯에 대한 입력이다.
선택적으로,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모든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컨텐츠 중의 서로 다른 서브 컨텐츠는 컨텐츠 유형에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제2 컨텐츠 중의 서로 다른 서브 컨텐츠는 컨텐츠 유형에 따라 배열된다. 여기서, 제1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은 작업 가능한 스크린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시스템 설정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은 작업 가능한 스크린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시스템 설정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컨텐츠는 적어도 1급 서브 컨텐츠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컨텐츠는 적어도 1급 서브 컨텐츠를 포함한다. 여기서, 앞의 1급 컨텐츠는 뒤의 1급 컨텐츠의 엔트리이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81)은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전자 장비(80)는 수신 모듈(81)이 수신한 제2 입력에 응답해 목표 작업을 실행하는 실행 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목표 작업은 제1 작업, 제2 작업 및 제3 작업 중 어느 하나이다. 제1 작업은, 제2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3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1 전자 장비 중의 제1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제2 전자 장비에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제1 목표 컨텐츠를 제2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에서 공유한 컨텐츠에 추가하는 작업이고, 제2 작업은, 제3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4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3 전자 장비 중 제2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는 작업이고, 제3 작업은,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키워드에 따라 제1 컨텐츠 및/또는 N개의 제2 컨텐츠에서 목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3 목표 컨텐츠를 검색하는 작업이고, 제3 식별자 및 제4 식별자는 각각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의 하나의 식별자이고, 제2 전자 장비 및 제3 전자 장비는 모두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전자 장비이다.
선택적으로, 목표 작업은 제1 작업이고, 제2 입력은 제1 서브 입력 및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실행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에서 제3 식별자에 대한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목표 컨텐츠의 제5 식별자를 표시하고, 제5 식별자의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해 제2 전자 장비에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제1 목표 컨텐츠를 제3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에 추가하고, 제2 전자 장비가 제1 목표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제1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목표 작업은 제2 작업이고, 제2 입력은 제3 서브 입력 및 제4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실행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4 식별자를 표시하는 경우, 제4 식별자에 대한 제4 서브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2 목표 컨텐츠를 지시하는 제6 식별자를 표시하고, 제6 식별자에 대한 제4 서브 입력에 응답해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한 규칙은 이하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목표 컨텐츠를 제1 전자 장비의 목표 저장 위치에 보관하도록 지시하되, 목표 저장 위치는 제1 전자 장비 중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저장 위치 또는 제2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과 관련된 저장 위치이거나; 제2 목표 컨텐츠가 제1 버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인 경우, 제1 전자 장비에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제1 전자 장비에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제1 전자 장비에 제2 버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버전과 제1 버전이 서로 다르면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제1 전자 장비에서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제1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제1 전자 장비에 설치되어 있는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와 서로 다르면 제1 전자 장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하도록 지시하거나; 제2 목표 컨텐츠가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인 경우,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해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을 제1 전자 장비 중의 시스템 설정 파일에 덮어쓰기 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제1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위치는 제8 식별자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7 식별자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고, 제8 식별자는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제4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를 업데이트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제4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에서 업데이트한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제5 전자 장비가 제4 전자 장비에 송신한 컨텐츠, 또는 제4 전자 장비 중의 컨텐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장비(80)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전자 장비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장비는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즉, 공유 그룹의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비는 공유 그룹의 각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의 엔트리를 동일한 타이밍에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임의의 엔트리를 통해 상응하는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를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 장비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2개 이상의 다른 전자 장비와 각각 연결을 구축해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컨텐츠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를 간편화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공유되는 컨텐츠를 신속, 편리 및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장비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전자 장비(100)는 무선주파수 유닛(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유닛(103), 입력 유닛(104), 센서(105), 디스플레이 유닛(106), 사용자 입력 유닛(107), 인터페이스 유닛(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의 부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비 구조는 전자 장비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 장비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부재, 또는 일부 부재의 조합, 또는 서로 다른 부재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비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 차량 탑재 전자 장비, 웨어러블 장비 및 만보기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입력 유닛(107)을 제어하고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며, 디스플레이 모듈(82)은 사용자 입력 유닛(107)이 수신한 제1 입력에 응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장비는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통해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즉, 공유 그룹의 컨텐츠 공유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제1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목표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제2 컨텐츠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에 따라, 제1 전자 장비는 공유 그룹의 각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의 엔트리를 동일한 타이밍에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임의의 엔트리를 통해 상응하는 전자 장비가 공유하는 컨텐츠를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자 장비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 2개 이상의 다른 전자 장비와 각각 연결을 구축해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컨텐츠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단계를 간편화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 장비 간에 공유되는 컨텐츠를 신속, 편리 및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주파수 유닛(1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의 수신 및 송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에서 온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10)에 보내 처리한다. 또한, 상향링크의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 유닛(1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연결기,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주파수 유닛(10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도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비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메일 송수신, 웹 브라우징 및 스트리밍 방문 등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근을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무선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이 수신하거나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전자 장비(100)가 실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 호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1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입력 유닛(104)은 그래픽 처리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 및 마이크(10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장치(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영상 캡처 모드에서 영상 캡처 장치(예: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정적 사진 또는 비디오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한 영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유닛(106)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장치(1041)를 통해 처리한 영상 프레임은 메모리(109)(또는 기타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무선주파수 유닛(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마이크(1042)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음성을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주파수 유닛(101)을 거쳐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해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비(100)는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센서(1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환경광 센서는 환경광선의 명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전자 장비(100)가 귓가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모션 센서의 일종인 가속계 센서는 각 방향 상의(일반적으로 3개의 축) 가속도 크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감지할 수 있어, 전자 장비 자세(예: 가로세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교정) 인식,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 만보기, 두드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06)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장비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장비(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지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그 위 또는 근처에서 실행하는 터치 조작(예: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 펜 등 적합한 물체 또는 부품을 사용해 터치 패널(1071) 상에서 또는 터치 패널(1071) 근처에서 실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 이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해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에 전달한다.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정보를 수신해 접점 좌표로 변환한 후 프로세서(110)에 송신하고, 프로세서(110)에서 송신된 명령을 수신해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및 표면 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1071)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7)은 터치 패널(1071) 외에 기타 입력 장비(1072)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비(1072)는 물리적 자판, 기능 키(예: 음량 조절 키, 스위치 키 등), 트랙볼, 마우스, 조작 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터치 패널(1071)은 디스플레이 패널(1061) 상에 덮을 수 있으며, 터치 패널(1071)이 그 위 또는 근처에서 실행되는 터치 조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10)로 전달해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하고, 뒤이어 프로세서(1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61) 상에서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9에서는 터치 패널(1071)과 디스플레이 패널 (1061)이 2개의 독립된 부재로서 전자 장비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071)을 디스플레이 패널(1061)과통합해 전자 장비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여기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와 전자 장비(100)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인식 모듈을 구비하는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1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전자 장비(100) 내의 하나 또는 복수의 소자에 전송하거나, 전자 장비(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예: 음성 재생 기능, 영상 재생 기능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저장 소자, 플래시 메모리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저장 소자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비의 제어 센터로서,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해 전자 장비 전체의 각 부분을 연결한다. 또한 메모리(109)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하고, 메모리(109)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고, 전자 장비의 각종 기능 및 처리 데이터를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비에 대해 전반적으로 모니터링한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110)는 응용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다. 여기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며,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비(100)는 각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1)(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소모 관리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비(100)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기능 모듈을 포함하나,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09), 및 메모리(1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비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다시 서술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문 중 "포괄", "포함" 또는 기타 어떤 변형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까지 의미하므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는 그러한 요소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하지 않은 기타 요소,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를 위한 고유 요소까지 포함한다. 더 이상의 제한이 없다면, "하나의......를 포함"이라는 어구로 한정한 요소는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 별도의 동일한 요소가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방식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소프트웨어에 필수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시예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서도 가능하나,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 나은 실시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 기술방안의 본질적인 부분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를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며, 하나의 전자 장비(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일 수 있다)가 본 출원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약간의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조합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암시 하에 본 출원의 취지와 청구항에서 보호를 청구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많은 형식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20)

  1. 제1 전자 장비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상기 제1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상기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상기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상기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인, 컨텐츠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전자 장비 중 상기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이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플로팅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위젯에 대한 입력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모든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해 목표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 작업은 제1 작업, 제2 작업 및 제3 작업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작업은, 제2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3 식별자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 중의 제1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2 전자 장비에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상기 공유 그룹에서 공유한 컨텐츠에 추가하는 작업이며,
    상기 제2 작업은, 제3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4 식별자를 선택하고 상기 제3 전자 장비 중 제2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상기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작업은,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키워드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 및/또는 N개의 상기 제2 컨텐츠에서 상기 목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3 목표 컨텐츠를 검색하는 작업이고,
    상기 제3 식별자 및 상기 제4 식별자는 모두 상기 제1 식별자 및 N개의 상기 제2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2 전자 장비 및 상기 제3 전자 장비는 모두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전자 장비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작업은 제1 작업이고, 상기 제2 입력은 제1 서브 입력 및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해 목표 작업을 실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3 식별자에 대한 상기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상기 제1 목표 컨텐츠의 제5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식별자의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2 전자 장비에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상기 제3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에 추가하고,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상기 제1 목표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작업은 제2 작업이고, 상기 제2 입력은 제3 서브 입력 및 제4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해 목표 작업을 실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상기 제4 식별자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4 식별자에 대한 제3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상기 제2 목표 컨텐츠를 지시하는 제6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식별자에 대한 제4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상기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한 규칙은,
    상기 제2 목표 컨텐츠를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목표 저장 위치에 보관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목표 저장 위치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중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저장 위치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과 관련된 저장 위치이고;
    상기 제2 목표 컨텐츠가 제1 버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인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1 전자 장비에서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제2 버전의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버전과 상기 제1 버전이 서로 다르면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비에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상기 제1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와 서로 다르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제2 목표 컨텐츠가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인 경우, 상기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해 상기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을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시스템 설정 파일에 덮어쓰기 하도록 지시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 이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8 식별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식별자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N개의 제2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8 식별자는 상기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제4 전자 장비가 상기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를 업데이트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4 전자 장비가 상기 공유 그룹에서 업데이트한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제5 전자 장비가 상기 제4 전자 장비에 송신한 컨텐츠, 또는 상기 제4 전자 장비 중의 컨텐츠인, 방법.
  9. 제1 전자 장비로서,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대한 제1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는 목표 공유 그룹을 구성하는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제1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상기 제1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 적어도 2개의 전자 장비가 상기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하나의 상기 제2 식별자는 하나의 제2 컨텐츠의 엔트리이고, 하나의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가 상기 목표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이고, N은 2보다 크거나 2와 같은 양의 정수인, 전자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전자 장비 중 상기 제1 데스크탑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데스크탑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이며, 또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플로팅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플로팅 위젯에 대한 입력인, 전자 장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모든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제2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하나의 전자 장비의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비는,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상기 수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이 수신한 제2 입력에 응답해 목표 작업을 실행하되, 목표 작업은 제1 작업, 제2 작업 및 제3 작업 중 어느 하나이고, 제1 작업은 제2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3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1 전자 장비 중의 제1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제2 전자 장비에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제1 목표 컨텐츠를 제2 전자 장비가 공유 그룹에서 공유한 컨텐츠에 추가하는 작업이고, 제2 작업은 제3 전자 장비에 대응하는 제4 식별자를 선택하고 제3 전자 장비 중 제2 목표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는 작업이고, 제3 작업은 사용자가 선택한 목표 키워드에 따라 제1 컨텐츠 및/또는 N개의 제2 컨텐츠에서 목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3 목표 컨텐츠를 검색하는 작업이고, 제3 식별자 및 제4 식별자는 각각 제1 식별자 및 N개의 제2 식별자 중의 하나의 식별자이고, 제2 전자 장비 및 제3 전자 장비는 모두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전자 장비인 실행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작업은 제1 작업이고, 상기 제2 입력은 제1 서브 입력 및 제2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3 식별자에 대한 상기 제1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상기 제1 목표 컨텐츠의 제5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5 식별자에 대한 제2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2 전자 장비에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상기 제3 식별자가 지시하는 컨텐츠에 추가하고, 상기 제2 전자 장비가 상기 제1 목표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에 따라 상기 제1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장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작업은 제2 작업이고, 상기 제2 입력은 제3 서브 입력 및 제4 서브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상기 제4 식별자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4 식별자에 대한 제3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스크린에 상기 제2 목표 컨텐츠를 지시하는 제6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6 식별자에 대한 제4 서브 입력에 응답해 상기 미리 설정한 규칙에 따라 상기 제2 목표 컨텐츠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장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한 규칙은 상기 제2 목표 컨텐츠를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목표 저장 위치에 보관하도록 지시하되, 상기 목표 저장 위치는 상기 제1 전자 장비 중 사용자가 자체 정의한 저장 위치 또는 상기 제2 컨텐츠의 컨텐츠 유형과 관련된 저장 위치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목표 컨텐츠가 제1 버전의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패키지인 경우,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1 전자 장비에서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제2 버전의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버전과 상기 제1 버전이 서로 다르면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장비에서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상기 제1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제1 전자 장비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와 서로 다르면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상기 목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목표 컨텐츠의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하도록 지시하거나; 상기 제2 목표 컨텐츠가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인 경우, 상기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에 대한 선택 입력에 응답해 상기 목표 시스템 설정 파일을 상기 제1 전자 장비의 시스템 설정 파일에 덮어쓰기 하도록 지시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자 장비.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위치가 제8 식별자를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상기 제7 식별자는 상기 제1 식별자 및 상기 N개의 제2 식별자 중의 식별자이고, 상기 제8 식별자는 상기 제7 식별자와 대응하는 제4 전자 장비가 상기 공유 그룹에서 공유하는 컨텐츠를 업데이트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4 전자 장비가 상기 공유 그룹에서 업데이트한 컨텐츠는 상기 N개의 전자 장비 중의 제5 전자 장비가 상기 제4 전자 장비에 송신한 컨텐츠, 또는 상기 제4 전자 장비 중의 컨텐츠인, 전자 장비.
  17.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비.
  18.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19.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
  2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장치/장비.
KR1020227037242A 2020-03-30 2021-03-29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 KR20220158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237842.4A CN111459355B (zh) 2020-03-30 2020-03-30 内容共享方法及电子设备
CN202010237842.4 2020-03-30
PCT/CN2021/083585 WO2021197263A1 (zh) 2020-03-30 2021-03-29 内容共享方法及电子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800A true KR20220158800A (ko) 2022-12-01

Family

ID=7168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242A KR20220158800A (ko) 2020-03-30 2021-03-29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13670A1 (ko)
EP (1) EP4130951A4 (ko)
JP (1) JP2023519224A (ko)
KR (1) KR20220158800A (ko)
CN (1) CN111459355B (ko)
WO (1) WO2021197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2366B (zh) * 2019-08-09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传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459355B (zh) * 2020-03-30 2022-03-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共享方法及电子设备
CN114296948A (zh) * 2020-09-21 2022-04-0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跨设备调用应用的方法及电子设备
CN114647350A (zh) * 2020-12-18 2022-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共享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817493B (zh) * 2021-01-26 2023-03-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共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342759B (zh) * 2021-06-30 2024-06-0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内容共享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794795B (zh) * 2021-08-13 2023-01-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095290B (zh) * 2021-09-30 2024-03-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和电子设备
CN114741146A (zh) * 2022-03-28 2022-07-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多设备协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4845084B (zh) * 2022-07-05 2022-11-11 广州朗国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户的屏幕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309309A (zh) * 2022-08-17 2022-1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5396245A (zh) * 2022-08-22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分享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5169A2 (en) * 2003-02-19 2004-09-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for ad hoc sharing of content items between portable devices and interaction methods therefor
US7567987B2 (en) * 2003-10-24 2009-07-28 Microsoft Corporation File sharing in P2P group shared spaces
US8661353B2 (en) * 2009-05-29 2014-02-25 Microsoft Corporation Avatar integrated shared media experience
KR101741551B1 (ko) * 2010-12-20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8438233B2 (en) * 2011-03-23 2013-05-07 Color Labs, Inc. Storage and distribution of content for a user device group
KR20130111868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20130311947A1 (en) * 2012-05-16 2013-11-21 Ekata Systems, Inc. Network image sharing with synchronized image display and manipulation
KR102150514B1 (ko) * 2012-08-22 2020-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US8447801B1 (en) * 2012-11-01 2013-05-21 LavaRipples, LLC Content sharing with limited cloud storage
US9609043B2 (en) * 2013-10-02 2017-03-28 Dropbox, Inc. Facilitating access to content from group interactions
CN104980339B (zh) * 2015-06-24 2019-05-1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文件分享方法及装置
CN106411686B (zh) * 2015-07-31 2020-04-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网络接入设备与用户间交互的方法和装置
WO2017081970A1 (ja) * 2015-11-11 2017-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6850711A (zh) * 2015-12-04 2017-06-1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文件共享的处理方法、装置、服务器和系统
US10540059B2 (en) * 2016-08-19 2020-01-21 Dropbox, Inc. User interface for content sharing client in a desktop file system context
CN107360064B (zh) * 2017-06-20 2020-1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设备分享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675460B1 (en) * 2017-10-09 2022-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File sharing method and terminal
KR102462793B1 (ko) * 2018-05-21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계정 그룹 기반으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CN109408476A (zh) * 2018-09-19 2019-03-0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文件共享管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9388620A (zh) * 2018-09-30 2019-02-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跨设备访问数据的方法及第一电子设备
CN109889348B (zh) * 2018-12-24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分享方法及装置
CN109977081A (zh) * 2019-01-31 2019-07-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内容共享方法及终端设备
CN111459355B (zh) * 2020-03-30 2022-03-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内容共享方法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0951A4 (en) 2023-10-11
WO2021197263A1 (zh) 2021-10-07
EP4130951A1 (en) 2023-02-08
US20220413670A1 (en) 2022-12-29
CN111459355B (zh) 2022-03-04
JP2023519224A (ja) 2023-05-10
CN111459355A (zh)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8800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전자 장비
JP7397994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CN110851051B (zh) 一种对象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061574B (zh) 一种对象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10752980B (zh) 一种消息发送方法及电子设备
CN110069179B (zh) 图标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9889348B (zh) 一种图像分享方法及装置
WO2021136133A1 (zh) 一种应用程序切换方法及电子设备
WO2019184666A1 (zh) 一种显示内容的方法及终端
CN109614061B (zh) 显示方法及终端
WO2019149028A1 (zh) 应用程序的下载方法及终端
JP7411795B2 (ja) アイコン移動方法及び電子機器
CN109976611B (zh) 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10244884B (zh) 一种桌面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CN111026299A (zh) 信息分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273993B (zh) 图标整理方法及电子设备
CN110225180B (zh) 一种内容输入方法及终端设备
CN108681427B (zh) 一种访问权限控制的方法及终端设备
WO2019184902A1 (zh) 一种图标显示控制方法及终端
CN111026350A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0944408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WO2020238357A1 (zh) 图标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8881742B (zh) 一种视频生成方法及终端设备
CN109117037B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WO2021208991A1 (zh) 屏幕扩展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