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331A -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331A
KR20220158331A KR1020210065949A KR20210065949A KR20220158331A KR 20220158331 A KR20220158331 A KR 20220158331A KR 1020210065949 A KR1020210065949 A KR 1020210065949A KR 20210065949 A KR20210065949 A KR 20210065949A KR 20220158331 A KR20220158331 A KR 2022015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ontent providing
providing device
content
loc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9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8331A/en
Publication of KR2022015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3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content purchasing and providing method using a wireless signal to enable users to purchase products conveniently while watching content such as home shopping cont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content purchasing method using a wireless signal is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wireless signal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the wireless signal to check wheth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LAN) as that of a terminal device; extracting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signal to display the product information in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same local area network is accessed; and proceeding, by the terminal device, with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target product according to a user's input, wherein the wireless signal can be included in a frequency in a non-audible range in a sound signal of content output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Description

무선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장치와 단말장치 사이의 무선신호를 이용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컨텐츠 내에 나타난 상품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를 제공하거나, 단말장치에 나타난 광고메시지 등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전송하여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 등을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purchase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a wireless signal between a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nd relates to an online purchase method for the product by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product displayed in video content to the terminal device using a wireless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purchase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purchase 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advertisement message displayed on a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signal so that a corresponding video content is output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최근 홈쇼핑이나 온라인 쇼핑 등을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the number of users who purchase goods or services using home shopping or online shopping is continuously increasing.

그런데, 종래에는 홈쇼핑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품 등을 구매하는 경우, 사용자는 판매 회사로 전화를 걸어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을 지정하고 신용 카드 번호 등 결제 정보를 일일이 전달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상당했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a user purchases a product using home shopping, etc., the user has to make a phone call to the sales company, specify the product to order, and deliver payment information such as credit card number. did.

또한, 최근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에서 영화 등 영상 컨텐츠의 제공 중에 해당 영상 컨텐츠에 등장하는 상품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조작이 불편한 리모콘 등으로 상품 선택 및 결제 절차를 진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랐다.In addition, while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s providing video contents such as movies,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purchase products appearing in the corresponding video contents is also being tried. The difficulty of going through the selection and payment process followed.

나아가, 위와 같은 구매절차에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입장에서는 수익성까지도 떨어지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었다.Furthermore, due to the above inconvenience in the purchasing procedure, not only the user's user eXperience (UX) deteriorates, but also the profitability of the service provider may be reduc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홈쇼핑 등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보다 편리하게 구매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UX(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게도 편리한 구매 환경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적절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Accordingly, a plan to improve the user's UX (user experience)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purchase process more conveniently while watching video contents such as home shopping, and also to improve profitability through a convenient purchasing environment for service providers This has been requested, but an appropriate solution has not yet been present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9243호(2007년 6월 12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9243 (published on June 12, 2007)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홈쇼핑 등의 컨텐츠 시청 중에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purchase method using a wireless signal that allows a user to more conveniently purchase a product while viewing content such as home shopp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나타난 상품 등에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를 IPTV 등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view video content corresponding to a product displayed on a terminal device through a content providing device such as an IPTV.

본 발명은,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장치 사이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통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온라인 구매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purchase method and a content providing method capable of lowering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unintentional by a user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아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detail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identifi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art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은,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온라인 구매 방법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에 접속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이면,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가 출력하는 컨텐츠의 음향신호 내에 비가청 범위의 주파수로 포함될 수 있다. An online purchase method using a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nline purchase method for a terminal device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Receiving a radio signal to; checking wheth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LAN) as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radio signal; extracting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in the terminal device when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nd proceeding, by the terminal device, with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target product according to a user's input, wherein the radio signal may be included in a sound signal of the content output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t a frequency in a non-audible rang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신호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 단말장치로부터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이면,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품정보에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a radi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providing method of a content providing device based on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device, and a price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from the terminal device. Receiving a radio signal of a blue frequency;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by using the radio signal; and outputting content related to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when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does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홈쇼핑 등 영상 컨텐츠 시청 중에 상품 등을 보다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온라인 구매절차에서 UX(User Experience)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매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 제공장치와의 통신시 컨텐츠 제공장치의 IP 정보 등을 확인하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컨텐츠 제공장치와의 통신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nline purchase method using a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urchase products more conveniently while watching video content such as home shopping, and by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UX) in the user's online purchase procedur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conveniently proceed with the purchase process. In addition, since IP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checked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unintended by the user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 상품 추천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가 수신한 광고 메시지 등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컨텐츠 제공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장치 사이의 연동을 통한 새로운 UX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product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content corresponding to an advertisement message received by a terminal device using a content providing device. In this case, the user's concentration on the content output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can be increased, and a new UX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interworking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및 컨텐츠 제공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online purchasing method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wireless signal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can be seen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에서의 단말을 이용한 상품 구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online purcha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pecific operations of a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duct purchase using a terminal in an online purcha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n online purcha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specific operations of an online purcha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online purcha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That is, the term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elements and 'part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purchas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구매 시스템(10)은, 단말장치(100), 컨텐츠 제공장치(200) 및 액세스포인트(Acess point, 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online purchas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device 100, a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nd an access point 300.

단말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시각이나 청각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은 어플리케이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는 입력부,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can execut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and can display the running applications visually or audibly to provide them to the user. The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visually displaying an application, and may include an input unit receiving a user's input, a communication unit,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program, and a processor.

단말장치(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스크탑 등의 고정형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may also include a fixed device such as a desktop depending on an embodiment. Specifically,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a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etc. may be included. .

단말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에 연결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유선인터넷망, Wi-Fi(Wireless 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블루투스,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networks connectable to the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wired network and a wireless network. Specifical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wired Internet network, Wi-Fi (Wireless Fidelity),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Bluetooth,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etworks listed above, and may include a known wireless data network, a known telephone network, a known wired or wireless television network, and the like.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홈쇼핑 영상이나 영화, 드라마, 사진, 음향 등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오스크(kiosk)나 옥외 전광판 등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컨텐츠 제공장치(200)에 해당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users with various content such as home shopping videos, movies, dramas, photos, and sound, and may be a television, monitor, or speak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any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s long as it can provide various content to users, such as a kiosk or an outdoor signboard.

여기서,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현재 컨텐츠 제공장치(200)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내에 대상상품이 나타나는 경우, 해당 대상상품에 대응하는 무선신호를 발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홈쇼핑 등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홈쇼핑에서 나타난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무선신호를 통하여 발신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transmit a radio signal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n a preset target produc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when a target product appears in the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roduct.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output content such as home shopping, and may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home shopping through a wireless signal.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바탕으로 현재 출력 중인 홈쇼핑의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상품정보를 단말장치(100) 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장치(100)를 통하여 현재 컨텐츠 제공장치(200)에 나타난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등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로 편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tract product information about a target product of home shopping currently being output based on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nd store the extracted product informa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0. It can be printed out and provided to the user. That is, the user can easily obtain product information on the target product currently displayed 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through the terminal device 100, and based on this, it is convenient to carry out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target product. It is possible.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별도의 서버(S)가 컨텐츠 제공장치(200)로 대상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명, 상품의 상세한 제품 정보 등을 포함하는 URL(트래킹 코드 포함) 및 대상상품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방송 시간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S10).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first, a separate server (S) send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 URL (including tracking code) including the name of an affiliate store that sells a target product,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the like. Broadcasting time information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roduct may be delivered (S10).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서버(S)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컨텐츠 시청 시에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20). 여기서,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홈쇼핑 채널이나 영화,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 중에 음향신호에 더하여 홈쇼핑 상품이나 상기 영화, 드라마 등에 나오는 대상상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무선신호는 통상의 사용자가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인 18,500Hz ~ 24,000Hz 의 비가청 음파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conver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S into a radio signal of a non-audible frequency band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viewing content (S20). Her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provide content such as a home shopping channel, movie, or drama to the user, and includes information on a home shopping product or a target product appearing in the movie or drama in addition to a sound signal during content provision. transmits a radio signal. At this time, the ra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as an inaudible sound wave of 18,500 Hz to 24,000 Hz, which is a frequency band that a normal user cannot hear.

이어서,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 단말장치(100)에서 온라인 구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설정동작(예를 들어, 상하로 흔들기 등)을 수행하면(S30), 단말장치(100)에서는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산출하고, 상품에 대한 URL에 대응하는 홈페이지 등을 오픈할 수 있다(S40). 즉,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000)을 구동할 수 있으며, 설정동작을 수행하면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특정 URL의 제품 정보 사이트로 이동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푸시 메시지(10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푸시 메시지를 클릭하는 등 선택하면,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URL 정보를 이용해 상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user performs a predetermined setting operation (eg, shaking up and down, etc.) in a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for online purchase is execut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such as a smartphone (S30), the terminal device 100 In ,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can be calculated, and a homepage corresponding to the URL of the product can be opened (S40). That is, as shown in FIG. 3(a), the terminal device 100 can drive the pre-installed application 1000, and when a set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terminal device 100 provides the user with a product information site of a specific URL. A push message 1010 confirming whether to move to may be provided. After that, if the user clicks the push message and selects it, as shown in FIG. 3(b), the terminal device 100 provides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using URL information and can connect to a site where the user can purchase the product. .

이에 따라, 서버(S는 상품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고(S50), 트래킹 코드를 확인하여(S60) 상품에 대한 구매 성공 여부 등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단말(100)로 전달할 수 있다(S70). 즉,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현재 방송 중인 상품에 대한 구매를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er (S) may proceed with a payment procedure for the product (S50), check the tracking code (S60), and deliver result data on whether or not the purchase of the product is successful to the terminal 100 (S70). That is,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more easily purchase a product currently being broadcasted.

액세스포인트(300)는 설정 영역 내에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선 인터넷망과, 무선의 Wi-Fi 망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The access point 300 may form a local area network (LAN) within a set area, and may simultaneously support a wired Internet network and a wireless Wi-Fi network according to embodiments.

여기서,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액세스포인트(30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and may receive and output content through the connected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단말장치(100)의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에는 액세스포인트(300)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나, Wi-Fi 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액세스포인트(300)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not be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300, but when using a Wi-Fi network, it may be connected to a local area network through the access point 300. have.

예를들어, 가정집 내에 IPTV 등의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IPTV는 액세스포인트(300)를 통하여 유선인터넷망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 단말장치(100)를 소지한 상태로, IPTV를 통해 홈 쇼핑 등의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액세스포인트(300)를 통하여 댁내 형성된 Wi-Fi 망 내에 접속할 수 있다. For example, a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such as an IPTV may be provided in a home, and the IPTV may be connected to a wired Internet network through an access point 300. After that, the user can watch contents such as home shopping through IPTV while holding the terminal device 100 such as his/her smartphone. You can connect within the Wi-Fi network.

여기서,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전송하는 무선신호는 주위에 위치하는 임의의 단말장치(100)에 모두 배포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원치않는 컨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불필요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은, 단말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200) 사이를 연결하기 전에, 각각의 IP 정보 등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컨텐츠 제공장치(200)와의 불필요한 통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구매 방법을 설명한다.Here,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an be distributed to any terminal device 100 located around, and in some cases, unnecessary radio signals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that the user does not want. Inconvenience such as receiving may occu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nline purcha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each IP information before connec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so that the user does not intend Possibility of unnecessary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an be prevented. Hereinafter, an online purcha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구매 방법의 순서도를 예시하고 있다. 4 illustrates a flow chart of an online purcha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예를들어,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홈쇼핑 채널이나 영화, 드라마 등의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중에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신호를 컨텐츠 내에 포함되는 음성 신호에 더하여, 비가청 음파의 형태로 송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a radio signal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S110).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output and provide content such as a home shopping channel, movie, or drama to a user. 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transmit a wireless signal while providing the content. Depending on embodiments, radio signals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inaudible sound waves in addition to voice signals included in content.

무선신호를 비가청 음파로 전송하는 경우, 통상의 사용자가 들을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인 18,500Hz ~ 24,000Hz 의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작 환경 및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무선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조정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as an inaudible sound wave, a frequency of 18,500 Hz to 24,000 Hz, which is a frequency band that can not be heard by normal users, can be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requency of the wireless signal depends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application Band can be adjusted.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신호로 비콘신호나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BLE의 경우, 약 10미터의 도달 반경을 가지는 2.4GHz 주파수대역에서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기술 중 하나로,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BLE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BLE 신호를 고주파 또는 초음파로 구현하여 비가청 범위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eacon signal or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as a wireless signal. In the case of BLE, as one of the Bluetooth technologi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w-power and low-capacity data in a 2.4GHz frequency band having a reach radius of about 10 meter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an be implemented to transmit a BLE signal.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BLE signal in a subaudible range by implementing a high frequency or ultrasonic wave.

무선신호에 포함되는 상품정보에는, 대상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나,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를 진행하기 위한 웹 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상품은 물리적 형체를 가지는 물건뿐만 아니라, 서비스나 컨텐츠 등 다양한 재화 및 용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target product,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ddress of a web page for purchasing a target product, and the like. Here, the target product may include various goods and services, such as services and contents, as well as objects having a physical form.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신호 내에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장치(100)가 출력하는 컨텐츠 내에 복수의 상품들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들을 무선신호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구매절차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produc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roducts may b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That is, when a plurality of products appear in the content output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product may be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select one or more of a plurality of products to proceed with a purchase procedure.

이후, 단말장치는(100)는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단말장치(100)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S120). 즉, 단말장치(100)는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또는 사용자가 무선신호를 제공받고자 의도하는 컨텐츠 제공장치(200)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이 된 경우에 한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무선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reafter, the terminal device 100 may check wheth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s the terminal device 100 by using a radio signal (S120). 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can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 trustworthy device o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that the user intends to receive a wireless signal, and only when the confirmation is made. A radio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

예를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말장치(100)가 복수의 컨텐츠 제공장치(200a, 200b)로부터 동시에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하나는 자신의 집 거실에 설치된 IPTV(200a)이고, 다른 하나는 옆 집의 IPTV(200b)일 수 있다. 즉, 옆집의 IPTV(200b)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는 사용자가 원치않는 무선신호에 해당하므로, 이를 제외하고 자신의 IPTV(200a)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만 수신하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re may be cases in which one terminal device 100 simultaneously receives radio signals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devices 200a and 200b. In this case, one may be the IPTV 200a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of one's house, and the other may be the IPTV 200b of the next house. In other words, since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next-door neighbor's IPTV 200b corresponds to a wireless signal that the user does not want, it is necessary to restrict reception to only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s own IPTV 200a.

이를 위하여, 단말장치(100)는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단말장치(100)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한 경우에 한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장치(200)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 등 자신의 액세스포인트(300a)와 연결되므로, 컨텐츠 제공장치(200)도 동일한 액세스포인트(300a)에 연결된 경우에 한하여 자신의 컨텐츠 제공장치(200)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모두 자신의 액세스포인트(300b)에 접속되므로, 동일한 액세스포인트(300a)에 접속 중인 경우에는,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장치(200)로 판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s the terminal device 100, and only when connected to the same local area network,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 can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reliabl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That is, since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its own access point 300a, such as its own home or office, its own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only whe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lso connected to the same access point 300a. ) can be determined. In general, since both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re connected to their own access point 300b, when they are connected to the same access point 300a, it is determined as a reliabl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an do.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접속한 각각의 액세스포인트들에 대한 접속이력을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말장치(100)가 현재는 액세스포인트에 접속 중이 아니라도, 단말장치(100)에는 기존에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 등의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한 접속이력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접속이력을 이용하면 현재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를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결과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단말장치(100)의 접속이력에 포함된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된 경우에는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가 현재 액세스포인트에 연결 중이 아닌 경우에도, 접속이력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 trustworthy device based on the connection history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has connected. That is, even if the terminal device 100 is not currently accessing an access poin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have a connection history of previous connections to an access point such as one's home or offi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access points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urrently connected by using the access history,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included in the connection history of the terminal device 100, It can be determined by a reliable device. That is, eve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not currently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same local area network using the access history.

반면에, 단말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200b)가 접속하는 액세스포인트(300a, 300b)가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b)가 옆 집의 IPTV에 해당하는 경우이므로,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b)가 제공하는 무선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ccess points 300a and 300b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b connect are differen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b corresponds to the IPTV next door, and thu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b corresponds to the IPTV of the next door. A radio signal provided by the providing device 200b can be disregarded.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무선신호를 전송할 때,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a, 200b)가 연결된 각각의 액세스포인트(300a, 300b)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이를 확인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a, 200b)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300a, 300b)들을 구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자신의 IP 주소 정보 또는 SSID 정보 등을 무선신호 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ransmitting a radio signal,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include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access points 300a and 300b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device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and the terminal device 100 ) can identify the access points 300a and 300b to which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device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include its own IP address information or SSID information in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 it.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무선신호 내에 포함된 컨텐츠 제공장치(200)의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IP 주소가 단말장치(100)가 접속 중인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포인트(300)가 제공하는 IP 주소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장치(200)의 IP 주소가 단말장치(100)가 접속 중인 액세스포인트의 IP 주소에 해당하면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tract the IP addr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and using the extracted IP address,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corresponds to the local area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ccess point 300 corresponds to an IP address provided. If the IP addr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orresponds to the IP address of the access point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무선신호로부터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접속 중인 액세스포인트(300)의 SSID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SSID가 단말장치(100)가 접속 중인 액세스포인트(300)의 SSID와 일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SSID가 일치하는 경우,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tract the SSID of the access point 300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from a radio signal, and the extracted SSID is the access point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matches the SSID of the point 300. If the SSIDs match,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y are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이후,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것으로 판별되면, 단말장치(100)는 무선신호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단말장치(10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30). 즉, 단말장치(100)에 구비되는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신호 중 비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규격에 따라 복조(demodulation)하여,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정보에는 대상상품에 대한 URL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를 이를 이용하여 상세 제품 정보 페이지나 구매 홈페이지 등을 단말장치(10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tract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display the product informa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0 (S130). That is,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can be calculated by demodula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audible frequency region among signals received using a microphone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have. Here, 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a URL address of the target product, an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isplay a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page or a purchase homepage in the terminal device 100 using this.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에 포함된 대상상품들의 상품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매절차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btain product information of target products included in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using the terminal device 100, and can more conveniently proceed with a purchase procedure for this product.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특정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한하여, 단말장치(100)가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장치(100)가 전송하는 무선신호에 따른 상품정보를 매번 제공받는 것을 선호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대상상품이 나타나는 경우에 한하여 상품정보를 받고자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특정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품정보를 단말장치(10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the terminal device 100 to display product information only when a user's specific input is applied. That is, the user may not prefer to receive product information every time according to a radio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100, and may want to receive product information only when a desired target product appears.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isplay product information within the terminal device 100 only when a specific user input is applied.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단말장치(100)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것으로 판별되면, 이후 단말장치(100)에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설정동작이 입력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 내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설정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장치(100)로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설정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s the terminal device 100, the termina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setting operation of the user is input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reafter. can do. That is, the user's movement can be detected using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terminal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etected user's movement corresponds to the setting operation. . For example, when a smartphone or the like is used as the terminal device 10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a gyro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movement, and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etect a user's motion using a sensor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s mo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t motion.

여기서 설정동작이 단말장치(10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드는 동작으로 정의되는 경우, 단말장치(100)는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비교 데이터와 일치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 유사한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설정동작에 대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Here, when the setting operation is defined as an operation of shaking the terminal device 100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terminal device 100 collects sensor data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using a gyro sensor and the like, and the collected data is predefined. When the comparison data matches or is similar to the compared data by a certain level or mor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mo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tting motion.

이후, 설정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장치(100)가 무선신호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품정보를 단말장치(10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홈쇼핑 채널을 시청하던 중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 단말장치(100)을 흔들어주는 등 미리 정해진 설정동작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홈쇼핑 채널의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제공받거나, 해당 대상상품의 구매 페이지로 바로 연결되어 보다 편리하게 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ting operation is input, the terminal device 100 can extract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display the product informa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purchase a product while watching a home shopping channel, the user simply performs a predetermined setting operation such as shaking the terminal device 100 such as his or her smartphone, and the target product of the home shopping channel. You can receive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or directly connect to the purchase page of the target product, so that you can proceed with the purchase process for the product more conveniently.

이어서,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S140). 예를들어, 단말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제공 및 구매가 가능한 URL 주소를 산출할 수 있으며, 해당 URL 주소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제공 및 구매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ceed with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target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140).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use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to provide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and calculate a URL address at which purchase is possible, and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By automatically linking the web p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procedures to the user for the target product.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 내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무선신호 내에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단말장치(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무선신호로부터 추출한 대상상품에 대한 상세 설명 페이지와, 구매절차 등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Also,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xecute a specific application in the terminal device 100 to proceed with a purchase procedure for a target product. In this cas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specific application may b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Her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may be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page for a target product extracted from a radio signal, a purchase procedure, and the like.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구매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먼저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단말장치(100)로 무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신호에는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출력하는 컨텐츠에 나타나는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와,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연결 중인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는, 근거리 통신망에 대한 정보로 컨텐츠 제공장치(200)의 IP 주소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근거리 통신망의 SSID 등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online purcha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firs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transmit a radio signal to the terminal device 100 . The radio signal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about a target product appearing in the content output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nd information about a local area network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Here, although the case of transmission including the IP addr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s information on the local area network is exemplified,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SSID of the local area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후, 단말장치(100)는 해당 단말장치(100)가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terminal device 100 can check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is accessing the local area network, and if it is accessing the local area network, it can check wheth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여기서, 단말장치(100)가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경우가 아니라면 추가적인 확인을 생략하고, 무선신호 내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단말장치(10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가 이동통신망 등에 연결 중인 경우에는, 단말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불가하므로, 추가적인 확인 없이 수신한 무선신호를 바탕으로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경우가 아니라도, 단말장치(100)의 액세스포인트들에 대한 접속이력을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한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f the terminal device 100 is not accessing the local area network, additional confirmation may be omitted, and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may be extracted and display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 That is,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tc.,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re connected to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nd thus the received radio signal without additional confirmation. Based on this, product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displayed. 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even if the terminal device 100 is not accessing a local area network,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same local area network based on the access history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access points.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communication network is connected.

한편, 단말장치(100)가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경우에는, 무선신호로부터 컨텐츠 제공장치(200)의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해당 IP 주소가 근거리 통신망 내의 IP 주소에 해당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IP 주소가 단말장치(100)가 접속 중인 근거리 통신망의 IP 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무선신호에 대한 처리를 중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컨텐츠 제공장치(200)와의 통신에 해당하므로,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는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accessing a local area network, an IP addr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be extracted from a radio signal,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corresponds to an IP address within the local area network. . Here, if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is not the IP address of the local area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processing of the corresponding radio signal may be stopped. That is, since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not intended by the user,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be ignored.

반면에, 컨텐츠 제공장치(200)의 IP 주소가 단말장치(100)가 접속 중인 근거리 통신망의 IP 주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도한 컨텐츠 제공장치(200)와의 통신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무선신호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단말장치(100)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절차 등을 진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P addr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orresponds to the IP address of the local area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intended by the user. can Accordingly, product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radio signal and display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 Thereafter,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roceed with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target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20)은, 단말장치(100), 컨텐츠 제공장치(200) 및 액세스포인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content providing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device 100 , a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nd an access point 300 .

단말장치(100)는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푸시된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광고 메시지를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메시지 내에는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가 출력하는 무선신호는 비가청 음파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의 내장 스피커(미도시) 등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선신호를 비콘신호 또는 BLE 신호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an advertisement message pushed from a server (not shown) or the like, and the user may select a corresponding advertisement message by touching or the like. Here,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may be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message, an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output a radio signal including the product information. The radio signal output b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an inaudible sound file, and may be output through a built-in speaker (not shown) of the terminal device 100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radio signal as a beacon signal or a BLE signal.

이후,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내장된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신호 내에 포함된 상품정보로부터 대상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추출한 대상상품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IPTV인 경우, 대상상품에 대한 홈 쇼핑 채널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receive a radio signal using a built-in microphone, etc., and may extract a target product from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search for and outpu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arget product.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n IPTV, it is possible to change to a home shopping channel for a target product.

다만, 단말장치(100)는 주위에 위치하는 임의의 컨텐츠 제공장치(200)로 무선신호를 배포하므로, 사용자가 원치않는 컨텐츠 제공장치(200)로 불필요한 무선신호가 전송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20)은, 단말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200) 사이를 연결하기 전에, 각각의 IP 정보 등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컨텐츠 제공장치(200)와의 불필요한 통신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한다.However, since the terminal device 100 distributes wireless signals to any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located nearby, inconvenience such as transmission of unnecessary radio signals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that the user does not want may occur. ca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each IP information before connecting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so that the user can Possibility of unnecessary communication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unintentionally can be prevented. Hereinafter, a cont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210). 단말장치(100)는 별도의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광고 메시지 등을 전송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광고 메시지를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OO 티셔츠가 현재 AA 홈쇼핑 채널에서 할인 행사 중, 터치하여 IPTV로 AA 홈쇼핑 채널을 확인해보세요" 등의 문구가 포함된 광고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광고 메시지를 터치하여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AA홈쇼핑 채널을 출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대응하는 무선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해당 무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신호는 비가청 음파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receive a radio signal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S21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an advertisement message or the like from a separate server (not shown), and the user may select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message by touching or the like. For example, an advertisement message containing phrases such as “OO T-shirt is currently on sale on AA home shopping channel, touch it to check AA home shopping channel on IPTV” can be sent, and the user can touch the advertisement message to view the contents The providing device 200 may request to output an AA home shopping channel. In this cas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generate and transmit a corresponding radio signal,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receive the corresponding radio signal. Here, the ra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inaudible sound wave.

이후,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장치(200)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S220). 즉,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해당 단말장치(100)가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이 된 경우에 한하여 해당 단말장치(100)로부터 무선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terminal device 100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by using a radio signal (S220).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an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is a trustworthy device, and can receive a radio signal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only when it is confirmed.

예를들어, 복수의 단말장치(100)가 동일한 컨텐츠 제공장치(200)로 동시에 무선신호를 전송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하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100)이고, 나머지는 옆 집의 단말장치일 수 있다. 즉, 옆집의 단말장치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는 사용자가 원치않는 무선신호에 해당하므로, 이를 제외하고 자신의 단말장치(100)에서 전송하는 무선신호만 수신하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cases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100 simultaneously transmit radio signals to the sam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 At this time, one may be the user's terminal device 100, and the other may be the terminal device of the next door. That is, since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next door corresponds to the wireless signal that the user does not want, it is necessary to restrict reception of only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user except for this.

이를 위하여,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해당 단말장치(100)가 현재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한 경우에 한하여, 해당 단말장치(100)가 신뢰할 수 있는 단말장치(100)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모두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구비된 액세스포인트(300b)에 접속하도록 설정되므로, 동일한 액세스포인트(300a)에 접속 중인 경우에는, 신뢰할 수 있는 단말장치(100)로 판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is currently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nd only when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trus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corresponds to (100). In general, since both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re set to access an access point 300b provided in one's home or office, when accessing the same access point 300a, a reliabl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terminal device 100.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단말장치(100)의 액세스포인트들에 대한 접속이력을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는 장치인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말장치(100)가 현재는 액세스포인트에 접속 중이 아니라도, 단말장치(100)에는 기존에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 등의 액세스포인트와 연결한 접속이력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접속이력을 이용하면 현재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와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결과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단말장치(100)의 접속이력에 포함된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된 경우에는 신뢰할 수 있는 장치로 판별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가 현재 액세스포인트에 연결 중이 아닌 경우에도, 접속이력을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제공장치(200)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a reliable device based on the access history of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access points. That is, even if the terminal device 100 is not currently accessing an access poin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have a connection history of previous connections to an access point such as one's home or office. Therefore, using the access history, it is possible to compare with the access poin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urrently connected,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included in the connection history of the terminal device 100, It can be determined by a reliable device. That is, even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is not currently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using the access history.

반면에, 단말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접속하는 액세스포인트(300)가 상이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00)가 옆 집의 단말장치에 해당하는 경우이므로, 해당 단말장치(100)가 제공하는 무선신호는 무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access point 300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are connected is different, the terminal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terminal device next door, so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 can be ignored.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는 무선신호를 전송할 때, 해당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이를 확인하여 해당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액세스포인트(300)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장치(100)의 자신의 IP 주소 정보나 SSID 정보 등을 무선신호 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기존에 접속한 액세스포인트들의 IP 주소 정보나 SSID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접속이력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radio signal, it may include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point 300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checks thi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ccess point 300 to which the device 100 is connected.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s own IP address information or SSI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and transmit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connection history including IP address information or SSID information of previously accessed access points.

이 경우,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무선신호 내에 포함된 단말장치(100)의 IP 주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IP 주소가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접속 중인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포인트(300)가 제공하는 IP 주소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의 IP 주소가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접속 중인 액세스포인트(300)의 IP 주소에 해당하면, 서로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extract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and by using the extracted IP address,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is a local area network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IP address provided by the access point 300 of . If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IP address of the access point 300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y are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무선신호로부터 단말장치(100)가 접속 중인 액세스포인트(300)의 SSID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SSID가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접속 중인 액세스포인트(300)의 SSID와 일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SSID가 일치하면,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extract the SSID of the access point 300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100 is connected from a radio signal, and the extracted SSID is the access poin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matches the SSID of (300). If the SSIDs match he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y are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이후,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이면,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품정보에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230). 즉,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무선신호로부터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대상상품이 나타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장치(200)가 제공가능한 다양한 컨텐츠들 중에서, 상품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다. 이후 검색이 완료되면, 컨텐츠 제공장치(200)는 검색된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장치(100)를 통하여 받은 광고메시지에 나타난 대상상품에 대한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output content related to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S230).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extract product information from a wireless signal and search for content in which a target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appears. That is, among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ing device 200, contents corresponding to product information may be searched for and found. Then, when the search is complete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200 may output the searched content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at is, the content for the target product indicated in the advertisement message received by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output and provided to the user.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continuously store programs executable by the computer or temporarily store them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combined hardware, bu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 certain computer system, and may be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etc.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include recording media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n app store that distributes applications, a site that supplies or distributes various other software, and a server.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온라인 구매 시스템 20: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0: 단말장치 200: 컨텐츠 제공장치
300: 액세스포인트
10: online purchase system 20: content provision system
100: terminal device 200: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ccess point

Claims (9)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온라인 구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에 접속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이면,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대상상품에 대한 구매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신호는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가 출력하는 컨텐츠의 음향신호 내에 비가청 범위의 주파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In the online purchase method of a terminal device based on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Receiving a radio signal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checking whether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LAN) as the terminal device, using the radio signal;
extracting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in the terminal device when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nd
In accordance with a user's input, the terminal device proceeds with a purchase procedure for the target product,
The radio signal is
The online purcha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frequency of the non-audible range in the sound signal of the content output b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비콘(beacon)신호 또는 BLE(Bluetooth Low Energy)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adio signal
An online purcha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beacon signal or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신호 내 포함된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IP 주소가 포함되면, 상기 IP 주소가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 중인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가 제공하는 IP 주소에 해당하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firming step
Extracting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ncluded in the radio signal; and
and if the IP address is included, determining whether the IP address corresponds to an IP address provided by an access point of the local area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신호 내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가 접속 중인 액세스포인트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가 포함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SSID가 포함되면, 상기 SSID가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 중인 상기 근거리 통신망의 SSID와 일치하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firming step
checking whether the wireless signal includes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f an access point to whic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connected; and
and if the SSID is included, determining whether the SSID matches the SSID of the local area network to which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사용자의 미리 정해진 설정동작의 입력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동작이 입력되면,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장치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ing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user's predetermined sett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terminal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y are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nd
and extracting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signal and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in the terminal device when the setting operation is inpu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동작의 입력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설정동작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tting operation is input
detecting a motion of a user using a sensor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tion of the user corresponds to the setting mo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상품은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에 디스플레이 중인 상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구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rget product
An online purcha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 being displayed 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온라인 구매 방법을 수행하기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to perform the online purchas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7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장치로부터 대상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비가청 주파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와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동일한 근거리 통신망에 접속 중이면, 상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상품정보에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In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of a content providing device based on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device,
Receiving a radio signal of an inaudible frequency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on a target product from a terminal device;
check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is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a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by using the radio signal; and
and outputting content related to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when accessing the same local area network.
KR1020210065949A 2021-05-24 2021-05-24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KR202201583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49A KR20220158331A (en) 2021-05-24 2021-05-24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949A KR20220158331A (en) 2021-05-24 2021-05-24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331A true KR20220158331A (en) 2022-12-01

Family

ID=8444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949A KR20220158331A (en) 2021-05-24 2021-05-24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833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243A (en)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A method and system for settling the credit card on the home shopping broadcasting of cable tv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243A (en)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A method and system for settling the credit card on the home shopping broadcasting of cable t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5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101426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KR1018072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unction in mobile terminal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US8787947B2 (en) Application discovery on mobile devices
US9774689B2 (en) Scheduling media recording via a handheld device
US105367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edia content
US201500822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images
US20070124771A1 (en) Providing an item further to a broadcast
JP2016535523A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20089100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Business Application and Contents for Mobile Equipment using Application Store and Wireless AP
US11012754B2 (en) Display apparatus for searc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316128B (en) Screen projection method, receiving terminal equipment and sending terminal equipment
US201602345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US10372396B2 (en) Discovery and connection to wireless displays
KR20110009587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 device resuming of video contents clip
KR201701383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unction in mobile terminal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CN116847131A (en) Play control method, device, remote controller, play system and storage medium
KR20220158331A (en) Method for online purchasing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wirelss signal
KR102386919B1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coumputer program for online purchasing using inaudible signal
KR102404364B1 (en) Electronic apparatus paired with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246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70050235A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access point, system for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40165082A1 (en) Video playback system supporting group-based billing mechanism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101625531B1 (en) Bidirectioal advertising moving picture match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233892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