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108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108A
KR20220158108A KR1020210064559A KR20210064559A KR20220158108A KR 20220158108 A KR20220158108 A KR 20220158108A KR 1020210064559 A KR1020210064559 A KR 1020210064559A KR 20210064559 A KR20210064559 A KR 20210064559A KR 20220158108 A KR20220158108 A KR 20220158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r
information
driving patter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용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8108A/en
Publication of KR2022015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1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2Type
    • B60W2554/4029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B60Y230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Abstract

Disclosed are a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 state of a driv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comprises: a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collecting a driving pattern of a driver with respect to a vehicle through communication in the vehicle; a stat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state of the driver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and a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tate of the driver.

Description

운전자 상태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ccording to driver stat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전자 상태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 driver's condition.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최근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주행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주행보조(driving assist) 및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이 스스로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기술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driving assist for ensuring driver's safety and providing driving convenience an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for allowing a vehicle to drive on the road by itself without driver's intervention has been accelerated.

한편, 치명적인 교통사고 원인은 졸음운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많은 운전자들이 졸음운전을 경험하며, 졸음운전에 의해 사망하기도 한다. 졸음운전 외에도, 운전자의 신체에 문제가 생겨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use of fatal traffic accidents is caused by drowsy driving. Many drivers experience drowsy driving and even die due to drowsy driving. In addition to drowsy driving,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the driver cannot control the vehicle due to a problem with the driver's body.

졸음운전이나 심정지 등 운전자가 갑작스럽게 운전 불가 상태에 빠졌을 때 차량을 주행보조하거나 자율주행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운전불능상태 지원시스템(Departed Driver Rescue and Exit Maneuver)라 한다.Departed Driver Rescue and Exit Maneuver is a technology that assists driving or controls a vehicle through autonomous driving when a driver suddenly becomes unable to drive, such as drowsy driving or cardiac arrest.

DDREM에 따라 상시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카메라, 생체신호 측정기, 압력 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되어야 한다.In order to monitor the driver's condition at all times according to DDREM, various sensors such as a camera,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a pressure sensor should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하지만, 차량에 이러한 센서들을 장착하고, 센서들을 동작시키는 알고리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mount these sensors on a vehicle and install an algorithm for operating the sensor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운전자를 모니터링하지 않고도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aimed at provid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river's condition without monitoring the driver by monitoring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가 갑작스레 제어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운전자와 주변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moting the safety of a driver and surrounding vehicles even if the driver suddenly becomes out of control by determining the driver's state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state.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운전자가 제어불능 상태일 때 차량을 제어하되, 타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고려하여 제어함으로써,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 collision by controlling the vehicle when the driver is out of control, but controlling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or a pedestria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 내 통신을 통해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collecting a driver's driving pattern for the vehicle through in-vehicle communication; determining a state of the driver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and generating vehicl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er's condition.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 내 통신을 통해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수집하는 주행패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driver's driving pattern of the vehicle through in-vehicle communication; a stat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state of the driver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and a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er's condi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운전자를 모니터링하지 않고도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nitoring the driver's driving pattern, the driver's condition can be determined without monitoring the dri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가 갑작스레 제어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운전자와 주변 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driver's condition and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condition,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surrounding vehicles can be promoted even if the driver suddenly becomes out of contro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제어불능 상태일 때 차량을 제어하되, 타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고려하여 제어함으로써,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llision can be prevented by controlling the vehicle when the driver is out of control, but considering the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or a pedestri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제어기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순서도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vehicl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제어기를 예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vehicl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기(100)는 차량 내 통신부(110), V2X 통신부(12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 메모리(140) 및 내부 통신부(15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제어기(1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ntegrated control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a V2X communication unit 120, at least one processor 130 and 132, a memory 140, and an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is included in whole or in part. All block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blocks included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100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in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기(integrated controller, 100)는 승용차, 택시, 승합차, 버스, 트럭 등 차량(10)에 탑재되어, 차량(10) 내/외부의 각종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 가공 및 분석하여 차량(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An integrated control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10 such as a car, taxi, van, bus, or truck, and receives data from various devices inside/outside the vehicle 10 And, by stor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 received data, the overall driving of the vehicle 10 is controlled.

통합제어기(100)는 차량 내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160)와 연동하여 차량 내 각종 구동장치(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거나, 제어기(160)와는 독립적으로 차량 내 각종 구동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controller 100 interlocks with at least one controller 160 mounted in the vehicle to electrically control various driving devices (not shown) in the vehicle, or directly controls various driving devices in the vehicle independently of the controller 160. can do.

차량 내 통신부(110)는 차량에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16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7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controller 160 and/or at least one sensor 170 mounted in the vehicle.

차량 내 통신부(110)는 차량 내 존재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제어기(160) 및/또는 센서(17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CAN FD(CAN with Flexible Data rate), 이더넷(ethernet),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플렉스레이(FlexR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에 탑재된 각종 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the controller 160 and/or the sensor 170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existing in the vehicle. The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AN FD (CAN with Flexible Data rate), Ethernet,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and Flex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y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may be applied.

제어기(160)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VDC(Vehicle Dynamic Control), LKAS(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 SCC(Smart Cruise Control), ACC(Adaptive Cruise Control),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FCA(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HDA(Highway Driving Assist), HDP(Highway Driving Pilot), LDW(Lane Departure Warning), DAW(Driver Awareness Warning), DSW(Driver State Warning) 및/또는 차량 내 각종 구동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제어기(160)의 장치 및 기능을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 System; ADAS)라 한다.The controller 160 includes Engine Management System (EMS),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SP), Vehicle Dynamic Control (VDC), Lane Keeping Assistance System (LKAS), Smart Cruise Control (SCC), ACC ( Adaptive Cruise Control),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FCA), Highway Driving Assist (HDA), Highway Driving Pilot (HDP), Lane Departure Warning (LDW), Driver Awareness Warning (DAW), DSW (Driver State Warning) and/or one or more of other devices that electrically control various driving devices in the vehicle. Hereinafter, the device and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ler 160 are referred to as an Advanced Driver Assist System (ADAS).

센서(170)는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초음파(ultrasonic) 센서, 카메라(camera), 휠 스피드(wheel speed) 센서,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레벨 감지 센서, 조향각(steering angle) 센서, 요레이트(yaw rate)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및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170 includes a radar, a lidar, an ultrasonic sensor, a camera, a wheel speed sensor, an accelerator level detection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yaw rate sens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and a gyroscope sensor,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ll sensors applicable to a vehicle. can

V2X 통신부(120)는 차량의 외부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라, V2X 통신부(120)는 타 차량(180)과 통신(V2V: Vehicle to Vehicle)하거나 인프라(190)와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할 수 있다. 인프라(190)는 예컨대, TIS(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또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등과 연동하여 교통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노변 기지국(roadside base station) 또는 서버일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과 통신 가능한 모든 인프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vehicle 180 (V2V: Vehicle to Vehicle) or communicate with the infrastructure 190 (Vehicle to Infrastructure). The infrastructure 190 may be, for example, a roadside base station or server that periodically transmits traffic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IS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or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but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ll infrastructu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10 may be included.

V2X 통신부(120)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V2X 통신부(120)는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preferabl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To this end,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mit antenna, a receive antenna, a radio frequency (RF) circui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an RF element.

실시예들에 따라, 차량 내 통신부(110) 및 V2X 통신부(120)는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차량 내 통신부(110) 및 V2X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차량 내 통신부(110) 및 V2X 통신부(120)는 통합제어기(100) 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verall operations of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processor (not shown) provided therein.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or may not include a processor. When not including a processor,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at least one processor 130 and 132 in the integrated controller 100.

프로세서(130 및 132)는 차량(1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각 프로세서(130 및 132)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ler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중앙 처리 유닛(CPU: Central Processing Unit) 및/또는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신호의 생성이 가능한 다른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Processors 130 and 132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vehicle 10 . According to embodiments, each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may include an electronic controller unit (EC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and/or other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generating various arithmetic processing and control signals.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는 차량(10)의 제어와 관련된 판단을 수행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다른 제어기(160) 및/또는 구동장치(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는 차량 내 통신부(110) 및/또는 V2X 통신부(120)가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기(160) 및/또는 구동장치(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may perform a determination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vehicle 10 and control another controller 160 and/or a driving device (not show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processor 130 and 132 may operate the controller 160 and/or a driving device (not shown) based on data received by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and/or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및 서로 다른 데이터 버스(data bu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어기(160) 및/또는 센서(170)들 간의 통신지원을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is a gateway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ler 160 and/or sensors 170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different protocols and different data buses. function can be provided.

메모리(140)는 차량(1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및 132)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40 stores variou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10 . 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input/output to at least one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 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processed by at least one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 The memory 140 may store various data for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1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processor 130 and 132.

메모리(140)는 차량의 자율주행 및/또는 주행보조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프로세서(130 및 132)에 의해 차량의 자율주행 및/또는 주행보조 기능이 제공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40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autonomous driving and/or driving assistance of the vehicle, or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autonomous driving and/or driving assistance functions of the vehicle by the processors 130 and 132. can be saved

메모리(140)에는 프로세서(130 및 132)에 의한 자율주행 및/또는 주행보조 제어에 요구되는 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메모리(140)는 지도 정보로서, 도로 단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항법 지도(navigation map) 및/또는 차로(Lane) 단위의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정밀 도로 지도, 즉 3차원 고정밀 지도(HD-map: High Definition-map)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도 정보는 차선, 차로 중심선, 규제선, 도로 경계, 도로 중심선, 교통 표지, 노면 표지, 도로의 형상 및 높이, 차로 너비 등 차량(10)의 자율주행 및/또는 주행보조 제어에 필요한 동적 및 정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Map information required for autonomous driving and/or driving assistance control by the processors 130 and 132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0 . The memory 140 is map information, and includes a navigation map providing information in units of roads and/or a precision road map providing information in units of lanes, that is, a 3D high-precision map (HD-map: High Definition-map) can be saved. The map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is used for autonomous driving and/or driving assistance of the vehicle 10, such as lanes, lane center lines, regulatory lines, road boundaries, road center lines, traffic signs, road surface markings, road shapes and heights, lane widths, etc. It can provide dynamic and static information required for control.

메모리(140)에는 차량의 자율주행 및/또는 주행보조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 및 132)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차량의 주변 환경에 능동적인 자율주행 및/또는 주행보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n algorithm for autonomous driving and/or driving assistance control of a vehicl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40 . The processors 130 and 132 may execute an algorithm stored in the memory 140 to perform active autonomous driving and/or driving assistance control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내부 통신부(150)는 고장난(malfunctioning) 프로세서(130 및 132)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정상적인 프로세서(130 및 132)가 영향을 받게 되는 고장 전파 문제를 방지하고, 프로세서(130 및 132)들 간 또는 프로세서(130 및 132)와 메모리(140) 간 통신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된다. 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prevents a fault propagation problem in which the normal processors 130 and 132 are affected when the malfunctioning processors 130 and 132 are not accurately recognized, and between the processors 130 and 132 or It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peed between the processors 130 and 132 and the memory 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통신부(150)는 각 프로세서(130 및 132)들을 대신하여 메모리(140) 또는 프로세서(130 및 132)의 로컬 메모리(미도시)에 직접 액세스하는 DMA 제어기(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is a DMA controller (not shown) that directly accesses the memory 140 or the local memory (not shown)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on behalf of each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A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not shown) may be included.

내부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30 및 132)들 간 또는 프로세서(130 및 132)와 메모리(14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 및 132)는 연산 및 데이터 전송을 병렬로 진행(parallel processing)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내부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30 및 132) 대신 메모리(140)에 액세스하여 읽기/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 및 132)는 읽기/쓰기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다른 연산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작업이 완료되면 내부 통신부(150)로부터 완료 인터럽트를 수신하게 된다. 반면, 프로세서(130 및 132)가 완료 인터럽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메모리(140)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performs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processors 130 and 132 or between the processors 130 and 132 and the memory 140 . Accordingly, the processors 130 and 132 can perform calculation and data transmission in parallel (parallel processing). For example, 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may perform a read/write operation by accessing the memory 140 instead of the processors 130 and 132 . Accordingly, the processors 130 and 132 may perform other calculation processing while the read/write opera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a completion interrupt is received from 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 On the other hand, if the processors 130 and 132 do not receive the completion interrup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emory 140 is out of order.

이와 같이 DMA 제어기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CAN 통신방식 대비 빠른 통신 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인터럽트를 수신 여부에 기초한 고장 인지가 가능하다. In the case of using the DMA controller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aster communication speed than the existing CAN communication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 failure based on whether or not an interrupt is received.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30 및 132)는 ACK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다른 프로세서(130 및 132)의 메시지 정상 수신 여부 및/또는 고장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Depending on embodiments, the processors 130 and 132 may recognize whether or not messages from the other processors 130 and 132 are normally received and/or whether messages are out of order based on whether or not an ACK is received.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30)가 제2 프로세서(132)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제1 프로세서(130) 또는 내부 통신부(150)는 제2 프로세서(132)에게 인터럽트를 걸고, 인터럽트를 인지한 제2 프로세서(132)는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 메시지를 확인한 제2 프로세서(132)는 메시지를 정상 수신했음을 알리는 ACK을 전송한다. 제2 프로세서(132) 또는 내부 통신부(150)는 제1 프로세서(130)에게 인터럽트를 걸고, ACK을 수신한 제1 프로세서(130)는 제2 프로세서가 메시지를 정상 수신했음을 인지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processor 130 wants to transmit a message to the second processor 132, the first processor 130 or 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issues an interrupt to the second processor 132, and interrupts the second processor 132. Upon recognizing, the second processor 132 checks the message. After confirming the message, the second processor 132 transmits an ACK indicating that the message was normally received. The second processor 132 or 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interrupts the first processor 130, and upon receiving the ACK, the first processor 130 recognizes that the second processor has normally received the message.

한편, 제2 프로세서(132)가 ACK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프로세서 및/또는 내부 통신부(150)가 메시지를 재전송하거나, 곧바로 제2 프로세서(132)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processor 132 does not transmit an ACK, the first processor and/or the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50 may retransmit the message or immediately determine that the second processor 132 is out of ord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예시한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00)는 제어기정보 수집부(210), 주행패턴 수집부(220), 타차정보 수집부(230), 환경정보 수집부(240), 항법정보 수집부(250), 지도 관리부(260), 상태 판단부(270), 충돌 판단부(280) 및 제어정보 생성부(29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차량 제어 장치(200)는 운전자 및 외부에 경고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경고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장치(2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a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an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 240), a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50, a map management unit 260, a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280, and a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in whole or in part.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output unit (not shown) for providing a warning notification to the driver and the outside. All block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components, and some blocks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in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200)는 차량(10)에 탑재된 장치로써, 도 1에서 통합제어기(100)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통합제어기(100)의 구성요소를 기능별로 구분한 것이 차량 제어 장치(200)며, 차량 제어 장치(200)의 기능(동작)은 복수의 프로세서(130 및 132)에 의해 분산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기정보 수집부(210)의 기능은 제1 프로세서(130)에 의해 수행되고, 환경정보 수집부(240)의 기능은 제2 프로세서(1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200)의 일부 기능은 차량(10)의 외부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10 and may be implemented by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100 in FIG. 1 . That is,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divides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controller 100 by function, and the functions (operation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are distributed and performed by a plurality of processors 130 and 132. can For example,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processor 130 and the function o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40 may be performed by the second processor 132 . Some function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external server of the vehicle 10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200)에 포함된 모든 구성요소 기능이 단일한 프로세서(130 및 132)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차량 제어 장치(200)의 기능은 제1 프로세서(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제어 장치(200)는 제1 프로세서(130)의 하위 구성요소일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all component functions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are performed by a single processor 130 and 132 . For example,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processor 130 . In this case,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may be a sub-component of the first processor 130 .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기정보 수집부(210), 주행패턴 수집부(220), 타차정보 수집부(230), 환경정보 수집부(240) 및 항법정보 수집부(250)는 수집부로 통칭할 수 있다. 수집부는 기 저장된 정보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제어정보 생성부(290)가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40, and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5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llection units. can The collection unit collects information in real time as well as pre-stored information so that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can provide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based on various and accurate information.

제어기정보 수집부(210)는 차량 내 통신부(110)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160)로부터 차량(10)의 ADAS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llect ADAS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from at least one controller 160 .

제어기정보 수집부(210)는 차량 내 통신부(110)가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160)로부터 ADAS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정보 수집부(210)는 LKAS, ABS, AEB, ESC, VDC, ESP, HDA, HDA 2, HDA 3 또는 HDP 등 ADAS 제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기정보 수집부(210)는 ADAS의 각 기능들에 대한 작동 유무, 작동 이력 또는 작동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차량(10)의 ADAS 제어 정보는 운전자에게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되거나 외부에 제공되거나 차량(10)의 제어에 이용된다.In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DAS control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controller 16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collect ADAS control information such as LKAS, ABS, AEB, ESC, VDC, ESP, HDA, HDA 2, HDA 3, or HDP.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10 may collec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each function of the ADAS has been operated, an operation history, or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possible. ADAS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is output to the driver through an interface, provided to the outside, or use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 .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차량 내 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170)로부터 수신하는 차량(10)의 상태정보(이하, '주행패턴')를 수집한다.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collects stat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iving pattern') of the vehicle 10 received from at least one sensor 170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

주행패턴은 차량(10)의 주행정보 및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주행패턴은 차량(10)의 위치, 속도, 방향, 수직가속, 수평가속, 전장, 차고, 차폭, 위치 정확도, 헤딩, 경로 이력, 예측 경로, 제동 시스템 상태, 지시등 상태, 이벤트 플래그, 슬립 발생 유무, 요레이트(yaw rate), 조향각, 조향각속도, 가속페달 위치정보, 브레이크페달 위치정보, 선회상태, 선회 반경, 횡활각(sideslip angle), 기울기, 각 차륜의 선회반경, 선회 슬립양, 엇갈림 각 및 운전자의 주행 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패턴은 실내외 온도차, 공조기 작동 상태, 내비게이션의 경로 설정 유무 및 미디어 장치 작동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10)의 제어정보는 제어기정보 수집부(210)에 의해 수집된 차량(10)의 ADAS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제어기정보 수집부(210)가 수집한 ADAS 제어 정보를 주행패턴으로 이용할 수 있다. 주행패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의 상태와 관련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pattern includes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 Specifically, the driving pattern includes the vehicle 10's position, speed, direction, vertical acceleration, horizontal acceleration, overall length, height, vehicle width, location accuracy, heading, route history, predicted route, braking system state, indicator light state, event flag, Slip occurrence, yaw rate, steering angle, steering angle speed, accelerator pedal location information, brake pedal location information, turning state, turning radius, sideslip angle, inclination, turning radius of each wheel, turning slip amount , a stagger angle, and a driver's driving mode. The driving pattern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an operating state of an air conditioner, whether or not a navigation route is set, and an operating state of a media device. Furthermore,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may include ADAS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collected by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 That is, the driving pattern collecting unit 220 may use the ADAS contro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roller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10 as a driving pattern. The driving patter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of the vehicle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메모리(140)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추후 수집되는 주행패턴과의 비교에 이용된다. 나아가,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모델의 학습에 이용될 수 있다.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the driver's driving pattern in the memory 140 or an external server.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is used for comparison with a driving pattern collected later. Furthermore,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may be used to learn a model for determining the driver's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차량 내 통신부(110)가 센서(17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주행패턴을 직접 산출할 수 있다.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calculate a driving pattern based on data collected by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from the sensor 170 .

예를 들면,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휠 스피드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차속을 산출할 수 있다.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각 차륜 간의 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슬립 발생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may calculate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10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wheel speed sensor.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slip occurs by using a speed difference between each wheel.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요레이트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0)의 현재 요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조향각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향각에 따른 추정 요레이트를 산출할 수 있다.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may calculate the current yaw rate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yaw rate sensor.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may calculate an estimated yaw rate according to the steering angle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산출된 현재 요레이트 및 추정 요레이트를 기초로 차량(10)의 선회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선회상태는 언더스티어(under steer), 오버스티어(over steer), 뉴트럴 스티어(neutral steer) 중 하나일 수 있다.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차량의 무게중심, 휠베이스, 조향각 대비 휠 각 등을 이용하여 각 차륜의 선회반경 및 선회 슬립양을 산출할 수 있다.The driving pattern collecting unit 220 may calculate the turning state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calculated current yaw rate and the estimated yaw rate. The turning state may be one of under steer, over steer, and neutral steer.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may calculate the turning radius and turning slip amount of each wheel using the vehicle's center of gravity, wheelbase, steering angle versus wheel angle, and the like.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조향각 센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륜의 방향과 차량(10)의 진행 방향 사이의 엇갈림 각을 산출할 수 있다.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may calculate a shift angle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wheel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또한, 주행패턴 수집부(22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의 주행 모드(예컨대, 자율 주행 모드/수동 주행 모드, 또는 스포츠 모드/에코 모드/안전 모드/일반 모드 등)을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220 may collect driving modes (eg, autonomous driving mode/manual driving mode, sports mode/eco mode/safety mode/normal mode, etc.) of the vehicl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iver's manipulation. have.

타차정보 수집부(230)는 차량 내 통신부(110) 및/또는 V2X 통신부(120)를 통해 타 차량(180)의 상태정보(이하, '타차정보')를 수집한다. 타차정보는 타 차량(180)의 주행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타차정보 수집부(230)는 V2V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collects status information (hereinafter, 'other vehicle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180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and/or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180 .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may use a V2V communication method.

구체적으로, 타차정보 수집부(230)는 V2X 통신부(120)를 통해 타 차량(180)으로부터 타 차량(180)의 주행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may collect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180 from the other vehicle 180 through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

타 차량(180)의 주행 정보는 타 차량(180)의 위치, 속도, 방향, 수직가속, 수평가속, 전장, 차고, 차폭, 위치 정확도, 헤딩(heading), 기울기, 상대적 위치, 경로 이력, 예측 경로, 제동 시스템 상태, 지시등 상태, 이벤트 플래그, 슬립 발생 유무, 요레이트(yaw rate), 조향각, 조향각속도, 가속페달 위치정보, 브레이크페달 위치정보, 선회상태, 선회 반경, 횡활각(sideslip angle), 기울기, 각 차륜의 선회반경, 선회 슬립양, 엇갈림 각 및 운전자의 주행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180 is the location, speed, direction, vertical acceleration, horizontal acceleration, overall length, height, vehicle width, location accuracy, heading, inclination, relative location, route history, and prediction of the other vehicle 180. Route, braking system status, indicator light status, event flag, slip occurrence, yaw rate, steering angle, steering angular velocity, accelerator pedal location information, brake pedal location information, turning status, turning radius, sideslip angle , inclination, turning radius of each wheel, turning slip amount, offset angle, driver's driving mode, and the like.

타 차량(180)의 제어 정보는 ADAS 작동 유무, 작동 이력 또는 작동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타 차량(180)의 제어 정보는 ABS 작동 유무, AEB 작동 유무, ESC, VDC, ESP 작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180 includes ADAS operation status, operation history, operation availability,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180 may include ABS operation status, AEB operation status, ESC, VDC, ESP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타차정보 수집부(230)는 차량 내 통신부(11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170)로부터 타차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차정보 수집부(230)는 차량 내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 좌측방, 우측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타 차량(180)의 검출 여부, 타 차량(180)의 상대적 위치 및 상대적 속도 등 센서 데이터로 산출 가능한 타 차량(180)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may also collect other vehicl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sensor 170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 For example,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230 uses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another vehicle 180 has been detected for at least one of the front, left side, right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the other vehicle 180 ) It is possible to collect all information about other vehicles 180 that can be calculated as sensor data, such as relative positions and relative speeds.

타차정보 수집에 이용되는 센서(170)는 차량의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레이더, 라이다, 초음파 센서,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센서의 종류, 배치 위치 및 배치 수는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sensor 170 used to collect other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radar, lidar, ultrasonic sensor, and camera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surfaces of the vehicle, but the type and arrangement of sensors The location and number of arrangements ar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차정보 수집부(230)는 센서(17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타차정보를 직접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차정보 수집부(230)는 센서(170)가 송신한 신호가 타 차량(180)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 또는 센서(170)가 송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거나 센서(170)가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기 정의된 영상 처리 프로세싱을 적용함으로써 타 차량(180)의 위치, 속도 등 타차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calculate other vehicle information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 170 . For example,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30 analyzes the time when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nsor 170 is reflected by the other vehicle 180 and returns, or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sensor 170, or the sensor 170 Other vehicle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speed of the other vehicle 180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a predefined image processing to the image taken by the vehicle 180 .

환경정보 수집부(240)는 V2X 통신부(120)를 통해 인프라(190)로부터 외부 환경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한다. 환경 정보는 도로 정보,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환경정보 수집부(240)는 V2I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40 collects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environment from the infrastructure 190 through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oad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40 may use a V2I communication method.

도로 정보는 도로 종류, 도로 곡률 및 도로 경사도 및 도로 공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로 정보는 노면의 상태 정보, 도로의 폭 등 도로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로의 종류는 고속도로, 지방국도 또는 시내도로 등을 포함한다. 노면의 상태 정보는 포장도로 여부, 비포장도로 여부, 비에 의해 젖었는지 여부, 눈이 쌓였는지 여부, 또는 온도 등을 포함한다.The roa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oad type, road curvature and road slope, and road construction information. The road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road-related information such as road surface condition information and road width. Types of roads include highways, local national roads, or city roads. The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road surface includes whether the road is paved, whether it is an unpaved road, whether it is wet from rain, whether it is snowy, or temperature.

교통 정보는 교통 흐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흐름은 원활, 서행, 지체 및 정체로 구분될 수 있다. 교통 흐름은 타 차량(180)의 위치, 속도 및 수 등에 기초하여 구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교통 흐름은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네 가지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Traffic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raffic flow. Traffic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assified into smooth, slow, delayed, and congested. Traffic flow may be divided based on the location, speed, and number of other vehicles 180 . In addition to this, traffic flow can be classified into four or more categories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날씨 정보는 비, 눈, 안개, 우박, 해 등 기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Weather information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such as rain, snow, fog, hail, and sun.

항법정보 수집부(250)는 차량 내 통신부(110), V2X 통신부(120) 및/또는 메모리(140)로부터 차량(10)의 항법정보(navigation information)를 수집한다. 항법정보는 차량(10)의 위치정보,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도정보, 경로정보 및 차량(10)이 주행 중인 도로의 도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50 collects navig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from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and/or the memory 140.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nd road information of a road on which the vehicle 10 is driving.

항법정보 수집부(250)는 차량 내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차량(10)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장치에 운전자/탑승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목적지까지의 후보 경로 중 운전자/탑승자가 선택한 최단 경로 또는 선호 경로 등)를 수집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50 uses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to inpu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driver/passenger to the navigation device mounted in the vehicle 10 and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setting (driver/passenger among candidate routes to the destination). Shortest route or preferred route selected by the passenger may be collected.

항법정보 수집부(250)는 GPS 수신기로부터 측위 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지도정보 중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추출하거나 V2X 통신부(120)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50 extracts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from among the map information pre-stored in the memory 140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positioning from the GPS receiver, or uses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to extract map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It is possible to receive m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from.

지도 관리부(260)는 타차정보 및 환경정보를 기초로 차량(10)의 주변지도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지도 관리부(260)는 차량(10) 및 타 차량(180)의 위치, 속도 및 헤딩각 등 주행정보 및 제어정보를 항법정보 수집부(250)가 수신한 지도정보에 반영함으로써 차량(10)의 주변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지도 관리부(260)는 환경정보를 주변지도에 반영할 수도 있다. 한편, 주변지도 생성에 사용되는 차량(10)의 정보 및 타차정보는 상기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제어 장치(200)가 수집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도 관리부(260)는 차량(10) 및 타 차량(180)의 주행경로를 추가로 고려하여 차량(10)의 주변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지도 관리부(260)는 주변지도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The map manager 260 creates and manages a map around the vehicle 10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map management unit 260 reflects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speed, and heading angle of the vehicle 10 and other vehicles 180 on the map information received by the navig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50, thereby The surrounding map of (10) can be created. The map management unit 260 may reflect environment information on a surrounding map. Meanwhi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and other vehicle information used to generate the surrounding map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ll information that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can collect. For example, the map management unit 260 may generate a map around the vehicle 10 by additionally considering driving routes of the vehicle 10 and other vehicles 180 . The map management unit 260 may periodically update the surrounding map.

지도정보는 내비게이션 맵 또는 정밀 지도(high-definition map)를 의미한다.The map information means a navigation map or a high-definition map.

상태 판단부(270)는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The state determining unit 270 determines the driver's state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s and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s.

운전자의 시선, 눈을 깜빡이는 속도, 눈을 깜빡이는 빈도, 등받이 접촉 여부, 시선 이탈 여부, 음성, 심박수, 심전도, 혈압, 산소포화도 및 호흡 속도 등 운전자의 상태정보가 없더라도, 상태 판단부(270)는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Even if there is no driver's condition information such as the driver's gaze, eye blinking speed, eye blinking frequency, backrest contact, gaze deviation, voice,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oxygen saturation, and respiration rate,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 may determine the driver's condition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s and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s.

예를 들면,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운전자가 조향 제어를 수행하기 전에 지시등을 켜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수집된 주행패턴이 운전자가 지시등을 켜지 않은 채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때, 상태 판단부(270)는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운전자가 평소 주행패턴과 달리 행동하는 경우 상태 판단부(270)는 다양한 주행패턴들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70)는 졸음운전이나 심정지 등 운전자가 갑작스럽게 운전 불가 상태에 빠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may include a pattern in which an indicator light is turned on before the driver performs steering control.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means that the driver controls the steering without turning on the indicator light,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s state is in an abnormal state. In addition, when the driver behaves differently from the usual driving pattern, the state determining unit 270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is in an abnormal state using various driving patterns.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has suddenly fallen into a driving incapacity state, such as drowsy driving or cardiac arre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270)는 운전자의 상태를 직접 판단할 수도 있고, 서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state determining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or indirectl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상태 판단부(270)가 운전자의 상태를 직접 판단하는 경우,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차량 내 메모리(14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즉, 상태 판단부(2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주행패턴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directly determines the driver's state,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may be stored in the in-vehicle memory 140 . That is,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ma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using the driving pattern stored in the memory 140 .

상태 판단부(270)가 서버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기 저장된 장소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Whe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determines the driver's state using a server, the pre-stored location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상태 판단부(270)가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V2X 통신부(120)는 수집된 주행패턴을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수집된 주행패턴을 수신하고,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V2X 통신부(120)는 서버에 의해 판단된 운전자의 상태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70)는 수신된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 Whe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uses a server,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s to the server. The server may receive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compare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with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to determine the driver's condition. Then,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the driver's condition determined by the server from the server.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determines the driver's state based on the received driver's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270)는 머신러닝(machine-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학습된 모델을 통해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through a model learned through machine-learning or deep learning.

상태 판단부(270)는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학습된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er 270 ma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by using a model learned to determine the driver's state based on a pre-stored driving pattern.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270)는 학습된 모델에 수집된 주행패턴을 입력하고, 학습된 모델로부터 운전자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상태 판단부(270)는 학습된 모델로부터 획득한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ate determiner 270 may input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s to the learned model and obtain the driver's state from the learned model. The state determiner 270 ma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based on the driver's state acquired from the learned mod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델은 상태 판단부(270) 또는 서버에 의해 사전에 학습될 수 있다. A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earned in advance by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or the server.

상태 판단부(270)가 모델을 학습시키는 경우, 상태 판단부(270)는 수집한 주행패턴, 기 저장된 주행패턴 및 운전자의 상태를 학습 데이터로 생성하고, 모델에 학습 데이터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이때, 모델은 메모리(140)에 저장된다.Whe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learns the model,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may generate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s,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s, and the driver's state as learning data, and make the model learn the learning data. At this time, the model is stored in the memory 140.

서버가 모델을 학습시키는 경우, 서버는 V2X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 및 운전자의 상태를 학습 데이터로 생성하고, 모델에 학습 데이터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이때, 모델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모델은 V2X 통신부(120)로 전송되어 차량 내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server learns the model, the server may generate the driving pattern received from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and the driver's state as learning data, and may make the model learn the learning data. At this time, the model may be stored in the server. In addition, the model may be transmitted to the V2X communication unit 120 and stored in the in-vehicle memory 140.

모델의 구조는 기계학습모델,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순환 신경망, 재귀 신경망 등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model may be various structures for learning, such as a machine learning model, a neural network,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 recurrent neural network, and a recursive neural network.

모델의 학습 방법은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및/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의 방법일 수 있다. 모델의 바람직한 학습 방법은 지도형 학습 방법이다. 모델의 구체적인 학습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learning method of the model may b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or reinforcement learning. A preferred learning method for a model is a supervised learning method. Since the specific learning method of the model is common in the relevant fiel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270)는 운전자의 상태를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as a normal state or an abnormal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판단부(270)는 운전자의 상태를 제어가능(controllable), 반제어가능(semi-controllable) 및 제어불능(uncontrollable)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가능 상태는 정상 상태이며, 제어불능 상태는 비정상 상태이다. 반제어가능 상태는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 중 하나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as one of controllable, semi-controllable, and uncontrollable. The controllable state is a normal state, and the uncontrollable state is an abnormal state. The semi-controllable state may be arbitrarily set to either a steady state or an abnormal state.

제어가능 상태는 운전자가 차량(10)을 온전히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제어가능 상태는 운전자가 약간의 통증 또는 약간의 졸림을 느끼더라도 차량(10)의 속도 및 조향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abl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driver can completely control the vehicle 10 . The controllable state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speed and steering of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even when the driver feels slight pain or slight drowsiness.

반제어가능 상태는 운전자가 차량(10)을 제어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 즉, 반제어가능 상태는 운전자가 차량(10)의 속도 및 조향을 제어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졸음으로 인해 차량(10)이 차선을 넘어가거나 지그재그로 주행하는 경우, 상태 판단부(270)는 운전자가 반제어가능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emi-controllabl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control the vehicle 10 . That is, the semi-controllabl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control the speed and steering of the vehicle 10 .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0 crosses a lane or drives zigzag due to the driver's drowsiness,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270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is in a semi-controllable state.

제어불능 상태는 운전자가 차량(10)을 제어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불능 상태는 운전자가 차량(10)의 속도 및 조향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가속페달 또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못하는 경우, 상태 판단부(270)는 운전자가 제어불능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uncontrollabl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driver cannot control the vehicle 10 . Specifically, the uncontrollable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the driver cannot completely control the speed and steering of the vehicle 10 . For example, when the driver cannot step on the accelerator pedal or the brake pedal, the state determining unit 270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is in an out of control state.

충돌 판단부(280)는 차량(10)의 이동 중에 타 차량(180)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판단한다.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280 determines the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180 or a pedestrian while the vehicle 10 is moving.

충돌 판단부(280)는 타차정보 및 환경정보를 고려하여 타 차량(180)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판단부(280)는 차량(10) 및 타 차량(180)의 위치, 속도, 주행경로와 교통흐름에 따라 예측되는 차량(10) 및 타 차량(180)의 거동 등을 기초로 충돌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280 may calculate a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180 or a pedestrian in consideration of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280 is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vehicle 10 and the other vehicle 180, the speed, the driving route, and the behavior of the vehicle 10 and the other vehicle 180 predicted according to the traffic flow. The risk of collision can be calculated with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제어정보는 차량(10)의 위치, 속도, 가속도, 방향, 제동, 경로 등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제어정보는 ADAS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or 290 generates vehicl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er's condition.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control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speed, acceleration, direction, braking, route, and the like of the vehicle 10 .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ADAS function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타차정보, 환경정보 및 주변지도에 기초하여 안내 경로를 생성한다. 차량(10)이 타차정보, 환경정보 및 주변지도에 기초하여 타 차량(180)과 충돌하지 않고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안내 경로를 생성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guide route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urrounding maps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generates a guide route so that the vehicle 10 does not collide with another vehicle 180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raffic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urrounding maps.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차량(10)이 안내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차량(10)의 제어정보를 생성한다.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so that the vehicle 10 moves along the guide route.

한편,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ADAS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운전자가 목적지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ADAS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제어를 보조할 수 있다.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SCC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속도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LKAS 기능을 이용하여 조향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ay activate the ADAS function by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ay assist the driver's control by using at least one of ADAS functions so that the driver can safely and conveniently arrive at the destination.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may generate speed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using the SCC function, and generate steering control information using the LKAS function.

반면, 운전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운전자의 차량 제어를 보조하는 범위에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normal,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within a range that assists the driver in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차량(10)의 이동 중 충돌 판단부(280)가 판단한 충돌 위험에 따라 안내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충돌 위험에 따라 수정된 안내 경로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dify the guide path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determined by the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280 while the vehicle 10 is moving.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guidance path corrected according to the risk of collision.

예를 들면,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충돌 위험 없이 차로변경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직진 경로를 차로변경 경로로 수정하고, 차로변경을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반대로,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충돌 위험으로 인해 차로변경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직진 경로를 유지한다. 즉,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차량(10)의 차로변경을 제어하는 도중 타 차량(180)과의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차로변경 제어를 중지하고, 차로 복귀를 위한 정보(차로복귀 경로, 차로복귀 제어 개시시점 및 제어량 등)를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possible without a risk of collision,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odifies a straight path to a lane change path and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for lane change. Conversely,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aintains a straight path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impossible due to a risk of collision. That is, when a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180 is detected while controlling the lane change of the vehicle 10,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stops the lane change control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returning to the lane (lane return path). , lane return control starting point and control amount, etc.) can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될 때 차량(10)의 기존 안내 경로가 있는 경우,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타차정보 및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안내 경로에 대한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안내 경로가 안전하지 않은 경우,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새로운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n existing guidance route of the vehicle 10 when the driver is determined to be in an abnormal state,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determines the existing guidance route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safety can be assessed. If the existing guide route is not safe,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ay generate a new guide route.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차량이 새로운 안내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generates vehicle control information so that the vehicle moves along a new guidance pa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타차정보 및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기 지정된 장소를 목적지로 하는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장소는 병원, 소방서, 경찰서, 휴게소 또는 졸림쉼터 등 안전한 장소를 의미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guidance route having a predetermined place as a destination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 Here, the pre-stored place means a safe place such as a hospital, fire station, police station, rest area, or sleepy she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기 지정된 장소가 차량(10)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 지정된 장소가 차량(10)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차량(10)이 정차 구역에 정차하도록 안내 경로를 생성한다. 여기서, 정차 구역은 도로의 갓길 또는 주차장을 의미한다.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타차정보 및 환경정보를 고려하여 차량(10)이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충돌하지 않도록 안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a pre-designated pla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vehicle 10 . When the pre-designated place is no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vehicle 10,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generates a guide path for the vehicle 10 to stop in the stop area. Here, the stopping area means a shoulder of the road or a parking lot.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ay generate a guide path so that the vehicle 10 does not interfere with traffic flow or collide with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차량이 안내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한다.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generates vehicle control information so that the vehicle moves along the guide route.

한편,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차량 내 각종 제어기(160) 또는 구동장치(미도시)와의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맞도록 제어정보를 구성하고, 차량 내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해당 제어기(160) 또는 구동장치로 제어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정보 생성부(290)는 산출된 제어 개시시점 및 제어량 등에 기초하여,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 모터, 엔진 제어 시스템(ECU: Engine Control Unit) 또는 변속 제어 시스템(TCU: Transmission Control Unit)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각 제어기/구동장치의 통신 프로토콜 규격에 맞도록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configures the control information to meet the communication protocol standard with various controllers 160 in the vehicle or a driving device (not shown), and uses the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10 to configure the controller 160 ) or by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o the driving device, the vehicle 10 may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90 may use a Motor Driven Power Steering (MDPS) motor, an engine control unit (ECU) or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based on the calculated control start time and control amount. ), etc. can be configured and transmitted to meet the communication protocol standard of each controller/dri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차량 제어 장치(200)는 경고 출력부를 통해 운전자 및 외부에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may output a warning to the driver and the outside through the warning output unit.

경고 출력부는 음성, 진동 또는 영상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출력부는 운전자의 단말을 통해 경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warning output unit may output a warning to the driver through voice, vibration, or video. Also, the warning output unit may output a warning through the driver's terminal.

경고 출력부는 통신을 통해 타 차량(180) 또는 외부 서버에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출력부는 외부 서버에 운전자의 비정상 상태를 전송하여 응급 구조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경고 출력부는 차량(10)의 외부에 경고를 전송함으로써, 타 차량(180) 또는 보행자에게 충돌 회피를 유도할 수 있다.The warning output unit may transmit a warning to another vehicle 180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communication. The warning output unit may transmit an emergency rescue request by transmitting the driver's abnormal state to an external server. In addition, the warning output unit may induce collision avoidance to another vehicle 180 or a pedestrian by transmitting a warning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 .

전술한 구성들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200)는 차량(10)이 DDREM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의 주행패턴만으로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차량(10)을 제어하거나 ADA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s, when the vehicle 10 does not support the DDREM func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driver's condition only with the driver's driving pattern and control the vehicle 10 or provide the ADAS function. ha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순서도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 내 통신을 통해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수집한다(S300).Referring to FIG. 3 ,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llects a driver's driving pattern for the vehicle through in-vehicle communication (S300).

여기서, 운전자의 주행패턴은 차량의 주행정보 및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언급되는 기 저장된 주행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수집하기 전에 미리 주행패턴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driver's driving pattern include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In order to identify a pre-stored driving pattern mentioned below, the driving pattern may be collected and stored in advance before collecting the driver's driving pattern.

차량 제어 장치는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S302).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driver's condition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S3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상태를 직접 판단할 수도 있고, 서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determine the driver's state or indirectly determine the state using a server.

차량 제어 장치가 운전자의 상태를 직접 판단하는 경우,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차량 내 메모리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directly determines the driver's condition,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may be stored in an in-vehicle memory.

차량 제어 장치가 서버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기 저장된 장소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는 수집한 주행패턴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운전자의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기 저장된 주행패턴과 수신한 주행패턴을 비교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driver's condition using a server, the pre-stored location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s to the server and receive the driver's condition from the server. The server compares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with the received driving pattern to determine the driver's cond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제어 장치는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학습된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 즉,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이용되는 것이다. 학습이 완료된 모델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는 수집한 주행패턴으로부터 운전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driver's state by using a model learned to determine the driver's state based on a pre-stored driving pattern. That is,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is used as learning data of the model. Through the learned model, the vehicle control device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driver's condition from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s.

차량 제어 장치는 운전자를 직접 모니터링 하지 않더라도, 운전자의 주행패턴, 즉 차량의 주행패턴을 통해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Even without directly monitoring the driv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e driver's condition through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er, that is, the driving pattern of the vehicle.

한편, 차량 제어 장치는 통신을 통해 타 차량으로부터 타차정보를 수집하고, 인프라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한다(S304).Meanwhile,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llects other vehicle information from other vehicle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infrastructure (S304).

타차정보는 타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환경 정보는 도로 정보, 교통 정보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Other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another vehicle.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road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차량 제어 장치는 타차정보 및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지도를 생성한다(S306).The vehicle control device generates a surrounding map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S306).

과정 S304 및 과정 S306은 과정 S300 및 S302의 수행 중에 함께 수행될 수 있다. Processes S304 and S306 may be performed together while processes S300 and S302 are performed.

운전자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경우, 차량 제어 장치는 다시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수집한다(S300). 차량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차량 제어를 보조하는 범위에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normal,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llects the driver's driving pattern again (S300).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within a range of assisting the driver in controlling the vehicle.

반대로, 차량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타차정보, 환경정보 및 주변지도에 기초하여 안내 경로를 생성한다(S308).Conversely,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the vehicle control device creates a guidance route based on other vehicle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and surrounding maps (S3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의 이동 중에 타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 장치는 충돌 위험에 따라 안내 경로를 수정한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or a pedestrian while the vehicle is moving. 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rrects the guidance path according to the risk of collision.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이 안내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310).The vehicle control device generates vehicle control information so that the vehicle moves along the guidance path (S310).

제어정보는 차량(10)의 위치, 속도, 가속도, 방향, 제동, 경로 등에 대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제어정보는 ADAS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control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speed, acceleration, direction, braking, route, and the like of the vehicle 10 . Contro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necessary to provide ADAS functions.

차량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운전자 및 외부에 경고를 출력한다(S312).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abnormal, the vehicle control device outputs a warning to the driver and the outside (S312).

차량 제어 장치는 음성, 진동 또는 영상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는 통신을 통해 타 차량, 보행자 또는 외부 서버에 경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병원, 소방서, 경찰서, 휴게소 등 운전자의 응급 구조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장소의 서버를 의미한다. 즉, 차량 제어 장치는 경고 출력을 통해 타 차량과 보행자에게 충돌 회피를 유도하고, 원격 서버에 응급 구조 요청을 보낼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output a warning to the driver through voice, vibration, or video.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 warning to other vehicles, pedestrians,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communication. Here, the external server refers to a server in a place capable of handling a driver's emergency rescue request, such as a hospital, fire station, police station, or rest area. That is,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induce collision avoidance with other vehicles and pedestrians through a warning output, and send an emergency rescue request to a remote server.

도 3에서는 과정 S300 내지 과정 S31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300 내지 과정 S312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it is described in FIG. 3 that steps S300 to S312 are sequentially executed,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change and execute the sequence described in FIG. 3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ne of steps S300 to S312. Since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executing the above process in parallel, FIG. 3 is not limited to a time-series sequence.

한편, 도 3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es shown in FIG. 3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such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non-transitory media such as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tore and execute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논리 회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집적 회로 구조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제어 장치의 제어를 통해 본 명세서에 기술 된 각각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특정 논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에 의해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을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such as a memory, a processor, a logic circuit, a look-up table, and the like. These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execute each of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through the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by a program or part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specific logical function and is executed by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r be implemented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processor, etc. that perform each function. Also,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instructions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in one or more memories.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10: 차량 100: 통합제어기
110: 차량 내 통신부 120: V2X 통신부
130 및 132: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내부 통신부 160: 센서
170: 제어기 180: 타 차량
190: 인프라
10: vehicle 100: integrated controller
110: in-vehicle communication unit 120: V2X communication unit
130 and 132: processor 140: memory
150: internal communication unit 160: sensor
170: controller 180: other vehicles
190: infrastructure

Claims (20)

차량 내 통신을 통해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Collecting a driver's driving pattern for the vehicle through in-vehicle communication;
determining a state of the driver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and
Process of generating vehicl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er's condition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상기 차량 내 메모리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is stored in the in-vehicle memor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학습된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driver's condition,
and determining the driver's state by using a model learned to determine the driver's state based on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서버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is stored in a ser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수집된 주행패턴과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 간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판단된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수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driver's condition,
transmitting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er to a server; and
Receiving a state of the driver determined by the server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타 차량으로부터 타차정보를 수집하고, 인프라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상기 타차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지도를 생성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llecting other vehicle information from other vehicle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infrastructure; and
Process of generating a surrounding map based on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타차정보,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주변지도에 기초하여 안내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안내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generating a guide route based on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map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and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moves along the guide route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이동 중에 상기 타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충돌 위험에 따라 상기 안내 경로를 수정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7,
determining a risk of collision with another vehicle or pedestrian while the vehicle is moving; and
The process of modifying the guide path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및 외부에 경고를 출력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outputting a warning to the driver and the outside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주행패턴은,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 및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er,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차량 내 통신을 통해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주행패턴을 수집하는 주행패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주행패턴과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a driving patter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 driver's driving pattern for the vehicle through in-vehicle communication;
a stat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state of the driver based o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viously stored driving pattern; and
Contro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vehicl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er's condition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상기 차량 내 메모리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vehic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is stored in the in-vehicle memor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학습된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river's state is determined by using a model learned to determine the driver's state based on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은 서버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vehic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is stored in a server.
제14항에 있어서,
서버, 타 차량 및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V2X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집된 주행패턴을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수집된 주행패턴과 상기 기 저장된 주행패턴 간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판단된 운전자의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수신된 운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V2X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other vehicles and servers,
The communication department,
Transmitting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to a server and receiving a driver's condition determined by the server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collected driving pattern and the pre-stored driving patter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determining the driver's condition based on the received driver's condition.
제11항에 있어서,
통신을 통해 타 차량으로부터 타차정보를 수집하는 타차정보 수집부;
통신을 통해 인프라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 수집부; 및
상기 타차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지도를 생성하는 지도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a other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other vehicle information from other vehicles through communic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infrastructure through communication; and
A map management unit generating a surrounding map based on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 information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타차정보,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주변지도에 기초하여 안내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안내 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차량의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a guide route is generated based on the other vehicle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map, and vehicle control information is generated so that the vehicle moves according to the guide route. vehicle control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이동 중에 상기 타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판단하는 충돌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충돌 위험에 따라 상기 안내 경로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7,
Further comprising a collis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risk of collision with the other vehicle or pedestrian while the vehicle is moving;
The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e vehic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rrecting the guide path according to the collision ris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및 외부에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When the driver's condition is in an abnormal state, a warning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to the driver and the outside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주행패턴은,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 및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riving pattern of the driver,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driving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vehicle.
KR1020210064559A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KR202201581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59A KR20220158108A (en)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59A KR20220158108A (en)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108A true KR20220158108A (en) 2022-11-30

Family

ID=8423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559A KR20220158108A (en) 2021-05-20 2021-05-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81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0726B2 (en) Alarm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s (ADVs)
US10668925B2 (en) Driver intention-based lane assistant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N109795487B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travel of vehicles
US106782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f an autonomous vehicle
JP674529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800569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Vehicle Path Planning Technical Field
JP6468171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US10703363B2 (en) In-vehicle traffic assist
US9315191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US1190081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190039617A1 (en) Travelling support apparatus
JP2018534692A (en) Method for determining driving intention for a vehicle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41461A (en)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htod for autonomous vehicle
CN110371018B (en) Improving vehicle behavior using information from other vehicle lights
CN111527015A (en) Vehicle control device
US11613254B2 (en) Method to monitor control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with multiple levels of warning and fail operations
JP2022503485A (en) Methods and devices to assist the driver's attention and / or driving posture during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 of the vehicle.
US1152470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00216074A1 (en) Control system of vehicl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36327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troller of vehicle and vehicle integrated controller therefor
KR202201581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KR202201581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Driver
KR202201582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State of Occupant
CN113548065A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from ADS function to driver of vehicle
JP2017004339A (en) Driver support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