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014A -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014A
KR20220158014A KR1020227036452A KR20227036452A KR20220158014A KR 20220158014 A KR20220158014 A KR 20220158014A KR 1020227036452 A KR1020227036452 A KR 1020227036452A KR 20227036452 A KR20227036452 A KR 20227036452A KR 20220158014 A KR20220158014 A KR 2022015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jection
transmitting end
disturb mode
screen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판 장
Original Assignee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루이 일렉트로닉스 캄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광저우 스루이 일렉트로닉스 캄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스위엔 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15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8/00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secur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기술분야에 속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방해 금지 모드를 ON하는 것은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ON하는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면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를 무질서하게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스크린 프로젝션이 간섭되는 확률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
본 출원은 2021년 04월 16일에 중국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한 출원번호가 제202110411158.8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의 중국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의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통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프로젝션은 장치의 특정 화면, 소리 등의 정보를 무선 전송이나 유선 전송과 같은 데이터 전송 방식을 통해 다른 장치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현재, 가장 일반적인 스크린 프로젝션 시나리오는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폰 등 사용자 장치의 특정 화면 또는/및 소리를 TV, 모니터,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박스 등의 수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수신단은 여러 송신단이 동시에 스크린 프로젝션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여러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는 수신단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스크린 프로젝션 시나리오에서는 여전히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가 무질서한 문제가 존재하기에 시급히 해결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가 무질서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방안은 아래와 같다:
첫번째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였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방해 금지 모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거나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및 상기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가 이미 트리거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방해 금지 모드를 온(ON)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및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는 단계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였다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취소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 취소를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두번째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모듈;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해 금지 모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거나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처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기 위해 더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수신 모듈이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이 방해 금지 모드를 ON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기 위해 더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였다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방해 금지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취소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도록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 취소를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세번째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복수의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첫번째 양태의 어느 한 항의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단계를 로딩 및 실행한다.
네번째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첫번째 양태의 어느 한 항의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구현한다.
다섯번째 양태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또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술한 첫번째 양태의 어느 한 항의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단계를 로딩 및 실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 한 후,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고, 즉 다른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을 요청할 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여, 스크린 상에 문의 팝업 창구가 나타나지 않는다. 스크린 프로젝션의 순서가 무질서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간섭되지 않아 송신단의 요구사항에 따라 질서있게 스크린을 프로젝션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임이 자명하고, 당업자에 대하여 발명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이러한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다른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회의 시나리오의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구도조이다.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을 더 명확히 한다.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이고 모든 실시예가 아닌 점은 명백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발명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아래의 설명이 도면에 관한 것일 때, 다른 표현이 없으면 서로 다른 도면에서 같은 숫자는 같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방식은 본 출원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단지 첨부한 청구항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일부 양태와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특정의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당업자에 대하여 상술한 용어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의 구체적인 정의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다른 설명이 없으면, “복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가리킨다. “및/또는”은 관련대상의 관련관계를 설명하는 것이고,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고,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고,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대상을 나타내고 “또는”의 관계를 나타낸다.
아래에 본 출원에 관한 관련용어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한다.
1. 통신연결
통신 연결은 두 개의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장치(예를 들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 장치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장치) 또는 두 개의 장치가 각각 실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등의 통신 방법을 통해 식별(identity) 확인 정보를 교환한 후 확립하는 하나의 통신 링크를 가리키고, 이 링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2. 요청 및 응답
요청은 하나의 소프트웨어('요청자'라 함)가 특정 조작을 할 때, 다른 하나의 소프트웨어('피요청자'라 함)에 네트워크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하여 송신하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가리키고, 데이터 패킷에는 상기 동작의 설명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피요청자는 특정 처리를 한 후 상기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할지를 결정하고,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하여 요청자에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여 요청자에 결과를 알려주며, 상기 데이터 패킷을 응답이라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100)의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회의 시나리오(100)에 응용될 수 있고, 상기 회의 시나리오(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 장치 또는 수신단으로 불릴 수 있음)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101)이다. 그리고 회의 시나리오(100)에는 적어도 2개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장치 또는 송신단으로 불릴 수 있음)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2)일 수 있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101)은 복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과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고, 도 1과 같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101)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2)과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연결은 유선 통신 연결일 수 있고, 무선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101)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3)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 및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2)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는 스크린 프로젝션 화면 정보 및/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소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101)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에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3)과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102)으로부터 화면, 소리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200)의 다른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2와 같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202)은 스크린 프로젝션 처리 장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202)은 스크린 전송 박스일 수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202)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203) 및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204)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를 수신하고, 연결된 디스플레이(201)에 전달하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203) 및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204)으로부터 화면, 소리를 디스플레이하며, 여기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202)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과, 디스플레이 기기 사이와의 통신 연결은 무선 통신 연결일 수도 있고, 유선 통신 연결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는 핸드폰, 태블릿 또는 노트북 등 단말기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TV, 프로젝터,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컴퓨터 장치 또는 스크린 전송 박스 등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현재의 스크린 프로젝션 시나리오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을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제어하는 상황이 존재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효과 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회의 시나리오에서 무선 전송 방식을 통하여 스크린 프로젝션을 할 때, 인근 회의실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현재 회의 중인 회의실의 스크린 프로젝션 장치에 잘못 연결되어 스크린 프로젝션을 실행하게 되고, 화면이 현재 회의 중인 회의실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회의 순서에 영향을 주고, 정보 누설의 문제도 존재할 수 있다. 혹은 스크린 프로젝션이 악의적으로 제어되어 스크린 프로젝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스크린 프로젝션이 간섭되는 것을 해결하는 하나의 방안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을 필요로 할 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송신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의 스크린은 팝업 창구로 상기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을 허용할지 여부를 문의하고, 스크린 프로젝션을 동의하지 않거나 시간 초과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을 실패한다. 그러나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나타나는 스크린의 팝업 창구 문의가 현재 스크린 프로젝션되는 화면을 간섭하고 키워드 정보를 가리는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의 입력 장치,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마우스, 리모컨 등을 통하여 팝업 창구에 대응하는 버튼을 선택하여 피드백을 한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를 간섭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다.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과정 중의 순서를 무질서하게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업무를 수행할 때,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에 있으면,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고, 즉 다른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을 요청할 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여, 스크린에 팝업 문의 창구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가 무질서한 문제를 해결하여 현재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스크린 프로젝션이 송신단의 요구사항에 따라 질서있게 진행되게 할 수 있다.
아래에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사용자가 요청한 스크린 프로젝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S302,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는 각각의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TV, 태블릿 PC,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등의 스크린(디스플레이)이 설치된 장치일 때,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정보일 수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의 스크린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예를 들면 화면 및/또는 소리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예를 들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컴퓨터 호스트 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박스 등의 장치일 때,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과 연결된 디스플레이로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디스플레이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예를 들면 화면 및/또는 소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어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S302에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303,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프로젝션 송신단이 포함되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포함되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에 있게 된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지 않으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거절의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에 있지 않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고, 동시에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및 상술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복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위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출력된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에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및 상술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이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한 후, 스크린에 복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에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가 포함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박스이면, 스크린 프로젝션 박스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한 후,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는 복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포함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로 복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것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신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술한 방안에 따라,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고, 즉 다른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할 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여, 스크린에 팝업 문의 창구가 나타나지 않는다.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가 무질서한 문제를 해결하여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400)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40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S402,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방해 금지 모드를 ON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각각의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과 통신 연결을 확립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라 함)이 대응하는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서,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하였는지 또는 트리거하지 않았는지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과 연결을 확립한 후,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제2 상태 정보는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초기화된다. 하나의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하나의 플래그 비트를 통하여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래그 비트는 “0” 또는 “1”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플래그 비트가 “0”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상기 플래그 비트가 “1”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낸다. 혹은 반대로 상기 플래그 비트가 “1”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상기 플래그 비트가 “0”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낸다.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상기 플래그 비트는 “true(참)” 또는 “false(거짓)”를 나타내는 것을 통하여 각각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하였는지 또는 트리거하지 않았는지를 표시할 수 있고,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S402에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그 중의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가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여 S403을 실행한다.
S403,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으로부터 오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실패를 결정한다.
S402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 모두가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결정하는 경우, 다시말해서, 적어도 하나의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지 않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신하여 S404를 실행한다.
S404,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성공을 결정한다.
S405,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코딩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집하고(예를 들면, 스크린 프로젝션 화면 및/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소리를 수집),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획득한다.
S406,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인코딩된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송신한다.
S407,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수신한 인코딩된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에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술한 방안에 따라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를 유지하고,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방해 금지 모드에 있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고, 즉 다른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할 때,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여 스크린에 팝업 문의 창구가 나타나지 않는다. 스크린 프로젝션 순서가 무질서한 문제를 해결하여 현재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 3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500)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방법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01,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은 사용자가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조작에 응답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S502,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스크린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포함되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수락을 정지한다.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에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는 것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수락을 거절하는 것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지 않거나 또는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수락을 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한 후,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수락을 정지하여 스크린에 스크린 프로젝션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정보가 팝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감지하지 못하게 하고 스크린 프로젝션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안에 따라,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송신단이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요청을 수락하여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여 스크린 프로젝션이 간섭을 받는 것을 피한다.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송신단이 아니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는 것은 거절하여 오류로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또는 악의적으로 선점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을 차지하고, 악의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를 제어하는 상황을 피면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600)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60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 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S602,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각각의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과 통신 연결을 확립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라 함)이 대응하는 하나의 제1 상태 정보에 있어서, 제1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는지 또는 스크린 프로젝션하지 않는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는 상기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도록 나타내고, 스크린 프로젝션하지 않은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는 상기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하지 않는 상태에 있도록 나타낸다.
일 실시방식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과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연결을 확립한 후,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하지 않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초기화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면,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상기 복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는 모두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고, 스크린을 프로젝션하지 않는 다른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제1 상태 정보는 모두 스크린을 프로젝션하지 않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S602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의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스크린 프로젝션하지 않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포함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고, S603을 실행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거절하는 것을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에 통지한다.
S603,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에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방해 금지 모드의 트리거 실패를 결정한다.
S602의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을 결정하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이 포함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어,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의 방해 금지 모드의 트리거 요청에 응답하여 방해 금지 모드를 ON하고 S604를 실행한다.
S604,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한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B)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으로부터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성공적으로 방해 금지 모드의 ON 되었음을 결정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하나의 플래그 비트를 통하여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래그 비트는 “0” 또는 “1”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플래그 비트가 “0”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플래그 비트가 “1”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음 나타낸다. 또는 반대로 상기 플래그 비트가 “1”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플래그 비트가 “0”을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상기 플래그 비트는 “true(참)” 또는 “false(거짓)”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각각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있지 않은지를 표시할 수 있고,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실시방식에서, 실시예 2는 실시예 4와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으로부터 오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신한 후,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할 수 있고, 즉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는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송신단임을 나타낸다.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ON 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고,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가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에 있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한다.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나타내고,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 모두가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방해 금지 모드에 있지 않고,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지만,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5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700)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S70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의 취소를 요청하는 것을 결정한다.
S702,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면, S703을 실행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면, S705을 실행한다.
S703,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를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이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의 제2 상태 정보를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S704,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가 모두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2 상태 정보가 이미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면 S705를 실행한다.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의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트리거한 다른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더 있는 경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다른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의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을 거절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한다.
S705,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에 방해 금지 모드의 취소를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으로부터 오는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방해 금지 모드의 취소 실패를 결정한다.
S706,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은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였다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대응적으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C)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으로부터 오는 응답 정보를 수신한 후, 방해 금지 모드의 취소 성공을 결정한다.
실시예 6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회의 시나리오(800)의 하나의 예시도이다. 도 8과 같이, 회의 화이트보드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고, 회의 화이트보드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의 시나리오(800)에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되는 사용자 단말기 A, 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스크린 프로젝션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회의 시나리오(800)에서 사용자, 사용자 단말기 및 회의 화이트보드는 다음과 같은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1. 회의 화이트보드가 스크린 프로젝션 수신단이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기(A), 사용자 단말기(B)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사용자 단말기(A), 사용자 단말기(B)는 선후로 회의 화이트보드와 통신 연결을 확립한다.
2. 회의 화이트보드는 각각 사용자 단말기(A) 및 사용자 단말기(B)가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와 제2 상태 정보를 초기화 한다.
실시예에서 제1 상태 정보와 제2 상태 정보를 각각 플래그 비트(A) 및 플래그 비트(B)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플래그 비트(A)가 참이면,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플래그 비트(A)가 거짓이면,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플래그 비트(B)가 참이면,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 하였음을 나타낸다. 플래그 비트(B)가 거짓이면,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A)가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A)를 거짓, 플래그 비트(B)를 거짓; 사용자 단말기(B)가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A)를 거짓, 플래그 비트(B)를 거짓으로 설정하여 사용자 단말기(A)와 사용자 단말기(B)의 플래그 비트(A) 및 플래그 비트(B)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회의 화이트보드와 연결을 확립한 후, 사용자 단말기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9와 같이 제2 요소(90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요소는 스크린 프로젝션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도 9와 같이 상기 제2 요소 상에서 “스크린 프로젝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출원의 도면에서 도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고, 본 출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각각의 기능적 요소의 형상, 위치 등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3.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의 제2 요소에 대하여 제2 조작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2 조작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조작에 응답하고, 사용자 단말기(A)는 회의 화이트보드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4. 회의 화이트보드는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신한 후, 방해 금지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회의 화이트보드는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B)를 판독한다. 현재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사용자 단말기(A) 및 사용자 단말기(B)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A) 및 사용자 단말기(B)가 각각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B)는 모두 거짓이고, 회의 화이트보드는 방해 금지 모드에 있지 않음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기(A)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한다.
5.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A)의 플래그 비트(A)의 참으로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기(A)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기(A)가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였음을 통지한다.
6. 사용자 단말기(A)는 회의 화이트보드에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송신하고, 회의 화이트보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한 후 회의 화이트보드의 스크린에 사용자 단말기(A)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7. 사용자 단말기(B)는 회의 화이트보드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송신하고, 회의 화이트보드는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신한 후, 방해 금지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회의 화이트보드는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즉 사용자 단말기(A), 사용자 단말기(B))가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B)가 모두 거짓임을 판독한다. 따라서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B)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한다.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B)의 플래그 비트(A)의 참을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기(B)에 제5 응답 정보를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B)에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였음을 통지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B)는 회의 화이트보드에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를 송신하고, 회의 화이트보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를 수신한 후, 회의 화이트보드의 스크린에 사용자 단말기(B)의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A)와 사용자 단말기(B)는 공통적으로 회의 화이트보드에 스크린 프로젝션되고, 회의 화이트보드는 스크린에서 화면을 분할하여 사용자 단말기(A)의 스크린 프로젝션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B)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회의는 사용자 단말기(A)와 사용자 단말기(B)의 작업 완료 상황 등을 비교하고 토론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다른 장치가 회의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는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요청할 수 있다.
8.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 중의 제1 요소에 대하여 제1 조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요소는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고, 사용자 단말기(A)는 상기 제1 조작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조작에 응답하고 사용자 단말기(A)는 회의 화이트보드에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방해 금지 모드를 크리거한다.
사용자 단말기(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는 도 10과 같이 제1 요소(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상기 제1 요소에서 “방해 금지 모드 ON”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도 1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는 제3 요소(10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요소는 스크린 프로젝션 취소에 사용된다. 사용자가 제3 요소에 대하여 제3 조작을 실행하면, 상기 제3 조작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A)는 회의 화이트보드에 스크린 프로젝션을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1 3요소에서 “스크린 프로젝션 취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9. 회의 화이트보드는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A)가 현재 스크린 프로젝션하는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회의 화이트보드는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A)의 플래그 비트(A)를 판독하고 상기 플래그 비트(A)가 참인 것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A)가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장치임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A)의 방해 금지 모드의 트리거 요청을 수락하여 방해 금지 모드를 ON한다.
10.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A)의 플래그 비트(B)의 참을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기(A)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였다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기(A)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였음을 통지한다.
바람직하게, 회의 화이트보드는 제2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정보는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회의 화이트보드의 스크린은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A)의 화면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B)의 화면 정보를 화면분할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미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나타내는 정보는 도 11의 자물쇠(lock) 요소(1101)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시된 정보는 문자의 형식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회의 화이트보드의 메뉴 또는 드래그 메뉴에는 도 11의 도시와 같은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데 사용되는 요소(1102) 및 스크린 프로젝션을 취소하는데 사용되는 요소(1103)를 더 포함한다.
11. 상기 회의실 이외의 사용자 단말기(D)(도 8에서 미도시)와 상기 회의 시나리오(800) 내의 상기 회의 화이트보드가 연결을 확립하면 상기 회의 화이트보드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회의 화이트보드에 제1 요청 정보를 송신하여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요청한다.
상기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D)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저장된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B)를 판독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A)의 플래그 비트(B)가 참이면,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D)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또는 상기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D)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D)의 플래그 비트(A)가 거짓임을 판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D)는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아님을 결정하고,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D)에 방해 금지 모드의 ON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통하여 회의 순서가 무질서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12.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 중의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소에 대한 제4 조작을 실행할 수 있고, 상기 제4 조작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A)는 회의 화이트보드에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13. 회의 화이트보드는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A)가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B)가 참임을 판독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A)가 대응하는 플래그 비트(B)가 거짓임을 설정한다.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플래그 비트(B), 즉 사용자 단말기(B)의 플래그 비트(B)가 거짓임을 판독하면,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플래그 비트(B)가 모두 거짓임을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기(A)의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을 수신한다.
14. 회의 화이트보드는 사용자 단말기(A)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한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도 3 내지 도 11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을 통하여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송수신 모듈(1220), 처리 모듈(1210) 및 저장 모듈(1230)을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은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 모듈은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가 트리거된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방해 금지 모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거나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및 상기 처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및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고; 및/또는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수신 모듈이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처리 모듈은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는 것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및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고; 및/또는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한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가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함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방해 금지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며;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의 취소를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상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실행할 때, 단지 상술한 각 기능적 모듈의 구분에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고, 실제 응용에서 수요에 따라 상기 기능을 분배하여 서로 다른 기능적 모듈로 완성할 수 있으며, 즉 장치의 내부구조를 서로 다른 기능적 모듈로 구분하여 상술한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완성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와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의 실시예는 동일한 사상에 속하고, 그 구현 과정의 상세한 내용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구도조를 제공하였다. 도 13과 같이, 상기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1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1),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1304), 사용자 포트(1303), 메모리(1305), 적어도 하나의 통신 버스(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버스(1302)는 이러한 어셈블리 사이의 연결통신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자 포트(1303)는 디스플레이(Display),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사용자 포트(1303)는 표준 유선 포트 및 무선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포트(1304)는 바람직하게 표준 유선 포트, 무선 포트(예를들면 WI-FI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다양한 포트 및 라인을 사용하여 전체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1300) 내의 다양한 부분을 연결하고, 메모리(1305)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코드 세트 또는 명령어 세트를 작동하거나 실행하고, 메모리(1305)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13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301)는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및 프로그램 가능 논리 배열(Programmable Logic Array, PLA)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1)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및 모뎀 등 중의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그 중에서 CPU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GPU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하는 내용을 렌더링 및 드로(draw)하는 것을 책임지고; 모뎀은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모뎀은 프로세서(1301)에 통합되지 않고, 단독으로 하나의 칩을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5)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305)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메모리(1305)는 명령,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트 또는 명령 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5)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사용되는 명령(예를 들면 터치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상기 각 방법 실시예를 구현하는 명령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상기 각 방법 실시예와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메모리(1305)는 전술한 프로세서(1301)로부터 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1305)는 운영 체제, 네트워크 통신 모듈, 사용자 포트모듈 및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운용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1300)에서, 사용자 포트(1303)는 주로 사용자에게 입력하는 포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프로세서(1301)는 메모리(1305)에 저장된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조작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구체적으로 아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방해 금지 모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면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고;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고; 및/또는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방해 금지 모드를 온(ON)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한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 트리거 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방해 금지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며;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 취소를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주의할 것은, 편폭의 제한으로 본 출원의 명세서는 모든 바람직한 실시방식을 열거하지 않았고, 당업자는 본 출원의 명세서를 구독한 후 기술특징이 모순되지 않으면 기술특징의 임의의 조합은 모두 바람직한 실시방식을 구성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였고, 상기 컴퓨터 저장 매체는 복수의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상술한 도 3 내지 도 11의 실시예의 방법 단계를 로딩 및 실행하고, 구체적인 실행 과정은 도 3 내지 도 11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을 참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저장 매체가 위치한 장치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일 수 있다.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하드웨어 부분은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스마트 처리시스템(컨트롤러 포함) 등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체 구조는 함께 결합되고, 동시에 전용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지원되며, 그 중의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터치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에 백라이트 광원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화면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터치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위에 또는 디스플레이 전단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사용되고, 수집한 터치 조작 데이터를 스마트 처리 시스템에 송신하여 처리한다.
실제 사용에서,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디스플레이에서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터치 물품으로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내용을 클릭할 때,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도형 버튼을 클릭할 때,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되어 터치 어셈블리는 상기 터치 데이터를 터치 포인트의 좌표 데이터로 변환한 후 스마트 처리 시스템에 송신하거나, 또는 스마트 처리 시스템에 송신하여 스마트 처리 시스템으로 터치 포인트의 좌표 데이터를 변환하고, 스마트 처리 시스템은 터치 포인트의 좌표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상응한 제어 조작을 구현하고, 구동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하는 내용에는 변화가 발생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조작효과를 구현한다.
기술 원리에서 터치 어셈블리를 구분하면, 벡터 압력 감지 기술 터치 어셈블리, 저항 기술 터치 어셈블리, 정전 용량 기술 터치 어셈블리, 전자기 기술 터치 스크린, 적외선 기술 터치 어셈블리, 표면 음파 기술 터치 어셈블리의 다섯 개의 기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터치 어셈블리의 작동 원리와 정보 전달 매체에 따라 터치 어셈블리를 저항식, 정전 용량 감응식, 전자기 감응식, 적외선식 및 표면 음파식의 네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으로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면 터치 어셈블리는 터치 포인트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마트 처리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다음 스마트 처리 시스템 내부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서로 다른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함으로써 스마트 처리 시스템에 대한 터치 제어를 구현한다.
본 출원에서 언급된 "스크린", "대형 스크린"은 모두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디스플레이를 가리키고;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가 특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스마트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리킨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은 완전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방면의 실시예를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저장 장치, CD-ROM, 광학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서 실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으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계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이 흐름도에서 하나의 흐름 또는 복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가이드하여 특정방식으로 작업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가 포함된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하나의 흐름 또는 복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드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에서 일련의 작동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로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에서 실행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하나의 흐름 또는 복수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또는 복수의 블록에서 지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하나의 전형적인 배치에서 컴퓨팅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CPU),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중의 비영구적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예를 들어 읽기 전용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RAM)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한 예시이다.
컴퓨터가 판독 가능 매체는 영구적 매체와 비영구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모두 포함하며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정보 저장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의 저장 매체의 예에는 상변화 메모리(P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기타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학 저장 장치, 자기 테이프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임의의 기타 비전송 매체가 컴퓨팅 장치가 액세스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transitory media)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포함하는", "함유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여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러한 요소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더 많은 제한이 없는 상황에서 문장 "하나의 … 포함하는"이 한정하는 요소는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추가의 같은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당업자에 대하여 본 출원은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과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1)

  1.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으로서,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방해 금지 모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거나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방해 금지 모드를 온(ON)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였다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방해 금지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 취소를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10.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로서,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모듈;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에 따라, 현재 스크린을 프로젝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스크린 프로젝션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기 방해 금지 모드는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의 수락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거나 있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처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한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의 스크린 프로젝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기 위해 더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이 제1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스크린 프로젝션 요청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는 요청 정보에 따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가 스크린 프로젝션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이 방해 금지 모드를 ON하는 것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 각각은 하나의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대응하는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이미 트리거했거나 또는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상기 이미 연결된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기 위해 더 구성되고; 및/또는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ON 하였다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으로부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기 위해 더 구성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는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이 대응하는 상기 제2 상태 정보 중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방해 금지 모드를 종료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취소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이미 방해 금지 모드를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3 스크린 프로젝션 송신단에 방해 금지 모드 취소를 거절하는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장치.
  19.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복수의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로딩 및 실행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20.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1. 전자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을 로딩 및 실행하는, 전자 장치.
KR1020227036452A 2021-04-16 2022-03-30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 KR20220158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411158.8A CN115220670A (zh) 2021-04-16 2021-04-16 投屏控制方法、存储介质及通信设备
CN202110411158.8 2021-04-16
PCT/CN2022/083932 WO2022218153A1 (zh) 2021-04-16 2022-03-30 投屏控制方法、存储介质及通信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014A true KR20220158014A (ko) 2022-11-29

Family

ID=8360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52A KR20220158014A (ko) 2021-04-16 2022-03-30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28383B2 (ko)
EP (1) EP4145269A4 (ko)
JP (1) JP7455231B2 (ko)
KR (1) KR20220158014A (ko)
CN (1) CN115220670A (ko)
AU (1) AU2022257127A1 (ko)
WO (1) WO2022218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5692B (zh) * 2021-04-16 2024-03-2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146B2 (ja) * 2002-10-22 2005-04-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テレビ会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接続制御方法並びに接続制御プログラム
JP2005244332A (ja) * 2004-02-24 2005-09-08 Seiko Epson Corp 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468738B2 (en) * 2005-04-27 2008-12-23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and system of multilocation video conferencing
US7685238B2 (en) * 2005-12-12 2010-03-23 Nokia Corporation Privacy protection on application sharing and data projector connectivity
JP5906779B2 (ja) * 2012-02-09 2016-04-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装置
JP2013196218A (ja) 2012-03-16 2013-09-30 Ricoh Co Ltd 通信サーバー、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FI124940B (fi) * 2012-08-31 2015-03-31 Gurulogic Microsystems Oy Laitteen ja näytön yhteistoiminta
JP6286891B2 (ja) * 2013-06-21 2018-03-07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プログラム
CN104702870A (zh) * 2013-12-06 2015-06-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微型投影的多源控制方法及装置
CN105991516B (zh) 2015-01-28 2019-06-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无线同屏系统中的反向传输音频的方法及装置
EP3340229A4 (en) * 2015-09-30 2019-01-2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079995B1 (en) * 2017-09-30 2021-08-0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devices with multiple displays
CN108664229B (zh) * 2018-04-02 2020-10-0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传屏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17245B2 (en) * 2018-05-03 2020-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mporary use of an electronic billboard in an internet of things computing environment
CN108920116A (zh) * 2018-06-12 2018-11-3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投屏设备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505516A (zh) * 2019-05-15 2019-11-26 中海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3360108B (zh) * 2020-03-05 2022-09-0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投屏连接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2114761A (zh) * 2020-08-14 2020-12-22 深圳市飞图视讯有限公司 一种无线投屏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55231B2 (ja) 2024-03-25
WO2022218153A1 (zh) 2022-10-20
US11928383B2 (en) 2024-03-12
AU2022257127A1 (en) 2023-11-23
EP4145269A1 (en) 2023-03-08
JP2023525977A (ja) 2023-06-20
CN115220670A (zh) 2022-10-21
EP4145269A4 (en) 2024-01-03
US20230052877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161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201100669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interface portions on peripheral computing devices
US117579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 output device between multimedia device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EP3472699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functionality of applications
CN110244884B (zh) 一种桌面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CN110049486B (zh) 一种sim卡选择方法及终端设备
CN111880675B (zh) 界面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2237704A1 (zh) 一种设备连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08555A (zh) 一种图标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20158014A (ko) 스크린 프로젝션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통신 장치
CN105893624B (zh) 一种数据显示方法以及系统
CN111090529A (zh) 共享信息的方法及电子设备
WO2018161725A1 (en) Method for processing ordered broadcast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1731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a set of wireless interactive devices
CN113312122A (zh) 虚拟键盘调用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2711955A (zh) 一种nfc的信息传输方法、信息传输装置及终端
US20200351224A1 (en) Multistate presence and responsiveness tracking and indication
WO2022242628A1 (zh) 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53818B1 (ko) 이미지 매칭 방법 및 장치
US20200351365A1 (en) Multistate presence and responsiveness tracking and indication
CN107390981B (zh) 一种全局菜单的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352357A (zh) 机器人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930056B1 (en) Reducing noise for online meetings
CN108984068B (zh) 一种字符复制方法及终端设备
CN118012682A (zh) 一种触控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