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019A -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 Google Patents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019A
KR20220157019A KR1020210064518A KR20210064518A KR20220157019A KR 20220157019 A KR20220157019 A KR 20220157019A KR 1020210064518 A KR1020210064518 A KR 1020210064518A KR 20210064518 A KR20210064518 A KR 20210064518A KR 20220157019 A KR20220157019 A KR 2022015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connector
accommodating space
locking groove
play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701B1 (ko
Inventor
이재홍
윤준희
유종웅
박찬주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주)청우펀스테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펀스테이션 filed Critical (주)청우펀스테이션
Priority to KR102021006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7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놀이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및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고정플레이트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는 증강현실 구현용 마커가 인쇄되어 있는 마커본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는, 어린이들이 자주 찾는 놀이터의 놀이기구에 장착되어, 놀이를 하면서도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므로, 학습에 대한 자연스러운 흥미를 갖게 한다. 또한, 하나의 마커본체로 여러 개의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Variable AR marker device applied to playgrounds}
본 발명은 AR마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놀이터의 놀이기구에 설치되며 찾아가는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실제의 공간이나 사물 또는 그림 등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주는 그래픽 관련 기술로서,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여러 가지 체험을 간접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교육, 의료, 방송, 게임, 스포츠,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마커 방식과 마커리스 방식이 있다. 마커방식은, 실제 사물에 AR마커를 표시하고 표시된 AR마커를 휴대 단말기로 인식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또한, 마커리스 방식은, 실제 사물에 AR마커를 표시하는 대신 사물을 인식하고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즉,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벽이나 바닥과 같은 환경 정보를 인식하고 기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최근의 디지털 교육환경과 맞물려, 단순한 이차원 그림과 텍스트로 구성된 과거의 컨텐츠에서 벗어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한 다양하고 현실감 있는 학습 컨텐츠를 제공한다.
한편,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학습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피씨 정도의 휴대 단말기만 있으면 가능하므로, 야외에서도 얼마든지 진행할 수 있다. 가령 거리나 놀이시설 등의 원하는 위치에 AR마커를 미리 배치하고, 학습자가 AR마커를 찾아 이동하면서 자신의 단말기로 AR마커를 인식시켜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AR마커는 대부분 종이에 인쇄된 형태로서, 이를테면, 벽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었다. 이에 따라 비에 젖거나 바람에 날아가 버릴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15621호 (멀티 학습 및 증강 현실 기반의 어린이 덴탈 학습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학습 시스템은, 자체적인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거나, 대기/매표소에 형성된 적외선 센서에 의해 인식되어 카운팅 되거나, 또는 대기/매표소에 형성된 카메라에 의해 영상 인식되어 카운팅 되는 매표 인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제어서버로 제공하는 대기/매표소 단말;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제어서버로부터 수신된 매표 인원 정보를 수신한 뒤, 매표 인원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매표 인원수를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양치질(양치질의 유례 및 효과, 칫솔 및 치약의 역사)과 관련된 정보를 베이직 존에 형성된 빔 프로젝터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베이직 존 단말; 베이직 존 단말에서 양치질과 관련된 정보가 출력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양치질 방법에 관한 영상 정보를 베이직 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도록 제어하여, 어린이들에게 양치질을 안 하면 왜 안 되는지, 어떻게 양치하는지를 캐릭터를 이용한 영상출력을 진행하는 무비 존 단말 및 무비 존 단말에서 양치질 방법에 관한 영상 정보가 출력된 뒤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대형 치아 모형 중 상부 치아 모형과 하부 치아 모형 사이에 형성된 힌지를 구동하는 모터에 대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형성된 스위치에 대한 입력 대기 상태를 유지한 후, 스위치에 대한 입력에 따라 매표 인원 중 식별번호로 구분하여 제 1 팀, 제 2 팀, 제 3 팀으로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여 양치질 경기가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부 치아 모형과 하부 치아 모형이 벌어지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올림픽 존 단말을 포함하고, 올림픽 존 단말은 제 1 내지 제 3 팀에 의한 모든 과제 수행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대해서 카운트 정보를 출력하는 구조를 갖는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15621호 (멀티 학습 및 증강 현실 기반의 어린이 덴탈 학습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668호 (증강현실 마커를 포함하는 한자 교재를 이용한 증강현실 한자교육방법 및 그 기록매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놀이터의 놀이기구에 장착되어, 놀이를 하면서도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며, 하나의 마커본체로 여러 개의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는, 놀이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및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고정플레이트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는 증강현실 구현용 마커가 인쇄되어 있는 마커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일정내경 및 깊이를 갖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제1수용공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출입통로를 통해 제1수용공간부 외부로 개방된 원호형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마커본체와 결합한 상태로 제1수용공간부에 수용되되, 일측부에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원호형 걸림홈에 삽입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부의 바닥부와 커넥터의 사이에는, 제1수용공간부 내에 커넥터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제1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밀착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바닥면과 커넥터의 사이에 구비된 자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석부는; 제1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바닥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자석과,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고 고정자석에 대응하는 이동자석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마커본체는, 커넥터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는 일정직경의 디스크의 형상을 취하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상기 마커본체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커본체에는, 마커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외력을 전달받는 리시빙부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커본체의 외주면은 제2수용공간부의 내주면에 밀착하고, 리시빙부는 마커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환봉을 삽입할 수 있는 걸림홈이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공간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홈이 형성되고, 걸림홈의 내측에는, 록킹홈측으로 연장되어 록킹홈에 삽입된 상태로 제2수용공간부에 대한 마커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핀이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커본체의 내부에는, 걸림핀을 록킹홈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내장되고, 록킹홈의 내부에는, 록킹홈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핀을 록킹홈의 외부로 밀어내는 푸싱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는, 어린이들이 자주 찾는 놀이터의 놀이기구에 장착되어, 놀이를 하면서도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므로, 학습에 대한 자연스러운 흥미를 갖게 한다.
또한, 하나의 마커본체로 여러 개의 증강 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이 적용된 놀이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R마커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한 AR마커 장치에서의 지지플레이트에 대한 연결판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지지플레이트로부터 마커본체를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AR마커 장치에 적용된 이탈방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이탈방지부의 언록킹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AR마커장치는 놀이터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놀이기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놀이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및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고정플레이트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는 증강현실 구현용 마커가 인쇄되어 있는 마커본체를 포함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이 적용된 놀이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R마커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한 AR마커 장치에서의 지지플레이트에 대한 연결판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8a 및 도 8b는 지지플레이트로부터 마커본체를 분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20)가 놀이기구(12)에 장착되어 있다. 놀이기구(12)는 놀이터(10)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것이다. 본 실시예의 AR마커 장치(20)는, 놀이터(10) 내의 어린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안전한 곳이라면 설치 장소에 제약이 없다.
가변형 AR마커 장치(20)는, 고정플레이트(30), 커넥터(50), 마커본체(40)로 구성된다.
고정플레이트(30)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놀이기구(12)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한다. 놀이기구(12)에 대한 고정플레이트(30)의 고정방식은 볼팅방식이나 끼움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플레이트(30)는 마커본체(40)와 커넥터(50)를 지지할 수 있는 한, 사각형 이외에도, 이를테면, 원형이나 다른 모양의 도형 또는 만화 캐릭터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30)는 합성수지나 HPL(고밀도 압축 목재 패널)로 제작 가능하다. 하지만 이외의 다른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30)의 일측면에는 제1수용공간부(35)와 제2수용공간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공간부(35)와 제2수용공간부(31)는 동심원을 갖는 원형홈이다. 제2수용공간부(31)의 내부 중앙부에 제1수용공간부(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1수용공간부(35)는 커넥터(50)를, 제2수용공간부(31)는 마커본체(40)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한다.
제1수용공간부(35)는 측벽부(35c)와 평평한 바닥부(35a)를 포함한다. 측벽부(35c)는 제1수용공간부(35)의 내주면으로서 일정 내경을 가지며, 원호형걸림홈(35d)을 제공한다. 원호형걸림홈(35d)은 후술할 걸림돌기(55)가 끼워지는 홈으로서 측벽부(35c)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다.
또한 측벽부(35c)에는 출입통로(35b)가 마련되어 있다. 출입통로(35b)는 걸림돌기(55)가 출입하는 통로이다. 걸림돌기(55)는 출입통로(35b)를 통과하여 원호형걸림홈(35d)으로 삽입되거나, 원호형걸림홈(35d)으로부터 빠질 수 있는 것이다.
바닥부(35a)는 커넥터(50)와 면접하는 평면이다. 바닥부(35a)에는 다수의 자석설치홈(35e)이 마련되어 있다. 자석설치홈(35e)은 바닥부(35a)의 중심부와,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8개가 등각 배치된다. 자석설치홈(35e)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자석설치홈(35e)에는 고정자석(36a)이 장착된다. 고정자석(36a)은 자석설치홈(35e)에 박혀 고정된 상태로 자기력을 출력한다. 배치된 고정자석의 극성은 동일하다. 즉, 모든 고정자석(36a)의 상부가 N극 하부가 S극, 또는 상부가 S극 하부가 N극 이다. 상기 고정자석(36a)과 후술할 이동자석(36b)은 제1수용공간부(35) 내에 커넥터(50)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이다.
제2수용공간부(31)는 일정 내경을 갖는 측벽부(31b)와 평평한 바닥부(31a)로 이루어진다. 제2수용공간부(31)는 마커본체(40)를 수용하는 홈이다. 측벽부(31b)의 높이는 마커본체(40)의 두께와 같거나 작다. 즉, 제2수용공간부(31)에 삽입된 상태의 마커본체(40)는, 고정플레이트(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50)는, 마커본체(40)의 커넥터고정홈(41)에 장착된 상태로 제1수용공간부(35) 내에 회전 및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즉,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용공간부(35)에 수용된 상태로 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마커본체(4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커넥터(50)의 일측부에는 걸림돌기(55)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돌기(55)는, 출입통로(35b)를 통과한 후 원호형걸림홈(35d)에 삽입되는 돌출부이다. 커넥터(50)를 제1수용공간부(35)에 끼운 상태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55)가 원호형걸림홈(35d)의 내부로 삽입되며, 고정플레이트(30)에 대한 커넥터(5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때 고정자석(36a)과 이동자석(36b)의 자기력이 작용함은 물론이다. 고정자석과 이동자석은 네오디움 자석 일 수 있다.
커넥터(50)의 일측면, 즉, 바닥부(35a)를 향하는 면에는 두 개의 자석설치홈(51)이 마련되어 있고, 자석설치홈(51)에는 이동자석(36b)이 장착된다. 이동자석(36b)은 위에 설명한 고정자석(36a)에 대응하는 자석이다. 고정자석(36a)과 이동자석(36b)은 상호 당기는 인력을 출력한다.
커넥터(50)의 저면에 고정되는 두 개의 이동자석(36b) 중, 외측에 고정된 이동자석(36b)은, 등각으로 배치된 다수의 고정자석(36a)에 대응한다. 말하자면, 커넥터(50)가 도 7a의 화살표 a방향으로 연속 회전한다고 할 때, 이동자석(36b)이 각 고정자석(36a)의 상부를 거쳐 가는 것이다. 고정자석(36a)과 이동자석(36b)은 인력 관계에 있으므로, 이동자석(36b)이 고정자석(36a)의 상부를 통과하는 동안 이동자석은 고정자석에 붙잡혀 고정되려고 한다. 이러한 자기력의 작용에 의해, 커넥터(50)는 45도씩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구조를 갖는 커넥터(50)는 고정볼트(53)를 통해 마커본체(40)에 고정된다. 고정볼트(53)는 커넥터(50)에 마련되어 있는 볼트구멍(52)을 통과한 상태로 마커본체(40)의 너트(41c)에 결합한다.
마커본체(40)는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형 부재로서 커넥터(50)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는다. 즉, 커넥터(50)의 회전중심과 마커본체의 회전중심이 동일한 것이다. 또한, 마커본체(40)의 내측면에는 커넥터(50)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커넥터고정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50)는 커넥터고정홈(41)에 끼워진 상태로 마커본체(40)와 일체를 이루며 제1수용공간부(35)에 끼워진다. 커넥터(50)의 일부가 커넥터고정홈(41)에 수용되더라도, 걸림돌기(55)는 커넥터고정홈(41)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마커본체(40)는, 커넥터(50)를 매개로 하여 고정플레이트(30)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원판형 부재이다. 이러한 마커본체(40)의 외측면에는 증강현실 구현용 마커(60)가 인쇄되어 있다.
마커(60)는, 이를테면 동물이나 식물의 모습을 증강현실(AR)로 구현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피씨에 앱을 설치하고, 카메라로 마커(60)를 촬영하면, 증강현실 영상이 자동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마커(60)는 8개의 상이한 증강현실 영상을 제공한다. 마커본체(40)를 45도씩 회전할 때 마다 다른 모양의 증강현실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항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커본체(40)의 저면은 제2수용공간부(31)의 바닥부(31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밀착한다. 또한 마커본체(40)의 외주면은 제2수용공간부(31)의 측벽부(31b)에 면접한다. 측벽부(31b)는 제2수용공간부(31)의 내주면을 의미한다. 마커본체(40)의 외주면과 측벽부(31b)가 면접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제2수용공간부(31) 내부로 유입하지 않는다.
또한, 마커본체(40)에는, 마커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외력을 전달받는 리시빙부가 더 형성된다. 마커본체의 회전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마커본체(40)를 45도씩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외력은, 관리자가 마커본체(40)를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가하는 힘을 의미한다.
리시빙부는 마커본체(4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환봉(61)을 삽입할 수 있는 걸림홈(41d)이다. 환봉(61)은 관리자가 휴대하는 전용 도구이다. 관리자는 환봉(61)을 이용해 마커본체(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걸림홈(41d)은, 걸림돌기(55)가 출입통로(35b)에 끼워진 상태에서 6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걸림홈(41d)이 6시 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마커본체(40)를 고정플레이트(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걸림홈(41d)은 측벽부(31b)를 향해 개방된, 말하자면, U자형 홈으로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밀착부(41e)와 경사부(41f)를 갖는다.
밀착부(41e)는, 고정플레이트(30)의 바닥부(31a)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환봉(61)에 밀착하는 면이다. 환봉(61)을 걸림홈(41d)에 삽입하여 밀착부(41e)에 면접시킨 상태에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커본체(40)를 회전시킨다.
경사부(41f)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봉(61)을 화살표 f방향으로 재낄 때 환봉(61)의 단부에 받쳐지는 부분이다. 걸림홈(41d)에 환봉(61)을 끼운 상태로 화살표 f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고정플레이트(30)로부터 마커본체(4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30)에 마커본체(40)가 자석의 힘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환봉(61)이 없다면 마커본체(40)를 회전시킨다거나 분리할 수 없다. 환봉(61)은 관리자가 가지고 다니는 공구이므로, 결국,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람은 마커본체(40)를 회전시키거나 분리할 수 없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2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AR마커 장치에 적용된 이탈방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의 이탈방지부의 언록킹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제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마커본체(40)에 이탈방지부(47)가 구비되어 있고, 측벽부(31b)에 록킹홈(31d)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록킹홈(31d)은 제2수용공간부(31)의 내주면 즉 측벽부(31b)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화살표 k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핀(45)의 단부를 수용하다. 걸림핀(45)이 록킹홈(31d)에 걸린 상태에서는, 환봉(61)으로 경사부(41f)를 상향 가압하더라도 마커본체(40)가 들리지 않는다.
특히 록킹홈(31d)의 내부에는 푸싱돌기(31f)가 형성되어 있다. 푸싱돌기(31f)는, 록킹홈(31d)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핀(45)을 록킹홈의 외부, 즉, 화살표 m방향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록킹홈(31d)은 6시 방향에 위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걸림돌기(55)가 출입통로(35b)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걸림홈(41d)에 대응하는 것이다. 걸림핀(45)이 록킹홈(31d)의 외부로 밀려난 상태에서는 환봉(61)을 이용해 마커본체(40)를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부(47)는, 스프링(43)과 걸림핀(45)을 포함한다. 이탈방지부(47)를 설치하기 위하여 마커본체(40)에는 내장공간(41k)이 형성되어 있다. 내장공간(41k)은 핀통로(41p)을 통해 걸림홈(41d)의 내측으로 개방된 공간으로서 스프링(43)과 걸림핀(45)의 일부를 수용한다.
스프링(43)은 내장공간(41k)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핀(45)을 화살표 k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걸림핀(45)은 후단부에 후단돌기(45a)을 갖는 부재로서 스프링(43)의 작용에 의해 록킹홈(31d)으로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유지한다. 도면부호 41m은 후단돌기(45a)를 지지하는 지지턱이다.
걸림핀(45)은 스프링(43)에 의해 화살표 k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로 록킹홈(31d)에 삽입되며, 마커본체(40)를 회전시킴에 따라 푸싱돌기(31e)에 밀려 록킹홈(31d)으로부터 빠진다. 이와 같이 록킹홈(31d)과 이탈방지부(47)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마커본체(40)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놀이터 12:놀이기구 20:AR마커장치
30:고정플레이트 31:제2수용공간부 31a:바닥부
31b:측벽부 31d:록킹홈 31e:푸싱돌기
35:제1수용공간부 35a:바닥부 35b:출입통로
35c:측벽부 35d:원호형걸림홈 35e:자석설치홈
36a:고정자석 36b:이동자석 40:마커본체
41:커넥터고정홈 41c:너트 41d:걸림홈
41e:밀착부 41f:경사부 41k:내장공간
41m:지지턱 41p:핀통로 45:걸림핀
45a:후단돌기 47:이탈방지부 50:커넥터
51:자석설치홈 52:볼트구멍 53:고정볼트
55:걸림돌기 60:마커 61:환봉

Claims (10)

  1. 놀이기구에 장착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및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며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고정플레이트에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외측면에는 증강현실 구현용 마커가 인쇄되어 있는 마커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일정내경 및 깊이를 갖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제1수용공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출입통로를 통해 제1수용공간부 외부로 개방된 원호형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마커본체와 결합한 상태로 제1수용공간부에 수용되되, 일측부에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원호형 걸림홈에 삽입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부의 바닥부와 커넥터의 사이에는,
    제1수용공간부 내에 커넥터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제1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밀착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바닥면과 커넥터의 사이에 구비된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제1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 장착되되, 바닥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자석과,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고 고정자석에 대응하는 이동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본체는, 커넥터와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갖는 일정직경의 디스크의 형상을 취하며,
    고정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상기 마커본체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본체에는,
    마커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외력을 전달받는 리시빙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본체의 외주면은 제2수용공간부의 내주면에 밀착하고,
    리시빙부는 마커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환봉을 삽입할 수 있는 걸림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록킹홈이 형성되고,
    걸림홈의 내측에는,
    록킹홈측으로 연장되어 록킹홈에 삽입된 상태로 제2수용공간부에 대한 마커본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핀이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본체의 내부에는, 걸림핀을 록킹홈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내장되고,
    록킹홈의 내부에는, 록킹홈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핀을 록킹홈의 외부로 밀어내는 푸싱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KR1020210064518A 2021-05-20 2021-05-20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KR102472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18A KR102472701B1 (ko) 2021-05-20 2021-05-20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18A KR102472701B1 (ko) 2021-05-20 2021-05-20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019A true KR20220157019A (ko) 2022-11-29
KR102472701B1 KR102472701B1 (ko) 2022-11-30

Family

ID=8423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518A KR102472701B1 (ko) 2021-05-20 2021-05-20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70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859Y1 (ko) * 2006-03-06 2006-06-05 이영원 골프 볼마커가 구비된 볼펜
KR20080004286U (ko) * 2007-03-28 2008-10-02 공승환 골프용 맞춤형 볼마커
KR20130041538A (ko)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 기남금속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KR101389744B1 (ko) * 2013-09-24 2014-04-28 주식회사 윤성지엠텍 Nfc와 ar 마커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KR20170085391A (ko) * 2016-01-14 2017-07-24 박순덕 두께를 갖도록 합체되는 놀이용 딱지
KR20180080668A (ko) 2017-01-04 2018-07-12 (주)디엔소프트 증강현실 마커를 포함하는 한자 교재를 이용한 증강현실 한자교육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915621B1 (ko) 2017-08-31 2018-11-06 지영아 멀티 학습 및 증강 현실 기반의 어린이 덴탈 학습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859Y1 (ko) * 2006-03-06 2006-06-05 이영원 골프 볼마커가 구비된 볼펜
KR20080004286U (ko) * 2007-03-28 2008-10-02 공승환 골프용 맞춤형 볼마커
KR20130041538A (ko) * 2011-10-17 2013-04-25 주식회사 기남금속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KR101389744B1 (ko) * 2013-09-24 2014-04-28 주식회사 윤성지엠텍 Nfc와 ar 마커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KR20170085391A (ko) * 2016-01-14 2017-07-24 박순덕 두께를 갖도록 합체되는 놀이용 딱지
KR20180080668A (ko) 2017-01-04 2018-07-12 (주)디엔소프트 증강현실 마커를 포함하는 한자 교재를 이용한 증강현실 한자교육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915621B1 (ko) 2017-08-31 2018-11-06 지영아 멀티 학습 및 증강 현실 기반의 어린이 덴탈 학습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701B1 (ko)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014B2 (en) Toy construction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US104606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e learning
US5679075A (en) Interactive multi-media game system and method
US200902908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eplay Video
AU20133045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assroom active learning
Ostendorf Teaching by television.
KR102472701B1 (ko) 놀이터용 가변형 ar마커 장치
van Eck et al. The augmented painting: playful interaction with multi-spectral images
Lösch et al. Mirror, Mirror on the Wall: Attracting Passers-by to Public Touch Displays With User Representations
Pinhanez et al. Physically interactive story environments
Lu et al. Irelics: Designing a tangible interaction platform for the popularization of field archaeology
Larsen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ic pool trainer
CN104882035A (zh) 壁挂式一体化多媒体教学设备及系统
Souza et al. Deinonychus and the cow–enhancing museum exhibitions through the use of mixed reality
MeeCham et al. Interactive technologies in the art museum
KR101826486B1 (ko) 증강현실기능을 적용한 모형장난감 및 그 어플리케이션
Kegeleers et al. IMOVE: A Motion Tracking and Projection Framework for Social Interaction Applications
Drori et al. Pixel materiali: a system for creating and understanding pixel animations
Engelbert et al. The use and benefit of a Xbox kinect based tracking system in a lecture recording service
Kennington et al. Integrating ICT into the Early Years curriculum
Marsh et al. Experimental Serious Games: Short Form Narrative in Augmented Reality Dioramas
Molina Production design tools in 360-degree music video as a model for the need for a more immersive audiovisual product
Tripon et al. Learn-o-Bot: Educational Appli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phero SPRK+.
Wetzel et al. Boxed pervasive games: an experience with user-created pervasive games
Oshodi et al. Film as a Mass Communication Medium: Unpacking Its Encoding and Decoding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