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776A -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776A
KR20220156776A KR1020220148569A KR20220148569A KR20220156776A KR 20220156776 A KR20220156776 A KR 20220156776A KR 1020220148569 A KR1020220148569 A KR 1020220148569A KR 20220148569 A KR20220148569 A KR 20220148569A KR 20220156776 A KR20220156776 A KR 20220156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lean room
auxiliary
room structur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훈
조혁준
김진철
김효수
어수연
김시현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치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치이앤씨 filed Critical (주)씨에이치이앤씨
Publication of KR2022015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7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04B2/740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8Partitions for clean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clean room struc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base plate forming at least one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t least one second base plate forming a part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part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the constant thickness; a first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ceiling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thir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Description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부분 및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천정 구조물 또는 바닥 구조물 사이의 연결 부분의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room structure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of a connection portion of each base plate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each base plate and a ceiling structure or a floor structure. And it relates to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클린 룸은 실내의 공기 중의 부유입자를 정해진 제한 값 이하로 제어하는 룸을 말하며, 상기 클린 룸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전자부품, 정밀기기 또는 식품·의약품 공업 등에서의 생산시설, 검사실, 연구실 및 병원의 의료시설 등 고도의 먼지방지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clean room refers to a room in which suspended particles in the indoor air are controlled below a predetermined limit value, and the clean room is generally a production facility, inspection room, laboratory,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that require a high level of dust prevention, such as hospitals and medical facilities.

이러한 클린 룸은 전체적으로는 실외에 설치한 공조설비에 의해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고 순환되는 실내공기가 공조설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하여 공기 중의 먼지 등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such a clean room generally circulates indoor air by an air conditioning facility installed outdoors, and removes fine particles such as dust in the air by passing through a filter while the circulated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facility.

종래의 클린 룸은 클린 룸을 구성하는 벽체들 상호간의 결합 구조만을 제시하고, 클린 룸 내부의 있는 먼지 등을 제어하는 점에 중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lean room,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presenting only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walls constituting the clean room and controlling dust in the clean room.

그러나, 클린 룸을 구성하는 벽체들의 연결 부분이나, 벽체들과 천정 또는 바닥과의 연결 부분 또는 결합 부분에서 미세한 틈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However, a means for prevent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hrough minute gaps at a connection between walls constituting a clean room, or at a connection or coupling between walls and a ceiling or floor has not been prop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3682호(2018년 08월 24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93682 (registered on August 24, 2018)

본 발명은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연결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직각으로 연결될 때, 해당 연결 구조에 따른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lean room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irtightness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connection structure when base plates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or when base plates are connected at right angles,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천정과 결합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과 결합될 때, 해당 연결 구조에 따른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lean room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airtightness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connection structure when a base plate is coupled to a ceiling or a base plate is coupled to a floor,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천정이나 바닥과 결합될 때, 상호간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라켓 구조를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room structure including a bracket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mutual bonding force when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nother base plate or when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 ceiling or floor,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do.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천정이나 바닥과 결합될 때,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room structure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in which an operator can more easily perform a coupling operation when a base plate is coupled with another base plate or when a base plate is coupled with a ceiling or floor. can

본 발명은 클린 룸의 운용 과정에서 클린 룸의 내부의 먼지의 양이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ean room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or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 room,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린 룸의 운용 과정에서 클린 룸의 내부의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클 때, 클린 룸의 내부의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적어질 때까지 먼지가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is greater than a preset amou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 room, the dust is automatically discharged until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is less than the preset amou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 room structure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린 룸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도 클린 룸을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해체가 용이하여 부품들의 재활용이 용이한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ean room structure that can assemble a clean room through a simple structure of the clean room, and also facilitates recycling of parts due to easy disassembly, and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는,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상기 적어도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메인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천정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바닥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3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브라켓 및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된 제1 메인 부분; 상기 제1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2 메인 부분; 상기 제2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메인 부분; 상기 제3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메인 부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메인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4 메인 부분; 상기 제4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4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 및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과 이격된 제5 메인 부분; 및 상기 제5 메인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에 연결된 제6 메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 상기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의 단부에서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밀착되는 제2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페이퍼 허니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base plate forming at least one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least one second base plate formed on a 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 first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ceiling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thir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wherein the first main bracket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together. The second main bracket may include a first main portion disposed inside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respectively; a second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main portion and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main portion; a third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main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econd main portion,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main portion; a fourth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third main portion toward the first main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main portion, and parallel to the second main portion; A fifth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ourth main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ourth main portion,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ain portion and the third main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portion. part; and a sixth mai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fth main portion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main portion, wherei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base parts; second base parts extending toward each other from ends of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at least one part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main part; and a paper honeycomb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상기 제1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천정 영역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제1-1 보조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 부분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1-2 보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bracket may include a 1-1 auxiliary part, at least one of which is fixed to the ceiling region through bolts; and 1-2 auxiliary parts that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part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ase part.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바닥 영역에 고정되는 제2-1 보조 부분; 상기 제2-1 보조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 제2-2 보조 부분; 및 상기 제2-2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2 보조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2 보조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bracket may include a 2-1 auxiliary part having at least one part fixed to the bottom area; a 2-2 auxiliary portion extending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2-1 auxiliary portion; and a 2-3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2-2 auxiliary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2-2 auxiliary portion,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2-2 auxiliary portion. .

상기 제3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5 메인 부분에 밀착되는 제3-1 보조 부분; 및 상기 제3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1 보조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4 메인 부분에 밀착되는 제3-2 보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auxiliary bracket may include a 3-1 auxiliary part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fth main part; and a 3-2 auxiliary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third auxiliary part,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3-1 auxiliary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ourth main part.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와 수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4 보조 브라켓 및 제5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베이스 부분에 밀착되는 제4-1 보조 부분; 및 상기 제4-1 보조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 돌출된 제4-2 보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보조 브라켓은, 상기 제4-2 보조 부분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5-1 보조 부분; 상기 제5-1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5-2 보조 부분; 및 상기 제5-2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5-2 보조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5-3 보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fourth auxiliary bracket and a fifth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base plate, wherein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The bracket may include a 4-1 auxiliary part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art; and a 4-2 auxiliary part protruding into at least a portion of the 4-1 auxiliary part, wherein the 5-1 auxiliary bracke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4-2 auxiliary part is inserted and fixed. part; a 5-2 auxiliary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5-1 auxiliary part; and a 5-3 auxiliary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5-2 auxiliary part and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5-2 auxiliary part.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메인 브라켓의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의 상기 제3 메인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1 씰링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베이스 부분과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베이스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씰링부보다 상기 제3 보조 브라켓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제2 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ea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third main part of the first main bracket and the third main part of the second main bracket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 And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It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part disposed further from the third auxiliary bracket than the first sealing part.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브라켓과 인접 배치된 제3 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a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는,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상기 적어도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메인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천정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바닥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3 보조 브라켓;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먼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base plate forming at least one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least one second base plate formed on a 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 first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ceiling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thir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dust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에 대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먼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emperatu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dust sensor.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상기 적어도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메인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천정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바닥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3 보조 브라켓;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먼지 센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유입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팬과 이격된 토출팬;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에 대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먼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입팬 및 상기 토출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때 또는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많을 때, 상기 유입팬 및 상기 토출팬을 동작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 room system including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base plate forming at least one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least one second base plate formed on a 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 first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ceiling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thir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dust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an inlet fan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 discharge fan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let fan; and rece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dust sensor, and receiving the inflow fan and the discharge fan.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flow fan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when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And it can be set to operate the discharge fan.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기밀성이 향상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클린 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differentiated effect of fundamentally blocking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lean room due to improved airtightness.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연결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직각으로 연결될 때, 해당 연결 구조에 따른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differentiated effect of securing airtightnes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when the base plates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or when the base plates are connected at right angles.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천정과 결합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과 결합될 때, 해당 연결 구조에 따른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differentiated effect of securing airtightnes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when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ceiling or when the base plate is coupled to the floor.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천정이나 바닥과 결합될 때, 브라켓 구조를 통해 상호간에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nother base plate or when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 ceiling or a floor, can be differentiated to improve mutual bonding force through a bracket structure. has the effect of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될 때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천정이나 바닥과 결합될 때,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differentiated in that when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nother base plate or when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 ceiling or floor, an operator can more easily perform a combining operation. has the effect of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클린 룸의 운용 과정에서 클린 룸의 내부의 먼지의 양이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differentiated effect of detecting the amount of dust 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during operation of the clean room.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클린 룸의 운용 과정에서 클린 룸의 내부의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클 때, 클린 룸의 내부의 먼지의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적어질 때까지 먼지가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is greater than the preset amou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 room,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is greater than the preset amount It has a differentiated effect that can be controlled so that dust is automatically discharged until it becomes less.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은, 클린 룸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서도 클린 룸을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해체가 용이하여 부품들의 재활용이 용이하여 적은 비용이 소모되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clean room structure and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emble the clean room through a simple structure of the clean room, and also has a differentiated effect of consuming less cost because it is easy to disassemble and recycle parts. .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의 메인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의 제1 보조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의 제2 보조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의 제3 보조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메인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 직선으로 결합된 제1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천정 영역과 결합된 제2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 영역과 결합된 제3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수직하게 결합된 제4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 직선으로 결합된 제1 연결 구조 및 팽창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의 제1 보조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닥 영역과 결합된 제3 연결 구조 및 씰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와 수직하게 결합된 제4 연결 구조 및 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 룸 구조 및 클린 룸 시스템의 먼지를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bracket of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auxiliary bracket of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auxiliary bracket of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auxiliary bracket having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E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se plate and a main bracke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base plate and another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 ceiling reg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base plate is combined with a bottom are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base plate is vertically coupled to another base pl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structure and an expansion part in which a base plate is coupled to another base plate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auxiliary bracket having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connection structure and a sealing part in which a base plate is coupled to a bottom area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connection structure and a guide unit in which a base plate is vertically coupled to another base plat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ean room system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charging dust in a clean room structure and a clean room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onl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aid understanding.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presented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on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a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upper", "lower", "upper", "lower", etc. used below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omitted.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rm 'unit, module, device'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device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onent, or a single 'uni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odul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have.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의 메인 브라켓(14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메인 브라켓(14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bracket 14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e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base plate 110 and the main bracket 14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X 축 방향을 클린 룸 구조(100)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폭 방향으로 정의 및 해석하고, 도 1의 Y 축 방향을 클린 룸 구조(100)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길이 방향으로 정의 및 해석하고, 도 1의 Z 축 방향을 클린 룸 구조(100)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높이 방향으로 정의 및 해석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X-axis direction of FIG. 1 is defined and interpreted a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and its components, and the Y-axis direction of FIG. 1 is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and its configuration. It is defined and interpre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ments, and the Z-axis direction in FIG. 1 is defined and interpreted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and its compon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도 2a 및 도 2e를 참조하면,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천정 영역(120) 및 바닥 영역(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 2A and 2E ,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may include a base plate 110 , a ceiling area 120 and a floor area 130 .

클린 룸은, 실내의 공기 중의 부유입자를 정해진 제한 값 이하로 제어하는 룸을 말하며, 클린 룸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전자부품, 정밀기기 또는 식품·의약품 공업 등에서의 생산시설, 검사실, 연구실 및 병원의 의료시설 등 고도의 먼지방지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A clean room refers to a room in which suspended particles in the indoor air are controlled below a set limit value, and a clean room is generally used for production facilities, inspection rooms, laboratories, and hospitals in the semiconductor, electronic parts, precision equipment, or food/medicine industries.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that require high dust prevention functions such as medical facilities.

본 발명의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는, 전술한 클린 룸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체 또는 건물 등으로 정의 및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100)는, 병원 내부의 병원체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음압실 또는 음압 병실과 같은 특수 격리 병실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체 또는 건물 등으로 정의 및 해석될 수도 있다.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ined and interpreted as a structure or building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clean room.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 structure or building for forming a special isolation ward such as a negative pressure room or a negative pressure ward that blocks the spread of pathogens inside the hospital to the outside, and may be interpreted.

클린 룸 구조(100)는, 클린 룸 구조(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클린 룸 구조(1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벽면 또는 측면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include a base plate 110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For example, the base plate 110 may be defined as a wall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각각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되거나, 천정 영역(120) 또는 바닥 영역(130)과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may be combined with other base plates 110 or combined with the ceiling area 120 or the floor area 130 .

도 2e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의 단부에서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일 부분이 제3 메인 부분(143)과 밀착되는 제2 베이스 부분(172) 및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 사이에 배치되는 페이퍼 허니콤(113)을 포함할 수 잇다.Referring to FIG. 2E , the base plate 110 includes a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nds of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each extend towards each other, and at least one portion thereof A paper honeycomb 113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part 172 and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main part 143 may be included.

페이퍼 허니콤(113)(Paper honeycomb)은, 종이를 육각기둥 모양으로 만들어 빈틈없이 붙여 판으로 만들어 놓은 것으로, 건축재 및 포장재일 수 있다.The paper honeycomb 113 is made of a plate made by making paper into a hexagonal column shape and attaching it without gaps, and may be a building material or a packaging material.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은, 페이퍼 허니콤(113)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면에 도포된 또는 코팅된 에폭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은, 페이퍼 허니콤(113)의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면에 에폭시를 통해 접합 적층된 알루미늄 재질의 커버층일 수 있다.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may be epoxy coated or coated on one side of the paper honeycomb 113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ide. As another example,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may be a cover layer made of aluminum that is bonded and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aper honeycomb 113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ide through epoxy.

또한,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은, 메인 브라켓(140)의 한 쌍의 제2 메인 부분(142)과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may be connected or combined with the pair of second main parts 142 of the main bracket 140 .

한 쌍의 제2 베이스 부분(172)은, 페이퍼 허니콤(113)에 연결된 또는 결합된 메인 브라켓(14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도포된 또는 코팅된 에폭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한 쌍의 제2 베이스 부분(172)은, 페이퍼 허니콤(113)에 연결된 또는 결합된 메인 브라켓(14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에폭시를 통해 접합 적층된 알루미늄 재질의 커버층일 수 있다.The pair of second base parts 172 may be epoxy applied or coat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main bracket 140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paper honeycomb 113 . As another example, the pair of second base parts 172 may be cover layers made of aluminum that are bonded and laminated through epoxy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bracket 140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paper honeycomb 113. have.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가벼운 재질의 페이퍼 허니콤(113)을 사용하면서도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더해 방음이 구현되는 차별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can secure high strength while using the paper honeycomb 113 made of a light material, and in addition, it can have a differentiated effect of implementing soundproofing.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사각형 플레이트의 면을 구성하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면은 전술한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 중 어느 하나는,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면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클린 룸 구조(100)의 외부 공간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this time, one surface constituting the surface of the rectangular plate and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surface may be composed of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described above. For example, one of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may be a surface facing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and the other may be a surface facing the out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can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이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화된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설계자의 설계 의도에 맞추어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결합 방향이나 또는 결합 개수 등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설계자가 의도한 클린 룸 구조(100)의 크기나 또는 형상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may each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o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ly, the modularized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are form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coupling direction or the number of couplings of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according to the design intention of the designer, so that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intended by the designer )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rm the size or shape appropriately.

이하, 도 2e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대한 설명은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되고 해석될 수 있다.Hereinafter, description of the base plate 110 of FIG. 2E may be applied and interpret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to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

메인 브라켓(140)은,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브라켓(140)은,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4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가장자리에 각각 메인 브라켓(140)이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bracket 14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 Looking more specifically,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main bracket 140 may be disposed at each edge of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 For example, main brackets 140 may be provided at respective edges of the rectangular plate-shaped base plate 110 facing four directions.

메인 브라켓(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되거나, 천정 영역(120)과 결합되거나 또는 바닥 영역(130)과 결합될 때,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in bracket 140 may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when the base plate 110 is coupled with another base plate 110 , the ceiling region 120 , or the floor region 130 .

도 2a 및 도 2e를 참조하면, 메인 브라켓(140)은, 제1 메인 부분(141), 제2 메인 부분(142), 제3 메인 부분(143), 제4 메인 부분(144), 제5 메인 부분(145) 및 제6 메인 부분(146)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a and 2e, the main bracket 140, the first main portion 141, the second main portion 142, the third main portion 143, the fourth main portion 144, the fifth It may include a main part 145 and a sixth main part 146 .

메인 브라켓(140)은, 실질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 브라켓(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 또는 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main bracket 140 may be substantially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in bracket 140 may have a frame or bar shape extending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메인 부분(141)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부분(141)은, 페이퍼 허니콤(113)과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The first main part 141 may be disposed inside the base plate 110 . Specifically, the first main part 141 may be an area connected to the paper honeycomb 113 .

제2 메인 부분(142)은, 제1 메인 부분(141)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메인 부분(141)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메인 부분(142)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베이스 부분(111)과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The second main part 142 extends from one end or both ends of the first main part 141 and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main part 141 . The second main part 142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a part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art 111 .

제3 메인 부분(143)은, 한 쌍의 제2 메인 부분(142)의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메인 부분(14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메인 부분(143)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메인 부분(143)은, 실질적으로 제1 메인 부분(14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main part 143 may extend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main parts 142 and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main part 142 . In addition, the third main part 143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Also, the third main part 143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main part 141 .

제4 메인 부분(144)은, 한 쌍의 제3 메인 부분(143)의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제1 메인 부분(14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4 메인 부분(144)은, 제3 메인 부분(143)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메인 부분(144)은, 제2 메인 부분(14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main part 144 may extend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third main parts 143 toward the first main part 141 . Also, the pair of fourth main parts 144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third main part 143 . The fourth main part 144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main part 142 .

제5 메인 부분(145)은, 한 쌍의 제4 메인 부분(14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5 메인 부분(145)은, 제4 메인 부분(144)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1 메인 부분(141) 및 제3 메인 부분(143)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메인 부분(141)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5 메인 부분(145), 제4 메인 부분(144)에 의해 형성된 공간(147)은 후술하는 제3 보조 브라켓(170)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fth main part 145 may be defined as a part extending from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ir of fourth main parts 144 . The fifth main part 145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ourth main part 144,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main part 141 and the third main part 143, and the first main part 141 can be separated from Meanwhile, in the space 147 formed by the fifth main part 145 and the fourth main part 144, a third auxiliary bracket 17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제6 메인 부분(146)은, 제5 메인 부분(145)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메인 부분(141)의 적어도 일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메인 부분(146)은, 속이 빈 중공의 메인 브라켓(140)의 내부 공간에서 일 지점과 타 지점을 연결하는 부분으로써, 속이 비어 경량화된 메인 브라켓(140)의 강성을 확보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The sixth main portion 146 may extend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fth main portion 145 and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main portion 141 . The sixth main part 146 is a part connecting one point and another point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main bracket 140, and can secure or improve the rigidity of the hollow main bracket 140, which is lightweight. It may be a configuration with

한편, 메인 브라켓(14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에 마련된 메인 브라켓(140)을 제1 메인 브라켓(140A)으로,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에 마련된 메인 브라켓(140)을 제2 메인 브라켓(140B)으로 정의, 지칭 및/또는 해석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racket 140 uses the main bracket 140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A as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main bracket 140 provided on the second base plate 110B as the second main bracket. Bracket 140B may be defined, referred to and/or interpreted.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로 정의 및 지칭하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연결 또는 결합되는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 110C)로 정의 및 지칭한다. 그러나, 전술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 110C)는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중 특정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인접되는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연결 관계에서 정의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is defined and referred to as a first base plate 110A, and another base plate 110 connected or combined with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defined and referred to as the second base plate 110B, 110C. However, the above-described first base plate 110A and second base plates 110B and 110C do not refer to a specific base plate 110 among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and the plurality of adjacent base plates 110 ) is defined i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110A의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로 정의 및 설명하고, 110B 또는 110C의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 110C)로 정의 및 설명하지만, 110B의 도면 부호 또는 110C의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제1 베이스 플레이트로 정의 및 해석할 경우는, 110A의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제2 베이스 플레이트로 정의 및 해석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ase plate 110 having reference numerals of 110A is defined and described as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base plate 110 having reference numerals of 110B or 110C is first Although defined and described as two base plates 110B and 110C, when the base plate 110 having reference numerals of 110B or 110C is defined and interpreted as a first base plate, it has reference numerals of 110A. The base plate 110 can be defined and interpreted as a second base plate.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1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클린 룸 구조(100)의 천정 영역(120)을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150) 및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클린 룸 구조(100)의 바닥 영역(130)을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 roo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uxiliary bracket 150 and a first base plate 110A that couple the first base plate 110A to the ceiling area 12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A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coupling the floor area 13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be further included.

이에 더해, 본 발명의 클린 룸 구조(1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를 결합시키는 제3 보조 브라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 110B)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uxiliary bracket 170 for coupling.

제1 보조 브라켓(150), 제2 보조 브라켓(160) 및 제3 보조 브라켓(170)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and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클린 룸 구조(100)의 천정을 형성하는 천정 영역(120)은, 특정한 건물의 실내 공간에서 천정으로 정의 및 해석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별도의 몰드 바(mould bar)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천정 영역(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천정 영역(120)은,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의 상부를 커버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정의 및 해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eiling area 120 forming the ceiling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be defined and interpreted as a ceiling in an indoor space of a specific building, and may be composed of a separate mold bar. . In addition,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ceiling region 120 may also be composed of the base plate 110 . The ceiling area 120 may be defined and interpreted as various configurations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한편, 클린 룸 구조(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영역(130)은, 특정한 건물의 실내 공간에서 바닥으로 정의 및 해석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별도의 몰드 바(mould bar)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바닥 영역(13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천정 영역(120)은,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정의 및 해석될 수 있다.Meanwhile, the floor area 130 forming the floor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be defined and interpreted as a floor in an indoor space of a specific building, and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mold bar. . In addition,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bottom area 130 may be composed of the base plate 110 . The ceiling region 120 may be defined and interpreted as various configurations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의 제1 보조 브라켓(15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천정 영역(120)과 결합된 제2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late 110 is combined with the ceiling region 12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도 2b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보조 브라켓(15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를 천정 영역(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 2B and 4 ,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may couple the first base plate 110A to the ceiling region 120 .

제1 보조 브라켓(15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may be made of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보조 브라켓(150)은, 적어도 일 부분이 천정 영역(120)에 볼트(B)를 통해 고정되는 제1-1 보조 부분(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보조 부분(151)은, 제1 보조 브라켓(150)의 몸체일 수 있으며, 천정 영역(120)에 면 대 면으로 접촉하며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may include a 1-1 auxiliary part 151 at least one part of which is fixed to the ceiling region 120 through bolts B. The 1-1 auxiliary part 151 may be the body of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nd couple to the ceiling region 120 face to face.

제1 보조 브라켓(150)은, 제1 보조 부분의 일단 또는 양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베이스 부분(111)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1-2 보조 부분(1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may include first-second auxiliary parts 152 extending from one end or both ends of the first auxiliary par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ase part 111 .

제1-2 보조 부분(152)은, 제1 보조 부분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2 보조 부분(15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이격될 수 있다.The first-second auxiliary part 152 may be configured as a pair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auxiliary part. A pair of first-second auxiliary parts 15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 쌍의 제1-2 보조 부분(152)의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두께(예: 도 4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parts 152 may be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eg, the thickness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4 ).

이에 따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가 제1 보조 브라켓(150)에 결합될 때,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이 한 쌍의 제1-2 보조 부분(152) 사이에 억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coupled to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are forcibly fit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parts 152. Can be inserted in a combined manner.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1 보조 브라켓(150)을 연결시키기 위해 별도의 체결부재나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제1 보조 브라켓(150)에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를 끼우는 방식으로 양자간의 결합이 구현되므로,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does not use a separate fastening member or coupling member to connect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but simply attaches the first base plate to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 110A),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is implemented, the ease of operation can be secured.

한편, 제1 보조 브라켓(150)은 볼트(B)에 의해 천정 영역(120)에 고정된 상태이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는 제1 보조 브라켓(15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천정 영역(120)은 상호간에 제1 보조 브라켓(15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is fixed to the ceiling region 120 by bolts B and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fixed to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fixed to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The plate 110A and the ceiling region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의 제1 보조 브라켓(15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e,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보조 브라켓(150)은, 제1-3 보조 부분(153) 및 제1-4 보조 부분(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E , 4 and 8 , the first auxiliary bracket 150 may further include a 1-3 auxiliary part 153 and a 1-4 auxiliary part 154 .

제1-3 보조 부분(153)은, 제1-2 보조 부분(152)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 다른 제1-2 보조 부분(152)을 향해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3 보조 부분(1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1-3 auxiliary portion 153 may be a region extending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1-2 auxiliary portion 152 toward the other 1-2 auxiliary portion 152 .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auxiliary parts 153 may be provided as a pair as shown.

제1-4 보조 부분(154)은, 한 쌍의 제1-3 보조 부분(153)의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제1-1 보조 부분(1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4 보조 부분(154)은, 실질적으로 제1-2 보조 부분(152)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1-4 auxiliary part 154 may extend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1-3 auxiliary parts 15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1-1 auxiliary part 151 . The pair of first-fourth auxiliary parts 154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second auxiliary parts 152 .

한 쌍의 제1-4 보조 부분(154)이 형성하는 두께(예: 도 8의 좌우 방향으로의 두께)는, 메인 브라켓(140)이 형성하는 공간(147)의 두께(예: 도 2e의 좌우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가 천정 영역(120)에 결합될 때, 한 쌍의 제1-4 보조 부분(154)이 상기 공간(147)에 억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thickness formed by the pair of first to fourth auxiliary parts 154 (eg, the thickness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8) is the thickness of the space 147 formed by the main bracket 140 (eg, the thickness in FIG. 2E). thicknes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first plate is coupled to the ceiling region 120, the pair of first to fourth auxiliary parts 154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147 in an interference fitting manner.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가 천정 영역(120)에 결합될 때, 한 쌍의 제1-4 보조 부분(154)과 메인 브라켓(140)의 공간(147)이 상호간에 고정되므로, 제1 플레이트와 천정 영역(120)의 결합력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plate is coupled to the ceiling region 120, the space 147 of the pair of first to fourth auxiliary parts 154 and the main bracket 140 is fix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lat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bonding force of the ceiling region 120 can be additionally secured.

한편,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111)이 보조 브라켓의 제1-2 보조 부분(152)에 억지 끼움되고, 한 쌍의 제1-4 베이스 부분이 메인 브라켓(140)의 공간(147)에 억지 끼움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천정 영역(120)과 제1 플레이트 사이를 통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111 are forcibly fitted into the 1st-2nd auxiliary parts 152 of the auxiliary bracket, and the pair of 1st-4th base parts are space 147 of the main bracket 140 Since it is forcibly 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 region 120 and the first plat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external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의 제2 보조 브라켓(16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 영역(130)과 결합된 제3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late 110 is combined with the bottom area 13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도 2c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보조 브라켓(16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를, 바닥 영역(130)에 결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 2C and 5 ,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may couple the first base plate 110A to the bottom area 130 .

제2 보조 브라켓(16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may be made of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보조 브라켓(160)은, 적어도 일 부분이 바닥 영역(130)에 고정되는 제2-1 보조 부분(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보조 부분(161)은, 제2 보조 브라켓(160)의 몸체일 수 있으며, 바닥 영역(130)에 면 대 면으로 접촉하며 볼트(B)를 통해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may include a 2-1 auxiliary part 161 having at least one part fixed to the bottom area 130 . The 2-1 auxiliary part 161 may be the body of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area 130 face to face and coupled through a bolt B.

제2 보조 브라켓(160)은, 제2-1 보조 부분(161)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 제2-2 보조 부분(1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보조 부분(162)은,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may include a 2-2 auxiliary part 162 extending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part of the 2-1 auxiliary part 161 . The 2-2 auxiliary part 162 may be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 보조 브라켓(160)은, 제2-2 보조 부분(16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2 보조 부분(162)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2-2 보조 부분(162)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2 보조 부분(162)은, 실질적으로 한 쌍의 제2-2 보조 부분(162)의 일단을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2-2 auxiliary part 162,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2-2 auxiliary part 162, and is parallel to the 2-2 auxiliary part 162. It may include 2-3 parts arranged in such a way. The 2-2 auxiliary part 162 may be a part that substantially connects one end of the pair of 2-2 auxiliary parts 162 .

제2-3 보조 부분 및 한 쌍의 제2-2 보조 부분(162)은, 제1 메인 브라켓(140A)이 형성하는 공간(147)에 배치될 수 있다.The 2-3 auxiliary part and the pair of 2-2 auxiliary parts 162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147 formed by the first main bracket 140A.

제2-1 보조 부분(161)은, 한 쌍의 제1-2 베이스 부분과 접촉 또는 밀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The 2-1st auxiliary part 161 may be a part that contacts or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1-2nd base parts.

클린 룸 구조(100)는, 제3 씰링부(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씰링부(183)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바닥 영역(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씰링부(183)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1-2 베이스 부분과 바닥 영역(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aling part 183 . The third sealing part 18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bottom area 130 . Specifically, the third sealing part 18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se parts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bottom area 130 .

제3 씰링부(183)는, 제2 보조 브라켓(160)과 인접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씰링부(183)는, 제2 보조 브라켓(160)의 제2-1 보조 부분(161)과 인접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sealing part 18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 Specifically, the third sealing part 18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2-1 auxiliary part 161 of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

제3 씰링부(183)는, 일 실시예로서, 리벳을 활용한 코킹(caulking)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러버(rubber) 부재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hird sealing part 183 may be a caulking member using a riv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ubber member.

제3 씰링부(183)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바닥 영역(130)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폐할 수 있다.The third sealing part 183 may seal a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bottom area 130 .

이에 따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가 바닥 영역(130)에 결합, 연결 또는 설치될 때, 제1-2 베이스 부분이 제2-1 보조 부분(161)에 밀착되고, 제1-2 베이스 부분과 바닥 영역(130) 사이에 형성된 갭은 제3 씰링부(183)를 통해 밀폐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바닥 영역(130) 사이를 통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coupled, connected, or installed to the bottom area 130, the 1-2 bas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2-1 auxiliary part 161, and the 1-2 base part Since the gap formed between the part and the floor area 130 is sealed through the third sealing part 183, foreign substances or dust from the outside pass through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floor area 130 to achieve a clean room structure. Inflow into the interior of (100)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또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는, 바닥 영역(130)에 설치된 제2 보조 브라켓(160)의 제2-2 보조 부분(162) 및 제2-3 보조 부분에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공간(147)이 삽입되도록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정 위치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를 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se plate 110A has a first main bracket 140A on the 2-2 auxiliary part 162 and the 2-3 auxiliary part of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160 installed on the floor area 130. Since the position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pace 147 of the space 147 is inser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place the first base plate 110A in the correct posi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바닥 영역(130)과 결합된 제3 연결 구조 및 씰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connection structure and a sealing portion in which the base plate 110 is combined with the bottom area 13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c,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클린 룸 구조(100)는, 제4 씰링부(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씰링부(R)는, 제2-1 보조 부분(161)과 메인 브라켓(140)의 제3 메인 부분(1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씰링부(R)는, 제2-1 보조 부분(16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2C , 5 and 9 ,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ealing part R. The fourth sealing part 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2-1 auxiliary part 161 and the third main part 143 of the main bracket 140. As shown, the fourth sealing part R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2-1 auxiliary part 16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4 씰링부(R)는, 러버(rubber)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씰링부(R)는, 제3 메인 부분(143)과 제2-1 보조 부분(161)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가 바닥 영역(130)에 설치될 때, 제3 씰링부(183) 및 제4 씰링부(R)에 의해 이중으로 이물질 유입 차단 구조를 형성하므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바닥 영역(130) 사이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fourth sealing part R may include a rubber member. The fourth sealing part R may seal a gap formed between the third main part 143 and the 2-1 auxiliary part 161 . Accordingly,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installed on the floor area 130, the third sealing part 183 and the fourth sealing part R form a double foreign substance blocking structure, so that the firs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base plate 110A and the floor area 130 .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100)의 제3 보조 브라켓(17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일 직선으로 결합된 제1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base plate 110 and another base plate 110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도 2d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3 보조 브라켓(17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가 일 직선으로 결합, 연결 또는 설치될 때,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를 결합, 연결 또는 상호간에 고정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2d and 3,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are combined, connected or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The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may be coupled, connected, or fixed to each other.

제3 보조 브라켓(17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may be made of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3 보조 브라켓(170)은, 적어도 일 부분이 제5 메인 부분(145)에 밀착되는 제3-1 보조 부분(1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1 보조 부분(171)은, 제3-2 보조 부분(172)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3-1 보조 부분(171)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1 보조 부분(171)은, 각각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5 메인 부분(145) 및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제5 메인 부분(145)에 밀착될 수 있다.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may include a 3-1 auxiliary part 171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fth main part 145 . The 3-1 auxiliary part 171 may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3-2 auxiliary part 172 . The 3-1 auxiliary part 171 may be composed of a pair, and the pair of 3-1 auxiliary parts 171 are respectively the fifth main part 145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It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fth main part 145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제3 보조 브라켓(170)은, 제3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3-1 보조 부분(171)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 부분이 제4 메인 부분(144)에 밀착되는 제3-2 보조 부분(172)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third auxiliary part,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3-1 auxiliary part 171, and has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ourth main part 144. -2 Auxiliary part 172 may be included.

제3-2 보조 부분(172)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2 보조 부분(172)은, 각각 한 쌍의 제3-1 보조 부분(171)의 양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보조 브라켓(170)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3-2 보조 부분(172)은, 각각 제1 메인 브라켓(140A) 및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제4 메인 부분(144)에 밀착될 수 있다.The 3-2 auxiliary parts 172 may be configured as a pair, and the pair of 3-2 auxiliary parts 172 connect both ends of the pair of 3-1 auxiliary parts 171, respectively. can Accordingly,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hollow shape with an empty inside. The pair of 3-2 auxiliary parts 172 may adhere to the fourth main part 144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respectively.

한 쌍의 제3-2 보조 부분(172)이 형성하는 두께(도 3에서의 좌우 방향으로의 두께)는, 제1 메인 브라켓(140A) 및 제2 메인 브라켓(140B) 각각의 한 쌍의 제4 메인 부분(144)의 이격 거리(도 3에서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The thickness (thickness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3) formed by the pair of 3-2 auxiliary parts 172 is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respectively. 4 It may be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main part 144 (separation distance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3).

이에 따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공간(147)에 제3 보조 브라켓(170)이 억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공간(147)에 제3 보조 브라켓(170)이 억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147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in an interference fitting manner,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147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in an interference fitting manner.

이에 따라,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메인 브라켓(140)에 우선적으로 제3 보조 브라켓(170)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고, 나머지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메인 브라켓(140)을 제3 보조 브라켓(170)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preferentially couples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to the main bracket 140 of any one base plate 110 by force-fitting, and the main bracket 140 of the other base plate 110 By coupling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with an interference fit, the base plate 110 can be connected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so the ease of operation can be secured.

한편, 제1 메인 브라켓(140A) 및 제2 메인 브라켓(140B)에 제3 보조 브라켓(170)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의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is fastened to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in an interference fitting manner, a gap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is formed. Inflow of external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rough the space may be fundamentally blocked.

제3 보조 브라켓(170)을 통해 일 직선으로 결합, 연결 또는 설치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내면(클린 룸 구조(100)의 실내 공간을 향하는 면) 및 평평한 외면(클린 룸 구조(100)의 외부 공간을 향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coupled, connected, or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through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are substantially flat inner surfaces (facing the indoo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surface) and a flat outer surface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도 3을 참조하면, 클린 룸 구조(1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3 메인 부분(143)과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제3 메인 부분(143) 사이에 배치된 제1 씰링부(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the third main part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 143) and the third main part 143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aling part 181 disposed therebetween.

제1 씰링부(181)는, 러버 부재 또는 코킹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틈 또는 갭을 밀폐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씰링부(181)는,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3 메인 부분(143)과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제3 메인 부분(143)에 밀착됨으로써,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3 메인 부분(143)과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제3 메인 부분(143)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3 메인 부분(143)과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제3 메인 부분(143)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art 18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ubber member or a caulking me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means for sealing a gap or gap. The first sealing part 18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main part 143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third main part 143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so that the first main bracket 140A It is possible to seal the gap formed between the third main part 143 of the ) and the third main part 143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are removed from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third main portion 143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third main portion 143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inflow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클린 룸 구조(10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2 베이스 부분(172)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제2 베이스 부분(17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씰링부(181)보다 제3 보조 브라켓(170)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제2 씰링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씰링부(182)는, 적어도 일부가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3 메인 부분(143)과 제2 메인 브라켓(140B)의 제3 메인 부분(143)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B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 172) and the second base part 172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82 disposed farther from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than the first sealing part 181 can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18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main portion 143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third main portion 143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제2 씰링부(182)는, 러버 부재 또는 코킹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틈 또는 갭을 밀폐하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씰링부(182)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2 베이스 부분(172)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제2 베이스 부분(172)에 밀착됨으로써,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2 베이스 부분(172)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제2 베이스 부분(172)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2 베이스 부분(172)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제2 베이스 부분(172) 사이에 통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씰링부(181) 및 제2 씰링부(182)가 이중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클린 룸 구조(100)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part 18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ubber member or a caulking me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means for sealing a gap or gap. The second sealing part 18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art 172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art 172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so that the first base plate 110A A gap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portion 172 of the )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72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may be sealed. Accordingly, foreign matter passes between the second base portion 172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72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to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inflow into the Accordingly, the first sealing part 181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82 can fundamentally blo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일 직선으로 결합된 제1 연결 구조 및 팽창부(S)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nection structure and an expansion part S in which a base plate 110 and another base plate 110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도 2d,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클린 룸 구조(100)는, 팽창부(S)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D, 3, and 7 ,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part S.

팽창부(S)는, 제3 보조 브라켓(170)의 내부 공간(173)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팽창부(S)는, 용융 수지를 발포시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용융 수지는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 및 발포제가 용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탄성체 및 발포체가 용융된 용융 수지를 제3 보조 브라켓(170)의 내부 공간에 주입한 후, 이를 발포시킬 수 있다.The expansion part (S)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73 of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Looking specifically, the expansion part (S) can be formed by foaming molten resin. Specifically, the molten resin may be prepared by melt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TPE) and a foaming agent. For example, after the molten resin in which th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foam are melted is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it can be foamed.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는 고온에서 유연하게 되는 플라스틱과 마찬가지로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Elastomer)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 재료이다. 열가소성 탄성체(TPE)는 사용 재료에 따라 Styrene계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 SBC), Olefin계 (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urethane계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mide계 (thermoplastic polyamide, TPAE), polyester계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발포제는 화학적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로 마련될 수 있다.Thermoplastic elastomer (TPE) is a polymer material that can be molded like plastic that becomes flexible at high temperatures and exhibits the properties of elastomer at room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thermoplastic elastomer (TPE) can be classified into styrene-based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 SBC), olefin-based (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urethane-bas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amide-based (thermoplastic polyamide, TPAE), and polyester-based materials.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And the foaming agent may be provided with a chemical foaming agent or a physical foaming agent.

용융 수지 주입기에 열가소성 탄성체와, 발포제가 용융되어 마련되며, 용융 수지(열가소성 탄성체와 발포제가 용융된 상태)가 제3 보조 브라켓(170)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제3 보조 브라켓(170)을 가열기(미도시)와 연결한 후, 이를 발포시킬 수 있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foaming agent are melted and provided in the molten resin injector, and the molten res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foaming agent are melted) may be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 After connecting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to a heater (not shown), it can be foamed.

팽창부(S)는, 용융 수지가 발포되어 부피가 커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부(S)는, 스티로폼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팽창부(S)는, 제3 보조 브라켓(170)의 제한된 내부 공간에서 발포되어 부피가 증가되므로, 제3 보조 브라켓(170)은 어느 정도 늘어나며 그 단면적의 크기가 증가되게 된다. 이를 활용하여, 제3 보조 브라켓(170)이 제1 메인 브라켓(140A)과 제2 메인 브라켓(140B)에 억지 끼움 결합된 이후, 제3 보조 브라켓(170)의 내부에 용융 수지를 주입시켜 가열기를 통해 제3 보조 브라켓(170)을 가열시켜 용융 수지를 발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부(S)가 형성될 수 있다. 팽창부(S)는, 부피가 증가되며 제3 보조 브라켓(170)의 내부에서 제3-1 보조 부분(171) 및 제3-2 보조 부분(172)을 제3 보조 브라켓(170)의 바깥 방향으로 밀어내는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제3-2 보조 부분(172)은, 한 쌍의 제4-1 메인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메인 브라켓(140A) 및 제2 메인 브라켓(140B)은 더욱 강하게 제3 보조 브라켓(170)에 고정될 수 있다.The expansion part S may be formed by foaming the molten resin to increase its volume. For example, the expansion part (S) may be understood as a Styrofoam member. Since the expansion part (S) is foamed in the limited internal space of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and the volume is increased,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is increased to some extent and the size of its cross-sectional area is increased. Using this, after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is force-fitted to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molten resin is injected into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to heat it. The molten resin may be foamed by heating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through a group, and thus the expansion part (S) may be formed. The expansion part (S) has an increased volume and moves the 3-1 auxiliary part 171 and the 3-2 auxiliary part 172 from the inside of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to the outside of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A pushing pressur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pair of 3-2 auxiliary parts 172 press the pair of 4-1 main parts. Accordingly,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second main bracket (140B) can be more strongly fixed to the third auxiliary bracket (170).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수직하게 결합된 제4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a base plate 110 is vertically coupled to another base plate 1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클린 룸 구조(100)는, 제4 보조 브라켓(191) 및 제5 보조 브라켓(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6 ,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and a fifth auxiliary bracket 195 .

제4 보조 브라켓(191) 및 제5 보조 브라켓(195)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될 때,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and 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are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110A when the first base plate 110A is coup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ase plate 110C. It may be configured to couple 2 base plates 110C.

제4 보조 브라켓(191) 및 제5 보조 브라켓(195)은, 각각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and 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may each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4 보조 브라켓(191)은, 적어도 일 부분이 제2 베이스 부분(172)에 밀착되는 제4-1 보조 부분(1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1 보조 부분(192)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은 연결되되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may include a 4-1 auxiliary part 192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art 172 . The 4-1 auxiliary part 192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 192 may extend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ile being connected.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 중 어느 하나는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2 베이스 부분(172)에 면 대 면으로 접촉하며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고,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 중 나머지 하나는 제2 메인 브라켓(140C)의 제2 베이스 부분(172)에 면 대 면으로 접촉하며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Any one of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s 192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nd couple to the second base part 172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in a face-to-face manner, and a pair of fourth The other one of the -1 auxiliary parts 192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nd couple to the second base part 172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C face to face.

제4 보조 브라켓(191)은, 제4-1 보조 부분(192)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4-2 보조 부분(1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4-2 보조 부분(193)은,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4-2 보조 부분(193)은, 제5 보조 브라켓(195)의 제5-1 보조 부분(196)에 삽입될 수 있다.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may include a 4-2 auxiliary part 193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part of the 4-1 auxiliary part 192 . The 4-2 auxiliary parts 193 may be provided in pairs, each provided on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s 192 . The 4-2 auxiliary part 193 may be inserted into the 5-1 auxiliary part 196 of 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제5 보조 브라켓(195)은, 제4-2 보조 부분(193)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5-1 보조 부분(196)을 포함할 수 있다. 제5-1 보조 부분(196)은, 적어도 일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함몰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홈에 제4-2 보조 부분(19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5-1 보조 부분(196)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한 쌍의 제4-2 보조 부분(193)이 하나씩 삽입 고정될 수 있다.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may include a 5-1 auxiliary part 196 formed such that the 4-2 auxiliary part 193 is inserted and fixed. The 5-1 auxiliary part 196 may include a groove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recessed more than the other part, and the 4-2 auxiliary part 193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roove. The 5-1 auxiliary part 196 is provided as a pair, and each of the 4-2 auxiliary part 193 of the pair can be inserted and fixed one by one.

제5 보조 브라켓(195)은, 제5-1 보조 부분(196)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5-2 보조 부분(197)을 포함할 수 있다. 제5-2 보조 부분(197)은, 한 쌍의 제5-1 보조 부분(196)의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5-2 보조 부분(197) 중 어느 하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5-2 보조 부분(197)은, 각각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과 적어도 일 부분이 밀착될 수 있다.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may include a 5-2 auxiliary part 197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5-1 auxiliary part 196 . The 5-2 auxiliary parts 197 may be provided as a pair extending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5-1 auxiliary parts 196 . One of the pair of 5-2 auxiliary parts 197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other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ase plate 110C. In addition, at least one part of the pair of 5-2 auxiliary parts 197 and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s 19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5 보조 브라켓(195)은, 제5-2 보조 부분(197)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제5-2 보조 부분(197)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5-3 보조 부분(198)을 포함할 수 있다. 제5-3 보조 부분(198)은, 각각 한 쌍의 제5-2 보조 부분(197)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제5-2 보조 부분(197)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5-3 보조 부분(198)은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5-3 보조 부분(198)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 또는 연결될 수 있다.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extends from one end of the 5-2 auxiliary part 197 and includes a 5-3 auxiliary part 198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5-2 auxiliary part 197. can The 5-3 auxiliary parts 198 may be provided as a pair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air of 5-2 auxiliary parts 197, respectively, and a pair of 5-2 auxiliary parts 197 connected to each other. ) can be placed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5-3 auxiliary parts 198 may be disposed such that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one of the pair of 5-3 auxiliary parts 198 may be disposed or 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other one.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시킬 때, 작업자는 제4 보조 브라켓(191)을 제1 메인 브라켓(140A) 및 제2 메인 브라켓(140C)에 볼트(B)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를 어느 정도 수직한 배치 상태를 가지도록 위치시킨 후, 제4 보조 브라켓(191)에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4 보조 브라켓(191)은,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이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에 결합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2 베이스 부분(172)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의 제2 베이스 부분(172)이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 때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을 각각 볼트(B)를 통해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5 메인 부분(145) 및 제2 메인 브라켓(140C)의 제5 메인 부분(145)에 고정시킬 수 있다.When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C in a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or attaches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to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second main bracket 140C. It can be fixed through bolt (B). Specifically, after positioning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C to have a somewhat vertical arrangement state,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A are attached to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The base plate 110C may be coupled. At this time,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since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s 192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coupled to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s 192 The second base portion 172 of the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72 of the second base plate 110C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refore,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C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t this time,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s 192 are removed through bolts B, respectively. It can be fixed to the fifth main part 145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fifth main part 145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C.

또한, 한 쌍의 제4-2 보조 부분(193)이 각각 한 쌍의 제5-1 보조 부분(196)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제4 보조 브라켓(191)은 제5 보조 브라켓(19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ir of 4-2 auxiliary parts 193 ar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air of 5-1 auxiliary parts 196,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is attached to 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can be supported by

또한, 제4 보조 브라켓(191)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에 밀착되므로, 제4 보조 브라켓(191)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사이 또는 제4 보조 브라켓(191)과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 사이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adheres to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C,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and the first base plate 110A or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191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C.

또한, 제4 보조 브라켓(191)은 제5 보조 브라켓(195)에 고정되고, 제4-2 보조 부분(193)과 제5-1 보조 부분(196)이 결합되는 부분의 틈의 경로는 연속으로 복수 회 꺾이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틈의 경로를 통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is fixed to the fifth auxiliary bracket 195, and the path of the gap where the 4-2 auxiliary part 193 and the 5-1 auxiliary part 196 are coupled is continuous. Since it has a structure that is bent multiple time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rough the path of the gap.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제1 베이스 부분(111)(도 6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우측 제1 베이스 부분(11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의 제1 베이스 부분(111)(도 6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의 상측 제1 베이스 부분(111))이 형성하는 모퉁이(corner)는 씰링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미도시)는 리벳을 활용한 코킹(caulking)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러버(rubber)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퉁이에 형성된 틈이나 갭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씰링부(미도시)에 의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base part 111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right first base part 111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in FIG. 6)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A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2 The corner formed by the first base portion 111 of the base plate 110C (the upper first base portion 111 of the second base plate 110C in FIG. 6) has a sealing portion (not shown) can be placed. The sealing part (not shown) may be a caulking member using a rive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rubber member. Accordingly, a sealing unit (not shown) may fundamentally block external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rough the gap or gap formed at the corner.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수직하게 결합된 제4 연결 구조 및 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urth connection structure and a guide unit in which a base plate 110 is vertically coupled to another base plate 1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을 참조하면, 제4 보조 브라켓(191)은, 제4-3 보조 부분(1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3 보조 부분(194)은, 제4-1 보조 부분(192)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제4-2 보조 부분(193)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3 보조 부분(194)은, 한 쌍의 제4-1 보조 부분(192)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3 보조 부분(194)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메인 브라켓(140A)의 제4 메인 부분(144)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 메인 브라켓(140C)의 제4 메인 부분(144)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의 설치를 위해 배치를 정리할 때, 가이드부로 기능하는 제4-3 보조 부분(194)에 제1 메인 브라켓(140A) 및 제2 메인 브라켓(140C)의 각각의 제4-3 보조 부분(194)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C)의 설치를 위한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191 may further include a 4-3 auxiliary part 194 . The 4-3 auxiliary portion 194 protrudes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4-1 auxiliary portion 192 and may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4-2 auxiliary portion 193 . The 4-3 auxiliary parts 194 may be provided in pairs, each provided on the pair of 4-1 auxiliary parts 192 . At least one of the pair of 4-3 auxiliary parts 194 is in close contact with any one of the fourth main parts 144 of the first main bracket 140A, and the other one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C.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ny one of the 4 main parts 144 .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arranges the arrangement for installation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C, the first main bracket 140A is attached to the 4-3 auxiliary part 194 functioning as a guide. And by making each of the 4-3 auxiliary parts 194 of the second main bracket 140C come into close contac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lign the positions for installation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and the second base plate 110C. have.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시스템(100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린 룸 구조(100) 및 클린 룸 시스템(1000)의 먼지를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ean room system 1000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ischarging dust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and the clean room system 10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시스템(1000)은, 전술한 클린 룸 구조(100) 및 이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1, 11 and 12, the clean room system 1000 with improved airtightness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clean room structure 100 and its components.

클린 룸 구조(100) 또는 클린 룸 구조(100)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1000)은, 온도 센서(1030), 먼지 센서(1040),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유입팬(1050), 토출팬(1060)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 room structure 100 or the clean room system 1000 including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030, a dust sensor 1040, a processor 1010, a memory 1020, and an intake fan 1050. ), a discharge fan 1060, and a communication module.

온도 센서(1030)는, 클린 룸 구조(100)의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복수 개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온도 센서(1030)는,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030)로부터 측정된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의 온도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서(1010)로 제공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1030 may be provided on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The temperature sensor 1030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30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1010 .

먼지 센서(1040)는, 클린 룸 구조(100)의 복수 개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거나 복수 개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먼지 센서(1040)는,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의 먼지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먼지 센서(1040)로부터 측정된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의 먼지의 양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서(1010)로 제공될 수 있다.The dust sensor 104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ase plates 110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or may be provided on a plurality of each. The dust sensor 1040 may measure the amount of dust in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dust in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easured by the dust sensor 1040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 1010 .

유입팬(105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팬(106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에 마련되고, 유입팬(1050)과 이격될 수 있다.The inlet fan 105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A or the second base plate 110B. The discharge fan 106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110A or the second base plate 110B and spaced apart from the inflow fan 1050 .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이격된 한 쌍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 110D) 중 어느 하나(110D)에 유입팬(1050)이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110A)에 토출팬(1060)이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inlet fan 1050 is provided on one of the pair of first base plates 110A and 110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one 110A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fan ( 106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유입팬(1050)은, 제1 유입부(1052) 및 제1 토출부(1053)가 형성된 제1 하우징(1051), 제1 하우징(1051)의 내부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제1 팬(1054), 제1 유입부(1052)에 배치된 제1-1 메쉬 부재(1052a), 제1 토출부(1053)에 배치된 제1-2 메쉬 부재(1053a) 및 제1 토출부(1053)를 개폐하는 제1 도어(10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let fan 1050 includes a first housing 1051 in which a first inlet 1052 and a first outlet 1053 are formed, and a first fan operated by an actuator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1051. 1054, the 1-1 mesh member 1052a disposed in the first inlet 1052, the 1-2 mesh member 1053a disposed in the first discharge unit 1053, and the first discharge unit 1053 ) may include a first door 1055 that opens and closes.

제1 하우징(1051)은, 제1 유입부(1052) 및 제1 토출부(1053)가 연결되는 통형의 하우징일 수 있고, 제1 하우징(1051)의 내부에는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제1 팬(105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51)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10A)의 적어도 일 부분에 관통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1051 may be a tubular housing to which the first inlet 1052 and the first outlet 1053 are connected, and inside the first housing 1051 is operated by an actuator such as a motor. A first fan 1054 may be disposed. The first housing 1051 may be disposed through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base plate 110A.

제1-1 메쉬 부재(1052a)는, 제1 유입부(1052)에 설치되고, 지정된 직경 또는 크기의 홀들이 다수 형성된 메쉬 부재일 수 있다. 제1-2 메쉬 부재(1053a)는, 제1 토출부(1053)에 설치되고, 지정된 직경 또는 크기의 홀들이 다수 형성된 메쉬 부재일 수 있다.The 1-1st mesh member 1052a may be a mesh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inlet 1052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specified diameter or size. The 1-2 mesh member 1053a may be a mesh member installed in the first discharge unit 1053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designated diameter or size.

제1 도어(1055)는, 제1 토출부(1053)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제1 토출부(1053)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토출부(1053)가 제1 도어(1055)에 의해 개방된 경우, 클린 룸 구조(100)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 사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토출부(1053)가 제1 도어(1055)에 의해 폐쇄된 경우 상기 유통될 수 있는 통로가 폐쇄될 수 있다.The first door 1055 may open the first discharge part 1053 or close the first discharge part 1053 . Accordingly, when the first discharge unit 1053 is opened by the first door 1055,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be circul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external spac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hen the first discharge part 1053 is closed by the first door 1055,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liquid can be circulated may be closed.

토출팬(1060)은, 제2 유입부(1062) 및 제2 토출부(1063)가 형성된 제2 하우징(1061), 제2 하우징(1061)의 내부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제2 팬(1064), 제2 유입부(1062)에 배치된 제2-1 메쉬 부재(1062a), 제2 토출부(1063)에 배치된 제2-2 메쉬 부재(1063a) 및 제2 유입부(1062)를 개폐하는 제2 도어(10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fan 1060 includes a second housing 1061 in which a second inlet 1062 and a second discharge unit 1063 are formed, and a second fan operated by an actuator disposed inside the second housing 1061. 1064, the 2-1 mesh member 1062a disposed in the second inlet 1062, the 2-2 mesh member 1063a disposed in the second outlet 1063, and the second inlet 1062 ) may include a second door 1065 that opens and closes.

제2 하우징(1061)은, 제2 유입부(1062) 및 제2 토출부(1063)가 연결되는 통형의 하우징일 수 있고, 제2 하우징(1061)의 내부에는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제2 팬(106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061)은, 제2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적어도 일 부분에 관통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061 may be a tubular housing to which the second inlet 1062 and the second outlet 1063 are connected, and inside the second housing 1061 is operated by an actuator such as a motor. A second fan 1064 may be disposed. The second housing 1061 may be disposed through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110B.

제2-1 메쉬 부재(1062a)는, 제2 유입부(1062)에 설치되고, 지정된 직경 또는 크기의 홀들이 다수 형성된 메쉬 부재일 수 있다. 제2-2 메쉬 부재(1063a)는, 제2 토출부(1063)에 설치되고, 지정된 직경 또는 크기의 홀들이 다수 형성된 메쉬 부재일 수 있다.The 2-1st mesh member 1062a may be a mesh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inlet 1062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specified diameter or size. The 2-2 mesh member 1063a may be a mesh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discharge unit 1063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specified diameter or size.

제2 도어(1065)는, 제2 유입부(1062)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제2 유입부(1062)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입부(1062)가 제2 도어(1065)에 의해 개방된 경우, 클린 룸 구조(100)의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 사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유입부(1062)가 제2 도어(1065)에 의해 폐쇄된 경우 상기 유통될 수 있는 통로가 폐쇄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1065 may open the second inlet 1062 or close the second inlet 1062 . Accordingly, when the second inlet 1062 is opened by the second door 1065,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be circula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external space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hen the second inlet 1062 is closed by the second door 1065,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flow can be circulated may be closed.

유입팬(1050)은, 바닥 영역(130)을 기준으로 토출팬(1060)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팬(1054) 및 제2 팬(1064)을 일 방향으로 동작시킬 때,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W)은 상부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팬(1054) 및 제2 팬(1064)을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은 하부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The intake fan 1050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discharge fan 1060 with respect to the floor area 130 . Accordingly, when the first fan 1054 and the second fan 1064 are operated in one direction, the air flow W in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may be formed to face downward from the top. have. Meanwhile, when the first fan 1054 and the second fan 1064 ar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the air flow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is direc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can form.

프로세서(1010)는, 온도 센서(1030)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온도에 대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먼지 센서(1040)로부터 감지된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먼지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유입팬(1050) 및 토출팬(106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1010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030 and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detected by the dust sensor 1040.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let fan 1050 and the discharge fan 1060.

예를 들어, 프로세서(1010)는,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온도인 온도 정보가 메모리(102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때 또는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먼지 양에 해당되는 내부 먼지 양에 대한 정보가 메모리(102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양보다 많을 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제1 도어(1055) 및 제2 도어(1065)가 각각 제1 토출부(1053) 및 제2 유입부(1062)를 개방시키도록 제1 도어(1055) 및 제2 도어(1065)를 개방하고, 제1 팬(1054) 및 제2 팬(1064)을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W)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010, whe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which i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stored in the memory 1020 or the internal dus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dust amount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When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ust is greater than the preset amount stored in the memory 1020, at least one of the cases, the first door 1055 and the second door 1065 discharge the first discharge unit 1053 and the second door 1065, respectively. The first door 1055 and the second door 1065 are opened to open the inlet 1062, and the first fan 1054 and the second fan 1064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to clean the room. An air flow (W) may be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tructure 100 .

프로세서(1010)는, 공기의 흐름(W)이 형성된 뒤, 내부 먼지 양 또는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값들보다 낮아진 경우, 제1 도어(1055) 및 제2 도어(1065)가 각각 제1 토출부(1053) 및 제2 유입부(1062)를 폐쇄시키도록 제1 도어(1055) 및 제2 도어(1065)를 폐쇄하고, 제1 팬(1054) 및 제2 팬(1064)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1010, after the air flow (W) is formed, when the amount of internal dust o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lower than preset values, the first door 1055 and the second door 1065, respectively, the first discharge unit ( 1053) and the second inlet 1062 may be closed to close the first door 1055 and the second door 1065,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fan 1054 and the second fan 1064 may be stopped. have.

이에 따라, 내부 공간의 온도나 먼지의 양은 클린 룸 구조(100)의 외부 공기를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통시킴으로써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or the amount of dust can be properly adjusted by circulating the outside air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

한편, 제1-1 메쉬 부재(1052a), 제1-2 메쉬 부재(1053a), 제2-1 메쉬 부재(1062a) 및 제2-2 메쉬 부재(1063a)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기공의 크기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통되는 먼지의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어텍스 부재를 공기가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쪽에 메쉬 부재에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먼지가 클린 룸 구조(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통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공기가 토출되는 쪽의 메쉬 부재는 어느 정도 메쉬 부재들의 직경을 확보함으로써 먼지가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1-1 mesh member 1052a, the 1-2 mesh member 1053a, the 2-1 mesh member 1062a, and the 2-2 mesh member 1063a have pores according to the designer's design. By properly designing the size, the size of the dust circulat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can be limited.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Gore-Tex member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mesh member on the side where air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thereby fundamentally blocking dust from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In addition, the mesh member on the side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may be designed to allow dust to be discharged by securing the diameter of the mesh members to some extent.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린 룸 구조(100) 및 클린 룸 구조(100)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1000)은,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먼지의 양이 많거나 내부 온도가 높은 상황일 때, 프로세서(101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또는 운영자의 사용자 디바이스(예: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로 해당 정보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운영자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유입팬(1050) 및 토출팬(106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and the clean room system 1000 including the clean room structure 100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dust as described above is large. or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high, the processor 1010 may transmit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user device (eg, computer or smart phone) of a user or operator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ly, the user or operator may direc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take fan 1050 and the discharge fan 1060 through the user de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 클린 룸 구조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천정 영역
130: 바닥 영역
140: 메인 브라켓
150: 제1 보조 브라켓
160: 제2 보조 브라켓
170: 제3 보조 브라켓
191: 제4 보조 브라켓
195: 제5 보조 브라켓
1000: 클린 룸 시스템
100: clean room structure
110: base plate
120: ceiling area
130: floor area
140: main bracket
150: first auxiliary bracket
160: second auxiliary bracket
170: third auxiliary bracket
191: fourth auxiliary bracket
195: fifth auxiliary bracket
1000: clean room system

Claims (10)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상기 적어도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메인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천정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바닥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3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브라켓 및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은, 각각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배치된 제1 메인 부분;
상기 제1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2 메인 부분;
상기 제2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3 메인 부분;
상기 제3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메인 부분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메인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4 메인 부분;
상기 제4 메인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4 메인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 및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과 이격된 제5 메인 부분; 및
상기 제5 메인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메인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에 연결된 제6 메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각각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
상기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의 단부에서 각각 서로를 향해 연장되고,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밀착되는 제2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제1 베이스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페이퍼 허니콤;을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In the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t least one first base plate forming at least one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least one second base plate formed on a 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 first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ceiling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thir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The first main bracket and the second main bracket, respectively
a first main part disposed inside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 second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main portion and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irst main portion;
a third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main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econd main portion,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main portion;
a fourth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third main portion toward the first main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third main portion, and parallel to the second main portion;
A fifth mai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ourth main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fourth main portion,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ain portion and the third main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in portion. part; and
A sixth main portion extending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fth main portion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main portion; and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bas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econd base parts extending toward each other from ends of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at least one part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rd main part; and
and a paper honeycomb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ase par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천정 영역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제1-1 보조 부분; 및
상기 제1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베이스 부분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1-2 보조 부분;을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uxiliary bracket,
a 1-1 auxiliary part having at least one part fixed to the ceiling region through bolts; and
A clean room structure comprising: a first-second auxiliary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part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ide of the first base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바닥 영역에 고정되는 제2-1 보조 부분;
상기 제2-1 보조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된 제2-2 보조 부분; 및
상기 제2-2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2 보조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2 보조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3 부분;을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a 2-1 auxiliary part having at least one part fixed to the floor area;
a 2-2 auxiliary portion extending to protrude from at least one portion of the 2-1 auxiliary portion; and
A 2-3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2-2 auxiliary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2-2 auxiliary portion, and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2-2 auxiliary portion; clean room structure including a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5 메인 부분에 밀착되는 제3-1 보조 부분; 및
상기 제3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1 보조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4 메인 부분에 밀착되는 제3-2 보조 부분;을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auxiliary bracket,
a 3-1 auxiliary part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ifth main part; and
A 3-2 auxiliary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third auxiliary part,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3-1 auxiliary part, and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fourth main part; Clean room structure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와 수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4 보조 브라켓 및 제5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보조 브라켓은,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제2 베이스 부분에 밀착되는 제4-1 보조 부분; 및
상기 제4-1 보조 부분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 돌출된 제4-2 보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5 보조 브라켓은,
상기 제4-2 보조 부분이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제5-1 보조 부분;
상기 제5-1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5-2 보조 부분; 및
상기 제5-2 보조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5-2 보조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된 제5-3 보조 부분;을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urth auxiliary bracket and a fifth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base plate,
The fourth auxiliary bracket,
a 4-1 auxiliary part having at least on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part; and
And a 4-2 auxiliary part protruding into at least one part of the 4-1 auxiliary part,
The fifth auxiliary bracket,
a 5-1 auxiliary part formed to insert and fix the 4-2 auxiliary part;
a 5-2 auxiliary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5-1 auxiliary portion; and
A 5-3 auxiliary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5-2 auxiliary part and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5-2 auxiliary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메인 브라켓의 상기 제3 메인 부분과 상기 제2 메인 브라켓의 상기 제3 메인 부분 사이에 배치된 제1 씰링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베이스 부분과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베이스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씰링부보다 상기 제3 보조 브라켓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제2 씰링부;를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ea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third main part of the first main bracket and the third main part of the second main bracket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 and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or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base plate A clean room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sealing part disposed farther from the third auxiliary bracket than the sealing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브라켓과 인접 배치된 제3 씰링부;를 더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 room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third sea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floor area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auxiliary bracket.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상기 적어도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메인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천정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바닥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3 보조 브라켓;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및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먼지 센서;를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In the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airtightness,
at least one first base plate forming at least one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least one second base plate formed on a 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 first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ceiling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thir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nd a dust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에 대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먼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클린 룸 구조.
According to claim 8,
A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temperatu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dust sensor; rescue.
기밀성이 향상된 클린 룸 구조를 포함하는 클린 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측면 중 상기 적어도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을 형성하고,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메인 브라켓;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메인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천정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바닥 영역을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가 일 직선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제3 보조 브라켓;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온도 센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먼지 센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유입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팬과 이격된 토출팬;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에 대한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먼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유입팬 및 상기 토출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때 또는 상기 클린 룸 구조의 내부 먼지 양이 기 설정된 양보다 많을 때, 상기 유입팬 및 상기 토출팬을 동작시키도록 설정된 클린 룸 시스템.
In the clean room system including a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t least one first base plate forming at least one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t least one second base plate formed on a sid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t least one portion and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 first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first base plate;
a second main bracket disposed on each edge of the second base plate;
a first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ceiling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secon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bottom area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nd
a third auxiliary bracket coupling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re coupled in a straight line;
a temperatur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a dust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n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an inlet fan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 discharge fan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or the second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let fan; and
rece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sensed by the dust sensor,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the processor,
The clean room system configured to operate the intake fan and the discharge fan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lean room structure is higher than a preset temperature or when the amount of dust inside the clean room structure is higher than the preset amount.
KR1020220148569A 2022-05-24 2022-11-09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2015677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3170 2022-05-24
KR1020220063170 2022-05-24
KR1020220063931 2022-05-25
KR20220063931 2022-05-25
KR1020220064619A KR102466865B1 (en) 2022-05-24 2022-05-26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19A Division KR102466865B1 (en) 2022-05-24 2022-05-26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776A true KR20220156776A (en) 2022-11-28

Family

ID=8404315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19A KR102466865B1 (en) 2022-05-24 2022-05-26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220148569A KR20220156776A (en) 2022-05-24 2022-11-09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220148572A KR20220156777A (en) 2022-05-24 2022-11-09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220148574A KR20220156778A (en) 2022-05-24 2022-11-09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19A KR102466865B1 (en) 2022-05-24 2022-05-26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572A KR20220156777A (en) 2022-05-24 2022-11-09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220148574A KR20220156778A (en) 2022-05-24 2022-11-09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6686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682B1 (en) 2017-02-22 2018-08-30 엄종호 Frame fixing device for cleanroom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246A (en) * 1988-11-16 1991-11-05 Sykes Christopher C Partition structures and frame elements therefor
KR102228435B1 (en) * 2019-05-08 2021-03-15 윤홍익 System to prevent ventilation of building and inflow of fine dust
KR102209120B1 (en) * 2020-01-06 2021-01-27 구본출 Antimicrobial steel core panel structure
JP6802548B1 (en) * 2020-02-10 2020-12-16 Ftb研究所株式会社 Airflow control device, airflow control method and airflow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682B1 (en) 2017-02-22 2018-08-30 엄종호 Frame fixing device for cleanroom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865B1 (en) 2022-11-14
KR20220156778A (en) 2022-11-28
KR20220156777A (en) 202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3248B2 (en) Filter unit panel
CN107249908B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vehicle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0573777B (en) Ventilation unit
EP3132734B1 (en) Dust suction apparatus
KR20120002988A (en) Ventilation filter and electric device using same
KR102466865B1 (en) Clean room structure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and clean room system including the same
US9763553B2 (en) Door assembly for a dishwasher
US11811081B2 (en) Ventilation unit
KR20190044515A (en) Noise attenuation from waffle pattern and tongue and groove coupling for front of dash
JP3774784B2 (en) Clean room filter replacement auxiliary device
JP2009174828A (en) Booth for temperature control
KR101248932B1 (en) A base apparatus for fixing pannel
KR10258213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216128B1 (en) Pipe fixing member of evaporator for automotive vehicles
JP6844033B2 (en) Blower duct connector and air-cooled refrigerator
US10139121B2 (en) Air conditioner
WO2019198276A1 (en) Manifold for body support device and body support device
KR20100027305A (en) Air conditioner
JP5176203B2 (en) Clean room panel connection structure
US20190358109A1 (en) Suction Apparatus
KR200497465Y1 (en) Modular Type Board of Preventing Water Splashing for Sink
JP2007271140A (en) Air-conditioner
KR101595803B1 (en) Air conditioner case having a connection device, and this corner of the air conditioner case
AU2019300188B2 (en) Particle receiving device,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ssembly
KR102514771B1 (en) Modular micro-fluidic chip and micro-fluidic flow system hav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