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982A -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 Google Patents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982A
KR20220154982A KR1020210062645A KR20210062645A KR20220154982A KR 20220154982 A KR20220154982 A KR 20220154982A KR 1020210062645 A KR1020210062645 A KR 1020210062645A KR 20210062645 A KR20210062645 A KR 20210062645A KR 20220154982 A KR20220154982 A KR 20220154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oor
auxiliary door
drive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자룡
Original Assignee
조자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자룡 filed Critical 조자룡
Priority to KR102021006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982A/ko
Publication of KR20220154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시 물건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실내외에 각각 위치되는 사람간의 비접촉 및 비대면상태에서 물건을 안정적으로 교환하도록;
현관에 구비된 보조공에 시설되어 상기 보조공을 개폐하도록 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의 내부에서 실내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가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가동보조문과; 상기 보조공의 내부에서 실외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종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종동보조문과; 상기 가동보조문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종동보조문을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어 상기 가동보조문과 상기 종동보조문이 서로 펼침운동 및 접힘운동시키도록 된 운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관용 보조도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현관용 보조도어장치{Auxiliary door device for entrance}
본 발명은, 현관에 구비되어 외부인과의 공간적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물건을 교환하도록 되어 보건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방시 물건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실내외에 각각 위치되는 사람간의 비접촉 및 비대면상태에서 물건을 안정적으로 교환하도록 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에서 실내외의 공간이 구획되는 현관에는, 실내에서 외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보조문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현관(Front door)은, 서양식 건물의 주된 출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문간을 말하는 것으로, 동양식 건물이나 일반 주택와 같이 마당과 건물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당으로 들어오게 되는 첫 번째 문을 지칭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은 건물에서는 외부의 장소와 내부의 독립 공간을 구별하게 되는 출입문으로서 사용된다.
한편,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사용되는 현관은 이중 철재로 제작되어 일 부위에 외부를 식별할 수 있는 렌즈가 장착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하측 부위에 우유투입구가 형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현관을 사용하는 경우, 초인종이 눌러지는 등으로 외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경우 무작정 문을 열게 되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렌즈를 통해서 외부를 확인하거나 아니면 CCTV가 장착된 외부 확인 장치를 통해 외부에 어떠한 사람이 방문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근자에는, 음식배달 내지 수금, 경비실 방문객 처리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현관을 열어야 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점을 이용한 강도 범죄가 번번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렇다고 문을 열어주지 않고 음식 등을 받거나 계산을 할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이 마련되지 않아 위험을 안고 현관을 열어주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현관을 열게 되어 집의 내부 공간이 약간이라도 외부 방문자에게 노출이 될 경우 예측하지 않은 범죄 심리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특히 여성이나 어린 아이들만 집 안에 있을 경우에는 이러한 위험성이 생각보다 훨씬 크게 다가올 수가 있다.
따라서, 굳이 현관을 열지 않고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음식 등의 배달 및 결제와 같은 일상적인 업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식별 반경을 훨씬 넓게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가진 현관을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00394호(명칭: 현관용 외부 식별 문/2006.01.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현관문의 일부위에 형성된 스페이스; 상기 스페이스 내에서 상기 스페이스를 개폐 가능하도록 이동성이 보장된 상태로 장착된 보조문; 상기 보조문의 일 측에 형성된 손잡이; 상기 보조문과 이에 대응되는 현관문의 일 부위에 형성된 잠금수단;으로 구성된 외부 식별문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34077호(명칭: 현관문용 안전보조문/2003.10.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현관문용 안전보조문에 있어서, 현관문 내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단면이 골 형상을 가진 작은 보조문1과; 이것과 힌지로 연결되며 면 전체에 통풍을 위한 구멍을, 시각적 효과를 고려한 아름다운 문양 또는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숫자, 글자 ,그림 형상으로 따낸 큰 보조문2와 ,현관문과 보조문1 및 보조문2를 연결하는 보조문경첩과,사용하지 않을 때 보조문을 현관문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자석1과 고정용자석2, 보조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잠금고리 걸쇠와 잠금고리 및 보조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 방지장치로 이루어진 안전 보조문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15347호(명칭: 보조문 겸용 현관문/2000.05.2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현관문에 있어서, 중앙상단부에 구멍을 뚫은 후, ㄷ자형 홈레일을 현관문 철판넬 양쪽에 부착하고 보조문을 삽입하여 전력을 이용하여 열고 닫는 현관문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7-012092호(명칭: 범죄예방을 위한 보조문이 장치된 현관문/1997.05.2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현관문 하측으로,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지는 물건이 투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통공을 형성시키고 그 통공의 실내측 상부에 걸쇠를 부착한 후, 그 통공에 알맞은 보조문을 부착하되, 상기 보조문은 하부에 중공관을 고정하고 그 내부로 축봉을 삽입하며 축봉 양단은 현관문에 고정된 축봉고정쇠에 끼워져 스냅링으로 조립 하므로서 보조문은 상하로 회동 되며, 상부에 잠금쇠를 부착하여 현관문의 걸쇠와 한 쌍의 로커가 되게 한 다음 보조문의 내측으로 손잡이를 부착하여, 잠금쇠를 풀고 손잡이를 당기면 하측의 축봉를 중심으로 보조문이 상부로부터 열리게 구성된 현관문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00394호(2006.01.06.)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34077호2003.10.3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15347호(2000.05.2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7-012092호(1997.05.2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관 또는 보조문들은, 현관이 폐쇄된 상태에서 물건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 물건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불편함은 물론, 현관을 중심으로 실내외에 각각 위치된 사람들간에 물건을 직접적으로 교환해야하는 접촉 및 대면상태에서 물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됨으로써, 보건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에 구비되어 외부인과의 공간적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물건을 교환하도록 되어 보건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개방시 물건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실내외에 각각 위치되는 사람간의 비접촉 및 비대면상태에서 물건을 안정적으로 교환하도록 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디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 부단으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되어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는, 현관에 구비된 보조공에 시설되어 상기 보조공을 개폐하도록 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의 내부에서 실내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가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가동보조문과; 상기 보조공의 내부에서 실외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종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종동보조문과; 상기 가동보조문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종동보조문을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어 상기 가동보조문과 상기 종동보조문이 서로 펼침운동 및 접힘운동시키도록 된 운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는, 현관을 통해 실내외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동보조문을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시켜 보조공의 내부에서 펼침회전시키면 운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가동보조문의 회전력을 역회전방향으로 종동보조문으로 전달하여 역회전시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펼침회전시켜 보조공을 개방하게 되며, 이때, 가동보조문과 종동보조문의 표면을 통해 교환하고자 하는 물건을 안치하여 실내외에 각각 위치되는 사람간의 비접촉 및 비대면상태에서 물건을 안정적으로 교환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때, 외부인과의 공간적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물건을 교환하도록 되어 보건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 부단으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되어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1)는, 건물에서 실내외를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현관(100)에 구비된 보조공(101)에 시설되어 상기 보조공(101)을 개폐하여 외부인과의 공간적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물건을 교환하도록 됨으로써, 보건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상기 보조공(101)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물건을 교환하는 교환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공(101)은, 상기 현관(100)에서 중앙부위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1)는, 상기 보조공(101)의 내부에서 실내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가동축(21)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101)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가동보조문(2)과; 상기 보조공(101)의 내부에서 실외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종동축(31)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101)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종동보조문(3)과; 상기 가동보조문(2)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종동보조문(3)을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어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이 서로 펼침운동 및 접힘운동시키도록 된 운동력전달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현관(100)을 통해 실내외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보조문(2)을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시켜 상기 보조공(101)의 내부에서 펼침회전시키면 상기 운동력전달수단(4)을 통해 가동보조문(2)의 회전력을 역회전방향으로 종동보조문(3)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동보조문(3)이 상기 가동보조문(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역회전하면서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이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각각 펼침회전하면서 상기 보조공(101)을 개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의 표면을 통해 교환하고자 하는 물건을 안치하여 실내외에 각각 위치되는 사람간의 비접촉 및 비대면상태에서 물건을 안정적으로 교환하게 된다.
이때, 실외에 위치하는 사람이 물건을 상기 종동보조문(3)의 표면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실내에 위치된 사람이 상기 종동보조문(3)의 표면에 안치된 물건을 상기 가동보조문(2)측 방향으로 운반하면서 실내로 빼내면 물건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인과의 공간적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물건을 교환하도록 되어 보건위생성 및 안전성을 확보된다.
상기에서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은, '판(板;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상기 보조공(101)의 내측두께에 대하여 1/2 이하로 이루어져 서로 겹침상태일 때, 상기 보조공(10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동보조문(2)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손잡이(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가동보조문(2)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된 고리 또는 요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들의 각각의 측단부에는, 서로 절첩되게 일단이 절첩축(51)으로 축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편(52)들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5)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편(52)들의 각각의 타단들은, 상기 보조공(101)의 내측면과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들의 각각의 측단부에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시설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이 펼침운동될 때, 상기 지지편(52)들이 각각 펼쳐지면서 상기 보조공(101)의 내측면에 대하여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을 각각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이 펼침된 상태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이 접힘운동될 때에는, 상기 지지편(52)들이 각각 졉혀지면서 상기 보조공(101)과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1)에서, 상기 운동력전달수단(4)은, 상기 가동축(21)과 상기 종동축(31)에 각각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서로 맞물림되면서 기어결합되며 평기어로 형성되는 가동기어(41) 및 종동기어(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동보조문(2)의 회전운동시 상기 가동축(21)이 회전하면서 상기 가동기어(41)가 회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가동기어(41)와 맞물림되면서 기어결합된 상기 종동기어(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종동축(31) 및 상기 종동보조문(3)이 상기 가동보조문(2)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보조문(2)과 상기 종동보조문(3)이 서로 접힘운동 및 펼침운동하면서 상기 보조공(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1)는, 상기 보조공(101)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현관(100)에 대하여 상기 가동보조문(2)을 선택적으로 잠금하도록 된 잠금수단(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잠금수단(6)을 통해 상기 가동보조문(2)을 상기 현관(100)에 선택적으로 잠금해제하도록 되어, 외부에서 부단으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됨에 따라,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잠금수단(6)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선택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1)에서, 상기 종동보조문(3)은, 상기 보조공(101)의 내측에서 접힘상태를 형성할 때, 외측방향의 테두리부위가 상기 보조공(10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됨은 물론, 상기 보조공(101)의 내측면과 상기 종동보조문(3)의 테두리부위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실외에서 상기 종동보조문(3)을 무단으로 취부하지 못하도록 되어, 실외에서 무단으로 상기 보조공(101)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전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100 : 현관 101 : 보조공
200 : 손잡이
2 : 가동보조문 21 : 가동축
3 : 종동보조문 31 : 종동축
4 : 운동력전달수단 41 : 가동기어
42 : 종동기어 5 : 지지부재
51 : 절첩축 52 : 지지편
6 : 잠금수단

Claims (1)

  1. 현관에 구비된 보조공에 시설되어 상기 보조공을 개폐하도록 된 현관용 보조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공의 내부에서 실내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가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가동보조문과;
    상기 보조공의 내부에서 실외측방향에 배치되고 하부양단이 공회전가능하게 종동축을 통해 축결합되며 상기 보조공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된 맞춤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종동보조문과;
    상기 가동보조문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종동보조문을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어 상기 가동보조문과 상기 종동보조문이 서로 펼침운동 및 접힘운동시키도록 된 운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KR1020210062645A 2021-05-14 2021-05-14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KR20220154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45A KR20220154982A (ko) 2021-05-14 2021-05-14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645A KR20220154982A (ko) 2021-05-14 2021-05-14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82A true KR20220154982A (ko) 2022-11-22

Family

ID=8423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45A KR20220154982A (ko) 2021-05-14 2021-05-14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98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092U (ko) 1995-09-12 1997-04-25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KR20000015347U (ko) 1998-12-31 2000-07-25 추호석 공작기계의 전원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092U (ko) 1995-09-12 1997-04-25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KR20000015347U (ko) 1998-12-31 2000-07-25 추호석 공작기계의 전원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16228A (ja) 防犯用ドアー装置
KR20220154982A (ko) 현관용 보조도어장치
US6588655B2 (en) Non-contact food pass
KR20100072815A (ko) 방범 출입문
KR20070103643A (ko) 방범 출입문
CN209145454U (zh) 一种铝合金双扇门
KR100873402B1 (ko) 양방향 푸시풀 도어락 바디
KR200337278Y1 (ko) 방범 안전 현관문
CN209145460U (zh) 一种单个执手控制开启的铝合金双扇门
US10612283B2 (en) Portable door lock
CN205840630U (zh) 一种断桥双外开窗纱
KR100782371B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RU2244793C2 (ru) Открываемый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типа двери
TWI435974B (zh) 雙門用鎖固裝置
CN209145434U (zh) 一种适用于铝合金双扇门的五金系统
CN216788165U (zh) 一种适老门
CN209413580U (zh) 一种单个执手控制铝合金双扇门开启的五金系统
KR200387010Y1 (ko) 이단 개폐식 출입문 구조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KR101430337B1 (ko) 현관문 방범 패널
CN102787769A (zh) 两面锁扣
JPH0145333Y2 (ko)
KR100499694B1 (ko) 방범 출입문
JPH074768U (ja) 防犯応接扉
US1082427A (en) Key-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