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453A - Functional pillow - Google Patents

Functional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453A
KR20220154453A KR1020210062020A KR20210062020A KR20220154453A KR 20220154453 A KR20220154453 A KR 20220154453A KR 1020210062020 A KR1020210062020 A KR 1020210062020A KR 20210062020 A KR20210062020 A KR 20210062020A KR 20220154453 A KR20220154453 A KR 2022015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ir
head
cervical spine
laryng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지훈
Original Assignee
유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훈 filed Critical 유지훈
Priority to KR102021006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4453A/en
Publication of KR2022015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4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which is resistant to moisture, has a built-in material made of an air pipe which does not rot, has adjustable height, and softly protects a neck by a rear surface uni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unting unit for a back of a head made of a material with a predetermined shape and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nabling a back of a head of a user to b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when the user lies at a normal posture; a pair of core units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for a back of a head, having a space where arms can be inserted into lower portions of both ends thereof, and supporting a face of the user on an upper surface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while the back of the head of the user is mounted in the mounting unit for a back of a head; a cervical spine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for a back of a head and tiltedly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unit for a back of a head to support a cervical spine; and a pair of wing units connected to the pair of core units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unit, curved in a tilted upward direction, and having a space, where a shoulder can be inserted, formed in a lower portion thereof.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Functional pillow {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습기에 강하며, 썩지 않는 에어파이프로 된 내장 소재를 전면부에 구비하고, 베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후면부에는 부드럽게 목 보호가 가능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that is resistant to moisture, has an interior material made of an air pipe that does not rot, on the front side, the height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and the back side can gently protect the neck.

일반적으로, 누워서 잠을 자거나 쉴 때 사용하는 베개는 다양한 재질의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의 외부를 감싸도 록 구성된 외피로 구성되며, 상기 쿠션재와 외피는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형태와 재질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 pillow used to lie down to sleep or rest is composed of cushion materials of various materials and an outer shell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ushion material, and the cushion material and the outer shell ar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d use the appropriate shape and material.

그런데, 이러한 베개는 단순히 베개에 다양한 효과를 갖는 첨가제 등을 추가하여, 첨가제에 의한 부가적인 효능을 얻도록 구성됨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매우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se pillows are configured to obtain additional effects by additives by simply adding additives having various effects to the pil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re very limit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capable of solving these problems.

전면부에 에어파이프를 속재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메밀 베개에 대응하는 장점과 동시에 습기에 취약하던 기존 기능성 베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면부에 메모리폼을 삽입하여 수면 시에 베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후면부에 라텍스 스크럽을 삽입하여 부드럽게 목 보호가 가능하고, 가장자리에 3면 지퍼를 설치하여 부속물 교체 시에 발생하는 지퍼의 이탈 문제를 해결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By using an air pipe as an inner material in the front part, it has the advantage of responding to the existing buckwheat pillow and at the same time solves the problem of existing functional pillows that were vulnerable to moisture.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can gently protect the neck by inserting a latex scrub on the back, and solves the problem of zipper separation that occurs when replacing accessories by installing a three-sided zipper on the edge.

일정한 형상과 두께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정상 자세로 누웠을 때,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상면에 안착시키는 후두 안착부;a laryngeal seating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hape and thickness and seating the occipital region of the user on an upper surface when the user lies down in a normal posture;

상기 후두 안착부와 연결되며, 그 양단 하부에 팔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후두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면으로 누웠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상면에 지지하는 한 쌍의 코어부;It is connected to the laryngeal seating part, and a space into which arms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bottom of both ends thereof, and the user's fac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when the user's occiput is lying on its side while seated on the laryngeal seating part. A pair of core parts to do;

상기 후두 안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후두 안착부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경추를 받치는 경추 받침부; 및 a cervical spine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and protruding obliquely from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nd

상기 한 쌍의 코어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경사진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어깨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It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air of core parts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is formed by being curved in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wing parts having a space in which a shoulder can be inserted at the lower part. ,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웠을 때, 상기 사용자의 목과 어깨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The pair of wings a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inserted between the user's neck and shoulder to support the user's neck when the user lies on the side,

상기 후두 안착부의 내면에는 메모리폼을 삽입하여 상기 사용자의 목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user's neck is adjusted by inserting a memory foam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laryngeal seat,

상기 한 쌍의 날개부에는 에어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마사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for massaging the back of the user by inserting an air pipe into the pair of wings.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전면부 외피와 쿠션재 사이에 에어파이프를 삽입하여, 기존의 메밀 베개의 기능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습기에 취약하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being vulnerable to moisture while having the function of a conventional buckwheat pillow by inserting an air pipe between the front shell and the cushioning material.

또한 전면부 쿠션재로 메모리폼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수면 시에 수면 환경이나 신체 조건에 맞게 베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memory foam as a front cushion material,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sleeping environment or physical condition during sleep.

또한 후면부 쿠션재로 라텍스 스크럽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목을 부드럽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neck can be gently protected by inserting a latex scrub as a cushion material on the rea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may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가 베갯잎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a pillow leaf, and FIGS. 9 to 11 are a front view showing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xample.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후두 안착부(10), 한 쌍의 코어부(20), 경추 받침부(30) 및, 한 쌍의 날개부(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8,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yngeal seating portion 10, a pair of core portions 20, a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30, and a pair of wing portions 40 ).

상기 후두 안착부(10)는 일정한 형상과 두께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두 안착부(10)는,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 원형과 사각형의 복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arynx seating part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hape and thickness, and is configured to seat the user's larynx on the upper surface. The laryngeal seating part 10 may be formed in,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o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or a combination of a circular and rectangular shape in some cases.

상기 후두 안착부(10)의 양측에는 코어부(20)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경추 받침부(30)가 형성된다. 이때, 후두안착부(10)는 대략 코어부(20) 전체 높이의 중간 정도의 높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part 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aryngeal seating part 10,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3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aryngeal seating part 10 is formed at a height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re part 20 .

한편, 후두 안착부(10)에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의한 하중 압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 분산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분산부(13)는 경추 받침부와 인접한 부분에 관통되어 형성된 하나의 ㄷ자형 라인과 상기 ㄷ자형 라인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관통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자형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라인들이 후두부의 하중 압력이 분산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에 관계없이 후두부의 하중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수면시 편안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Meanwhile, at least one pressure distributing part 13 may be formed in the laryngeal seating part 10 so that load pressure by the user's larynx may be distributed. For example, the pressure distributing part 13 may be formed of one U-shaped line passing through a portion adjacent to the cervical spine support and at least one straight lin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U-shaped line and passing through. Since these lines are designed to distribute the load and pressure of the back of the head, the load and pressure of the back of the head can be evenly distribut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user's back of the head, thereby maximizing comfort during sleep.

상기 압력 분산부(13)는 이러한 형상 이외에도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압력 분산부(13)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압력 분산부(13)가 사각형 홈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In addition to these shapes, the pressure distributing part 13 may be formed as a groov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Alternatively, the pressure distributing part 13 may be formed through a polygonal shape,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combination thereof. 5 illustrates that the pressure distributing part 13 is formed in a rectangular groove.

기존 베개의 경우, 사용자의 후두부가 베개 표면에 닿을 때 제일 돌출된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느끼는 압박감 때문에 수면에 지장을 주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의하면, 코어부(20)의 중간 높이에서 연결된 후두 안착부(10)의 표면은 사용자의 후두부 하중 압력을 후두 안착부(10)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키게 되므로, 수면시 편안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pillows, when the user's back of the head touches the surface of the pillow,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specific part that protrudes most, which hinders sleep due to the feeling of pressure, wherea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20), the surface of the laryngeal seating part 10 connected at the middle height evenly distributes the user's load pressure on the laryngeal seating part 10, so that comfort during sleep can be maximized.

또한, 상기 후두 안착부(1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천공부(미도시)가 소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미도시)는 사용자의 후두부 하중 압력을 후두 안착부(10)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통기성을 증가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시원함을 느끼게 하여 수면시 편안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erforations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surface of the laryngeal seating part 10 . The perforations (not shown) serve to evenly distribute load pressure of the user's laryngeal region over the entire laryngeal seating portion 10, and increase air permeability to make the user feel cool, maximizing comfort during sle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상기 후두 안착부의 하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높이 조절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eight control pa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상기 제1 높이 조절 패드(미도시)는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을 모델링하고, 이에 따라 제1 높이 조절 패드(미도시) 상면의 형상 패턴을 처리하여 다수개의 제1 높이 조절 패드를 하나의 세트로 제공하여, 하나의 제품으로도 사용자의 후두부 형상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높이 조절 패드(미도시)의 소재는 상기 후두 안착부의 소재보다 경도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 패드(미도시)의 경도를 크게 함으로써, 제1 높이 조절 패드에 형성된 형성과 대응하는 사용자의 후두부는 보다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d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of the head of the user. That is,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a plurality of unspecified users, the shape of the back of the head of various users is modeled, and the shape patter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d (not shown) is processed accordingly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height adjustment pads. Provided as one set, it can be used as a single product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user's occipital region.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d (not shown) may have greater hardness than the material of the laryngeal seat. By increasing the hardness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d (not shown), the user's occipital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formed on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d can feel more stable.

상기 후두 안착부(10)의 표면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높이 조절 패드(미도시)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천공부(미도시)가 소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공부(미도시)는 사용자의 후두부 하중 압력을 제1 높이 조절 패드 및 후두 안착부(10) 전체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통기성을 증가시켜서 사용자로 하여금 시원함을 느끼게 하여 수면시 편안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Similar to the surface of the laryngeal seat 10, a plurality of perforations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ad (not shown). The perforation (not shown) serves to evenly distribute the load pressure of the user's occipital region throughout the first height adjusting pad and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10, and increases air permeability to make the user feel cool and comfortable during sleep. can be maximized.

상기 한 쌍의 코어부(20)는 상기 후두 안착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코어부(20)는 상기 후두 안착부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정상 자세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후두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안면이 상기 한 쌍의 코어부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후두 안착부와 상기 한 쌍의 코어부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core parts 20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laryngeal seating par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e part 20 obliquely extends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aryngeal seating part. That is, when the user lies down in a normal posture, the larynx of the user is seated on the laryngeal seating part, and when the user lies on the side, the user's face is supported by any one of the pair of core part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ing portion and the pair of core portions are connected at an inclined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코어부(20)는 사용자가 옆으로 잘 때 머리의 하중을 지지해 준다. 이를 위해, 코어부(20)의 상부 표면은 사람의 안면 형상(뺨 형상)에 대응되도록 소정 크기의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re part 20 supports the weight of the head when the user sleeps on his or her side. To this end, a concave portion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portion 2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person's face (cheek shape).

상기 코어부(20)의 양단 하부에는 사용자가 옆으로 잠을 자다가 팔을 소정 각도로 올릴 경우, 팔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면 중에 옆으로 자게 될 때, 팔의 움직임에 의해 베개가 적정 수면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paces 21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both ends of the core part 20 into which the arms can be inserted when the user raises his or her arms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sleeping on one's side. Accordingly, when the user sleeps on his or her side during slee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illow from moving out of the proper sleeping position due to arm movement.

코어부 끝단(22)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면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코어부(20)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코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높이 조절 패드(미도시)가 삽입되는 패드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높이 조절 패드는 상기 한 쌍의 코어부보다 경도가 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part end 22 can prevent the user's face from being separated by protruding upward. In addition, a pad insertion portion (not shown) into which a second height adjusting pad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core portions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air of core portions 20 . At this time, the second height control pa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hardness than the pair of core parts.

상기 경추 받침부(30)는 상기 후두 안착부(10) 및 상기 한 쌍의 코어부(20)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두 안착부에서 돌출되어 경사지게 연결 형성된다. 상기 경추 받침부(30)는 중앙 부분이 양측 부분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가 안정되게 경추 받침부(30)에 위치될 수 있다.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30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10 and the pair of core portions 20,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and form an inclined connec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30 is preferably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both side portions. By doing so,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can be stably positioned on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30 .

또한, 사용자의 경추가 놓이는 경추 받침부(30)의 소정의 위치에는 경추에 의한 압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의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상기 홈은 'T'자 형상(3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홈은 상하로 형성된 일자 형상(34)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홈은 상기 'T'자 형상(32) 및 상기 일자 형상(34)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groove of a predetermined shape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ervical vertebra support 30 where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are placed so that the pressure caused by the cervical vertebrae can be dispersed. (See FIG. 2 ) For example, The groove may be formed in a 'T' shape 32 . Also, for example, the groove may be a straight line shape 34 formed vertically. Also, for example, the groove may be formed in a combination of the 'T' shape 32 and the straight shape 34 .

또한, 상기 경추 받침부(30)는 경도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소재로 형성된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추 받침부의 하부층(30b)의 경도가 상부층(30a)의 경도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30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formed of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hardness. Preferably, the hardness of the lower layer (30b)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hardness of the upper layer (30a).

경추 받침부의 하부층(30b) 경도가 상부층(30a) 경도보다 크므로, 부드러운 느낌과 안정감을 모두 느낄 수 있게 된다. 즉, 하부층(30b)이 상대적으로 단단하므로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고, 상부층(30a)은 상대적으로 덜 단단하므로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층(30b)은 잠자기 전 목을 지압, 견인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면 충분하다. 즉, 수면 전에 사용자가 베개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고, 이때 하부층(30b)은 상대적으로 단단하므로 사용자의 목을 지압, 견인할 수 있다.Since the hardness of the lower layer 30b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is greater than the hardness of the upper layer 30a, both a soft feeling and a sense of stability can be felt. That is, since the lower layer 30b is relatively hard, it can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nd since the upper layer 30a is relatively less hard, it can provide a soft feel. The lower layer (30b) is sufficient if it is hard enough to acupressure and pull the neck before sleeping. That is, the user can turn the pillow upside down before sleeping, and since the lower layer 30b is relatively hard, the user's neck can be acupressure and pulled.

한편, 경추 받침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로 형성된 경추 지압부(31)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cervical spine acupressure portion 31 formed with a hard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상기 경추 지압부(31)는,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는 물질로 표면 처리되거나,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의 경도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는 물질이 삽입 또는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추 지압부(31)는 폴리우레탄을 스프레이 처리하여 기능성 베개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경도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베개 소재보다 경도가 큰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을 경추 받침부의 하부층(30b)에 소정의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플라스틱, 금속, 나무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경추받침부의 하부층(30b)에 마련하고 삽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ervical spine acupressure unit 31 may be formed by surface treatment with a material having a hard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or by inserting or attaching a material having a greater hardness than that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For example, the cervical acupressure part 31 may be formed to have relatively greater hardness than other parts of the functional pillow by spraying polyurethane. Alternatively, plastic, metal, wood, etc. having a greater hardness than the pillow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layer 30b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using a predetermined adhesive.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by providing and inserting a space into which plastic, metal, wood, etc. can be inserted in the lower layer 30b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이렇게 경추 지압부(31)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 전에 기능성 베개를 뒤집어서 베개의 후면에 형성된 경추 지압부에 경추를 대고 있으면, 경추 지압부(31)의 딱딱한 부분에 의해 사용자는 지압 및 경추의 견인(목 당김) 효과를 얻을 수 있다.By forming the cervical spine acupressure unit 31 in this way, when the user turns over the functional pillow before sleeping and puts the cervical spine on the cervical spine acupressure unit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pillow, the hard part of the cervical spine acupressure unit 31 allows the user to experience acupressure and cervical spine pressure. A traction (neck pulling)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상기 경추 받침부 및 상기 후두 안착부의 상면과 하면에는 사용자의 경추에 의한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32, 33)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홈(32, 33)은 사용자의 수면시에는 베개가 사용자 경추 쪽으로 모아지게 하여 편안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수면 전 경추 지압시에는 딱딱한 경추 지압부(31)가 경추 쪽으로 모아지게 하여 지압 및 견인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r more grooves 32 and 33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rvical vertebra support and the occipital seat to distribute the pressure caused by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see FIGS. 6 and 7). (32, 33) can convey a comfortable feeling by bringing the pillow to the user's cervical spine when sleeping, and when the user's cervical spine acupressure before sleep, the hard cervical spine acupressure unit 31 is gathered toward the cervical spine to provide acupressure and traction effect can be improved.

상기 경추 받침부(30)의 하부층 양단에는 사용자의 목과 후두부에 의한 하중 압력을 분산시키는 유양 돌기존(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유양 돌기존(15)은 수면시의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켜주어서 수면시의 편안함을 극대화시켜준다.Mastoid zone 15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layer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30 to distribute load pressure caused by the neck and back of the user. The mastoid base 15 evenly distributes the load of the user's neck and head during sleep, thereby maximizing comfort during sleep.

경추 받침부(30)의 하부층 양단에 유양 돌기존(15)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베개 사용시, 사용자의 후두부 양쪽이 경추 받침부(30)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되어 수면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추 받침부(30)의 하부층 양단에 유양 돌기존(15)을 형성하여 압박감을 줄이도록 하였으며, 경추 받침부(30)의 하부층 양단에 유양 돌기존(15)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하중에 의해 유양 돌기존(15)이 벌어지면서 두부의 안착시의 편안함을 극대화하고 양쪽 날개부가 위로 더 올라 가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또한 베개를 뒤집어서 사용할 때, 유양 돌기존(15)이 오므라들면서 머리를 잘 감싸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If there is no mastoid base 15 at both ends of the lower layer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30, when the user uses a pillow,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user are compressed by the cervical spine support 30, which can interfere with sleep.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astoid zone 1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layer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30 to reduce the feeling of pressure, and by forming the mastoid zone 15 at both ends of the lower layer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30, As the mastoid protrusion 15 is widened by the user's head load, the comfort of the head when seated is maximized, and both wings have the effect of moving upward. In addition, when using the pillow upside down, the mastoid base 15 shrinks and serves to wrap the head well.

상기 한 쌍의 코어부(20) 및 상기 경추 받침부(30)는 경도가 다른 2가지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층의 경도가 상부층의 경도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층의 경도가 크고 상부층의 경도가 작게 형성함으로써, 베개의 전면은 부드럽게 베개의 후면은 상대적으로 단단하게 할 수 있다.The pair of core parts 20 and the cervical support part 30 may be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hardness, and the hardness of the lower layer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layer.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hardness of the lower layer is high and the hardness of the upper layer is small, the front surface of the pillow is sof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illow is relatively hard.

상기와 같이 베개의 전면 경도는 작게, 후면 경도는 크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취침 전에 베개의 후면을 간단한 지압과 견인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making the front hardness of the pillow small and the rear hardness large, the user can use the rear surface of the pillow for simple acupressure and traction before going to bed.

상기 한 쌍의 날개부(40)는, 상기 한 쌍의 코어부의 일 측에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웠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어깨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air of wing parts 40 extend obliquely upward from one side of the pair of core parts, and are inserted between the user's face and shoulder to support the user's face when the user lies on the s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40) 중 상기 경추 받침부와 연결되지 않은 양쪽 코너측(42)은 상기 경추 받침부(30)와 연결된 부분 보다 경사진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날개부 끝단(43)은 타단에 비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 끝단(43)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안면이 코어부(20)의 상면에 안치되면서 사용자의 어깨는 날개부 하부의 공간(41)에 위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어깨 사이에 날개부(40)가 밀착 배치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Here, both corner sides 42 that are not connected to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of the pair of wings 40 are formed longer in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tha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30, and the pair The wing end 43 of the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compared to the other end. By protruding the ends 43 of the wings, when the user lies on the side, the user's fac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part 20, and the user's shoulders are located in the space 41 under the wings, and the user The wing part 40 is placed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face and the shoulder of the user to support the user's face.

이렇게 날개부(40)가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그 하부에는 사용자의 어깨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41)이 형성되고, 똑바로 누운 정상 자세로 사용자가 수면할 때, 상기 공간으로 사용자의 어깨가 삽입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wing portion 40 is formed by extending obliquely, so that a space 41 into which the user's shoulder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when the user sleeps in a normal lying posture, the user's shoulder moves into the space.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날개부(40)는 사용자가 정상 자세로 자다가 옆으로 돌아누워서 자게될 때, 자연스럽게 목과 어깨 사이에 날개부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이 하중에 의해 아래로 꺽이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옆으로 자는 사람들이 흔히 격는 견관절 압박이나 경추 비틀림 등으로 인해 생기는 목과 어깨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wing part 40 is naturally positioned between the neck and the shoulder when the user sleeps in a normal posture and then turns over to sleep.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neck from bending or bending under a loa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eases of the neck and shoulders caused by pressure on the shoulder joint or twisting of the cervical vertebrae, which are common among side sleepers.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가 베갯잎(A)에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8 shows a state in which a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illow leaf (A).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using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도 9는 똑바로 누운 정상 자세로 사용자가 수면할 때의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unctional pillow when the user sleeps in a normal posture lying uprigh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똑바로 누운 정상 자세로 사용자가 수면할 때, 사용자의 후두부는 후두 안착부(10)에 안착되고, 사용자의 목은 경추 받침부 상에 놓이게 되며, 사용자의 어깨는 날개부(40)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이때, 사용자의 후두부는 압력 분산부 위에 놓일 수 있으며, 압력 분산부의 ㄷ자형 라인은 후두부의 하중 압력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면서 후두부의 압력 하중을 분산시킨다. 그 결과, 사용자는 수면시 편안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sleeps in a normal posture lying upright, the user's back of the head is seated on the laryngeal seat 10, the user's neck is placed on the cervical spine support, and the user's shoulders are on the wings.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under the part 40. At this time, the user's back of the head may be placed on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and the C-shaped line of the pressure distribution unit distributes the pressure load of the back of the head while moving downward by the load pressure of the back of the head. As a result, the user can maximize comfort during sleep.

도 10 및 도 11은 옆으로 누운 자세로 사용자가 수면할 때의 기능성 베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은 측면도, 도 11은 평면도이다.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functional pillow when a user sleeps in a side lying position, and FIG. 10 is a side view and FIG. 11 is a plan view.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도적이던 비의도적이던 상관없이 사용자가 정상 자세로 수면하다가 옆으로 누운 자세로 바뀔때, 사용자의 얼굴은 후두 안착부에서 코어부(20) 상의 표면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목과 어깨 사이에 날개부(4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이 하중에 의해 아래로 꺽이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옆으로 자는 사람들이 흔히 격는 견관절 압박이나 경추 비틀림 등으로 인해 생기는 목과 어깨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0, whether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when the user changes from sleeping in a normal posture to a lying on the side, the user's face moves from the laryngeal seating part to the surface on the core part 20, and thus Accordingly, the wing part 40 is naturally positioned between the user's neck and should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neck from bending or bending under a loa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eases of the neck and shoulders caused by pressure on the shoulder joint or twisting of the cervical vertebrae, which are common among side sleeper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의하면, 정상 자세로 수면시 목과 머리를 편안히 받쳐주고, 측면 수면 시에도 어깨 눌림이나 목 쳐짐을 방지하며 경추 균형을 자동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pil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omfortably supports the neck and head when sleeping in a normal posture, prevents shoulder pressure or neck sagging even when sleeping on the side, and automatically maintains cervical balance.

또한, 측면 수면 시에도 어깨 눌림이나 목 쳐짐을 방지하여 옆으로 누워서 자는 사람들이 흔히 겪는 견관절 압박이나 경추 비틀림 등으로 인해 생기는 목과 어깨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neck and shoulder diseases caused by pressure on the shoulder joint or twisting of the cervical vertebrae commonly experienced by people who sleep on their side by preventing shoulder pressure or neck sagging even during side sleep.

또한, 사용자가 수면 전에 베개를 뒤집어서 베개의 후면에 형성된 경추 지압부에 경추를 대고 있으면, 경추 지압부의 딱딱한 부분에 의해 사용자는 지압 및 경추의 견인(목 당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turns over the pillow before sleeping and applies the cervical spine to the cervical spine acupressure part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pillow, the user can obtain acupressure and cervical traction (neck pulling) effects by the hard part of the cervical acupressure par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후두 안착부 20 : 코어부
30 : 경추 받침부 40 : 날개부
13 : 압력 분산부 21, 41 : 공간
10: laryngeal seating part 20: core part
30: cervical support 40: wing
13: pressure distribution unit 21, 41: space

Claims (1)

일정한 형상과 두께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정상 자세로 누웠을 때,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상면에 안착시키는 후두 안착부;
상기 후두 안착부와 연결되며, 그 양단 하부에 팔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후두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측면으로 누웠을 때, 상기 사용자의 안면을 상면에 지지하는 한 쌍의 코어부;
상기 후두 안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후두 안착부에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경추를 받치는 경추 받침부; 및
상기 한 쌍의 코어부 및 상기 경추 받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경사진 상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어깨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사용자가 측면으로 누웠을 때, 상기 사용자의 목과 어깨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후두 안착부의 내면에는 메모리폼을 삽입하여 상기 사용자의 목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에는 에어파이프를 삽입하여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마사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a laryngeal seating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hape and thickness and seating the occipital region of the user on an upper surface when the user lies down in a normal posture;
It is connected to the laryngeal seating part, and a space into which arms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bottom of both ends thereof, and the user's fac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when the user's occiput is lying on its side while seated on the laryngeal seating part. A pair of core parts to do;
a cervical spine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and protruding obliquely from the laryngeal seating portion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nd
It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air of core parts 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is formed by being curved in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wing parts having a space in which a shoulder can be inserted at the lower part. ,
The pair of wing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hape inserted between the user's neck and shoulder to support the user's neck when the user lies on the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user's neck is adjusted by inserting a memory foam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laryngeal seat,
A functional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for massaging the back of the user by inserting an air pipe into the pair of wings.
KR1020210062020A 2021-05-13 2021-05-13 Functional pillow KR202201544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020A KR20220154453A (en) 2021-05-13 2021-05-13 Functional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020A KR20220154453A (en) 2021-05-13 2021-05-13 Functional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53A true KR20220154453A (en) 2022-11-22

Family

ID=8423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020A KR20220154453A (en) 2021-05-13 2021-05-13 Functional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4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2543A (en) Adjustable ergonomic pillow
US10080450B2 (en) Functional pillow
US9375104B2 (en) Pillow
EP0957735B1 (en) Therapeutic sleeping pillow
KR101825882B1 (en)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200602364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dividuals pillow type
US20200375382A1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KR200489782Y1 (en) Pillow having 3 layers
JP2020525257A (en) Headrest cushion assembly for neck pain
KR102364405B1 (en) Cervical pillow
KR102071513B1 (en) Pillow
US20150128348A1 (en) Head Stabilizing Headrest
KR101559482B1 (en) Functional pillow
KR100978285B1 (en) Sound sleep pillow
KR102109986B1 (en) Faculty pillow
KR101930643B1 (en) a pillowa
JP3232583U (en) Ergonomic dual-purpose pillow
KR101453941B1 (en) Health pillow
KR102426779B1 (en) Fucntional pillow for sound sleep and neck and back disc posture correction
KR20220154453A (en) Functional pillow
KR102475466B1 (en) Corrective pillow for cervical spine
KR102123260B1 (en) Functional pillow
KR100444950B1 (en) The pillow
KR102644695B1 (en) Relax Sleep Pil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