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040A -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040A
KR20220154040A KR1020220057254A KR20220057254A KR20220154040A KR 20220154040 A KR20220154040 A KR 20220154040A KR 1020220057254 A KR1020220057254 A KR 1020220057254A KR 20220057254 A KR20220057254 A KR 20220057254A KR 20220154040 A KR20220154040 A KR 20220154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display
variable
flexible display
varia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승
현철규
배준한
조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2015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폴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폈을 때 굽힘 부위에 발생하기 쉬운 주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가변 접착층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굽힘과 폄을 무수히 반복하더라도, 해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폈을 때, 굽힘 부위에 주름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주름없는 명료한 컨텐츠 화면을 즐기도록 할 뿐 아니라, 이로써 해당 스마트 기기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게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using variable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폴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폈을 때 굽힘 부위에 발생하기 쉬운 주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가변 접착층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 단말기의 크기는 휴대성을 위해 계속해서 소형화가 요구된다. 반면에 소비자들은 일정한 화면크기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기 때문에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와 같은 플렉서블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폴더블 기기를 폈을 때 주름이 보이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구부러짐과 펴짐을 무수히 반복하면서 휨에 의한 응력이 가해져서,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에 주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상의 주름은,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컨텐츠 화면 자체가 주름진 것으로 보이게 되어 휴대 단말기 제품의 완전성을 크게 훼손하게 되며, 이로써 사용자들에게 해당 제품, 나아가 그 제품의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크게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되어 왔다.
도 2는 그와 같이 폴딩부에 발생할 수 있는 주름 형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폴더블 기기(10,20)의 몸체는 좌우 두개로 분리(51,52)되어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기기의 몸체 위에는 디스플레이 지지판(12,2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21)는 지지판 위에 접착되어 놓여진다. 디스플레이(11,21)가 접히기 위해서, 접히는 부위(15,25)는 디스플레이(11,21)와 지지판이 접착되어 있지 않다. 즉, 접히지 않는 부위는 영구접착(13,23) 되어 있으며 접히는 부위(15,25)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폴딩부(15,25)에 발생할 수 있는 주름의 형태를 보여준다. 도 2(a)는 가장 전형적인 주름의 형태로 접히는 부위(15) 양단에 위로 볼록한 2개의 주름과 중앙부에 아래로 볼록한 1개의 주름이 생긴다. 도 2(b)는 접착되어 있지 않은 중앙 부분(25)의 아래에 있는 지지판(22)의 두께를 줄여 (또는 영구 접착층 부위의 지지층 두께를 늘려) 주름이 아래로만 볼록하게 한번만 지도록 개선된 형태이다. 실제 주름의 깊이는 매우 작으나 인간의 눈과 손에 의한 거슬림은 상당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20-0067023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굽힘과 폄을 무수히 반복하더라도, 해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폈을 때, 굽힘 부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주름없는 명료한 컨텐츠 화면을 즐기도록 할 뿐 아니라, 이로써 해당 스마트 기기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게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하게 굽힘과 펴짐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뒷면에 부착되고, 폴더블 기기 몸체에 부착된 지지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뒷면에 부착되어 폴더블 기기 몸체와 상기 지지판을 접착시키되, 디스플레이가 펴진 경우에는 접착이 되어지며, 디스플레이가 접힐 경우 분리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중앙부터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지지판과 분리되는 가변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부위인 폴딩부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폴딩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단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른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의 연속적 변화는,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을 발생하는 접착물질의 도포되는 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뒷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접착물질 층; 및, 상기 접착물질 층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감마제 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른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의 연속적 변화는, 상기 도포되는 감마제의 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감마제는, 구리스일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층은 폴딩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폴딩부 이외의 면에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영구 접착시키는 영구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층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층은, 상기 지지판에 부착된 전자석;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접히는 부분 아래 또는 내부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펴지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되어 자력을 갖게 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기를 차단하여 자력을 상실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굽힘과 폄을 무수히 반복하더라도, 해당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폈을 때, 굽힘 부위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주름없는 명료한 컨텐츠 화면을 즐기도록 할 뿐 아니라, 이로써 해당 스마트 기기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높게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폴더블 기기를 폈을 때 주름이 보이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폴딩부에 발생할 수 있는 주름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는 정도에 따른 약 접착층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가변 접착층을 테이프를 이용하여 구현한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110)가 펴져 있을 때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110)의 아래에는 영구 접착층(130), 가변 접착층(140), 지지판(120), 폴더블 기기 몸체(51,52)가 존재한다. 도 2에서의 구성과는 달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부분도 접착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는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지지판(120)에 영구 접착층(130) 및 가변 접착층(140)을 통해 부착되어 있어 디스플레이(110)가 펴진 경우 접착에 의해 주름 없는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가 접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가변 접착층(140)은 디스플레이(110)가 펴진 경우에는 접착이 되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110)가 접힐 경우에는, 단순히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110) 중앙부터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지지판(120)과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영구 접착층(130)은 지지판(120)과 디스플레이(110)를 항상 접착하도록 하지만, 가변 접착층(140)은 디스플레이(110)가 펴짐에 따라 접착 영역이 변하도록 작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110)가 인폴딩으로 접히는 정도에 따른 가변 접착층(140)의 작동을 보여준다. 도 4의 (a), (b), (c)의 순서대로 접히는 정도가 커진다. 도 4(c)는 완전히 접혔을 때의 모습이다. 디스플레이(110)가 완전하게 펴진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가변 접착층(140)은 디스플레이(110)와 평평한 지지판(120)을 전 영역에서 접착을 이루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가 점차 접히면서, 도 4 (a), (b), (c)의 가변 접착층(140)의 중앙 부위부터 가변 접착층(140)의 양단 부위로 가변 접착층(140)이 점차 분리된다. 즉, 점차 접착 영역이 줄어든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10)를 펼 경우, 반대로 가변 접착층(140) 양단 부위부터 가변 접착층(140)의 중앙부위로 차례대로 접착이 이루어지며 접착 부위가 점차 늘어난다.
도 4와 같이 작동하는 가변 접착층(140)의 가장 쉬운 구현방법은 접착력이 약한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반면 영구 접착층(130)은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 방법을 이용한다. 디스플레이(110)가 접힐 때 쉽게 분리되며 펴질 때 쉽게 접착이 되고, 많은 수의 접착과 분리가 반복되어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접착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염에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강건한 접착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력이 약한 접착제, 또는 동일한 원리로, 접착력이 약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면 가변 접착층을 매우 쉽게 구현할 수 있다.
가변 접착층(140)은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 또는 접착과 분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전자기 및 기계적 구동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자석의 사용은 전자기를 이용한 접착의 한 예이고, 벨크로(일명 찍찍이)의 사용은 기계적 접착의 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전자석을 이용한 방식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2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디스플레이(210)가 펴져 있을 때 디스플레이(210)의 아래에는 가변 접착층(240), 지지판(220), 폴더블 기기 몸체(51,52)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210)는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지지판(220)에 가변 접착층(240)을 통해 부착되어 있어 디스플레이가 펴진 경우 접착을 통해 주름 없는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가변 접착층(240)에는 강 접착층(240.1), 약 접착층(240.2)이 존재한다. 강 접착층(240.1)은 폴딩부(25) 근처의 약 접착층(240.2)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있다. 그러나 강 접착층(240.1) 및 약 접착층(240.2)은, 접착력이 주로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과 주로 약하게 나타나는 부분을 편의상 표현한 용어일 뿐, 도 5(a) 및 도 5(b)에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색깔로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도 5(c)의 접착력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접착력은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210)가 접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약 접착층(240.2)은, 디스플레이(210)가 펴진 경우에는 접착이 되어지며, 디스플레이(210)가 접힐 경우 디스플레이(210) 중앙부터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지지판(220)과 분리된다. 접힐 때의 동작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즉, 강 접착층(240.1)은 지지판(220)과 디스플레이(210)가 항상 접착되도록 하지만, 약 접착층(240.2)은 디스플레이(210)가 펴짐에 따라 접착 영역이 변하도록 작동한다.
도 5(a)와 도 5(b)에 구비되는 가변 접착층(240)의 접착력을 발생시키는 접착물질 층의 구현 방법은, 액상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물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위치별로 그러한 접착물질의 양을 다르게 도포시켜 접착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c)는 위치에 따른 접착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양끝에서부터 중심으로 위치가 변할 때마다 접착력의 크기도 "연속적"으로 작아진다. 접착력이 불연속하게 분포할 경우 불연속 지점에서 주름이 생길 수 있으므로 연속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적 약한 접착력을 통해 접착되어있는 폴딩부(25)의 경우, 반복적으로 접힘이 발생하여도 수평 방향(x 방향)으로의 변형이 일부 허용되어 디스플레이의 응력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늘어나고 주름 발생이 줄어든다.
도 6은 도 5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접히는 정도에 따른 약 접착층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210)가 인폴딩으로 접히는 정도에 따른 약 접착층의 작동을 보여준다. 도 6의 (a) --> (b) --> (c)의 순서대로 접히는 정도가 커진다. 도 6(c)는 완전히 접혔을 때의 모습이다.
디스플레이(210)가 완전하게 펴진 경우 도 5(a)에서와 같이 약 접착층(240.2)은 디스플레이(210)와 평평한 지지판(220)이 전 영역에서 접착을 이루도록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가 점차 접히면서, 도 6의 (a) --> (b) --> (c)의 순서대로 진행하며, 비교적 약한 접착력을 통해 접착되어있는 폴딩부(25)에서부터 디스플레이(210)의 양단 부위로 약 접착층(240.2)이 지지판(220)과 점차 분리되어 접착 영역이 줄어든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10)를 펼 경우, 도 6의 (c) --> (b) --> (a)와 같이 역방향의 순서대로 진행하며, 반대로 강한 접착력을 통해 접착되어있는 디스플레이의 양단 부위(240.1)부터 폴딩부(25)로 차례대로 약 접착층(240.2)에서 지지판(220)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며 접착 부위가 점차 늘어난다.
도 4의 경우와 달리, 도 5, 도 6의 제2 실시예의 경우는, 완전히 접히는 경우(도 6(c))의 경우에도 약 접착층(240.2)은 폴딩부(25) 중심에서 분리되지 않고 이어진 상태로 존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3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에서 나타난 접착력 분포를 맞추기 위해서, 접착제 자체의 양을 다르게 하여 도포할 수도 있지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10)의 모든 구간에 균일하게 접착물질(341)을 도포하고, 지지판(320)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의 감마제(342) 양을 다르게 도포시켜 도 7(c)와 같은 감마제 양의 분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실시예로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의 가변 접착층(340)은, 균일한 접착물질 층(341)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감마제 층(342)을 구비한다. 접착물질 층(341)은, 액상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3 실시예로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도 결과적으로 도 5(c)와 동일한 접착력 분포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다른 부분에 비해 비교적으로 많은 양의 감마제를 도포(342.2)하는 폴딩부(35)의 경우,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은 약 접착층(240.2)이 되고, 이에 의해 반복적으로 접힘이 발생하여도 수평(전단)한 방향으로의 응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폴딩부에서의 주름을 방지할 수 있다.
대표적인 감마제는 구리스로 윤활작용을 하며 점성을 가진 재료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제4 실시예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와 (b)는 전자석(442)을 이용한 가변 접착층(440)의 구현 예를 보여준다.
도 8(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히는 부분의 디스플레이(410) 아래에 또는 내부에 자성체(441)를 접힘이 가능할 수 있도록 부착/도포한다. 지지판(420)에는 전자석(442)이 부착되어 있다. 도 8(a)와 같이 디스플레이(410)가 펴진 경우 아래에 있는 전자석(442)에 전압이 인가되어 자력을 갖게 되어 디스플레이(410)가 지지판(420)에 붙게 된다.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410)의 주름이 펴지게 된다.
도 8(b)와 같이 디스플레이(410)가 접히게 될 경우 전자석(442)에 전기를 차단하여 자력을 상실시킨다. 따라서 디스플레이(410)는 지지판(420)으로부터 분리되어 디스플레이(410)가 접힐 수 있게 된다. 조금이라도 디스플레이(410)가 접히게 되면 이를 센싱하여 전기를 차단한다.
전자석(442)에서 자력이 작용하는 부위를 조정하면 가변 접착층(440)의 기능을 더욱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자력이 너무 강하지 않고 적절한 자력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가변 접착층(440)의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9는 가변 접착층을 테이프를 이용하여 구현한 경우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테이프를 이용해 가변 접착층을 구현했을 때 주름이 생기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9(a)와 (b)는 각각 폴더블 폰이 반쯤 접혔을 때와 완전히 펴졌을 경우이다.
종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본체에 도 2(a)의 방법으로 구현한 부위는 (좌)로 표현되어 있고, 본 발명의 도 3의 가변 접착층을 테이프를 사용하여 구현한 부위는 (우)로 표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재질의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모사하였다.
도 9는 10000번 이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완전히 접었다 편 후의 사진이다. 도 9(b)에서 (좌)의 부위에는 선명하게 주름이 생겨 있는 것에 비하여 (우)의 부위에는 주름이 보이지 않는다.
10,20: 종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12: 디스플레이
12,22: 지지판
13,23: 영구 접착층
25,35: 디스플레이 접힌 부분
51: 폴더블 기기 몸체(좌)
52: 폴더블 기기 몸체(우)
10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0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0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00: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의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210,310,410: 디스플레이
120,220,320,420: 지지판
130,430: 영구 접착층
140,240,340,440: 가변 접착층
240.1: 강 접착층
240.2: 약 접착층
341: 접착물질 층
342: 감마제 층
342.1: 적은 양의 감마제 부위
342.2: 많은 양의 감마제 부위
441: 자성체
442: 전자석

Claims (8)

  1.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플렉서블하게 굽힘과 펴짐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뒷면에 부착되고, 폴더블 기기 몸체에 부착된 지지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뒷면에 부착되어 폴더블 기기 몸체와 상기 지지판을 접착시키되, 디스플레이가 펴진 경우에는 접착이 되어지며, 디스플레이가 접힐 경우 분리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중앙부터 순차적이며 연속적으로 지지판과 분리되는 가변 접착층
    을 포함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부위인 폴딩부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폴딩부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단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른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의 연속적 변화는,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을 발생하는 접착물질의 도포되는 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접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뒷면에 균일하게 도포되는 접착물질 층; 및,
    상기 접착물질 층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감마제 층
    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른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의 연속적 변화는,
    상기 도포되는 감마제의 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마제는,
    구리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접착층은 폴딩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부 이외의 면에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디스플레이를 영구 접착시키는 영구 접착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접착층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접착층은,
    상기 지지판에 부착된 전자석;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접히는 부분 아래 또는 내부에 부착되는 자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펴지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되어 자력을 갖게 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전자석에 전기를 차단하여 자력을 상실시키도록 작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57254A 2021-05-12 2022-05-10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540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1578 2021-05-12
KR1020210061578 2021-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040A true KR20220154040A (ko) 2022-11-21

Family

ID=8423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254A KR20220154040A (ko) 2021-05-12 2022-05-10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40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023A (ko) 2018-12-03 2020-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023A (ko) 2018-12-03 2020-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571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30176617A1 (en) Mobile device with an expandable screen
US10048758B2 (en) Haptic feedback for interactions with foldable-bendable displays
US9448632B2 (en) Mobile device with a pressure and indentation sensitive multi-touch display
US10528138B2 (en) Virtual reality garment capable of jamming user movement
JP5507760B2 (ja) 電子機器
US202202531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3152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information
TW200619751A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folder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Sobchack Embodying transcendence: on the literal, the material, and the cinematic sublime
US11243567B2 (en)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nfiguring presentation data and actuation elements
WO2022076350A1 (en) Operational feedback using capacitive sensing
US10725499B1 (en) Display device
KR20220154040A (ko) 가변 접착층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ark et al. Poke: emotional touch delivery through an inflatable surface over interpersonal mobile communications
CN111090299A (zh) 双屏护眼平板
CN113377270A (zh) 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65573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주름 방지 장치
Fels et al. Iamascope: An interactive kaleidoscope
CN203299722U (zh) 一种电子设备
KR200370890Y1 (ko) 확장된 표시창을 갖는 휴대 단말기
Akachi et al. AirPolygon: Transparent, Film-based and Flexible 3D Display with Air-control
TWI754582B (zh) 電子裝置
KR20150012400A (ko) 가변 물성 촉각 디스플레이 모듈
KR10242253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주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