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736A -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736A
KR20220153736A KR1020210061040A KR20210061040A KR20220153736A KR 20220153736 A KR20220153736 A KR 20220153736A KR 1020210061040 A KR1020210061040 A KR 1020210061040A KR 20210061040 A KR20210061040 A KR 20210061040A KR 20220153736 A KR20220153736 A KR 20220153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d
body temperature
check
health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995B1 (ko
Inventor
송현정
Original Assignee
송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정 filed Critical 송현정
Priority to KR102021006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9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1Sensor means for detecting integrated or attached to an item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erson but not worn by the person, e.g. chair, walking stick, bed sensor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좌변기에 부착되어 피보호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 상기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체온을 송신하는 IoT 통신 장치; 상기 IoT 통신 장치로부터 체온을 수신하고 전달하는 피보호자 단말;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체온을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를 구성한다. 상술한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노인이나 아동 등의 피보호자의 건강 상태나 움직임 그리고 환경 상태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홀로 가정에 남아 있는 피보호자를 원격지에서 최소한의 보호를 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HEALTH CARE SYSTEM USING HEALTH CHECK AND MOVEMENT LINE CHECK}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원격지의 부모나 고령자의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인 가정의 증가와 함께 독거 노인의 고독사와 방치가 늘어가고 있다.
멀리 타지에 정착한 가족들이 가까이서 독거 노인을 관리하여 줄 수도 없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러한 경우, 독거 노인의 관리와 보살핌이 큰 문제가 된다.
보호자들은 독거 노인의 움직임이 있는지 독거 노인의 주거 환경에 문제가 없는지 등을 알고 싶은 경우가 많지만, 이를 정확하게 제대로 알기는 쉽지 않다.
독거 노인이 소파에 앉아 있는지 침대에 있는지 아니면 외출 중인지, 환기를 제대로 시키고 있는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독거 노인에게 환기, 복약, 산책 등의 다양한 관리와 보살핌을 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10-1619347 등록특허공보 10-2211161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은, 좌변기에 부착되어 피보호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 상기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체온을 송신하는 IoT 통신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oT 통신 장치로부터 체온을 수신하고 전달하는 피보호자 단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보호자 단말로부터 체온을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는, 비데기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침대, 소파, 식탁의자, 책상의자, 방석, 좌욕기 또는 족욕기에 설치되는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 및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는, 소정 주기에 따라 사용하는 좌욕기 또는 족욕기를 상기 주기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상 현상으로 파악하고 보호자 단말 또는 사회복지사 단말(미도시)로 알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의하면, 노인이나 아동 등의 피보호자의 건강 상태나 움직임 그리고 환경 상태를 원격지에서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홀로 가정에 남아 있는 피보호자를 원격지에서 최소한의 보호를 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은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101),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102),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103), 실내 산소 농도 측정 장치(104),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장치(105), 실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6), 눌림 감지 센서(107), 도어 가속도 센서(108), 창문 가속도 센서(109), 현관 도어 가속도 센서(110), 피보호자 단말(200),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300), 보호자 단말(4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101)는 좌변기 또는 비데기에 부착되어 피보호자의 체온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보호자가 좌변기에 착석하면 체온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기구(102a)는 도어납/침대(10)에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102)를 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계/타이머(102b)는 날짜를 확인하고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내 스피커(102c)는 시계/타이머(102b)에 의해 새로운 날이 시작 여부를 판단하고, 새로운 날이 시작되는 경우 도어납/침대(10)를 피보호자가 파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피보호자가 계속 파지하고 있도록 음성 안내할 수 있다. 즉, 적어도 날마다 한 번씩은 피보호자가 생체 미세 신호를 측정하도록 음성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측정이 끝날 때까지 도어납/침대(10)를 파지하도록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2d)는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102)에 의해 측정된 생체 미세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102)는 부착 기구(102a)에 의해 도어납/침대(10)에 부착되며, 안내 스피커(102c)의 음성 안내에 따라 피보호자가 도어납/침대(10)를 파지하는 동안 피보호자의 생체 미세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102)는 침대(10), 소파(20), 식탁의자(30), 책상의자(30), 방석(40), 좌욕기 또는 족욕기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기구(103a)는 도어납/침대(10)에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103)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계/타이머(103b)는 날짜를 확인하고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내 스피커(103c)는 시계/타이머(103b)에 의해 새로운 날의 시작 여부를 판단하고, 새로운 날이 시작되는 경우 도어납/침대(10)를 피보호자가 파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피보호자가 계속 파지하고 있도록 음성 안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안내 스피커(103c)는 피보호자의 체내 산소 포화 농도를 적어도 하루에 한 번 측정할 수 있도록 음성 안내를 하며, 체내 산소 포화 농도를 측정하는 동안 피보호자가 도어납/침대(10)를 파지하고 있도록 음성 안내할 수 있다.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103)는 부착 기구(103a)에 의해 도어납/침대(10)에 부착되며, 안내 스피커(103c)의 음성 안내에 따라 피보호자가 도어납/침대(10)를 파지하는 동안 피보호자의 체내 산소 포화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103)는 침대(10), 소파(20), 식탁의자(30), 책상의자(30), 방석(40), 좌욕기 또는 족욕기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3d)는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103)에 의해 측정된 체온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내 산소 농도 측정 장치(104)는 실내 산소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4a)는 실내 산소 농도 측정 장치(104)에 의해 측정된 실내 산소 농도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장치(105)는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5a)는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장치(105)에 의해 측정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6)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6a)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6)에 의해 측정된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기구(107a)는 소파(20), 의자(30) 또는 방석(40)에 눌림 감지 센서(107)를 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눌림 감지 센서(107)는 부착 기구(107a)에 의해 소파(20), 의자(30) 또는 방석(40)에 부착되며, 피보호자가 소파(20), 의자(30) 또는 방석(40)에 착석함에 따라 눌림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눌림 감지 센서(107)는 피보호자의 움직임이나 실내 동선을 파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7b)는 눌림 감지 센서(107)의 감지에 의한 눌림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가속도 센서(108)는 도어(50)에 부착되어 도어(50)의 개폐에 따른 도어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40)를 여는지 여부 그리고 눌림 감지 센서(107)의 감지에 따른 복합적 분석에 의해 피보호자의 움직임과 실내 동선을 파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8a)는 도어 가속도 센서(108)에 의해 측정된 도어 가속도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창문 가속도 센서(109)는 창문(60)에 부착되어 창문(60)의 개폐에 따른 창문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창문 가속도 센서(109)는 피보호자의 환기 여부를 파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09a)는 창문 가속도 센서(109)에 의해 측정된 창문 가속도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관 도어 가속도 센서(110)는 현관 도어(70)에 부착되어 현관 도어(70)의 개폐에 따른 현관 도어 가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눌림 감지 센서(107), 도어 가속도 센서(108)와 함께 복합적인 분석을 하여 피보호자의 외출 여부를 파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IoT 통신 장치(110a)는 현관 도어 가속도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현관 도어 가속도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보호자 단말(200)은 IoT 통신 장치(101a)로부터 체온을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2d)로부터 생체 미세 신호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3d)로부터 체내 산소 포화 농도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4a)로부터 실내 산소 농도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5a)로부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6a)로부터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7b)로부터 눌림 신호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8a)로부터 도어 가속도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09a)로부터 창문 가속도를 수신하고, IoT 통신 장치(110a)로부터 현관 도어 가속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체온, 생체 미세 신호,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실내 산소 농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눌림 신호, 도어 가속도, 창문 가속도 및 현관 도어 가속도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300)는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체온, 생체 미세신호,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실내 산소 농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눌림 신호, 도어 가속도, 창문 가속도 및 현관 도어 가속도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현상을 알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300)는 데이터 통신 모듈(301), 피보호자별 데이터 취합 모듈(302), 피보호자별 데이터베이스(303),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생성 모듈(304),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실시간 알림 모듈(305),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 판단 모듈(306), 피보호자 이상 상황 실시간 알림 모듈(307), 이상 상황 대처 음성 알림 모듈(308), 보호자 음성 등록 모듈(309), AI 음성 통화 모듈(310), 보호자 통화 요청 모듈(3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통신 모듈(301)은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체온, 생체 미세신호,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실내 산소 농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눌림 신호, 도어 가속도, 창문 가속도 및 현관 도어 가속도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보호자별 데이터 취합 모듈(302)은 데이터 통신 모듈(301)에서 수신된 체온, 생체 미세신호,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실내 산소 농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눌림 신호, 도어 가속도, 창문 가속도 및 현관 도어 가속도에 대해 피보호자별로 데이터를 취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보호자별 데이터베이스(303)는 데이터 취합 모듈(302)에서 피보호자별로 취합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생성 모듈(304)은 피보호자별 데이터베이스(303)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보호자별 타임라인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임라인을 통해 피보호자의 실내 동선, 움직임 여부, 외출 여부 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악될 수 있다.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실시간 알림 모듈(305)은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생성 모듈(304)에서 생성된 피호보자별 타임라인의 실시간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자는 피보호자의 타임라인을 통해 피보호자의 움직임과 동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 판단 모듈(306)은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생성 모듈(304)에서 생성된 피보호자별 타임라인을 분석하여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랜 시간 움직임이 없거나, 환기도 하지 않고, 외출도 하지 않거나 방석에 앉지 않고 침대에만 있는 등 움직임 자체가 없는 이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피보호자 이상 상황 실시간 알림 모듈(307)은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 판단 모듈(306)에서 판단된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의 실시간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황 대처 음성 알림 모듈(308)은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 판단 모듈(306)에서 판단된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에 대해 대처가 필요함을 알리기 위해 미리 등록된 이상 상황 대처 음성 알림을 피보호자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산소 농도가 매우 낮고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경우 피보호자 단말(200)로 환기를 하도록 이상 상황 대처 음성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보호자 음성 등록 모듈(309)은 피보호자의 관리를 위한 보호자 음성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는 피보호자에게 "환기하세요", "식사하세요", "산책하세요", " 혈압약 드세요" 등과 같은 필요한 음성을 미리 등록할 수 있다.
AI 음성 통화 모듈(310)은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 판단 모듈(306)의 이상 상황 판단에 따라 보호자 음성 등록 모듈(309)에 등록된 소정의 보호자 음성을 출력하고, 피보호자의 답변에 따라 AI 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상황 판단에 따라 해당 이상 상황에 대한 대처를 위한 보호자 음성을 출력하고, 피보호자가 대처를 했다거나 대처를 하겠다 등의 답변을 인식하여 AI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보호자 통화 요청 모듈(311)은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 판단 모듈(306)의 이상 상황 판단에 따라 보호자가 통화를 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보호자는 이상 상황을 인지하고 보호자와 통화하여 이상 상황 대처를 위한 대화를 할 수 있다.
한편,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3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사용하는 좌욕기 또는 족욕기를 위 주기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상 현상으로 파악하고 보호자 단말(400) 또는 사회복지사 단말(미도시)로 알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400)은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300)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이상 현상을 알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400)은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실시간 알림 모듈(305)로부터 실시간 알림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보호자 음성 등록 모듈(309)을 통해 소정의 보호자 음성을 입력받아 미리 등록하고, 보호자 통화 요청 모듈(311)로부터 피보호자 단말(200)로 통화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
102: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
103: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
104: 실내 산소 농도 측정 장치
105: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 장치
106: 실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
107: 눌림 감지 센서
108: 도어 가속도 센서
109: 창문 가속도 센서
110: 현관 도어 가속도 센서
200: 피보호자 단말
300: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
301: 데이터 통신 모듈
302: 피보호자별 데이터 취합 모듈
303: 피보호자별 데이터베이스
304: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생성 모듈
305: 피보호자별 타임라인 실시간 알림 모듈
306: 피보호자별 이상 상황 판단 모듈
307: 피보호자 이상 상황 실시간 알림 모듈
308: 이상 상황 대처 음성 알림 모듈
309: 보호자 음성 등록 모듈
310: AI 음성 통화 모듈
311: 보호자 통화 요청 모듈
400: 보호자 단말

Claims (6)

  1. 좌변기에 부착되어 피보호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101);
    상기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101)에 의해 측정된 체온을 송신하는 IoT 통신 장치(101a)를 포함하는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통신 장치(101a)로부터 체온을 수신하고 전달하는 피보호자 단말(2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단말(200)로부터 체온을 전달받아 모니터링하는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3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체온 측정 장치(101)는,
    비데기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침대(10), 소파(20), 식탁의자(30), 책상의자(30), 방석(40), 좌욕기 또는 족욕기에 설치되는 생체 미세 신호 측정 장치(102) 및 체내 산소 포화 농도 측정 장치(10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호자 모니터링 서버(30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사용하는 좌욕기 또는 족욕기를 상기 주기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상 현상으로 파악하고 보호자 단말(400) 또는 사회복지사 단말(미도시)로 알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210061040A 2021-05-11 2021-05-11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61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40A KR102613995B1 (ko) 2021-05-11 2021-05-11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040A KR102613995B1 (ko) 2021-05-11 2021-05-11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736A true KR20220153736A (ko) 2022-11-21
KR102613995B1 KR102613995B1 (ko) 2023-12-15

Family

ID=8423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040A KR102613995B1 (ko) 2021-05-11 2021-05-11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9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47B1 (ko) 2014-04-18 2016-05-10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피보호자 안심 서비스 제공방법, 피보호자 안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험메시지 감시 장치, 보호자 단말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90063248A (ko) * 2017-11-29 2019-06-07 (주)유엔디 스마트 헬스케어 비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5798A (ko) * 2018-01-11 2019-07-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 가구
KR20200076240A (ko) * 2018-12-19 2020-06-29 강익수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102211161B1 (ko) 2015-05-07 2021-02-03 (주)에스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47B1 (ko) 2014-04-18 2016-05-10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피보호자 안심 서비스 제공방법, 피보호자 안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험메시지 감시 장치, 보호자 단말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11161B1 (ko) 2015-05-07 2021-02-03 (주)에스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20190063248A (ko) * 2017-11-29 2019-06-07 (주)유엔디 스마트 헬스케어 비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5798A (ko) * 2018-01-11 2019-07-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 가구
KR20200076240A (ko) * 2018-12-19 2020-06-29 강익수 고독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995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12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requency and intensity of movement by a recumbent subject
US72442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functional ability or medical condition of an actor
US72423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movement within a home
CN210575131U (zh) 一种居家养老系统
JP4546487B2 (ja) 睡眠パターンを用いて独居者の在宅活動を遠隔監視する方法
US200401334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t home health care service
US71543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resident is at home or away
Le et al. Health smart home for elders-a tool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Chapron et al. Highly accurate bathroom activity recognition using infrared proximity sensors
US20190371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reporting
KR102268456B1 (ko)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돌봄 시스템
JP6609087B1 (ja) 睡眠監視
KR20220153736A (ko) 건강 체크 및 이동 동선 확인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172606B1 (ko) 동작패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Eyers et al. Safe and sound? Night-time checking in care homes
US8593285B2 (en) Safety-determin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safety confirmation system
Valero et al. EBASI: IoT-based emotion and behaviour recognition system against elderly people social isolation
Ballester et al. Automated vision-based toilet assistance for people with dementia
JP2018147452A (ja) ドアシステム、およびドアシステムを用いた監視方法
KR102203915B1 (ko) 고독사 예방 네트워크 시스템
Prückner et al. Emergency monitoring and prevention-eu project emerge
CN117518885A (zh) 一种基于健康状况自适应的病房环境调节系统
Halvorsen et al. Fusion of Body Sensors’ Data and Video Images in Assistive Technology
JP2022128360A (ja) 対象者特定システム
WO2019216058A1 (ja) 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