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339A - 복강 수술용 모듈 - Google Patents

복강 수술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339A
KR20220153339A KR1020210060791A KR20210060791A KR20220153339A KR 20220153339 A KR20220153339 A KR 20220153339A KR 1020210060791 A KR1020210060791 A KR 1020210060791A KR 20210060791 A KR20210060791 A KR 20210060791A KR 20220153339 A KR20220153339 A KR 20220153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abdominal surgery
abdominal
in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김태중
김희승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339A/ko
Publication of KR2022015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5Cannulas for introduction into a natural body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61B2017/3482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inside
    • A61B2017/3484Anchoring means, e.g. spreading-out umbrella-like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은, 질 입구의 외부에 배치되고 수술 기구의 유출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를 포함하는 아우터 유니트와 상기 아우터 포트를 통하여 유출입한 수술 기구를 복강 내로 유출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너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유니트는, 수술 기구가 유출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이너 하우징부,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질의 후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 또는 복강 내로 진입한 상기 이너 유니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링부, 상기 이너 하우징부 상에 위치하며,공기 주입을 통하여 상기 질의 후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 또는 복강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강 수술용 모듈{MODULE FOR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복강 수술용 모듈에 관한 것으로,보다 자세하게는 내시경 등의 수술 기구들을 신체 내 진입하여 수술 시 최소 수술침습을 시행하기 위한복강 수술용포트를 구비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술 및 장비의 발전으로 다양한 수술 기법이 가능해졌다. 특히, 복강 수술 분야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수술 침습의 연구 및 관련 장비 개발에 있어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복강 수술(laparoscopic surgery)은 환자의 복부에 작은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해 복강의 내부를 관찰하면서 수술하는 방법으로서, 담낭 절제술, 충수돌기 절제술, 결석 제거술 등의 일반 외과 수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강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해 수술 후 통증이 많지 않고 장 마비 증세와 같은 합병증이 적으며, 입원 및 회복기간이 짧고 작은 흉터만 남기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복강 수술의 경우 환자에게 신체의 표면적으로 볼 때 개복수술과 마찬가지로 인위적인 작은 흉터가 남는다는 문제점이남아있다. 이러한 흉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배꼽을 이용한 단일공 복강 수술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이 또한 수술 위치 및 범위에 따른 흉터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흉터를 남기지 않고 복강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으로는 신체 내 기관을 통한 복강 진입을 통한 수술이다.
특히, 산부인과에서 진행하는 외과수술의 경우 환자의 질강을 통하여 수술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존의 질강의 경우 질강의 구조로 인하여 질강 내에서 수술용 기구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신체 내 기관에 해당하는 항문, 요도, 코 등의 부위는 이물질(장의 배설물, 요도의 소변,코의 콧물)이 존재하여, 복강수술시 복강 내에 이물질이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흉터 및 복강 내 이물질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체 기관인 질을 통한 복강 내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복강수술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질강 내에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복강수술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은 일단이 신체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신체 내부인 질의 내부에 배치되고, 질 입구의 외부에 배치되고 수술 기구의 유출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를 포함하는 아우터유니트, 상기 아우터 포트를 통하여 유출입한 수술 기구를 복강 내로 유출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너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유니트는, 수술 기구가 유출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이너 하우징부,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질의 후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 또는 복강 내로 진입한 상기 이너 유니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링부, 상기 이너 하우징부 상에 위치하며, 공기 주입을 통하여 상기 질의 후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 또는 복강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내부 상에 상기 튜브부의 위치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우징부 및 고정링부는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유니트는,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아우터 유니트가 내입되어 결합이 가능한 이너 실리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실리콘부는,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복수의 실리콘 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실리콘 링이 결합되어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유니트는 상기 튜브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 하기 위한 공기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부 상에 위치하며, 압력을 가해 상기 공기주입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가능한 클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우징부가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이너 하우징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일단과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타단의 반경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유니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가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아우터 하우징부,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유니트와 결합가능한 아우터 실리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유니트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강 수술용 모듈 내부의 가스를 유출입하거나 상기 이너 유니트 내부에 유입된 채액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아우터 유출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실리콘부는, 상기 이너 유니트부에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아우터 실리콘부의 반경보다 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포트는 상기 복강 수술용 모듈 내부로 유입을 허용하되 상기 상기 복강 수술용 모듈 외부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아우터 포트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에 의하면, 선천적으로 형성되는 신체 부위인 질을 통하여 복강 내 수술을 진행하여 환자의 피부에 흉터를 남기지 않음으로써 우수한 미용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에 의하면, 질의 후벽의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에 의하면, 질의 후벽의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회복 기간을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은 튜브부가 주입된 공기에 의하여 질강 내부의 형태에 맞게 팽창함에 따라, 질강 내부에 복강 수술용 모듈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은 수술 중 복강 수술용 모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술 중 수술용 모듈이 움직임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 수술용 모듈에 의하면, 질 내부에 가스를 주입하여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용수술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모듈 중 이너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모듈 중 이너 유니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모듈 중 이너 유니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 모듈 중 아우터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 모듈 중 아우터 유니트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 모듈의 사시도이며,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 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수술용 모듈(10)는 아우터 유니트(100 )및 이너 유니트(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수술용 모듈(10)은 질 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후 질강 내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에 삽입 또는 안착되어 질강과 복강을 소통시켜, 내시경 등을 포함하는 수술 기구의 질강(膣腔)을 통한 복강(腹腔)으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복강 수술용 모듈(10)는 질 입구를 통하여 질강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질강 내벽에 절개 부위가 형성되는데, 절개 부위에 이너 유니트(200)가 장착된다. 외부에 배치되는 아우터 유니트(100)를 통하여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가 삽입되고 이너 유니트(200)를 거쳐 복강 내로 진입될 수 있다. 진입된 수술 도구를 통하여 자궁, 난관/나팔관 내지 난소 등과 같은 신체 부위에 대한 수술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산부인과적 신체 기관에 대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질강의 내벽을 통하여 복강 진입을 이룸으로써 복강 내 접근이 용이한 다양한 장기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산부인과적 신체 기관 이외, 예를 들어 충수돌기를 포함한 위장관, 담낭, 신장 등 복강 내 및 후복벽 장기 등과 같이 다양한 신체 부위에 대한 복강 최소 침습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우터 유니트(100)는 단부가 질 입구의 외부에 노출되어 배치되고 내시경을 포함하는 수술 기구의 진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120)를 구비한다. 아우터 유니트(100)는 아우터 하우징부(110)과 아우터 포트(120)를 포함한다.
아우터 하우징부(110)는 이너 하우징부(210)의 일단과 연결되어 복강 수술용 모듈(10)의 내부 공간과 질강 또는 복강 등의 외부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부(11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120)가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120)의 형태나 크기는 의료용 기기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포트(120)는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가 이너 유니트(200)를 거쳐 복강 내로 진입 가능하도록 이들의 유입을 허용한다. 아우터 포트(120)는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를 포함하는데,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를 통하여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 등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포트(120)는 아우터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데, 아우터 포트(120)는 아우터 하우징(110)으로부터 연장 형성 내지 기밀 연결 형성되는 아우터 포트 채널(122)을 구비한다. 아우터 포트 채널(122)의 내부에는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가 배치되는데,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아우터 포트(120)의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의 이너 유니트(200) 측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되, 복강을 통하여 유출되는 피, 수액, 체액, 일부 조직 등 내지 복강 내 빛의 전달 내지 복강 내 영상 정보 내지 수술 등을 위하여 주입되는 가스의 아우터 포트(120)를 통한 유출을 방지한다.
아우터유니트(100)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가 스포트(1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아우터 가스 포트(140)는 두 개 이상이 대향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우터 가스 포트(140)는 가스 포트 바디(141)와 가스 포트 밸브(142)를 포함하는데, 가스 포트 바디(141)는 일단이 아우터 하우징(100)에 연결되고 가스 포트 바디(141)의 타단에는 가스 등이 주입/배출되는 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스 등의 주입/배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 포트 밸브(142)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가스 포트(140)의 가스 포트 바디(141)는 가스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가스가 아우터유니트(100), 및 이너 유니트(200)를 통한 복강 내로 진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복강 등의 신체 내부로부터 유출되어 이너유니트(200)로 진입한 체액 및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아우터가스 포트(140)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대향 배치를 통하여 가스와 액체의 원활한 유입과 배출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너유니트(200)는 일단이 아우터유니트(100)의 아우터 하우징(110)과 연결되는데, 이너유니트(200)는 가요성 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형태를 변형하여 질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는 내시경, 에너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수술 기구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질강 내부의 공간에 맞게 팽창하여,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는 질강 내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에 삽입 배치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데, 이너 유니트(200)가 절개 부위에 장착되는 경우 일단은 복강 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질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너 유니트(200)는 가요성 및 탄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 질강의 크기 또는 수술의 목적에 따라서 변형 사용이 가능하다.
이너 유니트(200)는 이너 하우징부(210), 튜브부(220), 고정링부(230), 공기주입부(240), 및 이너 실리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의 이너 하우징부(210)는 수술 기구가 유출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고, 질강에 삽입되는 이너 유니트(2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너 유니트(200) 내부와 질 내부를 격리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부(21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질강 내부의 형태에 맞게 변형이 가능하여 질강 내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에 삽입을 이루되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너 유니트(200)는 절개 부위에 장착되는경우 소정의 탄성 변형 상태의 이너 유니트(200)의 선단이 삽입되어 복강 측으로 유입되고 이너 유니트(200)의 타단은 질강 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의 튜브부(220)는 이너 유니트(200) 표면 상에 부착되는 탄성 재질의 팽창 가능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부(220)는 기체를 주입하여 팽창하며,이를 통해 질강 내부의 형태에 맞게 고정될 수 있다. 기체는 튜브부(220) 상에 부착된 공기주입부(240)를 통해서 유출입될 수 있으며, 팽창되어 질강 내부에 고정된 이너 유니트(200)를 유지하기 위해 공기주입부(240) 상에 클램프부(24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의 튜브부(220)와 대응되는 위치의 이너 하이징부(210) 내부에 내측 필름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필름부(225)는 외부 기구들의 열 또는 물리적 손상을 견디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가지며 열 등에 강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내측 필름부(225)의 두께는 0.1t내지 2t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t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의 고정링부(230)는 이너 하우징부(2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고정부재로서, 질강 내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내부에 거치되거나 절개 부위의 형상에 맞게 변형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의 이너 실리콘부(250)는 이너 하우징부(2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의 접속부재로서, 아우터 유니트가 내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이한 지름을 가지는 복수의 실리콘 링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실리콘 링이 결합되어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니트(200)의 이너 실리콘부(250)는 고정링부(230)와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모듈 중 이너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유니트(200)는 이너 하우징부(210), 튜브부(220), 고정링부(230), 공기주입부(240), 및 이너 실리콘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너 유니트(200)의 이너 하우징부(210)는 튜브부(220), 고정링부(230), 공기주입부(240), 및 이너 실리콘부(250)를 연결해주는 주된 몸체로서,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치골과 후벽에 변형 상태로 삽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수술 기구의 질강 내부로의 삽입이 용이하며, 가스 등을 주입함으로써, 복부를 팽창시켜 수술 시 시야확보 및 시술의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부(210)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링부(230)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어 치골과 후벽에 고정하는 1차 고정부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링부(230)를 이루는 탄성 부재는 폴리우레탄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의 특성 상 복원력에 의해서 치골과 후벽 등에 밀착하여 이너 유니트(200)가 수술 중에 움직이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정링부(230)의 직경은 질강에 안착되는 구조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으나, 5cm에서 15cm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7.5cm를 가지는 것이 질강 내부에 삽입 및 수술 기구 등을 삽입하기에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유니트(200)는 수술 과정 상에서의 원치 않게 삽입된 절개 부위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튜브부(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너 유니트(200)는 이너 하우징부(210)와 고정링부(230)가 절개 부위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에, 접혀지거나 최소화된 크기로 진입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어 소정의 크기를 이룸으로써 절개 부위를 통한 원치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너 하우징부(210) 및 고정링부(230)의 탄성 복원력만으로는 질강 내부에 완벽히 고정되지 않아 수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튜브부(220)에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여 이너 유니트(200)와 질강 내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절개 부위를 통한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이너 유니트(200) 상에 부착된 튜브부(230)에 공기 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이너 유니트(200)의 형상 및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5b는 이너 유니트(200) 상에 부착된 튜브부(230)에 공기 또는 가스가 주입된 상태의 이너 유니트(200)의 형상 및 측단면도이다
또한,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는 구조를 통해서, 공기 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이너 유니트(200)를 최소화된 크기로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 후에 이너 유니트(2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술에 적정한 위치인 경우에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너 유니트(200)는 상기와 같은 원통형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수술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너 하우징부(200)의 일단과 이너 하우징부(200)의 타단의 반경이 상이한 원통형 구조도 가능하며, 동일한 원통형 구조도 가능하다.
튜브부(230) 상에 형성되는 공기 주입부(240)의 일단은 튜브부(230) 내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며, 공기 주입부(240)의 타단은 주사기 또는 펌프 등과 같은 공기 주입 가능 기구와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공기 주입부(240)는 PVC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하우징부(2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너 하우징부(210)의 내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주입부(240) 상에는 주입된 공기 또는 가스가 유출입되는 것을 공기 주입부(240)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클램프부(245)가 위치할 수 있다. 클램프부(245)는 공기 주입부(24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나, 튜브부(220)에 주입된 공기로 인해 질강 내부에 이너 유니트(200)가 완전히 고정되는 경우에 클램프부를 잠가 공기 주입부(240)를 통해 튜브부(2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부(210)의 타단에 형성된 이너 실리콘부(250)는 복수개의 링이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 부재로서, 아우터 실리콘부(150)가 인입되어 이너 유니트(200)와 아우터 유니트(1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너 실리콘부(250)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단면이 원형인 복수의 실리콘 링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실리콘 링이 결합되어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을 통해 아우터 실리콘부(150)와 결합이 가능하다. 이너 실리콘부(250)를 구성하는 실리콘 링은 고정링부(230) 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으며, 이는 이너 실리콘부(250)의 직경이 5.0cm 내지 8.0c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3cm 내지 6.5cm 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 모듈 중 아우터 유니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용 수술 모듈 중 아우터 유니트의 측단면도이다.
아우터 유니트(100)는 아우터 하우징부(110), 아우터 포트(120),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 아우터 가스 포트(140)및 아우터 실리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부(110)는 이너 하우징부(210)의 일단과 연결되어 복강 수술용 모듈(10)의 내부 공간과 질강 또는 복강 등의 외부 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질강의 내주면과 밀착되게 접하도록 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우터 하우징부(110)가 환자의 질강의 내주면과 밀착되게 접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질강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아우터 하우징부(110)를 형성하는 연성의 재질의 종류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자의 질강의 내주면과 밀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여도 무방할 것이지만,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실리콘을 예를 들 수 있다. 실리콘은 규소와 산소로 이뤄진 고분자 화합물로서,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산, 알카리 등의 극성 유기화 합물에 의해 거의 침해를 받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분자 구조상 분자의 자유도가 높아서 신축성이 좋다는 점에서, 아우터 하우징부(110)를 형성하는 재질로 이용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부(11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120)가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120)의 형태나 크기는 의료용 기기에 따라서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포트(120)는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가 이너 유니트(200)를 거쳐 복강 내로 진입 가능하도록 이들의 유입을 허용한다. 아우터 포트(120)는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를 포함하는데, 아우터포트 개구부(121)를 통하여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 등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포트(120)는 수술 기구가 다양한 각도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술시 수술 기구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우터 포트(120)는 아우터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데, 아우터 포트(120)는 아우터 하우징(110)으로부터 연장 형성 내지 기밀 연결 형성되는 아우터 포트 채널(122)을 구비한다. 아우터 포트 채널(122)의 내부에는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가 배치되는데,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아우터 포트(120)의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를 통하여 유입되는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의 이너 유니트(200) 측으로의 진입을 허용하되, 복강을 통하여 유출되는 피, 수액, 체액, 일부 조직 등 내지 복강 내 빛의 전달 내지 복강 내 영상 정보 내지 수술 등을 위하여 주입되는 가스의 아우터 포트(120)를 통한 유출을 방지한다. 즉,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아우터 포트(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간을 분할하여 상기 언급한 체액 누출 방지 내지 가스 누설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의 반대측, 즉 이너 하우징부(210) 측을 향해서만 개방되며,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 측을 향해서는 개방되지 않는다. 이를 통하여 이너 유니트(200) 측으로부터의 체액 내지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하여 가압되어 벌어짐이 방지되고 자동적으로 페쇄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아우터 포트 채널(122)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아우터 포트(120)의 아우터 포트 채널(122)의 내측에서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가 배치되는 단부 측과 내측 연결 구조를 취하고, 아우터 포트 스토퍼 팁(131)은 평상시 폐쇄 상태를 유지하나 외력에 의하여 소정의 벌어짐이 발생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상시 상태의 경우 아우터 포트 스토퍼 팁(131)은 폐쇄 상태를 형성하나,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를 통하여 소정의 수술 도구 등이 진입하며 아우터포트 스토퍼(130)의 아우터 포트 개구부(121) 측에서의 가압력이 형성되는 경우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변화되어 아우터 포트 스토퍼 팁(131)이 자연스럽게 개방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아우터 포트 스토퍼(130)는 아우터 포트 스토퍼 밸브(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우터 포트 스토퍼 밸브(132)는 체크 밸브의 일종으로 이너 유니트(20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서는 폐쇄되고, 아우터 포트(13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서는 개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2중으로 이너 유니트(200)로부터의 체액 및 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아우터 포트 스토퍼(131)가 형성되는 위치에서는 아우터 포트 스토퍼(131)와 다른 형태의 아우터 포트 스토퍼가 배치될 수 있으며,이는 아우터 포트 스토퍼를 통해서 이너 유니트(200)로부터의 체액 내지 가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일방향 개방 구조일 수 있다.
아우터 유니트(100)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 가스 포트(14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아우터 가스 포트(140)는 두 개 이상이 대향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우터가스 포트(140)는 가스 포트 바디(141)와 가스 포트 밸브(142)를 포함하는데, 가스 포트 바디(141)는 일단이 아우터 하우징(100)에 연결되고 가스 포트 바디(141)의 타단에는 가스 등이 주입/배출되는 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스 등의 주입/배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 포트 밸브(142)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가스 포트(140)의 가스 포트 바디(141)는 가스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가스가 아우터 유니트(100), 및 이너 유니트(200)를 통한 복강 내로 진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복강 등의 신체 내부로부터 유출되어 이너 유니트(200)로 진입한 체액 및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아우터가스 포트(140)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대향 배치를 통하여 가스와 액체의 원활한 유입과 배출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우터 유니트(100)는 연결 부재로서 아우터 실리콘부(150)를 포함하며, 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이너 실리콘부(250)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실리콘부(150) 중 가장 돌출되어 있는 링 바디의 직경은 이너 실리콘부(2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의 직경보다 커, 이너 실리콘부(250) 내부로 약간의 변형을 통해 구겨 넣어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우터 실리콘부(150) 중 가장 돌출되어 있는 링 바디의 직경은 이너 실리콘부(250)의 복수의 링의 직경보다 0.3cm 크면 충분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은 아우터 유니트, 이너 유니트들이 개별 구성되는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일쳬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질을 통한 복강 내시경 모듈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이너 유닛은 실리콘, 특수고무 재질같은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우터 유닛은 부드러운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질식 복강 내시경 모듈의 구성의 표면은 코팅되어내시경 수술 기구 등의 원활한 진입 내지 진출을 가능하게 하고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복강 수술용 모듈
100 :아우터유니트 110 : 아우터하우징부
120 :아우터 포트 121 : 포트 개구부
130 :아우터 포트 스토퍼 131 : 아우터 포트스토퍼 팁
140 :아우터 가스 포트 141 : 가스 포트 바디
142 :가스 포트 밸브 150 : 아우터 실리콘부
200 :이너 유니트 210 : 이너 하우징부
220 :튜브부 225 : 내측 필름부
230 :고정링부 240 : 공기 주입부
245 :클램프부 250 : 이너 실리콘부

Claims (13)

  1. 질 입구의 외부에 배치되고 수술 기구의 유출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를 포함하는 아우터 유니트와;
    상기 아우터 포트를 통하여 유출입한 수술 기구를 복강 내로 유출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너 유니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유니트는,
    수술 기구가 유출입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이너 하우징부;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질의 후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 또는 복강 내로 진입한 상기 이너 유니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링부; 상기 이너 하우징부 상에 위치하며, 공기 주입을 통하여 상기 질의 후벽에 형성되는 절개 부위 또는 복강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내부 상에 상기 튜브부의 위치와 대응하여 형성되는내측 필름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부 및 고정링부는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유니트는,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아우터 유니트가 내입되어 결합이 가능한 이너 실리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실리콘부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단면이 원형인 복수의 실리콘 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실리콘 링이 결합되어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유니트는 상기 튜브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 하기 위한 공기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 상에 위치하며, 압력을 가해 상기 공기주입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가능한 클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부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하우징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일단과 상기 이너 하우징부의 타단의 반경이 상이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유니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아우터 포트가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아우터 하우징부; 및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이너 유니트와 결합가능한 아우터 실리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유니트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강 수술용 모듈 내부의 가스를 유출입하거나 상기 이너 유니트 내부에 유입된 채액을 외부로 배출 가능한 아우터 유출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실리콘부는,
    상기 이너 유니트부에 삽입되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아우터 실리콘부의 반경보다 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포트는 상기 복강 수술용 모듈 내부로 유입을 허용하되 상기 상기 복강 수술용 모듈 외부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아우터 포트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수술용 모듈.
KR1020210060791A 2021-05-11 2021-05-11 복강 수술용 모듈 KR20220153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91A KR20220153339A (ko) 2021-05-11 2021-05-11 복강 수술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91A KR20220153339A (ko) 2021-05-11 2021-05-11 복강 수술용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39A true KR20220153339A (ko) 2022-11-18

Family

ID=8423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91A KR20220153339A (ko) 2021-05-11 2021-05-11 복강 수술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3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8039B1 (en) Surgical endobag
KR100470519B1 (ko) 백-업 보유 부재 배출 카테테르
US10258370B2 (en) Vaginal endoscopic port unit module
US5588951A (en) Inflatable endoscopic retractor with multiple rib-reinforced projections
JP3342021B2 (ja) 組織を貫通する医療機器システム
US9055907B2 (en) Surgical access port
US10076229B2 (en) Endoscopic overtube
US8460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inimizing leakage of a distending medium during endoscopic procedures
US9414830B2 (en) Surgical access assembly including adhesive members for secure attachment to skin surfaces
US20100210912A1 (en) Access port with sutur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flapper with inserts
WO2011081886A1 (en) Low-profile one-way valve
KR20220153339A (ko) 복강 수술용 모듈
CN114795422A (zh) 肝胆胰外科用腹腔镜夹持装置
US11571240B2 (en) Surgery multichannel device
EP3782528A1 (en) Fluid supply device for endoscope
US11576701B2 (en) Surgical access assembly having a pump
EP3851058A1 (en) Surgical access assembly
Moran et al. Anatomical considerations for natural orifice translumenal endoscopic surgery
Dallemagne et al. NOTES Cholecystectom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