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224A -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3224A
KR20220153224A KR1020210060515A KR20210060515A KR20220153224A KR 20220153224 A KR20220153224 A KR 20220153224A KR 1020210060515 A KR1020210060515 A KR 1020210060515A KR 20210060515 A KR20210060515 A KR 20210060515A KR 20220153224 A KR20220153224 A KR 20220153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data
management system
order information
techn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수
Original Assignee
룬샷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룬샷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룬샷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3224A/ko
Publication of KR2022015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주에서 납품까지 제품의 물류 및 스캐쥴을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3자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의 주문이 마케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을 통해 이뤄지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주문에 대한 수주 공정, 생산 공정을 포함하는 전체 물류 프로세스를 일원화된 방식으로 관리하여,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통한 물류이력의 관리 및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3자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3PL LOGISTIC MANAGEMENT SYSTEM USING A.I.}
본 발명은 수주에서 납품까지 제품의 물류 및 스캐쥴을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3자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의 주문이 마케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을 통해 이뤄지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주문에 대한 수주 공정, 생산 공정을 포함하는 전체 물류 프로세스를 일원화된 방식으로 관리하여,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통한 물류이력의 관리 및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3자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는 공급망 내 운송, 하역, 보관, 포장, 관리 등 물류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화물, 운송수단, 물류장비, 보관장소, 부가시설, 인적자원 등 물류주체간의 끊임 없는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물류는 정보기반의 수집, 분석, 예측기술을 요구하는 4차 산업기술의 핵심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 및 에너지, 통신을 포함한 신기술들이 중심이 된 Logistics 4.0이 물류산업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즉, 단순한 비용절감에 초점이 맞춰왔던 지금까지의 물류서비스와는 달리 고객에게 핵심 경쟁력을 제공하는 전략적인 도구로서 물류가 각광받는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들의 물류산업으로의 접목은 보다 빠르고, 신뢰성있는 성과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물류 데이터들은 운송현황 모니터링, 재고현황 파악, 물류비용 파악, 에너지효율성 개선, 물류병목 해소, 적정 재고량 판단 등에 AI 기술과 함께 접목되어 빅데이터 분석을 가능케한다.
물류의 시발점인 주문방식에 있어서도, ICT기술이 발달하면서, 4G망의 구축 이후,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폭발적으로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를 통한 컨텐츠는 TV광고 또는 그 이상의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으며, 특히 유튜브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들은 동영상 기반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또는 녹화된 음성과 영상의 방식으로 특정 제품 또는 브랜드에 대한 의견이나 평가를 통해 컨텐츠를 소비하는 이용자들에게 구매를 유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규모는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통한 제품판매방식은 기존 미디어를 통한 방식에 비해, 트랜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며, 이에 따라 판매량에 대한 예측량과 실제치에 대해서도 큰 변동성을 갖게 되므로, 기존 미디어를 통한 방식에 비해 큰 변동성의 특성을 갖게 된다.
또한 소규모 SNS 기반 판매 채널이 늘어나면서, 물류관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물류 전문 업체에 위탁하여 처리하는 일종의 아웃소싱 방식이 3자물류(3PL)라 칭한다. 복잡한 물류에 대해서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점차 그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물류 고도화의 정점에 있는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은 대규모의 노드들 사이에서 각 노드에 분산 저장된 장부의 데이터를 항상 있도록 하는 합의 수렴 알고리즘이다. 이러한 특성은 편집불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이력을 기록하며,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인증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물류관리에 있어서, 디지털 전환을 이끌 핵심기술로써, '투명성'을 인증을 통해 정보의 공개, 열람, 위변조 방지를 통해 실시간 수주 접수부터, 생산이력의 기록, 배송물품의 품질관리까지 물류관리에 있어 높아진 변동성과 실시간성에 대응할 수 있는 해결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물류산업의 트랜드는 대량수송체제에서 맞춤형 운송 서비스로 그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이는 거래방식과 범위가 온라인 쇼핑의 확장과 모바일 기기 확산에 따라서 소매판매의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모바일)로 이동하는 현상이 가속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거래물품의 범위 역시 기존 규격화된 공산품 중심에서 신선식품, 생물 및 음식배달, 규격화되지 않은 다품종 소량생산물까지 다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 마케팅 시장에서 그 영향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 분야는 SNS 플랫폼을 활용하는 인플루언서 마케터이다. 특히 영상 등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생산하면서, 마케팅의 핵심축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플루언서들을 내세워 제품이나 서비스 마케팅을 진행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자리잡아가고 있는데, 비용대비 효과면에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경우가 크게 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비용이 적게 들지만, 특정 전문 분야에 집중하는 경향이 많아 틈새시장에서 고객들의 반응을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규모와 종류에 있어서 다변화되는 SNS 플랫폼 마케팅의 추세는 이에 따르는 물류비용에 대해서 부합하는 비용과 시간을 요구하며, 기존 물류시스템에서는 소위 가성비를 충족할 수 없는 리스크의 측면으로 다가오고 있다.
즉, 소비자가 물류서비스에 기대하는 서비스 수준은 높아지는 반면, 기존의 운송 방식이 점차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물류의 표준 방식인 허브앤스포크(hub-and-spoke)의 경우 대량의 근거리 배송에서는 오히려 배송비가 증가하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게다가 소규모 판매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대규모 물류시스템을 통한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없는 SNS 기반 판매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자 물류를 통한 아웃소싱의 수요를 증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3자물류의 고도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신뢰성과 가성비 측면에서 기술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더군다나 3자물류 사업 자체도 이러한 성장하는 틈새시장에 대해 승자독식으로 흘러가고 있는 2자물류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책이 필요하다. 즉, 대형 2자물류의 협력업체나 하청업체가 되거나, 전문화 전략으로 전문분야의 독자적인 브랜드를 구축하여 고수익성을 목표로 하는 특화전략을 구축해야하는데, 최근 SNS 기반 다품종 소량 판매는 급증추세이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수요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주문과 발주, 생산 및 배송까지의 물류프로세스상에서 이러한 변화된 판매방식이 요구하는 적합한 속도와 비용은 물론이고,
특히 물류 프로세스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다변화된 SNS 플랫폼 기반 판매방식에 대한 물류시스템에 대한 신뢰성과 속도, 변동성에 대한 개선은 해결해야하는 부분이다.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등 온라인 플랫폼으로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전송되어, 이 데이터를 P2P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으로써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실시간으로 공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방식의 정보처리를 통해서, 주문 정보를 포함하여 물류의 각 단계별 노드에서 추가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참여 노드 간에 실시간으로 분산저장되어 공유할수 있으며, 이때 참여 노드들은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각 물류 단계별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되는 컴퓨팅 서버로 구성한다.
이러한 일련의 공급사슬을 P2P방식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다.
일련의 공급사슬로 구성된 복수의 거래들을 각 거래들의 블록체인 기술로 분산 저장된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전환하며 연계하여 3자물류 방식의 고도화된 체계를 구현함으로 저비용, 짧은 리드타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물류의 혁신은 신뢰성과 속도라는 결과물로 소비자에게 핵심가치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특히 다수의 이해관계자에게 실시간 신뢰성 있는 물류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충족하게 된다. 이는 전자상거래 규모 확대, 옴니채널 방식의 확산등으로 고객에 제공해야 하는 물류 정보의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물류 서비스 기업이 제공해야하는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있으며, 모바일/스마트 디바이스 및 운송거래 시스템 수용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실시간 정보 공유문제를 해결하게 될 것이다.
SNS 플랫폼 기반의 판매자들은 다품종 소량화 제품을 공급하는 경향이 커져가므로, 3자물류에 있어서 신뢰성과 가용성의 확보는 판매자의 경쟁력에 도움이 되며, 3자 물류 운영자들 역시, 비용과 시간 절감에 도움을 얻게 된다.
또한 물류의 처리량에 비례하는 빅데이터의 축적은, 운송현황 모니터링, 재고현황 파악, 물류비용 파악, 에너지효율성 개선, 물류병목 해소, 적정 재고량 판단 등에 사용되며, 딥러닝을 활용하는AI 기술과 함께 접목되어 고도화된 경쟁력 있는 물류 서비스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대표도이다.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 기기, PC 등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에 접속되어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터미널(10)(11)(12)(13)들과 이러한 정보들을 수집, 저장하는 각각의 서버들(20)(21)(22)(23) 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버(20)(21)(22)(23) 들을 노드로 하여 P2P 방식으로 물류처리 순서에 따른 각 노드에서의 정보생성이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블록체인들은 하나의 거래마다 생성되는데, 이러한 블록체인을 연속적인 다수의 거래들에 대해서 저장하는 별도의 서버(30)를 통해서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2는 일련의 공급사슬에 의한 하나의 거래로 구성되는 복수의 거래(4)(5)들이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P2P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으로 설정된 서버(30)을 참여 노드로 하는 복수의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도식한 그림이다.
도3은 도2의 내용을 심화한 것으로써, 복수의 거래들이 발생하는 복수의 물류 시스템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P2P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으로 설정된 서버(31)들을 참여 노드로 구성하여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으로써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이용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을 도식한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3자 물류관리 시스템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등의 터미널들을 통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온라인 플랫폼이 제공하는 주문방식에 따라서 상품에 대한 구매주문을 발생하게 되며 이 정보는 생산발주로 연결되어서, 제품의 배송까지의 순차적인 단계를 거치며 하나의 거래를 완료하게 된다. 생산발주 정보는 재고관리, 원재료 관리, 생산관리, 품질관리, 포장 및 배송의 단계에서 각각의 실시간 정보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정보들은 물류관리 시스템의 고도화에 필수적이다. 또한 배송 이후의 AS 및 소유권에 대한 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함으로써 물류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단계별 데이터들은 블록체인의 노드 역할을 하는 각 단계별 서버들이 P2P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으로 기록함으로써, 신뢰성있고, 투명하며,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여 물류고도화를 데이터분석이 가능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집, 저장한다.
이러한 일련의 거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거래에 대해서 각 서버들이 노드의 역할을 하며, 각각의 물류단계별로 단말기로 수집된 데이터들을 분산저장하고 공유하는 물류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개념을 확장하여, 복수의 물류 시스템들에 대해서 각 노드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31)를 노드로 하는 분산 데이터 원장을 체인형태로 공유하는 시스템은 3자물류에서 요구하는 실시간 물류와 발주 데이터를 공유하고 최적화 할 수 있는 스마트 3자물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고객주문단계의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 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 테블릿, 스마트 기기 또는 PC
11: 물류처리 초기단계의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 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 테블릿, 스마트 기기 또는 PC
12: 물류처리 중기단계의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 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 테블릿, 스마트 기기 또는 PC
13: 물류처리 후기단계의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 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스마트 테블릿, 스마트 기기 또는 PC
20: 고객주문단계의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21: 물류처리 초기단계의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22: 물류처리 중기단계의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23: 물류처리 후기단계의 네트워크 연결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30: 단수 및 복수의 거래 및 물류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서버이며 분산저장 시스템의 노드
31: 복수의 거래 및 복수의 물류 시스템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는 서버이며 분산저장 시스템의 노드

Claims (4)

  1.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등 온라인 플랫폼으로 소비자의 주문정보가 전송되고, 각 물류 단계별 발생하는 데이터 및 일련의 공급사슬로 구성된 복수의 거래들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P2P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하여,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으로써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이용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문 정보를 포함하여 물류의 각 물류 처리 단계별 노드에서 추가되는 데이터에 대해서 참여 노드 간에 실시간으로 분산저장되어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이용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참여 노드들은 주문 정보를 포함하는 각 물류 단계별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또는 LAN에 접속된 모바일 스마트 단말기 또는 컴퓨터 단말기로 구성되는 컴퓨팅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이용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소비자의 주문정보로부터 최종 배송까지의 물류 데이터를 이루는 하나의 거래 외에 복수의 거래들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P2P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저장하는 서버를 참여 노드로 하여 3자물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이용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KR1020210060515A 2021-05-11 2021-05-11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KR20220153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515A KR20220153224A (ko) 2021-05-11 2021-05-11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515A KR20220153224A (ko) 2021-05-11 2021-05-11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24A true KR20220153224A (ko) 2022-11-18

Family

ID=8423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515A KR20220153224A (ko) 2021-05-11 2021-05-11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32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54B1 (ko) * 2023-03-21 2023-07-05 주식회사 물류대장 소비자 오더 기반으로 상호 다른 3pl 물류네트워크의 빅테이터 연산과 실시간 재고 및 설치기사를 매칭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배송설치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54B1 (ko) * 2023-03-21 2023-07-05 주식회사 물류대장 소비자 오더 기반으로 상호 다른 3pl 물류네트워크의 빅테이터 연산과 실시간 재고 및 설치기사를 매칭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배송설치가 가능한 홈인 풀필먼트 서비스 플랫폼의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zquita et al. Blockchain-based architecture: A MAS proposal for efficient agri-food supply chains
Kawa SMART logistics chain
Ji et al. An integrated model for the production-inventory-distribution problem in the Physical Internet
Falcone et al. Supply chain technologies,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nd firm performance: A case study of Alibaba Group and Cainiao
Islam et al. An inventory model for a three-stage supply chain with random capacities considering disruptions and supplier reliability
CN106934578A (zh) 一种基于进出口供应链平台及其管理方法
Yuan Impact of Industry 4.0 on inventory systems and optimization
Yao Optimisation of one-stop delivery scheduling in online shopping based on the physical Internet
Lingam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king accurate stock decisions in E-commerce industry
Rizwan et al. A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block chain technology to enhance the quality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KR20220153224A (ko)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3자 물류관리시스템
Wang et al. Intelligent logistics system design and supply chain management under edge computing and Internet of Things
US20240037483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Supply Chain Digital Hub
Phadnis Internet of Things and Supply Chains: A Framework for 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nd its Application
Bresler et al. Principles and research agenda for sustainable, data-driven food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KR20210105154A (ko) 스마트 3자물류관리 시스템
JP2024520532A (ja) ロジスティック通信フローシステムおよび方法
Mittal et al. A framework for collaboration among regional food system participants
KR20220141395A (ko) 블록체인 인증기술을 활용하는 물류관리 시스템
Lu et al. Production control framework for supply chain management—an application in the elevator manufacturing industry
Kumar et al. RFID & Analytics Driving Agility in Apparel Supply Chain
Souza et al. Orchestrating a ship-from-store omnichannel operation using 4PL digital platform
Yeap et al. Retail Internet of Things: A Retailer-and Consumer-Oriented Literature Review.
Trappey et al. Omni-channel sales and smart logistic service framework-As-is and to-be paradigms
Sornprom et al. A multi-objective model for integrated planning of selective harvesting and post-harvest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