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961A - Laundry treating machin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961A
KR20220152961A KR1020220071049A KR20220071049A KR20220152961A KR 20220152961 A KR20220152961 A KR 20220152961A KR 1020220071049 A KR1020220071049 A KR 1020220071049A KR 20220071049 A KR20220071049 A KR 20220071049A KR 20220152961 A KR20220152961 A KR 2022015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upper body
cam
clothes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희찬
박선후
Original Assignee
강희찬
박선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찬, 박선후 filed Critical 강희찬
Priority to KR102022007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2961A/en
Publication of KR2022015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9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47G25/145Devices for holding or carrying multiple loaded hangers
    • A47G25/1457Devices for holding or carrying multiple loaded hangers comprising a hanging hook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closet managing clothe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s devised to solve an above problem, relates to the steam closet equipped with a clothes vibrating unit which reduces noise during operation and can be easily maintained. The steam close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part main body; a hanging unit; and the clothes vibrating unit.

Description

의류 관리기{LAUNDRY TREATING MACHINE}Clothing management {LAUNDRY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를 관리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clothes.

의류 관리기는 의류의 건조, 리프레시, 살균 등 의류에 대한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may perform various treatments on clothes, such as drying, refreshing, and sterilizing clothes.

구체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othing care unit may perform clothing management, such as drying wet clothing, removing dust attached to clothing or odor from clothing, and reducing wrinkles of clothing.

이러한 의류 관리기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49862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As such a clothes care machine, one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9862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is known.

특허문헌 1의 의류 처리 장치는, 처리실 내로 열품 및 스팀을 공급하고, 구동부가 옷걸이봉을 상대운동시켜, 의류의 이물질을 털어냄으로써, 의류를 관리하게 된다.I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of Patent Document 1, hot products and steam are supplied into the treatment chamber, and the drive unit moves the clothes hanger rod relative to each oth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lothes, thereby managing the clothes.

이 경우, 구동부는,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을 크랭크 장치인 제1변환부 및 제2변환부로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제1, 2봉부재를 직선으로 상대 운동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킨다.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into linear motion by the first and second converting units, which are crank devices, and causes the first and second bar members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thereby generating vibration.

그러나, 위와 같은, 크랭크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화가 힘든 단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crank device is complicated, and thus miniaturization is difficult.

또한, 크랭크 장치에 의해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되면,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by the crank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ise is greatly generated.

또한, 장기간 사용하여 교체를 하게 될 때, 크랭크 장치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의 번거로움이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replacement is performed after long-term use, the entire crank unit must be replaced, resulting in the inconvenience of replacement.

한국등록특허 제1498625호Korea Patent No. 149862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시 소음이 감소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의류 진동부를 구비한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care machine having a clothes vibrating unit that reduces noise during operation and is easy to maintain.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에 구비된 걸이부; 및 상기 상부 본체에 구비되는 의류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진동부는, 상기 상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 회전하는 상기 캠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 및 상기 바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진동되며,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의류 걸이대가 걸리는 진동체를 포함한다.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a hook provided on the upper body; and a clothes vibrating unit provided in the upper body, wherein the clothes vibrating unit includes: a cam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and rotated by a motor; a bar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rotating cam; and a vibrating body installed under the bar, vibr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by the bar reciprocat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hang the clothes hanger.

또한, 상기 캠은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 홈을 포함하며, 상기 바는 상기 구동 홈 내에 위치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동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캠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 돌기가 상기 구동 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바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상기 바의 전후 방향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진동체가 진동된다.In addition, the cam includes a driv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ar includes a driv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be located in the driving groove. When the cam rotates by the motor, the driving protrusion Guided by the driving groove, the bar is recipro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vibrating body is vibrated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상기 구동 홈은 상기 캠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groove is incli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또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바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바와 상기 상부 본체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bracket connecting the bar and the upper body to guide the bar reciproc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included.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의 좌측 단부와 상기 상부 본체를 연결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바의 우측 단부와 상기 상부 본체를 연결하는 제2브라켓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bracket connecting the left end of the bar and the upper body; and a second bracket connecting the right end of the bar and the upper body.

또한,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본체의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매달리는 하부 본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body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upper body; and a lower body hanging below the cover.

또한,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걸이부에 의해 외부 물체에 매달리며, 상기 상부 본체에 의해 상기 하부 본체가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있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is suspended from an external object by the hook part, and the lower body is suspended in the air from the bottom surface by the upper bod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의류 진동부가 캠의 구동 홈을 통해 구동 돌기를 가이드하여 구동 돌기를 전후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바 및 진동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따라서, 소음이 크게 저감된다.The clothing vibrating unit guides the driving protrusion through the driving groove of the cam and pushes the driving protrus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by reciprocating the bar and the vibrating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noise is greatly reduced.

종래의 크랭크 구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의류 관리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rank structur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clothes care machine can be miniaturized.

의류 관리기를 장기간 사용하여 의류 진동부를 교체할 경우, 캠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하다.When replacing the vibrating part of clothes after using the clothes care machine for a long time, only the cam needs to be replaced, so maintenance is very simple.

상부 본체에 의해 외부 물체에 매달리는 형태를 구현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종래의 큰 부피를 차지하는 캐비넷 타입에 비해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사용 공간의 제한이 없다.By implementing a form suspended from an external object by the upper body, it may not be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and through this, it occupies less space than conventional cabinet types that occupy a large volume,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usable space.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는 전체 구성요소에 대한 매달림을 구현하는 상부 본체의 하부에 상부 본체의 무게 중심을 유지해줄 무게를 갖는 하부 본체를 매다는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매다는 형태로 구비되는 구조에 있어서 진동에 의한 의류 관리기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The clothes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lower body having a weight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pper body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which implements suspension of all components, in a hanging form, thereby reducing vibration in the hanging structure. It can be provided stably by minimizing the shaking of the clothes care machine by the

휴대하여 사용 가능할 수 있고, 미사용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It can be carried and used, and can be easily stored by minimizing the volume when not in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의 상부 본체가 봉에 매달린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의 상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의 상부 본체의 단면도.
도 5a는 캠이 제1상태에 있고, 바가 제1위치에 위치했을 때의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에 구비되는 의류 진동부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 사시도.
도 5c는 도 5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도.
도 6a는 도 5a의 상태에서 캠을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캠이 제2상태에 있고, 바가 제2위치에 위치했을 때의 의류 진동부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 사시도.
도 6c는 도 6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도.
도 7a는 도 6a의 상태에서 캠을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캠이 제3상태에 있고, 바가 제3위치에 위치했을 때의 의류 진동부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 사시도.
도 7c는 도 7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도.
도 8a는 도 7a의 상태에서 캠을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캠이 제4상태에 있고, 바가 제2위치에 위치했을 때의 의류 진동부의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 사시도.
도 8c는 도 8a의 상태에서의 의류 진동부의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한 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a ro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body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 vibrating unit provided i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m is in a first state and a bar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5A;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5a;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vibrating unit when the cam is rotated 90°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5A, the cam is in a second state, and the bar is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Fig. 6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6A;
Fig.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6a;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vibrating part when the cam is in a third state and the bar is positioned at a third position by rotating the cam clockwise by 90° in the state of Fig. 6a;
Fig. 7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7a;
Fig. 7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7a;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ing vibrating unit when the cam is rotated 90°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7a, the cam is in a fourth state, and the bar is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Fig. 8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8a;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in the state of Fig. 8a;
9(a) to 9(c)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후술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different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since it 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 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ed drawings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shapes generat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processes.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schematic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 specific shape of a region of a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 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이미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given to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even if the embodiments are different. In addition,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lready described in other embodiment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후술할 y축은 전후 방향을 의미하고, x축은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z축은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The y-axi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eans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the x-axis means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z-axis means the up-and-down direction.

이하, 도 1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c).

도 1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 하부 본체(900) 및 커버(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는 의류 진동부(200), 열풍 공급부(400), 스팀 공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9(c),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n upper main body 100, a lower main body 900 and a cover 8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othes vibration unit 200, a hot air supply unit 400, and a steam supply unit 500 provided.

본체는 의류 진동부(200), 열풍 공급부(400) 및 스팀 공급부(500)가 구비된 상부 본체(100);와, 상부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부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하는 커버(800);와, 커버(800)의 하측에 매달리는 하부 본체(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includes an upper body 100 equipped with a clothes vibrating unit 200, a hot air supply unit 400, and a steam supply unit 500; and a receiving space ( The cover 800 forming 800a); and the lower body 900 hang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ver 8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부 본체(100)Upper body (100)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부 본체(1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pper body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상부 본체(100)의 상부에 걸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A hook part 3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100 .

걸이부(300)는 외부 물체(20)에 상부 본체(100)가 매달릴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구성된다.The hook part 300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so that the upper body 100 can be hung on the external object 20 .

걸이부(300)는 회전 가능하게 상부 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향으로 상부 본체(100)가 외부 물체(20)에 매달릴 수 있다.The hook 30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body 100 . Accordingly, the upper body 100 may be suspended from the external object 20 in various directions.

상부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돌출 돌기(110)가 구비된다.A protrusion 110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body 100 .

의류 진동부(200)는 의류에 진동을 전달하여 의류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의류 진동부(200)는 진동체(240)에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고, 진동체(240)의 걸이부(300)에 걸린 의류 걸이대(10)를 통해 의류에 진동이 전달된다. 이러한, 의류 진동부(200)의 구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functions to remove dust and the like from the clothing by transmitting vibration to the clothing. The clothes vibrator 200 vibrates the vibrator 240, and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othes through the clothes hanger 10 hung on the hanger 300 of the vibrator 24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iving of 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열풍 공급부(400)는 상부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The hot air supply unit 400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100 .

열풍 공급부(400)는 열풍을 생성하여 수용 공간(800a)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하고, 스팀 발생에 의한 옷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 hot air supply unit 400 generates hot air and supplies it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800a to dry clothes and remove moisture from clothes by generating steam.

스팀 공급부(500)는 상부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The steam supply unit 500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100 .

스팀 공급부(500)는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 공간(800a)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젖게 한다. 이렇게 젖은 의류를 열풍 공급부(400) 및 배기부(700)에 의해 건조시키게 되면, 의류의 냄새 및 습기가 제거된다.The steam supply unit 500 wets clothes by generating and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800a. When such wet clothes are dried by the hot air supply unit 400 and the exhaust unit 700, the smell and moisture of the clothes are removed.

배기부(700)는 상부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다.The exhaust unit 700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100 .

배기부(700)는 수용 공간(800a)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exhaust unit 700 functions to circulat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800a.

배기부(700)는 열풍 공급부(400)에서 공급된 열풍을 용이하게 순환시키기 위해, 열풍 공급부(400)의 반대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haust unit 70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t air supply unit 400 in order to easily circulate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ot air supply unit 400 .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열풍 공급부(400)는 상부 본체(100) 내부의 좌측에 구비되고, 배기부(700)는 상부 본체(100) 내부의 우측에 구비된다.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air supply unit 40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inside the upper body 100, and the exhaust unit 70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inside the upper body 100.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상부 본체(100) 내부의 좌측에서 우측 순으로, 열풍 공급부(400), 의류 진동부(200), 스팀 공급부(500) 및 배기부(700)가 배치된다.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air supply unit 400, 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the steam supply unit 500, and the exhaust unit 700 are disposed in the order from left to right inside the upper body 100.

이처럼,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열풍 공급부(400) 및 배기부(700)가 배치되어 열풍 공급부(400)에 의해 공급된 열풍이 수용 공간(800a) 내에서 용이하게 순환되어 배기부(700)로 배기될 수 있다.As such, the hot air supply unit 400 and the exhaust unit 700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hot air supplied by the hot air supply unit 400 is easily circulated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800a and exhausted to the exhaust unit 700. It can be.

또한, 의류 진동부(200)가 상부 본체(100) 내부의 중앙에 배치됨으로써, 진동체(240)의 걸이부(300)가 의류 관리기(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Also, since the clothes vibrator 20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body 100, the hanger 300 of the vibrator 240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또한, 스팀 공급부(500)가 의류 진동부(200)의 인근에 배치됨으로써, 의류에 스팀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am supply unit 500 is disposed near 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steam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clothing.

커버(800) 및 하부 본체(900)Cover 800 and lower body 900

커버(800)는 상부 본체(100)의 하부와 하부 본체(9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900)를 연결한다.The cover 8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900 to connect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900 .

커버(800)는 내부에 수용 공간(800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커버(800)를 결합함에 따라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800a)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800 may have an accommodation space 800a therein. Accordingly,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ccommodation space 800a capable of accommodating clothes as the cover 8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0 .

커버(800)는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Cover 80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transparent, opaque or translucent.

커버(800)는 수용 공간(800a)의 외측으로 열풍, 스팀 및 먼지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The cover 800 may block outflow of hot air, steam, and dust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800a.

커버(800)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800)는 사용 상태에 따라 최소한의 부피로 접히거나, 최대한의 부피로 펼쳐질 수 있다. The cover 80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Due to this, the cover 800 can be folded to a minimum volume or unfolded to a maximum volume depending on the use condition.

커버(800)는 적어도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over 800 may have an opening on at least one side.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양측에 개구부를 갖는 커버(800)를 구비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800 having openings on both sides.

하부 본체(900)는 커버(800)에 의해 상부 본체(100)와 결합된다.The lower body 90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100 by the cover 800 .

하부 본체(900)의 좌측 및 우측에 체결부(910)가 구비된다.Fastening parts 910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body 900 .

체결부(910)에 홈이 구비되며, 홈에 상부 본체(100)의 돌출 돌기(11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관리기(1)를 미사용 상태일 경우, 돌출 돌기(110) 및 체결부(910)의 체결로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9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800)는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900) 사이의 공간에 접혀져 수납된다.A groove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910, and the protrusion 110 of the upper body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ccordingly, whe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is not in use,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9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protruding protrusion 110 and the fastening part 910 . In this case, the cover 800 is folded and stor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900 .

의류 진동부(200)Clothing vibrator (200)

이하, 도 5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의류 진동부(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8C .

도 5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진동부(200)는, 진동체(240);와, 모터(210)에 의해 회전하며, 그 외주면에 구동 홈(223)이 구비된 캠(220);과, 캠(2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진동체(240)와 연결된 바(230);와, 바(23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디바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제1, 2브라켓(250, 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A to 8C ,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includes a vibrating body 240; and a cam 220 rotated by a motor 210 and having a driving groove 223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And, a bar 230 disposed below the cam 220 and connected to the vibrating body 240; and,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bar 230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the first fixedly installed in the device. , 2 brackets (250, 2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캠(220)은 모터(210)에 연결되어 모터(210)에 의해 회전한다.The cam 220 is connected to the motor 210 and is rotated by the motor 210 .

캠(220)의 외주면에 제1돌출부(221)와, 제2돌출부(222) 및 구동 홈(223)이 구비된다.A first protrusion 221, a second protrusion 222, and a driving groove 223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220.

제1돌출부(221)는 캠(22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irst protrusion 221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m 220 .

제1돌출부(221)는 캠(220)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은 캠(2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이다.The first protrusion 221 is incli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220 . Here, the front-rear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cam 220 .

제2돌출부(222)는 제1돌출부(221)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second protrusion 22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trusion 221 in the rear direction.

제2돌출부(222)는 캠(22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second protrusion 222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m 220 .

제2돌출부(222)는 캠(220)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second protrusion 222 is incli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220 .

구동 홈(223)은 제1돌출부(221) 및 제2돌출부(222)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구동 홈(223)은 캠(220)의 회주면에 캠(220)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groove 223 is formed as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2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2 . Alternatively, the drive groove 223 may be concavely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220 toward the center of the cam 220 .

따라서, 구동 홈(223)은 제1돌출부(221) 및 제2돌출부(222)의 형상과 같게, 캠(220)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Accordingly, the driving groove 223 is incli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220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rotrusion 221 and the second protrusion 222 .

구동 홈(223) 내부에 바(230)의 구동 돌기(231)가 위치해 있다.The driving protrusion 231 of the bar 230 is located inside the driving groove 223 .

위와 같이, 제1돌출부(221), 제2돌출부(222) 및 구동 홈(223) 모두가 캠(220)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캠(220)이 회전되면, 구동 돌기(231)가 제1돌출부(221) 또는 제2돌출부(222)에 의해 가압되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all of the first protrusion 221, the second protrusion 222, and the drive groove 223 are incli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220, when the cam 220 is rotated, The driving protrusion 231 is pressed by the first protrusion 221 or the second protrusion 222 to reciproc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바(230)는 캠(220)의 하부에 배치된다. The bar 230 is disposed under the cam 220.

바(230)에 진동체(240)가 고정 설치되어 바(230)와 진동체(240)는 상호 연결된다.The vibrating body 240 is fixed to the bar 230 and the bar 230 and the vibrating body 240 are interconnected.

진동체(240)에 걸림부(241)가 구비된다. A locking portion 241 is provided in the vibrating body 240 .

걸림부(241)에 의류가 걸려 있는 의류 걸이대(10)가 걸린다. 따라서, 걸림부(241) 및 의류 걸이대(10)를 통해 의류가 진동체(240)에 걸리게 된다.The clothes hanger 10 on which clothes are hung is hung on the hanger 241 . Accordingly, the clothes are caught on the vibrating body 240 through the hanging portion 241 and the clothes hanger 10 .

진동체(240)의 진동에 따라, 의류가 진동되며, 이를 통해, 의류의 이물질이 털려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body 240, the clothes are vibrated, and through this, the foreign substances of the clothes can be removed.

진동체(240)의 일부는 상부 본체(100)의 바닥면의 구멍을 관통하며, 이를 통해, 진동체(240)의 하부 일부는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진동체(240)의 일부는 상부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A portion of the vibrating body 240 passes through a hole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dy 100, and through this, a lower portion of the vibrating body 240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0. That is, a part of the vibrating body 240 is located inside the upper body 100, and the other part is located below the upper body 100.

바(230)의 중앙 상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동 돌기(231)가 구비된다.A driving protrusion 231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on the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bar 230 .

구동 돌기(231)는 구동 홈(223) 내에 배치되어 캠(220)의 회전에 따라 바(23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바(230)는 캠(2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The driving protrusion 231 is disposed in the driving groove 223 so that the bar 230 reciprocat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220 . In other words, the bar 230 may reciproc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cam 220 .

바(230)의 좌측 단부의 상면에 제1레일 홈(236)이 구비되고, 바(230)의 좌측 단부의 하면에 제2레일 홈(237)이 구비된다.A first rail groove 236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end of the bar 230, and a second rail groove 237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end of the bar 230.

제1레일 홈(236) 및 제2레일 홈(237) 각각에 제1브라켓(250)의 제1레일(251) 및 제2레일(252) 각각이 삽입된다.The first rail 251 and the second rail 252 of the first bracket 25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rail groove 236 and the second rail groove 237, respectively.

따라서, 바(230)의 좌측 단부와 제1브라켓(250)이 상호 연결된다.Thus, the left end of the bar 230 and the first bracket 250 are interconnected.

제1레일 홈(236)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2레일 홈(237)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The first rail groove 236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second rail groove 237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제1레일(251)은 제1브라켓(25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레일(252)은 제1브라켓(25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irst rail 251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first bracket 250 downward, and the second rail 252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bracket 250 .

바(230)의 우측 단부의 상면에 제3레일 홈(238)이 구비되고, 바(230)의 좌측 단부의 하면에 제4레일 홈(239)이 구비된다.A third rail groove 238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end of the bar 230, and a fourth rail groove 239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end of the bar 230.

제3레일 홈(238) 및 제4레일 홈(239) 각각에 제2브라켓(260)의 제3레일(261) 및 제4레일(262) 각각이 삽입된다. The third rail 261 and the fourth rail 262 of the second bracket 260 are inserted into the third rail groove 238 and the fourth rail groove 239, respectively.

따라서, 바(230)의 우측 단부와 제2브라켓(260)이 상호 연결된다.Thus, the right end of the bar 230 and the second bracket 260 are interconnected.

제3레일 홈(238)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제4레일 홈(239)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The third rail groove 238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fourth rail groove 239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제3레일(261)은 제2브라켓(26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4레일(262)은 제2브라켓(26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third rail 261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second bracket 260 downward, and the fourth rail 262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bracket 260 .

제1브라켓(250) 및 제2브라켓(260)은 디바이스에 고정 설치된다.The first bracket 250 and the second bracket 260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device.

위와 같이, 제1, 2레일 홈(236, 237) 각각에 제1, 2레일(251, 252)이 삽입되고, 제3, 4레일 홈(238, 239) 각각에 제3, 4레일(261, 262)이 삽입되며, 제1, 2브라켓(250, 260)은 디바이스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캠(220)의 회전에 의해, 바(230)가 본체, 즉, 상부 본체(10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rails 251 and 252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rail grooves 236 and 237, respectively, and the third and fourth rails 261 are inserted into the third and fourth rail grooves 238 and 239, respectively. , 262) is inserted, and as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50 and 260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device, the rotation of the cam 220 causes the bar 230 to move relative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upper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move relativ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다시 말해, 바(230)는 그 좌우측 단부 각각이 제1, 2브라켓(250, 260) 각각의 제1 내지 제4레일(251, 252, 261, 26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230)는 제1 내지 제4레일(251, 252, 261, 262)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제1, 2브라켓(250, 260)은 상부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바(230)는 본체, 즉, 상부 본체(10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ar 230 are connected by the first to fourth rails 251, 252, 261, and 262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50 and 260, respectively, the bar 230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first to fourth rails 251, 252, 261, and 262,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50 and 260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body 100, so that the bar ( 230) is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ody, that is, the upper body 100.

이하, 캠(22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23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bar 230 by the rotation of the cam 2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5a 내지 도 5c의 의류 진동부(200)는, 의류 진동부(200)의 캠(220)은 제1상태에 있고, 바(230)는 제1위치에 위치해 있다.First, in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of FIGS. 5A to 5C , the cam 220 of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is in a first state and the bar 230 is located in a first position.

캠(220)의 제1상태는, 구동 홈(223)이 캠(220)의 상면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구동 홈(223)이 캠(220)의 하면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이다.The first state of the cam 220 i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groove 223 is located most rear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220 and the driving groove 223 is located most for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m 220 .

바(230)의 제1위치는 바(230)가 제1 내지 제4레일(251, 252, 261, 262) 상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의 위치를 말한다.The first position of the bar 230 refers to a position in which the bar 230 is positioned most forward on the first to fourth rails 251, 252, 261, and 262.

이 후, 모터(210)가 구동하여 캠(220)을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키면, 의류 진동부(200)는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motor 210 is driven to rotate the cam 220 clockwise by 90°, 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S. 6A to 6C.

도 6a 내지 도 6c의 의류 진동부(200)는, 의류 진동부(200)의 캠(220)은 제2상태에 있고, 바(230)는 제2위치에 위치해 있다.In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of FIGS. 6A to 6C , the cam 220 of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is in the second state and the bar 23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캠(220)의 제2상태는, 구동 홈(223)이 캠(220)의 좌측면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구동 홈(223)이 캠(220)의 우측면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이다.The second state of the cam 220 i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groove 223 is located most rearward on the left side of the cam 220 and the driving groove 223 is located most forward on the right side of the cam 220 .

바(230)의 제2위치는 바(230)가 제1 내지 제4레일(251, 252, 261, 262)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한 상태의 위치를 말한다. 즉, 제2위치는 제1위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위치이다.The second position of the bar 230 refers to a position in which the bar 230 is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n the first to fourth rails 251, 252, 261, and 262. That is,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located behind the first position.

이처럼, 의류 진동부(200)는, 모터(210)에 의해 캠(220)이 90° 회전하여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변화할 때, 구동 돌기(231)가 구동 홈(223)에 의해 가이드되어 바(230)가 제1, 2브라켓(250, 260)의 제1 내지 제4레일(251, 252, 261, 262) 내에서 제1위치에서 제1위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로 이동된다. As such, when the cam 220 is rotated 90° by the motor 210 to chang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moves the driving protrusion 231 by the driving groove 223. Guided, the bar 230 is positioned in the first to fourth rails 251, 252, 261, 262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50 and 26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located behind the first position. is moved to

따라서, 바(230) 및 진동체(240)는 본체, 즉, 상부 본체(100)를 기준으로 후방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Accordingly, the bar 230 and the vibrating body 240 are relatively moved in the rea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upper main body 100 .

이 후, 모터(210)가 구동하여 캠(220)을 시계방향으로 90° 더 회전시키면, 의류 진동부(20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motor 210 is driven to further rotate the cam 220 clockwise by 90°, the clothes vibrating unit 200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S. 7A to 7C .

도 7a 내지 도 7c의 의류 진동부(200)는, 의류 진동부(200)의 캠(220)은 제3상태에 있고, 바(230)는 제3위치에 위치해 있다. 즉, 제3상태는 제1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된 상태이다.In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of FIGS. 7A to 7C , the cam 220 of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is in the third state and the bar 230 is located in the third position. That is, the third state is a state rotated 180° clockwise from the first state.

캠(220)의 제3상태는, 구동 홈(223)이 캠(220)의 하면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구동 홈(223)이 캠(220)의 상면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이다.The third state of the cam 220 i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groove 223 is located most rear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m 220 and the driving groove 223 is located most for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220 .

바(230)의 제3위치는 바(230)가 제1 내지 제4레일(251, 252, 261, 262) 상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한 상태의 위치를 말한다. 즉, 제3위치는 제2위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위치이다.The third position of the bar 230 refers to a position in which the bar 230 is most rearward on the first to fourth rails 251, 252, 261, and 262. That is, the third position is a position located behind the second position.

이처럼, 의류 진동부(200)는, 모터(210)에 의해 캠(220)이 90° 더 회전하여 제2상태에서 제3상태로 변화할 때, 구동 돌기(231)가 구동 홈(223)에 의해 가이드되어 바가 상기 제1, 2브라켓(250, 260) 내에서 제2위치에서 제2위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위치로 이동된다. In this way, when the cam 220 is further rotated by 90° by the motor 210 to change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third state, the driving protrusion 231 is attached to the driving groove 223. The bar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located behind the second position withi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50 and 260.

따라서, 바(230) 및 진동체(240)는 본체, 즉, 상부 본체(100)를 기준으로 후방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Accordingly, the bar 230 and the vibrating body 240 are relatively moved in the rea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upper main body 100 .

이 후, 모터(210)가 구동하여 캠(220)을 시계방향으로 90° 더 회전시키면, 의류 진동부(200)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motor 210 is driven to further rotate the cam 220 clockwise by 90°, 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is in a state as shown in FIGS. 8A to 8C .

도 8a 내지 도 8c의 의류 진동부(200)는, 의류 진동부(200)의 캠(220)은 제4상태에 있고, 바(230)는 제2위치에 위치해 있다. 즉, 제4상태는 제1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270° 회전된 상태이다.In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of FIGS. 8A to 8C , the cam 220 of the clothing vibrating unit 200 is in the fourth state and the bar 230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at is, the fourth state is a state rotated 270° clockwise from the first state.

캠(220)의 제4상태는, 구동 홈(223)이 캠(220)의 우측면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하고, 구동 홈(223)이 캠(220)의 좌측면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한 상태이다.The fourth state of the cam 220 i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groove 223 is positioned most rearward on the right side of the cam 220 and the driving groove 223 is positioned most forward on the left side of the cam 220 .

이처럼, 의류 진동부(200)는, 모터(210)에 의해 캠(220)이 90° 더 회전하여 제3상태에서 제4상태로 변화할 때, 구동 돌기(231)가 구동 홈(223)에 의해 가이드되어 바가 상기 제1, 2브라켓(250, 260) 내에서 제3위치에서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2위치로 이동된다. In this way, when the cam 220 is further rotated by 90° by the motor 210 to change from the third state to the fourth state, the driving protrusion 231 is attached to the driving groove 223. Guided by the bar, the bar moves forward again from the third position withi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50 and 260 to the second position.

따라서, 바(230) 및 진동체(240)는 본체, 즉, 상부 본체(100)를 기준으로 다시 전방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Therefore, the bar 230 and the vibrating body 240 are relatively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upper main body 100.

이 후, 모터(210)가 구동하여 캠(220)을 시계방향으로 90° 더 회전시키면, 의류 진동부(200)는 캠(220)이 360° 회전하여 다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motor 210 is driven to further rotate the cam 220 clockwise by 90°, the clothing vibration unit 200 rotates the cam 220 by 360°, again as shown in FIGS. 5A to 5C. be in the same state

이처럼, 의류 진동부(200)는, 모터(210)에 의해 캠(220)이 90° 더 회전하여 제4상태에서 제1상태로 변화할 때, 구동 돌기(231)가 구동 홈(223)에 의해 가이드되어 바가 상기 제1, 2브라켓(250, 260) 내에서 제2위치에서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1위치로 이동된다. In this way, when the cam 220 is further rotated by 90° by the motor 210 to change from the fourth state to the first state, the driving protrusion 231 is attached to the driving groove 223. The bar is moved forward again from the second position withi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50 and 260 to the first position.

따라서, 바(230) 및 진동체(240)는 본체, 즉, 상부 본체(100)를 기준으로 다시 전방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Therefore, the bar 230 and the vibrating body 240 are relatively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agai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upper main body 100.

위와 같이, 캠(220)이 회전됨에 따라, 바(230) 및 진동체(240)는 전방 방향 및 후방 방향, 즉, 제1 내지 제3위치 내에서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진동체(24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As above, as the cam 220 rotates, the bar 230 and the vibrating body 240 reciproc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at is, in the first to third positions, and through this, the vibrating body ( 240) causes vibration.

전술한 구성을 갖는 의류 진동부(200)는 캠(220)의 구동 홈(223)을 통해 구동 돌기(231)를 가이드하여 구동 돌기(231)를 전후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바(230) 및 진동체(240)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따라서, 소음이 크게 저감된다.The clothes vibrating unit 2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guides the driving protrusion 231 through the driving groove 223 of the cam 220 and pushes the driving protrusion 231 forward and backward, thereby causing the bar 230 and vibration The sieve 240 is reciprocal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noise is greatly reduced.

또한, 종래의 크랭크 구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소형화에 적합하며, 이를 통해, 게임 컨트롤러, 전동 칫솔, 안마기 등 소형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rank structure,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and through this, it can be provided in small devices such as game controllers, electric toothbrushes, and massagers.

또한, 장기간 사용하여 교체를 할 경우, 캠(22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하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cam 220 needs to be replaced when it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maintenance is very simple.

의류 관리기(1)의 사용 예Example of using the clothes management machine (1)

이하,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의 사용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9(c), examples of use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미사용 상태일 경우, 돌출 돌기(110) 및 체결부(910)의 체결로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900)를 결합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use, the volume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900 can be minimized by coupling the protruding protrusion 110 and the fastening part 910 together.

따라서,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보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시에도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efficiently while taking up little space.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carried even when moving.

도 9(a)는 미사용 상태의 본 발명의류 관리기(1)를 외부 물체(20)에 매달아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FIG. 9(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used state is suspended from an external object 20. Referring to FIG.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미사용 상태일 경우, 상, 하부 본체(100, 900)를 결합한 상태로 외부 물체(20)에 매달려 구비될 수 있고, 바닥면(30)에 내려놓은 상태로 보관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9(a), whe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use, it can be hung from an external object 20 with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0 and 900 coupled thereto, It may be stored in a state where it is put down on the bottom surface (30).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를 통해서 외부 물체(20)에 매달려 바닥면(30)으로부터 공중에 떠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spended from an external object 20 through the upper body 100 and suspended from the bottom surface 30 in the air.

따라서, 미사용 상태에서 하부 본체(900)는 바닥면(3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부 본체(100)에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in an unused state, the lower body 900 may be provided in a form coupled to the upper body 100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30 .

이 때, 커버(800)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 구조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최소한의 부피로 접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800 may be provided in a folded form with a minimum volume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0 and 900 .

도 9(b)는 y축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외부 물체(20)에 따라 걸이부(300)를 y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사용 상태일 수 있다. 9(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rotating the hook 300 in the y-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object 20 provided in the y-axis direction (ie,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an illustrated diagram. In this case,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use.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최대한의 부피로 펼쳐진 커버(800) 및 커버(800)에 의해 상부 본체(100)에 매달린 하부 본체(900)를 구비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800 that is expanded to a maximum volume and a lower body 900 suspended from the upper body 100 by the cover 80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외부 물체(20)의 구비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에 따라 걸이부(300)를 회전시켜 매달림을 구현할 수 있다. The hanger-typ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hanging by rotating the hanger 300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rnal object 20 is provided (eg, the y-axis direc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외부 물체(20)의 형태나 공간 제약을 받지 않고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hape or space of the external object 20 .

이 경우,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를 통해서 외부 물체(20)에 매달리고, 커버(800)를 통해 무게를 갖는 하부 본체(900)를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의류 관리 동작 수행시, 의류 진동부(200)에 의해 외부 물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본체(100)에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하부 본체(900)에 의해 무게 중심을 유지하여 상부 본체(100)의 흔들림을 저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the external object 20 through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900 having a weight is placed under the upper body 100 through the cover 800. It can be provided in a hanging form. Due to thi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is performed, even if shaking occurs in the upper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rnal object 20 by the clothes vibration unit 200, the lower body 900 It is possible to prevent shaking of the upper body 100 by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그 결과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외부 물체(20)에 매달린 상태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상부 본체(100)의 흔들림에 따른 소음 발생, 파손 또는 손상의 문제없이 효과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while hanging from the external object 20, it does not cause noise, breakage, or damage caused by shaking of the upper body 100, and effectively operates the clothes care system. can be performed.

도 9(c)는 x축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외부 물체(20)에 따라 걸이부(300)를 x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9(c) shows a state in which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rotating the hook 300 in the x-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object 20 provided in the x-axis direction (ie, the left-right direction). It is an illustrated diagram.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외부 물체(20)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걸이부(300)를 회전시켜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age clothes by rotating the hanger 300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hape of the external object 20 .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에 의해 외부 물체(20)에 매달리는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특정 공간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며 고정 설치되는 형태 대비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사용 공간의 제한없이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spended from the external object 20 by the upper body 100 . This may be a form that is not fixedly installed in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ly,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pies a large volume in a specific space, occupies less space compared to a fixed installation type, and can be efficiently used without limiting the usable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전체 구성요소에 대한 매달림을 구현하는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상부 본체(100)의 무게 중심을 유지해줄 무게를 갖는 하부 본체(900)를 매다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매다는 형태로 구비되는 구조에 있어서 진동에 의한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ight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pper body 100 a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100, which implements hanging of all components of the hanging clothes management device 1. The lower body 900 may be connected in a hanging form. Due to this, the hanging type clothes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tably by minimizing shaking of the hanging type clothes care device 1 due to vibration in the hang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의류 관리기(1)는 위치 이동시켜 이동식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고, 미사용시 상, 하부 본체(100, 900)를 결합하는 구조에 의해 부피를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보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and used, and when not in use,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0 and 900 can be combined to minimize the volume and can be conveniently stor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 의류 관리기
10: 의류 걸이대 20: 외부 물체
30: 바닥면
100: 상부 본체 110: 돌출 돌기
200: 의류 진동부 210: 모터
220: 캠 221: 제1돌출부
222: 제2돌출부 223: 구동 홈
230: 바 231: 구동 돌기
236: 제1레일 홈 237: 제2레일 홈
238: 제3레일 홈 239: 제4레일 홈
240: 진동체 241: 걸림부
250: 제1브라켓 251: 제1레일
252: 제2레일 260: 제2브라켓
261: 제3레일 262: 제4레일
300: 걸이부 400: 열풍 공급부
500: 스팀 공급부 700: 배기부
800: 커버 800a: 수용 공간
900: 하부 본체 910: 체결부
1: Garment manager
10: clothes hanger 20: external object
30: bottom surface
100: upper body 110: protrusion
200: clothing vibration unit 210: motor
220: cam 221: first protrusion
222: second protrusion 223: driving groove
230: bar 231: driving protrusion
236: first rail home 237: second rail home
238: 3rd rail home 239: 4th rail home
240: vibrating body 241: hanging part
250: first bracket 251: first rail
252: second rail 260: second bracket
261: third rail 262: fourth rail
300: hook part 400: hot air supply part
500: steam supply unit 700: exhaust unit
800: cover 800a: accommodation space
900: lower body 910: fastening part

Claims (7)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에 구비된 걸이부; 및
상기 상부 본체에 구비되는 의류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진동부는,
상기 상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
회전하는 상기 캠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 및
상기 바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진동되며,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면에 돌출되어 의류 걸이대가 걸리는 진동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upper body;
a hook provided on the upper body; and
And a clothing vibrating unit provided in the upper body,
The clothing vibration unit,
a cam provided inside the upper body and rotated by a motor;
a bar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rotating cam; and
and a vibrating body installed under the bar, vibrat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the bar reciprocat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to hang a clothes 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 홈을 포함하며,
상기 바는 상기 구동 홈 내에 위치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동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캠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 돌기가 상기 구동 홈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바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고, 상기 바의 전후 방향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진동체가 진동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m includes a drive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ar includes a driv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be located in the driving groove,
When the cam is rotated by the motor, the driving protrusion is guided by the driving groove to reciprocate the b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vibrating body vibrates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홈은 상기 캠의 외주면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2,
The driving groove is incli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제1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바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바와 상기 상부 본체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A clothes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bracket connecting the bar and the upper body to guide the bar reciprocat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의 좌측 단부와 상기 상부 본체를 연결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바의 우측 단부와 상기 상부 본체를 연결하는 제2브라켓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4,
The bracket is
a first bracket connecting the left end of the bar and the upper body; and
and a second bracket connecting the right end of the bar and the upp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본체의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매달리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body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upper body; and
A clothes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lower body hanging from a lower side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는, 상기 걸이부에 의해 외부 물체에 매달리며, 상기 상부 본체에 의해 상기 하부 본체가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있는, 의류 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body is suspended from an external object by the hook part, and the lower body is suspended in the air from a bottom surface by the upper body.
KR1020220071049A 2021-05-10 2022-06-10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2015296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049A KR20220152961A (en) 2021-05-10 2022-06-10 Laundry trea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824A KR102409890B1 (en) 2021-05-10 2021-05-10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0220071049A KR20220152961A (en) 2021-05-10 2022-06-10 Laundry treating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24A Division KR102409890B1 (en) 2021-05-10 2021-05-10 Laundry treat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961A true KR20220152961A (en) 2022-11-17

Family

ID=819873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24A KR102409890B1 (en) 2021-05-10 2021-05-10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0220071049A KR20220152961A (en) 2021-05-10 2022-06-10 Laundry treating machi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24A KR102409890B1 (en) 2021-05-10 2021-05-10 Laundry trea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989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25B1 (en) 2008-08-19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835A (en) * 2011-09-06 2013-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ortable clothes treating machine
KR101600788B1 (en) * 2014-10-29 2016-03-08 양준식 refreshing apparatus of clot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25B1 (en) 2008-08-19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890B1 (en)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3541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329073B1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KR101155002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US20090113944A1 (en) Washing machine
KR101600788B1 (en) refreshing apparatus of clothes
KR100524400B1 (en) Laundry dry machine
GB2511432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46457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lothes
US2023013854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10099914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90152Y1 (en) Clothes cleaning device
KR2019014014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60419B1 (en) moving unit for hanger of clothes care apparatus
KR20220152961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2007827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21216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439471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20170135113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10099913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1800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driving assembly the same
KR102592052B1 (en) Rotatable Hanger Typ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567897B1 (en) Hanger Typ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485964B1 (en) Hanger Type Laundry Treating Machine
JP2016129535A (en) Cloth material processing device
KR101989104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