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519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519A
KR20220152519A KR1020220143529A KR20220143529A KR20220152519A KR 20220152519 A KR20220152519 A KR 20220152519A KR 1020220143529 A KR1020220143529 A KR 1020220143529A KR 20220143529 A KR20220143529 A KR 20220143529A KR 20220152519 A KR20220152519 A KR 20220152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oor
motor
refrigerat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6874B1 (en
Inventor
최대진
배원섭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0949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8922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28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6815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74B1/en
Publication of KR20220152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519A/en
Priority to KR1020230061612A priority patent/KR1026202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at is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easily introduce or remove goods into or from the refrigerat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at is capable of enabling a drawer for receiving goods to be more conveniently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door hinged to the cabinet to be able to rotat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the rotating angle of the door; a goods keeping member arrang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starting linear motion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if the door rotates by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rotating angle; a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allowing the goods keeping member to perform linear motion;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goods keeping member, which is moving linearly; and a motor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motor so that the goods keeping member can move linearly toward the first position when the first sensor detects that the door rotates b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et rotating angle after the second sensor detects that the goods keeping member starts linear motion.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입/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take in/out stored item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accommodating stored items can be easily used.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freezes or refrigerates food by discharging cool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the like to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frigerator.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Refrigerators generally include a freezing compartment for freezing and storing food or beverages as a storag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s at a low temperature.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Refrigerators are of the top mount type where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he bottom freezer type where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be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side-by-side type where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Side By Side Type). In this case, doors are provided in each of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can be accessed through the door.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구분되는 냉장고 외에, 하나의 도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부분 소형이며, 냉장실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 냉동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In addition to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 is also a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accessed through a single door. Most of these refrigerators are small, and a freezing compartment is generally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또한,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중에서도 상부의 냉장실을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하는 형태의 프렌치 타입(French Type) 냉장고도 제공되고 있다. 프렌치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도 마찬가지로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op-mounted refrigerators, a French type refrigerator in which an upper refrigerating compartment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left and right doors is also provided.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French type refrigerator can als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doors.

냉장실과 냉동실에는 저장물이 놓이는 선반이나 저장물이 담겨있는 수납 박스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수납 박스는 저장실 내부에서 독립적인 저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채소나 과일 등을 다른 저장물과 독립적으로 보관하거나 육류나 어폐류 등을 다른 저장물과 독립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수납 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In general,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freezing chamber are provided with shelves on which stored items are placed or storage boxes containing stored items. The storage box is generally provided to form an independent storage spac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a storage box may be provided to store vegetables or fruits independently of other storage objects or to store meat, fish, or the like independently of other storage objects.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냉장실이나 냉동실과 같은 저장실의 전후 폭이 커지게 되므로, 내부 깊숙히 저장되어 있는 저장물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수납 박스는 대부분 드로워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수납 박스를 잡아당겨 인출하여 내부의 저장물을 꺼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드로워 형태의 수납 박스는 대부분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capacity of refrigerators has tended to increase. Therefore, since the front-to-rear width of the storage compartment, such a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is increased, it is not easy to withdraw the stored goods stored deep inside. Accordingly, storage boxes are mostly provided in the form of drawers. That is, the user can pull out the storage box to take out the storage inside. In particular, most of these drawer-type storage boxes are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refrigerator to enhance user convenience.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홈 바(home-bar),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어, 도어 배면을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별도의 기능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즉, 도어의 기능이 단순히 냉동실이나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을 넘어서, 도어가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거나 얼음이나 냉수의 생성 및 공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어 배면이 냉장실이나 냉동실 내부로 인입되는 거리가 더욱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도어 배면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구비되는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단부가 도어의 배면과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ly, a home-bar, an ice maker, a shelf, or a door box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a refrigerator door, so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back of the door as a separate storage space or as a separate functional space. have. That is, the function of the door goes beyond simp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hamber or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door forms a separate storage space or perform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generating and supplying ice or cold water. For this reason, the distance at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is drawn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or the freezing chamber is getting longer. Therefore,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front end of the shelf or storage box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ing or freezing compartment may interfer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이러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단부는 냉장고의 본체 전면에서 소정 거리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단부는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후방으로 더욱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박스가 드로워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수납 박스의 전단부를 잡고 인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손을 저장실 내부로 더욱 깊이 넣은 후 수납 박스를 인출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수납 박스가 냉장고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웅크린 자세에서 손을 뻗어 수납 박스를 인출하는 것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라 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such interference, the front end of the shelf or storage box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helf or storage box may be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reezing chambe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refore, when the storage box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drawer,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grab and withdraw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box. In other words, the user may have difficulty in withdrawing the storage box after inserting his/her hand deeper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In particular, when the storage box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it is inconvenient to stretch out and withdraw the storage box from a crouching position.

사용자가 수납 박스를 인출하기 위해 도어를 열었을 때, 수납 박스의 전단부(즉, 수납 박스의 손잡이)가 사용자 바로 앞에 있지 않고 저장실 깊숙이 위치되어 있다고 상상하면, 이러한 불편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nconvenience can be easily understood by imagining that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to withdraw the storage box, the front end of the storage box (ie, the handle of the storage box) is located deep in the storage compartment instead of directly in front of the user.

한편, 종래의 냉장고에서의 드로워 특히 냉동실의 드로워는 레일을 통해서 인입 및 인출된다. 일반적으로 레일은 저장실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에는 레일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연결부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드로워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a drawer in a conventional refrigerator, particularly a drawer in a freezer, is drawn in and out through a rail. In general, a rail is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rail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the drawer. The rail connection pa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ller so that the drawer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ail.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드로워는 드로워를 레일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드로워에 무거운 저장물들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드로워를 든 상태에서 레일에 롤러를 끼워 맞추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라 할 수 있다. However, with this type of drawer, it is not easy to couple the drawer to the rail. Particularly, in a state in which heavy items are stored in the drawer,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fit the roller to the rail while holding the drawer.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드로워를 인출시킨 후 저장물들을 수납하거나 저장물들을 꺼내는 것이 아닌, 드로워 전체를 냉장고에서 분리시킨 후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일이 상기 레일에서 상기 레일 연결부를 분리시키고 다시 결합하는 것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자는 드로워의 분리 필요성을 알면서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Also, if necessary, the drawer may be used after the entire drawer is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instead of withdrawing the drawer and then storing or taking out the stored items. In this case, it would be cumbersome to separate the rail connecting parts from the rails and reconnect them. Therefore,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t can be said that most users use the drawer without separating it even though they know the necessity of separating the drawer.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냉장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asically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었을 때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자동으로 소정 길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provided in a storage compartment is automatically drawn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a user opens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automatically moves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 이외에 추가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dditional force other than force to open a door by automatically moving a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through an electric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닫았을 때 자동으로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드로워를 인출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임과 동시에,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드로워를 인입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can automatically return from an operating position to an initial position when a user closes a door of the refrigerator. 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a user's effort to withdraw a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a user's effort to withdraw a drawer from an operating position to an initial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driving unit and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a spr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 시 자동으로 이동하는 드로워 사이에 간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도어 열림(닫힘) 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각도에서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automatically moving drawers when a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sensor that very accurately detects a door opening (closing) angle. That is, when a door opening (closing) angle at which interference between a door and a drawer is minimized is set, a refrigerator capable of detecting door opening (closing) very accurately at the set angl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기설정된 도어 열림 각도가 제품 모델에 따라 변경이 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oor open detection sensor that can flexibly respond even when a preset door open angle is changed according to a product model,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도어의 열림 감지와 도어의 닫힘 감지가 동일한 각도일 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conventional refrigerators and can detect when door open detection and door close detection are at the same angle through a single sens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동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고 미려한 저장실 내부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s convenient to use and has a beautiful interior design of a storage compartment, which can protect an electric drive unit by preventing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a drawer from being exposed to the inside of a storage compartment. .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oving a plurality of drawers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through a single electric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입 및 인출이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 또는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전동 구동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automatically pulling in and out of a drawer with reliability and durability.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to an electric driving unit due to overload or long-term repetitive use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와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 구동부 등 이러한 구성들과 연관되는 구성들을 용이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필요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components related to these components, such as an automatically withdrawn drawer and an electric drive unit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and at the same time, easily repaired when necessary. want to prov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일체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are integrally and automatically withdrawn and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에 상기 드로워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a rail supporting the draw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레일과 드로워의 레일 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유지한 채, 바스켓만 용이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Thr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nd combining only a basket accommodating stored goods in a drawer. That i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nd recombining only the basket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connecting portion of the draw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레일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visible exposure of a rail to a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드로워에 대한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a load on a motor and flexibly responding to various use environments of a drawer.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드로워 홀더;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드로워 홀더를 탄성 변형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provided to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a drawer holder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and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drawer moves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 electric driving unit that moves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and elastically deforms the drawer holder; In addition, a refrigerator including a rail provided to allow the drawer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 방향 및 거리에 따라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제거되면,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의 전방 이동(인출)은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되며, 드로워의 후방 이동(인입)은 드로워 홀더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rawer holder includes a hang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a spring elastically deformed or elastically restored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hanging member. That is, when the drawer is moved forward in a state in which the hang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rawer, the spring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ddition, when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is removed while the hook member is connected to the drawer, the drawer may be moved backward by elastic restoration of the spring. Accordingly, forward movement (withdrawal) of the draw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and backward movement (retracting) of the draw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rawer holder.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드로워 홀더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hold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holder.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걸이부재가 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드로워와 함께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rawer holder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 slot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and guiding movement of the hanging member. The housing is provided in a fixed state, and the hanging member mov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Of course, the hang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move together with the drawer.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hanging member may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 및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ic driver may include a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and the moving frame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includes a transmission member that transmits force to the drawer, and the transmission member pushes the drawer so that the drawer can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는 하나의 걸림부재를 통해서 자동 인출 및 자동 인입이 가능하게 된다. The motor drive unit may include a motor assembly and a transmission member tha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and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provided to move the hooking member of the drawer forward through the hooking member. Therefore, automatic withdrawal and automatic withdrawal are possible through one holding member provided in the drawer.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드로워 홀더의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의 돌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걸이부재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hang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housing of the drawer holder and is connected to the hanging member of the drawer, and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anging memb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hanging member.

상기 걸이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부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달부재로부터 상기 걸이부재로 안정적인 힘과 변위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Preferably, a seat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ging member to be seated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on memb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mit force and displacement from the transmission member to the hanging member.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이 상기 걸이부재에 전달되며,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상기 걸이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를 밀도록 구비되지만 당기도록 구비되지는 않는다. As the transmission member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moves forward, the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hanging member, and when the transmission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moves backward,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hanging member is preferably disconnected.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to push the hook member, but is not provided to pull it.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드로워 홀더; 상기 걸이부재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전달부재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holding member so as to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forward to an operation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a drawer holder including a hold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lding member and a spring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or elastically restored by movement of the holding member; an electric driving unit including a transmission member that pushes the hook member to move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and a motor assembly that electrically moves the transmission member; In addition, a refrigerator including a rail provided to allow the drawer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간에서 드로워의 인출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tching member and the catching member is maintained in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Accordingly,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in the section.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더욱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동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드로워의 인출이 더 이상 상기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을 탄성 변형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은 탄성 변형된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As the drawer is further drawn forward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tching member and the catching member is released, so that the drawer can be manually withdrawn. That is,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tching member and the catching member is released,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no longer elastically deforms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And,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 spring is preferably maintained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상기 드로워를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전달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더 이상 상기 드로워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In order to move the drawer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driving unit is driven to move the transmission member rearwar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is no longer transmitted to the drawer. Accordingly, as the spring is elastically restored, the hooking member moves the hooking member rearward so that the drawer can be return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rawer holder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slot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pring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hanging member.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드로워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hanging member may protrude from the housing toward the drawer and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이부재를 전방으로 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transfer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atching member, and is provided to push the catching member forward from the rear of the catching member.

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들 각각에 상기 전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달부재를 일체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 and down,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the electric drive unit is provided to integrally move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May contain moving frames.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이격되도록 상기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접점 전환을 위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을 갖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magnet provided on the door and provided to rotate with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around a rotational axis of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It is provid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magne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abinet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door, and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reache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the effective magnetic force strength for switching the contact point A refrigerator including a reed switch having a critical point of can be provided.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직 거리는 유지되고 수평 거리만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 스위치와 상기 마그넷의 수평 거리가 임계점을 벗어나면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로 개방됨을 감지하게 된다. The magnet may be provided such that a vertical distance to the reed switch is maintained and only a horizontal distance is varied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changed. Accordingly, whe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and the magnet deviates from a critical point, the reed switch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magnet may be mounted inside a door decoration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reed switch may be provided below the magnet.

상기 도어의 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좌우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수직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otation shaft of the door is formed as a vertical shaft so that the door rotates left and right to open and clos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binet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축에서 상기 캐비닛의 좌우 중심 쪽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The reed switch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may be provided biased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cabinet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지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힌지 커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reed switch is preferably provided on a hinge cover that forms a rotation axis of the door and is form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의 수직 상부를 지나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평 거리가 증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 is preferably provided such that a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reed switch increase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passing through a vertical upper part of the reed switch.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 전환에 의해서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이 감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점 전환은 동일한 도어 개방 각도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개방 각도는 대략 9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되어 90도 각도까지 개방되면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어는 더욱 개방될 수 있다. 도어가 90도를 초과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히면서 90도 각도까지 닫히면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is sensed by switching the contacts of the reed switch.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change is performed at the same door opening angle. The door opening angle may be set to approximately 90 degrees. When the door is opened to an angle of 90 degrees,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is switch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door can be sensed. After that, the door may be further opened. When the door is closed at an angle of more than 90 degrees while the door is opened at an angle of more than 90 degrees,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is switched so that closing of the door can be sensed.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마그넷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오차 및 제품들 사이의 편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magne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different horizontal angles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Through this, errors and deviations between produc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only one magnet.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길이 방향이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수평 마그넷과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 마그넷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 마그넷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 may include a horizontal magnet provided so that a longitudin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a vertical magnet provid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agne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a closed state of the door.

상기 마그넷은 막대 자석이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의 높이에 비하여 길이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gnet is a bar magnet, and preferably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height of the magnet in a mounted state.

상기 리드 스위치는 가로변과 세로변을 갖는 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의 길이가 세로변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 마그넷과 수직 마그넷의 길이는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ed switch may be provid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horizontal side and a vertical side.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ide of the reed switch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vertical side. Preferably,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vertical magnet are greater than the horizontal sides of the reed switch.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90도일 때,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 사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90도임이 바람직하다.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9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horizontal side of the reed switch is substantially 90 degrees.

상기 수평 마그넷의 상기 도어 회전축에 대한 회전 반경이 상기 수직 마그넷의 회전 반경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horizontal magne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vertical magnet.

상기 임계점에 해당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도어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평 마그넷이 장착되고, 상기 임계점에 해당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도어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상기 수평 마그넷이 장착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the horizontal magnet is mount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decreases, and to decreas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the horizontal The horizontal magnet may be mounted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door increases.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마그넷,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에 의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에서 접점이 전환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reed switch provided on the door and fixed to a magnet having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arou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and fixed to the cabinet and having a contact switched at a critical point of effective magnetic force strength by the magnet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door is open when the door reache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an electric driving unit for moving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forward to an operating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In addition, a refrigerator including a rail provided to allow the drawer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직 거리는 유지되고 수평 거리만 가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s provided such that a vertical distance to the reed switch is maintained and only a horizontal distance is varied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changed.

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s mounted inside a door decoration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reed switch is provided below the magnet.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agnet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different horizontal angles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는 바스켓 안착부와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과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 쉽게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로워 프레임은 상기 레일 결합부를 통해 상기 레일에 쉽게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rail supporting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drawer includes: a basket accommodating storage; In addition,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drawer frame including a baske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basket is seated and a rail coupling portion seated on the rail and coupled to the rail. Accordingly, the baske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rawer frame. In addition, the drawer frame may be easi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rail through the rail coupling part.

상기 바스켓은 수직 하방으로 상기 바스켓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바스켓은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asket is seated on the basket seat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drawer frame, and the basket is disengaged from the drawer frame while moving vertically upward.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An opening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rawer frame, and the seating portion may be formed around the opening.

상기 바스켓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하부 바스켓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스켓과 상부 바스켓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ket may include a lower baske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an upper basket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lower basket and the upper basket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바스켓보다 좌우 폭이 더욱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레일 및 레일 결합부가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frame, and the upper basket has a wider left and right width than the lower basket so as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from an upper por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l and the rail coupling part from being visually exposed to the user.

상기 레일은, 상기 드로워와 일체로 전후 이동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ail includes a movable rail that moves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drawer.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상기 이동 레일을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ail coupling part may be formed in a channel-shaped cross section so that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seated while surrounding the movable rail.

상기 이동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걸려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방 이동과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hooking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ovable rail to restrict rearward movement and upper moveme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by catching a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ooking part may be formed such that a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is inserted.

상기 이동 레일의 전단에는 탄성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가 탄성 변형된 후 탄성 복원되면서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An elastic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movable rail, and a mounting hole into which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restored after being elastically deformed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상기 걸림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 돌기가 탄성 변형된 후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as the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moves downward, the elastic protrusion may b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and coupled thereto.

즉,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방이 후방보다 높게 위치시킨 후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을 먼저 상기 걸림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레일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의 좌우 및 전후 위치가 가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방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방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 돌기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다. 이로써 레일 결합부의 좌우 전후 지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레일 결합부를 레일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좌우에 각각 위치한 탄성 돌기를 누를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돌기를 누른 상태에서 레일 결합부의 전방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레일 결합부의 전방과 레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레일 결합부를 전방으로 당긴 후 레일 결합부 전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레일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rear portion,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may be first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Through this,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rail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ail may be tentatively determined. Thereafter, the front of the rail coupling part may be moved downward. When the front of the rail coupling part is moved downward, the elastic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front and back support points of the rail coupling part may be formed. Therefore, the rail coupling part can be coupled to the rail very easily. Conversely, the user may press the elastic projection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en, while pressing the elastic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lift the front of the rail coupling part upward. Through this,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of the rail coupling part and the rail is released. Thereafter, the user may pull the rail coupling portion forward and then lift the entire rail coupling portion upward. As a result, the rail coupling part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ail.

한편, 상기 레일 결합부가 형성된 드로워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과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 프레임을 먼저 레일 결합부에 결합시킨 후 드로워 프레임과 바스켓을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분리 순서는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에 저장물이 저장된 상태에서는 드로워 자체의 무게가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 전체를 레일에서 한 번에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바스켓과 드로워 프레임이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로워를 레일에 결합시키거나 레일에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Meanwhile, the drawer frame formed with the rail coupling portion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ke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user may first couple the drawer frame to the rail coupler and then couple the drawer frame and the basket. Of course, the order of separation can be performed in reverse. The weight of the drawer itself may be considerable in a state in which stored goods are stored in the baske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or couple the entire drawer from the rail at once. However, since the basket and the drawer fram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it is very easy to couple the drawer to the rail or separate it from the rail.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드로워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프레임은 상기 탄성 돌기와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전후좌우 4개의 지지점을 통해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movable rai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and the drawer frame is fixed to the movable rail through four support points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by the elastic protrusion and the hooking portion.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 레일 하부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고정된 고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ail includes a fixed rail provided below the movable rail and fix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movable rail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상기 드로워는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기 드로워의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전방 하부에 좌우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데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데코를 통해서 상기 레일과 레일 결합부가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drawer preferably includes a drawer decoration provided to extend left and right at the front lower part of the basket to cover the rail coupling part from the front of the draw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il and the rail coupling part from being visually exposed to the user through the drawer decoration.

구체적으로, 레일과 레일 결합부의 상부에서는 바스켓이 커버하고 전방에서는 상기 드로워 데코가 커버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baske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rail and the rail coupling part, and the drawer decoration covers the front part.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과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including a drawer frame provided with a basket accommodating stored items and a rail coupling part; And a rail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ortion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so as to be se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ail and surround the rail, A locking portion into which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rail, and an elastic protrusion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rail. have.

상기 레일은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ail includes a movable rail and a fixed rail slidably supporting the movable rail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rail, and the rail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movable rail.

상기 장착홀은 상기 이동 레일의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어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unting hole is formed in a side flange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rail, and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eft and right center directions of the drawer and then restored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상기 고정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를 상기 고정 레일에 형성하기 위한 탄성 돌기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과 상기 탄성 돌기 사이에는 상기 탄성 돌기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하여 절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성 자체의 탄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탄성 돌기 브라켓이나 탄성 돌기의 구조가 매우 단순할 수 있다. Preferably, an elastic protrusion bracket for forming the elastic protrusion on the fixed rail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xed rail, and a cutout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 bracket and the elastic protrusion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rotrusion. .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protrusion bracket or the elastic protrusion can be very simple because the elasticity of the structure itself is used.

상기 장착홀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상기 장착홀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탄성 돌기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mounting hole or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the elastic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round shape.

상기 레일은, 상기 고정 레일을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레일 브라켓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rail preferably includes a rail bracket for fixing the fixing rail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고정 레일의 전후에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각각 구비되는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드로워 또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The rail bracket preferably includes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respective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in front and behind the fixed rail. Thus, the rail can be stably supported. Through this, the drawer can also be stably supported.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의 측벽 쪽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재는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rawer frame is provided with a hook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transmission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drawer frame from the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push the hooking member from the rear of the hooking member. It can be.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An electric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move the locking memb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to move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forward to a manipulation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이러한 전달부재의 전후 이동이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와 걸림부재는,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may be interfered with by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are provided to mov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in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of the drawer.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레일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저장실의 측벽 쪽에 지지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저장실 측벽 쪽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including a basket accommodating stored items, a rail coupling part, and a drawer frame provided with a holding member protruding toward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rail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art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supported toward a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and a transmission member protruding from a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ward the drawer frame, and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the transmission member moves the holding member to move the drawer for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and an electric driving unit for moving the drawer to an operating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transfer member is configur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in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and the operating position. I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v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may be provided.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일체로 상기 저장실의 우측 또는 좌측 측벽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무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holding member;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Further,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moving assembly coupled to the drawer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tegr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right or left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측벽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에서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프레임, 모터 어셈블리, 레일 그리고 무빙 프레임 전체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통해서 일체로 상기 측벽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assembly may include a support fram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ide wall; a motor assem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facing the side wall;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transmission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in a space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support frame, and passing through the support frame to push the holding member from the rear. may contain frames. Accordingly, the support frame, the motor assembly, the rail, and the entire moving frame may be integrally and detachably provided on the sidewall through the support frame.

상기 측벽은 좌우로 저장실을 각각 구획하는 격벽이며,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The sidewall is a partition wall that partitions the storage chamber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moving assembly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of a left side or a right side of the sidewall.

상기 격벽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motor assembly passes is formed in the barrier rib.

상기 격벽의 좌우에 각각 무빙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관통부는 일측의 모터 어셈블리와 타측의 모터 어셈블리가 각각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로 인하여 상기 격벽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격벽의 두께 증가로 인한 저장실 공간의 축소를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When the moving assemblies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lkhead,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assembly on one side and the motor assembly on the other side of the penetrating part pass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and are disposed vertical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rrier rib from increasing in thickness due to the motor assembly.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eduction in storage space due to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bulkhead.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격벽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관통부를 덮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frame is provided to cover the penetrating portion as it is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상기 격벽에는 상기 격벽을 내부를 통해 전선을 연장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An opening for extending an electric wire through the inside of the barrier rib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rib.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모터 어셈블리까지 연장되기 위한 전선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말단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결선되기 위한 결선부 또는 전선 결합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wire penetration part for extending the wire to the motor assembly is formed in the barrier rib, and a connection part or wire coupling part for connecting the wire to the motor assembly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wire.

따라서, 상기 전선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가 결선된 후, 상기 무빙 어셈블리가 일체로 상기 측벽 또는 격벽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무빙 어셈블리를 일체로 상기 측벽 또는 격벽에서 분리된 후 상기 전선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결선이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무빙 어셈블리를 상기 측벽 또는 격벽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Therefore, after the motor assembly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 coupling part, the moving assembly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or the bulkhead. Conversely, after the moving assembly is integrally separated from the sidewall or the bulkhead, the wiring of the motor assembly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wire coupler. Thereafter, the moving assembly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or the bulkhead.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복수 개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지지부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arts of the support frame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모터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모터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회피홈을 통해서 상기 격벽 전체의 두께가 증가하거나 상기 지지 프레임 전체가 저장실 내부로 돌출되는 체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저장실의 공간의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 motor avoidance groove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motor of the motor assembly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Through the motor avoidance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bulkhead or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entire support frame protruding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his means that the reduction of the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minimized.

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레일은 복수 개의 레일을 지지하도록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모터 회피홈은 특정 레일과 상기 특정 레일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는 레일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drawers are provided vertically, a plurality of rails are provided vertically to support the plurality of rails, and the motor avoidance groove is formed between a specific rail and a rail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specific rail. desirable.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전후로 형성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슬릿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slit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li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상기 레일은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상기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ail is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through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and the slit is form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의 인입 시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에 제공하는 드로워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홀더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The moving assembly includes a drawer holder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pulled out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pulled in, and the drawer holder i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It is desirable to be

상기 드로워 홀더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스프링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발생시키며,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drawer holder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 slo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pr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anging member that moves along the slot, causes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of the spring, a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 결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drawer may include a basket for accommodating storage;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ail coupling part formed in a channel shape so as to be se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rail and surround the rail.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hooking portion into which a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rail, and an elastic protrusion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a front side of the rail.

상기 드로워는,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는 바스켓 안착부와 상기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rawer includes a drawer frame having a baske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basket is seated and the rail coupling portion.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서 상기 저장실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hold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drawer frame toward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일체로 상기 저장실의 우측 또는 좌측 측벽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무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며, 전후로 슬릿이 형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측벽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에서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holding member;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and a moving assembly coupled to the drawer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tegr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right or left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moving assembly comprises: a support fram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ide wall and having slit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a motor assem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facing the side wall;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moving frame including a transmission member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in a space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support frame, and passing through the slit to push the holding member from the rear. A refrigerator including a may be provided.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전선이 상기 모터 어셈블리까지 연장되기 위한 전선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말단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결선되기 위한 결선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wire penetration part for extending the wire to the motor assembly is formed in the barrier rib,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wire to the motor assembly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wire.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상기 인출 단계 후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을 유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정지하는 정지 단계; 그리고 상기 정지 단계 후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e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a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a cabinet and a motor, and pushing the drawer by driving the motor to initialize the drawer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including a transfer member that automatically withdraws the drawer from a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in a standby state; a withdrawal step of pulling out the drawer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by moving the transmission member forward by driving the motor in one direction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determination step; a stop step of stopping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by maintaining the one-way driving of the motor after the withdrawing step; 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returning step of returning the transfer member to the rear by driving the motor in a reverse direction after the stopping step.

상기 정지 단계에서 상기 드로워는 조작위치에서 정지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은 유지된다. 즉,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은 유지하게 된다. 즉, 모터의 일방향 구동이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가 자동으로 조작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더욱 인출하려고 하는데도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stopping step, the drawer is stopped at the operating position. However, unidirectional driving of the motor is maintained. That is,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is maintain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one-way driving of the motor is maintained, the automatic retracting of the drawer may be prevent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wer from being automatically drawn in even when the user tries to further withdraw the drawer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상기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대기 상태의 시작을 위해,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기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초기화하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냉장고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전달부재가 초기 위치와는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an initial step of moving the transmission member to the initial position by driving the motor in a reverse direction to start the standby state is preferably inclu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n initializing step is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transfer member may be located at a different location from the initial location when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initial st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initial position or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판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대기 상태가 시작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when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in the initial step, a standby state for performing the determining step is started.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initial stage, when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manipulation position or the motor is driven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a notification step for notifying an operation abnormality is preferably performed.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withdraw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is drive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manipulation position or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상기 모터는 BLDC(Brushless DC) 모터이며,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시 발생하는 신호(FG, Frequency generator)를 산출하여 산출된 FG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듀티비(duty ratio)를 달리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FG의 산출은 소정 시간마다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100 ms(밀리세컨드)마다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FG가 클수록 상기 듀티비를 크게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The motor is a BLDC (Brushless DC) motor, and in the drawing step, a signal (FG, Frequency Generator) generated during rotation of the motor is calculated, and the duty ratio for driving the mot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control is desirable. The calculation of the FG is preferab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every 100 ms (milliseconds). And,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uty ratio as the calculated FG increases.

상기 인출 단계 도중, 상기 산출된 FG가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방해하는 장애물에 대응하는 장애물 FG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지 단계가 수행되지 않고 상기 복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During the withdrawing step, when the calculated FG is smaller than an obstacle FG corresponding to an obstacle obstructing the withdrawing of the draw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ing step is not performed and the returning step is performed.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withdrawing step, when a signal is generated from a first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initial position or the motor is driven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a notification step for notifying an operation abnormality is preferably performed. .

상기 정지 단계는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듀티비 중 최소 듀티비로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stopping step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minimum duty ratio among duty ratios for driving the motor.

상기 정지 단계에서 FG를 산출하며, 상기 정지 단계 도중 산출된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복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FG is calculated in the stopping step, and when the FG calculated during the stopping step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FG, the returning step is performed.

상기 복귀 단계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함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returning step includes stopping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return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all sensor that detects the initial position or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so that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returning step, when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hall sensor for detecting the manipulation position or the motor is driven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a notification step for notifying an ab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and converted to the standby state.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소정 개방 각도일 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센서를 통한 도어 개방 신호의 발생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refrigerator includes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and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is that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sensor. It is preferred to include the generation of a signal.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밀착 여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The refrigerator includes a door switch that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inet.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도어 스위치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itions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further include door open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상기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 수행 도중, 상기 센서를 통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수행하는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를 정지하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During the withdrawal step or stop step, when the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an emergency return step of stopping the withdrawal step or stopping step and driving the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he transfer member to the rear is performed this is preferable

상기 긴급 복귀 단계 수행 시작 시, 상기 모터가 일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소정 시간 정지한 후 역방향으로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emergency return step starts, if the motor is driving in on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stop driving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drive it in the reverse direction.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Features of each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었을 때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자동으로 소정 길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provided in a storage compartment is automatically drawn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a user opens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automatically moves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 이외에 추가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can be provided in which a drawer does not need to be applied with additional force other than the force to open the door by automatically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rough the electric driving unit. .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닫았을 때 자동으로 드로워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드로워를 인출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임과 동시에,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드로워를 인입하는 사용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can automatically return from the oper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the user's effort to withdraw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user's effort to withdraw the drawer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하고,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and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 시 자동으로 이동하는 드로워 사이에 간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도어 열림(닫힘) 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각도에서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significantly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automatically moving drawers when a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sensor that very accurately detects a door opening (closing) angle. That is, when a door opening (closing) angle at which interference between a door and a drawer is minimized is set, a refrigerator capable of detecting door opening (closing) very accurately at the set angl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기설정된 도어 열림 각도가 제품 모델에 따라 변경이 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oor open detection sensor that can flexibly respond even when a predetermined door open angle is changed according to a product model,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도어의 열림 감지와 도어의 닫힘 감지가 동일한 각도일 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conventional refrigerators and can detect when door open detection and door close detection are at the same angle through a single sens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동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고 미려한 저장실 내부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a drawer is not exposed to the inside of a storage compartment, so that an electric drive unit can be protected, and a refrigerator having a convenient and beautiful interior design of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provided.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oving a plurality of drawers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through a single electric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입 및 인출이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 또는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전동 구동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automatically pulling in and out of a drawer with reliability and durability.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to the electric driving unit due to overload or long-term repetitive use of the driv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와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 구동부 등 이러한 구성들과 연관되는 구성들을 용이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필요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components related to these components, such as an automatically withdrawn drawer and an electric drive unit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and at the same time, easily repaired when necessary. can prov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일체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are integrally and automatically withdrawn and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에 상기 드로워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can be easily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a rail supporting the draw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레일과 드로워의 레일 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유지한 채, 바스켓만 용이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nd combining only a basket accommodating stored goods in a drawe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only the baske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combined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connecting portion of the drawer.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레일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visible exposure of rails to us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드로워에 대한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a load on a motor and flexibly responding to various use environments of a dra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하부 저장실 부분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의 일실시예와 상기 센서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센서의 다른 실시예와 상기 센서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측벽과 무빙 어셈블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빙 어셈블리에서, 지지 프레임에 레일과 드로워 홀더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무빙 어셈블리에서, 모터 어셈블리와 무빙 프레임의 초기위치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무빙 어셈블리에서, 모터 어셈블리와 무빙 프레임의 조작위치를 도시하고,
도 9는 드로워와 무빙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을 확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10은 드로워 특히 드로워 프레임과 무빙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에 대한 측면을 도시하고,
도 11은 드로워의 인출(인입) 거리에 따른 드로워와 드로워 홀더 사이의 연결 관계를 도시하고,
도 12는 무빙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작위치에서의 드로워의 걸림부재, 드로워 홀더의 걸이부재 그리고 전달부재의 위치 및 연결관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작위치에서 드로워가 더욱 인출된 상태에서 걸림부재, 걸이부재 그리고 전달부재의 위치 및 연결관계를 도시하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드로워를 도시하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레일을 도시하고,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드로워가 도 16에 도시된 레일과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드로워의 전단이 도 16에 도시된 레일의 전단과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의 블럭도이며,
도 20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서 각각의 단계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1 show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lower storage compartment portion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ure 1,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sensor shown in FIG. 2 and a mounting state of the sensor;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shown in FIG. 2 and a mounting state of the sensor;
5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side wall and the moving assembly shown in FIG. 2;
6 shows a state in which a rail and a drawer holder are mounted on a support frame in the moving assembly shown in FIG. 5;
Figure 7 shows the initial positions of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ving frame in the moving assembly shown in Figure 5;
Figure 8 shows the operating positions of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ving frame in the moving assembly shown in Figure 5;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drawer and a moving assembly;
10 shows a side view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awer, in particular the drawer frame, and the moving assembly;
11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awer and the drawer holder according to the withdrawal (retraction) distance of the drawer;
1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moving assembly;
FIG. 13 shows the positions and connection relationships of the drawer's hooking member, the drawer holder's hanging member, and the transmission member in the operating pos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FIG. 14 shows the positions and connection relationships of the holding member, the hanging member, and the transmission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further drawn out from the operating pos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15 shows a drawer applicabl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a rail applicabl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shows how the drawer shown in FIG. 15 is combined with the rail shown in FIG. 16;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drawer shown in FIG. 15 is combined with the front end of the rail shown in FIG. 16;
19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to 26 are flowcharts for each step in the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정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에 냉장실(11) 그리고 하부에 냉동실(12, 13)이 구비되는 4 도어 냉장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상부 냉장실의 좌우 도어는 생략되었고, 하부 냉동실의 좌측 도어는 생략되어, 하부 냉동실의 우측 도어(20)만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는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뿐만 아니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형태의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하는 드로워가 구비되는 냉장고이면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1 show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four-door refrigerator in which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is provided at the top and freezing compartments 12 and 13 are provided at the bottom is shown. For convenience, the left and right doors of the upper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omitted, and the left door of the lower freezer compartment is omitted, so that only the right door 20 of the lower freezer compartment is shown. Of course,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is type of refrigerator but also to side-by-side type refrigerators. That is,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ny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drawer that moves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11, 12, 13)이 구비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실이 복수 개이면, 이에 대응하여 도어도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10 provided with storage compartments 11, 12, and 13 and a door 20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s described abov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a plurality of door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ly.

냉장실(11)과 냉동실(12, 13)은 수평 격벽(14)을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냉동실(12)과 우측 냉동실(13)은 별도의 측벽 내지는 격벽(16)을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격벽(16)을 편의상 수직 격벽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1), 좌측 냉동실(12) 그리고 우측 냉동실(13)은 각각 개별적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s 12 and 13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4 . Also, the left freezing chamber 12 and the right freezing chamber 13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rough separate side walls or partition walls 16 . For convenience, the barrier rib 16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barrier rib.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the left freezing compartment 12, and the right freezing compartment 13 may be opened and closed by separate doors.

저장실(11, 12, 13), 특히 냉동실(12, 13)에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1)을 포함하는 드로워(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하로 3 개의 드로워(30a, 30b, 30c)가 우측 냉동실과 좌측 냉동실 각각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냉동실뿐만 아니라 냉장실에 드로워가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하나의 도어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드로워가 하나의 도어와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4 개 이상의 드로워가 하나의 도어와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storage compartments 11, 12, and 13, particularly the freezer compartments 12 and 13, may be provided with a drawer 30 including a basket 31 accommodating stored items. A plurality of drawers 30 may be provided vertically.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drawers 30a, 30b, and 30c are provided in a right freezer and a left freezer respectively. Of course,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freezer compartment but also to a case in which a drawer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In addition, one or two drawers in one door may be automatically interlocked with one door, and four or more drawers may be automatically interlocked with one door.

본 실시예는, 상기 도어(20)의 개방 및/또는 개폐와 연동되어, 상기 드로워(30)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20)를 통해 우측 냉동실(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상기 우측 냉동실(13)에 구비되는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드로워의 자동 이동은 양쪽 냉동실(12, 13)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양쪽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냉동실이 아닌 냉장실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30 can move automatically for the user's convenience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and/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0 . For example, as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20,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can move automatically. Of course, this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may be applied to either one of the freezing compartments 12 and 13, or to both. In addition, it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ing chamber other than a freezing chamber.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하부 냉동실(12, 13)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생략된 좌측 냉동실 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라 할 수 있고, 우측 냉동실 도어(20)는 열려 있는 상태이다. FIG. 2 shows only the lower freezer compartments 12 and 13 in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and the omitted left freezer door can be said to be in a closed state, and the right freezer door 20 is in an open state.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는 우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에 비해 저장실 내측으로 더욱 인입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모습을 기준으로, 좌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의 위치를 초기위치 그리고 우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의 위치를 조작위치라 할 수 있다.As shown,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may be said to be more retract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han the drawer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That is, based on the appearance shown in FIG. 2, the position of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may be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may be referred to as an operation position.

다시 말하면, 도어(2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의 드로워(30)는 초기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며, 도어(2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의 드로워(30)는 조작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rawer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closed is located in the initial position,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open, the drawer 30 is located in the operating position. .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20)의 배면에 수납 박스나 바스켓(25)들이 구비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도어 저장 영역(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 특히 도어에 구비되는 바스켓(25)과 드로워(30)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드로워는 초기위치로 인입되어 있다. 사용자가 저장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도어(20)를 열면, 상기 드로워(30)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드로워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조작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의 전단부 또는 손잡이(35)가 사용자와 보다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드로워를 인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torage boxes or baskets 25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and a separate door storage area 21 may be formed through them. In order to eliminate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20 and, in particular, the drawer 30 and the basket 25 provided in the door, the drawer is retract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door 20 is closed.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20 to withdraw stored goods,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forwardly operated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withdraw the drawer. Accordingly, since the front end or handle 35 of the drawer is moved to a position closer to the user, the user can more easily withdraw the drawer.

즉, 초기위치는 드로워가 실질적으로는 최대로 저장실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드로워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조작위치는 상기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위치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5)를 잡기 위해 저장실 깊숙이 손을 집어넣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드로워(3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위치는 대기위치라고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드로워 측면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위치일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the initial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rawer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substanti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the maximum,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operating posi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insert his/her hand deep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o hold the handle 35, so the drawer 30 can be operated very conveniently. Meanwhile, the manipulation position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tand-by position. This is because, on the side of the drawer, it may be a position waiting to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0)는 조작위치에서도 저장실의 개구부(17)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어(20)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드로워(30) 특히 드로워의 전단부 또는 손잡이(35)가 개구부(17)보다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여전히 드로워(30)가 저장실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한다는 것은 반드시 드로워(30)의 사용 내지는 인출을 의도한 것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도어 저장 영역(21)을 사용하기 위하여 도어(20)를 개방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 개의 드로워(30)가 있는 경우, 특정 드로워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인출되지 않을 드로워(30)가 저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것은 냉기 손실만을 야기할 뿐이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does not deviate from the opening 17 of the storage compartment even in the operating position. That is, even when the door 20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particularly the front end or the handle 35 of the drawer, be positioned behind the opening 17. That is, it is still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is is because the user's opening of the door 20 may not necessarily mean the use or withdrawal of the drawer 30 . This is because, for example, the door 20 may be opened to use the door storage area 21 .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awers 30, since only a specific drawer can be withdrawn, drawing out the drawer 30, which is not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only causes loss of cold air.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사용자의 도어 개방 형태, 특히 도어 개방 각도에 따라, 드로워가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불필요하게 드로워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기 손실 및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드로워와 도어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is automatically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door opening shape, particularly, the door opening ang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movement of the drawer, thereby reducing loss of cold air and energ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interference between a drawer and a door can be minimized.

또한, 도어가 열리면 기본적으로 저장실의 냉기가 손실된다. 그리고, 드로워가 인출됨에 따라 드로워의 바스켓 내부의 냉기도 손실된다. 즉, 드로워의 인출 길이가 커짐에 따라 바스켓 내부의 냉기 손실이 가속되며, 특히 드로워가 상기 개구부보다 더욱 전방으로 인출되면 냉기의 손실은 더욱 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의 바스켓 내부의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드로워의 조작위치에서도 상기 드로워(30)가 저장실 내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is basically lost. In addition, as the drawer is drawn out, the cool air inside the basket of the drawer is also lost. That is, as the drawing length of the drawer increases, the loss of cool air inside the basket accelerates. In particular, when the drawer is drawn more forward than the opening, the loss of cool air can be further accelerated.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cool air inside the basket at the operating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does not leav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even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상기 조작위치는 일례로 상기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대략 120mm 이동된 위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위치와 초기위치 사이의 간격은 냉장고의 형태, 드로워의 위치, 상기 도어의 저장 영역(21)이 저장실 내부로 인입된 거리 그리고 냉장고의 용량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조작위치는 상기 드로워의 전단부 또는 손잡이(35)가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17)를 벗어나지 않는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구부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개구부보다 내측에 상기 전단부 또는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manipulation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moved about 120 mm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course, the distance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frigerator, the position of the drawer, the distance the storage area 21 of the door is drawn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nipulation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of the drawer or the handle 35 does not deviate from the opening 17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or the handle be positioned inside the opening without leaving the opening.

본 실시예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열리면 상기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인출)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150, 도 5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는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0, 도 3 참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is automatically moved (withdrawn)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when the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is opened. Therefor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ic drive unit (150, see FIG. 5) for moving the drawer, and a sensor (40, see FIG. 3) for detecting a driving condi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desirable.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40)는 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40)에서 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 구동부(10)가 작동하여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Specifically, the sensor 40 is a sensor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20, and when the sensor 40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20, the electric drive unit 10 operates to The lo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도어(20)는 스윙 타입 도어로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도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20)가 상기 개구부(17)를 완전히 막는 상태를 0도 각도라 정의하면, 상기 도어(20)는 90도를 초과하도록 회전시켜 개방될 수 있다. The door 20 may be referred to as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substantially based on a vertical axis as a swing type door. That is, if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completely blocks the opening 17 is defined as an angle of 0 degrees, the door 20 may be opened by rotating more than 90 degrees.

여기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개구부(17)에서 조금 벗어나는 경우도 넓게 보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와 개구부(17)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면 도어가 개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 배면에 구비되는 가스켓(22)과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면 도어(20)가 개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냉기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Here, even when the door 20 slightly deviate from the opening 17,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is open when viewed broadly. For example, when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20 and the opening 17 is released,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is ope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20 is opened when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gasket 22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is released. Therefore, loss of cold air may inevitably occur in this state.

이러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도어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해제됨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조명장치가 켜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가 켜진 후 상기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수행되면 상기 조명장치가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개방 각도를 통해서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어 스위치는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기구적으로 스윙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door switch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are in close contact. The door switch may be provided to interlock with the operation of a light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is released through the door switch, the lighting device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In addition, when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through the door switch after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the lighting device may be controlled to increase in size. Accordingly, the door switch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relatively small opening angle. In general, such a door switch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mechanically swings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상기 도어 스위치와 조명장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Details of the door switch and the ligh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도어의 개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인출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도어(20)를 개방할 때, 상기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드로워 인출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전술한 도어 스위치에서 감지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보다는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opening of the door in this embodiment can be said to be based on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20 on the premise that the drawer is drawn out and used, the drawer is preferably moved to an operating posi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withdrawing the drawer i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sensed by the door switch.

일례로, 사용자가 도어(20) 배면의 도어 저장 영역(21)에 수용된 저장물만을 인출하려 할 때, 도어를 40도 내지 50도 각도로만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는 계속해서 초기위치 상태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도어 스위치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한 상태라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tends to take out only the storage stored in the door storage area 21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the door may be opened only at an angle of 40 to 50 degree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continues to be in the initial position. Of course, the door switch may be referred to as a stat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ed.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하여 사용하려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경험적으로 도어를 90도 이상 개방해야 함을 알고 있다. 왜냐하면, 90도 이하의 도어 개방 각도에서는 드로워가 완전히 인출되기 전에 상기 드로워가 도어 배면의 바스켓(25) 등에 걸리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드로워가 도어와의 간섭없이 완전히 인출되기 위해서는, 도어가 일례로 100도 이상 개방되어야 함이 일반적이다.When a user intends to withdraw and use the drawer, the user generally knows from experience that the door should be opened at least 90 degrees. This is because, at a door opening angle of 90 degrees or less, the drawer is caught in the basket 25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before the drawer is completely drawn out. In order for the drawer to be substantially completely withdraw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oor, it is common for the door to be opened 100 degrees or more, for example.

따라서, 드로워의 자동 이동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실질적으로 8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 전후 각도임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각도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어 전동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하는 데 일정 시간이 소요됨을 감안하기 위함이다. 즉,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각도는 드로워와 도어 사이의 간섭이 완전히 배제되는 도어의 개방 각도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드로워가 자동 이동을 시작하는 각도는 상기 도어와 조작위치에서의 드로워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is substantially 80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about 90 degree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at this angle and drive the electric drive unit. This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a certain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the drawer to move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at is, the angle at which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t which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and the door is completely excluded.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at which the door opening is sensed and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starts is determined so that the door and the drawer at the operating position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이동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상기 드로워가 조작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배면 바스켓(25)과 간섭되지 않는 각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25)은 도어의 배면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90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25)은 개구부(17)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드로워가 상기 개구부(17)까지 인출되기까지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바스켓(25)과 간섭되지 않음을 의미하게 된다. 물론, 도어가 90도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를 더욱 인출하는 경우 상기 드로워(30)와 바스켓(25) 사이의 간섭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를 완전히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개방 각도가 더욱 커져야 함을 전술한 바 있다. Meanwhil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may be an angl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ar basket 25 of the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to an operating position. As shown in FIG. 2 , the basket 25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ccordingly, the basket 25 is positioned outside the opening 17 when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This means that the drawer 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asket 25 until the drawer is drawn out to the opening 17 . Of course,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basket 25 may occur when the drawer is further drawn out while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Accordingly,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must be further increased in order to completely withdraw the drawer.

이러한 이유로, 상기 센서(40)는 도어(20)가 드로워 인출을 위한 기설정된 도어 개방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센서(40)는 마그넷(42)과 리드 스위치(41, reed switch)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리드 스위치(41)만을 센서라 할 수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마그넷(42)을 통해서 기설정된 도어 개방 각도를 감지한다고 할 수도 있다.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40 is a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preset door opening angle for the door 20 to withdraw the drawer. To this end, the sensor 40 preferably includes a magnet 42 and a reed switch 41 (reed switch). Of course, only the reed switch 41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and the reed switch may sense a preset door opening angle through the magnet 42 .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의 거리가 가변됨에 따라 리드 스위치에 가해지는 자력 세기가 가변된다. 즉,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특정 이격 거리, 즉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되는 거리는, 상기 마그넷(42) 자체의 자력을 달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As the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varies, the intensity of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reed switch varies. That is, the specific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that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41 is changed can be predicted relatively accurately by vary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itself.

도 3에는 센서(40)에 대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는 도어(20)가 90도 각도로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지면에 고정된 레그(2) 인근에 위치되는 힌지 커버(45)에 대해서 도어(20)가 90도 회전되어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지면에서 상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이다. 3 show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n one embodiment of the sensor 40. Specifically,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by rotating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inge cover 45 positioned near the leg 2 fixed to the ground is shown. 3 is a view from the ground toward the top.

상기 리드 스위치는 힌지 커버(45)에 위치되고 상기 마그넷(42)은 도어(2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도어(20)의 캡 데코(24)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리드 스위치를 도어(20)에 위치시키고, 상기 마그넷(42)을 힌지 커버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점이 형성되고, 외부로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이 리드 스위치이므로, 상기 리드 스위치는 고정된 구성, 즉, 상기 힌지 커버(45)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reed switch may be located on the hinge cover 45 and the magnet 42 may be provided under the door 20 . Specifically, the magnet 42 may be provided on the cap deco 24 of the door 20 . Of course, the reed switch may be positioned on the door 20 and the magnet 42 may be positioned on the hinge cover. However, since a contact point is formed and a component that transmits a door open signal or a door close signal to the outside is a reed switch, the reed switch is preferably located in a fixed configuration, that is, the hinge cover 45 .

도어(20)는 힌지축(23), 즉 도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리드 스위치(41)과 마그넷(42) 사이의 수직 이격 거리는 도어(20)의 개방 각도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그러나,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수평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힌지축(23)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갖고 회전하게 되며, 이때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마그넷(42)과의 수평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Since the door 20 rotates on the basis of the hinge axis 23, that is, the rotational axis of the door,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However,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changes,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changes. That is, the magnet 42 rotates with the same radius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23, and the horizontal distance with the magnet 42 vari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t this time.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리드 스위치(41) 인근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마그넷(42)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최대로 근접한 후 다시 상기 리드 스위치에서 멀어지게 된다. 즉,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더우 커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2)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례로,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90도 각도에 이르면,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41)의 접점 변경이 도어 개방 온(on) 신호의 발생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가 기설정된 각도까지 개방되면 이를 도어 개방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 각도(예를 들어, 90도) 미만 사이의 구간에서는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2)에 영향을 미쳐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유지되고, 개방 각도에 도달하면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2)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못해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된다.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magnet 42 is located near the reed switch 41. Accordingly,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may affect the reed switch 41 . And,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increases, the magnet 42 moves away from the reed switch after maximally approaching the reed switch. That i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increa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does not affect the reed switch 42 .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reaches 90 degrees,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41 may be changed. Such contact change of the reed switch 41 may be referred to as generation of a door opening on signal. 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In other words, in the section betwee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20 and less than the opening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affects the reed switch 42 so that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is maintained, and when the opening angle is reache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no longer affects the reed switch 42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41 is changed.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상기 리드 스위치는 접점 전환을 위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을 갖는다. 즉, 상기 임계점에 이르러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며, 이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reaches the preset opening angle, the reed switch has a critical point of effective magnetic force for contact switching. That is, when the critical point is reached,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is switched, which can be said to sense that the door is opened.

따라서, 이러한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을 통하여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현함으로써, 원하는 도어 개방 각도(기설정된 각도)에서 도어 개방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by implementing a sensor that detects door opening through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door opening on signal at a desired door opening angle (preset angle).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면서 도어 개방 각도에 이르면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임계점을 벗어나게 된다. 이는 반대로, 도어가 도어 개방 각도를 초과하여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 개방 각도에 이르면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각도와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닫힘 각도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센서(40)를 통해서 동일한 각도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과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opens and reaches the door opening angl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does not affect the reed switch 41 . That is, the critical point is exceeded. Conversely, this means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affects the reed switch 41 when the door is closed in an open state exceeding the door opening angle and reaches the door opening angle. Accordingly, a door opening angle for detecting door opening and a door closing angle for detecting door closing may be set to be the same.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may be sensed through the same angle through one sensor 40 .

다시 말하면, 상기 센서(40)는 동일한 각도를 통해 도어 개방 감지 그리고 도어 닫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각도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된 후 그 다음의 동일한 각도의 감지는 도어 닫힘 감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닫힘 감지 후 동일한 각도는 도어 열림 감지라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ensor 40 may perform door open detection and door close detection through the same angle. For example, after door opening is detected at the same angle, detection of the next same angle may be referred to as door closing detection. In addition, the same angle after door closing detection may be referred to as door opening detection.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릴 때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힐 때도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배제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경우에도, 도어가 상기 드로워와 간섭되기 전에 미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입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and the drawer needs to be excluded not only when the door is opened but also when the door is closed.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even when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advance before the door interferes with the drawer.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그넷(4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품마다 기설정된 도어의 개방 각도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90도로 설정하여 하나의 마그넷(42)과 리드 스위치(41)를 장착하는 경우, 제품마다 도어 개방 각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일부 제품은 85도 개방 각도를 감지하고, 일부 제품은 90도 그리고 일부 제품은 95도 개방 각도를 감지하여, 제품마다 감지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마그넷(42)의 자력 편차, 마그넷(42)과 리스 스위치(41)의 장착 편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one magnet 42 as shown in FIG. 3,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a preset door opening angle varies for each product. For example, when the door opening angle is set to 90 degrees and one magnet 42 and a reed switch 41 are mounted, a door opening angle deviation may occur for each product. That is, some products detect an opening angle of 85 degrees, some products detect an opening angle of 90 degrees, and some products detect an opening angle of 95 degrees, so detection deviation may occur for each product. This deviation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magnetic force deviation of the magnet 42 and mounting deviation between the magnet 42 and the lease switch 41 .

또한, 하나의 마그넷(42)을 사용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제품 모델별로 특정 모델은 90도의 개방 각도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특정 모델은 85도의 개방 각도가 바람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when using one magnet 42,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his is because, for each product model, an opening angle of 90 degrees is desirable for a specific model, but an opening angle of 85 degrees may be desirable for another specific model.

따라서, 기설정된 도어의 개방 각도에 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도어의 개방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센서(4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하나의 마그넷(42)을 통해 구현된 센서(40)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마그넷을 이용한 센서(40)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sensor 40 that can reduce the deviation from the preset door opening angle and at the same time flexibly change the door opening angle.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provide a sensor 40 using a plurality of magne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ensor 40 implemented through one magnet 42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센서(4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복수 개의 마그넷이 구비될 수 있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Basically, this embodiment is very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However,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lurality of magnets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리드 스위치는 힌지 커버(45)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마그넷(42)는 도어(20)의 캡 데코(2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 데코(24)는 도어(20)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42)는 상기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reed switch may be located on the hinge cover 45, and a plurality of magnets 42 may be provided on the cap deco 24 of the door 20. The cap deco 24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20 . Therefore, the magnet 42 is located inside the door 20 .

상기 리드 스위치(41)는 캐비닛(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0) 전방에 돌출되는 힌지 커버(45)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 특히 캡 데코(24)는 상기 힌지 커버(45)의 상부에서 소정의 상하 갭을 갖고 힌지축(23)을 기준으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The reed switch 41 may be provided to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10 .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on the hinge cover 45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10 . Further, the door 20, particularly the cap deco 24, opens and closes with a predetermined upper and lower gap at the top of the hinge cover 45 based on the hinge axis 23.

상기 마그넷(42)은 수평 마그넷(42a)과 수직 마그넷(4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도어(20)의 전면이나 캐비닛(10)의 전면과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이며,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마그넷이라 할 수 있다. The magnet 42 may include a horizontal magnet 42a and a vertical magnet 42b.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a magnet provided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or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the vertical magnet 42b is a magnet positio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do.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일면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41)는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가로변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세로변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은 상기 리드 스위치의 세로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reed switch 41 . The reed switch 41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a horizontal side of the reed switch 41 . Also,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vertical side of the reed switch 41 . A horizontal side of the reed switch may be larger than a vertical side of the reed switch.

그리고, 수평 마그넷(42a)과 수직 마그넷(42b)은 막대 형태의 자석으로 도 4에 도시된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높이보다 길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vertical magnet 42b are rod-shaped magnets and may have a length greater than a height based on a vertical cross section shown in FIG. 4 .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후방에서 좌우로 길게 늘어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마그넷(42b)는 리드 스위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전후로 길게 늘어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마그넷(42a, 42b)는 서로 이격되며 아울러 상기 리드 스위치(41)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마그넷과 수직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40 is close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in a form elongated left and right at the rear of the reed switch 41 . Also,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positioned in a form elongated back and forth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reed switch. That is, the two magnets 42a and 42b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surround the reed switch 41 . Accordingly,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vertical magnet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horizontal angles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두 개의 마그넷(42a, 42b)이 동시에 상기 리드 스위치(41)로 유효한 자력을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two magnets 42a and 42b provide effective magnetic force to the reed switch 41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상기 힌지축(2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마그넷(42b)와 상기 힌지축(24)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즉, 수평 마그넷(42a)의 회전 반경이 수직 마그넷(42b)의 회전 반경 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상기 힌지축(2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평 마그넷(42a)의 회전 반경과 유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Also, a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hinge shaft 23 is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magnet 42b and the hinge shaft 24 . That is, the rotation radius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small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vertical magnet 42b. Also, a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hinge shaft 24 may be set to be similar to a rotation radius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이를 통해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도어(2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41) 인근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직 마그넷(42b)는 상대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서 먼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수평 마그넷(42a)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중첩 가능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 this, the horizontal magnet 42a rotates near the reed switch 41 as the door 20 is opened, and the vertical magnet 42b rotates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reed switch 41. will do This means that the horizontal magnet 42a has a relatively large overlapping area with the reed switch 41 .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서 감지되는 자력은 상기 수평 마그넷(42a)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이며, 상기 수직 마그넷(42b)에서 발생되는 자력은 보조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refore, basically,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reed switch 41 is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vertical magnet 42b has an auxiliary effect on the reed switch 41. going crazy

자력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전제로 하면, 리드 스위치(41)에서 마그넷(42a)의 위치가 멀어짐에 따라 자력의 세기는 매우 급속하게 작아지게 된다. 이는 매우 짧은 구간에서 마그넷이 이동하더라도 매우 큰 자력 세기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자력의 영향이 미치는 위치에서 자력이 영향이 미치지 않는 임계점, 즉 도어 개방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마그넷, 예를 들어 수평 마그넷(42a)만 구비되는 경우 임계점 전후에서 급격한 자력 세기의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임계점 설정이 어렵게 된다. Assuming tha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creases very rapidly as the position of the magnet 42a moves away from the reed switch 41. This means that even if the magnet moves in a very short period, a very large change in magnetic force strength may occur. 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set a critical point, that is, a door opening angle at which the magnetic force is not affected at a location affected by the magnetic force. In other words, when only one magnet, for example,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provided, it is difficult to set the critical point because a rapid change in magnetic strength occurs before and after the critical point.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마그넷(42b)을 통하여 임계점까지는 자력 세기의 변화가 완만하게 진행되다가 임계점 이후에 자력 세기의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임계점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보조 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임계점에 이르기까지 급속한 자력 변화가 제한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hange in magnetic force intensity progresses gently up to the critical point through the vertical magnet 42b, and then the change in magnetic force intensity occurs rapidly after the critical point. That is, since the vertical magnet 42b continuously provides auxiliary magnetic force up to the critical point, a rapid change in magnetic force up to the critical point can be limit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점 즉 도어의 개방 각도를 90도 전후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리드 스위치(41)에서 감지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critical point, that i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o around 90 degrees.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sensed by the reed switch 41 .

구체적으로, 수직 마그넷(42b)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수평 마그넷(42a)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직 마그넷(42b)은 고정 마그넷 그리고 수평 마그넷(42a)는 변동 마그넷이라 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ile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magnet 42b is fixed, the horizontal magnet 42a shown in FIG. 4 may be moved back and forth. That is,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referred to as a fixed magnet an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referred to as a variable magnet.

수평 마그넷(42a)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힌지축(23) 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다시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기준(즉, 도어가 90도 열린 상태에서)으로 수평 마그넷(42a)과 리드 스위치(41) 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수평 마그넷(42a)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미치는 자력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도어(20)가 더욱 개방되어야 한다. 즉, 도어 개방 각도를 90도 초과하여 기설정하기 위해서 수평 마그넷(42a)을 힌지축(23)과 가깝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moved back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hinge shaft 23 decreases. In other words,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reed switch 41 becomes small based on the criterion shown in FIG. 4 (ie, when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Accordingly, the door 20 should be further opened in order to eliminate the effec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on the reed switch 41 . That is,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horizontally moved closer to the hinge shaft 23 in order to preset the door opening angle to exceed 90 degrees.

반대로, 수평 마그넷(42a)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힌지축(23)과 멀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 마그넷(42a)와 리드 스위치(41) 사이의 거리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 개방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Conversely,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be moved forward. That is, it can be horizontally moved away from the hinge axis 23.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reed switch 41 increases.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excluded when the door opening angle is less than 90 degrees.

결국, 보조 마그넷인 고정 마그넷(42b)와 주 마그넷인 변동 마그넷(42a)을 통하여 도어 개방 각도를 탄력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lexibly set the door opening angle through the fixed magnet 42b as an auxiliary magnet and the variable magnet 42a as a main magnet.

한편, 전술한 센서(40)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넷의 하부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반대로 상기 마그넷의 상부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40)의 상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에 마그넷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 데코와 마주보는 위치에 리드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나, 도어의 개방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 사이의 수직 거리는 고정되며, 도어의 개방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 사이의 수평 거리가 가변될 것이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sensor 40, an example in which a reed switch is provided under a magnet has been described. However, on the contrary, a reed switch may be provided above the magnet. For example, this is because a magnet is provided on the door decoration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40, and a reed switch can be mounted at a position facing the door decoration. In any cas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reed switch is fixed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reed switch varie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hanges.

본 실시예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단순한 리드 스위치와 마그넷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기설정 도어 개방 각도에서 도어의 개방과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냉장고의 모델 별로 상기 도어 개방 각도는 어느 정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마그넷 중 어느 하나의 마그넷의 위치를 가변시켜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Through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ns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simply and accurately at a preset door opening angle using a relatively simple reed switch and a magnet.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gl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l of the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s can be changed and applied flexibly.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40)를 통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드로워(30)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드로워(30)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조, 드로워(3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 내지는 구성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드로워를 지지하고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무빙 어셈블리(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와 연관되는 드로워의 구체적인 구성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40,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refore,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drawer 30 to be movable and a structure or components for automatically moving the drawer 30 are required. Hereinafter, the moving assembly 100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after,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drawer associated with the moving assembly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냉동실 측벽에 결합될 수 있는 무빙 어셈블리(10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냉동실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인 격벽(16)과 상기 냉동실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는 무빙 어셈블리(100)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이는 상기 냉동실 격벽(16) 좌우에 각각 냉동실이 구비되는 경우이며, 냉동실이 하나인 경우 상기 격벽(16)은 냉동실의 좌측 단열벽(좌측 측벽) 또는 우측 단열벽(우측 측벽)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6) 좌우에 각각 냉동실이 구비되는 경우, 양쪽 냉동실이 아닌 어느 하나의 냉동실에만 무빙 어셈블리(10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나,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는 저장실의 측벽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FIG. 5 shows a moving assembly 100 that can be coupled to the sidewall of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16, which is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moving assembly 100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6 of the freezing chamber are shown. Of course, this is the case when the freezing chamber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eezing chamber partition wall 16, and when there is one freezing chamber, the partition wall 16 may be the left insulating wall (left side wall) or the right insulating wall (right side wall) of the freezing chamber. . Also, when the freezing chamber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lkhead 16,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only in one freezing chamber instead of both freezing chambers. In any case, the moving assembly 10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좌우 냉동실이 구분되는 경우, 좌측 단열벽 또는 우측 단열벽에 이러한 무빙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것은 단열 성능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 종래의 단열벽 두께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무빙 어셈블리(100) 저장실 내부 공간이 매우 작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냉동실의 측벽들 중 단열 성능이 우선되지 않는 냉동실 격벽(16)에 이러한 무빙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when the left and right freezing chambers shown in FIG. 1 are divided, mounting the moving assembly 100 on the left or right insulating wall is ver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n the case of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insulation wall, there is a concern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moving assembly 100 becomes very smal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moving assembly 100 on the freezing compartment partition wall 16 of the side walls of the freezing compartment, wher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s not given priority.

상기 격벽(16)은 좌우 냉동실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좌우가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동일한 형태의 무빙 어셈블리가 동일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냉동실에 모두 자동으로 인출/인입되는 드로워들이 구비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16 i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left and right freezing compartments, and is preferably formed symmetrically on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moving assemblies of the same shape may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lkhead 16 in the same shape. Accordingly, drawers that are automatically withdrawn/retracted may be provid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freezing compartments.

이하에서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측벽, 특히 좌우 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16) 좌우에 각각 무빙 어셈블리(100)가 장착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ving assemblies 100 a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 walls forming the storage chambers, particularly the left and right partition walls 16 dividing the left and right storage chambe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는 드로워(30)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들을 형성한다. 아울러,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구조들을 형성할 수 있다. The moving assembly 100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drawer 30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addition, structures in which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are formed. In addition, structures into which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drawn may be formed.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는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냉동실의 일측벽 특히 상기 격벽(16)에 장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전동 구동부 등 다양한 구성들이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통해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가 하나의 어셈블리로 냉동실의 일측벽 특히 상기 격벽(16)에 장착되거나 상기 격벽(1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무빙 어셈블리(100)가 일체로 저장실의 측벽에 결합되거나 측벽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매우 단순할 수 있으며, 추후 유지 보수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일(120)에서 드로워(30)를 분리한 후,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하는 무빙 어셈블리(100) 일체를 상기 격벽(16)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무빙 어셈블리를 모두 형성한 후 상기 격벽(16)에 장착한 후, 상기 레일(120)에 드로워(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및 추후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The moving assembly 100 preferably includes a support frame 110 .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freezing compartment, particularly the partition wall 16 .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electric driving unit, and the moving assembly 100 is installed as one assembly on one side wall of the freezing chamber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especially the It may be mounted on the partition wall 16 or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wall 16 . That is,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or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Therefore, manufacturing can be very simple, and subsequent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This is becau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fter the drawer 30 is separated from the rail 120, the entire moving assembly 100 including the support frame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bulkhead 16. . Conversely, the drawer 30 may be coupled to the rail 120 after all moving assemblies are formed and mounted on the bulkhead 16 . Thus, manufacturing and subsequent maintenance are greatly facilitated.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레일(1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20)은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상기 저장실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A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 The rail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rawer moves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the drawer 30 may be support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rail 120 . The drawer 30 may be moved while sliding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rail 120 .

상기 드로워(30)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레일(120)도 이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지지 프레임(110)에 복수 개의 레일(120)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레일(120)이 상하로 장착될 수 있다.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awers 30 , a plurality of rails 120 may be provided accordingly. Accordingly, a plurality of rails 120 may be mounted on a single support frame 110 . Specifically, a plurality of rails 120 may be vertically mounted.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상기 격벽(16)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격벽(16)과의 사이에 소정 공간(130)을 형성한다. 이러한 소정 공간(130)은 저장실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구비되는 구성은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소정 공간을 격리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가 장착되기 위한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frame 110 is mounted on the partition wall 16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130 between the partition wall 16 and the support frame 110 . This predetermined space 130 may be referred to as a space that is not expos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components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are no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For this reason,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referred to as an isolation space,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ic drive unit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electric drive unit.

상기 소정 공간, 격리 공간 내지는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13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과 격벽(16)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면(112)에 장착되는 구성들은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에 장착되는 구성들은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에는 상기 레일(1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저장실 내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pace, the isolation space or the electric drive unit mounting space 130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12 and the partition wall 16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component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112 are the storage compartments. not exposed to the inside. On the other hand, component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For example,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thus the rail 120 may be expos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는 전동 구동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110)이 상기 전동 구동부(150)를 덮고 있기 때문이다. An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 That is,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may b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 Therefore,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is not substantially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is is because the support frame 110 covers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

구체적으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격벽(16)이 아닌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프레임(110)이 상기 격벽(16)에서 분리되면, 상기 전동 구동부(150)도 상기 격벽(16)과 분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instead of the partition wall 16 . That is, when the support frame 110 is separated from the barrier rib 16,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also separated from the barrier rib 16.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구동됨에 따라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드로워(30)를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터 어셈블리(160)와 드로워(30)가 이동하도록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는 무빙 프레임(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drawer 30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ng position as it is driven. Therefore,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ncludes a motor assembly 160 that generates force to move the drawer 30 and a moving frame 170 that applies force to the drawer so that the drawer 30 moves. can be done by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이동은 상기 드로워(30)의 전후 이동과 동일한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3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 Her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ame direction a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awer 30 . That is,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30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 전체가 실질적으로 상기 소정 공간(130)에 위치 때문에, 상기 무빙 프레임(170) 전체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 모습이 저장실 내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드로워(30)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 일례로 후술하는 전달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 For example,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refore, since the entire moving frame 170 is substantially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he entire moving frame 170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cannot be seen from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must be transmitted to the drawer 30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force, for example, a transmission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0.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되는 모터 어셈블리(160)의 힘을 상기 소정 공간(130) 외부에 위치되는 드로워(30)로 전달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can be said to have a structure that transfers the force of the motor assembly 160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o the drawer 30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130.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6)에는 관통부(1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16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도 5에 도시된 기준으로 기설정된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시켜 상기 저장실과 격리시킬 경우, 상기 격벽(16)의 좌우 폭이나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 폭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이는 저장실 내부 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6a)를 통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로 인하여 상기 저장실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5 , a through portion 16a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rib 16 . The through-portion 16a may be formed so that the motor assembly 160 passes therethrough. The motor assembly 160 may have a left and right width preset based on the standard shown in FIG. 5 . Therefore, when the motor assembly 160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and isolat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rtition wall 16 or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upport frame 110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This can be said to narrow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rage compartment space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motor assembly 160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6a.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가 상기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는 경우, 좌측의 모터 어셈블리(좌측 냉동실의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16a)를 관통하여 우측의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반대로, 우측의 모터 어셈블리(우측 냉동실의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16a)를 관통하여 좌측의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50)는 상하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50)는 좌우 폭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상하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50)가 좌우로 나란히 위치되는 경우보다 상기 무빙 어셈블리로 인한 두께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moving assembly 100 is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6, a part of the motor assembly on the left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drawer of the left freezer)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6a. Through it, it can be loc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130 on the right side. Conversely, a part of the motor assembly on the right side (a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drawer of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6a and be positioned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on the left side. Also, the two motor assemblies 150 may be positioned side by side up and down. That is, the two motor assemblies 150 may be positioned side by side so that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verlap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thickness due to the moving assemb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two motor assemblies 150 are positioned side by side.

여기서, 상기 관통부(16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6a)에 모터 어셈블리(150)가 형합되어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6) 좌우에 각각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관통부(16a)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는 일측 모터 어셈블리가 관통하고 하측에는 타측 모터 어셈블리가 관통하게 된다. 즉, 관통부(16a)를 통해서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6a)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이 상기 격벽(16)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 프레임(110)에 의해서 덮히게 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through portion 16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motor assembly 150 . Therefore, the motor assembly 150 may be molded to the through portion 16a to be fixed and supported. In addition, when motor assemblie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rrier rib 16, the penetrating portion 16a may be vertically long. One motor assembly passes through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motor assembly passes through the lower side. That is, the two motor assemblies may be disposed vertically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6a. The through portion 16a is preferably covered by the support frame 110 as the support frame 110 is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16 .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에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작동하는 모터(16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에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즉, 냉장고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까지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Meanwhile, the motor assembly 150 includes a motor 162 operating through electrical energy. Therefore, a wire supplying electrical energy must be connected to the motor assembly 150 . That is, a wire must be connected from a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of the refrigerator to the motor assembly 150.

상기 격벽(16)에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상부 개구부(16b)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은 도 1에 도시된 수평 격벽(14) 내부를 통해 상기 수직 격벽(16)의 상부 개구부(16b)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 격벽(14)에는 전선 관통부(16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선이 상기 상부 개구부(16b)에서 상기 전선 관통부(16b)까지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관통부(16c)에서 오른쪽으로 전선(16d)이 더욱 연장된 후 전선 결합부(16e)로 마감될 수 있다. 도시된 전선 결합부(16e)는 오른쪽에 구비되는 모터 어셈블리(150)와 결선되기 위한 전선 결합부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선 관통부(16c)의 왼쪽에도 전선 및 전선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An upper opening 16b for connecting wires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rib 16 . An electric wire 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may extend to the upper opening 16b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6 through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4 shown in FIG. 1 . A wire penetration portion 16c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4 . That is, the wire may further extend from the upper opening 16b to the wire through portion 16b. After the wire 16d further extends from the wire through portion 16c to the right, it may be closed with the wire coupling portion 16e. The illustrated wire coupling portion 16e may be referred to as a wire coupl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assembly 150 provided on the right side. Similarly, an electric wire and a wire coupling part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wire penetration part 16c.

상기 격벽(16)에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를 장착하기 전에 수평 격벽(14) 및 수직 격벽(16)을 통해서 전선을 연장시킨 후 상기 전선 관통부(16c)를 전선이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의 말단에 전선 결합부(16e)를 형성할 수 있다. Before mounting the moving assembly 100 on the partition wall 16, the wire may be extended through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4 and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6 and then pass through the wire penetration part 16c.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wire coupling portion (16e) at the end of the wire.

상기 전선 결합부(16e)는 전술한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무빙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4)에 장착하기 전에 먼저, 상기 전선 결합부(16e)를 통해서 모터 어셈블리(150)를 결선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부(115)와 격벽(16)에 형성되는 체결부(16f)를 통하여 무빙 어셈블리(100)를 격벽(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5, 16f)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스크류들을 제거하여 무빙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6)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선 결합부(16e)와 모터 어셈블리(100)의 결선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6)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즉, 격벽(16)과의 구조적 그리고 전기적 연결이 제거될 수 있다. The wire coupling portion 16e is positioned with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described above. Therefore, before mounting the moving assembly 100 on the partition wall 14, first, the motor assembly 150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 coupling part 16e. Also,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fixed to the partition wall 16 through the fastening part 115 formed on the support frame and the fastening part 16f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6 . The fastening parts 115 and 16f may be formed in a boss shape for screw coupling. Conversely,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bulkhead 16 by removing screws. Thereafter, the moving assembly 10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ulkhead 16 by removing the wiring between the electric wire coupling part 16e and the motor assembly 100 . That is, the structural and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ulkhead 16 can be eliminated.

따라서, 상기 격벽(16)의 구조, 상기 무빙 어셈블리(100)의 구조, 상기 격벽을 통한 전선의 연결 구조 등을 통해서, 무빙 어셈블리(100)의 결합, 분리 그리고 결선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artition wall 16, the structure of the moving assembly 100,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wires through the partition wall, coupling, separation, and wiring of the moving assembly 100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00)는 모터(16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방향은 상기 격벽(16)과 수직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자체의 크기(원통형 모터의 높이)로 인해 모터 어셈블리(100)의 좌우 폭이 커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motor assembly 100 includes motor 162 . In general, motors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motor may be perpendicular to the barrier rib 16 .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otor assembly 100 may increase due to the size of the motor itself (the height of the cylindrical moto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의 형상에 따라 원형의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회피홈(116)은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100) 전체의 좌우 폭이 커질 필요없이 모터에 해당하는 부분만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부분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회피홈(116)을 지지 프레임(110)에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 That is, a circular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tor. Also,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motor. Therefore,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tor can be expanded without increas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tire motor assembly 100 .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in order to exclude interference with the extension portion.

우측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모터 회피홈(116)은 우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되는 모터 회피홈(116)에 의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들이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회피홈(116)은 레일(120)과 레일(120)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Based on the right support frame,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protrudes to the right. There is a concern that other component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may be interfered with by the protruding motor avoidance groove 116 .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is preferably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between the rail 120 and the rail 120.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세 개의 레일(120)이 장착된다고 가정하면, 우측 지지 프레임에는 중간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좌측 지지 프레임에는 상부 레일과 중간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Assuming that three rails 120 are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10,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between the middle rail and the lower rail of the right support frame. Conversely,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rail and the middle rail in the left support frame.

이러한 모터 회피홈(116)을 통해서,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일과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6)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소정 공간(130)의 전체 확장으로 인한 저장실 공간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10 . In addition, by forming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between the rail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space due to the overall expansion of the predetermined space 130 described above.

만약, 상기 모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00) 전체의 좌우 폭을 더욱 키우는 경우, 일례로 모터 어셈블리의 하우징(16) 전체의 좌우 폭을 더욱 키우는 경우, 상기 모터 어셈블리(100)와 상기 레일 사이의 간섭 회피를 위해 상기 저장실 내부 공간이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I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tire motor assembly 100 are further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motor, for example,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tire housing 16 of the motor assembly are further increased, the motor assembly 100 and th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rails, the internal sp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will inevitably be reduc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는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지지 프레임(110)에 하나의 드로워(30)에 대응되는 레일(120)과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drawer and applying force to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6 shows a rail 120 corresponding to one drawer 30 in the support frame 110 and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force to the drawer 30 .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잡아 당기거나 밀면서 상기 드로워를 인출하거나 인입시킨다. 이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드로워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레일(120)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 즉 저장실 내부를 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6 , the drawer 30 is support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rough the rail 120 . Generally, a user draws out or withdraws the drawer 30 while pulling or pushing the drawer 30 . At this time, it can be generally said that the rail 120 is provided so that the drawer can be easily drawn in and out while minimizing the required force. Accordingly,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 특히 모터 어셈블리(16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112)은 상기 측벽 또는 격벽(16)을 마주보는 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112) 부분에서 발생된 힘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11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 in particular,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 Here, the inner surface 112 may be referred to as a surface facing the side wall or partition wall 16 . Therefore, a structure for transferring the force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to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is required.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슬릿(1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113)을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3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slit 113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slit penetrating the support frame 110 is formed.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transmitted to the drawer 30 through the slit 113 .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슬릿(1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무빙 프레임(170)의 전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112) 부분에서 이동되지만,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일부, 즉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슬릿(113)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면(111) 부분에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는 슬릿(113)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may include a transmission member 171 that transmits force to the drawer 3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lit 113 . That is, substantially the whole of the moving frame 170 moves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but a part of the moving frame,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enetrates the slit 113 to support the support. It is preferable to move in the outer surface 111 portion of the frame.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slit 113.

상기 전달부재(171)는 전동 구동부의 힘,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서,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레일을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로워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드로워(3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e transmission member 171 serves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to the drawer 30 . That is, the transfer member 171 may push the drawer 30 so that the drawer 30 moves through the rail. In other words, the drawer 30 can be moved automatically without the user manually manipulating the drawer.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상기 레일(120)과 아울러 드로워 홀더(18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드로워(30)에 한 쌍의 레일(120), 하나의 슬릿(113) 그리고 하나의 드로워 홀더(180)가 한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0)가 복수 개인 경우, 마찬가지로 이들도 복수 개의 세트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 drawer holder 180 may be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110 along with the rail 120 . Specifically, one drawer 3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rails 120, one slit 113, and one drawer holder 180 as a se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rawers 30, they may also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ets.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30)가 인출될 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30)가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인출은 전동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고, 드로워의 인입은 드로워 홀더(18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3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 In particular, when the drawer 30 is drawn out, i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when the drawer 30 is drawn in, it may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ull-out of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ectric driving unit, and the draw-in of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drawer holder 180. Details of the mechanism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동 구동부(150)와 드로워(3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를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8은 드로워의 조작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를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서 바라본 모습이다.Hereinafter, a mechanism between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and the draw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7 is a view of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viewed from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FIG. 8 shows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on the support frame. This is a view from the inner surface 112 of (110).

모터 어셈블리(160)는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과 상기 격벽(16) 사이의 소정 공간 내지는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1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 장착될 수 있다.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partition wall 16 or the electric drive unit mounting space 130 . Specifically,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하우징(1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는 모터(162)와 기어(162a) 등 동력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61)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62) 형상에 의해서 상기 모터(162)에 해당되는 부분의 하우징(161)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모터 회피홈(116)에 안착될 수 있다.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housing 161, and a power component such as a motor 162 and a gear 162a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61. Therefore, since the housing 161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0, the motor assembly 16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shape of the motor 162, the housing 161 corresponding to the motor 162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other parts, which is in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described above. can be settled.

상기 기어(162a)는 회전 속도의 감속 및 토크 전달을 위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ears 162a may be provided to reduce rotational speed and transmit torque.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연결부재(163)를 포함한다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63 . It may be said that the motor assembly 160 includes the connecting member 163 .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tor assembly, in particular, the housing 161 of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 특히 상기 하우징(161)에서 인출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된 하우징(161)에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반대로,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이동시키게 된다.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provided so that the withdrawal distance from the motor assembly 160, particularly the housing 161, is different. That is, the draw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an be varied. As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from the fixed housing 161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61 and the moving frame 170 increases. Conversely, as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de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61 and the moving frame 170 decreases. Accordingly, the motor assembly 160 moves the moving frame 170 as a result of driving the connecting member 163 so that the withdrawal distance thereof is variable.

상기 연결부재(163)의 일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연결부재 결합부(1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연결부재(163)가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63)의 이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is fix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other side is preferably fixed to move integrally with the moving frame 170.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170 . A connecting member coupling portion 174 may be formed in the moving frame 170 , and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connecting member 163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coupling portion 174 .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an be transferred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63)는 랙(rack)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피니언(pinio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162a) 중 어느 하나가 피니언 기어로서 상기 연결부재(163)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162)의 시계방향 회전이 상기 기어(162a)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전방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모터(16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상기 기어(163a)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후방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기어 구성으로 인해 모터의 회전 방향과 연결부재의 이동 방향은 반대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formed in a rack shape, and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in a pinion shape. That is, any one of the gears 162a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63 as a pinion gear. For example, clockwise rotation of the motor 162 may be converted to for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through the gear 162a,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otor 162 may be converted to the gear ( Through 163a), it can be switched to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Of course,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gea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reversed.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정역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인출 거리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은 연결부재(163)를 밀거나 당기게 되며,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Accordingly,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pushes or pulls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us pushes or pulls the moving frame.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력을 드로워(3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3)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ssembly 160 to the drawer 30 . Therefore, basically,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 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support frame 110 .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드로워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드로워가 저장실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가 개방되면 복수 개의 드로워 모두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 개의 드로워의 이동은 일괄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하나의 드로워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드로워 모두에게 힘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not only one drawer but also a plurality of drawers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when the door is opened, all of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preferably moved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Preferably,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drawers is performed collectively.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transmit power to not only one drawer but also a plurality of drawers.

상하로 복수 개 배치된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복수 개의 전달부재(171)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달부재들은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전달부재(171)는 하나의 드로워(30)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force to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drawers,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vertically. In additio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171 may be provided in the moving frame 170 . Similarly, the transmission members may be arranged vertically on one moving frame 170 . One delivery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drawer 30 .

도 7과 도 8에는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에 3 개의 전달부재(171)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하여 상하로 배치된 3개의 드로워를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즉, 단일 연결부재(163)의 이동을 통해서 3 개의 드로워가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150), 하나의 연결부재(163) 그리고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을 통해 복수 개의 드로워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도어(20)와 연동되는 전동 구동부(150)를 하나만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복수 개의 드로워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성이 단순할 수 있고, 쉽고 용이한 제어 로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7 and 8 show an example in which three transmission members 171 are formed in one moving frame 170 . This means that one moving frame 170 can move three drawers arranged vertically. That is, it means that the three drawers can be simultaneous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ingle connecting member 163.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move a plurality of drawers through one motor assembly 150, one connection member 163, and one moving frame 170. That is, despite having only one electric driving unit 150 interlocked with one door 20,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a plurality of drawer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e, and it becomes possible to implement easy and convenient control logic.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지지 프레임(110)의 내측면(112)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frame 11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More 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supported so as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복수 개의 드로워(30)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 연장된 판 형태로 구비되며, 따라서,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할 때 상부와 하부의 이동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a plurality of drawers 30 .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up and down,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movement devi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hen the moving frame 170 moves.

이를 위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에 한 쌍 그리고 하부에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 좌우에 4 개의 지지점을 갖고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00)의 전후 이동 시 무빙 프레임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sliding support parts 172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One pair of sliding support parts 17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one pair on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frame 170 .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oved with four support point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ing frame from being distorted when the moving frame 1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172) 형성될 위해서 좌우 폭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부분에 전달부재(171)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중간에 형성되는 전달부재 부분에는 이러한 확장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에 형성되는 전달부재(171)가 장기간 사용시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연결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 상기 전달부재(171)가 꺾여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Left and right widths may be expanded to form the support part 172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 A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formed in this extended portion. On the other hand, such an extended portion may not be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formed in the middle. Therefore, a problem in that the transfer member 171 formed in the middle may be separated from the moving frame 170 when used for a long time may occur. That is, there is a risk th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member 171 and the moving frame 170 is damaged. This is becaus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bent and damaged when used for a long tim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중간에 구비되는 전달부재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에는 미도시된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도 보강 리브는 힘을 받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referable that a strength reinforcing rib,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transmission member provided in the middle. The strength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가이드 바(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14)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부 가이드 바와 하부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상기 가이드 바(114)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상기 가이드 바(114)를 감싼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moving frame 170 to move more smoothly, a guide bar 114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 The guide bar 11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guide bar may include an upper guide bar and a lower guide bar. And, the sliding support part 17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bar 114 . Accordingly, the sliding support part 172 can slide back and forth while covering the guide bar 114 .

상기 가이드 바(114)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 사이에는 POM 재질의 라이너(173, 도 9 참조)가 개재될 수 있다. 즉,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라이너가 개재될 수 있다. POM 재질은 매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그리고 마찰 저항이 적고 자체 윤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바(114)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유가 칠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A liner 173 made of POM (see FIG. 9 )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bar 114 and the sliding support part 172 . That is, a liner made of engineering plastic such as polyacetal or polyoxymethylene may be interposed. POM material has very good mechanical strength, wear resistance, low friction resistance and self-lubricating property. Therefore, even if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moving frame 170 can be supported to move smoothly.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bar 114 be coated with a lubricant such as grease.

한편, 도 7에서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상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는,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격벽(16)을 통해 상하로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60)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반대편의 지지 프레임(110)에는 모터 어셈블리(160)가 지지 프레임(110)의 상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7 , the motor assembly 160 is moun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vertical center of the support frame 110 .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this is to allow the two motor assemblies 160 to be mounted vertically through the partition wall 16 . That is,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support frame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

이러한 모터 어셈블리(160)의 위치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중심 부분이 아닌 상부로 치우친 부분 또는 하부로 치우친 부분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연결부재(163)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뒤틀리도록 힘을 가할 수밖에 없다.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부분이 아닌 편심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163)는 연장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64)는 상기 연결부재(163)의 말단(즉, 무빙 프레임과 연결되는 말단)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64)는 상기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을 더욱 지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연장부(164)는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하부에서 상부로 더욱 연장되고, 반대 편의 연장부의 경우에는, 무빙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상부에서 하부로 더욱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연결부재(163)의 상하 중심과 무빙 프레임의 상하 중심이 일치되지 않더라도, 무빙 프레임(170)의 뒤틀림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연장부(164)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빙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163)를 통해 가해지는 힘과 이동 변위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Due to the location of the motor assembly 160, the connecting member 163 pushes or pulls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instead of the upper and lower central portions. Therefore, basically, the connecting member 163 has no choice but to apply force to distort the moving frame. In order to minimize the application of force to the eccentric portion of the moving assembly 170 rather than the upper and lower central portions, the connecting member 163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164. The extension part 164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or downward from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ie, an end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Preferably, the extension part 164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moving assembly 170 further. That is, the extension part 164 shown in FIG. 7 further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moving assembly 170 to the upper part, and in the case of the extension part on the opposite side, it further extend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center of the moving assembly 170. It is desirable to do so. Through this, even if the vertical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vertical center of the moving frame do not match, the dist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inimized. Also,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by coupling the extension part 164 to the connecting member coupling part 174 .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 coupling parts 174 may be provided so that force and movement displacement appli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63 ar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entire top and bottom of the moving frame 170 .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슬릿(113)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13)은 드로워(30)의 개수와 같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3)은 지지 프레임(1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지지 프레임(110)의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슬릿(113)을 따라 전달부재(171)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냉장고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슬릿(113)을 따라 상기 전달부재(171)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관통하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 쪽에 구비되는 드로워(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재(171)가 상기 드로워(30)와 결합되거나 상기 드로워(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드로워와 연결되어 드로워(30)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slit 113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 The number of slits 113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drawers 30 . The slit 113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and is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frame 110 based on FIGS. 7 and 8.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oves left and right along the slit 113 . Based on the refrigerator,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lit 113 . Since the transfer member passes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 it may be connected to the drawer 3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11 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coupled to the drawer 30 o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drawer 30 . The transfer member 171 is connected to the drawer and can directly apply force to the drawer 30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에서 모터 어셈블리(150)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작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좌측에 치우쳐 위치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로 더욱 깊숙이 위치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assembly 150 and the moving frame 170 in the initial position is relatively small. In this state, the moving frame 170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In other words, it is located more deeply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센서(40)를 통해 도어(2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즉 도어 개방 신호가 발생되면, 모터 어셈블리(150)가 구동하게 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50)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63)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밀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가 드로워(30)를 밀어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의 모습이 도 7에 도시된 조작위치에서의 무빙 어셈블리(100)의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163)와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에 위치한 것이라 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163)와 무빙 프레임(170)은 조작위치에 위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지지 프레임(110), 모터 어셈블리의 하우징(161)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sensor 40 that the door 20 is open, that is, when a door open signal is generated, the motor assembly 150 is drive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assembly 150 and the moving frame 170 is relatively increase.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63 pushes the moving frame 170 to move the moving frame 170 forwar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pushes the drawer 30 to move the drawer 30 to the operating position. In other words, the appearance of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7 changes to the appearance of the moving assembly 100 at the operating position shown in FIG. 7 .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moving frame 170 shown in FIG. 7 can be said to be locate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moving frame 170 shown in FIG. 8 are located at the operating position. can be said to be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position change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the housing 161 of the motor assembly does not occu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oving frame 170 is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 In addition, 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drawer to apply force to the draw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후술하겠지만, 상기 드로워(30)와 상기 무빙 프레임 특히 전달부재(171) 사이의 연결을 걸림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의 해제를 걸림 해제라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반대로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드로워(30) 사이의 연결 해제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 해제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서 수행되지만, 반대로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의 이동은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과 무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moving frame, particularly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referred to as jamming, and release of such a connection may be referred to as jamming releas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is disconnected when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jamming release is performed. For this reason, when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t is preferable not to apply force to the drawer 30 . In other words, movement of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is performed by driving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but movement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s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It is desirable to be independent of . Details 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드로워(30)의 자동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드로워(30)가 무빙 어셈블리(100)에 연결된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automatic movement mechanism of the draw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drawer 30 is connected to the moving assembly 100.

상기 드로워(30)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1)과 상기 바스켓(31)의 외부에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통해 레일(12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과 드로워 프레임(32)은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바스켓(3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0)의 구조와 드로워(30)와 레일(120) 사이의 결합 구조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The drawer 30 may include a basket 31 accommodating stored objects and a drawer frame 32 provided outside the basket 31 . The basket 31 may be movably supported on the rail 120 through the drawer frame 32 . Preferably, the basket 31 and the drawer frame 32 are integrally movable. The drawer frame 32 may be provided under the basket 31 . Details of the structure of the drawer 30 and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rail 12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통해 구획된다. 그러나,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는 지지 프레임(110)에 형성된 슬릿(113)을 통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drawer frame 32 and the moving frame 170 are partitioned through the support frame 110 . However,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may extend to the drawer frame 32 through the slit 113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10 .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연결을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 즉 상기 드로워(30)의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연결 해제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30)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ving frame 17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frame 32 .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frame 32,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converted in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frame 32, that is, the drawer 30. Conversely, by disconnecting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frame 3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from being converted in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30.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에는 걸림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3)는 후술하는 다른 걸림부재와 구별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1걸림부재(33)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33)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holding member 33 may be formed in the drawer. The catching member 33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atching member 33 for convenience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catching members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holding member 33 may be formed on the drawer frame 32 and may be formed extending toward the moving frame 170 .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은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으로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의 이동은 무빙 프레임(170)을 후방에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oved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is converted into a movement of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Als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may be generated by a force pushing the moving frame 170 from the rea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frame 170 moves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30 .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걸림부재(33)는 상기 전달부재(171)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드로워(30)가 모두 초기위치 상태일 때에는 양자가 서로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걸림부재(33)를 지속적으로 밀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드로워(30)도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holding member 33 is preferably located in fro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Also, when both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are in their initial posi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y contact each other. Therefore, a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e first holding member 33 can be continuously pushed. Due to this, the drawer 30 can also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반대로,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 상태일 때 상기 전달부재(171)는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 전달부재(171)와 상기 제1걸림부재(33)의 연결 또는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드로워(30)는 조작위치 상태를 유지하고, 전달부재(171) 특히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drawer 30 is in an operating position,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return to an initial position. That is, at this time, the connection or jamming between the transmission member 171 and the first holding member 33 is released. Accordingly, the drawer 30 maintains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articularly the moving frame 170, can return to its initial posi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30)의 초기위치는 상기 드로워(30)가 여전히 저장실 내부에 위치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상기 드로워(30)를 잡아당겨 상기 드로워(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실을 벗어나도록 인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30)의 최대인출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즉, 최대인출위치는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레일(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최대인출위치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기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위치와 상기 최대인출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는 기설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may be referred to a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30 is still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when using the drawer 30, the user opens the door 20 and pulls the drawer 30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awer 30 is drawn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maximum withdrawing position of the drawer 30 can be defined. That is,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in which the drawer 30 is maximally drawn forward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30 is supported by the rail 120 . This maximum withdrawal position may be preset through the rail 120 .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anipulation position and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may be preset.

기본적으로, 상기 레일(120)을 통해 상기 드로워(30)는 초기위치와 최대인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서 드로워(30)는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Basically, the drawer 30 can be movably supported between an initial position and a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hrough the rail 120 . As described above,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

여기서,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에서 상기 최대인출위치(상기 조작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드로워의 인출은 수동 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조작위치에서 상기 최대인출위치까지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30)는 수동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is manually withdrawn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ing position (a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so that the drawer 30 can be manually withdrawn.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30)는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작위치에서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를 더욱 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30)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상기 조작위치나 상기 조작위치 인근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물론,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까지 인입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an operating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drawer 30 . When the user uses the drawer 30, the drawer can be further withdrawn manually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use of the drawer 30 is finished, the drawer 30 may be manually drawn in. For example, the user can manually draw the drawer 30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or to the vicinity of the manipulation position. Of course, it will also be possible to manually pull the drawer 30 to the initial position.

즉, 도어의 개방과 연동되는 드로워(30)의 자동 인출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수행될 수 있고, 조작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는 수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30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can be perform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drawer 30 can be manually withdrawn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한편,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까지 인출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은 상기 연결부재(163)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의 인입은 항상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rawer 30 is drawn out to an operating position, the motor assembly 160 may operate to move the connecting member 163 to an initial position. Therefore, the drawing in of the drawer 30 can always be performed manually.

일례로, 사용자가 최대인출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드로워(30)를 직접 밀어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대인출위치에서 작동위치까지 드로워(30)를 직접 밀어서 인입시킨 후, 도어(20)를 닫음으로써 드로워(30)를 초기위치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20)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 바스켓이 상기 드로워(30)를 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20)를 닫을 때 사용자는 드로워를 인입시키는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 도어를 닫아야 한다. For example, the user may directly push and draw the drawer 30 from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after the user directly pushes and draws the drawer 30 from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drawer 30 can be drawn in to the initial position by closing the door 20 . 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bask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pushes the drawer 30 as the door closes. Therefore, when the user manually closes the door 20, the user has to close the door by applying more force than pulling in the drawer.

이상에서는, 기본적으로 드로워(30)의 자동 인출 관점에서 드로워(30)와 무빙 어셈블리(10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드로워(30)의 인출뿐만 아니라 인입시에도 사용자의 수고를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the mechanism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moving assembly 100 has been basically described in terms of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30 . However,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effort of the user not only when withdrawing the drawer 30 but also when retracting the drawer 30 .

본 실시예에서는, 드로워(30)의 인입 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드로워(30)가 조작위치 또는 상기 조작위치 인근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드로워(30)의 자동 인출에 사용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드로워(30)의 자동 인입에 사용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20) 배면의 도어 바스켓)이 상기 드로워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20)를 닫는 힘 이외에 드로워를 인입시키기 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ovide user convenience when the drawer 30 is drawn in, a refrigerator into which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drawn may be provid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retracted from an operating position or a position near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in the same way that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30 does not require the user's force,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30 does not require the user's for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basket on the back side of the door 20 from applying an impact to the drawer, and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force to draw in the drawer other than force to close the door 20.

이를 위해서, 도 5, 도 6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홀더(18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120)과 마찬가지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지지 프레임(110)의 외측면(111)에 장착될 수 있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5, 6 and 8, a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That is, like the rail 120 ,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frame 110 .

구체적으로, 슬릿(113)을 기준으로 슬릿(113)의 하부에는 레일(120)이 장착되고 슬릿(113)의 상부에는 드로워 홀더(180)가 장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slit 113 based on the slit 113 , and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lit 113 .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조작위치 또는 조작위치 인근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탄성 복원력을 통해 초기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or a position near the manipulation position. The drawer 30 may automatically return to an initial position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를 위해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를 잡고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30 .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hold the drawer sel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걸이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에는 제2걸림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무빙 프레임의 전달부재(171)와 연결되는 제1걸림부재(33)와는 별도로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에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awer holder 180 may include a hanging member 181 . The hanging member 181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30 . More specifically, a second holding member 34 may be provided in the drawer. That is, a second holding member 34 connected to the hang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holding member 33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제1걸림부재(33)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ding member 34 may be provided above the first holding member 33 . Specifically,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rawer frame 32 toward the support frame 110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는 드로워(30)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34)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조작위치까지의 구간(이를 탄성구간이라 할 수 있다)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the hang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provided in the drawer 30 . For example, in a s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is may be referred to as an elastic section),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drawer holder 180. can

상기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가 인출하게 되면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구비되는 스프링(미도시)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가 인입되면 상기 스프링은 탄성 복원된다. When the drawer 30 is withdrawn in the elastic section, a spr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drawer holder 180 is elastically deformed. Also,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in in the elastic section, the spring is elastically restored.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는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조작위치까지 인출된다. 드로워(30)가 인출되면서, 상기 드로워(30)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걸이부재(181)를 밀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이 인장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탄성 복원력이 상기 드로워(30)를 자동적으로 인입되도록 하게 된다.Specifically, in the elastic section, the drawer 30 is automatically drawn fo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 That is, it is drawn out to the operating position. As the drawer 30 is drawn out,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provided in the drawer 30 pushes the catching member 181 . The hanging member 181 moves forward together with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and thus the spring can be elastically deformed. For example, the spring may be tension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allows the drawer 30 to be drawn in automatically.

더욱 구체적으로,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를 통해 상기 드로워(30)를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드로워(30)에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의 제2걸림부재(34)를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인입하기 위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드로워(30)는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rawer 30 can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drawer holder 180 and be automatically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30 is removed through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the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drawer holder 180 is applied to the drawer 30. Accordingly, the hook member 181 pulls the second hook member 34 of the draw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cordingly,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drawn in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a separate force to draw the drawer 30 in.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제1걸림부재(33)를 밀기 위해서만 구비되는 반면, 상기 걸이부재(181)는 제2걸림부재(34)에 의해 당겨지고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당기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30)의 인출 시 상기 제2걸림부재(34)에 의해 당겨지며,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시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당기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는 탄성구간에서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및 인출 시 항상 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로워의 인입 시 수동 인입이 아닌 자동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상기 드로워를 조작할 수 있다. 물론, 드로워(30)의 자동 인입은 전술한 최대인출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의 구간이 아닌 조작위치 또는 상기 조작위치 인근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whil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provided only to push the first holding member 33, the hanging member 181 is pulled by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is pulled. It can be said that it is equipped to pull. That is, the hook member 181 is pulled by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pulled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in. will pull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ging member 181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are always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in and out in the elastic section. Therefore, when the drawer is pulled in, automatic pull-in, not manual pull-in, is enabled,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drawer very conveniently.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matic drawing-in of the drawer 30 is performed from the operation position or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rather than the section from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0 참조하여 드로워 홀더(180)에 의한 드로워의 자동 인입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0 , an automatic drawing-in mechanism of the drawer by the drawer holder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드로워(30)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조작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3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위치에서부터 상기 조작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드로워 홀더(180)에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이 발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awer holder 18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30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when the drawer 30 moves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ovided to the drawer 30 . Her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may be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drawer holder 18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도 10에서는 탄성구간이 초기위치보다 더욱 전방에서 시작되어 조작위치보다 더욱 전방에서 종료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lastic section starts further forward than the initial position and ends further forward than the manipulation position.

먼저, 도 10에서는 초기위치에서의 제2걸림부재(34)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위치에서 제1걸림부재(33)와 전달부재(171)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First, in FIG. 10,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n the initial position is shown. In this initial positi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lding member 33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are connected is shown.

도어가 개방되면, 전동 구동부(150)가 작동을 하여 전달부재(171)가 전방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33)를 밀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30)가 전방으로 인출되며, 마찬가지로 제2걸림부재(34)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door is opened,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operates so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ushes the first holding member 33 forward. Accordingly, the drawer 30 is drawn forward, and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is also moved forward.

도 10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걸이부재(181)가 탄성시작위치와 조작위치에 각각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편의상 하나의 전달부재(181)가 초기위치와 조작위치에 각각 위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달부재(181)는 초기위치에서 슬릿(113)의 왼쪽에 치우쳐 있고, 조작위치에서는 슬릿(113)의 오른쪽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 10, for convenience, it is shown that one hook member 181 is positioned at the elastic start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respectively. And, for convenience, it is shown that one transmission member 181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181 is biased to the left side of the slit 113 in the initial position and is biased to the right side of the slit 113 in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탄성시작위치에 이르면,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상기 걸이부재(181)와 연결되게 된다. 상기 탄성시작위치는 상기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에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하우징(182)에 형성되는 슬롯(183, 184)의 형상과 상기 걸이부재(181)의 연결관계를 달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moves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reaches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catching member 181 . The elastic start position may be preset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slots 183 and 184 formed in the housing 182 of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hanging member 181. It can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일례로,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조작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0mm라고 할 경우, 상기 탄성시작위치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30mm 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is 120 mm, the elastic start position may be set to be 30 mm away from the initial position forward.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 이르기까지는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걸이부재(181)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드로워 홀더(180)의 스프링은 탄성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탄성시작위치에 이르러 더욱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181)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스프링을 탄성 변형시키게 된다. 그리고, 드로워가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작위치에 이르면 탄성 변이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즉, 도 10의 오른쪽에 도시된 걸이부재(181)에는 제2걸림부재(34)가 걸린 상태가 되어, 드로워(30)가 조작위치 상태가 된다. Since the engagement between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and the catching member 181 is released until the drawer reaches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180 is not elastically deformed. Further, as the drawer reaches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and is further drawn out, the hanging member 181 moves forward to elastically deform the spring. In addition, when the drawer moves further forward and reaches the manipulation position, the elastic displacement is further increased. That is, the hook member 181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10 is in a state where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caught, and the drawer 30 is in an operating posi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20)의 조작위치에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상기 드로워(30)를 인입시키기 위한 힘을 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위치에서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이 유지(일례로 시계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항상 상기 드로워(20)를 밀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 상태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도어의 개방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이 유지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조작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무빙 프레임(17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역구동(일례로 반시계방향 구동)될 수 있다.As shown, it can be seen that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20, the drawer holder 180 applies force to draw the drawer 30 i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for example, clockwise driving) at the operating position. That is, when the door 20 is ope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always maintained to push the drawer 20 . In other words,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is maintained while the door is kept open,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its operating position. Of cour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closing of the door 20 is sensed, the motor assembly 160 can be reverse drive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driven)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한편, 상기 드로워(30)가 조작위치에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이 유지되는 것은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과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더이사이 연결부재(163)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가 헛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시간 동안 작동을 유지한 후, 역구동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시간은 사용자가 특정 드로워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드로워를 인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무빙 프레임(170)을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대략 5초 가량 조작위치를 유지한 후 역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maint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30 may cause an overload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 This is because the motor is idle because the connecting member 163 cannot move forward anymore. Therefore, after moving the drawer 30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maintains the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s the moving frame 170 to the initial position by reverse driving.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time required for a user to select a specific drawer and withdraw the specific drawer. For example, after moving the moving frame 170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may be controlled to be reverse driven after maintaining the operating position for about 5 seconds.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에 의한 드로워(20)의 자동 인출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의 인출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드로워(20)를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20 by the electric driving unit 150 i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erefore, the withdrawal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That is, the user can directly pull the drawer 20 and withdraw it.

조작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 드로워(20)를 인출시킬 때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인출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인출 시 상기 드로워 홀더(180)와 상기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rawer 20 is withdrawn from the manipulation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hat obstructs the withdrawa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during manual withdrawal.

이를 위해 상기 드로워 홀더의 하우징(182)에 형성된 슬롯에 경사 슬롯(18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나란히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183, 184) 중 하부 슬롯(184)의 전방에 경사 슬롯(18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슬롯(185)은 후술하는 다른 경사 슬롯과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1경사 슬롯(185)이라 할 수 있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lot 185 in a slot formed in the housing 182 of the drawer holder.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lot 185 in front of the lower slot 184 of the two slots 183 and 184 formed side by side up and down. The inclined slot 185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inclined slot 185 for convenience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inclined slots described later.

상기 제1경사 슬롯(185)은 상기 슬롯(184)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에서 전방으로 조금만 더 인출하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1경사 슬롯(185)에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181)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를 탄성종료위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시작위치는 초기위치의 전방이며, 마찬가지로 탄성종료위치는 조작위치의 전방이라 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lot 185 is located in front of the slot 184. When the user withdraws the drawer 30 a little further forwar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he hanging member 181 may be constrained to the first inclined slot 185 . At this time, the hooking member 181 is rotate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ing member 181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released. Also, a position at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 member 181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released may be referred to as an elastic end position. Therefore, the elastic start position in this embodiment is forward of the initial position, and similarly, the elastic end position can be said to be forward of the manipulation position.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드로워를 최대인출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 member 181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released,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drawer manually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without being obstructed by the drawer holder 180. there will b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조작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로워를 인출한 후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30)를 조작위치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frame 170 can maintain its operating posi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 the user can withdraw the drawer and then manually pull the drawer 30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이때,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상기 조작위치까지 인입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종료위치와 상기 조작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매우 짧다. 따라서,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가 상기 드로워(30)를 밀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서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상기 걸이부재(181)와 재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히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드로워(30)를 인출하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잡아당겨, 상기 드로워(30)가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not pull the drawer 30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elastic end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is relatively very short. Accordingly, the door may push the drawer 30 as the door is closed. That is, by pushing the drawer 30 ,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may be reconnected with the hanging member 181 . When the door is closed, since the moving frame 170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the force to withdraw the drawer 30 is removed. Therefor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rawer holder 180, the hanging member 181 pulls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so that the drawer 30 can automatically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

전술한 바와는 달리, 탄성시작위치와 초기위치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드로워(30)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 변이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즉, 탄성구간이 커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Unlike the above, the elastic start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may be the same. However, in this case,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case, since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spring is relatively large (ie, the elastic range is larg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ay decrease over time.

따라서, 탄성시작위치를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드로워의 초기 복귀 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그리고 말기 복귀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복귀 속도의 차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refore, by setting the elastic start position to be spaced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initial return speed of the drawer can be relatively fast and the final return speed can be relatively slow. Here, the difference in return speed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초기 복귀 속도는 도어의 닫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매우 빨리 닫히는데, 도어의 닫힘 속도보다 드로워의 초기 복귀 속도가 늦는다면, 도어에 의해서 드로워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반대로, 말기 복귀 속도가 빠르다면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0)에 의해 상기 레일(120)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는 초기에는 신속히 복귀하다가 말기에는 부드럽고 천천히 복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말기에는 관성에 의해서 드로워가 복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initial return speed is related to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For example, if the door closes very quickly and the drawer's initial return speed is slower than the door's closing speed,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drawer by the door. Conversely, if the end return speed is high, a large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rail 120 by the drawer 2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returns quickly at the beginning and then returns smoothly and slowly at the en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return the drawer by inertia at the end.

한편, 상기 드로워(30)의 인출 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걸이부재(181)와 연결되며, 반대로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상기 걸이부재(181)와의 연결은 해제된다. 이는 전술한 탄성종료위치에서의 구조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부 슬롯(183)의 후단에서 마찬가지로 제2경사 슬롯(186)이 형성되어 탄성시작위치에서 걸이부재(181)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제1경사 슬롯에서의 걸이부재(18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이 해제된다면, 상기 제2경사 슬롯(186)에서의 걸이부재(18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이 해제된다고 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when the drawer 30 is withdrawn, and conversely,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and the catching member 181 is released. Thi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tructure at the elastic end position described above. Similarly, a second inclined slot 186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lot 183 so that the hook member 181 can rotate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If the hook member 181 in the above-described first inclined slo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be disconnected, the hook member 181 in the second inclined slot 186 is rotated clockwise to be disconnected. can do.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드로워가 자동 인출 및 자동 인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withdrawn and automatically drawn in the following order.

1)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복수 개의 드로워는 초기위치 상태이다. 1) With the door closed, multiple drawers are in their initial position.

2) 도어의 열림 신호가 발생되면,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어 무빙 프레임을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드로워가 일체로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이동되어 멈추게 된다. 2) When the door open signal is generated, the electric driving unit is driven to move the moving fram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moved integrally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stopped.

3) 드로워의 조작위치에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수동으로 더욱 인출할 수 있다.3) The user can further withdraw the drawer manually from the drawer's operating position.

4) 도어의 닫힘 신호가 발생되거나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동 구동부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가 드로워를 밀어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4) When a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drawer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electric driving unit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he moving frame to its initial position. As the door closes, the door pushes the drawer so that the drawer can return to its initial position.

5)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의 탄성 복원력은 드로워가 조작위치로 이동될 때 발생된 탄성 변형에 의해서 발생된다. 상기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은 드로워 홀더에 구비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5) When the drawer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it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by elastic restoring forc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t this time is generated by elastic deformation generated when the drawer is moved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may be generated by a spring provided in the drawer hold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가 열리면 사용자가 드로워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조작위치로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조작위치에서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가 상기 드로워를 밀어 초기위치로 인입될 수 있으며,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인입될 수도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to an operating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drawer. As the door is closed in the operating position, the door may push the drawer to be drawn in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initial position by us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드로워의 인출과 인입 단계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는 드로워(30)의 위치 변화에 따른 드로워 홀더(180)와의 연결 및 연결 해제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steps of withdrawing and withdrawing the draw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 FIG. 11 sequentially shows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with the drawer holder 180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drawer 30 .

도 11(a)는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30)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11(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도어의 열림 신호가 발생되면, 전동 구동부가 작동을 하여 드로워를 조작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0(b)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30)가 연결된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를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시작위치라 할 수 있다. When a door open signal is generated, the electric driving unit operates to move the drawer to the operating position. 10(b) shows a point in time wh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are connected while the drawer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is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elastic star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초기위치에서 탄성시작위치까지는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레일(120)의 마찰력을 제외하고는 반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즉, 드로워의 인출에 방해되는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동 구동부의 초기 작동 시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시작위치에서부터는 드로워 홀더(180)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된다. 상기 탄성시작위치는 일례로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30mm 이격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elastic start position, reaction force does not act except for the substantially negligible frictional force of the rail 120 . That is, no force obstructing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is generated. Therefore, overload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may be prevented in advance during initial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Also,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180 is elastically deformed from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he elastic start position may be set to a position spaced 30 mm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for example.

드로워가 상기 탄성시작위치를 벗어나 더욱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은 지속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As the drawer moves further forward beyond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is continuously elastically deformed.

도 10(c)에는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이 탄성 변형되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10(c) shows a position where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is elastically deformed.

도 10(d)는 드로워가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여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 즉 탄성종료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종료위치에서는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상기 드로워에 가해지지 않는다. 10(d)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awer moves further forwar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is released, that is, the elastic end position. Therefore, at the elastic end posi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is not applied to the drawer.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작위치는 도 10(c)와 도 10(d) 사이의 위치임을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 탄성종료위치까지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로워를 인출하여야 하고, 이때에는 매우 짧은 거리 동안 사용자는 드로워 홀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겨야 한다. 사용자는 드로워의 탄성종료위치에서 수동으로 드로워를 더욱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탄성 복원력을 이기면서 드로워를 인출시키지 않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manipulation position is a position between FIGS. 10(c) and 10(d). Therefore, the user must manually withdraw the drawer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elastic end position, and at this time, the user must overco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rawer holder spring for a very short distance. The user can further withdraw the drawer manually from the elastic end position of the drawer. At this time, the user does not withdraw the drawer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반대로 드로워가 인입될 때에는 사용자는 도 10(d)에 도시된 탄성종료위치 보다 더욱 후방으로 드로워를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즉, 조작위치까지 드로워를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위치에서 드로워 홀더(180)와 드로워가 재연결된다. Conversely, when the drawer is retracted, the user can manually retract the drawer further back than the elastic end position shown in FIG. 10(d). That is, the drawer can be manually drawn in to the operating position. At this operating positio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are reconnected.

도어의 닫힘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전동 구동부가 조작 위치에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 전동 구동부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즉, 전동 구동부를 통해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위치에서 드로워에는 드로워 홀더의 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드로워는 자동으로 인입되게 된다.When a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electric driving unit, the electric driving unit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That is,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through the electric drive is no longer maintained. Accordingly,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spring of the drawer holder is provided to the drawer at the operating position. Due to this, the drawer is automatically drawn in.

드로워가 인입되면서, 도 10(b)에 도시된 위치까지는 드로워 홀더의 탄성 복원력이 드로워에 제공된다. 따라서, 드로워는 매우 빠른 속도를 갖고 복귀될 수 있다. 아울러, 초기위치에 근접하게 되면, 즉, 도 10(b)와 도 10(a) 사이의 구간에서는 탄성 복원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관성력에 의해서 드로워가 초기위치까지 복귀될 수 있다. As the drawer is retract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rawer holder is provided to the drawer up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0(b). Thus, the drawer can be returned with a very high speed. In addition, when approaching the initial position, that is, in the section between FIGS. 10(b) and 10(a),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released. Therefore, at this time, the drawer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inertial force.

이상에서는, 드로워의 자동 인출을 위한 실시예 그리고 드로워의 자동 인입을 위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자동 인입을 위해, 드로워 적어도 2개의 걸림부재(33, 34)가 구비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an embodiment for automatic withdrawal of a drawer and an embodiment for automatic withdrawal of a drawer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Specifically, an embodiment in which at least two locking members 33 and 34 of the drawer are provided for automatic withdrawal and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하나의 걸림부재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자동 인입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 메커니즘이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2, another embodiment capable of implementing automatic withdrawal and automatic withdrawal of a drawer through a single hold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basic mechanism or configuration may be applied similarly or identical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oregoing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모터 어셈블리(160)와 무빙 프레임(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저장실의 일측벽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무빙 프레임(170)과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작동함에 따라 무빙 프레임(170)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Similarly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motor assembly 160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170 . Similarly, as the motor assembly 160 operates, the moving frame 170 moves back and forth.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로워 홀더(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홀더도 저장실의 일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드로워 홀더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로워 홀더(180)는 걸이부재(181)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이부재(181)가 드로워(2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similarly 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holder may also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the same drawer hold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awer holder 18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hook member 181 protrudes sideways instead of downward or upward. In other words, the hanging member 181 may protrude toward the drawer 20 .

상기 드로워(30)에는 걸림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36)를 밀어서 드로워(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6)는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의 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36)는 상기 걸이부재(18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걸이부재(18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36)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2걸림부재(34)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A holding member 36 may be provided in the drawer 30 . That is, the drawer 30 is moved forward by pushing the holding member 36 . The hanging member 36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ang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 Accordingly, the hooking member 36 moves the hooking member 181 for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drawer 30 .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olding member 36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second holding member 3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anging member 181 .

그러나, 상기 걸림부재(33)는 무빙 프레임(170)에 구비되는 전달부재(171)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36)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걸림부재(33)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걸림부재(36)가 드로워 홀더(180) 및 무빙 프레임(170)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the hooking member 33 may be configured to be moved forward by a transmission member 171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170 .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holding member 36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first holding member 3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one hooking member 36 is connected to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moving frame 170 .

구체적으로, 무빙 프레임(170)에 구비되는 전달부재(171)는 드로워 홀더(180)의 걸이부재(181)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는 걸림부재(36)와 연결된 걸이부재(181)를 밀어서 결과적으로 걸림부재(36)를 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 방향으로 돌출된 걸이부재(181)의 후방 일측에서 상기 걸이부재(181)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anging member 181 of the drawer holder 180 .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ushes the hooking member 181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36 to push the hooking member 36 as a result. In other word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anging member 181 from one rear side of the hanging member 181 protruding toward the drawer.

본 실시예에서의 무빙 프레임(170)은 연결부재(18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17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176)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170 in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coupling portion 174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180 . Also, a roller 176 may be provided in the moving frame 170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can stably move back and forth.

상기 롤러(176)는 무빙 프레임의 상부에 2개소 그리고 하부에 2개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지지점을 갖고 무빙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롤러(176)는 저장실의 일측벽 상에서 롤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ollers 176 may be formed in two places on the upper part and two places on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frame. Therefore, the moving frame can be moved stably with four support points. Of course, the roller 176 may be provided to roll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 홀더(180)와 상기 드로워(30)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36)과 상기 드로워 홀더(180) 사이의 간격 내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between the drawer holder 180 and the drawer 30 .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in a gap between the locking member 36 of the drawer and the drawer holder 180 .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있으며, 무게를 줄이기 위한 복수 개의 슬릿(17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상하로 배열된 3개의 드로워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 전달부재(171)도 3개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두 개의 전달부재(171)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의 전달부재(171)는 상기 슬릿(175)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에 형성되는 슬릿(177)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릿(177) 부분에서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중간 전달부재라 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17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lits 175 may be formed to reduce weight. In addition, when the moving frame 170 is provided to move three drawers arranged vertically, three transmission members 171 should also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two transmission members 17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ing frame 170 . And, the intermediat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formed through the slit 175 . Specifically,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slit 177 formed in the middle.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slit is not formed in the slit 177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transmission member.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한 자동 인출 및 자동 인입이 가능한 드로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되는 드로워는 일반적인 수동 인출 및 수동 인입되는 드로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the drawer capable of automatic withdrawal and automatic withdraw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8 . The described drawer may be similarly applied to a general manual withdrawal and manual withdrawal drawer.

상기 드로워(30)는 바스켓(31)과 드로워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은 저장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바스켓(3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drawer 30 may include a basket 31 and a drawer frame 32 . The basket 31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storage. The drawer frame 32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basket 31 .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는 바스켓 안착부(38)와 레일(120)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37)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rawer frame 32 may include a basket seating portion 38 and a rail coupling portion 37 coupled to the rail 120 .

상기 바스켓 안착부(38)에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어 상기 바스켓(31)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스켓(31)은 수직 하방으로 상기 바스켓 안착부(38)에 안착되어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바스켓(31)은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상기 바스켓(31)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The basket is seated on the basket seating portion 38 so that the basket 31 can be coupled to the drawer frame 32 . In particular, the basket 31 may be seated on the basket seating portion 38 vertically downward and coupled to the drawer frame. Conversely, the basket 31 may be disengaged from the drawer frame while moving vertically upward. Accordingly,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rawer frame 32 and the basket 31 are very easy.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38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8a)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An opening 38a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rawer frame. Also, the seating portion 38 may be formed around the opening 38a.

상기 바스켓(31)은 상부 바스켓(31a)와 하부 바스켓(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스켓(31b)가 상기 개구부(38a)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바스켓(31a)가 상기 안착부(38)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스켓(31a)과 하부 바스켓(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ket 31 may include an upper basket 31a and a lower basket 31b. The lower basket 31b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8a, and the upper basket 31a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38. Also, the upper basket 31a and the lower basket 31b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37)와 레일은 가급적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il coupling part 37 may be provided to extend forward and backward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frame 32 .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coupling part 37 and the rail are hidden from the user's field of view as much as possible.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레일 결합부(37)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바스켓보다 좌우 폭이 더욱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드로워 데코(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데코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 데코(39)는 바스켓(31)의 전방 하부에서 좌우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30)의 전방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37)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basket has a larger left and right width than the lower basket so as to cover the rail coupling part 37 from the upper portion. Also, the drawer frame 32 may include a drawer decor 39 . The drawer decor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rawer frame 32 . In particular, the drawer deco 39 may be provided to extend left and right from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basket 31 .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rail coupling part 37 at the front of the drawer 30 .

한편,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는 전술한 걸림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좌측 냉동실과 우측 냉동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는 드로워 프레임(32)의 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0)가 우측 냉동실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측에 구비되는 걸림부재(33)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aforementioned holding member 33 may be formed in the drawer frame 32 . The drawer may be commonly used in the left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ight freezing compartment. Accordingly, the holding members 33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frame 3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wer 30 is form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only the holding member 33 provided on the left side may be used.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는 드로워 홀더와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걸림부재 장착부(34a)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장착부(34a)도 드로워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 hook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for mounting a hooking member to be coupled with the drawer holder may be formed on the drawer frame 32 . Similarly, the mounting portion 34a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respectively.

상기 드로워 홀더와 결합되는 걸림부재(34)는 자동 인입을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 인입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재(34)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 일체로 형성된 것과는 달리, 상기 걸림부재(34)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 holding member 34 coupled to the drawer holder is provided for automatic insertion. Therefore, when automatic retraction is not required, the engaging member 34 may be omitted. Therefore, unlike the case where the hooking member 3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awer frame 32, the hooking member 34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drawer frame.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레일(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ail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6 .

상기 레일(120)은 상기 드로워(3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상기 드로워(30)와 일체로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 레일(12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rail 1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rawer 3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120 includes a moving rail 121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integrally with the drawer 30 .

아울러,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이동 레일(121)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il coupling part 37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movable rail 121 .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이동 레일(121)을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얹혀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rail coupling part 37 may be formed to have a channel-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be seated while surrounding the movable rail 121 .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ail coupling part 37 rests on the movable rail 121 and is coupled thereto.

상기 이동 레일(121)의 후단에는 걸림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5)는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걸림부(125)에 삽입되면,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에서 후방 이동과 상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A hooking part 125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ovable rail 121 . The hooking part 125 may be formed such that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37 is inserted. Therefore, when the rail coupling part 37 is inserted into the hooking portion 125, rearward movement and upward moveme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restricted.

상기 이동 레일(121)의 전단에는 탄성 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128)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홀(37 a)가 형성될 수 있다. An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rail 121 . Also, a mounting hole 37a into which the elastic protrusion 128 is inserted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37 .

상기 이동 레일(121)에는 상기 탄성 돌기(128)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레일(121)과 결합하는 탄성 돌기 브라켓(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126)의 일측에는 장착부(126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126)은 상기 장착부(126a)를 통해서 상기 이동 레일(121)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vable rail 121 may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bracket 126 coupled with the movable rail 121 to form the elastic protrusion 128 . A mounting portion 126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protrusion bracket 126 and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ortion 126b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elastic protrusion bracket 126 may be coupled to the movable rail 121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126a.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와 상기 장착부(126b) 사이에는 절개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돌기(128)은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9127)를 통해서 상기 탄성 돌기(128)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 대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A cutout 127 may be formed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art 126b and the mounting part 126b. Also,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in a shape bent from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art 126b. Accordingly,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ortion 126b through the cutout 9127 .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돌기(128)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와의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심 쪽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ortion 126b may be formed horizontally, and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ortion 126b. Accordingly, the elastic protrusion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part 126b decreases. That is, it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한편, 상기 레일(120)은 고정 레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122)은 상기 이동 레일(121)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 레일(122)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Meanwhile, the rail 120 may include a fixed rail 122 . The fixed rail 122 supports the fixed rail 122 to be slidably movable under the movable rail 121 .

상기 레일(120)은 레일 브라켓(123, 124)를 통해서, 저장실의 측벽 또는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은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레일의 전방과 후방에서 적어도 두 개의 지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20)은 드로워(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The rail 120 may be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support frame 110 through the rail brackets 123 and 124 . The rail bracket may include a front rail bracket 123 and a rear rail bracket 124 . That is, at least two support points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one rail. These rails 1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30, respectively.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는 전후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서 전술한 전달부재(171)이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은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와 상기 브라켓(123, 124)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슬릿(113)이 형성됨을 의미하게 된다.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aforementioned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mov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That is, the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nipulation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Therefore, the transfer member 171 and the brackets 123 and 124 do not interfere. This means that the slit 113 of the support frame 110 is form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드로워(30)와 레일(12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rail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상기 레일(1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전방을 위로 하고 드로워의 후방을 아래로 하여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이 레일에 구비되는 걸림부(125)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In order to couple the drawer frame 32 to the rail 120, as shown in FIG. 17, the user sets the drawer frame 32 with the front side of the drawer up and the rear side of the drawer down. can be moved backwards.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37 is inserted into the hooking part 125 provided on the rail and caugh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레일(120) 특히 이동 레일(121)의 상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121)을 감싸면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안착되면, 상기 드로워의 좌우 이동은 제한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9 , the rail coupling part 37 may be seated while surrounding the movable rail 121 at the top of the rail 120 , particularly the movable rail 121 . Accordingly, when the rail coupling part 37 is seated on the movable rail 121,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drawer is restricted.

이후,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로워 프레임(32)의 전방을 하방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돌기(128)은 드로워의 좌우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탄성 돌기(128)는 탄성 복원되어 장착홀(37a)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장착홀(37a)는 상기 이동 레일의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37b)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128)가 상기 장착홀(37a)에 삽입된 후 돌출되더라도 After that, in the state shown in FIG. 17, the user can lower the front of the drawer frame 32 downward. At this time, the elastic projection 128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the drawer, and when the rail coupling part 37 is completely seated on the movable rail 121, the elastic projection 128 is elastically restored and mounted.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37a. The mounting hole 37a may be formed in a side flange 37b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rail. Therefore, even if the elastic protrusion 128 protrudes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37a,

따라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걸림부(125)와 탄성 돌기(128)에 의해서 상기 이동 레일(121)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rawer frame 32 may be fixed to the movable rail 121 by the hooking part 125 and the elastic protrusion 128 .

한편, 도 17에 도시된 상태는 드로워(30)의 초기 위치라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0)의 초기 위치에서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전방 레일 브라켓(123)와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방 레일 브라켓(124)에 치우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Meanwhile, the state shown in FIG. 17 may be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the holding member 33 and the hold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ar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rail bracket 124 is located biasedly.

상기 드로워(30)가 조작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상기 드로워(30)의 조작 위치와 초기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항상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drawer 30 is moved to the operating position, the holding member 33 and the hold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move forward, and may be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rail bracket 123 . Therefore, the engaging member 33 and the engag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are alway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in the section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It is desirable to be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 요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9,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components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메인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200)를 통해 냉장고의 기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First,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200. Basic operations of the refrigerator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main controller 2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모터 어셈블리(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모터(162)와 모터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62)는 정역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정방향(시계 방향) 구동에 의해서 전술한 전달부재(1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171)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tor assembly 160 .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motor 162 and a motor controller 160 . The motor 162 may be driven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described above may be moved forward by forward (clockwise) driving. Conversely,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moved backward by reverse driving.

상기, 모터(162)의 구동 방향,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듀티비(duty ratio), 상기 모터의 구동 및 정지는 상기 모터 제어부(16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162, the duty ratio applied to the motor, and driving and stopping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motor control unit 160.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로 이동하는 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의 최대 돌출길이는 상기 전달부재의 조작위치와 대응되고, 상기 연결부재(163)의 최소 돌출길이는 상기 전달부재의 초기위치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63)는 최대 돌출길이와 최소 돌출길이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63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maximum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orresponds to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minimum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orresponds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163 moves between the maximum protrusion length and the minimum protrusion length.

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서 상기 연결부재(163)가 드로워의 초기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있는지 조작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는 두 개의 홀 센서(166, 167)가 구비될 수 있다.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ng member 163 in the motor assembly 160 i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or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at is,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two hall sensors 166 and 167 .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60)에는 마그넷(16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68)은 상기 연결부재(163)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161)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홀센서(166)에서 상기 마그넷(168)을 인식하면, 상기 전달부재는 초기위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홀센서(167)에서 상기 마그넷(168)을 인식하면, 상기 전달부재는 조작위치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magnet 168 . The magnet 168 may be provided to move inside the housing 16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 Therefore, when the first hall sensor 166 recognizes the magnet 168,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fer member is in an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second hall sensor 167 recognizes the magnet 168,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is in an operating position.

이러한 홀센서(166, 167)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어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Using these Hall sensors 166 and 167,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tor assembly 160 is operating normall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ntrol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모터 제어부(165)는 기본적으로 센서(40)를 통해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162)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센서(40)는 기설정된 개방 각도(일례로 90도 개방각도)에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40)가 일례로 도어가 90도 열린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모터 제어부(165)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조작위치로 인출되도록 상기 모터(162)를 작동시킨다. The motor controller 165 basically operates the motor 162 when door opening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40 . Here, the sensor 40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at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for example, a 90-degree opening angle). That is, when the sensor 40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for example, the motor control unit 165 operates the motor 162 to withdraw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상기 센서(40)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도어 개방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200)를 통해 상기 모터 제어부(165)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개방 신호는 직접 상기 모터 제어부(165)로 전달될 수도 있다. When door opening is detected by the sensor 40 , a door opening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tor controller 165 through the main controller 200 . Of course, the door open signal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tor controller 165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50)는 냉장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50)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저장실을 비추는 조명장치(60)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위치(50)는 상기 센서(40)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조명장치(60)의 제어만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스위치(50)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개방 각도에서 도어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여 조명장치(6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밀착이 해제된 상태를 도어 열림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Meanwhile,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switch 50. The door switch 50 may have a configuration generally used in refrigerators. When the door switch 50 senses the opening of the door, the lighting device 60 for illuminating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operated. Here, the door switch 50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40 . That is, it can be said that it is basically a configuration provided only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device 60 . For example, the door switch 50 may operate the lighting device 60 by determining that the door is opened at a relatively small opening angle. Basically, it can be said to be a configuration capable of detecting a state in which close contact between a door and a cabinet is released as a door open.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를 전제로 하여 상기 센서(4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가 발생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는 매우 작은 개방 각도에서 수행되고, 상기 센서(4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는 일례로 대략 90도의 개방 각도에서 수행되기 때문이다. 상기 센서(40)와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제어 로직은 후술한다. As described above, door open detection through the sensor 40 should occur on the premise of door open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50 . This is because door open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50 is performed at a very small opening angle, and door open detection through the sensor 40 is performed at an opening angle of about 90 degrees, for example. Control logic through the sensor 40 and the door switch 5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6 .

먼저, 도 20을 참조하여 초기 단계(S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초기 단계는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최초로 모터(162)가 구동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모터(162)가 초기 구동을 하여 전달부재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켜 전동 드로워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 20, the initial step (S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initial stage may be referred to as a stage in which the motor 162 is initially drive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motor 162 is initially driven to move the transfer member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initializing the electric drawer system.

따라서, 초기 단계(S10)가 시작되면, 모터가 동작(S30)한다. 즉, 전달부재(17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작동한다. 이때의 모터 구동 방향을 일례로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이하, 모터 구동 방향이 반시계방향일 때 전달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시계방향일 때 전달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Therefore, when the initial step (S10) starts, the motor operates (S30). That is, it operates to return the transmission member 171 to its initial positi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at this time may be,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premise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moves backward whe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is counterclockwise and moves forward when the driving direction is clockwise.

상기 모터의 동작은 소정 듀티비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동작은 제1홀센서(166)를 통해서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었음이 판단되면 종료된다. 일례로, 상기 제1홀센서(166)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이 정지(S40)한다. The operation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with a predetermined duty ratio.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terminated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first hall sensor 166 that the transfer member 171 ha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For example, when a signal from the first hall sensor 166 is generated,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stopped (S40).

또한, 상기 모터의 동작은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되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 시간은 5초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마진을 고려하여 최대로 허용되는 모터 동작 시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동작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1홀센서(166)에서의 온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정상적이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o stop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5 seconds.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larg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motor operating time in consideration of a margi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normally performed until the 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all sensor 166 before reaching the predetermined time.

따라서, 모터가 정지(S50)된 후, 상기 모터의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거나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됨을 감지(S50)하면, 전동 드로워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가 발생되면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가 시작될 수 있다. Therefore, after the motor is stopped (S50), if the operation time of the motor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or it is detected that a signal from the second hall sensor 167 is generated (S50), it is consider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electric drawer system. can be judged Accordingly, when an error occurs, a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step of displaying an error may be initiated.

여기서, 제2홀센서(167)의 온 신호 발생은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가 아닌 조작 위치에서 발생되는 것이 정상적이다. 따라서, 초기 단계(S10)에서 제2홀센서(167)의 온 신호 발생은 홀센서들을 포함한 전동 드로워 시스템 전체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Here, it is normal that the on signal of the second hall sensor 167 is generated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member 171, not at the initial position. Therefore, the generation of the on signal of the second hall sensor 167 in the initial step S10 can be said to indicat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entire electric drawer system including the hall sensors.

아울러, 모터가 소정 시간 이상 동작하는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드로워 시스템 전체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달부재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는 드로워에 의한 부하가 상기 모터(162)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In addition, when the motor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more, it can be sai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entire electric drawer system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no load by the drawer is applied to the motor 162 when the transfer member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한편, 에러가 발생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단계(S100)이 수행될 수 있다. 알림 단계(S100)에서 에러 여부를 다시 판단(S110)하며, 이때 어느쪽 드로워에서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양쪽 냉동실에 각각 전동 드로워가 설치된 경우, 왼쪽 드로워의 에러인지 오른쪽 드로워의 에러인지 판단한다. 전동 드로워의 에러인 경우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an error occurs, a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21 . In the notifying step (S100), whether or not an error is determined again (S110),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in which drawer the error occurred. That is, when electric drawers are installed in both freezer compartm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ft drawer has an error or the right drawer has an error. In case of an error in the electric drawer, a step of displaying the error (S120)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an error cod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그리고, 에러를 표시한 후 또는 에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후 대기 상태(S200)로 전환된다. 상기 대기 상태(S200)는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라 할 수 있다.Then, after displaying an error or determining that it is not an error, it is converted to a standby state (S200). The standby state (S200) may be referred to as a state in which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S200)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S210, S2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인출을 위한 조건은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 스위치(41)에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S210)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22 , in the standby state ( S200 ), determination steps ( S210 and S220 ) of determining conditions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may be performed.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may be the sensor 40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Specifically, when the reed switch 41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S210),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above condition is satisfied.

따라서, 상기 센서(40)를 통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때까지 상기 모터(162)는 항상 대기 상태(S200)를 유지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motor 162 always maintains the standby state (S200) until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4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는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를 전제로 한다. 따라서,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이 감지(S200)되면 비로소 인출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door open detection through the sensor 40 is premised on door open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50 . Accordingly, when door opening through the door switch 50 is detected (S200), the withdrawal step (S300) may be performed.

그리고,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센서(40)의 에러 여부를 판단(S230)하고 해당되는 에러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대기 상태(S200)로 전환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40 and the door opening is not detected through the door switch 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nsor 40 has an error (S230) and a corresponding err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have. After this, i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state (S200).

상기 인출 단계(S300)에서 상기 모터(162)는 드로워(30)를 전방으로 밀도록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162)에는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특히, 드로워(30)에 저장물이 많은 경우에는 더욱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 단계(S300)에서는 부하에 따라 큰 출력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듀티비를 증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In the withdrawing step (S300), the motor 162 should operate to push the drawer 30 forward.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motor 162 in the drawing step.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many items stored in the drawer 30, a greater load is applied. Therefore, in the drawing step (S300), it is preferable to control so that a large output is generated from the motor according to the loa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uty ratio to increase as the load increases.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 단계(S300)는 모터의 회전시 발생하는 신호(FG, Frequency generator)를 산출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0 ms(밀리세컨드)마다 FG를 산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etching step (S300) may include a step (S310) of calculating a signal (FG, frequency generator) generated when the motor rotates. FG may be calculated every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0 ms (milliseconds).

그리고, 상기 인출 단계(S300)를 상기 산출된 FG에 따라 듀티비를 달리 하여 상기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 인출 구동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산출된 FG에 따라 복수 개의 부하 조건으로 나눈후, 각 부하 조건에서 기설정된 듀티비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The drawing-out step (S300) may include a motor drawing-out driving step (S320) of driving the motor clockwise by varying the duty rati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That is, after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loa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the motor may be driven at a predetermined duty ratio under each load condition.

예를 들어, 산출된 FG가 0 내지 50일 때, 듀티비를 180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FG가 51 내지 100일 때, 듀티비를 200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산출된 FG가 증가됨에 따라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일례로, 산출된 FG가 251 이상일 때 듀티비를 250으로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alculated FG is 0 to 50, the motor may be driven with a duty ratio of 180. And, when the calculated FG is 51 to 100, the motor can be driven with a duty ratio of 200. As the calculated FG increases, the duty ratio increases. For example, when the calculated FG is 251 or more, the duty ratio may be controlled to 250.

다시 말하면, 산출된 FG가 클수록 부하가 큰 조건으로 판단하여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larger the calculated FG is, the larger the load is determined, and the motor output is increased.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는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는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될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기설정된 시간은 3초일 수 있다.The pull-out operation of the motor (S320) may be performed until a signal from the second hall sensor 167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pull-out driving step of the motor (S320) may be performed until a preset time is reached. For example, the preset time may be 3 seconds.

한편,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 도중 드로워의 인출을 방해하는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매우 무거운 물건이 드로워 전방을 가로 막고 있거나, 레일(120)에 이물질이 침입하여 이동 레일(121)이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지속적으로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모터에 큰 부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모터 구동 단계가 더이상 지속되지 않고 복귀 단계(S50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during the pull-out and drive step of the motor (S320), a failure preventing the pull-out of the drawer may occur. That is, the movable rail 121 may not be moved due to a very heavy object blocking the front of the drawer or foreign matter entering the rail 120 . Therefore, in this case, when the motor is continuously driven clockwise, a large load may be generated on the motor. That is, the motor may be damaged. Therefore, when a failure occurs,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driving step does not continue and the return step (S500) is performed.

물론, 상기 복귀 단계(S500)를 수행하기 전에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5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S350) is performed before performing the returning step (S500).

모터의 구동 단계 도중에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는 상기 FG 산출 사이클이 소정 횟수에 도달될 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번째 FG 산출부터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초기 예를 들어 3번째까지의 FG 산출은 장애물 판단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는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 초기 정지 마찰력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정 횟수부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되며, 이는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가 종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may be performed during the motor driving step, and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is preferably performed when the FG calculation cycle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may be performed from the fourth FG calculation. That is, the initial FG calculation up to the third, for example, may be excluded from obstacle determination. This is because a relatively large load may be generated on the motor due to the initial static friction force in the pull-out and driving phase of the motor. Accordingly,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is performed from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ich may be performed until the pull-out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is completed.

상기 판단 단계(S350)에서 산출된 FG가 기설정된 장애물 FG 보다 큰 경우 장애물이 없음으로 판단되어 상기 모터 인출 구동 단계가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산출된 FG가 기설정된 장애물 FG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장애물로 인해서 모터의 과부하가 발생되어 상기 모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의 구동을 종료하고 복귀 단계(S500)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FG calculated in the determination step (S350)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obstacle FG,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stacle, and the motor drawing-and-driving step may continue. However, when the calculated FG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obstacle FG,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is not normally driven due to an overload of the motor due to an obstacle. 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driving of the motor is terminated and a return step (S500) is performed.

한편,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이 종료되면,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종료까지 상기 소정 시간, 일례로 3초 이상 소요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도 최대 허용 시간이라 할 수 있으며, 3초 이상 소요된 것은 에러라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1홀센서(166)의 온 신호 발생인 경우에도 에러라고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인출 구동 단계(S340)의 종료 즉 인출 단계(S300)가 종료되면 정지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obstacle and the pull-out driving of the motor is terminated, an error determination step (S340) may be perform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more was taken until the pull-out operation of the motor was terminated. The predetermined time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maximum allowable time, and if it takes more than 3 seconds, it may be determined as an error. In addition, even when the first hall sensor 166 generates an on signal, it can be determined as an error. When the motor take-out driving step (S340) ends, that is, the pull-out step (S300) is finished, the stop step (S400) may be performed.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단계(S400)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가 아니다. 즉, 드로어의 인출을 정지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는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제2홀센서(167)를 통해 전달부재가 조작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이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이 정지되는 단계가 상기 정지 단계(S400)라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4, the stopping step (S400) is not a step of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That is, it may be referred to as a step of stopping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In other words, the pull-out driving step of the motor is a step of moving the transmission member forwar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moves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through the second hall sensor 167, an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is stopped. do. That is, the step of stopp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referred to as the stopping step (S400).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 단계(S300)에서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도 상기 모터의 시계방향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상기 드로워를 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소의 출력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rawing step (S300), the motor is driven clockwise. Similarly, clockwis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maintained even in the stopping step (S400). However, since the drawer is not being pushed in the stopping step (S400), driving of the motor can be maintained with a minimum output.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는 상기 모터에 인가될 수 있는 최소의 듀티비로 상기 모터가 구동(S420)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연관된 모터의 구동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듀티비 중 가장 작은 듀티비로 상기 모터가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드로워 홀더의 탄성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조작하기도 전에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stopping step (S400),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o drive (S420) with the minimum duty ratio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tor. That is, in driving a motor related to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with the smallest duty ratio among duty ratios applied to the motor. This is to prevent the drawer from being automatically drawn in before the user operates the draw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rawer holder in the stopping step (S400).

한편, 상기 정지 단계(S400)는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3초 동안 수행(S430)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복귀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opping step (S400) may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for 3 seconds (S430). The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return step (S500) may be performed.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지 단계 도중에도 상기 복귀 단계(S500)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도 FG를 산출하는 단계(S41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FG를 통해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밀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40)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산출된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가 드로워를 민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In the stopping step (S400), the user may push the drawer 30 in the drawing-in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returning step (S500) even during the stopping step. To this end, the step of calculating FG (S410) may be performed even in the stop step (S400). Then,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pushed the drawer in the retracting direction through the calculated FG (S440)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calculated FG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F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pushed the drawer.

이 경우도 소정의 FG 산출 횟수가 경과된 후 상기 판단 단계(S44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mination step (S440)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FG calculations have elapsed.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 단계(S400)는 정상적으로 예를 들어 3초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이를 복귀 단계(S500)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복귀 단계에서는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드로워는 전술한 드로워 홀더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복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op step (S400) may normally be performed for, for example, 3 seconds. Then, the motor may be driven so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171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return step (S500). In the returning step,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is removed. Therefore, in the returning step, the drawer is automatically retur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drawer holder.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단계(S500)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S510)를 포함한다. 즉, 모터의 구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BLDC (Blushless DC) 모터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모터에 구동이 정지하도록 브레이크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단계(S510)는 일례로 10 ms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S510)를 통해서 모터의 급격한 회전 방향 전환으로 인해 모터 자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5 , the returning step (S500) includes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S510). That is, a step of temporari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performed in order to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The motor may be a BLDC (Blushless DC) motor, and in this case, a brake input may be applied to the motor to stop driving. The step (S510) may be performed for 10 ms, for example. Through this step (S51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from being applied to the motor itself due to a sudden change in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한편, 상기 복귀 단계(S500)는 전술한 초기 단계(S50)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turning step (S500) may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aforementioned initial step (S50).

즉, 제1홀센서(166)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거나 기설정된 시간까지 상기 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동작(S530)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S540)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최대 허용 시간을 의미하며 일례로 5초일 수 있다. 상기 5초 동안 모터의 구동이 수행되는 것은 에러로 판단(S550)될 수 있다. 물론,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도 에러로 판단(S550)될 수 있다. 에러인 경우에는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when a signal from the first hall sensor 166 is generated or the motor operates counterclockwise until a predetermined time (S530), th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stopped (S540). Here, the preset time means the maximum allowable time, and may be 5 seconds, for example. Driving of the motor for the 5 seconds may be determined as an error (S550). Of course, when a signal from the second Hall sensor 167 is generated, it may also be determined as an error (S550). In the case of an error, a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S540)되면 대기 상태(S200)가 수행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S540), a standby state (S200)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복귀 단계(S500)에서의 듀티비는 초기 단계(S10)에서의 듀티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출 단계에서 감지된 FG 즉 총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초기 단계(S10)에서와 같은 듀티비로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모터의 정방향 구동이나 역방향 구동에 장애물이 실질적으로 배재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듀티비를 인가하더라도 상기 전달부재가 원활히 복귀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uty ratio in the returning step (S500) is greater than the duty ratio in the initial step (S10). However, when the FG detected in the drawing step, that is, the total FG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FG, the motor may be driven with the same duty ratio as in the initial step (S10). That is, in this case, it is because obstacles are substantially excluded from forward driving or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Therefore, even if a relatively small duty ratio is applied, the transfer member can be smoothly restored.

한편, 도어가 급격히 닫히는 경우 조작 위치에서의 드로워는 도어의 바스켓과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가 긴급 복귀하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드로워가 인출되는 도중에 도어가 급격히 닫히는 경우 드로워는 인출하고 있는 데 도어는 닫혀 드로워와 도워가 충돌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oor is rapidly closed, the drawer in the operating position may collide with the basket of the doo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emergency return of the drawer is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door is rapidly closed while the drawer is being withdrawn, the drawer and the door may collide with each other as the door is closed while the drawer is being withdrawn.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긴급하게 드로워를 복귀시키는 제어 로직이 수행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highly desirable that control logic for returning the drawer urgently is performed.

즉, 전술한 인출 단계(S300)와 정지 단계(S400) 수행 도중 상기 드로워가 긴급 복귀하도록 하는 단계(S70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긴급 복귀 단계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수행될 필요가 없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making the drawer urgently return (S700) is performed during the above-described withdrawal step (S300) and stop step (S400). Of course, this emergency return step need not be performed when the drawer is located in the initial position.

따라서, 먼저, 긴급 복귀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으며, 긴급 복귀 조건이 만족되면, 긴급 복귀 단계(S700)가 수행될 수 있다. Therefore, firs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S600) may be performed, and if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is satisfied, the emergency return step (S700) may be performed.

상기 긴급 복귀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 단계나 정지 단계 수행 도중을 만족하고, 상기 센서(40)에서 도어가 닫힘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리드 스위치(41)에서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may be that a withdrawal step or a stopping step is satisfied, and the sensor 40 detects that the door is closed.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reed switch 41 detects the closing of the door.

상기 긴급 복귀 단계도 상기 복귀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모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S720), 모터 정지 단계(S740), 에러 판단 단계(S75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에러로 판단되면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The emergency return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turn step. That is, it may include driving the motor counterclockwise (S720), stopping the motor (S740), and determining an error (S750). Of course, if it is determined as an error, a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한편, 긴급 복귀 단계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소정시간 일례로 10 ms 동안 모터의 구동을 정지한 후 상기 모터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when the emergency return step is started, the motor may be driven in a 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it is also preferable to drive the motor counterclockwise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ms.

전술한 제어 방법을 통해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로 인해 상기 모터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모터는 복귀 단계 또는 긴급 복귀 단계를 수행하여 모터에 큰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control metho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In addition,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motor due to an obstacle, the motor may perform a reset step or an emergency return step to prevent a large load from being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otor.

10 : 캐비닛 20 : 도어
30 : 드로워 31 : 바스켓
32 : 드로워 프레임 40 : 센서
41 : 리드 스위치 42 : 마그넷
100 : 무빙 어셈블리 110 : 지지 프레임
120 : 레일 150 : 전동 구동부
160 : 모터 어셈블리 170 : 무빙 프레임
180 : 드로워 홀더
10: cabinet 20: door
30: drawer 31: basket
32: drawer frame 40: sensor
41: reed switch 42: magnet
100: moving assembly 110: support frame
120: rail 150: electric drive unit
160: motor assembly 170: moving frame
180: drawer holder

Claims (19)

저장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로 결합된 도어;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을 시작하는 저장물 보관 부재;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가 직선 이동을 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직선 이동 하는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의 직선 이동 시작을 상기 제 2 센서가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설정된 회전 각도 이하로 회전하는 것을 상기 제 1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cabinets in which storage spaces are formed;
a door rotatably hing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first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door;
a storage member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starting a linear movement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when the door is rotated more than a set rotation angle;
a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linear movement of the storage member;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storage member moving in a straight line; and
When the first sensor detects that the door is rotated less than a set rotation angl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ensor detects the start of linear movement of the storage storage member, the storage storage member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o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to move linearly to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밀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의 직선 이동 시작은,
상기 도어 스위치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한 후, 상기 제 1 센서가 상기 도어의 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으로의 회전을 감지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oor switch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and the cabinet are in close contact,
The start of the linear movement of the storage member,
The refrigerator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 detects rotation of the door at or above a set rotation angle after the door switch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가 상기 도어의 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으로의 회전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스위치가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모터 제어부는 센서 오류를 표시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or control unit displays a sensor error when the door switch does not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nsor detects rotation of the door beyond a set rotation ang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의 직선 이동 시작을 상기 제 2 센서가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설정된 회전 각도 이하로 회전하는 것을 상기 제 1 센서가 감지하는 것을 긴급 복귀 조건으로 동작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motor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operates as an emergency return condition when the first sensor detects that the door rotates less than a set rotation angl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ensor detects the start of the linear movement of the stored storag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하는 제 3 센서, 및
상기 제 2 위치를 감지하는 제 4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ensor,
A third sensor for sensing the first position,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ourth sensor for sensing the second posi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상기 제 3 센서를 통해 확인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5,
The motor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confirms, through the third sensor, that the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storage member moves linearly toward the first posi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가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서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3 센서가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오류를 표시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6,
The motor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wherein an error is displayed if the third sensor does not detect the first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motor drives the stored storage member to linearly move toward the first posi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제 3 센서가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한 상태에서는 상기 긴급 복귀 조건으로 판단하지 않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5,
The motor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does not determine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sensor detects the first posi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초기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 3 센서가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가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서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5,
The motor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controls the motor so that the storage member moves linearly toward the first position when the third sensor does not detect the first position in an initial operating sta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제 3 센서가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4 센서가 상기 제 2 위치를 감지하는 경우 오류를 표시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5,
The motor control unit,
The refrigerator displays an error when the fourth sensor detects the second position while the third sensor detects the first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모터 회전 시 발생하는 신호가 증가함에 따라 듀티비(duty ration)를 증가시키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motor control unit,
A refrigerator in which a duty ratio is increased as a signal generated when the motor rotates increa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 사이에 전달하기 위해 직선 이동을 하는 전달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mission member that moves linearly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between the storage storage members,
Wherein the second sens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tored storage member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the refrig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자력 변화에 따라 임계점에서 접점 전환을 하도록 구비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nsor,
A reed switch provided to switch a contact point at a critical point according to a change in magnetic forc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magnets varying horizontal angles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복수의 홀 센서들을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hall sensor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와 함께 직선 이동하는 마그넷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복수의 홀 센서들 중 상기 마그넷이 인식되는 센서 신호를 통해 상기 저장물 보관 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냉장고.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magnet that moves linearly with the storage member,
The second sensor,
A refrigerat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stored storage member through a sensor signal recognized by the magnet among the plurality of hall sensor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저장물 보관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직전 이동하는 연결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motor and the storage member and moves just before,
Wherein the magnet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센서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하는 제 3 센서 및 상기 제 2 위치를 감지하는 제 4 센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accommodating the motor,
The second sensor includes a third senso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detect the first position and a fourth sensor to detect the second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물 보관부재는 드로워를 포함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member includes a draw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 상기 제 1 위치에서 소정 거리 만큼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인,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storage space.
KR1020220143529A 2020-08-28 2022-11-01 refrigerator KR102536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529A KR102536874B1 (en) 2020-08-28 2022-11-01 refrigerator
KR1020230061612A KR102620277B1 (en) 2020-08-28 2023-05-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499A KR102218922B1 (en) 2020-08-28 2020-08-28 refrigerator
KR1020210020452A KR102309310B1 (en) 2020-08-28 2021-02-16 refrigerator
KR1020220052865A KR102468153B1 (en) 2021-02-16 2022-04-28 refrigerator
KR1020220143529A KR102536874B1 (en) 2020-08-28 2022-11-01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865A Division KR102468153B1 (en) 2020-08-28 2022-04-28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612A Division KR102620277B1 (en) 2020-08-28 2023-05-12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519A true KR20220152519A (en) 2022-11-16
KR102536874B1 KR102536874B1 (en) 2023-05-26

Family

ID=7468873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452A KR102309310B1 (en) 2020-08-28 2021-02-16 refrigerator
KR1020220143529A KR102536874B1 (en) 2020-08-28 2022-11-01 refrigerator
KR1020230061612A KR102620277B1 (en) 2020-08-28 2023-05-12 refrigerator
KR1020230180400A KR20230175148A (en) 2020-08-28 2023-12-13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452A KR102309310B1 (en) 2020-08-28 2021-02-16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612A KR102620277B1 (en) 2020-08-28 2023-05-12 refrigerator
KR1020230180400A KR20230175148A (en) 2020-08-28 2023-12-13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0931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221A (en)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Sub-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100105266A (en) * 2009-03-20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KR20100130357A (en)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40125105A (en)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45256A (en) * 2013-10-18 2015-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118865A (en)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118867A (en)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910B1 (en) 2007-06-07 2008-04-04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for drawing
JP2009228911A (en)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Refrigerator
CN101981396A (en) * 2008-03-26 2011-02-23 Lg电子株式会社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in a refrigerator
KR101380557B1 (en) * 2008-03-26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in a refrigerator
KR101665707B1 (en) * 2010-02-01 201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KR101737118B1 (en) * 2010-07-19 201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is
KR101398460B1 (en) * 2012-09-18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with sealing apparatus for a crisper drawer
JP6360686B2 (en) * 2014-03-04 2018-07-18 アクア株式会社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221A (en)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Sub-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100105266A (en) * 2009-03-20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refrigerator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KR20100130357A (en)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40125105A (en)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50045256A (en) * 2013-10-18 2015-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118865A (en)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118867A (en) * 2014-04-15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5148A (en) 2023-12-29
KR102309310B1 (en) 2021-10-06
KR102620277B1 (en) 2023-12-29
KR20230070430A (en) 2023-05-23
KR102536874B1 (en) 2023-05-26
KR20210020968A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5874B2 (en) Refrigerator
US10139154B2 (en) Refrigerator
KR102536874B1 (en) refrigerator
KR102468153B1 (en) refrigerator
KR102218922B1 (en) refrigerator
KR102152715B1 (en) refrigerator
KR102043211B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