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2433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2433A
KR20220152433A KR1020210058795A KR20210058795A KR20220152433A KR 20220152433 A KR20220152433 A KR 20220152433A KR 1020210058795 A KR1020210058795 A KR 1020210058795A KR 20210058795 A KR20210058795 A KR 20210058795A KR 20220152433 A KR20220152433 A KR 20220152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vehicle control
vehicle
fob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승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2433A/en
Publication of KR20220152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4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3Power supply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6Power supply in the remote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a step of enabling a control module to receive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a step of enabl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Fob module by a means of a connec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pring pin of the control module; and a step of enabling the Fob module to transmit the vehicl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pring pin to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Vehicle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 및 도어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ontrol devic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start and doors of a vehicle.

스마트 키라고 불리기도 하는 포브 키(FOB Key)는 차량과의 양방향 통신에 통해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지할 수 있고, 차량의 시동까지 걸 수 있는 장치이다.A FOB key, also called a smart key, is a device capable of unlocking a vehicle door and starting the vehicle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그런데, 사용자가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를 해지하거나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항시 포브 키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always carry the FOB key in order to unlock the vehicle door or start the vehicle.

만일 대중화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원격으로 차량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면, 사용자는 포브 키를 휴대하지 않고서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 및 차량 시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vehicl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remotely from a mobile device such as a popular smart phone, the user can conveniently control the vehicle door lock and start the vehicle using the mobile device without carrying the FOB key. .

그러나 아직까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 및 차량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은 미비한 상태이다.However, a technology capable of controlling a vehicle door locking device and vehicle startup using a mobile device is still in an incomplete stat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포브 키를 휴대하지 않고서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allow a user to control a vehicle using a mobile device without carrying a FOB key.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어 모듈이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 모듈의 스프링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모듈을 매개로 포브 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포브 모듈이 상기 스프링 핀을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operating method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located inside a vehicle, comprising: receiving, by a control module,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a fob module via a connec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pring pin of the control module; and transmitting, by the fob module, the vehicl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pring pin to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스프링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포브 모듈을 포함한다.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receiving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a connec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ring pin of the control module and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and a fob module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vehicle control signal to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BLE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상기 스프링 핀으로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BLE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spring pin.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상기 포브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and a second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ob module.

실시 예에서, 제1 배터리는 판 형상의 배터리이고, 제2 배터리는 코인 형상이 배터리이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battery is a plate-shaped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is a coin-shaped battery.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includes a charging connector connected to a charging cable to charge the first battery.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포브 모듈을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고정 부재 및 상기 기판 고정 부재의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핀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택트 스위치의 양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단자를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nection module is inserted into a substrate fixing member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fob module is seated and a through hol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and is inserted into the spring pin and the tact switch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includes a metal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both terminal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포브 키를 휴대하지 않고서도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포브 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is high in that the user can use the function of the FOB key through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ithout carrying the FOB key.

또한,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의 차량을 운전하거나 주차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한 후,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차량의 제어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In addition, when another user drives or parks the user's vehicle, the user may transf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ther user and then grant control authority to the vehicle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t has high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한 커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 및 2에 도시한 포브 기판을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포브 기판을 아래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 및 2에 도시한 기판 고정 부재를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기판 고정 부재를 아래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a 및 5b에 도시된 금속 단자와 포브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택트 스위치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2에 도시한 제어 기판을 위에서 일정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제어 기판을 아래에서 일정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및 2에 도시한 케이스와 도 7b에 도시한 제어 기판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 간의 물리적 접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어 기판을 아래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어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포브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shape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S. 1 and 2;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b substrate shown in FIGS. 1 and 2 viewed from above at a constant angle,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b substrate shown in FIGS. 4a viewed from below at a constant angle.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shown in FIGS. 1 and 2 viewed from above at a certain angle,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shown in FIGS. 5A viewed from below at a certain angle.
FIG. 6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metal terminals shown in FIGS. 5A and 5B and the tact switch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b substrat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2 viewed from above at a certain angle,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7A viewed from below at a certain angle.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ysical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case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tact switche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7B.
FIG. 9 is a view of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8 viewed from below at a certain angle.
10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0 .
FIG. 1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module shown in FIG. 11;
FIG. 13 is a block diagram of the fob module shown in FIG. 11;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1 .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each component in the following drawings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shape of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차량 도어의 개폐와 그 밖의 기존 포브 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차량 도어의 개폐와 그 밖의 기존 포브 키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door and other functions of an existing FOB key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a mobile device, and based on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the vehicle control device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doors and other functions of existing FOB keys.

이러한 차량 제어 장치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 상태라면,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개폐와 그 밖의 기존 포브 키의 기능을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의 포브 키를 항상 휴대하지 않고서도 차량 도어의 개폐와 그 밖의 기존 포브 키의 기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If such a vehicle control device is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e user can fre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and other functions of the existing FOB key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s mobile device, so that the user always carries the existing FOB key. It provides a convenient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and other functions of the existing FOB key without having to do so.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500)와 상기 케이스 부재(5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부재(100)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member 500 and a cover member 100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member 500 as shown in FIGS. 1 and 2 .

커버 부재(100)의 단부에는 결합공을 갖는 힌지부(도 1및 2에서는 자세하게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결합공에 상기 케이스 부재(500)의 단부에 형성된 힌지핀(도 2의 502)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커버 부재(100)와 케이스 부재(500)는 힌지 결합 구조로 결합된다. A hinge portion (not shown in detail in FIGS. 1 and 2 ) having a coupl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ver member 100, and a hinge pin formed at an end of the case member 500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hinge portion (FIG. 2). 502) is rotatably coupled. That is, the cover member 100 and the case member 500 are coupled in a hinge coupling structure.

상기 케이스 부재(500)는 포브 기판(200), 상기 포브 기판(200)이 고정되는 기판 고정 부재(300), 상기 기판 고정 부재(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포브 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기판(40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다.The case member 5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b substrate 200 with the fob substrate 200,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to which the fob substrate 200 is fixed, and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interposed therebetween. It has an accommodation space accommodating the control board 400 to be.

상기 포브 기판(200)에는 기존 포브 키의 포브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저항, 콘덴서, 집적 회로, 택트(tact) 스위치, 통신칩, 안테나 소자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이 실장되거나 패터닝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는 LF 통신을 위한 LF 안테나와 RF 통신을 위한 RF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resistors, capacitors, integrated circuits, tact switches, communication chips, and antenna elements for supporting the fob function of existing fob keys may be mounted or patterned on the fob board 200 . Here, the antenna may include an LF antenna for LF communication and an RF antenna for RF communication.

상기 제어 기판(400)에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저항, 콘덴서, 집적 회로, 통신칩, 안테나 소자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이 실장되거나 패터닝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 기판(400)에 실장되거나 패터닝되는 안테나 소자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위한 BLE 안테나일 수 있다.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resistors, capacitors, integrated circuits, communication chips, and antenna elements for support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s mobile device may be mounted or patterned on the control board 400 .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antenna element mounted or patterned on the control board 400 is a BLE antenna for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can

한편, 케이스(500)의 일측면에는 케이스(50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제1 홀(510)이 형성되고, 케이스(500)의 타측면에는 케이스(50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제2 홀(520)이 형성된다. Meanwhile, a first hole 510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5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500, and a second hole 510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50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500. A hole 520 is formed.

제1 홀(510)은 제어 기판(400)에 실장된 충전 커넥터(420)를 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제2 홀(520)은 제어 기판(400)에 실장된 온(ON)/오프(OFF) 스위치(430)를 케이스(50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hole 510 exposes the charging connector 420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400 to the outside of the case 500, and the second hole 520 is ON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400. / serves to expose the off (OFF) switch 430 to the outside of the case 500.

상기 제1 홀(51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 커넥터(420)는 도 3의 배터리(110)를 충전시키기 위한 커넥터로서, 도시하지는 않은 충전 케이블과 연결된다. 여기서, 충전 케이블은, 예를 들면, USB 충전 케이블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 커넥터(420)는 USB 충전 케이블의 끝단에 형성된 USB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charging connector 42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hole 510 is a connector for charging the battery 110 of FIG. 3 and is connected to a charging cable (not shown). Here, the charging cable may be, for example, a USB charging cable. In this case, the charging connector 4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formed at the end of the USB charging cable.

제2 홀(5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온/오프 스위치(4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면,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n/off switch 43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hole 520 serves to control the on/off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 example, made in a button manner. can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한 커버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S. 1 and 2;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부재(1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3 , the cover member 1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inner space.

커버 부재(100)의 내부 공간에는 판 형상의 배터리(110)가 수용된다. 배터리(110)는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 기판(400)에 실장된 전자 부품에 전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plate-shaped battery 11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ember 100 . The battery 1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serves to supply power to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control board 400 .

배터리 커버(120)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터리(110)가 상기 커버 부재(10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 부재(100)의 내부 공간을 커버한다.The battery cover 12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covers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ember 100 to prevent the battery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ember 100 .

도 4a는 도 1 및 2에 도시한 포브 기판을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포브 기판을 아래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b substrate shown in FIGS. 1 and 2 viewed from above at a constant angle,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b substrate shown in FIGS. 4a viewed from below at a constant angle.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포브 기판(200)은 기존 포브 키에 내장된 기존의 실제 기판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를 위한 전용 포브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포브 키에 내장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포브 기판을 그대로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ures 4a and 4b, the fob substrate 200 is an existing actual substrate embedded in an existing fob key.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using a dedicated fob board for a vehicle control device, a fob board built into an existing fob key and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is used as it is.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브 기판을 케이스(5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 고정 부재(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기판 고정 부재(300)에 대해서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tably fix the fob substrate having various shapes to the inside of the case 500, a substrate fixing member 300 to be described below is provided.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포브 기판(200)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210) 및 그 인쇄 회로 기판(210) 상에 실장되어 포브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The fob board 20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210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to support the fob function.

인쇄 회로 기판(210)의 상면에는 포브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칩(220)과 버튼 배터리(도 1 및 4a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홀딩되는 홀더(230)가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230)에 의해 홀딩되는 배터리는 인쇄 회로 기판(210)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A chip 220 for supporting a fob function and a holder 230 holding a button battery (not shown in FIGS. 1 and 4A ) may be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 Here, the battery held by the holder 230 serves to supply power to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

인쇄 회로 기판(210)의 하면 상에는 다수의 택트 스위치들(241, 242, 243, 244)이 실장된다. 도 4b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210) 하면 상에 실장된 4개의 택트 스위치들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택트 스위치들이 더 실장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act switches 241 , 242 , 243 , and 244 ar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 Although FIG. 4B shows only four tact switche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10, more tact switches may be further mounted.

도 5a는 도 1 및 2에 도시한 기판 고정 부재를 위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기판 고정 부재를 아래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shown in FIGS. 1 and 2 viewed from above at a certain angle,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shown in FIGS. 5A viewed from below at a certain angle.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도 4a 및 4b에 도시한 포브 기판(200)이 기판 고정 부재(300)에 안착된다. 기판 고정 부재(300)의 상면은 포브 기판(200)의 하면과 마주하고, 기판 고정 부재(300)의 하면은 제어 기판(400)의 상면과 마주한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 the fob substrate 200 shown in FIGS. 4A and 4B is seated on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faces the lower surface of the fob substrate 200 ,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face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substrate 400 .

기판 고정 부재(300)의 상면에는 포브 기판(2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안착면(310)이 구비된다.A seating surface 310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b substrate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

안착면(310)의 주변에는 상기 안착면(3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걸림 부재들(321, 322, 323, 324)이 형성된다. 도 5a에서는 안착면(310)의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된 4개의 걸림 부재들(321, 322, 323, 324)이 도시된다.A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321 , 322 , 323 , and 324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10 are formed around the seating surface 310 . In FIG. 5A , four engaging members 321 , 322 , 323 , and 324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ing surface 310 are shown.

각 걸림 부재는, 포브 기판(200)이 안착면(3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면(310)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포브 기판(200)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그 상단부에 대략 후크 형상의 걸림턱이 형성된다.Each hooking member has an upper end thereof in order to prevent the fob substrate 200 from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ob substrate 200 does not depart from the seating surface 310 while the fob substrate 200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10. An approximately hook-shaped locking jaw is formed in the.

또한, 상기 안착면(310) 상에는 포브 기판(200)의 하면에 실장된 다수의 택트 스위치들(241~244)이 안착되는 다수의 스위치 안착부들(331 ~ 334)이 형성된다. 각 스위치 안착부는 택트 스위치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In addition, on the seating surface 310, a plurality of switch seating parts 331 to 334 are formed on which the plurality of tact switches 241 to 24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b substrate 200 are seated. Each switch mounting portion is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act switch.

기판 고정 부재(300)의 하면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자 안착부들(341 ~ 344)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B , a plurality of terminal seating parts 341 to 34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

다수의 단자 안착부들(341~344)은 기판 고정 부재(300)의 하면 상에서 기판 고정 부재(300)의 상면 상에서 형성된 다수의 스위치 안착부들(331 ~ 334)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각 단자 안착부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terminal seating parts 341 to 34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witch seating parts 331 to 33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Each terminal seating portion has a substantially 'T' shape as shown in FIG. 5B.

다수의 단자 안착부들(341~344)에는 다수의 금속 단자들(351~354)이 각각 안착된다. A plurality of metal terminals 351 to 354 are respectively seated on the plurality of terminal seating parts 341 to 344 .

각 금속 단자(35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T'자 형상의 금속판(a)과 상기 금속판(a)의 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절곡되는) 2개의 접촉 단자들(b, c)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A, each metal terminal 351 includes an approximately 'T' shaped metal plate (a) and two contact terminals extending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end of the metal plate (a) ( b, c).

'T'자 형상의 금속판(a)은 'T'자 형상의 단자 안착부(341)에 안착된다.The 'T' shaped metal plate (a) is seated on the 'T' shaped terminal seating portion 341 .

2개의 접촉 단자들(b, c)은 기판 고정 부재(300)의 상면에 형성된 스위치 안착부(331)에 안착되는 택트 스위치(241)의 양측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된다.The two contact terminals (b, c) electrically contact both terminals of the tact switch 241 seated on the switch seat 33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respectively.

2개의 접촉 단자들(b, c)이 택트 스위치(241)의 양측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2개의 접촉 단자들(352a, 352b)은 기판 고정 부재(300)를 관통해야 한다.In order for the two contact terminals b and c to electrically contact both terminals of the tact switch 241, the two contact terminals 352a and 352b must pass through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이에, 기판 고정 부재(300)에는 2개의 접촉 단자들(b, c)이 관통하여 각 접촉 단자의 상단부가 기판 고정 부재(300)의 상면 위로 노출시키는 2개의 관통공들(334a, 334b)이 형성된다.Accordingly,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has two through holes 334a and 334b through which the two contact terminals b and c penetrate and expose the upper end of each contact termin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is formed

2개의 관통공들(334a, 334b)은 각 단자 안착부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2개의 관통공들(334a, 334b)은 2개의 접촉 단자들(b, c)이 관통할 수 있도록 대략 작은 크기의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관통공들(334a, 334b)은 각 스위치 안착부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The two through holes 334a and 334b are formed adjacent to each terminal seating portion. The two through holes 334a and 334b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small size so that the two contact terminals b and c may pass therethrough. The two through holes 334a and 334b are formed adjacent to each switch mounting portion.

2개의 접촉 단자들(352a, 352b)과 택트 스위치의 양측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접촉된 구조가 도 6에 도시된다.A structure in which two contact terminals 352a and 352b and terminals on both sides of the tact switch are electrically contacted is shown in FIG. 6 .

한편, 기판 고정 부재(300)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출 성형 공정에 따라, 기판 고정 부재(300)에 안착면(310), 걸림 부재들(321~324), 스위치 안착부들(331~334), 단자 안착부들(341~344)과 같은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may be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according to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has a seating surface 310, engaging members 321 to 324, and switch seating parts. Structures such as 331 to 334 and terminal seating portions 341 to 344 may be formed.

도 6은 도 5a 및 5b에 도시된 금속 단자와 포브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택트 스위치의 전기적 접촉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metal terminals shown in FIGS. 5A and 5B and the tact switch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b substrate.

금속 단자와 택트 스위치의 전기적 접촉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6에서는 금속 단자와 택트 스위치 사이에 개재되는 기판 고정 부재(300)를 투명하게 도시하였고, 도 6의 상단에 도시한 확대도에서는 기판 고정 부재(300)를 삭제한 것이다.To help understand the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metal terminal and the tact switch, FIG. 6 transparently shows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terminal and the tact switch, and in the enlarged view shown at the top of FIG. 6, the substrate The fixing member 300 is dele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접촉 단자들(b, c)은 2개의 관통공들(도 5a 및 5b의 334a, 334b)을 관통하여, 대응하는 스위치 안착부(334)에 안착된 택트 스위치(244)의 양측 단자들(244b, 244c)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된다.As shown in FIG. 6, the two contact terminals (b, c) pass through the two through-holes (334a and 334b in FIGS. 5A and 5B), and are seated on the corresponding switch seating portion 334. Both terminals 244b and 244c of the switch 244 are electrically contacted, respectively.

도 7a는 도 2에 도시한 제어 기판을 위에서 일정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제어 기판을 아래에서 일정 각도로 바라본 사시도이다.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2 viewed from above at a certain angle, an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7A viewed from below at a certain angle.

도 7a에서는 제어 기판(400)과 다수의 금속 단자들(351~354) 간의 연결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판 고정 부재(300)와 기판 고정 부재(300)의 하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금속 단자들(351~354)이 함께 도시된다.In FIG. 7A , to help underst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trol board 400 and the plurality of metal terminals 351 to 354,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and the plurality of metal terminal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Fields 351-354 are shown together.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제어 기판(400)은 인쇄 회로 기판(410)과 인쇄 회로 기판(410)에 실장되는 다수의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 the control board 400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410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10 .

인쇄 회로 기판(410)의 상면에는 다수의 금속 단자들(351~354)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다수의 스프링 핀들(441~444)이 구비된다. 여기서, 스프링 핀은 포고 핀(pogo pin)으로 불릴 수도 있다.A plurality of spring pins 441 to 444 electrically contacting the plurality of metal terminals 351 to 354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10 . Here, the spring pin may be referred to as a pogo pin.

이처럼 다수의 금속 단자들(351~354)과 다수의 스프링 핀들(441~444)이 전기적으로 접촉(연결)됨으로써, 제어 기판(400)은 포브 기판(200)의 하면에 실장된 다수의 택트 스위치들(241~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the plurality of metal terminals 351 to 354 and the plurality of spring pins 441 to 444 are electrically contacted (connected), the control board 400 has a plurality of tact switche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b board 200.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241 to 244).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410)의 하면 상에는 충전 커넥터(420)와 온/오프 스위치(430)가 실장된다.As shown in FIG. 7B , a charging connector 420 and an on/off switch 430 ar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10 .

인쇄 회로 기판(410)의 하면에는 다수의 택트 스위치들(451~454)이 실장된다. 이러한 택트 스위치들(451~454)은 인쇄 회로 기판(410)의 상면에 구비된 다수의 스프링 핀들(351~3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금속 단자들(351~354)을 매개로 포브 기판(2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241~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act switches 451 to 454 ar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10 . These tact switches 451 to 45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ring pins 351 to 35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10, and the fob board (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ct switches 241 to 24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이처럼 제어 기판(4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451~454)은 포브 기판(2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241~24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택트 스위치들(451~454)은 택트 스위치들(241~244)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As such, since the tact switches 451 to 45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4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act switches 241 to 24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b board 200, the tact switches 451 to 244 are electrically connected. 454) plays the same role as the tact switches 241 to 244.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차량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단독으로 기존 포브 키의 역할을 단독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lay a role of relaying a user's mobile device and a vehicle, and simultaneously perform a role of an existing FOB key.

한편, 제어 기판(4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451~454)이 포브 기판(2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241~244)과 동일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어 기판(4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451~454)을 누를 수 있는 매개체가 필요하며, 그러한 매개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0)에 형성된 버튼 부재들(531~53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tact switches 451 to 45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400 to play the same role as the tact switches 241 to 24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b board 200, the user needs to A medium capable of pressing the tact switches 451 to 45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400 is required, and such a medium is the button members 531 to 534 formed on the case 500, as shown in FIG. can be implemented by

도 8은 도 1 및 2에 도시한 케이스와 도 b의 제어 기판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 간의 물리적 접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제어 기판을 아래에서 일정한 각도로 바라본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ysical contact structure between the case shown in FIGS. 1 and 2 and tact switche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of FIG. b, and FIG. 9 shows the control board shown in FIG. This is a drawing viewed from an angle.

도 8및 9를 참조하면, 케이스(5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케이스(500)의 바닥면에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제어 기판(4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451~454)을 물리적으로 가압하는 버튼 부재들(531~534)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 부재들(531~534)은 케이스(50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8 and 9, the case 5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500, tact switches 451 to 45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400 according to a user's pressing motion. ) Button members 531 to 534 for physically pressing are formed. These button members 531 to 534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ase 500, and may be, for example, plastic.

버튼 부재들(531~534)은 케이스(500)의 바닥면 상에서 제어 기판(4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451~454)의 배열과 동일하게 배열된다.The button members 531 to 534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500 in the same arrangement as the arrangement of the tact switches 451 to 45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400 .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00)의 외측 바닥면 상에 돌출된 버튼 부재들(531~534)을 누름으로써, 제어 기판(400)의 하면에 실장된 택트 스위치들(451~454)과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9 , the user presses the button members 531 to 534 protruding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case 500, and the tact switches 451 to 534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board 400. 454) can be physically contact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10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10)와 차량(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entire system includ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device 10 and a vehicle 20 .

차량(20)의 내부 공간에는 차량 제어 장치(600)가 위치한다. 여기서, 차량 제어 장치(60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에 대응한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600 is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20 . Here, the vehicle control device 600 corresponds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차량(20)에는 차량 제어 장치(6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차량 통신 모듈(22)과 상기 차량 통신 모듈(24)과 유선으로 통신하는 차량 도어 장치(24)가 탑재된다.The vehicle 20 is equipped with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600 wirelessly and a vehicle door device 24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4 by wire.

모바일 기기(20)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20)에는 포브 기능과 관련된 어플이 설치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20)에 설치된 어플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개폐동작 및/또는 시동과 관련된 온/오프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한다.The mobile device 20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nd an application related to a fob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20 . A user remotely controls an on/off operation related to opening/closing of a vehicle door and/or starting by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20 .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11 is a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0 .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600)는 배터리(610), 제어 모듈(620), 연결 모듈(630) 및 포브 모듈(6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vehicle control device 600 includes a battery 610 , a control module 620 , a connection module 630 and a fob module 640 .

배터리(610)는 제어 모듈(620)에 전원 공급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커버(100)의 내부 공간에 수요되는 배터리(110)에 대응한다. 배터리(6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서, 예를 들면, 5V 전원을 통해 충전되는 리튬 이온(Li-ion) 배터리일 수 있다.The battery 610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620 and corresponds to the battery 110 required for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100 shown in FIG. 3 . The battery 610 is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be, for example, a lithium ion (Li-ion) battery charged through a 5V power supply.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 모듈(6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10)와 포브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42)가 서로 다른데, 이는, 제어 모듈과 모바일 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예, BLE 통신)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가 포브 모듈(640)과 차량 통신 모듈(22) 사이의 무선 통신(LF/RF 통신)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보다 크기 때문에, 충분한 전원 공급하는 별도의 배터리(610)가 구비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battery 610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module 620 and the battery 642 that supplies power to the fob modu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ch is due to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module and the mobile device (eg , BLE communication) since the power consumption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LF / RF communication) between the fob module 640 and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is greater, a separate battery 610 that supplies sufficient power ) is required to be provided.

제어 모듈(620)은 배터리(61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으로, 도 2, 7a, 7b 및 8에 도시한 제어 기판(400)에 대응한다.The control module 620 is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610 and corresponds to the control board 400 shown in FIGS. 2, 7a, 7b and 8 .

제어 모듈(620)은 모바일 기기(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BLE 통신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620)은 BLE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10)와 차량 도어, 차량 시동 및 그 밖의 기존의 포브 키를 통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62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10 .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BLE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620 may send and receive signals related to various functions performed with the mobile device 10 and vehicle door, vehicle ignition, and other existing FOB keys through BLE communication.

연결 모듈(630)은 제어 모듈(620)과 포브 모듈(6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도 5a, 5b, 6 및 7a에 도시된 금속 단자들(351~354) 및 기판 고정 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connection module 630 is a component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trol module 620 and the fob module 640, and the metal terminals 351 to 354 and the substrate fixing member 300 shown in FIGS. 5A, 5B, 6, and 7A. ) may be included.

포브 모듈(640)은 차량(20)에 탑재된 차량 통신 모듈(22)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도 1, 2, 4a 및 4b에 도시된 포브 기판(200)에 대응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F/RF 통신 또는 UWB(Ultra Wideband, 초광대역) 통신일 수 있다.The fob module 64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mounted in the vehicle 20, and corresponds to the fob substrate 200 shown in FIGS. 1, 2, 4a and 4b.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LF/RF communication or UWB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포브 모듈(640)은 연결 모듈()을 매개로 제어 모듈(620)이 모바일 기기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한 차량 도어 및/또는 시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서, 이를 차량 통신 모듈(22)과 약속된 통신 규격(예, LF/RF 통신 규격 또는 UWB 통신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차량 통신 모듈(22)로 송신한다.The fob module 640 receives control signals related to the vehicle door and/or starting, which the control module 620 wirelessly receives from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s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as promised. It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eg, LF/RF communication standard or UWB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차량 통신 모듈(22)은 포브 모듈(640)로부터 수신한 차량 도어 및/또는 시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차량 도어 장치(24) 또는 도 10 및 11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시동 장치로 전달한다.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transfers the vehicle door and/or start-related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fob module 640 to the vehicle door device 24 or a starting device not shown in FIGS. 10 and 11 .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제어 모듈의 블록도이다.FIG. 1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module shown in FIG. 11;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620)은 도 7a, 7b 및 8에 도시한 인쇄 회로 기판(410)에 실장된 충전 커넥터(621), ON/OFF 스위치(622), 통신부(623), 컨트롤러(624), 단자부(625) 및 택트 스위치부(6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control module 620 includes a charging connector 621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10 shown in FIGS. 7A, 7B and 8, an ON/OFF switch 622, a communication unit 623, and a controller. 624, a terminal unit 625, and a tact switch unit 626.

충전 커넥터(621)는 도 7a, 7b 및 8에 도시한 충전 커넥터(42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한 배터리(6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케이블(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된다.The charging connector 621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connector 420 shown in FIGS. 7A, 7B and 8 and is connected to a charging cable (not shown) for charging the battery 610 shown in FIG. 11. .

ON/OFF 스위치(622)는 도 7a, 7b 및 8에 도시한 ON/OFF 스위치(43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차량 제어 장치(600)의 동작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구성이다.The ON/OFF switch 622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ON/OFF switch 430 shown in FIGS. 7A, 7B and 8 and turns on or off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600. to be.

통신부(623)는 모바일 기기(10)와의 무선 통신, 예를 들면, BLE 통신을 지원하는 구성으로, 안테나, 증폭기, 변조기, 필터와 같은 하드웨어 부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23 is configured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10, for example, BLE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hardware components such as an antenna, an amplifier, a modulator, and a filter.

컨트롤러(624)는 제어 모듈(6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컨트롤러(624)와 통신부(623)가 분리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칩 형태로 통합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624 controls and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62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In FIG. 12 , the controller 624 and the communication unit 623 are shown in a separate form, but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hip form.

단자부(625)는 도 7a에 도시된 다수의 스프링 핀(441~444)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컨트롤러(624)와 연결 모듈(6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he terminal unit 625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pring pins 441 to 444 shown in FIG. 7A and electrically connects the controller 624 and the connection module 630.

택트 스위치부(626)는 도 7b 및 8에 도시한 다수의 택트 스위치들(451~454)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상기 단자부(6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택트 스위치부(626)는 차량 제어 장치(600)가 모바일 기기(10)와의 무선 통신 없이 단독으로 기존 포브 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tact switch unit 626 h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act switches 451 to 454 shown in FIGS. 7B and 8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625 . The tact switch unit 626 serves to enable the vehicle control device 600 to independent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existing FOB key with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10 .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포브 모듈의 블록도이다.FIG. 13 is a block diagram of the fob module shown in FIG. 11;

도 13을 참조하면, 포브 모듈(640)은 배터리(642), 택트 스위치부(644), 컨트롤러(646) 및 통신부(648)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 the fob module 640 includes a battery 642 , a tact switch unit 644 , a controller 646 and a communication unit 648 .

배터리(642)는 도 4a에 도시된 홀더(230)에 삽입되는 배터리로서, 예를 들면, 코인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642)는 컨트롤러(646) 및 통신부(648)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battery 642 is a battery inserted into the holder 230 shown in FIG. 4A and may be, for example, a coin battery. The battery 642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ler 646 and the communication unit 648 .

컨트롤러(646)는 포브 모듈(6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646 controls and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ob module 64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통신부(648)는 차량 통신 모듈(22)과의 무선 통신, 예를 들면, LF/RF 통신 또는 UWB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 증폭기, 변조기, 필터와 같은 하드웨어 부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648 may include hardware components such as an antenna, an amplifier, a modulator, and a filter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for example, LF/RF communication or UWB communication.

도 14은 도 11에 도시한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11 .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110에서, ON/OFF 스위치(62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어 모듈(620)이 온(ON)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ON/OFF 스위치(622)를 누르면, 제어 모듈(620)이 배터리(6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온(ON) 된다.Referring to FIG. 14 , first, in step S110, a process of turning on the control module 620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ON/OFF switch 622 is performed. For example, in detail, when the user presses the ON/OFF switch 622, the control module 620 is turned on by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610.

이어, 단계 S120에서, 제어 모듈(620)이 무선 통신에 따라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차량 제어 신호는 차량 도어의 계폐 동작, 차량 시동과 관련된 신호등을 포함한다.Subsequently, in step S120, a process of receiving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10 by the control module 6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Here, the vehicle control signal includes a vehicle door opening/closing operation and a signal light related to vehicle startup.

실시 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Bluetooth Low Energy (BLE) communication.

이어, 단계 S130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가 제어 모듈(620)의 단자부(6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모듈(620)을 매개로 포브 모듈(640)로 전송되는 과정이 수행된다.Subsequently, in step S130, a process in which the vehicl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ob module 640 via the connection module 6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625 of the control module 620 is performed.

실시 예에서, 단자부(625)는 스프링 핀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erminal unit 625 may be a spring pin.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가 상기 연결 모듈을 매개로 포브 모듈의 택트 스위치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act switch of the fob module via the connection module.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가 상기 연결 모듈을 구성하는 기판 고정 부재에 삽입되는 금속 단자를 매개로 상기 포브 모듈을 구성하는 택트 스위치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tact switch constituting the fob module via a metal terminal inserted into a substrate fixing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module.

실시 예에서, 상기 기판 고정 부재는 상기 포브 모듈이 안착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bstrate fixing member may be one on which the fob module is seated.

이어, 단계 S140에서, 포브 모듈(640)이 상기 연결 모듈(620)을 통해 전달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22)로 송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Subsequently, in step S140 , a process in which the fob module 640 transmits the vehicl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620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is performed.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22)로 송신하는 과정은 LF 통신 또는 UWB 통신에 의해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may be transmitted through LF communication or UWB communication.

이어, 단계 S150에서, 차량 통신 모듈(22)이 포브 모듈(6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도어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Next, in step S150,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22 transmits the vehicl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fob module 640 to the vehicle door device.

이어, 차량 도어 장치는 상기 포브 모듈로부터 전달된 상기 차량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의 계폐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차량 제어 신호가 시동 장치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시동 장치는 차량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시동을 제어한다.Subsequently, the vehicle door device controls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b module. Here, the vehicle control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tarting device, and in this case, the starting device controls vehicle starting 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signal.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어 모듈이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 모듈의 스프링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모듈을 매개로 포브 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포브 모듈이 상기 스프링 핀을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located inside the vehicle,
receiving, by a control module,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a fob module via a connec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pring pin of the control module; and
transmitting, by the fob module, the vehicl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pring pin to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에 따라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1,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he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제1항에서,
상기 포브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가 상기 연결 모듈을 매개로 포브 모듈의 택트 스위치로 전송되는 단계인 것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1,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fob modul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tact switch of the fob module via the connection module.
제1항에서,
상기 포브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가 상기 연결 모듈을 구성하는 기판 고정 부재에 삽입되는 금속 단자를 매개로 상기 포브 모듈을 구성하는 택트 스위치로 전송되는 단계인 것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1,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fob module,
and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a tact switch constituting the fob module via a metal terminal inserted into a substrate fixing member constituting the connection module.
제1항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는,
LF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인 것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1,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using LF communication.
제1항에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제어 모듈에 실장된 ON/OFF 스위치의 스위치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따라 온(ON)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1,
Prior to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and turning on 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power supplied from a first battery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of an ON/OFF switch mounted on the control module.
제6항에서,
상기 포브 모듈은 상기 제1 배터리와 다른 내장된 제2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따라 항시 동작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6,
The operating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ob module is always operated according to power supplied from a second built-in battery different from the first battery.
제6항에서,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제어 모듈에 포함된 충전 커넥터에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In paragraph 6,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harging the first battery by power supplied through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a charging connector included in the control module.
차량의 내부에 위치한 차량 제어 장치에서,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스프링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 모듈; 및
상기 연결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차량 제어 신호를 차량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포브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In a vehicle control device located inside the vehicle,
A control module receiving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a mobile device;
a connec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pring pin of the control module and receiv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and
A fob module that receives the vehicle control signal through the connec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received vehicle control signal to a vehicle communication module.
A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9항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차량 제어 신호를 BLE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상기 스프링 핀으로 전달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In paragraph 9,
The control modul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vehicle control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BLE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ntroller that transfers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spring pin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9항에서,
상기 제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배터리; 및
상기 포브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In paragraph 9,
a first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and
A second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fob module
Vehicle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1항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제어 장치.
In paragraph 11,
The control module,
and a charging connector connected to a charging cable to charge the first battery.
제9항에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포브 모듈을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고정 부재; 및
상기 기판 고정 부재의 관통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 핀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택트 스위치의 양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금속 단자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In paragraph 9,
The connection module,
a substrate fixing member o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fob module is seated; and
A metal terminal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substrate fixing memb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pring pin and both terminals of the tact switch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ing a.
KR1020210058795A 2021-05-06 2021-05-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KR202201524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95A KR20220152433A (en) 2021-05-06 2021-05-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95A KR20220152433A (en) 2021-05-06 2021-05-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33A true KR20220152433A (en) 2022-11-16

Family

ID=8423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95A KR20220152433A (en) 2021-05-06 2021-05-06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243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3134B1 (en) Dual key fob
US6463263B1 (en) Communication station
JP3894007B2 (en) 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antenna
US8774716B2 (en) Mobile terminal extension case
KR102133801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ar
US2015017324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ircuit board in contact with a case
US7212146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US20160365739A1 (en) Battery interrupter
CN108091810B (en)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mother board and battery daughter board connected by interconnection
CN109296265B (en) Power supply control module
KR202201524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US7747009B2 (en)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JP5866425B2 (en) Switch device with wireless function
US20090267563A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15243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s
KR102339328B1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H0450673Y2 (en)
KR102475394B1 (en)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s
US20160155583A1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key using same
CN215871390U (en) Compact handheld mobile terminal
KR100533651B1 (en) Chipcard-Type Combi-Card, Combi-Card Connector For The Same, and RF Electronic-Pay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213227Y1 (en) Integral Handfree for Vehicle
JPH0738598B2 (en) Wireless equipment
KR101502939B1 (en) A card key for vehicles.
KR100442725B1 (en) Auxiliary battery device of portable audio or video p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