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352A - 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 Google Patents

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352A
KR20220151352A KR1020210058498A KR20210058498A KR20220151352A KR 20220151352 A KR20220151352 A KR 20220151352A KR 1020210058498 A KR1020210058498 A KR 1020210058498A KR 20210058498 A KR20210058498 A KR 20210058498A KR 20220151352 A KR20220151352 A KR 20220151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support
fusing
unit
w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기계
Priority to KR102021005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1352A/en
Publication of KR2022015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35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32Cooling, or cooling and pressing, package closures after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packaging of a packa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ver-melting of packaging paper due to heat in a continuous thermal fusion cutting process of the packaging paper, and at the same time, rapidly cools a molten portion, thereby preventing a fusion defect of the packaging paper to reduce a defect rate,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improving marketability.

Description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Packag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본 발명은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지의 연속 열융착 커팅 과정에서 열에 의한 포장지의 과용융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융된 부위를 신속하게 냉각시킴으로써 포장지의 융착 불량을 방지하여 불량 발생률을 줄이고, 동시에 상품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wrapping a packag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over-melting of the wrapping paper due to heat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heat-sealing and cutting the wrapping paper, and at the same time to quickly cool the molten area to prevent the packaging of the wrapping pap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s by preventing fusion defects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improving marketability.

통상, 납품 과정에서 손상될 우려가 있는 제품의 경우, 포장지를 이용해 제품의 외부를 감싸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제품에서 포장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products that may be damaged during delivery, it is common to wrap the outside of the product using wrapping paper, and packaging is required for most products except for special cases.

이러한 포장은 대부분 포장장치를 통해 자동화로 이루어지며, 포장장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 구조로 이루어진다.Most of these packaging are automated through a packaging device, and the packaging device has various methods and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

대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10-1515207호에 개시된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A brief introduction of the content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15207 as a representative prior art is as follows.

상기 종래기술은 포장용 필름(F)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제품을 밀봉 처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제품(P)이 상면으로 공급되는 제품 적재부(10);와 상기 제품 적재부(10)를 거쳐 이송된 제품(P)의 윗 부분을 필름으로 감싸도록 하는 제1필름롤러(15);와 상기 제1필름롤러(15)에 감싸여 이동하는 제품(P)의 밑 부분을 필름으로 감싸도록 하는 제2필름롤러(20);와 상기 제1,2필름롤러(15,20)에 감싸여 이송된 제품(P)의 필름(F)을 밀착하여 주는 누름롤러(25)와 상기 제품 적재부(10) 양 측면에 형성된 측면롤러(27); 및 필름(F)으로 포장되어 이송되는 제품(P)을 커팅하는 엔드 커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The prior art is a packaging device for sealing a product by continuously supplying a packaging film (F), a product loading unit (10) to which the product (P) is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duct loading unit (10). A first film roller 15 to wrap the upper part of the product P transferred through with a film; and to wrap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product P wrapped around the first film roller 15 with a film. A second film roller 20 to do; and a pressing roller 25 for adhering the film F of the product P conveyed wrapp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film rollers 15 and 20 and the product loading unit (10) side rollers 27 formed on both sides; And it is defined as including an end cutting device for cutting the product (P) to be packaged with the film (F) and transported.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엔드 커팅장치는 대부분 열을 이용해 필름을 열융착시켜 커팅 및 접합을 동시에 행하는 구조인데, 이때 엔드 커팅장치에 의해 필름이 과융착될 경우 커팅라인이 불규칙하게 형성될 뿐 아니라, 융착부위가 적절히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조라인을 순환하게 될 경우 융착 불량이 발생하며 이에, 포장된 제품의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졌다.Most of the prior art end cutting devic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lm is thermally fused using heat to perform cutting and bonding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when the film is over-fused by the end cutting device, not only the cutting line is formed irregularly, but also the fusion If the part is circulated through the manufacturing line in a state where it is not properly cooled, fusion defects occur, and thus the marketability of the packaged product is significantly reduced.

등록특허 10-1515207Registered Patent No. 10-15152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포장물의 포장을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해 생산성을 제고하고, 특히, 포장지의 연속 열융착 커팅 과정에서 열에 의한 포장지의 과용융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융된 부위를 신속하게 냉각시킴으로써 포장지의 융착 불량을 방지하여 불량 발생률을 줄이고, 동시에 상품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in the prior art, to improve productivity by enabling the packaging of packages to be automated, and in particular, to prevent over-melting of the wrapping paper due to heat during the continuous thermal fusion cutting process of the wrapping pap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s by preventing fusion defects of wrapping paper by rapidly cooling the molten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significantly improving marketability.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장지 양단을 열융착 커팅하여 파우치 형태의 포장지를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포장물을 중앙에 두고 포장지의 좌우 양단을 순차적으로 열융착하는 융착유닛; 및 상기 융착유닛의 우측에 설치되며, 포장지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상기 융착유닛에 의해 파우치 형태로 형성된 포장지를 일렬로 이송하는 지지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융착유닛은,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바;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packaging device including a cutting unit for forming a pouch-shaped wrapping paper by heat-sealing both ends of the wrapping paper, wherein the cutting unit places the packaging material in the center and sequentially cuts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wrapping paper. A fusion unit for thermal fusion; and a support conveyor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fusing unit, supporting the wrapping paper from the lower portion, and transporting the wrapping paper formed in the form of a pouch by the fusing unit in a row, wherein the fusing unit is vertically extended. guide bar;

상기 수직가이드바에서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의 포장지를 가열 후 냉각하는 융착부재; 상기 수직가이드바에서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융착부재의 하부에서 융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포장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융착부재와 지지부재를 동기 구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융착부재로 냉각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using member installed to be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bar and heating and then cooling the wrapping paper at the bottom; a support member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bar and supporting the fusion member at a lower portion of the fusion member; a driving member that synchronously drives the fus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in a facing direction or a spaced apart direction with the wrapping pap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air supply member supplying cooled compressed air to the fusing member.

또한,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설치되는 융착프레임; 연결대를 매개로 상기 융착프레임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일정 온도로 가열되는 커터; 내부로 상기 커터를 수용하되, 커터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단이 개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를 포장지의 표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sing member may include a fusing frame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bar; Cutte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part of the fusing frame via a connecting rod and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A cover that accommodates the cutter inside and has a lower end ope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utter is exposed; and a spray nozzl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cover and spraying the cooled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mber to the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또,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융착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지지부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s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ffer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using frame and the cover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cover toward the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융착프레임이 제1 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커터는 지지부재에 지지된 포장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완충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지지부재에 지지된 포장지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냉각된 압축공기가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 및 커버가 접촉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의 우측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가동지지대; 및 상기 가동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지지대를 하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제2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컨베이어의 좌측단에는 상기 가동지지대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fusing frame rises to a first height, the cutter is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cover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first buffer spring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rapping paper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In this state, the cooled compressed air is controlled to be injected by the injection nozzle, and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frame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bar; a fixed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contacting the cutter and the cover; A movable support dispos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right side of the fixed support; And a second buffer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support and the support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able support from the bottom, and a stopper for limiting the upper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support conveyor. to be characterized

또, 일측이 개방된 포장지 내부로 포장물을 정렬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포장지를 공급하는 피더; 상기 피더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 사이로 포장물이 수납되면 포장지와 포장물을 일렬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지의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분리유닛;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와중에 포장지의 개방된 일측으로 노출된 포장물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포장물을 포장지의 타측으로 밀어 정렬하는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arranging and accommodating the packaging material into the wrapping paper having one side open, wherein the storage unit includes: a feeder for supplying the wrapping paper; A transfer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wrapping paper and the packing material in a row when the packing material is received between the wrapping paper supplied by the feeder; a release paper separating unit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conveying conveyor and separating the release paper from the wrapping paper transported by the conveying conveyor; and a sorting unit for pushing and aligning the packages to the other side of the wrappers by pressing the edge of the packages exposed to one open side of the wrappers while being transported by the transfer conveyor.

본 발명은 포장물의 포장을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해 생산성을 제고하고, 특히, 포장지의 연속 열융착 커팅 과정에서 포장지의 과용융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에 의해 용융된 부위를 신속하게 냉각시킴으로써 포장지의 융착 불량을 방지하여 불량 발생률을 줄이고, 동시에 상품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productivity by enabling the packaging of packaging materials to be automated, and in particular, prevents over-melting of the wrapping paper in the process of continuous thermal fusion cutting of the wrapping paper, and at the same time, rapidly cools the melted area by heat to achieve the fusion of the wrapping paper. It prevents defects to reduce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marketability.

도 1은 포장장치의 전체적인 정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커팅부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커팅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구동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커팅부 정면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커팅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융착부재와 지지부재가 작동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수납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접철 구성된 포장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납부의 전체적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정렬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정렬유닛의 평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a는 도 12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포장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2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포장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포장물과 패드가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브라켓의 전후 이동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포장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포장부의 요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고정프레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0은 포장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포장지의 개방부위가 폐쇄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front configuration of a packaging device.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the cutting unit.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utting unit.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ing member;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utting unit.
6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unit, and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fus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step by step.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ne of the housing unit;
10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lded wrapping paper;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torage unit.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lignment unit, schematically showing a plan configuration of the alignment unit.
Figure 13a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rapping paper on the basis of the line AA shown in Figure 12, Figure 13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rapping paper on the basis of the line BB shown in Figure 12.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ckage and a pad are in contact;
15 is a view showing a front and rear movement process of the bracket by way of example.
1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ackaging unit.
Fig. 17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 packaging unit;
Fig. 18 conceptu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fixed frame;
19 to 2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ckaging unit, and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step by step.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는 크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 커팅부(2) 및 포장부(3)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fined as including a receiving part 1, a cutting part 2, and a packing part 3, as shown in FIG.

수납부(1)는 일측이 개방된 포장지(P) 내부로 포장물을 정렬 수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포장물은 다양한 제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포장물을 제본된 스프링 노트로 상정하여 설명한다.The accommodating unit 1 sorts and stores the package inside the wrapping paper P, one side of which is open. Meanwhile, the package in this embodiment can be understood a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various products, an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package is assumed to be a bound spring notebook for convenience.

수납부(1)에서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권출되는 포장지(P) 내로 복수 개의 노트가 연속적으로 정렬 수납되며, 커팅부(2)에서는 포장지(P) 내로 정렬 수납된 노트 주변 포장지(P) 양단을 열융착 커팅하여 파우치 형태의 포장지(P)를 형성하고, 포장부(3)에서는 이 상태의 포장지(P)의 개방부위를 포장지(P)의 표면으로 접어 부착시켜 개방부위를 폐쇄하여 포장을 완료하는 공정이 수행된다.In the accommodating unit 1, a plurality of notes are continuously aligned and stored in the wrapping paper P unwound with one side open, and in the cutting unit 2, both ends of the wrapping paper P around the notes aligned and housed in the wrapping paper P is heat-sealed to form a wrapping paper P in the form of a pouch, and in the packaging unit 3, th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in this state is folded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P to close the open portion to wrap the packaging. The process to complete is performed.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커팅부(2)의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2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f the direction standard of the cutting part 2, which is not strict,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tate shown in FIG.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direction is specifi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this criterion.

먼저, 커팅부(2)는 수납부(1)의 우측에 설치되어 수납부(1)를 통과한 포장지(P)(포장물이 수납된 상태)를 전달받아 일렬로 이송 중인 포장지(P)에 열을 가해 포장지(P)의 양단을 커팅과 동시에 접합하여 포장지(P)의 양단을 수렴한다.First, the cutting unit 2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orage unit 1 to receive the wrapping paper P (the state in which the package is stored) passing through the storage unit 1 and heat the wrapping paper P being transferred in a row. Both ends of the wrapping paper (P) are cut and bonded simultaneously to converge both ends of the wrapping paper (P).

이를 위해, 커팅부(2)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물을 중앙에 두고 포장지(P)의 좌우 양단을 순차적으로 열융착하는 융착유닛(100) 및 상기 융착유닛(100)의 우측에 설치되며, 포장지(P)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상기 융착유닛(100)에 의해 파우치 형태로 형성된 포장지(P)를 일렬로 이송하는 지지컨베이어(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utting unit 2, as shown in FIGS. 2 and 3, has a fusing unit 100 for sequentially heat-sealing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wrapping paper P with the package in the center and the fusing unit 100. It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and include a support conveyor 200 that supports the wrapping paper P from the bottom and transfers the wrapping paper P formed in the form of a pouch by the fusing unit 100 in a row.

한편, 융착유닛(100)을 통과하는 포장지(P)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혀 그 사이로 노트를 수용한 상태일 수 있다. 즉, 융착유닛(100)은 노트의 좌, 우측 포장지(P) 부위를 열융착 커팅하여 파우치 형태의 포장지(P)를 연속적으로 분할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wrapping paper P passing through the fusing unit 100 may be folded in half as shown in FIG. 10 and accommodate notes therebetween. That is, the fusing unit 100 heat-seals and cuts the left and right wrapping paper P of the note to continuously divide and configure the pouch-shaped wrapping paper P.

융착유닛(100)과 지지컨베이어(200)는 일렬로 배치구성될 수 있으며, 파우치형 포장지(P)는 노트를 수용한 채 지지컨베이어(200)에 의해 포장부(3)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fusing unit 100 and the support conveyor 200 may be arranged in a line, and the pouch-type wrapping paper P may be transported toward the packaging part 3 by the support conveyor 200 while accommodating notes.

융착유닛(100)은 일례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바(110), 상기 수직가이드바(110)에서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의 포장지(P)를 가열 후 냉각하는 융착부재(120), 상기 수직가이드바(110)에서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융착부재(120)의 하부에서 융착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 포장지(P)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동기 구동시키는 구동부재(140) 및 상기 융착부재(120)로 냉각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using unit 100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bar 110 extending vertically and the vertical guide bar 110, and A fusing member 120 that heats and then cools the wrapping paper P, a support member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bar 110 and supporting the fusing member 120 at the lower part of the fusing member 120 (130), the driving member 140 for synchronously driving the fusion bond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in a facing direction or in a spaced direction with the wrapping paper (P) in between, and the cooling by the fusion bonding member 120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n air supply member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는 포장지(P)를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수직가이드바(110)를 타고 승강할 수 있다.The fusion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the wrapping paper P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an ascend and descend along the vertical guide bar 110 .

수직가이드바(110)의 하단은 지지블럭(15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블럭(15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가이드바(160)에 접속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융착유닛(100)은 상기 지지블럭(150)을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리니어가이드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리니어가이드에 의해 수평가이드바(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블럭(150)이 이동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융착부재(120), 지지부재(130) 등도 포장지(P)의 이송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도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guide bar 11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block 150, and the support block 15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guide bar 160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reciprocate left and right. Although not shown, the fusing unit 100 further includes a linear guide structure for reciprocating the support block 150 left and right, and the support block 1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guide bar 160 by the linear guide. ) is moved, the fusing member 120, the support member 130, etc. may also be reciproc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rapping paper P in conjunction with it.

포장지(P)가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 사이로 투입되면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 예컨대, 융착부재(120)는 하강하고, 지지부재(130)는 상승하여 포장지(P)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닿으며, 이 과정에서 포장지(P)가 가열됨으로써 열융착 커팅될 수 있다.When the wrapping paper P is put between the fus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the fus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ing member 130 mov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fusing member 120 descends and supports The members 130 rise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wrapping paper P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 this process, the wrapping paper P is heated so that it can be heat-sealed and cut.

열융착 커팅이 완료되면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이격될 수 있다.When the thermal fusion cutting is completed, the fusion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may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nd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설명에서의 열융착 커팅이라 함은 포장지(P)가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반으로 접혀 포개진 포장지(P)가 하나의 라인으로 수렴 접합됨과 동시에 포장지(P)로부터 분할됨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description, heat fusion cutting means that the wrapping paper P is folded in half while being melted by heat, and the overlapping wrapping paper P is convergently joined in one line and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P at the same time.

특히, 융착부재(120)는 포장지(P)의 열융착 커팅을 위해 포장지(P)에 열을 가해 포장지(P)를 용융시키게 되는데, 이때, 용융된 부위를 신속하게 냉각시킴으로써 열융착 커팅 부위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usion member 120 melts the wrapping paper P by applying heat to the wrapping paper P for thermal fusion cutting of the wrapping paper P, and at this time, by rapidly cooling the molten portion, the thermal fusion cutting portion can be stabilized.

만일, 열융착 커팅 부위가 빠르게 냉각되지 않게 되면 수렴 접합되어야 할 부위가 개방되거나, 지지컨베이어(200) 상에 고착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는 포장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된다.If the heat-sealed cutting area is not rapidly cooled, the area to be convergently joined may be opened or adhered to the support conveyor 200, which causes packaging defects.

이와 같이, 포장지(P)의 열융착 커팅 및 냉각작용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하여 융착부재(120)는 상기 수직가이드바(110)에 설치되는 융착프레임(121), 연결대(122a)를 매개로 상기 융착프레임(121)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일정 온도로 가열되는 커터(122), 내부로 상기 커터(122)를 수용하되, 커터(122)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단이 개방되는 커버(123), 상기 커버(123)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를 포장지(P)의 표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24) 및 상기 융착프레임(121)과 커버(12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123)를 지지부재(13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완충스프링(125)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perform the thermal fusion cutting and cooling of the wrapper P at the same time, the fusion member 120 is fused through the fusion frame 121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bar 110 and the connecting rod 122a. A cutter 122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1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cover 123 whose lower end is opened to expose the lower end of the cutter 122 while accommodating the cutter 122 therein , The spray nozzle 12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123 and spraying the cooled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mber to the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P, and the fusing frame 121 and the cover 123 It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first buffer spring 125 installed between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cover 123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30 .

먼저, 융착프레임(121)은 수직가이드바(110)를 타고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하부로 커터(122) 및 커버(123)를 지지한다.First, the fusing frame 121 may be guided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bar 110 and support the cutter 122 and the cover 123 downward.

커터(122)와 커버(123)는 융착프레임(121)에 지지된 채 융착프레임(121)과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이동될 수 있으며, 커터(122)의 경우 하단으로 접하는 포장지(P)가 용융되도록 일정 온도 가열될 수 있는 전열회로를 가진다. 커터(122)의 하단은 융착프레임(121)이 하사점에 도달하면 개방된 커버(123)의 하단으로 출몰하여 지지부재(130)와 접촉될 수 있으며, 융착프레임(121)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커버(123) 내부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The cutter 122 and the cover 123 can move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fusing frame 121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using frame 121, and in the case of the cutter 122, the wrapping paper P in contact with the bottom is melted. It has an electric heating circuit that can be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as much as possible. The lower end of the cutter 122 protrudes to the lower end of the open cover 123 when the fusing frame 121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a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fusing frame 121 reaches the top dead center. When the cover 123 can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커버(123)는 융착프레임(121)의 하부에 제1 완충스프링(125)을 매개로 탄성 지지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내부로 커터(122)를 수용한다.The cover 123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using frame 121 via the first buffer spring 125, and in this state accommodate the cutter 122 inside.

커버(123)의 하단에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벽(12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벽(123a) 사이로 커터(122)의 하단이 개재될 수 있다.A pair of support walls 123a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123, and the lower end of the cutter 12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s 123a.

분사노즐(124)은 상기 한 쌍의 지지벽(123a)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한 쌍의 분사노즐(124)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노즐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jection nozzles 124 may be provided as a pair each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walls 123a, and inject compressed air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lthough not shown, each of the pair of injection nozzles 124 may have nozzle holes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한 쌍의 지지벽(123a) 하단은 융착프레임(121)이 하사점에 도달하면 지지부재(130)와 접촉될 수 있으며, 융착프레임(121)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지지부재(1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ing walls 123a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30 when the fusing frame 121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and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130 when the fusing frame 121 reaches the top dead center. It can be.

융착프레임(121)의 하사점에서는 커버(123)가 지지부재(130)와 접촉된 상태로 제1 완충스프링(125)에 의해 하부로 탄성 가압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융착프레임(121)이 일정 높이로 상승하게 되더라도, 커버(123)는 제1 완충스프링(125)에 의해 하부로 탄성 가압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커버(123)는 지지부재(130)에서 이격되지 아니하는 구조가 된다.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fusing frame 121, the cover 123 is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pressed downward by the first buffer spring 125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130, and in this state, the fusing frame 121 Even if it rises to this certain height, since the cover 123 is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pressed downward by the first buffer spring 125, the cover 123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separate from the support member 130.

반면, 커터(122)의 경우 융착프레임(121)이 상승하면 이와 연동해 커버(123)의 내부에서 상승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utter 122, when the fusing frame 121 rises, it can be moved upward in the cover 123 in conjunction with it.

즉, 융착프레임(121)이 상승하면, 이와 연동하여 커터(122)와 커버(123)가 상승하게 되는데, 커버(123)의 경우, 커터(122)가 포장지(P)로부터 이격되더라도 포장지(P)와 접촉된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using frame 121 rises, the cutter 122 and the cover 123 rise in association with it. In the case of the cover 123, even if the cutter 122 is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P, the wrapping paper P )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에, 융착프레임(121)이 상승하면 커버(123)는 커터(122)와 시간차를 두고 상승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벽(123a) 사이에 압축공가기 분사될 공간 및 압축공기가 분사될 적절한 타이밍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using frame 121 rises, the cover 123 rises with a time difference from the cutter 122, and the space to be sprayed with compressed air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s 123a and the appropriate timing for sprayed compressed air can be obtained.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프레임(121)의 하사점에서 융착프레임(121)이 제1 높이까지만 상승하면 상기 커터(122)는 지지부재(130)에 지지된 포장지(P)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커버(123)는 상기 제1 완충스프링(125)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지지부재(130)에 지지된 포장지(P)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냉각된 압축공기가 분사노즐(124)에 의해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fusing frame 121 rises only to the first height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fusing frame 121, the cutter 122 is spaced apart from the wrapping paper P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 cover 123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first buffer spring 125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rapping paper P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30, and in this state, the cooled compressed air blows through the spray nozzle ( 124) to be sprayed.

이렇게, 지지부재(130)에 지지된 포장지(P)는 커버(123)가 가압하게 되어 지지부재(13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커터(122)가 상승하여 한 쌍의 지지벽(123a) 사이 공간이 확보되면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열융착 커팅 부위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In this way, the wrapping paper P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30 can be fixed on the support member 130 by pressing the cover 123, and the cutter 122 rises to form a pair of support walls 123a. When the space between them is secured, compressed air is sprayed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quickly cool the heat-sealed cutting area.

특히, 포장지가 OPP 재질일 경우, 신속하게 냉각을 수행하지 않게 되면 열융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wrapping paper is made of OPP material, if cooling is not performed quickly, thermal fusion cannot be achieved.

따라서, 포장지(P)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더라도, 포장지(P)가 쉽게 흐트러지지 않으며, 또한, 한 쌍의 지지벽(123a) 사이 공간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므로, 압축공기가 커버(123) 내부에서 유실 없이 열융착 커팅 부위의 냉각에 활용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이 대폭 향상된다.Therefore, even if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wrapping paper (P), the wrapping paper (P) is not easily disturbed, and since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walls (123a), the compressed air is blown inside the cover (123). Since it can be used for cooling the heat-sealed cutting area without loss in the cooling process, the cooling efficiency is greatly improved.

다음으로, 지지부재(130)는 융착부재(120)와 마주보는 하방에 설치되어 상부로 포장지(P) 및 융착부재(120)를 동시에 지지하며, 이에 더하여, 지지컨베이어(200)로 전달된 포장지(P) 내의 노트의 자유단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노트가 쳐진 상태에서 열융착 커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Next, the support member 13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facing the fusing member 120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wrapping paper P and the fusing member 120 upward, and in addition, the wrapping paper delivered to the support conveyor 200. B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free end of the note in (P),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note from being thermally fused and cut in a struck state.

이를 위해, 지지부재(130)는 상기 수직가이드바(110)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31), 상기 지지프레임(13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122) 및 커버(123)가 접촉되는 고정지지대(132), 상기 고정지지대(132)의 우측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가동지지대(133) 및 상기 가동지지대(133)와 지지프레임(13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지지대(133)를 하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제2 완충스프링(13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upport member 13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31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bar 110,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31, and the cutter 122 and the cover 123 are in contact A fixed support 132, a movable support 133 spaced apart in parallel to the right side of the fixed support 132, and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support 133 and the support frame 131 to lower the movable support 133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second buffer spring 134 that elastically supports in.

먼저, 지지프레임(131)은 수직가이드바(110)를 타고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상부로 고정지지대(132) 및 가동지지대(133)를 지지한다.First, the support frame 131 may be guided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guide bar 110, and supports the fixed support 132 and the movable support 133 upward.

고정지지대(132)와 가동지지대(133)는 지지프레임(131)에 지지된 채 지지프레임(131)과 연동하여 상하로 왕복 이동될 수 있으며, 특히, 가동지지대(133)의 경우 지지컨베이어(200)의 높이에서 상부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갖춘다.The fixed support 132 and the movable support 133 can move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support frame 131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131.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ovable support 133, the support conveyor 200 ) has a structure in which upper movement is restricted at a height of

고정지지대(132)는 지지프레임(131)과 일체로 마련되어 융착부재(120) 및 포장지(P)가 지지되는 면적을 제공하고, 가동지지대(133)의 경우 제2 완충스프링(134)을 매개로 지지프레임(131) 상에 탄성 가압 가능하게 마련되어 노트의 자유단부위가 지지됨으로써 노트의 하부 쳐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xed support 132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support frame 131 to provide an area where the fusing member 120 and the wrapping paper P are supported, and in the case of the movable support 133 via the second buffer spring 134. It serves to prevent the bottom of the note from drooping by being provided to be elastically pressed on the support frame 131 so that the free end portion of the note is supported.

한편, 포장지(P)의 열융착 커팅은 노트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야 파우치 형태의 단일 포장지(P)가 형성되는 바 특히, 지지컨베이어로 전달된 노트의 좌측 부분을 열융착 커팅할 때 융착유닛(100)과 지지컨베이어(200) 사이 공간으로 노트 좌측단 부위가 하방으로 쳐질 우려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노트의 좌측단 부위가 가동지지대(133)에 지지됨으로써 노트의 좌측 부위에 정확하게 열융착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ermal fusion cutting of the wrapping paper (P) should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ote, respectively, so that a single wrapping paper (P) in the form of a pouch is formed. When doing this, there may be a concern that the left end of the note will be struck downward in the space between the fusion unit 100 and the support conveyor 200. At this time, the left end of the note is supported by the movable support 133, Heat-sealing cutting can be performed accurately.

지지프레임(131)이 융착부재(120)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고정지지대(132)는 이와 연동해 상승하여 커터(122)와 커버(123)에 접촉될 수 있으며, 가동지지대(133)의 경우 지지컨베이어(200)의 좌측단에 형성되어 가동지지대(133)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210)에 의해 상부이동이 제한됨으로서 지지컨베이어(200)와 동일선상에서 노트의 좌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support frame 131 rises in the direction facing the fusing member 120, the fixed support 132 rises in conjunction with this to be in contact with the cutter 122 and the cover 123, and the movable support 133 In the case of the upper movement is limited by the stopper 210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support conveyor 200 to limit the upper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133, so that the left end of the note is supported on the same line as the support conveyor 200 can

이때, 가동지지대(133)가 상기 스톱퍼(210)에 의해 상부이동이 제한되더라도 고정지지대(132)의 경우 제2 완충스프링(134)의 압축한계까지 일정 높이 상부이동이 허용될 수 있게 되며 이에, 고정지지대(132)와 가동지지대(133)는 포장지(P)의 열융착 커팅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상하로 높이차(h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열융착 커팅이 노트의 상하 중심 부위에 보다 정확히 형성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even if the upper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133 is limited by the stopper 210, in the case of the fixed support 132, the upper movement can be allowed to a certain height up to the compression limit of the second buffer spring 134. Accordingly, The fixed support 132 and the movable support 133 may form a height difference h1 up and down at the time when the thermal fusion cutting of the wrapping paper P is performed, and thus, the thermal fusion cutting is per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note. can be accurately formed.

다음으로, 구동부재(140)는 융착부재(120)의 융착프레임(121)과 지지부재(130)의 지지프레임(131)을 서로 동기화시켜 승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Next, the driving member 140 serves to lift and lower the fusing frame 121 of the fus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frame 131 of the supporting member 130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구동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0) 하부에 설치되는 스텝모터(141)에 장착되어 정역 방향 회전하는 메인샤프트(142), 상기 메인샤프트(142)에 장착되는 커넥팅브라켓(143), 일단은 융착프레임(12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커넥팅브라켓(14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로드(144) 및 일단은 지지프레임(13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커넥팅브라켓(14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로드(14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4, the drive member 140 is mounted on the step motor 141 installed below the support member 130 and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he main shaft 142, the main shaft 142 Connecting bracket 143 to be mounted, one e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usion frame 121, the other e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143 first rod 144 and one end to the support frame 131 It is rotatably mounted, and the other end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second rod 145 rotatably moun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143.

즉, 스텝모터(141)가 메인샤프트(142)를 회전시키면 커넥팅브라켓(143)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제1 로드(144)와 제2 로드(145)는 수직가이드바(110)에서 융착프레임(121)과 지지프레임(131)을 각각 직선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tep motor 141 rotates the main shaft 142, the connecting bracket 143 rotates, and thus, the first rod 144 and the second rod 145 are fused on the vertical guide bar 110. It is possible to linearly move the frame 121 and the support frame 131, respectively.

즉, 메인샤프트(142)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게 되어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기화되어 승강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ain shaft 142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the fus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ing member 130 can move up and down in synchronization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or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구동부재(140)는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driving member 140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long the line capable of moving the fus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up and d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공기공급부재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분사노즐(124)을 연결하는 배관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사노즐(124) 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air supply member may be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 pipe connecting the compressor and the spray nozzle 124,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in a line capable of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spray nozzle 124, so detailed descriptions below should be omitted.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커팅부(2)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포장지(P)의 열융착 커팅을 위해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가 구동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cutting unit 2 will be described. In this action, a process in which the fusion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are driven for thermal fusion cutting of the wrapping paper P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서로 상하로 이격된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 사이로 포장지(P)가 진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P)의 열융착 커팅을 위해 융착부재(120)와 지지부재(13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예컨대, 융착부재(120)는 하방으로, 지지부재(130)는 상방으로 각각 동기화되어 승강한다.First, when the wrapping paper P enters between the fusion splicing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as shown in FIG. 6, the fusion splicing member 120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members 130 face each other, for example, the fusing member 120 moves downward and the support member 130 moves upwar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이때, 커버(123)의 하단이 먼저 고정지지대(132)에 접촉되고, 이어서 융착프레임(121)이 하사점으로 이동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22)가 고징지지대 상에 지지된 포장지(P)를 관통해 포장지(P) 상에 열융착 커팅을 완료한다.At this time, when the lower end of the cover 123 first contacts the fixing support 132, and then the fusing frame 121 moves to the bottom dead center, as shown in FIG. Penetrate through (P) to complete the thermal fusion cutting on the wrapping paper (P).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프레임(121)이 제1 높이까지 상승하면 이와 연동하여 커터(122)가 상승하면서 고정지지대(132)로부터 상부로 이격된다. 한편, 커버(123)는 포장지(P)를 상부에서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가 수 초 유지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8 , when the fusing frame 121 rises to the first height, the cutter 122 rises in association with it and is spaced upward from the fixed support 132 . Meanwhile, the cover 123 is in a state of pressing the wrapping paper P from the top, and this state may be maintained for several seconds.

이어서, 공기공급부재가 분사노즐(124) 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이에, 마주보는 지지벽(123a) 사이 공간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열융착 커팅 부위가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air supply member supplies compressed air toward the spray nozzle 124, and thus, the compressed air is spray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opposing support walls 123a, so that the heat-sealed cutting area can be quickly cooled.

열융착 커팅 부위의 냉각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융착부재(120) 및 지지부재(130)가 각각 이동하여 원점으로 복귀되고, 파우치 형태로서 내부에 노트를 수납한 포장지(P)는 지지컨베이어(200)에 의해 포장부(3)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cooling of the heat-sealed cutting part is completed, the fusion member 120 and the support member 130 are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It can be supplied to the packaging part 3 side by the support conveyor 200.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수납부(1)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accommodating unit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수납부(1)의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f the direction standard of the non-rigid housing unit 1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divided into up and down, left and right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and other drawings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direction is specifi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this criterion.

먼저, 수납부(1)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P)를 일정 속도로 공급하는 피더(10), 상기 피더(10)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P) 사이로 노트가 수납되면 포장지(P)와 노트를 일렬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지(P)의 이형지(S)를 분리하는 이형지분리유닛(3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되는 와중에 포장지(P)의 개방된 일측으로 노출된 노트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노트를 포장지(P)의 타측으로 밀어 정렬하는 정렬유닛(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S. 9 and 11 , in the storage unit 1, notes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feeder 10 that supplies the wrapping paper P at a constant speed and the wrapping paper P supplied by the feeder 10. When the wrapping paper (P) and notes are transferred in a row, the transfer conveyor (20),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transfer conveyor (20), and the release paper (S) of the wrapping paper (P) transported by the transfer conveyor (20) While being transported by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unit 30 and the transfer conveyor 20 for separating the notes, the edges of the notes exposed to one open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are pressed to push the notes to the other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to align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n alignment unit 40 .

피더(10)는 포장지(P)가 롤 형태로 권취된 복수 개의 공급롤러들을 포함하며, 공급롤러에서 포장지(P)를 일정속도로 권출하여 이송컨베이어(20)로 공급할 수 있다.The feeder 1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ly rollers on which the wrapping paper P is wound in a roll form, and the wrapping paper P can be unwound at a constant speed from the supply roller and supplied to the transfer conveyor 20 .

특히, 피더(10)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포장지(P)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접철 구성되어 접힘 포인트가 형성된 반대측 일측 부위는 노트의 삽입을 위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으로 접혀져 양분된 포장지(P)의 일단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접착편(M)을 구성하고, 상기 접착편(M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제 라인(L)이 형성되고 이 접착제 라인(L)은 이형지(S)로 커버된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20)로 공급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rapper P supplied by the feeder 10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 half as shown in FIG. 10 so that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where the folding point is formed can be formed open for inserting a note. In addition, at least one portion of one end of the wrapping paper (P) folded in half and divided into two parts is formed relatively long to form an adhesive piece (M), and an adhesive line (L)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iece (M2). Formed and this adhesive line (L) can be supplied to the transfer conveyor 20 in a state covered with release paper (S).

피더(10)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P)는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 설치된 삼각자 형태의 경로변경부재(11)를 통과해 이송컨베이어(20)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진로가 바뀌어 이송컨베이어(20)로 공급될 수 있다.The wrapping paper P supplied by the feeder 10 passes through the path changing member 11 in the form of a triangular shap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transfer conveyor 20, and the path is changed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ransfer conveyor 20, so that the transfer conveyor (20) can be supplied.

이송컨베이어(20)로 공급된 포장지(P)의 개방된 일측 부위로 노트가 수납되며, 이때 노트의 공급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거나, 노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Notes are accommodated in on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supplied to the transfer conveyor 20, and at this time, the supply of notes may be performed manually, or a separate means for sequentially supplying notes may be provided.

이송컨베이어(20)는 노트가 수납된 포장지(P)를 일렬로 이송할 수 있는 선에서 공지의 컨베이어벨트 구조물의 형태를 갖출 수 있으며, 예컨대, 이송컨베이어(20)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롤러, 상기 복수의 롤러에 무한궤도로 감기는 벨트 등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컨베이어밸트에 진공 흡착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veying conveyor 20 may have the form of a known conveyor belt structure on a line capable of conveying the wrapping paper P in which the notes are stored in a row, for example, a frame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conveying conveyor 20, the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rollers mounted on the frame, a belt wound on the plurality of rollers in an endless track, and the like, and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imparting vacuum adsorption force to the conveyor belt, if necessary.

이에, 이송컨베이어(20) 상부로 포장지(P)가 흡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구조가 갖춰질 수 있다.Accordingly, a structure in which the wrapping paper P is transferred to the top of the transfer conveyor 20 in an adsorbed state may be provided.

이송컨베이어(20)에서 이송되는 포장지(P)는 이형지분리유닛(30)을 통과하는 시점에 이형지분리유닛(30)에 의해 이형지(S)가 분리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When the wrapping paper (P) transported on the transfer conveyor 20 passes through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unit 30, it can be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the release paper S is separated by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unit 30.

포장장치의 시동을 위한 세팅 과정에서 작업자는 포장지(P)의 이형지(S)를 임의로 일정 부분 분리하고, 분리된 이형지(S)를 이형지분리유닛(30)과 정렬유닛(40)에 상호 물려놓은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20)를 구동시키면 포장지(P)가 일렬로 이송되는 와중에 포장지(P)에서 이형지(S)를 연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In the setting process for the start-up of the packaging machine, the operator arbitrarily separates a certain portion of the release paper (S) of the wrapping paper (P), and interlocks the separated release paper (S) between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unit (30) and the alignment unit (40). When the transfer conveyor 20 is driven in this state, the release paper S can be continuously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P while the wrapping paper P is being transported in a row.

이형지분리유닛(30)에는 이형지(S)가 통과하는 통과홈(32)이 절개 형성되는 분리편(31)이 마련되며 상기 통과홈(32)으로 포장지(P)로부터 분리된 이형지(S)가 안내되어 포장지(P)와 이격 구성될 수 있다.The release paper separation unit 30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iece 31 in which a passage groove 32 through which the release paper S passes is cut, and the release paper S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P through the passage groove 32 is provided. It may be guided and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rapping paper (P).

통과홈(32)으로 안내된 이형지(S)는 정렬유닛(40)을 통해 별도 회수할 수 있다.The release paper S guided through the passage groove 32 may be separately collected through the alignment unit 40 .

정렬유닛(40)은 포장지(P) 내로 노트를 올바르게 정렬시키는 것 외에, 포장지(P)로부터 분리된 이형지(S)를 별도 회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The alignment unit 40 has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ely collecting the release paper S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P, in addition to correctly aligning the notes into the wrapping paper P.

이를 위해, 정렬유닛(40)은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41), 지지대(4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형지분리유닛(30)에 의해 포장지(P)로부터 분리된 이형지(S)가 무한궤도 형태로 감기는 한 쌍의 풀리(42), 상기 한 쌍의 풀리(42) 하단에 각각 장착되며, 노트의 모서리 부위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패드(43) 및 상기 한 쌍의 풀리(42)에서 배출된 이형지(S)를 당겨 권취하는 원치(4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alignment unit 40 is installed rotatably in place on the support 41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conveyor 20 and the support 41, and the release paper separating unit 30 removes the wrapping paper P from the A pair of pulleys (42) on which the separated release paper (S) is wound in an endless track, a pad (43)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pair of pulleys (42) and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edge of the note, and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winch 44 for pulling and winding the release paper S discharged from the pair of pulleys 42 .

이형지분리유닛(30)에 의해 포장지(P)로부터 분리 구성된 이형지(S)는 먼저 한 쌍의 풀리(42)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 1차 가이드된 뒤, 한 쌍의 풀리(42)와 원치(44) 사이에 마련된 아이들 풀리(42')에 2차 가이드되어 원치(44)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release paper (S) separated from the wrapper (P) by the release paper separation unit (30) is first wound around a pair of pulleys (42) in an endless orbit and is primarily guided, and then the pair of pulleys (42) and the original tooth ( 44) to be guided secondary to the idle pulley 42' provided between them and discharged to the original tooth 44 side.

특히, 한 쌍의 풀리(42)는 별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의 구성 없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air of pulleys 42 can be rotated in place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a motor that generates a separate power.

예컨대, 상기 한 쌍의 풀리(42)는 원치(44)로 감겨지는 이형지(S)의 인장력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도록 구성되므로, 별도 모터가 생략될 수 있고, 이에, 구조가 대폭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or example, since the pair of pulleys 42 are configured to be rotated in place by the tensile force of the release paper S wound around the wheel 44, a separate motor can be omitted, thereby greatly simplifying the structure. have

이형지(S)가 한 쌍의 풀리(42)를 무한궤도 형태로 감게 되므로 한 쌍의 풀리(42) 각각은 서로 동기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Since the release paper S winds the pair of pulleys 42 in an endless orbit, each of the pair of pulleys 42 can rotate at synchronous speeds and directions.

한 쌍의 풀리(42)는 회전하면서 하부에 장착된 패드(43)를 일방향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풀리(42)는 상황에 따라 패드(43)를 지지한 채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만일 자체 회전하기 위한 모터 등의 구성을 포함해 설계되면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게 되고, 이에, 정렬유닛(40)의 설계 자유도가 낮아지고, 제조원가가 대폭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뒤따른다.The pair of pulleys 42 serve to rotate the pad 43 mounted therein in one direction while rotating.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pulley 42 needs to be finely adjusted while supporting the pad 43 depending on the situation. If it is designed to include a motor for self-rotation, the structure becomes very complicated, so,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design of the alignment unit 40 is lowered, and manufacturing cost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지(P)로부터 분리되어 별도 배출되어야 하는 이형지(S)를 적극 활용하여 한 쌍의 풀리(42)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기게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풀리(42)를 회전함에 있어 모터와 같은 추가적인 동력원을 구성할 필요 없이 이형지(S) 자체가 동력전달 매개체 역할을 하도록 해 동력이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나아가, 정렬유닛(40)의 설계 자유도를 부여하고 정렬유닛(40)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lease paper (S), which must be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P) and discharged separately, is actively utilized and configured to be wound around the pair of pulleys (42)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thereby rotating the pair of pulleys (42). In doing so, the release paper (S) itself serves as a power transmission medium without the need to configure an additional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so that power can be used efficiently without unnecessary loss, and furthermore, the design freedom of the alignment unit 40 is increased. and greatly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alignment unit 40.

한 쌍의 풀리(42) 각각의 하부에 장착된 패드(43)는 풀리(42)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면서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일렬로 이송하는 노트에 직접 접촉하여 노트를 포장지(P) 내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한다.The pads 43 mounted on the bottom of each of the pair of pulleys 42 rotat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ulleys 42 and directly contact the notes transported in a row by the transfer conveyor 20 to transfer the notes into the wrapping paper P. acts as a push.

한편, 포장지(P)의 개방된 일측 부위로 수납되는 노트는 상황에 따라 접철된 포장지(P) 내측으로 완전히 수납되지 아니하는 경우도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note stored in on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may not be completely stored inside the folded wrapping paper P depending on circumstances.

예컨대,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유닛(40),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드(43)를 통과하기 전의 노트의 경우 포장지(P)의 타측 부위로 완전히 수납되지 못하고, 노트의 모서리 일부가 개방된 포장지(P)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등 다소 불량하게 정렬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 and 13, in the case of notes before passing through the alignment unit 40, more specifically, the pad 43, the notes are not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other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and some of the edges of the notes It frequently occurs that is somewhat poorly aligned, such as being exposed to one side of the open wrapping paper (P).

한편, 포장부(3)에서는 포장지(P)의 접착편(M)을 포장지(P)의 표면으로 접어 접착제 라인(L)을 포장지(P)의 외면에 부착시켜 포장을 완료하게 되는데, 위 상태(도 13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노출된 노트에 의해 접착편(M)이 눌려져 접착편(M)이 반대편 포장지(P)의 외면까지 제대로 접혀질 수 없게 되거나, 접착편(M)이 제대로 접혀진다 하더라도 접착제 라인(L)이 항상 동일한 지점에서 접착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심하게는, 접착제 라인(L)에 노트가 부착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뒤따른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ckaging unit 3, the packaging is completed by folding the adhesive piece (M) of the wrapping paper (P) onto the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P) and attaching the adhesive line (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P). (The state shown in FIG. 13A), the adhesive piece (M) is pressed by the exposed note, so that the adhesive piece (M) cannot be properly fo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pposite wrapping paper (P), or the adhesive piece (M) is properly folded Even if it does, the adhesive line (L) is not always attached at the same point, causing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marketability. Severely, a problem that a note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ine (L) and a defect occurs follows.

이에, 패드(43)는 일렬로 이송되는 노트의 모서리 부위에 접촉해 개방된 포장지(P) 일측 부위로 노출된 노트를 밀어 노트가 접철 구성된 포장지(P) 내 완벽하게 수납되게끔 한다.Accordingly, the pad 43 contacts the edge of the notes being transported in a row and pushes the exposed notes to one side of the opened wrapping paper P so that the notes are perfectly stored in the folded wrapping paper P.

즉,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노트가 이송되는 와중에, 노트의 모서리가 포장지(P)의 개방된 일측 부위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 노출된 모서리가 패드(43)에 접촉됨과 동시에 패드(43)에 의해 타측으로 밀려 노트가 포장지(P)의 깊숙한 안쪽으로 위치정렬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edge of the note is exposed to on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while the note is being conveyed by the transfer conveyor 20, the exposed corner contacts the pad 43 and the pad 43 at the same time By being pushed to the other side, the note can be positioned deep inside the wrapping paper (P).

특히, 패드(43)는 풀리(42)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이송컨베이어(20)에서 일렬로 이송되는 노트에 회전 접촉하는 구조가 된다. 이에, 노트의 이송 와중에 패드(43)에 접촉되더라도 노트가 편심으로 틀어지는 일 없이 포장지(P)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ad 43 is rotated by the pulley 42, it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in rotational contact with the notes conveyed in a row on the transfer conveyor 20. Thus, even if the note is in contact with the pad 43 during transport, the note can be stored inside the wrapping paper P without being twisted eccentrically.

예컨대, 도 12를 기준으로 노트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송되는 것을 예로 들면, 패드(43)는 오른쪽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패드(43)가 노트에 접촉되었을 때 이송컨베이어(20)를 통한 노트의 일방향 직선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For example, taking as an example that notes are transferred from left to right based on FIG. 12, the pad 43 rotates in the right direction, that is, clockwise, so that the pad 43 moves the transfer conveyor 20 when it contacts the note.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not interfering with the one-way linear transfer of knots through.

아울러, 패드(43)는 제본이 완료된 노트의 모서리 부위에 접촉되기 때문에, 노트에 물리적인 외력을 최소한으로 가하는 것이 노트의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아니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pad 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book after binding, it is preferable to apply minimal external force to the note in order not to degrade the note's marketability.

이를 위해, 한 쌍의 패드(43) 각각은 스펀지 재질의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해 패드(43)가 노트에 접촉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접촉해 그 충격을 패드(43)가 흡수하여 노트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To this end, each of the pair of pads 43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made of a sponge material, so that when the pad 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ote, i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impact is absorbed by the pad 43 to make the note. It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it from being damaged.

원치(44)는 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 설치되며 별도 구동모터에 의해 제자리 회전하면서 한 쌍의 풀리(42)를 경유한 이형지(S)를 당겨 외주로 권취한다.The wheel 4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ransfer conveyor 20 and rotates in place by a separate drive motor to pull the release paper S via a pair of pulleys 42 and wind it to the outer circumference.

원치(44)에 의해 포장지(P)로부터 분리된 이형지(S)에는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이형지(S)가 원치(44)로 권취되면서 이형지(S)를 무한궤도 형태로 감고 있는 한 쌍의 풀리(42)가 제자리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Tensile force may act on the release paper S separated from the wrapper P by the wheel 44, and thus, as long as the release paper S is wound around the wheel 44, the release paper S is wound in an endless orbit. A structure in which the pair of pulleys 42 can be rotated in place is provided.

한편, 노트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본될 수 있는데, 만일 노트의 위아래 길이가 길어지거나 혹은 짧아지게 되면, 노트의 모서리 부위에 접촉되게끔 패드(43)의 위치 또한 이에 맞게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notes can be boun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type. If the length of the top and bottom of the note becomes longer or shorter, the position of the pad 43 to contact the edge of the note also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ly. have.

이에, 풀리(42)를 회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41) 자체를 전후(도 1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노트의 사이즈에 맞게 패드(4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춘다.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pad 4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ote by moving the support 41 itself that rotates the pulley 4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up and down with reference to FIG. 15).

이를 위한 구성으로, 지지대(41)는 이송컨베이어(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45), 상기 고정부재(45)에 접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20)에 이송되는 포장지(P)를 향해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슬랫(46c)이 관통되는 제1 지지바(46a) 및 상기 제1 지지바(46a)의 끝단에서 제1 지지바(46a)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양 끝단 하부로 풀리(42)를 회전 지지하는 제2 지지바(46b)를 포함하는 브라켓(46) 및 상기 슬랫(46c) 및 고정부재(45)를 상호 관통해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46)을 고정부재(45) 상에 고정 결합시키는 나사핸들(47)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As a configuration for this, the support 41 is a fixing member 45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veying conveyor 20, and the wrapping paper P transported on the conveying conveyor 20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45 The first support bar 46a extending toward the front and rear through which the slats 46c pass,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support bar 46a from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bar 46a, but lower both ends. The bracket 46 including the second support bar 46b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furnace pulley 42 and the slat 46c and the fixing member 45 are mutually penetrated and fastened to fix the bracket 46 to the fixing member ( 45)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screw handle 47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top.

고정부재(45)는 이송컨베이어(20)의 상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위치가 이동되지 않게 마련되며 나사핸들(47)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미도시)을 가진다.The fixing member 4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conveyor 20 and is provided so as not to move, and has a fastening hole (not shown) for fastening the screw handle 47.

브라켓(46)은 제1 지지바(46a)와 제2 지지바(46b)의 조합에 의해 대략 'T'자 형의 구조를 갖추고, 고정부재(45)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킬 수 있다.The bracket 46 has a substantially 'T'-shaped structure by a combina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46a and the second support bar 46b, and can be relative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fixing member 45.

제1 지지바(46a)에 형성된 슬랫(46c)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긴 홀 형태로 마련되며 브라켓(46)의 전후 방향 이동을 허용한다.The slats 46c formed on the first support bar 46a are provided in the form of long holes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llow the movement of the bracket 46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제2 지지바(46b) 양단에는 한 쌍의 풀리(42)가 각각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 pair of pulleys 42 may be rotatably mount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bar 46b via bearings, respectively.

나사핸들(47)은 하부로는 체결홀에 나사체결 가능하도록 나사체가 형성되고 나사체의 상부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이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crew handle 47 has a structure in which a screw body is formed at the bottom so as to be screwable into the fastening hole and a handl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crew body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by hand.

즉, 나사핸들(47)을 체결홀에 강하게 나사결합하게 되면 핸들 자체가 브라켓(46)을 상부에서 강하게 압착하는 구조가 되어 브라켓(46)의 위치이동이 제한되는 선에서 브라켓(46)이 구속되고, 이와 반대로, 나사핸들(47)을 체결홀에서 풀게 되면 핸들이 브라켓(46)과 이격되면서 브라켓(46)의 구속이 풀리(42)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crew handle 47 is strongly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the handle itself has a structure that strongly compresses the bracket 46 from the top, so that the bracket 46 is restrained on the line where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bracket 46 is restricted. Conversely, when the screw handle 47 is released from the fastening hole, the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46 and the bracket 46 is restrained by the pulley 42.

정리하면, 브라켓(46)은 노트의 길이에 맞게 상기 슬랫(46c)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브라켓(46)에 지지된 패드(43)의 위치를 노트의 길이에 맞게 조절 가능하게 되는 구조가 되며, 따라서, 서로 다른 길이의 노트를 포장하더라도, 패드(43)가 항상 노트를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서 접촉해 노트를 포장지(P) 내에 정렬 수납할 수 있게 된다.In summary, since the bracket 46 is configured to be position-adjust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 46c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note,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pad 43 supported by the bracket 46 is adjusted to that of the note. It becomes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and therefore, even if notes of different lengths are packed, the pad 43 always contacts the note at the same position relative to the note, so that the notes can be aligned and stored in the wrapping paper P .

이하, 수납부(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노트가 포장지(P) 내로 정렬 수납되는 과정을 수납부(1)가 작동되는 과정과 함께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unit 1 will be described. In this action, the process of sorting and storing notes into the wrapping paper (P)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ogether with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storage unit (1).

먼저, 피더(10)를 통해 이송컨베이어(20)로 포장지(P)가 공급된다. 공급된 포장지(P)는 경로변경부재(11)를 거쳐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일렬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포장지(P)의 이형지(S)가 분리될 수 있도록 작업자는 포장지(P)의 이형지(S)를 임의로 일정 부분 분리하고, 분리된 이형지(S)를 분리편(31)의 통과홈(32)을 통과시킨 다음 한 쌍의 풀리(42)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고, 이에서, 단부를 원치(44)에 감아 세팅을 완료한다. 이에, 포장지(P)가 일렬로 이송되는 와중에 포장지(P)에서 이형지(S)를 연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First, the wrapping paper P is supplied to the transfer conveyor 20 through the feeder 10. The supplied wrapping paper P is transferred in a row by the transfer conveyor 20 via the path changing member 11 . At this time, the operator arbitrarily separates a certain portion of the release paper (S) of the wrapping paper (P) so that the release paper (S) of the wrapping paper (P) can b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release paper (S) is passed through the groove ( 32) and then wound around a pair of pulleys 42 in the form of an endless orbit, whereby the end is wound around the original tooth 44 to complete the setting. Thus, the release paper (S) can be continuously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P) while the wrapping paper (P) is being transported in a row.

이어서, 경로변경부재(11)를 통과한 포장지(P)의 개방된 일측 부위로 복수 개의 노트를 일정 간격으로 삽입한다. 이에, 포장지(P)가 이송컨베이어(20)에서 이송되면 내부로 수납된 노트 또한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어진다.Subsequently, a plurality of notes ar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into the open portion of one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passing through the path changing member 11 . Accordingly, when the wrapping paper P is transferred on the transfer conveyor 20, the notes stored therein are also transferred in the same direction.

이 와중에 노트의 정렬상태가 불량한 노트, 예컨대, 모서리가 포장지(P)의 개방된 일측 부위로 일부 노출된 노트는 이송컨베이어(20)의 경로상에 배치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패드(43)에 접촉하여 포장지(P) 내부로 완전히 수납 정렬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notes with poor alignment of the notes, for example, notes whose corners are partially exposed to the open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are placed on the path of the conveyor 20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d 43 rotating in place. It can be completely accommodated and aligned inside the wrapping paper (P).

이렇게 수납 정렬이 완료된 포장지(P)와 노트는 커팅부(2)로 투입되어 노트 주변 포장지(P) 양단이 열융착 커팅되어 파우치 형태가 되고, 이 파우치 형태의 포장지(P)는 포장부(3)로 투입되어 포장지(P)의 개방부위가 폐쇄되도록 접착편(M)을 접은 다음 접착제 라인(L)을 포장지(P)의 외측으로 부착시켜 노트의 포장이 완료되는 공정이 수행된다.The wrapping paper (P) and the note, which have been sorted and stored in this way, are put into the cutting unit (2), and both ends of the wrapping paper (P) around the note are heat-sealed and cut to form a pouch, and the pouch-shaped wrapping paper (P) is ), the adhesive piece (M) is folded so that th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is closed, and then the adhesive line (L)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wrapping paper (P) to complete the wrapping process of the note.

정리하면, 수납부는 포장지로부터 분리되어 별도 배출되어야 하는 이형지를 적극 활용하여 한 쌍의 풀리에 무한궤도 형태로 감기게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풀리를 회전함에 있어 모터와 같은 추가적인 동력원을 구성할 필요 없이 이형지 자체가 동력전달 매개체 역할을 하도록 해 동력이 불필요하게 소실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나아가, 정렬유닛의 설계 자유도를 부여하고 정렬유닛의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다.In summary, the storage unit actively utilizes the release paper, which must be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and discharged separately, and is wound on a pair of pulleys in an endless track, so that there is no need to configure an additional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to rotate the pair of pulleys. By allowing itself to serve as a power transmission medium, power can be used efficiently without unnecessary loss, and furthermore, freedom in the design of the alignment unit can be granted and the structure of the alignment unit can be greatly simplified.

또,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노트가 이송되는 와중에, 노트의 모서리가 포장지의 개방된 일측 부위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 노출된 모서리가 패드에 접촉됨과 동시에 패드에 의해 타측으로 밀려 노트가 포장지의 깊숙한 안쪽으로 위치정렬될 수 있게 되므로, 노트가 접철 구성된 포장지 내 완벽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에, 포장 완료된 노트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고, 포장 과정에서의 불량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edge of the note is exposed to one open part of the wrapping paper while the note is being transported by the transfer conveyor, the exposed corner contacts the pad and is pushed to the other side by the pad at the same time, so the note goes deep inside the wrapping paper. Since it can be positioned, the note can be perfectly accommodated within the folded wrapping paper. As a result, the marketability of the packaged note product is improved, and the occurrence of defective products in the packaging process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포장부(3)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ackaging unit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포장부(3)의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17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f the direction standard of the packaging part 3, which is not strict,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state shown in FIG.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direction is specifi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this criterion.

포장부(3)로 공급되는 포장지(P)는 커팅부(2)에서 양 단이 열융착 커팅되어 파우치 형태로 형성된 상태이며, 특히, 내부로 노트를 수납한 채 일측은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파우치 형태의 포장지(P) 일측에는 길게 접착편(M)이 구성되며, 상기 접착편(M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제 라인(L)이 형성될 수 있다.The wrapping paper P supplied to the packaging unit 3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uch by heat-sealing both ends of the cutting unit 2, and in particular, one side may be open while storing notes therein. . In addition, a long adhesive piece M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uch-shaped wrapping paper P, and an adhesive line L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iece M2.

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지(P)는 개방된 일측이 우측을 바라본 채 포장부(3)에서 일렬로 이송되면서 개방부위가 폐쇄될 수 있다.The wrapping paper (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losed while being transported in a row in the packaging unit 3 with one open side facing the right side.

보다 구체적으로, 포장부(3)는 포장지(P)의 하면을 흡착한 채 일렬로 이송하는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 상기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 사이를 통과하는 접착편(M)을 상부로 절곡시키는 공기분사부재(300), 상기 공기분사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사부재(300)에 의해 상부로 절곡된 접착편(M)을 흡착하는 흡착부재(400) 및 상기 흡착부재(400)에 설치되며 상기 흡착부재(400)에 흡착된 접착편(M)을 가압하여 포장지(P)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브러쉬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ackaging unit 3 i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conveyors CB1 and CB2 and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conveyors CB1 and CB2 that transport the wrapping paper P in a row while adsorbing the lower surface. It is installed and injects compressed air upward to bend the adhesive piece (M) pa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conveyors (CB1, CB2) upward. The adsorption member 40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adsorbing the adhesive piece M bent upward by the air blowing member 300 and the adsorption member 400 installed on the adsorption member 400 and adsorbed on the adsorption member 400 It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 brush member 500 for attaching the piece (M) to the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P) by pressing it.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는 좌우 일렬로 인접 배치되며 상부로 파우치 형태의 포장지(P)를 이송한다. 포장지(P)의 이송 과정에서 포장지(P)의 위치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로 흡착력을 발휘해 포장지(P)를 진공 흡착시킨 채 일렬로 이송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ction conveyors CB1 and CB2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row on the left and right, and transfer the pouch-shaped wrapping paper P to the top. In order to prevent the wrapping paper (P) from being moved during the transfer process, the wrapping paper (P) can be transferred in a row while vacuum adsorbing the wrapping paper (P) by exerting an adsorption force downward.

제1 흡착컨베이어(CB1)는 후술 될 커팅부(2)와 인접 설치될 수 있으며, 커팅부(2)의 지지컨베이어(200)로부터 열융착 커팅된 파우치형 포장지(P)를 전달받을 수 있다.The first suction conveyor CB1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cutting unit 2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receive the heat-sealed and cut pouch-type wrapping paper P from the support conveyor 200 of the cutting unit 2.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는 피이송물을 진공 흡착한 채 일렬로 이송할 수 있는 선에서 공지된 진공 흡착식 컨베이어 구조를 따를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conveyors CB1 and CB2 may follow a known vacuum adsorption type conveyor structure in a line capable of transporting objects in a row while vacuum adsorbing them,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공기분사부재(300)는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 사이에 마련된 공간 하부에서 압축공기를 상부로 분사하여 자유단 형태의 접착편(M)을 수직으로 절곡한다.Next, the air blowing member 300 injects compressed air up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pac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conveyors CB1 and CB2 to vertically bend the adhesive piece M in the form of a free end.

공기분사부재(300)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와 연결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로의 분사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member 300 may be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an upward injection direction.

공기분사부재(300)는 접착편(M)의 하부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air injection member 3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on a line capable of injecting compressed air from the bottom of the adhesive piece (M),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포장지(P)의 경우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에 흡착된 채 이송되므로,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 상에서 편심되거나 회전되는 등의 위치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포장지(P) 내부에 수납된 노트의 경우, 별도 위치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송 과정에서 관성에 의해 이동하여 개방된 포장지(P)의 일측으로 노출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rapping paper (P), since it is transported while being adsorbed on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conveyors (CB1 and CB2), positional movement such as being eccentric or rotated on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conveyors (CB1.CB2) can be suppressed. have. However, in the case of the note stored inside the wrapping paper (P), since it is not in a separate position-fixed state, there is a risk of being exposed to one side of the open wrapping paper (P) by moving by inertia during the transfer process.

예컨대, 도 13a에 도시된 것처럼 노트의 일부가 개방된 포장지(P)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접착편(M)을 침범하게 될 경우 노출된 노트에 의해 접착편(M)이 눌려져 접착편(M)이 반대편 포장지(P)의 외면까지 제대로 접혀질 수 없게 되거나, 접착편(M)이 제대로 접혀진다 하더라도 접착제 라인(L)이 항상 동일한 지점에서 접착되지 않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심하게는, 접착제 라인(L)에 노트가 부착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뒤따른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A, when a part of the note moves to one side of the open wrapping paper P and invades the adhesive piece M, the adhesive piece M is pressed by the exposed note and the adhesive piece M The outer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P on the other side cannot be properly folded, or even if the adhesive piece M is properly folded, the adhesive line L is not always adhered at the same point, resulting in a decrease in marketability. Severely, a problem that a note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ine (L) and a defect occurs follows.

이에, 후술 된 흡착부재(400)에서는 수직으로 절곡된 접착편(M)을 상부에서 흡착 유지함으로써, 접착편(M)을 통해 노출된 노트를 포장지(P)의 타측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해 접착제 라인(L)이 접척되기 전 노트가 포장지(P) 내 완벽하게 수납되게끔 한다.Accordingly, in the adsorbing member 400 described later, by adsorbing and holding the vertically bent adhesive piece M at the top, the exposed note through the adhesive piece M can be pushed to the other side of the wrapping paper P, so that the adhesive Before the line (L) is contacted, the note is perfectly accommodated in the wrapping paper (P).

이를 위해, 흡착부재(400)는 외곽프레임(410), 제1 흡착관(420), 제2 흡착관(430) 및 연결호스(4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uction member 400 may be exemplified as including an outer frame 410, a first suction pipe 420, a second suction pipe 430, and a connection hose 440.

먼저, 외곽프레임(410)은 제1, 2 흡착컨베이어(CB1,CB2)의 상부에 설치되며, 흡착부재(400)의 주요 골격을 구성하며, 제1 흡착관(420), 제2 흡착관(430) 등의 구성을 지지할 수 있다.First, the outer frame 410 is installed on top of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conveyors CB1 and CB2, and constitutes the main skeleton of the suction member 400, and the first suction pipe 420 and the second suction pipe ( 430) can be supported.

제1 흡착관(420)은 공기분사부재(300)의 직상방에서 외곽프레임(4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흡착관(420)은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면에는 제1 흡착공(421)이, 상기 제1 흡착공(421)이 형성된 면에 수직인 좌측면에는 제2 흡착공(4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tube 420 may be supported by the outer frame 410 directly above the air blowing member 300 . Subsequently, the first adsorption pipe 4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and has a first adsorption hole 421 on the lower surface and a second adsorption hole on the left sid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adsorption hole 421 is formed. (422) may be formed.

제1 흡착관(420) 내부에 흡입력이 가해지면 제1 흡착공(421)과 제2 흡착공(422)으로 외부 공기가 흡인되어 흡착력이 발생할 수 있다.When a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uction tube 420, external air is sucked into the first suction hole 421 and the second suction hole 422, and suction force may be generated.

제1 흡착관(420)의 외부 하면에는 평면 형태의 제1 흡착면(423)이, 외부 좌측면에는 평면 형태의 제2 흡착면(424)이 형성되고, 이때, 제1 흡착면(423)에 제1 흡착공(421)이, 제2 흡착면(424)에 제2 흡착공(422)이 형성될 수 있다.A flat first suction surface 423 is formed on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ction tube 420, and a second suction surface 424 is formed on the outer left surface. At this time, the first suction surface 423 The first suction hole 421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ction surface 424 and the second suction hole 42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ction surface 424 .

이에, 제1 흡착관(420)의 외측으로 접착편(M)이 흡착되면 접착편(M)이 제1 흡착관(420)의 외측 상에 면대 면으로 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증가해 흡착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접착편(M)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dhesive piece M is adsorb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ction tube 420, the adhesive piece 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first suction tube 420 face-to-face, increasing the contact area, thereby increasing the adsorption efficiency. It can be further improved, and shape deformation of the adhesive piece (M) can be minimized.

아울러, 접착편(M)이 제1 흡착관(420)의 적어도 두 면에 흡착될 수 있는데, 이때,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태로 변형되며 흡착되므로, 접착편(M)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 경우에도,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된 접착편(M)을 무리 없이 흡착 가능하고, 특히, 일렬로 이송중인 접착편(M)을 단계적으로 흡착함으로써 불측의 사유로 진공 흡착이 파괴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흡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접착편(M)의 단계적 흡착과정은 후술 될 포장부(3)의 작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piece M may be adsorb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first suction pipe 42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Even when the length of is relatively long, it is possible to adsorb the adhesive pieces (M) bent vertically toward the top without difficulty. The adsorption action can be performed stably without destruction of the adsorbent. The step-by-step adsorption process of the adhesive piece 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action of the packaging part 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브러쉬부재(500)는 제1 흡착관(420)의 우측에 인접 설치될 수 있다.The brush member 50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uction pipe 420 .

다음으로, 제2 흡착관(430)은 외곽프레임(410)에 설치되며, 별도 도시되지 않은 흡입모터와 직결되어 내부로 흡입력이 가해진다. 제2 흡착관(430)은 제1 흡착관(42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second suction pipe 430 is installed on the outer frame 410,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a suction motor (not shown separately) so that su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inside. Like the first suction tube 420, the second suction tube 430 may have a tube shape with an empty inside.

연결호스(440)는 상기 제2 흡착관(430)과 제1 흡착관(420)을 연결하여 제1 흡착관(420)으로 흡입력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ng hose 440 connects the second suction pipe 430 and the first suction pipe 420 to apply a suction force to the first suction pipe 420 .

한편, 제1 흡착공(421)과 제2 흡착공(422)은 제1 흡착관(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이어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흡착관(430) 및 연결호스(440)는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흡착공(421)과 제2 흡착공(422)에 균일한 흡착력이 가해지도록 흡착력을 분배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Meanwhile,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421 and second suction holes 422 may be formed in success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ction pipe 420, and the second suction pipe 430 and the connecting hose 440 ) plays a role of distributing and providing the adsorption force so that a uniform adsorption force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adsorption holes 421 and the second adsorption hole 422.

즉, 흡입모터가 작동해 제2 흡착관(430) 내부를 진공 저압상태로 구성하면 이 흡입력이 연결호스(440)를 통해 제1 흡착관(420) 내부로 균일하게 분배 전달되어 제1 흡착관(420) 내부에 보다 균일한 흡입력이 작용하고, 이에, 제1 흡착공(421)과 제2 흡착공(422)에서 서로 균형된 흡착력이 발휘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uction motor operates to configure the inside of the second suction pipe 430 in a vacuum low pressure state, the suction force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suction pipe 420 through the connection hose 440, and the first suction pipe A more uniform suction force acts on the inside of the 420, and thus, a balanced suction force can be exerted in the first suction hole 421 and the second suction hole 422.

따라서, 특정 부분에서 접착편(M)의 과흡착 또는 미흡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접착편(M)의 특정 부분이 접철되거나 쭈그러든 상태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effectively preventing excessive or non-adsorption of the adhesive piece M in a specific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ecific portion of the adhesive piece M from being adhered in a folded or shrunken state.

한편, 포장부(3)는 포장될 노트의 두께, 길이 등에 따라 접착편(M)의 흡착 시점 또는 흡착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On the other hand, the packaging unit 3 has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adsorption time or adsorption height of the adhesive piece (M) according to the thickness, length, etc. of the note to be packed.

예컨대, 노트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거나 또는 반대로 두꺼울 경우 이에 맞게 제1 흡착관(42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접착편(M) 또는 노트의 길이가 길거나 또는 반대로 짧을 경우 제1 흡착관(42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착편(M)의 흡착 시점을 접착편(M)의 위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note is relatively thin or thick, the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suction tube 420 can be adjusted accordingly, and if the length of the adhesive piece (M) or note is long or conversely short, the first suction tube By moving the 4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adsorption time of the adhesive piece (M)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dhesive piece (M).

이를 위해, 외곽프레임(410)은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레일(411a)이 형성되는 고정프레임(411), 상기 레일(411a)에 접속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동프레임(412), 상기 제1 흡착관(420)을 지지하며 상기 제1 가동프레임(412) 상에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가동프레임(413) 및 상부는 상기 제1 가동프레임(412)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제2 가동프레임(413)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가동프레임(413)을 상하로 견인하는 높이조절핸들(41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outer frame 4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nd includes a fixed frame 411 having rails 411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first frame connected to the rails 411a and installed slida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1 movable frame 412, a second movable frame 413 which supports the first suction tube 420 and is installed on the first movable frame 412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upwards and downwards,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vable frame 413 A height adjustment handle 414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412 and has a lower end screwed to the second movable frame 413 to pull the second movable frame 413 up and down as it rotates. ).

고정프레임(411)은 고정체 역할을 하며, 고정프레임(411) 상에서 제1 가동프레임(412)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411 serves as a fixed body, and the first movable frame 412 can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ixed frame 411 .

제1 가동프레임(412)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부재(4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412a)에 제2 가동프레임(413)이 접속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A guide member 412a may be formed on the first movable frame 41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movable frame 413 may be connected to the guide member 412a and guided in a vertical direction.

이에, 제1 가동프레임(412)을 레일(411a)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제2 가동프레임(413)도 이와 연동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제2 가동프레임(413) 상에 지지된 제1 흡착관(420)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movable frame 412 is moved along the rail 411a, the second movable frame 413 can also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conjunction with this, and at the same time, on the second movable frame 413 The supported first suction pipe 420 may also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높이조절핸들(414)은 제1 가동프레임(412)과 제2 가동프레임(413)을 상호 관통해 장착되며, 사용자가 임의로 회전할 경우 제1 가동프레임(412)에서는 제자리 헛돌게 마련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handle 414 is mounted through the first movable frame 412 and the second movable frame 413, and when the user arbitrarily rotates, the first movable frame 412 may be provided to rotate in place. .

이에, 높이조절핸들(414)을 회전하게 되면 높이조절핸들(414)의 하단에 마련된 나사구간을 따라 제2 가동프레임(413)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414 is rotated, the second movable frame 413 may be raised or lowered along the screw sec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414 .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가동프레임(413)에는 높이조절핸들(414)의 하단이 나사체결되기 위한 나사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screw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handle 414 is screw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movable frame 413 .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포장부(3)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포장부(3)의 구동에 따라 포장지(P)의 개방부위가 폐쇄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ackaging unit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action, the process of closing th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wrapping part 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커팅부(2)로부터 전달받은 포장지(P)는 제1 흡착컨베이어(CB1)를 따라 일렬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 와중에,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P)의 접착편(M)이 제1 흡착컨베이어(CB1)와 제2 흡착컨베이어(CB2) 사이 지점을 통과하는 순간 공기분사부재(300)가 하방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First, the wrapping paper P received from the cutting unit 2 can be conveyed in a row along the first adsorption conveyor CB1, and in the meantime, as shown in FIG. 19A, the adhesive piece M of the wrapping paper P ) passes through a point between the first adsorption conveyor (CB1) and the second adsorption conveyor (CB2), the air injection member 300 injects compressed air from below.

이 압축공기에 의해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P)의 접착편(M)이 상부로 수직 절곡됨과 동시에 제2 흡착공(422)이 상부로 수직 절곡된 접착편(M)을 1차 흡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9B, by this compressed air, the adhesive piece M of the wrapping paper P is vertically bent upwards,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adsorption hole 422 is the primary first will adsorb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지(P)가 제2 흡착컨베이어(CB2) 측으로 계속 이동하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착공(422)에 의해 흡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제1 흡착공(421)에 흡착되면서 접착편(M)이 대략 'ㄴ'자 형태로 변형되어 제1 흡착관(420)의 적어도 두 면에 동시에 흡착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rapping paper P continues to move toward the second adsorption conveyor CB2, the remaining portion not adsorbed by the second adsorption hole 422 is adsorbed to the first adsorption hole 421 as shown in FIG. 20A. While doing so, the adhesive piece M is deformed into an approximate 'B' shape and is simultaneously adsorb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first adsorption tube 420 .

이어서, 포장지(P)가 제2 흡착컨베이어(CB2) 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접착편(M)이 노트를 포장지(P) 내로 밀어 넣음과 동시에, 제1 흡착관(420)의 우측에 마련된 브러쉬부재(500) 부근에 진입하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관(420)에 흡착된 접착편(M)이 브러쉬부재(500)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1 흡착관(420)으로부터 떨어져 나가 포장지(P) 외면으로 부착되고, 브러쉬부재(500)가 접착편(M)을 쓸어 넘겨 접착제 라인(L)이 포장지(P)의 외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가압한다.Subsequently, the wrapping paper P continues to move toward the second suction conveyor CB2, and the adhesive piece M pushes the notes into the wrapping paper P, and at the same time, the brush membe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uction pipe 420 ( 500), as shown in FIG. 20B, the adhesive piece (M) adsorbed on the first suction tube 420 is pressed by the brush member 500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suction tube 420 to wrapper. (P) I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brush member 500 sweeps the adhesive piece (M) and presses the adhesive line (L) to b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P).

이에, 접착편(M)에 의해 포장지(P)의 개방부위가 완전히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개방부위가 폐쇄된 포장지(P)는 제2 흡착컨베이어(CB2)를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us, the open portion of the wrapping paper P can be completely closed by the adhesive piece M. The wrapping paper (P) whose opening is closed in this way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second adsorption conveyor (CB2).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수납부 2: 커팅부 3: 포장부
100: 융착유닛 200: 지지컨베이어
110: 수직가이드바 120: 융착부재 130: 지지부재
140: 구동부재
Reference Numerals 1: storage unit 2: cutting unit 3: packaging unit
100: fusion unit 200: support conveyor
110: vertical guide bar 120: fusion member 130: support member
140: driving member

Claims (5)

포장지 양단을 열융착 커팅하여 파우치 형태의 포장지를 형성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포장물을 중앙에 두고 포장지의 좌우 양단을 순차적으로 열융착하는 융착유닛; 및
상기 융착유닛의 우측에 설치되며, 포장지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상기 융착유닛에 의해 파우치 형태로 형성된 포장지를 일렬로 이송하는 지지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융착유닛은,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가이드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서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의 포장지를 가열 후 냉각하는 융착부재;
상기 수직가이드바에서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융착부재의 하부에서 융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포장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융착부재와 지지부재를 동기 구동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융착부재로 냉각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
In the packaging device including a cutting unit for forming a pouch-shaped wrapping paper by heat-sealing both ends of the wrapping paper,
The cutting part,
A fusion unit for sequentially heat-sealing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wrapping paper with the wrapping material in the center; and
A support conveyor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fusing unit, supporting the wrapping paper from the bottom, and conveying the wrapping paper formed in the form of a pouch by the fusing unit in a row,
The fusion unit,
Vertical guide bars extending vertically;
A fusing member installed to be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bar and heating and then cooling the wrapping paper at the bottom;
a support member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guide bar and supporting the fusion member at a lower portion of the fusion member;
a driving member that synchronously drives the fus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in a facing direction or a spaced apart direction with the wrapping pap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air supply member for supplying cooled compressed air to the fusing member;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wrapping packages,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설치되는 융착프레임;
연결대를 매개로 상기 융착프레임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일정 온도로 가열되는 커터;
내부로 상기 커터를 수용하되, 커터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단이 개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된 압축공기를 포장지의 표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usion member,
A fusion frame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bar;
Cutter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part of the fusing frame via a connecting rod and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A cover that accommodates the cutter inside and has a lower end ope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utter is exposed; and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wrapping packages, comprising: a spray nozzl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cover and spraying the cooled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mber to the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융착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지지부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 완충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usion member,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wrapping packag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first buffer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using frame and the cover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cover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융착프레임이 제1 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커터는 지지부재에 지지된 포장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완충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지지부재에 지지된 포장지에 접촉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냉각된 압축공기가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직가이드바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터 및 커버가 접촉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의 우측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가동지지대; 및
상기 가동지지대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지지대를 하부에서 탄성 지지하는 제2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컨베이어의 좌측단에는 상기 가동지지대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fusing frame rises to a first height, the cutter is separated from the wrapping paper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cover is elastically pressed by the first buffer spring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rapping paper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The compressed air cooled in is controlled to be sprayed by the spray nozzle,
The support member is
a support frame installed on the vertical guide bar;
a fixed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contacting the cutter and the cover;
A movable support dispos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right side of the fixed support; and
A second buffer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support and the support frame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able support from a lower portion; and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wrapping packages,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for limiting the upper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is formed at the left end of the support conveyor.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포장지 내부로 포장물을 정렬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포장지를 공급하는 피더;
상기 피더에 의해 공급되는 포장지 사이로 포장물이 수납되면 포장지와 포장물을 일렬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경로상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포장지의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분리유닛;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와중에 포장지의 개방된 일측으로 노출된 포장물의 모서리를 가압하여 포장물을 포장지의 타측으로 밀어 정렬하는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물의 연속포장이 가능한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for arranging and storing the package inside the wrapping paper with one side open,
the storage unit,
Feeder for supplying wrapping paper;
A transfer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wrapping paper and the packing material in a row when the packing material is received between the wrapping paper supplied by the feeder;
a release paper separating unit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conveying conveyor and separating the release paper from the wrapping paper transported by the conveying conveyor; and
While being transported by the transfer conveyor, an alignment unit that presses the edge of the package exposed to one open side of the wrapper to push and align the package to the other side of the wrapper; A packag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wrapping packages.
KR1020210058498A 2021-05-06 2021-05-06 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KR2022015135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98A KR20220151352A (en) 2021-05-06 2021-05-06 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498A KR20220151352A (en) 2021-05-06 2021-05-06 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352A true KR20220151352A (en) 2022-11-15

Family

ID=8404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498A KR20220151352A (en) 2021-05-06 2021-05-06 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135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3632A (en) * 2023-05-04 2023-07-14 北京精冶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stemming cutting, sub-packaging and final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207B1 (en) 2012-12-20 2015-04-24 최성근 Wrapp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207B1 (en) 2012-12-20 2015-04-24 최성근 Wrapp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23632A (en) * 2023-05-04 2023-07-14 北京精冶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stemming cutting, sub-packaging and final assembly
CN116423632B (en) * 2023-05-04 2023-09-19 北京精冶源新材料股份有限公司 Automatic production line for stemming cutting, sub-packaging and final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0537B2 (en) Article packaging forming equipment
JP2008007116A (en) Packaging apparatus for packed article
KR20220151352A (en) Package apparatus capable of continuity packing
JP2001293797A (en) Container molding device
JP2000015721A (en) Foil bag producing pack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20151356A (en) Package apparatus
JP4205068B2 (en) Packaging equipment
KR101615717B1 (en) feeding and tension unit for band for packing a box and banding appratus having the same
KR101616933B1 (en) Packaging apparatus and packaging method using the same
TWI798046B (en) Packing device for box body
JPH11510774A (en) Packaging machine with freely floating pressure section
CN114056675B (en) Packaging machine and bag opening and heat sealing device thereof
JP4417493B2 (en) Card sealing device
JP6279455B2 (en) Container banding device
JP6605384B2 (en) Vertical packaging machine and packaging method
KR102506678B1 (en) Package apparatus
JPH09295624A (en) End seal device
CN217125285U (en) Vacuum packaging device
CN114735315A (en) Cigarette packaging production line applying non-woven fabric
CN114771949A (en) Cigarette packaging method applying non-woven fabric
WO2017098604A1 (en) Packaging machine and packaging method
CN112498779B (e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for long-strip-shaped objects
JP3303734B2 (en) Stretch wrapping machine
JP3456817B2 (en) Cardboard box making equipment
JP2958335B2 (en) Sheet closing device for contents-filled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