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665A -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 Google Patents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665A
KR20220150665A KR1020210057932A KR20210057932A KR20220150665A KR 20220150665 A KR20220150665 A KR 20220150665A KR 1020210057932 A KR1020210057932 A KR 1020210057932A KR 20210057932 A KR20210057932 A KR 20210057932A KR 20220150665 A KR20220150665 A KR 20220150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or
ground switch
sensor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홍대
김봉진
정준영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665A/en
Publication of KR2022015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6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ound switch having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s comprises: two or more sensors for detecting a fire in the ground switch; a fire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sensors and determining whether a fire occurs in the ground switch by a combination of the sensor data;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control a fire extinguishing device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fire occurs. The ground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fire in the early stages and enable early firefighting, thereby preventing large-scale power outages caused by a fire in the ground switch. In addition, by notifying a system manager of the occurrence of the fire in real time, an operation state of each ground switch can be checked in real time from a remote place.

Description

화재발생감지 및 소화 기능이 구비된 지상개폐기{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Ground switch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function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본 발명은 지상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감지 및 소화 기능이 구비된 지상개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ound switch equipped with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s.

지상개폐기는 선로의 전기 흐름을 잇거나 끊어주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력설비로서, 지하에 매설된 전력케이블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A ground switch is a power facility that serves as a switch that connects or disconnects the flow of electricity in a lin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supply of power cables buried underground.

이러한 지상개폐기는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녹지 등에 설치되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고압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그런데, 이러한 지상개폐기는 통상 22,000 ~ 26,000V의 고압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동작시 전기 불꽃이 발생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These ground switches are generally installed on roads or green areas, and control the flow of high-voltage current by operating a switch. However, such a ground switch is exposed to the risk of fire by generating an electric spark when a switch for controlling a high-voltage current of 22,000 to 26,000V is operated.

하지만, 도심의 도로 등에 설치된 지상개폐기에 화재 또는 고장이 발생할 경우, 도심에 화재가 전파되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지상개폐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대규모 영역에 정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a fire or breakdown occurs in a ground switch installed on a road in the city center, the fire not only spreads throughout the city center, but also causes a power outage accident in a large-scale area receiving current from the ground switch.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482669호에는,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상기 배전선로 고장표시 장치는 제어부; 상기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부; 상기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는 램프부;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 및 고장 위치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 및 배전센터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에 상기 배전선로 고장표시장치가 설치된 지역이 포함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램프부 및 상기 제1 통신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82669 discloses a distribution line failure display device installed on an overhead distribution line.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the distribution line failure display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a sensing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current, voltage, and temperature on the distribution line and outputs sensing data; a failur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ailure on the distribution line by using the detection data; a lamp unit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on the distribution line;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failur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distribution line has a failure, the degree of failure, and the location of the failu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on the distribution line;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istribution line wide area fault information from a distribution center,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fault on the distribution line when the distribution line wide area fault information includes the area where the distribution line fault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the lamp uni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re controlled to operate, and the distribution line section in which a failure occurs can be easi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nd the degree of danger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by displaying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failure. has the effect of allowing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지상개폐기 자체적으로 내부의 화재 감시 및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으로써, 지상개폐기 내부에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quickly cope with a fire inside the ground switch because it cannot perform internal fire monitoring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s by itself.

한국등록특허 제10-148266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82669

따라서 본 발명은 지상개폐기 내부에 화재감지를 위한 2 이상의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2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센서 데이터들의 조합에 의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화재 판단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지상개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switch that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determining a fire by including two or more sensors for detecting fire inside the ground switch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by a combination of sensor data detected from the two or more sensors. do.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감지된 경우, 소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체적으로 발생시켜 소화장치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상개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 switch that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initial fire occurrence by directly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tself when a fire is detected.

또한, 본 발명은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주장치로 화재 감지 및 소화 기능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에게 지상개폐기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는 지상개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ground switch capable of notifying a system manager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ground switch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the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 performance results to the main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n real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재발생감지 및 소화 기능이 구비된 지상개폐기는, 지상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지상개폐기 내부의 화재 감지를 위한 2 이상의 센서들; 상기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들을 전달받고, 상기 센서 데이터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지상개폐기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화재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 발생이 결정된 경우, 소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ground switch equipped with a fire occurrenc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sensors for detecting a fire inside the ground switch; a fire detection unit receiving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sensor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inside the ground switch by a combination of the sensor data;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바람직하게, 상기 지상 개폐기는 상기 소화장치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소화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round switch may further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바람직하게, 상기 2 이상의 센서들은 접촉식 온도센서, 및 비접촉식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와, 불꽃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wo or more sensor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act temperature sensor and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and a flame detection sensor.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감지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들에 의해 대응된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별 상태값을 논리 연산하여 상기 지상 개폐기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e detection unit determines the state of each of the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sensor data, and determines whether a fire occurs inside the ground switch by performing a logical operation on a state value for each sensor representing the state of each of the sensors. can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감지부는 상기 2 이상의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2 이상의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별 기준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센서별 기준값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센서 데이터들 각각을 비교하여 대응된 센서의 상태를 결정한 후, 그 센서별 상태값을 출력하는 센서상태 결정부; 상기 센서별 상태값들에 대한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연산부;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알리기 위해,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 값을 상기 소화장치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e detection unit includes an input interface unit receiving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two or more sensors; A reference value for each sensor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each of the two or more sensors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sensor with each of the senso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unit, a sensor state determining unit that outputs a star state value; a calcul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state values of each sensor; and an output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on result value of the operation unit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in order to inform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감지부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통신망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고, 화재 발생이 결정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주장치로 상기 화재 발생 여부 감지 결과를 실시간 통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e det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 result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has occurred to a main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notified in real time.

본 발명의 배전지상개폐기는 내부에 화재감지를 위한 2 이상의 센서들을 구비하고, 상기 2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센서 데이터들의 조합에 의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화재 판단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가 감지된 경우, 소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체적으로 발생시켜 소화장치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초기 진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주장치로 화재 감지 및 소화 기능 수행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에게 지상개폐기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ground distribution switch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or more sensors for detecting fire therein, and detects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by a combination of sensor data detected from the two or more sensors,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determining a fir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is detecte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tself to directly control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thereby effectively coping with the early stage of fire occurrence and enabling early extinguish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notify the system manager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ground switch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the fire detection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 performance results to the main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센서들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센서별 기준값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센서별 상태값에 대한 논리곱 연산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의 화재 감지 및 소화 기능 수행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groun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ir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reset reference values for each sensor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gical product operation result for state values for each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a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function of a groun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even if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descriptions of p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omitted.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구성요소만을 도시하고, 일반적인 지상개폐기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장치들의 구조는 생략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함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groun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only the components represen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ucture of devices normally included in a general ground switch is omitted. This is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개폐기(100)는 센서부(110), 화재감지부(120), 소화장치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ground swi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10, a fire detection unit 120,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130.

센서부(110)는 지상개폐기(100) 내부의 화재 감지를 위한 2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상개폐기(100) 내부에는 지상개폐기(100)의 부분 방전(PD, Partial Discharge)을 상시 감시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류(예컨대, UHF 센서, HFCT 센서, TEV 센서, AA 센서, 온도센서, 전류센서 및 충격 센서 등)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도 1에는 본 발명의 화재감시 및 소화기능을 부각시키기 위해, 접촉식 온도센서(111), 비접촉식 온도센서(112) 및 불꽃 감지센서(113)를 포함하는 센서부(110)를 도시하였다. 이후에는 이와 같이, 센서부(110)가 접촉식 온도센서(111), 비접촉식 온도센서(112) 및 불꽃 감지센서(113)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이 때, 화재 감지를 위해 2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화재로 오인하는 등, 단일 센서 동작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two or more sensors for detecting a fire inside the ground switch 100 . Typically, various sensors (e.g., UHF sensor, HFCT sensor, TEV sensor, AA sensor, temperature sensor, current sensors and impact sensors, etc.). However, FIG. 1 shows a sensor unit 110 including a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and a flame detection sensor 113 in order to highlight the fire monitoring and fire extinguish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and a flame detection sensor 11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t this time, the reason why two or more sensors are included for fire detection is to prevent malfunction of a single sensor, such as not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or mistaking it for a fire even though no fire has occurred.

화재감지부(120)는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센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지상개폐기(100) 내부에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센서부(110)에 포함된 센서들(즉, 접촉식 온도센서(111), 비접촉식 온도센서(112) 및 불꽃 감지센서(113)) 각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전달받고, 그 센서 데이터들의 조합에 의해 지상개폐기(100) 내부에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화재감지부(120)는 그 결과를 소화장치 컨트롤러(130)로 전달한다. 즉, 화재감지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들에 의해 대응된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고, 그 결과로 상기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별 상태값을 생성하며, 상기 센서별 상태값을 논리 연산하여 상기 지상 개폐기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과값을 소화장치 컨트롤러(130)로 전달한다. 이러한 화재감지부(120)의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The fire detec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side the ground switch 100 based on the sensor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but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i.e., contact Receives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expression temperature sensor 111,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and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side the ground switch 100 by a combination of the sensor data do. And the fire detection unit 120 transfers the result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130. That is, the fire detection unit 120 determines the state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sensors based on the sensor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generates a state value for each sensor representing the state of each of the sensors as a result.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result value to indicate whether a fire occurs inside the ground switch by performing a logical operation on the state value for each sensor. Then, the resulting value is transferred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130. A configuration and detailed operation example of the fire detecti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

소화장치 컨트롤러(130)는 화재감지부(120)로부터 전달된 상기 결과값에 의거하여, 지상개폐기(100) 내부에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소화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130 check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side the ground switch 100 based on the result value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nd if a fire has occurre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

이 때, 소화장치(200)는 소화장치 컨트롤러(1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며, 이를 위해, 지상개폐기(100) 내부에 포함되거나, 지상개폐기(100)와 일정 거리 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operat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130, and for this purpose, it is included inside the ground switch 100 or dispos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switch 100 ca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지부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지부(12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I/F)(121), 제어부(122), 센서상태 결정부(123), 연산부(124), 출력 인터페이스부(I/F)(125), 통신 인터페이스부(I/F)(126)를 포함한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fir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fire detection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interface unit (I/F) 121, a control unit 122, a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and a calculation unit. 124, an output interface unit (I/F) 125,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I/F) 126.

입력 인터페이스부(I/F)(121)는 접촉식 온도센서(111), 비접촉식 온도센서(112) 및 불꽃 감지센서(113)들 중 적어도 2이상의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 때, 입력 인터페이스부(I/F)(121)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단말장치(FRTU)의 디지털 입력(DI, Digital Input) 또는 아날로그 입력(AI, Analog Input)과 연결된 센서들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interface unit (I/F) 121 receives sensor data from each of at least two or more sensors among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At this time, the input interface unit (I/F) 121 receives sensor data from sensors connected to digital input (DI) or analog input (AI) of the terminal unit (FRTU)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can be input.

제어부(122)는 미리 설정된 제어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화재감지부(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되, 입력 인터페이스부(I/F)(121)를 통해 입력된 센서 데이터를 센서 상태 결정부(123)로 전달하고, 센서 상태 결정부(123), 연산부(124), 출력 I/F(125), 및 통신 I/F(126) 사이에서 데이터 및 명령어 전달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22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e detection unit 120 based on a preset control algorithm, but transmits senso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unit (I/F) 121 to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 and serves to transmit data and commands between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the calculation unit 124, the output I/F 125, and the communication I/F 126.

센서상태 결정부(123)는 입력 인터페이스부(I/F)(121)를 통해 입력된 센서 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응된 센서의 상태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센서상태 결정부(123)는 상기 2 이상의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별 기준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센서별 기준값과 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입력된 센서 데이터들 각각을 비교하여 대응된 센서의 상태를 결정한다. 그리고 그 센서별 상태값을 출력한다. 즉, 센서상태 결정부(123)는 제어부(122)를 통해, 상기 센서별 상태값을 연산부(124)로 출력한다.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determine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based on the senso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unit (I/F) 121. To this end,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stores in advance a reference value for each sensor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each of the two or more sensors, and each of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sensor and the senso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unit 121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n, the state value of each sensor is output. That is,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outputs the state value for each sensor to the calculation unit 124 through the control unit 122 .

이 때, 상기 센서들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별 기준값 저장 예가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의 (a)는 접촉식 온도센서(111)의 기준값 저장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비접촉식 온도센서(112)의 기준값 저장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c)는 불꽃 감지센서(113)의 기준값 저장 예를 나타낸다. At this time, an example of storing reference values for each sensor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sensors is illustrated in FIG. 3 . 3 (a) shows an example of stor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b) of FIG. 3 shows an example of stor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and (c) of FIG. 3 shows a flame detection An example of stor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nsor 113 is shown.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접촉식 온도센서(111)의 기준값은 70℃이고, 접촉식 온도센서(111)에서 감지된 센서 데이터(즉, 온도)가 70℃미만인 경우 화재 여부를 나타내는 접촉식 온도센서(111)의 상태값은 '0', 접촉식 온도센서(111)에서 감지된 센서 데이터(즉, 온도)가 70℃이상인 경우 화재 여부를 나타내는 접촉식 온도센서(111)의 상태값은 '1'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3, when the reference value of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is 70°C and the sensor data (i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is less than 70°C,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fire. If the state value of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is '0' and the sensor data (i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is 70°C or higher, the state of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fire or not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is set to '1'.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비접촉식 온도센서(112)의 기준값은 50℃이고, 비접촉식 온도센서(112)에서 감지된 센서 데이터(즉, 온도)가 50℃미만인 경우 화재 여부를 나타내는 비접촉식 온도센서(112)의 상태값은 '0', 비접촉식 온도센서(112)에서 감지된 센서 데이터(즉, 온도)가 50℃이상인 경우 화재 여부를 나타내는 비접촉식 온도센서(112)의 상태값은 '1'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3, the reference value of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is 50 ° C, and when the sensor data (i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is less than 50 ° C,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fire or not. If the state value of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is '0' and the sensor data (i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is 50 ° C or higher, the state value of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 fire is ' It can be seen that it is set to 1'.

한편, 도 3의 (c)를 참조하면, 불꽃 감지센서(113)의 기준값은 불꽃의 감지 여부로 설정되어 있으며, 불꽃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즉, ‘미감지’인 경우) 화재 여부를 나타내는 불꽃 감지센서(113)의 상태값은 '0', 불꽃이 감지된 경우(즉, ‘감지’인 경우) 화재 여부를 나타내는 불꽃 감지센서(113)의 상태값은 '1'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c) of FIG. 3, the reference valu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is set to whether or not a flame is detected, and indicates whether or not a fire is detected when the flame is not detected (ie, 'not detected'). The state valu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is set to '0', and the state valu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indicating whether or not a fire is set to '1' when a flame is detected (ie, 'detection'). Able to know.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센서상태 결정부(123)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센서별 기준값 및 대응된 센서들의 실측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비교하여 대응된 센서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접촉식 온도센서(111)로부터 입력된 센서 데이터가 75℃이고, 비접촉식 온도센서(112)로부터 입력된 센서 데이터가 55℃이고, 불꽃 감지센서(113)로부터 입력된 센서 데이터가 ‘미감지’인 경우, 센서상태 결정부(123)는 '1,1,0'의 상태값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by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sensor as illustrated in FIG. 3 and sensor data, which is actually measured data of the corresponding sensors. That is, the sensor data input from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is 75 ° C, the sensor data input from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is 55 ° C, and the sensor data input from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is 'undetected'. ',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may output state values of '1,1,0'.

연산부(124)는 센서상태 결정부(123)에서 출력된 상태값(즉, 센서별 상태값 들)에 대한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즉, 연산부(124)는 상기 센서상태 결정부(123)로부터 '0' 또는 '1'의 값으로 결정된 각 센서들의 상태값을 제어부(122)를 통해 전달받아, 논리연산(즉,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출력한다.The calculation unit 124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performing a logical operation on the state values output from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ie, state values for each sensor). That is, the operation unit 124 receives the state value of each sensor determined as '0' or '1' from the sensor state determination unit 123 through the control unit 122, and performs a logical operation (ie, logical product operation). ) is executed, and the result is output.

도 4는 이와 같은 센서별 상태값에 대한 논리곱 연산 결과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산부(124)는 상기 각 센서들의 상태값들에 대하여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논리곱 연산결과를 생성하고, 그 결과 값을 출력한다.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ogical product operation result for state values for each sensor. Referring to FIGS. 1, 2, and 4, the operation unit 124 calculates the state values of each sensor. A logical multiplication operation result as exemplified in 4 is generated, and the resulting value is output.

이 때, 연산부(124)에서 출력되는 결과 값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촉식 온도센서의 상태값(10), 비접촉식 온도센서의 상태값(20) 및 불꽃감지 센서의 상태값(30)이 모두 '1'인 경우(A)에만 '1'이 되고, 화재감지부(120)는 이 경우에만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산부(124)에서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는 이유는, 센서 오동작으로 인한 소화장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result value output from the calculation unit 124 is, as illustrated in FIG. 4 , the state value 10 of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the state value 20 of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and the state value of the flame detection sensor ( 30) becomes '1' only when all are '1' (A), and the fire detection unit 120 recognizes that a fire has occurred only in this case. In this way, the reason why the operation unit 124 performs the AND operation is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due to malfunction of the sensor.

제어부(122)는 연산부(124)에서 출력된 상기 결과값을 출력 인터페이스부(I/F)(125)로 전달하고, 출력 인터페이스부(I/F)(125)는 상기 결과값을 소화장치 컨트롤러(130)로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122 transfers the result value output from the calculation unit 124 to the output interface unit (I/F) 125, and the output interface unit (I/F) 125 transmits the result value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output to (130).

통신 인터페이스부(I/F)(126)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통신망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제어부(122)를 통해 출력된 출력값이 '1'인 경우, 이를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주장치로 전달한다. 즉, 지상 개폐기(10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를 주장치로 전달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I/F) 126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and when the output value output through the control unit 122 is '1',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That is, when a fire occurs in the ground switch 100,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device so that the system manager can respond to it.

이를 위해, 상기 화재감지부(120)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단말장치 내부에 구현되거나, 상기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단말장치와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e detection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side a terminal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or implemented to interwork with the terminal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한편, 제어부(122)는 상기와 같이, 센서별 상태값이 모두 '1'인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여 화재 진화를 위한 제어신호을 출력하고, 상기 센서별 상태값 중 어느 하나가 '1'인 경우 센서 점검 등의 알람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all state values for each sensor are '1', the control unit 122 recognizes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extinguishing the fire, and when one of the state values for each sensor is '1' In this case, it may be possible to output an alarm such as sensor insp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의 화재 감지 및 소화 기능 수행 절차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상개폐기(100)가 화재 감지 및 소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a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function of a groun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and 5, the procedure for the ground switc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functions is as follows.

먼저, 단계 S110에서는, 센서부(110)가 화재발생 여부를 감시한다. 즉, 센서부(110)에 포함된 2 이상의 센서들(접촉식 온도센서(111)와 비접촉식 온도센서(112) 중 적어도 하나와, 불꽃 감지센서(113))이 지상개폐기(100) 내부의 온도와 불꽃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First, in step S110, the sensor unit 110 monitors whether a fire occurs. That is, two or mor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at least one of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and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ound switch 100. and monitoring for sparks.

단계 S120에서는, 화재 감지부(120)가 단계 S110의 감시 결과에 의거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화재 감지부(120)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센서들(즉, 접촉식 온도센서(111), 비접촉식 온도센서(112) 및 불꽃 감지센서(113)) 각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전달받고, 그 센서 데이터들의 조합에 의해 지상개폐기(100) 내부에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단계 S120에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In step S120, the fire detection unit 120 determines whether a fire occurs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step S110. To this end, the fire detection unit 120 receives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ie, the contact temperature sensor 111, the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12, and the flame detection sensor 113). receiv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side the ground switch 100 by a combination of the sensor data. At this time, in step S120, a specifi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s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단계 S12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 S13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26)가 주장치(300)(즉,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주장치)로 화재발생을 통보한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126)는 주장치(300)와 사전에 협의된 방식으로 상기 화재 발생을 통보할 수 있는데, 연산부(124)의 결과값을 그대로 주장치(300)로 전달하거나, 연산부(124)의 결과값에 의거하여 화재 발생을 알리기 위해 별도로 생성된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지상개폐기(100)는 통상적으로 개폐기 명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상기 개폐기명에는 개폐기의 위치정보, 설비제원, 개폐기 상태(예컨대, 스위치 상태, 전류값, 전압값, 통신상태 등)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상개폐기(100)는 상기 화재 발생을 주장치(300)로 전송할 때, 자신의 설치 위치 또는 지역을 알리기 위한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0 that a fire has occurred, in step S13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26 notifies the main device 300 (ie, the main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of the fire.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126 may notify the occurrence of the fire in a manner agreed upon in advance with the main device 300. Based on the result value of , a separately generated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notify occurrence of a fire. At this time, the ground switch 100 is usually managed by switch name, and the switch nam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witch, facility specifications, switch state (eg, switch state, current value, voltage value, communication state, etc.), etc. contains data Therefore, when the ground switch 100 transmits the occurrence of the fire to the main device 3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notifying one's own installation location or region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ransmitted.

주장치(300)는 지상개폐기(100)로부터 전달된 연산부(124)의 결과값 또는 상기 별도로 생성된 알림 신호 및 지상개폐기(100)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대응된 지상개폐기(100)에 화재가 발생한 것을 시스템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The main unit 300 detects a fire in the corresponding ground switch 100 based on the result of the operation unit 124 transmitted from the ground switch 100 or the separately generated notification signal and the ground switch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You can notify your system administrator.

단계 S140에서는, 제어부(122)가 연산부(124)의 결과값을 출력 인터페이스부(125)를 통해 소화장치 컨트롤러(130)로 전달하고, 소화장치 컨트롤러(130)는 그 값에 의거하여 소화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소화장치(200)로 전달한다.In step S140, the control unit 122 transfers the resultant value of the calculation unit 124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130 through the output interface unit 125, an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130, based on the value, fire extinguishing device ( 200)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단계 S150에서는,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소화장치(200)가 동작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In step S150,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200 operat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o extinguish the fir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상개폐기 내부에 구비된 2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응답하여 소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자체적으로 발생시켜 소화장치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초기 진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지상개폐기 화재로 인한 대규모 정전 상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재 발생을 시스템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함으로써, 원격지에서 각 지상개폐기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uses two or more sensors provided inside the ground switch to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in response to this,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by itself to directly control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pe effectively in the early stage of occurrence and enabling early evolution.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scale power outage due to a ground switch fire in advance. In addition, by notifying the system manager of the occurrence of such a fire in real time,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ground switch can be checked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상기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above example is only one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emplified conten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hanged from the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nclude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recognized as equivalent. have.

100: 지상개폐기 110: 센서부
120: 화재감지부 121: 입력 I/F
122: 제어부 123: 센서상태 결정부
124: 연산부 125: 출력 I/F
126: 통신 I/F 130: 소화장치 컨트롤러
200: 소화장치 300: 주장치
100: ground switch 110: sensor unit
120: fire detection unit 121: input I/F
122: control unit 123: sensor state determining unit
124: calculation unit 125: output I / F
126: communication I/F 130: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200: fire extinguishing device 300: main device

Claims (6)

지상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지상개폐기 내부의 화재 감지를 위한 2 이상의 센서들;
상기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들을 전달받고, 상기 센서 데이터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지상개폐기 내부에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화재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부에서 화재 발생이 결정된 경우, 소화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
In the ground switch,
two or more sensors for detecting fire inside the ground switch;
a fire detection unit receiving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sensors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inside the ground switch by a combination of the sensor data; and
The ground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occurs in the fire detec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소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ground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센서들은
접촉식 온도센서, 및 비접촉식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와,
불꽃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wo or more sensors
At least one of a contact temperature sensor and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A ground switch comprising a flame detection sens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상기 센서 데이터들에 의해 대응된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별 상태값을 논리 연산하여 상기 지상 개폐기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e detection unit
The ground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whether a fire occurs inside the ground switch by determining the state of each of the sensors corresponding to the sensor data and performing a logical operation on a state value for each sensor representing the state of each of the sensors.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상기 2 이상의 센서들 각각으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2 이상의 센서들 각각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별 기준값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센서별 기준값과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센서 데이터들 각각을 비교하여 대응된 센서의 상태를 결정한 후, 그 센서별 상태값을 출력하는 센서상태 결정부;
상기 센서별 상태값들에 대한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연산부; 및
화재 발생 여부를 알리기 위해, 상기 연산부의 연산 결과 값을 상기 소화장치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e detection unit
an input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sensor data from each of the two or more sensors;
A reference value for each sensor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each of the two or more sensors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ensor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sensor with each of the senso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unit, a sensor state determining unit that outputs a star state value;
a calcul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by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state values of each sensor; and
The ground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interface unit for outputting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unit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ontroller in order to notify whether a fire has occur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통신망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고,
화재 발생이 결정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배전 자동화 시스템의 주장치로 상기 화재 발생 여부 감지 결과를 실시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개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e det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The ground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 result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s notified in real time to the main device of the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KR1020210057932A 2021-05-04 2021-05-04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KR202201506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32A KR20220150665A (en) 2021-05-04 2021-05-04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32A KR20220150665A (en) 2021-05-04 2021-05-04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665A true KR20220150665A (en) 2022-11-11

Family

ID=8404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32A KR20220150665A (en) 2021-05-04 2021-05-04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66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69B1 (en) 2013-07-08 2015-01-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ppratus for displaying failure of distribution l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69B1 (en) 2013-07-08 2015-01-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Appratus for displaying failure of distribution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34B1 (en) Smart switchboard system
US10205343B2 (en) Smart power node
CN102435917B (en) For using the method for electric current and voltage detecting arc-flash event, system and equipment
KR102057494B1 (en)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US6631063B2 (en)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al circuit operation
CN103390880A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ctivation of protection system and dynamic labeling
KR100543891B1 (en) Electric circuit breaker with ubiguito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1235B1 (en) Troble sense system using combination sensing module
JP2006320193A (en) Electric power shutdown system
CN113049901A (en) Electrical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
US9437100B2 (en) Supervising alarm notification devices
KR101919074B1 (en) Electric fire prevention system
KR10211422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ty management of EES and contacts in electric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s
KR101034644B1 (en) Contactless type safety electroscope
KR1020363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gas pressure of gis(gas insulated switchgear) in substation
KR20200059388A (en) Electric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11165238B2 (en) Electrical arc event detection in an electric power system
KR20220150665A (en) Switch on the ground for detecting occurrence of fire and performing fire extinguishing function
US20140257588A1 (en) Appliance Shut-Off Device and Method
US9692224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zone selective interlocking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320785B1 (en)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KR20160070724A (en) Multi-remote control appratus and system
KR20010026980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transformer
KR20200136295A (en)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earth leakage breaker
KR102430957B1 (en) Distributiong board with deterioration monitoring and fire prevention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