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619A -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619A
KR20220150619A KR1020210057829A KR20210057829A KR20220150619A KR 20220150619 A KR20220150619 A KR 20220150619A KR 1020210057829 A KR1020210057829 A KR 1020210057829A KR 20210057829 A KR20210057829 A KR 20210057829A KR 20220150619 A KR20220150619 A KR 20220150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relay service
termin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엑스
Priority to KR1020210057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619A/en
Publication of KR2022015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6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mprising: a content providing management part that controls an operation of a TV terminal, receives a content of a specific channel, and performs a broadcasting service to the received content in the TV terminal; a content viewing management part that performs a speech conversation in context with a user in relation to a relevant content during a TV viewing process of the user; and a relay service providing part that performs a relay service by reflecting an experience or request of the user to a broadcasting content being viewed and enables to utter through the TV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abling the relay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user.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을 기초로 TV 단말에 방송되는 콘텐츠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provides a relay service to users by reflecting a user interface to content broadcast on a TV termi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t's about the device.

인터넷 보급의 대중화 및 고속화에 따라 TV의 활용도가 증대될 전망이지만 아직까지 TV의 활용은 단방향 정보전달 기기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The use of TV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the popularization and high-speed Internet, but the use of TV is still limited to a one-way information delivery device.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bi-directionality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actively select the type of program to be viewed and the viewing time. The IPTV service may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such as Internet search, home shopping, and online games, based on this interactive nature.

아울러, 최근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들이 집에 혼자 남아 TV 시청에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elderly are left alone at home and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watching TV.

그러나, 노인들의 경우 전자기기 조작이 쉽지 않기 때문에 TV에서 방송되는 콘텐츠를 단순 시청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 노인들의 욕구와 관심을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it is not easy for the elderly to operate electronic devices, there is a limit to satisfying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elderly because they remain at the level of simply watching content broadcast on TV.

한국등록특허 제10-1218816(2012.12.28)호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TV 양방향 컨텐츠 리모트 컨트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IPTV와 같은 디지털 양방향 TV에서 사용자가 게임과 같은 양방향 컨텐츠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스마트폰이 갖는 인터넷 접속 기능과 터치기능 등을 이용하여 그러한 양방향 컨텐츠를 원격 제어를 통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18816 (December 28, 2012) relates to a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TV interactive content using a smartphone, in which a user uses interactive content such as a game in a digital interactive TV such as IPTV, Disclosed is a technology that allows such interactive content to be used through remote control by using an Internet access function and a touch function of a smartphone.

한국등록특허 제10-0867004(2008.10.29)호는 시청자 참여를 위한 양방향성 IPTV 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IPTV 방송 채널의 시간을 예약하여 상기 예약된 시간에 따라 상기 IPTV 방송을 수행하고 상기 방송 서비스 중에 시청자의 참여를 받아들이기 위해 시청자 참여를 공고한 후 상기 방송참여를 요청하는 시청자의 영상이 상기 서비스 중인 방송 영상에 구성되어 방송되도록 제어하는 방송 컨트롤러, 상기 IPTV 방송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방송참여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시청자의 요청을 상기 방송 컨트롤러에게 알리고 해당 시청자의 영상과 오디오트래픽을 발생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상기 방송 컨트롤러와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시청자의 방송참여를 중계하고 상기 방송 컨트롤러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방송자 및 상기 방송참여를 요청하는 시청자의 영상과 오디오 트래픽을 전송받아 이를 믹싱하는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방송자가 시청자의 영상을 방송 컨텐츠에 실시간으로 합성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67004 (October 29, 2008) relates to an interactive IPTV broadcast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viewer participation. After announcing viewer participation in order to accept the viewer's participation during the broadcasting service, a broadcast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oadcasting so that the video of the viewer requesting the broadcasting is constituted and broadcasted in the broadcasting video being serviced,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IPTV broadcasting viewer When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ing is requested, the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viewer is notified to the broadcasting controller, a plurality of clients generating video and audio traffic of the corresponding viewer, and the broadcasting controller relays the viewer's participation in broadcasting between the broadcasting controller and the client, and the broadcasting controller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edia server that receives video and audio traffic of the broadcaster and the viewer requesting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 from a client and mixes them, thereby allowing the broadcaster to synthesize the viewer's video into broadcast content in real time. are starting

한국등록특허 제10-1218816(2012.12.2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8816 (2012.12.28) 한국등록특허 제10-0867004(2008.10.2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67004 (2008.10.2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공지능을 기초로 TV 단말에 방송되는 콘텐츠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a relay service to a user by reflecting a user interface to content broadcast on a TV termi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청 중인 콘텐츠의 내용을 인지하고 해당 내용에 맞는 음성메시지를 자동 발화하여 사용자와의 맥락있는 대화를 주고받아 방송 콘텐츠를 같이 시청하는 느낌을 줌으로써 나홀로 시청에 대한 외로움을 해소해줄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content of the content being watched and automatically ignites a voice message suitable for the content to exchange contextual conversations with the user to give a feeling of watching broadcast content together, thereby relieving loneliness of watching alone.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TV 단말의 방송 콘텐츠를 제어하고 방송되는 콘텐츠에 사용자 참여 요청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broadcast content of a TV terminal and reflecting a user's participation request in real time to broadcast content.

실시예들 중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TV 단말의 작동을 제어하고 특정 채널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TV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 사용자의 TV 시청 과정에서 해당 콘텐츠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맥락 있는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콘텐츠 시청 관리부, 및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에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를 반영하여 상기 TV 단말을 통해 발화시켜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계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operation of a TV terminal, receives content of a specific channel, and broadcasts the received content in the TV terminal, and a user's TV. A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that conducts a contextual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in rela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during the viewing process, and a relay that reflects the user's experience or request to the broadcast content being watched and ignites it through the TV terminal to perform a relay service. Including service providers.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TV 단말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power of the TV terminal “ON/OFF” through a user interfa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selects the specific channel, and receives content broadcast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can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수신 가능 채널의 방송 콘텐츠 편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로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요청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may select a broadcasting channel of the user's preferred content or select a user-requested channel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content based on broadcasting content organization information of receivable channels and content viewing log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콘텐츠 시청 관리부는 상기 TV 단말에 방송중인 콘텐츠에 기초하여 발화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발화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발화할 수 있다.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may generate a firing message based on the content being broadcast on the TV terminal and fire the generated firing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상기 콘텐츠 시청 관리부는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의 발화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발화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고 결정된 발화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발화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spoken message based on broadcast content being watched and spoken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may process the determined spoken message to be uttered through a speaker.

상기 콘텐츠 시청 관리부는 TV 시청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를 통해 해당 콘텐츠에 관련 정보를 보충하여 설명하거나 방송 콘텐츠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함께 TV를 시청하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supplements and expl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during the TV viewing process, or gives the user a feeling of watching TV together through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in relation to broadcasting content. can provide

상기 중계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TV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 중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해석하고 질의 또는 응답 텍스트를 결정하여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TV 단말을 통해 발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가 반영된 내용이 방송되도록 중계 처리할 수 있다.The relay service provider receives a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during a broadcast service in the TV terminal, interprets the user's inten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s voice input, determines a query or response text, and determines a query or response text corresponding to the text A voice message may be uttered through the TV terminal and relayed so that the content reflecting the user's experience or request is broadcast.

상기 중계 서비스 제공부는 동일 콘텐츠의 방송 시청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TV 단말에 음성 대화가 공통으로 발화되게 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중계 처리할 수 있다.The relay service providing unit may cause a common voice conversation to be uttered in each TV terminal of a plurality of users who participate in viewing a broadcast of the same content, and relay the conversation to the plurality of users.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인공지능을 기초로 TV 단말에 방송되는 콘텐츠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relay service to a user by reflecting a user interface to content broadcast on a TV termina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시청 중인 콘텐츠의 내용을 인지하고 해당 내용에 맞는 음성메시지를 자동 발화하여 사용자와의 맥락있는 대화를 주고받아 방송 콘텐츠를 같이 시청하는 느낌을 줌으로써 나홀로 시청에 대한 외로움을 해소해줄 수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content of the content being watched, automatically ignites a voice message suitable for the content, exchanges contextual conversations with the user, and shares broadcast content together. By giving the feeling of watching, you can relieve the loneliness of watching al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TV 단말의 방송 콘텐츠를 제어하고 방송되는 콘텐츠에 사용자 참여 요청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broadcast content of a TV terminal and reflect a user participation request to broadcast content in real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와 TV 단말 사이에 방송되는 콘텐츠에 대해 인공지능(AI)을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령자의 관점에서 케어 서비스 등에 이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content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content broadcast between a user and a TV terminal, and can be used for care services from the viewpoint of the elder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1:1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1:N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of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of FIG. 1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of FIG. 1 .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provision of a 1:1 TV content rela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provision of a 1:N TV content rela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TV 단말(110), 사용자 단말(130),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 및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I-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include a TV terminal 110, a user terminal 130, a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and a database 170. have.

TV 단말(110)은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청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텔레비전에 해당할 수 있고, TV 수신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TV 단말(110)은 방송 콘텐츠를 표시하는 장치로써, TV 스마트TV, IPTV, PC와 연결된 모니터 및 TV와 연결된 셋탑박스와 같은 방송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V 단말(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 및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TV 단말(11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 연결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를 통해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또는 직접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TV 단말(110)은 전용 리모컨(미도시)을 통해 작동 제어될 수 있고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를 통해 작동 제어될 수 있다.The TV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television that receives broadcast content and provides it to users so that they can view it,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or a computer having a TV receiving function. For example, the TV terminal 110 is a device for displaying broadcast content, and may include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broadcast content, such as a TV smart TV, an IPTV, a monitor connected to a PC, and a set-top box connected to a TV. In one embodiment, the TV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30 and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through a network. Here, the TV terminal 110 may receive broadcast content through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connected to a network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or directly receive broadcast content. The TV terminal 110 can be operated and controlled through a dedicated remote control (not shown) and can be operat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

사용자 단말(130)은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에서 발화되는 음성메시지를 외부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와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 사이에 음성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AI 스피커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13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TV 단말(110)의 리모컨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30 externally outputs a voice message uttered from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and recognizes the user's voice so that a voice conversation can be made between the user and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It may correspond to a smartphone, an AI speaker,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that can be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30 .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30 may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remote control of the TV terminal 110 .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인공지능을 기초로 TV 단말(110)에 방송되는 콘텐츠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TV 단말(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스피커 기능이 탑재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여기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TV 단말(110)과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relay service to a user by reflecting a user interface to content broadcast on the TV terminal 110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y include a smartphone, It may be implemented in a laptop computer or a computer,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without necessarily being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speaker function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TV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Here,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 network connection method with the TV terminal 110 .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TV 단말(110)의 작동을 제어하고 TV 단말(110)에 방송중인 콘텐츠에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요구를 방송 콘텐츠에 반영하는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TV 단말(110)을 통해 현재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 내용을 인지하고 해당 내용에 맞는 음성메시지를 자동 발화하여 시청중인 사용자와의 맥락 있는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70)에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provides a relay servic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V terminal 110, deliver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being broadcast on the TV terminal 110 to the user, and reflects the user's request to the broadcast content. can do. In one embodiment,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recognizes the content of the broadcast content currently being watched through the TV terminal 110 and automatically ignites a voice message suitable for the content to enable contextual conversation with the user watching. can be exchanged. Here,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may include a database 170, and may stor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requir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in the database 170.

일 실시예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고 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TV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방송 사업자에 의해 제작, 편집 및 변경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송 사업자는 프로그램 공급자(PP), 지상파 또는 콘텐츠 제공자(CP)를 포함할 수 있다.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는 기존 방송 콘텐츠와 인터넷 상의 풍부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TV 단말(110)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produce content and provide the content to the TV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receive and provide broadcast content produced, edited, and changed by a broadcasting company. Here, the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 may include a program provider (PP), a terrestrial wave, or a content provider (CP). The content provided by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include existing broadcast content and rich content on the Internet.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V terminals 110 through a network.

도 2는 도 1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apparatus 150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rocessor 210, a memory 230,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프로세서(210)는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processing each step in the operation of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and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A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in the memory 230 may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so as to flow data between them. can control.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necessary for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It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마이크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 스피커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input devices including adapters such as buttons, touch pads, touch screens, on-screen keyboards, microphones, or pointing devices, and output devices including adapters such as monitors, touch screens, and speakers. can include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may be included.

도 3은 도 1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include a content providing management unit 310, a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a relay service providing unit 350, and a control unit 370.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TV 단말(110)로 특정 채널의 콘텐츠를 전달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수신 가능 채널의 방송 콘텐츠 편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의 방송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송 콘텐츠 편성 정보는 채널별 콘텐츠의 방송 시간과 카테고리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may receive and manage broadcast content, and deliver content of a specific channel to the TV terminal 110 to provide a broadcast service.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may guide broadcasting of content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broadcasting content organization information of a receivable channel. Here, the broadcast content organiz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a broadcast time and category of content for each channel.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사용자 선호 콘텐츠의 방송이 시작되기 일정시간 전에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인공지능 추천기반 사용자 선호 콘텐츠의 방송 시작을 음성 안내하고 음성 안내에 대한 피드백 응답을 통해 수신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TV 단말(11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음성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TV 단말(110)의 전원 “온(ON)/오프(OFF)”, 채널 선택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management unit 310 provides voice guidance for the start of broadcasting of the user's preferred cont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the user terminal 150 before the start of broadcasting of the user's preferred content, and selects a receiving channel through a feedback response to the voice guide. You can receive the broadcasting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by selecting it.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transfers the received broadcast content to the TV terminal 110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broadcast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Here,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may perform control such as “on/off” power of the TV terminal 110 and channel selec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through voice recognition.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시청하였는지에 관한 시청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may determine the user's preferred content by collecting viewing log information on which content the user has viewed.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를 함께 시청하는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해당 방송 콘텐츠에 관련한 인공지능 음성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는 사용자 TV 시청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에 맞는 발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발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는 해당 방송 콘텐츠의 상세 설명, 관련 키워드 등의 세부 정보 및 방송 장면에 들어 있는 객체들 관련 정보를 기초로 발화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may provide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chat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broadcast content so as to give a feeling of watching the broadcast content that the user is currently watching together. In an embodiment,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may generate a spoken message suitable for the broadcasting content that the user is currently watching based on the user's TV viewing and utter the generated spoken mess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50 . Here,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may generate a firing message based on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content and related keywords, and information related to objects included in the broadcasting scene.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음성 인식의 수행 결과에 대응하는 발화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여 현재 시청 중인 방송 콘텐츠에 따라 맥락에 맞는 대화내용을 자동 발화할 수 있어 사용자와 함께 TV 단말(110)에 방송중인 콘텐츠를 시청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시청 중인 방송 콘텐츠에 관련한 부연 설명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방송 콘텐츠 시청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receives the user's spoken voice information, performs voice recognition on the received user's voice information, generates a spoken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voice recognition, and adjusts the context according to the currently viewed broadcasting conten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ignite the content of the conversation that matches the content of the user's broadcasting content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feeling of watching the content being broadcast on the TV terminal 110 together with the user, as well as providing additional explanations related to the broadcasting content the user is watching. It can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의 TV 시청에 기반하여 현재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에 관련하여 사용자의 경험 또는 사용자의 요구를 해당 콘텐츠에 반영하여 인공지능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콘텐츠 제공 처리부(310)에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를 네트워크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단말(110)에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방송 시청 중인 사용자와 인공지능(AI) 대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TV 단말(110)에서 방송되는 해당 콘텐츠와 관련한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가 반영된 내용이 실시간으로 TV 단말(110)에서 방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인공지능 처리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해석하고 중계할 텍스트를 결정하여 TV 단말(110) 화면에 텍스트 표시하거나 TV 단말(110)에서 음성 발화하여 중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방송 서비스 중에 시청자의 참여를 요청하는 경우 방송참여를 요청하는 시청자의 관련 영상 또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해당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TV 단말들에 중계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broadcasting service by reflecting the user's experience or user's request in relation to the currently viewed broadcasting content based on the user's TV viewing. In one embodiment,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may provide a relay service for the broadcast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processor 310 to at least one TV terminal 110 connected to a network. Here,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perform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versation service with a user who is watching a broadcast, and the content reflecting the user's experience or request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broadcast on the TV terminal 110 is displayed in real time.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module capable of processing to be broadcasted in the terminal 110 may be included.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receives the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ing module, interprets the user's inten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s voice input, determines the text to be relayed, and displays the text on the screen of the TV terminal 110. It can be displayed or relayed by voice utterance in the TV terminal 110. Here, when a viewer's participation is requested during broadcasting service,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may relay the related video, audio, or text of the viewer requesting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 to the TV terminals of the viewer watching the corresponding broadcast. have.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에 관련한 내용을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사용자의 TV 시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동일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복수의 TV 단말들에 사용자의 경험이나 의사가 전달되어 방송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may support the user's TV viewing by delivering content related to the broadcast content the user is watching to the user through voice. In one embodiment,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may broadcast a user's experience or intention to a plurality of TV terminals watching the same broadcast content.

제어부(370)는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 및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 간의 제어 흐름 및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30, and manages control flow and data flow between the content providing management unit 310,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and the relay service providing unit 350. can do.

도 4는 도 1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TV content relay service of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를 통해 TV 단말(110)의 작동을 제어하여 특정 채널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10).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TV 단말(110)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제어할 수 있고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제공 관리부(310)는 콘텐츠 방송 편성 정보 및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내역에 관한 시청 로그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선호 콘텐츠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요청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V terminal 110 through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to receive content of a specific channel and perform a broadcasting service (step S410).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TV terminal 110 “ON/OFF” through a user interfa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select a specific channel to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watch content broadcast through a corresponding channel. Here,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310 selects a broadcasting channel of a user's preferred content or a user-requested channel based on content broadcasting organization information and viewing log information on content viewing history of a user who watches the content,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broadcasting content. can receive

또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를 통해 사용자의 TV 시청 과정에서 해당 콘텐츠에 관련하여 사용자와의 인공지능 음성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30).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는 TV 단말(110)에 방송중인 콘텐츠에 기초하여 발화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발화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발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는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 및 사용자의 발화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발화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고 결정된 발화 메시지가 스피커를 통해 발화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시청 관리부(330)는 여행 관련 콘텐츠를 시청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그 여행지에 가려면 얼마나 걸릴까?” 라는 음성을 발화하면 발화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버스를 타면 5시간이 걸린답니다. 나중에 순이 랑 같이 가요.” 라는 맥락 있는 음성 대화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TV를 함께 시청하는 느낌을 줄 수 있고 사용자에게 알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perform an artificial intelligence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in rela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during the user's TV viewing process through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step S430). In one embodiment,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may generate a spoken message based on the content being broadcast on the TV terminal 110 and speak the generated spoken message through a speaker. Here,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may determine the content of the spoken message based on the broadcast content being watched and the user's spoken voice information, and process the determined spoken message to be spoken through the speaker. For example, while viewing travel-related content,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30 asks the user, "How long will it take to go to the destination?" If you utter a voice, the spoken voice information is analyzed and “It takes 5 hours to take the bus. I’ll go with Sooni later.” By providing a contextual voice conversation, it is possible to give the user a feeling of watching TV together and to satisfy the user's desire to know.

또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를 통해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에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를 반영하여 중계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50). 일 실시예에서,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의 내용에 대해 부연 설명이나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50)에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중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 서비스 제공부(350)는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가 반영된 텍스트 또는 음성 발화 메시지를 해당 콘텐츠를 방송하는 TV 단말(110)들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를 TV 단말(110)을 통해 중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perform the relay service by reflecting the user's experience or request to the broadcast content being viewed through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step S450). In one embodiment,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may relay to the user terminal 150 a detailed description or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 content that the user is watching. Here, the relay service provider 350 provides a text or voice speech message reflecting the user's experience or request to the TV terminals 110 broadcas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reby providing the TV terminal 110 with the user's experience or request. can be relayed through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1:1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provision of a 1:1 TV content rela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인공지능을 기초로 음성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콘텐츠의 방송 채널에 대해 시청 의향을 질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콘텐츠를 TV 단말(110)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4에서 '여행이야기' 라는 제목의 콘텐츠가 방송하고 사용자가 여행을 좋아하는 경우 채널 4의 방송 시청을 묻는 메시지가 발화될 수 있다.In FIG. 5 ,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query the user's preferred content broadcasting channel through a voice interfa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the broadcasting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may be displayed. By receiving the received content, the TV terminal 110 can perform a broadcasting service. For example, if content titled 'Travel Story' is broadcast on channel 4 and the user likes to travel, a message requesting viewing of channel 4 may be triggered.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TV 단말(110)에서 방송 서비스 중에 시청자의 참여를 받아들이기 위해 시청자 참여가 공고되고 사용자의 방송참여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참여를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에서 '오늘은 바닷가 여행 이야기입니다. 어르신들은 어떤 경험이 있나요?' 라고 사용자의 참여가 공고된 후 사용자가 '순이야, 나는 10년전에 애들하고 방학이라고 처음 바닷가를 갔었어' 라는 경험을 말하는 경우, “와 그렇구나. OO님의 경험을 순이가 전달할까요” 라는 메시지가 발화되고 사용자의 경험을 중계할 수 있다.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may relay the user's participation when the TV terminal 110 announces the viewer's participation and requests the user's participation in broadcasting in order to accept the viewer's participation during the broadcasting service. For example, in a broadcast, 'Today is a story about a beach trip. What experiences do the elderly have?' After the user's participation is announced, if the user says the experience 'Soon, I went to the beach for the first time on vacation with my kids 10 years ago', "Wow, that's right. Will Sooni deliver the experience of OO?" is ignited and the user's experience can be relayed.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TV 시청 과정에서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를 통해 해당 콘텐츠에 관련 정보를 보충하여 설명하거나 방송 콘텐츠에 관련하여 사용자와의 음성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함께 TV를 시청하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supplements and expl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through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during the TV viewing process, or provides the user with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in relation to broadcasting content to watch TV together. feel can be provided.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1:N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provision of a 1:N TV content rela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에서,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TV 단말(110)들과 동시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여러명이 동일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복수의 TV 단말(110)들을 대상으로 1:N(여기서, N은 자연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FIG. 6, when a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V terminals 11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people participate in the same program in real time, 1: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TV content relay service may be provided.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인공지능(AI) 대화 제공 서비스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에게 방송 콘텐츠의 시청 의향을 질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해당 채널의 방송 콘텐츠를 TV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130)을 통해 “틀린 그림 찾기”를 같이 하자고 묻는 음성 메시지를 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틀린 그림 찾기” 콘텐츠가 “A” 및 “B”의 사용자 TV 단말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50 can query each user for their intention to view broadcast content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nversation providing service, and broadcast content of a corresponding channel to the TV terminal 110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can be provided to For example,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may utter a voice message asking to “find the difference” through each user terminal 130, and receive the user's voice input to receive the received user's voice message. Based on the voice input of the user, the “Find the difference” content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V terminals of “A” and “B”.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A” 및 “B” 사용자의 TV 단말을 통해 공통으로 발화하여 각자의 TV 단말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 TV 단말에서 나오는 발화도 개인별 이름을 불러서 대화하거나 그룹으로 방송하거나 한명씩 호칭할 수 있다.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동일 프로그램에 대해 공통으로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들의 각각의 TV 단말들 사이에 공통 발화를 통해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can cause users “A” and “B” to participate in content provided from their respective TV terminals by speaking in common through their TV terminal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utterances from the TV terminal can also be called by individual names and communicated, broadcast in groups, or called one by one. The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50 may provide a relay service through common speech between TV terminals of a plurality of users who commonly participate in the same progra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TV 단말 130: 사용자 단말
150: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17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콘텐츠 수신 관리부 330: 콘텐츠 시청 관리부
350: 중계 서비스 제공부 370: 제어부
100: AI-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system
110: TV terminal 130: user terminal
150: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device
17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content reception management unit 330: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350: relay service provider 370: control unit

Claims (8)

TV 단말의 작동을 제어하고 특정 채널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TV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제공 관리부;
사용자의 TV 시청 과정에서 해당 콘텐츠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맥락 있는 음성 대화를 수행하는 콘텐츠 시청 관리부; 및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에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를 반영하여 상기 TV 단말을 통해 발화시켜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계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a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 TV terminal, receives content of a specific channel, and broadcasts the received content in the TV terminal;
a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that conducts a contextual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in rela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during the user's TV viewing process;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ing a relay service provider that performs a relay service by reflecting a user's experience or request to broadcast content being watched and firing it through the TV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TV 단말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제어하고 상기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power of the TV terminal “on / off” through a user interface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selects the specific channel to receive content broadcast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관리부는
수신 가능 채널의 방송 콘텐츠 편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시청 로그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선호 콘텐츠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거나 사용자 요청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ent provision management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haracterized by receiving the broadcast content by selecting a broadcast channel of the user's preferred content or selecting a user-requested channel based on broadcast content organization information of receivable channels and content viewing log information of the user. Content relay ser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시청 관리부는
상기 TV 단말에 방송중인 콘텐츠에 기초하여 발화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발화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firing message based on the content being broadcast on the TV terminal and firing the generated firing message through a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시청 관리부는
시청중인 방송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의 발화 음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발화 메시지의 내용을 결정하고 결정된 발화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발화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spoken messa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broadcast content being watched and the user's spoken voice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spoken message is processed to be uttered through a speak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시청 관리부는
TV 시청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를 통해 해당 콘텐츠에 관련 정보를 보충하여 설명하거나 방송 콘텐츠에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와의 음성 대화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함께 TV를 시청하는 느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viewing management unit
In the process of watching TV, through a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supplemented and explained, or through a voice conversation with the user in relation to broadcasting content, the feeling of watching TV together is provided to the user. AI-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TV 단말에서 방송 서비스 중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해석하고 질의 또는 응답 텍스트를 결정하여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TV 단말을 통해 발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경험이나 요구가 반영된 내용이 방송되도록 중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ay service provider
The TV terminal receives a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during a broadcast service, interprets the user's inten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s voice input, determines a query or response text, and sends a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text to the TV.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lays processing so that the contents reflecting the user's experience or request are broadcasted by firing through a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비스 제공부는
동일 콘텐츠의 방송 시청에 참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TV 단말에 음성 대화가 공통으로 발화되게 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중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TV 콘텐츠 중계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lay service provider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V content relay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voice conversation is commonly uttered in a TV terminal of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who participate in broadcast viewing of the same content, and the voice conversation is relayed to the plurality of users.
KR1020210057829A 2021-05-04 2021-05-04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201506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829A KR20220150619A (en) 2021-05-04 2021-05-04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829A KR20220150619A (en) 2021-05-04 2021-05-04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619A true KR20220150619A (en) 2022-11-11

Family

ID=8404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829A KR20220150619A (en) 2021-05-04 2021-05-04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61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04B1 (en) 2007-09-19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ptv broadcasting service of user attending
KR101218816B1 (en) 2011-01-13 2013-01-17 주식회사 티스마트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bidirectional contents of digital TV by using smart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04B1 (en) 2007-09-19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ptv broadcasting service of user attending
KR101218816B1 (en) 2011-01-13 2013-01-17 주식회사 티스마트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bidirectional contents of digital TV by using smart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4835A1 (en) Providing Synchronous Content and Supplemental Experiences
JP72394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olume-based responses for multiple voice-activated user devices
US20210056566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n electronic agent
CN110012362B (en) Live broadcast voic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070011183A (en) Interactive multimedia production system
KR20200001153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highlight video
CN111294606A (en) Live broadcas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live broadcast client and medium
CN113301363A (en) Live broadcas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63003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CN115052169A (en) Interac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2055227B (en) Cloud game interaction method, system,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1077839A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KR20200008341A (en) Media 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and server for analyzing screen
CN112383794A (en) Live broadcast method, live broadcast system,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20150619A (en) Apparatus for providing tv contents agent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11317135B2 (en) Identifying user devices for interactive media broadcast participation
US105590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izing avatars
CN115396684A (en) Connecting wheat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22016424A (en) System for streaming distribution and video conferencing
JP6351987B2 (en) Speech control device, speech device, speech control system, speech control method, speech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110009284A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two-way relay broadcast service
US20230224265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20072895A (en) System and method for television portrait service using set-top box
JP72692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WO2022237381A1 (en) Method for saving conference record, terminal, and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