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307A -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307A
KR20220149307A KR1020210056775A KR20210056775A KR20220149307A KR 20220149307 A KR20220149307 A KR 20220149307A KR 1020210056775 A KR1020210056775 A KR 1020210056775A KR 20210056775 A KR20210056775 A KR 20210056775A KR 20220149307 A KR20220149307 A KR 20220149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terminal
module
application
use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근
Original Assignee
최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근 filed Critical 최원근
Priority to KR102021005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9307A/en
Publication of KR2022014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307A/en
Priority to KR1020230100812A priority patent/KR102661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e that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nd transmits a signal for executing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o a mobile terminal of a user. The module compris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ound wave signal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at regular time intervals to a mobi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cation where the module is installe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modul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o adjust the state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dule; and a signal setting unit for differently setting a code of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minor number included in a signal for each preset group. Accordingly, damage to others in a public place can be prevented by forcibly blocking the use of a mobile terminal in a situation or place where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s not suitable.

Description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module and application

본 발명은 공공 장소 등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use of a mobile terminal in a public place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전화 연결, 무선 인터넷 연결, 문자 메시지 송수신,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스마트폰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운전 중에는 전화 통화 이외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전방 주시 소홀로 인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In general, smartphones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ne connection,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sending and receiving text messages, and games. Smartphones are wid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Japan, China, and most of Europ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incidence of accidents due to the use of smartphone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when a text message is sent other than a phone call while driving, accidents may occur frequently due to negligence of forward gaze.

현재 스마트폰은 기존의 문자 메시지뿐 아니라 카카오톡, 페이스북, 이메일 등과 같은 터치입력 기능이 포함된 프로그램이 대중화되어 있으나, 안전 운전을 위해 운전자가 운전 중에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기술이 필요하다.Currently, programs that include touch input functions such as Kakao Talk, Facebook, and e-mail as well as existing text messages are popularized in smartphones. However, for safe driving, a technology that restricts drivers from writing text messages while driving is required. do.

또한, 강의실, 도서관, 공연장(문화 센터, 시민 회관 등), 사진 촬영 금지 구역(영화관, 박물관, 기업 연구소 등) 등 공공 장소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은 전화 벨소리, 메시지 알람, 사진 촬영 등으로 인해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smartphones in public places such as lecture halls, libraries, performance halls (cultural center, civic center, etc.) and photo-prohibited areas (movies, museums, corporate research institutes, etc.) may cause damage to

이처럼, 장소나 상황에 따라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금지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As such,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ecessary to forcibly prohibit the us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depending on a place or situ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장소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미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s that can prevent damage to others in public places by forcibly block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s in situations or places where the use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is not suitable. aim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모듈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휴대 단말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모듈의 상태에 따라 신호 송신부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 및 기 설정된 그룹 별로 신호에 포함된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신호 설정부를 포함한다.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ound wave signal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to a portab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location where the module is install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 signal transmitting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modul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to adjust the state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dule, and a universal unique identifier included in the signal for each preset group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Includes a signal setting unit that sets the code of the minor number differ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실행시키되,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화면 터치 차단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 및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음향 조절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기능을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that is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is executed by a processor of the mobile terminal to control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a modul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he mobile terminal Execute a block window that prevents the screen from being touched, but a screen touch blocking function in which the screen touch blocking method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vice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function of record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a server through a network, and a function of setting a different sou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device environ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장소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미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others in public places is prevented by forcibly block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s in situations or places where the use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is not suitabl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신호 설정부에서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eventing u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de of the UUID minor number in the signal setting unit shown in FIG. 5A .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docu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본 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documen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various embodiments may modify various components regardless of order and/or importance, do not limi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named as a first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only us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constru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다.1 shows a system for preventing u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10)은 서버(100)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모듈(200)과, 사용자가 보유한 휴대 단말(3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통신하는 구조를 갖는 시스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0 , a module 200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and a mobile terminal 300 owned by a user. It may be a system having a structur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여기서, 서버(100)는 모듈(200)의 각 위치, 신호의 동작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로그인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200)이 설치되는 특정 장소란 자동차의 운전석, 버스, 항만, 수업 중인 강의실, 수업 중인 학교, 공공 도서관 및 대학 도서관, 공공 공연장(문화 센터, 시민회관, 강당 등), 성당, 교회, 기타 사진 촬영 금지 구역(기업 연구소, 박물관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듈(200)은 특정 장소의 일정 구역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각 구역의 천장이나 벽 등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휴대 단말(300)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rver 100 collects information about each location of the module 200 and the operating state of a signal, or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ocation, login time, etc. from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300 . have. Here, the specific place where the module 200 is installed is the driver's seat of a car, a bus, a port, a classroom in class, a school in class, a public library and university library, a public performance hall (a cultural center, a civic center, an auditorium, etc.), a cathedral, a church , and other photo-prohibited areas (corporate research institutes, museums, etc.). In addition, the module 200 may be installed in each predetermined area of a specific place, for example, may be installed in the ceiling or wall of each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300 may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etc. possessed by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데이터베이스(110), 통신부(120) 및 서버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110 , a communication unit 120 , and a server control unit 130 .

데이터베이스(110)에는 모듈과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관리자의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관리자 저장 확인/취소, 사용자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로그인 확인/취소, 개인 사용자 관리, 미접속자 관리, 그룹 사용자 관리, 푸시 관리, 코드(회원등록번호)관리, 단체 소속 관리, 모듈 관리, 사용 기록 관리, 메시지 처리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110 may store overall information about the module and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pecifically, in the database 110, the administrator's ID and password input/modification, administrator storage confirmation/cancellation, user ID and password input/modification, login confirmation/cancellation, individual user management, unconnected user management, group user management, push management , code (member registration number) management, group affiliation management, module management, usage record management, message processing data, etc. may be stored.

개인 사용자 관리는 로그인 관리 기능으로 정의되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으로 로그인한 결과 목록으로서, 사용자 ID, 로그인 시간(년/월/일/시), 음파/BLE 신호에 관련된 데이터값, 로그인 경과 시간, 이메일, 휴대폰의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미접속자 관리는 미접속자 알람 기능으로 정의되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미접속 1일차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인지하고, 2일차에는 관리자에게 주의 통보하며, 3일을 초과한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 알람 경보 및 단체 관리자 문자 메시지 통보가 수행되도록 하며, 관리자가 사용하는 태블릿에서 알람 팝업 생성 및 미접속자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Personal user management is defined as a login management function, which is a list of results that a user has logged in to the application. User ID, login time (year/month/day/hour), data values related to sound waves/BLE signals, elapsed login time, and email , it may include input, correction, and deletion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Unconnected user management is defined as a non-connected user alarm function, for example, the application server recognizes the user on the first day of non-connection, and notifies the administrator with caution on the second day. Allows group manager text message notification to be performed, and alarm pop-up generation and non-access information can be checked on the tablet used by the manager.

그룹 사용자 관리는 단체 고객사 담당관리자 연락처 목록으로 정의되며, 단체, 담당 관리자, 이메일, 휴대폰의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푸시 관리는 고객사 담당자 및 책임자 연락처 목록으로 정의되며, 고객사, 담당자, 이메일, 핸드폰. 책임자, 이메일, 휴대폰의 입력, 수정, 삭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Group user management is defined as the contact list of the group customer company manager, and can include input, modification, and deletion functions of groups, manager, email, and mobile phone. Contact person, email, cell phone. It may include functions of input, correction, and deletion of the person in charge, e-mail, and mobile phone.

코드(회원 등록 번호)관리는 사용자의 회원 등록 번호, 즉, 최초로 모듈의 신호 수신시 등록된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시작을 위한 개별 애플리케이션의 코드 번호 관리(입력, 수정, 삭제)를 포함하며, 단체 소속 관리는 기업 코드 관리(예를 들면, 부산시 교통과, 부산시 산림과, 선정 운수, 부산 운수 등을 식별 가능하도록 고유 코드 부여)하고, 개인과 기업 회원을 분리하여 관리하여 미접속자 알람 경보를 원활히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Code (member registration number) management manages the user's member registration number, that is, the code number management (input, modification, deletion) of individual applications for automatic start of the application when it matches the code registered when the signal of the module is received for the first time. Including, group affiliation management manages corporate code (for example, Busan City Transportation Division, Busan City Forestry Division, assigned a unique code to identify selected transportation, Busan transportation, etc.) can proceed smoothly.

모듈 관리는 각각의 장소와 위치에 설치된 모듈의 제품번호를 등록하여, 최초 모듈 음파 수신시 등록된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자동 시작을 위한 개별 모듈 코드 번호 관리(입력, 수정, 삭제)를 포함하고, 사용 기록 관리는 사용자 운행 정보(속도, 거리, 주행 패턴 등)에 관하여, 총년별 관리 데이터 수집 통계, 총월별 관리 데이터 수집 통계, 총일별 관리 데이터 수집 통계를 열람,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 항목은 애플리케이션 삭제 및 모듈 탈거시 단체 고객 관리자에게 푸시 메시지 발송 처리 내역 확인을 포함할 수 있다. Module management registers the product number of the module installed in each place and location, and includes individual module code number management (input, modification, deletion) for automatic application start when the registered code matches the first module sound wave reception. , usage record management may allow viewing and deletion of management data collection statistics by total year, total monthly management data collection statistics, and total daily management data collection statistics with respect to user driving information (speed, distance, driving pattern, etc.). In addition, the message processing item may include confirmation of the processing history of sending a push message to the group customer manager when the application is deleted and the module is removed.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10)는 각 모듈의 위치 및 제품 번호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의 정보(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휴대 단말의 제품 번호 등의 정보), 즉 사용자의 신상 정보, 사용자 ID, 로그인 내역, 신호 관련 데이터값, 강제 탈거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서버(100)와 휴대 단말(3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간에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database 110 includes the location and product number of each module and user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r additionally information such as the product number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that i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user ID, login It is possible to store details, signal-related data values, information about forced removal, and the like. In additio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10 may be configured to synchronize in real time between the server 100 and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모듈의 강제 탈거시 알람 정보, 애플리케이션 미접속 여부 및 삭제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a mobile terminal of a user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installed through a network.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larm information when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application is not connected and whether or not to be deleted.

서버 제어부(130)는 앞서 설명한 관리자의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관리자 저장 확인/취소, 사용자 아이디 및 암호 입력/수정, 로그인 확인/취소, 개인 사용자 관리, 미접속자 관리, 그룹 사용자 관리, 푸시 관리, 코드(회원등록번호)관리, 단체 소속 관리, 모듈 관리, 사용 기록 관리, 메시지 처리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서버 제어부(130)가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버(100)와 애플리케이션(300)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above-described administrator's ID and password input/modification, administrator storage confirmation/cancellation, user ID and password input/modification, login confirmation/cancellation, individual user management, unconnected user management, group user management, push management , code (member registration number) management, group affiliation management, module management, usage record management, message processing, etc. data ar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10 .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may perform overall management of the server 100 and the application 300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server controller 13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21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강의실, 도서관, 박물관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210)로서, 신호 송신부(211), 감지 센서(212), 통신부(213) 및 모듈 제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odul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a lecture hall, a library, a museum, etc.) to execute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with a user's mobile terminal. As the module 210 for transmitting a signal, it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211 , a detection sensor 212 , a communication unit 213 , and a module control unit 214 .

신호 송신부(211)는 특정 장소의 모듈(210)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0.2초)으로 제1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송신부(211)에서 지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신호이다. 이 때, 신호는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211 may transmit the first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eg, 0.2 seconds)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ation where the module 210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Here, the signal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is a signal for activating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eg, smart phone) possess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wave signal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또한,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모듈(210)의 상태, 예를 들면,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거나 배터리 이상 등이 발생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가 초음파 신호인 경우, 각각의 신호는 (예를 들면,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등)는 주파수를 달리하여 구별 가능하며, 신호가 저전력 블루투스(BLE) 신호인 경우, 각각의 신호는 신호 내의 데이터를 달리하여 구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듈 제어부(2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may var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dule 210 , for example, the module 210 is forcibly removed or a battery abnormality occurs. Specifically, When the signal is an ultrasonic signal, each signal (eg, a first signal, a second signal, a third signal, etc.) can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frequencies, and when the signal is a low-power Bluetooth (BLE) signal, each A signal of may b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able by differentiating data in the signal. In this cas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may be controlled by the module controller 214 as will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면,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초음파 신호인 경우, 「정상 상태일 때 10ms 동안 19.5kHz(제1 신호), 모듈 탈착시에는 10ms 동안 13.5kHz(제2 신호), 배터리 이상시에는 10ms 동안 16.5kHz(제3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부(21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BLE(통신 속도: 9600/8/1/N, 통신 거리: 10m, 비콘 모드(비콘 이름: T_ISLAND))인 경우, FFE1(읽기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 신호 전송시 「AT+MINO0x0000: 정상(제1 신호), AT+MINO0x0010: 모듈 탈착(제2 신호), AT+MINO0x0001: 배터리 이상(제3 신호), AT+MINO0x0011: 배터리 이상 및 모듈 탈착(제2 신호 및 제3 신호), AT+SLEEP: 슬립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is an ultrasonic signal, "19.5 kHz (first signal) for 10 ms in normal state, 13.5 kHz (second signal) for 10 ms when module is detached, when the battery is abnormal 16.5 kHz (third signal) for 10 ms. In addition,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is BLE (communication speed: 9600/8/1/N, communication distance: 10 m, beacon mode (beacon name: T_ISLAND)), in FFE1 (read data channel) During signal transmission 「AT+MINO0x0000: Normal (1st signal), AT+MINO0x0010: Module detachment (2nd signal), AT+MINO0x0001: Battery error (3rd signal),  AT+MINO0x0011: Battery error and module detachment (No. 2 signal and 3rd signal), AT+SLEEP: sleep mode".

신호 송신부(211)는 관리자의 설정에 의해 송신하는 신호의 세기(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모듈(210)이 설치되는 위치와 장소의 넓이 등에 기초하여 신호의 송신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송신부(211)는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학교, 강의실의 경우 수업 시간,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의 경우 운영 시간에 따라서 적절하게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211 may adjust the strength (strength) of a signal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setting of an administrator. That is,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signal transmission distance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module 210 is installed and the width of the place. Also, the signal transmitter 211 may directly set the time for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chool or a classroom, the time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class time, and in the case of a library or museum, the operating time.

감지 센서(212)는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212)는 모듈(210)의 바닥 부분에 메탈 바(bar)가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모듈(210)이 벽이나 바닥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메탈 바가 접히게 되고, 탈거시에는 메탈 바가 다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감지 센서(21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감지 센서(212)는 추가적으로 모듈(210)의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detection sensor 212 may detect that the module 210 is forcibly removed. 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212 has a metal bar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module 210 , and when the module 210 is attached to a wall or floor, the metal bar is folded and removed. At the time, the metal bar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it protrudes aga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detection sensor 21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212 may additionally include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the battery of the module 210 is abnormal.

통신부(213)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기능을 한다. 만약, 모듈(210)의 통신부(213)에서 서버(100)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모듈(210) 내에 통신 칩을 추가적으로 구비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력의 소모가 더 심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210)의 통신부(213)에서는 전력 소모를 최대한으로 저감시키기 위해, 직접 서버(100)와 통신하지 않고, 휴대 단말(300)을 거쳐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The communication unit 213 functions to communicate with the user's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a network. If data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13 of the module 210 to the server 100,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clude a communication chip in the module 210, and thus power consumption is further increased. 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unit 213 of the modul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o the maximum, the communication is not directly communicated with the server 100 , but communication is mad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 was made to solve the problem.

모듈 제어부(214)는 모듈(210)의 상태에 따라 신호 송신부(211)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신호 송신부(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센서(212)에 의해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는 것이 감지되면, 모듈 제어부(214)는 신호 송신부(211)로부터의 신호가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212)에 의해 모듈(210)의 배터리 이상이 감지되면, 모듈 제어부(214)는 신호가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구별되는 제3 신호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odule controller 214 may control the signal transmitter 211 to adjust the state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transmitter 211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dule 210 . Fo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module 210 is forcibly removed by the detection sensor 212 , the module control unit 214 generates a second signal in which the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11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signal. can be controlled to do so.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abnormality of the module 210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212 , the module control unit 214 may control the signal to have a third signal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또한, 모듈(210)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온/오프(on/off)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210)이 수업 중인 강의실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강의실 내 관리자(예를 들면, 강사)가 필요에 따라 모듈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odule 210 may be configured to be manually controlled on/off by an administrator. For example, when the module 210 is installed in a classroom being taught, an administrator (eg, an instructor) in the classroom may turn on/off the power of the module as needed.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스피커나 LED 등의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모듈의 동작 상태(시스템 시작이나 시스템 정지, 또는 배터리 이상)를 나타내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는 신호로서 초음파를 사용하는 경우에 신호 송신부(211)로서 사용되는 스피커일 수도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스피커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LED의 점멸 상태, 발광색 등을 통하여 마찬가지로 모듈의 동작 상태(시스템 시작이나 시스템 정지, 또는 배터리 이상)를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or an LED. A sound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dule (system start, system stop, or battery abnormality)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Such a speaker may be a speaker used as the signal transmitter 211 when using ultrasonic waves as a signal, or may be a speak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is. In addition, the operating state (system start, system stop, or battery abnormality) of the module may be similarly indicated through the blinking state of the LED, the light emitting color, and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22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220)로서, 신호 송신부(221), 감지 센서(222), 통신부(223), 모듈 제어부(224) 및 진동 센서(22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odule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the driver's seat of a car) and transmits a signal for executing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The module 220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221 , a detection sensor 222 , a communication unit 223 , a module control unit 224 , and a vibration sensor 225 .

도 4의 모듈(220)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송신부(221), 감지 센서(222), 통신부(223) 및 모듈 제어부(224)는 도 3의 모듈(210)의 신호 송신부(211), 감지 센서(212), 통신부(213) 및 모듈 제어부(2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21 , the detection sensor 222 , the communication unit 223 , and the module control unit 224 included in the module 220 of FIG. 4 includ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11 and the detection sensor of the module 210 of FIG. 3 . 212 , the communication unit 213 and the module control unit 214 have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진동 센서(225)는 모듈(220)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진동 센서(225)는 모듈(220)에 가해지는 진동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임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진동 센서(22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vibration sensor 225 may detect vibration applied to the module 22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That is, when the vibration sensor 225 detects that the vibration applied to the module 22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t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In this case, the vibration sensor 225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like.

만약, 진동 센서(225)에 의해 기준치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신호 송신부(221)는 휴대 단말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여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진동 센서(225)에서 기준치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지 않아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신호 송신부(221)는 신호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If the vibration sensor 225 detects a vibra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and the signal transmitter 221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to activate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currently driving because the vibration sensor 225 does not detect a vibration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ignal transmitter 221 may stop transmitting the signal.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23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학교)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230)로서, 신호 송신부(231), 감지 센서(232), 통신부(233), 모듈 제어부(234) 및 신호 설정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신호 설정부(235)가 모듈 제어부(234)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신호 설정부(235)는 모듈 제어부(234) 외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A , the module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school) and transmits a signal for executing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o a user's mobile terminal. As the module 230 , a signal transmission unit 231 , a detection sensor 232 , a communication unit 233 , a module control unit 234 , and a signal setting unit 235 may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FIG. 5A , although the signal setting unit 235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module control unit 234 , the signal setting unit 235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addition to the module control unit 234 .

도 5a의 모듈(230)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송신부(231), 감지 센서(232), 통신부(233) 및 모듈 제어부(234)는 도 3의 모듈(210)의 신호 송신부(211), 감지 센서(212), 통신부(213) 및 모듈 제어부(2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31, the detection sensor 232, the communication unit 233, and the module control unit 234 included in the module 230 of FIG. 5A ar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11, the detection sensor of the module 210 of FIG. 212 , the communication unit 213 and the module control unit 214 have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신호 송신부(231)는 특정 장소의 모듈(230)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231 continuously transmits a signal for activating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ation where the module 230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und wave signal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실시예에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미리 정해진 패턴(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펄스 폭을 갖는 구형파 패턴)을 갖는 음파 신호(예를 들면, 초음파 신호)인 경우, 음파 신호의 발생 간격을 특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3초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300)은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특정 시간(예를 들면, 12초) 내에 여러 번(예를 들면, 3번) 연속해서 미리 정해진 패턴을 갖는 음파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신호 송신부(231)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특정 시간 내에 여러 번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휴대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송신부(231)에서 휴대 단말(300)에 제공되는 신호를 일상 생활에서 우연히 발생하는 노이즈와 구별함으로써, 휴대 단말(3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is a sound wave signal (eg, an ultrason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eg, a square wave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pulse width), the generation of the acoustic signal The interval can be set to a specific time interval (eg, every 3 seconds).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300 that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receiv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consecutively within a specific time (for example, 12 seconds)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 When a sound wave signal having a pattern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may be activated. That is, the signal transmitter 231 may provide a signal tha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several times within a specific time at a specific time interv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 Accordingly, by distinguishing the signal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from noise that occurs accidentally in daily life, mal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can be prevented.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BLE 신호인 경우,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TM) 통신 규격의 페어링 모드(pairing mode)가 아닌 브로드캐스팅 모드(broadcasting mode)에서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로드캐스팅 모드에서 이용되는 신호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범용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를 포함할 수 있고, UUID 마이너 넘버는 신호 설정부(235)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31)는 신호 설정부(235)에 의해 설정된 UUID 마이너 넘버를 포함하는 신호를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에 브로드 캐스팅 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전송 범위는 블루투스 통신의 유효 전송 범위(예를 들어, 약 10m)를 의미할 수 있으나, 모듈(230)의 성능 및 모듈(230)이 설치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31 is a BLE signal,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31 is a Bluetooth TM communication standard, not a pairing mode, but a broadcasting mode ( It may be a signal used in broadcasting mode). Specifically, a signal used in the broadcasting mode may include a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minor number, and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nd changed by the signal setting unit 235 .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31 may broadcast a signal including the UUID minor number set by the signal setting unit 235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located within an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Here,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may mean an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eg, about 10 m) of Bluetooth communication,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module 230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odule 230 is installed.

도 5b를 참조하면,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된 UUID 마이너 넘버는 실행 제어 코드(235)와, 상태 코드(2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제어 코드(235)는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그룹의 휴대 단말(300)에 설치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코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태 코드(237)는 모듈(230)의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실행 제어 코드(235)는 2개의 비트들(bit)로 구성되고, 상태 코드(237)는 3개의 비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UUID 마이너 넘버는 실행 제어 코드(235)와 상태 코드(237)에 해당하는 5개의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앞의 2개의 비트들은 실행 제어 코드(235)를 나타낼 수 있고, 뒤의 3개의 비트들은 상태 코드(237)을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the UUID minor number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may include an execution control code 235 and a status code 237 . Here,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5 may be a code for activating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of the corresponding group in response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 In addition, the status code 237 may be a code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module 23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5 may consist of two bits, and the status code 237 may consist of three bits. That is, the UUID minor number may include 5 bits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5 and the status code 237 , and the first two bits may indicate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5 , and the last 3 bits may indicate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5 . Bits may represent the status code 237 .

예를 들면, 모듈(230)이 설치되는 특정 장소가 “교실”이고, 교실의 개수가 5개이며, 1반부터 5반까지 순차적으로 일렬로 위치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각 반에 모듈(230)이 설치될 수 있고, 각 반에 대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하며,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1반 내지 4반은 포함되고, 5반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제 1그룹(1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00”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제 2그룹(2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01”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제 3그룹(3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10”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제 4그룹(4반)의 경우 UUID 마이너 넘버가 “11”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각 반에 설치된 모듈(230)은 서로 다른 UUID 마이너 넘버를 갖는 신호를 유효 전송 범위 내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specific place where the module 230 is installed is a “classroom”, the number of classrooms is 5, and classes 1 to 5 are sequentially located in a line. In addition, the module 230 may be installed in each class, and the activ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for each class should be able to be independently controlled, and within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the module 230 installed in the first class. It is assumed that class 4 to class 4 are included and class 5 is not included. Then, in the case of the first group (class 1),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s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of “00”. In the case of the second group (half 2),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s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of “01”. In the case of the third group (Class 3),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s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of “10”. In the case of the fourth group (class 4),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s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of “11”. That is, the modules 230 installed in each class can broadcast signals having different UUID minor numbers within an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그리고, 제 5그룹(5반)의 경우 제 1그룹(1반)과 동일하게 UUID 마이너 넘버가 “00”의 실행 제어 코드(236)로 설정될 수 있다. 즉,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5반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1반과 5반은 실행 제어 코드(236)가 같아도 BLE 신호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1반과 5반은 거리가 멀어, 5반은 1반에 설치된 모듈(230)로부터 전송되는 BLE 신호의 유효 전송 범위를 벗어나게 되므로, 1반과 5반은 동일한 실행 제어 코드(236)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만일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이 1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해 '00'의 실행 제어 코드(236)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더라도,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를 벗어난 5반의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2반 내지 4반의 휴대 단말(300)은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긴 하나, 서로 다른 실행 제어 코드(236)(예컨대, '01', '10', 또는 '11')를 가지게 되어, 2반 내지 4반의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fifth group (5th class), the same UUID minor number as the first group (1st class) may be set as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of “00”. That is, since the fifth half is not included within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the module 230 installed in the first half, the BLE signal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even if the first half and the fifth half have the same execution control code 236 . In other words, the first half and the fifth half are far apart, and the fifth half is out of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the BL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e 230 installed in the first half, so the first half and the fifth half use the same execution control code 236 it may be possible to If the module 230 installed in the first class broadcasts a signal including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of '00' to activate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the first class, the first class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of the fifth class out of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the module 230 installed in the module 230 may not be activated.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s 300 of the second to fourth classes are located within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the module 230 installed in the first class, but different execution control codes 236 (eg, '01', '10'). , or '11'),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s 300 of the second to fourth classes may not be activated.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는 신호 설정부(235)를 통해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UUID 마이너 넘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신호 설정부(235)를 통해 교실의 위치, 교실의 넓이, 교실 간의 간격 등에 기초하여 UUID 마이너 넘버를 설정 및 변경하거나, 신호의 송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신호 설정부(235)를 통해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학교의 경우 수업 시간에 따라서 적절하게 시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dministrator may change the UUID minor number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through the signal setter 235 . For example, the administrator may set and change the UUID minor numb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lassroom, the size of the classroom, the interval between the classrooms, and the like, or select whether to transmit the signal through the signal setting unit 235 . In addition, the administrator may directly set the time at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setting unit 235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chool, the time can be set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lass time.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모듈(230)의 상태, 예를 들면, 모듈(230)이 강제로 탈거되거나 배터리 이상 등이 발생함에 따라 서로 다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신호 설정부(235)에 의해 UUID 마이너 넘버의 상태 코드(237)를 달리하여 구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UUID 마이너 넘버는 001, 010, 011, 111 등의 코드로 설정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may include different code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dule 230, for example, the module 230 is forcibly removed or a battery abnormality occurs. have. Specificall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31 may be configured to be distinguishable by changing the status code 237 of the UUID minor number by the signal setting unit 235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to codes such as 001, 010, 011, 111, and the like.

신호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BLE 신호인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면, 정상 상태일 때 UUID 마이너 넘버가 “001”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 모듈 탈착시에는 UUID 마이너 넘버가 “010”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 이상 시에는 UUID 마이너 넘버가 “011”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동작 시에는 UUID 마이너 넘버가 “111”의 상태 코드(237)로 설정될 수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is a BLE signal. Then, in the normal state,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to the status code 237 of “001”. When the module is detached,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s the status code 237 of “010”. In case of battery failure,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s the status code 237 of “011”. In an abnormal operation, the UUID minor number may be set as the status code 237 of “111”.

또한, 모듈(230)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온/오프(on/off)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230)이 수업 중인 교실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교실 내 관리자(예를 들면, 선생님)가 필요에 따라 모듈(230)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행 제어 코드(236) 및 상태 코드(237)가 5개의 비트들로 설정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최소한의 리소스(각 코드에 할당되는 비트 개수) 만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모듈의 상태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실행 제어 코드(236) 및 상태 코드(237)의 개수 및 비트 수는 충분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듈(230)이 설치된 위치에서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필요한 집단의 개수를 고려하여(위의 예시에서 1반에 설치된 모듈(230)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1반 내지 4반이 위치함) 실행 제어 코드(236)의 개수 및 비트 수는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실행 제어 코드(236)는 BLE 신호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필요한 집단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수에 해당하는 비트 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코드(237)에 포함된 비트의 개수는 모듈(230)이 전달하고자 하는 모듈(230)의 상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230 may be configured to be manually adjusted on/off by an administrator. For example, when the module 230 is installed in a classroom during a class, an administrator (eg, a teacher) in the classroom may turn on/off the power of the module 230 as neede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and the status code 237 are set to 5 bi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executing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the status of the module using only the minimum resources (the number of bits allocated to each code),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and the status code ( 237) and the number of bits can be sufficiently changed. For exampl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s the number of groups that need to be independently controlled located within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at the location where the module 230 is installed (the effectiveness of the module 230 installed in class 1 in the above example) The number of execution control codes 236 and the number of bits can be sufficiently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ecution control code 236 may be set to have a number of bits corresponding to a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groups that need to be independently controlled located within an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the BLE signal. In addition, the number of bits included in the status code 237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tatus of the module 230 to be transmitted by the module 23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200(210, 220 또는 230을 포함함))은 CPU(11), RAM(12), 통신 I/F(13), ROM(14) 및 센서 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module 200 (including 210, 220 or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PU 11, a RAM 12, a communication I/F 13, and a ROM 14. ) and a sensor module 15 .

CPU(11)는 모듈(200)에서의 신호의 송신, 강제 탈거 및 진동에 대한 감지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즉, CPU(11)는 모듈 제어부(214, 224, 또는 234)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CPU 11 performs data processing such as transmission of a signal from the module 200, forced removal, and detection of vibration. That is, the CPU 11 may function as the module control unit 214 , 224 , or 234 .

RAM(12) 및 ROM(14)의 메모리에는 모듈(200)이 송신하는 신호의 종류와 강제 탈거 및 진동에 관한 센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In the memories of the RAM 12 and the ROM 14 , types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module 200 and sensor information related to forced removal and vibration may be stored.

또한 ROM(14)에는 모듈(2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CPU(11)에 의해 RAM(12)에 전개되어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모듈(210, 220 또는 230)의 각 기능 블록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ROM(1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CPU(1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 통신부(213, 223, 또는 233) 등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computer program such as softwar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dule 200 may be stored in the ROM 14 , and the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and executed in the RAM 12 by the CPU 11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module 210 . , 220 or 230) may be mad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block. In other words, as software stored in the ROM 14 is executed by the CPU 11 , the signal transmitter 211 , 221 , or 231 , the communication unit 213 , 223 , or 233 may be implemented.

통신 I/F(13)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신호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 I/F(13)는 통신부(213, 223, 또는 233)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F 13 may transmit/receive signals or data to and from the user's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communication I/F 13 may function as a part of the communication unit 213 , 223 , or 233 .

센서 모듈(15)은 모듈(200)의 강제 탈거 여부에 관한 감지와 모듈(200)의 진동 크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운전 여부에 관한 감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5 may perform a detection of whether the module 200 is forcibly removed and a detection of whether a user is driving using the vibration magnitude of the module 20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 내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휴대 단말(3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휴대 단말(300)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은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 사용자 정보 기록 모듈(320) 통신 모듈(330), GPS 분석 모듈(340) 및 음향 조절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서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에 GPS 분석 모듈(340)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S 분석 모듈(34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7 ,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storage medium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300 , and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mobile terminal 300 to be executed by the mobile terminal 300 . It is an application that controls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300 includes a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a user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320, a communication module 330, a GPS analysis module 340, and a sound control module ( 350) may be included. In particular, although it has been shown that the GPS analysis module 340 i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 FIG. 7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특히, 휴대 단말(300)에서는 모듈에서 초음파 신호 사용시에는 주파수를 검출하거나, 단위 시간(예를 들어, 10ms) 동안에 수신되는 초음파의 개수를 산출함으로써, 각각의 신호(예를 들면,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구별할 수 있으며, BLE 신호 사용시에는 BLE 신호 내의 특정 영역의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각각의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each signal (eg, a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can be distinguished, and when the BLE signal is used, each signal can be distinguished by reading data of a specific area within the BLE signal.

또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의 사용자는 휴대폰 번호, 카카오톡, 페이스북 계정 등을 이용하여 계정을 등록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모듈의 신호의 송신 거리 내에 진입하여 휴대 단말(300)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개인 뿐 아니라, 회사나 학교 등 공공 기관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기관의 분류 코드(회사명 또는 학교명에 따라 코드를 부여함)와 휴대 단말의 번호(예를 들면, 휴대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300 can register an account using a mobile phone number, KakaoTalk, Facebook account, etc., if the user enters within the signal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module, the mobile terminal 300 Upon receiving this signal, the application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and a user's login screen may be automatically displayed. At this time, the user may be not only an individual, but also a public institution such as a company or school, in this case, the classification code of the institution (a code is given according to the name of the company or school) and th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eg, mobile phone number) You can log in by entering your phone numb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은 설치, 가입, 로그인 이후에는 휴대폰의 백그라운드 상에서 대기 모드(혹은 수면 모드)로서 상시 구동되고 있을 수 있으며, 초음파, BLE 신호 등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면 웨이크업 되어 활성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본인이 애플리케이션(300)을 직접 실행하여 로그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lways driven as a standby mode (or sleep mode) on the background of the mobile phone after installation, subscription, and login, and is activated by waking up whe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dule, such as ultrasound or BLE signal mode can be ch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himself may be configured to log in by directly executing the application 300 .

또한, 서버(100)에서는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나 팝업창 등의 형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발송하여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100 may send and install the application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or a pop-up window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300 .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화면 터치 차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전술한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300)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is a module for performing a screen touch blocking function, and prevents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300 from being touched when the above-describe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dule 210 , 220 or 230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Block window can be executed.

예를 들어, 각각의 휴대 단말(300)이 특정 위치(교실)에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1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00”으로 사전 설정되고, 2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01”로 사전 설정되고, 3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10”으로 사전 설정되고, 4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실행 제어 코드가 “11”로 사전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each mobile terminal 300 is located in a specific location (classroom). And,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the first class has an execution control code preset to “0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the second class has an execution control code preset to “01”, and is located in the third class.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300 has the execution control code preset to “1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class 4 has the execution control code preset to “11”.

그러면, 도 5a에 도시된 모듈(230)의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1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00”으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2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01”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3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10”으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신호 송신부(231)로부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4반에 위치한 휴대 단말(300)은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11”로 일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Then, when a signal including the UUID minor number is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of the module 230 shown in FIG. 5A ,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the first class receives the execution control code of the received UUID minor number and the When the set execution control code is compared and the execution control code matches "00",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activated. Then, when a signal including the UUID minor number is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the second class compares the received UUID minor number execution control code with the preset execution control code to execute the execution control code When '01' matches,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activated. When a signal including the UUID minor number is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the third class compares the received UUID minor number execution control code with a preset execution control code to determine the execution control code “ If the match is 10″,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activated. When a signal including the UUID minor number is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31, the mobile terminal 300 located in the fourth class compares the received UUID minor number execution control code with the preset execution control code to determine the “execution control code” 11”,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activated.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이 휴대 단말(300)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교실)에 진입하여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또는 저장 매체)(300)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블럭창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을 사용하기 위해 터치하더라도 휴대 단말(300)이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receives a signal from the module 210 , 220 or 230 whe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300 enters a specific place (eg, a classroom) that is not suitable for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Upon receptio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storage medium) 300 is automatically executed, and by activating the block window,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mobile terminal 300 to use the mobile terminal 300, the mobile terminal 300 is You can make it not work.

특히,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의 경우 휴대 단말(300)의 화면 자체가 안보이게 불투명한 화면을 띄우는 방식, 화면을 차단하는 창을 투명 내지 반투명하게 하여 화면 확인은 가능하게 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00)의 문자 입력 화면(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 패드 등)이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의 디바이스 환경(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IOS)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there is a method of floating an opaque screen so that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invisible, a method of making a window blocking the screen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to enable screen confirmation, etc., This may allow the transparency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Al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inputting text by preventing the text input screen (eg, keyboard, touch pad, etc.) of the mobile terminal 300 from appearing on the display. Also,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may set different screen touch block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evice environment (eg, Android, IOS)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실시예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의 화면에 특정 이미지(사진 등)을 띄워 화면 상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300)은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휴대 단말(3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특정 이미지는 사라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may be set to display a specific image (eg, a photo)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300 to prevent use of an application or the like on the scre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module 210 , 220 , or 230 and a specific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maintained without disappearing while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executed.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휴대 단말(300)로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것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의 잠금 화면을 해지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띄울 수 있다. 여기서,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알림음, 진동 또는 알림 메지시 팝업 등을 통해 알림창을 띄울 수 있다. 휴대 단말(300)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이 알림창을 확인하고 자신의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휴대 단말(300)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다.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은 휴대 단말(300)에 다시 잠금 화면이 설정되는 경우 알림창의 디스플레이가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dule 210 , 220 , or 230 to the mobile terminal 300 ,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at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and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is not recognized. ) may cancel the lock screen. In this case,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may repeatedly display a notification window indicating that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 Here,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may open a notification window through a notification sound, vibration, or a pop-up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check this notification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recognize that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 and may refrain from using the mobile terminal 300 .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may cause the display of the notification window to disappear when the lock screen is set again in the mobile terminal 300 .

사용자 정보 기록 모듈(320)은 사용자 정보 기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이다. 즉,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이 상술한 모듈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예를 들면, 신호의 주파수나 수신 간격 등)이 애플리케이션 상에 사용자 정보로서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이후에 서버(100)로 전송되어 관리자가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user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320 is a module for performing a user information recording function.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the user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320 records user information including data values related to the user's ID, login time, and signal. That is, whe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300 receives a signal by the above-described module, the portab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to log in to the user, and data values related to the user's ID, login time, and signal (eg, the frequency or reception interval of the signal, etc.) may be recorded as user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This user information is then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utilize it as big data.

통신 모듈(330)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와 통신하는 기능이다. 또한, 휴대 단말(300)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210, 220, 또는 230)과도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전술한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30 is a module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i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module 210 , 220 , or 230 through a network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may transmit user record information including data values related to the user's ID, login time, and signal described above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또한, 모듈(210, 220, 또는 230)이 강제로 탈거된 경우, 휴대 단말(300)이 모듈로부터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모듈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모듈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은 관리자의 태블릿 PC 등에서 사용자 정보에 관한 팝업창이 생성되거나, 문자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dule 210 , 220 , or 230 is forcibly removed,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 second signal distinct from the first signal from the module,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300 , the network You can send an alarm about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to the server. At this time, the alarm about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or a pop-up window related to user information on the administrator's tablet PC.

이와 같이, 모듈이 휴대 단말을 통해서 서버로 탈거 등의 상태를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모듈에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칩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module to notify the server of the state of removal or the like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ommunication chip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in the modul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cost do.

GPS 분석 모듈(340)은 GPS 분석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휴대 단말(300)에 탑재된 GPS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이다. 즉, 휴대 단말(300)의 GPS에서 사용자의 속도가 소정 속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블럭창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블럭창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GPS에서 감지된 속도값이 5km/h 이상으로 5초 이상 유지되면, 블럭창이 활성화되며, 속도가 0km/h로 10초 이상 유지되면 블럭창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The GPS analysis module 340 is a module that performs a GPS analysis function, and i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driving by using speed information of the GPS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 That is, when the GPS of the mobile terminal 300 detects that the user's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e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and the block window is activa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currently driving, the block window is closed. can be turned off. For example, when the speed value detected by GPS is maintained at 5 km/h or more for 5 seconds or more, the block window is activated, and when the speed is maintained at 0 km/h for 10 seconds or more, the block window can be turned off.

이 경우, 모듈(220)에 포함된 진동 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됨으로써 모듈(220)에 의해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휴대 단말(300)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by sensing the vibration by the vibration sensor included in the module 220, the recep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module 220 as a trigg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또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삭제된 것에 관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의 관리자는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이 삭제되었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을 재설치하도록 권장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eletes the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may provide an alarm regarding the dele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er 100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300 has been dele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or transmit a message recommending that the application 300 be reinstalled. .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의 배터리 이상이 발생한 경우 휴대 단말이 모듈로부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와 구별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의 배터리 이상에 대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배터리 이상이 발생한 모듈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attery abnormality of the module occurs,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third signal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from the module, the battery abnormality of the module is sent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You can send an alarm.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administrator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for the module in which the battery failure has occurred.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에 일정 기간 이상 로그인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로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300)의 사용자가 3일 이상 로그인하지 않는 경우, 서버(100)를 통해 관리자에게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log in to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300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an alarm may be provided to the server 1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300 does not log in for more than 3 days, a text message may be sent to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server 100 .

또한, 만약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모듈(210, 220, 또는 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300)에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자동 설치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install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300, whe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module 210, 220, or 230, the mobile terminal 300, the installation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installation function to activate the.

또한, 음향 조절 모듈(35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이 휴대 단말(300)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도서관)에 진입하여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휴대 단말(300)의 음향을 조절함으로써 휴대 단말(300)의 음향을 무음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음향 조절 모듈(350)은 휴대 단말(300)의 디바이스 환경(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IOS)에 따라 음향 조절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ound control module 350 enters a specific place (eg, a library) not suitable for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300, when the portab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executed, By adjusting the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300 , the sound of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adjusted to be silent. The sound adjustment module 350 may set different sound adjust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device environment (eg, Android, IOS)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실시예에서, 음향 조절 모듈(350)은 모듈(210, 220 또는 230)의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의 조작과 상관없이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0”(무음)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00)이 특정 장소에서 벗어나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 음향 조절 모듈(350)은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sound control module 35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221 or 231 of the module 210, 220 or 230, the sound level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adjusted regardless of the user's manipulation. It can be controlled with “0” (silence).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located outside the range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 221 or 231 , out of a specific place, the sound control module 350 adjusts the sound level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to the original size. can be restored automatically.

다른 실시예에서, 음향 조절 모듈(350)은 모듈(210, 220 또는 230)의 신호 송신부(211, 221 또는 2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0”(무음)으로 설정하라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띄울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조절 모듈(350)은 알림음, 진동 또는 알림 메지시 팝업 등을 통해 알림창을 띄울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00)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이 알림창을 확인하고 자신의 휴대 단말(300)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무음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음향 조절 모듈(350)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의 음향 크기를 무음으로 변경하는 경우 알림창의 디스플레이가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ound control module 35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er 211 , 221 or 231 of the module 210 , 220 or 230 , the sound level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is set to “0” (silence). ) to repeatedly pop up a notification window asking you to set it. Here, the sound control module 350 may open a notification window through a notification sound, vibration, or a pop-up when a notification message is received. In additio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checks this notification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recognizes that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running in his or her mobile terminal 300, and changes the sound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300 to silence. can The sound control module 350 may cause the display of the notification window to disappear when the user changes the sound level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to silen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sto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CPU(21), RAM(22), 통신 I/F(23), ROM(24), 입출력 I/F(25) 및 GPS 모듈(26)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t may include a CPU 21 , a RAM 22 , a communication I/F 23 , a ROM 24 , an input/output I/F 25 , and a GPS module 26 .

CPU(21)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PU 21 executes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300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various data of the application.

RAM(22) 및 ROM(24)의 메모리에는 사용자 ID, 로그인 시간(년/월/일), 음파/BLE 신호값, 로그인 경과 시간, 이메일, 휴대폰 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GPS에 관한 정보, 모듈의 강제 탈거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ROM(14)에는 휴대 단말(3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CPU(21)에 의해 RAM(22)에 전개되어 실행됨으로써 상술한 휴대 단말(300)의 각 기능 블록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ROM(2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CPU(2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화면 터치 차단 모듈(310), 사용자 정보 기록 모듈(320), 통신 모듈(330), GPS 분석 모듈(340), 음향 조절 모듈(350) 등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memory of RAM 22 and ROM 24, user ID, login time (year/month/day), sound wave/BLE signal value, elapsed login time, user information such as e-mail, mobile phone number,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GPS , information on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etc. may be stored. In addition, a computer program such as softwar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may be stored in the ROM 14 , and the computer program is developed and executed in the RAM 22 by the CPU 21 to be executed.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block of the terminal 300 . In other words, the software stored in the ROM 24 is executed by the CPU 21, so that the screen touch blocking module 310, the user information recording module 320, the communication module 330, the GPS analysis module 340, the sound adjustment A module 350 or the like may be implemented.

통신 I/F(23)는 휴대 단말(300)로부터 서버(100)로 상기 사용자 정보, 모듈의 강제 탈거에 관한 알람 정보,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미접속 또는 삭제 여부에 관한 정보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통신 I/F(23)는 통신 모듈(330)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F 23 functions to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o the server 100, alarm information regarding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and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user has not connected or deleted the application. can That is, the communication I/F 23 may function as a part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30 .

입출력 I/F(25)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과 휴대 단말(300)의 출력 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I/F(25)는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일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상에 표시된 GUI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지시가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GPS 모듈(26)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속도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The input/output I/F 25 may perform an interface function for an input from a user and an output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 For example, the input/output I/F 25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and an instruction performed by a user may be input based on a GUI displayed on a display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GPS module 26 func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by detect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spe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모듈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신호를 휴대 단말에 송신한다(S11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신호란 사용자의 휴대 단말(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이다.First, the module transmits a fir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at regular time intervals (S1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ignal is a signal for executing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or storage medium).

다음으로, 감지 센서에 의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 모듈이 탈거되지 않았으면(NO) 신호의 송신을 계속 진행하며, 만약 모듈이 강제로 탈거된 경우(YES)에는 모듈 제어부가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상태를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로 제어한다(S13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by the detection sensor (S1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module is not removed (NO),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 continues, and if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YES), the module control unit sets the stat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e to the first signal,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signal. 2 signals are controlled (S130).

그리고, 모듈은 다시 제2 신호를 휴대 단말에 송신하여(S140), 모듈이 강제 탈거되었다는 것에 대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한다.Then, the module again transmits the second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S140), so as to provide an alarm for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휴대 단말(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모듈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블럭창을 활성화 시킨다(S210). 이 때, 휴대 단말 상에 블럭창이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을 사용하고자 터치하더라도 휴대 단말이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irst, whe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or storage medium)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the module,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o activate the block window (S210). At this time, when the block window is activated on the portable terminal, even if the user touches to use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from operating.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상에 기록하며(S220), 기록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로 송신된다(S230).In additio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ID, login time and signal related data values are recorded on the application (S220), and the recorded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S230).

한편,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어 모듈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모듈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240).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and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dul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 alarm about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S240).

이처럼, 모듈이 서버와 직접 통신하지 않고, 휴대 단말을 통해서 서버로 탈거 등의 상태를 알리도록 함으로써, 모듈에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칩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module does not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server, and by notifying the server of the status of remova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ommunication chip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in the modul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1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교실, 강의실, 도서관, 박물관 등)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11, the module 210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a classroom, a lecture room, a library, a museum, etc.), the user's mobile terminal ( 3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executing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먼저,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21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신호를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휴대 단말(300)로 송신한다(S110). 여기서, 모듈(210)로부터 특정 주파수로 송신되는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에 설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활성화)시키는 신호이다.First, the module 210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ransmits a first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t regular time intervals (S110). Here, the signal transmitted at a specific frequency from the module 210 is a signal for executing (activating)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300 as described above.

사용자가 모듈(210)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범위에 진입하면,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300)에 설치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휴대 단말(300)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활성화시킨다(S120).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300)을 터치하더라도 휴대 단말의 각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user enters the rang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e 210,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ing the signal is automatically executed, so that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not touched Activate the block window (S120). Accordingly, even when the user touches the portable terminal 300 , each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not be executed.

다음으로,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상에 기록한다(S130).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록된 사용자 정보는 이후에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전송된다(S140).Next,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ID, login time, and signal related data values are recorded o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130). The use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pplication is then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S140).

모듈(210)은 감지 센서를 통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만약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YES), 기존의 제1 신호와는 구별되는 제2 신호를 휴대 단말(300)에 송신한다(S160). The module 210 determines whether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S15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YES), a second signal distinct from the existing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S160).

휴대 단말(300)이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170). 따라서, 서버의 관리자는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었다는 것을 인지하고, 탈거된 모듈(210)을 다시 부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 signal regarding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210, it transmits an alarm regarding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210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S170). Accordingly,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er may recognize that the module 210 has been forcibly removed, and may take measures such as reattaching the removed module 210 .

이와 같이, 모듈이 휴대 단말을 통해서 서버로 탈거 등의 상태를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모듈에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칩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module to notify the server of the state of removal or the lik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ommunication chip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in the modul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ducing cost. .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서는 모듈(220)에 구비된 진동 센서(225)에 의해 감지된 진동이 소정의 크기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310), 감지된 진동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제1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점 이외에는 그 이후의 동작(S320 내지 S350)은 도 9에서의 모듈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bration sensed by the vibration sensor 225 provided in the module 2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ze (S31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first signal only when the detected vib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Except for the points, subsequent operations ( S320 to S350 ) are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module in FIG. 9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2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7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20)에는 진동 센서(225)가 포함되어,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3 , the module 220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the us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the driver's seat of a car), and the mobile terminal 300 is a mobile terminal of the user. and may be configured to send a signal to launch an anti-usage application. In particular, the module 220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of FIG. 7 includes a vibration sensor 225 and is configured to detect vibra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먼저, 모듈(220)의 진동 센서에 의해 소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만약 감지된 진동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모듈(22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제1 신호를 휴대 단말로 송신한다(S220).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a vibration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s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of the module 220 (S210). If the sensed vibr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and the module 220 transmits the first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at regular time intervals ( S220 ).

휴대 단말(300)이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활성화한다(S230).Wh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the signal,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executed to activate a block window that prevents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touched (S230).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고(S240-), 기록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S250). Whe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executed, the application records user information including data values related to the user's ID, login time and signal (S240-), and transmits the recorded user information to the server 100 ( S250).

모듈(220)은 감지 센서를 통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만약 모듈(220)이 강제로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YES),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휴대 단말(300)에 송신한다(S270). The module 220 determines whether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S2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ule 220 is forcibly removed (YES), a second signal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S270).

휴대 단말(300)이 모듈(220)의 강제 탈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220)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280).Wh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 signal regarding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220, it transmits an alarm regarding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220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S280).

도 13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은 모듈(220)이 진동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1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FIG. 13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of FIG. 11 except that the module 2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driving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모듈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GPS를 통해 사용자의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만 블럭창을 활성화시키는 구성(S420)만이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S410, S430 내지 S460)은 도 10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Even i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FIG. 14 receives the first signal from the module, only the configuration (S420) that detects the user's speed through GPS and activates the block window only when the detected spe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S420) However, since the remaining components ( S410 , S430 to S460 ) are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FIG. 1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모듈(210)은 특정 장소(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휴대 단말(300)로 휴대 단말 사용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5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또는 휴대 단말(300))에는 GPS 분석 기능이 포함되어, GPS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module 210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eg, the driver's seat of a car), and is carried by the user's mobile terminal 300 .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to run th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r the mobile terminal 300 )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of FIG. 15 includes a GPS analysis fun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driving through GPS information.

모듈(210)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듈(210)로부터 신호를 송신한다(S310).The module 210 transmits a signal from the module 210 at regular time intervals (S310).

휴대 단말(300)이 모듈(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은 GPS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속도를 감지한다. 만약, GPS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이라면(YES),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라고 판단한다(S320).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module 210 ,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detects the user's current speed through GPS. If the user's speed detected by the GP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ed (YE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S320).

GPS 분석 모듈(340)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운전 중이라고 판단되면, 휴대 단말(300)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활성화한다(S330).If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GPS analysis module 340 that the user is currently driving, a block window that prevents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300 from being touched is activated (S330).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고(S340-), 기록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100)로 송신한다(S350). Whe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executed, the application records user information including data values related to the user's ID, login time and signal (S340-), and transmits the recorded user information to the server 100 ( S350).

모듈(210)은 감지 센서를 통해 모듈이 강제로 탈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0). 만약 모듈(210)이 강제로 탈거되었다고 판단되면(YES), 제1 신호와 구별되는 제2 신호를 휴대 단말(300)에 송신한다(S370). The module 210 determines whether the module is forcibly remov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S3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ule 210 is forcibly removed (YES), a second signal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S370).

휴대 단말(300)이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0)로 모듈(210)의 강제 탈거에 대한 알람을 송신한다(S380).When the mobile terminal 300 receives a signal regarding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210, it transmits an alarm regarding the forced removal of the module 210 to th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S380).

도 15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은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또는 휴대 단말(300))이 GPS 분석 기능을 포함하여, GPS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 이외에는 도 11의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FIG. 15 is shown in FIG. 11 except that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or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 GPS analysis function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driving through GPS information.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도 13 및 도 15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모듈(220)의 진동 센서(225)에서 감지된 진동이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만약 진동이 기준치 이상이라면, 모듈(220)로부터 휴대 단말(300)로 신호를 송신하며, 휴대 단말(300)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GPS를 통해 휴대 단말의 이동 속도를 판단함으로써,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FIGS. 13 and 15 .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bration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225 of the module 2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and if the vib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dule 220 to the mobile terminal 300 , and the mobile terminal By determining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GPS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signal in 300 as a trigger,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o execute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을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진동 센서(225)로 진동을 감지할 때에만 모듈(220)이 제1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단말(300)은 제1 신호를 수신할 때 대기(수면) 모드에서 웨이크업 되며, 그 이후에는 GPS 모듈을 활용하여 실제 이동중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2중의 판단으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듈 및 휴대 단말이 상시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배터리 효율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the module 220 transmits the first signal only when the vibration sensor 225 detects a vibr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300 transmits the first It wakes up from standby (sleep) mode when receiving a signal, and after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you are actually moving by using the GPS module. That is, accuracy can be improved by double determination, and battery efficienc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do not operate in the always active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의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이나 장소에서 휴대 단말의 사용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운전 중 휴대 단말 사용으로 인한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공공 장소에서 타인에게 미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cibly blocking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in situations or places where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s not suitable,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driving It can prevent traffic accidents in advance and prevent damage to others in public plac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모듈로서,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음파 신호 및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상기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모듈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신호 송신부에서 생성되는 상기 신호의 상태를 조정하도록 상기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 및
기 설정된 그룹 별로 상기 신호에 포함된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마이너 넘버의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신호 설정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모듈.
A modul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o transmit a signal for executing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o a user's mobile terminal,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ound wave signal and a Bluetooth Low Energy (BLE) signal at regular time intervals to the portable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ation where the module is installed;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network;
a modul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ignal transmitter to adjust the state of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dule; and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module including a signal setting unit for differently setting codes of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minor number included in the signal for each preset grou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파 신호는 미리 정해진 패턴을 갖는 초음파 신호를 포함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wave signal module includes an ultrasonic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신호를 특정 시간 간격으로 특정 시간 내에 여러 번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ignal transmitter
A module that continuously transmits the signal several times within a specific time interval at a specific time interv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그룹의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상기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실행 제어 코드와, 상기 모듈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minor number is
A module comprising: an execution control code for independently activating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of a corresponding group in response to the signal; and a status cod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modul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행 제어 코드는
상기 신호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하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필요한 그룹의 개수 보다 크거나 같은 수에 해당하는 비트 수를 갖도록 설정되는 모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xecution control code is
A module configured to have a number of bits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independently controlled groups located within the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the sig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설정부는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 간의 간격에 따라, 상기 실행 제어 코드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가 특정 간격 이상인 경우, 상기 실행 제어 코드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ignal setting unit
A module for setting the execution control code differently according to an interval between the positions where the modules are installed, and setting the execution control code identically when the positions where the modules are installed are more than a specific interv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설정부는
상기 신호가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인 경우, 상기 모듈의 정상, 탈착, 배터리 이상, 이상 동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상태 코드를 다르게 설정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ignal setting unit
When the signal is the low-power Bluetooth signal, a module configured to differently set the status code in response to at least one of a normal, detachable, battery abnormal, and ab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의 유효 전송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휴대 단말에 상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 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tter
A module for broadcasting the signal to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within an effective transmission range of a location where the module is insta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설정부는
상기 모듈이 설치된 위치, 넓이,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범용 고유 식별자 마이너 넘버를 설정 및 변경하는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gnal setting unit
A module for setting and changing the universal unique identifier minor number based on at least one of a location where the module is installed, an area, and an interval.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이 터치되지 않도록 하는 블럭창을 실행시키되, 상기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화면 터치 차단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화면 터치 차단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ID, 로그인 시간 및 상기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 및
상기 휴대 단말의 디바이스 환경에 따라 음향 조절 방식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An application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executed by a processo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a screen touch blocking function in which a screen touch blocking method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vice environ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executes a block window that prevents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being touched upon receiving a signal from a modul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 function of record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ID, login time, and data values related to the signal;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over the network; and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stored in a storage medium comprising a function of setting a different sou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device environment of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에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블록창을 실행시키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pplication
When the signal is received, a specific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to execute the block window.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신호가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의 잠금 화면이 해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에서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다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pplication
When the lock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canceled while the signal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repeatedly displays a notification window indicating that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잠금 화면이 다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알림창의 디스플레이가 사라지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application
When the lock screen is set again,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hat the display of the notification window disappear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조작과 상관없이 상기 휴대 단말의 음향 크기가 무음으로 조정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pplication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 which the sound level of the mobile terminal is adjusted to silence regardless of the user's operation.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특정 장소에서 벗어나 상기 수신하는 범위 밖에 위치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음향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복구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pplication is
When the mobile terminal is outside the receiving range outside the specific place, the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for restoring the sound volume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original siz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신호의 수신시 상기 휴대 단말의 음향 크기를 무음으로 설정하라는 알림창을 반복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pplication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that repeatedly displays a notification window to set the sound level of the mobile terminal to silent when the signal is receiv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 단말에 따라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가 서로 다르게 사전 설정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pplication
A mobile terminal use prevention application in which the execution control code of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minor number is pre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듈의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UUID 마이너 넘버가 포함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UUID 마이너 넘버의 실행 제어 코드와 상기 휴대 단말에 기 설정된 실행 제어 코드를 비교하여 실행 제어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휴대 단말 사용 방지 애플리케이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application
When a signal including the UUID minor number is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of the module, the execution control code of the received UUID minor number is compared with the execution control code preset in the mobile terminal. An active mobile device use prevention application.
KR1020210056775A 2021-04-30 2021-04-30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KR2022014930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75A KR20220149307A (en) 2021-04-30 2021-04-30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KR1020230100812A KR102661256B1 (en) 2021-04-30 2023-08-02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775A KR20220149307A (en) 2021-04-30 2021-04-30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812A Division KR102661256B1 (en) 2021-04-30 2023-08-02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307A true KR20220149307A (en) 2022-11-08

Family

ID=840412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75A KR20220149307A (en) 2021-04-30 2021-04-30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KR1020230100812A KR102661256B1 (en) 2021-04-30 2023-08-02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812A KR102661256B1 (en) 2021-04-30 2023-08-02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49307A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499A1 (en) * 2016-03-22 2017-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limiting usage of application program, and terminal
KR101868959B1 (en) * 2016-09-19 2018-06-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IoT chair and sitting attitude monitoring system
KR102055871B1 (en) * 2018-08-22 2019-12-13 주식회사 컬쳐아일랜드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US10848500B2 (en) * 2018-10-24 2020-11-24 Jamf Softwar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oup-based mobile device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541A (en) 2023-08-11
KR102661256B1 (en)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505B2 (en) Managing iOS-ba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by creative use of callkit API protocols
US11366708B2 (en) Managing functions on an iOS mobile device using ANCS notifications
US9026780B2 (en) Mobile communicator device including user attentiveness detector
EP3624552B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US9026779B2 (en) Mobile communicator device including user attentiveness detector
EP2398286B1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is method
CN104765447A (en) Limiting notification interruptions
WO2014173189A1 (en) Control method for incoming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40323111A1 (en) Control method for incoming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4156062A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unit via magnetic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ethod
US11197124B2 (en) Alert generation based on distance between two wirelessly connected electronic devices
US10104224B2 (en)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a vehicle
KR102055871B1 (en)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KR20220149307A (en) Module and application for preventing the use of mobile terminal
US202302891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video conferencing status with visual status indicator
KR102017015B1 (en) Smart phone use restriction system
CN104166899A (en) Voice interaction method and terminals
CN104796166A (en) Wireless fitting wake-up method and wireless fitting
KR20180084123A (en) Restric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vehicles
CN107134162A (en) Vehicle-mounted automatic station reporting device system
CN106249643A (en) A kind of message informing device
CN106980785B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CN206893103U (en) Vehicle-mounted automatic station reporting device system
KR20160088272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voice input of a mobile terminal by using a moving sensor
KR20230085890A (en) Leisure activit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multi-gas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