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146A -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 Google Patents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146A
KR20220149146A KR1020210056406A KR20210056406A KR20220149146A KR 20220149146 A KR20220149146 A KR 20220149146A KR 1020210056406 A KR1020210056406 A KR 1020210056406A KR 20210056406 A KR20210056406 A KR 20210056406A KR 20220149146 A KR20220149146 A KR 20220149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exit
stopper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2095B1 (en
Inventor
김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큐브
Priority to KR102021005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95B1/en
Publication of KR20220149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which separates the warehousing for vehicle to be parked and warehousing for vehicles to be out, allows a lifting and lowering transport unit to be independently operated so that the parked vehicle can be quickly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ensures that each wheel of the vehicle is accurate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a conveyor belt through a stopper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part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and eliminates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stopper during lateral movement of the vehicle by forming one or more rotating rollers on a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wheel to enable smoother lateral movement.

Description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본 발명은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할 차량의 입고부와 출고부를 분리하고,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이송부를 별도로 독립 운영되도록 하여 입고된 차량을 신속하게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차량의 각 바퀴가 컨베이어 벨트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프론트 바퀴와의 밀착면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이동 시 프론트 바퀴와 스토퍼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한 측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separate a storage unit and an exit unit of a vehicle to be parked, and to independently operate a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 unit that ascends and descends separately to quickly move the stored vehicle up and down And it can be moved horizontally, and each wheel of the vehicle is accurate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onveyor belt through a stopp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that enables smoother lateral movement by removing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a front wheel and a stopper during lateral movement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주차설비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격납 컨베이어에는 해당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이 각각 구비된다.In general, a plurality of containment conveyors provided in a car parking facility of a conveyor type are each provided with driving means including a motor for operating the corresponding conveyor belt.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10-0403484호를 살펴보면,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동력발생장치(501, 502)를 이용하여 차량의 승하강 및 좌우이송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In relation to the related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0403484, which is a prior art, discloses that the prior art uses the power generators 501 and 502 to enable both elevating, lowering, and left and right transfer of the vehicle.

하지만, 상기 기술의 경우, 동력전달 및 변환 과정이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승강엘리베이터와 좌우변환에 복잡한 동력변환과 동력전달장치들이 수반됨에 따라 유지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technology,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and conversion process must be made in on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cost is incurred in maintenance as complex power conversio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 involved in the elevator and left-right conversion.

또한, 상기 기술의 경우, 차량의 프론트 바퀴 및 리어 바퀴 하부와 스토퍼가 밀착되는 경우, 바퀴의 고무 재질에 의해 스토퍼의 밀착면에 강한 마찰력이 형성됨에 따라 원활한 차량 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 technology, when the stopp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a strong friction force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opper by the rubber material of the wheel, thereby preventing smooth vehicle movement.

한국등록특허 제10-0403484호Korean Patent No. 10-0403484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주차할 차량의 입고부와 출고부를 분리하고,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이송부를 별도로 독립 운영되도록 하여 입고된 차량을 신속하게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차량의 각 바퀴가 컨베이어 벨트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프론트 바퀴와의 밀착면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이동 시 프론트 바퀴와 스토퍼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한 측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eparates the storage unit and the exit unit of the vehicle to be parked, and allows the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 unit to be operated separately to quickly vertically move and horizontally move the stored vehicle. Through the stop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each wheel of the vehicle is accurate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onveyor belt, and one or more rotating rollers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ront wheel t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that enables smoother lateral movement by remov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stopper during mov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은 수평멤버 및 수직멤버에 의하여 좌우측이송로가 다층구조로 구성된 주차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동력이 컨트롤 장치를 통해 좌우측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되는 동력전달 과정을 제어하는 클러치장치, 타이밍장치, 차량의 입고부, 이송부 및 출차부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식 승하강 견인과 컨베이어 벨트식 수평 이송을 위한 장치들이 내장된 차량이송장치부 및 상기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로 구성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전후좌우 멤버들로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가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에 접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는 좌측 및 우측 구동 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되는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전달장치의 동력 입출력 제어,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와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501, 150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거리를 제어하는 입출 제어부(10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되는 차량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출 이동부(15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장치(2000) 및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의 전방에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가 밀착되도록 마련되며, 밀착 시 차량이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프론트 바퀴가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스토퍼(7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700)와 상기 프론트 바퀴의 밀착면은 상기 스토퍼(700)와 상기 프론트 바퀴 간 마찰력이 감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generator for supplying power to a parking system in which the left and right transfer paths have a multi-layer structure by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and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power generator. A clutch device that controls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to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through the control device, a timing device, and a device for elevator-type hoisting and traction and conveyor belt-type horizontal transportation are built-in for the warehousing, conveying and exiting parts of the vehicle. In the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apable of accommodating a variety of vehicles composed of a vehicle transpor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vic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510, 610) composed of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members Right guide frames 515 and 615 are installed, and left and right sliders 512 and 612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515 and 615 , and the left side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liders 512 and 612 . and the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are combined entry and exit parking parts 500 and 600 that are rotated in a caterpillar form by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drive sprockets 560 and 660, and the combined entry and exit parking parts 500 and 600 I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ower input and output control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so that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combined entry and exit parking units 500 and 600 can be moved to the left or right, and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move in and out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speed, and rotation distance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501 and 1502 provided in the unit 1500, the left and right clutch units 301 by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302), the entrance/exit moving unit 1500, the entering/exiting control unit 1000, and the entering/exiting moving unit 1500 for moving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entering/exiting parking units 500 and 600 to the left or right. Elevating device 2000 and the front conveyor belt 50 fo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topper 700 that is provid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is in close contact at the front of 1a and 502a, prevents the vehicle from advancing when it is in close contact, and allows the front wheel to be seated on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502a Includ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topper 700 and the front whee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opper 700 and the front whee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벨트는, 요철이 있는 하측유니트(551)와 상측유니트(551a)가 일체로 끼워 맞추어진 컨베이어유니트(u)들과 핀구멍(580)을 통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무한궤도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유니트들에는 체결공(57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77)에는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구동핀(579)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veyor belt provided in the parking unit 500, 600 and the entrance/exit moving unit 1500 has an uneven lower unit 551 and an upper unit 551a that are integrally fitted.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veyor units (u) and the pin hole 580, and a fastening hole 577 is formed in the conveyor units, and a conveyor driving roller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pin 579 of 578 is inser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700)는 스토퍼 하우징(701), 상기 스토퍼 하우징(701)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702) 및 상기 회전축(702)에 마련되는 회전롤러(703)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의해 차량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된 상기 회전롤러(703)가 차량의 이동 방향에 상응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pper 700 includes a stopper housing 701, one or more rotation shafts 702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topper housing 701, and a rotation roller 703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702. Including, when the vehicle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the rotary roller 703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wheel of the vehicle is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d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차할 차량의 입고부와 출고부를 분리하고,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강이송부를 별도로 독립 운영되도록 하여 입고된 차량을 신속하게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stocking part and the exiting part of the vehicle to be parked, and to independently operate the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 part for up and down, so that the stocked vehicle can be quickly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

또한, 차량의 입출고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장치, 차량을 좌우로 이송하게 하는 장치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들이 각각 구성되면서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이송 팔레트를 이용한 차량 입고 방식에 비해 소요 시간 및 소모 동력이 대폭 축소되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device that enables the entering and leaving of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the device that allows the vehicle to be transported left and right, an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m are each configured and organically oper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ime required and compared to the vehicle warehousing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transfer pallet It has the advantage that power consumption is greatly reduced.

또한, 차량의 전륜측 바퀴가 안착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보다 후륜측 바퀴가 안착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을 훨씬 넓게 형성함으로써 차량 별 다양한 축거(wheelbase)를 범용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width of the conveyor belt on which the rear wheel is seated is muc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onveyor belt on which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is seated, it has the advantage of universally satisfying various wheelbases for each vehicle.

또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되는 스토퍼를 통해 차량의 각 바퀴가 컨베이어 벨트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되도록 함은 물론,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를 프론트 바퀴와의 밀착면에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방 이동 시 프론트 바퀴와 스토퍼 간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하여 보다 원활한 측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rough the stop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each wheel of the vehicle is accurate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onveyor belt, and one or more rotating rollers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ront wheel when the vehicle moves sideways.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smoother lateral movement by removing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stopp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구동 스프로킷 및 슬라이더 간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좌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우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 및 입출 이동부(1500)의 다층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설치상태 중 클러치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가 프론트측 및 리어측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 각각 구동 스프로킷과 체결 및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700)의 각도 조정부를 통해 회전축(702)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종 별 주차위치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을 통해 실제 차량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between the conveyor belt, the driving sprocket, and the slider shown in FIG. 1 .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shown in FIG. 1 .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illustrated in FIG. 3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left side of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illustrated in FIG. 3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right side of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illustrated in FIG. 3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and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illustrated in FIG. 3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lutch part in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 7 in more detail.
9 is a view showing the conveyor bel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or belt unit shown in FIG. 9 is provided with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11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conveyor belt and the drive sprocket.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nveyor belt and the rear conveyor belt are engaged and rotated with the driving sprocket, respectively.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70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1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700 shown in FIG. 13 .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rotation shaft 702 is adjusted through the angle adjusting unit of the stoppe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opper 7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parking position for each vehicle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ctual vehicles are accommoda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xamples are presen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ovided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구동 스프로킷 및 슬라이더 간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좌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의 우측 설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출 제어부(1000) 및 입출 이동부(1500)의 다층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설치상태 중 클러치 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 유니트가 프론트측 및 리어측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컨베이어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 각각 구동 스프로킷과 체결 및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700)의 각도 조정부를 통해 회전축(702)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종 별 주차위치를 자동제어하기 위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을 통해 실제 차량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conveyor belt, the drive sprocket and the slider shown in FIG. 1, FIG. 3 is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shown in FIG. 1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shown in FIG. 3 , and FIG. 5 is shown in FIG. It is a view more specif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eft side of the illustrated entry/exit control unit 1000,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ight side of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shown in FIG. 3 in more detail, FIG. 7 is FIG. It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entry/exit control unit 1000 and entry/exit moving unit 1500,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clutch part in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 7 in more detail, and FIG. 9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more specifically the conveyor belt unit of ,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yor belt unit shown in FIG. 9 is provided with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FIG. 11 is a conveyor belt and driving It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sprocket,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conveyor belt and the rear conveyor belt are fastened and rotated with the driving sprocket, respectively, and FIG. 13 shows the stopper 70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It is a view,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700 shown in FIG. 13, and FIG. 15 is a view in which the angle of the rotation shaft 702 is adjusted through the angle adjusting unit of the stopper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70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parking position for each vehicle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7 is a state in which actual vehicles are accommoda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shown.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은 수평멤버 및 수직멤버에 의하여 좌우측이송로가 다층구조로 구성된 주차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동력이 컨트롤 장치를 통해 좌우측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되는 동력전달 과정을 제어하는 클러치장치, 타이밍장치, 차량의 입고부, 이송부 및 출차부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식 승하강 견인과 컨베이어 벨트식 수평 이송을 위한 장치들이 내장된 차량이송장치부 및 상기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로 구성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전후좌우 멤버들로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가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에 접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는 좌측 및 우측 구동 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되는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전달장치의 동력 입출력 제어,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와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501, 150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거리를 제어하는 입출 제어부(10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되는 차량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출 이동부(1500) 및 상기 입출 제어부(10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장치(2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501)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와,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502)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2a)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502b) 중에서, 상기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502b)의 폭이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 보다 넓게 형성된다.First, looking through FIGS. 1 to 3, the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power to the parking system in which the left and right transfer paths are multi-layer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Elevator type for a power generating unit, a clutch device that controls a power transmission process in which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through a control device, a timing device, a vehicle warehousing unit, a transfer unit, and an exit unit In the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apable of accommodating a variety of vehicles, comprising a vehicle transport device with built-in device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raction and conveyor belt-type horizontal transport,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devices, Left and right guide frames 515 and 615 are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510 and 610, and left and right sliders 512 and 612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515 and 615.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liders 512 and 612 are rotated in a caterpillar form by the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drive sprockets 560 and 660. 500, 600), the power input/output control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mbined entry/exit parking unit 500, 600, and enables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entry/exit parking unit 500, 600 to move to the left or right , an entry/exit control unit 100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speed, and rotation distance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501 and 1502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and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the An entrance/exit moving unit 1500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left and right clutch units 301 and 302 by the entrance/exit control unit 1000 and moves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parking unit 500 and 600 to the left or right, and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and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isting device 2000 for moving to. In particular, the front conveyor belt 501a and the rear conveyor belt 501b constituting the left conveyor belt 501, and the front conveyor belt 502a and the rear conveyor belt 502b constituting the right conveyor belt 502) Among them, the width of the rear conveyor belts 501b and 502b is wider than that of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502a.

본 발명에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이나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은 통상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H빔과 같은 구조강이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차량 하중 지지 및 제어장치들의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510 and 610 or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515 and 615 may be made of structural steel such as H-beam, which is commonly used,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vehicle load support and control devices.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for supporting the .

본 발명의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에 마련되는 각 컨베이어 벨트(501, 601)의 회동은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기반으로 구동되도록 하며, 전후좌우멤버들에 의하여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으로부터 연장된 아웃프레임(520)에 의하여 다층구조로 구성된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가 구동된다.The rotation of each of the conveyor belts 501 and 601 provided in the parking units 500 and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ased on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clutch units 301 and 302, and Parking parts 500, 600 for entering and leaving a multi-layer structure by the outframe 520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guide frames 515 and 615 before and after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510 and 610 formed by the members ) is driven.

본 발명에서 도 17에 도시한 것은 실제 차량들을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측과 우측에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가 배치되며, 중앙에는 차량을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승하강장치(2000)가 설치된다.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상부에는 차량을 적재하는 차량적재부(3000)가 설치되며, 이 차량적재부(3000)의 하부에는 좌측 및 우측 구동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하는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벨트(501, 601)로 적재된 차량이 좌우로 임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17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state in which the actual vehicles are accommodated, in which parking units 500 and 600 for entering and leaving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n elevating device 2000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up and down in the center. ) is installed. A vehicle loading unit 3000 for loading a vehicle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king unit 500 and 600 for entry and exi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loading unit 3000 is rotated by the left and right driving sprockets 560 and 660. The vehicle loaded with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rotating in the form of a caterpillar is configured to be arbitrarily movable left and right.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적재 및 배출을 위한 핵심 부분으로써, 정면중앙부에 구동모터(M)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하여 출력축(11)으로 출력하도록 하고, 구동모터(M)의 후방에 회전 감지 센서부(12)가 마련되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출력축(11)에 설치되어 전달된 동력을 입출 제어부(1000)의 컨베이어 벨트에 변환 전달하는 제1 치차(13),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치차(14)들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치차(13)에는 좌우측에 설치된 입출제어부용 구동축(15, 16)에 동력전달수단(101)에 의하여 동력 전달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2 치차(14)에도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좌측 및 우측 전달수단(102)에 의하여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에 연결된 동력전달장치, 상기 동력전달장치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좌측 및 우측 구동스프로킷(560, 660)에 전달되도록 좌측 및 우측 레버(201,201a)와 상기 좌측 및 우측 레버(201,201a)에 대한 동작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좌측 및 우측 유공압실린더부(203, 204)로 구성된 제어기구부를 포함하는 입출 제어부(1000)로 구성된다.4 to 6, as a key part for loading and discharging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M) in the front center portion and output to the output shaft 11, A power generating device in which a rotation detection sensor unit 12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riving motor M, and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11 of the power generating device to convert and transmit the transmitted power to the conveyor belt of the input/exit control unit 1000 The first gear 13 and the second gears 14 for transferring to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are installed, and the first gear 13 has drive shafts 15 and 16 for the entry/exit control unit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to the left and right transmission means 102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also to the second gear 14 ) The left and right levers 201 and 201a and the left side so tha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drive sprockets 560 and 660 by the and an entry/exit control unit 1000 including a control mechanism composed of left and right hydraulic and pneumatic cylinder parts 203 and 204 that enable operation control for the right levers 201 and 201a.

제어기구부는 좌측 및 우측 유공압실린더(203, 204)의 작동로드(203a, 204a)와 연결된 좌측 및 우측 레버(201, 201a)가 핀(206, 206a)을 중심으로 작동로드의 전후진동작에 의하여 작동레버의 선단부(202, 202a)와 연결된 시프트포크(205,205a)가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의 구동축을 향하여 전후진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control mechanism, the left and right levers 201 and 201a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s 203a and 204a of the left and right hydraulic cylinders 203 and 204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round the pins 206 and 206a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operation rod. The shift forks 205 and 205a connected to the front ends 202 and 202a of the operating levers are allow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drive shafts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

본 발명에서 좌우측으로 차량을 이송하거나 출차 시 중앙의 적재부와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해당 공간에 차량의 휠 하부가 걸리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좌측 및 우측 유공압실린더(203, 204)의 작동로드(203a, 204a)와 연결된 좌측 및 우측 레버(201, 201a)의 중앙부근에 좌측 및 우측 타이밍 벨트(220, 220a)의 일단을 연결하고, 이 타이밍벨트(220, 220a)의 타단은 좌측 및 우측 아이들 치차(221, 221a), (222)(222a)를 거쳐 좌측 및 우측 인터록킹 벨트(223, 223a)의 좌측 및 우측 시프트레버(224, 224a)에 연결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loading part and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when the vehicle is transported to the left or right when the vehicle is taken out of the vehicle, 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s wheel is caught in the space, the left and right side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timing belts 220 and 220a is connect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levers 201 and 201a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s 203a and 204a of the hydraulic/pneumatic cylinders 203 and 204, and the timing belt ( The other ends of 220 and 220a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hift levers 224 and 224a of the left and right interlocking belts 223 and 223a via the left and right idle gears 221, 221a, 222 and 222a. do it

본 발명에서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는 중공의 원통형구조인 억셉트 치차(303, 303a)와 싱크로나이져(304, 304a)가 서로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 가능하도록 하되, 억셉트 치차(303, 303a)의 내측면나사홈(305)에 싱크로나이져(304, 304a)의 외측나사돌기(306)가 서로 맞물림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싱크로나이져(304, 304a)의 선단에는 센터링축(307)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억셉트 치차(303, 303a)의 내측 후면부(308)는 스프링(309)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시프트포크의 전후진동작에 연동하여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좌우측에 대한 동력전달을 차량의 진행과 맞추어 진행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clutch parts 301 and 302 have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accept gears 303 and 303a and the synchronizers 304 and 304a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transmit power. The outer screw protrusions 306 of the synchronizers 304 and 304a are configured to engage with each other in the inner surface screw groove 305 of the 303 and 303a, and the front ends of the synchronizers 304 and 304a are centering A shaft 307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inner rear portion 308 of the accept gears 303 and 303a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309 so that it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hift fork.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s matched with the progress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와 입출 이동부(1500)의 컨베이어 벨트구조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veyor belt structure of the parking parts 500 and 600 and the entry/exit moving part 1500 .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살펴보면, 요철이 있는 하측유니트(551)와 상측유니트(551a)가 일체로 맞물린 컨베이어유니트(u)들이 핀구멍(580)에 의하여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무한궤도형태로 구성하며, 이 컨베이어유니트들에는 체결공(577)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77)에는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구동 핀(579)이 삽입되어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회동으로 컨베이어에 실린 차량이 측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9 to 12, the conveyor units (u) in which the lower unit 551 and the upper unit 551a with irregularities are integrally engaged are formed in a caterpillar shap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n hole 580. and fastening holes 577 are formed in these conveyor units. The driving pin 579 of the conveyor driving roller 578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577, and the vehicle loaded on the conveyor is moved laterally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driving roller 578.

이때, 좌측 컨베이어 벨트(501)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 우측 컨베이어 벨트(502)를 구성하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2a)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 리어 컨베이어 벨트(502b)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에 있어서,At this time, the lower unit 551 and upper unit 551a applied to the front conveyor belt 501a constituting the left conveyor belt 501, the lower unit 551 and the upper unit applied to the rear conveyor belt 501b ( 551a), a lower unit 551 and an upper unit 551a applied to the front conveyor belt 502a constituting the right conveyor belt 502, a lower unit 551 and an upper unit applied to the rear conveyor belt 502b The method of (551a),

각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502b)에 해당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의 길이(d2)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601a)에 해당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의 길이(d1)에 비해 길이가 훨씬 길게 형성된다. 이는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601b)의 폭이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601a)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축거(wheelbase)가 짧은 경차에서부터 축거가 긴 대형차에 이르기까지 모든 차종에 대해 범용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The length d2 of the lower unit 551 and upper unit 551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ar conveyor belts 501b and 502b is the lower unit 551 and the upper unit 551a corresponding to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601a. ) is formed to be much longer than the length d1. This means that the width of the rear conveyor belts 501b and 601b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601a. can be applied universally.

또한, 실시예에서는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601b)에 적용되는 하측 유니트(551) 및 상측 유니트(551a)가 앞서 살펴본 형상과 다르게 다수의 부분으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lower unit 551 and the upper unit 551a applied to the rear conveyor belts 501b and 601b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differently from the aforementioned shape.

이러한 점은, 컨베이어구동롤러(578) 또한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601b)의 부분 수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모든 컨베이어구동롤러(578)가 함께 작동되는 것이 아닌, 차량의 축거에 따라 실제 리어측 휠이 안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컨베이어구동롤러(578)만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This means that a plurality of conveyor driving rollers 578 may also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s of the rear conveyor belts 501b and 601b, and not all of the conveyor driving rollers 578 are oper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wheelbase, only the conveyor driving roller 578 of the conveyor belt on which the actual rear wheel is seated can be selectively driven.

또한, 본 발명의 스토퍼(700)는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의 전방에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가 밀착되도록 마련되며, 밀착 시 차량이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걸림턱 역할을 함과 동시에, 프론트 바퀴가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정확히 위치 및 안착되도록 하며, 특히 스토퍼(700)와 프론트 바퀴 간 마찰력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ront conveyor belt, and serves as a stumbling block to prevent the vehicle from moving forward when in close contact,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wheel is attached to the front conveyor belt It may be precisely positioned and seated on the top, and in particular, it may be configured to remov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opper 700 and the front wheel.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5 .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스토퍼(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스토퍼(7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700)의 각도 조정부를 통해 회전축(702)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70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FIG. 1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opper 700 shown in FIG. 13, and FIG. 15 is a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rotation shaft 702 is adjusted through the angle adjusting unit of 700 .

도 13 및 도 14를 함께 살펴보면, 스토퍼(700)는 스토퍼 하우징(701), 스토퍼 하우징(701)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702) 및 회전축(702)에 마련되어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703)로 구성된다.13 and 14 together, the stopper 700 is provided on the stopper housing 701, one or more rotation shafts 702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stopper housing 701, and the rotation shaft 702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rotating roller 703 that can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이때, 회전롤러(703)는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며, 입출 이동부(1500)에 의해 차량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송되는 경우 프론트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프론트 바퀴와의 마찰력이 제거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otary roller 703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transport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it rotates in a fron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o remove the frictional force of

차량의 바퀴는 고무재질이기 때문에, 스토퍼(700)에 회전롤러(703)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스토퍼(700)의 밀착면에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측방 이동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소음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롤러(703)가 차량의 이송 방향에 상응하도록 회전하면서 이를 방지하는 것이다.Since the wheels of the vehicle are made of rubber, when the rotation roller 703 is not provided in the stopper 700,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stopper 700, which not only interferes with lateral movement, but also noise may be generated. . Accordingly, the rotation roller 703 is rotated to correspond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vehicle to prevent this.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스토퍼(700)는 도 15와 같이, 프론트 바퀴와 회전롤러(703)가 밀착되는 순간, 프론트 바퀴의 하부와 회전롤러(703)가 이루는 각도를 센싱한 후,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최대한의 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회전축(702)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차의 경우 휠 사이즈가 16인치에서 17인치로 작게 형성되고, 대형 SUV의 경우 크게는 23인치 까지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종류에 따라, 차량 크기에 따라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서로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각도 조정부에서는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서로 이루는 각도를 센싱한 후, 만약 최대한으로 밀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회전축(702)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회전롤러(703)와 프론트 바퀴의 하부가 최대한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topper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angl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and the rotating roller 703 at the moment when the front wheel and the rotating roller 703 are in close contact, as shown in FIG. 15 , and then rotates It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not shown)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rotation shaft 702 so that the roller 70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ximum are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mpact car, the wheel size is formed as small as 16 inches to 17 inches, and in the case of a large SUV, it may be formed as large as 23 inches. In addition, sinc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rotating roller 70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and the size of the vehicle, the angle adjusting unit sense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rotating roller 70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After tha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 shaft 702 and the ground are not in close contact, the rotational roller 70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can be in close contact to the maximum by adjusting the angle.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스토퍼(700)는 프론트 바퀴가 회전롤러(703)에 밀착되는 순간, 회전롤러(703)에 가해지는 밀착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댐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이 전진하여 프론트 바퀴가 스토퍼(700)의 회전롤러(703)를 과도하게 미는 경우 회전축(702)이 이탈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회전축(702)과 연결된 댐퍼가 프론트 바퀴로부터 가해지는 밀착력을 일부 상쇄시킴으로써 회전축(702)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stopper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amper (not shown) for attenuating the adhesion force applied to the rotating roller 703 at the moment the front whee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ng roller 703 . can This is because, when the vehicle advances and the front wheel excessively pushes the rotating roller 703 of the stopper 700, the rotating shaft 702 may be separated or damaged. By partially offsetting the rotation shaft 702 is to be protected.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와 리어 컨베이어 벨트(501b, 502b) 사이에는 차량진입감지스위치(580)가 마련되고, 상기 차량진입감지 스위치(580)는 차량 진입 시 차량 바퀴의 압력을 감지하여 메인컨트롤러에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의 전방에 마련된 스토퍼(700)가 유공압실린더(582)에 의해 수직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가 스토퍼(700)에 접하면서 차량의 전진이 제한됨에 따라, 프론트 바퀴 및 리어 바퀴가 각각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 및 리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정확히 안착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a vehicle entrance detection switch 580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502a and the rear conveyor belts 501b and 502b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and the vehicle entrance detection switch 580 detects the pressure of the vehicle wheels upon entering the vehicle and applie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so that the stopper 700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502a vertically protrudes by the hydraulic/pneumatic cylinder 582 can make it happen Accordingly, as the vehicle's front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700 and the vehicle's advance is restricted,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correctly seated on the front conveyor belt and the rear conveyor belt, respectiv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4)

수평멤버 및 수직멤버에 의하여 좌우측이송로가 다층구조로 구성된 주차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동력이 컨트롤 장치를 통해 좌우측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되는 동력전달 과정을 제어하는 클러치장치, 타이밍장치, 차량의 입고부, 이송부 및 출차부에 대하여 엘리베이터식 승하강 견인과 컨베이어 벨트식 수평 이송을 위한 장치들이 내장된 차량이송장치부 및 상기 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위한 컨트롤부로 구성된 다양한 차량을 수용 가능한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전후좌우 멤버들로 구성된 좌측 및 우측 지지 프레임(510, 610)의 전후에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가이드 프레임(515, 615)에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가 배치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에 접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는 좌측 및 우측 구동 스프로킷(560, 660)의 회동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회동되는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된 차량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동력 전달장치의 동력 입출력 제어,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와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501, 1502)의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 거리를 제어하는 입출 제어부(10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에 의해 좌측 및 우측 클러치부(301, 30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로부터 이송되는 차량을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입출 이동부(1500);
상기 입출 제어부(10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장치(2000); 및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의 전방에서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가 밀착되도록 마련되며, 밀착 시 차량이 전방으로 전진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프론트 바퀴가 상기 프론트 컨베이어 벨트(501a, 502a)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스토퍼(7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700)와 상기 프론트 바퀴의 밀착면은,
상기 스토퍼(700)와 상기 프론트 바퀴 간 마찰력이 감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supplies power to a parking system in which the left and right transfer paths are multi-layer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members, and a power transmission process in which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through a control device Th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clutch device, the timing device, the vehicle transporting device part and the devices in which the devices for elevator-type lifting and lowering traction and conveyor belt-type horizontal transport are built for the vehicle storage unit, the transport unit and the exit unit. In the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composed of parts,
Left and right guide frames 515 and 615 are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510 and 610 composed of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members, and left and right sliders ( 512 and 612 are disposed, and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and 601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sliders 512 and 612 are rotated in a caterpillar form by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sprockets 560 and 660 Combining entrance and exit parking units (500, 600);
It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ombined entry and exit parking units 500 and 600, and controls the power input/output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so that the vehicle transported from the combined entry and exit parking units 500 and 600 can be moved to the left or right, the left and right sides an entry/exit control unit 100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speed, and rotation distance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501 and 1502 provided on the conveyor belts 501 and 601 and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
An entrance/exit moving unit 1500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left and right clutch units 301 and 302 by the entrance/exit control unit 1000 and moves the vehicle transferred from the parking unit 500 and 600 to the left or right. ;
an elevating device 2000 for moving the entry/exit control unit 1000 and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502a,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advance forward and the front wheel is seated on the front conveyor belts 501a and 502a. and a stopper 700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stopper 700 and the front wheel is,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so a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opper (700) and the front w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슬라이더(512, 612)의 상측단은 상기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501, 601)의 하측 유니트(551)의 외측저면과 직접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liders (512, 612) are arrang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unit (551)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501, 601), a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겸용 주차부(500, 600) 및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마련되는 컨베이어 벨트는, 요철이 있는 하측유니트(551)와 상측유니트(551a)가 일체로 끼워 맞추어진 컨베이어유니트(u)들과 핀구멍(580)을 통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무한궤도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유니트들에는 체결공(57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77)에는 컨베이어구동롤러(578)의 구동핀(579)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yor belt provided in the parking parts 500, 600 and the entry/exit moving part 1500 is a conveyor unit (u) in which an uneven lower unit 551 and an upper unit 551a are integrally fitted.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eld and a pin hole 580, and a fastening hole 577 is formed in the conveyor units, and a driving pin of the conveyor driving roller 578 is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577. A belt-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579)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700)는,
스토퍼 하우징(701);
상기 스토퍼 하우징(701)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702); 및
상기 회전축(702)에 마련되는 회전롤러(703);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 이동부(1500)에 의해 차량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차량의 프론트 바퀴 하부와 밀착된 상기 회전롤러(703)가 차량의 이동 방향에 상응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기계식 주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pper 700,
stopper housing 701;
one or more rotation shafts (702)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topper housing (701); and
It includes; a rotary roller 703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702.
Belt typ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ehicle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entry/exit moving unit 1500, the rotary roller 703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wheel of the vehicle is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mechanical parking system.
KR1020210056406A 2021-04-30 2021-04-30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KR1026220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06A KR102622095B1 (en) 2021-04-30 2021-04-30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06A KR102622095B1 (en) 2021-04-30 2021-04-30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46A true KR20220149146A (en) 2022-11-08
KR102622095B1 KR102622095B1 (en) 2024-01-09

Family

ID=8404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406A KR102622095B1 (en) 2021-04-30 2021-04-30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09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756A (en) * 1992-07-31 1994-04-05 Toyo Umpanki Co Ltd Car conveying device
KR100403484B1 (en) 2000-10-20 2003-10-30 백윤강 Garrage tower system
KR20100080307A (en) * 2008-12-30 2010-07-08 백윤강 Multilayer type garrage system
JP2012041730A (en)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Car-stop and car-stop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756A (en) * 1992-07-31 1994-04-05 Toyo Umpanki Co Ltd Car conveying device
KR100403484B1 (en) 2000-10-20 2003-10-30 백윤강 Garrage tower system
KR20100080307A (en) * 2008-12-30 2010-07-08 백윤강 Multilayer type garrage system
JP2012041730A (en)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Car-stop and car-stop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095B1 (en)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810B1 (en) Multilayer type garrage system
US6626282B1 (en) Transfer system
US7008164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KR100303008B1 (en) Pallet sliding device of parking system
EP1306342A1 (en) Passenger conveyor
KR20220149146A (en)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US6986417B2 (en) Transfer system
KR20180085902A (en)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JP4785859B2 (en) Automatic transfer system
KR20220149145A (en) Belt type mechanical parking system for accommodating various vehicles
KR100403484B1 (en) Garrage tower system
JP3830406B2 (en) Stopper control device for stacker crane
KR101893286B1 (en)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KR20190013330A (en) Vehicle transport device for parking system
WO2006107147A1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and providing load
JP3122441B1 (en) lift device
JP2752310B2 (en) Assembly trolley conveyor
KR20180085903A (en)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KR0151104B1 (en) Automated guided vehicle
JP2532336Y2 (en) Conveyor drive interlocking device for conveyor transfer delivery type parking device
JP2001146852A (en) Parking device
JP2581619Y2 (en) Transfer device
JP3456079B2 (en) Car lifting equipment
JPH0281815A (en) Horizontal rotary shelf
JP3295064B2 (en) Parking facilities and gap closing devices for parking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