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938A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938A
KR20220148938A KR1020227037024A KR20227037024A KR20220148938A KR 20220148938 A KR20220148938 A KR 20220148938A KR 1020227037024 A KR1020227037024 A KR 1020227037024A KR 20227037024 A KR20227037024 A KR 20227037024A KR 20220148938 A KR20220148938 A KR 2022014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information
tracto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0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1575B1 (en
Inventor
고헤이 오구라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4701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0838A/en
Publication of KR2022014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9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5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
표시 제어부는, 전원 투입 후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후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작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기간 경과 후에 표시가 종료되는 제 1 화면과,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사용에 관한 면책 사항을 표시하는 제 2 화면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조작부 및 지도 정보가 표시되고, 그들 복수의 조작부 중, 하나의 조작부가 선택됨으로써 다른 화면으로 천이하는 제 3 화면을 순차 표시시킨다.
Displaying a screen on the display unit that can improve the user's operability.
The display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screen in which the display is termin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electable operation unit is not displayed after power is turned on or after the application is started, and disclaimers related to the use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A second screen to be displayed, a plurality of user-selectable operation units and map information are displayed, and a third screen for transitioning to another screen when one operation unit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is sequentially displayed.

Description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주행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에 대하여, 그 자율 주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autonomous driving to and from an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at autonomously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travel route.

상기와 같은 자율 주행 작업 차량에서 자율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를 조작하여, 자율 주행 작업 차량에 대하여 자율 주행의 개시 등의 각종 지시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In the case of autonomous driv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ope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give various instructions such as starting autonomous driving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Reference).

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표시부의 화면에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상태나 각종 지시를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 등이 표시되어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such as a display, an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he state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an operation unit for executing various instructions, and the like are displayed.

국제 공개 제2015/11926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5/119263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을 자율 주행시켜 원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무선 통신 장치를 조작하므로, 조작성이 좋은 무선 통신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무선 통신 장치에서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상태나 각종 지시를 실시하기 위한 조작부 등이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될 뿐으로,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그다지 의식시키고 있지 않아, 이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When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is autonomously driven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the user ope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ood operability is required. However,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state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and the operation unit for executing various instructions are on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operability is not very conscious. ,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respect.

이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In view of this situation,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on a display unit a screen capable of improving the user's operability.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주행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와,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at autonomously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driving route;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전원 투입 후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후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조작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기간 경과 후에 표시가 종료되는 제 1 화면과,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사용에 관한 면책 사항을 표시하는 제 2 화면과,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조작부 및 지도 정보가 표시되고, 그들 복수의 조작부 중, 하나의 조작부가 선택됨으로써 다른 화면으로 천이하는 제 3 화면을 순차 표시시키면 바람직하다.The display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screen on which display is terminat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a state in which a user-selectable manipulation unit is not displayed after power is turned on or an application is started; It is preferable to sequentially display a second screen for displaying a second screen, a plurality of user selectable operation units and map information are displayed, and a third screen for transitioning to another screen when one operation unit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본 구성에 의하면, 표시 제어부는, 제 1 화면과 제 2 화면과 제 3 화면으로 순차 표시시키므로, 면책 사항을 빠른 단계에서 표시시킴으로써, 면책 사항의 확인을 빠른 단계에서 적절히 받을 수 있다. 이로써, 제 3 화면에서 조작을 실시하고 있는 도중이나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직전 등, 사용자가 최대한 번거로움을 느끼지 않는 타이밍에 면책 사항을 표시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면책 사항이 확인된 후에, 복수의 조작부 및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제 3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 화면에서 지도 정보를 확인하면서 각종 조작을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복수의 조작부 중, 하나의 조작부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화면으로 천이하는 점에서, 조작부에 대한 선택을 실시한 것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display control unit sequentially displays the first screen, the second screen, and the third screen, by displaying the exempt matter at an early stage, confirmation of the exempt matter can be appropriately received at an early stage. Thereby, the disclaimer can be displayed at a timing in which the user does not feel the inconvenience as much as possible, such as during the operation on the third screen or just before starting the autonomous driving, so that the user's oper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may display a third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and map information are displayed after the disclaimer is confirm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while checking the map information on the third screen, and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to transition to another screen by selecting the operation unit. It can also be recognized, so that the user's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3 화면에 있어서 지도 정보를 표시시킬 때에, 전회,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이 자율 주행을 실시했을 때의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에 관한 전회 작업 위치 정보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면 바람직하다.The display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llow identification of work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when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performed autonomous driving last time when the map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hird screen. It is preferable to indicate

본 구성에 의하면, 표시 제어부는, 지도 정보를 표시시킬 때에, 전회 작업 위치 정보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므로, 사용자는, 전회,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이 자율 주행을 실시한 포장 (圃場) 등의 작업 영역이 어느 영역이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전회, 포장 등의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 도중에 자율 주행을 종료한 경우에도, 그 포장 등의 작업 영역이 어느 작업 영역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 도중의 작업 영역에서 자율 주행을 개시시켜, 작업 도중의 작업을 계속해서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the previous work posi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so as to be identifiable,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work area, such as a pavement, where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performed autonomously last time. It is easy to recognize which area it is. In this way, for example, even when autonomous driving is terminated during work in the work area such as the last time, paving, etc.,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which work area the work area such as the pavement is in the work area in the middle of the work. Autonomous driving can be started, and work in the middle of work can be continued.

본 발명은,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자율 주행의 개시 전에, 상기 주행 경로를 포함한 작업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이고,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work screen including the travel route before starting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그 작업 화면에 있어서, 좌우 일단부에 자율 주행의 개시를 지시 가능한 개시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좌우 타단부에 자율 주행의 정지를 지시 가능한 정지 조작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개시 조작부와 상기 정지 조작부 사이에는 상기 주행 경로에 대한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편차 정보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In the work screen, a start operation unit capable of instructing the start of autonomous driving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stop operation unit capable of instructing stop of autonomous driving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n the left and right, and further, the start operation unit and the It is preferable that a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indicating a deviation in the posi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is disposed between the stop operation units.

본 구성에 의하면, 자율 주행의 개시 전에 표시되는 작업 화면에 있어서, 편차 정보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차 정보 표시부를 봄으로써, 주행 경로에 대하여 그 가로폭 방향에서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가 얼마나 어긋나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자율 주행의 개시 전에, 자율 주행 개시 위치에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을 이동시키는 위치 맞춤을 실시하기 쉬워져, 무선 통신 장치를 유효하게 활용하면서, 자율 주행을 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시 조작부와 정지 조작부 사이에 편차 정보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차 정보 표시부에서 주행 경로에 대한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의 편차를 확인하면서, 개시 조작부나 정지 조작부를 조작할 수도 있는 점에서, 개시 조작부나 정지 조작부의 조작을 실시하기 쉬워,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work screen displayed before the start of autonomous driving, the user sees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It can be easily recognized how far off is. This makes it easier to align the position of moving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o the autonomous driving starting position before starting autonomous driving, so that autonomous driving can be started while effectively utiliz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start operation unit and the stop operation unit, the user may operate the start operation unit or the stop operation unit while checking the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in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From this, it is easy to operate a start operation part and a stop operation part, and the improvement of operability can be aimed at.

본 발명은,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되고, 또한, 소정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상기 주행 경로를 포함한 작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may display a work screen including the travel path on the display unit when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can be displayed in

상기 소정 조건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한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이 취득한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ncludes that the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acquired by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incide with each other.

본 구성에 의하면, 표시 제어부는, 송신한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와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이 취득한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가 일치한다는 소정 조건이 성립하고 처음으로, 작업 화면을 표시시키므로, 사용자는, 작업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그 후의 조작 등을 안심하고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work screen for the first time after a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the transmitted travel route information and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match is established, so that the user can By confirming that this is displayed, it can be easily recognized that the transmission of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is being performed normally, and subsequent operations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with confidence.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조작부에는, 이전에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한 과거의 주행 경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재작업 조작부가 포함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includes a rework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work on a past travel route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재작업 조작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과거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소정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상기 작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면 바람직하다.The display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work screen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without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past travel route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when the rework operation unit is selected. desirable.

본 구성에 의하면, 표시 제어부는, 재작업 조작부가 선택된 경우, 과거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과거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작업 화면을 원활하게 표시시킬 수 있어, 자율 주행을 개시시키기 위한 조작 작업의 간소화 및 그 조작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ework operation unit is selected, the display control unit does not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ast travel route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e work screen can be displayed while reducing the time. Thereby, a work screen can be displayed smoothly, and the simplification of the operation work for starting autonomous driving and shortening of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work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과거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상기 작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전에, 작업 준비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task before displaying the work screen on the display unit, regardless of whether the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or the information on the past travel route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 prepar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본 구성에 의하면, 작업 화면을 표시시키기 전에는,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 또는 과거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표시 제어부가 공통의 작업 준비 화면을 표시시키므로, 사용자는, 작업 준비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그 다음에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는 표시 순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 화면이 그 표시 순서로 되어 있는지에 의해, 자기의 조작이 적절한 조작인지 등을 확인할 수도 있어, 안정된 조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efore displaying the work scree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common work preparation screen, regardless of whether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or information on the past travel route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By confirming that the job preparation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isplay order that the display screen is displayed next. Therefore, the user can also confirm whether his or her operation is an appropriate operation, etc. by whether the display screens are in the display order, and can perform stable operation easily.

본 발명의 제 1 특징 구성은, 미리 정해진 주행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과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부와,A first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at autonomously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travel route;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면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되고, 또한, 소정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상기 주행 경로를 포함한 작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하고,The display control unit may display a work screen including the travel rout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

상기 소정 조건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송신한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이 취득한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가 일치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 있다.The predetermined condition includes that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acquired by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incide with each other. is in

본 발명의 제 2 특징 구성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조작부에는, 이전에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한 과거의 주행 경로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재작업 조작부가 포함되고,In a secon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selectable by the user include a rework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work on a past travel route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재작업 조작부가 선택되고, 또한, 상기 소정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상기 과거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작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When the rework operation unit is selected 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display control unit transmits the work screen to the display unit without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past travel route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display,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과거의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송신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상기 작업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기 전에, 작업 준비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work preparation screen before displaying the work screen on the display unit, regardless of whether the information on the driving route or the information on the past driving route is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제 3 특징 구성은,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상기 작업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에러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 있다.A thir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n error screen without displaying the work screen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not satisfied.

본 발명의 제 4 특징 구성은,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상기 작업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 전송용 조작부를 구비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 있다.In a fourth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does not display the work screen if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not satisfied, and a route transmission oper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to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 screen having a

본 발명의 제 5 특징 구성은,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A fifth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자율 주행의 개시 전에, 상기 주행 경로를 포함한 작업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이고,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 work screen including the travel route before starting autonomous driving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그 작업 화면에 있어서, 상부에는, 좌우 일단부에 자율 주행의 개시를 지시 가능한 개시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좌우 타단부에 자율 주행의 정지를 지시 가능한 정지 조작부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개시 조작부와 상기 정지 조작부 사이에는 상기 주행 경로에 대한 상기 자율 주행 작업 차량의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편차 정보 표시부가 배치되고,In the work screen, a start operation unit capable of instructing the start of autonomous driving is dispos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ends, and a stop operation unit capable of instructing the stop of autonomous driving is disposed on the other left and right ends, and the start A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indicating a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on unit and the stop operation unit,

하부에는, 에러 통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통지 정보용 조작부가 배치됨과 함께, 자율 주행에 의한 작업 진척률 및 작업 잔여 시간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에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part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error notification information is arranged at the lower part, and the work progress rate and work remaining time by autonomous driving are displayed.

도 1 은 자율 주행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자율 주행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은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플래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면책 사항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초기 등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톱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장 리스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패스 일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패스 상세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작업 준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작업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지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무선 통신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작업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3 is a view showing a splash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 is a view showing a disclaimer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registration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6 is a view showing a top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7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lis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8 is a view showing a path lis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9 is a view illustrating a path detail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job preparation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1 is a view showing a work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2 is a view showing a notification information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3 is a view showing a work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한 자율 주행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 자율 주행 시스템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주행 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 (1) 와, 그 트랙터 (1) 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지시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 (2) (무선 통신 장치에 상당한다) 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트랙터 (1) 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준국 (4) 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 this autonomous driving system includes a tractor 1 as an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that autonomously travels along a predetermined travel rout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capable of instruc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tractor 1 . ) (correspon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station 4 for acquir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ctor 1 is provided.

도 1 에서는, 자율 주행 작업 차량으로서 트랙터 (1) 를 예시했지만, 트랙터 외에, 이앙기, 콤바인, 토목·건축 작업 장치, 제설차 등, 승용형 작업 차량에 더하여, 보행형 작업 차량도 적용 가능하다.In FIG. 1 , the tractor 1 is exemplified as the autonomous traveling work vehicle. In addition to the tractor, in addition to the passenger type work vehicle such as a rice transplanter, a combine, a civil engineering/building work apparatus, and a snow plow, a walking type work vehicle is also applicable.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 (1) 에는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가 구비되고, 무선 통신 단말 (2) 에는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무선 통신부에 상당한다) 가 구비되고, 기준국 (4) 에는 기준국측 무선 통신부 (41) 가 구비되어 있다.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와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해 트랙터 (1) 와 무선 통신 단말 (2)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함과 함께,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와 기준국측 무선 통신부 (41)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해 트랙터 (1) 와 기준국 (4)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 (2) 과 기준국 (4) 은, 트랙터 (1) 를 통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와 기준국측 무선 통신부 (41)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2) 과 기준국 (4) 이, 트랙터 (1) 를 통하지 않고 직접 각종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각 무선 통신부끼리에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공통의 주파수 대역이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이어도 된다.As shown in Fig. 2, the tractor 1 is provided with a vehicle-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is provided with a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corresponding to a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a reference station At (4), a reference station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41 is provide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ractor 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b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terminal-sid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14) and the radio communication unit 41 on the reference station side are configured to transmit/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between the tractor 1 and the reference station 4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and the reference station 4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via the tractor 1 . Further, b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reference station-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41,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and the reference station 4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tractor 1.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possible. The frequency bands used for radio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pective radio communication units may be a common frequency band or may be different frequency bands from each other.

트랙터 (1)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위 (測位) 용 안테나 (11), 제어부 (12), 위치 정보 취득부 (13),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등이 구비되고, 제어부 (12) 의 제어에 의해, 위치 정보 취득부 (13) 에서 자기의 현재 위치 정보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를 취득하면서, 자율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ractor 1 is provided with an antenna 11 for positioning, a control unit 12, a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 a vehicle-sid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like, and a control unit ( 12), while acquir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of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 by the control, autonomous driving is possible.

측위용 안테나 (1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위성 측위 시스템 (GNSS) 을 구성하는 측위 위성 (3) 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위용 안테나 (11) 는, 예를 들어, 트랙터 (1) 의 캐빈의 루프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The positioning antenna 11 is configured to receive, for example, a signal from the positioning satellite 3 constituting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NSS), as shown in FIG. 1 . The antenna 11 for positioning is arrange|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of the cabin of the tractor 1, for example.

위성 측위 시스템을 사용한 측위 방법으로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점에 설치된 기준국 (4) 을 구비하고, 그 기준국 (4) 으로부터의 보정 정보에 의해 트랙터 (1) (이동국) 의 위성 측위 정보를 보정하여,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를 구하는 측위 방법을 적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DGPS (디퍼렌셜 GPS 측위), RTK 측위 (실시간 키네마틱 측위) 등의 각종 측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측위 방법에 대해서는, 기준국 (4) 을 구비하지 않고 단독 측위를 사용할 수도 있다.As a positioning method using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s shown in FIG. 1 , a reference station 4 provided at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is provided, and the tractor 1 (mobile station) is controlled by correction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station 4 . A positioning method for obtain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by correcting the satellite positioning information is applicable. For example, various positioning methods such as DGPS (differential GPS positioning) and RTK positioning (real-time kinematic positioning) can be applied. Incidentally, as for the positioning method, independent positioning may be used without the reference station 4 being provided.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RTK 측위를 적용하고 있는 점에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국측이 되는 트랙터 (1) 에 측위용 안테나 (11) 를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기준국 (4) 이 구비되어 있다. 기준국 (4) 의 설치 위치가 되는 기준점의 위치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파악되고 있다. 기준국 (4) 은, 예를 들어, 포장의 주위 등, 트랙터 (1) 의 주행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 (기준점) 에 배치되어 있다. 기준국 (4) 에는, 기준국측 무선 통신부 (41) 와 기준국 측위용 안테나 (42) 가 구비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since RTK positioning is applie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ractor 1 serving as the mobile station is provided with the positioning antenna 11 as a reference. Station (4) is provide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oint used a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ference station 4 is preset and grasped|ascertained. The reference station 4 is arrange|positioned at the position (reference point)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f the tractor 1, such as around a pavement, for example. The reference station 4 is provided with a reference station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41 and an antenna 42 for positioning the reference station.

RTK 측위에서는, 기준점에 설치된 기준국 (4) 과, 위치 정보를 구하는 대상의 이동국측이 되는 트랙터 (1) 의 측위용 안테나 (11) 의 양방에서 측위 위성 (3) 으로부터의 반송파 위상 (위성 측위 정보) 을 측정하고 있다. 기준국 (4) 에서는, 측위 위성 (3) 으로부터 위성 측위 정보를 측정할 때마다 또는 설정 주기가 경과할 때마다, 측정한 위성 측위 정보와 기준점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보정 정보를 생성하여, 기준국측 무선 통신부 (41) 로부터 트랙터 (1) 의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로 보정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트랙터 (1) 의 위치 정보 취득부 (13) 는, 측위용 안테나 (11) 에서 측정한 위성 측위 정보를, 기준국 (4) 으로부터 송신되는 보정 정보를 사용하여 보정하여,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를 구하고 있다. 위치 정보 취득부 (13) 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로서, 예를 들어, 위도 정보·경도 정보를 구하고 있다.In the RTK positioning, the carrier wave phase (satellite positioning) from the positioning satellite 3 on both the reference station 4 installed at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sitioning antenna 11 of the tractor 1 serving as the mobile station side of the target for which position information is sought. information) is being measured. The reference station 4 generates cor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measured satellite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oint each time the satellite positioning information is measured from the positioning satellite 3 or whenever a set period elapses, Corr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41 to the vehicle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of the tractor 1 .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 of the tractor 1 corrects the satellite position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ositioning antenna 11 using the corr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4, so that the current Seeking location informati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 obtains, for example, latitude information and longitude information as current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ctor 1 .

무선 통신 단말 (2) 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갖는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각종 정보를 터치 패널에 표시 가능하여, 터치 패널을 조작함으로써, 각종 정보도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무선 통신 단말 (2) 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트랙터 (1) 의 외부에서 휴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트랙터 (1) 의 운전석의 측면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is constituted of, for example, a tablet-type personal computer having a touch panel, and can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he touch panel, and can also in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by operating the touch panel. . About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a user can carry and use it outside the tractor 1, and it can also attach and use it by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of the tractor 1, etc.

무선 통신 단말 (2)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표시 제어부 (22), 경로 생성부 (23), 표시부 (24) (터치 패널) 등이 구비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 (22) 는, 표시부 (24) 의 표시 화면에 각종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 (22) 가 소정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표시부 (24) 에 대한 표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경로 생성부 (23) 는, 트랙터 (1) 가 자율 주행하는 주행 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무선 통신 단말 (2) 에는, 기억부 (도시 생략) 가 구비되어 있고, 이 기억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 등, 각종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includes a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 a display control unit 22 , a route generation unit 23 , a display unit 24 (touch panel), and the like. The display control unit 22 is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screens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a predetermined screen,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on the display unit 24 is display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route generating unit 23 is configured to generate a travel route in which the tractor 1 autonomously travels. Moreov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is equipped with the storage part (not shown), and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registered by a user, is memorize|stored in this storage part.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가 무선 통신 단말 (2) 을 조작함으로써, 경로 생성부 (23) 가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 등, 기타 각종 정보가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송신된다. 그리고,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건이 만족된 후에, 사용자가 무선 통신 단말 (2) 을 조작하여 트랙터 (1) 에 대하여 자율 주행의 개시를 지시함으로써,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이 개시된다. 자율 주행 중에는, 트랙터 (1) 의 제어부 (12) 가, 경로 생성부 (23) 에서 생성된 주행 경로를 따라 트랙터 (1) 가 자율 주행하도록, 위치 정보 취득부 (13) 에서 취득하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트랙터 (1) 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고 있다. 또, 위치 정보 취득부 (13) 에서 취득하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해서는, 실시간 (예를 들어, 몇 초 주기) 으로 트랙터 (1) 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 (2) 로 송신되고 있고, 무선 통신 단말 (2) 의 표시부 (24) 에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When the tractor 1 is autonomously driven, first, when the user ope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the route generating unit 23 generates a travel route, and information on the generated travel route, etc.; Various oth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 Then, after various conditions for starting the autonomous running of the tractor 1 are satisfied, the user oper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to instruct the tractor 1 to start autonomous running,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starts.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control unit 12 of the tractor 1 acquires the tractor 1 by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 so that the tractor 1 autonomously travels along the travel path generated by the path generation unit 23 . ),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ctor 1 is controll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ctor 1 acquir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 is transmitted from the tractor 1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in real time (for example, a period of several seconds), The pres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

이하, 도 3 ∼ 도 13 에 기초하여,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실시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단말 (2) 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부 (22) 에 의한 표시 화면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 도 13 은, 모두 무선 통신 단말 (2) 의 표시부 (24) 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based on FIGS. 3-13, control of the display screen by the display control part 22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when the tractor 1 is autonomously driven is demonstrated. 3 to 13 all show display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

표시 제어부 (22) 는, 무선 통신 장치 (2) 의 전원 투입 후 또는 무선 통신 장치 (2) 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 기동 후에, 도 3 에 나타내는 스플래시 화면 (제 1 화면에 상당한다) 과,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 (제 2 화면에 상당한다) 과,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 (제 3 화면에 상당한다) 으로 순차 표시시킨다.The display control unit 22 includes a splas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en) shown in FIG. 3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en) after power-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 or after application startup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 , The disclaimer screen show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creen) and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corresponding to the third screen) are sequentially displayed.

도 3 에 나타내는 스플래시 화면은, 전원 투입 후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후에 처음으로 표시되는 화면으로, 그 화면 중앙부에 회사 로고나 회사명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선택 조작 가능한 조작부 (51) (도 4 ∼ 도 13 참조) 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표시 제어부 (22) 는, 전원 투입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스플래시 화면 (도 3) 으로부터 면책 사항 화면 (도 4) 으로 천이시킨다.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에서는, 트랙터 (1) 의 사용에 관한 면책 사항이 표시된다.The splash screen shown in Fig. 3 is the first screen displayed after power is turned on or the application is started, and a company logo or company name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 user selectable operation unit 51 (Figs. 4 to 13). ) is not indicat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makes a transition from the splash screen (FIG. 3) to the disclaimer screen (FIG. 4)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power is turned on. On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the disclaimer regarding the use of the tractor 1 is displayed.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에서는, 화면 상단측의 상부 표시 영역 (53) 과 그것보다 화면 하방측의 하부 표시 영역 (54) 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부 표시 영역 (53) 에 대해서는, 이 면책 사항 화면 이후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 (도 5 ∼ 도 13) 에 있어서도 공통의 표시 화면으로 되어 있다. 상부 표시 영역 (53) 은, 표시 내용이 변경되지 않는 고정 표시 영역으로 되어 있다. 그에 대하여, 하부 표시 영역 (54) 은, 사용자가 조작부 (51) 를 선택 조작함으로써, 상이한 표시 내용이 표시되는 비고정 표시 영역으로 되어 있다.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is divided into an upper display area 53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and a lower display area 54 on the lower side of the screen. It is a common display screen also in the various screens (FIGS. 5-13) displayed later. The upper display area 53 is a fixed display area in which the display contents are not changed. In contrast, the lower display area 54 is a non-fixed display area in which different display contents ar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d operates the operation unit 51 .

상부 표시 영역 (53) 에서는, 「지도로」및 「헬프」의 조작부 (51) 가 좌측 단부에 표시되고, 「GNSS」및 「MENU」의 조작부 (51) 가 우측 단부에 표시되고, 중앙부에 현재 어떠한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지의 표시 내용이 표시된다. 덧붙여서, 「지도로」의 조작부 (51) 는, 지도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부이고, 「GNSS」의 조작부 (51) 는, 위도, 경도, GNSS 의 상태, 위성 측위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위성 (3) 의 수, 기준국 (4) 의 시리얼 넘버, 기지국 (4) 의 배터리 잔량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의 상세 정보 등을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부이다. 또, 경로 생성부 (23) 에서 새롭게 주행 경로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MENU」의 조작부 (51) 를 선택 조작하고, 그 후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경로 생성부 (23) 가 주행 경로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다.In the upper display area 53, the operation units 51 of "Map Road" and "Help" are displayed at the left end, the operation units 51 of "GNSS" and "MENU" are displayed at the right end, and the current The display content of which screen is being displayed is displayed. Incidentally, the operation unit 51 of "Map Road" is an operation unit for displaying map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unit 51 of "GNSS" is a satellite 3 that acquires latitude, longitude, GNSS status, and satellite positioning information. ), the serial number of the reference station 4,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such as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base station 4,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route generating unit 23 generates a new travel route, the route generating unit 23 selects and operates the operation unit 51 of "MENU" and then inpu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ed contents. ) to create a driving route.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부 읽었습니다.」의 란에 체크를 하고, 「동의하고 이용함」의 조작부 (51) 를 선택 조작함으로써, 표시 제어부 (2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으로부터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한편,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함」의 조작부 (51) 를 선택 조작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다. 이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은, 트랙터 (1) 의 기종 등, 트랙터 (1) 에 관한 각종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트랙터 (1) 에 관한 각종 정보가 등록된다. 덧붙여서, 선택된 기종의 테두리가 빨간색의 굵은 선으로 둘러싸임으로써, 어느 기종을 선택하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 (22) 는, 트랙터 (1) 에 관한 각종 정보가 등록되면,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으로부터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으로부터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으로 천이하기 전에, 트랙터 (1) 에 관한 정보 이외의 초기 등록 화면 (예를 들어 자택 주소 등록) 등의 화면을 거쳐도 된다.In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the user checks the box of "I have read all" and selects and operates the operation unit 51 of "I agree and use", so that the display control unit 22 is shown in Fig. 4 It makes a transition from the disclaimer screen shown to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by selectivel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51 of "Terminate the application" on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this FIG. 5 is a screen for registe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tractor 1, such as the model of the tractor 1,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tractor 1 are registered by the user's operation. Incidentally, the frame of the selected model is surrounded by a thick red lin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ich model is being selected. W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garding the tractor 1 are register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makes a transition from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5 to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 In addition, before transitioning from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5 to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you may pass through screens, such as an initial registration screen (for example, home address registration) other than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ctor 1 .

여기서, 트랙터 (1) 에 관한 각종 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 (22) 가,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으로부터,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고,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으로 천이시킨다.Here, when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the tractor 1 has already been register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oes not display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5 from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 but is shown in FIG. Transition to the top screen.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조작부 (51) (도면 중, 각종 아이콘) 및 지도 정보 (52) 가 표시되고, 그들 복수의 조작부 (51) 중, 하나의 조작부 (51) 가 선택됨으로써 다른 화면으로 천이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에서는, 하부 표시 영역 (54) 의 화면 중앙에, 등록된 포장 (H1 ∼ H7) 이 포함되도록 지도 정보 (52) 가 표시된다. 덧붙여서, 포장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초회 기동시에는, 지도 정보 (52) 의 중심이 미리 설정된 소정 위치가 되도록 표시된다. 또, 하부 표시 영역 (54) 에는, 포장 리스트 표시용 조작부 (51a) (도면 중 「←」로 나타내는 아이콘), 전회 작업용 조작부 (51b) (도면 중 「전회 작업한 패스로 작업 개시」로 나타내는 아이콘), 및 기타 조작부 (51) 가 지도 정보 (52) 의 상부를 제외한 주위를 둘러싸도록 표시된다.On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 a plurality of user-selectable operation units 51 (in the figure, various icons) and map information 52 are displayed, and one operation unit 51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51 is displayed. When is selected, it transitions to another screen. In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 the map information 52 is displayed so that the registered pavements H1 to H7 are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lower display area 54 . Incidentally, at the time of the initial start-up in which the pavement is not registered, the center of the map information 52 is displayed so as to be a preset predetermined position. In addition, in the lower display area 54, an operation unit 51a for displaying a packing list (an icon indicated by "←" in the drawing), an operation unit 51b for a previous operation (in the drawing, an icon indicated by "Start work with the last work path" in the drawing) ), and other operation units 51 are display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except for the upper part of the map information 52 .

표시 제어부 (22) 는, 지도 정보 (52) 를 표시시킬 때에, 지도 정보 (52) 의 중심이 전회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중심과 동일해지도록 표시시킨다. 또, 표시 제어부 (22) 는, 「현재 위치」의 조작부 (51) 가 조작되면, 지도 정보 (52) 의 중심이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되도록 표시시킨다.The display control unit 22 causes the map information 52 to be displayed so that the center of the map information 52 is the same as the center of the previous display screen. Moreover, when the operation part 51 of "current position" is operated, the display control part 22 displays so that the center of the map information 52 may becom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

표시 제어부 (22) 는,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에 있어서 지도 정보 (52) 를 표시시킬 때에, 전회, 트랙터 (1) 가 자율 주행을 실시했을 때의 트랙터 (1) 의 위치에 관한 전회 작업 위치 정보 (55) 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킨다. 전회 작업 위치 정보 (55) 는, 소정의 마크 (핀) 로 나타나 있고, 전회, 트랙터 (1) 가 자율 주행을 실시한 포장 (H2) 의 중앙부에 표시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전회, 트랙터 (1) 가 자율 주행을 실시한 포장이 어느 포장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회 작업 위치 정보 (55) 를 표시시키는 위치에 대해서는, 어느 포장 (H) 인지를 식별 가능한 위치이면 되고, 예를 들어, 포장 (H) 을 등록하는 작업을 실시했을 때의 작업 개시 위치나 포장 (H) 에 대한 트랙터 (1) 의 입구에 전회 작업 위치 정보 (55) 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 덧붙여서, 표시 제어부 (22) 는, 포장에서의 작업이 완료됨으로써 전회의 자율 주행을 종료한 경우뿐만 아니라, 포장의 작업 도중에 전회의 자율 주행을 종료한 경우도, 그 포장의 중심에 전회 작업 위치 정보 (55) 를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map information 52 on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 the previous work posi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ractor 1 when the tractor 1 performed autonomous driving last time. The information 55 is identifiably displayed. The previous work positional information 55 is shown by the predetermined mark (pin), and is displayed in the center part of the pavement H2 which the tractor 1 performed autonomously last time. It is making it possible for a user to recognize easily which pavement the pavement which the tractor 1 performed autonomously last time by this is. The position at which the previous work position information 55 is displayed may be any position that can identify which pavement (H) it is, for example, the work start position or pavement ( The previous work position information 55 may be displayed at the entrance of the tractor 1 for H). Incidentally, the display control unit 22 places the previous work position information in the center of the pavement not only when the previous autonomous driving is ended by completing the work on the pavement, but also when the previous autonomous driving is ended in the middle of the paving work. (55) is indicated.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포장 리스트 표시용 조작부 (51a) (도면 중 「←」로 나타내는 아이콘) 를 선택 조작하면, 표시 제어부 (22) 가,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으로부터 도 7 에 나타내는 포장 리스트 화면으로 천이시킨다.In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when the user selects and operates the operation part 51a for packing list display (the icon indicated by "←" in the drawing), the display control part 22 moves from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to FIG. Transitions to the packaging list screen shown in .

도 7 에 나타내는 포장 리스트 화면에서는, 하부 표시 영역 (54) 이, 하부 좌측 표시 영역 (54a) 과 하부 우측 표시 영역 (54b) 으로 분할되어 있고, 하부 좌측 표시 영역 (54a) 에,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의 하부 표시 영역 (54) 에 표시되어 있던 복수의 조작부 (51) 및 지도 정보 (52) 가 표시된다. 하부 우측 표시 영역 (54b) 에는, 무선 통신 단말 (2) 에 기억되어 있는 포장 정보의 일람 (56), 및 특정 포장에 있어서 과거에 생성한 주행 경로 (패스) 를 일람 표시시키기 위한 주행 경로 일람 표시용 조작부 (51c) (도면 중, 「이 포장의 패스 일람을 표시」의 아이콘) 가 표시된다. 포장 정보의 일람 (56) 에서는, 「거리순」, 「이름순」, 및 「등록순」등의 조작부 (51) 가 선택 조작됨으로써, 조작된 순서대로 재배치하여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고, 포장에 있어서의 포장 정보로서,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로부터 그 포장까지의 거리, 포장 정보가 등록된 등록일, 포장 위치 정보 등이 표시된다. 또, 포장 정보의 일람 (56) 을 표시시킬 때에, 전회, 트랙터 (1) 가 자율 주행을 실시한 포장에 대하여 소정의 마크로 나타내는 전회 포장 정보 (57) (핀) 를 표시하고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전회, 트랙터 (1) 가 자율 주행을 실시한 포장이 어느 포장인지를, 지도 정보 (52) 로부터 지도상 (전회 작업 위치 정보 (55)) 에서 인식할 수 있음과 함께, 포장 정보의 일람 (56) 으로부터 그 포장에 관한 정보 (전회 포장 정보 (57)) 도 인식할 수 있다.In the packing list screen shown in FIG. 7, the lower display area 54 is divided into the lower left display area 54a and the lower right display area 54b, and is shown in FIG. 6 in the lower left display area 54a.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51 and map information 52 displayed in the lower display area 54 of the top screen are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display area 54b, a list of pav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56) and a travel route list display for displaying a list of travel routes (paths) created in the past in a specific pavement The operation part 51c for use (in the figure, the icon of "display the list of paths of this pavement") is displayed. In the list 56 of packaging information, operation parts 51 such as "distance order", "name order", and "registration order" are selectively operated, so that they can be rearranged and displayed in the operated order, and packaging information in packaging As ,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to the pavement, the registration date in which the pavement information is registered, pavem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displayed. Moreover, when displaying the list 56 of pavement information, last time pavement information 57 (pin) indicated by a predetermined mark with respect to the pavement which the tractor 1 performed autonomously is displayed. Thereby, the user can recognize which pavement the pavement on which the tractor 1 performed autonomously last time is from the map information 52 on the map (last work position information 55), and pavement information From the list 56 of , information about the packaging (last packaging information 57) can also be recognized.

또, 도 7 에 나타내는 포장 리스트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포장을 선택하면, 표시 제어부 (22) 는, 그 선택된 포장의 테두리의 색을 바꾸고 굵은 선으로 둘러싸는 등 (예를 들어, 빨간색의 굵은 선으로 둘러싼다) 에 의해, 선택된 포장을 다른 포장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킴과 함께, 선택 조작된 조작부 (51) 에 대해서도 그 테두리의 색을 바꾸고 굵은 선으로 둘러싸는 등 (예를 들어, 빨간색의 굵은 선으로 둘러싼다) 에 의해, 선택 조작된 조작부 (51) 를 다른 조작부 (51) 와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package on the package list screen shown in FIG. 7 ,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hanges the color of the frame of the selected package and surrounds it with a thick line (eg, a red thick line). ), the selected package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ackages, and the color of the border of the operation unit 51 that has been selected is changed and surrounded by a thick line (for example, red thick line), so that the operation unit 51 that has been selectively operated is displayed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operation units 51 .

도 7 에 나타내는 포장 리스트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포장을 선택한 상태에서 주행 경로 일람 표시용 조작부 (51c) 를 선택 조작하면, 표시 제어부 (22) 가, 도 7 에 나타내는 포장 리스트 화면으로부터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으로 천이시킨다.In the pavement list screen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selects and operates the travel route list display operation unit 51c in a state where a specific pavement is select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moves from the pavement list screen shown in Fig. 7 to Fig. 8. Transitions to the displayed path list screen.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에서는, 하부 좌측 표시 영역 (54a) 에, 선택된 포장의 확대 화면 (58) 이 표시되고, 하부 우측 표시 영역 (54b) 에, 과거에 생성한 패스 정보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 의 일람 (59), 및 선택된 패스 정보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 를 트랙터 (1) 로 전송하기 위한 패스 전송용 조작부 (51d) (도면 중, 「이 패스로 작업을 개시함」으로 나타내는 아이콘) 가 표시된다.In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 an enlarged screen 58 of the selected pavement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display area 54a, and past generated path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ravel route)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display area 54b. information) list 59, and a path transmission operation unit 51d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path inform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ravel route) to the tractor 1 (in the drawing, indicated by “start operation with this path”) icon) is displayed.

포장의 확대 화면 (58) 에는, 경로 생성부 (23) 에서 생성된 주행 경로 (25) 가 표시되어 있고, 도 8 에서는, 예를 들어, 직선상의 주행 경로 (25) 가 그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나열되도록 표시되어 있다.On the enlarged screen 58 of the pavement, the traveling path 25 generated by the path generating unit 23 is displayed, and in FIG. 8 , for example, the linear traveling path 25 has an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y are marked so that they ar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패스 정보의 일람 (59) 에서는, 「거리순」, 「이름순」, 및 「등록순」등의 조작부 (51) 가 선택 조작됨으로써, 조작된 순서대로 재배치하여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고, 패스 정보로서,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로부터 패스의 개시 위치까지의 거리, 패스가 생성된 날, 패스의 개시 위치 정보 등이 표시된다. 또, 패스 정보의 일람 (59) 에서는, 패스 정보의 상세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패스 상세 표시용 조작부 (51e) (도면 중, 「상세」로 나타내는 아이콘) 가 표시됨과 함께, 선택된 패스 정보 및 선택 조작된 조작부 (51) 가, 그 테두리의 색을 바꾸고 굵은 선으로 둘러싸는 등 (예를 들어, 빨간색의 굵은 선으로 둘러싼다) 에 의해, 다른 패스 정보 및 다른 조작부 (51) 와 식별 가능하게 표시된다.In the path information list 59, the operation unit 51 such as "distance order", "name order", and "registration order" is selectively oper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arrange and display it in the operated order, and as path information, the tractor ( 1)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path, the day the path was created, information on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path, and the like are displayed. Further, in the path information list 59, a path detail display operation unit 51e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ath information (in the figure, an icon indicated by "details") is displayed, and the selected path information and selection operation are perform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frame and surrounding with a thick line (for example, surrounded by a red thick line), the operation unit 51 is displayed so as to be identifiable from other path information and other operation units 51 . .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특정 패스를 선택한 상태에서 패스 상세 표시용 조작부 (51e) 를 선택 조작하면, 표시 제어부 (22) 는,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으로부터 도 9 에 나타내는 패스 상세 화면으로 천이시킨다.In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selects and operates the path detail display operation unit 51e in a state in which a specific path is select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display control unit 22 from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Transitions to the path detail screen.

도 9 에 나타내는 패스 상세 화면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으로부터, 하부 우측 표시 영역 (54b) 만 표시 내용이 변경되고, 패스 상세 정보 (60) 가 표시된다. 패스 상세 정보 (60) 로서, 포장 면적, 장애물의 유무, 패스 (주행 경로) 를 생성하는 작업 영역의 주위가 되는 비작업 영역 (침지 (枕地) 등) 의 폭, 패스 (주행 경로) 생성시의 기지국 정보, 트랙터 (1) 가 현재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 트랙터 정보, 트랙터 (1) 에 장착되는 작업기 정보, 패스 (주행 경로) 의 개수 등이 표시된다.In the path detail screen shown in FIG. 9, the display content is changed only in the lower right display area 54b from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and the path detail information 60 is displayed. As the path detailed information 60, the pavement area,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stacles, the width of the non-working area (submerged, etc.) surrounding the work area for generating the path (travel route), and the path (travel route) are generated. Base station information of , base station information with which the tractor 1 is currently communicating, tractor information, work machine information mounted on the tractor 1, the number of paths (travel paths), and the like are displayed.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 또는 도 9 에 나타내는 패스 상세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패스 전송용 조작부 (51d)(경로 전송용 조작부에 상당한다) 를 선택 조작하면, 표시 제어부 (22) 는,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 또는 도 9 에 나타내는 패스 상세 화면으로부터 도 10 에 나타내는 작업 준비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이 때, 패스 정보 (주행 경로에 관한 정보) 가,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에 의해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전송된다. 그래서, 무선 통신 단말 (2) 의 제어부 (도시 생략) 와 트랙터 (1) 의 제어부 (12) 는,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를 통하여 송신한 패스 정보와,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를 통하여 트랙터 (1) 가 취득한 패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무선 통신 체크 처리를 실시한다.In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or the path detail screen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selects and operates the path transfer operation unit 51d (corresponding to the route transfer operation unit),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FIG. 8 A transition is made from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9 or the path detail screen shown in FIG. 9 to the job preparation screen shown in FIG. 10 . At this time, path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travel route) is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by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 Therefore,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and the control unit 12 of the tractor 1 transmit the path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terminal A radio communication check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the path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ractor 1 through the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matches or not is performed.

이 무선 통신 체크 처리로는, 예를 들어,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를 통하여 송신한 패스 정보의 총량과,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를 통하여 트랙터 (1) 가 취득한 패스 정보의 총량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패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 (CRC 체크 처리) 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무선 통신 체크 처리로는, CRC 체크 처리 대신에, 예를 들어, 패스 정보에 있어서의 개별의 ID 정보를 전송하고, 그 ID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패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어, 각종 무선 통신 체크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In this radio communication check processing, for example, the total amount of path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 A process (CRC check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path information matches by whether or not the total amount of path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ractor 1 through 14) can be appli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eck processing, instead of the CRC check processing, for example, individual ID information in the path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whether the path information matches is checked by whether the ID information matches or no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various radio communication check processing.

표시 제어부 (22) 는,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를 통하여 송신한 패스 정보와,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를 통하여 트랙터 (1) 가 취득한 패스 정보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한 후에, 도 10 에 나타내는 작업 준비 화면으로부터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이로써, 표시 제어부 (22) 는,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를 통하여 패스 정보가 트랙터 (1) 로 송신되면,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송신한 패스 정보와 트랙터 (1) 가 취득한 패스 정보가 일치한다는 소정 조건이 성립하고 처음으로,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22 includes the path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tractor 1 through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 ), after confirming that the acquired path information matches, it makes a transition from the job preparation screen shown in FIG. 10 to the job screen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pat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and the tractor when the path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ractor 1 via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 (1)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the acquired path information matches is satisfied, and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can be displayed for the first time.

표시 제어부 (22) 는,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송신한 패스 정보와 트랙터 (1) 가 취득한 패스 정보가 일치한다는 소정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은 표시하지 않고, 에러 화면을 표시시키거나, 또는,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으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에러 화면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에러의 내용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에러의 내용에 의해 표시 내용이 상이한 표시 화면으로 하거나, 에러의 내용에 관계없이 표시 내용을 동일하게 하는 공통의 표시 화면으로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에러 화면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에러 화면으로부터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있다.If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the pat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and the path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ractor 1 do not match is satisfi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oes not display the operation screen shown in FIG. 11 , and an error screen is displayed, or the screen returns to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The error screen is not illustrated, but it is sufficient if the content of the error is displayed in a identifiable manner. It can be done with a common display screen that allows Incidentally, 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error screen, the error screen returns to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서는, 하부 표시 영역 (54) 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단측에 위치하는 하부 상측 표시 영역 (54c) 과, 하단측에 위치하는 하부 하측 표시 영역 (54d) 과, 하부 상측 표시 영역 (54c) 과 하부 하측 표시 영역 (54d)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의 3 개의 표시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하부 상측 표시 영역 (54c) 과 하부 하측 표시 영역 (54d) 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 불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 the lower display region 54 includes a lower upper display region 54c positioned on the upper end side, a lower lower display region 54d positioned on the lower end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display region 54 . It is divided into three display areas, a lower middle display area 54e located between the upper display area 54c and the lower lower display area 54d. In addition, the lower upper display area 54c and the lower lower display area 54d cannot be switched to different screens, and the lower middle display area 54e is switchable to another screen.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 또는 도 9 에 나타내는 패스 상세 화면에 있어서 하부 좌측 표시 영역 (54a) 에 표시되어 있는 포장의 확대 화면 (58) 이나 복수의 조작부 (51) 등과 동일한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표시 제어부 (22) 는, 포장의 확대 화면 (58) 에 있어서,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를 표시시키고 있고,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 (22) 는, 포장의 확대 화면 (58) 에 있어서, 트랙터 (1) 가 현재 자율 주행하고 있는 주행 경로 (25) 와 다음에 주행할 예정의 주행 경로 (25) 를 색을 바꾸어 표시시키는 등에 의해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 표시 제어부 (22) 는, 복수의 주행 경로 (25) 에 대해, 이미 작업을 실시한 주행 경로 (25) 와 아직 작업이 실시되지 않은 주행 경로 (25) 에서 색을 바꾸는 등에 의해 상이한 형태로 표시시킬 수 있다.In the lower middle display area 54e, an enlarged screen 58 of packaging displayed in the lower left display area 54a on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or the path detail screen shown in FIG. 9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51 ) and the same display screen is display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on the enlarged screen 58 of the pavement, and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whe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is. Then, on the enlarged screen 58 of the pavement,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hanges the color of the traveling path 25 on which the tractor 1 is currently autonomously traveling and the traveling path 25 on which the tractor 1 is going to travel next. It can also be displayed so as to be identifiable by displaying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plurality of travel paths 25 in a different form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travel path 25 on which the work has already been performed and the travel path 25 on which the work has not yet been performed. can do it

덧붙여서, 표시 제어부 (22) 는,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의 표시 화면에 대해, 포장의 확대 화면 (58) 과는 별도로, 트랙터 정보 화면이나 작업 커맨드 화면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트랙터 정보 화면에서는, 실차속, 실엔진 회전 속도, 부하율 등, 트랙터 (1) 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된다. 작업 커맨드 화면에서는, 차속이나 엔진 회전 속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조작부 (51) 등이 표시된다. 또, 표시 제어부 (22) 는,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의 표시 화면으로서, 주의 화면이나 경고 화면 등을 끼워넣기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의 화면은, 자주 주행을 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건 중, 성립하고 있지 않은 조건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이고, 경고 화면은, 자율 주행 중에, 현재의 주행을 유지함으로써 자율 주행이 정지되는 경우에 그 원인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면이다. 이 주의 화면이나 경고 화면에 관한 제어 정보는, 트랙터 (1) 의 제어부 (12) 에서 생성되므로, 무선 통신 단말 (2) 에서는,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에서 그 생성된 제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표시 제어부 (22) 가, 주의 화면이나 경고 화면을 끼워넣기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part 22 is comprised so that switching to a tractor information screen and a work command screen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display screen of the lower intermediate|middle display area 54e separately from the enlarged screen 58 of a pavement. Although not illustrated,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of the tractor 1, such as an actual vehicle speed, an actual engine rotation speed, and a load factor, is displayed on the tractor information screen. On the work command screen, an operation unit 51 or the like for changing the vehicle speed or the engine rotation speed is displayed. Moreover, the display control part 22 is comprised so that a caution screen, a warning screen, etc. can be inserted and displayed as a display screen of the lower intermediate|middle display area 54e. For example, the caution screen is a screen for displaying a condition that is not satisfied among various conditions for starting autonomous driving, and the warning screen is when autonomous driving is stopped by maintaining the current driving during autonomous driving. It is a screen to display the cause in Since the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this caution screen and warning screen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 of the tractor 1,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by receiving the generated control information in the terminal-sid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The display control unit 22 is configured to display a caution screen or a warning screen interleaved.

하부 상측 표시 영역 (54c) 에는, 좌측 단부에 자율 주행의 개시를 지시 가능한 개시 조작부 (51f) 가 배치되고, 우측 단부에 자율 주행의 정지를 지시 가능한 정지 조작부 (51g)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시 조작부 (51f) 와 정지 조작부 (51g) 사이에는 주행 경로 (25) 에 대한 트랙터 (1) 의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는 편차 정보 표시부 (61) 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 하측 표시 영역 (54d) 에는, 에러 통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통지 정보용 조작부 (51h) 나 기타 조작부 (51) 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자율 주행에 의한 작업 진척률이나 작업 잔여 시간 등이 표시되어 있다.In the lower upper display area 54c, a start operation unit 51f capable of instructing the start of autonomous driving is disposed at the left end, and a stop operation unit 51g capable of instructing stop of the autonomous driving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And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part 61 which shows the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ractor 1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25 is arrange|positioned between the start operation part 51f and the stop operation part 51g. In the lower lower display area 54d, a notification information operation unit 51h for confirming error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other operation units 51 are arranged, and the work progress rate by autonomous driving, work remaining time, etc. are displayed. has been

표시 제어부 (22) 는,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개시 조작부 (51f) 를 선택 조작할 수 없는 비액티브 상태로 하고,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건이 성립하면, 개시 조작부 (51f) 를 선택 조작 가능하게 하는 액티브 상태로 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 (22) 는, 예를 들어, 비액티브 상태에서는 개시 조작부 (51f) 를 점등시키고, 액티브 상태에서는 개시 조작부 (51f) 를 점멸시키는 등, 개시 조작부 (51f) 의 표시 형태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비액티브 상태와 액티브 상태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22 sets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into an inactive state in which selective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until various conditions for starting autonomous driving are satisfied, and when various conditions for starting autonomous driving are satisfied,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is in an active state that enables a selective opera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for example, turns on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in an inactive state, and blinks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in an active state. By changing the display form of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The inactive state and the active state can be identified by the user.

표시 제어부 (22) 는, 개시 조작부 (51f) 에서 자율 주행의 개시가 지시되어,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이 개시되면, 개시 조작부 (51f) 를, 자율 주행의 일시 정지를 지시 가능한 일시 정지 조작부 (도시 생략) 로 변경시키고 있다. 그리고, 일시 정지 조작부가 선택 조작되면, 표시 제어부 (22) 가 개시 조작부 (51f) 를 일시 정지 조작부로부터 원래의 표시 형태로 변경시키고 있어, 개시 조작부 (51f) 가 자율 주행의 개시를 지시하는 표시 형태와 자율 주행의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표시 형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제어부 (22) 가 개시 조작부 (51f) 의 표시 형태를 변경시킴으로써, 1 개의 조작부를 2 개의 조작부로서 기능을 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자율 주행을 개시하고 있는지 또는 일시 정지하고 있는지 등, 자율 주행의 작업 상황을 사용자가 파악하기 쉬워진다.When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instructs the start of autonomous driving and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tractor 1 starts, the display control unit 22 uses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to instruct the pause operation unit to instruct the temporary stop of the autonomous driving. (not shown) is changed to . Then, when the temporary stop operation unit is selectively operat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hanges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from the temporary stop operation unit to the original display form, and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instructs the start of autonomous driving in a display form and a display form that instructs the temporary stop of autonomous driving is configured to be switchable. In this way,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hanges the display form of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one operation unit can function as two operation units, and whether autonomous driving is started or temporarily stopped, etc. It becomes easier for users to grasp the working situation of autonomous driving.

무선 통신 단말 (2) 에서는,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및 차량측 무선 통신부 (14) 에 의해, 트랙터 (1) 의 위치 정보 취득부 (13) 에서 취득되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예를 들어 1 분 주기) 으로 수신하고 있다. 이로써, 표시 제어부 (22) 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예를 들어 1 분 주기) 으로 취득하고 있고, 무선 통신 단말 (2) 에서는, 단말측 무선 통신부 (21) 나 표시 제어부 (22) 등이 트랙터 (1) 의 위치 정보를 취득 가능한 위치 정보 취득부로서 기능되고 있다.In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ctor 1 obtain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 of the tractor 1 by the terminal-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vehicle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14 It is being received in real time (eg, every 1 minute). In this way, the display control unit 22 acquire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ctor 1 in real time (for example, every one minute), an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 the terminal-sid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etc. function as th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part which can acquire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ractor 1.

표시 제어부 (22) 는, 취득하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주행 경로 (25) 에 대하여 그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나 있는지를, 편차 정보 표시부 (61) 에서 표시시키고 있다. 표시 제어부 (22) 가 편차 정보 표시부 (61) 의 제어를 실시할 때에는, 트랙터 (1) 의 제어부 (12) 가,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주행 경로 (25) 에 대하여 그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나 있는지의 편차 정보를 구하고 있고, 그 구한 편차 정보를 트랙터 (1) 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 (2) 로 송신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 (22) 는, 트랙터 (1) 로부터 송신되는 편차 정보에 기초하여, 편차 정보 표시부 (61) 를 제어하고 있다. 편차 정보 표시부 (61) 는, 복수의 표시 램프부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복수의 표시 램프부는 좌우 방향에서의 설치 영역에 의해 점등하는 색이 상이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3 개의 표시 램프부를 초록색, 그것보다 단부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2 개의 표시 램프부를 노란색, 그것보다 단부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2 개의 표시 램프부를 오렌지색, 가장 단부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2 개의 표시 램프부를 빨간색으로 한다. 표시 제어부 (22) 는,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의 중심으로부터 트랙터 (1) 의 중심의 현재 위치가 어느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지를 표시시키도록 편차 정보 표시부 (61) 를 제어하고 있음과 함께,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의 중심으로부터 트랙터 (1) 의 중심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의 크기에 따라,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램프부로부터 단부측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램프부를 향하여 순차 점등 범위가 넓어지도록, 편차 정보 표시부 (61) 를 제어하고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22 is causing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to display to what exten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acquired tractor 1 is shifted in which direc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25 .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 the control unit 12 of the tractor 1 determines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is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 path 25 . In this case, the deviation information of the degree of deviation in which direction is calculated, and the obtained devi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tractor 1 to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 The display control unit 22 is controlling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based on the devi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ctor 1 .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lamp units are arrang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display lamp units have different colors to be lit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area in the left-right direction. For example, three display lamp unit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are green, two display lamp units located in an area closer to the end are yellow, and two display lamp units located in a region closer to the end are orange, and the outermost region is orange. The two indicator lamps located in the area on the side are made r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so as to display in which directi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tractor 1 is shifted from the center of the travel path 25 in the lateral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 path 25 . ) is controlled and displayed in the central reg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ravel path 25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tractor 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vel path 25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is controlled so that the lighting range is sequentially widened from the lamp unit toward the display lamp unit located in the end-side region.

예를 들어,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의 중심으로부터 트랙터 (1) 의 중심의 현재 위치 (26) 까지의 거리가 설정 범위 내이면,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3 개의 표시 램프부만이 점등된다.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주행 경로 (25) 에 대하여 좌측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의 중심으로부터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가 설정 범위보다 커지면,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3 개의 표시 램프부에 더하여, 그에 인접하는 좌측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램프부도 점등되고,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의 중심으로부터 트랙터 (1) 의 중심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의 크기가 커질수록, 점등하는 범위가 좌측으로 퍼지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ravel path 25 to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center of the tractor 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vel path 25 is within the set range, 3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nly the display lamps of the two are turned on. Whe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is shift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travel path 25 , from the center of the travel path 25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in the lateral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 path 25 When the distance becomes larger than the set range, in addition to the three display lamp unit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the display lamp units located in the left region adjacent thereto are also turned on, and the traveling path 2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path 25 As the size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ractor 1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tractor 1 increases, the lighting range spreads to the left.

표시 제어부 (22) 는,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전, 및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 중에, 취득하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나 있는지를, 편차 정보 표시부 (61) 에서 표시시키고 있다. 이로써,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전에, 사용자가 편차 정보 표시부 (61) 를 보면서 트랙터 (1) 의 위치를 자율 주행 개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위치 맞춤을 실시할 수 있음과 함께, 자율 주행 중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나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22 determines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acquired before starting the autonomous running of the tractor 1 and during the autonomous running of the tractor 1 is determ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ravel route 25 .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displays the degree of deviation in which direction. Thereby, before starting the autonomous driving, while the user sees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the position of the tractor 1 is moved to the autonomous driving starting position, while the position alignment can be performed, and even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user can It can be easily recognized in which direction and to what exten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is shifted in the lateral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 route 25 .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서는,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의 우측 단부에, 트랙터 (1) 가 현재 자율 주행하고 있는 주행 경로 (25) 에 있어서,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로부터 주행 경로 (25) 의 단부 (침지) 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 표시부 (62) 가 배치되어 있다. 거리 표시부 (62) 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의 표시부로 되어 있고,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의 길이가 주행 경로 (25) 의 전체 길이에 상당한다. 표시 제어부 (22) 는, 거리 표시부 (62) 에 있어서, 하단부로부터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까지를 소정의 색으로 점등 표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주행 경로 (25) 의 단부 (침지) 까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 in the traveling path 25 on which the tractor 1 is currently autonomously traveling at the right end of the lower intermediate display area 54e, the traveling path 25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 a distance display section 62 for displaying the distance to the end (immersion) is disposed. The distance display unit 62 is a bar-shaped display uni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ngth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corresponds to the entire length of the travel path 25 . The display control unit 22 illuminates and display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in a predetermined color in the distance display unit 62,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end (immersion) of the travel route 25. to recognize the distance to the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서는, 하부 하측 표시 영역 (54d) 의 좌단부에 통지 정보용 조작부 (51h) (도면 중, 「상세」로 나타내는 아이콘) 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시 제어부 (22) 는,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건이 성립하고 있으면, 통지 정보용 조작부 (51h) 의 좌측을 성립용의 특정색 (예를 들어, 초록색) 으로 점등시킨다. 반대로,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으면, 통지 정보용 조작부 (51h) 의 좌측을 미성립용의 특정색 (예를 들어, 빨간색) 으로 점등시키고 있다. 그리고, 통지 정보용 조작부 (51h) 의 좌측을 미성립용의 특정색 (예를 들어, 빨간색) 으로 점등시키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통지 정보용 조작부 (51h) 를 선택 조작하면, 표시 제어부 (2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으로부터 도 12 에 나타내는 통지 정보 화면으로 천이시킨다.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 an operation unit 51h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icon indicated by “details” in the drawing) is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lower lower display area 54d, so that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tractor When the various conditions for starting the autonomous driving of (1) are satisfied, the left side of the operation unit 51h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is lit with a specific color for establishment (eg, green). Conversely, when the various conditions for starting the autonomous running of the tractor 1 are not satisfied, the left side of the operation unit 51h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is lit with a specific color for non-establishment (for example, red). And when the left side of the operation unit 51h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is lit with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red) for non-establishment, when the user selects and operates the operation unit 51h for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 makes a transition from the job screen shown in FIG. 11 to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creen shown in FIG. 12 .

도 12 에 나타내는 통지 정보 화면에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 있어서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의 표시 내용이 변경되고,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개시하기 위한 각종 조건이 되는 부위 (스티어링, 리버서, 브레이크, 클러치, 파킹 브레이크, 부변속 장치, 차속, UFO 설정) 를 나타내는 성립 상태 표시 화면 (63) 이 표시된다. 표시 제어부 (22) 는, 성립 상태 표시 화면 (63) 에 있어서, 각 부위에 대해,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부위에 대해서는 성립용의 특정색 (예를 들어, 초록색) 을 점등시키고,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은 부위에 대해서는 미성립용의 특정색 (예를 들어, 빨간색) 을 점등시키고 있다.I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creen shown in FIG. 12, the display contents of the lower intermediate display area 54e 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are changed, and various conditions for starting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tractor 1 (steering, The establishment status display screen 63 showing the reverser, brake, clutch, parking brake, auxiliary transmission, vehicle speed, UFO setting) is display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on the establishment status display screen 63, turns on a specific color for establishment (for example, green) for each site for each site satisfying the condition, and satisfies the condition. A specific color for non-establishment (for example, red) is lit for a portion where it is not.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서는, 편차 정보 표시부 (61) 에 의해 주행 경로 (25) 에 대한 트랙터 (1) 의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 편차 정보 표시부 (61) 에 더하여, 도 11 및 도 13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과 같이, 포장의 확대 화면 (58) 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에 대한 트랙터 (1) 의 위치의 편차를 나타내도록 하고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서는, 표시 제어부 (22) 가, 포장의 확대 화면 (58) 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및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를 표시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13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및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는, 개시 조작부 (51f) 와 정지 조작부 (51g) 사이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주행 경로 (25) 및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의 표시가 편차 정보 표시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가 주행 경로 (25) 에 대하여 어떠한 위치인지에 의해, 사용자가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가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나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although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part 61 shows the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ractor 1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25, in addition to this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part 61, FIGS. 11 and 13 Like the work screen shown in , in the enlarged screen 58 of the pavement, the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ractor 1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25 is shown. O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3 ,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travel route 25 and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on the enlarged screen 58 of the pavement. And 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3, since the travel route 25 and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are displayed between the start operation part 51f and the stop operation part 51g, the travel route 25 ) and the display of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functions as a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By what position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is with respect to the travel path 25 , the user can determine to what exten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ctor 1 is in which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vel path 25 . Any devia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도 11 및 도 13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서는, 하부 상측 표시 영역 (54c) 에 배치된 편차 정보 표시부 (61) 와,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에 배치된 편차 정보 표시부로서 기능하는 주행 경로 (25) 및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의 2 개의 편차 정보 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다.In the work screens shown in FIGS. 11 and 13 ,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disposed in the lower upper display area 54c and the travel route 25 serving as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osed in the lower middle display area 54e are provided. and two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s of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are arranged.

그리고, 표시 제어부 (22)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율 주행의 개시 전뿐만 아니라, 자율 주행 중에도, 포장의 확대 화면 (58) 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및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를 표시시키고 있다. 이로써, 트랙터 (1) 를 자율 주행 개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위치 맞춤을 실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자율 주행 중에도, 사용자는, 주행 경로 (25) 에 대하여 가로폭 방향에서 트랙터 (1) 가 어느 정도 어긋나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3 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는, 주행 경로 (25) 에 대하여 우측 또는 좌측으로 어긋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And as shown in FIG. 13, the display control part 22 i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ravel route 25 and the tractor 1 in the enlarged screen 58 of a pavement not only before the start of autonomous driving but also during autonomous driving. (26) is indicated. In this way, not only in the case of performing positioning for moving the tractor 1 to the autonomous driving start position, but also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user can determine how far the tractor 1 is shif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vel path 25 . can recognize In FIG. 13 ,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dicates a state shifted to the right or left with respect to the travel route 25 .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 (22) 가 표시부 (24) 의 표시 화면을 제어하고 있고, 트랙터 (1) 를 자율 주행시켜 포장에서의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 표시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부 (51) 를 선택 조작함으로써, 표시 제어부 (22) 가, 하기의 (1) ∼ (8) 과 같이 표시 화면이 순차 천이하도록 제어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24 and the tractor 1 is autonomously driven to perform work on the pavement, in each display screen, the user By selectively operating (51), the display control unit 22 is controlling the display screens to sequentially transition as in the following (1) to (8).

(1) 도 3 에 나타내는 스플래시 화면(1) Splash screen shown in FIG. 3

(2)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2)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3)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3)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5

(4)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4) Top screen shown in FIG. 6

(5) 도 7 에 나타내는 포장 리스트 화면(5) Packing list screen shown in FIG. 7

(6)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 → 도 9 에 나타내는 패스 상세 화면)(6)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 Path detail screen shown in Fig. 9)

(7) 도 10 에 나타내는 작업 준비 화면(7) Job preparation screen shown in FIG. 10

(8)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8) Operation screen shown in FIG. 11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3)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에서의 등록 작업은, 당초 1 회만 실시되므로, (3)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에서, 한번 사용자가 트랙터 (1) 에 관한 각종 정보를 등록하면, 표시 제어부 (22) 는, (2)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으로부터, (3) 도 5 에 나타내는 초기 등록 화면을 건너뛰고, (4)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으로 천이시키고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3) the registration operation on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5 is initially performed only once, so (3) on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W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re register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2) skips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5 from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3) skips the initial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5, and (4) returns to the top screen shown in FIG. transitioning

상기 서술한 (1) ∼ (8) 은,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패스 정보 (주행 경로 (25) 에 관한 정보) 를 송신하여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어, 새롭게 패스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이전에 트랙터 (1) 로 송신한 과거의 패스 정보 (주행 경로 (25) 에 관한 정보) 를 사용하여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1) to (8) have shown the case where the work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path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travel route 25)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but for example, For example, the work may be performed using past path inform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ravel route 25 )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tractor 1 without transmitting the new path information.

이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 (22) 가, (1) ∼ (4) 와 같이 표시 화면이 순차 천이하도록 제어하고, (4)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회 작업용 조작부 (51b) (재작업 조작부에 상당한다) 를 선택 조작한다. 이 전회 작업용 조작부 (51b) 의 선택 조작에 의해, 표시 제어부 (22) 는, (4) 도 6 에 나타내는 톱 화면으로부터, (5) 도 7 에 나타내는 포장 리스트 화면 및 (6)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을 건너뛰고, (7) 도 10 에 나타내는 작업 준비 화면으로 천이시키고 있다. 이 때, 표시 제어부 (22) 는, (4) ∼ (7) 의 표시 화면을 순차 천이시킬 때와는 상이하게, 과거의 패스 정보 (주행 경로 (25) 에 관한 정보) 를 트랙터 (1) 로 송신하지 않고, 무선 통신 단말 (2) 의 제어부 (도시 생략) 와 트랙터 (1) 의 제어부 (12) 사이에서 무선 통신 체크 처리가 실시된다.In this case, the display control unit 22 controls the display screens to sequentially transition as in (1) to (4), and (4) in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the user controls the previous operation operation unit 51b ( (corresponding to the rework operation unit) is selected and operated. By selec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51b for this last time, the display control part 22 is the path shown in (4) the top screen shown in FIG. 6, (5) the packing list screen shown in FIG. 7, and (6) FIG. 8. The list screen is skipped, and it is made to transition to the job preparation screen shown in (7) FIG.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22 transfers the past path inform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ravel route 25) to the tractor 1 differently from when the display screens of (4) to (7) are sequentially transitioned. Without transmission, a radio communication check process is performed betwe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and the control unit 12 of the tractor 1 .

이 때의 무선 통신 체크 처리에서는, 트랙터 (1) 의 제어부 (12) 가, 이전에 송신된 과거의 패스 정보를 취득하고 있는 점에서, 트랙터 (1) 의 제어부 (12) 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 (2) 의 제어부 (도시 생략) 에 대하여, 취득하고 있는 과거의 패스 정보와 이전에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송신한 과거의 패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물어봄으로써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취득하고 있는 과거의 패스 정보의 총량과, 이전에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송신한 과거의 패스 정보의 총량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과거의 패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처리 (CRC 체크 처리) 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이 CRC 체크 처리 대신에, 예를 들어, 과거의 패스 정보에 있어서의 개별의 ID 정보를 전송하고, 그 ID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과거의 패스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어, 각종 무선 통신 체크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In the radio communication check processing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 of the tractor 1 acquires the previously transmitted past path information, so that the control unit 12 of the tractor 1 sends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whether the acquired past path information and the past path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match. Then, for example, past path information is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total amount of acquired past path information matches the total amount of past path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 A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or not (CRC check process) can be performed. Also, instead of this CRC check processing, for example, individual ID information in the past path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whether or not the past path information matches can be checked by whether the ID information matches or not. Therefor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check processing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에 대하여 과거의 패스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시 제어부 (22) 는, (7) 도 10 에 나타내는 작업 준비 화면을 표시시키고, 무선 통신 체크 처리를 실시하여 과거의 패스 정보가 일치한다는 소정 조건이 성립하고 처음으로, (8)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In this way, even when past path information is not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the display control unit 22 (7) displays the work preparation screen shown in FIG. The check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the past path information matches is satisfied, and the work screen shown in (8) FIG. 11 can be displayed for the first time.

표시 제어부 (22) 는, 과거의 패스 정보가 일치한다는 소정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은 표시하지 않고, 에러 화면을 표시시키거나, 또는,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으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에러 화면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에러의 내용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에러의 내용에 의해 표시 내용이 상이한 표시 화면으로 하거나, 에러의 내용에 관계없이 표시 내용을 동일하게 하는 공통의 표시 화면으로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에러 화면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에러 화면으로부터 도 8 에 나타내는 패스 일람 화면으로 되돌아오도록 하고 있다.If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at the past path information matches is not satisfied,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an error screen without displaying the job screen shown in FIG. 11 , or returns to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 is making it happen The error screen is not illustrated, but it is sufficient if the content of the error is displayed in a identifiable manner. It can be done with a common display screen that allows Incidentally, 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error screen, the error screen is returned to the path list screen shown in Fig. 8 .

이상과 같이, (4) ∼ (8) 과 같이 표시 화면을 순차 천이시키고, 패스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송신하는 경우도, (4) → (7) → (8) 과 같이 표시 화면을 순차 천이시키는 경우도, 표시 제어부 (22) 는, (8)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을 표시시키기 전에, (7) 도 10 에 나타내는 작업 준비 화면인 동일한 표시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7) 도 10 에 나타내는 작업 준비 화면이 표시되면, 다음에 (8)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screens are sequentially transitioned as in (4) to (8) and the path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4) → (7) → (8) ),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same display screen as the job preparation screen shown in FIG. 10 before (8) displaying the job screen shown in FIG. 11 , (7) have. Thereby, when the job preparation screen shown in (7) FIG. 10 is displayed,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job screen shown in (8) FIG. 11 is displayed next.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제어부 (22) 가,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을, 도 3 에 나타내는 스플래시 화면의 다음에 표시시키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으로 천이된 후,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을 표시시킬 수도 있어,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을 어떠한 타이밍에 표시시킬지는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after the splash screen shown in FIG. 3 , but, for example, the display control unit 22 displays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After that,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may be displayed, and the timing at which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is displaye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또,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 있어서 개시 조작부 (51f) 가 선택 조작된 후에,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을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 있어서 개시 조작부 (51f) 를 생략하고, 도 4 에 나타내는 면책 사항 화면에 개시 조작부 (51f) 를 추가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Moreover, 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after the start operation part 51f is selected and operated, the disclaimer screen shown in FIG. 4 can also be displayed. In this case, for example, in the operation screen shown in FIG. 11, the start operation part 51f is abbreviate|omitted, and it can add and display the start operation part 51f to the disclaimer matter screen shown in FIG.

(2)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패스 정보 (주행 경로 (25) 에 관한 정보) 를 송신하는 경우에,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송신하는 패스 정보와 트랙터 (1) 측에서 이미 취득하고 있는 패스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여, 패스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는, 무선 통신 단말 (2) 로부터 트랙터 (1) 로 패스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트랙터 (1) 측에서 이미 취득하고 있는 패스 정보를 사용하여 트랙터 (1) 의 자율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2)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ransmitting path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travel route 25)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to the tractor 1, pat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ath information already acquired by the tractor 1 and the tractor 1 is the same. ),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tractor 1 can be performed using the path information already acquired by the side.

(3)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랙터 (1) 에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구비하고, 그 촬상 장치의 촬상 화상을 무선 통신 단말 (2) 의 표시부 (24) 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 있어서, 촬상 장치의 촬상 화상이 상시 표시되도록 고정 표시시킬 수 있다.(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tractor 1 is provided with an imaging device such as a camera, and a captured image of the imaging devic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 . In this case, for example, in the work screen shown in FIG. 11, it is possible to make a fixed display so that the captured image of an imaging device may be always displayed.

(4)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 에 나타내는 개시 조작부 (51f) 를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편차 정보 표시부 (61) 에서 표시되는 표시 형태가 원하는 표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주행 경로 (25)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경로 (25) 의 중심으로부터 트랙터 (1) 의 중심의 현재 위치 (26) 까지의 거리가 설정 범위 내이고, 편차 정보 표시부 (61) 의 표시 형태가,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3 개의 표시 램프부만이 점등하고 있는 표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원하는 표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 조작부 (51f) 를 액티브 상태로 하기 위한 조건을, 편차 정보 표시부 (61) 의 표시 형태와 관련지어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편차 정보 표시부 (61) 의 표시 형태를 확인하면서, 개시 조작부 (51f) 를 액티브 상태로 할 수 있다.(4) In the above embodiment, conditions for making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shown in Fig. 11 into an active state may include that the display form displayed on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is a desired display form. . Here, for examp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ravel path 25,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ravel path 25 to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center of the tractor 1 is within the set range, and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 61) can be a desired display form in which only three display lamp units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are lit. In this way, the condition for making the start operation unit 51f into an active state can be set in association with the display form of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 In this case, while the user confirms the display form of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part 61, the start operation part 51f can be made into an active state.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1 및 도 13 에 나타내는 작업 화면에 있어서, 하부 상측 표시 영역 (54c) 에 배치된 편차 정보 표시부 (61) 와, 하부 중간 표시 영역 (54e) 에 배치된 편차 정보 표시부로서 기능하는 주행 경로 (25) 및 트랙터 (1) 의 현재 위치 (26) 의 2 개의 편차 정보 표시부를 배치시키고 있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어느 일방의 편차 정보 표시부만을 배치시킬 수도 있다.(5)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work screens shown in FIGS. 11 and 13 , the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61 arranged in the lower upper display area 54c and the deviation information arranged in the lower middle display area 54e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two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parts of the travel path 25 functioning as a display part and the current position 26 of the tractor 1 are arrange|positioned was shown, only either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part may be arrange|positioned.

본 발명은, 자율 주행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 가능한 각종 무선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utonomous driving.

1 : 트랙터 (자율 주행 작업 차량)
2 :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장치)
13 : 위치 정보 취득부
21 : 단말측 무선 통신부 (무선 통신부)
22 : 표시 제어부
24 : 표시부
51 : 조작부
51b : 전회 작업용 조작부 (재작업 조작부)
51f : 개시 조작부
51g : 정지 조작부
52 : 지도 정보
55 : 전회 작업 위치 정보
61 : 편차 정보 표시부
1: Tractor (autonomous driving work vehicle)
2: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3: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 terminal side radio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 display control unit
24: display
51: control unit
51b: control panel for previous work (rework control panel)
51f: start operation part
51g: stop operation part
52: map information
55: previous work location information
61: devi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Claims (4)

작업 차량이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시스템으로서,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전원 투입 후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동 후에, 복수의 화면을 순차 표시시키고,
상기 복수의 화면을 표시시킨 후에,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조작부가 표시되는 톱 화면을 표시시키고,
상기 복수의 화면에는, 상기 작업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이 포함되는, 표시 시스템.
A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a work screen on which a work vehicle performs work, the display system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ed screen,
The display control unit,
After turning on the power or starting the application, multiple screens are displayed sequentially,
After displaying the plurality of screens, a top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selectable by the user is displayed is displayed,
The plurality of screens includes a registration screen for register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work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작업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상기 등록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다음의 화면으로 천이시키는, 표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makes a transition to a next screen without displaying the registration screen among the plurality of screens, w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vehicle have already been register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화면은, 상기 복수의 화면 중 최후에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작업 차량에 관한 각종 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등록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고 상기 톱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gistration screen is a screen displayed last among the plurality of screens,
wherei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top screen without displaying the registration screen w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rk vehicle have already been register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면에는, 일정 기간 경과 후의 표시가 종료되는 스플래시 화면과, 상기 작업 차량의 사용에 관한 면책 사항을 표시하는 면책 사항 화면이 포함되는, 표시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creens include a splash screen on which display is terminat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has elapsed, and a disclaimer screen for displaying disclaimers related to use of the work vehicle.
KR1020227037024A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6615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13370A KR20240060838A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0430A JP6739375B2 (en) 2017-03-03 2017-03-03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JP-P-2017-040430 2017-03-03
KR1020217032631A KR102460036B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CT/JP2018/004596 WO2018159261A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631A Division KR102460036B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370A Division KR20240060838A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938A true KR20220148938A (en) 2022-11-07
KR102661575B1 KR102661575B1 (en) 2024-04-26

Family

ID=6337103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193A KR102243600B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0247013370A KR20240060838A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0227037024A KR102661575B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0217011438A KR20210045524A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0217032631A KR102460036B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193A KR102243600B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0247013370A KR20240060838A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438A KR20210045524A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0217032631A KR102460036B1 (en) 2017-03-03 2018-02-09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4) JP6739375B2 (en)
KR (5) KR102243600B1 (en)
CN (1) CN110325934A (en)
WO (1) WO201815926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9375B2 (en) * 2017-03-03 2020-08-1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1693406B2 (en) 2020-03-05 2023-07-04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Task completion time estimation for an autonomous machine
JP2022124657A (en) 2021-02-16 2022-08-26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isplay method, display terminal, and display progr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377A (en) * 2009-12-18 2012-08-2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Work vehicle monitoring device
KR20130012908A (en) * 2011-07-26 2013-02-05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ing vehicle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thereof
WO2015119263A1 (en) 2014-02-06 2015-08-13 ヤンマー株式会社 Method for setting travel path of autonomous travel work vehicle
KR20160070677A (en) * 2014-12-10 2016-06-2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Agricultural work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204A (en) * 1997-02-28 1998-09-08 Kubota Corp Assist device for traveling
US6396516B1 (en) * 1998-05-29 2002-05-28 Plexus Systems,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shop floor control system
JP4801252B2 (en) * 2000-12-19 2011-10-26 ヤンマー株式会社 Agricultural work vehicle
JP2002358122A (en) * 2001-05-31 2002-12-1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Agricultural work vehicle
US7394403B2 (en) * 2002-02-14 2008-07-01 Everyday Wireless, Llc Everyday wireless vehicle notification and vehicle location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3877301B2 (en) * 2002-06-11 2007-02-0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Agricultural work vehicle
KR20060118234A (en) * 2005-05-16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guiding summary routes in navigation system
JP4948098B2 (en) 2006-09-12 2012-06-06 ヤンマー株式会社 Agricultural work vehicle
JP5994659B2 (en) * 2012-05-07 2016-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VEHICLE DEVICE, INFORMATION DISPLAY PROGRAM, VEHICLE SYSTEM
JP2014085895A (en) * 2012-10-24 2014-05-12 Shuichi Sakagami Life cycle maintenance cost reduction system of house
JP6111179B2 (en) * 2013-10-22 2017-04-05 日立建機株式会社 Autonomous traveling system for dump truck
DE112013000197B4 (en) * 2013-11-19 2016-10-27 Komatsu Ltd. Indicator of a work vehicle and display method therefor
JP6415880B2 (en) * 2014-07-17 2018-10-31 株式会社クボタ Traveling work machine and automatic steering system used therefor
US10324461B2 (en) * 2014-07-30 2019-06-18 Yanmar Co., Ltd. Remote control apparatus
WO2016060178A1 (en) * 2014-10-16 2016-04-21 ヤンマー株式会社 Work vehicle
JP6267626B2 (en) * 2014-11-13 2018-01-24 ヤンマー株式会社 Travel route setting device
JP6253567B2 (en) * 2014-11-17 2017-12-27 ヤンマー株式会社 Work vehicle moving system
JP6031491B2 (en) * 2014-11-21 2016-11-24 ジオサーフ株式会社 Field guidance system, field guidance method, software, and storage medium storing software
JP6841587B2 (en) * 2015-06-01 2021-03-10 株式会社イトーキ Performance level measurement methods and programs.
JP6739375B2 (en) * 2017-03-03 2020-08-1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377A (en) * 2009-12-18 2012-08-2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Work vehicle monitoring device
KR20130012908A (en) * 2011-07-26 2013-02-05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ing vehicle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thereof
WO2015119263A1 (en) 2014-02-06 2015-08-13 ヤンマー株式会社 Method for setting travel path of autonomous travel work vehicle
KR20160070677A (en) * 2014-12-10 2016-06-2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Agricultural work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59369A (en) 2022-10-17
KR102243600B1 (en) 2021-04-22
KR102460036B1 (en) 2022-10-27
JP7119031B2 (en) 2022-08-16
JP2024023603A (en) 2024-02-21
JP6739375B2 (en) 2020-08-12
JP2018147161A (en) 2018-09-20
JP7454610B2 (en) 2024-03-22
JP2020177697A (en) 2020-10-29
KR20210127792A (en) 2021-10-22
KR20210045524A (en) 2021-04-26
KR20190082914A (en) 2019-07-10
KR102661575B1 (en) 2024-04-26
WO2018159261A1 (en) 2018-09-07
KR20240060838A (en) 2024-05-08
CN110325934A (en)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024B1 (en) Work screen display system
JP7454610B2 (en) display system
US11234356B2 (en) Traveling route setting device
JP2007248347A (en)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e
JP2023143983A (en) Automatic traveling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JP2020144916A (en) Work screen display system
JP7148695B2 (en) Work screen display system
JP7116432B2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KR20240011627A (en) Automatic traveling method, automatic traveling system, and automatic travel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