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8370A -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8370A
KR20220148370A KR1020210055136A KR20210055136A KR20220148370A KR 20220148370 A KR20220148370 A KR 20220148370A KR 1020210055136 A KR1020210055136 A KR 1020210055136A KR 20210055136 A KR20210055136 A KR 20210055136A KR 20220148370 A KR20220148370 A KR 20220148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embrane
wastewater treatment
water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용
조성근
이철구
이지환
최장욱
Original Assignee
금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8370A/ko
Publication of KR2022014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가압부상장치와 변형 MBR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가 적용된 가압부상장치를 이용하여 오일을 함유하는 폐수에서 오일의 분리를 극대화하여 막 오염을 줄이고, 단위 공정을 변경하여 총인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MBR 폐수처리장치이다.
본 발명의 MBR 폐수처리장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분리막을 막히게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분리막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오일 성분을 스컴 형태로 부상시켜 제거하여 오일을 함유하는 폐수처리에도 안정적으로 운용 가능하다. 또한, 처리조의 공정 순서를 변경하여 총인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고 공정에 필요한 부지 면적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MB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OIL AND TOTAL PHOSPHORUS TREATMENT EFFICIENCY}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가압부상장치와 변형 MBR 공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가 적용된 가압부상장치를 이용하여 오일을 함유하는 폐수에서 오일의 분리를 극대화하여 막 오염을 줄이고, 단위 공정을 변경하여 총인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MBR 폐수처리장치이다.
폐수(wastewater)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domestic sewage)와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액체상의 폐기물인 산업폐수(industrial wastewater)로 대표된다. 폐수처리는 사용하고 나서 오염된 물을 다시 자연으로 방류하기 위한 처리과정이다. 인구 증가와 산업화로 발생하는 폐수의 양과 성분이 자연의 자정능력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치를 훨씬 넘어섬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폐수처리는 필수적인 과정이 되었다.
폐수처리 과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국내 폐수 처리 시설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활성슬러지법이 있다. 활성슬러지법은 폐수처리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폐수와 활성슬러지와 혼합물을 혼합시켜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유기물을 포함한 폐수에 공기를 불어 넣어 미생물을 번식시켜 발생한 슬러지가 흡착성이 풍부한 플록(floc)을 생성하여 침강하고 투명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활성슬러지법에는 팽화(bulking)라고 하여 슬러지의 침강이 제대로 되지 않고 떠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며, 질소, 인 등의 무기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없어 추가 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활성슬러지법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자 중력침전에 의한 고액분리를 막분리로 치환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활성슬러지법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인 생물반응조와 분리막 공정을 조합시킨 것을 총칭하여 MBR(membrane bioreactor: 막결합형 생물반응기) 공법이라 한다. 분리막의 세공크기(수㎜~수십㎛)와 막표면 전하에 따라 원수 및 폐수 중에 존재하는 처리대상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는 고도 분리공정으로, 활성 슬러지 공정의 침전조를 분리막으로 대체하여 고액분리를 수행하는 기술이다.
MBR 공법은 부유고형물을 100% 제거할 수 있어 슬러지 침강성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며,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미생물의 농도를 3~4배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유기물 분해에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의 활성슬러지 공정보다 소요부지 면적이 적고 수질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다. 인구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물 수요의 증가로 보다 엄격해지는 수질규제에 맞추기 위해 MBR 공정이 효율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MBR 공법의 단점으로는 막 오염(Membrane Fouling)현상이 있다. 분리막에 오염물질이 쌓여 처리수의 통과 속도가 느려지게 되는데, 막 성능 유지를 위하여 분리막의 주기적인 교체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막 오염 현상은 피할 수가 없으며 이를 줄이기 위해 역세척과 화학약품을 통한 막의 세척 등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나, 화학세척은 2차 오염 물질을 발생하고 취급 및 운전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MBR 공법은 미생물에 의해 유기오염 및 질소화합물의 제거가 가능하나 다른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물질인 인의 제거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인은 질소와 함께 호소와 같은 폐쇄수역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물질이며, 물속에 포함된 인화합물의 총 농도 총인(total phosphorus)이라고 한다. 호소, 하천 등의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다. 총인은 입자성 인, 유기성 인, 폴리인산염, 인산염이온 등 수중에 존재하는 인의 총량을 측정한 값이다. 인은 합성세제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축산폐수에는 매우 높은 농도의 인이 함유되어 있다. 농업폐수에서도 많은 양이 흘러들어온다. 하천에서는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 적조 등의 조류의 대량 발생, 빈산소 현상 등의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방류수의 인의 농도를 낮은 농도로 처리해야 한다.
또한, 오일을 함유하는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가압부상조에서의 오일의 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아 가압부상조의 효율이 저하되거나, 분리막의 폐색이 일어나게 되어 폐수 처리 시설의 운전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오일성분 오염물질인 FOG(fat, oil, grease)는 식품 제조 공장 등의 폐수에서 주로 검출되며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식으면 굳어져 배수구가 막히고 세균과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오일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작고 액체상으로부터 분리되려는 경향이 있어서 부상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오일을 분리하는데 유용하지만, 생물학적 처리장치를 훼손하고, 하수관의 배수용량도 크게 떨어뜨린다.
따라서, 오일을 함유하는 폐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여 막 오염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인 제거를 할 수 있는 MBR 폐수처리방법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8866호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924호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를 적용하여 폐수에 함유된 오일의 분리를 극대화하여 막 오염을 줄이고, 인의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폐수 내의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 격벽에 의해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로 분리되며, 상기 무산소조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저류하고, 미생물에 의해 수중으로 다량의 인이 방출되며, 부유형 펌핑 장치로 일부 상등수를 가압부상조로 이송시키는 혐기조;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기물 산화와 질산화를 수행하고, 미생물이 과잉의 인을 흡수하며, 내부에 구비된 분리막을 통하여 고형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막분리조; 상기 혐기조로부터 유입된 상기 상등수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인이 응집된 응집수를 생성하는 응집조를 포함하며,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를 이용해 상기 응집수 내의 인이 응집하여 만들어진 스컴을 부상시켜 제거하고, 스컴이 제거된 처리수를 무산소조로 유입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가압부상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막분리조 내의 분리막은 PVDF에 산화그래핀을 코팅한 것이며, 가압부상조 내의 양전극과 음전극에 의해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이 제거되고, 상기 막분리조의 저부에는 원수 일부와 에어 스트림을 혼합하여 미세기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혐기조 전단에 과산화수소 및 오존을 이용하여 수산화라디칼을 통해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고도산화장치 및/또는 상기 막분리조 내부에 상기 분리막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막 이동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BR 폐수처리장치는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분리막을 막히게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분리막의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오일 성분을 스컴 형태로 부상시켜 제거하여 오일을 함유하는 폐수처리에도 안정적으로 운용 가능하다. 또한, 처리조의 공정 순서를 변경하여 총인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고 공정에 필요한 부지 면적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MBR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BR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BR 폐수처리장치는 크게 무산소조(100), 혐기조(200), 막분리조(300), 응집조(400), 가압부상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산소조(100)는 생물학적 질소 제거법으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무산소 상태로 만드는 공정이 수행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폐수 내의 질소를 제거한다. 무산소 상태에서 탈질 작용을 일으킨다.
탈질 작용(Denitrification)이란 혐기적 조건하에서 질산염이 미생물에 의해 환원되어 N2 또는 N2O 기체를 생성하여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최초 오염 상태의 질소는 암모니아성 질소로 존재하며, 호기 조건에서 질산화가 일어나 질산성 질소의 형태가 되면, 혐기 조건에서 탈질 기작이 일어나 질소 가스가 생성되어 질소가 제거된다.
무산소조(100) 하부에는 교반기(101)가 설치되어 균일하게 혼합이 이루어진다.
혐기조(200)는 무산소조(10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저류하여 미생물의 인 방출이 이루어지는 공정이 일어난다. 이 과정은 미생물인 phosphorus accumulating organisms(PAOs)에 의해 이루어지며, 혐기 조건에서 인을 방출한다. PAOs는 혐기 조건에서 폐수 내 유기물을 polymer 형태의 중간 생성물인 poly-hydroxy-alkanoate(PHA) 형태로 세포 내 축적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세포내의 adenosine triphosphate(ATP)를 adenosine diphosphate(ADP)로 전환시키면서 H2PO4 - 형태의 인을 세포 밖으로 방출한다. 다시 호기 조건이 주어지면 체내에 합서한 PHA를 electron donor로 이용하여 세포내에 다시 ATP를 형성하게 되면서 방출된 인을 과잉 섭취하게 된다. 혐기성 조건에서 산화질소가 존재할 경우 인 방출이 방해를 받아 처리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혐기조(200) 이전에 무산소조(100)를 거쳐 질소가 제거되므로 높은 처리효율을 가질 수 있다.
혐기조(200)의 내부에는 격벽(201)이 설치되어 제 1공간부(210) 및 제 2공간부(220)로 분리된다. 제 1공간부(210)로 무산소조(100)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며, 제 1공간부(210)는 혐기 상태가 유지되고, 제 1공간부(210) 하부에 설치된 교반기(211)에 의해 균일하게 혼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미생물에서 수중으로 다량의 인이 방출된다.
제 1공간부(210)에서 충분히 혼합된 처리수는 제 2공간부(220)로 유입되며, 제 2공간부(220)에서 처리수의 교반을 실시하지 않고 일정시간 저류함으로써, 처리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침전을 유도한다. 일정 시간 후 침전된 미생물은 막분리조(300)로 이송되고, 일부 상등수는 부유형 펌핑 장치(221)에 의해 가압부상조(500)로 이송된다.
혐기조(200) 전단에 과산화수소 및 오존을 이용하여 수산화라디칼을 통해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고도산화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혐기조(20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막분리조(300)로 유입되면, 상기 막분리조(300)의 저부에 설치된 미세기포장치(301)가 원수 일부와 에어 스트림을 혼합하여 미세기를 발생시킨다.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처리수 내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질소로 산화시키고 미처리된 유기물의 산화가 수행된다.
호기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 분해가 일어나며, 이는 산화반응에 속한다. 미생물에 의해 높은 분자량의 유기물이 산화반응을 거쳐 낮은 상태의 유기물이나 무기물로 전환된다. 이 과정을 거쳐 유기물은 최종 산물인 탄산가스, 물, 안정된 무기물로 분해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미생물이 과잉의 인을 흡수하게 된다. 호기성 조건에서 인이 과량으로 존재할 경우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양 이상의 인을 과잉섭취(luxury uptake)한다. 혐기 조건에서 생성된 PHA를 이용하여 호기 조건이 되면 혐기 조건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다시 ATP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의 섭취가 일어난다.
이후, 막분리조(300) 내부에 구비된 분리막(302)을 통해 고형물질을 제거하는 막분리 공정이 수행된다. 분리막(302)에 물을 통과시켜 수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나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술이다.
상기 분리막(302)은 PVDF에 산화그래핀을 코팅한 것이며, 상기 분리막(302)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막 이동장치가 상기 막분리조(300) 내부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막분리조(300)에서 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는 외부로 방류되며, 처리되지 못한 슬러지(처리 과정에서 생긴 침전물)는 내부 반송이 이루어져 무산소조(100)로 반송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기 상태를 유지하는 공정과 막분리 공정이 하나의 막분리조(300)로 형성되어 있으나 각각의 처리조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응집조(400)는 상기 혐기조(200)의 제 2공간부(220)로부터 유입된 상등수에 주 응집제 및 보조 응집제를 주입하여 상등수 내 인이 응집된 응집수를 생성한다. 상기 주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이고, 보조 응집제는 폴리머(polym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가압부상조(500)는 응집조(400) 후단에 연결되어,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501)를 이용해 상기 응집수에 포함된 인을 스컴(폐수를 처리할 때 물 위로 떠오르는 부유물 찌꺼기) 형태로 부상시켜 제거하며, 스컴이 제거된 처리수를 무산소조(100)로 환송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
혐기조(200)로부터 가압부상조(500)의 응집조(400)로 이송되는 상등수에는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부유물질은 응집조(400)에서 주 응집제 및 보조 응집제의 작용과 함께 응집효율을 높이는 응집핵으로 작용하여 가압부상조(500)에서의 인 제거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압부상조(500)에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501)가 적용되어 일정 범위(20~40um)의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킨다. 고액분리는 일반적으로 액체와 고체를 분리하는 것을 말한다. 하수·폐수 등을 처리할 때 액체와 고체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고액분리가 잘되어야 처리효율이 좋으며, 경제적인 비용이 적게 투입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501)는 가압부상조(500) 내에 눈에 보이지 않는 초미세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여 스컴을 부상시키며, 부상된 스컴은 별도로 이송되어 스컴 저장조에 저장된다.
상기 가압부상조(500) 내의 양전극과 음전극에 의해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이 제거되며, 가압부상조(500)는 응집조(400)에서 생성된 응집수에 포함된 스컴을 부상시켜 제거하므로, 가압부상조(500)에는 가압탱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성분은 하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비교적 휘발하기 힘든 탄화수소, 탄화수소유도체, 그리스(grease), 동·식물유지, 지방산 및 그 유도체, 에스테르, 아민이나 니트로화합물, 페놀류, 알콜류, 농약, 염료, 계면활성제, 콜로이드상의 유황, 할로겐탄화수소 등을 포함한다. 물에는 불용성이고, 비중은 물보다 작다는 특징이 있다. 폐수처리시설의 운전,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유해한 영향을 주고, 수생 동식물의 호흡 저해, 냄새, 맛 문제 유발 등의 원인물질이다.
석유, 석탄, 타르, 오일 등 광물성 원료로부터 얻어진 기름의 총칭하는 광유류와 동물이나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유지류인 동식물유지류가 있다. 광유류는 하수처리에서 스컴이나 거품을 형성하고 시설물을 더럽히는 등 불편한 관리문제를 유발하고, 하수도시설에서도 화재, 폭발,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동식물유지류는 중급 또는 고급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에스테르. 지방산의 탄소수나 불포화 결합수에 따라 상온에서 액체나 고체가 되며, 생분해는 용이하지만 고농도에서는 하수관이 막히거나 스컴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MBR 폐수처리장치는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501)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버블에 의해 가압부상조(500)에서의 고액분리의 효율이 향상되어 분리가 어려운 오일 성분도 스컴 형태로 부상시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상조(500)에서 스컴이 제거된 처리수는 무산소조(100)로 반송되어 처리 과정을 다시 수행하게 되며, 각 처리조의 적정 DO(용존산소량;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 농도를 유지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상조(500) 내 마이크로버블이 분리막(302)을 막히게 하는 오염물질인 막 fouling 인자(SMP, ESP 등)를 제거함으로써, 분리막 폐쇄가 발생하는 것을 지연시켜 분리막(302)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막 fouling 인자 중에서 ESP(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는 미생물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생분해성을 갖지 않은 성분인 세포외중합물질로서, 최종 처리수의 악화와 미생물 활성에 악영향을 끼쳐 막 오염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 SMP(soluble microbial products)는 0.45㎛ 이하의 용해성 또는 콜로이드성 대사생성물질인 용해성대사산물로서, 최종 처리수 내에 존재하여 처리수 중 유기물 농도를 증가시키고, 플록(floc) 형성에 악영향을 끼쳐 침전성 불량을 일으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MBR 폐수처리장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501)를 적용하여 가압부상조(500)의 고액분리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분리막을 막히게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분리막(302)의 폐쇄가 지연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폐수에서 오일 성분을 스컴 형태로 부상시켜 제거함으로써, 오일 처리효율을 극대화하여 오일을 함유하는 폐수처리에도 안정적으로 운용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무산소조(100)와 혐기조(200)의 공정 순서를 변경하여 총인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고 공정에 필요한 부지 면적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무산소조
101 : 무산소조 교반기
200 : 혐기조
201 : 격벽
210 : 제 1공간부
211 : 혐기조 교반기
220 : 제 2공간부
221 : 부유형 펌핑 장치
300 : 막분리조
301 : 미세기포장치
302 : 분리막
400 : 응집조
500 : 가압부상조
501 :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Claims (4)

  1.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폐수 내의 질소를 제거하는 무산소조(100);
    격벽(201)에 의해 제 1공간부(210) 및 제 2공간부(220)로 분리되며, 상기 무산소조(100)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저류하고, 미생물에 의해 수중으로 다량의 인이 방출되며, 부유형 펌핑 장치(221)로 일부 상등수를 가압부상조(500)로 이송시키는 혐기조(200);
    상기 혐기조(200)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의 유기물 산화와 질산화를 수행하고, 미생물이 과잉의 인을 흡수하며, 내부에 구비된 분리막(302)을 통하여 고형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하는 막분리조(300);
    상기 혐기조(200)의 제 2공간부(220)로부터 유입된 상등수에 응집제를 주입하여 상등수 내 인이 응집된 응집수를 생성하는 응집조(400); 및
    응집조(400) 후단에 연결되어,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501)를 이용해 상기 응집수에 포함된 인을 스컴 형태로 부상시켜 제거하며, 스컴이 제거된 처리수를 무산소조(100)로 환송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는 가압부상조(500);를 포함하고,
    상기 막분리조(300) 내의 분리막(302)은 PVDF에 산화그래핀을 코팅한 것이며,
    가압부상조(500) 내의 양전극과 음전극에 의해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R 폐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조(300)의 저부에는 원수 일부와 에어 스트림을 혼합하여 미세기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장치(30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R 폐수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혐기조(200) 전단에 과산화수소 및 오존을 이용하여 수산화라디칼을 통해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고도산화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R 폐수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조(300) 내부에 상기 분리막(302)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막 이동장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R 폐수처리장치.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조(300) 내부에 상기 분리막(302)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막 이동장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R 폐수처리장치.
KR1020210055136A 2021-04-28 2021-04-28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 KR20220148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136A KR20220148370A (ko) 2021-04-28 2021-04-28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136A KR20220148370A (ko) 2021-04-28 2021-04-28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370A true KR20220148370A (ko) 2022-11-07

Family

ID=8404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136A KR20220148370A (ko) 2021-04-28 2021-04-28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83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kansha et al. Treatment of dairy industry wastewater by combined aerated electrocoagulation and phytoremediation process
Awaleh et al. Waste water treatment in chemical industries: the concept and current technologies
CA2109436C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207933226U (zh) 一种工业废水处理系统
US3617539A (en) Proces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waste-water
KR100784933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및 질소 처리 장치
CN104261617B (zh) 废乳化液的处理方法
KR100906395B1 (ko) 축산폐수처리를 위한 고효율 축산 폐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026734B1 (ko) 방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처리 장치 및 방법
MXPA06012268A (es) Tratamiento de aguas residuales.
KR101671756B1 (ko) 지중 오염지하수의 양수, 펜톤산화 및 역삼투막 정화시스템
KR101339741B1 (ko) 하폐수 내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101316B (zh) 一种沥青生产废水处理工艺
CN106277597A (zh) 食品工业高脂肪废水的处理方法
CN209493455U (zh) 高浓度含油废水深度处理系统
CN201908019U (zh) 一种焦化废水处理系统
CN107265791A (zh) 餐厨垃圾浆料发酵废水处理装置
KR101678202B1 (ko) 폐기물 매립장용 침출수 처리 시스템
JP2010046602A (ja) 含油廃水処理方法
KR101278475B1 (ko) 선회류식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와 생물반응조를 결합한 슬러지처리장치
KR20090052946A (ko) 기름성분 및 염분을 포함한 폐수 처리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Garg Industrial wastewater: characteristics, treatment techniques and reclamation of water
Ahmad et al. A review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landfill management and treatment of leachate
US20210179467A1 (en) Sustainable processes for treating wastewater
KR20220148370A (ko) 오일 및 총인 처리효율이 향상된 mbr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