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233A -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 Google Patents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233A
KR20220146233A KR1020210053251A KR20210053251A KR20220146233A KR 20220146233 A KR20220146233 A KR 20220146233A KR 1020210053251 A KR1020210053251 A KR 1020210053251A KR 20210053251 A KR20210053251 A KR 20210053251A KR 20220146233 A KR20220146233 A KR 2022014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ube
steam
vacuum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김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용 filed Critical 김성용
Priority to KR102021005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233A/en
Publication of KR2022014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16L59/13Resilient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a steam transfer pipe having a vacuum maintenance apparatus for maintaining a vacuum state of a steam transfer pipe including an outer pipe, an inner pip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outer pi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pi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ransfer steam, and an insulator layer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ner pipe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dispos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pipe to form an insulation space. More specifical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a steam transfer pipe includes: an outer pipe airtight connection unit having one side airtightly coupled to an end region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ipe and elongated from one sid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longer than the outer pipe; an airtight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coupled to an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ipe airtight connection unit and one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pipe to form an airtight heat insulation space, and capable of being expanded and contracted when the inner pipe is moved; and a vacuum forming unit communicating with an insulation space through the outer pipe airtight connection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from the insulation space to the outside such that a vacuum state can be formed therein.

Description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본 발명은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을 이송하는 스팀이송배관의 단열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유지시킬 수 있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a steam transport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a steam transport pipe capable of maintaining a vacuum state in an insulating space of a steam transport pipe transporting steam.

난방이나 산업용으로 스팀을 사용하여 이 스팀을 생산하는 공급처에서 사용처까지 이송하기 위한 이중관 형상의 스팀이송배관을 사용한다. 이 스팀이송배관은 단열효율을 위해서 내관과 외관 사이를 이격시켜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단열공간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만든다. 스팀은 스팀이송배관의 단열공간의 개구로 공급한다.A double pipe-shaped steam transfer pipe is used to transport the steam from the supplier to the place of use using steam for heating or industrial purposes. This steam conveying pipe forms an insulating space by separating the inner pipe and the external for thermal insulation efficiency, and creates a vacuum state by discharging the air in the insulating space. Steam is supplied to the opening of the insulating space of the steam transfer pipe.

그러나 스팀이송배관의 단열공간의 개구에 진공유지장치를 고정하여 연결하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만 고온의 스팀이 내관이 유입되는 경우 내관이 열팽창을 하여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팽창하여 내관과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vacuum holding device is fixed and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insulated spac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and the air in the insulat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high-temperature steam enters the inner tube, the inner tube thermally expands and expand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damag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온의 스팀유입에 의한 내관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스팀의 누출 없이 안정적으로 단열공간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inner tube due to the inflow of high-temperature steam, steam transfer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vacuum state of the insulating space without steam leak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pip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외관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관보다 길게 형성되어 스팀을 이송시킬 수 있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외측을 소정 두께로 감싸며, 상기 외관의 내측에 대하여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단열재층을 갖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유지장치를 갖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외관의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에 기밀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관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는 외관기밀연결부; 상기 외관기밀연결부의 타측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과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공간을 기밀하게 형성하며, 상기 내관의 이동 시 신축될 수 있는 기밀신축관; 및 상기 외관기밀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에 연통되며,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는 진공형성부를 포함하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appearance along the outer appearanc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outer appear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inner tub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ch can transport steam, In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transport pipe having a vacuum holding device for maintaining the vacuum stat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disposed at a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of the exterior to form an insulating space, one side is the An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art which is airtightly coupled to the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and extends longer than the exterior from the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irtight expansion tube that is coupled to an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outer airtight connection part and a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to airtightly form the heat insulating space, and which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when the inner tube is moved; and a vacuum form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sulating space through the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part and discharging the air of the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to be in a vacuum state,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transport pip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진공형성부는,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외관기밀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에 연통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의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배출밸브; 및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forming unit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heat insulating space through the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unit to discharge the air of the heat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a discharge valve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to regulate the air flow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ay include a discharge driver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heat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진공형성부는, 상기 단열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공간의 임계압력을 저장하며,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기압이 상기 임계압력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열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상기 임계압력이 되지 않게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밸브와 상기 배출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forming unit further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insulating space, storing the critical pressure of the insulating spa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tmospheric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exceeds the critical pressur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valve and the discharge driver to discharge the air in the insulation space to the outside so that the pressure of the insulation space does not become at least the critical pressure.

또한, 상기 외관기밀연결부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영역로부터 상기 외관의 축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flange forme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al center of the exterior from a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외관기밀연결부 및 상기 기밀신축관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파형의 형상을 갖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airtight connection part and the airtight expansion tube may be formed with a section having a shape of a waveform such tha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outside increas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은, 고온의 스팀유입에 의한 내관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스팀의 누출 없이 안정적으로 단열공간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transport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the vacuum state of the insulating space without steam leakage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inner pipe due to the inflow of high-temperature stea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은, 단열공간의 압력을 감지하여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도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단열공간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팀이송배관의 스팀의 열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transport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ressure in the insulating space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pressure rises due to the inflow of air, thereby providing a vacuum in the insulating space. Since the state can be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steam of the steam transfer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을 나타내는 간략 예시도이다.
도 3은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스팀이송배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팀이송배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에 고온의 스팀이 흘러 길이방향 열팽창하는 동작도이다.
도 7은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에 고온의 스팀이 흘러 내관직경이 열팽창하는 동작도이다.
도 8은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지지기둥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변형된 스팀이송배관 말단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된 스팀이송배관 말단영역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을 고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내관을 고정하는 예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복수의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의 연결하는 관연결부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내관을 고정하는 고정결합부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5는 내관을 고정하는 고정결합부가 배치되는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position in which a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a steam transfer pip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mplified exemplary view showing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transfer pipe.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transfer pip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of FIG. 4 by cutting it in a first direc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rmal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flowing high-temperature steam into the inner pip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7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rmal expansion of the inner tube diameter by flowing high-temperature steam into the inner tube of the steam transfer pipe.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ner pipe support column of the steam transport pip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steam delivery pipe end region.
10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modified steam delivery pipe end region.
11 is an exemplary view for fixing the inner tube among the plurality of steam transfer pipes.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fixing the inner tube of FIG. 11 .
13 is an exemplary view of a pipe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an inner pipe among a plurality of steam transport pipes.
1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inner tube.
1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fixed coupling portion for fixing the inner tube is dispo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격간격, 배치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pressions of spacing, arrangement, etc.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and it should be clarified in advance that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여기서, 스팀이송배관시스템을 설명한다. 스팀이송배관시스템은 스팀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팀이송배관(1), 맨홀(2),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맨홀(2)은 당 발명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steam delivery piping system will be described. The steam transport pipe system may include a steam transport pipe 1 for transporting steam, a manhole 2, and a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port pipe. Since the manhole 2 is no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s description is omitted.

스팀이송배관(1)은 지역의 열병합발전소 및 지역 플랜트에서 스팀을 사용하는 사용처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열병합발전소 및 지역 플랜트 지상에서 지하에 매립되어 스팀사용처까지 스팀을 공급하는 이송경로이다.The steam transfer pipe 1 is connected from the local cogeneration power plant and the local plant to the place where steam is used, and is a transfer path that is buried underground from the ground to the cogeneration plant and the local plant to supply steam to the place where the steam is used.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은 스팀이송배관(1) 내의 단열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port pipe is a device that allows the heat insulation space in the steam transport pipe 1 to be made into a vacuum stat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이송배관(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eam transport pip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을 나타내는 간략 예시도이며, 도 3은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이송배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스팀이송배관을 제1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에 고온의 스팀이 흘러 길이방향 열팽창하는 동작도이며, 도 7은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에 고온의 스팀이 흘러 내관직경이 열팽창하는 동작도이고, 도 8은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지지기둥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변형된 스팀이송배관 말단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변형된 스팀이송배관 말단영역의 동작도이며, 도 11은 복수의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을 고정하는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8의 내관을 고정하는 예시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복수의 스팀이송배관 중 내관의 연결하는 관연결부의 예시도이고, 도 14는 내관을 고정하는 고정결합부의 구성 예시도이며, 도 15는 내관을 고정하는 고정결합부가 배치되는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of a position where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delivery pip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showing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delivery pipe, Figure 3 is steam delivery It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a pip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eam transpor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team transport pipe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FIG. 6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high-temperature steam flows into the inner tube of the steam transfer pipe and thermal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ner pipe support column of the steam transport pip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formed steam transport pipe end region, and FIG. 10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deformed steam transport pipe end region, 11 is an exemplary view for fixing the inner tube among a plurality of steam transfer pipes,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for fixing the inner tube of FIG. 8, and FIG. and FIG. 14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xed coupling part for fixing the inner tube, and FIG. 1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a fixed coupling part for fixing the inner tube is disposed.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이송배관(1)은 외관(10), 내관(20), 단열재층(30), 내관지지부(40), 신축관(50), 관연결부(60) 및 고정결합부(7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2 , the steam transport pip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ior 10, an inner tube 20, a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30, an inner tube support portion 40, and an expansion tube 50 ), a pipe connection part 60 and a fixed coupling part 70 may be included.

외관(10)은 이중관의 외측에 배치된 배관으로 내관(20)보다는 큰 직경을 가진다. 외관(10)은 외관본체(11)와 내측플랜지(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10)은 일반적으로 외관본체(11)만으로 이루어지며, 말단영역에서 축심방향으로 절곡된 내측플랜지(12)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The outer tube 10 is a pip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double tube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tube 20 . The exterior 10 may include an exterior body 11 and an inner flange 12 . The exterior 10 generally consists of only the exterior body 11, and may additionally have an inner flange 12 bent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distal region.

외관본체(1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관본체(11)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outer body 11 may be formed in a pipe shape. In general, the exterior body 11 preferably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내측플랜지(12)는 외관본체(11)의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으로부터 축심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inner flange 12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from the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body 11 toward the axial center.

내관(20)은 외관(10) 내측에 배치되며, 스팀이 이송되기 위한 이송경로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 내관(20)은 길이방향을 따른 외관(1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외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스팀을 이송시킬 수 있다. 내관(20)은 내관본체(21)와 돌출고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tube 20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e 10, and provides a transport path for steam to be transported. In more detail, the inner tube 20 is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tub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outer tub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ransport steam. The inner tube 20 may include an inner tube body 21 and a protruding fixing part 22 .

내관본체(21)는 외관(10)의 외관본체(11)의 직경보다 소정 길이 이상 작은 외경을 갖는다. 내관본체(21)는 외관본체(11)의 형상 및 단면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상 및 단면을 갖고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형상 및 단면을 갖고 형성될 수도 있다. 내관본체(21)는 이송유로를 통해 단열관으로 200℃ 이상 특히 250℃ 이상 400℃ 이하의 고온 스팀을 이송할 수 있다.The inner tube body 21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uter body 11 of the outer tube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The inner tube body 21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and cross section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shape and cross section of the outer body 11, or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and cross section. The inner tube body 21 may transfer high-temperature steam of 200° C. or higher, particularly 250° C. or higher and 400° C. or lower, to the heat insulating tube through the transfer passage.

돌출고정부(22)는 내관본체(21)의 둘레방향을 따른 외측에 결합되어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관본체(21)의 둘레방향을 따른 외측의 일부영역에서 돌출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고정부(22)는 후술할 신축관(50)과 기밀신축관(82)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돌출고정부(22)는 후술할 신축관(50)의 타측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관(20)의 외측으로부터 외향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rotrusion fixing part 22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ody 21 and may be formed in a flange shape away from the axis, and protrudes from a partial area of the outer sid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body 21 to the outside It may be formed having a shape extending to The protrusion fixing part 22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ipe 50 and the airtight expansion pipe 8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The protrusion fixing part 22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20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expansion tube 5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upled thereto.

단열재층(30)은 내관(20)의 외측을 소정 두께로 감싸며, 외관(10)의 내측에 대하여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외관(10)과 내관(20)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한다. 내관(2)을 통해 이송되는 스팀의 온도가 200 ~ 400℃ 정도이므로 이를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이 온도에 대한 단열기능이 높은 무기재질과 유기재질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단열재층(30)은 단열본층(31)과 단열단층(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30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20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disposed with a spacing therebetween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10 to form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transferred through the inner tube 2 is about 200 ~ 400 ℃, it must be able to withstand it, and it may be mad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having a high thermal insulation function for this temperatur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30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ain layer 31 and a heat insulating single layer 32 .

단열본층(31)은 외관(10)의 내측면과 이격간격을 갖고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thermal insulation main layer 31 may have a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10 to form a thermal insulation space.

단열단층(32)은 내관(20)의 외관(10) 길이방향 이동 시 걸리지 않도록 말단영역이 단층형상을 갖는다. 단열단층(32)은 단열본층(31)의 말단영역에서 단열본층(31)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The thermal insulation single layer 32 has a single-layer shape at the end of the inner tube 20 so as not to be caught dur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exterior 10 of the inner tube 20 . The heat insulation single layer 32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heat insulation main layer 31 in the distal region of the heat insulation main layer 31 .

내관지지부(40)는 내관(20)이 외관(1)의 내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고온의 스팀이 유동하는 경우 내관(10)이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열팽창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내관(20)이 외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열팽창을 통한 이동이 되면서 외관(10)과 내관(20)이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스팀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내관지지부(40)는 내관지지기둥(41), 회전볼(42), 볼탄성가압부(43), 내관지지클램프(44) 및 고정패드(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tube support unit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tube 20 is dispos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inside the outer tube 1, and when high-temperature steam flows, the inner tube 10 can thermally expan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Even in this case, as the inner tube 20 moves through thermal expansion relative to the outer surface,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are not damaged and can help to stably transport steam. The inner tube support unit 40 may include an inner tube support column 41 , a rotating ball 42 , a ball elastic pressing unit 43 , an inner tube support clamp 44 , and a fixed pad 45 .

내관지지기둥(41)은 내관(20) 복수의 외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외관(10)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내관지지기둥(41)은 탄성가압부수용부(411)와 볼저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tube support column 41 is formed to exten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10 in a state suppor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inner tube 20 . The inner tube support column 41 may include an elastic pressing unit accommodating portion 411 and a ball stopping portion 412 .

복수의 상기 내관지지기둥(41)은 내관(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소정 범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내관지지기둥(41)은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적어도 한 쌍의 내관지지기둥(41)은 내관(20)의 동일한 축심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inner tube support pillars 41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0 . And the plurality of inner tube support pillars 41 are provided in at least one pair, and at least one pair of inner tube support pillars 4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ame axis center of the inner tube 20 .

탄성가압부수용부(411)는 실린더 형상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회전볼(42)을 외관(10)의 내측면으로 탄성을 가하는 볼탄성가압부(43)와 회전볼(42)을 수용할 수 있다. The elastic pressing unit accommodating portion 411 may accommodate the ball elastic pressing unit 43 and the rotating ball 42 that are hollow in a cylindrical shape and apply elasticit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10 of the rotating ball 42 . .

볼저지부(412)는 탄성가압부수용부(411)의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에서 축선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탄성가압부수용부(411) 내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볼(42)이 볼탄성가압부(43)에 의해 외관(10)의 내측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볼저지부(412)는 탄성가압부수용부(411)의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 전체영역에서 축선을 향해 플랜지와 같은 형상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일부영역에서만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수용부(411)의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 일부영역에서 돌출되는 경우 축선을 중심으로 적어도 정삼각형을 이루는 3곳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ll stopping part 412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axis in the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pressing part accommodating part 411, and the rotating ball 42 accommodated in the elastic pressing part accommodating part 411 is ball elastically pressed. It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10) by the portion (43). The ball blocking portion 412 may protrude in a flange-like shape toward the axis in the entire distal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pressing unit accommodating portion 411, or may protrude only in a partial region. In addition, when protruding from a partial region at the distal 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pressing unit accommodating portion 411,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from at least three places forming an equilateral triangle around the axis.

회전볼(42)은 내관지지기둥(41)의 연장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관(20)의 길이방향 이동 시 외관(10)의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The rotating ball 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inner tube support column 41 and can be rotated in a stat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10 when the inner tube 2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볼탄성가압부(43)는 내관지지기둥(41)에 지지되며 회전볼(42)을 외관(10)의 내측으로 탄성을 가할 수 있다. 볼탄성가압부(43)는 적어도 내관(20)을 지지할 수 있는 탄성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볼탄성가압부(43)의 탄성강도는 적어도 내관(20)의 무게를 지지하여 내관(20)이 외관(10) 내측에서 치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볼탄성가압부(43)는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마련된 후 유압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탄성가압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The ball elastic pressing unit 43 is supported on the inner tube support column 41 and may apply elasticity to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10 of the rotating ball 42 . The ball elastic pressing part 43 may have an elastic strength capable of supporting at least the inner tube 20 . The elastic strength of the ball elastic pressing part 43 can support at least the weight of the inner tube 20 so that the inner tube 20 is not biased from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10 . The ball elastic pressing unit 43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but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er and a piston and then elastically pressurized using hydraulic pressure or compressed air.

내관지지클램프(44)는 내관의 외측을 둘러싸며 클램핑할 수 잇도록 형성된다.The inner tube support clamp 44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and is formed to be clampable.

고정패드(45)는 내관지지클램프(44)와 내관(20) 외측 사이에 개재되어 내관지지클램프(44)가 내관(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내관지지클램프(44)가 금속재질이고 내관(20)도 금속재질인 경우 클램핑된 후 미끄러져 어긋할 수도 있으므로 고정패드를 내관지지클램프(44)와 내관(20) 사이에 개재하여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고정패드(45)는 접착제가 내재되어 있어 내관지지클램프(44)와 내관(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The fixing pad 4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tube support clamp 44 and the outer tube 20 so that the inner tube support clamp 44 is fixed to the inner tube 20 . If the inner tube support clamp 44 is made of metal and the inner tube 20 is also made of metal, it may slip after being clamped. have. Since the fixing pad 45 has an adhesive embedded therei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ner tube support clamp 44 and the inner tube 20 may be improved.

신축관(50)은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이 외관(10)의 내측플랜지(12)에 지지되고, 타측이 외관(10)의 내측 영역을 벗어난 내관(20)의 외측에 지지되며, 내관(20)의 이동 시 신축될 수 있다. 신축관(50)은 벨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e side of the expansion tube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pported on the inner flange 12 of the outer tube 10, and the other side is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20 outside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 can be stretched when moving. The expansion tube 50 may be formed of a bellows tube.

관연결부(60)는 복수의 내관(20) 및 복수의 외관(10) 중 인접한 내관과 외관을 이격간격을 두고 연결할 수 있다. 관연결부(6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본체(61), 누출방지부(62) 및 본체결합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ipe connection unit 60 may connect an adjacent inner tube and an outer tube among the plurality of inner tubes 20 and the plurality of outer tubes 10 at a spaced interval therebetween. The pipe connection part 6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61 , a leak prevention part 62 , and a body coupling part 63 .

연결본체(61)는 외관(10)과 내관(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외관(10)과 내관(20)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연결본체(61)는 분리된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호 결합되어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리된 한 쌍으로 마련된 연결본체(61)로 인하여 설치된 내관(20)과 외관(10)을 연결하기 쉽다.The connection body 61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s of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and can accommodate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inside. The connection body 61 is provided as a separate pair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have a pipe shape. It is easy to connect the installed inner tube 20 and the outer tube 10 due to the separate connecting body 61 provided as a pair.

누출방지부(62)는 복수의 내관(20)과 복수의 관연결부의 연결본체(61) 사이에 개재되어 복수의 내관(20)을 유동하는 스팀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누출방지부(62)는 오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본체(6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는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연결본체(61)의 내측면과 내관(20)의 외측면을 기밀하게 하여 스팀이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누출방지부(62)는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leakage preventing unit 62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inner tubes 20 and the connecting body 61 of the plurality of tube connecting portions to prevent steam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inner tubes 2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 leak prevention part 62 may have an O-ring shape, and air-tight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6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20 in a state accommodated in a receiving groove that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body 61 . to prevent steam from leaking. The leak prevention part 62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본체결합부(63)는 한 쌍으로 분리된 연결본체(61)의 연부로부터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기 용이하게 된다. 본체결합부(63)는 결합공으로 마련되어 볼트 너트로 결합될 수도 있고, 클램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체결합부(63)는 설치하기 용이하게 원터치로 클램핑 및 클램핑해제할 수 있는 원터치클램프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main body coupling part 63 is formed in a ring shape from the edge of the connecting body 61 separated into a pair, so that they ar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The body coupling part 63 may be provided as a coupling hole and may be coupled with a bolt/nut, or may be provided with a clamp. The body coupling part 63 may be provided as a one-touch clamp that can be clamped and released with one touch to facilitate installation.

고정결합부(70)는 복수의 내관(20) 중 하나의 내관과 하나의 내관과 길이방향으로 중첩된 해당 외관을 길이방향에 대하여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결합부(70)는 복수의 관연결부 중 인접한 관연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결합부(70)는 앵커(71)와 앵커서포트(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결합부(70)는 복수로 마련되며, 외관(10)의 축심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fixed coupling portion 70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inner tube and one inner tube among the plurality of inner tubes 20 and the corresponding outer tube overlapp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ed coupling part 70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pipe connection parts among the plurality of pipe connection parts. The fixed coupling portion 70 may include an anchor 71 and an anchor support 72 . The fixed coupling part 7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pair disposed to face the axis center of the exterior 10 .

앵커(71)는 외관(10)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앵커(71)는 하나의 내관과 길이방향으로 중첩된 해당 외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앵커(71)는 원반형상으로 외경이 외관(10)의 내경과 유사하게 형성되며, 외관(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anchor 71 may be welded to the exterior 10 . The anchor 71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inner tube and the corresponding outer tube overlapp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nchor 71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has an outer diameter similar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exterior 10, and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exterior 10 to be welded and fixedly coupled.

앵커서포트(72)는 외관(10)의 내측에 배치 용접된 앵커(71)와 내관 외측에 용접결합되어 외관(10)에 대하여 내관(2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앵커서포트(72)는 일측이 복수의 내관(20) 중 하나의 내관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길이방향에서 앵커(71)를 사이에 두고 앵커(71)의 양단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The anchor support 72 is weld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anchor 71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10 so that the inner tube 2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tube 10 . One side of the anchor support 72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side of one of the plurality of inner tubes 20 , and the other side can be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anchor 71 with the anchor 71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앵커서포트(72)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반 1/4 형상일 수 있다. 앵커서포트(72)는 판면방향이 외관(10)의 축선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앵커(71)의 일면과 배면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 앵커(71)의 일면과 배면에 용접결합되는 앵커서포트(72)는 외관(10)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앵커서포트(72)는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앵커(71)를 지지할 수 있다. 앵커서포트(7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외관(10)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외관(10)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동일하지 않게 배치되며 복수로 마련되어 앵커(7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The anchor support 7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have a disk 1/4 shape. The anchor support 72 may be welded to on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anchor 71 by being disposed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10 in the plate direction. The anchor support 72 welded to on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anchor 71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10 . Thereby, the pair of anchor support 72 can support the anchor 71 stably and firmly. Anchor support 7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may not be arranged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10). It is arranged unequal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1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firmly support the anchors 71 .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은 외관(10), 길이방향을 따른 외관(10)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외관(10)보다 길게 형성되어 스팀을 이송시킬 수 있는 내관(20) 및 내관(20)의 외측을 소정 두께로 감싸며, 외관(10)의 내측에 대하여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단열재층(30)을 갖는 스팀이송배관(1)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conveying pipe is disposed in the exterior 10 and the inner region of the exterior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exterio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ransport steam. (20) and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20)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team transfer pipe (1)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30) disposed at a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10) to form a heat insulating space vacuum of (1) It is a configuration to maintain the state.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은 외관(10)과 기밀하게 연결되어 단열재층(30)에 의해 형성된 단열공간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진공상태를 만들어주어야 열전달 매개체가 최소화되어 단열효과가 향상된다.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은 외관기밀연결부(81), 기밀신축관(82), 진공형성부(83) 및 제어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port pipe is airtightly connected to the exterior 10 and discharges air in the insulating space formed by the insulating material layer 30 to form a vacuum state. By creating a vacuum in this way, the heat transfer medium is minimized and the insulation effect is improved.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port pipe may include an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part 81 , an airtight expansion pipe 82 , a vacuum forming part 83 , and a control unit 84 .

외관기밀연결부(81)는 일측이 외관(10)의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에 기밀하게 결합되며,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외관(10)보다 길게 연장 형성된다. 외관기밀연결부(81)는 외관기밀연결본체(811), 지지플랜지(812) 및 외관파형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art 81 is airtightly coupled to the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surface 10 on one side, and extends longer than the exterior exterior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The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part 81 may include an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body 811 , a support flange 812 , and an external wave shape part 813 .

외관기밀연결본체(811)는 외관(10)의 말단에 용접 결합되어 단열공간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고 기밀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body 811 is welded to the end of the exterior 10 so that the insulating space is kept airtight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지지플랜지(812)는 외관기밀연결본체(811)로부터 외관(10) 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맨홀(2)에 설치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플랜지(812)는 외관기밀연결본체(811)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영역로부터 외관(10)의 축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flange 81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body 81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terior 10 axis,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supported in the manhole 2 . The support flange 81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al center of the exterior 10 from a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body 811 .

외관파형부(813)는 내관(20)이 열팽창되는 경우 길이방향의 팽창을 완충시킬 수 있다. The outer corrugated portion 813 may buffer the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inner tube 20 is thermally expanded.

기밀신축관(82)은 외관기밀연결부(81)의 타측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과 내관(20)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영역에 결합되어 단열공간을 기밀하게 형성하며, 내관(20)의 이동 시 신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관(20)이 열팽창하는 경우에도 단열공간이 기밀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열팽창되면서 외관(10)과 내관(20)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The airtight expansion pipe 82 is coupled to an end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outer airtight connection part 81 and one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0 to form an airtight insulating space, and movement of the inner tube 20 can be expanded upon. Accordingly, even when the inner tube 20 is thermally expanded,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may not be damaged while thermally expanding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while the insulating space is kept airtight.

외관기밀연결부(81) 및 기밀신축관(82)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파형의 형상을 갖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portion 81 and the airtight expansion pipe 82 may be formed with a section having a waveform shape such tha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outside increases.

진공형성부(83)는 외관기밀연결부(81)를 통해 단열공간에 연통되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단열공간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진공형성부(83)는 배출관(831), 배출밸브(832), 배출구동부(833), 압력감지부(834) 및 온도감지부(8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cuum forming part 83 communicates with the heat insulating space through the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part 81, and discharges the air of the heat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at insulating space becomes a vacuum state. The vacuum forming unit 83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831 , a discharge valve 832 , a discharge driving unit 833 , a pressure sensing unit 834 ,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835 .

배출관(831)은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외관기밀연결부(81)를 통해 단열공간에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pipe 831 may communicate with the heat insulation space through 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art 81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of the heat insulation space to the outside.

배출밸브(832)는 배출관(831) 상에 배치되어 배출관(831)의 공기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The discharge valve 832 may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831 to regulate the air flow of the discharge pipe 831 .

배출구동부(833)는 배출관(831)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구동부(833)는 송풍팬과 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마련되어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discharge driver 833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831 in communication with it, and may discharge the air in the heat insulation space to the outside. The exhaust driving unit 833 may include a blower fan and a motor, and may be provided with a cylinder and a piston to discharge the air in the heat insulation space to the outside.

압력감지부(834)는 단열공간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ing unit 834 may sense the pressure of the insulating space.

온도감지부(835)는 단열공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835 ma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space.

제어부(84)는 단열공간의 임계압력을 저장하며, 압력감지부(834)로부터 감지되는 기압이 임계압력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열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임계압력이 되지 않게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밸브(832)와 배출구동부(833)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4 stores the critical pressure of the adiabatic spa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834 exceeds the critical pressure, the air in the adiabatic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pressure of the adiabatic space does not become at least the critical press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valve 832 and the discharge driver 833 to discharge to the

제어부(84)는 단열공간의 임계압력을 저장하며, 온도감지부(835)로부터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열공간의 온도가 적어도 기설정온도가 되지 않게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밸브(832)와 배출구동부(833)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84 stores the critical pressure of the adiabatic spa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835 exceeds the preset temperature, the air in the adiabatic space does not become at least the prese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charge valve 832 and the discharge driver 833 to discharge to the outside.

도 1은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position where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fer pipe is installed.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은 스팀이송배관(1)의 단열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해서 단열공간의 공기를 지상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과 맨홀(2)이 필요하다. 맨홀(2)은 지하에 형성되며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지상의 외부로 연결하는 배출경로 등이 형성되어 있다.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은 이 맨홀(2) 내에 설치되어 스팀이송배관(1)의 단열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지상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port pipe discharges the air in the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in order to form the insulating spac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1 in a vacuum state. To this end,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and the manhole 2 of the steam transfer pipe are required. The manhole 2 is formed underground, and a discharge path connecting the air discharged by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fer pipe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is formed.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port pipe is installed in the manhole 2 to dischar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insulation spac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1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도 2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을 나타내는 간략 예시도이다.2 is a simplified exemplary view showing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fer pipe.

제어부(84)는 압력감지부(834)로부터 감지되는 기압이 임계압력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열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임계압력이 되지 않게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밸브(832)와 배출구동부(833)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열공간의 진공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tmospheric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834 exceeds the critical pressure, the control unit 84 includes a discharge valve 832 and The exhaust driver 833 may be controlled. Thereby,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vacuum state of the insulating space.

여기서, 제어부(84)는 배출구동부(833)의 구동시간, 구동전류, 구동간격 등을 고려하여 스팀이송배관(1)의 스팀누출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동부(833)의 구동시간, 구동전류, 구동간격을 고려하여 누출영역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동부(833)의 구동간격이 이전 구동간격보다 짧은 경우 누출영역이 가까운 곳으로 추정하고, 배출구동부(833)의 구동 중 단열공간의 압력하락정도가 기설정압력하락정도가 아닌 경우 스팀누출을 판단하고, 임계압력이하까지의 배출구동부(833)의 구동시간이 기설정 구동시간 이하인 경우 스팀누출을 판단한다.Here, the control unit 84 may determine the steam leakage of the steam conveying pipe 1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time, driving current, driving interval, and the like of the discharge driving unit 833 . In addition, the leakage area may be estim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time, driving current, and driving interval of the discharge driver 833 . For example, if the driving interval of the exhaust driving unit 833 is shorter than the previous driving interval, the leakage area is estimated to be close, and the pressure drop in the adiabatic space during the driving of the exhaust driving unit 833 is not the preset pressure drop. Steam leakage is determined, and when the driving time of the discharge driving unit 833 up to the critical pressure or less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driving time, steam leakage is determined.

여기서, 배출구동부(833)의 구동 중 단열공간의 압력하락정도가 기설정압력하락정도가 아닌 경우, 임계압력이하까지의 배출구동부(833)의 구동시간이 기설정 구동시간 이하인 경우, 배출구동부(833)의 구동간격이 이전 구동간격보다 짧은 경우, 단열공간의 온도가 기설정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 등에 따라서 배출구동부(833)에 정상가동전류보다 적어도 20% 이상 큰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Here, when the degree of pressure drop in the adiabatic space during the driving of the exhaust driver 833 is not the preset pressure drop, the driving time of the exhaust driver 833 up to the critical pressu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driving time, the exhaust driver ( When the driving interval of the 833 is shorter than the previous driving interval,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space is low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etc., a current greater than the normal operating current by at least 20% or more may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driving unit 833 .

여기서, 배출밸브(832)는 단열공간으로부터 외부로의 유동은 허락하면서 단열공간으로의 유동을 허락하지 않는 역류방지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discharge valve 832 may be formed of a non-return valve that does not allow flow to the adiabatic space while allowing a flow from the adiabatic space to the outside.

도 6 스팀이송배관(1) 중 내관(20)에 고온의 스팀이 흘러 길이방향 열팽창하는 동작도이다.6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high-temperature steam flows into the inner tube 20 of the steam transfer pipe 1 and thermally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6 (a) 스팀이송배관(1)의 내관(20)이 외관(10)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6 (a) the inner tube 20 of the steam transfer pipe 1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e 10.

도 6 (b) 내관(20)으로 200~400℃의 스팀이 공급되면 내관이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열팽창을 하게 된다. 주로 길이방향의 팽창이 이루어지는데 내관(20) 좌측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관(20)은 고정부분 우측으로 길이방향 팽창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외관(10)은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지 않았으므로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대로 위치한다. 이렇게 내관(20)이 팽창하므로 내관지지부(40)가 내관(20)을 지지하면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회전볼(42)이 외관(10)의 내측면을 따라 구르면서 자연스럽게 열팽창이 이루어진다. FIG. 6 (b) When steam of 200 to 400° C.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0, the inner tube thermally expand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he expa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inly made, and since the left side of the inner tube 20 is fixed, the inner tube 20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fixed part. However, the exterior 10 is not expanded because high-temperature steam is not supplied and is positioned as it is. As the inner tube 20 expands in this way, the inner tube support unit 40 moves to the right while supporting the inner tube 20 , and as the rotary ball 42 roll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10 , thermal expansion occurs naturally.

도 7은 스팀이송배관(1) 중 내관(20)에 고온의 스팀이 흘러 내관직경이 열팽창하는 동작도이다.7 is an operation diagram in which high-temperature steam flows into the inner tube 20 of the steam transfer pipe 1 and the inner tube diameter thermally expands.

도 7 (a) 내관(20)으로 200~400℃의 스팀이 공급되면 내관(20)이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열팽창을 하게 된다. 이런 경우 내관지지부(40)가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변동하지 않는 다면 내관(20)이 가로방향으로 열팽창되는 경우 내관지지부(40)가 외관(10)을 외측으로 밀어 외관(10)을 손상시킬 수 있다. 스팀이송배관(1)의 내관(20)이 외관(10)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7 (a) When steam of 200 ~ 400 ℃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0, the inner tube 20 is thermally expand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this case, if the inner tube support unit 40 does not change 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inner tube 20 is thermally expa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inner tube support unit 40 pushes the outer tube 10 to the outside and may damage the outer tube 10 . have. The inner tube 20 of the steam transfer pipe 1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e 10 .

도 7 (b) 내관(20)으로 200~400℃의 스팀이 공급되어 내관(20)이 길이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으로 팽창을 하게 되며, 회전볼(42)이 내관지지기둥(41)의 탄성가압부수용부(411)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내관지지부(40)가 외관(10)을 외측으로 가하는 팽창력을 완충시킨다. 이에 의해 내관지지부(40)가 외관(10)을 외측으로 밀어 외관(10)을 손상시키지 않게 될 수 있다.7 (b) steam of 200 ~ 400 ℃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0 to expand the inner tube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tating ball 42 is the elasticity of the inner tube support column (41)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ressing unit receiving portion 411, the inner tube support portion 40 buffers the expansion force applied to the outer tube 10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inner tube support unit 40 pushes the outer tube 10 to the outside so that the outer tube 10 is not damaged.

도 8은 스팀이송배관(1) 중 내관지지기둥(41)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ner pipe support column 41 of the steam transport pipe (1).

도 8 (a), 도 8 (b)는 복수의 내관지지기둥(41)은 내관(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소정 범위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내관지지기둥(41)은 적어도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적어도 한 쌍의 내관지지기둥(41)은 내관(20)의 동일한 축심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8 (a), 8 (b), the plurality of inner tube support columns 41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0, the plurality of inner tube support columns 41 is at least one pair is provided, and at least a pair of inner tube support pillars 41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ame axial center of the inner tube 20 .

도 10은 변형된 스팀이송배관(1) 말단영역의 동작도이다.10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end region of the modified steam transport pipe (1).

도 10 (a) 스팀이송배관(1)의 내관(20)이 외관(10)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관(20)에 스팀이 유동하고 있지 않는다. 신축관(50)이 외관(10)과 내관(20)에 용접되어 기밀하게 단열공간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이다.10 (a) The inner tube 20 of the steam transfer pipe (1) is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e (10), the steam does not flow in the inner tube (20).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ube 50 is welded to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to airtightly shield the insulating space.

도 10 (b) 내관(20)으로 200~400℃의 스팀이 공급되어 내관(20)이 길이방향으로 팽창하나 신축관(50)이 늘어나서 외관(10) 및 내관(20)을 손상시키지 않게 된다.10 (b) steam at 200 ~ 400 ℃ is supplied to the inner tube 20, the inner tube 20 expa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ube 50 is stretched so as not to damage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

도 12는 도 11의 내관(20)을 고정하는 예시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fixing the inner tube 20 of FIG. 11 .

원반 형상의 앵커(71)가 외관(10)의 내측에 용접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의 앵커(71) 전후단에서 앵커(71)의 판면에 앵커서포트(72)의 일측이 용접되어 결합된다. 앵커서포트(72)의 타측은 내관(20)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고정 결합된다. 이에 의해 앵커(71)와 앵커서포트(72)가 외관(10)과 내관(20)을 고정결합할 수 있으며, 스팀이 내관(20)에 유동하는 경우 고정되는 부분이 된다. 이에 따라 내관(20)이 외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스팀이 유동하는 경우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열팽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anchor support 72 is welded to the plate surface of the anchor 71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anchor 7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sk-shaped anchor 71 is welded to the inside of the exterior 10 .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support 72 is weld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20 to be fixedly coupled. Accordingly, the anchor 71 and the anchor support 72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tube 10 and the inner tube 20 , and become a fixed portion when steam flows into the inner tube 20 . Accordingly, the inner tube 20 is stably fixed to the outer tube 10 , and when steam flows, thermal expansion can be stably performed around the fixed portion.

도 15는 내관(20)을 고정하는 고정결합부(70)가 배치되는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fixed coupling portion 70 for fixing the inner tube 20 is disposed.

외관(10)이 관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고정결합부(70)가 A와 B 위치에서 내관(2)을 외관(10)에 고정시키고, 관연결부(60)에 외관(10)과 내관(20)이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도록 하여 스팀이 내관으로 유입되어 유동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팽창할 수도 있다.The exterior 1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connected by the pipe connection part 60 , and the fixed coupling part 70 fixes the inner tube 2 to the exterior tube 10 at positions A and B, and the exterior to the pipe connection part 60 . (10) and the inner tube (20) are arranged to have a spaced apart, so that when steam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tube and flows, it can be stably expanded.

상기의 내관지지부(40)는 내관(20)에 지지되어 형성되지만, 외관(10)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볼(42)이 내관(20)의 외측에 접하여 내관(2)의 팽창 시 내관(20)이 손상되지 않고 팽창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내관지지부(40)가 외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 내관(20)의 외측에는 회전볼(4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이동가이드 즉,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관지지부(40)가 내관(2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 외관(10)의 내측면에는 회전볼(42)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이동가이드 즉,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inner tube support portion 40 is formed by being supported by the inner tube 20, but is support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10 so that the rotating ball 42 contacts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20 to expand the inner tube (2). 20) may be allowed to expand without being damaged. When the inner tube support 40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tube 10, a rotational movement guide, ie,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20 to allow the rotary ball 42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inner tube support part 4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20, a rotational movement guide, that is,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e 10 to allow the rotary ball 42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상기의 내관(20)의 외측에는 내관지지클램프(44)가 내관(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함몰되어 안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함몰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20, the inner tube support clamp 44 is depressed so as to block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0, a depression coupling portion to be seated and coupled may be formed.

상기의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80)으로 인하여, 고온의 스팀유입에 의한 내관(20)의 팽창에도 불구하고 스팀의 누출 없이 안정적으로 단열공간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단열공간의 압력을 감지하여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도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단열공간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팀이송배관의 스팀의 열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80 of the steam transport pip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vacuum state of the insulating space without steam leakage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inner pipe 20 due to the inflow of high-temperature steam, and When the pressure is sensed and the pressure rises due to the inflow of ai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vacuum state of the adiabatic space by discharging the air of the adiabatic space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steam of the steam conveying pip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specifi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스팀이송배관 2: 맨홀
10: 외관 11: 외관본체
12: 내측플랜지
20: 내관 21: 내관본체
22: 돌출고정부
30: 단열재층 31: 단열본층
32: 단열단층
40: 내관지지부 41: 내관지지기둥
411: 탄성가압부수용부 412: 볼저지부
42: 회전볼 43: 볼탄성가압부
44: 내관지지클램프 45: 고정패드
50: 신축관
60: 관연결부 61: 연결본체
62: 누출방지부
70: 고정결합부 71: 앵커
72: 앵커서포트
80: 진공유지시스템 81: 외관기밀연결부
811: 외관기밀연결본체 812: 지지플랜지
813: 외관파형부 82: 기밀신축관
83: 진공형성부 831: 배출관
832: 배출밸브 833: 배출구동부
834: 압력감지부 835: 온도감지부
84: 제어부
1: Steam transfer pipe 2: Manhole
10: exterior 11: exterior body
12: inner flange
20: inner tube 21: inner tube body
22: protrusion fixing part
30: insulation layer 31: insulation main layer
32: insulation fault
40: inner tube support 41: inner tube support column
411: elastic pressure accommodating portion 412: ball stop portion
42: rotating ball 43: ball elastic pressing part
44: inner tube support clamp 45: fixed pad
50: expansion tube
60: pipe connection part 61: connection body
62: leak prevention part
70: fixed coupling portion 71: anchor
72: anchor support
80: vacuum maintenance system 81: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art
811: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body 812: support flange
813: external wave form part 82: airtight expansion tube
83: vacuum forming unit 831: discharge pipe
832: discharge valve 833: discharge drive unit
834: pressure sensing unit 835: temperature sensing unit
84: control unit

Claims (5)

외관,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외관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관보다 길게 형성되어 스팀을 이송시킬 수 있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외측을 소정 두께로 감싸며, 상기 외관의 내측에 대하여 이격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단열재층을 갖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유지장치를 갖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외관의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에 기밀하게 결합되며, 상기 일측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외관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는 외관기밀연결부;
상기 외관기밀연결부의 타측 둘레방향을 따른 말단영역과 상기 내관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단열공간을 기밀하게 형성하며, 상기 내관의 이동 시 신축될 수 있는 기밀신축관; 및
상기 외관기밀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에 연통되며,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는 진공형성부를 포함하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
The outer tube is disposed on the inner region of the outer appear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outer tub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inner tube and the inner tube capable of transporting steam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ube. In th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the steam transport pipe having a vacuum holding device for maintaining the vacuum state of the steam transport pipe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disposed at intervals to form an insulating space,
an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art having one side airtightly coupled to the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and extending longer than the exterior from the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irtight expansion tube that is coupled to an end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outer airtight connection part and a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to airtightly form the heat insulating space, and which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when the inner tube is moved; and
A vacuum form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sulating space through the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part and capable of discharging the air of the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to be in a vacuum stat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steam transfer pi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형성부는,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외관기밀연결부를 통해 상기 단열공간에 연통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관의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배출밸브; 및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vacuum forming unit,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heat insulation space through 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art to discharge the air of the heat insulation space to the outside;
a discharge valve disposed on the discharge pipe to regulate the air flow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and includes a discharge driver for discharging the air of the insulating space to the outside,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steam transfer pip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형성부는,
상기 단열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공간의 임계압력을 저장하며, 상기 압력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기압이 상기 임계압력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열공간의 압력이 적어도 상기 임계압력이 되지 않게 상기 단열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밸브와 상기 배출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cuum form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insulating space,
Stores the critical pressure of the adiabatic spa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tmospheric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exceeds the critical pressure, the air in the adiabatic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pressure in the adiabatic space does not become at least the critical pressur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valve and the discharge driving unit so as to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steam transfer pi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기밀연결부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영역로부터 상기 외관의 축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lang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xial center of the exterior from a reg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xterior airtight connection portion,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steam transfer pi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기밀연결부 및 상기 기밀신축관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증가되도록 하는 파형의 형상을 갖는 구간이 형성되는,
스팀이송배관의 진공유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airtight connection part and the airtight expansion pipe,
A section having a shape of a waveform to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outside is formed,
Vacuum maintenance system of steam transfer pipe.
KR1020210053251A 2021-04-23 2021-04-23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KR202201462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51A KR20220146233A (en) 2021-04-23 2021-04-23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251A KR20220146233A (en) 2021-04-23 2021-04-23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33A true KR20220146233A (en) 2022-11-01

Family

ID=8404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251A KR20220146233A (en) 2021-04-23 2021-04-23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623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647B2 (en) Dry sprinkler installation and sealing device
KR102414060B1 (en) Embedded steam transfer pipe
KR102373627B1 (en) Steam Transfer Piping
US2707493A (en) Conduits
JP5960692B2 (en) Insulated fluid duct
KR102058204B1 (en) liquefied natural gas pipe
JPH07171893A (en) Method of controlling atmospheric temperature in lining hose
JP5702889B2 (en) Blast furnace tuyere structure
CN108591624B (en) Pipe-in-pipe support
KR20220146233A (en) Vacuum maintenance system for steam transfer pipe
CN102954309B (en) Steam directly buried pipe
KR101807535B1 (en) Testing apparatus for Scramjet engine
KR20220146232A (en) Steam Transfer Piping Unit
KR102334145B1 (en) Non-digging Sewerage Mend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43673A (en) Insulated double pipe structure of vaccum
KR101741621B1 (en) Manhole structure of insulated double pipe
JP2014181695A (en) Heat insulating fuel pipe,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 from fuel pipe and/or leak in fuel pipe
CN102705613A (en) Axial corrugated compensator
JPS6161037B2 (en)
CN110594533A (en) Steam pipe network fixing join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0477221Y1 (en) Expansion joint with improved expansion function
KR101261441B1 (en) Metal bellows
CN109073131B (en) Cooling device for high-temperature piping
CN203099226U (en) Heat insulation fixed support for steam direct burial thermal insulation pipe
KR102084182B1 (en) Protective device for buried piping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