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518A -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518A
KR20220145518A KR1020210052161A KR20210052161A KR20220145518A KR 20220145518 A KR20220145518 A KR 20220145518A KR 1020210052161 A KR1020210052161 A KR 1020210052161A KR 20210052161 A KR20210052161 A KR 20210052161A KR 20220145518 A KR20220145518 A KR 2022014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user
list
information
health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산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2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518A/en
Publication of KR2022014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pplication selection based on user requirement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pplication selection based on user requirement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configured to sequentially display applications reflecting a user's requirements the most on a screen based on a user requirement checklist and user selection list item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selected item list which builds a list of applications searched for with a keyword meaning menstruation based on a user's requirements; a score assigning unit which assigns a score to the searched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lication based on the user-selected item list; a database which stores an application list created from the user-selected item list, application score data, and menstruation-related application-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in an application store; and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a result value of an application that meets the user's condition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o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본 발명은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요구 체크리스트 및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도가 가장 많이 반영된 앱부터 순차적으로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app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 user request checklist and a user selection item list, the screen sequentially from the app reflecting the user's needs the most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pp selection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종래의 음성통화를 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 이외에도, 영상통화를 하거나 내장된 카메라를 조작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위성/지상파 DMB 방송을 시청하거나 내장된 게임을 플레이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와이브로(Wibro), WCDMA, HSDPA 등의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웹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검색, 뉴스, 게임 등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중에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웹서핑을 즐길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사용자는 앱(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능 이외에 수많은 기능을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making a conventional voice call or sending a text message, the portable terminal makes a video call, takes a picture by operating the built-in camera, watches satellite/terrestrial DMB broadcasting, or plays a built-in g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In addition, as third-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Wibro, WCDMA, and HSDPA are commercialized, portable terminals directly access a web server to provide wireless Internet services such as search, news, and games. Accordingly, users can check e-mail or surf the web using a mobile terminal while on the go. In particular, users can download and run apps (applications, applica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provided in portable terminals. It can be run on the terminal.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바탕으로 근래에는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수많은 건강관리 앱이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의료소비자들은 전문가로부터의 어떠한 조언도 없이 건강관리 앱을 선택 사용하고 있다. 또한 수많은 의료소비자들은 앱 스토어에 증상 관련 키워드를 검색 후 가장 상위에 있는 앱을 선택하거나 화면에 나타나는 여러 앱을 검증을 거치지 않고 설치후 사용한다.Numerous health management apps that can manage health based on such a portable terminal have been introduced in recent years. Therefore, most medical consumers choose to use health care apps without any advice from experts. In addition, many medical consumers search for symptom-related keywords in the app store and select the top app or install and use multiple apps that appear on the screen without going through verification.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의료소비자들은 앱이 자신에게 적합한지와 자신의 요구도가 반영되었느지에 대한 비중을 고려하지 않은 채 앱을 선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도중 불편함을 느낄뿐 아니라,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앱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겪는다. 또한, 이러한 번거로움 후에도 일부 사용자들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지 못한 앱을 사용함으로써 자신에게 맞는 앱이 아닌 앱에 자신을 맞춰가는 주객전도의 상황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In this regard, medical consumers not only feel uncomfortable while using the app, but also solve the inconvenience because they select and use the app without considering whether the app is suitable for them and whether their needs are reflected. To do this, you experience the hassle of installing and using multiple apps. In addition, even after such a hassle, some users have a disadvantage of using an app that is not the most suitable for them, resulting in a situation in which they adapt themselves to an app that is not suitable for th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요구도 체크리스트와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도가 가장 많이 반영된 앱부터 순차적으로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ased on the demand checklist and user selection item list,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that can b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starting with the app that reflects the user's needs the most. It is to provide an app sel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user requirements f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도에 따른 가장 적합한 건강관리 앱이 순차적으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적합한 앱을 통하여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quentially display the most suitable health management app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o that effective health management can be promoted through an app suitable for the user. and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가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의 요구도를 기반으로 하고 월경을 의미하는 키워드로 검색된 앱의 리스트를 도출하기 위해 작성하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상기 검색된 월경 건강관리 앱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점수 부여부;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작성된 앱 리스트와 앱의 점수 데이터 및 앱 스토어에 나타난 월경 관련 앱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앱의 결과값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created to derive a list of apps searched for with a keyword meaning menstruation and based on the user's requirements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core granting unit for giving a score based on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for the searched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a database for storing the app list and score data of the app written in the user-selected item list, and menstruation-related app-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pp store;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he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user requirement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result value of the app that meets the user's corresponding condition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ent.

본 문서에서 요구도 체크리스트란,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을 통하여 도출되는 사용자의 요구도 리스트를 의미하며, 이는 시스템 구현 전에 생성된다. In this document, the requirement checklist means a list of user needs derived through the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the user’s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care, and it is created before system implementation.

본 문서에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란,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에서 시스템 또는 서비스 사용자가 선택하는 항목의 리스트를 의미한다.In this document, the user selection item list means a list of items selected by the system or service user in the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the user’s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작성하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도가 가장 많이 반영된 월경 건강관리 모바일 앱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ser-selected item lis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directly creates the user-selected item list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sequentially displays the menstrual health care mobile app list that reflects the user's needs the most based on the user-selected item list. have.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결과값은 앱 아이콘, 순위 및 앱 이름, 앱 스토어에서 받은 점수와 리뷰 수 및 다운로드 링크가 출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result values that the user can see in the system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app icon, a ranking and an app name, a score and a number of reviews received from an app store, and a download link.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월경 건강관리 앱에 요구도 체크리스트 점수를 적용한 테이블을 적용하고, 앱에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The database is configured to apply a table to which the requirement checklist score is applied to the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and a user selection item list screen for selecting a function required for the app is displayed.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추후 개발된 웹 서비스의 사용자가 앱 디자인, 월경 주기 표시, 달력에 증상 가시화 등 월경 건강관리 앱에 포함 되었으면 하는 사항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할 경우,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앱을 결과 값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database, when a user of a later developed web service selects items that he or she wants to be included in the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on the mobile terminal screen, such as app design, menstrual cycle display, and symptom visualization on a calendar, an app that meets the conditions is selected as a result value. It is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은 (a)휴대용 단말기에서 자기주도적 앱 선별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링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b)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수집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각 항목별 점수에서 ±1의 범위에 적용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d)두개의 리스트가 생성 되었다면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수집한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가장 우선 순위로 하여 두개의 리스트를 병합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최대 10~15 개의 앱을 선정하여 배열을 생성하는 단계; (e)배열의 정보를 통해서 앱 스토어에서 각 앱의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정보를 기존에 생성된 배열의 정보와 조직화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보여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을 기반으로 실현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을 제시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accessing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link to use the self-directed app selection service in the portable terminal; (b) collecting information on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and generating a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c) generating a list of apps applied to the range of ±1 from the scores for each item of the collected user-selected item list; (d) If two lists are created, the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selection list is the highest priority, merge the two lists, and select a maximum of 10 to 15 apps to display to the user and arrange the arrangement. generating; (e) Inquiring the information of each app in the app store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arrangement, col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shown to the user, and organizing each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created arrangement to generate a list to be displayed to the user We present an app screening system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that is realized based on an app screening method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b)단계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합된 앱은, 대상 질환 또는 증상과 관련된 검색어 및 동의어를 수집한 후 검색어를 활용해 앱 스토어를 이용하여 앱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앱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앱의 이름과 개발자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앱으로 간주하여 중복 앱을 제거하고 앱 이름과 앱 설명을 검토 후 대상질환 또는 증상과 관련 없는 앱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선별된 각 앱을 최소 10분 이상 사용후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앱 별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For the app included in the database in step (b), after collecting search terms and synonyms related to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search for an app using the app store using the search term, list the searched apps and name the app If the developer and developer are the same, it is regarded as the same app, and the duplicate app is removed, the app name and app description are reviewed, and the selected app is removed after using the selected app for at least 10 minutes after reviewing the app name and app description. It is composed of points that can be given for each app based on the checklist.

(c)단계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는, 상기 과정에서 언급된 앱들과 해당 앱들에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앱 별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of step (c) consists of the apps mentioned in the above process and the apps that can be given a score for each app based on the demand checklis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도가 가장 많이 반영된 앱부터 순차적으로 휴대용 단말기 화면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장 적합한 앱을 통하여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the user's need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ost reflected app, so that the user can promote effective health management through the most suitable app. will be.

도1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을 도시한 순서도.
도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구도 체크리스트 도출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의 점수를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
도.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점수를 적용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 설계의 블럭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앱 정보 및 요구도 체크리스트 항목을 나타낸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의 앱 선별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8 및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의 일부 스크린 샷.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8 및 도9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각 항목을 다시 한 번 가시화한 선택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모바일 앱 리스트에 보여지는 결과 값을 도시한 블럭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모바일 앱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나타나는 대기 화면의 일부 스크린 샷.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로 할당된 앱 리스트의 일부 스크린 샷.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app based on a user demand diagram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a demand check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iving an app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a user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 selection system design based on a user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to which a user selection item list scor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requirements checklist items existing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 screening process of an app scree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a user demand diagram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partial screen shots of a screen through which a user can select a desired item from a user selection item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once again each item selected by the user in Figs. 8 and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value displayed in a mobile app list based on a user-selected item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artial screen shot of a standby screen displayed for generating a mobile app list based on a user-selected item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screen shot of a list of apps allocated with priority based on a list of user-selected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below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m.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used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 step, operation, element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도에 기반하여 자신에게 맞는 앱을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과, 이를 구현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으로 나뉘어진다.Prior to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users to select and use an app that suits them based on the user's needs, which is a method for selecting an app based on the user's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nd the self implementing the same It is divided into an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user needs for proactive health management.

여기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에서 설명하는 월경 관련 키워드 및 개시되는 항목들은 하나의 실시예이지 월경 관련한 모바일 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모든 건강관리 앱 모바일에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Here, the menstruation-related keywords and disclosed items described in the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app based on a user's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re one embodiment and are not limited to the menstruation-related mobile app. Therefore, based on the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app based on the user's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vealed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health care apps.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사용자의 요구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도출 하였으며, 이후, 앱 스토어에서 '월경', '생리',‘그날’과 같은 월경을 의미하는 키워드로 검색한 앱의 리스트를 만들고, 검색된 월경 건강관리 앱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In order to implement an app sel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was first derived based on user needs. After that, 'menstruation', 'menstruation', A list of searched apps was made with keywords meaning menstruation, such as 'that day', and scores were given to the searched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s based on the user-selected list of items.

도1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app based on a user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a user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은, (a)휴대용 단말기에서 자기주도적 앱 선별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링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S100), (b)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200), (c)수집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각 항목별 점수에서 ±1의 범위에 적용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선별된 각 앱은 최소 10분 이상 사용후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앱 별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S300), (d)두개의 리스트가 생성 되었다면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수집한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가장 우선 순위로 하여 두개의 리스트를 병합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최대 10~15 개의 앱을 선정하여 배열을 생성하는 단계(S400), (e)배열의 정보를 통해서 앱 스토어에서 각 앱의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정보를 기존에 생성된 배열의 정보와 조직화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보여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method of selecting an app based on a user's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is (a) accessing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link to use a self-directed app selection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S100) , (b)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user-selected item list, and generating a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S200), (c) ± from the score for each item in the collected user-selected item list A list of apps applied to the range of 1 is generated, and each selected app is used for at least 10 minutes and then given a score for each app based on the demand checklist (S300), (d) Two lists are created If it is, creating an array by merging the two lists with the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selection list as the highest priority, and selecting a maximum of 10 to 15 apps to show to the user (S400), ( e) Inquiring the information of each app in the app store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arrangement, col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shown to the user, and organizing each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created arrangement to generate a list to be displayed to the user (S500) ) is included.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구도 체크리스트 도출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요구도 체크리스트 도출 과정은 6단계로 이루어져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a requirement check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deriving a requirement checklist consists of six steps.

1. 대상 질환 또는 증상을 선정하는 과정을 진행한다.1. Proceed with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2. 그룹별로 대상 질환 또는 증상에 대하여 마인드맵(Mind Map)과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시행한다.2. Conduct a mind map and brainstorming on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for each group.

3. 페르소나(Persona) 기법을 활용하여 앱을 사용하여 대상 질환 또는 증상을 관리하는 가상의 사용자를 2명 이상 개발한다.3. Develop two or more virtual users who use the app to manage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using the Persona technique.

4. 앱을 이용하여 대상 질환 또는 증상을 관리하는 가상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별 시나리오를 개발한다.4. Develop an individual scenario for a hypothetical user who manages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using the app.

5. 가상의 사용자의 각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요구사항(앱의 기능 또는 특징)을 도출하여 리스트로 개발한다5. Develop a list by deriving user requirements (functions or features of the app) from each scenario of a virtual user

6. 각 리스트에 대한 점수체계를 개발하여, 최종 버전의 사용자 요구도 기반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6. Develop a scoring system for each list, and derive the final version of the user requirement-based requirement checklist.

상기와 같이 6단계를 거쳐 도출된 요구도 체크리스트의 항목은 도6에서와 같이 앱 디자인, 위젯에 월경 주기와 배란 주기 표시 여부, 알람 기능, 성별에 따른 버전, 출석 점수 시스템, 임신 가능 기간(배란일) 표시 기능, 달력에 자신의 증상을 가시화, 월경기간 동안의 관리기능, 월경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 기간 동안의 관리 기능, 그래픽 차트, 임신 가능 기간 (배란일) 표시 기능(피임 측면), 자신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약 복용 정보, 여성 건강 정보(월경 용품, 병원, 월경통 약, 여가활동, 신체 변화 등), 여성 검진 관련, 정보 공유 기능, 커뮤니티 기능, 커뮤니티 사용자 익명성, 정보 근거/ 출처 제공, 로그인 기능, 잠금 해제모드의 편의성, 부가기능(간편한 여성 용품 배송 기능)이 있다. 상기의 요구도 체크리스트의 항목은 사용자의 요구도를 반영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항목이 제한된 것이 아닌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items of the demand checklist derived through the 6 steps are the app design, whether the menstrual cycle and ovulation cycle are displayed on the widget, the alarm function, the version according to the gender, the attendance score system, the fertility period ( Ovulation date) display function, visualization of own symptoms on the calendar, management function during menstrual period, management function during premenstrual syndrome (PMS) period, graphic chart, fertile period (ovulation date) display function (contraceptive aspect) , information on taking appropriate medications for your condition, women's health information (menstrual supplies, hospitals, dysmenorrhea drugs, leisure activities, body changes, etc.), female examination related, information sharing function, community function, community user anonymity, information basis/ There are source provision, login function, convenience of unlock mode, and additional functions (simple delivery of women's items).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items of the above requirement checklist is to reflect the user's requirements, the items are not limited and may be added or deleted.

각 항목별로 점수 기준은 기능이 완벽하게 구현되어 있다면 3점, 부분적인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면 2점 또는 1점, 구현되어 있지 않다면 0점으로 부여하였다. 해당 점수 기준은 의료정보학 및 간호정보학 전공자 6인이 시행한 CVI(Content Veridity Index)를 통하여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사용자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화면에서 각 요구도 체크리스트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아닌 질문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작성해 나가며 사용자가 질문에 응답한 내용은 점수로 환산되고 이 정보를 통해 앱을 선별하였다.For each item, 3 points were given if the function was fully implemented, 2 points or 1 point if a partial function was implemented, and 0 points if it was not implemented. The validity of the score criteria was verified through the Content Veridity Index (CVI) conducted by six medical informatics and nursing informatics majors. On the user selection list screen, the user creates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in the form of answering questions rather than giving each requirement checklist a score, and the user's answers to questions are converted into scores, was selected.

또한,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설계하여 앱의 이름과 개발자, 앱 스토어의 다운로드 링크와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항목,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점수의 합계를 포함하여, 컬럼(Column)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설계하였다.In addition, by designing a table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requirement checklist, it contains the name of the app, the developer, the download link of the app store, the sum of the user-selected item list items, and the user-selected item list score. I designed the tables in the database.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의 점수를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b) 단계(S200)에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은, 도3에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iving an app s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of the database created in step (b) (S200)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s shown in FIG. rough

1. 대상 질환 또는 증상과 관련된 검색어 및 동의어를 수집한 후 검색어를 활용해 앱 스토어를 이용하여 앱을 검색한다.1. After collecting search terms and synonyms related to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search for an app using the search term using the App Store.

2. 검색된 앱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앱의 이름과 개발자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앱으로 간주하여 중복 앱을 제거하고 앱 이름과 앱 설명을 검토 후 대상질환 또는 증상과 관련 없는 앱을 제거한다.2. Make a list of searched apps and, if the app name and developer are the same, consider it the same app and remove duplicate apps. After reviewing app names and app descriptions, remove app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3. 이후, 간호학을 전공한 대학생 2명을 선정한 후, 각 앱을 최소 10분 이상 사용후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준으로 앱 별로 점수를 할당하였다. 점수를 할당하는 과정은 2명의 채점자가 독립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채점자가 할당한 점수를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제3의 채점자(교신저자)와 함께 3명의 채점자가 앱을 검토하고 논의하여 합의된 점수를 도출하였다.3. Afterwards, two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nursing were selected, and after using each app for at least 10 minutes, scores were assigned to each app based on the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The process of allocating scores was conducted independently by two graders, and if the scores assigned by the graders were not matched, the grades agreed upon by 3 graders reviewing and discussing the app together with a third grader (corresponding author) if they did not match. was derived.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a user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도를 기반으로 하고 월경을 의미하는 키워드로 검색된 앱의 리스트를 도출하기 위해 작성하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 상기 검색된 월경 건강관리 앱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를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점수 부여부(200),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에서 작성된 앱 리스트와 앱의 점수 데이터 및 앱 스토어에 나타난 월경 관련 앱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300),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앱의 결과값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전송하는 전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the user's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is based on the user's needs and a user selection item list ( 100), a score granting unit 200 that gives a score based on the user-selected item list 100 for the searched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the user-selected item list 100, and the app list and score data of the app, and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Data Base, DB) 300, which stores menstruation-related app-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pp Store, the result value of the app that meets the user's corresponding condi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mitting unit 400 for transmitting.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를 작성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 항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도가 가장 많이 반영된 월경 건강관리 모바일 앱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 항목은 앱 아이콘, 순위 및 앱 이름, 앱 스토어에서 받은 점수와 앱 리뷰 수 및 다운로드 링크가 출력될 수 있다.The user-selected item list 100 is a list of user-selected items directly created by the user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based on the user-selected list of user-selected items 100, the user's needs are most reflected in menstrual health management. It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display the mobile app list, and the user-selected item list 100 may output an app icon, a ranking and an app name, a score received from the app store, the number of app reviews, and a download link.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월경 건강관리 앱에 요구도 체크리스트 점수를 적용한 테이블을 적용하고, 앱에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100)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추후 개발된 웹 서비스의 사용자가 앱 디자인, 월경 주기 표시, 달력에 증상 가시화 등 월경 건강관리 앱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사항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할 경우,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앱을 결과 값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The database 300 may display a user selection item list 100 screen for applying a table to which a requirement checklist score is applied to a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and selecting a function required for the app.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web service developed later selects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tems that the user of the web service would like to be included in the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such as app design, menstrual cycle display, and symptom visualization on the calendar, the corresponding conditions are met. It can be implemented to show the app as a result value.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구도 체크리스트 점수를 적용한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의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user requirement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to which a requirement checklist scor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에서와 같이 각각의 월경 건강관리 앱에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점수를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설계하고, 사용자가 앱에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화면을 설계하였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이 구현되어 있는 앱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 사용자에게 적합한 월경 건강관리 앱을 선별하여 보여준다. 이와 함께 앱 스토어에 명시되어 있는 앱에 대한 정보(앱 아이콘, 점수, 리뷰 수)를 파이썬(Python)을 활용하여, 크롤링(Crawling) 하고 수집한 정보를 선별된 앱과 함께 보여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As shown in FIG. 5, a database table was designed in which the score of the user-selected item list was applied to each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and a user-selected item list screen was designed for the user to select a function required for the app. 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item from the user selection list, an app that implements the item is found in the database, and a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suitable for the user is selected and displayed. In addition, it was designed to crawl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 (app icon, score, number of reviews) specified in the app store using Python and show the collected information along with the selected apps.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및 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n app based on a user request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에서와 같이,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수집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각 항목별 점수에서 ±1 의 범위에 적용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한다.As shown in FIG. 7 , information on the items in the user-selected item list is collected, and a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is generated. In addition, a list of apps applied to the range of ±1 from the score for each item of the collected user-selected item list is generated.

만약, 두개의 리스트가 생성되었다면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수집한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가장 우선 순위로 하여 두개의 리스트를 병합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최대 10~15 개의 앱을 선정하여 배열을 생성한다. 이 배열의 정보를 통해서 앱 스토어에서 각 앱의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정보를 기존에 생성된 배열의 정보와 조직화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다.If two lists are created, the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selection list is given the highest priority, the two lists are merged, and a maximum of 10 to 15 apps to show to the user are selected and an array is created. do. Through the information in this arrangement, the information of each app is retrieved from the app store and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o the user is collected, and each information is organized with the information in the previously created arrangement to generate a list to be displayed to the user.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모바일 앱 리스트에 보여지는 결과 값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항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도가 반영된 월경 관련한 건강관리 모바일 앱 리스트를 보여주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 화면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도가 가장 많이 반영된 앱부터 순차적으로 나타나며, 각 앱은 앱 이름과 아이콘, 앱 스토어에서 받은 총점과 리뷰수 그리고 다운로드 링크가 함께 보여진다.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value shown in a mobile app list based on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st of mobile apps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user screen, the apps that reflect the most user needs are displayed sequentially, and each app shows the app name and icon, the total score and number of reviews received from the app store, and a download link.

이와 같은 자기주도적 앱 선별 시시템 및 방법을 이용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using such a self-directed app selection system and method is as follows.

(실시예)(Example)

도8 및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각 항목을 나타낸 선택지 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각 항목을 다시한번 가시화한 선택지 이며,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분석 과정을 나타낸 분석 과정도 이며,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로 할당된 앱 리스트이다.8 and 9 are options showing each item of the user-selected item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analysis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process of a user-selected item li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list of apps.

휴대용 단말기에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서비스를 받기 위한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 후, 앱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도8 및 도9에서와 같이 총 21개의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각 항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지가 보여진다. 이때 선택지에 따른 점수는 앱 선정을 위한 정보로 사용되게 되며, 도8 및 도9에 도시된 항목은 1항, 2항....19항, 20항, 21항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21개의 체크리스트와 그에 따른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웹 사이트(서비스)의 버전에 따라 그 갯수와 항목이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After downloading the app program for receiving the app selection service based on the user's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executing the app program, each item in the list of 21 user selection items is displayed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options are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hoose accordingly. At this time, the score according to the selection is used as information for selecting the app, and the items shown in FIGS. 8 and 9 are shown as 1, 2,.... 19, 20, 21. Here, the 21 checklists and the user-selected item list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item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version of the web site (service) as needed.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항목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요구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도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다시한번 가시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앱의 정보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lection of the item in the user-selected item list is completed, the user-selected item is visualized again as shown in FIG. 10 in order to accurately grasp the user's needs, so that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information of the desired app.

각 항목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요구도에 기반한 앱을 선별하고 앱 스토어에서 해당 앱의 정보를 조회 및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가시화하게 되는데, 이때 앱의 정보를 조회하고 수집하는 과정의 경우 시간이 약1분 정도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도12에서와 같이 대기화면으로 보여주게 된다.When each item selection is completed, the app is selected based on the user's needs, and the information of the app is viewed and collected in the app store and made visible to the user. Since it takes about a minute,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as shown in FIG. 12 .

앱의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작성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반으로 우선순위를 할당하여 도13에서와 같이 앱 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며, 보여지는 앱들은 실시예임을 밝혀둔다.When the information collection of the app is completed, the priority is assigned based on the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created by the user and shown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app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3, and the apps shown are examples.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200; 점수 부여부
300; 데이터베이스
400; 전송부
100; User selection list
200; scoring department
300; database
400; transmission unit

Claims (8)

사용자의 요구도를 기반으로 하고 월경을 의미하는 키워드로 검색된 앱의 리스트를 도출하기 위해 작성하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상기 검색된 월경 건강관리 앱에 대하여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는 점수 부여부;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작성된 앱 리스트와 앱의 점수 데이터 및 앱 스토어에 나타난 월경 관련 앱 관련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앱의 결과값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
a list of user-selected items created to derive a list of apps searched for by keywords indicating menstruation and based on the user's needs;
a score granting unit for giving a score based on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for the searched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a database for storing the app list and score data of the app written in the user-selected item list, and menstruation-related app-related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app store;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he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result value of the app that meets the user's corresponding condition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를 작성하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도가 가장 많이 반영된 월경 건강관리 모바일 앱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나타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selected item list is a self-dir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directly creates a user-selected item list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sequentially displays a list of menstrual health care mobile apps that reflect the user's needs the most based on the user-selected item list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user needs for healthca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는 앱 아이콘, 순위 및 앱 이름, 앱 스토어에서 받은 점수와 앱 리뷰 수 및 다운로드 링크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user-selected item list is an app system based on user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c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 icon, ranking and app name, the score received from the app store, the number of app reviews, and the download link are out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월경 건강관리 앱에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점수를 적용한 테이블을 적용하고, 앱에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는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the user's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base applies a table to which the user-selected item list score is applied to the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and a user-selected item list screen for selecting a function required for the app is displayed. App screening system.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추후 개발된 웹 서비스의 사용자가 앱 디자인, 월경 주기 표시, 달력에 증상 가시화 등 월경 건강관리 앱에 포함 되었으면 하는 사항을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할 경우,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앱을 결과 값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1 or 4,
In the database, when a user of a later developed web service selects items that he or she wants to be included in the menstrual health management app on the mobile terminal screen, such as app design, menstrual cycle display, and symptom visualization on a calendar, an app that meets the conditions is selected as a result value. App selection system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show.
(a);휴대용 단말기에서 자기주도적 앱 선별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하여 링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b)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수집한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의 각 항목별 점수에서 ±1의 범위에 적용되는 앱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d)두개의 리스트가 생성 되었다면 사용자 선택 항목 리스트에서 수집한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는 앱의 리스트를 가장 우선 순위로 하여 두개의 리스트를 병합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최대 10~15 개의 앱을 선정하여 배열을 생성하는 단계;
(e)배열의 정보를 통해서 앱 스토어에서 각 앱의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정보를 기존에 생성된 배열의 정보와 조직화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보여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a); accessing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link to use the self-directed app selection service;
(b) collecting information on a list of user selection items, and generating a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c) generating a list of apps applied to the range of ±1 from the scores for each item of the collected user-selected item list;
(d) If two lists are created, the list of apps tha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selection list is the highest priority, merge the two lists, and select a maximum of 10 to 15 apps to display to the user and arrange the arrangement. generating;
(e) Inquiring the information of each app in the app store through the information of the arrangement, col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shown to the user, and organizing each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created arrangement to generate a list to be displayed to the user App selection method based on user demand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제6항에 있어서, (b)단계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도출은,
대상 질환 또는 증상과 관련된 검색어 및 동의어를 수집한 후 검색어를 활용해 앱 스토어를 이용하여 앱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앱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앱의 이름과 개발자가 동일하다면 동일한 앱으로 간주하여 중복 앱을 제거하고 앱 이름과 앱 설명을 검토 후 대상질환 또는 증상과 관련 없는 앱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nformation derivation of the database in step (b) is,
After collecting search terms and synonyms related to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using the search term to search for an app using the App Store;
Comprising the steps of making a list of searched apps and removing the duplicate apps by considering the app as the same app if the app name and developer are the same, reviewing the app name and app description, and removing app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target disease or symptom App selection method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제6항에 있어서, (c)단계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도출은,
선별된 각 앱을 최소 10분 이상 사용후 요구도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앱 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도출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앱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앱을 추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사용자 요구도에 기반한 앱 선별 방법.
According to claim 6, (c) information derivation of the database,
After using each selected app for at least 10 minutes, a score is given for each app based on the demand checklist, and a score is given for each app based on the database in which the derived information is stored, which recommends an app suitable for the user. App selection method based on user needs for self-directed health management.
KR1020210052161A 2021-04-22 2021-04-22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KR202201455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161A KR20220145518A (en) 2021-04-22 2021-04-22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161A KR20220145518A (en) 2021-04-22 2021-04-22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18A true KR20220145518A (en) 2022-10-31

Family

ID=8380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161A KR20220145518A (en) 2021-04-22 2021-04-22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5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dayani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mobile health implementation in Indonesia
Hillen et al. Patient‐driven second opinions in oncology: a systematic review
Zhang Beyond quality and accessibility: Source selection i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arching
Lopez et al. Education for contraceptive use by women after childbirth
Gafni et al. The physician–patient encounter: The physician as a perfect agent for the patient versus the informed treatment decision-making model
Dodoo et al. Telemedicine use in Sub-Saharan Africa: Barrier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Covid-19 and beyond
McCreadie et al. Trends in analyzing access to information. Part I: cross-disciplinary conceptualizations of access
Rahmi et al. FinDoctor-interactive android clinic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firebase and google maps API
Whitman The Delphi technique as an alternative for committee meetings
WO2019209570A1 (en) Healthcare provider-patient match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Ranerup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choosing a primary health care provider in Sweden
US20140288951A1 (en) Internet system for connecting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s
CA29612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providers to deliver programs to individuals
Lee et al. Method of app selec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based on consumer needs
Hord et al. The American Society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workforce assessment: part 1—current state of the workforce
Afshari et al. Hospitals reorientation towards health promotion: A qualitative study of barriers to and strategies for implementation of health promotion in hospitals of Isfahan, Iran
Lowery et al. Nurse practitioner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physician oversight on quality and safety of nurse practitioner practice
Rhebergen et al. An online network tool for quality information to answer questions abou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usability and applicability
Nicholas et al. NHS Direct Online: its users and their concerns
KR20220145518A (en) Method of App Selection based on User’s Needs System
KR2007011937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motion service using internet
Schlegel et al. Clinical information needs: a concept analysis
Birolini et al. Surgery in Brazil
Agbali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Telemedicine Assessment Toolkit (TAT) for the assessment of audiovisual telemedicine encounters
Hilligoss et al. MedlinePlus goes local in NC: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NC Health Inf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