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466A - 상판 접이식 책상 - Google Patents

상판 접이식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466A
KR20220145466A KR1020210051926A KR20210051926A KR20220145466A KR 20220145466 A KR20220145466 A KR 20220145466A KR 1020210051926 A KR1020210051926 A KR 1020210051926A KR 20210051926 A KR20210051926 A KR 20210051926A KR 20220145466 A KR20220145466 A KR 20220145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top plate
folding
lev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307B1 (ko
Inventor
정윤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형
정윤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형, 정윤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형
Priority to KR102021005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3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6Fold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4Collapsible or tip-up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12Miscellaneous equipment for forms, e.g. inkpots, displacing apparatus for the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판이 펼쳐진 상태로 책상을 사용시에는 상판이 걸림에 의한 물리적인 결합을 통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수 있어 안정적인 책상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미사용에 따른 상판이 접힌 상태에서는 별도의 유압실린더 없이도 물리적인 걸림을 통하여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자연회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판을 접거나 펼치는 접철수단의 구성이 단순하여 접철기능을 갖는 책상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함과 동시에 상판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서 책상의 부피와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책상의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상판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판 접이식 책상{Top folding desk}
본 발명은 상판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판이 펼쳐진 상태로 책상을 사용시에는 상판이 걸림에 의한 물리적인 결합을 통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수 있어 안정적인 책상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미사용에 따른 상판이 접힌 상태에서는 별도의 유압실린더 없이도 물리적인 걸림을 통하여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자연회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판을 접거나 펼치는 접철수단의 구성이 단순하여 접철기능을 갖는 책상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함과 동시에 상판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서 책상의 부피와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책상의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상판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강의실이나 회의실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강의용 책상의 경우에는 사용시에는 책상의 상판을 펼쳐사용하고, 보관시나 이동시에는 점유 공간의 축소를 위해 접혀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판이 책상프레임으로부터 회전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접철되도록 구성된 접이식 책상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책상의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2215863호(등록일: 2021년 02월 08일)에 기재된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은, 상판,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고, 볼플런저의 개입으로 상판의 선회 경로 내지 이동 범위가 제어되는 힌지유닛, 상판 저부에서 고정 결합되고,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20-0141269호(공개일: 2020년 12월 18일)에 기재된 실린더가 내장된 접이식 테이블용 폴딩장치는, 일정 크기를 가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리프레임과, 상기 상판과 다리프레임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하는 한 쌍의 폴딩장치 및 상기 폴딩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폴딩장치는, 외측에 상기 접이식 테이블의 다리프레임이 연결되는 제1연결돌기와, 이웃하는 폴딩장치와 연결을 위한 연결바가 끼움되는 제2연결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수용부에 회전부재가 연결되는 제1회전축과 실린더가 연결되는 제2회전축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에 상판이 고정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는 연결공과,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실린더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타측에 상판이 접힘된 상태에서 다리프레임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하우징의 수용부에 끼움되는 회전부재와, 일측이 하우징의 제2회전축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부재의 연결부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회전범위 내에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접철기능을 갖는 테이블은 단순히 테이블 상판과 프레임이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판이 회전하는 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테이블의 보관시에는 상판을 상부로 회전시켜 접어 보관함으로서 부피를 최소화하고, 테이블의 사용시에는 펼침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으나, 상판이 접힌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작은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쉽게 상판이 자연회전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책상의 미사용시 상판을 접어 보관공간을 최소화한다 하더라도 상판이 접철되는 형태에 의하여 보관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계속되었다.
상기와 같은 상판의 자연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의 연결부분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상판의 자연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유압실린더의 구성이 추가됨으로써 테이블의 제작비용이 상승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테이블의 미관이 저하되고 테이블의 하부에 수납함을 설치하는 경우 실린더와 접촉되어 상판 하부의 기능성이 저하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어 접이식 책상의 대중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인 접이식 책상은 상판이나 다리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송시 자동차와 같은 운송수단이 꼭 필요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판이 접힌 상태가 두꺼워 운송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여 운송에 많은 비용이 발생함과 동시에 운송시 책상의 부분적인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보관시에도 보관공간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15863호(등록일: 2021년 02월 08일)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41269호(공개일: 2020년 12월 18일) "실린더가 내장된 접이식 테이블용 폴딩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프레임으로부터 상판을 회전시켜 접거나 펼침하는 과정에서, 책상의 사용을 위하여 상판이 펼침된 상태에서는 책상프레임과 상판이 걸림에 의한 물리적인 결합을 통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수 있어 안정적인 책상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책상의 미사용시 상판이 접힘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유압실린더 없이도 물리적인 걸림을 통하여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자연회전에 따른 상판의 파손이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접철기능을 갖는 책상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상판 접이식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의 접이식 책상을 제공하여 접이식 책상의 대중화는 물론, 책상의 사용이 안정적이고 취급이 용이하며 미사용시에도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책상의 보관에 요구되는 보관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판 접이식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판의 회전을 위한 구성이 단순하여 어린이들도 쉽게 상판을 회전시킬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상판 접이식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은, 판상으로 일정 크기를 가지며 저면에 접철수단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리프레임과, 상기 다리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일측이 접철수단과 힌지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 및 상기 연결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횡바로 구성된 상판 접이식 책상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은 일측에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타측에 이동장홈 및 제1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밀착되며 일측에 이동장홈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안내핀이 형성된 걸림부와 타측이 레버와 결합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부에 연결되며 일측에 걸림쇄기와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로 구성된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하부에 다리프레임의 단부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와 측면에 지지횡바가 끼움되는 홈과, 전방측에 상기 레버의 걸림쇄기가 걸림되는 걸림부 및 후방측에 걸림턱을 갖는 제2체결부가 일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접이식 책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중앙부분에는 수용홈에 수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수용홈과 연통되는 한 쌍의 안내홈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내홈에 끼움된 상태에서 레버부재가 전후이동하여 이동 중 흔들림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의 커버 이동장홈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판의 회전시 연결브라켓의 후면에 면접촉되어 회전범위를 보조적으로 제어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은 저면에 설치되며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은, 책상의 미사용시 상판을 접어 여러 개의 책상을 밀착시키는 형태로 보관함으로서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판을 접거나 펼치기 위하여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절첩수단의 구성을 최소화 및 단순화하여 책상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불량에 따른 제조상을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실질적인 접이식 테이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부품의 절감에 따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실질적인 접이식 테이블의 제조원가의 저하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은 접철수단을 구성하는 레버의 걸림쇄기가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판이 펼침된 상태가 물리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판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펼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접철시에는 고정부의 안내핀이 연결브라켓의 걸림턱을 넘어 걸림됨으로써 견고한 접철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판의 자연회전에 따른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여 책상의 재조원가 절감은 물론, 책상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접철수단의 구성에 의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이식 책상의 사용시에 상판이 펼침된 상태가 물리적으로 고정됨으로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보관시)에는 상판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서 책상의 부피와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책상의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 중 상판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 중 커버 부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 중 레버부재 부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이 펼침된 상태를 다타낸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이 상판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속해제된 상태를 다타낸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이 접힘된 상태를 다타낸 요부 확대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 중 상판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 중 커버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 중 레버부재 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이 펼침된 상태를 다타낸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이 상판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속해제된 상태를 다타낸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이 접힘된 상태를 다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상판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판이 펼쳐진 상태로 책상을 사용시에는 상판이 걸림에 의한 물리적인 결합을 통하여 흔들림 없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수 있어 안정적인 책상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으며 미사용에 따른 상판이 접힌 상태에서는 별도의 유압실린더 없이도 물리적인 걸림을 통하여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자연회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상판을 접거나 펼치는 접철수단의 구성이 단순하여 접철기능을 갖는 책상의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상판 접이식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판 접이식 책상(이하, '접이식 책상'이라 한다)은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접철수단(20)과, 상기 접철수단(2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30)이 형성된 한 쌍의 다리프레임(40)과, 상기 다리프레임(40)을 연결하는 지지횡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판(10)은 책상의 크기에 따라 1인용 또는 2인용 등의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며 목재 또는 합성수지 판재로 구성되고 저면에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판(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휴대폰을 거치하거나 연필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기능성 홈(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철수단(20)은 상판(10)의 저면 일측 또는 양측에 하나 또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설치되는 커버(21)와, 상기 커버(2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레버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21)는 일측에 레버(24)의 일부분이 스프링(25)이 장착된 상태로 수용되는 수용홈(211)과 타측에 이동장홈(212)과, 중앙부분에 레버(23)가 밀착되는 가이드홈(213) 및 연결브라켓(30)과 연결되는 제1체결부(216)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211)의 일측에는 레버(24)의 가이드돌기(241)가 수용되어 레버(23)가 흔들림 없이 전후진을 유도하는 안내홈(214)이 연통되게 구성되며 수용홈(211)의 외측으로는 상판(10)의 저면에 고정을 위한 한 쌍의 체결공(2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홈(211)에 형성된 스프링(25)은 가이드돌기(241)가 안내홈(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242)를 당기면 스프링(25)은 수용홈(211) 내부에서 수축하고 가이드돌기(241)는 안내홈(214)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레버(24)가 스프링(25)의 탄성을 이기며 후진하고, 손잡이(242)를 놓으면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하여 레버(24)가 원래 위치로 복원되어 실질적으로 레버(24)의 걸림쇄기(244)는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하여 연결브라켓(30)의 걸림부(32)에 걸림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상판(10)이 외부충격에 의하여 이동이나 회전됨이 없이 견고하게 펼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21)의 이동장홈(212)이 형성된 방향의 단부에는 스톱퍼(26)가 상판(10)에 고정되어 차 후 상판(10)이 회전시 스톱퍼(26)가 연결브라켓(30)의 후면에 면접촉되어 더이상의 회전이 보조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22)는 상기 커버(21)에 밀착되며 일측에 이동장홈(2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걸림부(231)와 타측이 레버(24)와 결합되는 연결부(232)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23)와, 상기 고정부(23)의 연결부(232)에 연결되며 타측에 손잡이(242)가 형성되어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24)는 일측에 손잡이(242)와 타측에 한쌍의 가이드 돌기(241)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수용홈(243)과 단부에 걸림쇄기(24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수용홈(243)과 걸림쇄기(244)는 단턱(245)에 의하여 상부로 형성되고, 단턱(245)에 의하여 고정부(23)가 레버(24)와 결속시 연결면이 동일선상으로 평활하게 형성되어 상판(10)의 저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42)는 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이면 충분하고, 그 형태나 크기등은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연결브라켓(30)은 하부에 다리프레임(40)의 단부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미도시)와, 측면에 지지횡바(50)가 끼움되는 홈(31)과, 전방측에 상기 레버(24)의 걸림쇄기(244)가 걸림되는 걸림부(32) 및 후방측에 걸림턱(33)을 갖는 제2체결부(3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제2체결부(34)와 커버(21)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부(216)가 밀착된 상태에서 힌지핀(60)으로 연결되어 커버(21)가 조립된 상판(10)이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22)를 구성중 고정부(23)의 걸림부(231)에 안내핀(233)이 결합되고, 상기 안내핀(233)이 연결브라켓(30)의 걸림턱(33) 외면에 밀착되어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차 후 접철수단(20)의 동작에 의하여 고정부(23)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비틀어지거나 휘어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전후이동을 보장한다.
상기 다리프레임(40)은 각형 또는 원형의 관형태로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지면과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보조프레임(41)에 의하여 책상 전체가 심플한 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걸림을 최소화하여 책상의 사용에 불편함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조프레임(41)의 양측에는 책상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횡바(50)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결브라켓(30)을 상판(10)의 하부에서 연결하여 책상프레임을 전체적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판 접이식 책상의 상판이 접거나 펼쳐지는 과정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은 책상의 사용을 위하여 상판이 펼침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0)의 저면에 접철수단(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21)의 제1체결부(216)와 연결브라켓(30)의 제2체결부(34)가 밀착되고 힌지핀(60)으로 연결되어 상판(10)이 연결브라켓(30)과 회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연결브라켓(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걸림부(32)에 레버부재(22)의 걸림쇄기(244)가 걸림되어 상판(10)은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펼침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쇄기(244)와 걸림부(32)의 걸림상태는 레버(24)의 걸림쇄기(244)가 스프링(25)의 탄성에 의하여 연결브라켓(30)의 걸림부(32)에 걸림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레버(34)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이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걸림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상판이 펼침된 상태에서 책상의 미사용에 따라 상판을 접는 경우, 사용자가 레버(24)의 손잡이(242)를 잡아당겨 일측의 걸림쇄기(244)가 이동하여 연결브라켓(30)의 걸림부(3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걸림된 상태가 해소되어 상판(10)은 힌지핀(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4)는 사용자가 손잡이(242)를 잡아당기면 스프링(25)의 탄성을 이기며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레버(24)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241)가 수용홈(211)에 형성된 안내홈(214)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레버(24)는 물리적으로 흔들림 없이 정확한 전후 이동을 보장하며 사용자가 손잡이(242)를 놓으면 수용홈(211) 내부의 스프링(25)이 복원되며 레버(24)가 전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레버(24)와 연결된 고정부(23)는 레버(24)가 이동함에 따라 고정부(23)도 같이 이동하여 끝부분에 형성된 걸림부(231)가 연결브라켓(30)의 걸림턱(33)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판(10)이 회전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이 없이 안정적인 회전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판(10)이 회전 가능하게 변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판을 들어올려 접어 보관한다.
이때, 상기 상판(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판(1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손잡이(242)를 놓으면 스프링(25)이 복원되며 레버부재(22)가 힌지핀(60) 측으로 이동하고 걸림부(231)의 안내핀(233)이 연결브라켓(30)의 걸림턱(33)을 넘어 제2체결부(34)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서 실질적으로 안내핀(233)이 걸림턱(33)에 걸림되는 물리적 형태에 의하여 상판(10)은 접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더욱이, 접혀진 상판(10)은 저면에 형성된 스톱퍼(26)가 연결브라켓(30)의 후면에 밀착되어 더이상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책상의 사용을 위하여 상판(10)을 펼침하는 경우 사용자가 레버부재(22)를 손잡이(242)를 이용하여 당겨 제2체결부(34)에 밀착된 걸림부(32)를 이격시켜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면 상판(10)이 하강회전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242)를 놓더라도 레버(24)의 걸림쇄기(244)의 경사면과 연결브라켓(30)의 걸림부(32)의 경사면이 밀착되고, 상판(10)의 하중에 의하여 걸림쇄기(244)가 일측으로 이동하고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동작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레버(24)의 걸림쇄기(244)와 연결브라켓(30)의 걸림부(32)가 결합되어 상판(10)이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접이식 책상은, 책상의 미사용시 상판을 접어 여러 개의 책상을 밀착시키는 형태로 보관함으로서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판을 접거나 펼치기 위하여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절첩수단의 구성을 최소화 및 단순화하여 책상의 생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불량에 따른 제조상을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어 실질적인 접이식 테이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부품의 절감에 따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실질적인 접이식 테이블의 제조원가의 저하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은 접철수단을 구성하는 레버의 걸림쇄기가 연결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판이 펼침된 상태가 물리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판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펼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접철시에는 고정부의 안내핀이 연결브라켓의 걸림턱을 넘어 걸림됨으로써 견고한 접철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판의 자연회전에 따른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여 책상의 재조원가 절감은 물론, 책상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접철수단의 구성에 의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더욱이, 접이식 책상의 사용시에 상판이 펼침된 상태가 물리적으로 고정됨으로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보관시)에는 상판을 회전시켜 접은 상태로 보관함으로서 책상의 부피와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책상의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판 11 : 수납함
20 : 접철수단 21 : 커버
22 : 레버부재 23 : 고정부
24 : 레버 25 : 스프링
30 : 연결브라켓 31 : 홈
32 : 걸림부 33 : 걸림턱
34 : 제2체결부 40 : 다리프레임
41 : 보조프레임 42 : 캐스터
50 : 지지횡바 60 : 힌지핀

Claims (4)

  1. 판상으로 일정 크기를 가지며 저면에 접철수단(20)이 형성된 상판(10)과, 상기 상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리프레임(40)과, 상기 다리프레임(4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부 일측이 접철수단(20)과 힌지핀(6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30) 및 상기 연결브라켓(30)을 연결하는 지지횡바(50)로 구성된 상판 접이식 책상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20)은 일측에 스프링(25)이 수용되는 수용홈(211)과 타측에 이동장홈(212) 및 제1체결부(216)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21)와, 상기 커버(21)에 밀착되며 일측에 이동장홈(21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안내핀(233)이 형성된 걸림부(231)와 타측이 레버(24)와 결합되는 연결부(232)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23)와, 상기 고정부(23)의 연결부(232)에 연결되며 일측에 걸림쇄기(244)와 타측에 손잡이(242)가 형성되어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버(24)로 구성된 레버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30)은 하부에 다리프레임(40)의 단부가 결합되는 다리결합부(미도시)와, 측면에 지지횡바(50)가 끼움되는 홈(31)과, 전방측에 상기 레버(24)의 걸림쇄기(244)가 걸림되는 걸림부(32) 및 후방측에 걸림턱(33)을 갖는 제2체결부(34)가 일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접이식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4)의 중앙부분에는 수용홈(211)에 수용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2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21)는 수용홈(211)과 연통되는 한 쌍의 안내홈(214)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241)가 안내홈(214)에 끼움된 상태에서 레버부재(22)가 전후이동하여 이동 중 흔들림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접이식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커버(21) 이동장홈(212)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판(10)의 회전시 연결브라켓(30)의 후면에 면접촉되어 회전범위를 보조적으로 제어하는 스톱퍼(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접이식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저면에 설치되며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접이식 책상.
KR1020210051926A 2021-04-21 2021-04-21 상판 접이식 책상 KR10247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26A KR102473307B1 (ko) 2021-04-21 2021-04-21 상판 접이식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26A KR102473307B1 (ko) 2021-04-21 2021-04-21 상판 접이식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466A true KR20220145466A (ko) 2022-10-31
KR102473307B1 KR102473307B1 (ko) 2022-12-05

Family

ID=8380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926A KR102473307B1 (ko) 2021-04-21 2021-04-21 상판 접이식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30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781A (ko) * 2001-10-16 2003-04-23 주식회사 퍼시스 폴딩 테이블
JP2003180453A (ja) * 2001-12-18 2003-07-02 Inaba Seisakusho Co Ltd 折り畳み机
KR20040038959A (ko) * 2004-04-16 2004-05-08 이경상 절첩식 테이블
CN103156386A (zh) * 2013-03-14 2013-06-19 宁波四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折叠桌的翻转装置
KR101980531B1 (ko) * 2019-02-25 2019-08-28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이식 테이블
KR102078211B1 (ko) * 2019-10-11 2020-02-17 한성길 개선된 잠금 및 해제수단이 적용된 조립식 절첩 테이블
KR20200141269A (ko) 2019-06-10 2020-12-18 성용기업 주식회사 실린더가 내장된 접이식 테이블용 폴딩장치
KR102215867B1 (ko) * 2020-08-25 2021-02-17 주식회사 이노프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KR102215863B1 (ko) 2020-08-25 2021-02-17 주식회사 이노프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781A (ko) * 2001-10-16 2003-04-23 주식회사 퍼시스 폴딩 테이블
JP2003180453A (ja) * 2001-12-18 2003-07-02 Inaba Seisakusho Co Ltd 折り畳み机
KR20040038959A (ko) * 2004-04-16 2004-05-08 이경상 절첩식 테이블
CN103156386A (zh) * 2013-03-14 2013-06-19 宁波四通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折叠桌的翻转装置
KR101980531B1 (ko) * 2019-02-25 2019-08-28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이식 테이블
KR20200141269A (ko) 2019-06-10 2020-12-18 성용기업 주식회사 실린더가 내장된 접이식 테이블용 폴딩장치
KR102078211B1 (ko) * 2019-10-11 2020-02-17 한성길 개선된 잠금 및 해제수단이 적용된 조립식 절첩 테이블
KR102215867B1 (ko) * 2020-08-25 2021-02-17 주식회사 이노프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KR102215863B1 (ko) 2020-08-25 2021-02-17 주식회사 이노프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307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999B2 (en) Foldaway worktable
CA2465870C (en) Foldable chair
US20140015287A1 (en) Folding chair
US20150274188A1 (en) Foldable Stroller Frame
US11375788B2 (en) Luggage with support
US11006755B2 (en) Rocking chair
KR101980531B1 (ko) 접이식 테이블
CN111557543A (zh) 一种折叠隐藏式挂墙壁桌
US20030025361A1 (en) Chair folding structure
KR10261479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KR20220145466A (ko) 상판 접이식 책상
JP4718587B2 (ja) 折畳み式テーブル
US20180177290A1 (en) Integrated foldable table tennis table
KR100840334B1 (ko) 강의용 책상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KR102189004B1 (ko)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을 갖는 접이식 테이블
CA2798329A1 (en) Foldable artist bench
JP3133866U (ja) 折り畳み式デスク
CN212415077U (zh) 一种折叠隐藏式挂墙壁桌
JP2001224439A (ja) 折畳み作業台
TWI721920B (zh) 折合桌
JP3126488U (ja) 机と椅子の相互変換構造
US20110008100A1 (en) Joint assembly for a foldable furniture piece
KR200461598Y1 (ko) 절첩식 테이블
KR200425221Y1 (ko) 강의용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