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553A -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 Google Patents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553A
KR20220144553A KR1020210051013A KR20210051013A KR20220144553A KR 20220144553 A KR20220144553 A KR 20220144553A KR 1020210051013 A KR1020210051013 A KR 1020210051013A KR 20210051013 A KR20210051013 A KR 20210051013A KR 20220144553 A KR20220144553 A KR 2022014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air quality
inlet
air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3642B1 (en
Inventor
방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솔루스
Priority to KR102021005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42B1/en
Publication of KR2022014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5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26Sampling from a closed space, e.g. food package, head sp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from several sp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5F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device and a system for air quality measurement for the livestock industry, which have improved durability. The device for air quality measurement having improved durability for the livestock indust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inlet sucking the air within a livestock complex; a sensor node homogenizing a sample of the sucked air to measure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and a display display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the fine dust, the ammonia gas, and the hydrogen sulfide, wherein the at least one inlet forms a hole for sucking air on each of a plurality of lateral surfaces of the device for air quality measurement for the livestock industry.

Description

내구도가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노드와 데이터 전송 모듈을 일체화하여 내구도를 향상시킨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and system for livest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and system for livestock that has improved durability by integrating a sensor node and a data transmission module.

대기중에는 산소를 비롯한 다양한 가스가 발생 유지 소멸하면서 공존하고 있으며, 특히 가축을 키우는 축산 업계에서는 가축의 분뇨로 인하여 생명체에 유해한 가스가 급격히 발생하고 유출되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유해가스를 통상의 가스계측기로 가스의 성분과 분포량을 검출하거나, 또한 미세먼지 센서로 대기중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e atmosphere, various gases including oxygen are generated, maintained, and destroyed, and coexist. In particular, in the livestock industry where livestock is raised, there is a problem that gases harmful to living things are rapidly generated and leaked due to the excreta of livestock, which adversely affects the human body. Accordingly, it is common to detect the components and distribution of harmful gases with a gas meter, or measure the air quality in the air with a fine dust sensor.

다만, 종래의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경우 가스를 측정하는 센서 노드가 축산 단지에 있더라도, 각각의 가스 센서 또는 미세 먼지 센서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축산단지에 있더라도 한번에 각각의 측정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even if the sensor node for measuring gas is in the livestock complex, as each gas sensor or fine dust sensor is installed in a different location, even if the user is in the livestock complex, each measurement data is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confirm.

이에, 각종 센서를 축산 단지의 개별 위치가 아닌 하나의 센서 노드로 단일화함에 따라, 사용자가 한번에 각각의 측정 데이터를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한 설치 방법 또는 측정 장치에 대하여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Accordingly, as various sensors are unified into a single sensor node rather than an individual location of a livestock complex, research on an installation method or a measurement device for making it easy for a user to check each measurement data at once is ongoing.

또한, 센서노드가 측정한 측정 값 데이터를 취득하여 이를 무선으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addition, an attempt is being made to study a method for acquiring the measured value data measured by the sensor node and allowing the user to check it wirelessly in real time.

특히, 센서 노드에서 측정한 측정값 데이터를 축산 관리 서버로의 전송은 사회적 인프라로 이미 구축된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통신망을 이용하거나, 데이터의 전송 방식에 있어서도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particular, transmission of the measured value data measured by the sensor node to the livestock management server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lready established as a social infrastructure, or various attempts are made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산 단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를 일체화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센서값을 일시에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livestock complex, it is intended to enable the user to check a plurality of sensor values at one time.

뿐만 아니라, 복수의 센서를 일체화함에도 축산 단지내 가스 및 미세 먼지 농도의 정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that can maintain the accuracy of gas and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livestock complex even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sensor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compared to the prior ar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산 단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를 일체화하여 개별 측정 환경에 최적화된 센서 노드 패키지를 생성함에 따라 측정환경에 따라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livestock complex are integrated to create a sensor node package optimized for an individual measurement environment, so that measurement data is provided to a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We want to provide IOT services that include

일 측면에 따른 내구도가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는, 축산 단지 내 공기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렛(inlet); 흡입된 공기의 샘플을 균질화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노드; 및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An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t least one inlet for sucking air in the livestock complex; a sensor node that homogenizes a sample of the inhaled air to measure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included in the inhaled air;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In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the at least one inlet, may form a hole for sucking ai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일면이 상기 축산 단지의 내벽에 붙어 있는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을 제외한 각각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inlet, whe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livestock complex, the sid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A hole for sucking air may be formed on each side except for.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가 직육면체인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에 평행한 제 1 측면에 제 1 인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렛이 포함된 측면에 접하는 양 측면에 제 2 인렛 및 제 3 인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inlet includes a first inlet on a first side parallel to a side attached to an inner wall among a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hen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second inlet and a third inlet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side including the first inle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 각각은 4-way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Each of the at least one inlet may be configured as a 4-way solenoid valve.

상기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는, 상기 인렛으로 흡입된 유입 공기의 균질화를 수행하는 균일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may further include a homogenizing fan for homogenizing the inlet air sucked into the inlet.

상기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and may control to transmit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to the external server.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축산 단지 내 공기를 흡입하는 인렛부; 흡입된 공기의 샘플을 균질화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노드;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렛부는,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for sucking the air in the livestock complex; a sensor node that homogenizes a sample of the inhaled air to measure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included in the inhaled ai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included in each.

또한, 상기 인렛부는,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일면이 상기 축산 단지의 내벽에 붙어 있는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을 제외한 각각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let portion, whe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livestock complex, each except for the side attached to the inner wall among the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It is possible to form a hole in the side of the air intake.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산 단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를 일체화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센서값을 일시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livestock complex, it may be possible for the user to check the plurality of sensor values at once.

뿐만 아니라, 복수의 센서를 일체화함에도 축산 단지내 가스 및 미세 먼지 농도의 정확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ccuracy of the concentration of gas and fine dust in the livestock complex even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sensor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compared to the prior ar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산 단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를 일체화하여 개별 측정 환경에 최적화된 센서 노드 패키지를 생성함에 따라 측정환경에 따라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livestock complex are integrated to create a sensor node package optimized for an individual measurement environment, so that measurement data is provided to a us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Including IOT services can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내 센서 노드의 구성 블록도 및, 이에 포함된 센서의 종류를 나열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외부 개략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node in an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block diagram listing the types of sensors included therein.
Figure 2 is an external schematic view of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배전함에 설치되는 안테나 및 안테나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drawings may omit the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slightly exaggerate the size of the components to help understanding. Hereinafter, an antenna and an antenna connection devic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box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 내 센서 노드(1)의 구성 블록도 및, 이에 포함된 센서의 종류를 나열한 블록도이며,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외부 개략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node 1 in an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block diagram listing the types of sensors included therein, and FIG. 2 is an embodiment for livestock It is an external schematic view of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0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 내 센서 노드(1)는 통신부(10), PM1.0 센서(21), PM 10센서(22), 암모니아 센서(23), 황화수소 센서(24)를 포함한다. 다만, 센서 노드(1)에 포함된 각종 센서는 도시된 센서 이외에 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측정하기에 용이한 다른 센서가 채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sensor node 1 in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100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10 , the PM1.0 sensor 21 , the PM 10 sensor 22 , the ammonia sensor 23 , and hydrogen sulfide. It includes a sensor 24 . However,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sensor node 1 may be other sensors that are easy to measure gas or fine dust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sensors.

PM 1.0 센서(21)는 먼지 입자 크기가 1.0μm 인 극초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PM 10 센서(22)는 먼지 입자 크기가 10μm인 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단,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 노드(1)에는 먼지 입자크기가 2.5μm인 초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는 PM2.5센서가 채용될 수도 있다. The PM 1.0 sensor 21 may detect ultra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μm. The PM 10 sensor 22 may detect fine dust having a particle size of 10 μm. However, although not shown, a PM2.5 sensor capable of detecting ultrafine dust having a dust particle size of 2.5 μm may be employed in the sensor node 1 .

이처럼 PM 센서(21, 22)는 등급이 높을수록 감지율이 높아진다. 즉, PM 센서(21, 22)는 축산 단지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As such, the higher the grade of the PM sensors 21 and 22, the higher the detection rate. That is, the PM sensors 21 and 22 may detect dust generated in the livestock complex.

다음으로, 암모니아 센서(23) 및 황화수소 센서(24)는 축산 단지에서 분뇨로 인하여 발생되는 가스 오염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Next, the ammonia sensor 23 and the hydrogen sulfide sensor 24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gaseous pollutants generated due to manure in the livestock complex.

구체적으로, 암모니아 센서(23)는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암모늄 이온 선택성막 혹은 암모니아 가스 투과성막과 복합형 수소 이온 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암모니아 센서(23)는 암모니아에 대한 선택성이 좋고, 다른 휘발성 물질에는 거의 응답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하여 공장폐수, 또는 분뇨로 발생한 오염물 중의 암모니아 계측에 이용되고 있다. Specifically, the ammonia sensor 23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mmonia concentration, and is composed of an ammonium ion selective membrane or an ammonia gas permeable membrane and a complex type hydrogen ion electrode. The ammonia sensor 23 has good selectivity to ammonia and is used for measuring ammonia in pollutants generated from factory wastewater or manure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it hardly responds to other volatile substances.

다음으로, 황화수소 센서(24)는 악취를 유발하는 유독가스인 황화수소 기체만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Next, the hydrogen sulfide sensor 24 is a sensor that detects only hydrogen sulfide gas, which is a toxic gas that causes odor.

이러한, 센서 노드(1)는 통신부(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PM 센서(21, 22) 및 암모니아 센서(23), 황화수소 센서(24)가 측정한 센서값을 센서 노드(1) 외로 송신할 수 있다. The sensor node 1 additionally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 to transmit the sensor values measured by the PM sensors 21 and 22 and the ammonia sensor 23 and the hydrogen sulfide sensor 24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node 1 . can

이러한 통신부(1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유선 통신부를 통해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에 포함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측정값을 전송하거나,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센서 노드로 측정된 각종 가스 농도 값 및 미세먼지 농도값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1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 valu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or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measured values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acquire various gas concentration values and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node in real time.

다음으로,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외부 개략도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챔버 내부에는 센서 노드(20)가 설치된 것이 도시되었다. Next, Figure 2 is an external schematic view of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However, as shown in FIG. 2 , it is shown that the sensor node 20 is installed in the chamber of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표시부(40), 균일화 팬(60), 출구 유닛(70), 제1 인렛 내지 제 3 인렛(51 내지 53)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을 제어하는 제어부(30) 및 센서 노드(2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includes a display unit 40 , a uniformizing fan 60 , an outlet unit 70 , and first to third inlets 51 to 53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and the communication unit 10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 node 20 by wire or wirelessly are additionally included. .

이하에서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 인렛 내지 제3 인렛(51 내지 53)은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각기 다른 방향으로부터 축산 단지의 공기 내 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흡입한다. First, the first to third inlets 51 to 53 ar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00 to suck gas or fine dust in the air of the livestock complex from different directions.

예를 들어,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가 직육면체인 경우를 가정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렛(51)은 X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YZ평면 상의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 구멍이 뚫려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인렛(52)은 Y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XZ평면 상의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 구멍이 뚫려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3 인렛(53)은 X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YZ 평면 상의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에 구멍이 뚫려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렛(51)과 제 3 인렛(53)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를 구성하는 챔버가 육면체인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inlet 51 is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and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for livestock on the YZ plane. A hole is drilled in (100)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Next, the second inlet 52 may suck air by making a hole in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00 for livestock on the XZ plan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Finally, the third inlet 53 may suck air by making a hole in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00 for livestock on the YZ plan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X-axis direc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inlet 51 and the third inlet 53 may be installed on each side facing each other when the chamber constituting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is a hexahedron. have.

도 2에 도시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는 육면체인 것으로 가정하여, 축산 단지의 내벽 중 일벽에 측정 장치(100)가 설치되었다고 가정할 때, 측정 장치(100)의 양 옆쪽으로부터 제 1 인렛(51)과 제 3 인렛(53)이 공기를 흡입하고, 측정 장치(100)의 앞쪽으로부터 제 2 인렛(52)이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suming that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00 shown in FIG. 2 is a hexahedron, assuming that the measuring device 100 is installed on one wall of the inner wall of the livestock complex, the first from both sides of the measuring device 100 It can be seen that the inlet 51 and the third inlet 53 suck air, and the second inlet 52 sucks air from the front of the measuring device 100 .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t least one inlet may form a hole for sucking ai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일면이 상기 축산 단지의 내벽에 붙어 있는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을 제외한 각각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at least one inlet is, whe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livestock complex, the side tha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A hole for sucking air may be formed on each side except for.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가 직육면체인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에 평행한 제 1 측면에 제 1 인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렛이 포함된 측면에 접하는 양 측면에 제 2 인렛 및 제 3 인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pecifically, when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includes a first inlet on a first side parallel to the side attached to the inner wall among a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and The second inlet and the third inlet may be included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side including the first inlet.

다만, 제 1 인렛(51) 내지 제 3 인렛(53)의 위치는 축산 단지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측정 위치를 도출해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first inlet 51 to the third inlet 53 are most preferably derived from the optimal measurement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ivestock complex environment.

이 때, 제 1 인렛(51) 내지 제 3 인렛(53)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개방형 측정인 것으로 국지적인 측정 또는 공기 정체에 의한 오류 측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4way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균질화 후에 센서 노드(1)에서 그 값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At this time, the air sucked from the first inlet 51 to the third inlet 53 is an open measurement, and after homogenization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4-way solenoid valve to prevent local measurement or error measurement due to air stagnation It is common to measure the value at the sensor node 1 .

균일화 팬(60)은 제 1 인렛(51) 내지 제 3 인렛(53)을 통해 흡입한 공기의 균질화를 통해 흐름에 의한 오차값을 최소화하는 장치이다. 즉, 균일화 팬(60)을 거쳐 출구 유닛(70)으로 배출 시 사용자(축산 단지 내 작업자)의 호흡기 위치를 고려한 배치를 통해 유해물질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 유닛(70)은 사용자의 호흡기보다 상단에 위치하여 배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equalization fan 60 is a device for minimizing an error value due to a flow through homogenization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inlet 51 to the third inlet 53 . That is,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arran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respiratory position of the user (worker within the livestock complex) when discharged to the outlet unit 70 through the equalization fan 60 . Therefore, the outlet unit 7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discharged by being located above the user's respirator.

표시부(40)는 센서 노드(1)를 통해 측정된 각종 센서값을 표시한다. 즉, PM 센서(21, 22)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값, 암모니아 센서(23)로부터 측정된 암모니아 농도, 및 황화수소 센서(24)로부터 측정된 황화수소 농도값이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40 displays various sensor value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node 1 . That is, the fine dust value measured by the PM sensors 21 and 22 , the ammonia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ammonia sensor 23 , and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by the hydrogen sulfide sensor 24 may be displayed.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메인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30)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각종 제어 신호 및 제어 방법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Next,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as a whole, and includes a main processor and a memory. That is,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main processor that controls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00 for livestock, and a memory storing various control signals and control methods.

이 때, 메모리는 메인 프로세서와 메인 프로세서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S램(S-RAM), D램(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mory can store the main processor and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ain processor, and not only volatile memories such as S-RAM and D-RAM, but also flash memory and ROM (Read Only). Memory), an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and an 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반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불러와 임시로 기억하고, 각종 센서 정보 및 메인 프로세서에서 출력하는 각종 제어 신호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The non-volatile memory may semi-permanently store a control program and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00 for livestock, and the volatile memory temporarily stores the control program and control data from the non-volatile memory, and , various sensor information and various control signals output from the main processor may be temporarily stored.

다음으로, 메인 프로세서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100) 내 센서 노드(1)에 포함된 각종 센서(21 내지 24)와 메인 제어 모듈간의 물리적 연결을 정의하고, 연결된 각 장치들의 버스토폴로지 방식 연결을 지원하고, 멀티 드롭 또는 데이지체인 형식 연결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main processor defines a physical connection between the various sensors 21 to 24 included in the sensor node 1 in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100 and the main control module, and connects the connected devices in a bus topology manner. support, and may include hardware protocols to perform multi-drop or daisy-chain type connections.

예를 들어, RS 485 기반 구동 인터페이스를 멀티드롭 형식으로 구성함에 따라, 통신부(10)에 측정값을 송신하고, 통신부(10)는 수신한 측정값을 서버로 송신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the RS 485-based driving interface is configured in a multi-drop format, the measurement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0 transmits the received measurement value to the server in real time in the user's wearable device. You might as well check it out.

따라서, 실내 공기질의 송수신 서비스를 활용함에 따라 IOT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며, 멀티 드롭에 의한 슬롯 확장기능 구현을 활용하여 공기질 모니터링을 비롯한 축산 단지 뿐 아닌 수질 및 경보 등 다양한 형태에 적합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uild an IOT management system by utilizing the indoor air quality transmission/reception service, and by utilizing the slot expansion function implementation by multi-drop, IOT service suitable for various types of water quality and alarm as well as air quality monitoring and livestock complexes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또한, 메인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통신부(10)를 통해 웨어러블 장치로 송수신 할 때 보안을 위하여 AES 알고리즘(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lgorithim)을 구현하거나,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를 수행함에 따라, 센싱값 및 가축분뇨 처리장 정보 보호를 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에 대한 오류검사를 통해 품질 향상을 지원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in processor implements an AES algorithm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lgorithm) for security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wearabl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 or performs a cyclic redundancy check (CRC). Value and livestock manure treatment plant information can be protected, and quality improvement can be supported through error checking on the inform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 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 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unit)", "~기", "~블록(block)", "~부재(member)",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group", "~ block", "~ member", "~ module", etc.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at least one It can mean a unit that processes the function or operation of For example, it may mean software, hardware such as FPGA or ASIC. However, "~ part", "~ group", "~ block", "~ member", "~ module", etc. are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copy", "~ group", "~ A block", "~ member", "~ module", etc. may be a configuration stored in an accessible storage medium and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1: 센서 노드
10: 통신부
21:PM 1.0센서
22:PM 10 센서
23: 암모니아 센서
24: 황화수소 센서
40: 표시부
51: 제 1 인렛
52: 제 2 인렛
53: 제 3 인렛
60: 균일화 팬
70: 출구 유닛
1: sensor node
10: communication department
21:PM 1.0 sensor
22:PM 10 sensor
23: ammonia sensor
24: hydrogen sulfide sensor
40: display unit
51: first inlet
52: second inlet
53: third inlet
60: equalization fan
70: exit unit

Claims (8)

축산 단지 내 공기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렛(inlet);
흡입된 공기의 샘플을 균질화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노드; 및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at least one inlet for sucking air in the livestock complex;
a sensor node that homogenizes a sample of the inhaled air to measure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included in the inhaled air;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I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for livestock comprising a,
The at least one inlet, forming a hole for sucking air on each of a plurality of sid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the durability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일면이 상기 축산 단지의 내벽에 붙어 있는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을 제외한 각각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inlet is, whe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livestock complex, the side that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is excluded An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that forms an air intake hole on each 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은,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가 직육면체인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에 평행한 제 1 측면에 제 1 인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렛이 포함된 측면에 접하는 양 측면에 제 2 인렛 및 제 3 인렛을 포함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 least one inlet,
When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first inlet is included on a first side parallel to a side attached to an inner wall among a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and the first inlet is included A second inlet and a third inlet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side,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렛 각각은 4-way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Each of the at least one inl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4-way solenoid valv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는,
상기 인렛으로 흡입된 유입 공기의 균질화를 수행하는 균일화 팬;을 더 포함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further comprising a; homogenizing fan for performing homogenization of the inlet air sucked into the in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further comprising,
An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to control to transmit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to the external server.
축산 단지 내 공기를 흡입하는 인렛부;
흡입된 공기의 샘플을 균질화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노드;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측정된 미세먼지, 암모니아 가스, 및 황화수소 가스의 농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렛부는,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각각에 포함된,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시스템.
an inlet for sucking air in the livestock complex;
a sensor node that homogenizes a sample of the inhaled air to measure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included in the inhaled ai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and
In the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livestock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the fine dust, ammonia gas, and hydrogen sulfide gas on the display unit,
The inlet unit is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ides of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for livestock,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부는,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의 복수의 측면 중 일면이 상기 축산 단지의 내벽에 붙어 있는 경우, 상기 축산용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측면 중 내벽에 붙어 있는 측면을 제외한 각각의 측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축산용 공기질 측정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let unit, whe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ides of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livestock complex, each side except the side attached to the inner wall among the plurality of sides constituting the livestock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for livestock with improved durability that forms a hole for air intake.
KR1020210051013A 2021-04-20 2021-04-20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KR102533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13A KR102533642B1 (en) 2021-04-20 2021-04-20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013A KR102533642B1 (en) 2021-04-20 2021-04-20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53A true KR20220144553A (en) 2022-10-27
KR102533642B1 KR102533642B1 (en) 2023-05-18

Family

ID=8381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013A KR102533642B1 (en) 2021-04-20 2021-04-20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64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897B1 (en) * 2016-07-29 2017-02-23 박우순 Complex environmental sensor transmitter
KR20180039783A (en) * 2016-10-10 2018-04-19 영진기술 주식회사 Odor Management Portal System
KR20190069881A (en) * 2017-12-12 2019-06-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love box for making 1 bar gas partial pressure
KR20190088117A (en) * 2018-01-04 2019-07-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easuring odor and evaluating efficiency of deodorization system in animal house
KR102194876B1 (en) * 2019-08-26 2020-12-23 대한민국 Sensing apparatus for livestock derived ga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236211B1 (en) * 2020-08-07 2021-04-05 주식회사 우리아이오 Apparatus for measuring harmful gas and dust in the atmosphere using an unmanned moving body and improved gas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897B1 (en) * 2016-07-29 2017-02-23 박우순 Complex environmental sensor transmitter
KR20180039783A (en) * 2016-10-10 2018-04-19 영진기술 주식회사 Odor Management Portal System
KR20190069881A (en) * 2017-12-12 2019-06-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Glove box for making 1 bar gas partial pressure
KR20190088117A (en) * 2018-01-04 2019-07-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easuring odor and evaluating efficiency of deodorization system in animal house
KR102194876B1 (en) * 2019-08-26 2020-12-23 대한민국 Sensing apparatus for livestock derived ga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2236211B1 (en) * 2020-08-07 2021-04-05 주식회사 우리아이오 Apparatus for measuring harmful gas and dust in the atmosphere using an unmanned moving body and improved gas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642B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041B2 (en) Sensor device, system and method
Chojer et al. Development of low-cost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devices: Recent advancements
EP3518202B1 (en) Distributed sensor system with remote sensor nodes and centralized data processing
US85863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harmful substances
US20170241964A1 (en) Battery-powered, wireless gas sensing unit
US20050205090A1 (en) Automated inhalation toxicology exposure system and method
KR101500438B1 (en) Real-time odor monitoring system
US20140284222A1 (en) Detection Of Synergistic And Additive Trace Gases
US20190331759A1 (en) Using bluetooth beacons to automatically update the location within a portable gas detector's logs
CN210376230U (en) Gas detector for monitoring target gas
US11468761B1 (en) Heat-not-burn activity de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112041865A (en) Object monitoring system
KR102533642B1 (en) Livestock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with improved durability
EP3969897B1 (en) Ultra low range chlorine measurement
US20220381584A1 (en) Extensible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pack
Gayathri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 parameters monitoring in a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IoT
US20230122443A1 (en) Dynamic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Hapsari et al.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with node. js and mqtt application
CN1998033A (en) Gas monitor using electrochemical cell and method of operating
EP37228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chemical
EP374503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ir quality in a closed environment
EP3942304A1 (en) Gas sensor testing apparatus and methods
US10098086B2 (en) Guiding a user in a health hazardous environment
CN110596316A (e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device
Jäntschi et al. The jungle of linear regression revisi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