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106A -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106A
KR20220144106A KR1020210050351A KR20210050351A KR20220144106A KR 20220144106 A KR20220144106 A KR 20220144106A KR 1020210050351 A KR1020210050351 A KR 1020210050351A KR 20210050351 A KR20210050351 A KR 20210050351A KR 20220144106 A KR20220144106 A KR 20220144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grip
cue
billiard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창희
Original Assignee
최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희 filed Critical 최창희
Priority to KR1020210050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106A/en
Publication of KR2022014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8Gloves for bowling and other 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82Protective gloves with means to restrain or support the hand
    • A41D19/01588Protective gloves with means to restrain or support the hand including rigi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that can be worn for one side or both sides. The glov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ridge and grip functions and can be used as they are without the need to change a glove even if the position of a hand playing billiard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a ball. The glove comprises: a bridge slip part (101) for smooth movement of a billiard cue front part (5); a non-slip part (201) having a frictional force to prevent a billiard cue rear part (6) of a cue from slipping from the hand; and an auxiliary force concavo-convex part (301) on a part of the glove to further increase a grip frictional force. The gl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cavo-convex marker (302) is added to a part of the glove so that the degree of grip strength holding the cue and sensation transmitted to the skin of each part of the hand giving strength can be felt.

Description

다기능 당구 장갑{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본 발명은 당구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미끄러짐이 필요한 브리지 부분과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그립 부분을 하나의 장갑에서 모두 구현하는 다기능 당구 장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ove for billiards, and to a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that implements both a bridge part that requires sliding and a grip part that prevents slipping in one glove.

당구는 당구대 위에서 당구공을 큐대로 타격하여 점수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의 일종이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며 현재 당구는 생활체육뿐만 아니라 프로스포츠까지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Billiards is a kind of leisure sport that competes for scores by hitting a billiard ball on a billiard table with a cue stick. It is a sport that can be easily enjoyed by people of all ages.

브리지(bridge)란 당구에서, 목표로 하는 수구의 당점을 정확히 맞추기 위하여 큐의 앞부분 즉 상대를 고정하는 손가락의 모양을 말한다.In billiards, the bridge refers to the shape of the finger that holds the front of the cue, that is, the opponent, in order to accurately hit the target of the cue ball.

브리지를 만든 손에는 슬립이 가능한 재질로 만든 장갑을 착용하여 큐의 상대가 원활하게 움직이게 한다.Gloves made of slip-able materials are worn on the hands that made the bridge so that the opponent in the cue moves smoothly.

그립(grip)이란 당구에서, 큐대의 뒷부분 즉 하대 쪽을 쥐는 손 모양을 말한다.In billiards, a grip refers to the shape of a hand that grips the back part of the cue table, that is, the lower part.

그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큐에 직접 감싸서 사용 하고 있으나 큐의 하대 전체를 감싸지 못하므로 손의 잡는 위치에 따라 미끄러 지는 부분이 발생 한다.To prevent the grip from slipping, it is used by directly wrapping the cue with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but it cannot cover the entire lower part of the cue, so it may slip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and holding it.

또한 개인큐의 다양한 디자인을 고무 등의 재질로 감싸서 미적 가치가 떨어진다.In addition, various designs of personal cues are wrapped with materials such as rubber, which reduces the aesthetic value.

그립을 위한 전용 장갑을 착용할 경우 상기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지만, 당구 경기 특성상 오른손으로 쳐야 유리한 공의 배치가 있고 왼손으로 쳐야 유리한 배치가 있기에 그런 상황이 나올 때마다 그립 장갑을 벗고 브리지 장갑으로 바꾸어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그립 장갑은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Wearing gloves for grips can solve the above problem,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game of billiards, there is an advantageous arrangement of the ball when hitting with the right hand and an advantageous arrangement when hitting with the left hand. Grip gloves have not been put to practical use due to the inconvenience of wearing them.

방송 당구 경기, 프로당구 경기 등의 영향으로 공격제한 시간이(30~40초) 생겨나게 되고 생활체육경기에서도 공격 시간에 긴 인터벌을 지양하는 것이 당구 경기의 규정이며 매너이다.Due to the influence of broadcast billiard games and professional billiard games, an attack limit time (30 to 40 seconds) is created, and it is the rule and manners of billiards games to avoid long intervals during the attack time in everyday sports games.

따라서 경기 중 매번 장갑을 바꾸어 착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며 경기자에게 공격 시간 사용에 있어서 불리하게 작용되며 브리지와 그립의 기능이 서로 다른 두 켤레의 장갑을 준비해야 하므로 비용도 추가되며 사용에도 매우 불편함이 따른다.Therefore, it is very inconvenient to change gloves every time during the game, and it is disadvantageous to the player in using the attack time. follow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일측에만 사용하는 브리지용 장갑만 주로 사용되며, 그립용 장갑은 현재 제품화나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며 단지 큐대에 고무 등의 재질로 두르고 맨손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In addition, for this reason, only bridge gloves used on one side are mainly used, and the grip gloves are not currently commercialized or utilized, and they are only used with bare hands after being wrapped around a cue stand with a material such as rubber.

그립의 파지법에서 부연 설명을 하면,If I explain further in the grip method,

첫째, 중지와 약지를 기준으로 큐를 말아 쥐고,First, roll up the cue based on the middle and ring fingers,

둘째, 검지와 소지를 큐에 매우 가볍게 접촉하듯이 대어 준다.Second, place your index and small fingers on the cue as if in very light contact.

셋째, 엄지는 큐를 말이 쥐지 않고 힘을 빼고 가볍게 큐에 대어 준다.Third, the thumb does not hold the cue, but relaxes it and lightly touches it to the cue.

큐를 가볍게 쥘수록 당구 스트로크 시 빠른 속도를 내거나 속도의 조절을 하기가 쉽고 부드럽게 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마찰력은 꽉 쥐었을 때 보다 약해 힘의 전달이 불리하다.The lighter the cue is gripped, the easier it is to speed up the billiard stroke or control the speed and play softly.

상기 이유로 가볍게 큐를 말아 쥐어도 마찰력을 높일 수 있고, 속도의 손해를 보지 않아 힘 전달에 유리한 당구 그립에 적합한 장갑이 필요하다.For the above reasons, it is necessary to wear gloves suitable for a billiard grip, which can increase friction even when the cue is lightly rolled and grip, and does not lose speed, which is advantageous for power transmission.

따라서 공 배치마다 장갑을 바꾸어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브리지와 그립의 양쪽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장갑의 필요가 절실하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ulti-functional glove that can use both functions of a bridge and a grip without having to change gloves for each ball arrangement.

당구공을 큐대로 타격하는 동작인 스트로크에 있어 그립을 쥐는 힘과 모양에 따라 당구공을 보내는 속도와 회전 등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speed and rotation of the billiard ball according to the gripping force and shape in the stroke, which is the action of hitting the billiard ball with a cue.

그립의 쥐는 형태와 힘은 여러 가지 조합이 있을 수 있지만 중지와 약지 그리고 손바닥과의 마찰 정도에 따라 그 기준을 삼고 검지와 소지는 가볍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There can be various combinations of grip shape and force, but it is based on the level of friction between the middle and ring fingers and the palm, and the index and small fingers play a role of lightly gripping.

당구 큐에 그립을 착용한 경우 미끄러움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손가락과 손바닥으로 말아 쥐는 형태의 당구 그립 방법에서 큐 스피드 향상을 위하여 가볍게 그립을 쥐었을 때 마찰력이 부족하게 된다.When a grip is worn on a billiard cu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lippage, but in the billiard grip method of rolling with fingers and palms, frictional force is insufficient when lightly gripped to improve cue speed.

마찰력을 높으려면 손바닥과 큐가 맞닿는 면적이 넓어야 한다.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the area where the palm and the cue touch should be wide.

당구 스트로크 기술 구현을 위해 손가락과 손바닥에 움켜쥐는 힘을 어느 정도 쓰는지 느낌이 필요 한데 알 수 있는 장치가 없다. To implement the billiard stroke technique, it is necessary to feel how much grip force is used on the fingers and palm, but there is no device to know.

등록특허 10-1790568Registered Patent 10-1790568 공개실용신안 20-2013-0005031Public utility model 20-2013-0005031

이에 본 발명은 종래에 브리지 부분에 착용하는 장갑과 그립 부분의 큐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는 그립용 제품의 한정적인 기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의 배치에 따라 오른손과 왼손을 번갈아 가며 공격할 때, 슬립 기능이 필요한 브리지 장갑을 매번 바꾸어 착용해야 하는 것과 논 슬립 기능이 필요한 그립 부분의 기능을 다기능 당구장 갑을 통하여 장갑의 교체 착용이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브리지와 그립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당구장 갑을 통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limited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glove worn on the bridge part and the grip product that is directly mounted on the cue of the grip p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both the bridge and grip functions so that the bridge gloves that require a slip function must be changed every time and the grip part that requires a non-slip function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the need to change gloves through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It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rough a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상기 이유로 그립 장갑의 필요성은 있으나 그립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장갑은 당구 경기에서 빈번히 손을 바꾸어 수행하는 특성상 그립 장갑을 그때마다 벗고 브리지 장갑으로 바꾸어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그립 장갑의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For the above reasons, there is a need for grip gloves, but gloves having only a grip function are inconvenient to take off the grip gloves and replace them with bridge gloves each time due to the nature of changing hands frequently in a billiards game. to solve the part.

따라서 하나의 장갑에서 브리지와 그립의 기능이 모두 가능하여야만 비로소 그립 장갑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큐에 직접 그립 제품을 장착하여 쓰는 방식이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only when both the bridge and grip functions are possible in one glove, the grip glove can be used, and the method of using the grip product directly on the cu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 당구 장갑으로 그립 부분에 큐와 닿는 부분의 장갑 안쪽으로 구조물을 넣어 장갑 바닥면과 큐의 밀착력을 높이고, 그립의 잡는 힘의 정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추가로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 which increases the adhesion between the glove bottom surface and the cue by putting a structure inside the glove at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cue in the grip part, and helps the user to recognize the degree of gripping force of the grip. it is to do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리지를 했을때 손과 큐가 접촉되는 부분과 그립을 했을때 손과 큐가 접촉되는 부분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한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 part where the hand and the cue come into contact with the bridge and the part where the hand and the cue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ip are different.

그리고 본 발명의 장갑은 일측 또는 양측에 착용 가능한 장갑으로 브리지와 그립의 기능이 함께 구비된 장갑으로, 당구 큐 앞부분(5)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큐가 브리지 부분(1)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재질을 사용한 슬립부(101)와 당구 큐 뒷부분(6)의 그립(2)부분이 손에서 큐가 미끄러 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있는 논 슬립부(201)를 포함하는 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love that can be worn on one or both sides, and is a glove equipped with both a bridge and a grip function, and is a material in which slip occurs in the cue bridge part (1) for smooth movement of the billiard cue front part (5). The slip portion 101 using the and the grip (2) portion of the back portion 6 of the billiard cue should include a non-slip portion 201 with frictional force to prevent the cue from slipping in the hand.

또한 그립의 마찰력을 추가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손과 큐사이의 밀착력과 그립을 쥐는 손의 악력을 높이기 위하여 장갑의 일부분에 요 철형태의 부피를 갖고 있는 보조 힘 요철(301)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friction force of the grip, one or more auxiliary force irregularities 301 having a volume in the form of irregularities are included in a part of the glove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hand and the cue and the grip force of the hand holding the grip.

그리고 그립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큐와 장갑의 접촉면이 떠 있는 공간 없이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하여 보조 힘 요철(301)을 장갑의 내부(304)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of the grip, the auxiliary force unevenness 301 is positioned inside the glove 304 in order to mak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ue and the glove as wide as possible without a floating space.

또한 그립을 잡아 주는 악력의 정도와 힘을 주는 손의 각 부위를 피부에 전해지는 감각을 느낄 수 있게 장갑의 손가락 일부분 또는 손의 일 부분에 요철 형태의 마커를 추가로 내재하여 보조 힘 요철이 없는 부분에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요철 마커(302)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feel the degree of grip force holding the grip and the sensation transmitted to the skin of each part of the hand that gives strength, a marker in the form of unevenness is additionally embedded in a part of the finger or part of the hand, so that there is no auxiliary force unevenness. It further includes a concave-convex marker 302 that can be used with the part.

그리고 상기 장갑은 브리지부(101)와 그립부(201)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오른손 장갑과 왼손 장갑이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된다.And the gl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bridge part 101 and a grip part 201, and the right glove and the left glove are formed symmetrically.

상기한 바에 의한 본 발명의 다기능 당구 장갑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브리지 기능 장갑은 그립에 쓸 수가 없어 배치에 따라 손을 바꾸어 수행할 때마다 장갑을 벗고 다른 손에 새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개선된다.The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not be used for the grip of the conventionally used bridge function glove, s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ake off the glove and wear a new one on the other hand every time the han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s improved. .

상기와 같은 이유로 그립용 장갑은 벗고 착용하는 불편함에 따라 상용화가 되지 못하고 큐의 뒷부분에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을 다기능 당구 장갑으로 상황이 개선된다.For the same reasons as described above, grip gloves are not commercially available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aking off and wearing them, and they are used by directly attaching them to the back of the cue with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which is improved as a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

또한 장갑을 별도로 한 세트 더 준비할 필요가 없고, 일측에만 착용하는 선수들조차 벗었다 꼈다 하는 동작이 필요 없으며, 필요한 일측 또는 양측에 사용하여도 공의 배치마다 장갑을 새로 착용할 필요가 없어 경기 시간이 단축된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separate set of gloves, there is no need to put on and take off even for players who wear only one side, and even if they are u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there is no need to wear new gloves every time the ball is placed. this is shortened

추가적인 기능으로 그립의 밀착력을 높여주어 경기 중 악력 조절에 유리하고 손에서 큐가 미끄러짐이 줄어들어 스트로크 스피드를 조절하기 수월해지며 손의 악력 정도와 부위를 느끼며 경기를 할 수 있다.As an additional function, the grip strength is increased, which is advantageous for grip strength control during the game. The slip of the cue in the hand is reduced, making it easier to control the stroke speed.

도 1은 다기능 당구 장갑의 기능에 따른 구분을 보여주는 바닥면 도면이다.
도 2는 다기능 당구 장갑의 브리지 슬립부를 보여주는 등면 도면이다.
도 3은 큐와 브리지가 접촉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실시 도면이다.
도 4는 다기능 당구 장갑의 그립 논 슬립부를 보여주는 바닥면 도면이다.
도 5는 큐와 그립이 접촉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실시 도면이다.
도 6은 다기능 당구 장갑의 보조 힘 요철부를 보여주는 바닥면 도면이다.
도 7은 큐와 보조 힘 요철부가 접촉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실시 도면이다.
도 8은 큐와 보조 힘 요철부가 접촉하는 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다기능 당구 장갑의 보조 힘 요철부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보조 힘 요철부의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요철 마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divis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2 is a back view showing the bridge slip portion of the multi-function billiard glove.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where a cue and a bridge contact each other.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grip non-slip part of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 where a cue and a grip are in contact.
6 is a bottom view showing an auxiliary force uneven portion of the multi-function billiard glove.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ortion in which a cue and an auxiliary force concavo-convex part contact each other.
8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in which the cue and the auxiliary force concavo-convex part contact each other.
9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force uneven portion of the multi-function billiard glove.
10 is a view showing the elements of the auxiliary force concavo-convex portion.
11 is a view showing an uneven marker.

본 발명의 다기능 당구 장갑은 슬립부와 논 슬립부로 구분 되며 슬립부는 당구경기에서 브리지의 역할을 하고 논 슬립부는 그립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장갑으로 두 가지 기능을 함께 할 수 있어 일측이나 양측 모두에 착용이 가능하고 공의 배치에 따라 공격하는 손을 바꾸어 사용해도 장갑을 벗거나 바꾸어 착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보조 힘 요철이 장착되면 그립의 악력을 높여주고 큐와 그립을 밀착시켜 마찰력을 추가로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The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slip part and a non-slip part, and the slip part plays the role of a bridge in a billiard game, and the non-slip part can play the role of a grip. It can be worn on both sides and can be used without taking off or changing the glove even if the attacking han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ball. It serves to further increase the friction force.

보다 구체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다기능 당구 장갑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브리지 슬립부(101)와 그립 논 슬립부(201) 그리고 보조 힘 요철부(301)로 구성 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and is composed of a bridge slip part 101, a grip non-slip part 201, and an auxiliary force concavo-convex part 301. As shown in FIG.

도 2는 슬립부의 등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당구 경기에서 브리지를 만들 때 주로 엄지, 검지, 중지의 손가락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브리지를 만드는 데 이때 큐와 접촉하는 부분(101a, 101b, 101c)에 슬립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당구 큐가 브리지에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한다.2 is a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slip part. When making a bridge in a billiards game, one or more of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is mainly used to make the bridge, and at this time, the parts in contact with the cue (101a, 101b, 101c) are The material with slips allows the billiard cue to move smoothly on the bridge.

브리지를 만들때 큐와 접촉되는 부분외에, 당구대 바닥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슬립이 없어야 하는데 이는 그립을 위한 논 슬립부와 겹쳐 짐으로 별도의 장치를 할 필요가 없다.When making a bridge, there should be no slip on the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ool table other than the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e, which overlaps with the non-slip part for grip, so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device.

도 3은 다기능 당구 장갑과 큐가 브리지에서 접촉되는 실행 장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다기능 당구 장갑의 바닥면과 등면에서 엄지, 검지, 중지의 일 부분에 슬립부가 브리지를 하기 위하여 손을 말아 쥐었을때 큐와 슬립부가 접촉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당구 스트로크시 브리지에서 큐의 원활한 움직이게 한다.3 is a view showing an execution scene in which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and the cue are in contact at the bridge, and when the slip part is rolled up to bridge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on the bottom and back of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cue and the slip part are in contact, so that the cue moves smoothly on the bridge during billiard strokes.

도 4는 다기능 당구 장갑의 논 슬립부(201)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non-slip part 201 of the multi-function billiard glove.

도 5는 상기 그립에서 큐와 논 슬립부가 접촉되는 부분과 그립을 쥐었을 때의 실행 모습을 보여주는데 손바닥과 중지와 약지가 밀착되어 있고, 검지와 소지는 가볍게 받쳐주는 모양을 하고 있어 밀착되어 있는 부분에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여 그립을 안정적이고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한다.Figure 5 shows the part where the cue and the non-slip part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ip and the execution state when the grip is gripped. It uses a high friction material to keep the grip stable and firm.

이때, 검지와 소지의 역할은 마찰력을 높이는 작용이 아니라 가볍게 떠받들어 올리는 작용을 주로 하므로 많은 마찰력이 필요 없기에 슬립이던 논 슬립이던 별도의 장치를 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At this time, the role of the index and small fingers is not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ut to lift it lightly, so there is no need for a lot of frictional force.

상기 그립법에서 큐가 공에 맞는 순간인 임팩트 시에 손가락을 제외한 손바닥 부분은 약하게 또는 강하게 쥐는 것과 상관없이 큐가 비틀리지 않고 그립의 악력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손바닥 부분은 최대한 마찰력이 작용 되도록 손바닥 전체에 논 슬립부로 구성 되게 한다. In the above grip method, at impact, the moment the cue hits the ball, the palm part except for the finger should not be twisted and the grip force should be maintained regardless of whether the grip is weakly or strongly. Make it a slip part.

도 6은 다기능 당구 장갑에서 보조 힘 요철부의 구조를 보여준다.6 shows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force irregularities in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도 7은 상기 그립법에서 당구 그립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중지와 약지 그리고 손바닥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위치를 기준으로 보조 힘 요철부를 부착하여 큐와 손바닥이 밀착 되게 하고 보조 힘 요철로 인해 지지 역할을 하여 그립의 악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7 shows the grip force of the grip by attaching an auxiliary force uneven part based on the middle position leading to the middle and ring fingers, which are the most central points in the billiard grip in the grip method, so that the cue and the palm are in close contact, and the auxiliary force unevenness serves as a support. plays a role in increasing

도 8은 보조 힘 요철이 그립을 하였을 때 상하에서 큐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당구 스트로크 시 임팩트 시점에서 오는 충격에 큐가 비틀어 지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립을 잡은 손에 큐가 밀착 되도록 상하에서 큐를 고정해 주는 구조를 갖는다.8 is a view showing the cue from the top and bottom so that the cu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 holding the grip to prevent the cue from being twisted or sliding due to the impact at the point of impact during the billiard stroke by fixing the cue from the top and bottom when the auxiliary force unevenness is gripped It has a structure that fixes the queue.

도 9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큐와 다기능 당구 장갑의 손바닥 면이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기 위하여 요철을 다기능 당구 장갑의 외피가 아닌 내피, 즉 내부에 보조 힘 요철을 부착하여 마찰력을 최대화하는 구조를 갖는다.9 is a structure for maximizing frictional force by attaching the unevenness to the inner skin rather than the outer skin of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 billiard glove, in order to contact the cue and the palm surface of the multi-function billiard glove over a wide area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

도 10은 보조 힘 요철의 모양으로 다기능 당구 장갑의 내피와 접촉되어 붙어있는 부분은 평평하며 반대편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은 볼록하여 피부가 눌려 감각을 느끼는 효과와 동시에 바닥면에 다기능 당구 장갑의 외피가 최대한 밀착 되게 한다.10 shows the shape of the auxiliary force unevenness, the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endothelium of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is flat, and the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on the other side is convex, so that the skin is pressed and the skin of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is at the same time as the bottom surface. Make it as tight as possible.

도 11은 보조 힘 요철이 있는 곳은 피부에 감각을 느낄 수 있으나 없는 곳에 요철 마커를 부착하여 손의 어느 부위에 힘을 주는지 그립의 악력을 줄 때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악력을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필요 없기 때문에 보조 힘 요철의 부피에 비하여 작은 부피를 갖는 구조이다.11 shows that the skin can feel a sensation where there is an auxiliary force unevenness, but by attaching a uneven marker to a place where there is no auxiliary force, it is possible to sensibly feel when giving the grip force of the grip to which part of the hand the force is applied, and by increasing the grip force It is a structure having a small volume compared to the volume of the auxiliary force irregularities because the effect of giving is not necessary.

상기 다기능 당구 장갑은 일측에만 사용할 수 도 있고 양측에도 사용할 수 도 있기에 다기능 당구 장갑은 양측을 대칭형으로 만들어 브리지와 그립의 기능에 있어 왼손이던 오른손이던 공격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can be u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so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can be used freely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attack, whether left or right, in terms of bridge and grip functions by making both sides symmetrical.

상기 다기능 당구 장갑은 브리지부와 그립부로 구분 되어 있고 일측에 두 가지 기능이 모두 있기에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선택하여 사용 또는 다기능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The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 is divided into a bridge part and a grip part, and has both functions on one side, so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freely or multi-functionally according to the use.

101 : 브리지 슬립부
201 : 그립 논 슬립부
301 : 보조 힘 요철부
302 : 요철 마커
303 : 장갑의 손가락 부분 절단면
304 : 장갑의 손바닥 중앙의 절단면
305 : 보조 힘 요철부의 상부 구조
306 : 보조 힘 요철부의 하부 구조
101a, 102b, 103c : 브리지와 큐가 접촉되는 부분
1 : 브리지 모습
2 : 그립 모습
3 : 보조 힘 요철부와 그립을 쥔 손의 접촉 모습
5 : 당구 큐 상대
6 : 당구 큐 하대
101: bridge slip part
201: grip non-slip part
301: auxiliary force irregularities
302: uneven marker
303: cut surface of the finger part of the glove
304: cut in the middle of the palm of the glove
305: superstructure of auxiliary force irregularities
306: substructure of auxiliary force uneven part
101a, 102b, 103c: The part where the bridge and the cue are in contact
1: Bridge appearance
2: Grip Appearance
3: Contact appearance of the auxiliary force uneven part and the hand holding the grip
5: Billiard cue opponent
6: Under the billiard cue

Claims (4)

상기 장갑은 일측 또는 양측에 착용 가능한 장갑으로 브리지와 그립의 기능이 함께 구비된 장갑으로, 당구 큐 앞부분(5)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큐가 브리지 부분(1)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재질을 사용한 슬립부(101)와 당구 큐 뒷부분(6)의 그립(2) 부분이 손에서 큐가 미끄러 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있는 논 슬립부(201)를 포함하는 다기능 당구 장갑.The glove is a glove that can be worn on one side or both sides, and is a glove equipped with the function of a bridge and a grip. For smooth movement of the front part of the billiard cue (5), a slip using a material that slip occurs in the cue bridge part (1) A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 comprising a non-slip part 201 with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grip (2) part of the part (101) and the back part (6) of the billiard cue does not slip in the hand.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립의 마찰력을 추가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손과 큐사이의 밀착력과 그립을 쥐는 손의 악력을 높이기 위하여 장갑의 일부분에 요철 형태의 부피를 갖고 있는 보조 힘 요철(301)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다기능 당구 장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 comprising one or more auxiliary force irregularities (301) having a volume in the form of irregularities in a part of the glove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hand and the cue and the grip force of the hand holding the grip in order to additionally increase the friction force of the grip.
청구항 2에 있어서,
그립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큐와 장갑의 접촉면이 떠 있는 공간 없이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하여 보조 힘 요철(301)을 장갑의 내부(304)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당구 장갑.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force unevenness (301) is located inside the glove (304) in order to make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cue and the glove as wide as possible without a floating space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of the grip.
청구항 2에 있어서,
그립을 잡아 주는 악력의 정도와 힘을 주는 손의 각 부위를 피부에 전해지는 감각을 느낄 수 있게 장갑의 손가락 일부분 또는 손의 일 부분에 요철 형태의 마커를 추가로 내재하여 보조 힘 요철이 없는 부분에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요철 마커(302)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당구 장갑.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In order to feel the degree of grip force that holds the grip and the sensation transmitted to the skin of each part of the hand that gives the grip, additionally a marker in the form of unevenness is embedded in the finger part of the glove or part of the hand, so that there is no auxiliary force unevenness Multifunctional billiards gloves further comprising an uneven marker 302 that can also be used together.


KR1020210050351A 2021-04-19 2021-04-19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KR202201441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51A KR20220144106A (en) 2021-04-19 2021-04-19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351A KR20220144106A (en) 2021-04-19 2021-04-19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06A true KR20220144106A (en) 2022-10-26

Family

ID=8378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351A KR20220144106A (en) 2021-04-19 2021-04-19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10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031U (en) 2012-02-14 2013-08-22 서영배 billiard gloves
KR101790568B1 (en) 2016-04-21 2017-10-26 권혁민 Billiard right hand grip glov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031U (en) 2012-02-14 2013-08-22 서영배 billiard gloves
KR101790568B1 (en) 2016-04-21 2017-10-26 권혁민 Billiard right hand grip glov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639A (en) Golf putter
US3255462A (en) Golf glove
KR100986905B1 (en)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projection part
US20100043119A1 (en)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US20110070959A1 (en) Clip/fastener with wheel, ball bearing, or roller device or apparatus: Junior shark guiding wheel
KR20220144106A (en) Multifunctional billiard gloves
US3851876A (en) Training aid-guide device for pool cue
KR200434359Y1 (en) The golf gloves Attached holding-band
US20120317697A1 (en) Golf glove
JP2003325715A (en) Table tennis racket
JP3157054U (en) Table tennis racket components
CN204655936U (en) The fixed table tennis bat of ambidextrous
JP2006130279A (en) Table tennis racket
KR20090007471U (en) Two-hand golf gloves with an improved grip
JP7337418B2 (en) Table tennis racket including finger support
KR20170112301A (en) Shakehand type pingpong racket with supporting hand
JP2019097909A (en) Grip for golf club and golf putter comprising the same
KR200471482Y1 (en) billiard gloves
KR200215471Y1 (en) Golf glove
US20140329621A1 (en) Golf putting method
KR100638654B1 (en) The gloves for golf
CN104759083B (en) The fixed table tennis bat of ambidextrous
JPH09294834A (en) Golf club
KR200357986Y1 (en) The gloves for golf
AU2011341804B2 (en) A grip for a cricket bat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