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801A -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801A
KR20220143801A KR1020220132384A KR20220132384A KR20220143801A KR 20220143801 A KR20220143801 A KR 20220143801A KR 1020220132384 A KR1020220132384 A KR 1020220132384A KR 20220132384 A KR20220132384 A KR 20220132384A KR 20220143801 A KR20220143801 A KR 2022014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command
text
registra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069B1 (ko
Inventor
권남영
박경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5245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56588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0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801A/ko
Priority to KR1020230149436A priority patent/KR20230156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 중 오인식에 강하고, 높은 인식률이 보장되는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ration of user command}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개발로 인해, 스마트 폰,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음성 인식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발화 음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다양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음성 인식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등록된 명령어와 관련된 발화 음성을 인식하는 임베디드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기등록된 명령어에 대해서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음성 인식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데 있어 보다 재미있고 유연하게 이용하고자,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등록하는 사용자 명령어 등록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용자 명령어 등록 방법은 단순히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종래의 사용자 명령어 등록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인식 발생 가능성에 대한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해당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고자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같은 종래의 사용자 명령어 등록 방법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가 등록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환경 요인에 의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 명령어와 유사한 타 명령어가 기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발화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와 유사한 타 명령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 중 오인식에 강하고, 높은 인식률이 보장되는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 및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에 연속된 모음/자음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의 구성 형태, 각 단어별 발음기호의 개수 및 위크(Weak) 발음기호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위크 발음기호는, 주변 환경에 의해 주파수 대역 혹은 에너지 크기가 작아지거나 손실되어 인식률이 저하되는 특정 발음에 대한 발음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텍스트와 상기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 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어를 상기 저장부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이 적합한 것과 부적합한 것 모두에 속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어를 상기 저장부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기등록된 복수의 명령어별 발음기호와 상기 사용자 명령어의 발음기호에 대한 유사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유사도에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가 금칙 명령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음성 인식 장치로부터 상기 발화 음성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입력받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텍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명령어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방법은,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 기정의된 발음기호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 및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에 연속된 모음/자음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의 구성 형태, 단어별 발음기호의 개수 및 위크(Weak) 발음기호 포함 여부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위크 발음기호는, 주변 환경에 의해 주파수 대역 혹은 에너지 크기가 작아지거나 손실되어 인식률이 저하되는 특정 발음에 대한 발음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텍스트와 상기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 간의 유사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등록이 적합한 것과 부적합한 것 모두에 속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기등록된 복수의 명령어별 발음기호와 상기 사용자 명령어의 발음기호에 대한 유사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가 금칙 명령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음성 인식 장치로부터 상기 발화 음성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텍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명령어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어 하기의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는 단계, 기정의된 발음기호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 중 오인식에 강하고, 높은 인식률이 보장되는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성 판단 모듈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부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부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부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입력 장치(200) 및 웹 서버(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스마트 TV,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써, 예를 들어, 리모컨, 키보드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초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 신호가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명령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한다. 이 같이,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추가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적으로 추가 발화된 발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입력 장치(100)를 통해 입력되거나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 음성 인식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인식된 음성 인식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서버(미도시)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 검색해줘!”라는 발화가 입력되면, 통신부(160)는 웹 서버(미도시)로부터 “○○○”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발화 음성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행 명령어를 사용자가 등록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등록 설정하고자 하는 실행 명령어를 사용자 명령어라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입력 장치(200)를 통해 자신이 등록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되면, 입력 장치(200)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를 포함하는 사용자 명령어 등록 요청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 등록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발화 음성을 음성 인식 장치(300)로 전송하고,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텍스트 형태로 변환된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같은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 장치(200) 혹은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적합성 판단 조건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적합성 판단 조건은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 발음기호의 모음 및 자음의 연속성 여부, 발음기호의 구성 형태, 각 단어별 발음기호의 개수 및 기정의된 위크(Weak) 발음기호 포함 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와 같은 적합성 판단 조건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판단 결과를 UI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한다.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어를 재입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동작을 재수행하여 재입력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을 재수행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을 요청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사용자 명령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및 프로세서(140) 구성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처리부(150), 통신부(160) 및 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프로세서(14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입력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패널은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혹은 키보드와 같은 같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전송되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110)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입력부(11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를 입력받거나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어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실행 명령어로써,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이 같은 출력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1) 및 오디오 출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1) 및 오디오 출력부(12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으로,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부 등과 혼용될 수 있으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른 기능부와 단일칩 시스템 (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 등록에 대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저장부(170)에 기저장된 발음기호 생성 관련 프로그램을 램(RAM)에 복사하고, 램에 복사된 발음기호 생성 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기정의된 발음기호 세트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정의된 발음기호 세트는 모음, 이중모음, 자음, 파찰음, 강세,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명령에 대한 발음기호가 생성되면,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적합성 판단 조건을 바탕으로 기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수행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등록 요청 정보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기 위한 요청 정보이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등록 요청 정보가 입력된 후,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등록 요청에 해당하는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를 발음기호 형태로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된 발화 음성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음성 처리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 같은 제어 명령에 따라, 음성 처리부(150)는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된 발화 음성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된 발화 음성을 음성 인식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성 인식 장치(300)는 수신된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 형태의 음성 인식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음성 인식 장치(3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형태의 음성 인식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텍스트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복수의 텍스트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하나의 텍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음성 인식 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음성 인식 장치(300)와 통신이 가능하면,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하고, 음성 인식 장치(300)와 통신이 불가능하면, 음성 처리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60)는 음성 인식 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한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160)는 입력 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및 사용자의 발화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160)는 웹 서버(미도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같은 통신부(16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근거리에 위치한 입력 장치(200) 및 웹 서버(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로써, 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은 와이파이(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된 발화 음성이 텍스트 형태로 변환되거나 혹은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기정의된 발음기호 세트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강아지"라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강아지"라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k:ang_a:_zi]라는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같은 발음기호가 생성되면,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적합성 판단 조건을 바탕으로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를 저장부(170)에 등록 저장한다. 이후, 저장부(170)에 등록 저장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발화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합성 판단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은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 분석 모듈, 발음기호를 구성하는 모음 및 자음의 구성 분석 모듈, 발음기호의 구성 형태 분석 모듈,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단어별 발음기호 분석 모듈 및 위크(Weak) 발음기호 검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 분석 모듈(이하 제1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 전체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발음기호를 구성하는 모음 및 자음의 구성 분석 모듈(이하 제2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 상에서 모음 혹은 자음이 연속하여 중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발음기호의 구성 형태 분석 모듈(이하 제3 조건이라 함)은 기정의된 발음기호 세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의 구성이 어떠한 형태로 나열되는지를 파악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단어 발음기호 분석 모듈(이하 제4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별 개수 및 각 단어에 대응되는 발음기호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혹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그리고, 위크 발음기호 검출 모듈(이하 제5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발음기호 중 시작과 끝의 발음기호가 사전에 정의된 위크 발음기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여기서, 사전에 정의된 위크 발음기호는 생활 소음 등과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주파수 대역 혹은 에너지 크기가 작아지거나 손실되어 인식률이 저하되는 특정 발음에 대한 발음기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이 같은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제1 내지 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1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아지"라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강아지"라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k:ang_a:_zi]라는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같은 발음기호가 생성되면,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1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k:ang_a:_zi]라는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 조건에 부합되는 기설정된 개수가 5개이고, [k:ang_a:_zi]라는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가 7개이면, 프로세서(140)는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명령어가 제1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은 제1 조건에 부합되면,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k:ang_a:_zi]라는 발음기호 상에서 모음 및 자음 중 적어도 하나가 연속한 형태로 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음 및 자음 중 적어도 하나가 연속한 형태로 구성되지 않으면, 프로세서(!40)는 사용자 명령어가 제2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이, 사용자 명령어가 제1 및 제2 조건에 부합되면, 프로세서(140)는 "강아지"라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아아아아아"라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될 경우, 프로세서(140)는 "아아아아아"라는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a_a_a_a_a]라는 발음기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a_a_a_a_a]라는 발음기호의 모음이 연속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명령어가 제1 및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부합되지 못하면, 프로세서(140)는 "아아아아아"라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모음이 연속된 사용자 명령어의 경우, 등록된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하여 발화된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해당 사용자 명령어와 상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예와 같이, 연속된 모음의 사용자 명령어의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1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과, 제3 내지 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프 티비"라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skaip_TV]]라는 발음기호가 생성되면, 프로세서(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1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skaip_TV]]라는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skaip_TV]]라는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며, 모음 및 자음 중 적어도 하나가 연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40)는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가 제1 및 제2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이, 사용자 명령어가 제1 및 제2 조건에 부합되면,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3 내지 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skaip_TV]]라는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3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skaip_TV]라는 발음기호의 구성 형태를 분석하여 해당 발음기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기정의된 패턴에 대응하는 순서로 분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기정의된 제1 패턴은 자음, 자음, 모음, 모음, 자음, 자음 등의 순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2 패턴은 모음, 자음, 심볼, 파찰음, 모음, 자음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3 패턴은 자음, 모음, 자음, 모음, 자음, 모음, 자음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skype_TV]라는 발음기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내지 제3 패턴 중 제1 패턴에 기초하여 나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와 같이, "강아지"라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k:ang_a:_zi]라는 발음기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k:ang_a:_zi]라는 발음기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내지 제3 패턴 중 제3 패턴에 기초하여 나열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생성된 발음기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기정의된 패턴에 기초하여 나열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가 제3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3 조건에 부합되면, 프로세서(140)는 제4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단어의 개수 및 각 단어별 발음기호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혹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예와 같이,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하여 생성된 [skype_TV]라는 발음기호가 제3 조건에 부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4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skype_TV]라는 발음기호 중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단어의 개수 및 각 단어별 발음기호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혹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등록이 적합한 사용자 명령어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어로 조합되며, 각 단어별 발음기호는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한편,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는 "스카이프"와 "티비"라는 2 개의 단어로 구성되며, "스카이프"와 "티비" 각각에 대한 발음기호는 [skaip]와 [TV]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는 2 개의 단어로 구성되며, 각 단어의 발음기호의 개수가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단어의 개수 및 각 단어별 발음기호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미만이거나 이상이면 , 프로세서(140)는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가 제4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4 조건에 부합되면, 프로세서(140)는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각 단어별 발음기호 중 시작 혹은 끝의 발음기호가 기정의된 위크 발음기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전에 정의된 발음기호는 생활 소음 등과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주파수 대역 혹은 에너지 크기가 작아지거나 손실되어 인식률이 저하되는 특정 발음에 대한 발음기호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p],[f],[k]와 같은 발음기호로 시작되거나 끝나는 경우, 해당 발음기호와 관련된 발음은 주변 환경에 의해 주파수 대역 혹은 에너지 크기가 작아지거나 손실되어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스카이프"와 "티비" 각각에 대한 단어별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발음기호의 시작 혹은 끝에 기정의된 위크 발음기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카이프"에 대한 단어의 발음기호는 "[skaip]"가 될 수 있으며, 이 같은 발음기호의 시작과 끝에는 위크 발음기호인 [s]와 [p]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스카이프 티비"라는 사용자 명령어가 제 5 조건에 부합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사용자 명령어가 제3 내지 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40)는 최종적으로 해당 사용자 명령어의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른 결과값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각 모듈별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제1 내지 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과 관련하여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내지 제5 조건 중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기설정된 기준 값을 합산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설정된 기준 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상이한 기준 값이 설정될 경우,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 중 등록 적합성 판단 기준에 있어 가장 우선 순위에 해당되는 모듈의 기준 값을 가장 높게 설정하고, 가장 낮은 순위에 해당되는 모듈의 기준 값을 가장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산출되면, 프로세서(140)는 산출된 결과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다.
프로세서(14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각 모듈별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값이 산출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5에 도시된 등록 판단 기준 모델(500)을 참조하여 산출된 결과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1 임계구간(510)에 속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2 임계구간(530)에 속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1 및 제2 임계구간 사이인 제3 임계구간(520)에 속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2 임계구간(530)에 속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등록 요청 정보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가 제어 명령어로써 등록이 적합한지 아니면, 사용자 명령어가 트리거 명령어로써 등록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등록 요청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2 임계구간(530) 중 제2-1 임계구간(531)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로써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등록 요청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2 임계구간(530) 중 제2-2 임계구간(533)에 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로써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등록 요청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2 임계구간(530) 중 제2-1 임계구간(531)에 속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가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로써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과 기등록된 복수의 명령어별 유사도 혹은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금칙 명령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Confusion Matrix와 같은 유사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생성된 발음기호와 기저장된 복수의 명령어별 발음기호에 대한 유사도를 측정하여 그에 따른 신뢰도 값을 산출한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산출된 각각의 신뢰도 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각각의 신뢰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적어도 하나의 신뢰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와 기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모든 신뢰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저장부(170)에 등록 저장된 금칙 명령어를 참조하여 사용자 명령어가 등록 불가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금칙 명령어와 관련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금칙 명령어와 관련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어가 기등록된 명령어와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동작과 해당 사용자 명령어가 금칙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판단 동작 및 제2 판단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가 1차적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4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명령어가 등록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120)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출력부(123)는 프로세서(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 같은 오디오가 출력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텍스트와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 간의 유사도 정도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를 저장부(170)에 등록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가 출력된 후,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발화 음성을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거나 혹은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텍스트 형태로 변환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Confusion Matrix와 같은 유사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와 발화 음성에 대한 발음기호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유사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사용자 명령어를 저장부(170)에 등록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21)는 프로세서(14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기설정된 적합성 판단 조건에 따라 분석된 분석 결과 및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을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를 참조하여 적합성 판단 조건에 부합되는 사용자 명령어를 재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경우, 그에 따른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부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제1 사용자 명령어(610)는 전술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4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은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별 개수 및 각 단어에 대응되는 발음기호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혹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사용자 명령어(6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별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를 초과하면, 제1 사용자 명령어(610)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사용자 명령어(610)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너무 긴 명령어 입니다."라는 가이드 UI(6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620)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 명령어(610)보다 작은 단어로 이루어진 사용자 명령어를 재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부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제2 사용자 명령어(710)는 전술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4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은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별 개수 및 각 단어에 대응되는 발음기호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혹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2 사용자 명령어(7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이면, 제2 사용자 명령어(710)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제2 사용자 명령어(710)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입력하신 명령어는 등록이 부적합 합니다."라는 판단 결과 정보와 "추천 : Run Skype, Skype TV"와 같은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UI(7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720)를 통해 제2 사용자 명령어(710)와 관련하여 추천된 사용자 명령어를 참조하여 자신이 원하는 사용자 명령어를 재입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부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제3 사용자 명령어(810)는 전술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통해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은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발음기호 중 시작과 끝의 발음기호가 사전에 정의된 위크 발음기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3 사용자 명령어(81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어별 발음기호 상에서 시작과 끝 중 적어도 하나의 발음기호가 위크 발음기호이면, 제2 사용자 명령어(810)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제2 사용자 명령어(810)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부적합한 발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라는 판단 결과 정보와 "Skype [S,Pe]"와 같은 부적합한 발음을 안내하는 위크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UI(82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820)를 참조하여 부적합한 위크 발음이 배제된 사용자 명령어를 재입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가 텍스트 형태의 명령어인지 아니면, 발화 음성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10,S9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요청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수행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등록 요청 정보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트리거 명령어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기 위한 요청 정보이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와 관련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기 위한 요청 정보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등록 요청 정보가 입력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등록 요청에 해당하는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마이크(미도시) 혹은 리모컨과 같은 입력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텍스트로 변환된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한다(S930).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성 인식 장치(300)와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한편,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된 발화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는 음성 인식 장치(3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형태의 음성 인식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텍스트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하나의 텍스트에 대한 선태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선택 명령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사용자의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정의된 발음기호 세트에 기초하여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를 생성한다(S94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적합성 판단 조건을 바탕으로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S95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한다(S96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합성 판단 조건과 관련하여 기설정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음기호의 전체 개수 분석 모듈(제1 조건), 발음기호를 구성하는 모음 및 자음의 구성 분석 모듈(제2 조건), 발음기호의 구성 형태 분석 모듈(제3 조건), 사용자 명령어를 구성하는 단어별 발음기호 분석 모듈(제4 조건) 및 위크(Weak) 발음기호 검출 모듈(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각각의 모듈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였기에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1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로부터 생성된 발음기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모듈 중 제1 및 제2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과, 제3 내지 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른 결과값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포함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제1 내지 제5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과 관련하여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내지 제5 조건 중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기설정된 기준 값을 합산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설정된 기준 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별로 상이한 기준 값이 설정될 경우, 제1 내지 제5 조건에 대응되는 모듈 중 등록 적합성 판단 기준에 있어 가장 우선 순위에 해당되는 모듈의 기준 값을 가장 높게 설정하고, 가장 낮은 순위에 해당되는 모듈의 기준 값을 가장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적합성 판단 모듈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결과값이 산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등록 판단 기준 모델을 참조하여 산출된 결과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1 임계구간(510)에 속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2 임계구간(530)에 속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의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결과값이 제1 및 제2 임계구간 사이인 제3 임계구간(520)에 속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임계구간에 속하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해서 사용자의 등록 요청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명령어가 제어 명령어로써 등록이 적합한지 아니면, 해당 사용자 명령어가 트리거 명령어로써 등록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과 기등록된 복수의 명령어별 유사도 혹은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금칙 명령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등록된 복수의 명령어와 사용자 명령어의 유사도 정도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제1 판단 동작). 판단 결과, 사용자 명령어가 복수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가 복수의 명령어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등록된 금칙 명령어를 참조하여 사용자 명령어가 등록 불가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2 판단 동작). 판단 결과, 사용자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금칙 명령어와 관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 명령어가 적어도 하나의 금칙 명령어와 관련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가 기등록된 명령어와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 동작과 해당 사용자 명령어가 금칙 명령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같은 제1 판단 동작 및 제2 판단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여부가 1차적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적합성 판단 결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명령에 대한 등록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합성 판단 조건과 관련하여 기설정된 등록 적합성 판단 모듈에 따라 분석된 분석 결과 정보 및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어를 안내하는 가이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UI를 참조하여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어를 재입력하거나 발화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 같은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가 출력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해당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한다(S101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0).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텍스트와 입력된 발화 음성에 대한 텍스트의 유사도 정도에 따라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한다(S1030,S10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오디오가 출력된 후, 발화 음성이 입력되면, 입력된 발화 음성을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거나 혹은 음성 인식 장치(300)로부터 텍스트 형태로 변환된 음성 인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Confusion Matrix와 같은 유사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발음기호와 발화 음성에 대한 발음기호의 유사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유사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재발화를 요청한다. 이후, 사용자의 발화 음성이 재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단계 S1030 및 S1040의 동작을 재수행한다. 이 같은 재수행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와 발화 음성으로부터 측정된 유사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 횟수 이상 기설정된 임계값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에 대한 등록 수행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040을 통해 사용자 명령어와 발화 음성으로부터 측정된 유사도 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어를 등록 저장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명령어가 등록된 이후, 사용자는 기등록된 사용자 명령어와 관련된 발화 음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명령어 등록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명령어 등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입력부
120 : 출력부 121 : 디스플레이부
123 : 오디오 출력부 140 : 프로세서
160 : 통신부 170 : 저장부
200 : 입력 장치 300 : 음성 인식 장치

Claims (20)

  1. 장치의 프로세서가 상기 장치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기록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음성 입력 상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면, 다른 사용자 음성 입력의 재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및 상기 금칙어와 관련이 없으면, 상기 재입력된 텍스트를 음성 명령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이 있으면, 복수의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어를 가이드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과 관련이 있으면, 상기 텍스트가 음성 명령으로 등록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과 관련이 있으면, 상기 음성 명령을 등록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 음성의 재입력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금칙어와 관련이 있으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금칙어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및 상기 금칙어와 관련이 없다면, 상기 텍스트 및 상기 텍스트가 음성 명령으로 등록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복수의 텍스트가 획득되면, 상기 복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가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금칙어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0.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수신부;
    사용자 음성 입력 수신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음성 입력 상태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 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이 있으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가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 수신부를 통해 다른 사용자 음성 입력의 재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재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및 상기 금칙어와 관련이 없으면, 상기 재입력된 텍스트를 음성 명령으로 등록하는,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이 있으면, 복수의 등록 가능한 사용자 명령어를 가이드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과 관련이 있으면, 상기 텍스트가 음성 명령으로 등록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과 관련이 있으면, 상기 음성 명령을 등록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 음성의 재입력을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금칙어와 관련이 있으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금칙어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및 상기 금칙어와 관련이 없다면, 상기 텍스트 및 상기 텍스트가 음성 명령으로 등록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장치.
  18.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복수의 텍스트가 획득되면, 상기 복수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텍스트 중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텍스트가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금칙어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장치.
  19.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음성 입력 상태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가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면,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텍스트가 상기 기 등록된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금칙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132384A 2021-04-22 2022-10-14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599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384A KR102599069B1 (ko) 2021-04-22 2022-10-14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230149436A KR20230156283A (ko) 2021-04-22 2023-11-01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452A KR102456588B1 (ko) 2014-11-20 2021-04-22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220132384A KR102599069B1 (ko) 2021-04-22 2022-10-14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52A Division KR102456588B1 (ko) 2014-11-20 2021-04-22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436A Division KR20230156283A (ko) 2021-04-22 2023-11-01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801A true KR20220143801A (ko) 2022-10-25
KR102599069B1 KR102599069B1 (ko) 2023-11-06

Family

ID=759159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384A KR102599069B1 (ko) 2021-04-22 2022-10-14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0230149436A KR20230156283A (ko) 2021-04-22 2023-11-01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9436A KR20230156283A (ko) 2021-04-22 2023-11-01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90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181A (ja) * 2001-03-30 2002-10-11 Kddi Corp 音声認識語彙登録判定方法及び音声認識装置
KR20050012015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안다미로 음성채팅 및 음성제어가 가능한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JP2009104047A (ja) * 2007-10-25 2009-05-14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30140423A (ko) * 2012-06-14 201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대화형 서버 및 응답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181A (ja) * 2001-03-30 2002-10-11 Kddi Corp 音声認識語彙登録判定方法及び音声認識装置
KR20050012015A (ko) * 2003-07-24 2005-01-31 주식회사 안다미로 음성채팅 및 음성제어가 가능한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JP2009104047A (ja) * 2007-10-25 2009-05-14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30140423A (ko) * 2012-06-14 201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대화형 서버 및 응답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283A (ko) 2023-11-14
KR102599069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747B1 (ko)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445927B1 (ko) 질의 응답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EP303953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089158B1 (en) Speech recognition processing
KR102246900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KR10221043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KR20150077580A (ko) 음성 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09238A (ko) 사용자의 발화 입력에 관련된 추천 문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456588B1 (ko)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599069B1 (ko) 사용자 명령어 등록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210098250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59163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KR2022002085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