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352A - 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352A
KR20220142352A KR1020220042484A KR20220042484A KR20220142352A KR 20220142352 A KR20220142352 A KR 20220142352A KR 1020220042484 A KR1020220042484 A KR 1020220042484A KR 20220042484 A KR20220042484 A KR 20220042484A KR 20220142352 A KR20220142352 A KR 20220142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late
combustion chamber
disposed
combus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1403B1 (en
Inventor
민경태
김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PCT/KR2022/00505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20491A1/en
Priority to CN202280028210.4A priority patent/CN117178143A/en
Priority to GB2315324.0A priority patent/GB2619882A/en
Publication of KR2022014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3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84Flame spreading or otherwise sha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rner for a water heater with improved combus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rner for a water heater is positioned upstream of a combustion chamber in a reference direction which is the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produced by a combustion reaction and includes a distribution plate of a plate shape to cause the combustion reaction. When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i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ference direction is a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penetration holes formed through the distribution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eparated to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a mixture of fuel and air for the combustion reaction through the penetration holes.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 middle portion which is a portion positioned in the middl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n edge portion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iddle portion. The penetration density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areas of the penetration holes positioned on the edge portion by the area of the edg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penetration density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areas of the penetration holes positioned on the middle portion by the area of the middle portion.

Description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 {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버너와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ner and a water heater comprising the same.

물 가열기는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을 물에 전달해 이를 난방 또는 온수공급에 사용하는 장치이다.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가열된 뒤 배출되는 과정이 물 가열기를 통해 이루어진다.A water heater is a device that transfers heat generated by combustion reaction to water and uses it for heating or hot water supply. Water is introduced, and the process of heating and discharging the introduced water is performed through a water heater.

연소반응은 버너에서 일어날 수 있는데, 버너가 연소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연료가 필요하다. 연료가 버너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화염을 형성하기에 좋은 상태를 가지고, 점화가 일어나 연소반응과 함께 화염이 발생할 수 있다.A combustion reaction can occur in a burner, and in order for a burner to cause a combustion reaction, fuel is required. As the fuel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urner, it has a good condition to form a flame, and ignition may occur and a flame may be generated along with the combustion reaction.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은 물을 데우는데 사용되지만, 그 과정에서 물 가열기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에 과도한 열을 전달하여, 다른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가장자리가 퍼져나가는 형태를 가져, 연소실의 내벽을 과도하게 가열할 수 있고, 이는 연소성을 저해해 불완전 연소로 이어져, 버너에서의 연소반응시 일산화탄소가 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불완전 연소가 일어남으로써, 물 가열기의 열효율이 저해될 수 있다.The heat generated by the burner is used to heat the water, but in the process, it transfers excessive heat to the other components that make up the water heater, which may deform or break the other components, preventing them from performing their functions. In particular, since the edge of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burner spreads out,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may be excessively heated, which inhibits combustibility and leads to incomplete combustion, and excessive carbon monoxid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reaction in the burner. As incomplete combustion occurs,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water heater may be impair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소성이개선된 물 가열기용 버너와 이를 포함하는 물 가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such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ner for a water heater with improved combustibility and a water hea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인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연소실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물 가열기용 버너는, 상기 연소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판형의 분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상기 기준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연소반응을 위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분배판이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배판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심부분과, 상기 중심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곽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분에 위치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을 상기 외곽부분의 면적으로 나눈 관통밀도는, 상기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을 상기 중심부분의 면적으로 나눈 관통밀도보다 작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rner for a water heater positioned upstream of a combustion chamber with respect to a reference direction, which is a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includes a plate-shaped distribution plate for generating the combustion reaction. And, when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the distribution plate allows the mixture of fuel and air for the combustion reaction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at are formed to penetrate in the reference direction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 central portion, which is a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enter including the outer port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ortion, and the penetration density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 holes located in the outer portion by the area of the outer portion is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 hole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is the central portion less than the penetration density divided by the area of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혼합물이 생성되는 믹스 챔버 및 상기 혼합물이 분출되며 연소반응을 일으키게 마련되는 판형의 분배판을 구비하는 버너; 내부에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화염이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연소실의 단열을 위해 상기 연소실의 외측에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연소실 단열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방향이라 하고,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상기 기준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혼합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분배판이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배판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심부분과, 상기 중심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곽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분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을 통과하는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화염의 외측 말단이 상기 연소실 단열배관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연소실의 측벽의 일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A water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rner having a mixing chamber in which fuel and air are mixed to produce a mixture, and a plate-shaped distribution plate provided to cause a combustion reaction by ejecting the mixture;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so that a flam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is located therein;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water using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and a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provided to allow water to flow on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for thermal insula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where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flows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direction, and is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When on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by penetrating the distribution plat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so that the mixture passes through the length The distribution plate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 central portion that is a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nd an outer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The through-hole formed i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the outer end of the flame formed by the mixtu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is inward than a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placed to be located.

이에 따라, 버너의 연소성이 개선되어 불완전 연소 및 그 산물인 일산화탄소의 생성이 줄어든 연소반응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burner's combustibility is improved so that incomplete combustion and a combustion reaction in which the production of carbon monoxide, which is a product thereof, is reduced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종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이 형성된 버너의 분배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버너 프레임의 브라켓 걸림부가 분배판을 가린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이 분배판을 가린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분배판을 이용한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he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hape of a distribution plate of a burner having a through-hole 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of the burner fram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distribution plate.
9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shielding plate covers the distribution plat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flame shape generated in a burner using an exemplary distribution plate.
1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flame generated in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의 종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heat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방향(D1)이라 하고, 기준방향(D1)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길이방향(D3)이라 하고, 기준방향(D1)과 길이방향(D3)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D2)이라 한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flows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direction (D1),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re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direction (D1). )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D2).

기준방향(D1)을 따라 각 구성요소들이 나열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방향(D1)이란 하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방향(D1), 폭방향(D2) 및 길이방향(D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지칭된 것이다. 이러한 방향은 물 가열기(1)가 배열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Each component may be arrang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Here, the reference direction D1 may be downward. In this specification,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length direction (D3) are referred t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is direction can be determ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heater 1 is arrange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는 기준방향(D1)을 따라 가면서 버너(10), 연소실(20), 열교환기(30, 40)를 순서대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버너(1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하방으로 유동하여 연소실(20), 열교환기(30, 40)를 거쳐 배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30, 40)는 잠열 열교환기(40)와 현열 열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현열 열교환기(30)는 연소실(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burner 10 , a combustion chamber 20 , and heat exchangers 30 and 40 in ord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 Accordingly,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from the burner 10 may flow downward and be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may include a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and a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and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20 .

연소실(20)Combustion Chamber (2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는 연소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20)의 내부에는 버너(10)로부터 발생하는 연소반응에 의한 화염이 위치할 수 있다. 연소실(20)은 상하로 개방된 박스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상류측에는 버너(10)가 연결되고, 하류측에는 열교환기(30, 4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가스가 버너(10)에서 발생하여 연소실(20)을 거쳐 현열 열교환기(30) 및 잠열 열교환기(40)로 전달될 수 있다.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bustion chamber 20 . A flame due to a combustion reaction generated from the burner 10 may be locat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20 . The combustion chamber 2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box opened up and down, and the burner 10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may be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 Accordingly, combustion gas may be generated in the burner 10 and may be transferred to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and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20 .

연소실(20)은 측벽(21)을 가질 수 있다. 연소실(20)의 측벽(21)은 길이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된 2개의 일반측판과, 폭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된 2개의 단열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측판과 단열측판이 서로 결합되어 연소공간(200)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D3)을 따라 일반측판의 외측에는 연소실(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인 유로캡을 구비하는 유로캡 플레이트(2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측판과 유로캡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이 후술할 서로 인접한 단열배관들 또는 서로 인접한 현열 열교환배관(32)들에 연통되어, 단열배관들로 구성된 단열유로 또는 현열 열교환배관(32)들로 구성된 현열유로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20 may have a side wall 21 . The side wall 21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may include two general sid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two heat insulating side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The combustion space 2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general side plate and the heat insulating side plate with each other. A flow path cap plate 22 having a flow path cap that is a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general side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respectively. Therefore, a space for water to flow is formed between the general side plate and the flow path cap, and this space is communicated with adjacent heat insulating pipes or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32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heat insulating flow path composed of heat insulating pipes. Alternatively, it may form a par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composed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32 .

열교환기(30, 40)Heat Exchanger (30, 40)

열교환기(30, 40)는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물을 가열한다. 열교환기(30, 40)는 어떠한 열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현열 열교환기(30)와 잠열 열교환기(40)로 나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heat water using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may be divided into a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and a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according to which heat is used.

열교환기(30, 40)는 하우징(70)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30, 40)의 하우징(70)은 길이방향(D3)을 따라 서로 이격된 2개의 열교환 일반측판(71)과, 폭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된 2개의 열교환 단열측판(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 일반측판(71)과 열교환 단열측판(72)이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70)의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길이방향(D3)을 따라 열교환 일반측판(71)의 외측에는 열교환기(30, 4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인 유로캡을 구비하는 열교환 유로캡 플레이트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 일반측판(71)과 유로캡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이 서로 인접한 현열 단열배관(52)들, 서로 인접한 현열 열교환배관(32)들, 서로 인접한 잠열 열교환배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통되어, 현열 열교환배관(32)들로 구성된 현열유로의 일부분 및 잠열 열교환배관들로 구성된 잠열유로의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may have a housing 70 . The housing 70 of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includes two heat exchange general side plates 7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two heat exchange heat insulating side plates 7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 may be included. The heat exchange general side plate 71 and the heat exchange heat insulation side plate 72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70 . A heat exchange flow path cap plate having a flow path cap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general heat exchange side plate 7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respectively. Accordingly, a space for water to flow is formed between the heat exchange general side plate 71 and the flow path cap, and the space is formed between adjacent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s 52 , adjacent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32 , and latent heat heat exchange adjacent to each other. It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the pipes to form at least one of a portion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composed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32 and a portion of the latent heat flow path composed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 pipes.

현열 열교환기(30)의 적어도 일부가 연소실(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연소실(20)의 내부에 현열 열교환기(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현열 핀(31)이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현열 열교환기(30)는 연소실(20)의 내부공간인 연소공간(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연소공간(200)의 상부에는 버너(10)에 의한 화염이 위치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may be inser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0 . A sensible heat exchanger 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20 . Therefore, the sensible heat fin 31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may be disposed below the combustion space 200 which is an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 A flame by the burner 1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ombustion space 200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는 단열배관(50)을 포함할 수 있고, 단열배관(50)은 연소실 단열배관(51)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배관(50)은 현열 단열배관(52)을 포함할 수 있다. 현열 단열배관(52)은 폭방향(D2)을 기준으로 단열측판의 외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열배관(50)의 내부에서 물이 흘러 연소실(20)과 현열 열교환기(30)를 단열할 수 있다. 연소실 단열배관(51)이 연소실(20)을, 현열 단열배관(52)이 현열 열교환기(30)를 단열할 수 있다. 단열배관(50)은 잠열 열교환기(40)의 외측으로부터 잠열 열교환기(4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잠열 단열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잠열 단열배관의 내부에서 물이 흘러 잠열 열교환기(40)를 단열할 수 있다.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sulating pipe 50 , and the insulating pipe 50 may include a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 51 . The heat insulating pipe 50 may include a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52 .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D2. Water flows from the inside of the heat insulation pipe 50 to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1 may insulate the combustion chamber 20 , and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52 may insulate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The heat insulating pipe 50 may include a latent heat insulating pipe disposed adjacent to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from the outside of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 Water flows inside the latent heat insulation pipe to insulate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

현열 단열배관(52)은 현열 열교환기(3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현열 단열배관(52)이 열교환 단열측판(72)의 외측면에 접촉하므로, 현열 단열배관(52)은 열교환 단열측판(72)을 중심으로 하여 현열 열교환기(30)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가 가능하도록, 현열 단열배관(52) 중 일부는 길이방향(D3)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폭방향(D2)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기(30)와 중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기(30)와 유사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However, since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5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insulating side plate 72,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52 is dispos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with the heat exchange insulating side plate 72 as the center. can be To enable this arrangement, a portion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52 is vertically aligned to overlap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D2 in a cross section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It may be disposed at a height similar to that of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based on the .

현열 열교환기(30)는 버너(10)에서 발생한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을 전달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열 열교환기(30)는 핀튜브 타입의 열교환기인 것으로 설명하나, 판형 열교환기 등의 다른 종류의 열교환기가 현열 열교환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is provided to receiv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generated in the burner 10 to he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ide. Although 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other types of heat exchangers such as a plate type heat exchanger may be used as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현열 열교환기(30)는 현열 열교환배관(32)과 현열 핀(31)을 포함할 수 있다. 현열 열교환배관(32)은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을 전달받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게 마련되는 배관이다.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내부로 물이 흐르고, 주변에서는 연소가스가 유동하여 현열 열교환배관(32)을 매개로 열교환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exchanger 30 may include a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a sensible heat fin 31 .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is a pipe provided to receiv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and hea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side. Water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 and the combustion gas flows around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to exchange heat throug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

현열 열교환배관(32)은 길이방향(D3)을 따라 연장되되 폭방향(D2)을 따라 나열될 수 있다. 현열 열교환배관(32)의 양단은 상술한 것과 같이 유로캡이 형성하는 공간에 연통되어 현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현열 열교환배관(32) 중 폭방향(D2)을 따라 양단에 위치한 현열 열교환배관(32) 중 하나는 잠열 열교환기(40)에 연결되어 현열유로의 입구가 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현열 단열배관(52)과 연결되어 현열유로의 출구가 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exchange pipe 32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may b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Both ends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may communicate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flow path cap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sensible heat flow path. Among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32 , on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s 32 located at both 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is connected to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to become an in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nd the other is a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It may be connected to (52) to be the exi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연장된 길이방향(D3)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현열 열교환배관(32)을 자른 단면에서,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내부공간의 형태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의 형태일 수 있다.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내부공간은, 단면에서 상하방향에 따른 길이를 폭방향(D2)에 따른 폭으로 나눈 값이 2 이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 cross-s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is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in whic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is extended, the shap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is a long hole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in the form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may have a shape in which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ross section by th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D2 is 2 or more.

현열 핀(31)은 현열 열교환배관(32)이 연장된 방향에 직교하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현열 핀(31)은 복수 개일 수 있고, 현열 열교환배관(32)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현열 핀(31)을 이용하여, 현열 열교환기(30)는 전열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The sensible heat fin 3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extends. The sensible heat fins 31 may be plural, and may be penetrated by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 By using the sensible heat fins 31 ,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can expand the heat transfer area.

현열 핀(31)의 상부는 현열 열교환배관(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현열 핀(31)의 하부에는 길이방향(D3)을 따라 개방된 루버 홀과, 루버 홀의 둘레로부터 길이방향(D3)을 따라 돌출된 루버가 형성되어 연소가스의 흐름을 현열 열교환배관(32) 주변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sensible heat fin 31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protrude upwar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ible heat fin 31, an open louver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a louver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louver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re formed to control the flow of combustion gas around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can be guided by

현열 단열배관(52)은 연소실 단열배관(51)과 연결되어 현열유로를 연소실단열배관(51)들이 형성하는 연소실 유로와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현열 열교환배관(32)과 연소실 단열배관(51)이 직접 연결되어 연소실 유로와 현열유로가 연결될 수도 있다.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52 may b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 51 to connect the sensible heat flow path to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formed by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s 51 . However,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5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and the sensible heat flow path.

잠열 열교환기(40)는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현열 열교환기(30)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유동하는 연소가스의 잠열을 이용해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가열하게 마련된다. 연소가스는 현열 열교환기(30)를 거쳐 잠열 열교환기(40)로 전달될 수 있다. 물은 잠열 열교환기(40)에서 먼저 가열되고, 현열 열교환기(30)에 의해 이차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잠열 열교환기(40)가 포함하는 열교환배관은 현열 열교환기(30)의 현열 열교환배관(32)과 연통되어, 가열된 물을 현열 열교환기(30)로 전달할 수 있다.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heats water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by using the latent heat of the combustion gas that i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and flows. arranged to do The combustion gas may be transferred to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Water may be heated first i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 and secondarily heated by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Accordingly, the heat exchange pipe included in 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may communicate with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to transfer heated water to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잠열 열교환기(40)는 복수의 잠열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일 수 있고, 현열 열교환기(30)와 유사하게 열교환배관과 열교환배관에 의해 관통되는 핀을 포함하는 핀튜브 타입의 열교환기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latent heat heat exchanger 40 may be a plate heat exchanger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tent heat plates, and similarly to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it may be a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including a heat exchange pipe and a fin penetrated by the heat exchange pipe. However, the type is not limited thereto.

물은 물 가열기(1) 외부의 난방이 필요한 난방대상에 위치한 난방배관으로 전달되어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열을 난방대상에 전달한 후, 물이 물 가열기(1)로 복귀하여 순환하는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은 순환배관에 의해 온수 열교환기로 전달되어 온수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Water may be delivered to a heating pipe located at a heating target that requires external heating of the water heater 1 to provide heating. After transferring heat to the heating object, a closed circuit in which water returns to the water heater 1 and circulates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hot water heat exchanger by a circulation pipe and used to generate hot water.

연소실 단열배관(51)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소실 단열배관은 도 2에서 연소실(20)의 좌우측에 인접하여,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선 연소실 단열배관(51)이 총 4개 배치되되, 연소실(20)의 좌측에 2개가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연소실(20)의 우측에 2개가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51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in FIG. 2 and spaced apart vertically. In the drawing, a total of four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s 51 are disposed, two on the lef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wo on the right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re shown as being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id.

연소실 단열배관(51)들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한 연소실 단열배관(51)의 하단은, 현열 열교환기(30)가 포함하는 현열 핀(31)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버너(10)의 하단으로부터 현열 핀(31)의 상단까지 이르는 거리는 80mm 이상 85mm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일산화탄소의 ??칭(quenching)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ng pipe 51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ng pipes 51 may be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1 included in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30 .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the lower end of the burner 10 to the upper end of the sensible heat fin 31 may be 80 mm or more and 85 mm or less.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quenching phenomenon of carbon monoxide can be reduced.

일산화탄소의 ??칭 현상이란, 연소를 통해 발생한 일산화탄소가 연소실(20) 내의 고온 영역에서 산소를 만나 이산화탄소로 변환되어 배출되지 못하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현열 열교환기(30)에 접촉하면서 일산화탄소 상태 그대로 배출되는 현상을 의미한다.The quenching phenomenon of carbon monoxide means that carbon monoxide generated through combustion meets oxygen in a high-temperature reg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is not converted into carbon dioxide and is not discharged. refers to the emission phenomenon.

연소실의 단열측판(212g)의 외측면에 연소실 단열배관(51)이 접촉하여, 연소실(20)을 단열할 수 있다. 연소실 단열배관(51)을 통해 난방수가 흘러,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이 측벽(21)을 통해 연소실(20)의 외부 영역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212g of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the combustion chamber 20 can be insulated. Heating water flows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1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transferred to the external reg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through the side wall 21 .

연소실 단열배관(51)이 접촉하는 측벽(21)의 일부인 단열측판의 일부분은, 연소실 단열배관(51)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열측판이 단순한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연소실 단열배관(51)의 외측면이 단열측판과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접촉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which is a part of the side wall 21 to which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51 is in contact, may have a shape convexly protruding inward to correspond to the exterior of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51 . Therefore, the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on pipe 51 can contact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over a wider area than the case where the heat insulation side plate is formed in a simple flat plate shape.

연소실 유로는 병렬로 형성되는 부분과 직렬로 형성되는 부분 중 적어도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소공간(200)의 주변으로 물이 흘러 단열하도록 하는 연소실 유로는 유로캡 플레이트(22)에 형성되는 유로캡과 연소실 단열배관(51)이 연결되어 형성할 수 있다.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ion formed in parallel and a portion formed in series. The combustion chamber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s around the combustion space 200 to insulate i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passage cap formed on the passage cap plate 22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1 .

어댑터(60)Adapter(6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는 어댑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60)는 현열유로와 연소실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어댑터는 현열유로의 출구와 연소실 유로의 입구를 연결할 수 있다. 현열유로의 출구는 상술한 것과 같이 현열 열교환배관(32) 중 하나의 말단이 형성하거나 이러한 현열 열교환배관(32)중 하나의 말단과 이에 연결된 유로캡이 형성할 수도 있고, 현열 단열배관(52) 중 하나의 말단이 형성할 수도 있다. 연소실 유로의 입구는 연소실 단열배관(51) 중 하나의 말단이 형성하거나, 이러한 연소실 단열배관(51) 중 하나의 말단과 이에 연결된 유로캡이 형성할 수도 있다.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apter 60 . The adapter 60 may connect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nd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The adapter may connect the out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and the inlet of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The out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may be formed by one end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formed by one end of the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2 and a flow cap connected thereto, or the sensible heat heat insulating pipe 52 One end of one may form. The inlet of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may be formed by an end of one of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ng pipes 51 , or may be formed by one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heat insulating pipe 51 and a flow path cap connected thereto.

어댑터(60)는,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난방수 배출구(33)는 현열유로의 출구거나, 현열 단열배관(52)의 말단일 수 있다. 연소실 공급구(23)는 연소실 유로의 입구이다.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는 각각 열교환기(30, 40)와 연소실(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댑터(60)가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는 제3 방향을 기준으로 물 가열기(1)의 동일한 방향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adapter 6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 The heating water outlet 33 may be an outlet of the sensible heat flow path or an end of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52 .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is an inlet of the combustion chamber flow path. The heating water outlet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may have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 respectively. In order for the adapter 6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 the heating water outlet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are connected to the water heater 1 with respect to the third direction. ) can be placed on the same side of the

어댑터(60)는 상하에 각각 서로 연결되는 어댑터 열교환기부(61)와 어댑터 연소실측부(62)를 가져, 각각이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에 연결됨에 따라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어댑터 열교환기부(61)는 난방수 배출구(33)에 결합되는 일단인 어댑터 열교환기측 연결부를 가질 수 있고, 어댑터 연소실측부(62)는 연소실 공급구(23)에 결합되는 일단인 어댑터 연소실측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The adapter 60 has an adapter heat exchanger part 61 and an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art 62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p and down, respectively, and as each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the heating water outlet (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dapter heat exchanger part 61 may have an adapter heat exchanger-side connection part that is one end coupled to the heating water outlet 33 , and the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art 62 includes an adapter combustion chamber-side connection part that is one end coupl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 can have

어댑터(60)는 어댑터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 오링은 어댑터 열교환기부(61)와 어댑터 연소실측부(62)가 연결되는 영역에서 어댑터 열교환기부(61)와 어댑터 연소실측부(62)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로, 탄성을 가져 어댑터 열교환기부(61)와 어댑터 연소실측부(62)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adapter 60 may include an adapter O-ring. The adapter O-ring is a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dapter heat exchanger part 61 and the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art 62 in a region where the adapter heat exchanger part 61 and the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art 62 are connected, and has elasticity, so that the adapter heat exchanger part 61 has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maintain watertightness between the and the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ortion 62 .

어댑터 열교환기부(61)는 어댑터 연소실측부(6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난방수가 어댑터(60)를 통해 흐를 때, 어댑터 오링에 의해서도 수밀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바로 난방수가 누출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adapter heat exchanger part 61 may be inserted into the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art 62 and coupled thereto. When the heating water flows through the adapter 60, even if there occurs a situation in which watertightness cannot be maintained even by the adapter O-ring, this is to prevent the heating water from leaking.

어댑터 열교환기부(61)와 어댑터 연소실측부(62)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어댑터 클립이 배치되어, 두 부분을 내측으로 가압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60)가 각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에 결합되는 부분에도 별도의 클립이 배치되어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An adapter clip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adapter heat exchanger portion 61 and the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ortion 62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two portions may be pressed inwardly to be more firmly coupled. In addition, a separate clip is also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adapter 60 is coupled to each of the heating water outlet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to make the coupling more robust.

어댑터 열교환기부(61)와 어댑터 연소실측부(62)는 'L'자로 꺾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두 부재가 결합하여 형성하는 어댑터(60)는 각진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dapter heat exchanger part 61 and the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part 62 may have an 'L' shape bent. Therefore, the adapter 60 formed by combining the two members may be formed in an angled 'U' shape.

어댑터(60)가 아닌 엘보우 파이프가 배치되어 난방수 배출구(33)와 연소실 공급구(23)를 연결할 수도 있다.An elbow pipe other than the adapter 60 may be disposed to connect the heating water outlet 33 and the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3 .

측판 패킹(82)Side plate packing (82)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물 가열기(1)의 내측에서, 현열 단열배관(52)과 연소실 단열배관(51)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측판 패킹(82)을 물 가열기(1)가 포함해, 하우징(70)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측판 패킹(82)은 연소실(20)을 향해 더 연장되어, 측벽(21)의 내측면에 더 접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inside of the water heater (1), the side plate packing (82) disposed at a position between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52)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 (51), the water heater (1) Including,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 The side plate packing 82 may further extend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20 to further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1 .

현열 단열배관(52)과 연소실 단열배관(51) 사이의 영역은 단열 또는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열될 위험이 있다. 단열재를 사용하여 연소실(20)을 단열하는 경우, 이러한 과열 가능 영역이 단열재에 의해 가려져, 과열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과열 가능 영역이 노출되는 경우, 과열로 인해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판 패킹(82)이 과열 가능 영역에 배치 및 접촉되어, 하우징(70)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The area between the sensible heat insulating pipe 52 and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ng pipe 51 is not insulated or cooled, so there is a risk of overheating. When the combustion chamber 20 is insulated us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n overheatable region may be cover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risk of overheating may be relatively small. However, when the overheatable region is expos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oloration may occur due to overheating. To prevent this, the side plate packing 82 may be placed and contacted in the overheatable area to prevent heat transfer to the housing 70 .

물 가열기(1)는 패킹 브라켓(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 브라켓(81)은 측판 패킹(82)이 하우징(70)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하우징(70)의 내측면과 함께 측판 패킹(82)을 샌드위치하여 지지하는 브라켓이다. 즉 측판 패킹(82)은 하우징(70)의 내측면과 패킹 브라켓(81)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패킹 브라켓(81)의 말단이 상방으로 가면서 연소공간(200)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측판 패킹(82)이 패킹 브라켓(81)과 하우징(7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water heater 1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bracket 81 . The packing bracket 81 is a bracket that sandwiches and supports the side plate packing 82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 so that the side plate packing 8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 . That is, the side plate packing 82 may be plac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70 and the packing bracket 81 . The end of the packing bracket 81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space 200 while going upward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side plate packing 82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cking bracket 81 and the housing 70. can

하우징(70)을 사이에 두고 패킹 브라켓(81)과 측판 패킹(82)이 현열 단열배관(52)과 만날 수 있다. 현열 단열배관(52)에 의해서 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패킹 브라켓(81)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어, 과열 가능 영역으로 열전달 되는 것을 방해하는 측판 패킹(82)의 작용을 도울 수 있다.The packing bracket 81 and the side plate packing 82 may meet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52 with the housing 7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ooling of the packing bracket 81 indirectly contacting the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52 can be made, thereby helping the side plate packing 82 to prevent heat transfer to the overheatable region.

버너(10)Burner(10)

버너(10)는 공기와 연료로부터 연소반응을 일으키게 마련된다. 따라서 버너(10)는 믹스 챔버(11)와, 점화 플러그와, 블로어(14)와, 연료 펌프와, 고정 프레임(12)과, 분배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urner 10 is provided to cause a combustion reaction from air and fuel. Accordingly, the burner 10 may include a mixing chamber 11 , a spark plug, a blower 14 , a fuel pump, a fixed frame 12 , and a distribution plate 13 .

블로어(14)는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하여 공기를 소정의 압력으로 압송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임펠러와 모터 등을 블로어(14)가 포함할 수 있으나, 블로어(14)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연료 펌프는 믹스 챔버(11)로 연료를 압송하여 공급할 수 있다.The blower 14 is provided to operate by receiving electric power to pressurize ai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ccordingly, the blower 14 may include an impeller and a motor, but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lower 14 are not limited thereto. The fuel pump may supply fuel by pressure to the mixing chamber 11 .

믹스 챔버(11)는 블로어(14)로부터 공기를 전달받고 연료를 전달받아 혼합물을 형성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기준방향(D1)을 따라 연소실(20)의 상류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덮을 수 있다. 기준방향(D1)을 따라 믹스 챔버(11)의 하류측에는 중심에 개구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12)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2)은 연소실(20)과 믹스 챔버(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mixing chamber 11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ir from the blower 14 and receives fuel to provide a space for forming a mixture, and has an opening form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can be covered A fixing frame 12 having an opening in the center may be coupl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mixing chamber 11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 The fixed frame 1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20 and the mixing chamber 11 .

고정 프레임(12)은 프레임 커버(12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2)은 프레임 브라켓(12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121)가 믹스 챔버(11)와 연소실(2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고, 프레임 커버(121)가 연소실(2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프레임 브라켓(122)은 프레임 커버(121)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브라켓(122)은 연소실(20)의 내부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12 may include a frame cover 121 . The fixed frame 12 may include a frame bracket 122 . The frame cover 121 may be fixed between the mixing chamber 11 and the combustion chamber 20 , and the frame cover 121 may cover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 The frame bracket 122 may be coupled to the frame cover 121 . A portion of the frame bracket 122 may be expos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20 .

프레임 브라켓(122)은 브라켓 고정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고정부(1221)는 폭방향(D2)과 길이방향(D3)을 기준으로 프레임 브라켓(122)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프레임 커버(121)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고정부(1221)는 프레임 커버(1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브라켓 고정부(1221)는 프레임 커버(121)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 고정부(1221)는 폭방향(D2)과 길이방향(D3)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bracket 122 may include a bracket fixing part 1221 . The bracket fixing part 1221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frame bracket 122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length direction D3 , and may be coupled to the frame cover 121 . The bracket fixing part 1221 may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frame cover 121 . The bracket fixing part 1221 may be coupled to the frame cover 121 through a fastener. The bracket fixing part 122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length direction D3.

프레임 브라켓(122)은 브라켓 연결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는 브라켓 고정부(1221)와 브라켓 걸림부(1223)를 연결할 수 있다. 브라켓 연결부(1222)는 기준방향(D1) 및 길이방향(D3)으로 연장된 측면과, 기준방향(D1) 및 폭방향(D2)으로 연장된 측면을 가져, 브라켓 고정부(1221)의 내측단과 브라켓 걸림부(1223)의 외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The frame bracket 122 may include a bracket connection part 1222 . The bracket connection part may connect the bracket fixing part 1221 and the bracket engaging part 1223 . The bracket connection part 1222 has a side surface extending in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a side surface extending in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width direction (D2), the inner end of the bracket fixing part 1221 and The outer end of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 may be connected.

프레임 브라켓(122)은 브라켓 걸림부(122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의 개구를 둘러싸고, 버너 프레임(21)이 포함하는 브라켓 걸림부(1223)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걸림부(1223)에는 분배판(13)의 외측 부분이 결합될 수 있다. 분배판(13)의 외측 부분이란 분배판(13)의 폭방향(D2) 및 길이방향(D3) 양단을 의미할 수 있다. 브라켓 걸림부(1223)는 분배판(13)에 형성되는 연소영역을 둘러싸고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걸림부(1223)는 폭방향(D2) 및 길이방향(D3)을 따라 연장되어, 분배판(13)이 브라켓 걸림부(1223)의 중심에 형성되는 개구를 가려 폐쇄하는 상태로 분배판(13)을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폭방향(D2) 및 길이방향(D3)과 기준방향(D1)의 중간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The frame bracket 122 may include a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 . A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 included in the burner frame 21 may be formed around the central opening. An out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 . The out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may mean both ends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in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length direction (D3).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mbustion region formed on the distribution plate 13 . The bracket engaging part 1223 extends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the distribution plate 13 covers and closes the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racket engaging part 1223. 13) may be fixed to the inside, and may extend obliquely in the middle direction between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length direction D3 and the reference direction D1.

연소실(20)의 내부공간인 연소공간(200)에서 기준방향(D1)의 반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브라켓 걸림부(1223)에 의해서 분배판(13)의 둘레에 형성되는 영역은 가려지고, 연소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따라서 브라켓 걸림부(1223)의 내측단과 분배판(13)의 하면(221)의 경계에 위치한 외측지점(P1)으로부터 연소영역이 형성되고, 연소반응이 수반하는 화염이 연소공간(200)으로 뻗어나갈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combustion space 200, which is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the area formed around the distribution plate 13 is covered by the bracket engaging part 1223 and , at least part of the combustion zone is exposed. Therefore, a combustion region is formed from the outer point P1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 and the lower surface 221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and the flame accompanying the combustion reaction extends into the combustion space 200 can go out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분배판(13)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한 면에서 연소반응이 발생하여, 화염이 뻗어나간다. 이와 같이 분배판(13)의 영역 중 연소반응이 발생하는 영역을 연소영역이라 하자. 연소영역에서 혼합물이 연소하여 화염이 발생하며, 연소영역이 아닌 분배판(13)의 다른 지점에서는, 화염이 발생하여 연소공간(200)으로 연장되지 못한다. 연소영역의 임의의 지점에서 그은 법선(N1)이,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연소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측판 패킹(82)에 법선(N1)이 도달하지 않도록 연소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연소영역의 임의의 지점에서 그은 법선(N1)이,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접촉하기 전에, 기준방향(D1)을 기준으로 열교환기(30, 40)의 상류측에 닿을 수 있다.A combustion reaction occurs on the surface located on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and the flame spreads out. As such, it is assumed that a region in which a combustion reaction occurs among regions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is referred to as a combustion region. In the combustion region, the mixture is combusted to generate a flame, and at other points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other than the combustion region, the flame is generated and does not extend to the combustion space 200 . The combustion reg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normal line N1 drawn at an arbitrary point in the combustion region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 As shown, a combustion reg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normal line N1 does not reach the side plate packing 82 . The normal line N1 drawn at any point in the combustion region may touch the upstream side of the heat exchangers 30 and 40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befor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

여기서 법선(N1)이란,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소영역에 존재하는 일 지점에서 가상의 접평면을 형성했을 때, 그 접평면에 직교하고 상기 일 지점을 지나가는 직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같이 평면에서 소정의 형상을 그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형성되는 연소영역의 경우, 상기 평면에서 상기 소정의 형상의 일 지점인 외측지점(P1)에서 그은 접선에 수직하고, 상기 일 지점을 지나가는 직선이 법선(N1)이다.Here, when a virtual tangent plane is formed at a point existing in a combustion region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normal N1 refers to a straight line that is orthogonal to the tangent plane and passes through the one poi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combustion region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shape on a pla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a tangent line drawn at an outer point P1 that is a point of the predetermined shape on the plane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and passing through the point is the normal N1.

연소영역에서 그은 법선(N1)이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연소영역에서 형성되는 화염은 연소실(20)의 내측면에 닿지 않거나, 닿는다 하더라도 매우 미약한 영향만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 동반하는 열의 열량 중 연소실(20)의 측판에 전달되는 양이 감소하여, 연소실(20)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normal line N1 drawn in the combustion area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the flame formed in the combustion area does not touc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or even if it does, it may have only a very weak effect. Accordingly, the amount of heat transmitted to the side plat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mong the heat accompanying the flame is reduced, thereby preventing the combustion chamber 20 from being overheated.

분배판(13)는 도시된 것과 같이, 일 단면에서 기준방향(D1)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된 프로파일이, 일 단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일 단면에 수직한 방향이 길이방향(D3)일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istribution plate 13 may be a curved surface in which a profile formed convexly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in one cross-section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ne cross-secti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one cross-section may be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이러한 연소영역의 형상에 의해, 연소영역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법선(N1)이 연장되는 방향은 길이방향(D3)을 따라 갈수록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폭방향(D2)을 따라 갈수록 변화할 것이다.Due to the shape of the combustion regi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normal line N1 at any point in the combustion region will not chan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but will change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연소영역은, 폭방향(D2)을 기준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지점(P1)에서 그은 법선(N1)이,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소영역의 외측지점(P1)으로부터 기준방향(D1)과 나란하게 연장된 직선과, 외측지점(P1)에서의 법선(N1)이 형성하는 예각의 크기를 θ라 하자. 법선(N1)이 형성되는 외측지점(P1)으로부터 폭방향(D2)을 따라 연소실(20)의 내측면에 이르는 거리를 L이라 하고, 기준방향(D1)을 따라 법선(N1)이 형성되는 외측지점(P1)으로부터 연소실(20)의 내측면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한 지점에 이르는 거리를 H라 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연소영역과 연소실(20)의 내측면이 부등식인 아래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버너(10)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mbustion reg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normal line N1 drawn at the outermost point P1 positioned on the outermost sid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D2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 Let θ be the magnitude of the acute angle formed by the straight line extending parallel to the reference direction D1 from the outer point P1 of the combustion region and the normal line N1 at the outer point P1. Let L be the distance from the outer point P1 where the normal line N1 is form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outer side where the normal line N1 is form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Let H be the distance from the point P1 to the point located on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 In this situation, the burner 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ombustion reg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satisfy Equation 1 below, which is an inequalit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외측지점(P1)에서의 법선(N1)의 각도와 길이관계를 설명하였으나, 외측지점(P1)이 아닌 임의의 지점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등식을 만족하도록 버너(10)가 마련될 수 있다.While the first embodiment was described, the angle and length relationship of the normal N1 at the outer point P1 were described, but the burner 10 to satisfy the same inequality for any point other than the outer point P1. can be provided.

점화 플러그는 믹스 챔버(11)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물에 스파크를 일으켜 점화하도록 마련된다.The spark plug is provided to ignite the mixture formed by the mixing of air and fuel in the mixing chamber 11 by sparking.

분배판(13)은 점화된 화염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분배판(13)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배판(13)을 통해 혼합물이 분출되며 연소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분배판(13)의 폭방향(D2) 및 길이방향(D3) 양단이 고정 프레임(12)에 결합되어, 분배판(13)이 고정 프레임(12)의 개구를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기준방향(D1)을 따라 분배판(13)의 하류측에는 화염이 고정되도록 금속 섬유가 촘촘하게 짜여 형성되는 매트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plate 13 is provided so that the ignited flame can be fixed. The distribution plate 13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mixture is ejected through the distribution plate 13 and a combustion reaction may occur. Both ends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in the width direction (D2) and the length direction (D3) are coupled to the fixed frame 12 , so that the distribution plate 13 may be disposed to close the opening of the fixed frame 12 . .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D1, a mat in which metal fibers are tightly woven so that the flame is fixed may be dispos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10)의 분배판(13)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of the burn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혼합물이 통과하도록 기준방향(D1)을 따라 분배판(13)이 관통되어 복수의 관통홀(131, 13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31, 132)이 분배판(13) 상에서 길이방향(D3)과 폭방향(D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31, 132)은 폭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폭방향(D2)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되 길이방향(D3)을 따라 소정의 간격인 이격간격마다 이격되어 배치된 관통홀(131, 132)들을 묶어 하나의 관통홀 열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 열이 폭방향(D2)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관통홀 열에 포함된 관통홀(131, 132)들은 동일한 이격간격을 가질 수 있는데, 서로 다른 관통홀 열에 포함된 관통홀(131, 132)들은 서로 다른 이격간격을 가질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and 132 may be formed by passing the distribution plate 13 through the reference direction D1 so that the mixture passe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and 13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nd the width direction D2 on the distribution plate 13 . The through holes 131 and 132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The through-holes 131 and 132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may be bundled to form one through-hole row. A plurality of through-hole rows may b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The through-holes 131 and 132 included in one through-hole row may have the same spacing, and the through-holes 131 and 132 included in different through-hole rows may have different spacings.

분배판(13)은 폭방향(D2)을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심부분(A11)과, 중심부분(A11)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곽부분(A12)을 포함한다. 즉 외곽부분(A12)은 중심부분(A11)에 의해 구분되는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외곽부분(A12)에 위치하는 관통홀(131, 132)은 외곽 관통홀(132), 중심부분(A11)에 위치하는 관통홀(131, 132)은 중심 관통홀(131)로 지칭한다. 폭방향(D2)을 기준으로 외곽부분(A12)의 폭의 합은, 중심부분(A11)의 폭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The distribution plate 13 includes a central portion A11, which is a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D2, and an outer portion A1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11. That is, the outer portion A12 may be divided into two portions divided by the central portion A11 . The through-holes 131 and 132 positioned at the outer portion A12 are referred to as the outer through-holes 132 , and the through-holes 131 and 132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A11 are referred to as the center through-holes 131 .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outer portion A12 in the width direction D2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A11 .

외곽 관통홀(132)의 면적의 합을 외곽부분(A12)의 면적으로 나눈 관통밀도는, 중심 관통홀(131)의 면적의 합을 중심부분(A11)의 면적으로 나눈 관통밀도보다 작을 수 있다. 외곽부분(A12)의 관통밀도는 중심부분(A11)의 관통밀도의 70%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분배판(13)을 통과하는 혼합물의 양이 외곽부분(A12) 보다는 중심부분(A11)으로 집중되어, 중심부분(A11)에서 강한 화염이 형성될 수 있다.The penetration density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areas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 by the area of the outer portion A12 may be smaller than the penetration density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areas of the center through-holes 131 by the area of the center portion A11. . The penetration density of the outer portion A12 may be 70% or less of the penetration density of the central portion A11. Accordingly, the amount of the mixture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plate 13 is concentrated in the central portion A11 rather than the outer portion A12, so that a strong flame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11.

외곽 관통홀(132)은, 폭방향(D2)을 기준으로 외곽 관통홀(132)을 통과하는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화염의 외측 말단이 연소실 단열배관(51)과 접촉하고 있는 연소실(20)의 측벽(21)의 일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형성되는 화염의 외측부분의 크기를 줄여, 연소실 단열배관(51) 또는 연소실(20)의 측벽(21)에 화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과열이 일어나 불완전 연소가 발생하는 것을 막고, 화염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uter through-hole 132 is a combustion chamber 20 in which the outer end of the flame formed by the mixture passing through the outer through-hole 132 in the width direction D2 is in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1 . It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inward than a portion of the sidewall 21 . That is, by reducing the siz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formed flame, the flam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1 or the side wall 21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thereby preventing overheating and incomplete combustion from occurring, and the flame This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중심부분(A11)에 배치되는 관통홀 열의 이격간격과, 외곽부분(A12)에 배치되는 관통홀 열의 이격간격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중심부분(A11)의 이격간격이 외곽부분(A12)의 이격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rows of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A11 and the spacing of the rows of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A1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11 and the outer portion A12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outer portion A12 .

외곽 관통홀(132)은, 폭방향(D2)을 기준으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관통홀(1321)과, 외측 관통홀(1321)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관통홀(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관통홀(1321)과 내측 관통홀(1322)은 폭방향(D2)을 따라 봤을 때 길이방향(D3)을 따라 교번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외측 관통홀(1321)과 내측 관통홀(1322)은 번갈아가며 제1 간격 및 제2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외측 관통홀(1321)과 내측 관통홀(1322)이 인접하게 위치하고, 이로부터 소정의 이격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다른 외측 관통홀(1321)과 내측 관통홀(1322)이 위치하는 방식으로 외곽 관통홀(132)이 배치될 수 있다.The outer through hole 132 may include an outer through hole 1321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D2 and an inner through hole 1322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through hole 1321 . have. The outer through-hole 1321 and the inner through-hole 1322 may be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The outer through-hole 1321 and the inner through-hole 1322 may be alternately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first interval and a second interval. Accordingly, one outer through-hole 1321 and one inner through-hole 1322 are located adjacently, and the other outer through-hole 1321 and the inner through-hole 1322 ar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rom. As a result, the outer through-hole 132 may be disposed.

외곽 관통홀(132)의 개수는, 중심 관통홀(131)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외곽 관통홀(132)의 면적의 합은, 중심 관통홀(131)의 면적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The number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the central through-holes 131 . The sum of the areas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 may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central through-holes 131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2개의 외곽부분(A12)의 폭은, 각각 분배판(13)의 폭의 25%이고, 중심부분(A11)의 폭은, 분배판(13)의 폭의 50%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중심 관통홀(131)의 개수는, 외곽 관통홀(132)의 개수의 2배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외곽 관통홀(132)의 면적의 합은, 전체 관통홀(131, 132)의 면적의 합의 33.6%이고, 중심 관통홀(131)의 면적의 합은, 전체 관통홀(131, 132)의 면적의 합의 66.3%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two outer portions A12 is 25% of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 respectively,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A11 is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 50%.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center through-holes 131 is twice the number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 .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 is 33.6% of the sum of the areas of the entire through-holes 131 and 132, an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central through-holes 131 is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 holes 131 and 132 is 66.3%.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b)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b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b)의 형상은, 구체적인 크기 등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10)의 분배판(13)의 형상과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b)의 형상을 제외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 대해 설명하였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외곽부분(A22)의 폭은, 각각 분배판(13b)의 폭의 13.3%이고, 중심부분(A21)의 폭은, 분배판(13b)의 폭의 73.4%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중심 관통홀(131b)의 개수는, 외곽 관통홀(132b)의 개수의 5.5배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외곽 관통홀(132b)의 면적의 합은, 전체 관통홀(131b, 132b)의 면적의 합의 15.4%이고, 중심 관통홀(131b)의 면적의 합은, 전체 관통홀(131b, 132b)의 면적의 합의 84.6%이다. 제2 실시예의 중심부분(A21)의 관통홀 열의 개수가, 제1 실시예의 중심부분(A11)의 관통홀 열의 개수보다 많다.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b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of the burn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specific size or the like.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b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described for 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ve. Specific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outer portion A22 is 13.3% of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13b, respectively,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A21 is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13b. of 73.4%.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center through-holes 131b is 5.5 times the number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b.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b is 15.4% of the sum of the areas of the entire through-holes 131b and 132b, an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central through-holes 131b is the total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 holes 131b and 132b is 84.6%. The number of rows of through-holes in the central portion A21 of the second embodiment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ows of through-holes of the central portion A11 of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c)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c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c)의 형상은, 구체적인 크기 등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배판의 형상과 차이가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c)의 형상을 제외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 대해 설명하였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외곽부분(A32)의 폭은, 각각 분배판(13c)의 폭의 9.5%이고, 중심부분(A31)의 폭은, 분배판(13c)의 폭의 81.0%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중심 관통홀(131c)의 개수는, 외곽 관통홀(132c)의 개수의 8.5배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외곽 관통홀(132c)의 면적의 합은, 전체 관통홀(131c, 132c)의 면적의 합의 10.6%이고, 중심 관통홀(131c)의 면적의 합은, 전체 관통홀(131c, 132c)의 면적의 합의 89.4%이다.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c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a specific size and the like. Except for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c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as it is to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ve. Specifically,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outer portion A32 is 9.5% of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13c, respectively,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A31 is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13c of 81.0%.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center through-holes 131c is 8.5 times the number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c.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c is 10.6% of the sum of the areas of all the through-holes 131c and 132c, and the sum of the areas of the central through-holes 131c is the total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 holes 131c and 132c is 89.4%.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의 외곽부분(A12, A22, A32)의 폭은, 각각 분배판(13, 13b, 13c)의 폭의 9.5% 이상 25% 이하이고, 중심부분(A11, A21, A31)의 폭은, 분배판(13, 13b, 13c)의 폭의 50% 이상 8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의 중심 관통홀(131, 131b, 131c)의 개수는, 외곽 관통홀(132, 132b, 132c)의 개수의 2배 이상 8.5배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의 외곽 관통홀(132, 132b, 132c)의 면적의 합은, 분배판(13, 13b, 13c)에 배치되는 관통홀(131, 131b, 131c, 132, 132b, 132c)의 면적의 합의 10.6% 이상 33.6%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버너의 중심 관통홀(131, 131b, 131c)의 면적의 합은, 분배판(13, 13b, 13c)에 배치되는 관통홀(131, 131b, 131c, 132, 132b, 132c)의 면적의 합의 66.3% 이상 89.4% 이하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중심부분(A31)의 관통홀 열의 개수가, 제2 실시예의 중심부분(A21)의 관통홀 열의 개수보다 많다.That is, the width of the outer portions A12, A22, and A32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9.5% or more and 25% or less of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s 13, 13b, 13c,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portion A11, The widths of A21 and A31 may be 50% or more and 81% or less of the widths of the distribution plates 13, 13b, and 13c. In addition, the number of center through-holes 131 , 131b and 131c of the bur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2 times greater than the number of outer through-holes 132 , 132b and 132c and less than or equal to 8.5 times. In additio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outer through-holes 132, 132b, and 132c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hrough-holes 131, 131b, 131c, 132, which are disposed in the distribution plates 13, 13b, and 13c. The sum of the areas of 132b and 132c) may be 10.6% or more and 33.6% or less. In addition, the sum of the areas of the center through-holes 131, 131b, and 131c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hrough-holes 131, 131b, 131c, 132, which are disposed in the distribution plates 13, 13b, and 13c. 132b, 132c) may be 66.3% or more and 89.4% or less of the sum of the areas. The number of rows of through-holes in the central portion A31 of the third embodiment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rows of through-holes in the central portion A21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d)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d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d)의 형상은, 구체적인 크기 등에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분배판의 형상과 차이가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d)의 형상을 제외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 대해 설명하였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d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specific size and the like. Except for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d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as it is to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ve.

도면을 참고하면, 외곽부분(A42)에 배치되는 관통홀인 외곽 관통홀(132d)의 면적은, 중심부분(A41)에 배치되는 관통홀인 중심 관통홀(131d)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곽 관통홀(132d)이 폭방향(D2)을 따라 가지는 폭은, 중심 관통홀(131d)이 폭방향(D2)을 따라 가지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외곽 관통홀(132d) 중 폭방향(D2)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관통홀의 폭이,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관통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rea of the outer through-hole 132d, which is a through-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A42,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central through-hole 131d, which is a through-hol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A41.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outer through-hole 132d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enter through-hole 131d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A width of the outer through-hole located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D2 among the outer through-holes 132d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the inner through-hole located at the inner side.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e)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e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e)의 형상은, 구체적인 크기 등에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분배판의 형상와 차이가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분배판(13e)의 형상을 제외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 대해 설명하였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e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in specific size and the like. Except for the shape of the distribution plate 13e of the burn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content described for 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as it is to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ave.

도면을 참고하면, 외곽부분(A52)에 배치되는 관통홀인 외곽 관통홀(132e)의 면적은, 중심부분(A51)에 배치되는 관통홀인 중심 관통홀(131e)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곽 관통홀(132e)이 길이방향(D3)을 따라 가지는 두께는, 중심 관통홀(131e)이 길이방향(D3)을 따라 가지는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외곽 관통홀(132e) 중 폭방향(D2)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관통홀의 폭이,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관통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rea of the outer through-hole 132e, which is a through-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A52,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central through-hole 131e, which is a through-hole disposed in the center portion A51.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outer through-hole 132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through-hole 131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3. Among the outer through holes 132e , a width of an outer through hole positioned outside along the width direction D2 may be smaller than a width of an inner through hol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버너 프레임의 브라켓 걸림부(1223f)가 분배판(13)을 가린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f of the burner fram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distribution plate 13 .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는 브라켓 걸림부(1223f)의 일부가 외곽 관통홀(132)의 일부를 가린다는 점에서만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와 차이가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걸림부(1223f)의 형상을 제외한 제6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 대해 설명하였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nly in that a part of the bracket engaging part 1223f covers a part of the outer through-hole 132 . have. The content described for 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f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

버너 프레임의 브라켓 걸림부(1223f)의 폭방향 내측단은, 외곽부분(A12)에 배치되는 관통홀인 외곽 관통홀(132)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다. 브라켓 걸림부(1223f)의 폭방향 내측단은, 외측 관통홀(1321)의 적어도 일부 면적을 덮을 수 있다. 브라켓 걸림부(1223f)의 폭방향 내측단은, 내측 관통홀(1322)의 일부 면적을 덮을 수도 있다. 따라서 외곽 관통홀(132)의 전체 면적이 줄어드는 효과를, 브라켓 걸림부(1223f)가 외곽 관통홀(132)을 덮어 가질 수 있다.The width direction inner end of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f of the burner frame may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through hole 132 that is a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A12. An inner end of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f in the width direction may cover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outer through hole 1321 . The width direction inner end of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f may cover a partial area of the inner through hole 1322 . Therefore, the overall area of the outer through-hole 132 may be reduced, and the bracket engaging portion 1223f may cover the outer through-hole 132 .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가림판(90g)이 분배판(13)을 가린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shielding plate 90g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distribution plate 13 .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는 가림판(90g)을 더 가진다는 점에서만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와 차이가 있다. 제7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물 가열기(1)에 대해 설명하였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nly in that it further has a shielding plate 90g. As for other components of the water heat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water heat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as it is.

물 가열기는 가림판(90g)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판(90g)은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림판(90g)은 관통홀 중 분배판(13)의 폭방향 양단에 인접한 일부를 덮을 수 있다. 가림판(90g)은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서로 폭방향(D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림판(90g)은 분배판(13)에 결합되거나, 브라켓 걸림부(122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water heater may include a shielding plate 90g. The shielding plate 90g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stainless steel. The shielding plate 90g may cover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distribution plate 13 in the width direction. The shielding plate 90g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D2. The shielding plate 90g may be coupled to the distribution plate 13 or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bracket locking part 1223 .

즉, 가림판(90g)은, 외곽부분(A12)에 배치되는 관통홀인 외곽 관통홀(132) 의 일부분을 덮을 수 있다. 가림판(90g)은 외측 관통홀(1321)의 적어도 일부 면적을 덮을 수 있다. 가림판(90g), 내측 관통홀(1322)의 일부 면적을 덮을 수도 있다. 따라서 외곽 관통홀(132)의 전체 면적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림판(90g)이 외곽 관통홀(132)을 덮어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shielding plate 90g may cover a portion of the outer through hole 132 that is a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A12 . The shielding plate 90g may cover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outer through hole 1321 . A partial area of the shielding plate 90g and the inner through-hole 1322 may be covered. Accordingly, the shielding plate 90g may cover the outer through-hole 132 to reduce the overall area of the outer through-hole 132 .

도 10은 예시적인 분배판을 이용한 버너(B)에서 발생하는 화염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너(10)에서 발생하는 화염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flame shape generated in the burner (B) using an exemplary distribution plate. 11 is a view showing a flame shape generated in the burn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관통홀의 개수가 조절되지 않고 균등하게 배치된 분배판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시적인 분배판을 포함하는 버너(B)를 사용해 연소반응을 통해 화염(F1)을 형성할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폭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화염(F11)이 날려 매우 크게 형성되고, 연소실의 측벽에 접촉해 상술하였던 불완전 연소를 일으킬 수 있다.An exemplary case can be considered in which the number of through-holes is not adjusted and a distribution plate is used that is evenly arranged. When a flame F1 is formed through a combustion reaction using a burner B including an exemplary distribution plate, the flame F11 formed on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is blown and formed very large and , may contact the side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cause incomplete combustion as described above.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배판(13)을 사용할 경우 얻을 수 있는 화염(F2)의 형상을 표현한 것인데, 도 10과 비교하여 폭방향(D2)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화염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실 단열배관(51)과 접촉하는 연소실(20) 측벽(21)의 일부분에 화염이 도달하지 않을 수 있고, 예시적인 버너(10)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불완전 연소의 문제가 저감되고 일산화탄소 발생이 감소하며 물 가열기(1)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11 is an expression of the shape of the flame F2 that can be obtained when the distribution plate 1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ich is formed outside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D2 as compared with FIG. It can be seen that the flame has decreased. Therefore, the flame may not reach the part of the side wall 21 of the combustion chamber 20 in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1, and the problem of incomplete combustion that may be caused by the exemplary burner 10 is reduced and carbon monoxide generation is reduced. decreases and the efficiency of the water heater 1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물 가열기
10 : 버너
11 : 믹스 챔버
12 : 고정 프레임
13, 13b, 13c, 13d, 13e : 분배판
14 : 블로어
20 : 연소실
21 : 측벽
22 : 유로캡 플레이트
23 : 연소실 공급구
24 : 연소실 플랜지
30 : 현열 열교환기
31 : 현열 핀
32 : 현열 열교환배관
33 : 난방수 배출구
40 : 잠열 열교환기
50 : 단열배관
51 : 연소실 단열배관
52 : 현열 단열배관
60 : 어댑터
61 : 어댑터 열교환기부
62 : 어댑터 연소실측부
70 : 하우징
71 : 열교환 일반측판
72 : 열교환 단열측판
73 : 열교환기 플랜지
81 : 패킹 브라켓
82 : 측판 패킹
90g : 가림판
121 : 프레임 커버
122 : 프레임 브라켓
131, 131d, 131e : 중심 관통홀
132, 132d, 132e : 외곽 관통홀
200 : 연소공간
1221 : 브라켓 고정부
1222 : 브라켓 연결부
1223, 1223f : 브라켓 걸림부
1321 : 외측 관통홀
1322 : 내측 관통홀
A11, A21, A31, A41, A51 : 중심부분
A12, A22, A32, A42, A52 : 외곽부분
B : 예시적인 버너
D1 : 기준방향
D2 : 폭방향
D3 : 길이방향
F1, F2, F11 : 화염
P1 : 외측지점
N1 : 법선
1: Water heater
10 : burner
11: mix chamber
12: fixed frame
13, 13b, 13c, 13d, 13e: distribution plate
14 : blower
20: combustion chamber
21: side wall
22: Eurocap plate
23: combustion chamber supply port
24: combustion chamber flange
30: sensible heat exchanger
31: sensible heat pin
32: sensible heat heat exchange pipe
33: heating water outlet
40: latent heat heat exchanger
50: insulated pipe
51: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52: sensible heat insulation pipe
60: adapter
61: adapter heat exchanger unit
62: adapter combustion chamber side
70: housing
71: heat exchange general side plate
72: heat exchange insulation side plate
73: heat exchanger flange
81: packing bracket
82: side plate packing
90g: blanking board
121: frame cover
122: frame bracket
131, 131d, 131e: center through hole
132, 132d, 132e: Outer through hole
200: combustion space
1221: bracket fixing part
1222: bracket connection part
1223, 1223f: Bracket locking part
1321: outer through hole
1322: inner through hole
A11, A21, A31, A41, A51 : center part
A12, A22, A32, A42, A52 : Outer part
B: Exemplary burner
D1 : Reference direction
D2: width direction
D3: longitudinal direction
F1, F2, F11 : Flame
P1 : Outer point
N1 : normal

Claims (17)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인 기준방향을 기준으로 연소실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물 가열기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연소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판형의 분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상기 기준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연소반응을 위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분배판이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배판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심부분과, 상기 중심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곽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분에 위치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을 상기 외곽부분의 면적으로 나눈 관통밀도는, 상기 중심부분에 위치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을 상기 중심부분의 면적으로 나눈 관통밀도보다 작은, 버너.
A burner for a water heater located upstream of a combustion chamber based on a reference direction that is a flow direction of combustion gas generated by a combustion reaction,
Comprising a plate-shaped distribution plate for causing the combustion reaction,
When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by penetrating the distribution plat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so that a mixture of fuel and air for the combustion reaction pass are dispos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 central portion that is a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nd an outer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The penetration density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 holes located in the outer portion by the area of the outer portion is smaller than the penetration density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 hole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by the area of the centra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의 관통밀도는, 상기 중심부분의 관통밀도의 70% 이하인, 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penetration density of the outer portion is 70% or less of the penetration density of the central portion, the bur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곽부분의 폭은, 상기 중심부분의 폭보다 작은, 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of the outer portio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burn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의 폭은, 각각 상기 분배판의 폭의 9.5% 이상 25% 이하이고,
상기 중심부분의 폭은, 상기 분배판의 폭의 50% 이상 81% 이하인, 버너.
4. The method of claim 3,
The width of the outer portion is 9.5% or more and 25% or less of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respectively,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is 50% or more and 81% or less of the width of the distribut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개수는,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개수는, 상기 중심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개수보다 적은, 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through holes is
The number of through hole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is less than the number of through hole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the burn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개수는,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개수의 2배 이상 8.5배 이하인, 버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number of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is at least 2 times greater than or equal to 8.5 times the number of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the bur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은, 상기 중심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보다 작은, 버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is smaller than a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은, 상기 분배판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의 10.6% 이상 33.6% 이하이고,
상기 중심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은, 상기 분배판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의 합의 66.3% 이상 89.4% 이하인, 버너.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is 10.6% or more and 33.6% or less of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distribution plate,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is 66.3% or more and 89.4% or less of the sum of the areas of the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distribut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은, 폭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관통홀과, 상기 외측 관통홀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관통홀을 포함하는, 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includes an outer through hol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a width direction and an inner through hole disposed inside the outer through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통홀과 상기 내측 관통홀은 폭방향을 따라 봤을 때 길이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측 관통홀과 상기 내측 관통홀은 번갈아가며 제1 간격 및 제2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버너.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uter through-hole and the inner through-hole are alternately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outer through-hole and the inner through-hole are alternately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first interval and a second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은, 상기 중심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의 면적보다 작은, 버너.
According to claim 1,
An area of the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is smaller than an area of the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이 폭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은, 상기 중심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이 폭방향을 따라 가지는 폭보다 작은, 버너.
According to claim 1,
A width of the through hole disposed at the outer por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is smaller than a width of the through hole disposed on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지는 두께는, 상기 중심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지는 두께보다 작은, 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rough hole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중심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상기 분배판이 폐쇄하는 형태로 상기 분배판이 배치되도록 상기 분배판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양단이 결합되는 버너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너 프레임의 폭방향 내측단은,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 의 일부분을 덮는, 버너.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burner frame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and both ends of the distribution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ength direc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distribution plate is disposed in a form in which the opening is closed by the distribution plate,
The inn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rner frame covers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 중 상기 분배판의 폭방향 양단에 인접한 관통홀의 일부분을 덮고,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burner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plat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stainless steel and covering a portion of the through-holes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distribution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mong the through-hole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판은, 상기 연소반응이 발생하는 영역인 연소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연소영역은,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서,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프로파일을 가지고,
상기 연소영역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 그은 법선이, 상기 연소실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버너.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ribution plate has a combustion region that is a region in which the combustion reaction occurs,
The combustion region has a profile formed convex downwardly in a cross section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mbustion region is formed so that a normal line drawn at at least one of the two outermost points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어 혼합물이 생성되는 믹스 챔버 및 상기 혼합물이 분출되며 연소반응을 일으키게 마련되는 판형의 분배판을 구비하는 버너;
내부에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화염이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연소실;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물을 가열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연소실의 단열을 위해 상기 연소실의 외측에 물이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연소실 단열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반응에 의해 생성된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방향이라 하고, 상기 기준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상기 기준방향과 상기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혼합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분배판이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기 길이방향과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배판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위치하는 부분인 중심부분과, 상기 중심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곽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분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곽부분에 배치되는 관통홀을 통과하는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화염의 외측 말단이 상기 연소실 단열배관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연소실의 측벽의 일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물 가열기.
a burner having a mixing chamber in which fuel and air are mixed to produce a mixture, and a plate-shaped distribution plate in which the mixture is ejected to cause a combustion reaction;
a combustion chamber provided so that a flame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is located therein;
a heat exchanger for heating water using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and
and a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provided to allow water to flow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for thermal insula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the combustion reaction flows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direction, o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eferenc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width direction. ,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by penetrating the distribution plate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so that the mixture passes throug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he distribution plate includes a central portion that is a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nd an outer port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outer portion is a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outer end of the flame formed by the mixtur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combustion chamber insulation pipe. a water heater disposed to be located inside the portion.
KR1020220042484A 2021-04-14 2022-04-05 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2651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5058 WO2022220491A1 (en) 2021-04-14 2022-04-07 Burner and water heater comprising same
CN202280028210.4A CN117178143A (en) 2021-04-14 2022-04-07 Burner and water heater comprising same
GB2315324.0A GB2619882A (en) 2021-04-14 2022-04-07 Burner and water heate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78 2021-04-14
KR20210048778 2021-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352A true KR20220142352A (en) 2022-10-21
KR102651403B1 KR102651403B1 (en) 2024-03-27

Family

ID=8380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484A KR102651403B1 (en) 2021-04-14 2022-04-05 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40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448A (en) *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Heat exchanger
CN210069846U (en) * 2019-04-30 2020-02-14 浙江广涛卫厨有限公司 Inverted burner
CN210801178U (en) * 2019-07-25 2020-06-19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Novel fire hole plate of thick-thin burner
KR20200095240A (en)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Burner and water heating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448A (en) * 2015-07-23 2017-02-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Heat exchanger
KR20200095240A (en)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Burner and water heating device using the same
CN210069846U (en) * 2019-04-30 2020-02-14 浙江广涛卫厨有限公司 Inverted burner
CN210801178U (en) * 2019-07-25 2020-06-19 广东万和新电气股份有限公司 Novel fire hole plate of thick-thin bur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403B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86785A1 (en) Combustion apparatus
US20190186784A1 (en) Combustion apparatus
US9068760B2 (en) Heating appliance for air heating
EP3258172B1 (en) Heat source apparatus
KR101303126B1 (en) Combustion apparatus
JP2020016420A (en) Combustion device and water heating system
KR102369557B1 (en) Burner and water hea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142352A (en) Burner and water h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2531836B1 (en) Flow path cap plate and combustion chambe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117178143A (en) Burner and water heater comprising same
GB2619882A (en) Burner and water heater comprising same
KR20120136019A (en) Combustion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cooling combustion chamber
EP3584499B1 (en) Flame spreader as well as burner and water heater using same
CN108302767B (en) Heat exchange device of gas water heater and gas water heater
TWI802819B (en) Burner for gas water heater
US20240060640A1 (en) Combustion apparatus
JPS62202919A (en) Thin type high load burner
KR20200095239A (en) Boiler
US20210108859A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CN219976422U (en) Fire grate and burner
CN218095924U (en) Combustor monomer, combustor and gas hot water system
CN219494087U (en) Premixing porous medium burner and gas water heater
CN220729015U (en) Heat exchanger silence room shell
JP7298877B2 (en) Water heater
US20220236010A1 (en) Combustion heat generator with recirculation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