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189A -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189A
KR20220142189A KR1020210048624A KR20210048624A KR20220142189A KR 20220142189 A KR20220142189 A KR 20220142189A KR 1020210048624 A KR1020210048624 A KR 1020210048624A KR 20210048624 A KR20210048624 A KR 20210048624A KR 20220142189 A KR20220142189 A KR 20220142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network device
network
interface
downlin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위드차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189A/ko
Priority to PCT/KR2022/000436 priority patent/WO2022220376A1/ko
Publication of KR2022014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7Triggering entity
    • H04W28/0831Core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04W28/08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H04W28/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H04W28/0865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e.g. LTE or WiF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 기지국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 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 의료 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은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저전력 동작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앞서 설명한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RF(Radio Frequency) 체인(또는, RF 모듈)의 소모전력이 높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더라도 NR 기지국이 EPC와 연결되고, LTE 기지국과 연동 가능하면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EPC, LTE 기지국, NR 기지국 및 그들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 기지국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외부 기지국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된 모드가 상기 외부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모드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설정된 모드가 상기 외부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모드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N-DC 환경에서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더라도 LTE 기지국은 베어러를 분리하여 전자 장치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LTE 기지국 및 NR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a, 도 2b 및 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네트워크에 NR 기지국이 도입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2d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발생한 문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EPC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LTE 기지국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NR 기지국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C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1a 내지 1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및/또는 5G 통신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A 내지 100C)은,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3GPP 표준의 4G 또는 LTE 기지국(140)(예를 들어, eNB(eNodeB)) 및 4G 통신을 관리하는 EPC(evolved packet core)(142)를 포함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New Radio(NR) 기지국(150)(예를 들어, gNB(gNodeB)) 및 전자 장치(101)의 5G 통신을 관리하는 5GC(152)(5th generation core)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레거시 통신 및/또는 5G 통신을 통해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 및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보안 제어(security control), 베어러 설정(bearer setup), 인증(authentication), 등록(registration), 또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코어 네트워크(130)(예를 들어, EPC(142))간에 송수신되는 제어 메시지를 제외한 사용자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레거시(legacy)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도 1c의 LTE 기지국(140), EPC(142))를 이용하여 5G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예: 도 1c의 NR 기지국(150), 5GC(152))와 제어 메시지 또는 사용자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100A)은 LTE 기지국(140) 및 NR 기지국(150)으로의 무선 통신 듀얼 커넥티비티(multi-RAT(radio access technology) dual connectivity, MR-DC)를 제공하고, EPC(142) 또는 5GC(152) 중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130)를 통해 전자 장치(101)와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R-DC 환경에서, LTE 기지국(140) 또는 NR 기지국(150) 중 하나의 기지국은 MN(master node)(110)으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SN(secondary node)(120)로 동작할 수 있다. MN(110)은 코어 네트워크(130)에 연결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MN(110)과 SN(12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무선 자원(예를 들어, 통신 채널) 관리와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MN(110)은 LTE 기지국(140), SN(120)은 NR 기지국(150), 코어 네트워크(130)는 EPC(14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140) 및 EPC(142)를 통해 제어 메시지가 송수신될 수 있고, LTE 기지국(140)과 NR 기지국(150)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5GC(152)는 NR 기지국(150)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와 독립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네트워크 및 5G 네트워크는 각각 독립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EPC(142)는 LTE 기지국(140)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5GC(152)는 NR 기지국(150)을 통해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EPC(142) 또는 5GC(152) 중 적어도 하나에 등록(registration)되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EPC(142) 또는 5GC(152)는 연동(interworking)하여 전자 장치(101)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이동 정보가 EPC(142) 및 5GC(152)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2c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레거시(Legacy) 통신 네트워크에 NR 기지국이 도입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고, 도 2d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발생한 문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레거시(Legacy) 통신 네트워크는 LTE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환경(200A 내지 200C)은 5GC 없이 EPC 및 LTE 기지국과 연동 가능한 NR 기지국만을 도입해 최소한의 업그레이드로 5G 망을 구축한 예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210)는 EPC일 수 있고, NR 기지국(230)은 EPC(210) 및 LTE 기지국(220)과 연동 가능한 en-gNB일 수 있다.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간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가 지원될 수 있고, MN은 LTE 기지국(220)일 수 있다. MN인 LTE 기지국(220)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네트워크 액세스, 연결 설정, 핸드오버를 위한 제어 시그널링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또는, 사용자 트래픽, 데이터)는 LTE 기지국(220) 및/또는 NR 기지국(230)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LTE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NR 기지국(230)는 5G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LTE 통신 네트워크에 NR 기지국만이 도입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데이터가 분리되는지 여부 및 분리하는 주체에 따라 3가지 방식(예: option 3/3a/3x)으로 나뉠 수 있다.
도 2a는, 첫 번째 방식(option 3)을 나타낸 것으로, LTE 기지국(220)은 EPC(210) 및 NR 기지국(230)과 연결될 수 있고, NR 기지국(230)은 LTE 기지국(220)과 연결될 수 있다. EPC(210)와 LTE 기지국(220)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44)(예: S1-C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42)(예: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54)(예: X2-C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52)(예: X2-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도 2a를 참조하면, 제어 메시지는 EPC(210)에서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될 수 있고, LTE 기지국(220)은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LTE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MN으로써 NR 기지국(230)과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EPC(210)에서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될 수 있고, LTE 기지국(220)은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일부 분리(split)하여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NR 기지국(230)은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NR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으로부터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자 장치(101)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a와 같은 첫 번째 방식에서는 베어러(bearer)가 분리될 수 있고, 베어러의 분리는 LTE 기지국(220)이 수행할 수 있다.
도 2b는, 두 번째 방식(option 3a)을 나타낸 것으로, LTE 기지국(220)은 EPC(210) 및 NR 기지국(230)과 연결될 수 있고, NR 기지국(230)은 EPC(210) 및 LTE 기지국(220)과 연결될 수 있다. EPC(210)와 LTE 기지국(220)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44)(예: S1-C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42)(예: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EPC(210)와 NR 기지국(230)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62)(예: S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54)(예: X2-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어 메시지는 EPC(210)에서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될 수 있고, LTE 기지국(220)은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LTE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MN으로써 NR 기지국(230)과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EPC(210)에서 LTE 기지국(220) 또는 NR 기지국(2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220) 또는 NR 기지국(23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b와 같은 두 번째 방식에서는 베어러가 분리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가 LTE 기지국(220) 또는 NR 기지국(230)으로부터 전자 장치(101)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c는, 세 번째 방식(option 3x)을 나타낸 것으로, LTE 기지국(220)은 EPC(210) 및 NR 기지국(230)과 연결될 수 있고, NR 기지국(230)은 EPC(210) 및 LTE 기지국(220)과 연결될 수 있다. 두 번째 방식(option 3a)과의 차이점은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54) 외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252)(예: X2-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어 메시지는 EPC(210)에서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될 수 있고, LTE 기지국(220)은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LTE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MN으로써 NR 기지국(230)과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EPC(210)에서 LTE 기지국(220) 및/또는 NR 기지국(2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NR 기지국(230)으로 전송되면, NR 기지국(230)은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일부 분리(split)하여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이용해 전자 장치(101)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c와 같은 세 번째 방식에서는 베어러가 분리될 수 있고, 베어러의 분리는 NR 기지국(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d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발생한 문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발생한 문제는 예를 들어, NR 기지국(230)과 LTE 기지국(220)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문제(27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내지 도 2c에서 설명한 방식은 LTE 통신 네트워크에서 5G 통신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과도기적인 시기에 활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NR 기지국(230)이 LTE 기지국(220)과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기지국 공급업체에 의해 제공되는 NR 기지국(230)이 LTE 기지국(220)과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국가의 경우, 과도기적인 시기의 규격을 따르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NR 기지국(230)과 LTE 기지국(220)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없더라도 NR 기지국(230)은 메시지를 전송하고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을 받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NR 기지국(230)이 LTE 기지국(220)과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더라도 여러 가지 이유로 NR 기지국(230)과 LTE 기지국(220)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NR 기지국(220)과 LTE 기지국(230)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2a 내지 도 2d와 같이 LTE 통신 시스템에 NR 기지국이 도입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간 EN-DC가 지원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2d와 같이 LTE 기지국(예: 도 2d의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예: 도 2d의 NR 기지국(230))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문제(예: 도 2d의 270)가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동작들은 EPC의 프로세서, LTE 기지국의 프로세서, 및 NR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예: 도 2d의 EPC(210))는, 동작 310에서,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의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C(210)는 LTE 기지국(220)과 직접 연결되고, NR 기지국(230)과는 LTE 기지국(220)을 통해 연결되면, EPC(210)는 도 2a와 같은 첫 번째 방식(option 3)을 이용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EPC(210)는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고,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제어 메시지만을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도 2b와 같은 두 번째 방식(option 3a)을 이용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EPC(210)는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고,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도 2c와 같은 세 번째 방식(option 3x)을 이용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EPC(210)는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고,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세 번째 방식(option 3x)을 이용하는 모드로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320에서,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X2-U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220)은 NR 기지국(230)과 연결된 것으로 확인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나, 응답을 수신하지 못 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또는,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330에서,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EPC(2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동작 335에서, 설정한 모드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NR 기지국(2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변경된 모드에 관한 정보를 NR 기지국(2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베어러 분리와 관련한 정보를 NR 기지국(2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베어러 분리와 관련한 정보에는 예를 들어, 베어러 분리를 수행하는 주체(예: LTE 기지국(22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동작 340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지 않고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350에서,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베어러를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는 시간 제약이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시간 제약이 있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스트리밍되는 동영상, 음성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360에서,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EPC(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이 EPC(210)로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시간 제약이 없는 데이터일 수 있다. 시간 제약이 없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단순히 다운로드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애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 중 상대적으로 시간 제약이 많은 데이터는 직접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고, 상대적으로 시간 제약이 적은 데이터는 EPC(210), NR 기지국(230)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동작 370에서,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NR 기지국(230)의 로드(load) 및/또는 커버리지 상황(coverage situation)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하기 전 메모리(예: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EPC(210)는 모니터링한 NR 기지국(230)의 로드 및/또는 커버리지 상황을 고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모니터링한 NR 기지국(230)의 로드 및/또는 커버리지 상황을 고려하여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전송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기지국(230)은, 동작 380에서, NR 기지국(23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EPC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3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어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는 네트워크 장치로 S-GW(serving-gateway)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예: 도 2d의 EPC(210))는, 동작 410에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EPC(210)는 EPC(210)와 LTE 기지국(예: 도 2d의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예: 도 2d의 NR 기지국(230))의 연결 상태 및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간의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C(210)가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고,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EPC(210)는 도 2c와 같은 세 번째 방식(option 3x)을 이용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EPC(210)가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나,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EPC(210)는 도 2b와 같은 두 번째 방식(option 3a)을 이용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EPC(210)가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EPC(210)는 도 2a와 같은 첫 번째 방식(option 3)을 이용하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EPC(210)가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고,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각각을 통해 연결되는 세 번째 방식(option 3x)으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동작 420에서,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C(210)는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220)은 사용자 데이터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하였으나, 응답을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 하면,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동작 430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지 않고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베어러를 분리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동작 440에서, 전송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이 전송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는 시간 제약이 없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동작 450에서,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210)는 NR 기지국(230)의 로드 및/또는 커버리지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EPC(210)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NR 기지국(230)의 로드 및/또는 커버리지 상황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부터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EPC(210)는 NR 기지국(230)의 로드가 정해진 조건(예: 정해진 시간 동안 임계값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을 만족하면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일정 시간 후에 전송하거나 전송률을 낮게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동작들은 EPC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LTE 기지국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3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어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동작들은 LTE 기지국(예: 도 2d의 LTE 기지국(22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505에서, EPC(예: 도 2d의 EPC(210))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 EPC(210)에 의해 설정된 모드는 EPC(210)가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예: 도 2d의 NR 기지국(230))과 직접 연결되고,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세 번째 방식(option 3x)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510에서,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설정된 인터페이스(예: X2-U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220)은 NR 기지국(230)이 연결된 것으로 확인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NR 기지국(230)으로 전송하였으나,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 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NR 기지국(230)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거나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면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또는,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520에서,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EPC(2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530에서, EPC(210)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연결된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 (예: 도 2d의 전자 장치(101))에 전송될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540에서, EPC(2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전자 장치(101)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LTE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를 전자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정해진 조건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기지국(220)은 전송 시간의 제약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전송 시간에 제약이 있어 빠르게 전송하여야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여 직접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LTE 기지국(220)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는 중요도에 따라 분류된 사용자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동작 550에서, EPC(2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에서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EPC(210)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220)은 전송 시간의 제약에 기초해 데이터를 분리해 일부는 직접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고, 나머지는 EPC(2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LTE 기지국(220)은 중요도가 낮은 사용자 데이터를 EPC(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베어러를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220)은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및/또는 주기적으로 NR 기지국(230)과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NR 기지국(230)과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NR 기지국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도 3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어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동작들은 NR 기지국(예: 도 2d의 NR 기지국(23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기지국(230)은, 동작 605에서, EPC(예: 도 2d의 EPC(210))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EPC(210)에 의해 설정된 모드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EPC(210)가 LTE 기 지국(예: 도 2d의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과 직접 연결되고, LTE 기지국(220)과 NR 기지국(230)이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세 번째 방식(option 3x)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기지국(230)은, 동작 610에서, EPC(210)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EPC(210)에 의해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LTE 기지국(220)이 EPC(210)로 재전송한 사용자 데이터일 수 있다. EPC(2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는 LTE 기지국(220)이 직접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보다 시간 제약이 덜 한 사용자 데이터일 수 있다. EPC(2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는 EPC(210)가 LTE 기지국(220)으로 전송한 사용자 데이터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기지국(230)은, 동작 620에서, EPC(2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연결된 전자 장치(예: 도 2d의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NR 기지국(230)은 NR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으로부터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C의 구조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700)(예: 도 2d의 EPC(210))는 통신 모듈(710) 및 프로세서(720)를 포함할 수 있다. EPC(700)는 그 외에도 안테나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력 관리 모듈(미도시), 및 연결 단자(미도시) 중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710) 및 프로세서(720)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모듈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710)은 LTE 기지국(예: 도 2d의 LTE 기지국(220)) 및/또는 NR 기지국(예: 도 2d의 NR 기지국(230))과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710)은 LTE 기지국(220)과 복수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7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3a/3x)에 따라 NR 기지국(230)과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710)은 일부 모드(예: option 3a/3x)에서는 NR 기지국(230)과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7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3a/3x)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LTE 기지국(220) 또는 LTE 기지국(220) 및 NR 기지국(230)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7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3a/3x)에 따라 제어 메시지를 LTE 기지국(220)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720)는 프로세서(720)에 연결된 EPC(7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720)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720)는 다른 구성요소(예: 통신 모듈(71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서 설명하는 LTE 기지국(800)은 도 7에서 설명하는 EPC(7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TE 기지국(800)(예: 도 2d의 LTE 기지국(220))는 통신 모듈(810) 및 프로세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LTE 기지국(800)는 안테나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력 관리 모듈(미도시), 및 연결 단자(미도시) 중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10)은 EPC(예: 도 2d의 EPC(210)) 및/또는 NR 기지국(예: 도 2d의 NR 기지국(230))과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810)은 EPC(210)와 복수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8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3a/3x)에 따라 NR 기지국(230)과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810)은 일부 모드(예: option 3a)에서는 NR 기지국(230)과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810)은 다른 모드(예: option 3/3x)에서는 NR 기지국(230)과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8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3a/3x)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EPC(210) 또는/및 NR 기지국(230)으로부터 수신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810)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EPC(2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810)은 EPC(210)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해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810)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EPC(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20)는 프로세서(820)에 연결된 LTE 기지국(8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R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서 설명하는 NR 기지국(900)은 도 7에서 설명하는 EPC(700) 및/또는 도 8에서 설명하는 LTE 기지국(8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및 도 8에서 설명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9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기지국(900)(예: 도 2d의 NR 기지국(230))는 통신 모듈(910) 및 프로세서(9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NR 기지국(900)는 안테나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력 관리 모듈(미도시), 및 연결 단자(미도시) 중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10)은 EPC(예: 도 2d의 EPC(210)) 및/또는 LTE 기지국(예: 도 2d의 LTE 기지국(220))과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9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a/3x)에 따라 EPC(210)와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9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3a/3x)에 따라 LTE 기지국(220)과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910)은 일부 모드(예: option 3a)에서는 LTE 기지국(220)과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910)은 일부 모드(예: option 3/3x)에서는 LTE 기지국(220)과 제어 메시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각각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910)은 설정된 모드(예: option 3/3a/3x)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EPC(210) 또는/및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910)은 EPC(210) 또는/및 LTE 기지국(2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910)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EPC(2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910)은 제어 메시지를 LTE 기지국(220)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20)는 프로세서(920)에 연결된 NR 기지국(9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LTE 통신 시스템, NR 통신 시스템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레거시 통신 시스템에 다른 통신 시스템의 일부 구성만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 기지국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은 5G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LTE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가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와 관련하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하는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외부 기지국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된 모드가 상기 외부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모드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외부 기지국은 5G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지국에게 데이터 전송을 더 시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1 기지국은 5G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LTE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가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와 관련하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하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설정된 모드가 상기 외부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모드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기지국은 LTE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외부 기지국은 5G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지국에게 데이터 전송을 더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기지국이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2 기지국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5G(genera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인, 네트워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가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속도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와 관련하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하는 정보를 더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7. 기지국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기지국이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외부 기지국과 연결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설정된 모드가 상기 외부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인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모드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전송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외부 기지국은 5G(genera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인, 기지국.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지국에게 데이터 전송을 더 시도하는, 기지국.
  11.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과 연결된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5G(genera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인,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가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의 로드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해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와 관련하여 설정된 모드를 변경하는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 방법.
  17. 네트워크 장치 및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모드가 상기 외부 기지국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인지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모드에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외부 기지국과 연결된 전자 장치에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상기 외부 기지국은 5G(generation)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시간 제약과 관련한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외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지국에게 데이터 전송을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KR1020210048624A 2021-04-14 2021-04-14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42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24A KR20220142189A (ko) 2021-04-14 2021-04-14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22/000436 WO2022220376A1 (ko) 2021-04-14 2022-01-11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24A KR20220142189A (ko) 2021-04-14 2021-04-14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189A true KR20220142189A (ko) 2022-10-21

Family

ID=8364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624A KR20220142189A (ko) 2021-04-14 2021-04-14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42189A (ko)
WO (1) WO20222203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569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케이티 5g nsa 네트워크에서 nr과 lte 기지국 간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 및 장치
KR102198010B1 (ko) * 2018-08-01 2021-01-04 주식회사 케이티 기지국 부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15091A (ko) * 2019-07-31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0376A1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271B1 (ko) 프런트홀 인터페이스 수립 방법, 사용자 장치에 대한 액세스 수행 방법, 사용자 장치에 대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데이터 전달 방법, 사용자 장치 및 기지국
US107360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96950B1 (ko) 5g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최고 신뢰성있는 서비스를 위한 이중 전송 방법 및 장치
TW201616912A (zh) 中繼鏈路通訊
US119243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configuration of terminal according to time or service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360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l area data network service based on non-subscription mod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58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4890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 및 장치
EP37518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ervice reli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918269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支持会话连续性的装置和方法
EP4362544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2 termination on basis of traffic information of e2 termin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EP41027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5918157A (zh) 在综合接入和回程配置中经由目标路径的切换命令递送
KR1026371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166196B (zh) 一种同步信号配置方法及相关设备
KR20220142189A (ko) 복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2506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edge computing
CN114365469B (zh) 一种数据传输方法、终端装置和网络装置
KR20190118067A (ko) 5g 네트워크 환경에서 lte 및 nr 액세스간 트래픽 경로 제어를 위한 기구 및 방법
US12010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li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4191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9957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etwork slicing
US20230327764A1 (en) Host-Based Optical Frequency Tuning
KR20240030902A (ko) 동적 스케일링을 이용해 무선 접속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210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