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967A -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 Google Patents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967A
KR20220141967A KR1020210048110A KR20210048110A KR20220141967A KR 20220141967 A KR20220141967 A KR 20220141967A KR 1020210048110 A KR1020210048110 A KR 1020210048110A KR 20210048110 A KR20210048110 A KR 20210048110A KR 20220141967 A KR20220141967 A KR 20220141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ir cushion
fluid
footwear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승
Original Assignee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원에프알에스 filed Critical (주)지원에프알에스
Priority to KR1020210048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967A/ko
Publication of KR2022014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은 밑창부의 후부에 위치하여 밑창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 쿠션을 포함하며, 에어 쿠션은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적층 공간을 포함하며, 적층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 출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적층 공간에 충진되는 유체에 의해서 에어 쿠션의 쿠션 특성 또는 중량에 변화를 주어 충격흡수 기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FOOTWEAR CONTROLLING IMPACT ABSORPTION FUNCTION BY USING MULTI-LEVEL AIR-CUSH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개선한 신발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에어 쿠션의 다층 구조를 통해 충격흡수 조건을 조절하고 인체에 유익한 걸음걸이를 유도할 수 있는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시작되었지만, 관련된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목적 및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며, 밑창부분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솔 및 미드솔의 저면에 부착되어 내마모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아웃솔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미드솔과 아웃솔을 하나의 소재로 결합하여 별도의 분리 없이 하나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건강한 보행은 착지, 중립 및 전진으로 자연스럽게 이러지는 것이 좋을 수 있다. 하지만, 굽을 높인 신발이나 신발창의 사용으로 뒤꿈치가 들린 보행이 현대인의 보행 습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05-0007242호에는 "후방밸란스 워킹화"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후발밸란스 워킹화는 신발 밑창 중심에서 뒤축 측으로 2중접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2중접지축을 중심으로 앞축부위와 뒤축부위가 상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2중접지축을 작용점으로 하여 앞축부위와 뒤축부위가 상하유동되도록 형성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그에 따라 인체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되어 후방밸란스에 의한 몸통근육을 활성화하여 비만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보행시 충격을 최소화하여 오래도록 신고 있어도 안정감 있고 편안하여 운동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다고 한다.
본 발명은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쿠션 조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중량 조절을 통해 보행 중 안정된 착지를 유도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워 게이트의 난이도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은 밑창부의 후부에 위치하여 밑창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쿠션은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적층 공간을 포함하며, 적층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 출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적층 공간에 충진되는 유체에 의해서 에어 쿠션의 쿠션 특성 또는 중량에 변화를 주어 충격흡수 기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쿠션은 투명 또는 반투명, 불투명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든 적층 공간에 주입구가 형성되어 물 등의 유체를 충진 또는 배출할 수 있지만, 일부는 주입구 없이 폐쇄된 상태로 공기, 물 등의 유체를 그대로 포함하게 할 수 있다. 주입구가 형성된 적층 공간에 물, 오일 등의 유체를 충진 또는 배출함으로써 다양한 쿠션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 쿠션은 TPU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나 오일 등의 유체가 배출된 상태에서도 그 자체만으로 쿠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쿠션을 형성할 수 있다.
주입구가 형성된 적층 공간에는 같은 종류의 유체를 충진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 또는 다른 조성의 유체가 충진될 수 있고, 충진되는 양도 전부 또는 일부로 조절될 수 있다.
적층 공간에 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기 위해서 주입구에 대응하는 주사기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용 주사기구를 통해서 적층 공간에 유체를 쉽고 안전하게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신발물품은 적층 공간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충전함으로써 다양한 쿠션 조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유체의 충전으로 신발의 뒤꿈치에 고중량을 형성함으로써 보행 중 안정된 착지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발물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충진되는 적층 공간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파워 게이트(power gait)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물품은 수직으로 적층되는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에어 쿠션의 다양한 충진 변화를 통해 파워 게이트를 보조하고, 다양한 쿠션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에어 쿠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 쿠션에 충진되는 적층 공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에어 쿠션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에어 쿠션에 충진되는 적층 공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100)은 갑피(110) 및 발바닥을 지지하는 밑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부(120) 중 후방에는 에어 쿠션(130)이 밑창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 쿠션(130)은 밑창부(120)의 일부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갑피(110)는 운동화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신발물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용도, 예를 들어 구두, 슬리퍼, 장화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 재질 등으로 갑피를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갑피가 밑창부와 일부 또는 전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밑창부(120)는 미드솔 또는 미드솔과 아웃솔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밑창부의 특정 기능을 위한 지지 구조나 내부 부속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밑창부(120) 중 뒤꿈치 또는 후족부에 대응하여 후방에 에어 쿠션(13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에어 쿠션(130)의 내부는 아래에서부터 제1 적층 공간(140) 및 제2 적층 공간(14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격벽(132)이 형성되어 적층 공간 간의 유체를 분리할 수 있다.
제1 적층 공간(140) 및 제2 적층 공간(145)의 후방으로 각각 주입구(134, 1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구(134, 136)를 통해 물, 오일 등의 유체가 적층 공간에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물, 오일 등의 유체가 적층 공간에 유입되면, 유체에 따라 에어 쿠션()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다른 느낌의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나 오일이 충진되지 않은 경우, 제1 적층 공간(140) 또는 제2 적층 공간(145)은 압축성 유체로서 공기에 충진되어 저중량 및 소프트한 쿠션을 제공할 수 있지만, 물이나 오일과 같이 실질적인 비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경우에는 고중량 및 하드한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충진되는 유체를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의 쿠션 및 중량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적층 공간(140) 및 제2 적층 공간(145) 모두에 주입구(134, 136)가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하나에만 주입구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주입구 없이 공기나 물을 충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2개의 적층 공간만 형성하지만, 3개 이상의 적층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주입구가 형성되는 적층 공간의 조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하 적층 공간(140, 145)에 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기 위해서 주입구(134, 1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구(134, 136)에 대응하는 주사기구(150)를 제공할 수 있다. 전용 주사기구(150)를 통해서 적층 공간에 유체를 쉽고 안전하게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제1 적층 공간(140)과 제2 적층 공간(145)의 부피는 동일 또는 다를 수 있으며, (a)와 같이 발바닥을 직접 지지하는 제2 적층 공간(145)에 물을 충진하고, 하부의 제1 적층 공간(140)에 물을 충진하지 않는 상태라면, 에어 쿠션은 상대적으로 하드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면서, 중량감을 줄일 수 있고, 뒤꿈치의 착지시에 공기를 이용한 소프트한 충격흡수를 제공할 수 있다.
(b)와 같이, 상부의 제2 적층 공간(145)에 물을 충진하지 않고, 하부의 제1 적층 공간(140)에 물을 충진하면, 발바닥에 닿는 부분에서는 소프트하게 푹 감싸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a)에 비해 뒤꿈치 착지시에 상대적으로 하드한 반응을 제공할 수 있고, 에어 쿠션의 무게 중심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상하의 제1 적층 공간(140)과 제2 적층 공간(145)을 모두 물로 충진하면, 전체적으로 하드한 쿠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게도 무거워 발바닥의 뒤꿈치가 지면에 먼저 닿도록 유도하는 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신발물품 110 : 갑피
120 : 밑창부 130 : 에어 쿠션
140 : 제1 적층 공간 145 : 제2 적층 공간

Claims (3)

  1.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의 후부에 위치하여 상기 밑창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쿠션은 상하로 적층된 복수개의 적층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유체 출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 공간에 충진되는 유체에 의해서 상기 에어 쿠션의 쿠션 특성 또는 중량에 변화를 주어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쿠션의 상기 적층 공간에는 동일 또는 다른 유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에 대응하는 주사기구를 통해서 상기 적층 공간에 유체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KR1020210048110A 2021-04-13 2021-04-13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KR20220141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10A KR20220141967A (ko) 2021-04-13 2021-04-13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10A KR20220141967A (ko) 2021-04-13 2021-04-13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67A true KR20220141967A (ko) 2022-10-21

Family

ID=8380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10A KR20220141967A (ko) 2021-04-13 2021-04-13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9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583B1 (ko) 신발 제품 및 동적 블래더 시스템
US9462846B2 (en) Training footwear
US7685743B2 (en) Article of footwear or other foot-receiving device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support and reinforcing structures
EP1819251B1 (en) Sole or orthotic with siped chambers for footwear
US8850718B2 (en) Shoe with support system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US20090139114A1 (en)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100083449A1 (en) Midsole El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BR112015006329B1 (pt) estrutura de sola para um artigo de calçado
US927154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assembly having sealed chamber
WO2019231968A1 (en)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filled bladder chambers
KR20080088331A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20220141967A (ko) 다층의 에어 쿠션을 이용하여 충격흡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WO2011135278A1 (en) A sole memb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220225731A1 (en) Footwear midsole comprising a support and one or more internal bladders
KR200427366Y1 (ko) 아치형 지지부를 갖는 충격완충용 샌들
KR20220141393A (ko) 바른 걸음걸이를 유도하는 신발물품
KR102502480B1 (ko) 리바운스 기능을 제공하는 신발물품
KR10128803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KR20220139762A (ko) 회전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쿠션 기능을 조절하는 신발물품
KR870002985Y1 (ko) 에어쿠숀을 형성한 운동화 바닥창
KR20110001400U (ko)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운동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