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959A - Aircraft with outer body - Google Patents

Aircraft with outer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959A
KR20220141959A KR1020210047989A KR20210047989A KR20220141959A KR 20220141959 A KR20220141959 A KR 20220141959A KR 1020210047989 A KR1020210047989 A KR 1020210047989A KR 20210047989 A KR20210047989 A KR 20210047989A KR 20220141959 A KR20220141959 A KR 20220141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aircraft
frames
n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72063B1 (en
Inventor
홍쿠이 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홍쿠이 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홍쿠이 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4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063B1/en
Publication of KR2022014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9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52Tilting of rotor bodily relative to fusel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provided with an outer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part and an outer body part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art are coupled through a connection frame part, and a plurality of motor-driven air flow means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a ring-shaped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art so that risk of accidents due to propeller exposure can be reduced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using the outer body part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ircraft with outer body}Aircraft with outer body

본 발명은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그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는 외곽체부가 연결 프레임부를 통해 결합되고, 본체부의 외측과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복수의 모터 구동형 공기 유동 수단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프로펠러의 노출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외곽체부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art, and more particularly, the main body part and the outer body part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are coupled through a connection frame part, and a ring formed by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inner part of the outer body part A plurality of motor-driven air flow means ar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hapes to reduce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exposure of the propeller an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using the outer body. it's about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 날개를 구비하여 비행이 가능하되, 특히 비행체가 수상에 부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무인 비행체들이 제안된 바 있다. It is possible to fly by having a rotating blade such as a propeller, and in particular, unmanned aerial vehicles that are configured to float on water and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proposed.

종래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49599 (2019년11월21일 등록)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배치된 구동모터가 경사지게 틸팅되면서 수평추력이 발생하는 구조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해상 착륙 후 해수면에서의 수평이동이 가능해져 각종 해상환경 점검이 가능한 드론을 제안하였다. 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49599 (registered on November 21, 2019) relates to a drone for marine monitoring. After landing, it is possible to move horizontally at sea level, so a drone capable of inspecting various marine environments was proposed.

종래 기술의 또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18975 (2019년08월30일 등록)는 하천 방사능 측정용 수공양용 드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격제어 또는 프로그램 또는 인공지능에 따라 공중과 수상을 선택적으로 주행하도록, 양력을 발생시키는 비행용 프로펠러 및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가 구비되는 자율운행체에 관한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nother example of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8975 (registered on August 30, 2019) relates to a hand-held drone for measuring river radi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order to selectively travel on water, a configuration related to an autonomous vehicle having a propeller for flight generating lift and a floating body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was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인 비행체는 프로펠러와 같은 회전 날개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이므로 이동 중에 모니터링 또는 측정 대상물에 근접 시에 안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회전 날개의 노출 구조에 의해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데에도 한계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may be exposed to a safety accident when it comes close to a monitoring or measurement object while moving because a rotating blade such as a propeller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 in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by the exposed structure of the rotary blad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49599 (2019년11월21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2049599 (Registered on November 21, 201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18975 (2019년08월30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2018975 (Registered on August 30, 20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부와 그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는 외곽체부가 연결 프레임부를 통해 결합되고, 본체부의 외측과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복수의 모터 구동형 공기 유동 수단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프로펠러의 노출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외곽체부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wherein the main body and the outer body portion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and between the outer body portion and the ring shape formed by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ortion A plurality of motor-driven air flow means are symmetrically arranged in space to reduce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exposure of the propeller and to provide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ortion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using the outer body portion The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 외곽체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곽체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로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비행체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ody portion; an outer body portion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disposed in a state of having a gap from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nnecting frame unit configured to connect and integrally combine the main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llow air to flow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ring-shaped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ng frame, and using a propeller driven by a motor, th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under pressure; is disclosed an aircraft configured to include.

바람직하게, 상기 외곽체부는 비행체가 수상에 부유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enclosure is configured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aircraft can float on water.

바람직하게, 상기 외곽체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요소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부력 제공이 가능하다. Preferably, the outer body part at least partially includes a hollow elemen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buoyancy by using air injected into the hollow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외곽체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력 소재로 구성되어 부력 제공이 가능하다. Preferably, the outer body portion is at least partially made of a buoyancy material to provide buoyancy.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상측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네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낙하물용 네트;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et frames install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formed to extend upwards; And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and a rim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for a falling object installed to receive a falling object falling from the top.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네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체부의 외측 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구조용 네트;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et frames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and formed to extend outwardly; and a structural net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and installed to form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outer body par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상측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상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네트 프레임;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낙하물용 네트; 및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체부의 외측 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구조용 네트;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et frames install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extending in an upper outer direction; a net for falling objects installed so as to receive a falling object falling from an upper portion by coupling an edge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and a structural net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and installed to form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outer body part.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과, 인접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네트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상측 외곽에 설치된다. Preferably, the connection fram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frames arranged to connec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side of the outer body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that connect the adjacent first connection frames. and each of the net frames is installed outside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s.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상측 제1 연결 프레임과, 인접하는 상측 제1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측 제1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하측 제1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동 수단은 상기 하측 제1 연결 프레임에 기초하여 설치된다. Preferably, the connection fram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first connecting frames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frames connecting the adjacent upper first connecting frames; It is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or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first connecting frames arranged to have a gap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rst connecting frame, and the air flow means is the lower second connecting frame. 1 It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connecting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과, 인접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동 수단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중간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횡방향 지지봉과, 상기 횡방향 지지봉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모터와, 각각의 상기 모터에 설치된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connection fram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frames arranged to connec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side of the outer body part,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that connect the adjacent first connection frames. and the air flow means include a transverse support bar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a moto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support bar, respectively, and a motor installed in each of the motors. It consists of a propeller.

바람직하게, 상기 횡방향 지지봉은 회동 수단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전(自轉)이 가능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봉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자전에 의해 상기 모터 및 프로펠러의 틸팅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transverse support bar can be rota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a rotation means, and tilting control of the motor and the propeller is possible by rotation of the transverse support bar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바람직하게, 상기 횡방향 지지봉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 수단으로서 조작용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용 레버는 링크 요소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틸팅 제어 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틸팅 제어 수단이 상기 링크 요소를 당기는 방향 또는 미는 방향으로 조작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횡방향 지지봉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전(自轉)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a lever for opera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ateral support rod as the rotation means, and the lever for operation is connected to a tilting control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rough a link element, and the tilting control means is connected to the link The transverse support rod is configured to rotate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element in a pulling direction or a pushing direc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amera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art or the connection frame part.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일측 방향을 향해 배치된 거리 측정 센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art or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disposed toward a preset one side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본체부와 그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는 외곽체부가 연결 프레임부를 통해 결합되고, 본체부의 외측과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복수의 모터 구동형 공기 유동 수단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프로펠러의 노출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외곽체부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art and the outer body part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a plurality of motor-driven type in the space between the ring shap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inner part of the outer body part. Since the air flow means is symmetrically dispo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exposure of the propeller is reduced and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using the outer body part ar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저면 방향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제어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nother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ly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other bottom-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technical spirit or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1st, 2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mprising",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represent the presence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other elements or features may be present or added. It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 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저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A is a parti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nother parti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xample.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 근접하거나 수상에 있는 조난자에 근접하여 인명 구조용의 용도로 사용되는데 적합한 구성을 제공한다.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provides a configuration suitable for being used for lifesaving purposes, for example, in proximity to a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or in proximity to a survivor on the water.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본체부(10)와 그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는 외곽체부(20)가 연결 프레임부(30)를 통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본체부(10), 외곽체부(20) 및 연결 프레임부(30)는 경량 탄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공기 밀폐 구조가 가능한 경량 소재이면서 낙하물용 네트(52)와 구조용 네트(54)가 설치 가능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I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outer body portion 20 forming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are coupled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30 . Preferably, the body portion 10, the outer body portion 20 and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30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e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 particular, a lightweight material capable of airtight structure to provide buoyancy as described below.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so that the net 52 for falling objects and the net 54 for structure can be installed.

일예로 상기 본체부(10)는 원통 형상 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r a disk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외곽체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다. The outer body portion 20 forms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is disposed to have a gap with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portion 10 .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외곽체부(20)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U-D)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connects the body part 10 and the outer body part 20 to be integrally coupled, and is configured to allow air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U-D).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40)은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S)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총 8개의 공기 유동 수단(40)이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11의 실시예의 경우, 변형예로서 총 6개의 공기 유동 수단(40)이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The plurality of air flow means 40 ar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ring-shaped interspace S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20a of the outer body 20 . 1 and 2, a case in which a total of eight air flow means 40 are installed is illustrated. 11, a case in which a total of six air flow means 40 are installed as a modification is illustrated.

상기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40)은 상기 연결 프레임부(30)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44)로 구동되는 프로펠러(46)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plurality of air flow means 40 is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is pressurized and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using the propeller 46 driven by the motor 44. .

보다 상세하게,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상측 제1 연결 프레임(31-1)과, 인접하는 상측 제1 연결 프레임(31-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32)과,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측 제1 연결 프레임(31-1)의 하부에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하측 제1 연결 프레임(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more detail, the connection frame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first connection frames 31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side 20a of the outer body unit 20 . -1),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32 connecting the adjacent upper first connection frames 31-1, and the outer portion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uter body portion 20 It is arranged to connect the inner side 20a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first connecting frames 31 - 2 arranged to have a gap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rst connecting frame 31-1.

일예로, 상기 공기 유동 수단(40)은 상기 하측 제1 연결 프레임(31-2)에 기초하여 설치된다. For example, the air flow means 40 is installed based on the lower first connection frame 31 - 2 .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외곽체부(20)를 통해 공기 유동 수단(40)이 측면으로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비행체(F)가 구조 등의 목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 근접하거나 수상에 있는 조난자에 근접하여 비행 또는 부유 시에 공기 유동 수단(40)의 프로펠러(46)가 건물 벽면 등에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조난자에게 충돌할 위험성을 방지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i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flow means 40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side through the outer body portion 20, the aircraft (F) is a building in which a fire has occurred for the purpose of rescue, etc. The propeller 46 of the air flow means 40 collides with a wall of a building or the like when flying or floating in proximity to or close to a person in water to prevent damage or a risk of colliding with a person in distress.

또한,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를 통해 공기 유동 수단(4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직접 노출되지 않으므로, 비행체(F)가 인명 구조의 목적으로 건물에 근접하거나 건물 내로 진입 시에 공기 유동 수단(40)의 프로펠러(46)가 건물 천장 또는 벽면에 돌출된 각종 구조물에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사람에게 충돌할 위험성을 방지한다. 부호 11은 비행체(F)의 착지용 다리이다. In addition, i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the air flow means 40 through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is not directly expos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so the aircraft (F) is close to the building for the purpose of saving lives or the building When entering the interior, the propeller 46 of the air flow means 40 collides with various structures protruding from the ceiling or wall of the building to prevent damage or the risk of colliding with a person.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landing leg of the aircraft (F).

바람직하게, 상기 외곽체부(20)는 비행체(F)가 수상에 부유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력 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수상에 있는 조난자에 근접하여 인명 구조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uter body portion 20 is configured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aircraft (F) can float on the water. Through this buoyancy structure,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for lifesav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survivors on the water.

일예로, 상기 외곽체부(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형 요소(21)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요소(21)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부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도 5a 참조). 이를 위해, 외곽체부(20)는 부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공기 밀폐 구조가 가능한 경량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변형예로서, 외곽체부(20) 내부에 부력 제공을 위한 공기 튜브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outer body part 20 at least partially includes a hollow element 21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buoyancy using air injected into the hollow element 21 (see FIG. 5A ). .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body part 20 be made of a lightweight synthetic resin material capable of an air-tight structure to provide buoyancy. As a modifi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n air tube for providing buoyancy inside the outer body part 20 .

다른예로, 상기 외곽체부(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력 소재(22)로 구성되어 부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도 5b 참조). 부력 소재(22)는 외곽체부(20)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일예로, 부력 소재(22)로서는 통상의 구명조끼 또는 구명환에 사용되는 우레탄 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another example, the outer body part 20 is at least partially composed of the buoyancy material 22 to provide buoyancy (refer to FIG. 5B ). The buoyancy material 22 may be filled in the outer body part 20 . For example, as the buoyancy material 22, a urethane foam used in a conventional life jacket or life ring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본 실시예의 비행체(F)의 외곽체부(20)는 본체부(10)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므로, 비행체(F)의 수상 부유 상태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며, 이를 통해 수상에 있는 조난자가 비행체(F)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Since the outer body portion 20 of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form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it provides a stable floating state of the aircraft (F), and through this, Make it easy for the survivors to access the aircraft (F).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이다. 7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낙하물용 네트(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낙하물용 네트(52)는 비행체(F)가 구조 등의 목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건물에 근접한 상태에서 창문을 통해 건물 내의 사람을 태워 안전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예로, 낙하물용 네트(52)는 건물 내의 물건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et 52 for falling objects. As an example, the net 52 for a falling object may be used to move a person in a building through a window in a state in which the flying vehicle F is close to a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for the purpose of rescue and the like to move to a safe point. As another example, the net 52 for falling objects may be used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objects in a building.

이를 위해, 복수의 네트 프레임(50)이 상기 연결 프레임부(30)의 상측(U)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net frames 50 are installed along the upper side (U)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unit 30 and are formed to extend upwards.

상기 낙하물용 네트(52)는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50)에 테두리(52a)가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The net 52 for the falling object is installed so that the edge 52a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50 to receive the falling object falling from the top.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구조용 네트(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예로, 구조용 네트(54)는 본 실시예의 비행체(F)가 수상에 있는 조난자에 근접하고 수상 착륙하여 부유 시에 조난자가 네트를 파지하여 구조되는 방식의 인명 구조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scue net (54). As an example, the rescue net 54 may be used for lifesaving purposes in which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rescued by gripping the net whe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approaches the survivors on the water and is floating on the water.

이를 위해, 복수의 네트 프레임(50)이 상기 연결 프레임부(30)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외측 방향(A1)으로 연장 형성된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net frames 50 are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and are formed to extend in the outward direction A1.

상기 구조용 네트(54)는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50)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체부(20)의 외측 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구조용 네트(54)는 수상에 있는 조난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비행체(F) 하부까지 연장된 폭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The structural net 54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50 and is installed to form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body portion 20 . Preferably, the structural net 54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having a width exte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craft (F) to facilitate the grip of the survivors on the water.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낙하물용 네트(52)와 구조용 네트(54)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et 52 for a falling object and a net 54 for rescue together.

이를 위해, 복수의 네트 프레임(50)이 상기 연결 프레임부(30)의 상측(U)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상부 외측 방향(U,A1)으로 연장 형성된다. To this end, a plurality of net frames 50 are install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ide (U) of the connection frame unit 30, and are formed to extend in the upper outer direction (U, A1).

상기 낙하물용 네트(52)는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50)에 테두리(52a)가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The net 52 for the falling object is installed so that the edge 52a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50 to receive the falling object falling from the top.

상기 구조용 네트(54)는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50)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체부(20)의 외측 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The structural net 54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50 and is installed to form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body portion 20 .

상기와 같은 네트 설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31)과, 인접하는 제1 연결 프레임(3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네트 프레임(50)은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프레임(31)의 상측(U) 외곽에 설치된다. In order to provide the net installa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frame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portions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side 20a of the outer body unit 2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nnection frame 3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32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connection frames 31 , and each of the net frames 50 includes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s 31 . It is installed outside the upper side (U) of the connection frame 31 .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수상에 있는 조난자에 근접하고 수상 착륙하여 부유 시에 조난자가 구조용 네트(54)를 파지하여 비행체(F) 상부 측으로 올라오고 낙하물용 네트(52) 위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전한 지점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comes up to the upper side of the aircraft (F) by grasping the rescue net 54 when floating and approaching the shipwreck on the water and landing on the water, and the falling object net 52 You can rescue the survivors by moving to a safe spot while riding on top.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부분 발췌 사시도이다. 10 is a partially extracted perspective view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모터(44) 및 프로펠러(46)의 틸팅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enable tilting control of the motor 44 and the propeller 46.

이를 위해, 상기 연결 프레임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10a)과 상기 외곽체부(20)의 내측(20a)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31)과, 인접하는 제1 연결 프레임(31)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connecting frame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frames 31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side 20a of the outer body unit 20 , and ,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32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connection frames 31 .

또한, 상기 공기 유동 수단(40)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31)의 중간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횡방향 지지봉(42)과, 상기 횡방향 지지봉(42)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모터(44)와, 각각의 상기 모터(44)에 설치된 프로펠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횡방향 지지봉(42)은 좌측 및 우측으로 대칭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각각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ir flow means 40, the transverse support rods 42 respectively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1, and the transverse support rods 42 at both ends of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44 installed in each, and a propeller 46 installed in each of the motors 44 . It is preferable that the lateral support rods 42 exten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the right with the same length, respectively.

일예로, 상기 횡방향 지지봉(42)은 회동 수단에 의해 일측(R1) 또는 타측(R2)으로 자전(自轉)이 가능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봉(42)의 일측(R1) 또는 타측(R2)으로의 자전에 의해 상기 모터(44) 및 프로펠러(46)의 틸팅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횡방향 지지봉(42)의 자전(自轉)을 위해 횡방향 지지봉(42)은 제1 연결 프레임(31)에 설치된 베어링(4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As an example, the transverse support bar 42 can rotate to one side (R1) or the other side (R2) by a rotation means, and one side (R1) or the other side (R2) of the transverse support bar 42 It is configured to enable tilting control of the motor 44 and the propeller 46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For example, for the rotation of the transverse support bar 42 , the transverse support bar 42 is rotatably supported by a bearing 47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frame 31 .

상기 횡방향 지지봉(42)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 수단으로서 조작용 레버(43)가 구비된다. 일예로, 조작용 레버(43)는 제1 연결 프레임(31)의 일측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이 부분에 링크 요소(45)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A lever 43 for opera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verse support rod 42 as the rotation means. For example, the lever 43 for operation is exposed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31 , and one end of the link element 45 may be connected to this portion.

상기 조작용 레버(43)는 링크 요소(45)를 통해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된 틸팅 제어 수단(49)과 연결된다. 링크 요소(45)는 금속 소재의 봉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peration lever 43 is connected to the tilting control means 49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0 through a link element 45 . The link element 45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ar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틸팅 제어 수단(49)이 상기 링크 요소(45)를 당기는 방향(D1) 또는 미는 방향(D2)으로 조작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횡방향 지지봉(42)이 일측(R1) 또는 타측(R2)으로 자전(自轉)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B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tilting control means 49 in the pulling direction (D1) or the pushing direction (D2) of the link element 45, the lateral support rod 42 is moved to one side (R1) or the other side (R2).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일예로, 도 1 및 도 2의 비행체(F)는 총 8개의 모터(44) 및 총 8개의 프로펠러(46)가 설치되며, 2개의 모터(44) 및 2개의 프로펠러(46)가 하나의 횡방향 지지봉(42)에 연결된 공기 유동 수단(40)이 총 4개 구비되어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As an example, the aircraft F of FIGS. 1 and 2 has a total of eight motors 44 and a total of eight propellers 46 installed, and two motors 44 and two propellers 46 are one lateral A total of four air flow means 40 connected to the direction support rod 42 are provided and are symmetrically installed.

도 10에 예시된 것처럼, 180도로 대향 배치된 2개의 공기 유동 수단(40)이 하나의 틸팅 제어 수단(49)에 의해 제어되고, 이들 공기 유동 수단(40)과 직각으로 배치된 또다른 2개의 공기 유동 수단(40)이 또다른 하나의 틸팅 제어 수단(49')에 의해 제어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0 , two air flow means 40 arranged oppositely by 180 degrees are controlled by one tilting control means 49 , and another two air flow means 40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se air flow means 40 . The air flow means 40 is controlled by another tilting control means 49'.

일예로, 틸팅 제어 수단(49)은 내부에 틸팅 제어용 모터가 설치되며, 모터축(47b), 상기 모터축(47b)과 연결된 제1 링크(47a)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링크(47a)의 양측으로는 2개의 링크 요소(45)의 단부가 상호 대향하여 연결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47b)의 회동 방향 및 회동 각도에 따라 링크 요소(45)를 당기는 방향(D1) 또는 미는 방향(D2)으로 조작 제어가 이뤄져 공기 유동 수단(40)이 틸팅 제어된다. 공기 유동 수단(40)이 틸팅되는 방향 및 각도에 따라 비행체(F)의 비행 방향 및 속도, 비행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ilting control means 49 includes a tilting control motor installed therein, and includes a motor shaft 47b and a first link 47a connected to the motor shaft 47b.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nk 47a, the ends of the two link elements 45 are connected and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link element 45 is pull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motor shaft 47b. (D1) or the operation control is made in the pushing direction (D2), the air flow means 40 is controlled to tilt.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angle in which the air flow means 40 is tilted, the flight direction and speed of the aircraft F, and the flight height may be controll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또다른 저면 방향 사시도이다. Figure 11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other bottom direction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카메라(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mera (60).

상기 카메라(60)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30)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된다. The camera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body part 10 or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

상기 카메라(60)는 공지의 디지털 카메라이며, 바람직하게는 촬영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일 수 있다. The camera 60 may be a well-known digital camera, preferably a PTZ (Pan Tilt Zoom) camera capable of controlling a shooting angle.

상기 카메라(60)는 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촬영 동작을 실행하며, 비행체(F)가 화재 발생한 건물에 근접하거나 수상에 있는 조난자에 근접하여 인명 구조 활동 시에 현장 상황을 촬영하여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영상을 생성한다. The camera 60 executes a shoot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 and the aircraft F is close to a building where a fire has occurred or is in close proximity to a person in distress on water to take a picture of the on-site situation during lifesaving activities and remotely control it An image is generated so that it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ystem 1000 .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상기 본체부(10)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30)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일측 방향을 향해 배치된 거리 측정 센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형예로, 거리 측정 센서(62)는 카메라(60)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art 10 or the connection frame part 30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62 disposed toward a preset one side direction. consists of including As a modification,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2 may be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camera 60 .

상기 거리 측정 센서(62)는 다양한 공지의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레이더(RADAR)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Passive Sensor)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측정 거리 및 측정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가 선택될 수 있다.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62 may be a variety of known sensors, for example, any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 LIDAR sensor, a radar (RADAR) sensor, or a camera sensor (Passive Sensor) can be used An appropriate sensor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 required measuring distance and a measuring environment.

상기 거리 측정 센서(62)는 제어부(2)의 제어를 받아 거리 측정을 실행하며, 본 실시예의 비행체(F)가 건물에 근접 시에 건물과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비행체(F)와 건물과의 근접 거리를 요구되는 거리로 유지하도록 제어부(2)가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변형예로서, 측정된 거리에 관한 정보를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부터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받아 제어부(2)가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를 실행할 수도 있다.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62 executes distance measure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 and measures the proximity distance to the building whe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approaches the building, and the vehicle F and the building The control unit 2 provides information for executing direction/speed control of the air flow means 40 so as to maintain the proximity distance with the sieve at the required distance. As a modification, the control unit 2 by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distance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speed of the air flow means 40 from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direction/speed control of the false air flow means 40 .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경광등(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광등(90)은 본 실시예의 비행체(F)가 화재 진압 동작 시에 주변에 이러한 상태를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Preferably,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arning light (90). The warning light 90 provides a function of notifying the surroundings of this state when the aircraft F of this embodiment operates in a fire suppression opera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제어 구성도이다. 13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비행체(F)는 제어부(2) 및 통신부(4)를 구비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공급을 위한 충방전 배터리, 비행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GPS 모듈, 비행 고도 정보를 얻기 위한 고도센서, 비행 자세 정보를 얻기 위한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 및 통신부(4)는 본체부(1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vehicle F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2 and a communication unit 4, and although not shown, a charging/discharging battery for power supply, a GPS module for obtaining flight location information, and an altitude sensor for obtaining flight altitude information , and a gyro sensor for obtaining flight attitud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2 and the communication unit 4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unit 10 .

상기 제어부(2)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비행체 제어용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는 컴퓨팅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는 통신부(4)를 통해 원격 제어 시스템(1000)과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비행용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어 정보를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정보, 거리 측정 정보, 비행 위치 정보 및 비행 자세 정보 등을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 includes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understood as a computing means in which computer software for vehicle control is driven. The control unit 2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 and receives various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flight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or photographed with a camera. Image information,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flight location information, flight attitude information, etc.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

또한, 상기 제어부(2)는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 또는 원격 제어 시스템(10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행체(F)에 설치된 공기 유동 수단(40)의 방향/속도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 may execute direction/speed control of the air flow means 40 installed in the aircraft F based on control logic preset in the memory or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 .

또한, 상기 제어부(2)는 카메라(60)를 이용한 영상 정보의 생성, 거리 측정 센서(62)를 이용한 거리 측정 정보의 생성을 실행하고, 각각의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 제어 또는 구조 동작 제어 등을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 executes generation of image information using the camera 60, generation of distance measurement information using the distance measurement sensor 62, and controls flight or rescue operation using each information. can run

일예로,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1000)은 비행체 제어/모니터링용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구동되며 무선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팅 수단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system 1000 may be a computing means in which computer software for vehicle control/monitoring is driven and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mainly in terms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from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modifications.

10: 본체부
20: 외곽체부
21: 중공형 요소
22: 부력 소재
30: 연결 프레임부
31: 제1 연결 프레임
32: 제2 연결 프레임
40: 공기 유동 수단
42: 횡방향 지지봉
43: 조작용 레버
44: 모터
45: 링크 요소
46: 프로펠러
47: 틸팅 제어 수단
50: 네트 프레임
52: 낙하물용 네트
54: 구조용 네트
60: 카메라
62: 거리 측정 센서
F: 비행체
S: 링 형상의 사이 공간
10: body part
20: outer body part
21: hollow element
22: buoyancy material
30: connection frame part
31: first connection frame
32: second connection frame
40: air flow means
42: transverse support bar
43: lever for operation
44: motor
45: link element
46: propeller
47: tilting control means
50: net frame
52: net for falling objects
54: rescue net
60: camera
62: distance measuring sensor
F: aircraft
S: Ring-shaped interspace

Claims (14)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된 외곽체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외곽체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상하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연결 프레임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이 이루는 링 형상의 사이 공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부에 기초하여 설치되며, 모터로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하부로 가압 배출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공기 유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body part;
an outer body portion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disposed in a state of having a gap from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connecting frame unit configured to connect and integrally combine the main body and the outer body and allow air to flow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t is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ring-shaped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ortion, is installed based on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and uses a propeller driven by a motor to allow ai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air flow mean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under pressure;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ortion configured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체부는 비행체가 수상에 부유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body portion is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aircraft can float on w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체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요소의 내부에 주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부력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nclosure part at least partially includes a hollow element, and an air vehicle having an enclosure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buoyancy by using air injected into the hollow el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체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력 소재로 구성되어 부력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body portion is at least partially composed of a buoyancy material to provide buoya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상측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상부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네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낙하물용 네트;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net frames install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and formed to extend upwards; and
An air vehicle having an outer bod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a net for a falling object installed so as to receive a falling object falling from the upper portion by coupling an edge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네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체부의 외측 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구조용 네트;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net frames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formed to extend outward; and
The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uctural net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and installed to form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상측 외곽을 따라 설치되며, 상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네트 프레임;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 낙하물용 네트; 및
상기 복수의 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외곽체부의 외측 측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구조용 네트;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net frames install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frame part and extending in an upper outer direction;
a net for falling objects installed so as to receive a falling object falling from an upper portion by coupling an edge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and
The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uctural net coupled to the plurality of net frames and installed to form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body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과,
인접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네트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상측 외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frames arranged to connec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side of the outer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connection frames,
Each of the net frames is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상측 제1 연결 프레임과,
인접하는 상측 제1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상측 제1 연결 프레임의 하부에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하측 제1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동 수단은 상기 하측 제1 연결 프레임에 기초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a plurality of upper first connecting frames arranged to connec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side of the outer body;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connecting the adjacent upper first connection frames;
It is arranged to connect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body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first connecting frames arranged to have a gap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first connecting frame,
The air flow means is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ased on the lower first connection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과 상기 외곽체부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연결 프레임과,
인접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 유동 수단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의 중간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연장된 횡방향 지지봉과,
상기 횡방향 지지봉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모터와,
각각의 상기 모터에 설치된 프로펠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frames arranged to connect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inside of the outer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frames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connection frames,
The air flow means,
and transverse support rods respectively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middl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frame;
a moto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support rod, respectively;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peller installed in each of the moto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봉은 회동 수단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전(自轉)이 가능하며, 상기 횡방향 지지봉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자전에 의해 상기 모터 및 프로펠러의 틸팅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ansverse support bar can be rota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a rotation means, and the tilting control of the motor and the propeller is possible by rotation of the transverse support bar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ircraft with body part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봉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동 수단으로서 조작용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용 레버는 링크 요소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틸팅 제어 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틸팅 제어 수단이 상기 링크 요소를 당기는 방향 또는 미는 방향으로 조작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횡방향 지지봉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자전(自轉)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12. The method of claim 11,
A lever for opera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verse support bar as the rotation means,
The operation lever is connected to the tilting control mea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hrough a link element,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tilting control means is configured to rotate the lateral support ro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link element in a pulling direction or a push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According to claim 1,
An aircraft having an outer body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mera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art or the connection frame par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측에 설치되며 미리 설정된 일측 방향을 향해 배치된 거리 측정 센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용 비행체.
14. The method of claim 13,
Aircraft for fire suppre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tance measuring sensor installed in the upper side of any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and arranged toward a preset one side direction.
KR1020210047989A 2021-04-13 2021-04-13 Aircraft with outer body KR102572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989A KR102572063B1 (en) 2021-04-13 2021-04-13 Aircraft with outer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989A KR102572063B1 (en) 2021-04-13 2021-04-13 Aircraft with outer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959A true KR20220141959A (en) 2022-10-21
KR102572063B1 KR102572063B1 (en) 2023-08-30

Family

ID=8380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989A KR102572063B1 (en) 2021-04-13 2021-04-13 Aircraft with outer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063B1 (en)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202A (en) * 2013-11-12 2015-05-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Unmanned aerial wehicle
KR20150073617A (en) * 2013-12-23 2015-07-01 이상현 Multi rotor aerial vehicle
WO2016163482A1 (en) * 2015-04-07 2016-10-13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Mobile unit
US20160368596A1 (en) * 2015-01-04 2016-12-22 Beijing Zero Zero Infinity Technology Co., Ltd Fully protected drone
JP2018030430A (en) * 2016-08-24 2018-03-01 東京瓦斯株式会社 Unmanned flight vehicle
KR20180038190A (en)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Unmanned aeri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71588A (en)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18975B1 (en) 2018-01-25 2019-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rone for radiation measuring in r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9172125A (en) * 2018-03-29 2019-10-1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Ducted fan drone
KR102049599B1 (en) 2017-11-22 2019-11-27 수상에스티(주) Dron for the ocean spot monitoring
CN111114768A (en) * 2020-01-21 2020-05-08 深圳市荣力航空工业有限公司 Unmanned helicopter with protection function
US20200391848A1 (en) * 2018-02-28 2020-12-17 Zhiyong SHI Double-ring rotary wing spherical cabin aircraft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202A (en) * 2013-11-12 2015-05-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Unmanned aerial wehicle
KR20150073617A (en) * 2013-12-23 2015-07-01 이상현 Multi rotor aerial vehicle
US20160368596A1 (en) * 2015-01-04 2016-12-22 Beijing Zero Zero Infinity Technology Co., Ltd Fully protected drone
WO2016163482A1 (en) * 2015-04-07 2016-10-13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Mobile unit
JP2018030430A (en) * 2016-08-24 2018-03-01 東京瓦斯株式会社 Unmanned flight vehicle
KR20180038190A (en)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Unmanned aeri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80071588A (en) * 2016-12-20 2018-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49599B1 (en) 2017-11-22 2019-11-27 수상에스티(주) Dron for the ocean spot monitoring
KR102018975B1 (en) 2018-01-25 2019-09-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rone for radiation measuring in r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391848A1 (en) * 2018-02-28 2020-12-17 Zhiyong SHI Double-ring rotary wing spherical cabin aircraft
JP2019172125A (en) * 2018-03-29 2019-10-10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Ducted fan drone
CN111114768A (en) * 2020-01-21 2020-05-08 深圳市荣力航空工业有限公司 Unmanned helicopter with prote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063B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2841B2 (en) Aircraft with protective frame and automatic charging device that can travel on land (and on water if possible)
JP74784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suspended load
JP6527570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7697286B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unmanned aerial vehicle landing control method
US10710715B2 (en) Unmanned supply delivery aircraft
US8979023B1 (en) Impact protection apparatus
JP6337253B2 (en) Underwater exploration system
KR101765074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evacuating people from skyscraper and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US11926415B2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9208689B2 (en) Deep stall aircraft landing
US20170137104A1 (en) Buoyant aerial vehicle
KR101522516B1 (en) The life-saving apparatus using drones
KR101739262B1 (en) The unmanned air vehicle for castaway tracking
US20200070999A1 (en) System comprising a drone, a wireand a docking station allowing the autonomous landing of drones in degraded conditions
CN104724284A (en) Multi-rotor-wing submersibl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128108A (en) It is a kind of based on bionics principle three dwell movement quadrotor unmanned plane
JP6302012B2 (en) Collision protection device
CN110944909A (en) Rotorcraft
RU2381959C1 (en) Aircraft system of rescue operations support
CN207808952U (en) It is a kind of based on bionics principle three dwell movement quadrotor drone
CA3219996A1 (en) Long line loite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2002551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deployment of a payload
KR102572063B1 (en) Aircraft with outer body
KR20230166757A (en) Aircraft
KR20220141638A (en) Aircraft with a separate and detachable boarding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