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481A -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 Google Patents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481A
KR20220141481A KR1020210047650A KR20210047650A KR20220141481A KR 20220141481 A KR20220141481 A KR 20220141481A KR 1020210047650 A KR1020210047650 A KR 1020210047650A KR 20210047650 A KR20210047650 A KR 20210047650A KR 20220141481 A KR20220141481 A KR 20220141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andle
cat
collection container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1342B1 (en
Inventor
강갑주
Original Assignee
강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갑주 filed Critical 강갑주
Priority to KR102021004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342B1/en
Publication of KR2022014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feces separating collection container, comprising: a collection container; and a handle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The collection container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nd at least three side wall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wherein an upper surface is ope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side walls to filter cat feces and discharge sand for cat litter. The handle is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a corner part where two sidewalls meet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provided on an inner corner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and includes a handle reinforcing part for allowing one end of the handle to be inserted into the collection container or increasing the combined area between the handle and the collection container by extending and integrated with one end of the handle.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in the upper open area of the collection container is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tructure from an outer surface to an inner surface, and the corner part wher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meet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verted pyramid so that the strength does not decrease as the two inclined sides intersect.

Description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양이 화장실에 적재된 대변을 모래와 쉽게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새로운 분리수거 용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and in particular, proposes a new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that can easily separate and collect feces loaded in a cat toilet from sand.

최근 고양이를 키우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고양이의 생리적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가정에서는 고양이를 위해 상자에 모래를 담아 고양이가 대소변을 보게 한다. 대소변을 보고 나면 냄새가 악취를 풍기게 되고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어 빠르게 치워주어야 한다. Recently, more and more families are raising cats. To meet the cat's physiological needs, each household puts sand in a box for the cat so that the cat urinates. After urinating, the smell can give off a bad odor and can contaminate the air, so it must be removed quickly.

고양이의 배설물을 치우기 위해 도구를 사용하는데 최근에 나와 있는 것들은 실용성이 떨어져서 모래와 배설물을 함께 담아 일반 쓰레기 봉투에 버리게 된다. 그 결과 모래와 고양이 배설물이 분리하여 수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래 소모량이 늘어나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가 분리되지 않고 함께 섞여서 일반 쓰레기 봉투에 담겨 버려지게 되면, 쓰레기 분리수거를 통해 환경오염을 예방해야 함에도 모래와 고양이 배설물이 분리되지 않은 채 배출되어 더 많은 환경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Tools are used to clean up cat feces, but the more recent ones are not practical, and they are dumped in regular garbage bags with sand and excrement. As a result, sand and cat excrement are not collected separately, and the consumption of sand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economic burden on consumers. In addition, if cat excrement and sand are not separated but mixed together and thrown away in a general garbage bag, even though it is necessary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garbage collection, sand and cat excrement are discharged without being separated, resulting in more environmental costs. can b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속하고 빠르게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하고 고양이의 위생문제와 각 가정에서 악취에 노출되지 않고 공기오염을 막아 건강하고 청결한 위생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ew means is required to quickly and quickly separate cat excrement and sand, prevent cat sanitation and prevent air pollution from being exposed to bad odors in each household to maintain a healthy and clean hygienic life. .

등록특허 10-1643879호에 따르면 고양이용 용변기구가 제안되었는데, 내부에 모래가 채워지도록 상방이 개구되되, 상기 모래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사막화방지통공이 관통 형성된 발판이 전방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좌우양측에는 필터인출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하방에는 자외선통과판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하우징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개구된 상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 상기 상부하우징에 채워진 모래는 통과되면서 고양이의 분변만이 걸러지도록 복수의 분변거름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좌우양측에 손잡이가 각각 형성된 분변거름망과, 하방이 개구된 상태로 상기 상부하우징의 상방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에는 고양이가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후방에는 모래삽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좌우양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필터인출입홀을 통해 고양이의 오줌을 흡수하는 뇨흡수패드를 교체 가능하게 공급하는 뇨흡수패드공급수단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의 자외선통과판을 향해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자외선살균램프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채워진 모래로 탈취제가 분사되도록 탈취제용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탈취제분사기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살균램프 및 탈취제분사기가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자동으로 조사 또는 분사되도록 일정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타이머로부터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자외선살균램프 및 탈취제분사기에 작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타이머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According to Patent Registration No. 10-1643879, a toilet device for cats has been proposed,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fill the inside with sand, and a footrest with a plurality of anti-desertification holes penetrated through the front upper part is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top so that the sand does not fall to the outside. , A housing having a filter inlet hole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an upper housing to which an ultraviolet light pass-through plate is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and a lower housing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housing, and an opening of the upper housing A plurality of fecal sieve holes are formed so that only cat feces are filtered while the sand filled in the upper housing passes while withdrawing from the upper housing.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using in an open state, and an entrance hole is formed through the front so that a cat can enter and exit, and a cover to which a sand shovel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housing A urine absorption pad supply mean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nd replaceably supplying a urine absorption pad for absorbing cat urine through a filter inlet hole of the upper housing, and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A UV sterilizing lamp for irradiating UV light toward the UV light passing plate of a deodorant sprayer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and detachably coupled to a deodorant container so that the deodorant is sprayed with the sand filled in the upper housing, the lower housing a timer tha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 and sets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and the deodorant sprayer are automatically irradiated or sprayed at preset time intervals, and is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and input signals at preset time intervals from the time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and deodorant sprayer, and a power supply unit fixedly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timer and the control unit.

또한, 등록특허 10-1992710호는 고양이 배설물 분리장치를 제안하고 있는데, 본체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여과부가 대상물에 포함된 배설물을 여과하고, 여과된 배설물은 여과부의 경사를 따라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992710 proposes a cat excrement separation device, the filter unit filters the excrement contained in the object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main body, and the filtered excrement is discharged to the outlet along the slope of the filter unit. .

이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고양이 배설물을 분리하거나 수거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의의가 있으나, 과도한 구성부품을 포함하고 있고 동작이 복잡한 장치를 제안하고 있어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가정에서 수동으로 고양이 배설물을 쉽게 분리수거하는 용구로 보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Although these prior arts have techn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separate or collect cat excrement, they contain excessive components and suggest a complicated operation device, which may increase manufacturing cost, and can easily remove cat excrement manually at home. There is a limit to distributing it as a separate collection tool.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서 고양이의 배설물을 간편하게 수거하는 한편,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under the technical background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cat excrement and sand while conveniently collecting cat excrement at ho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양이를 기를 때 배변용 모래를 소비해야 하는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임과 더불어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가 함께 섞여서 배출될 때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consumers who have to consume cat litter when raising cats, and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occurs when cat excrement and sand are mixed together.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In addition, 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거통과, 수거통의 일측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통은 바닥면과 바닥면과 수직인 적어도 세 개의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구조물로서 바닥면 및 측벽에는 고양이 배변은 걸러내고 고양이 배변기용 모래는 배출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수거통의 외측면에 두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며, 수거통 바닥면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에 마련되며, 손잡이의 일단이 수거통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손잡이 일단과 연장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손잡이와 수거통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킨 손잡이 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통 상부 개방 영역에서 측벽의 상단은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고, 두 측벽 상단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경사진 두 변이 교차하면서 강도가 약해지지 않도록 역사각뿔 형태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and a handle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t least three sidewall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is an open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bottom and side walls to filter cat litter and discharge cat litter, and the handl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t the corner where the two side walls meet or coupled to, provided on the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handle strengthening part that increases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handle and the container by allowing one end of the handle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or to extend and integrate with one end of the handle; In the upper open area,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tructure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and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meet is formed in an inverted pyramid shape so that the strength is not weakened as the two inclined sides intersect to enhance durability. It provides a cat excrement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수거통 하단의 외측면에 두 측벽과 각각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is formed o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two side wall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바닥면과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및 인접한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는 외측면과 내측면이 곡면으로 라운드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ner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meet and the corner where the adjacent side wall meets have a rounded shape with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르면,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는 자동화된 동작을 위한 동력부나 센서 등이 필요 없고, 사용자의 간편한 동작에 의해 고양이 배변기에서 모래와 배변을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does not require a power unit or sensor for automated operation, and can separate sand and defecation from the cat litter box by a user's simpl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양이 배변기 모래를 재사용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고양이 배변과 모래를 함께 배출할 때 야기되는 환경오염을 감소할 수 있으며, 고양이 사육 환경 개선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at litter can be reused, the economic burden can be reduce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when cat litter and sand are discharged together,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at breed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는 사출 등의 가공에 의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내구성이 높은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구를 제공할 수 있어 애완동물 시장의 확대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The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ss-produce by processing such as injection, and can provide consumers with a highly durable cat litter collection tool at a low pri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pet market.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2b는 분리수거 용기의 손잡이를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
도 3은 손잡이 강화부를 보인 평면 모식도
도 4는 모서리 강화부 및 경사면을 보인 사시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용기 사시도
도 6a 및 6b는 분리수거 용기의 부분 확대도
도 7a 및 7b는 분리형 손잡이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8a 및 8b는 분리형 손잡이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a 및 9b는 손잡이 결합형 수거통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0a 및 10b는 제1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분리수거 용기 시제품 사진
도 11a 내지 11e는 제2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분리수거 용기 시제품 사진
도 12a 및 12b는 분리수거 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handle reinforcement par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ner reinforcement part and an inclined surface;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etachable handle;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handle;
9a and 9b are a top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handle-coupled container;
10a and 10b are photographs of a prototype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1a to 11e are photographs of a prototype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2a and 12b are photos showing the use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본 발명은 고양이 화장실에 적재된 대변을 모래와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거 용기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that can easily separate feces loaded in a cat litter box from sand.

기존의 고양이 배설물 처리 도구들은 배설물과 모래가 잘 분리되지 않아서 모래를 자주 부어 주어야 하고 배설물과 모래가 분리되지 않은 가운데 일반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려지게 됨으로써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고양기 대변 분리수거기는 일반적으로 쓰레받기 형태나 포크 모양, 삽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지만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작업 효율도 저하되어 가정 내 고양이 생육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Existing cat excrement disposal tools do not separate excrement and sand well, so sand must be poured frequently. In addition, cat feces collection machines are generally in various forms such as dustpan, fork, and shovel, but there is a limit to effectively separating cat excrement and sand, and work efficiency is also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grow cats in the home. have.

반면, 본 발명의 분리수거 용기는 고양기 화장실에 적재된 배변을 모래와 함께 수거하는 과정에서 모래는 남기고 배변만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할 수 있으며, 포크나 주걱 형태의 도구와 달리 배변 수거 및 모래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배변 분리수거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and discharge only the defecation while leaving the san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tool loaded in the cat toilet together with the sand. It is very easy to do, and the waste separation and coll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100)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분리수거 용기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수거통(110)과, 수거통의 일측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손잡이(13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is a collection container 110 as a main component, and a handle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130).

상기 수거통은 바닥면과 바닥면과 수직인 적어도 세 개의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구조물로서, 바닥면 및 측벽에는 고양이 배변은 걸러내고 고양이 배변기용 모래는 배출되는 복수의 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수거통의 전체적인 형태는 예를 들어,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의 다각형 구조가 바람직하다. 수거통의 상부 개방부(111)는 고양이 배변기의 배변을 쓸어 담는 역할을 하며, 수거의 편리성과 내구성을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서리 강화부와 경사면을 포함한다.The container may be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nd at least three sidewall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is a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0 through which cat excrement is filtered and cat litter is discharged in the bottom and side walls. ) is formed. The overall shape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a polygonal structure such as, for example, a triangular prism, a quadrangular prism, or a pentagonal prism. The upper opening 111 of the container serves to sweep the cat's bowel movements, and includes a corner reinforcement and an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below for the convenience and durability of collection.

수거통의 바닥면 및 측벽의 통공은 원형, 삼각형, 다이아몬드 구조, 별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양이 배변과 모래를 분리하여 수거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수거통의 측면 중앙 윗부분으로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hole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 triangle, a diamond structure, a star shape, and the like, and may be formed in a size suitable for collecting cat litter and sand separately. There is no need to form a hole in the upper center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는 수거통의 외측면 하단, 중앙, 또는 상단에 두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로 구성되는 부품을 나사 등의 체결 수단으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분리수거 용기의 손잡이를 보인 사시도 및 저면도로서, 손잡이의 위치를 보이고 있다. 손잡이는 수거통 하단의 외측면에 두 측벽(112a, 112b)과 각각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모서리(113) 부위에 배치되고, 바닥면(114)과 동일한 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거나 결합하는 것이 고양이 배변 수거 작업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손동작이 편리하고 힘을 적게 들이면서도 고양이 배변기의 바닥이나 내측면에 대해 수거통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ay be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the corner where the two sidewalls meet at the lower end, the center, or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may be fixed by combining separately configured parts with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have.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the handle of the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show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corner 113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two side walls 112a and 112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and formed or combin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side as the bottom surface 114 is cat litter collection It is preferable from a work point of view. Due to this structure, it is easy to move th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bottom or the inner surface of the cat toilet, while using a convenient hand operation and using a small amount of force.

또한, 각형 구조의 수거통은 측벽의 통공을 통해 배설물은 내부에 장입된 상태로 모래만 분리되도록 하고 손잡이는 45도의 각을 주어서 고양이의 배설물을 긁어서 바닥에 붙어 있는 배설물을 수거통에 잘 끌어 담을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ectangular structure of the container has a hole in the side wall so that only the sand is separated while the excrement is loaded inside, and the handle is angled at 45 degrees to scrape the cat's excrement so that the excrement attached to the floor can be well drawn into the container. do.

수거통과 손잡이를 일체적으로 하나의 사출물로 형성할 수 있고, 각 부품을 별도로 사출하여 상호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one injection product, and it is also possible to mutually assemble each part by injection separately.

본 발명에서 수거통 바닥면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에 손잡이 강화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손잡이 강화부(!40)를 보인 평면 모식도로서, 손잡이(130)의 일단이 수거통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손잡이 일단과 연장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손잡이와 수거통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고, 손잡이로부터 수거통에 전달되는 물리적인 힘을 집중시키면서, 수거통과 손잡이 결합 부위의 하중을 수거통 바닥면과 두 측면으로 적절하게 분산시켜 수거통에 결합되는 손잡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reinforcement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edge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3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handle reinforcement part (!40), so that one end of the handle 13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or is extended and integrated with one end of the handle to increase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handle and the container, and from the handle to the container. While concentrating the transmitted physical for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andle coupled to the container by properly distributing the load of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coupling area to the bottom and two sides of the container.

또한, 수거통의 바닥면과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인접한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는 외측면과 내측면이 곡면으로 라운드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수거통으로 고양이 배변기에서 배변을 담을 때 배변기 바닥면이나 내부면의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변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the corner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meet, and the corner where the adjacent sidewalls meet,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are rounded to a curved surface. This structure prevents damage such as scratches on the bottom or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when the cat's toilet bowl is filled with the container, and facilitates the collection of the bowel movements.

본 발명에 있어서, 수거통 상부 개방 영역의 상단부 구조는 측벽(112)의 상단은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모서리 강화부(115) 및 경사면(116)을 보인 사시도로서, 상단부의 경사 구조는 쓰레받기의 끝부분과 유사하게 고양이 배변기 바닥면을 훑어내면서 모래와 배변을 수거통에 수거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두 측벽 상단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경사진 두 변이 교차하면서 강도가 약해지지 않도록, 역사각뿔 형태로 모서리 강화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수거통의 상단부 구조를 통해 스테인레스는 물론, 플라스틱 등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수거통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반복적인 수거 작업에도 표면 손상이나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거통 개방부 상단 내부 모서리의 각뿔 구조는 수거통의 전체 구조를 튼튼하게 잡아주고 고양이 화장실에서 배설물을 긁어 낼 때 효과적으로 코너부분까지 싹쓸이 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open area of the container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12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rner reinforcement 115 and the inclined surface 116.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upper part is similar to the tip of the dustpan, and it is easy to collect sand and defecation in the container while sweep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 toilet. 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walls meet may enhance durability by forming a corner reinforcement portion in the form of an inverted pyramid so that the strength is not weakened while the two inclined sides intersec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container and prevent surface damage or partial damage even in repeated collection operations, even if a material with relatively weak strength such as stainless steel or plastic is used. In addition, the pyramidal structure of the upper inner corner of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holds the entire structure of the container firmly and effectively sweeps the corners when scraping excrement from the cat litter box.

또한, 도 4에서 내부 모서리 부분(113a)이 각진 형태가 아니라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운드 형태는 내측면 모서리뿐만 아니라, 외측면의 모서리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corner portion 113a in FIG. 4 is formed in a round shape rather than an angular shape. Such a round shape can be equally applied not only to the corner of the inner surface, but also to the corner of the outer surface.

이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는 고양이 배변기에서 모래와 함께 배변을 수거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수거통에서 배변과 모래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모래는 재사용하고 배변만 따로 배출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고양이 생육 환경이 개선되어 건강 증진에 효과적이고, 수거통의 세척이 용이하고 관리가 수월한 장점이 있다. Due to such structural features, the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collect the litter together with the sand from the cat litter box. can do it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of cat feces is improved and the cat growth environment is improved, which is effective for health promo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easy cleaning and easy management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고양이 대변 분리수거 용기는 스테인리스와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사용함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사출과 펀칭, 판금, 프레스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모양과 색상 그리고 다양한 크기로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거통을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사용하고, 가로, 세로, 높이를 일정한 사이즈로 설계한 후, 내부 용량에 따라 대, 중, 소로 스케일을 달리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수거통 측벽에 둥근 원, 크로바 잎 모양 등의 도형을 질서있게 펀칭(천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는 수거통과 일체적으로 성형하거나, 수거통과 손잡이를 별도로 제조한 후 사후적으로 결합하여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The cat feces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stainless steel and plastic as main materials, and can be designed in various shapes, colors, and sizes by utilizing technologies such as injection, punching, sheet metal, and press. For example, using plastic or stainless steel and designing the width, length, and height of the container to a certain size, it can be manufactured by varying the large, medium, and small scale according to the internal capacity. It can be manufactured by punching (perforating) in an orderly shape, such as a leaf shape. 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integrally molded with the container, or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combined afterwards to be integrated.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용기 사시도로서, 수거통(110)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120)이 다른 형태인 것을 볼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분리수거 용기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통 내부의 손잡이 강화부(140)가 형성된 것과, 모서리 강화부(115) 및 경사면(116)이 형성된 것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수거통의 하단 측벽 모서리에는 손잡이(130)가 부착되어 있고 측벽 및 바닥면에는 크로바 잎 모양의 십자형태로 통공이 뚫려져 있다.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hrough hole 120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10 has a different shape. 6A and 6B are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the handle reinforced part 140 is formed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edge reinforced part 115 and the inclined surface 116 are formed as shown in the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 A handle 130 is attached to the corner of the lower side wall of the container, and a through hole is drilled in the form of a cross in the shape of a clover leaf on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분리수거 용기는 고양이의 배설물을 치우는데 신속하고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를 분리수거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어 모래를 소비해야 하는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가 함께 섞여서 일반쓰레기 봉투에 버려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A collection container like this is a quick and quick way to get your cat's droppings out. The great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parate cat excrement and sand is that i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n consumers who have to consume sand and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mixing cat excrement and sand and throwing them in general waste bags. can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는 스테인리스와 플라스틱은 물론 재생산된 원료를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작업 편이성을 고려하여 손잡이의 형태나 길이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손잡이를 수거통과 별도로 제작한 후 결합하여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분리형 구조는 일체화된 구조의 사출 성형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각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분리수거 용기를 장기간 사용하는데 유리하다. The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using recycled raw materials as well as stainless steel and plastic, and the shape or length of the handle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work convenience. 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and then combined to be integrated. Such a separate structure can solve the difficulty of injection molding of an integrated structure, and it is easy to replace each part, so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for a long time.

도 7a 및 7b는 분리형 손잡이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손잡이(130)와 손잡이 강화부(140)를 결합하기 위해 제1결합편(132)과 제2결합편(134)이 매개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손잡이 강화부 및 각 결합편은 손잡이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통공이 마련되며, 각각의 부품은 손잡이 강화부가 수거통 내부에 장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삽입하여 상호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7a and 7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detachable handl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coupling piece 132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34 are interposed in order to couple the handle 130 and the handle reinforcing part 140 . In addition, the handle reinforcement part and each coupling piece ar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inside so that the handle is inserted, and each part can be firmly coupled by inserting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reinforcement part is charged inside the container, and by fastening mutual bolts, etc. .

도 8a 및 8b는 분리형 손잡이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손잡이(130)와 손잡이 강화부(140)만을 포함하고 있는데, 손잡이의 끝단에는 걸림쇠 형태의 결합핀(131)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강화부(140)는 손잡이가 삽입되는 후방 개방부(141)와 더부러 상기 결합핀이 삽입된 후 손잡이가 고정되는 전방 개방공(142)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예시적인 손잡이 구조 외에도 형태를 변경하여 기능과 구조적 특징이 다른 다양한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다.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handle, which includes only a handle 130 and a handle strengthening part 140, and a coupling pin 131 in the form of a catc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and the handle is reinforced. The unit 140 is provided with a rear opening 141 into which the handle is inserted, and a front opening 142 through which the handle is fixed after the coupling pin is inserted. In addition to such an exemplary handle structure, various handles having different function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can be configured by changing the shape.

수거통과 일체화되지 않은 분리형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 수거통의 구조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도 9a 및 9b는 손잡이 결합형 수거통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수거통의 외측 일부에 개방부(118)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의 배치 방향을 고려하여, 두 개의 측면이 만나는 외측 모서리 하부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선 실시예에서 보인 분리형 손잡이의 손잡이 강화부가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손잡이는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개방 영역을 갖는다. If a detachable handle that is not integrated with the container is used,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9A and 9B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handle-coupled container, and it can be seen that an opening 118 is formed in an outer part of the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handl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ope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edge where the two sides meet, and the handle reinforced part of the detachable handle shown in the previous embodiment is seated and does not come off while the handle is It has an open area that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는 기능과 구조면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가 서로 엉퀴지 않고 잘 분리되도록 하여 쓰레기 용기나 봉투에 담을 수 있다. 배변으로부터 모래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배변기 모래를 재활용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모래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 부담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환경문제인데, 고양이의 배설물과 모래가 함께 섞여서 버려져 환경을 오염시키는 위험을 제거하고 이와 관련된 환경 정책 비용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used by users in terms of function and structure, and can be placed in a garbage container or bag so that cat excrement and sand are well separated without gett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Since the s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defecation, the toilet sand can be recycled and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consumption of sand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Most importantly, it is an environmental issue, and it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risk of polluting the environment by mixing cat excrement and sand together and reducing the related environmental policy costs.

도 10a 및 10b는 3D 프린팅으로 출력하여 제작된 분리수거 용기 시제품 사진으로서, 수거통과 손잡이가 일체화되어 있고, 수거통의 측면과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10A and 10B are photographs of a prototype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produced by printing with 3D printing. It can be seen that the container and the handle are integrated,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container.

도 11a 내지 11e는 제2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분리수거 용기 시제품 사진으로서, 수거통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도 11a), 도 11b에 손잡이 강화부와 도 11c에 손잡이 각각 나타나 있다. 손잡이 강화부는 수거통 내에 장입된 상태로 손잡이를 수거통 개방부로 삽입하여(도 11d 참조) 최종적으로 수거통과 손잡이 강화부 및 손잡이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도 11e).11A to 11E are photographs of a prototype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edge of the container is open ( FIG. 11A ), and the handle reinforced part in FIG. 11B and the handle in FIG. 11C are respectively shown. The handle reinforcing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opening part with the handl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see FIG. 11D ), and finally the container, the handle strengthening part, and the handle can be firmly coupled ( FIG. 11E ).

손잡이를 수거통에 결합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리벳이나 나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주로 이 경우는 플라스틱제품이나 스테인리스제품 또는 목공예품 제작 시 적용 가능하다. 반면, 사출 성형하여 분리수거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 수거통에 손잡이가 일체화된 형태로 바로 사출할 수도 있다. The method of coupling the handle to the container can use, for example, rivets or screws, and in this case, it is mainly applicable to plastic products, stainless steel products, or wood craf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by injection molding, the handle may be directly injected into the container in an integrated form.

도 12a 및 12b는 분리수거 용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사진으로서, 용기를 사용하여 고양기 배변기 바닥면을 쉽게 훑어 배변을 수거할 수 있고, 수거통에 배변과 함께 담긴 모래는 수거통을 가볍게 흔들어 밑으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 12A and 12B are photos showing the use of a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where the container can be used to easily sweep the bottom of the cat toilet to collect the stool, and the sand contained with the stool in the container can be moved down by gently shaking the container. can be easily ejected.

반려 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전체의 90%에 가깝고 반려동물 중 강아지가 약 80%, 고양이가 약 20%를 차지하는데, 고양이를 기르는 가구는 앞으로 계속 늘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분리수거 용기를 사용하여 청결한 환경에서 고양이를 키울 수 있고 가정 내 공기 오염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빠르고 신속하게 고양이의 배설물을 수거 분리할 수 있으며, 고양이 배변을 위한 모래 소비와 관련하여 소비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고양이 배설물과 모래를 잘 분리 할 수 있어서 환경오염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수거 용기는 특히 저렴한 원가로 실용성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어, 반려동물 관련 용품 시장을 개발하고 확대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is close to 90% of the total, and among companion animals, dogs account for about 80% and cats account for about 20%. It is expected that cats can be raised in a clean environment using this, and air pollution in the home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quickly collect and separate cat excrement, reduce the economic burden on consumers in relation to the consumption of sand for cat litter, an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parate cat excrement and sand well, thereb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can be solved. The separatio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companion animal-related product market, since it can produce practical products at a particularly low cost and supply it to consumers at a reasonable price.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laims.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100:분리수거 용기 110:수거통
111:개방부 112:측벽
113:모서리부 114:바닥면
115:모서리 강화부 116:경사면
118:개방부 120: 통공
130:손잡이 131:결합핀
132:제1결합편 134:제2결합편
140:손잡이 강화부 141:후방 개방부
142:전방 개방공
100: separate collection container 110: collection container
111: open part 112: side wall
113: edge 114: bottom
115: edge reinforcement 116: slope
118: open part 120: through hole
130: handle 131: coupling pin
132: first coupling piece 134: second coupling piece
140: reinforced handle 141: rear opening
142: front opening hole

Claims (3)

수거통과, 수거통의 일측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통은 바닥면과 바닥면과 수직인 적어도 세 개의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는 구조물로서, 바닥면 및 측벽에는 고양이 배변은 걸러내고 고양이 배변기용 모래는 배출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수거통의 외측면에 두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며,
수거통 바닥면의 내측면 모서리 부분에 마련되며, 손잡이의 일단이 수거통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손잡이 일단과 연장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손잡이와 수거통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킨 손잡이 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통 상부 개방 영역에서 측벽의 상단은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고, 두 측벽 상단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경사진 두 변이 교차하면서 강도가 약해지지 않도록 역사각뿔 형태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
A container and a handle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s a structure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nd at least three side wall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is open. there is,
The handle is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the corner where the two side walls mee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It is provided on the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a handle strengthening part that increases the coupling area between the handle and the container by allowing one end of the handle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or to be extended and integrated with one end of the handle;
In the upper open area of the container,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is formed in a downwardly inclined structure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and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meet is formed in an inverted pyramid shape so that the strength is not weakened while the two inclined sides intersect. characterized by strengthening
Cat litter collection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수거통 하단의 외측면에 두 측벽과 각각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is formed or combined with the two side wal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to form an angle of 45 degrees,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의 바닥면과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 및 인접한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는 외측면과 내측면이 곡면으로 라운드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분리수거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dge where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meet and the edge where the adjacent sidewall meets is a cat stool separation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are rounded in a curved shape.
KR1020210047650A 2021-04-13 2021-04-13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KR102561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50A KR102561342B1 (en) 2021-04-13 2021-04-13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50A KR102561342B1 (en) 2021-04-13 2021-04-13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81A true KR20220141481A (en) 2022-10-20
KR102561342B1 KR102561342B1 (en) 2023-07-27

Family

ID=8380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50A KR102561342B1 (en) 2021-04-13 2021-04-13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34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36U (en) * 1999-03-11 2000-10-05 이상국 a handy toilet
JP2005287495A (en) * 2004-04-05 2005-10-20 Yuuki Takeuchi Bucket-type shovel
JP2006055040A (en) * 2004-08-18 2006-03-02 Kao Corp Structure for taking out urine-absorbed material for tray
KR20090027881A (en) * 2007-09-13 2009-03-18 최영만 A filth pick-up device
KR200485461Y1 (en) * 2017-07-04 2018-01-11 정명신 Marsh snail collection tool
KR101979153B1 (en) * 2017-11-09 2019-05-16 정상민 Disposal apparatus for pet excr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36U (en) * 1999-03-11 2000-10-05 이상국 a handy toilet
JP2005287495A (en) * 2004-04-05 2005-10-20 Yuuki Takeuchi Bucket-type shovel
JP2006055040A (en) * 2004-08-18 2006-03-02 Kao Corp Structure for taking out urine-absorbed material for tray
KR20090027881A (en) * 2007-09-13 2009-03-18 최영만 A filth pick-up device
KR200485461Y1 (en) * 2017-07-04 2018-01-11 정명신 Marsh snail collection tool
KR101979153B1 (en) * 2017-11-09 2019-05-16 정상민 Disposal apparatus for pet excr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342B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058A (en) Vibrating cat litter scoop
US7107933B2 (en) Litter-free pet waste collection system
AU2013254259B2 (en) Animal litter box
US6827035B2 (en) Self-refreshening litter box
US20120325159A1 (en) Pet waste box
CA2465736C (en) Sliding litter scoop
US20070096483A1 (en) Scooping device
EP0706315A1 (en) Pet litter box
US6039003A (en) Litter box cleaning system, components and method
CN211960500U (en) Novel pet rabbit excrement collector
US20020166510A1 (en) Animal litter box
CN115135145B (en) Animal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10849309B2 (en) Combined pet litter box and cleaning sieve
US20020149215A1 (en) Litter scoop
US636742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cattered cat litter
KR20220141481A (en) Separating and collecting tool for cat excretion
US5579721A (en) Integrated holder/sifter for handling litter
US10701893B1 (en) Litter box
JP3088484U (en) Pet toilet for using non-solidifying particulate matter
CN210841070U (en) Cat litter basin
RU112608U1 (en) MANUAL COLLECTION AND REMOVAL OF ANIMAL EXTRAMS
US10849310B2 (en) Pet litter box and cleaning system
CN220292748U (en) Cat litter excrement and urine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of collocation cat litter basin
CN210630376U (en) Portable environmental protection cat sand shovel
KR20070019630A (en) Attachable-type disposable envelopes for wastes from p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