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087A -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 - Google Patents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087A
KR20220141087A KR1020210047199A KR20210047199A KR20220141087A KR 20220141087 A KR20220141087 A KR 20220141087A KR 1020210047199 A KR1020210047199 A KR 1020210047199A KR 20210047199 A KR20210047199 A KR 20210047199A KR 20220141087 A KR20220141087 A KR 2022014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smetic tool
container
insertion hole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선
신지수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21004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087A/ko
Publication of KR2022014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기 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은, 일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상캡; 상기 상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캡; 및 상기 삽입홀에 수용되어 상기 상캡에 의해 지지되는 화장용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용구는, 상기 상캡과 상기 하캡이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캡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하캡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상기 삽입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삽입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CONTAINER CAP THAT PROTRUDES OR INSERTS COSMETIC TOOLS BY ROTATION}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용기 캡 내측과 외측으로 출몰시킬 수 있어, 화장용구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로션, 선크림, 수분크림 등 크림 제형의 화장품은, 제형의 점도나 사용방법 등을 고려하여 튜브형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튜브 가압에 의해 토출되거나, 펌프 용기에 수용되어 펌프 동작에 의해 토출되거나, 병(Jar)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취출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중 병(Jar) 용기에 수용된 크림 제형의 화장품의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의한 세균 오염 등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병(Jar) 용기에 스파츌라가 함께 수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스파츌라를 이용해 화장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의 경우, 스파츌라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수용부가 요구되었고, 스파츌라를 꺼내기 위해서는 용기 캡과 별도로 수용부를 개방시켜야 하였는 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두 번 이상의 개방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용기 캡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기 캡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은, 일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상캡; 상기 상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캡; 및 상기 삽입홀에 수용되어 상기 상캡에 의해 지지되는 화장용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용구는, 상기 상캡과 상기 하캡이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캡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하캡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상기 삽입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삽입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캡은, 제 1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하캡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제 1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상기 화장용구의 단부를 상기 삽입홀의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삽입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캡은, 상기 제 1 원주 방향의 반대인 제 2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하캡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게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제 2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이드부가 상기 화장용구의 일측을 상기 삽입홀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삽입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용구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접하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비해 높이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가이드면; 및 상기 하캡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캡의 내주면 및 상기 하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캡의 상기 하캡에 대한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화장용구의 너비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4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캡은, 상기 삽입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화장용구의 너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면에는 상기 화장용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캡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캡의 회전 동작을 통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용구의 사용을 위해 용기 캡을 개방할 필요가 없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화장용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용구를 용기 캡 내측에 보관할 수 있어, 화장용구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화장용구의 분실의 위험도 낮출 수 있다.
또한, 화장용구 보관 시, 화장용구가 내용물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캡을 내용물 용기에서 개방시킬 때 화장용구가 용기 캡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용기 캡을 개방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화장용구를 용이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고, 용기 캡을 내용물 용기에 결합시킬 때 화장용구가 용기 캡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용기 캡을 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화장용구를 용이하게 용기 캡에 수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예시적 작동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예시적 돌출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예시적 삽입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기 캡(1000)이 제공된다. 용기 캡(1000)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물 용기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내용물 용기를 개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용기 캡(1000)에 직접 내용물이 수용됨으로써, 다른 내용물 용기와 결합하지 않고 용기 캡(1000)이 그 자체로 내용물 용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용기 캡(1000)이 결합되는 내용물 용기는, 보틀(Bottle), 병(Jar), 디스펜서(Dispenser), 컴팩트(Compact) 또는 튜브(Tube) 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용기 캡(1000) 또는 내용물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액상, 겔상, 분말상, 고상 또는 반고상의 화장료 또는 의약품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프라이머, 에센스, 앰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캡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캡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1000)은 상캡(100), 하캡(200) 및 화장용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캡(100)은 화장용구(300)를 수용하고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300)를 출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캡(100)을 파지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용구(300)를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고, 상캡(10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용구(300)를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일 방향은 용기 캡(1000)을 내용물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일 수 있고, 타 방향은 용기 캡(1000)을 내용물 용기에 결합시키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캡(10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용구(300)를 상캡(100)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화장용구(300)를 꺼낸 다음, 상캡(100)을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용기 캡(1000)을 내용물 용기에서 분리한 후, 화장용구(300)를 이용하여 내용물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취출, 혼합, 도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장용구(300)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 화장용구(300)를 상캡(100)에 삽입한 다음, 상캡(10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용구(300)를 상캡(100)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상캡(100)을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용기 캡(1000)을 내용물 용기에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캡(100)은 화장용구(3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캡(100)이 회전할 때, 화장용구(300)가 상캡(1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캡(100)의 일측에는 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10)에는 화장용구(300)가 수용될 수 있다. 상캡(100)을 회전시킬 경우, 화장용구(300)는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캡(100)은 삽입홀(11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20)은 화장용구(300)의 출몰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장용구(300)는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삽입홀(110)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삽입홀(11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레일(120)은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수용되었을 때 화장용구(300)의 측면을 지지하여 화장용구(300)가 상캡(10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120)은 화장용구(300)의 너비에 대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레일(12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턱(121)이 돌출 형성되어, 화장용구(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가이드레일(120)은 내측면에 한 쌍의 고정턱(121)이 서로 대향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화장용구(300)의 양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화장용구(300)가 가이드레일(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장용구(300)의 양 측면이 고정턱(121)에 의해 강하게 가압됨에 따라, 화장용구(300)가 가이드레일(120) 내에서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캡(100)의 가이드레일(120)은 하캡(200)에 대한 상대 회전 시 하캡(200)의 일부 구성(예를 들면, 제 2 가이드부(220)과 접촉함으로써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일 영역이 함몰될 수 있다.
하캡(200)은 상캡(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캡(200)은 상캡(100)의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300)가 회전하는 경우, 화장용구(300)를 용기 캡(1000)의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화장용구(300)가 출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캡(100)과 하캡(200)이 상대 회전하는 경우, 화장용구(300)가 하캡(2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삽입홀(11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캡(10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캡(200)이 화장용구(300)를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가압하고, 화장용구(300)는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캡(100)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캡(200)이 화장용구(300)를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가압하고, 화장용구(300)는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캡(200)은, 상캡(100)의 회전 시 화장용구(300)의 일측을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이드부(210) 및 제 2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부(210, 220)는 하캡(200)의 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연속됨으로써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원주 방향은 하캡(200)의 중심을 축으로 하였을 때의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을 의미하고, 제 2 원주 방향은 제 1 원주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제 1 가이드부(210)는 제 1 원주 방향을 따라 하캡(200)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210)가 하캡(200)의 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경우,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장용구(300)의 단부가 제 1 가이드부(21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캡(100)의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300)가 제 1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제 1 가이드부(210)가 화장용구(300)의 단부를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이드부(210)의 일 단부는 화장용구(300)의 단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용구가 삽입홀(11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제 1 가이드부(210)의 일 단부가 화장용구(300)의 측면을 지지하여, 화장용구(300)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이드부(210)의 타 단부는,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화장용구(300) 또는 가이드레일(120)의 측면과 완전히 접하도록 사선으로 절단된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제 1 가이드부(210)의 타 단부가 화장용구(300) 또는 가이드레일(120)의 측면을 지지하여, 화장용구(300) 또는 가이드레일(120)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220)는 제 2 원주 방향을 따라 하캡(200)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220)가 하캡(200)의 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높이를 가지되, 화장용구(30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경우,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장용구(300)의 일측이 제 2 가이드부(220)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캡(100)의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300)가 제 2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제 2 가이드부(220)가 화장용구(300)의 일측(특히, 단턱부(310))을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가이드부(220)는 제 1 가이드부(210)에 비해 높이가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용구(300)는 제 2 가이드부(220)의 상측을 통해 출몰되고, 단부가 제 1 가이드부(210)에 접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이드부(210)가 제 2 가이드부(220)에 비해 높이가 낮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가이드부(220)는 가이드면(221) 및 가압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221)은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질 수 있고, 제 2 가이드부(22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화장용구(300)의 일측(특히, 단턱부(310))이 가이드면(221)의 경사를 타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압면(222)은 하캡(200)의 상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가이드부(22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가이드부(220)가 화장용구(300)를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가압할 때, 가압면(222)이 제 2 가이드부(220)의 가압력을 화장용구(300)(특히, 단턱부(310))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이드부(210)와 제 2 가이드부(220)는 연속되는 곡선 형태로 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용구(300)의 삽입홀(110) 외측으로의 돌출 또는 삽입홀(110) 내측으로의 삽입이 끊김 없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제 1 가이드부(210)와 제 2 가이드부(2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캡(200)에는, 제 2 가이드부(220)의 단부로부터 화장용구(300)의 너비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4 회전 제한 돌기(2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4 회전 제한 돌기(233)는,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20)의 함몰된 영역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상캡(100)의 제 1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제 4 회전 제한 돌기(233)는 가이드레일(120)이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장용구(300)를 삽입홀(110) 외측으로 꺼낼 때, 화장용구(300)가 가이드레일(120)의 함몰된 영역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 4 회전 제한 돌기(233)는,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20)의 일측에 접하며, 상캡(100)의 제 1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다.
상캡(100)과 하캡(200)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캡(100)의 내주면 및 하캡(2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제한 돌기는 상캡(100)의 하캡(200)에 대한 상대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제한 돌기는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며 상캡(100)의 제 2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며 상캡(100)의 제 1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완전히 삽입되거나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이후에는 상캡(100)과 하캡(200)이 동기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하캡(200)과 내용물 용기가 결합하는 경우, 상캡(100)을 회전시킴으로써 하캡(200)을 내용물 용기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방향은 용기 캡(1000)을 내용물 용기에서 분리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 2 방향은 용기 캡(1000)을 내용물 용기에 결합시키는 방향일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캡(1000)이 내용물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캡(100)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후 상캡(100)을 계속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캡(100)과 하캡(200)이 동기 회전하며 용기 캡(1000)이 내용물 용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캡(1000)이 내용물 용기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캡(100)을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이후 상캡(100)을 계속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캡(100)과 하캡(200)이 동기 회전하며 용기 캡(1000)이 내용물 용기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캡(100)의 내주면에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가 돌출 형성되고, 하캡(200)의 외주면에 제 2 회전 제한 돌기(231) 및 제 3 회전 제한 돌기(2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는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원주 방향을 향해 제 2 회전 제한 돌기(231)와 접하며, 상캡(100)의 제 2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캡(100)이 제 1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가 제 1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에서 돌출되면,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가 제 1 원주 방향을 향해 제 3 회전 제한 돌기(232)에 접하며, 상캡(100)의 제 1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캡(100)의 내주면에 1개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캡(200)의 외주면에 2개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캡(100)의 내주면에 2개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캡(200)의 외주면에 1개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고, 상캡(100) 및/또는 하캡(200)에 각각 2개 이상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캡(100)의 내주면을 따라 끼움홈(140)이 형성되고, 하캡(200)의 외주면을 따라 끼움돌기(24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끼움돌기(240)가 끼움홈(140)에 삽입됨으로써, 상캡(100)과 하캡(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캡(100)과 하캡(200)의 상대 회전은 허용되되, 상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상캡(100)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하캡(200)에 끼움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상캡(100)과 하캡(200)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나사결합, 걸림결합, 끼워맞춤결합, 걸어맞춤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캡(200)은 내용물 용기의 일측에 결합함으로써 내용물 용기를 밀폐 또는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캡(2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용물 용기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끼움결합, 걸림결합, 끼워맞춤결합, 걸어맞춤결합 등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캡(200)은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용물 용기의 외주면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캡(200)은 하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용물 용기의 내주면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화장용구(300)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의 취출, 도포, 혼합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용구(300)는 스파츌라(Spatula), 스푼(Spoon), 막대(Stick), 스터러(Stirrer), 브러시(Brush)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장용구(300)는 립스틱, 립글로즈, 마스카라 등과 같이 화장 내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으로도 변경 가능하며, 캡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부품 형태라면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장용구(300)는 상캡(100)의 삽입홀(110)에 수용되고, 상캡(100)의 회전 시 하캡(200)에 의해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캡(100)의 회전 동작만으로 화장용구(300)를 용이하게 용기 캡(1000)에서 꺼내거나 용기 캡(1000)에 삽입할 수 있고, 별도의 수용부를 개폐하는 과정이 필요 없어, 사용이 용이하다.
실시예에 따라, 화장용구(300)의 일측에는 단턱부(3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310)는 제 2 가이드부(220)에 접하며, 상캡(100)의 제 2 방향으로의 회전 시 제 2 가이드부(220)에 의해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턱부(310)의 내측면은 제 2 가이드부(220)의 가이드면(2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단턱부(310)의 외측면은 제 2 가이드부(220)의 가압면(2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턱부(310)의 내측면이 가이드면(221)을 타고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가압면(222)이 단턱부(310)의 외측면에 가압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의 예시적 작동 방법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예시적 돌출 동작을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예시적 삽입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캡(100)을 제 1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용구(300)를 삽입홀(110)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화장용구(300)를 잡고 삽입홀(110)에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화장용구(300)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화장용구(300)를 삽입홀(110)에 다시 삽입한 후, 상캡(100)을 제 2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화장용구(300)를 삽입홀(110)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캡(100)을 제 1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화장용구(300)가 상캡(10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때 화장용구(300)의 단부가 제 1 가이드부(210)에 의해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밀리면서,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상캡(100)이 제 1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 또한 제 1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제 3 회전 제한 돌기(232)에 접하게 된다.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와 제 3 회전 제한 돌기(232)가 접할 경우, 상캡(100)의 하캡(200)에 대한 제 1 원주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이후, 상캡(100)을 제 1 원주 방향을 향해 회전시킬 경우, 상캡(100)과 하캡(200)이 동기 회전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캡(100)을 제 2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화장용구(300)가 상캡(10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때 화장용구(300)의 단턱부(310)가 제 2 가이드부(220)에 의해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화장용구(300)가 삽입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된다.
상캡(100) 제 2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 또한 제 2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제 2 회전 제한 돌기(231)에 접하게 된다. 제 1 회전 제한 돌기(130)와 제 2 회전 제한 돌기(231)가 접할 경우, 상캡(100)의 하캡(200)에 대한 제 2 원주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이후. 상캡(100)을 제 2 원주 방향을 향해 회전시킬 경우, 상캡(100)과 하캡(200)이 동기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용기 캡(1000)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품 용기는 용기 캡(1000)이 내용물 용기의 일측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 캡(1000)에 내용물이 수용되어 용기 캡(1000) 자체가 화장품 용기로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상캡 110: 삽입홀
120: 가이드레일 121: 고정턱
130: 제 1 회전 제한 돌기 140: 끼움홈
200: 하캡 210: 제 1 가이드부
220: 제 2 가이드부 221: 가이드면
222: 가압면 231: 제 2 회전 제한 돌기
232: 제 3 회전 제한 돌기 233: 제 4 회전 제한 돌기
240: 끼움돌기 300: 화장용구
310: 단턱부 1000: 용기 캡

Claims (12)

  1. 용기 캡으로서,
    일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상캡;
    상기 상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캡; 및
    상기 삽입홀에 수용되어 상기 상캡에 의해 지지되는 화장용구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용구는,
    상기 상캡과 상기 하캡이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캡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하캡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상기 삽입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삽입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캡은, 제 1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하캡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게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제 1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가이드부가 상기 화장용구의 단부를 상기 삽입홀의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삽입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캡은, 상기 제 1 원주 방향의 반대인 제 2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하캡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되게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캡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제 2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이드부가 상기 화장용구의 일측을 상기 삽입홀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화장용구가 상기 삽입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구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에 접하는 단턱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비해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가이드면; 및
    상기 하캡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캡의 내주면 및 상기 하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캡의 상기 하캡에 대한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화장용구의 너비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4 회전 제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용기 캡.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캡은, 상기 삽입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화장용구의 너비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면에는 상기 화장용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
  12. 제 1 항의 용기 캡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047199A 2021-04-12 2021-04-12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 KR20220141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199A KR20220141087A (ko) 2021-04-12 2021-04-12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199A KR20220141087A (ko) 2021-04-12 2021-04-12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087A true KR20220141087A (ko) 2022-10-19

Family

ID=8380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199A KR20220141087A (ko) 2021-04-12 2021-04-12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0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2390A (ko) 2022-12-14 2024-06-24 (주)장업시스템 화장도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2390A (ko) 2022-12-14 2024-06-24 (주)장업시스템 화장도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678134B1 (ko) 2022-12-14 2024-06-25 (주)장업시스템 화장도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775B2 (en) Multi-container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products and method for applying make-up using such a device
US6474891B1 (en) Structure of a make-up pen
US20090308408A1 (en) Cosmetic product compact having pivoting sections
KR102182786B1 (ko) 화장품용 듀얼 튜브 및 이를 활용한 화장 제품
US20060198692A1 (en) Fingertip dispenser, typically for a cosmetic product
US10477940B2 (en) Folder type cosmetic container
CN107568878A (zh) 双头化妆品容器
KR102221054B1 (ko) 회전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KR20220141087A (ko)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출몰시키는 용기 캡
JP6605619B2 (ja) 化粧用製品の塗布用具のジョイント機構、それに関連する用具、塗布方法、および製造方法
KR20160107137A (ko) 마스카라 화장품 케이스
KR101782508B1 (ko) 회전형 립스틱 용기
US10799008B2 (en) Low profile medicament container
KR102435684B1 (ko)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승강시키는 용기 캡
KR102402565B1 (ko) 화장도구가 내장된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2219673B1 (ko) 용기 세트
KR20190115582A (ko) 퍼프지지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240080730A (ko) 내용물 용기
KR200493058Y1 (ko) 내용물 용기
KR20230030774A (ko) 내용물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405252B1 (ko) 밀폐 부재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