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460A -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 Google Patents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460A
KR20220140460A KR1020220127210A KR20220127210A KR20220140460A KR 20220140460 A KR20220140460 A KR 20220140460A KR 1020220127210 A KR1020220127210 A KR 1020220127210A KR 20220127210 A KR20220127210 A KR 20220127210A KR 20220140460 A KR20220140460 A KR 20220140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trip
bracket
decks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856B1 (ko
Inventor
이나영
Original Assignee
이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영 filed Critical 이나영
Priority to KR102022012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8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35Sealing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1)와,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폭방향 양측면에 끼움홈(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1)와 크로스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데크(2)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두 개의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가 단일의 지지바(1)의 폭방향 양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틈새(4)가 형성된 상태로 함께 지지되도록 시공된 데크 조립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데크(2) 사이의 틈새(4)를 마감하는 데크 시공용 마감구로서, 상기 지지바(1)의 일부를 감싸서 지지바(1)에 고정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데크(2) 사이의 틈새(4)에 구비되고 데크(2)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트립(20); 및 상기 브래킷(10)의 측단부에서 데크(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바(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2) 중 적어도 일측 데크(2)의 저면을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이다.

Description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Gap finishing materials for deck construction with preventing slip and bending}
본 발명은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 시공시 데크가 밀리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이나 콘도 및 펜션 등의 테라스를 시공할 경우 테라스의 바닥은 자연친화적인 건설자재용 목재데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공원내의 차도를 따라 설치되는 산악보드나 산책로 및 등산로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자연친화적인 건설자재용 목재데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목재데크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져서 지지바의 상단에 크로스되도록 설치되는데, 등산로 등이 길 경우 목재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이때, 목재데크가 온도에 따라 팽창과 수축되는 점을 감안하여 목재데크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시켜 틈새가 형성되도록 시공한다.
그런데 종래 시공된 목재데크간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목재데크가 온도에 따라 팽창하게 되면 목재데크 사이에 끼인 이물질 등으로 인해 목재데크가 뒤틀려서 인접 목재데크와 어긋나면서 상향 돌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상향 돌출된 목재데크에 걸려서 넘어질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각의 목재데크마다 팽창률과 수축률이 제각각이어서 목재데크간에 형성되는 틈새가 일정하지 않아서 미관을 더욱 해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목재데크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목재데크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에 상기 한 쌍의 목재데크를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 볼트가 각 목재데크의 모서리에 근접된 위치에 고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보행자가 목재데크의 중간부를 밟게 되면 목재데크의 휘어짐에 의해 볼트가 박힌 목재데크의 모서리부분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565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데크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아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데크의 단부의 좀 더 넓은 면적을 지지하여 데크의 휨강도를 향상시키고 데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가 데크의 중간부를 밟더라도 데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상기 틈새를 막는 스트립을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데크에 맞는 탄성력을 갖는 스트립만 착탈시킬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범용성이 우수하며, 단일의 부품으로 상기 틈새를 마감하면서도 폭방향으로 인접된 데크를 연결조립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데크를 볼팅할 필요가 없어 시공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며 데크의 단부의 볼팅에 의한 결합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증가로 인해 데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아울러 데크가 팽창과 수축되더라도 틈새를 항상 막을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데크의 팽창에 의해 데크가 상향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가 걸려서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1)와,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폭방향 양측면에 끼움홈(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1)와 크로스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데크(2)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두 개의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가 단일의 지지바(1)의 폭방향 양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틈새(4)가 형성된 상태로 함께 지지되도록 시공된 데크 조립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데크(2) 사이의 틈새(4)를 마감하는 데크 시공용 마감구로서, 상기 지지바(1)의 일부를 감싸서 지지바(1)에 고정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데크(2) 사이의 틈새(4)에 구비되고 데크(2)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트립(20); 및 상기 브래킷(10)의 측단부에서 데크(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바(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2) 중 적어도 일측 데크(2)의 저면을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트립(20)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저면에는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가 길게 연장된 스트립부(21); 및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트립부(21)의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돌기(28a) 또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트립지지부(28);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22)의 적어도 일측 내벽에는 내향걸림돌기(23)가 폭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28a)에는 삽입홈(22)의 내향걸림돌기(23)가 삽입되는 걸림홈(29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트립(20)은, 데크(2)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돌기(24)와, 이 수직돌기(24)의 양측으로 돌출되되 데크(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수직돌기(24)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한 쌍의 탄성암(25,2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돌기(24)의 저면에는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가 길게 연장된 스트립부(21); 및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트립부(21)의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돌기(28a) 또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트립지지부(28);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22)의 적어도 일측 내벽에는 내향걸림돌기(23)가 폭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28a)에는 삽입홈(22)의 내향걸림돌기(23)가 삽입되는 걸림홈(29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트립(20)의 적어도 길이방향 일단에서 수평돌출되어 상기 틈새(4)를 형성하는 한 쌍의 데크(2)의 끼움홈(3) 및 상기 데크(2)들과 폭방향을 따라 인접된 데크(2)의 끼움홈(3)에 삽입되는 끼움판(40,4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끼움판(40,41)은 스트립(20)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상기 브래킷(10)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끼움판(40,41)을 지지하는 지지벽(50)이 끼움판(40,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10)은 지지바(1)에 서로 이격 장착되는 제1 및 제2브래킷(20a,2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립(20)의 양단부가 제1 및 제2브래킷(20a,20b)에서 돌출된 각 스트립지지부(28)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10)의 한 쌍의 측면판(12,13)의 내주면간의 간격(d1)이 지지바(1)의 양측면간의 외부폭(d2)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트립(20)의 적어도 상면에는 발광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바(1)에 결합되는 브래킷(10)의 측단부에서 데크(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바(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일의 지지바(1)의 폭방향 양측부에 지지되는 인접된 한 쌍의 데크(2)의 저면을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가 구비되어, 단일의 지지바(1)의 폭방향 양측부에 단부가 걸려지는 한 쌍의 데크(2)의 단부의 좀 더 넓은 면적이 브래킷(10)에 의해 지지되므로, 데크(2)의 휨강도가 보강되어 보행자가 데크(2)의 중간부를 밟더라도 데크(2)가 휘어져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다치는 것이 방지되고 데크(2)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데크(2)의 유지보수 및 교체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데크(2)가 온도 등의 영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수축되더라도 데크지지날개(30,31)에 의해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의 넓은 면적이 여전히 지지되므로, 데크(2)가 휘어져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데크(2)가 지지바(1)에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보행자가 다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데크(2)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비용이 더욱 절감된다. 이때, 브래킷(10)의 상단에 데크(2)의 틈새(4)를 따라 길게 배치된 스트립(20)이 구비되어, 데크(2)의 팽창 등에 의해 밀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스트립(20)에 의해 상기 틈새(4)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이 방지되며, 스트립(20)이 폭방향으로 신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크(2)의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스트립(20)의 신축에 의해 상기 틈새(4)과 효과적으로 마감되어 이물질이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지지바(1)가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브래킷(10)이 지지바(1)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는 상면판(11) 및 한 쌍의 측면판(12,13)으로 이루어져서, 브래킷(10)을 지지바(1)에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인건비 등의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립(20)이 브래킷(10)에 구비된 스트립지지부(28)와, 이 스트립지지부(28)에 착탈되는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스트립부(21)로 이루어져서, 스트립(20)이 브래킷(10)에 일체로 구비된 형태일 경우 브래킷(10) 전체를 지지바(1)에서 분리시켜야 하는 것에 비해, 스트립부(21)만 브래킷(1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켜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선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목재 데크(2)마다 각각에 맞는 탄성력을 갖는 스트립부(21)를 선택적으로 브래킷(10)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편의성이 더욱 향상되고 범용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브래킷(10)의 상면에 복수개의 착탈홈 또는 착탈돌기(19a)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고 스트립(20)의 저면에 착탈돌기 또는 착탈홈(29b)이 형성되어, 스트립(20)을 브래킷(10)의 복수개의 착탈홈 또는 착탈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데크(2) 시공시 지지바(1)의 폭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데크(2) 사이의 틈새(4)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어 시공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스트립(20)의 길이방향 일단에 데크(2)의 끼움홈(3)에 끼워지는 끼움판(40,41)이 구비되므로, 단일의 부품으로 데크(2)의 틈새(4)를 마감하면서 인접된 데크(2)들을 연결조립할 수 있어 부품수가 줄어 비용이 절감되고 시공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데크지지날개(30,31)가 데크(2)의 단부의 좀 더 넓은 면적을 지지하면서 끼움판(40,41)에 의해 데크(2)가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볼트를 이용하여 데크(2)를 지지바(1)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면서 종래 데크(2)의 단부가 지지바(1)에 볼팅되어 결합부위에 압력이 집중되던 것이 방지되어 보행자가 데크(2)를 밟더라도 데크(2)의 단부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그리고 브래킷(10)의 상면판(11)에서 끼움판(40,41)을 지지하는 지지벽(50)이 상향 돌출되어, 끼움판(40,41)의 구조가 보강되고 데크(2)의 폭방향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데크(2)를 좀 더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브래킷(10)이 복수개로 이루어져서 지지바(1)에 이격 설치하고, 스트립(20)의 단일의 스트립부(21)를 각 브래킷(20a,20b)의 스트립지지부(28)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브래킷(10)의 재료가 줄어 비용이 절감되면서 브래킷(10)을 지지바(1)에 좀 더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브래킷(10)의 한 쌍의 측면판(12,13)의 내주면간의 간격(d1)이 지지바(1)의 양측면간의 외부폭(d2)보다 크게 형성되어 브래킷(10)이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스트립(20)이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2) 시공시 시공환경 등에 의해 데크(2)를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에도 브래킷(10)을 이동시켜 데크(2)의 틈새(4)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으므로, 시공편의성이 더욱 더 향상된다. 그리고 한편, 스트립(20)의 상면에 발광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되어, 야간에도 데크(2) 사이의 틈새(4)가 밝게 빛나서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틈새(4)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제1실시예의 데크 팽창에 따른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신축스트립의 높이조절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설치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상기 제3실시예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상기 제4실시예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상기 제5실시예의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상기 제6실시예의 데크 팽창에 따른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상기 제7실시예의 데크 팽창에 따른 작동을 보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상기 제8실시예의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10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11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12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제13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1)와, 길이가 길며 지지바(1)와 크로스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데크(2)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을 다라 이격 설치된 두 개의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가 단일의 지지바(1)의 폭방향 양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틈새()가 형성된 상태로 함께 지지되도록 시공된 데크 조립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데크(2) 사이의 틈새(4)를 마감하는 것으로, 브래킷(10), 스트립(20) 및 데크지지날개(30)를 포함한다. 한편, 데크(2)는 금속도 가능하지만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천연목재 뿐 아니라 합성목재(WPC: Wood Plastic Composites)로 이루어진 것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데크(2)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양 측면에 끼움홈(3)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리고 지지바(1)는 원형파이프 등도 가능하나 사각파이프 형태를 예시하였다.
상기 브래킷(10)은 상기 스트립(20)을 지지바(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바(1)의 일부를 감싸서 지지바(1)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는 브래킷(10)이 지지바(1)의 상면을 감싸는 상면판(11)과, 이 상면판(11)의 양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지지바(1)의 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측면판(1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브래킷(10)의 측면판(12,13)은 지지바(1)의 측면 전체가 아니라 상측 일부만 감싸는 형태를 예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브래킷(10)을 지지바(1)에 좀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20)은 브래킷(10)의 상면판(11)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데크(2) 사이의 틈새(4)를 따라 연장 배치된다. 이에 따라, 틈새(4)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이 방지되며, 데크(2)가 길이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는 스트립(20)이 폭방향으로 신축되어 데크(2)가 길이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되더라도 상기 틈새(4)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립(10)은 소재적 특성이나 형상적 특성 등 틈새(4)를 커버하도록 탄성변형되는 다양한 소재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크지지날개(30,31)는 브래킷(10)의 측단에서 데크(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바(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의 저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데크지지날개(30,31)는 브래킷(10)에서 적어도 일측단에서 돌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브래킷(10)의 양측단에서 돌출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한 쌍의 데크지지날개(30,31)가 브래킷(10)의 상면판(11)에서 지지바(1)의 폭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는 도 3과 같이, 브래킷(10)의 한 쌍의 측면판(12,13)의 내주면간의 간격(d1)이 지지바(1)의 양측면간의 외부폭(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래킷(10)을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데크(2)를 시공할 때 데크(2)의 위치가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브래킷(10)을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유동시켜 스트립(20)의 위치가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데크(2)의 틈새(5)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브래킷(10)의 측면판(12,13)에 데크지지날개(30,31)를 지지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16,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재(16,17)는 브래킷(10)의 측면판(12,13)과 데크지지날개(30,31)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판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는데, 판 형태 이외에도 단면 사각, 원형, 타원형, ▩ 등 데크지지날개(30,31)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데크(2)를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의 강도가 향상되어, 데크(2)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는 스트립(20)이 브래킷(10)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립(20)은 스트립부(21) 및 스트립지지부(2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트립부(21)는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저면에는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스트립지지부(28)는 브래킷(10)의 상면판(11)에 구비되며, 일측에 스트립부(21)의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돌기(28a) 또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22)의 적어도 일측 내측면에는 내향걸림돌기(23)가 신축스트립(20)의 폭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고, 삽입돌기(28a)에는 삽입홈(22)의 내향걸림돌기(23)가 끼워지는 걸림홈(29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립부(21)가 브래킷(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스트립부(21)에 삽입홈(22)이 형성되고, 스트립지지부(28)에 삽입돌기(28a)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스트립지지부(28)는 브래킷(10)의 상면판(11)에서 일체로 돌출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브래킷(10)과 별체로 이루어져서 브래킷(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와 같이, 스트립지지부(28)의 삽입돌기(28a)의 양측면에 각각 걸림홈(29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지지부(28)의 양 측면의 걸림홈(29a)의 위치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a) 및 (b)와 같이, 스트립부(21)의 걸림돌기(23)가 스트립지지부(28)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29a)에 각각 걸려짐에 따라 브래킷(10)으로부터 스트립(20)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목재데크(2)의 두께(t1,t2)에 맞게 스트립부(21)의 걸림돌기(23)를 스트립지지부(28)의 각 걸림홈(29a)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립(20)의 탄성변형되는 스트립부(21)가 브래킷(10)에 구비된 스트립지지부(28)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스트립부(21)의 장시간 사용이나 기타 요인 등에 의해 탄성력이 저하될 경우 브래킷(10)까지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스트립(20)의 스트립부(21)만 교체할 수 있어, 브래킷(10)을 지지바(1)에서 일일이 분리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좀 더 신속하고 편리하다.
그리고 서로 다른 선팽창계수를 갖는 복수개의 데크(2) 그 각각에 맞는 탄성력을 지닌 스트립부(21)를 브래킷(10)에 구비된 스트립지지부(28)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선팽창계수를 갖는 다양한 데크(2)에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하다. 이때, 데크(2)는 외부온도 등에 의해 팽창되는 형태의 목재나 기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스트립(20)을 도 1 및 도 3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데크(2) 사이의 틈새(4)에 설치한다. 이때, 브래킷(10)의 한 쌍의 측면판(12,13)이 지지바(1)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끼워져서, 브래킷(10) 및 신축스트립(20)이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3과 같이, 한 쌍의 데크지지날개(30,3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단일의 지지바(1)의 폭방향 양측부에 함께 지지되는 한 쌍의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의 저면을 각각 지지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가 지지바(1) 뿐만 아니라 데크지지날개(30,31)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데크(2)가 지지되는 면적이 넓어져서 휨강도가 향상되므로, 보행자가 데크(2)의 중간부를 밟더라도 데크(2)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스트립(20)에 의해 데크(2)가 밀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데크(2)의 파손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의 스트립(20)에 의해 데크(2) 사이의 틈새(4)가 마감되어 이물질이 틈새(4)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외관이 미려해진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데크(2)가 팽창되면 스트립(20)이 데크(2)에 의해 가압되면서 폭이 줄어들도록 탄성변형되므로, 데크(2) 사이의 틈새(4)가 스트립(20)에 의해 지속적으로 마감되면서도 데크(2)의 팽창에 의해 서로 충돌하면서 상향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3의 (a)와 같이, 데크(2)가 수축되면 데크(2)에 의해 가압되던 스트립(20)이 폭방향으로 탄성회복되므로, 데크(2) 사이의 틈새(4)가 스트립(20)에 의해 지속적으로 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2)가 외부온도 등에 의해 팽창되거나 수축되더라도 데크 시공용 마감구의 스트립(20)에 의해 데크(2) 사이의 틈새(4)가 지속적으로 마감되므로, 이물질이 틈새(4)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고 팽창에 의해 데크(2)가 서로 충돌하면서 상향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데크(2)의 파손이 방지된다.
그리고 데크(2)가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어 지지바(1)의 폭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더라도 데크지지날개(30,31)에 의해 넓은 면적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보행자가 데크(2)의 중간부를 밟더라도 데크(2)가 휘어져서 파손되거나 데크(2)가 길이방향으로 수축되어 지지바(1)에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로 인해 보행자가 다치는 것이 방지되고 데크(2)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유지보수 및 교체비용이 절감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이 한 쌍의 측면판(12,13)의 하단에서 각각 지지바(1)의 저면을 감싸도록 내측으로 연장된 내향돌기(14,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래킷(10)은 상면판(11), 측면판(12,13) 및 내향돌기(14,15)가 일체로 형성되며,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서, 한 쌍의 내향돌기(14,15)가 벌어지면서 지지바(1)의 둘레면에 탄성결합되므로, 브래킷(10)이 지지바(1)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는 브래킷(10)의 상면에 복수개의 착탈홈(19) 또는 착탈돌기가 형성되고, 스트립(20)의 저면에 착탈돌기(29b) 또는 착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브래킷(10)의 상면판(11)에 복수개의 착탈홈(19) 또는 착탈돌기가 지지바(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브래킷(10)에 착탈홈(19)이 형성되고 스트립(20)의 저면에 착탈돌기(29b)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착탈홈(19)은 길이방향 단부가 개방된다. 도 8과 같이, 착탈홈(19)은 입구가 좁아지고 착탈돌기(29b)는 단부가 확경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착탈돌기(29b)가 착탈홈(19)의 길이방향 개구된 단부를 통해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스트립(20)은 제1실시예와 같이 스트립부(21) 및 스트립지지부(28)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트립지지부(28)의 저면에 착탈돌기(29b) 또는 착탈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래킷(10)에 복수개의 착탈홈(19) 또는 착탈돌기가 폭방향으로 이격되고 저면에 착탈돌기(29b) 또는 착탈홈이 형성된 스트립(20)을 상기 복수개의 착탈홈(19) 또는 착탈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도 8의 (a) 및 (b)와 같이, 데크 시공시 시공환경 등에 의해 데크(2)가 지지바(1) 및 브래킷(1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스트립(20)이 지지바(1)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데크(2) 사이의 틈새(4)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의 적어도 길이방향 일단에 데크(2)의 끼움홈(3)에 끼워지는 끼움판(40,4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끼움판(40,41)은 틈새(4)를 형성하는 한 쌍의 데크(2)의 끼움홈(3) 및 상기 데크(2)들과 폭방향을 따라 인접된 데크(2)의 끼움홈(3)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의 데크(2)를 서로 연결조립하며 데크(2)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끼움판(40,41)은 스트립(2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원형 또는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9과 같이 스트립(20)을 가로지르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는 브래킷(20)에 상기 끼움판(40,41)을 지지하는 지지벽(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지지벽(50)은 브래킷(10)의 상면판(11)에서 상향 돌출되며 끼움판(40,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단이 끼움판(40,41)의 중간부에 연결된다. 지지벽(50)과 끼움판(40,4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와 같이, 끼움판(40,41)은 스트립(20)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끼움판(40,41)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끼움판(40,41)은 스트립(20)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 10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데크(2) 사이의 틈새(4)에 설치한다. 이때, 끼움판(40,4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2)의 끼움홈(3)과, 상기 한 쌍의 데크(2)의 폭방향에 인접 배치된 데크(2)의 끼움홈(3)에 끼워져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인접된 3개의 데크(2)를 서로 연결 조립한다.
한편, 단일의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가 한 쌍의 데크지지날개(30,31)가 지지바(1)의 단부의 좀 더 넓은 면적을 지지하고 끼움판(40,41)이 인접된 데크(2)의 끼움홈(3)에 끼워져서 연결조립하므로, 데크(2)를 종래와 같이 볼트로 지지바(1)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보행자가 데크(2)의 중간부를 밟더라도 데크(2)의 휨강도가 향상되고 데크(2)의 단부에 압력이 덜 가해져서 데크(2)의 단부에 볼트결합으로 인한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끼움판(40,41)이 지지벽(50)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스트립(20)의 타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데크(2)만 브래킷(10)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끼움판(40,41)이 지지벽(50)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끼움판(40,41)이 서로 다른 데크(2)의 끼움홈(3)에 삽입되어, 요구되는 데크(2)만 브래킷(10)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이 스트립부(21) 및 스트립지지부(28)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트립부(21)는 데크(2)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돌기(24)와, 이 수직돌기(24)의 양측으로 돌출되되 데크(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수직돌기(24)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한 쌍의 탄성암(25,2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돌기(24)의 저면에 끼움홈(22) 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스트립지지부(28)의 끼움돌기(29b) 또는 끼움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다.
도 15와 같이, 스트립부(21)의 상단에는 수직돌기(20)의 폭방향으로 확장된 중앙커버(27)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중앙커버(27)의 상면은 폭방향 중앙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면에 빗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탄성암(25,26)은 수직돌기(24)의 중간부에서 돌출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수직돌기(24)와 이격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 16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데크(2) 사이의 틈새(4)에 설치한다. 도 16의 (b)와 같이, 데크(2)가 팽창되면 스트립(20)의 탄성암(25,26)이 데크(2)에 의해 수직돌기(24)쪽으로 가압된다. 이때, 탄성암(25,26)은 수직돌기(24)의 중앙커버(27)의 하측으로 들어가서 중앙커버(27)에 의해 데크(2)의 틈새(4)가 완전히 폐쇄되어 외관이 더욱 깔끔해지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도 16의 (a)와 같이, 데크(2)가 수축되면 수직돌기(24)쪽으로 근접되도록 탄성변형되었던 탄성암(25,26)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직돌기(24)에서 이격되도록 탄성변형되므로, 탄성암(25,26)이 데크(2)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므로, 데크(2) 사이의 틈새(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7실시예에서 스트립(20)의 스트립부(21)의 탄성암(25,26)이 수직돌기(24)의 상측에서 하향 돌출된 형태를 예시하였는데, 수직돌기(24)의 상단 뿐 아니라 중간부에서 하향 돌출된 형태도 가능하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벽(50)의 측면에 엠보돌기(51)가 돌출될 수 있다. 도 20과 같이, 제1 및 제2끼움판(40,41)의 직하방에 위치된 지지벽(50)에는 엠보돌기(51)가 서로 다른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방향으로 돌출된 엠보돌기(51)는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2)에 각각 접촉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브래킷(10a,10b)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도 21과 같이, 제1 및 제2브래킷(10a,10b)가 지지바(1)에 서로 이격설치되고, 스트립(20)의 스트립부(21)의 양단부가 각 브래킷(10a,10b)의 스트립지지부(28)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래킷(10)의 전체 사이즈가 줄어 재료비가 절감되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면서도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0)이 상면판(11)과, 이 상면판(11)의 일측단에서 지지바(1)의 일측면을 감싸는 측면판(12)과, 이 측면판(12)의 하단에서 지지바(1)의 저면을 감싸는 저면판(18)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브래킷(10)은 합성수지에 비해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이루어져서 지지바(1)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목재데크(2)를 지지하는 브래킷(10) 자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구조적으로 좀 더 견고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실시예에서 브래킷(10)의 저면판(18) 및 상면판(11)의 단부에서 지지바(1)를 감싸도록 내향돌기(14,15)가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래킷(10)이 지지바(1)에 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 데크지지날개(30)가 브래킷(10)의 일측단에만 구비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데크지지날개(30)가 브래킷(10)의 일측단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내지 제13실시예들에서, 제1실시예와 같은 보강재(16,17)가 구비되며, 스트립(20)이 스트립부(21)와 스트립지지부(28)로 나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지 제10실시예들에서, 제2실시예와 같이 브래킷(10)에 내향돌기(14,15)가 더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실시예와 같이 내향돌기(14,15)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의 브래킷(10)도 가능하다. 그 이외에, 제2 내지 제13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세부구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브래킷(10)의 내향돌기(14,15)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단하여 브래킷(10)을 지지바(1)에 좀 더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였는데, 나머지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스트립(20)의 적어도 상면에는 발광물질이 함침되거나 또는 도포될 수 있다. 발광물질의 함침이나 도포는 주지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발광물질은 형광물질 등 발광되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립(20)의 상면에 형성된 발광물질에 의해 야간에도 데크(2) 사이의 틈새(5)가 환하게 밝혀져서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데크(2)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지지바 2 : 데크
3 : 끼움홈 4 : 틈새
10 : 브래킷 11 : 상면판
12,13 : 측면판 14,15 : 내향돌기
20 : 스트립 21 : 스트립부
28 : 스트립지지부 30,31 : 데크지지날개
40,41 : 끼움판 50 : 지지벽

Claims (8)

  1.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1)와,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폭방향 양측면에 끼움홈(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1)와 크로스되도록 설치되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개의 데크(2)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두 개의 데크(2)의 길이방향 단부가 단일의 지지바(1)의 폭방향 양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틈새(4)가 형성된 상태로 함께 지지되도록 시공된 데크 조립체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데크(2) 사이의 틈새(4)를 마감하는 데크 시공용 마감구로서,
    상기 지지바(1)의 일부를 감싸서 지지바(1)에 고정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데크(2) 사이의 틈새(4)에 구비되고 데크(2)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스트립(20); 및
    상기 브래킷(10)의 측단부에서 데크(2)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바(1)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데크(2) 중 적어도 일측 데크(2)의 저면을 지지하는 데크지지날개(30,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20)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저면에는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가 길게 연장된 스트립부(21); 및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트립부(21)의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돌기(28a) 또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트립지지부(28);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22)의 적어도 일측 내벽에는 내향걸림돌기(23)가 폭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28a)에는 삽입홈(22)의 내향걸림돌기(23)가 삽입되는 걸림홈(29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20)은,
    데크(2)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돌기(24)와, 이 수직돌기(24)의 양측으로 돌출되되 데크(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력에 의해 수직돌기(24)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한 쌍의 탄성암(25,26)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돌기(24)의 저면에는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가 길게 연장된 스트립부(21); 및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스트립부(21)의 삽입홈(22) 또는 삽입돌기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돌기(28a) 또는 삽입홈이 형성된 스트립지지부(28);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22)의 적어도 일측 내벽에는 내향걸림돌기(23)가 폭방향으로 내향 돌출되고, 상기 삽입돌기(28a)에는 삽입홈(22)의 내향걸림돌기(23)가 삽입되는 걸림홈(29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20)의 적어도 길이방향 일단에서 수평돌출되어 상기 틈새(4)를 형성하는 한 쌍의 데크(2)의 끼움홈(3) 및 상기 데크(2)들과 폭방향을 따라 인접된 데크(2)의 끼움홈(3)에 삽입되는 끼움판(40,4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40,41)은 스트립(20)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상기 브래킷(10)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되고 상단이 상기 끼움판(40,41)을 지지하는 지지벽(50)이 끼움판(40,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은 지지바(1)에 서로 이격 장착되는 제1 및 제2브래킷(20a,2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립(20)의 양단부가 제1 및 제2브래킷(20a,20b)에서 돌출된 각 스트립지지부(28)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의 한 쌍의 측면판(12,13)의 내주면간의 간격(d1)이 지지바(1)의 양측면간의 외부폭(d2)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20)의 적어도 상면에는 발광물질이 함침 또는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20220127210A 2021-02-03 2022-10-05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261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210A KR102618856B1 (ko) 2021-02-03 2022-10-05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64A KR102463046B1 (ko) 2021-02-03 2021-02-03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20220127210A KR102618856B1 (ko) 2021-02-03 2022-10-05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64A Division KR102463046B1 (ko) 2021-02-03 2021-02-03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460A true KR20220140460A (ko) 2022-10-18
KR102618856B1 KR102618856B1 (ko) 2023-12-27

Family

ID=746884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64A KR102463046B1 (ko) 2021-02-03 2021-02-03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20220127210A KR102618856B1 (ko) 2021-02-03 2022-10-05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64A KR102463046B1 (ko) 2021-02-03 2021-02-03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3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6949B2 (en) * 2022-05-06 2024-01-09 Peter Bogoian Deck repair blo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595A (ko)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더우드 건설자재용 데크 어셈블리
KR101224033B1 (ko) * 2012-05-22 2013-01-21 주식회사 백향우드 데크 연결부재
KR20130030281A (ko) * 2013-02-07 2013-03-26 주식회사 영산이앤지 합성목재데크의 클립 체결구조 시공시 합성목재데크의 수팽창으로 인한 합성목재데크의 밀림방지 시공방법
KR20150089197A (ko) * 2014-01-27 2015-08-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온 데크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 어셈블리
KR20190060955A (ko) * 2019-01-04 2019-06-04 이나영 목재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595A (ko)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더우드 건설자재용 데크 어셈블리
KR101224033B1 (ko) * 2012-05-22 2013-01-21 주식회사 백향우드 데크 연결부재
KR20130030281A (ko) * 2013-02-07 2013-03-26 주식회사 영산이앤지 합성목재데크의 클립 체결구조 시공시 합성목재데크의 수팽창으로 인한 합성목재데크의 밀림방지 시공방법
KR20150089197A (ko) * 2014-01-27 2015-08-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온 데크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 어셈블리
KR20190060955A (ko) * 2019-01-04 2019-06-04 이나영 목재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046B1 (ko) 2022-11-03
KR102618856B1 (ko) 2023-12-27
KR20210020049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7015A (en) Floor mat system
RU2683732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реек для создания приподнятого основания или пола
KR102174771B1 (ko) 목재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KR102380497B1 (ko) 보행의 편리성을 개선한 데크 및 계단 데크
KR20220140460A (ko) 데크 밀림 및 휨 방지 시공용 마감구
KR102196258B1 (ko) 소음감쇄기능을 갖는 조립식 알루미늄 바닥재
KR101120544B1 (ko)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KR20100120935A (ko) 합성목재데크 구조체
KR102434171B1 (ko) 그레이팅 커버의 결합 구조
KR101078495B1 (ko)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펜스
KR102446819B1 (ko) 틈새 완충 및 안전성을 갖춘 데크 시공용 마감구
KR102171717B1 (ko) 목재데크용 틈새 마감재
KR101331983B1 (ko) 조립식 탄성바닥재
KR101293496B1 (ko) 미끄럼 방지구가 설치된 목재 데크
KR101126355B1 (ko) 데크 구조체
KR20210125952A (ko) 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KR20210144618A (ko) 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KR101775843B1 (ko) 교량의 인도부 신축 이음 장치
KR102278006B1 (ko) 목재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KR20210028616A (ko) 데크 시공용 마감구
KR102153654B1 (ko) 체결구를 이용한 데크로드 설치구조 및 데크로드 시공방법
KR102212502B1 (ko) 그레이팅용 클립
KR100858887B1 (ko) 합성목재데크의 간격유지장치
KR102256788B1 (ko) 목재데크 조립 및 틈새마감구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9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918

Effective date: 2023111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